KR20130118732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유닛 및 정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유닛 및 정보 처리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18732A KR20130118732A KR1020127031245A KR20127031245A KR20130118732A KR 20130118732 A KR20130118732 A KR 20130118732A KR 1020127031245 A KR1020127031245 A KR 1020127031245A KR 20127031245 A KR20127031245 A KR 20127031245A KR 20130118732 A KR20130118732 A KR 201301187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unit
- display
- identification
- identification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정보 처리 기기는 위치된 사용 장소에 기초하여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의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사용 위치는 기기가 설치된 장치의 식별 정보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유닛 및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터블 텔레비전이나 포터블 오디오 기기, 스마트 폰 등을 위시하여, 이른바 포터블 기기는, 일반적으로 손에 쥐거나, 거실의 좌탁 에 놓거나, 또는 부엌의 벽에 부착되거나 하여 사용된다. 또한, 포터블 기기는, 베드 사이드에 놓고서 취침하면서 사용되거나 한다. 이와 같이, 포터블 기기의 사용 장소나 설치 방법은 복수 상정된다.
포터블 기기의 대부분은, 디스플레이와 터치패널을 구비하고, 터치패널상에서 손가락 등을 동작시킴으로써 조작 입력을 할 수가 있다. 또한, 일부의 포터블 기기에서는, 가속도 센서나 쇼크 센서를 내장하고 있고, 기기를 두드리거나 흔들거나 하여 충격을 줌으로써 조작 입력할 수 있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직감적인 조작 입력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포터블 기기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포터블 기기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포터블 기기를 지지하는 크레이들 스탠드(이하, 「스탠드」라고도 한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스탠드에는, 포터블 기기를 충전하는 충전 기능이나, 외부 앰프/스피커 기능 등을 탑재시킬 수 있고, 포터블 기기 본체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단순한 스탠드 이상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문헌1의 기재에는, 위치에 의존하여 유저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어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 시스템은, 유저가 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위치를 상대 위치 결정 장치에 의해 결정하고, 그 위치에 응하여, 장치가 그 환경에서 실행할 예정의 기능에 대해 최적화된 장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포터블 기기를 스탠드에 접속하여 이용하는 경우, 물리적으로 세워서 설치하는, 급전/충전하는, 외부의 앰프나 스피커에 의해 고품질의 음(音)을 출력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그 이상의 인텔리전트한 기능은 제공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탠드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스탠드의 설치 위치가 예를 들면 부엌과 침실과 같이 다르다고 하여도, 얻어지는 효과는 같고, 포터블 기기의 사용 장소에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는 개념은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디스플레이와 터치패널을 구비한 포터블 기기에서는, 포터블의 사용 장소나 설치 방법에 의하지 않고, 기본적으로, 터치패널상에서 손가락을 동작시키고 조작 입력을 행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손가락에 의한 조작 입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조작 가능한 모든 GUI상의 오브젝트를 소정의 크기 이상으로 표시한다. 이 때문에, 본래는 작게 표시하고 싶은 오브젝트도 소정의 크기 이상으로 표시되어 버려, 본래는 크게 표시시키고 싶은 중요한 정보의 표시가 어려워진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포터블 기기에 몸체에 대한 충격을 검출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기기의 설치 방법에 응하여, 센서의 검출 정밀도가 저하된다는 문제도 있다. 예를 들면, 센서에 의해 기기의 몸체가 두드려진 것을 검출하는 경우, 기기를 스탠드 등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을 때에는, 몸체가 두드려진 것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기기를 손에 쥐고서 사용하고 있을 때에는, 다른 움직임의 영향에 의해 다른 충격을 검출하여 버려, 몸체가 두드려진 것을 정확하게 검출하기가 어려워, 오동작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기기의 사용 상태에 응하여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이면서 개량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유닛 및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실시 형태의 한 양태에 따르면, 정보 처리 기기는, 상기 기기가 위치된 사용 장소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의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 장소는 상기 기기가 설치된 장치의 식별 정보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실시 형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정보 식별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정보 식별 유닛은 정보 처리 기기가 장치에 설치될 때 상기 정보 처리 기기에 식별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기기가 상기 장치에 설치될 때 상기 기기가 위치된 사용 장소를 특정한다.
실시 형태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정보 처리 방법이 제공되는데, 상기 방법은, 정보 처리 기기가 위치된 사용 장소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처리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의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 장소는 상기 기기가 설치된 장치의 식별 정보에 의해 특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기의 사용 상태에 응하여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유닛 및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유닛의 적용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포터블 기기의 정면도.
도 3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포터블 기기의 배면도.
도 4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스탠드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5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스탠드의 다른 구성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포터블 기기에 표시되는 부엌용 GUI의 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포터블 기기에 표시되는 침실용 GUI의 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포터블 기기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9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GUI 결정 처리 유닛에 의한 GUI 결정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10은 조작부를 구비하는 스탠드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1은 터치패널에 의해 조작 입력이 행하여질 때의, EPG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2는 조작부에 의해 조작 입력이 행하여질 때의, EPG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3은 포터블 기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포터블 기기의 정면도.
도 3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포터블 기기의 배면도.
도 4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스탠드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5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스탠드의 다른 구성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포터블 기기에 표시되는 부엌용 GUI의 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포터블 기기에 표시되는 침실용 GUI의 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포터블 기기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9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GUI 결정 처리 유닛에 의한 GUI 결정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10은 조작부를 구비하는 스탠드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1은 터치패널에 의해 조작 입력이 행하여질 때의, EPG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2는 조작부에 의해 조작 입력이 행하여질 때의, EPG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3은 포터블 기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이 알맞는 실시의 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에 의해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는 것으로 한다.
1. 제 1의 실시 형태(포터블 기기가 접속한 스탠드로부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예)
2. 제 2의 실시 형태(포터블 기기를 조작부를 구비하는 스탠드에 접속한 때의 GUI 표시예)
3. 변형례
4. 하드웨어 구성례
<1. 제 1의 실시 형태>
[정보 처리 유닛의 개요]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유닛의 개요에 관해 설명한다. 그리고,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유닛의 적용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유닛은, 정보를 제공한 포터블 기기(100)와, 포터블 기기(100)를 설치하기 위한 스탠드(200)로 이루어진다.
포터블 기기(100)는,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이나, 인터넷, 알람시계 기능이나 요리의 레시피 표시 기능 등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유저에게 제공 가능한 다기능 포터블 기기이다. 포터블 기기(10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부엌이나 침실 등의 다른 방 사이에서 휴대운반 가능하고, 유저가 사용하고 싶은 장소에서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포터블 기기(100)는, 유저가 손으로 지지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탁상에 놓고서 사용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스탠드(200)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유닛에서는, 포터블 기기(100)의 사용 장소에 응하여, 당해 기기의 UI(User Interface)를 변경한다. 포터블 기기(100)는, 예를 들면, 사용 장소와 관련지여진 식별 정보를 갖는 스탠드(200)로부터 당해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기기의 사용 장소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포터블 기기(100)를 부엌에서 사용하는 경우와 침실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따라, 기기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고, 유저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정보 처리 유닛의 구성과 그 기능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여 간다.
[정보 처리 유닛의 하드웨어 구성]
우선, 도 2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유닛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그리고,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포터블 기기(100)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포터블 기기(100)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탠드(200)의 한 구성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탠드(200)의 다른 구성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포터블 기기(100)에 표시되는 부엌용 GUI의 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포터블 기기(100)에 표시되는 침실용 GUI의 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포터블 기기)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포터블 기기(100)는, 도 1에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운반 가능한 다기능 포터블 기기이다. 포터블 기기(10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플레이트형상의 몸체(110)에,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20)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120)로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기기(100)에는, 손가락 등의 조작체의 접촉 또는 근접을 검출하는 터치 센서(도시 생략)가, 디스플레이(120)와 적층하여 마련되어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면, 검출면과 조작체 사이의 거리에 응하여 생기는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에 의해, 유저는,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정보를 직접 조작하는 조작감을 갖고서, 조작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20)가 마련되어 있는 측을 기기의 앞면(前面)으로 한다.
포터블 기기(100)의 배면(100b)(디스플레이(120)와 반대측의 면)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오목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서는, 오목부(112)가 3×3의 격자형상으로 배열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하나 또는 복수의 오목부를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 단, 오목부(112)의 수는, 스탠드(200)의 볼록부의 수 이상 형성된다. 이들의 오목부(112)는, 후술하는 스탠드(200)(200A, 200B)에 형성된 볼록부(부호 212)와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각 오목부(112)에는, 접촉 센서(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고, 각 오목부(112)에 스탠드(200)의 볼록부가 삽입되면, 이것을 검지한다.
(스탠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포터블 기기(100)는, 스탠드(200)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탠드(200)(200A, 200B)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터블 기기(100)를 지지하는 지지부(210)를 구비한다. 포터블 기기(100)의 배면(110b)과 대향하는 지지면(210a)에는, 포터블 기기(100)에 마련된 오목부(112)와 대응 가능한 볼록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212)는, 스탠드(200)의 설치 장소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고, 그 배열 패턴에 의해 스탠드(200)를 구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하는 스탠드(200A)에 형성된 6개의 볼록부(212)의 배열 패턴과, 도 5에 도시하는 스탠드(200B)에 형성된 6개의 볼록부(212)의 배열 패턴은 다르다. 이와 같이, 볼록부(212)의 배열 패턴에 의해 스탠드(200)를 구별할 수 있다. 포터블 기기(100)는, 각 스탠드(200)와 그 설치 장소를 관련지어서 미리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스탠드(200)를 구별함으로써 그 설치 장소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스탠드(200)에 형성 가능한 볼록부(212)의 수는, 포터블 기기(100)에 형성된 오목부(112)의 수 이하이고, 볼록부(212)가 형성되지 않은 스탠드(200)가 있어도 좋다.
(GUI의 표시)
포터블 기기(100)를 스탠드(200)에 설치하면, 포터블 기기(100)의 배면(100b)에 형성된 오목부(112)에, 스탠드(200)의 볼록부(212)가 삽입된다. 이 때, 포터블 기기(100)는, 오목부(112)에 마련된 접촉 센서의 검출 결과로부터, 스탠드(200)의 볼록부(212)의 배열 패턴을 특정하고, 스탠드(200)의 설치 장소(즉, 포터블 기기(100)의 사용 장소)를 인식한다. 그리고, 포터블 기기(100)는, 특정된 스탠드(200)의 설치 장소에 이용 빈도가 높은 기능을 모은 메뉴 GUI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하는 스탠드(200A)가 부엌에 설치된 스탠드로서, 도 5에 도시하는 스탠드(200B)가 침실에 설치된 스탠드로서, 포터블 기기(100)에 미리 등록되어 있다고 한다. 예를 들면, 포터블 기기(100)는, 스탠드(200A)와의 접속을 검지한 때,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요리의 레시피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위한 「레시피」 버튼, 부엌 타이머를 기동하기 위한 「부엌 타이머」 버튼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엌용 메뉴 GUI(300A)를 표시한다. 또한, 예를 들면, 포터블 기기(100)는, 스탠드(200B)와의 접속을 검지한 때,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알람시계 기능을 기동하기 위한 「알람」 버튼, 달력을 표시시키기 위한 「달력」 버튼 등으로 이루어지는 침실용 메뉴 GUI(300B)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포터블 기기(100)는, 스탠드(200)를 특정함에 의해 그 사용 장소를 인식하고, 그 사용 장소에서 빈번하게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쉽도록 구성된 메뉴 GUI를 표시한다. 이에 의해, 그 장소에 적합한 내용이 표시되기 때문에, 메뉴가 간소화되고,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포터블 기기의 사용 장소에 응한 GUI 표시]
이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포터블 기기(100)의 기능 구성과, 사용 장소에 응하여 GUI를 결정하는 처리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포터블 기기의 기능 구성)
우선, 도 8에 의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포터블 기기(100)의 기능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포터블 기기(1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포터블 기기(100)는, 당해 기기의 사용 장소를 인식하고, 사용 장소에 적합한 GUI를 제공하는 GUI 결정 처리 유닛(130)을 구비한다. GUI 결정 처리 유닛(130)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별 정보 취득 유닛(131)과, 식별 유닛(132)과, 변경 처리 유닛(133)과, 식별 정보 기억 유닛(134)과, 설정 정보 기억 유닛(135)으로 이루어진다.
식별 정보 취득 유닛(131)은, 포터블 기기(100)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 유닛(131)은, 포터블 기기(100)의 배면(100b)의 각 오목부(112)에 마련된 접촉 센서에 대응한다. 식별 정보 취득 유닛(131)은, 예를 들면, 포터블 기기(100)가 설치되는 스탠드(200)의 볼록부(212)의 배열 패턴을 식별 정보로서 취득하고, 식별 유닛(132)에 출력한다.
식별 유닛(132)은, 식별 정보 취득 유닛(131)에 의해 취득된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포터블 기기(100)의 사용 장소를 인식한다. 후술하지만, 포터블 기기(100)의 식별 정보 기억 유닛(134)에는, 식별 정보와 장소가 관련지여서 미리 기억되어 있다. 식별 유닛(132)은, 스탠드(200)로부터 취득된 식별 정보와, 식별 정보 기억 유닛(134)에 기억된 식별 정보와의 매칭을 행하여, 일치한 식별 정보에 관련지여진 장소를, 포터블 기기(100)의 사용 장소로서 인식한다. 식별 유닛(132)은, 포터블 기기(100)의 사용 장소로서 인식한 장소를, 변경 처리 유닛(133)에 출력한다.
변경 처리 유닛(133)은, 식별 유닛(132)에 의해 인식된 포터블 기기(100)의 사용 장소에 의거하여,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한 GUI를 결정한다. 변경 처리 유닛(133)은, 후술하는 설정 정보 기억 유닛(135)에 미리 기억된 설정 정보로부터, 포터블 기기(100)의 사용 장소에 대응하는 GUI의 설정 정보를 취득하여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한다.
식별 정보 기억 유닛(134)은, 식별 정보 취득 유닛(131)에 의해 취득된 식별 정보와 장소를 관련지어서 기억하는 기억부이다. 예를 들면, 도 4, 5에 도시한 스탠드(200A, 200B)의 볼록부(212)의 배열 패턴을 식별 정보로 한다. 이 때, 식별 정보 기억 유닛(134)에는, 스탠드(200A)의 볼록부(212)의 배열 패턴은 부엌, 스탠드(200B)의 볼록부(212)의 배열 패턴은 침실과 같이 기억되어 있다. 포터블 기기(100)는, 식별 유닛(132)에 의해, 식별 정보 기억 유닛(134)을 참조하여, 식별 정보 취득 유닛(131)에 의해 취득한 식별 정보와 관련지여저 있는 장소를 특정함으로써, 포터블 기기(100)의 사용 장소를 인식할 수 있다.
설정 정보 기억 유닛(135)은, 포터블 기기(100)의 사용 장소와 당해 사용 장소에서 표시하는 메뉴 GUI를 관련지은 설정 정보를 기억한다. 설정 정보에는, 예를 들면, 사용 장소 「부엌」에 대해, 메뉴 GUI에,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을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텔레비전), 음악을 재생하는 어플리케이션(음악), 요리의 레시피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레시피), 부엌 타이머의 어플리케이션(부엌 타이머)을 표시하는 것이 설정되어 있다. 또는, 사용 장소 「부엌」에 대해, 메뉴 GUI에,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을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텔레비전), 음악을 재생하는 어플리케이션(음악), 알람시계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알람), 달력을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달력)을 표시하는 것이 설정되어 있다.
설정 정보는, 포터블 기기(100)에 미리 설정되어 있어도 좋고, 유저가 설정할 수도 있다. 포터블 기기(100)는, 변경 처리 유닛(133)에 의해, 설정 정보 기억 유닛(135)을 참조하여, 기기의 사용 장소에 적합한 메뉴 GUI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시킨다.
또한, 포터블 기기(100)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통신 유닛(142)과, 실행 처리 유닛(144)과, 어플리케이션 기억 유닛(146)을 구비한다. GUI 결정 처리 유닛(130)에 의해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메뉴 GUI로부터, 유저가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실행 처리 유닛(144)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처리가 시작된다. 실행 처리 유닛(144)은,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신 유닛(142)을 통하여, 또는 어플리케이션 기억 유닛(146)으로부터 취득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예를 들면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거나, 음악이 스피커(도시 생략)로부터 출력되거나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포터블 기기(100)는, 터치패널 등의 입력 디바이스(152)를 구비하고, 조작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포터블 기기(100)는 가속도 센서(154)를 내장하고 있고, 유저가 기기의 몸체(110)를 두드리거나 하여 충격을 가한다는 조작 입력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GUI 결정 처리)
이와 같은 포터블 기기(100)는, GUI 결정 처리 유닛(130)에 의해, 기기의 사용 장소에 응한 메뉴 GUI의 표시를 할 수 있다. 이 처리를 도 9에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스탠드(200)를 식별함에 의해 포터블 기기(100)의 사용 장소를 특정하고,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하는 메뉴 GUI를 결정하는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포터블 기기(100)는, 스탠드(200A, 200B)와 그 설치 장소를 관련지은 정보를, 식별 정보로서 식별 정보 기억 유닛(134)에 기억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포터블 기기(100)가 스탠드(200)에 설치되면, 포터블 기기(100)의 식별 정보 취득 유닛(131)은, 스탠드(200)의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S100). 식별 정보 취득 유닛(131)은, 포터블 기기(100)의 배면(100b)의 오목부(112)에 삽입된 스탠드(200)의 볼록부(212)를 검출하고, 스탠드(200)에 형성된 볼록부(212)의 배열 패턴을 인식한다. 식별 정보 취득 유닛(131)은, 인식한 볼록부(212)의 배열 패턴을, 식별 유닛(132)에 출력한다.
뒤이어, 식별 유닛(132)은, 볼록부(212)의 배열 패턴에 의거하여, 식별 정보 기억 유닛(134)에 기억된 식별 정보와의 매칭 처리를 행하고, 포터블 기기(100)가 설치된 스탠드(200)를 특정한다. 예를 들면, 식별 유닛(132)은, 우선, 볼록부(212)의 배열 패턴이 부엌에 설치된 스탠드(200A)의 배열 패턴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110). 식별 정보 취득 유닛(131)에 의해 취득된 배열 패턴과 일치하는 식별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식별 유닛(132)은, 포터블 기기(100)가 부엌에 설치된 스탠드(200A)에 설치되었다고 판단하고, 변경 처리 유닛(133)에 부엌용 GUI를 표시하도록 지시한다. 지시를 받은 변경 처리 유닛(133)은, 설정 정보 기억 유닛(135)으로부터 부엌용 GUI의 설정 정보를 취득하고, 디스플레이(120)에 부엌용의 메뉴 GUI를 표시시킨다(S120).
한편, 식별 정보 취득 유닛(131)에 의해 취득된 배열 패턴과 일치하는 식별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식별 유닛(132)은, 뒤이어, 볼록부(212)의 배열 패턴이 침실에 설치된 스탠드(200B)의 배열 패턴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130). 식별 정보 취득 유닛(131)에 의해 취득된 배열 패턴과 일치하는 식별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식별 유닛(132)은, 포터블 기기(100)가 침실에 설치된 스탠드(200B)에 설치되었다고 판단하고, 변경 처리 유닛(133)에 침실용 GUI를 표시하도록 지시한다. 지시를 받은 변경 처리 유닛(133)은, 설정 정보 기억 유닛(135)으로부터 침실용 GUI의 설정 정보를 취득하고, 디스플레이(120)에 침실용의 메뉴 GUI를 표시시킨다(S140).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포터블 기기(100)를 설치한 스탠드(200)는 2종류만으로서 설명하였지만, 또한 포터블 기기(100)를 설치 가능한 스탠드(200)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식별 유닛(132)은, 이들 스탠드(200)의 식별 정보와, 식별 정보 취득 유닛(131)에 의해 취득된 배열 패턴과의 매칭 처리도 마찬가지로 행하면 좋다.
식별 정보와의 매칭 처리에 의해 취득된 볼록부(212)의 배열 패턴과 일치하는 식별 정보가 없는 경우, 식별 유닛(132)은, 변경 처리 유닛(133)에 대해, 초기 설정으로서 설정된 메뉴 GUI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하는 지시를 행한다. 이러한 지시를 받은 변경 처리 유닛(133)은, 설정 정보 기억 유닛(135)으로부터 메뉴 GUI의 초기 설정을 취득하고, 디스플레이(120)에 표시시킨다(S150).
이상,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포터블 기기(100)에 의한 메뉴 GUI의 표시 결정 처리에 관해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포터블 기기(100)는, 기기가 설치된 스탠드(200)를 검출하여 식별함으로써, 자신이 사용되고 있는 장소를 특정한다. 그리고, 기기의 사용 장소에 응한 메뉴 GUI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함으로써, 그 장소에서 이용 빈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쉽게 할 수 있고,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2. 제 2의 실시 형태>
다음에, 도 10 내지 도 12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유닛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유닛은, 제 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포터블 기기(100)와, 이것을 지지하는 스탠드(200)로 이루어진다. 이들의 하드웨어 구성 및 기능 구성은 기본적으로 제 1의 실시 형태와 동일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탠드(200)(200C)는, 포터블 기기(100)를 지지하는 지지부(210)에 더하여, 포터블 기기(10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220)를 구비하는 점에서, 제 1의 실시 형태와 상위하다. 이하에서는, 포터블 기기(100)가 스탠드(200C)에 설치된 때의 포터블 기기(100)에서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포터블 기기(100)의 기능 구성은, 도 8에 도시하는 구성과 개략 동일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접속 대상에 응한 GUI의 표시 방법 및 조작 방법의 변경]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탠드(200C)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터블 기기(100)를 지지하는 지지부(210)와, 포터블 기기(10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220)를 구비한다. 지지부(210)의 지지면(210a)에는, 도 4, 5에 도시한 제 1의 실시 형태의 스탠드(200A, 200B)와 마찬가지로 볼록부(212)가 스탠드마다 다르도록 배열되어 있다. 포터블 기기(100)는, 이 볼록부(212)의 배열 패턴을 인식함에 의해, 자신이 설치된 스탠드(200)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200C)에는, 스탠드(200C)에 설치된 포터블 기기(10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220)가 마련되어 있다. 조작부(220)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터블 기기(100)의 디스플레이(120)에 메뉴 GUI를 표시시키기 위한 메뉴 버튼(222)이나, 메뉴로부터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커서 키(224) 등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선택되어 있는 내용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버튼(226)이나, 디스플레이(120)의 표시 내용을 전(前)화면으로 되돌리기 위한 되돌림 버튼(228) 등도 조작부(220)에 마련되어 있다.
조작부(220)는, 스탠드(200C)에 포터블 기기(100)가 설치됨에 의해 사용 가능해진다. 스탠드(200C)는, 예를 들면 적외선 센서나 버튼 등을 지지부(210)의 지지면(210a)에 마련함으로써, 포터블 기기(100)가 설치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200C)는, 포터블 기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한 통신 접속을 확립함으로써, 포터블 기기(100)가 설치된 것을 검출할 수도 있다.
스탠드(200C)에 조작부(220)를 마련함으로써, 포터블 기기(100)에 대한 정보의 입력 조작의 방법이 넓어진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포터블 기기(100)는, 포터블 기기(100)의 사용 상태에 응하여, 조작 입력의 형태를 전환하여, 유저가 조작하기 쉬운 GUI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유저가, 포터블 기기(100)의 디스플레이(120)에 EPG(Electronic Program Guide ; 전자 방송프로그램 가이드)를 표시시켜서, 방송되는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을 확인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포터블 기기(100)의 터치패널로 입력 조작을 행하는 경우,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EPG의 각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을 손가락으로 조작하기 쉽게 하기 위해, 방송프로그램 시간의 길이에 의하지 않고, 어느 일정 크기 이상으로 방송프로그램난이 표시된다. 도 1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방송프로그램난을 종방향으로 크게 취하도록 하고, 방송방송프로그램 시간이 짧은 단시간 방송프로그램, 예를 들면 15분 이하의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의 방송방송프로그램난의 종방향의 길이는 전부 동일 높이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EPG의 표시로 하면 터치패널에 의한 입력 조작은 행기 쉽게 되지만, 각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프로그램 시간의 길이가 직감적으로 알기가 어렵다. 또한, 단시간 방송프로그램에 대해서도 일정한 크기 이상의 방송프로그램난으로 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120)의 표시 영역의 관계상, 방송프로그램 시간이 긴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에 관해서는 방송프로그램 시간의 길이에 의하지 않고 방송프로그램난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방송프로그램 시간이 긴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프로그램난을 크게 한 경우에 표시할 수가 있었던다, 방송프로그램의 상세 내용을 표시할 수가 없게 될 가능성도 있다.
한편, 스탠드(200C)의 조작부(220)에 의해 포터블 기기(100)가 조작 가능해짐으로써, 터치패널을 이용하는 경우와 같이 방송프로그램난의 크기를 일정 이상 확보하지 않더라도 조작 입력은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방송프로그램 시간의 길이에 응하여 EPG의 방송프로그램난의 크기를 설정한 때,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뉴스와 드라마와의 사이에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은 단시간 방송프로그램이고, 그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상태이였다고 한다. 이 경우, 방송프로그램난의 크기가 작아져서, 손가락으로는 조작하기 여려운 경우에도, 유저는, 스탠드(200C)의 조작부(220)의 커서 키(224)를 이용하여 커서(310)를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입력 조작을 문제 없이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서(310)에 의해 포커스 된 방송프로그램난에 관해서는, 일시적으로 방송프로그램난을 확대하여, 적어도 프로그램명을 표시 가능한 사이즈로 함으로써, 통상은 표시되지 않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킬 수도 있다. 또한, 방송프로그램난의 크기를 방송프로그램 시간에 응하여 결정함으로써, 유저가 방송프로그램 시간을 직감적으로 인식하기 쉽고, 또한, 방송프로그램 시간이 긴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에 관해서는 그 상세 내용도 한눈에 알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손에 쥐고 사용하고 있는지, 또는 스탠드(200)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지라는 포터블 기기(100)의 사용 상태에 응하여, GUI의 내용뿐만 아니라, 그 표시 방법이나 조작 방법을 변경할 수도 있다.
[포터블 기기의 설치 위치에 응한 GUI의 변경]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포터블 기기(100)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GUI의 오브젝트의 선택 방법을 변경하였지만, 예를 들면, 포터블 기기(100)의 설치 위치에 응하여 제시하는 GUI를 변경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포터블 기기(100)를 유저의 바로 옆에 기대어 세워놓기 위한 기대어 세워놓는 스탠드와, 벽에 설치된 벽 스탠드가 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벽 스탠드에 포터블 기기(100)를 설치한 경우, 기대어 세워놓는 스탠드에 설치한 경우보다도 포터블 기기(100)는 유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벽 스탠드에 설치된 포터블 기기(100)를 조작한 입력 디바이스로서는, 포터블 기기(100)의 터치패널보다도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는 쪽이 편리하다.
그리고, 유저는 포터블 기기(100)의 디스플레이(120)를 멀리서 보기 때문에, GUI를 구성하는 각 오브젝트의 표시를 크게 하거나, 콘트라스트가 명확한, 시인하기 쉬운 GUI를 표시하거나 하도록, 변경 처리 유닛(133)에 의해 GUI를 변경한다. 이와 같은 GUI의 설정은, 설정 정보 기억 유닛(135)에 미리 설정하여 둘 수 있다.
<3. 변형례>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정보 처리 유닛의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그 구성이나 GUI의 제공 방법에 관해서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식별 정보의 검출 방법]
포터블 기기(100)의 사용 장소를 인식하기 위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포터블 기기(100)를 설치하는 스탠드(200)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당해 스탠드(200)의 설치 장소를 인식하는 처리를 행하고 있다. 이 때, 식별 정보로서 스탠드(200)의 지지면(210a)에 형성된 볼록부(212)의 배열 패턴을 이용하여, 복수의 요철의 물리적 패턴을 기계적으로 인식함으로써 포터블 기기(100)는 자신의 사용 장소를 특정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각 스탠드(200)에 무선 IC 태그를 매입하고, 포터블 기기(100)에는 그 리더기를 마련하여, 포터블 기기(100)의 리더기로, 당해 기기가 설치된 스탠드(200)의 무선 IC 태그를 판독함으로써, 스탠드(200)를 식별할 수도 있다.
또한, 포터블 기기(100)가 WiFi 무선 통신 가능한 경우, WiFi 액세스 포인트와의 위치 관계로부터, 자신이 사용되고 있는 장소를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부엌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인지, 또는 침실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인지를 포터블 기기(100)가 인식할 수 있고, 사용 장소에 응한 GUI를 제시할 수 있다. 포터블 기기(100)의 위치는, GPS(GlobalPositioningSystem) 등을 이용하여서도 취득할 수 있고, GPS 정보로부터 어느 장소에서 사용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 장소에 적합한 GUI를 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 2의 실시 형태에서, 입력 디바이스의 변화에 의한 GUI 표시를 변경시킬 때, 포터블 기기(100)가 HID(Human Interface Device)의 디바이스 클래스를 인식하였는지의 여부에 응하여 GUI 표시를 변경하여도 좋다.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입력 디바이스가 포터블 기기(100)에 접속되면, 포터블 기기(100)는 접속된 입력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클래스를 취득하고, 사용 장소에 적합한 GUI를, 이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입력하기 쉬운 형태로 표시한다. 이에 의해,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작성도 높일 수 있다.
또한, 포터블 기기(100)의 사용 장소에 응하여 GUI를 변경할 뿐만 아니라, 기기의 설치의 방식에 응하여, 디스플레이(120)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포터블 기기(100)에, 기기의 설치 각도를 검출 가능한 센서를 마련하고, 장방형의 디스플레이(120)를 세로로 길게 설치하는지 가로로 길게 설치하는지에 의해, 제시하는 GUI의 내용을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부엌에 배치된 스탠드(200)에 대해, 디스플레이(120)가 세로로 길게 되도록 배치된 경우에는, 포터블 기기(100)는, 요리의 레시피의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기동한다. 한편, 디스플레이(120)가 가로로 길게 되도록 배치된 경우에는, 포터블 기기(100)는,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을 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기동한다.
또한, 포터블 기기(100)는, 스탠드(200)의 설치면에 대한 디스플레이(120)의 표시면의 경사에 응하여,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한 GUI를 변경시키고도 좋다. 이와 같이, 포터블 기기(100)의 사용 장소에 더하여, 사용 방법에 의해 사용하고 싶은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기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포터블 기기의 사용 장소에 응한 GUI의 표시 내용]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포터블 기기(100)는, 기기의 사용 장소를 특정하기 위해 포터블 기기(100)를 설치하는 스탠드(200)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그 식별 정보로부터 특정된 기기의 사용 장소에 적합한 GUI를 표시하는 처리를 행하고 있다. 이 때 표시되는 GUI의 한 예로서,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위한 버튼을 배치한, 단순한 메뉴 GUI를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요리의 레시피의 열람은 어느 장소에서도 행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유저가 레시피를 열람하면서 부엌 타이머를 동작시키려고 생각하는 것은 주로 부엌에 있을 때인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포터블 기기(100)는, 예를 들면 스탠드(200)로부터 취득한 식별 정보로부터 부엌에 있다고 인식하고, 또한, 유저가 레시피를 열람중(레시피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중)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20)에 부엌 타이머의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기 위한 오브젝트를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포터블 기기(100)의 사용 장소에 응하여, 기동된 어플리케이션의 내용의 변경 등을 유연하게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메뉴 GUI의 종류나, 메뉴 GUI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는, 미리 설정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유저가 자신의 기호에 의해 변경할 수도 있다. 또는, 통신 유닛(142)을 통하여 온라인 업데이트 등에 의해 제공된 어플리케이션을 메뉴 GUI에 표시시킬 수도 있고, 메뉴 GUI 자체의 구성의 변경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터블 기기(100)를 설정하는 스탠드(200)의 수를 증가한 경우에도, 추가된 스탠드(200)의 설치 장소에 적합한 메뉴 GUI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운로드하고, 설정 정보 기억 유닛(135)에 기억시킴으로써,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기기(100)의 변경 처리 유닛(133)에 의해, 포터블 기기(100)의 사용 장소에 응하여, GUI의 표시 내용의 변경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120)의 밝기 등을 자동적으로 변경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부엌은 밝고 침실은 어둡기 때문에, 포터블 기기(100)가 부엌에서 사용되고 있다고 인식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20)를 밝게 하고, 침실에서 사용되어 있다고 인식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20)를 어둡게 한다. 이와 같이, 사용 장소에 응하여 적절한 화면의 밝기로 GUI를 표시시킴으로써, 유저에게 보기 쉬운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기기(100)의 사용 장소에 응하여,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여 두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포터블 기기(100)가 부엌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레시피의 어플리케이션, 침실에서 사용된 경우에는 알람시계의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기동하도록 한다. 자동적으로 기동한 어플리케이션은, 유저가 설정하여도 좋고, 이용 빈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을 기기가 판단하여 설정하여도 좋다. 자동적으로 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은, 설정 정보 기억 유닛(135)에 기억하여 둘 수 있다. 이와 같이, 변경 처리 유닛(133)에 의해, 사용 장소에 응하여 자동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되도록 함으로써, 유저의 수고를 줄이고,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유저에 따른 GUI 표시의 변경]
포터블 기기(100)를 사용하는 유저는 1인이라고는 한하지 않는다. 이 때, 포터블 기기(100)의 사용 장소에 응하여 당해 기기를 사용하고 있다고 상정되는 유저도 변할 가능성도 있다. 예를 들면, 부엌에서는 주부만이 포터블 기기(100)를 사용하고, 침실에서는 부부 2인이 포터블 기기(100)를 사용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래서, 예를 들면, 전자 메일 등의 유저마다의 어카운트 등을 필요로 한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경우, 변경 처리 유닛(133)은, 부엌에서는 주부의 어카운트를 디폴트로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침실에서는, 변경 처리 유닛(133)은, 부부 2인의 어카운트를 선택하는 GUI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포터블 기기(100)의 사용 장소에 응하여, 당해 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유저를 추정하고, 자동적으로 그 유저에 합치한 GUI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 디바이스의 유효화/무효화]
포터블 기기(100)에는,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몸체(110)에 대한 충격을 검출 가능한 가속도 센서(154)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포터블 기기(100)를 두드려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여기서, 유저가 포터블 기기(100)를 쥐고서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유저의 다른 움직임의 영향을 받아서, 몸체(110)가 두드려진 것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가 없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몸체(110)를 두드리는 입력 조작을 행하는 경우는, 통상, 포터블 기기(100)는 탁상 등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포터블 기기(100)가 스탠드(200)에 설치된 것을 검지한 경우에, 포터블 기기(100)의 가속도 센서(154)를 유효화하여, 몸체(110)를 두드리는 입력 조작을 가능하게 하도록 한다. 포터블 기기(100)가 스탠드(200)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154)를 무효화하여, 몸체(110)를 두드리는 입력 조작은 접수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포터블 기기(100)의 사용 상태에 응하여 가속도 센서(154)를 유효로 하거나 무효로 하거나 함으로써, 가속도 센서(154)의 검출 결과를 오판정하여, 의도하지 않는 기기의 조작이 행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하드웨어 구성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포터블 기기(100)에 의한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포터블 기기(100)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컴퓨터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3에 의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포터블 기기(100)의 한 하드웨어 구성례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포터블 기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컴퓨터 등의 처리 장치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포터블 기기(100)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PU(Central Processing Unit)(101)와, ROM(Read Only Memory)(102)과, RAM(Random Access Memory)(103)과, 호스트 버스(104a)를 구비한다. 또한, 포터블 기기(100)는, 브리지(104)와, 외부 버스(104b)와, 인터페이스(105)와, 입력 장치(106)와, 출력 장치(107)와, 기억 장치(HDD)(108)와, 드라이브(109)와, 접속 포트(111)와, 통신 장치(113)를 구비한다.
CPU(101)는,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고,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포터블 기기(100) 내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또한, CPU(10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라도 좋다. ROM(102)은, CPU(101)가 사용한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을 기억한다. RAM(103)은, CPU(101)의 실행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그 실행에서 적절히 변화하는 파라미터 등을 일시 기억한다. 이들은 CPU 버스 등으로 구성되는 호스트 버스(104a)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호스트 버스(104a)는, 브리지(104)를 통하여,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Interface) 버스 등의 외부 버스(104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반드시 호스트 버스(104a), 브리지(104) 및 외부 버스(104b)를 분리 구성할 필요는 없고, 하나의 버스에 이들의 기능을 실장하여도 좋다.
입력 장치(106)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패널, 버튼, 마이크로폰, 스위치 및 레버 등 유저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과, 유저에 의한 입력에 의거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CPU(101)에 출력하는 입력 제어 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출력 장치(107)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장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장치 및 램프 등의 표시 장치나,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스토리지 장치(108)는, 포터블 기기(100)의 기억부의 한 예이고, 데이터 격납용의 장치이다. 스토리지 장치(108)는, 기억 매체,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 기억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 및 기억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삭제 장치 등을 포함하여도 좋다. 스토리지 장치(108)는, 예를 들면, HDD(Hard Disk Drive)로 구성된다. 이 스토리지 장치(108)는, 하드 디스크를 구동하고, CPU(101)가 실행한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격납한다.
드라이브(109)는, 기억 매체용 리더라이터이고, 포터블 기기(100)에 내장, 또는 외부면 부착된다. 드라이브(109)는, 장착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고, RAM(103)에 출력한다.
접속 포트(111)는, 외부 기기와 접속된 인터페이스로서,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등에 의해 데이터 전송 가능한 외부 기기와의 접속구(接續口)이다. 또한, 통신 장치(113)는, 예를 들면, 통신망(10)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 등으로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통신 장치(112)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대응 통신 장치라도, 와이어리스 USB 대응 통신 장치라도, 유선에 의한 통신을 행하는 와이어 통신 장치라도 좋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알맞는 실시 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는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의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어서, 각종의 변경례 또는 수정례에 상도할 수 있음은 분명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조작부(220)는, 스탠드(200C)의 지지부(2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작부(220)를 스탠드(200C)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작부(220)는 포터블 기기(100)를 조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스탠드(200)의 볼록부(212)는 지지면(210a)에 고정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걸리는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볼록부(212)를 착탈 가능하게 하여, 유저가 볼록부(212)의 배열을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스탠드(200)에 설치 장소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전환하는 스위치 등을 마련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볼록부(212)의 배열 패턴 등의 식별 정보를 전환함으로써, 스탠드(200)의 설치 장소를 이동한 때에, 이동 후의 장소에 적합한 메뉴 GUI 등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운반 가능한 포터블 기기(100)와, 이것을 지지하는 스탠드(200)로 이루어지는 정보 처리 유닛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GUI를 제공하는 기기는 반드시 휴대운반 가능하지 않아도 좋고, 예를 들면, 대형의 텔레비전 등이라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텔레비전에 키보드가 접속된 때에, 텔레비전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GUI 등을 변경하도록 하여도 좋다.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등가의 범위 내에서 설계상의 필요 또는 다른 요인에 따라 여러 가지 변경예, 조합예, 부분 조합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포터블 기기 110 : 몸체
112 : 오목부 120 : 디스플레이
130 : GUI 결정 처리 유닛 131 : 식별 정보 취득 유닛
132 : 식별 유닛 133 : 변경 처리 유닛
134 : 식별 정보 기억 유닛 135 : 설정 정보 기억 유닛
142 : 통신 유닛 144 : 실행 처리 유닛
146 : 어플리케이션 기억 유닛 152 : 입력 디바이스
154 : 가속도 센서 200, 200A, 200B, 200C : 스탠드
210 : 지지부 212 : 볼록부
220 : 조작부
112 : 오목부 120 : 디스플레이
130 : GUI 결정 처리 유닛 131 : 식별 정보 취득 유닛
132 : 식별 유닛 133 : 변경 처리 유닛
134 : 식별 정보 기억 유닛 135 : 설정 정보 기억 유닛
142 : 통신 유닛 144 : 실행 처리 유닛
146 : 어플리케이션 기억 유닛 152 : 입력 디바이스
154 : 가속도 센서 200, 200A, 200B, 200C : 스탠드
210 : 지지부 212 : 볼록부
220 : 조작부
Claims (30)
- 기기가 놓여진 사용 장소에 따라 상기 기기의 디스플레이의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 장소는 상기 기기가 설치된 장치의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기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통신에 의해 상기 장치로부터 취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정보 처리 기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식별 정보 취득 유닛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기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취득 유닛는 접촉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기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취득 유닛는 무선 집적 회로 태그를 판독할 수 있는 리더기(read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기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상기 장치에 설치될 때 상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식별 정보 취득 유닛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대응하는 식별 정보 취득 유닛로부터 식별 정보를 취득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 취득 유닛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기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기기가 상기 장치에 설치될 때 상기 기기의 방향에 따라 상기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의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처리 기기.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은 상기 기기가 상기 장치에 설치될 때 상기 기기의 설치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기기.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은 상기 기기가 상기 장치에 설치될 때 상기 기기의 디스플레이의 기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기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기기가 상기 장치에 설치될 때 상기 기기의 디스플레이의 기울기와 상기 장치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의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기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기기가 상기 장치에 설치될 때 상기 장치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기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의 시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기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기기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기기에서 검출된 입력 조작을 유효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기기.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조작이 검출되고 상기 설치 상태가 상기 기기가 상기 장치에 설치된 상태인 때, 상기 제어 유닛은 입력 조작을 유효화하고, 상기 입력 조작이 검출되고 상기 설치 상태가 상기 기기가 상기 장치에 설치되지 않은 상태인 때, 상기 제어 유닛은 입력 조작을 무효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기기.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조작은 상기 기기의 가속 센서에서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기기. - 정보 식별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식별 유닛은 정보 처리 기기가 장치에 설치될 때 상기 정보 처리 기기에 식별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기기가 상기 장치에 설치될 때 상기 기기가 위치된 사용 장소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식별 유닛은 상기 기기가 상기 장치에 설치될 때 상기 정보 처리 기기의 대응하는 정보 식별 취득 유닛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정보 식별 취득 유닛은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식별 유닛은 상기 기기가 상기 장치에 설치될 때 상기 정보 처리 기기의 대응하는 정보 식별 취득 유닛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정보 식별 취득 유닛의 배치는 사용 장소를 특정하는 식별 정보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기기가 조작부에 설치될 때 상기 기기를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내에서의 상기 기기의 설치를 검출하는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상기 기기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기기의 설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식별 유닛은 무선 집적 회로 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정보 처리 기기; 및
정보 식별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기기는, 상기 정보 처리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식별 유닛은 상기 기기가 상기 장치에 설치될 때 식별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기기의 제어 유닛은 상기 기기가 위치된 사용 장소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의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 장소는 상기 기기가 설치된 상기 장치의 식별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상기 기기가 상기 장치에 설치될 때 상기 장치의 정보 식별 유닛으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식별 취득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취득 유닛은 접촉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정보 식별 유닛은 상기 기기가 상기 장치에 설치될 때 상기 기기의 대응하는 정보 식별 취득 유닛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정보 식별 유닛의 배치는 상기 사용 장소를 특정하는 식별 정보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기기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기기에서 검출된 입력 조작을 유효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조작이 검출되고 상기 설치 상태가 상기 기기가 상기 장치에 설치된 상태인 때, 상기 제어 유닛은 입력 조작을 유효화하고, 상기 입력 조작이 검출되고 상기 설치 상태가 상기 기기가 상기 장치에 설치되지 않은 상태인 때, 상기 제어 유닛은 입력 조작을 무효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조작은 상기 기기의 가속 센서에서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정보 처리 기기가 위치된 사용 장소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처리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의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 장소는 상기 기기가 설치된 장치의 식별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0131341A JP2011257950A (ja) | 2010-06-08 | 2010-06-08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ユニットおよび情報処理方法 |
JPJP-P-2010-131341 | 2010-06-08 | ||
PCT/JP2011/003082 WO2011155154A1 (en) | 2010-06-08 | 2011-06-01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8732A true KR20130118732A (ko) | 2013-10-30 |
Family
ID=45097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31245A KR20130118732A (ko) | 2010-06-08 | 2011-06-01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유닛 및 정보 처리 방법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130201164A1 (ko) |
EP (1) | EP2580649A1 (ko) |
JP (1) | JP2011257950A (ko) |
KR (1) | KR20130118732A (ko) |
CN (1) | CN102918483A (ko) |
BR (1) | BR112012030547A2 (ko) |
RU (1) | RU2012151525A (ko) |
WO (1) | WO201115515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156360B2 (ja) * | 2012-03-02 | 2017-07-05 | 日本電気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2015191300A (ja) * | 2014-03-27 | 2015-11-02 | キャンバスマップル株式会社 | 携帯情報端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動作制御システム |
CN105974779A (zh) * | 2016-06-21 | 2016-09-28 | 何林 | 厨房用一键式电子定时器 |
JP6374477B2 (ja) * | 2016-12-21 | 2018-08-15 | 京セラ株式会社 |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KR101975423B1 (ko) * | 2017-06-02 | 2019-05-07 | 네이버 주식회사 | 사용자의 위치 및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JP6925031B2 (ja) * | 2017-07-26 | 2021-08-25 | 株式会社パロマ | 給湯器用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装置 |
JP6935086B2 (ja) * | 2017-07-31 | 2021-09-15 | 株式会社パロマ | 給湯器用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装置 |
JP6935085B2 (ja) * | 2017-07-31 | 2021-09-15 | 株式会社パロマ | 給湯器用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装置及び給湯システム |
JP2022083201A (ja) * | 2020-11-24 | 2022-06-03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並びに空気調和機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52806A (en) * | 1994-04-29 | 1996-09-03 | Motorola,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selectable function icons on a display |
US6563430B1 (en) * | 1998-12-11 | 2003-05-13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Remote control device with location dependent interface |
US7574693B1 (en) * | 1998-09-17 | 2009-08-11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Internet-based service for updating a programmable control device |
WO2000017737A1 (en) * | 1998-09-17 | 2000-03-30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Remote control device with location dependent interface |
JP2002291058A (ja) * | 2001-03-23 | 2002-10-04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ホームスイッチシステムと該システム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 |
JP4571332B2 (ja) * | 2001-04-17 | 2010-10-27 | 株式会社エネゲート | 電子機器統合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端末並びに家庭内情報システム |
JP4122779B2 (ja) * | 2002-01-23 | 2008-07-23 | 三菱電機株式会社 | 家電制御システム、家電制御装置、並びに家電機器 |
JP2003223256A (ja) * | 2002-01-30 | 2003-08-08 | Toshiba Corp | 表示装置 |
JP2005352710A (ja) * | 2004-06-10 | 2005-12-22 | Hitachi Ltd | 個人認証装置 |
JP2006352682A (ja) * | 2005-06-17 | 2006-12-28 | Toshiba Corp | 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
WO2007032076A1 (ja) * | 2005-09-15 | 2007-03-22 | Fujitsu Limited | 電子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利用情報表示プログラム,同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および利用情報表示方法 |
JP4938530B2 (ja) * | 2007-04-06 | 2012-05-23 |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 移動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
JP2008289133A (ja) * | 2007-04-20 | 2008-11-27 | Sony Corp | データ通信システム、クレードル装置、サーバ装置、転送制御プログラム、通信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通信方法 |
US8350694B1 (en) * | 2009-05-18 | 2013-01-08 | Alarm.Com Incorporated | Monitoring system to monitor a property with a mobile device with a monitoring application |
US20110099507A1 (en) * | 2009-10-28 | 2011-04-28 | Google Inc. | Displaying a collection of interactive elements that trigger actions directed to an item |
US9055162B2 (en) * | 2011-02-15 | 2015-06-09 | Lg Electronics Inc. |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
2010
- 2010-06-08 JP JP2010131341A patent/JP2011257950A/ja active Pending
-
2011
- 2011-06-01 US US13/701,345 patent/US2013020116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1-06-01 BR BR112012030547A patent/BR112012030547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06-01 WO PCT/JP2011/003082 patent/WO201115515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6-01 RU RU2012151525/08A patent/RU2012151525A/ru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06-01 KR KR1020127031245A patent/KR2013011873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06-01 EP EP11792114.8A patent/EP2580649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1-06-01 CN CN2011800268749A patent/CN102918483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1155154A1 (en) | 2011-12-15 |
EP2580649A1 (en) | 2013-04-17 |
JP2011257950A (ja) | 2011-12-22 |
BR112012030547A2 (pt) | 2016-08-09 |
CN102918483A (zh) | 2013-02-06 |
US20130201164A1 (en) | 2013-08-08 |
RU2012151525A (ru) | 2014-06-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118732A (ko)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유닛 및 정보 처리 방법 | |
JP7482208B2 (ja) |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操作装置、および、付属機器 | |
JP5066055B2 (ja) |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AU2014200250B2 (en) |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in portable terminal,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portable terminal | |
US20080052422A1 (en) | Apparatus with programmable touch screen and method thereof | |
Kratz et al. | HoverFlow: expanding the design space of around-device interaction | |
KR102160767B1 (ko) | 제스처를 감지하여 기능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 |
CN107329688B (zh) | 一种指纹采集方法及终端 | |
US20140160045A1 (en) |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a pen | |
US20100033438A1 (en) | Touch-based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 |
TWI491224B (zh) | 電視介面操作控制裝置、遙控裝置及方法 | |
US20100171693A1 (en) |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CN102929424A (zh) | 移动终端的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 |
US20220113811A1 (en) | Non-contact gesture commands for touch screens | |
JP5382815B2 (ja) | リモコンおよびリモコン用プログラム | |
KR20160118565A (ko) | 전자 장치의 보조 입력 장치 및 그의 기능 실행 방법 | |
JP2014016743A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 |
EP2799970A1 (en) | Touch screen panel display and touch key input system | |
CN105210020A (zh) | 偏离中心的传感器目标区域 | |
KR20140137629A (ko) | 이어폰 연결을 감지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 |
KR102473081B1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 방법 | |
JP4996526B2 (ja) | リモコン装置 | |
JP2013131047A (ja) |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 |
US20190129609A1 (en) | Electronic apparatus | |
US20140152622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