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8539A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8539A
KR20130118539A KR1020120041485A KR20120041485A KR20130118539A KR 20130118539 A KR20130118539 A KR 20130118539A KR 1020120041485 A KR1020120041485 A KR 1020120041485A KR 20120041485 A KR20120041485 A KR 20120041485A KR 20130118539 A KR20130118539 A KR 20130118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use
control unit
battery pack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빈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1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8539A/ko
Priority to JP2012136658A priority patent/JP6128760B2/ja
Priority to US13/760,865 priority patent/US9331325B2/en
Priority to CN201310119717.3A priority patent/CN103378375B/zh
Priority to EP13164583.0A priority patent/EP2677566B1/en
Publication of KR20130118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sh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충격 감지센서, 충격 감지센서 또는 수분 감지센서로부터 배터리 팩이 손상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신호를 받은 배터리 제어부가 배터리 모듈 사이에 위치된 서브 퓨즈로 전달함에 의해 배터리 모듈 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할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일 방향으로 정렬된 다수개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의 출력라인 및 상기 배터리 모듈 간의 연결라인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퓨즈; 상기 다수개의 퓨즈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을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부(BCU); 및 상기 배터리 제어부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퓨즈를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터리 팩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배터리 셀은 모바일 기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등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적용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그 형태를 변화시켜 사용한다.
휴대폰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는 단일 배터리 셀의 출력과 용량으로 소정시간 동안 작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전력소모가 많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이 장시간 구동, 고전력 구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출력 및 용량을 높일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배터리 모듈을 구성한다. 배터리 모듈은 내장된 배터리 셀의 개수에 따라 출력전압이나 출력전류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전기적으로 다수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할 수 있다. 배터리 팩은 각 배터리 셀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하여 배터리 제어부(Battery Control Unit)를 포함하며, 배터리 제어부는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특정 배터리 셀 또는 배터리 모듈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감지부로부터 배터리 팩이 손상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신호를 받은 배터리 제어부가 제1 퓨즈로 전달함에 의해 배터리 모듈 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락 회로 또는 별도의 회로를 구성하여 배터리 팩의 수리가 필요한 경우, 배터리 모듈 사이에 위치된 제1 퓨즈를 작동시킴에 의해 배터리 모듈 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일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퓨즈; 상기 다수개의 제1 퓨즈와 연결되는 배터리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 제어부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받은 신호를 상기 다수개의 제1 퓨즈로 전달하되, 상기 제1 퓨즈는 상기 배터리 모듈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전원차단부 및 상기 전원차단부를 감싸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차단부는 상기 배터리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해 압력 또는 열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에어백용 충격 감지센서, 충격 감지센서 또는 수분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백용 충격 감지센서와 상기 배터리 제어부 사이에는 에어백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용 충격 감지센서는 출력된 신호를 상기 배터리 제어부와 상기 에어백 제어부로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백용 충격 감지센서는 출력된 신호를 에어백 제어부를 통하여 배터리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배터리 제어부는 신호입력선에 의해 상기 제1 퓨즈의 전원차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의 출력라인에는 제2 퓨즈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퓨즈와 상기 제2 퓨즈는 동시에 작동하거나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배터리 제어부에는 인터락 회로(Interlock circuit)가 더 연결되어, 배터리 팩의 수리 시 상기 제1 퓨즈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격이나 침수로 인하여 배터리 팩의 절연이 파괴되었을 경우 또는 필요 시에 배터리 팩의 출력 전압을 배터리 모듈 수준으로 낮춤으로써, 발화 또는 감전 등의 위험을 줄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1 퓨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개략적인 블록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그 밖에 당업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기재한다. 다만,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하기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표현 여부에 불구하고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아울러,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의 층 두께나 크기와 다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퓨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100)과, 다수개의 제1 퓨즈(20), 제2 퓨즈(30, 40), 배터리 제어부(BCU:Battery control unit, 200)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50a,50b,50c,60,70a,7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퓨즈(20)는 배터리 모듈(200)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2)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전원차단부(24) 및 전원차단부(24)를 감싸는 케이스(25)를 포함한다. 이때, 배터리 제어부(200)는 신호입력선(21)에 의해 제1 퓨즈(20)의 전원차단부(24)와 연결될 수 있다. 전원차단부(24)는 배터리 제어부(20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해 압력 또는 열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전원차단부(24)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퓨즈(20)는 각 배터리 모듈(10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22)의 일 영역에 형성되며, 전원차단부(24) 및 이를 감싸는 커버(25)를 포함한다. 전원차단부(24)는 배터리 제어부(200)에서 전원을 차단하라는 신호를 전달받으면 압력 또는 열이 발생되며 연결부재(22)를 녹이게 된다. 이에 의해 배터리 모듈(100)간을 절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22)는 열과 충격에 약한 구조와 재질로 형성되어, 전원차단부(24)에서 발생된 충격과 고열에 의해 녹아서 끊어지며 배터리 모듈(100) 사이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전원차단부(24)에서 압력이 발생되어 폭발하는 경우, 전원차단부(24)의 파편은 전원차단부(24)를 감싸는 커버(25)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퓨즈(20)는 배터리 제어부(200)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순식간에 원하는 배터리 모듈(100)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여, 배터리 팩의 전압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00)은 고전압의 대용량 배터리 모듈(100)로서, 다수개의 배터리 셀(10)이 일정 간격을 두고 일 방향으로 정렬된 형태를 띤다. 여기서, 배터리 셀(1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셀(10)이 각형으로 형성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배터리 셀(10)은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이의 양측에 양극판과 음극판이 배치되는 전극조립체를 구비하여, 기설정된 양의 전력을 충,방전시키는 통상적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배터리 셀(10) 상부에는 양극단자(11) 및 음극단자(12)가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양극단자(11)와 음극단자(12)는 각각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배터리 셀(10)의 양극단자(11) 및 음극단자(12)는 인접하는 타 배터리 셀(10)의 양극단자(11) 및 음극단자(12)와 엇갈리도록 교차 배열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어느 하나의 배터리 셀(10)의 양극단자(11) 및 그와 인접하는 타 배터리 셀(10)의 음극단자(12)에는 버스바(15)가 삽입되어 너트(16)에 의해 체결된다.
각 배터리 셀(10)의 양극단자(11) 및 음극단자(12)가 버스바(15)에 체결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 모듈(100)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터리 모듈(100)에서 상기와 같은 전극단자(11,12)와 버스바(15)의 체결 구조가 반복됨에 따라 배터리 셀(10)들은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모듈(10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4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배터리 모듈(100)의 사이에는 제1 퓨즈(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퓨즈(20)는 인접하는 배터리 모듈(10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어느 하나의 배터리 모듈(100)의 배터리 셀(10)에 형성된 양극단자(11)와 타 배터리 모듈(100)의 배터리 셀에 형성된 음극단자(12)는 연결부재(2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부재(22)의 일 영역에는 제1 퓨즈(20)가 형성되어, 필요 시 배터리 모듈(10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4개의 배터리 모듈(100) 중 양단에 위치된 배터리 모듈(100)의 각 출력라인(31, 41)에는 양극 제2 퓨즈(30)와 음극 제2 퓨즈(4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퓨즈(20)와, 양극 제2 퓨즈(30) 및 음극 제2 퓨즈(40)는 배터리 제어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퓨즈(20)와, 양극 제2 퓨즈(30) 및 음극 제2 퓨즈(40)는 배터리 제어부(200)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며 작동될 수 있다. 특히, 제1 퓨즈(20)는 배터리 모듈(10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제어부(200)로 신호를 전달하는 것은 배터리 제어부(20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50a,50b,50c,60,70a,70b)일 수 있다.
여기서, 감지부(50a,50b,50c,60,70a,70b)는 에어백용 충격 감지센서(50a,50b,50c), 충격 감지센서(70a,70b) 또는 수분 감지센서(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터리 제어부(200)는 감지부(50a,50b,50c,60,70a,70b)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받아, 제1 퓨즈(20)와, 양극 제2 퓨즈(30) 및 음극 제2 퓨즈(40)로 전달한다.
이때, 에어백용 충격 감지센서(50a,50b,50c)와 배터리 제어부(200) 사이에는 에어백 제어부(5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백용 충격 감지센서(50a,50b,50c)는 출력된 신호를 배터리 제어부(200)와 에어백 제어부(50)로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에어백용 충격 감지센서(50a,50b,50c)는 출력된 신호를 에어백 제어부(50)를 통하여 배터리 제어부로 전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퓨즈(20)와, 양극 제2 퓨즈(30) 및 음극 제2 퓨즈(40)는 동시에 작동하거나 개별적으로 작동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배터리 제어부(200)는 에어백용 충격 감지센서(50a,50b,50c), 충격 감지센서(70a,70b) 또는 수분 감지센서(60)의 신호에 따라 제1 퓨즈(20)와, 양극 제2 퓨즈(30) 및 음극 제2 퓨즈(40)를 각각 제어 가능하다.
이러한 배터리 팩은 수십 개의 배터리 셀(10)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 배터리 셀(10)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배터리 제어부(200)가 필요하다. 배터리 팩을 충전하는 경우, 각 배터리 셀(10)은 여러 차례 반복 충전하여 사용하는 동안 서로 다른 에너지 수준으로 충전되고 방전된다. 일단, 다수의 배터리 셀(10)이 서로 다른 에너지 수준으로 방전된 후, 다시 충전하면 충전된 배터리 셀(10)의 에너지 수준 역시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충전과 방전이 수차례 반복되면 일부의 배터리 셀(10)은 과방전되어 사용말 전위가 0V 이하가 된다. 이 상태로 사용자가 계속 배터리 셀(10)을 방전시키거나 사용하게 되면, 이런 배터리 셀(10)들은 전위가 바뀌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에너지 수준이 서로 다른 배터리 셀(10)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충전될 경우, 낮은 에너지 수준의 배터리 셀(10)들이 충전 상태에 도달하기 전에 비교적 높은 에너지 수준의 배터리 셀(10)들이 충전 완료 신호를 보낸다. 이에 의해 충전기는 충전을 완료하게 된다. 또한, 과방전된 배터리 셀(10)이 완전 충전 상태가 되기 전에 다른 배터리 셀(10)은 과충전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즉, 다수개의 배터리 셀(10) 중 일부는 불완전 충전-과방전 또는 전지 역전을 반복하게 되며, 나머지 배터리 셀(10)은 완전 충전 또는 과충전-불완전 방전을 반복하게 되어 결국 배터리 셀(10)들은 손상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대용량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10)의 손상을 줄이기 위하여 각 배터리 셀(10)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배터리 제어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제어부(200)에는 배터리 팩의 이상 시 전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제1 퓨즈(20) 및 제2 퓨즈(30,4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제어부(200)에는 배터리 셀(10)의 이상 시, 그 신호를 보내기 위한 다수개의 감지부(50a,50b,50c,60,70a,70b)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배터리 모듈(100)과, 양극 메인 퓨즈(30), 음극 메인 퓨즈(40) 및 서브 퓨즈(20)를 포함한다.
배터리 모듈은 다수개의 배터리 셀(10, 도 1 참조)로 이루어지며, 4개의 배터리 모듈(1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퓨즈(20)는 배터리 모듈(100)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22)에 설치된다. 또한, 양극 제2 퓨즈(30) 및 음극 제2 퓨즈(40)는 배터리 모듈(100)의 출력라인(31,41)에는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제1 퓨즈(20), 양극 제2 퓨즈(30) 및 음극 제2 퓨즈(40)는 각각 배터리 제어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배터리 제어부(200)는 에어백용 충격 감지센서(50a,50b,50c), 수분 감지센서(60) 및 충격 감지센서(70a,7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에어백용 충격 감지센서(50a,50b,50c)는 출력된 신호를 에어백 제어부(50)와 배터리 제어부(200)에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에어백용 충격 감지센서(50a,50b,50c)에서 신호가 출력되면 에어백이 작동함과 동시에 배터리 모듈(10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백용 충격 감지센서(50a,50b,50c)는 출력된 신호를 에어백 제어부(50)를 통하여 배터리 제어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 구조에 의하여 배터리 제어부(200)는 다수개의 감지부(50a,50b,50c,60,70a,70b)의 신호에 따라 양극 제2 퓨즈(30)와, 음극 제2 퓨즈(40) 및 제1 퓨즈(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배터리 제어부(200)는 각 감지부(50a,50b,50c,60,70a,70b)가 출력하는 신호를 제1 퓨즈(20)로 전달함에 의해 배터리 모듈(10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제어부(200)는 각 감지부(50a,50b,50c,60,70a,70b)가 출력하는 신호를 양극 제2 퓨즈(30)와, 음극 제2 퓨즈(40)로 전달함에 의해 배터리 팩 자체의 전원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이때, 배터리 모듈(100) 사이의 모든 제1 퓨즈(20)가 작동되면, 배터리 모듈(100) 간의 모든 연결이 차단되므로, 배터리 팩의 전압이 1/4로 줄어들 수 있다. 이에 의해 충격이나 침수로 인하여 배터리 팩의 절연이 파괴되었을 경우에 배터리 팩의 출력 전압을 어느 하나의 배터리 모듈(100) 수준으로 낮춤으로써, 발화 또는 감전 등의 위험을 줄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감지부(50a,50b,50c,60,70a,70b)가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2 퓨즈(30,40)를 작동시켜 배터리 팩의 전체 전원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양극 제2 퓨즈(30)와, 음극 제2 퓨즈(40) 및 제1 퓨즈(20)는 동시에 작동하거나 개별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배터리 팩의 전원을 온(ON)시킨다.(S1)
그러면, 배터리 제어부(200)와 연결된 에어백용 충격 감지센서(50a,50b,50c), 수분 감지센서(60) 및 충격 감지센서(70a,70b)가 작동된다. 충격이나 수분이 감지가 되지 않는 경우에 감지부(50a,50b,50c,60,70a,70b)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그리고, 배터리 팩의 손상이 감지, 즉 배터리 팩에 충격이나 수분이 감지되면 그 신호를 배터리 제어부(200)로 전달한다. 이때, 감지부(50a,50b,50c,60,70a,70b)는 신호를 출력한다.(S2)
이와 같이 출력된 신호는 배터리 제어부(200)로 전달된다.(S3) 이후, 배터리 제어부(200)는 그 신호를 제1 퓨즈(20)로 전달한다.(S4) 이에 의하여 제1 퓨즈(20)는 각 배터리 모듈(10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하도록 작동한다.(S5)
이처럼 배터리 모듈(100)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2)에 제1 퓨즈(20)가 설치됨으로써, 감지부(50a,50b,50c,60,70a,70b)의 신호가 배터리 제어부(200)를 통하여 각 제1 퓨즈(20)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 시 배터리 모듈(100) 간을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여, 배터리 팩의 전압을 낮출 수 있다. 즉, 배터리 팩의 절연이 파괴되었을 경우 배터리 모듈(10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함으로써, 감전으로 인한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에어백 충격 감지센서((50a,50b,50c)에서 충격을 감지하면, 그 신호를 출력한다.(S11) 출력된 신호는 에어백 제어부(50)와 배터리 제어부(200)에 동시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에어백 제어부(50)로 전달된 신호에 의해 에어백이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S12,S12')
그리고, 배터리 제어부(200)로 전달된 신호는 제1 퓨즈(20)로 전달되어 제1 퓨즈(20)를 작동시킨다.(S13) 이때, 에어백 충격 감지센서(50a,50b,50c)에서 발생된 신호를 배터리 제어부(200)를 통하여 전달받은 경우, 제1 퓨즈(20)는 배터리 모듈(10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충격이나 침수로 인하여 배터리 팩의 절연이 파괴되었을 경우에 배터리 팩의 출력 전압을 배터리 모듈 수준으로 낮춤으로써, 발화 또는 감전 등의 위험을 줄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는 인터락 회로(Interlock circuit, 8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인터락 회로(80')가 연결된 배터리 팩은 수리 시 제1 퓨즈(20')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배터리 팩을 수리할 시 배터리 제어부(200')의 신호 없이 제1 퓨즈(20')를 작동시켜서 배터리 모듈(100') 간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퓨즈의 형상 및 작동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물리적인 현상을 이용하여 제작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발명에 대한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의 기재에 구속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10 : 배터리 셀 11 : 양극 단자
12 : 음극 단자 13 : 벤트
15 : 버스바 20 : 제1 퓨즈
30, 40 : 제2 퓨즈 50 : 에어백 제어부
50a,50b,50c : 에어백용 충격 감지센서
60 : 수분 감지센서 70a,70b : 충격 감지센서
100 : 배터리 모듈 110, 120 : 엔드 플레이트
130 : 사이드 브라켓 140 : 바텀 브라켓
200 : 베터리 제어부

Claims (10)

  1. 일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퓨즈;
    상기 다수개의 제1 퓨즈와 연결되는 배터리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 제어부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받은 신호를 상기 다수개의 제1 퓨즈로 전달하되, 상기 제1 퓨즈는 상기 배터리 모듈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전원차단부 및 상기 전원차단부를 감싸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차단부는 상기 배터리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해 압력 또는 열이 발생되는 배터리 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에어백용 충격 감지센서, 충격 감지센서 또는 수분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용 충격 감지센서와 상기 배터리 제어부 사이에는 에어백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용 충격 감지센서는 출력된 신호를 상기 배터리 제어부와 상기 에어백 제어부로 동시에 전달하는 배터리 팩.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용 충격 감지센서는 출력된 신호를 에어백 제어부를 통하여 배터리 제어부로 전달하는 배터리 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제어부는 신호입력선에 의해 상기 제1 퓨즈의 전원차단부와 연결되는 배터리 팩.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의 출력라인에는 제2 퓨즈가 형성되는 배터리 팩.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퓨즈와 상기 제2 퓨즈는 동시에 작동하거나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배터리 팩.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제어부에는 인터락 회로(Interlock circuit)가 더 연결되어, 배터리 팩의 수리 시 상기 제1 퓨즈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배터리 팩.
KR1020120041485A 2012-04-20 2012-04-20 배터리 팩 KR20130118539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485A KR20130118539A (ko) 2012-04-20 2012-04-20 배터리 팩
JP2012136658A JP6128760B2 (ja) 2012-04-20 2012-06-18 バッテリパック
US13/760,865 US9331325B2 (en) 2012-04-20 2013-02-06 Battery pack
CN201310119717.3A CN103378375B (zh) 2012-04-20 2013-04-08 电池组
EP13164583.0A EP2677566B1 (en) 2012-04-20 2013-04-19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485A KR20130118539A (ko) 2012-04-20 2012-04-20 배터리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539A true KR20130118539A (ko) 2013-10-30

Family

ID=48139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485A KR20130118539A (ko) 2012-04-20 2012-04-20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31325B2 (ko)
EP (1) EP2677566B1 (ko)
JP (1) JP6128760B2 (ko)
KR (1) KR20130118539A (ko)
CN (1) CN10337837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1021B2 (en) 2015-06-03 2020-03-24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9284A1 (ja) * 2013-01-11 2014-07-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101551000B1 (ko) * 2013-12-12 2015-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고전압배터리 시스템
CN104868511A (zh) * 2014-02-25 2015-08-26 观致汽车有限公司 电池组件断路控制系统及具有其的电池组件和车辆
CN104917215B (zh) * 2014-03-13 2017-10-24 观致汽车有限公司 电池组件断路控制系统及具有其的电池组件和车辆
DE102014206538A1 (de) * 2014-04-04 2015-10-0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höhung der Sicherheit beim Gebrauch von Batteriesystemen
WO2016147302A1 (ja) * 2015-03-16 2016-09-22 株式会社東芝 蓄電池制御装置および蓄電池制御方法
CN105154958B (zh) * 2015-09-22 2017-08-04 郑州磨料磨具磨削研究所有限公司 一种磨料有序排列的电镀金刚石砂轮的制备方法
CN105857101A (zh) * 2016-03-31 2016-08-17 北京长城华冠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电池模组的裂解系统、方法和电动汽车
KR102283791B1 (ko) * 2016-08-23 2021-07-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보호 장치
KR102260830B1 (ko) * 2016-11-08 2021-06-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팩
JP6524051B2 (ja) * 2016-12-09 2019-06-05 矢崎総業株式会社 導体の接続構造および導電モジュール
JP7309314B2 (ja) * 2017-05-31 2023-07-18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電池パック
WO2019069837A1 (ja) * 2017-10-05 2019-04-1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DE102018200581A1 (de) * 2018-01-15 2019-07-18 Audi Ag Batterie,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atterie
KR102633757B1 (ko) * 2018-02-05 2024-02-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IT201800002789A1 (it) * 2018-02-19 2019-08-19 Alfazero S P A Pacco batterie ed un veicolo a propulsione elettrica comprendente detto pacco batterie
CN111971811B (zh) * 2018-02-19 2023-04-07 阿尔法泽诺股份公司 电池组和包括该电池组的电动车辆
KR20210139001A (ko) * 2020-05-13 2021-11-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단락 방지용 퓨즈박스 브라켓이 구비된 배터리 팩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9828B2 (ja) 1990-11-30 1998-11-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電源装置
DE4234551C1 (de) 1992-10-14 1994-01-20 Daimler Benz Ag Sicherheitsvorrichtung zur Abschaltung einer Fahrzeugbatterie bei Unfall
JPH06234342A (ja) 1993-02-10 1994-08-23 Toyota Motor Corp 衝突時集中制御装置
KR100211570B1 (ko) 1995-12-20 1999-08-02 양재신 자동차 전원 자동 차단장치
KR0164337B1 (ko) 1995-12-29 1999-01-15 김태구 자동차의 자동 전원 차단장치
KR19980013259U (ko) 1996-08-30 1998-06-05 김영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별 전원차단장치
KR19980049720A (ko) 1996-12-20 1998-09-15 김영귀 에어 백 연동 전원 차단 장치
DE19854953C1 (de) 1998-11-27 2000-09-21 Volkswagen Ag Batteriebordnetz mit Sicherheitsabschaltung
US6296273B1 (en) 2000-02-22 2001-10-02 David G. Lewallen Automobile airbag deactivation system
JP2003165406A (ja) 2001-12-03 2003-06-10 Toyota Motor Corp 車両用電力供給システム
JP2004146307A (ja) * 2002-10-28 2004-05-20 Solectron Japan Kk バッテリーユニット
JP3821085B2 (ja) * 2002-11-01 2006-09-13 新神戸電機株式会社 組電池
JP2004311290A (ja) 2003-04-09 2004-11-04 Toyota Motor Corp 電池パックの温度差低減装置および電池パック
DE10361647A1 (de) 2003-12-30 2005-08-04 General Motors Corp., Detroit Sicherheitssystem zur Anwendung in einem Fahrzeug sowie Fahrzeug mit einem solchen Sicherheitssystem
JP4407430B2 (ja) 2004-08-27 2010-0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
KR101040005B1 (ko) 2005-01-18 2011-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에어백 장치를 이용한 고전압 릴레이제어 시스템
KR20060102667A (ko) 2005-03-24 2006-09-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JP2006340577A (ja) * 2005-06-06 2006-12-14 Nec Tokin Corp 充電装置
KR100649570B1 (ko) * 2005-12-19 2006-11-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전지 시스템
KR100834009B1 (ko) 2006-03-15 2008-06-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비상시 전원공급 차단기능을 가지는 배터리
JP4884089B2 (ja) 2006-06-15 2012-02-22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電源装置
JP2008091183A (ja) * 2006-09-30 2008-04-17 Sanyo Electric Co Ltd 角型電池と組電池
US20080086250A1 (en) 2006-10-05 2008-04-10 Renesas Technology America, Inc. Squib driver circuit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US20080157718A1 (en) 2006-12-19 2008-07-03 Honda Motor Co., Ltd. Voltage monitor circuit
US7629543B2 (en) * 2007-03-30 2009-12-08 Delta Systems, Inc. Switch assembly having a mechanically actuated override
JP4942602B2 (ja) 2007-09-26 2012-05-30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電源装置
JP5303931B2 (ja) 2007-12-26 2013-10-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用蓄電装置
JP2009194980A (ja) * 2008-02-13 2009-08-27 Nec Tokin Corp 二次電池装置
JP2009224262A (ja) * 2008-03-18 2009-10-01 Calsonic Kansei Corp バッテリコントローラの保護装置
JP5329851B2 (ja) * 2008-06-23 2013-10-30 株式会社東芝 電源装置
JP5435928B2 (ja) * 2008-11-21 2014-03-05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装置及びバッテリ液温推定装置
KR101107115B1 (ko) 2008-12-01 2012-01-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배터리 관리 방법
JP5469909B2 (ja) 2009-04-20 2014-04-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用電池制御システム
JP2010264830A (ja) * 2009-05-13 2010-11-25 Suzuki Motor Corp 電動車両
CN201438449U (zh) * 2009-06-05 2010-04-1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流熔断器以及动力电池
WO2010133176A1 (en) * 2009-05-21 2010-11-25 Byd Company Limited Current fuse device and battery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US20100305792A1 (en) 2009-05-29 2010-12-02 Ise Corporation Dynamically Reconfigurable High Power Energy Storage for Hybrid Vehicles
FR2951320B1 (fr) 2009-10-08 2011-12-30 Vehicules Electr Soc D Batterie electrique comprenant une pluralite d'elements generateurs d'energie electrique
JP5805926B2 (ja) 2009-10-26 2015-11-1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回路
US8258651B2 (en) 2010-03-01 2012-09-04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Methods and circuits for controlling a battery disconnect switch
US8865328B2 (en) 2010-06-09 2014-10-21 Samsung Sdi Co., Ltd. Battery protecting circuit,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battery pack
KR101483685B1 (ko) * 2010-07-26 2015-0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배터리 팩의 고전압을 차단하는 장치 및 방법
JP5226753B2 (ja) * 2010-10-04 2013-07-03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充電システムおよび充電方法
JP5637878B2 (ja) 2011-01-27 2014-12-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二次電池システム
KR101219240B1 (ko) * 2011-01-31 2013-01-08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배터리 팩
JP5859228B2 (ja) * 2011-06-21 2016-02-10 矢崎総業株式会社 箱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1021B2 (en) 2015-06-03 2020-03-24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31325B2 (en) 2016-05-03
EP2677566B1 (en) 2018-10-17
JP2013225464A (ja) 2013-10-31
JP6128760B2 (ja) 2017-05-17
CN103378375B (zh) 2017-09-22
CN103378375A (zh) 2013-10-30
US20130280560A1 (en) 2013-10-24
EP2677566A1 (en) 2013-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8539A (ko) 배터리 팩
KR101219240B1 (ko) 배터리 팩
JP5804540B2 (ja) 安全性の向上した電池パック
KR101404712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KR101359310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KR101130050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US9045047B2 (en) Storage battery
JP2017004968A (ja) 安全性の向上した電池パック
US20130257440A1 (en) Relay Welding Detector of Battery System and Battery System Which Uses the Detector
KR20140032165A (ko) 전기자동차 배터리모듈 안전장치
CN102668305A (zh) 带有短路保护的电池能量存储系统和方法
KR20170003565A (ko) 배터리 팩, 배터리 시스템 및 방전 방법
JP6087675B2 (ja) 電池モジュール
CN104025369B (zh) 蓄电池系统和机动车
JP6581706B2 (ja) 電池管理装置
EP2654167B1 (en) Battery pack
CN202121336U (zh) 一种电动汽车电池管理系统
CN218243069U (zh) 用于电池管理的系统、电源
KR20130123981A (ko) 센싱 어셈블리의 과전류 차단을 위한 마운팅 된 일체형 퓨즈가 포함된 배터리 팩 시스템
KR20120136826A (ko)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JP2018170927A (ja) 電池パックの放電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