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665A - 약품 보충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약품 보충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665A
KR20130117665A KR1020130028460A KR20130028460A KR20130117665A KR 20130117665 A KR20130117665 A KR 20130117665A KR 1020130028460 A KR1020130028460 A KR 1020130028460A KR 20130028460 A KR20130028460 A KR 20130028460A KR 20130117665 A KR20130117665 A KR 20130117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medicine
unit
dru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9772B1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US13/859,48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30276935A1/en
Priority to EP13163778.7A priority patent/EP2653150A3/en
Priority to CN2013101363173A priority patent/CN103371673A/zh
Priority to CN201320197678.4U priority patent/CN203399895U/zh
Publication of KR20130117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61J7/0084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for multiple medic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 A61J2205/6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using magnetic or electronic identifications, e.g. chips, RFID, electronic ta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는 약품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약품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 상기 약품 카트리지에 구비된 커버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잠금해제부; 및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상기 약품 카트리지를 장착한 상태에서 록킹하거나 해제하는 카트리지 록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품 보충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DRUG REFIL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약품보충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품 카트리지에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약품을 정당한 접근 권한을 인증받은 관리자만이 투입 및 보충 가능하게 하는 약품 보충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품은 해당 질병을 치료하는 성분을 갖도록 제조되는데, 그 종류도 다양하고, 정제, 산제, 주사제 등 다양한 제형으로 생산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 및 종류의 약품을 자동화하여 보관 및 공급하기 위해, 약품공급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약품공급장치는 약품 카트리지를 이용해 약품을 보관하고, 처방정보에 따라 보관된 약품을 배출하여 관리자에게 공급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약품 카트리지에 약품을 투입 또는 보충하는 과정에서 잘못된 약품을 보관하여 약품의 오투약으로 인한 약화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약품 중에서 마약류나 향정신정의약품과 같은 특수 약품의 경우, 해당 환자가 아닌 타 환자에게 공급되면, 오히려 약품을 복용한 환자에게 큰 위해를 가할 수 있으므로, 각 약품에 대한 접근 권한을 설정하여 정당한 권한을 가진 관리자만이 해당 약품을 보관 및 공급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개별 약품에 대한 관리자의 접근 권한을 설정하고, 약품 카트리지에 약품을 투입 또는 보충하는 경우, 접근 권한을 인증받은 관리자만이 약품을 투입 또는 보충하게 하는 약품 보충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약품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약품 카트리지에 약품을 투입 또는 보충할 수 있는 약품 보충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별 약품에 대한 관리자의 접근 권한을 설정하고, 접근 권한을 인증받은 관리자만이 약품 카트리지에 약품을 투입 또는 보충할 수 있는 약품 보충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약품 카트리지의 커버의 위치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약품을 투입 또는 보충하도록 할 수 있는 약품 보충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는 약품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약품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 상기 약품 카트리지에 구비된 커버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잠금해제부; 및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상기 약품 카트리지를 장착한 상태에서 록킹하거나 해제하는 카트리지 록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의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는 장착된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개구된 일측면에 설치되는 커버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내부가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진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본체에 소정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의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는 외력에 의한 위치 이동에 따른 상기 본체와의 결합여부에 따라 회전가능 여부가 결정되도록 하는 위치이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의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와 상기 본체를 고정시키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와 각각 대응되는 제1 돌출대응부 및 제2 돌출대응부를 구비하며,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돌출대응부에 걸리게 되는 경우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돌출대응부로터 분리된 후 회전되어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2 돌출대응부에 걸리게 되어 회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의 상기 제2 돌출부가 걸리게 되는 상기 제2 돌출대응부의 단부는 상기 제1 돌출부가 걸리게 되는 제1 돌출대응부의 단부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의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저면 및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는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마련된 다수의 가이드부재를 선택적으로 승하강 동작시키는 가이드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의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는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후면이 접하는 장착플레이트 및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플레이트는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다수의 가이드부재가 승강 동작하도록 승강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의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구동부에 의해 승강 동작하는 승강바 및 상기 승강바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구동부에 형성된 승강안내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는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약품 보충작업 및 관리자 접근 권한 인증을 위한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병원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병원서버로부터 관리자의 접근 권한이 인증되면 상기 약품 카트리지에 약품을 투입 또는 보충하도록 상기 가이드구동부, 상기 잠금해제부 및 상기 카트리지 록킹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의 상기 가이드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길이가 가변되는 길이가변부재, 상기 길이가변부재의 길이 변화에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는 이동플레이트,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후단이 결합되어 직선 왕복운동하는 이동바 및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약품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장착위치를 설정하는 가이드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바의 측면에는 상기 삽입부재가 삽입되어 승강 동작하도록 안내하는 승강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길이가변부재는 나사 결합된 한 쌍의 축으로 구비되어, 상기 모터 구동에 따른 제1 축의 회전에 의해 제2 축이 직선 이동하면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는 상기 가이드구동부의 모터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된 굴곡바의 이동위치를 감지하는 이동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감지부는 상기 굴곡바의 최대 이동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포토 커플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을 결정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 및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의 상기 약품 카트리지는 상방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약품이 보관되는 공간이 마련되는 카트리지 본체,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된 상면에 설치되는 커버, 상기 커버를 잠금 동작하는 커버잠금부, 상기 약품 카트리지에 부여된 식별정보와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내부에 수납되는 약품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칩 및 상기 약품 보충장치와 결합되도록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약품 보충장치는 상기 메모리칩에 저장된 식별정보 및 약품 정보를 인식하는 메모리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의 상기 잠금해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축 선단에 결합되는 키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키부재는 상기 커버잠금부의 자물쇠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약품 카트리지에 구비된 커버를 개방하도록 상기 커버잠금부를 해제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의 상기 카트리지 록킹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 단면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회전부재, 상단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가압되어 직선 왕복운동하는 가압부재, 후단부가 브래킷에 축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상단에 형성된 단턱에 맞물려며 선단부가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록킹부재와 맞물리고 상기 가압부재의 이동시 회전운동하는 후크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의 일측면에 지지되고 상기 가압부재가 일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상기 가압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의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는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후면이 접하는 장착플레이트 및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플레이트에는 상기 메모리 인식부, 상기 잠금해제부 및 상기 카트리지 록킹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의 제어방법은 (a) 관리자 정보를 입력받아 접근 권한을 인증받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관리자의 접근 권한이 인증되면, 해당 관리자가 담당하는 약품 카트리지에 약품을 보충하도록 카트리지 장착부에 마련된 다수의 가이드부재 중에서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폭에 대응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를 선택적으로 상승 동작시키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상승된 한 쌍의 가이드부재 사이에 약품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장착된 약품 카트리지의 커버를 개방하여 약품을 보충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의 제어방법은 (e) 상기 (d)단계에서 약품 보충이 완료되면, 약품 카트리지에 보충된 약품의 정보와 관리자 정보를 병원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병원서버는 상기 보충된 약품의 정보와 관리자 정보를 이용해 약품의 재고관리를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의 제어방법의 상기 (c)단계는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메모리칩에 저장된 식별정보 및 약품 정보를 병원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정품 여부를 인증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의 제어방법의 상기 (d)단계는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커버가 개구된 일측면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커버가 개방되어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내부가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진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커버가 개방되기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본체에 소정각도로 회전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약품 공급장치와 별도로 제작된 약품 보충장치를 이용해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 약품 카트리지에 약품을 투입 및 보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가이드구동부에 구비된 하나의 모터를 이용해 다수의 가이드부재 중에서 약품을 투입 및 보충할 약품 카트리지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부재만을 선택적으로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약품 카트리지의 형상 및 크기와 무관하게 하나의 약품 보충장치를 이용해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약품 카트리지에 약품을 투입 및 보충할 수 있고, 약품 보충장치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약품 카트리지의 커버의 위치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약품을 투입 또는 보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개별 약품별로 관리자의 접근 권한을 부여하고, 정당한 접근 권한을 인증받은 관리자만이 약품 카트리지에 약품을 투입 및 보충할 수 있게 하여, 약품의 오투약으로 인한 약화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품 카트리지에 투입 또는 보충되는 약품의 정보 및 약품 보충작업을 수행한 관리자 정보를 병원서버에 실시간으로 전달하여 약품의 재고관리 작업의 효율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와 그에 장착되는 약품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약품 보충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약품 보충장치의 가이드구동부 구성을 보인 요부확대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이드구동부와 가이드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
도 5 및 도 6은 가이드 구동부의 동작을 보인 동작 상태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이동감지부의 구성을 보인 요부확대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약품 카트리지에서 후면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9 및 도 10 도 8에 도시된 약품 카트리지의 잠금수단과 약품 보충장치의 잠금해제부가 결합된 상태 및 동작을 설명하는 요부확대도.
도 11 및 도 12는 록킹부재와 카트리지 록킹부가 결합된 상태 및 동작을 설명하는 요부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의 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도 14 및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와 그에 따른 약품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포장장치에 제공되는 카트리지 장착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포장장치에 제공되는 카트리지 장착부가 회전되기 이전 상태를 도시한 주요구성도.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장치에 제공되는 카트리지 장착부가 회전되기 위한 상태를 도시한 주요구성도.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장치에 제공되는 카트리지 장착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주요구성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와 그에 장착된 약품 카트리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약품 보충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약품 보충장치의 가이드구동부 구성을 보인 요부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이드구동부와 가이드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가이드 구동부의 동작을 보인 동작상태도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이동감지부의 구성을 보인 요부확대도이다.
또,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약품 카트리지에서 후면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 도 8에 도시된 약품 카트리지의 잠금수단과 약품 보충장치의 잠금해제부가 결합된 상태 및 동작을 설명하는 요부확대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록킹부재와 카트리지 록킹부가 결합된 상태 및 동작을 설명하는 요부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품 카트리지(10)가 장착되는 본체(30), 본체(30)의 상면에 설치되어 약품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40), 약품 카트리지(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카트리지 장착부(40)에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부재(43)를 선택적으로 승하강 동작시키는 가이드구동부(50), 약품 카트리지(10)에 구비된 커버(12)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잠금해제부(60) 및 카트리지 장착부(40)에 약품 카트리지(10)를 장착한 상태에서 록킹하거나 해제하는 카트리지 록킹부(70)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20)는 본체(30)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약품 보충작업 및 관리자 접근 권한 인증을 위한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21), 표시부(21)에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22), 병원서버(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23), 통신모듈(23)을 통해 관리자의 접근 권한이 인증되면 약품 카트리지 (10)에 약품을 투입 또는 보충(이하 '보충'이라 약칭함)하도록 가이드구동부(50), 잠금해제부(60) 및 카트리지 록킹부(7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4)를 포함한다.
표시부(21)와 입력부(222)는 화면에 각종 메뉴를 표시하고, 관리자의 터치조작에 따른 명령을 입력받아 해당 명령에 따른 동작상태를 표시하도록 입력 및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터치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표시부(21)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Light Emitting Diode Panel)과 같은 표시장치로 구비되고, 입력부(22)는 키보드와 같은 별도의 입력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부(24)는 통신모듈(23)을 통해 병원서버(100)와 통신을 수행해서 입력부(22)를 통해 입력된 관리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병원서버(100)로 전송하고, 관리자의 접근 권한 인증이 완료되면 약품 카트리지(10)를 카트리지 장착부(40)에 장착하기 위해 가이드구동부(50)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24)는 잠금해제부(60)를 구동하여 약품 카트리지(10)의 커버(11)를 개방하고, 약품 보충이 완료되면 약품 카트리지(10)를 탈착하기 위해 카트리지 록킹부(7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와 함께, 약품 보충장치(20)는 약품 카트리지(10)에 구비된 메모리칩(14)(도 8 참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메모리칩(14)에 저장된 식별정보 및 약품정보를 인식하는 메모리 인식부(25) 및 가이드구동부(5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이동감지부(26)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4)는 메모리 인식부(25)로부터 인식된 정보를 병원서버(100)로 전달하도록 통신모듈(23)을 제어하고, 이동감지부(26)의 감지신호에 따라 가이드구동부(50)에 구비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본체(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30)의 상부 일측에는 다양한 크기의 약품 카트리지(10)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40)가 마련된다.
본체(30)의 전면에는 표시부(21), 입력부(22)와 통신모듈(23) 및 제어부(24)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PCB)이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30)의 전면은 관리자가 표시부(21)의 화면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카트리지 장착부(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품 카트리지(10)의 후면이 접하는 장착플레이트(41)와 약품 카트리지(10)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42)를 구비한다.
여기서, 장착플레이트(41)에는 메모리 인식부(25), 잠금해제부(60) 및 카트리지 록킹부(70)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 장착플레이트(41)에는 메모리 인식부(25)가 설치되고, 잠금해제부(60)의 키부재(62)가 관통해서 돌출되는 관통공(411) 및 록킹부재(15)가 결합되는 결합공(412)이 형성된다.
안착플레이트(42)에는 약품 카트리지(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15)(도 7참조)에 결합되는 다수의 가이드부재(43)가 승강 동작하도록 승강구(421)가 형성되고, 안착플레이트(42)의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구동부(50)의 이동플레이트(53)가 이동하는 이동구(도면 미도시)가 형성된다.
즉, 약품 카트리지(10)가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약품을 보관하기 위해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됨에 따라, 본 발명은 다수의 가이드부재 중에서 약품 카트리지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를 선택적으로 승강 동작시켜 약품 카트리지를 안정적으로 장착하게 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재(4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품 카트리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블록으로, 가이드부재(43)의 상단은 약품 카트리지(1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15)에 결합된다.
그리고, 가이드부재(43)의 하부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구동부(50)에 의해 승강 동작하는 승강바(431) 및 승강바(43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구동부(50)의 이동바(54)에 형성된 승강안내홈(541)에 삽입되는 삽입부재(432)가 마련된다.
가이드구동부(5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51)의 구동축과 벨트로 연결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길이가변부재(52), 길이가변부재(52)의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이동플레이트(53) 및 이동플레이트(53)에 후단이 결합되어 직선 왕복운동하는 이동바(54)를 구비한다.
길이가변부재(52)는 나사 결합된 한 쌍의 축으로 구비되어, 모터(51) 구동에 따른 제1 축의 회전에 의해 제2 축이 직선 이동하면서 길이가 가변된다.
이동플레이트(53)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길이가변부재(52)에 결합된다.
즉, 이동플레이트(53)는 길이가변부재(52)의 길이가 변경됨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한다.
이러한 이동플레이트(53)의 상부에는 안착플레이트(42)에 형성된 이동구를 통해 상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이동플레이트(53)의 상부 일측에는 가이드블록(55)이 설치된다.
가이드블록(55)은 이동플레이트(53)와 함께 직선 왕복 운동하여 약품 카트리지(10) 장착시 약품 카트리지(10)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기준 위치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바(54)의 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재(432)가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강 동작하도록 안내하는 승강안내홈(541)이 형성된다.
승강안내홈(541)은 삽입부재(432)가 삽입되어 승강 동작하도록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해 볼록한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 도 5 및 도 6에서 승강안내홈(541)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가면서 한 쌍의 삽입부재(432)가 삽입되도록 상방을 향해 볼록한 호 형상으로 형성된 홈, 하방을 향해 볼록한 호 형상으로 형성된 홈, 하나의 삽입부재(432)가 삽입되도록 우측 하방을 향해 굴곡진 홈 및 한 쌍의 삽입부재(432)가 삽입되도록 상방을 향해 볼록한 호 형상으로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약품 카트리지의 폭에 대응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부재를 선택적으로 승강 동작시키도록 다양한 형상의 승강안내홈이 형성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약품을 투입 또는 보충하고자 하는 약품 카트리지의 형상에 따라 다수의 가이드부재 중에서 약품 카트리지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부재를 승강 동작시켜 약품 카트리지를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체(30)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고정블록(31)과 고정블록(31)으로부터 하부 양측에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한 쌍의 가이드봉(32)이 설치된다.
여기서, 고정블록(31)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블록을 결합하여 구성되고, 승강바(431)의 승강 동작을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홈(311)이 형성된다.
한편, 본체(30)의 바닥면에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플레이트(53)의 하부에 결합된 굴곡바(531)의 이동위치를 감지하는 이동감지부(26)가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이동감지부(26)는 굴곡바(531)의 최대 이동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포토 커플러를 포함하고, 굴곡바(531)의 하단부가 어느 하나의 포토 커플러로 이동하면 감지신호를 제어부(24)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4)는 이동감지부(26)의 감지신호에 따라 가이드구동부(50)를 구동하도록 모터(51)의 회전방향을 결정하여 구동신호를 송신하고, 모터(51)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구동중지신호를 송신하여 모터(51)의 구동을 제어한다.
다음, 잠금해제부(60) 및 카트리지 록킹부(70)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7를 참조하여 약품 카트리지(1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약품 카트리지(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약품이 보관되는 공간이 마련되는 카트리지 본체(11), 개구된 상면에 설치되는 커버(12), 커버(12)를 잠금 및 해제하는 커버잠금부(13), 약품 카트리지(10)의 식별정보와 약품 카트리지(10) 내부에 수납되는 약품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칩(14) 및 약품 보충장치와 결합되도록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록킹부재(15)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약품 카트리지(10)는 도면에 미도시하고 있지만, 약품을 전방측 하면에 형성된 배출구(111)를 개폐하는 배출구 개폐부, 약품 카트리지(10)가 약품공급장치(도면 미도시)에 장착된 상태에서만 배출구 개폐부가 개방 동작할 수 있도록 폐쇄된 상태로 잠금 및 해제하는 개폐차단부, 내부에 보관된 약품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약품을 배출구로 이동시키도록 배출구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부재 및 카트리지 본체(11) 내부에 보관된 약품을 고정하여 유동을 방지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카트리지 본체(11)의 후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잠금부(13)와 메모리칩(14)이 설치되는 설치공간(112)이 형성되고, 설치공간(112)을 차폐하는 후면커버(113)가 결합된다.
후면커버(113)에는 잠금해제부(60)에 구비된 키부재(62)가 결합되는 키결합공(114)이 형성된다.
카트리지 본체(11)의 양측면 하부에는 카트리지 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15)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커버(12)의 후방측 하면에는 폐쇄 동작시 커버잠금부(13)에 구비된 걸이턱(134)에 맞물리도록 걸림부재(121)가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12)는 약품 보충장치에 결합된 상태에서만 개방된다.
커버잠금부(1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커버(113)의 키결합공(114)에 대응되는 위치에 잠금해제부(60)의 키부재(62)가 결합되어 회전하는 자물쇠부재(131), 자물쇠부재(131)의 회전운동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132) 및 이동부재(132)의 상부에 결합되고 일측 상단에 커버(22)의 걸림부재(121)와 맞물리는 걸이턱(134)이 형성되는 잠금부재(133)를 포함한다.
자물쇠부재(131)는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키부재(62)의 회전에 따라 회전운동한다.
이동부재(132)와 잠금부재(133)에는 각각 카트리지 본체(11)의 후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돌기(116)가 결합되는 가이드공(135)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부재(132)와 잠금부재(133)의 일측면과 도 6에서 보았을 때, 설치공간(112)의 우측 내면 사이에는 이동부재(132)와 잠금부재(133)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36)이 각각 설치된다.
이에 따라, 이동부재(132)와 잠금부재(133)는 설치공간(112) 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메모리칩(14)은 최초 저장된 정보의 삭제 및 수정을 방지하도록 읽기 전용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해제부(6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4)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61) 및 모터(61)의 구동축 선단에 결합되는 키부재(62)를 구비한다.
키부재(62)는 후면커버(113)의 키결합공(114)을 관통해서 커버잠금부(13)의 자물쇠부재(131)에 결합되고, 모터(61)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자물쇠부재(131)를 회전시킨다.
즉,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모터(62)가 구동되어 키부재(62)가 도 9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자물쇠부재(131)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회전하면서 이동부재(132) 및 잠금부재(133)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커버(12)의 걸림부재(121)와 잠금부재(133)의 걸이턱(134)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커버(12)가 개방 동작한다.
카트리지 록킹부(7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71), 모터(71)의 회전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회전부재(72), 상단에 단턱(731)이 형성되고 회전부재(72)의 회전에 의해 가압되어 직선 왕복운동하는 가압부재(73) 및 후단부가 브래킷에 축 결합되고 가압부재(73)의 상단에 형성된 단턱(731)에 맞물려며 선단부가 록킹부재(15)와 맞물리고 가압부재(73)의 이동시 회전운동하는 후크부재(74)를 구비한다.
그리고, 카트리지 록킹부(70)는 가압부재(73)의 일측면, 예컨대 도 10에서 보았을 때 좌측면에 지지되고 가압부재(73)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가압부재(73)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75)을 더 구비한다.
즉, 약품 보충장치(20)에 약품 카트리지(10)가 장착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재(73)와 록킹부재(15)가 서로 맞물리면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약품 카트리지(10)는 약품 보충장치(2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약품 보충이 완료되면, 제어부(24)는 카트리지 록킹부(70)의 모터(71)를 구동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부(24)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71)가 구동되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부재(72)는 도 1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가압부재(73)를 일측으로 가압한다.
그래서, 가압부재(73)가 도 1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압부재(73)의 상단에 형성된 단턱(731)과 맞물린 후크부재(74)가 하단부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록킹부재(15)가 후크부재(15)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따라, 약품 카트리지(10)는 약품 보충장치(20)로부터 탈착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음,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의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의 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약품 보충장치(20)의 표시부(21)는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관리자의 접근 권한 인증을 안내하는 화면을 표시한다(S10).
입력부(22)를 통해 관리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의 관리자 정보가 입력되면, 통신모듈(23)은 입력된 관리자 정보를 병원서버(100)로 전송하고 (S11), 병원서버(100)로부터 인증결과를 수신한다(S12).
이에 따라, 제어부(24)는 S12단계에서 수신된 인증결과로부터 접근 권한 인증이 완료되었는지를 검사한다(S13).
만약, 정당한 접근 권한이 없는 관리자인 경우, 제어부(24)는 관리자에게 인증이 실패되었음을 안내하고(S14), 접근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안내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21)를 제어한다.
반면, 관리자의 접근 권한이 인증되면, 제어부(24)는 해당 관리자가 담당하는 약품을 보관하는 약품 카트리지(10)의 형상에 따라 다수의 가이드부재(43) 중에서 한 쌍의 가이드부재(43)가 상승 동작하도록 가이드구동부(50)의 구동을 제어한다(S15).
즉, 제어부(24)는 약품 카트리지(10)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부재(43)를 상승시키기 위해 가이드구동부(50)의 모터(51)에 구동신호를 송신하고, 모터(51)는 구동신호에 따라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그러면, 모터(51)의 구동에 의해 길이가변부재(52)의 길이가 감소됨에 따라, 이동플레이트(53) 및 이동플레이트(53)에 일단이 결합된 이동바(54)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이동바(54)의 승강안내홈(541)에 삽입부재(432)가 삽입된 전체 가이드부재(43)는 승강안내홈(541)을 따라 승강 동작하게 되고, 결국 약품 카트리지(10)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부재(43)만이 상승 동작한다.
이때, 이동감지부(26)는 이동플레이트(53)에 설치된 굴곡바(531)의 이동위치를 감지하고, 제어부(24)는 이동감지부(26)의 감지신호에 따라 모터(51)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구동중지신호를 모터(51)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모터(51)의 구동이 중지되어 이동플레이트(53)의 이동이 중지된다.
이와 함께, 이동플레이트(53)의 상부에 결합된 가이드블록(55)은 약품 카트리지(10)의 일측면과 접촉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기준위치를 설정한다.
이어서, 약품 카트리지(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15)에 한 쌍의 가이드부재(43)가 삽입되도록 약품 카트리지(10)를 위치시킨 후, 카트리지 장착부(40) 내측으로 이동시켜 약품 카트리지(10)를 약품 보충장치(20)에 장착한다(S16).
이때, 약품 카트리지(10)의 록킹부재(15)는 카트리지 록킹부(70)의 후크부재(74)와 맞물리고, 잠금해제부(60)의 키부재(62)는 약품 카트리지(10)의 커버잠금부(13)에 구비된 자물쇠부재(131)에 결합된다.
이와 함께, 메모리 인식부(25)는 약품 카트리지(10)의 메모리칩(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메모리칩(14)에 저장된 식별정보 및 약품 정보를 인식한다.
그러면, 제어부(24)는 인식된 정보를 병원서버(100)로 전송하고, 병원서버(100)로부터 해당 약품 카트리지(10)의 정품 인증 결과 및 해당 약품에 보충될 약품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모듈(23)을 제어한다(S17).
이어서,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잠금해제부(60)의 모터(61)가 구동되어 키부재(62)가 도 10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자물쇠부재(131)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회전하면서 이동부재(132) 및 잠금부재(133)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커버(12)의 걸림부재(121)와 잠금부재(133)의 걸이턱(134)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커버(12)가 개방 동작하여 약품 카트리지(10) 내부에 약품을 보충 받는다(S18).
이어서, 약품 보충이 완료되어 커버가 폐쇄되면(S19), 제어부(24)의 제어신호에 따라 카트리지 록킹부의 모터(71)가 구동되면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부재(72)는 도 11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가압부재(73)를 일측으로 가압한다.
그래서, 가압부재(73)가 도 1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압부재(73)의 상단에 형성된 단턱(731)과 맞물린 후크부재(74)가 하단부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록킹 상태가 해제되어 록킹부재(15)가 후크부재(15)로부터 분리된다(S20).
이에 따라, 약품 카트리지(10)는 약품 보충장치(20)로부터 탈착된다(S21).
이때, 약품 카트리지(10)는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15)에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부재(43)에 의해 안내되면서 탈착된다.
이어서, 제어부(24)는 약품 카트리지(10)에 보충된 약품의 정보 및 약품 보충작업을 수행한 관리자 정보를 병원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모듈(23)을 제어한다(S22).
이에 따라, 병원서버(100)는 수신된 정보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약품의 재고 관리를 수행한다(S23).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관리자의 접근 권한을 인증받은 후, 약품을 보충하고자 하는 약품 카트리지의 폭에 대응되도록 한 쌍의 가이드부재를 상승시킨 후, 약품 카트리지의 커버를 개방시켜 약품을 투입 또는 보충할 수 있다.
도 14 및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와 그에 따른 약품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포장장치에 제공되는 카트리지 장착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200)는 카트리지 장착부(400)가 본체(300)에 소정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는 점 및 약품 카트리지(110)의 커버(120)가 설치되는 일면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2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400) 및 상기 약품 카트리지(11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카트리지 장착부(400)는 장착된 상기 약품 카트리지(110)의 개구된 일측면에 설치되는 커버(120)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약품 카트리지(110)의 내부가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진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본체(300)에 소정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약품 카트리지의 커버의 위치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약품을 투입 또는 보충하도록 하기 위함으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로 설명한 약품 카트리지(10)의 경우 커버(12)가 카트리지 본체(11)의 개구된 상면에 설치되므로 카트리지 장착부(40)가 본체(30)에 고정형이더라도 약품을 투입 또는 보충하는데 아무런 불편함이 없다.
하지만, 약품 카트리지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으며, 커버가 설치되는 일면 또한 다양할 수 있으므로, 약품 보충장치는 약품을 투입 또는 보충하는 사용자에게 커버가 설치되는 위치에 상관없이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일례로,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품 카트리지(110)의 커버(120)가 카트리지 본체(130)의 개구된 일측면에 설치되는 경우 카트리지 장착부가 본체에 고정형이라면 커버(120)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약품 카트리지(110)의 내부가 수평방향을 향하게 되어 약품을 투입 또는 보충하는데 불편함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200)는 카트리지 장착부(400)를 회전가능하도록 본체(300)에 설치함으로써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카트리지 장착부(400)는 약품 카트리지(110)의 후면이 접하는 장착플레이트(410)와 약품 카트리지(110)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42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 15와 같이 상기 약품 카트리지(110)를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400)에 장착시키면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400)는 소정각도로 회전되어 도 16의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후에는 개방된 개구를 통해 약품 카트리지(110)에 약품을 투입 또는 보충할 수 있으며, 약품 카트리지(110)의 내부가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진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작동 원리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포장장치에 제공되는 카트리지 장착부가 회전되기 이전 상태를 도시한 주요구성도이며,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장치에 제공되는 카트리지 장착부가 회전되기 위한 상태를 도시한 주요구성도이고,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장치에 제공되는 카트리지 장착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주요구성도이다.
우선, 도 17 내지 도 2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버(120)가 카트리지 본체(130)의 개구된 일측면에 설치되는 약품 카트리지(110)의 도시를 생략하였음을 밝혀둔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약품 카트리지(110)를 카트리지 장착부(400)에 장착하는 경우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400)는 본체(300)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으며, 고정된 상태는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400)의 위치이동부(4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이동부(430)는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400)의 일 구성요소로, 외력에 의한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본체(300)와의 결합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400)의 회전가능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430)는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400)와 상기 본체(300)를 고정시키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432) 및 제2 돌출부(438)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돌출부(432)가 본체(30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결합된 제1 돌출대응부(332)에 걸리게 되어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400)는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위치이동부(430)는 외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본체(300)의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외력인가부(434), 상기 외력인가부(434)로부터 상기 본체(300) 내부로 연장되는 연장바(436), 상기 연장바(436)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갈고리 형상의 제1 돌출부(432) 및 제2 돌출부(43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바(436)는 카트리지 장착부(400)의 안착플레이트(420)의 저면에 결합되는 연장바가이드부(440)의 내부공간을 따라 위치이동 될 수 있다.
상기 연장바가이드부(440)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굴곡된 채 상기 안착플레이트(42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연장바(426)가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400)의 수평 상태 유지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432)가 본체(30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결합된 제1 돌출대응부(332)의 단부에 걸리게 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카트리지 장착부(400)에 장착된 약품 카트리지(110)의 커버(120)가 개구된 일측면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400)를 회전시키기 위해 위치이동부(430)의 외력인가부(434)에 외력(F)을 인가할 수 있다.
외력(F)이 상기 외력인가부(434)에 인가되면, 상기 외력인가부(434)와 연동되어 연장바(436)는 연장바가이드부(440)의 내부공간을 따라 본체(300)의 내부로 수평이동 할 수 있다.
상기 연장바(436)가 수평이동하게 되면 제1 돌출대응부(332)의 단부에 걸려 있던 제1 돌출부(432)는 상기 제1 돌출대응부(332)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400)는 회전가능한 상태로 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잡이(H, 도 14 참조)를 잡고 상측으로 올리게 되면, 카트리지 장착부(400)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부(500)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부(500)는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400)의 저면 및 상기 본체(300)와 결합되는 일종의 경첩일 수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400)를 상기 본체(300)와 연결시키는 구조물일 수 있다.
다만, 상기 힌지부(500)는 경첩으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트리지 장착부(400)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다양한 구조물이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400)의 회전은 약제 카트리지(110)의 커버(120)가 개방되기 이전 또는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400)의 회전이 상기 커버(120)가 개방되기 이전이라면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400)가 회전된 이후에 상기 커버(120)가 개방되어 약품의 투입 및 보충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400)의 회전이 상기 커버(120)가 개방된 이후라면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400)가 회전된 이후 바로 약품의 투입 및 보충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400)가 소정각도로 회전되고 난 후 회전된 상태의 유지는 위치이동부(430)의 제2 돌출부(438)와 본체(30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결합된 제2 돌출대응부(338)에 걸리게 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대응부(338)의 단부는 굴곡되어 갈고리 형상의 제2 돌출부(438)과 걸리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외력에 의해 위치이동된 위치이동부(430)가 제자리로 복귀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43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탄성부재 등에 의해 인가되었던 외력 제거시 자동으로 제자리로 복귀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 없이 수동으로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돌출부(438)가 걸리게 되는 상기 제2 돌출대응부(338)의 단부는 상기 제1 돌출부(432)가 걸리게 되는 제1 돌출대응부(332)의 단부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카트리지 장착부(400)의 회전은 시소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충장치(200)는 다양한 약품 카트리지(110)의 커버(120)의 위치에 상관없이 카트리지 장착부(400)의 회전에 의해 편리하게 약품을 투입 또는 보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즉, 카트리지 장착부(400)의 회전을 위한 위치이동부(430) 및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400)가 본체(300)에 고정되기 위한 제1 돌출부(432), 제2 돌출부(438), 제1 돌출대응부(332) 및 제2 돌출대응부(338)는 도 14 내지 도 22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 등의 제어를 통해 자동으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400)의 회전 및 고정을 구현할 수도 있다.
10, 110: 약품 카트리지 11, 130: 카트리지 본체
111: 배출구 112: 설치공간
113: 후면커버 114: 키결합공
115: 가이드홈 116: 가이드돌기
12: 커버 121: 걸림부재
13: 커버잠금부 131: 자물쇠부재
132: 이동부재 133: 잠금부재
134: 걸이턱 135: 가이드공
136: 스프링 14: 메모리칩
15: 록킹부재 20, 200: 약품 보충장치
21: 표시부 22: 입력부
23: 통신모듈 24: 제어부
25: 메모리 인식부 26: 이동감지부
30, 300: 본체 31: 고정블록
311: 안내홈 32: 가이드봉
40: 카트리지 장착부 41, 410: 장착플레이트
411: 관통공 412: 결합공
42, 420: 안착플레이트 421: 승강구
43: 가이드부재 431: 승강바
432: 삽입부재 50: 가이드구동부
51: 모터 52: 길이가변부재
53: 이동플레이트 531: 굴곡바
54: 이동바 541: 승강안내홈
55: 가이드블록 60: 잠금해제부
61: 모터 62: 키부재
70: 카트리지 록킹부 71: 모터
72: 회전부재 73: 가압부재
731: 단턱 74: 후크부재
75: 탄성수단 100: 병원서버
430: 위치이동부 432: 제1 돌출부
434: 외력인가부 436: 연장부
438: 제2 돌출부 332: 제1 돌출대응부
338: 제2 돌출대응부 500: 힌지부

Claims (20)

  1. 약품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약품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
    상기 약품 카트리지에 구비된 커버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잠금해제부; 및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상기 약품 카트리지를 장착한 상태에서 록킹하거나 해제하는 카트리지 록킹부;를 포함하는 약품 보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는 장착된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개구된 일측면에 설치되는 커버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내부가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진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본체에 소정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약품 보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는 외력에 의한 위치 이동에 따른 상기 본체와의 결합여부에 따라 회전가능 여부가 결정되도록 하는 위치이동부를 구비하는 약품 보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와 상기 본체를 고정시키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와 각각 대응되는 제1 돌출대응부 및 제2 돌출대응부를 구비하며,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돌출대응부에 걸리게 되는 경우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돌출대응부로터 분리된 후 회전되어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2 돌출대응부에 걸리게 되어 회전된 상태로 유지되는 약품 보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가 걸리게 되는 상기 제2 돌출대응부의 단부는 상기 제1 돌출부가 걸리게 되는 제1 돌출대응부의 단부보다 낮게 형성되는 약품 보충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저면 및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약품 보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마련된 다수의 가이드부재를 선택적으로 승하강 동작시키는 가이드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약품 보충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는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후면이 접하는 장착플레이트 및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플레이트는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다수의 가이드부재가 승강 동작하도록 승강구를 구비하는 약품 보충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구동부에 의해 승강 동작하는 승강바 및
    상기 승강바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구동부에 형성된 승강안내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재가 마련되는 약품 보충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약품 보충작업 및 관리자 접근 권한 인증을 위한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병원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병원서버로부터 관리자의 접근 권한이 인증되면 상기 약품 카트리지에 약품을 투입 또는 보충하도록 상기 가이드구동부, 상기 잠금해제부 및 상기 카트리지 록킹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약품 보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길이가 가변되는 길이가변부재, 상기 길이가변부재의 길이 변화에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는 이동플레이트,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후단이 결합되어 직선 왕복운동하는 이동바 및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약품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장착위치를 설정하는 가이드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바의 측면에는 상기 삽입부재가 삽입되어 승강 동작하도록 안내하는 승강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길이가변부재는 나사 결합된 한 쌍의 축으로 구비되어, 상기 모터 구동에 따른 제1 축의 회전에 의해 제2 축이 직선 이동하면서 길이가 가변되는 약품 보충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구동부의 모터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된 굴곡바의 이동위치를 감지하는 이동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감지부는 상기 굴곡바의 최대 이동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포토 커플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을 결정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 및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약품 보충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카트리지는 상방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약품이 보관되는 공간이 마련되는 카트리지 본체,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된 상면에 설치되는 커버, 상기 커버를 잠금 동작하는 커버잠금부, 상기 약품 카트리지에 부여된 식별정보와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내부에 수납되는 약품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칩 및 상기 약품 보충장치와 결합되도록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약품 보충장치는 상기 메모리칩에 저장된 식별정보 및 약품 정보를 인식하는 메모리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약품 보충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축 선단에 결합되는 키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키부재는 상기 커버잠금부의 자물쇠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약품 카트리지에 구비된 커버를 개방하도록 상기 커버잠금부를 해제 동작시키는 약품 보충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록킹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 단면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회전부재, 상단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가압되어 직선 왕복운동하는 가압부재, 후단부가 브래킷에 축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상단에 형성된 단턱에 맞물려며 선단부가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록킹부재와 맞물리고 상기 가압부재의 이동시 회전운동하는 후크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의 일측면에 지지되고 상기 가압부재가 일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상기 가압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약품 보충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는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후면이 접하는 장착플레이트 및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플레이트에는 상기 메모리 인식부, 상기 잠금해제부 및 상기 카트리지 록킹부가 설치되는 약품 보충장치.
  17. (a) 관리자 정보를 입력받아 접근 권한을 인증받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관리자의 접근 권한이 인증되면, 해당 관리자가 담당하는 약품 카트리지에 약품을 보충하도록 카트리지 장착부에 마련된 다수의 가이드부재 중에서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폭에 대응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를 선택적으로 상승 동작시키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상승된 한 쌍의 가이드부재 사이에 약품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장착된 약품 카트리지의 커버를 개방하여 약품을 보충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품 보충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e) 상기 (d)단계에서 약품 보충이 완료되면, 약품 카트리지에 보충된 약품의 정보와 관리자 정보를 병원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병원서버는 상기 보충된 약품의 정보와 관리자 정보를 이용해 약품의 재고관리를 실시간으로 수행하는 약품 보충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메모리칩에 저장된 식별정보 및 약품 정보를 병원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정품 여부를 인증받는 약품 보충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커버가 개구된 일측면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커버가 개방되어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내부가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진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커버가 개방되기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본체에 소정각도로 회전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품 보충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30028460A 2012-04-18 2013-03-18 약품 보충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529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59,487 US20130276935A1 (en) 2012-04-18 2013-04-09 Drug refi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3163778.7A EP2653150A3 (en) 2012-04-18 2013-04-15 Drug refi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3101363173A CN103371673A (zh) 2012-04-18 2013-04-18 药品补充装置及其控制方法
CN201320197678.4U CN203399895U (zh) 2012-04-18 2013-04-18 药品补充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0541 2012-04-18
KR1020120040541 2012-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665A true KR20130117665A (ko) 2013-10-28
KR101529772B1 KR101529772B1 (ko) 2015-06-17

Family

ID=49636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460A KR101529772B1 (ko) 2012-04-18 2013-03-18 약품 보충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29772B1 (ko)
CN (1) CN20339989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76935A1 (en) * 2012-04-18 2013-10-24 Jvm Co., Ltd. Drug refi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756530B1 (ko) * 2015-08-17 2017-07-11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약병 홀더 및 이의 동작 방법
BR112019027766A2 (pt) * 2017-06-22 2020-07-07 Minibar North America, Inc. sistema de dispensação refrigerado de inventário controlad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1733B1 (en) * 1996-12-20 2003-08-26 Carlos De La Huerga Interactive medication dispensing machine
JP4617011B2 (ja) * 2001-03-13 2011-01-19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収容取出し装置
CN1976671B (zh) * 2004-05-19 2011-02-09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品分配装置
JP2006305099A (ja) * 2005-04-28 2006-1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医薬品収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3399895U (zh) 2014-01-22
KR101529772B1 (ko)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7665A (ko) 약품 보충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4826683B2 (ja) 薬剤払出装置
US10007764B2 (en) Medicine dispen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6175007B (zh) 一种具有电子密码锁定装置的手提箱
KR100787808B1 (ko) 도어락킹부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CN113081601A (zh) 医疗技术站及使用方法
KR101431969B1 (ko) 의약품 보관 장치
KR102652743B1 (ko) 약제 불출 장치
US20130276935A1 (en) Drug refi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30117580A (ko) 약품보관 및 공급장치
JP4595898B2 (ja) ロッカー装置およびロッカーシステム
US20130282171A1 (en) Medicine storage apparatus
KR101608892B1 (ko) 카드 카세트 장치 및 이 카드 카세트 장치를 이용하는 카드 불출 장치
CN208089023U (zh) 一种电子密码锁装置
JP5844055B2 (ja) 計数装置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表示装置及び計数装置を備えた計数機能付き注入用具
JP3547765B2 (ja) 薬類保管庫
KR20130117581A (ko) 약품공급장치
KR102127697B1 (ko) 이중 발전을 이용하는 잠금 장치
JP2011078598A (ja) 自動薬剤供給装置
CN108487793A (zh) 电子密码锁装置
KR102665608B1 (ko) 의약품 보관 카세트
JP2016154973A (ja) 遊技機
KR20080001597U (ko) 휴대용 전자 자물쇠
JP2017209396A (ja) 服薬支援装置および服薬提供方法
KR200379137Y1 (ko) 현금자동지급기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