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892B1 - 카드 카세트 장치 및 이 카드 카세트 장치를 이용하는 카드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카드 카세트 장치 및 이 카드 카세트 장치를 이용하는 카드 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892B1
KR101608892B1 KR1020150104109A KR20150104109A KR101608892B1 KR 101608892 B1 KR101608892 B1 KR 101608892B1 KR 1020150104109 A KR1020150104109 A KR 1020150104109A KR 20150104109 A KR20150104109 A KR 20150104109A KR 101608892 B1 KR101608892 B1 KR 101608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card
stopper member
controller
loc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쿠스 존 윌리스
알렉스 마세이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55498A external-priority patent/JP628791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82219A external-priority patent/JP6337279B2/ja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 B65D83/085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43Feeding or discharging cards from or back into the same magazi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14Card magazines, e.g. pocket, hopp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4Restocking arrangements there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163Delivery means characterised by blocking access to the output bi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카드 카세트 장치는 비장착 상태에서는 외부로부터 카드 출구를 불법적으로 개방하는 수단을 없애고 장착 상태에서는 필요에 따라 카드 출구를 개방할 수 있게 하여, 보안 등급을 높인다. 카드 출구를 개폐하는 가동 셔터는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 및 로크 부재 결합 구멍을 가지고 있다. 스토퍼 부재는 스토퍼 부재 이동 수단에 의해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과 결합되어, 비장착 상태에서 상기 셔터를 폐쇄 상태로 고정시킨다. 로크 부재는 로크 부재 이동 수단에 의해 로크 부재 결합 구멍과 결합되어, 장착 상태에서 상기 셔터의 폐쇄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셔터를 개방 상태로 로킹시킨다.

Description

카드 카세트 장치 및 이 카드 카세트 장치를 이용하는 카드 불출 장치{CARD CASSETTE DEVICE AND CARD DISPEN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드 카세트 장치 및 이 카드 카세트 장치를 이용하는 카드 불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드 불출 장치와 같은 소정의 대상 장치의 본체 유닛에 장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장치의 내부에 배치된 카드의 손실과 도난을 방지하도록 하여 이전보다 높은 보안 등급을 실현하는 카드 카세트 장치 및 이러한 카드 카세트 장치를 이용하는 카드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카드" 라는 용어는 넓게 카드 형상의 물품을 의미하며, 투광성을 가지는 카드 형상의 정보 저장 매체(다시 말해서, 정보 저장 매체 카드) 뿐만아니라 투광성 및/또는 정보 저장 기능을 가지는 카드나 카드 형상의 물품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카드" 라는 용어는 전화 카드, 프리페이드 카드, 캐릭터 카드, 브로마이드(다시 말해서, 사진 인화지), 어뮤즈먼트용 카드, 자기 스트라이프 카드(예를 들면, 신용 카드와 은행 카드)나, IC(집적 회로) 카드, 바코드 부착 카드, 그리고 이러한 종류의 카드의 두께와 동등거나 그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종이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박판형상 물품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카드 불출 장치에는 복수의 카드를 내부에 중첩된 형태로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 중첩된 카드를 카드 출구를 통하여 1장씩 불출하는 카드 카세트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 카드 카세트 장치는 카드 불출 장치의 본체 유닛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새로운 카드를 충전하거나 추가하거나 하는 작업은 카드 카세트 장치가 본체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비장착 상태에서 행해진다.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에 보관되어 있는 카드는 금전적 가치가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작업을 하는 동안에 카드의 적어도 일부가 분실되거나 도난당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카드 카세트 장치의 보관중, 사용중 그리고 반송중에도 유사한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카드 불출 장치에 장착한 상태와 비장착 상태의 양 경우에 카드 출구를 확실하게 폐쇄함으로써 내부에 저정된 카드로의 부정한 액세스를 금지하는 기구를 카드 카세트 장치가 가지고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종류의 카드 카세트 장치에 대한 보안을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일례가 특허문헌 1(2006년 9월에 발행된 일본 특허 제3858567호)에 개시된 "카드의 카세트 장치"이며, 다른 예가 특허문헌 2(2010년 10월에 발행된 일본 특허 제4604003호)에 개시된 "카드 발행기"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카드의 카세트 장치는 카드 보관부를 카드 불출 장치의 본체 유닛으로부터 독립시켜 카세트의 형태로 만드는 것에 의해서 형성된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카세트 장치는 복수의 카드를 겹쳐쌓은 형태로 보관하는 카세트 수단, 상기 카세트 수단의 카드 출구를 개폐하는 게이트 수단, 상기 게이트 수단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게이트 수단의 역조작을 방지하는 역조작 방지 수단, 상기 게이트 수단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역조작 방지 수단을 해제하는 역조작 방지 해제 수단, 그리고 상기 게이트 수단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게이트 수단을 로킹하는 로킹 수단(locking means)을 포함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카세트 장치에서는, 상기 게이트 수단에 의해 상기 카드 출구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는, 상기 역조작 방지 수단에 의해 역조작, 다시 말해서, 상기 카드 출구의 폐쇄 조작이 방지되고 상기 카드 출구의 개방 상태가 바뀌지 않고 유지되고; 개방 상태에서 상기 역조작 방지 해제 수단에 의해 역조작 방지가 해제되면, 상기 카드 출구는 폐쇄가능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드 출구가 폐쇄되면, 카드 출구의 폐쇄 상태는 상기 로킹 수단에 의해 로킹되므로, 상기 카드 출구의 폐쇄 상태는 해제할 수 없게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카드 불출 장치의 본체 유닛에 상기 카세트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그리고 상기 카드 불출 장치의 본체 유닛으로부터 상기 카세트 장치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카드가 분실되는 사태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카드 관리가 용이하고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도 1 내지 도 7, 청구항 1, 그리고 단락 0016 내지 단락 0029 참고).
특허문헌 2의 카드 발행기는 복수의 카드를 겹쳐쌓은 형태로 보관하는 카드 스태커(카드용 카세트 장치), 상기 카세트 장치가 장착되는 호퍼, 그리고 상기 카세트 장치 내에 배치된 카드를 1장씩 송출하는 송출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카세트 장치는 상기 카세트 장치가 상기 호퍼로부터 분리될 때에 카드 출구를 폐쇄하는 셔터, 상기 셔터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판, 그리고 상기 셔터의 개방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가지는 셔터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호퍼는 상기 카세트 장치가 상기 호퍼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셔터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셔터 구조의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결합 부재의 경사면과 접촉하는 것으로 인해 수평으로 운동하는 제1 접촉 부재, 상기 셔터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규제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접촉 부재가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도록 가압하거나 힘을 작용시키는 제1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특허문헌 2의 카드 발행기에서는, 상기 카드 스태커를 상기 호퍼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셔터 구조가 서로 결합되어서 상기 셔터를 개방시킨다. 따라서, 열쇠가 불필요하며 열쇠를 꽂고 빼거나 하는 등의 수고가 들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셔터 구조에서는, 상기 결합 부재를 상기 제1 접촉 부재에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제1 규제 부재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상기 결합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서 상기 셔터가 개방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카드 발행기는 보안의 면에서 안전하다(도 1 내지 도 6, 청구항 1, 단락 0008, 단락 0032 내지 단락 0041 참고).
또한, 보안의 관점에서, 카드 카세트 장치의 카드 충전 작업은 특정 권한을 가지는 사람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다음과 같은 적용이나 사용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카드 불출 장치의 본체 유닛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카드 카세트 장치에 대한 카드 충전 작업을 관리 센터에서 수행하고, 그 후 카드가 충전된 카드 카세트 장치를 본체 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로 운반하여 그 장소에서 본체 유닛에 장착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단 하나의 미리 정해진 카드 카세트 장치만이 해당 본체 유닛에 장착될 수 있게 하는 시스템 또는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바꾸어 말하면, 카드 카세트 장치와 해당 본체 유닛은 일대일 대응 관계를 가질 필요가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카세트 장치에서는, 상기 카세트 장치가 본체 유닛에 장착되어 있는 장착 상태와 상기 카세트 장치가 본체 유닛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비장착 상태의 양 상태에서, 카드 출구가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단, 카드 불출 지령을 받았을 때를 제외한다). 따라서, 카드의 분실 및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카드의 분실 및 도난을 방지하는 이 기능은 게이트 수단으로서 캠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카드 출구의 폐쇄 상태를 해제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상기 캠 수단을 노브 수단(knob means)에 의해 조작함으로써 보안이 확보된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의 카세트 장치의 보안은 브래킷판, 샤프트, 캠판, 핀 등과 같이, 서로 결합되는 부재들 사이에서의 상대적인 회전 또는 이동을 기계적으로 제한함으로써 실현된다. 그러나, 상기 카세트 장치가 본체 유닛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비장착 상태에서는, 특히 노브 수단에 대해 약간의 처리 또는 변경을 가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것은 보안을 깨고 카세트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카드에 액세스하는 것이 어렵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카세트 장치의 보안 등급은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상기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카드 발행기에서는, 셔터 구조(카세트 장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셔터, 지지판 및 규제 수단 등을 포함하는 구종)와 호퍼에 설치된 결합 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셔터가 개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형상과 크기가 결합 부재의 형상과 크기에 대략 합치되는 적절한 부재를 준비하고 이렇게 준비된 부재를 셔터 구조와 결합시키지 않으면, 카세트 장치가 호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비장착 상태에서는 셔터를 개방할 수 없다. 그러나, 반대로, 이것은 형상과 크기가 결합 부재의 형상과 크기에 대략 합치되는 부재를 준비하면, 셔터를 개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카드 발행기의 보안 등급도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카드 카세트 장치와 카드 불출 장치의 본체 유닛이 일대일 대응 관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카드 불출 장치의 대응하는 본체 유닛에 단 하나의 지정된 카드 카세트 장치만 장착될 수 있게 하는 카드 불출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특허문헌 1의 카세트 장치와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카드 발행기를 포함하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장착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카드 출구를 불법적으로 개방하는 수단을 없애고 장착 상태에서는 필요에 따라 카드 출구를 개방할 수 있게 하는 카드 카세트 장치 및 카드 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종래 기술의 카드 카세트 장치 및 카드 불출 장치보다 높은 보안 등급을 실현할 수 있는 카드 카세트 장치 및 카드 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드 불출 기능을 가지는 본체 유닛에 적합한 소정의 카드 카세트 장치의 사용만 허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 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당해 기술 분야의 전문가에게 상기한 목적과 구체적으로 명기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대상 장치의 본체 유닛에 장착할 수 있게 구성된 카드 카세트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장치 카드 카세트 장치는,
카드를 보관하는 보관부와 카드를 내보내는 카드 출구를 가지고 있는 몸체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보관부는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드 출구는 상기 몸체의 전방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드 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셔터는 상기 몸체의 전방 부분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며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과 로크 부재 결합 구멍을 가지고 있고;
상기 몸체에 설치된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셔터의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과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기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과의 결합 또는 결합해제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스토퍼 부재 및/또는 상기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을 이동시키는 스토퍼 부재 이동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몸체에 설치된 로크 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셔터의 로크 부재 결합 구멍과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로크 부재의 상기 로크 부재 결합 구멍과의 결합 또는 결합해제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로크 부재 및/또는 상기 로크 부재 결합 구멍을 이동시키는 로크 부재 이동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스토퍼 부재, 상기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 그리고 상기 스토퍼 부재 이동 수단은 상기 셔터를 폐쇄 상태로 고정시키는 셔터 고정 기구를 구성하고;
상기 로크 부재, 상기 로크 부재 결합 구멍, 그리고 상기 로크 부재 이동 수단은 상기 셔터의 폐쇄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셔터를 개방 상태로 로킹시키는 개방 상태 로킹 기구를 구성하고;
상기 셔터 고정 기구는, 대상 장치의 본체 유닛에 카드 카세트 장치를 장착하지 않으면 상기 셔터 고정 기구에 의해 발생된 상기 셔터의 폐쇄 상태가 해제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개방 상태 로킹 기구는, 카드 카세트 장치가 본체 유닛에 장착되어 있는 장착 상태에서 상기 셔터 고정 기구에 의한 셔터 이동 방지 작동을 해제한 후 상기 로크 부재 이동 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셔터의 개방 상태가 발생되고 로킹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카드 카세트 장치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의 전방 부분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며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과 로크 부재 결합 구멍을 가지고 있는, 상기 카드 출구를 개폐하는 셔터가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셔터의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과 결합될 수 있는 스토퍼 부재와 상기 셔터의 로크 부재 결합 구멍과 결합될 수 있는 로크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 부재, 상기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 그리고 상기 스토퍼 부재 이동 수단의 결합체는 상기 셔터를 폐쇄 상태로 고정시키는 셔터 고정 기구를 구성하고,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기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과의 결합 또는 결합해제는 상기 스토퍼 부재 이동 수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로크 부재, 상기 로크 부재 결합 구멍, 그리고 상기 로크 부재 이동 수단의 결합체는 상기 셔터의 폐쇄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셔터를 개방 상태로 로킹시키는 개방 상태 로킹 기구를 구성하고, 상기 로크 부재의 상기 로크 부재 결합 구멍과의 결합 또는 결합해제는 상기 로크 부재 이동 수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대상 장치의 본체 유닛에 카드 카세트 장치를 장착하지 않으면 상기 셔터 고정 기구에 의해 발생된 상기 셔터의 폐쇄 상태가 해제될 수 없고, 카드 카세트 장치가 본체 유닛에 장착되어 있는 장착 상태에서 상기 셔터 고정 기구에 의한 셔터 이동 방지 작동을 해제한 후 상기 로크 부재 이동 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셔터의 개방 상태가 발생되고 로킹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드 출구를 개폐하는 상기 셔터의 이동은 상기 셔터 고정 기구에 의해 직접 방지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비장착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카드 출구를 불법적으로 개방하는 수단이 확실하게 제거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셔터의 개방 상태는,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를 상기 본체 유닛에 장착하고 상기 셔터 고정 기구에 의한 셔터 이동 방지 작동을 해제한 후 상기 개방 상태 로킹 기구의 로크 부재 이동 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발생되고 로킹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카드 카세트 장치에서는, 비장착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카드 출구를 불법적으로 개방하는 수단이 확실히 제거될 수 있고 장착 상태에서는 필요에 따라 카드 출구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종래 기술보다 높은 보안 등급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카드 카세트 장치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상기 스토퍼 부재 이동 수단이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솔레노이드의 로드(rod)와 일체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카드 카세트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상기 스토퍼 부재(예를 들면, 솔레노이드 로드)에 가이드 부재(예를 들면, 가이드 플레이트)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셔터에 가이드 부재 결합 구멍(예를 들면, 가이드 플레이트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셔터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부재 결합 구멍에 의해 가이드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카드 카세트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상기 솔레노이드가 소자 상태(demagnetized state)에 있을 때에는, 상기 셔터가 폐쇄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솔레노이드가 여자 상태(magnetized state)로 되면, 상기 셔터의 고정된 폐쇄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로크 부재 이동 수단(예를 들면, 로크 키(lock key))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셔터의 개방 상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카드 카세트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상기 로크 부재(예를 들면, 로크 플레이트)가 상기 로크 부재와 상기 셔터의 로크 부재 결합 구멍(예를 들면, 결합 구멍)의 결합에 의해서 발생되는 소정의 캠 작용을 가진 캠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카드 카세트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로크 부재와 상기 셔터의 로크 부재 결합 구멍의 결합에 의해서 발생되는 소정의 캠 작용을 가진 캠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셔터가 상기 캠 부분의 캠 작용으로 인해 이동되어, 상기 카드 출구를 개방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카드 카세트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로크 부재와 상기 셔터의 로크 부재 결합 구멍의 결합에 의해서 발생되는 소정의 캠 작용을 가진 캠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캠 부분이 상기 로크 부재 결합 구멍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미끄럼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셔터를 이동시켜서 상기 카드 출구를 개방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카드 카세트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상기 로크 부재 이동 수단으로서 로크 키가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로크 키는 상기 몸체의 외부에서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카드 카세트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상기 셔터가 가압 수단(예를 들면, 스프링)에 의해 상기 카드 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로크 부재 이동 수단(예를 들면, 로크 키(lock key))은 상기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셔터를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카드 카세트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상기 스토퍼 부재 이동 수단(예를 들면, 솔레노이드)이 상기 몸체의 외부로부터 닿을 수 없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카드 불출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카드 불출 장치는,
카드를 소정의 방향으로 송출하는 기능을 가진 본체 유닛을 포함하고 있고;
카드를 보관하는 카드 카세트 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는 상기 본체 유닛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본체 유닛에 설치된 제1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에 설치된 몸체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몸체는 카드를 보관하는 보관부와 카드를 송출하는 카드 출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보관부는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드 출구는 상기 몸체의 전방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드 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셔터는 상기 몸체의 전방 부분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에 설치된 셔터 고정 기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셔터 고정 기구는 상기 셔터를 폐쇄 상태로 고정시키고;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에 설치된 개방 상태 로킹 기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개방 상태 로킹 기구는 상기 셔터의 폐쇄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셔터를 개방 상태로 로킹하고;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에 설치된 제2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기 셔터 고정 기구의 작동 및 비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가 상기 본체 유닛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상기 제2 컨트롤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상기 제2 컨트롤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라인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에 설치된 식별 정보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식별 정보 저장 수단은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가 상기 본체 유닛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컨트롤러와의 통신을 실행하여 상기 식별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장착된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의 적합성을 인증(認證)하고; 그리고
장착된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의 적합성이 인증될 때에만 상기 제1 컨트롤러가 상기 셔터 고정 기구를 비작동시키는 지령을 상기 제2 컨트롤러로 송출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카드 불출 장치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장치가 카드를 소정의 방향으로 송출하는 기능을 가진 본체 유닛과, 상기 본체 유닛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카드를 보관하는 카드 카세트 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에는, 상기 카드 출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몸체의 전방 부분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셔터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셔터를 폐쇄 상태로 고정시키는 셔터 고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셔터 고정 기구의 작동 및 비작동은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에 설치된 제2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가 상기 본체 유닛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상기 제2 컨트롤러는 데이터 라인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상기 제2 컨트롤러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컨트롤러와의 통신을 실행하여, 상기 식별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본체 유닛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의 적합성을 인증한다.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의 적합성이 인증되면, 상기 제1 컨트롤러가 상기 셔터 고정 기구를 비작동시키는 지령을 상기 제2 컨트롤러로 송출한다. 이 지령에 따라, 상기 셔터 고정 기구가 비작동 상태로 되므로, 상기 개방 상태 로킹 기구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셔터의 폐쇄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셔터가 개방될 수 있다. 이것은 카드 불출 작동이 원하는 대로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의 적합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컨트롤러가 상기 셔터 고정 기구를 비작동시키는 지령을 상기 제2 컨트롤러로 송출하지 않으므로, 상기 셔터의 폐쇄 상태가 바뀌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개방 상태 로킹 기구가 작동되더라도 상기 셔터가 개방될 수 없다. 이것은 카드 불출 작동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가 상기 본체 유닛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비장착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카드 출구를 불법적으로 개방하는 수단이 확실히 제거될 수 있다. 이것은 간단한 구성으로 종래 기술보다 높은 보안 등급을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의 적합성이 인증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셔터 고정 기구가 상기 셔터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므로, 비적합한 카드 카세트 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본체 유닛에 적합한 소정의 카드 카세트 장치의 사용만 허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와 상기 본체 유닛이 일대일 대응 관계를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카드 불출 장치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가 상기 본체 유닛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데이터 라인의 기준 전위를 제1 레벨로부터 제1 레벨과 다른 제2 레벨로 변화시키는 데이터 라인 기준 전위 변경 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의 기준 전위가 상기 제2 레벨에 있을 때,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가 상기 본체 유닛에 장착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카드 불출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 컨트롤러가 상기 데이터 라인의 기준 전위를 정기적으로 감시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의 기준 전위가 제2 레벨에서 제1 레벨로 변화되었을 때,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가 상기 본체 유닛에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카드 불출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상기 셔터의 개폐에 연동하여 상기 셔터의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를 검지하는 셔터 개폐 검지 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셔터 개폐 검지 수단이 상기 셔터의 개방 상태를 검지한 경우에 카드 불출이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카드 불출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상기 셔터 고정 기구가 상기 셔터에 형성된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 상기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에 결합가능한 스토퍼 부재, 그리고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기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과의 결합 또는 결합해제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스토퍼 부재 및/또는 상기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을 이동시키는 스토퍼 부재 이동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스토퍼 부재 이동 수단은 상기 제1 컨트롤러로부터 송출된 지령에 따라 상기 제2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된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솔레노이드의 로드와 일체로 되어 있고, 상기 솔레노이드가 소자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셔터의 폐쇄 상태가 고정되고, 상기 솔레노이드가 여자 상태가 되면, 상기 셔터의 고정된 폐쇄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셔터는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카드 불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드 불출 장치의 본체 유닛으로부터 카드 카세트 장치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드 불출 장치의 본제 유닛으로부터 카드 카세트 장치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카드 불출 장치의 본체 유닛에 설치된 카드 송출 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카드 불출 장치의 본체 유닛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카드 불출 장치의 본체 유닛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드 카세트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카드 카세트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카드 카세트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카드 카세트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카드 카세트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도 6의 카드 카세트 장치의 상세한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6의 카드 카세트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6의 카드 카세트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XIV-XI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XV-X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F는 각각 도 6의 카드 카세트 장치에 사용되는 로크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각각 도 6의 카드 카세트 장치에 사용되는 솔레노이드와 가이드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카드 카세트 장치가 도 1의 카드 불출 장치의 본체 유닛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도 6의 카드 카세트 장치의 셔터 개방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XIX-XI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은 카드 카세트 장치가 도 1의 카드 불출 장치의 본체 유닛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도 6의 카드 카세트 장치의 셔터 개방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카드 카세트 장치가 도 1의 카드 불출 장치의 본체 유닛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6의 카드 카세트 장치의 셔터 개방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XXII-XX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3은 카드 카세트 장치가 도 1의 카드 불출 장치의 본체 유닛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6의 카드 카세트 장치의 셔터 개방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24는, 셔터의 이동이 개시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도 6의 카드 카세트 장치의 셔터 개방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XXV-XX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6은, 셔터의 이동이 개시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도 6의 카드 카세트 장치의 셔터 개방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셔터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도 6의 카드 카세트 장치의 셔터 개방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XXVIII-XXV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9는, 셔터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도 6의 카드 카세트 장치의 셔터 개방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6의 카드 카세트 장치의 셔터에 형성된 결합 구멍(로크 플레이트 결합 구멍)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31은 도 1의 카드 불출 장치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2는 도 1의 카드 불출 장치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3A 내지 도 33C는 도 1의 카드 불출 장치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카드 불출 장치의 전체 구성]
카드 카세트 장치(20)가 장착되어 있는, 본 발명의 한 실시례에 따른 카드 불출 장치(1)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카드 불출 장치(1)는 상기 장치(1)의 기본 구조와 기본 기능을 제공하는 본체 유닛(10)과, 복수의 카드를 내부에 보관하는 기능을 가진 카드 카세트 장치(20)를 포함하고 있다. 카드 카세트 장치(20)는 본체 유닛(1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본체 유닛(10)은 그 하부에 설치된 카드 송출 기구(12)와, 그 후단부에 카드 송출 기구(12)의 후단과 겹쳐지도록 형성된 카세트 설치 가이드(15)를 포함하고 있다. 본체 유닛(10)은 카드 카세트 장치(20) 내에 중첩되어 수용되어 있는 복수의 카드로부터 최하단 위치에 있는 1장의 카드를 취출하고, 이렇게 취출한 카드를 소정의 반송로(도시하지 않음)를 따라서 전방으로 송출하고, 이렇게 송출한 카드를 본체 유닛(10)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 카드 출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외부로 불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도 1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카드 송출 기구(12)는 전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는 풀리(12a), 무단 벨트(12b), 풀리(12c), 무단 벨트(12d) 및 풀리(12e)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겹쳐쌓여 있는 카드 더미에서 최하단에 위치된 카드는 카드 송출 기구(12)에 포함된 카드 송출 롤러(12f)(도 4 참조)를 이용하여 반송로로 도입된다.
본체 유닛(10)의 후방 단부에는,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카세트 설치 가이드(15)가 구비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카세트 설치 가이드(15)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패널(15a)과, 전방 패널(15a)의 양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수평 단면상으로 대략 L자 형상의 패턴을 가지는 한 쌍의 사이드 패널(15b)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패널(15a 및 15b)의 후방에는, 바꾸어 말하면, 카세트 설치 가이드(15)의 내측에는, 카드 카세트 장치(20)를 수용하는 오목부(15c)가 형성되어 있다. 카드 카세트 장치(20)는 오목부(15c)에 비스듬하게 상방 위치로부터 삽입되도록 오목부(15c)에 배치되어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상태를 가지도록 오목부(15c)에 끼워맞춰진 다음 그 상태로 고정된다.
한 쌍의 사이드 패널(15b))에는, 도 2 및 도 3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역L자 형상을 가지도록 한 쌍의 가이드 홈(18a, 18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홈(18a, 18b)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폭은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두 개의 샤프트(34)(도 11 참고)의 직경보다 약간 큰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34)의 단부가 카드 카세트 장치(2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본체 유닛(10)에의 설치 또는 장착 작업은 각각의 가이드 홈(18a, 18b)과 상기 샤프트(34)를 결합함으로써 실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수평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전방 패널(15a)의 상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로크 플레이트(38)의 결합 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로크 플레이트(38)를 결합 구멍(17)에 결합시킴으로써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수직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러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카드 카세트 장치(20)를 본체 유닛(10)에 장착한 상태에서 로크 플레이트(38)를 결합 구멍(17)에 결합시킴으로써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로크 상태(locked state)가 발생된다. 이것은 로크 플레이트(38)와 결합 구멍(17)의 결합체가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로킹 기구(locking mechanism)로서 기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카세트 설치 가이드(15)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전방 패널(15a)과 상부 후방 부분에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6)가 설치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16)는 하니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카드 송출 기구(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게다가, 전기 커넥터(16)는 후술하는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전기 커넥터(3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전기적 접속에 의해, 카드 카세트 장치(20)와 본체 유닛(10) 사이에 있어서의 전기 신호의 송수신 작동이 수행되고, 동시에, 본체 유닛(10)으로부터 카드 카세트 장치(20)로의 전력이 공급된다.
[카드 카세트 장치의 전체 구성]
다음에는, 도 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례에 따른 카드 카세트 장치(2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외관은 전면의 상부가 조금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면 대체로 직육면체와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다. 직육면체와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는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몸체(21)의 내부에는, 복수의 카드를 상하 방향으로 겹쳐서 보관하는 보관부(21e)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보관부(21e)에 보관되어 있는 카드의 분실 및 도난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한 보안 기구가 또한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 후술할 이 보안 기구는 결합 구멍(22b)을 가진 셔터(22), 가이드 플레이트(33), 가이드 플레이트(33)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30), 상기 결합 구멍(22b)과 결합된 상태에서 셔터(22)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로크 플레이트(38), 그리고 로크 플레이트(38)를 조작(회동)시키기 위한 로크 키(39)를 포함하고 있다.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내부 구조는 도 11의 분해 사시도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드 카세트 장치(20)는 직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 보관부(21e)를 가지고 있는 몸체(21)를 포함하고 있다. 몸체(21)는 보관부(21e)의 상면과 저면을 각각 형성하는 상면부(21c) 및 저면부(21b), 보관부(21e)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면부(21d), 보관부(21e)의 좌우 측면을 각각 형성하는 한 쌍의 측면부(21f), 그리고 보관부(21e)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도어(25)로 구성되어 있다. 도어(25)는 일방의 측면부(21f)에 힌지 샤프트(2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보관부(21e)는 도어(25)를 개방함으로써 외부에서 액세스가능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도어(25)에는 로크 키(47)가 부착되어 있다. 도어(25)의 외부로부터 로크 키(47)를 조작함으로써 도어(25)를 개폐시키는 로크 플레이트(46)를 동작시킬 수 있다. 로크 키(47)를 로크하면, 도어(25)는 로크되어 개방할 수 없다. 로크 키(47)를 해제하면, 도어(25)는 개방가능하게 될 수 있다.
몸체(21)의 전면부(21d)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21a)이 형성되어 있다. 전면부(21d)의 하단부에는 카드 송출용 개구(21g)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21g)는 셔터(22)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보관부(21e)에 배치된 웨이트(48)는 보관부(21e)에 겹쳐 쌓인 카드군 위에 놓여 있다. 상기 웨이트(48)는 보관부(21e)에 겹쳐 쌓인 카드군에 하방의 하중을 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유사한 형상을 가진 셔터(22)가 전방 패널(23)과 전면부(21d) 사이에 배치되도록 몸체(21)의 전면부(21d)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패널(23)이 고정되어 있다. 전방 패널(23)은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두 개의 샤프트(34a, 34b)에 의해 전면부(21d)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셔터(22)는 전방 패널(23)과 전면부(21d)의 사이에서 전면부(21d)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할 수 있다. 전면부(21d)의 각 측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셔터(22)의 양측 가장자리가 두 개의 플랜지에 의해 안내되어, 셔터(22)의 안정적인 슬라이딩이동 동작이 실현된다. 셔터(22)는 전방 패널(23)과 셔터(22)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인장 스프링(35)에 의해 항상 하방으로 가압되거나 힘을 받고 있다. 이것은 몸체(21)의 하단부 전방면에 배치된 개구(21g)는 평상시에 셔터(22)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셔터(22)가 스프링(35)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들어올려지면, 개구(21g)가 개방된다.
몸체(21)의 전면부(21d)와 셔터(22) 사이에는, 개구(21g)와 겹치는 위치에 게이트 장착 플레이트(28)와 카드 게이트(27)가 고정되어 있다. 카드 게이트(27)는 게이트 장착 플레이트(28) 상에 고정되어 있고, 게이트 장착 플레이트(28)는 나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전면부(21d)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전면부(21d)의 개구(21g)의 상당히 많은 부분이 카드 게이트(27)로 덮힌다. 그 결과, 보관부(21e)의 하단부의 전방면에 카드 1장이 통과할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된다. 이 간극이 셔터(22)에 의해 개폐되는 카드 출구(27a)로서의 기능을 한다(도 15 참조). 셔터(22)가 들어올려져서 개방되어 있을 때는, 카드 출구(27a)를 통하여 1장씩 카드를 송출시킬 수 있지만, 셔터(22)가 내려져서 폐쇄되어 있을 때는, 카드의 송출은 불가능하다.
도 11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셔터(22)는 그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22a)을 포함하고 있다. 이 슬릿(22a)은 몸체(21)의 전면부(21d)에 형성된 슬릿(21a)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셔터(22)의 상단부 근처에는, 결합 구멍(로크 플레이트 결합 구멍)(22b), 로드 삽입 구멍(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22c), 그리고 가이드 플레이트 삽입 구멍(가이드 플레이트 결합 구멍)(22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 구멍(22b), 로드 삽입 구멍(22c) 및 가이드 플레이트 삽입 구멍(22d)은 셔터(22)의 슬라이딩이동 작동을 제어하는 면에서 중요한 기능을 한다. 이들 구멍(22b, 22c, 22d)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몸체(21)의 상면부(21c)의 상면에는, 솔레노이드 브래킷(29)을 사용하여 솔레노이드(3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30)의 로드(31)의 단부(31a)에는 대략 L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33)가 고정되어 있다. 로드(31)를 압출하는 방향으로 로드(31)를 가압하거나 힘을 가하도록 로드(31)에는 압축 스프링(32)이 끼워져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30)가 소자되어 있을 때는, 로드(31)와 가이드 플레이트(33)의 양자 모두는 돌출 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솔레노이드(30)가 여자되었을 때에 한하여, 로드(31)가 솔레노이드(30)의 몸체 속으로 후퇴되고 가이드 플레이트(33)가 솔레노이드(30)의 몸체쪽으로 끌어당겨진다. 이것은 로드(31)와 가이드 플레이트(33)의 양자 모두가 후퇴 상태로 바뀌는 것을 의미한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30)의 후방에는, 솔레노이드(30)와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판(40)이 기판 장착 플레이트(41)를 사용하여 몸체(21)의 상면부(21c)에 장착되어 있다. 제어 기판(40)의 후방은 내측 커버(42)에 의해 덮혀 있다. 기판 장착 플레이트(41)의 근처에는 스토퍼 플레이트(43)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들은 탑 패널(44)에 의해 덮혀있으므로,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는다. 탑 패널(44)의 외부면에는, 본체 유닛(10)에 대한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핸들(45)이 설치되어 있다.
전방 패널(23)의 전방면에는, 상부 패널(24)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36), 전기 커넥터(37), 로크 플레이트(38) 및 로크 키(39)가 상부 패널(24)의 내부 공간에, 다시 말해서, 상부 패널(24)과 전방 패널(2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로크 키(39)의 머리부는 상부 패널(24)의 상부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이로 인해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외부로부터 로크 키(39)를 조작 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상부 패널(24)은 전방 패널(23)로부터 전방으로 조금 돌출하도록 전방 패널(23)의 상단부 구역만 덮고 있다. 전기 커넥터(37)는 하니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제어 기판(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런 식으로, 카드 카세트 장치(20)는 상기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외관은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셔터(22)는 하단부 부분만이 전방 패널(23)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노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배면으로부터 로크 키(47)가 노출되어 있고, 이로 인해 사람이 외부에서 도어(25)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상면으로부터 로크 키(39)가 노출되어 있고, 이로 인해 사람이 외부에서 셔터(22)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셔터의 결합 구멍의 기능]
다음에는, 도 30을 참고하여 셔터(22)의 결합 구멍(22b)의 기능을 설명한다.
도 30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셔터(22)의 결합 구멍(22b)은 단순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 것이 아니라, 한 단부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더 낮고(다시 말해서, 두께가 더 얇고), 다른 단부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다시 말해서, 두께가 더 두꺼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서, 결합 구멍(22b)의 한 단부(도 30에서는 좌측 단부)에는 높이(또는 두께)가 상대적으로 더 낮은 박육부(22bx)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단부(도 30에서는 우측 단부)에는 높이(또는 두께)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후육부(22by)가 형성되어 있다. 박육부(22bx)와 후육부(22by)를 서로 연결하는 중간부(22bz)가 박육부(22bx)와 후육부(22by)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22bz)의 상측 에지와 하측 에지는 동일한 형상이 아니다. 다시 말해서, 중간부(22bz)의 하측 에지는 결합 구멍(22b)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수평으로 뻗어 있고; 한편, 후육부(22by)의 상측 에지(22byy)는 수평으로 뻗어 있으며, 중간부(22bz)의 상측 에지(22bzz)는 후육부(22by)로부터 박육부(22bx)로 하방으로 경사지게 뻗어 있고, 그리고 박육부(22bx)의 상측 에지(22bxx)는 다시 수평으로 뻗어 있다.
이런 식으로, 셔터(22)의 결합 구멍(22b)은 세부분, 다시 말해서, 상대적으로 더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결합 구멍(22b)의 한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박육부(22bx),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결합 구멍(22b)의 다른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후육부(22by), 그리고 박육부(22bx)와 후육부(22by)의 사이에 형성된 중간부(22bz)로 나누어진다. 중간부(22bz)가 경사진 상부 에지부(22bz)를 가지고 있으므로, 중간부를 "경사 에지부" 라고 칭할 수 있다.
결합 구멍(22b)의 상기한 형상으로 인해, 로크 플레이트(38)(로크 플레이트의 일부)에 캠 작용이 부여될 수 있고 결합 구멍(22b)에 캠 홈 작용이 부여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구멍(22b) 내에서의 로크 플레이트(38)의 이동으로 인해 셔터(22)가 상하로 변위 또는 슬라이딩이동될 수 있다.
로크 플레이트(38)의 캠 작용과 결합 구멍(22b)의 캠 홈 작용은 도 18 내지 도 29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로드 삽입 구멍, 가이드 플레이트 삽입 구멍 그리고 가이드 플레이트의 기능]
다음에는, 로드 삽입 구멍(22c), 가이드 플레이트 삽입 구멍(22d), 그리고 가이드 플레이트(33)의 기능을 도 11, 도 12 및 도 17을 참고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셔터(22)의 결합 구멍(22b)의 바로 아래의 위치에 원형의 로드 삽입 구멍(22c)과 직선 형상의 가이드 플레이트 삽입 구멍(22d)이 형성되어 있다. 로드 삽입 구멍(22c)과 가이드 플레이트 삽입 구멍(22d)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로드 삽입 구멍(22c)의 하부 중심 가장자리에 가이드 플레이트 삽입 구멍(22d)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로드 삽입 구멍(22c)은 솔레노이드(30)의 로드(31)의 단부(31a)가 삽입 또는 후퇴되는 원형의 구멍이다. 가이드 플레이트 삽입 구멍(22d)은 로드(31)에 고정된 가이드 플레이트(33)의 결합부가 삽입되는 직선 형상의 구멍이다. 로드 삽입 구멍(22c)은 가이드 플레이트 삽입 구멍(22d)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셔터(22)의 상하 이동에 따라 가이드 플레이트(33)의 결합부가 로드 삽입 구멍(22c)과 가이드 플레이트 삽입 구멍(22d)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이드 플레이트 삽입 구멍(22d)은 상하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가이드 플레이트(33)의 결합부가 가이드 플레이트 삽입 구멍(22d)에 끼워맞춤되기 때문에, 가이드 플레이트(33)는 셔터(22)의 상하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기능을 가진다.
솔레노이드(30)의 로드(31)가 돌출 상태에 있을 때는, 예를 들면,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드(31)의 단부(31a)는 로드 삽입 구멍(22c)과 결합되고, 동시에, 가이드 플레이트(33)는 가이드 플레이트 삽입 구멍(22d)과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는, 가이드 플레이트(33)의 결합부의 저부(33d)가 가이드 플레이트 삽입 구멍(22d)의 저부(22dd)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셔터(22)를 상승시키려고 해도 셔터(22)가 상승되지 않고 개방되지 않는다.
한편, 로드(31)가 후퇴 상태(retracted state)에 있을 때는, 예를 들면,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드(31)의 단부(31a)는 로드 삽입 구멍(22c)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지만 가이드 플레이트(33)의 결합부는 가이드 플레이트 삽입 구멍(22d)과 결합된 채로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가이드 플레이트(33)의 저부(33d)가 가이드 플레이트 삽입 구멍(22d)의 저부(22dd)에 맞닿을 때까지 셔터(22)를 상승시킬 수 있고 개방시킬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플레이트(33)의 결합부는 가이드 플레이트 삽입 구멍(22d)과 결합된 채로 있기 때문에, 이 결합부는 셔터(22)의 상승 이동에 따라 가이드 플레이트 삽입 구멍(22d)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셔터의 개폐의 검지]
상기한 셔터(22)의 개폐 동작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검지된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몸체(21)의 상면부(21c)에 장착되어 있는 제어 기판(40)에는 광전 센서(51)와 검지편(52)이 설치되어 있다. 광전 센서(51)와 검지편(52)은 셔터(22)의 위치(다시 말해서, 상하 이동, 개방 및 폐쇄)를 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광전 센서(51)와 검지편(52)의 결합체는 셔터 개폐 검지 수단(74)으로서 기능한다.
본 작업 동안 항시 검지광이 광전 센서(51)로부터 검지편(52)을 향하여 조사된다. 광전 센서(51)는 검지편(52)에 의한 검지광의 반사광의 강도 변화를 검지하여, 셔터(22)의 위치 또는 이동을 파악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셔터(22)의 상단부에는,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평으로 뻗어 있는 돌기(22e)가 형성되어 있다. 셔터(22)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는, 돌기(22e)는 광전 센서(51)의 검지 영역보다 하방에 있고 검지광을 차단하지 않는다. 그러나, 셔터(22)가 상승하여 몸체(21)의 하단부에 형성된 카드 출구(27a)를 개방하면, 돌기(22e)가 광전 센서(51)의 검지 영역에 들어가서, 검지광을 차단하게 된다. 그 결과, 광전 센서(51)에 의해 수용되는 반사광의 강도가 급격하게 감소한다. 이와 같이, 광전 센서(51)로 반사광의 강도 변화를 검지함으로써, 셔터(22)가 들어올려져 카드 출구(27a)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로크 플레이트의 기능]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상부 패널(24)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로크 플레이트(38)는 셔터(22)의 폐쇄 상태의 로킹(locking)와 해제(unlocking)를 위해 사용된다. 로크 플레이트(38)는 도 16A 내지 도 16F에 도시된 구성을 가진다. 도 16A 내지 도 16F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크 플레이트(38)는 직선을 이용하여 원형 플레이트의 양쪽 가장자리를 잘라냄으로써 형성된 것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로크 플레이트(38)의 중앙에 관통구멍(38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잘라낸 두 측면 중의 한 측면에는, 해당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편형상의 작용부(tongue-shaped operating part)(38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작용부(38b)는 그 선단을 향하여 점점 감소하는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약간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이것은 상기 작용부(38b)의 셔터(22)의 결합 구멍(22b)과의 삽입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관통구멍(38c)에는 로크 키(39)의 선단이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 키(39)를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외부로부터 그 종축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로크 플레이트(38)를 수평면에서 조작하거나 회전시킬 수 있다.
로크 플레이트(38)는 상기 작용부(38b)에 인접하여 형성된 캠부(38a)를 더 가지고 있다. 캠부(38a)의 상면은 셔터(22)의 결합 구멍(22b)의 박육부(22bx)의 상측 에지(22bxx), 경사 에지부(22bz)의 상측 에지(22bzz) 및 후육부(22by)의 상측 에지(22byy)와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접촉한다. 따라서, 로크 플레이트(38)의 캠부(38a)는 캠으로서 기능하고 셔터(22)의 결합 구멍(22b)은 캠 홈으로서 기능한다. 그 결과, 로크 키(39)에 의해 로크 플레이트(38)를 회전시킴으로써 결합 구멍(22b)을 가진 셔터(22)를 들어올릴 수 있다.
또한, 로크 플레이트(38)는 본체 유닛(10)의 결합 구멍(17)(도 1 참고)에 결합가능한 결합편(38d)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결합편(38d)은 관통구멍(38c)이 캠부(38a)와 결합편(38d)의 사이에 놓이도록 캠부(38a)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결합편(38d)은 결합편(38d)이 본체 유닛(10)의 결합 구멍(17)과 결합된 상태에서 카드 카세트 장치(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결합편(38d)과 결합 구멍(17)의 결합체가 카드 카세트 장치(20)가 본체 유닛(10)에 장착되어 있는 장착 상태를 유지시키는 로킹 기구로서 기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체 유닛 및 카드 카세트 장치의 컨트롤러]
다음에는, 도 31을 참조하여 본체 유닛(10)의 컨트롤러 및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컨트롤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1은 카드 불출 장치(1)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 유닛(10)은 본체 유닛 컨트롤러(61), 카드 송출 기구 구동 모터(62), 그리고 정보 저장 장치(63)를 포함하고 있다. 본체 유닛 컨트롤러(61)는 본체 유닛(10)의 동작 및 본체 유닛(10)과 카드 카세트 장치(20) 사이의 통신을 제어한다. 카드 송출 기구 구동 모터(62)는 도 1에 도시된 카드 송출 기구(12)를 구동시킨다. 정보 저장 장치(63)는 본체 유닛(10) 자체의 식별(ID) 정보 BID를 저장한다. 이 정보 BID는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구별 정보이다.
카드 카세트 장치(20)는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 풀업 회로(66), 솔레노이드 구동 전원(67), 그리고 정보 저장 장치(68)를 포함하고 있다.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는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작동을 제어한다. 입력 트랜지스터(TR)와 풀업 저항(Rp)을 포함하는 풀업 회로(66)는 후술할 데이터 라인(BDL, CDL)의 기준 전위를 상승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솔레노이드 구동 전원(67)은 솔레노이드(30)에 전력을 공급하여, 솔레노이드(30)를 구동시킨다. 정보 저장 장치(68)는 카드 카세트 장치(20) 자체의 식별(ID) 정보 CID를 저장한다. 이 정보 CID는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구별 정보이다.
본체 유닛 컨트롤러(61)는 카드 송출 기구 구동 모터(62)에 모터 제어 신호 MCS를 출력함으로써 본체 유닛(10)에 설치된 카드 송출 기구(12)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체 유닛(10)에는, 전원 라인 BPL, 데이터 라인 BDL 및 그라운드 라인 BGL이 설치되어 있다. 전원 라인 BPL, 데이터 라인 BDL 및 그라운드 라인 BGL의 각각의 한 단부는 본체 유닛 컨트롤러(6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원 라인 BPL, 데이터 라인 BDL 및 그라운드 라인 BGL의 각각의 다른 단부는 도 5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체 유닛 컨트롤러(61)는 필요에 따라 정보 저장 장치(63)에 저장된 ID 정보 BID를 읽어낼 수 있다.
한편, 카드 카세트 장치(65)에는, 전원 라인 CPL, 데이터 라인 CDL 및 그라운드 라인 CGL이 설치되어 있다. 전원 라인 CPL, 데이터 라인 CDL 및 그라운드 라인 CGL의 각각의 한 단부는 도 1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3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원 라인 CPL 및 그라운드 라인 CGL의 각각의 다른 단부는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 라인 CDL의 다른 단부는 입력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입력 트랜지스터(TR)의 콜렉터는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에 연결되어 있다. 입력 트랜지스터(TR)의 콜렉터와 전원 라인 CPL 사이에는 풀업 저항(Rp)이 연결되어 있다. 입력 트랜지스터(TR)의 이미터는 그라운드 라인 CGL에 연결되어 있다. 입력 트랜지스터(TR)와 풀업 저항(Rp)은 풀업 회로(66)를 구성한다.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는 솔레노이드 구동 전원(67)에 솔레노이드 제어 신호 SCS를 출력함으로써 솔레노이드(30)의 작동을 제어한다.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는 필요에 따라 정보 저장 장치(68)에 저장된 ID 정보 CID를 읽어낼 수 있다.
카드 카세트 장치(20)가 본체 유닛(10)에 장착되면, 전기 커넥터(16, 37)를 통하여 본체 유닛(10)의 전원 라인 BPL, 데이터 라인 BDL 및 그라운드 라인 BGL이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전원 라인 CPL, 데이터 라인 CDL 및 그라운드 라인 CGL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 풀업 회로(66)의 작동으로 인해 데이터 라인 BDL, CDL의 기준 전위가 전원 라인 BPL, CPL의 전위로 변화된다. 다시 말해서, 데이터 라인 BDL, CDL의 기준 전위가 "L" 레벨에서 "H" 레벨로 변화된다. 이것은 풀업 회로(66)가 데이터 라인 BDL, CDL의 기준 전위를 변화시키는 데이터 라인 기준 전위 변경 수단(73)으로서 기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한 데이터 라인 BDL, CDL의 기준 전위 변화를 검지함으로써, 본체 유닛 컨트롤러(61)는 카드 카세트 장치(20)가 본체 유닛(10)에 장착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본체 유닛 컨트롤러(61)와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가 데이터 라인 BDL, CDL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이들 두 컨트롤러(61, 65) 사이의 통신이 데이터 라인 BDL, CDL을 통하여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렇게 상호연결된 데이터 라인 BDL, CDL은 상기 두 컨트롤러(61, 65) 사이의 통신을 통하여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ID를 본체 유닛(10)의 ID와 비교하는데 사용된다.
[카드 카세트 장치의 동작]
다음에는,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동작에 대해서 도 18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카드 카세트 장치(20)가 카드 불출 장치(1)의 본체 유닛(10)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다시 말해서, 비장착 상태)에서는, 셔터(22)가 도 18 내지 도 2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폐쇄 상태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셔터(22)의 하부 에지가 몸체(21)의 저면부(21b)의 상면(21bb)에 맞닿아 있고, 전면부(21d)의 하단부에 형성된 카드 출구(27a)가 카드 게이트(27)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이 때, 솔레노이드(30)는 통전되어 있지 않고, 다시 말해서, 솔레노이드(30)는 소자 상태(demagnetized state)에 있으므로,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솔레노이드(30)의 로드(31)가 돌출 상태에 있다. 이 돌출 상태에서는, 상기 로드(31)의 단부(31a)가 셔터(22)의 로드 삽입 구멍(22c)에 삽입되어 끼워맞춰져 있고, 동시에, 상기 로드(31)에 고정된 가이드 플레이트(33)의 결합부는 셔터(22)의 가이드 플레이트 삽입 구멍(22d)에 삽입되어 끼워맞춰져 있다. 이와 같이, 셔터(22)의 상하 방향의 변위는 로드(31)와 로드 삽입 구멍(22c)의 결합에 의해 저지되고, 그 결과, 이러한 비장착 상태에서는 셔터(22)가 절대 상승하지 않는다(따라서, 카드 출구(21g)가 절대 개방되지 않는다).
본 실시례에서는, 솔레노이드(30)의 로드(31)가 스토퍼 부재로서 기능하고, 로드 삽입 구멍(22c)이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으로서 기능하고, 솔레노이드(30) 및 스프링(32)이 스토퍼 이동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스토퍼 부재,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 및 스토퍼 부재 이동 수단의 결합체가 셔터(22)를 폐쇄 상태로 고정시키는 셔터 고정 기구(71)로서 기능한다.
이 비장착 상태에서는, 도 2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크 플레이트(38)의 작용부(38b)만이 셔터(22)의 결합 구멍(22b)으로 삽입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작용부(38b)는 결합 구멍(22b)의 후육부(22by)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작용부(38b)가 결합 구멍(22b)의 내주 에지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다시 말해서, 상기 작용부(38b)가 셔터(22)에 힘을 미치는 일은 없다. 이러한 이유로, 누군가가 외부에서 로크 키(39)를 조작하여 로크 플레이트(38)를 회전시키려고 하여도, 셔터(22)를 개방시킬 수는 없다.
한편, 카드 카세트 장치(20)가 카드 불출 장치(1)의 본체 유닛(10)에 장착되면, 카드 카세트 장치(20)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행한다.
카드 카세트 장치(20)가 본체 유닛(10)에 장착되면, 카드 카세트 장치(20)는 본체 유닛(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되므로, 솔레노이드(30)의 통전(energization)이 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본체 유닛(10)에 설치된 본체 유닛 컨트롤러(61)(도 31 참조)가 솔레노이드(30)에 전력을 공급하여 솔레노이드(30)를 통전시킨다. 이에 대응하여, 솔레노이드(30)가 여자 상태로 되고 솔레노이드(30)의 로드(31)가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후퇴하게 된다. 그 결과, 솔레노이드(30)의 로드(31)의 거의 모두가 솔레노이드(30)의 몸체 속으로 후퇴된다. 이 때의 상태는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되어 있다.
로드(31)가 후퇴 상태로 되면, 로드(31)의 단부(31a)가 셔터(22)의 로드 삽입 구멍(22c)으로부터 빠진다. 그 결과, 로드(31)와 로드 삽입 구멍(22c) 사이의 결합이 해소되고, 셔터(22)는 상승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로드(31)의 후퇴 상태에서는, 로크 플레이트(38)의 상태는 상기한 비장착 상태에서의 상태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다시 말해서, 로크 플레이트(38)의 작용부(38b)만이 결합 구멍(2b)의 후육부(22by)에 삽입되어 있지만, 상기 작용부(38b)는 결합 구멍(22b)의 내주 에지와는 접촉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작용부(38b)가 셔터(22)에 힘을 작용하지 않는다.
다음에, 상기한 솔레노이드 로드(31)의 후퇴 상태를 유지하면서, 누군가가 외부에서 로크 키(39)를 조작하여 로크 플레이트(38)를 그 중심축 둘레로 대략 45°회전시키면, 로크 플레이트(38)와 결합 구멍(22b)는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된 관계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로크 플레이트(38)의 작용부(38b) 뿐만아니라 상기 작용부(38b)에 인접해 있는 캠부(38a)도 결합 구멍(22b)의 내부로 서서히 삽입된다. 이 때, 최초로, 작용부(38b)의 상부면이 결합 구멍(22b)의 중앙에 배치된 경사 에지부(22bz)에 접촉하기 시작하고, 그 결과 셔터(22)에 상방향의 힘이 작용하기 시작한다. 작용부(38b)의 상부면은 경사 에지부(22bz)와 동일한 경사를 가지고 있으므로, 작용부(38b)의 상부면과 경사 에지부(22bz)의 슬라이딩운동은 원활하게 행해진다. 그 후, 캠부(38a)의 상부면이 경사 에지부(22bz)에 접촉하기 시작하지만, 캠부(38a)의 상부면은 평탄하므로, 캠부(38a)의 상부면과 경사 에지부(22bz)의 상호간의 슬라이딩운동 작용으로 인해 셔터(22)에는 더욱 큰 상방향의 힘이 작용하기 시작한다. 그 결과, 셔터(22)는 서서히 들어올려진다.
또한, 캠부(38a)의 상부면이 경사 에지부(22bz)에 접촉하기 시작하면, 상기 작용부(38b)와 결합 구멍(22b)의 내주 에지 사이의 접촉은 없어진다.
계속해서, 상기한 로드(31)의 후퇴 상태를 유지하면서 로크 플레이트(38)를 그 중심축 둘레로 추가로 대략 45°회전시키면, 로크 플레이트(38)와 결합 구멍(22b)은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관계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로크 플레이트(38)는 당초의 상태로부터 그 중심축 둘레로 대략 90°회전하고, 로크 플레이트(38)의 작용부(38b)는 대략 전체가 결합 구멍(22b)으로부터 빠지고, 동시에, 캠부(38a)만이 결합 구멍(22b)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 때, 캠부(38a)의 상부면이 경사 에지부(22bz)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캠부(38a)의 상부면이 경사 에지부(22bz)를 따라 슬라이딩운동한다. 따라서, 경사 에지부(22bz)의 경사도에 따라 셔터(22)에는 더욱 큰 상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셔터(22)를 더욱 들어올린다. 이 때, 작용부(38b)는 결합 구멍(22b)의 내주 에지에는 접촉하지 않으므로, 작용부(38b)가 셔터(22)에 힘을 작용하지는 않는다.
상기한 방식으로 로크 플레이트(38)를 회전시키면, 셔터(22)의 하단부와 몸체(21)의 저면부(21)의 상부면(21bb) 사이에는, 도 2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작은 간극(G)이 형성된다. 이것은 몸체(21)의 하단부에 형성된 카드 출구(27a)가 개방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식으로,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보관부(21e)에 겹쳐 쌓인 형태로 보관된 카드를 1장씩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로크 플레이트(38), 결합 구멍(22b), 그리고 로크 키(39)의 결합체가 셔터(22)의 폐쇄 상태를 해제하고 셔터(22)를 개방 상태로 로킹하는 개방 상태 로킹 기구(72)를 구성한다.
그 후, 다시, 카드 카세트 장치(20)를 카드 불출 장치(1)의 본체 유닛(10)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으면, 로크 플레이트(38)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로크 플레이트(38)와 셔터(22)의 결합 구멍(22b)의 결합을 해제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렇게 하면, 셔터(22)는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하강하여 원래의 폐쇄 위치에 복귀하고, 그 결과 카드 출구(27a)가 폐쇄된다.
[카드 불출 장치의 컨트롤러의 동작]
다음에는,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장착과 분리를 포함하여 본체 유닛 컨트롤러(61)와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의 동작에 대해서 도 3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 S1에서는, 정기적으로 데이터 라인 BDL의 기준 전위를 감시하는 본체 유닛 컨트롤러(61)가 데이터 라인 BDL의 기준 전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다시 말해서, H 레벨)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가 "NO"이면, 동작 흐름이 개시 단계로 복귀되고 본체 유닛 컨트롤러(61)는 스텝 S1을 다시 실행한다. 판별 결과가 "YES"이면, 본체 유닛 컨트롤러(61)는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다시 말해서, L 레벨)에서 H 레벨로의 기준 전위의 변화에 의해 카드 카세트 장치(20)가 카드 불출 장치(1)의 본체 유닛(10)에 장착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거나 인정한다. 그 다음에, 동작 흐름이 다음 단계인 스텝 S2로 진행한다.
스텝 S2에서는, 본체 유닛 컨트롤러(61)가 장착된 카드 카세트 장치(20)가 본체 유닛(10)에 적합한 것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다시 말해서, 본체 유닛 컨트롤러(61)가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본체 유닛(10)과의 적합성을 확인한다. 이러한 확인 동작은 정보 저장 장치(68)로부터 입수한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ID(카세트 식별 정보)를 정보 저장 장치(63)로부터 입수한 본체 유닛(10)의 ID(카세트 식별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수행된다. 판별 결과가 "NO"이면, 다시 말해서, 두 개의 ID가 일치하지 않으면, 동작 흐름은, 소정의 에러 처리가 수행되는, 스텝 S9로 진행한다. 그 후 동작 흐름은, 본체 유닛 컨트롤러(61)가 규정된 시간 간격마다 데이터 라인 BDL의 기준 전위가 L 레벨에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 S10으로 진행한다. 이것은 카드 카세트 장치(20)가 본체 유닛(10)에 장착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것이다.
스텝 S10에서의 판별 결과가 "NO"이면, 본체 유닛 컨트롤러(61)가 스텝 S10의 판별 동작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스텝 S10에서의 판별 결과가 "YES"이면, 본체 유닛 컨트롤러(61)가 개시 단계로 복귀하여 스텝 S1과 후속하는 스텝들을 다시 수행한다.
한편, 스텝 S2에서의 판별 결과가 "YES"이면, 다시 말해서, 두 개의 ID가 일치하면, 동작 흐름은, 본체 유닛 컨트롤러(61)가 데이터 라인 BDL, CDL을 통하여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에 대하여 솔레노이드(30)를 통전시키는(다시 말해서, 여자시키는) 지령을 송신하는, 다음 스텝 S3로 진행한다. 이 지령에 대응하여,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가 솔레노이드 구동 전원(67)에 대해 솔레노이드 제어 신호 SCS를 송신하여, 솔레노이드(30)를 여자시킨다. 솔레노이드(30)의 여자로 인해, 솔레노이드(30)의 로드(31)가 솔레노이드의 몸체로 후퇴하고 솔레노이드(30)의 로드(31)의 단부(31a)가 셔터(22)의 결합 구멍(22)으로부터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는, 셔터(22)가 들어올려질 수 있고 카드 출구(27a)가 개방될 수 있다. 그 후 동작 흐름이 다음 스텝 S4로 진행한다.
스텝 S4에서는,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가 규정된 시간 간격마다 셔터 센서(다시 말해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광전 센서(51))가 ON 상태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스텝 S4에서의 판별 결과가 "YES"이면, 광전 센서(51)가 ON 상태로, 다시 말해서, 광전 센서(51)의 출력 신호 PES가 H레벨로부터 L레벨로 변화한다. 이것은 셔터(22)가 들어올려지고 카드 출구(27a)가 개방되는 것을 의미한다(셔터(22)는 사람에 의해 손으로 들어올려진다). 그 후,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가 본체 유닛 컨트롤러(61)에 대하여 커맨드를 송신하여, 본체 유닛 컨트롤러(61)에게 셔터(22)가 개방되었고 카드 불출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통지한다. 그 후, 동작 흐름은 다음 스텝 S5로 진행한다.
스텝 S5에서는, 필요에 따라 카드 불출 동작이 행해진다.
다음 스텝 S6에서는,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가 규정된 시간 간격마다 셔터 센서(다시 말해서, 광전 센서(51))가 OFF 상태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스텝 S6에서의 판별 결과가 "YES"이면, 광전 센서(51)가 OFF 상태로, 다시 말해서, 광전 센서(51)의 출력 신호 PES가 L레벨로부터 H레벨로 변화한다. 이것은 셔터(22)가 하강하고 카드 출구(27a)가 폐쇄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 후,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가 본체 유닛 컨트롤러(61)에 대하여 커맨드를 송신하여, 본체 유닛 컨트롤러(61)에게 셔터(22)가 이미 폐쇄되었고 카드 불출 동작이 실행될 수 없다는 것을 통지한다. 그 후, 동작 흐름은 다음 스텝 S8로 진행한다.
스텝 S8에서는, 본체 유닛 컨트롤러(61)가 규정된 시간 간격마다 데이터 라인 BDL의 기준 전위가 L 레벨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이것은 스텝 S10와 동일하게, 이것은 카드 카세트 장치(20)가 본체 유닛(10)에 장착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것이다.
스텝 S8에서의 판별 결과가 "NO"이면, 본체 유닛 컨트롤러(61)가 스텝 S8의 판별 동작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스텝 S8에서의 판별 결과가 "YES"이면, 본체 유닛 컨트롤러(61)가 개시 단계로 복귀하여 복귀하여 스텝 S1과 후속하는 스텝들을 다시 수행한다.
이런 식으로, 카드 불출 장치(1)의 동작이 본체 유닛 컨트롤러(61)와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에 의해 제어되어, 미리 정보 저장 장치(68)에 저장된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ID(다시 말해서, 식별 정보)가 미리 정보 저장 장치(63)에 저장된 본체 유닛(10)의 ID와 일치할 때에만 카드를 불출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어서,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장착 및 분리를 포함하여 실제 사용시에 있어서의 카드 불출 장치(1)의 시간 종속 동작을 도 33A, 도 33B 및 도 33C의 타이밍 차트를 참고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도 33A는 데이터 라인 BDL, CDL의 기준 전위의 변화를 나타내고, 도 33B는 광전 센서의 출력 신호 PES의 변화를 나타내고, 도 33C는 솔레노이드(30)의 전류의 변화를 나타낸다.
카드 카세트 장치(20)가 본체 유닛(10)에 장착된 다음, 카드 카세트 장치(20)가 본체 유닛(10)으로부터 분리되면, 본체 유닛 컨트롤러(61)와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가 함께 아래와 같이 작용한다.
먼저, 카드 카세트 장치(20)가 본체 유닛(10)에 장착되면, 전기 커넥터(16, 37)를 통하여 본체 유닛(10)의 전원 라인 BPL, 데이터 라인 BDL 및 그라운드 라인 BGL이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전원 라인 CPL, 데이터 라인 CDL 및 그라운드 라인 CGL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풀업 회로(66)의 트랜지스터(TR)가 ON 상태로 되어, 도 33A의 시각 t1에서 풀업 회로(66)의 작동으로 인해 데이터 라인 BDL, CDL의 기준 전위가 L 레벨에서 H 레벨로 변화된다.
본체 유닛 컨트롤러(61)가 정기적으로 데이터 라인 BDL의 기준 전위를 감시하기 때문에, 본체 유닛 컨트롤러(61)는 H 레벨로의 데이터 라인 BDL의 기준 전위 변화를 검지하고 도 33A의 시각 t1 직후 시각 t2에서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장착을 알아낸다(도 32의 스텝 S1).
다음에는, 본체 유닛 컨트롤러(61)가 상기와 같이 장착된 카드 카세트 장치(20)가 본체 유닛(10)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별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체 유닛 컨트롤러(61)가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에 대해 제어 커맨드를 발송하여,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가 자신의 ID를 본체 유닛 컨트롤러(61)로 보내도록 지령한다. 이 지령에 대응하여,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가 정보 저장 장치(68)에 미리 저장된 자신의 ID를 읽어내서 이를 본체 유닛 컨트롤러(61)로 발송한다. 그 다음에, 본체 유닛 컨트롤러(61)는 이렇게 발송된 ID 정보를 정보 저장 장치(63)에 저장되어 있던 본체 유닛(10)의 ID와 비교하여,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본체 유닛(10)과의 적합성을 확인한다(도 32의 스텝 S2).
장착된 카드 카세트 장치(20)가 본체 유닛(10)에 적합한 것으로 판별되면, 본체 유닛 컨트롤러(61)는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에 대하여 솔레노이드(30)를 작동 또는 여자시키도록 하는 지령을 발송한다. 이 지령에 대응하여,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는 도 33A 및 도 33C의 시각 t3에서 솔레노이드(30)를 여자시킨다. 솔레노이드(30)의 여자로 인해, 솔레노이드 로드(31)가 후퇴되어 셔터(22)의 결합 구멍(22b)으로부터 분리되고, 이로 인해 셔터(22)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장착된 카드 카세트 장치(20)가 본체 유닛(10)에 적합하지 않으면, 본체 유닛 컨트롤러(61)는 소정의 에러 처리를 실행하고(도 32의 스텝 S9), 이것은 카드 불출 동작이 방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시각 t3에서 솔레노이드(30)가 여자된 후, 도 33B의 시각 t4에서 누군가에 의해 로크 키(39)가 조작되거나 회전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시각 t3에서 셔터(22)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되었으므로, 셔터(22)는 로크 플레이트(38)를 통한 로크 키(39)의 조작으로 인해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셔터(22)의 이러한 이동은 광전 센서(51)에 의해 즉시 검지되고, 광전 센서(51)의 출력 신호 PES가 H레벨에서 L레벨로 변화된다.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는 광전 센서(51)의 출력 신호 PES의 이러한 변화를 검지한 다음, 본체 유닛 컨트롤러(61)에 대해 제어 커맨드를 발송하여 셔터(22)가 개방 상태에 있다는 것을 본체 유닛 컨트롤러(61)에 알린다.
시각 t4 후, 셔터(22)의 장래의 폐쇄를 알아내기 위해서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는 광전 센서(51)의 출력 신호 PES의 변화를 감시한다.
도 33B의 시각 t5에서 누군가에 의해 로크 키(39)가 반대 방향으로 조작되거나 회전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셔터(22)는 스프링(35)의 탄성력으로 인해 자동적으로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폐쇄 위치에 도달한다. 셔터(22)의 이러한 이동은 광전 센서(51)에 의해 즉시 검지되고, 광전 센서(51)의 출력 신호 PES가 L레벨에서 H레벨로 변화된다.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는 광전 센서(51)의 출력 신호 PES의 이러한 변화를 검지한 다음, 본체 유닛 컨트롤러(61)에 대해 제어 커맨드를 발송하여 셔터(22)가 폐쇄 상태에 있다는 것을 본체 유닛 컨트롤러(61)에 알린다.
시각 t5 후, 셔터(22)(그리고 카드 출구(27a))는 카드 불출 동작이 불가능한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여, 본체 유닛 컨트롤러(61)는 셔터(22)(그리고 카드 출구(27a))가 폐쇄 상태에 있다는 것을 파악한 다음,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에 대해 솔레노이드(30)를 작동정지 또는 소자시키도록 하는 지령을 발송한다. 이 지령에 대응하여,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가 도 33C의 시각 t6에서 솔레노이드(30)를 소자시킨다. 솔레노이드(30)의 소자로 인해, 솔레노이드 로드(31)가 셔터(22)의 결합 구멍(22b)과 다시 결합되고, 이는 셔터(22)를 상하로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시킨다. 동시에, 로크 플레이트(38)의 결합편(38d)이 본체 유닛(10)의 결합 구멍(17)으로부터 이탈한다. 그 결과, 카드 카세트 장치(20)가 본체 유닛(10)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된다.
그 후, 카드 카세트 장치(20)가 본체 유닛(10)으로부터 분리되면, 풀업 회로(66)의 트랜지스터(TR)가 OFF 상태로 되어, 도 33A의 시각 t7에서 데이터 라인 BDL, CDL의 기준 전위가 H레벨로부터 L레벨로 변화된다. 본체 유닛 컨트롤러(61)는 데이터 라인 BDL의 이러한 기준 전위 변화를 검지하고 도 33A의 시각 t7 직후 시각 t8에서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비장착을 알아낸다(도 32의 스텝 S8).
상기한 구성과 동작으로 인해, 본 발명의 본 실시례에 따른 카드 카세트 장치(20)와 카드 불출 장치(1)는 아래의 유익한 효과를 가진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카드 카세트 장치(20)에는, 몸체(21)의 전면부(21d)를 따라 이동가능한 카드 출구(27a)를 개폐하는 셔터(22)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셔터(22)의 로드 삽입 구멍(22c)(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과 결합가능한 로드(31)(스토퍼 부재)와, 셔터(22)의 결합 구멍(22)(로크 부재 결합 구멍)과 결합가능한 로크 플레이트(38)(로크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로드(31), 로드 삽입 구멍(22c), 그리고 솔레노이드(30)(스토퍼 부재 이동 수단)의 결합체는 셔터(22)를 폐쇄 상태로 고정시키는 셔터 고정 기구(71)를 구성하고 있고, 로드(31)의 로드 삽입 구멍(22c)과의 결합 또는 분리는 솔레노이드(3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로크 플레이트(38), 결합 구멍(22b), 그리고 로크 키(39)(로크 부재 이동 수단)의 결합체는 셔터(22)의 폐쇄 상태를 해제하고 셔터(22)를 개방 상태로 로킹하는 개방 상태 로킹 기구(72)를 구성하고 있고, 로크 플레이트(38)의 결합 구멍(22b)과의 결합 또는 분리는 로크 키(39)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셔터 고정 기구(71)에 의해 발생된 셔터(22)의 폐쇄 상태는 카드 카세트 장치(20)를 카드 불출 장치(1)의 본체 유닛(10)에 장착하지 않고서는 해제될 수 없고, 셔터(22)의 개방 상태는 카드 카세트 장치(20)가 본체 유닛(10)에 장착되어 있는 장착 상태에서 셔터 고정 기구(71)에 의한 셔터 이동 저지 동작을 해제한 후 로크 키(39)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카드 출구(27a)를 개폐하는 셔터(22)의 이동은 셔터 고정 기구(71)에 의해 직접 저지될 수 있고, 그 결과 비장착 상태에서 외부에서 카드 출구(27a)를 불법적으로 개방하는 수단이 확실히 제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셔터(22)의 개방 상태는 카드 카세트 장치(20)를 본체 유닛(10)에 장착하고 셔터 고정 기구(71)에 의한 셔터 이동 저지 동작을 해제한 후 개방 상태 로킹 기구(72)의 로크 키(39)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발생되고 로킹될 수 있으므로, 장착 상태에서는 필요에 따라 카드 출구(27a)를 개방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본 발명의 본 실시례에 따른 카드 카세트 장치(20)에 의하면, 비장착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카드 출구(27a)를 불법적으로 개방하는 수단이 확실히 제거될 수 있고 장착 상태에서는 필요에 따라 카드 출구(27a)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종래 기술보다 높은 보안 등급이 실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 실시례에 따른 카드 불출 장치(1)에서는, 상기 카드 불출 장치(1)가 소정의 방향으로 카드를 송출하는 기능을 가진 본체 유닛(10)과 이 본체 유닛(1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카드를 내부에 보관하는 카드 카세트 장치(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20)에는, 카드 출구(27a)를 개방하도록 몸체(21)의 전면부(21d)를 따라 이동가능한 셔터(22)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셔터(22)를 폐쇄 상태로 고정시키는 셔터 고정 기구(71)가 설치되어 있다. 셔터 고정 기구(71)의 작동 및 비작동은 카드 카세트 장치(20)에 설치된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제2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카드 카세트 장치(20)가 본체 유닛(10)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는, 본체 유닛 컨트롤러(61)(제1 컨트롤러)와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가 데이터 라인 BDL, CDL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본체 유닛 컨트롤러(61)와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의 사이에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본체 유닛 컨트롤러(61)가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와의 통신을 실행하여, 식별 정보 저장 장치(63)에 저장된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ID를 이용하여 본체 유닛(10)에 장착되어 있는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적합성을 인증(認證)한다.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적합성이 인증되면, 본체 유닛 컨트롤러(61)는 셔터 고정 기구(71)를 비작동시키도록 하는 지령을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에 발송한다. 이 지령에 대응하여, 셔터 고정 기구(71)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개방 상태 로킹 기구(72)를 작동시킴으로써, 셔터(22)의 폐쇄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셔터(22)가 개방될 수 있다. 이것은 원하는 대로 카드 불출 동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적합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본체 유닛 컨트롤러(61)는 셔터 고정 기구(71)를 비작동시키도록 하는 지령을 카세트 장치 컨트롤러(65)에 발송하지 않으므로, 셔터(22)의 폐쇄 상태가 바뀌지 않고 유지된다. 다시 말해서, 개방 상태 로킹 기구(72)가 작동되더라도 셔터(22)가 개방될 수 없다. 이것은 카드 불출 동작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카드 카세트 장치(20)가 본체 유닛(10)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비장착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카드 출구(27a)를 불법적으로 개방하는 수단이 확실히 제거될 수 있다. 이것은 간단한 구성으로 종래 기술보다 높은 보안 등급을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적합성이 인증되지 않는 경우에는, 셔터 고정 기구(71)가 셔터(22)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므로, 비적합한 카드 카세트 장치(20)가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본체 유닛(10)에 적합한 소정의 카드 카세트 장치(20)의 사용만 허용될 수 있다는 것, 다시 말해서, 카드 카세트 장치(20)와 본체 유닛(10)은 일대일 대응 관계를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례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례와 그 변형례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임의의 다른 변형이 상기 실시례와 그 변형례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상기 실시례에 있어서, 셔터 고정 기구(71)로서, 로드(31)를 가진 솔레노이드(30), 셔터(22)의 로드 삽입 구멍(22c), 그리고 상기 로드(31)에 끼워진 스프링(32)가 사용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셔터 고정 기구(71)는 전기 모터 또는 다른 구동 장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례에서는 풀업 회로(66)가 카드 카세트 장치(20)에 사용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풀다운 회로(pull down circuit)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례에 있어서, 개방 상태 로킹 기구(72)로서, 로크 플레이트드(38), 셔터(22)의 결합 구멍(22b), 그리고 상기 로크 플레이트(38)를 회전시키는 로크 키(39)가 사용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방 상태 로킹 기구(72)는 임의의 다른 부품 및/또는 장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카드 카세트 장치(20)와 본체 유닛(10)에 사용된 여러 구성 요소와 이들의 형상 및 크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이며,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가 사용될 수 있고 이들의 형상 및 크기도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불출 장치 및 카드 카세트 장치는 복수의 카드를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 1장씩 카드를 송출 및/또는 불출하는 기능을 가지는 임의의 장치 또는 수단(예를 들면, 카드 처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기술하였지만,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 당업자에게 자명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5)

  1. 대상 장치의 본체 유닛에 장착할 수 있게 구성된 카드 카세트 장치로서,
    카드를 보관하는 보관부와 카드를 내보내는 카드 출구를 가지고 있는 몸체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보관부는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드 출구는 상기 몸체의 전방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드 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셔터는 상기 몸체의 전방 부분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며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과 로크 부재 결합 구멍을 가지고 있고;
    상기 몸체에 설치된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셔터의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과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기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과의 결합 또는 결합해제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스토퍼 부재 및/또는 상기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을 이동시키는 스토퍼 부재 이동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몸체에 설치된 로크 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셔터의 로크 부재 결합 구멍과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로크 부재의 상기 로크 부재 결합 구멍과의 결합 또는 결합해제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로크 부재 및/또는 상기 로크 부재 결합 구멍을 이동시키는 로크 부재 이동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스토퍼 부재, 상기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 그리고 상기 스토퍼 부재 이동 수단은 상기 셔터를 폐쇄 상태로 고정시키는 셔터 고정 기구를 구성하고;
    상기 로크 부재, 상기 로크 부재 결합 구멍, 그리고 상기 로크 부재 이동 수단은 상기 셔터의 폐쇄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셔터를 개방 상태로 로킹시키는 개방 상태 로킹 기구를 구성하고;
    상기 셔터 고정 기구는, 대상 장치의 본체 유닛에 카드 카세트 장치를 장착하지 않으면 상기 셔터 고정 기구에 의해 발생된 상기 셔터의 폐쇄 상태가 해제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개방 상태 로킹 기구는, 카드 카세트 장치가 본체 유닛에 장착되어 있는 장착 상태에서 상기 셔터 고정 기구에 의한 셔터 이동 방지 작동을 해제한 후 상기 로크 부재 이동 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셔터의 개방 상태가 발생되고 로킹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카세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 이동 수단이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솔레노이드의 로드와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카세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에 가이드 부재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셔터에 가이드 부재 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셔터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부재 결합 구멍에 의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카세트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가 소자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셔터가 폐쇄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솔레노이드가 여자 상태로 되면, 상기 셔터의 고정된 폐쇄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로크 부재 이동 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셔터의 개방 상태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카세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로크 부재와 상기 셔터의 로크 부재 결합 구멍의 결합에 의해서 발생되는 소정의 캠 작용을 가진 캠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카세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로크 부재와 상기 셔터의 로크 부재 결합 구멍의 결합에 의해서 발생되는 소정의 캠 작용을 가진 캠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셔터가 상기 캠 부분의 캠 작용으로 인해 이동되어, 상기 카드 출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카세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로크 부재와 상기 셔터의 로크 부재 결합 구멍의 결합에 의해서 발생되는 소정의 캠 작용을 가진 캠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캠 부분이 상기 로크 부재 결합 구멍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미끄럼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셔터를 이동시켜서 상기 카드 출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카세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 이동 수단으로서 로크 키가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로크 키는 상기 몸체의 외부에서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카세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가압 수단에 의해 상기 카드 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로크 부재 이동 수단은 상기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셔터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카세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 이동 수단이 상기 몸체의 외부로부터 닿을 수 없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카세트 장치.
  11. 카드 불출 장치로서,
    카드를 소정의 방향으로 송출하는 기능을 가진 본체 유닛을 포함하고 있고;
    카드를 보관하는 카드 카세트 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는 상기 본체 유닛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본체 유닛에 설치된 제1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에 설치된 몸체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몸체는 카드를 보관하는 보관부와 카드를 송출하는 카드 출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보관부는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드 출구는 상기 몸체의 전방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드 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셔터는 상기 몸체의 전방 부분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에 설치된 셔터 고정 기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셔터 고정 기구는 상기 셔터를 폐쇄 상태로 고정시키고;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에 설치된 개방 상태 로킹 기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개방 상태 로킹 기구는 상기 셔터의 폐쇄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셔터를 개방 상태로 로킹하고;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에 설치된 제2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기 셔터 고정 기구의 작동 및 비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가 상기 본체 유닛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상기 제2 컨트롤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상기 제2 컨트롤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라인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에 설치된 식별 정보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식별 정보 저장 수단은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가 상기 본체 유닛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컨트롤러와의 통신을 실행하여 상기 식별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장착된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의 적합성을 인증하고; 그리고
    장착된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의 적합성이 인증될 때에만 상기 제1 컨트롤러가 상기 셔터 고정 기구를 비작동시키는 지령을 상기 제2 컨트롤러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불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가 상기 본체 유닛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데이터 라인의 기준 전위를 제1 레벨로부터 제1 레벨과 다른 제2 레벨로 변화시키는 데이터 라인 기준 전위 변경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라인의 기준 전위가 상기 제2 레벨에 있을 때,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가 상기 본체 유닛에 장착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불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트롤러가 상기 데이터 라인의 기준 전위를 정기적으로 감시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의 기준 전위가 제2 레벨에서 제1 레벨로 변화되었을 때,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카드 카세트 장치가 상기 본체 유닛에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불출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개폐에 연동하여 상기 셔터의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를 검지하는 셔터 개폐 검지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셔터 개폐 검지 수단이 상기 셔터의 개방 상태를 검지한 경우에 카드 불출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불출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고정 기구가 상기 셔터에 형성된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 상기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에 결합가능한 스토퍼 부재, 그리고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기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과의 결합 또는 결합해제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스토퍼 부재 및/또는 상기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을 이동시키는 스토퍼 부재 이동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스토퍼 부재 이동 수단은 상기 제1 컨트롤러로부터 송출된 지령에 따라 상기 제2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된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솔레노이드의 로드와 일체로 되어 있고;
    상기 솔레노이드가 소자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셔터의 폐쇄 상태가 고정되고, 상기 솔레노이드가 여자 상태가 되면, 상기 셔터의 고정된 폐쇄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셔터는 개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불출 장치.
KR1020150104109A 2015-03-19 2015-07-23 카드 카세트 장치 및 이 카드 카세트 장치를 이용하는 카드 불출 장치 KR101608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55498A JP6287913B2 (ja) 2015-03-19 2015-03-19 カード・カセット装置
JPJP-P-2015-055498 2015-03-19
JP2015082219A JP6337279B2 (ja) 2015-04-14 2015-04-14 カード払出装置
JPJP-P-2015-082219 2015-04-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892B1 true KR101608892B1 (ko) 2016-04-04

Family

ID=53776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109A KR101608892B1 (ko) 2015-03-19 2015-07-23 카드 카세트 장치 및 이 카드 카세트 장치를 이용하는 카드 불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093475B2 (ko)
EP (1) EP3070688B1 (ko)
KR (1) KR101608892B1 (ko)
ES (1) ES2650241T3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1251A1 (zh) * 2016-06-06 2017-12-14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安全联锁的卡箱和自动售票机
KR101828827B1 (ko) 2016-12-09 2018-02-13 문병철 카드 인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77252S1 (en) * 2017-08-03 2020-03-03 International Currency Technologies Corporation Coin changer
CN107292356B (zh) * 2017-08-05 2023-06-06 广州明森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防止卡片掉落的卡盒以及应用该卡盒的发卡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2253A (ja) 1999-04-15 2000-10-31 Nec Corp カード用カセット
JP2007223802A (ja) 2006-01-24 2007-09-06 Nidec Sankyo Corp カード発行機及びシャッタ機構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3932A (ja) * 1994-06-01 1995-12-12 Mutou Kagaku Yakuhin Kk プレパラート用ガラス板自動繰出装置
US5611456A (en) * 1995-01-24 1997-03-18 Algonquin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dispensing tickets, cards and the like
US5941414A (en) * 1996-07-01 1999-08-24 Algonquin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dispensing tickets, cards and the like from a stack
JPH10250856A (ja) * 1997-03-12 1998-09-22 Asahi Seiko Co Ltd カード払い出し装置システム
US6196416B1 (en) 1999-06-30 2001-03-06 Asahi Seiko Usa, Inc. Device for dispensing articles of value and magazine therefor
US6938896B2 (en) * 2001-02-22 2005-09-06 Asahi Seiko Co., Ltd Automatic card dispensing unit with display capability
KR100527169B1 (ko) * 2003-12-31 2005-11-09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 개폐장치
CN101488254B (zh) * 2009-02-20 2011-03-23 深圳市中成汇实业有限公司 自动收发卡器
GB201615879D0 (en) * 2016-09-19 2016-11-02 Asahi Seiko (Europe) Ltd Card dispens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2253A (ja) 1999-04-15 2000-10-31 Nec Corp カード用カセット
JP2007223802A (ja) 2006-01-24 2007-09-06 Nidec Sankyo Corp カード発行機及びシャッタ機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1251A1 (zh) * 2016-06-06 2017-12-14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安全联锁的卡箱和自动售票机
KR101828827B1 (ko) 2016-12-09 2018-02-13 문병철 카드 인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70688B1 (en) 2017-10-25
US10954061B2 (en) 2021-03-23
EP3070688A1 (en) 2016-09-21
US20160272406A1 (en) 2016-09-22
ES2650241T3 (es) 2018-01-17
US20180362246A1 (en) 2018-12-20
US10093475B2 (en) 201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892B1 (ko) 카드 카세트 장치 및 이 카드 카세트 장치를 이용하는 카드 불출 장치
US4992648A (en) Data transfer system for currency cassettes
RU2224284C2 (ru) Транзакционный автомат
US6867685B1 (en) Electro-mechanical lock assembly
CA2023883C (en) Portable container for valuable items
US8978973B2 (en) Banking apparatus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US7102486B2 (en) Locking apparatus
US10354508B2 (en) Ink-staining anti-theft cash box
JP5780925B2 (ja) 運賃箱
US20090017904A1 (en) Game media processor
JP6337279B2 (ja) カード払出装置
JPH10249050A (ja) パチンコ島台
EP1045332B1 (en) Card Cassette
JP2016201054A5 (ko)
JP4597029B2 (ja) ロッカーの施錠装置
JP6287913B2 (ja) カード・カセット装置
JP6060333B2 (ja) 金銭収受装置
EP3070689A1 (en) Secure card cassette
KR101995949B1 (ko) 카드결제 처리장치
JP4597025B2 (ja) 電気錠
JP4551855B2 (ja) 電気錠装置
JP3446073B2 (ja) Icカード処理装置
JP2593373Y2 (ja) 紙葉類自動払い出し装置
JP3260744B2 (ja) 貴重品用ポータブル・コンテナ
US20160343213A1 (en) Secure card casset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