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4232A - 충전 제어장치, 충전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충전 제어장치, 충전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4232A
KR20130114232A KR1020137020622A KR20137020622A KR20130114232A KR 20130114232 A KR20130114232 A KR 20130114232A KR 1020137020622 A KR1020137020622 A KR 1020137020622A KR 20137020622 A KR20137020622 A KR 20137020622A KR 20130114232 A KR20130114232 A KR 20130114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harge
electric vehicle
contactor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이치 이시이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4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7Controlling two or more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3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network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4Optimising energy costs, e.g. responding to electricity 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1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9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witched or multiplexed charge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4Driver interactions by input of vehicle departure ti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6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i.e. power aggregation of EV or HEV, vehicle to grid arrangements [V2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복수의 전기 자동차들 (208, 209, 210) 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장치 (10) 는, 콘택터 (202, 203, 204) 를 통해 접속된 전기 자동차 (208, 209, 210) 의 충전 상태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이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도록 결정하며, 이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중단하고 다른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도록 결정하는 충전 결정부 (305); 및 충전 결정부 (305) 의 결정에 기초하여 콘택터 (202, 203, 204) 를 제어하는 콘택터 제어부 (302)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충전 제어장치, 충전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CHARGE CONTROL APPARATUS, CHARGE CONTROL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에 대한 충전 제어장치, 충전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 자동차 (electric automobile; EV) 들의 인기가 증가하고 있고, 따라서 향후에는 다수의 EV 를 한정된 수의 충전기를 사용하여 충전하는 경우들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경우에 가장 단순한 충전 방법은, 한 번에 1 대의 EV 들을 충전하고, EV 가 완전히 충전되거나 미리 정해진 종료 충전 용량까지 충전되는 경우 충전을 종료하며, 그 후 다음 EV 의 충전을 시작하는 것 등을 반복적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 충전 순서가 빠른 EV 들 모두가 완전히 충전될 때까지 충전 순서에서 이후에 있는 EV 에 대한 충전은 시작되지 않고, 따라서 이 EV 는 오래 동안 대기해야 한다.
특허문헌 1 은 복수의 배터리들 및 복수의 배터리들을 충전하는데 사용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원 시스템을 개시하고, 이 시스템은, 각각의 배터리로 흐르는 검출된 전류의 값에 기초하여 각각의 배터리의 충전 인수성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 및 각각의 산출된 충전 인수성에 기초하여 복수의 배터리들 중 우선적으로 충전되어야 하는 배터리를 선택하여 선택된 배터리를 우선적으로 충전하는 선택 충전 수단을 포함한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22473 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설명된 장치에서, 복수의 배터리들은 우선적으로 충전되어 완전히 충전된 배터리들 및 전혀 충전되지 않은 배터리들로 양극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목적은 전기 자동차들 간의 그 충전 상태에서의 편차가 억제될 수 있는 충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복수의 전기 자동차들의 충전을 제어하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제어장치는, 콘택터를 통해 접속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이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도록 결정하며,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중단하고 다른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도록 결정하는, 충전 결정부; 및 충전 결정부의 결정에 기초하여 콘택터를 제어하는 콘택터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들 간의 충전지의 전하 잔량의 편차가 억제될 수 있는 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충전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따른 충전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따라, 전기 자동차가 충전 시스템에 접속되는 경우 충전 결정부에 의해 수행된 동작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따라, 전기 자동차가 충전 시스템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충전 결정부에 의해 수행된 동작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따른 충전 결정부에 의해 실행된 충전 제어 프로세싱의 플로우차트의 예이다.
도 6 은 리튬 이온 배터리의 충전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효과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충전 제어장치 (10) 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 (20) 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시스템 (20) 은 충전 제어장치 (10), 전원부 (201), 콘택터들 (202, 203, 204), 및 측정부들 (205, 206, 207) 을 포함한다.
전원부 (201) 는, 스위치들로 구성되는 콘택터들 (202, 203, 204) 을 통해 전기 자동차들 (208, 209, 210) 에 접속되어, 전기 자동차들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기 자동차들 (208, 209, 210) 을 충전한다. 측정부들 (205, 206, 207) 은 콘택터들 (202, 203, 204) 과 각각 연관되어, 콘택터들에 접속된 전기 자동차들 (208, 209, 210) 의 각각의 충전 상태를 측정한다.
충전 상태를 측정하는 가능한 방법들은, 측정부를 전기 자동차에 접속함으로써 배터리 전하, 충전 전압, 또는 충전 전류를 측정하는 방법, 및 측정부를 콘택터의 전방 및 후방 케이블들에 접속함으로써 충전 전압 또는 충전 전류를 측정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측정부는 또한, 전기 자동차가 콘택터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충전 제어장치 (10) 는 측정부들 (205, 206, 207) 에 의해 측정된 충전 상태들에 기초하여 각각의 콘택터들 (202, 203, 204) 을 제어함으로써 각각의 전기 자동차들 (208, 209, 210) 의 충전을 제어한다.
도 2 는 충전 제어장치 (10) 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제어장치 (10) 는 충전 상태 수집부 (301), 콘택터 제어부 (302), 룰 유지부 (303), 부가 정보 입력부 (304), 및 충전 결정부 (305) 를 포함한다.
충전 상태 수집부 (301) 는 측정부들 (205, 206, 207) 에 의해 측정된 각각의 전기 자동차들 (208, 209, 210) 의 충전 상태들, 및 각각의 콘택터들 (202, 203, 204) 에 대한 전기 자동차들 (208, 209, 210) 의 접속 컨디션들을 수집한다.
콘택터 제어부 (302) 는 콘택터들 (202, 203, 204) 을 제어한다. 룰 유지부 (303) 는 충전 제어장치 (10) 에 의해 수행된 충전 제어의 룰들을 유지한다. 룰 유지부 (303) 에 의해 유지된 룰들은 충전 제어장치 (10) 의 외부로부터 변경될 수도 있다. 룰들은 또한, 충전 제어장치 (10) 에 의해 획득된 제어 결과들에 따라 내부적으로 갱신될 수도 있다.
부가 정보 입력부 (304) 는, 각각의 전기 자동차들 (208, 209, 210) 의 충전 상태들 이외의 정보를 사용하여 콘택터들 (202, 203, 204) 이 제어되는 경우 충전 상태들 이외의 정보를 유지 또는 외부적으로 입력하도록 사용된다. 충전 상태들 이외의 정보는 전기 자동차의 차종을 나타내는 정보, 배터리 용량에 관한 정보, 및 전기 자동차의 출발 시간과 같은 정보일 수도 있다. 부가 정보 입력부 (304) 는 또한, 사용자나 관리자에 의해 수행된 수동 조작을 통해 또는 센서 등을 사용한 검출을 통해 시스템에 대한 전기 자동차의 접속 및 시스템으로부터의 전기 자동차의 이탈을 나타내는 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충전 상태 수집부 (301) 에 의해 수집된 정보 및 부가 정보 입력부 (304) 로부터의 정보를 사용하여, 충전 결정부 (305) 는 룰 유지부 (303) 에 의해 유지된 룰들에 기초하여 콘텍터들을 제어 (즉, 콘택터들을 스위치 온 또는 오프) 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각 콘택터의 대한 제어 지시를 콘택터 제어부 (302) 로 송신한다.
또한, 충전 제어장치 (10) 이외의 종래의 기술이 충전 시스템 (20) 의 구성들에 적용될 수도 있으므로, 이들 구성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전기 자동차 (208, 209, 210) 는 전기만으로 달리는 전기 자동차, 또는 전기와 가솔린을 병용하면서 동작하는 하이브리드 (hybrid) 전기 자동차일 수도 있다.
도 3 은 전기 자동차 (208, 209, 210) 가 충전 시스템 (20) 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충전 결정부 (305) 에 의해 수행된 동작의 플로우차트이다.
충전 결정부 (305) 는, 충전 상태 수집부 (301) 또는 부가 정보 입력부 (304) 를 통해 전기 자동차가 시스템에 접속되어 있다는 것을 검출한 후 (단계 401: 예), 전기 자동차가 접속되어 있는 콘택터의 식별자를 제 1 충전 리스트에 추가한다 (단계 402).
여기서, 제 1 충전 리스트는, 아직 충전을 시작하지 않은 전기 자동차들이 접속되어 있는 콘택터들의 식별자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충전 결정부 (305) 에 의해 유지된 테이블이다. 콘택터들의 식별자들에 추가하여, 제 1 충전 리스트는 전기 자동차들의 접속 시간들, 전기 자동차들의 사용자들에 관한 정보 등을 유지할 수도 있다.
도 4 는 전기 자동차 (208, 209, 210) 가 충전 시스템 (20) 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충전 결정부 (305) 에 의해 수행된 동작의 플로우차트이다.
충전 결정부 (305) 는, 충전 상태 수집부 (301) 또는 부가 정보 입력부 (304) 를 통해 전기 자동차가 시스템으로부터 이탈되었다는 것을 검출한 후 (단계 501: 예), 제 1 충전 리스트 및 제 2 충전 리스트를 취출하고, 전기 자동차가 접속되어 있는 콘택터의 식별자를 삭제한다 (단계 502). 여기서, 제 2 충전 리스트는, 소정의 충전 상태를 만족하는 전기 자동차들이 접속되어 있는 콘택터들의 식별자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충전 결정부 (305) 에 의해 유지된 테이블이다. 콘택터들의 식별자들에 추가하여, 제 2 충전 리스트는 전기 자동차들의 접속 시간들, 전기 자동차들의 사용자들에 관한 정보 등을 유지할 수도 있다.
도 5 는 충전 결정부 (305) 에 의해 실행된 충전 제어 프로세싱의 플로우차트의 예이다. 충전 결정부 (305) 는 콘택터가 제 1 충전 리스트에 추가되는 것을 대기한다 (단계 601). 다시 말하면, 충전 결정부 (305) 는 전기 자동차가 충전 시스템 (20) 에 접속되는 것을 대기한다.
콘택터가 제 1 충전 리스트에 추가되는 경우 (단계 601: 예), 제 1 충전 리스트 상의 콘택터가 선택되고, 충전을 시작하기 위해 선택된 콘택터를 제어하도록 콘택터 제어부 (302) 에 대한 지시가 발행된다 (단계 602). 복수의 콘택터들이 제 1 충전 리스트 상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단일의 콘택터가 선택되어 제어된다. 가능한 선택 방법은 충전 시스템 (20) 에 대해 가장 이른 접속 시간을 갖는 콘택터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방법,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비싼 요금을 지불한 사용자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방법 등을 포함한다.
충전을 시작하는 경우, 충전 결정부 (305) 는 충전 상태 수집부 (301) 및 측정부들 (205, 206, 207) 을 통해 충전을 수행하는 콘택터에 접속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 값이 소정의 임계를 상회하거나 밑도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단계 603).
여기서, 충전 상태가 임계를 상회하는지 또는 밑도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모니터링이 수행되는지의 여부는 충전 상태로서 측정된 값에 의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충전 용량 (배터리 전하) 이 충전 상태로서 측정된다. 충전 용량이 충전 상태로서 측정되는 경우, 측정 값이 소정의 임계를 상회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모니터링이 수행된다.
도 6 은 리튬 이온 배터리 (LiB) 의 충전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통상적인 LiB 충전 방법인 정전류/정전압 충전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충전 전류", "전압", 및 "충전 용량" 에서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전류/정전압 충전 방법에서는, 충전 용량이 적은 동안 일정한 전류 값으로 충전이 수행된다. 그 후, 전압이 소정 값에 도달하는 경우, 전류 값은 점진적으로 감소되어 정전압에서 충전이 수행된다. 이 방법은 과도한 전압 증가로부터 충전지를 보호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6 의 충전 용량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충전의 시작에서, 전하량은 꾸준히 증가하지만 도중부터 그 증가 속도가 감소한다. 따라서, 충전 시작 직후 및 충전 종료 직전에 거의 동일한 충전량을 충전하는데 필요한 시간량은 상이하고, 따라서 충전 효율은 충전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나빠진다. 증가 속도가 감소하기 시작하는 충전 용량은 또한, 충전이 큰 전류에서 수행되는 경우 증가 속도가 더 작은 충전 용량으로 감소하기 시작하도록 충전 전류 값에 의존한다.
한편, 충전 용량 및 충전 시간에 관한 사용자 만족도를 고려하면, 60% 충전 용량을 갖는 EV 가 80% 에 도달하는데 10 분이 걸리지만 80% 에서의 EV 가 100% 에 도달하는데 30 분이 걸린다면, 사용자 만족도는 양쪽 경우에서 충전량이 20% 만큼 증가하더라도 크게 상이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전하량 증가가 양쪽 경우에서 20% 이더라도, 충전 전과 충전 후 전하량 간의 상대비를 고려하면, 사용자 만족도는 충전 용량이 60% 에서 80% 로 증가되는 경우 더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충전 용량 임계는 미리 설정되고, 모니터링이 수행되어 배터리 전하가 이 임계를 초과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충전 용량 임계가 예를 들어 75% 로 설정되는 경우, 50% 의 배터리 전하는 임계를 밑도는 것으로 결정되고 90% 의 배터리 전하는 임계를 상회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충전 전류 및 충전 전압이 또한, 충전 상태로서 측정될 수도 있다. 충전 전류가 측정되는 경우, 충전 전류는 충전이 진행함에 따라 꾸준히 감소하고, 따라서 모니터링이 수행되어 충전 전류가 소정의 임계를 밑도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충전 전압이 측정되는 경우, 모니터링이 수행되어 충전 전압이 소정의 임계를 상회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더욱이, 측정 값 모니터링 동작에 시간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전압이 측정되는 경우, 충전 전압은 충전이 진행함에 따라 일정해지고, 따라서 충전 전압이 임계를 상회하는 포인트 이후의 경과된 시간에 기초하여 충전 상태가 결정될 수도 있다.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가 소정의 컨디션에 도달하였다고 (즉, 임계를 상회하거나 밑돈다) 결정하면 (단계 603: 예), 충전 결정부 (305) 는 충전을 중단하도록 콘택터 제어부 (302) 에 지시를 발행하고, 그 후 충전을 수행하는 콘택터를 제 1 충전 리스트로부터 삭제하며, 이 콘택터를 제 2 충전 리스트에 추가한다 (단계 604).
다음으로, 충전 결정부 (305) 는 콘택터가 제 1 충전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콘택터가 여전히 등록되어 있는 경우 (단계 605: 예) 단계 602 로 진행한다.
콘택터가 제 1 충전 리스트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단계 605: 아니오), 충전 결정부 (305) 는 콘택터가 제 2 충전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콘택터가 제 2 충전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단계 606: 예), 충전 결정부 (305) 는 콘택터를 제 2 충전 리스트로부터 선택하고 충전을 시작하기 위해 선택된 콘택터를 제어하도록 콘택터 제어부 (302) 에 지시를 발행한다 (단계 607).
복수의 콘택터들이 제 2 충전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단일의 콘택터가 선택 및 제어된다. 가능한 선택 방법들은 충전 시스템 (20) 에 대한 가장 빠른 접속 시간을 갖는 콘택터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방법,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비싼 요금을 지불한 사용자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방법 등을 포함한다.
충전 중의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가 충전이 종료될 수도 있는 컨디션에 도달하였다고 결정한 후 (단계 608: 예), 충전 결정부 (305) 는 충전을 종료하도록 콘택터 제어부 (302) 에 지시를 발행한다 (단계 609). 충전 결정부 (305) 는 그 후, 단계 605 로 리턴하여 제 1 충전 리스트 및 제 2 충전 리스트에 등록된 콘택터가 없을 때까지 충전 프로세싱을 반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충전 시스템 (20) 이 한 번에 1 대의 전기 자동차 만을 충전할 수 있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전기 자동차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시스템에 의해 동시에 충전될 수 있는 전기 자동차들의 수는 시스템에 동시에 접속될 수 있는 전기 자동차의 최대 수보다 작은 것으로 가정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들 간의 충전지의 전하 잔량의 편차가 억제될 수 있도록 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이제 도 7 을 사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7(a) 는 비교예에 따른 충전 제어장치에 의해 수행된 충전 프로세싱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제어장치에 의해 수행된 충전 프로세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 에서, 충전되는 각각의 3 개의 전기 자동차들, 즉 EV1, 2, 3 의 배터리 전하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도 7(a) 에서, EV1, 2, 3 은, 충전중의 EV 가 충전이 종료될 수도 있는 컨디션에 도달하는 경우 다음의 EV 의 충전이 시작되는 순서로 충전된다. 도면들에서 분명해지듯이, 배터리 전하가 충전 종료 레벨에 접근하는 경우, 배터리 전하의 증가 속도가 감소한다.
도 7(b) 에서, 각각의 EV 들의 배터리 전하들이 점선으로 표시되는 소정의 임계를 초과하는 경우, EV 가 접속되는 콘택터는 제 2 충전 리스트로 시프트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 3 개의 EV 들의 배터리 전하들이 소정의 임계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충전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충전 시간에 대해 높은 배터리 전하 증가 속도를 갖는 EV 에 대해 우선적으로 충전이 수행되고, 따라서 배터리 전하를 증가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에서의 총 단축이 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출원은 2011년 1월 2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1-11346을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전체 내용들은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각종 변경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구성들 및 상세들과 관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형태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음의 부기들에서와 같이 설명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형태들은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부기 1)
복수의 전기 자동차들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장치로서,
콘택터를 통해 접속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도록 결정하며, 상기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중단하고 다른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도록 결정하는, 충전 결정부; 및
상기 충전 결정부의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콘택터를 제어하는 콘택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충전 제어장치.
(부기 2)
부기 1 에 있어서,
상기 충전 상태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지의 전하 잔량이고, 상기 전하 잔량이 소정의 임계 이하인 경우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 충전 제어장치.
(부기 3)
부기 1 에 있어서,
상기 충전 상태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시의 전류 값이고, 상기 전류 값이 소정의 임계 이상인 경우,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 충전 제어장치.
(부기 4)
부기 1 에 있어서,
상기 충전 상태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시의 전압 값이고, 상기 전압 값이 소정의 임계 이하인 경우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 충전 제어장치.
(부기 5)
복수의 전기 자동차들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 방법으로서,
콘택터를 통해 접속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도록 결정하며, 상기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중단하고 다른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도록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콘택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 제어 방법.
(부기 6)
컴퓨터로 하여금, 복수의 전기 자동차들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콘택터를 통해 접속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도록 결정하며, 상기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중단하고 다른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도록 결정하는 충전 결정부; 및
상기 충전 결정부의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콘택터를 제어하는 콘택터 제어부로서 기능하게 하는, 프로그램.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들 간의 충전지의 전하 잔량의 편차가 억제되도록 충전을 수행하기에 적합하다.
10 충전 제어장치
20 충전 시스템
201 전원부
202, 203, 204 콘택터
205, 206, 207 측정부
208, 209, 210 전기 자동차
301 충전 상태 수집부
302 콘택터 제어부
303 룰 유지부
304 부가 정보 입력부
305 충전 결정부

Claims (6)

  1. 복수의 전기 자동차들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장치로서,
    콘택터를 통해 접속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도록 결정하며, 상기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중단하고 다른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도록 결정하는, 충전 결정부; 및
    상기 충전 결정부의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콘택터를 제어하는 콘택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충전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상태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지의 전하 잔량이고,
    상기 전하 잔량이 소정의 임계 이하인 경우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 충전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상태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시의 전류 값이고,
    상기 전류 값이 소정의 임계 이상인 경우,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 충전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상태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시의 전압 값이고,
    상기 전압 값이 소정의 임계 이하인 경우,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 충전 제어장치.
  5. 복수의 전기 자동차들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 방법으로서,
    콘택터를 통해 접속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도록 결정하며, 상기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중단하고 다른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도록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콘택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 제어 방법.
  6. 컴퓨터로 하여금, 복수의 전기 자동차들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콘택터를 통해 접속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도록 결정하며, 상기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중단하고 다른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도록 결정하는 충전 결정부; 및
    상기 충전 결정부의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콘택터를 제어하는 콘택터 제어부로서 기능하게 하는, 프로그램.
KR1020137020622A 2011-01-21 2012-01-18 충전 제어장치, 충전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301142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11346 2011-01-21
JPJP-P-2011-011346 2011-01-21
PCT/JP2012/050951 WO2012099160A1 (ja) 2011-01-21 2012-01-18 充電制御装置、充電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232A true KR20130114232A (ko) 2013-10-16

Family

ID=46515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622A KR20130114232A (ko) 2011-01-21 2012-01-18 충전 제어장치, 충전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293195A1 (ko)
EP (1) EP2667480A4 (ko)
JP (1) JPWO2012099160A1 (ko)
KR (1) KR20130114232A (ko)
CN (1) CN103329394B (ko)
WO (1) WO20120991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9166B (zh) * 2012-08-17 2014-06-18 山东省科学院自动化研究所 一种改进的电动汽车网络管理装置及方法
JP5511924B2 (ja) * 2012-10-04 2014-06-04 三菱電機株式会社 充電制御装置
FR3001222B1 (fr) 2013-01-24 2016-01-22 Arkema France Composition composite de polymere halogene,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son utilisation
DE102014202416A1 (de) * 2014-02-11 2015-08-13 Robert Bosch Gmbh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 Schütz
JP6149806B2 (ja) * 2014-06-10 2017-06-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
JP6312781B1 (ja) * 2016-11-25 2018-04-18 株式会社h2ワークス 充電装置、充電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108256A (ja) 2018-12-27 2020-07-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バッテリ充電システム
JP7308069B2 (ja) * 2019-04-25 2023-07-13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車両充電装置
JP7387296B2 (ja) * 2019-05-17 2023-11-28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車両充電システム
JP7387297B2 (ja) * 2019-05-17 2023-11-28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車両充電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1145A (ja) * 1996-01-31 1997-10-14 Canon Inc 充電装置および方法
US6198251B1 (en) * 1997-06-03 2001-03-06 Fluor Corporation Method for sequentially charging batteries in situ
JPH11275772A (ja) * 1998-03-20 1999-10-08 Canon Inc 充電システム、充電装置および電池パック
JP4068275B2 (ja) * 1999-12-08 2008-03-2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充電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
JP2004222473A (ja) 2003-01-17 2004-08-05 Toyota Motor Corp 車両用電源システム及び充電方法
JP4980735B2 (ja) * 2007-01-26 2012-07-18 株式会社リコー 給電装置及び給電システム
JP5118913B2 (ja) * 2007-07-24 2013-0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動車両ならびに電源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4333798B2 (ja) * 2007-11-30 2009-09-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制御装置および充電制御方法
US7888883B2 (en) * 2008-01-25 2011-02-15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Lighting device having cross-fade and method thereof
CN201374569Y (zh) * 2008-12-09 2009-12-30 剩沅科技股份有限公司 充电站
US8775846B2 (en) * 2009-07-10 2014-07-08 Protonex Technology Corporation Portable power manager having one or more device ports for connecting with external power loads
US8294420B2 (en) * 2009-09-29 2012-10-23 Schneider Electric USA, Inc. Kiosk vehicle charging and selecting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29394A (zh) 2013-09-25
US20130293195A1 (en) 2013-11-07
WO2012099160A1 (ja) 2012-07-26
EP2667480A1 (en) 2013-11-27
CN103329394B (zh) 2016-05-11
JPWO2012099160A1 (ja) 2014-06-30
EP2667480A4 (en) 201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4232A (ko) 충전 제어장치, 충전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CN105612081B (zh) 用于车辆的蓄电系统
JP5480520B2 (ja) 電池制御装置、車両、及び電池制御方法
US20160049821A1 (en) Electrical storage system, and full charge capacity estimation method for electrical storage device
JP5009223B2 (ja) 二次電池の残存容量推定方法及び装置
KR20150130922A (ko) 전원 제어 장치
WO2010109872A1 (ja) 電池制御装置、車両、及び電池制御方法
CN104054214A (zh) 蓄电系统
CN103813928A (zh) 电池的处理装置、车辆、电池的处理方法及电池的处理程序
JP2021061747A (ja) 蓄電池制御装置および電動車両
JP2016114584A (ja) バッテリの劣化状態判定装置及び劣化状態判定方法
CN109314399B (zh) 车载电源系统
EP2581257A2 (en) Battery charger for electric vehicles
CN112055913A (zh) 充电控制装置、输送设备以及程序
JP5146487B2 (ja) 電源装置
JP2012138979A (ja) 組電池の出力均等化システム
CN110549858B (zh) 车辆
JP2010174775A (ja) 車両制御装置
JP2012050281A (ja) 電動車両のバッテリ充電システム
JP2000217206A (ja) 電気自動車の充電制御装置
CN114616125B (zh) 电池管理方法和提供该电池管理方法的电池系统
JP6607161B2 (ja) 車載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5171262A (ja) 車両用充電装置
JP2004120866A (ja) 電気自動車の電力制御装置
JP6680068B2 (ja) 充放電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