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2077A -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붐 연동구조 - Google Patents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붐 연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2077A
KR20130112077A KR1020120034176A KR20120034176A KR20130112077A KR 20130112077 A KR20130112077 A KR 20130112077A KR 1020120034176 A KR1020120034176 A KR 1020120034176A KR 20120034176 A KR20120034176 A KR 20120034176A KR 20130112077 A KR20130112077 A KR 20130112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ladder boom
boom
pair
pull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건이
Original Assignee
양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건이 filed Critical 양건이
Priority to KR1020120034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2077A/ko
Publication of KR20130112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4Jib-cranes adapted for attachment to standard vehicles, e.g. agricultural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eology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가 사다리차량에 탑재되는 사다리붐 중 제1단사다리붐과 제2단사다리붐을 유압실린더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고, 제3단사다리붐 이상의 사다리붐은 상기 유압실린더의 개폐에 따라 상호연결된 구동와이어에 의해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한 쌍의 1선의 구동와이어의 구동에 따른 마찰손상 및 단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고, 사다리붐 및 화물의 하중을 최대로 받는 제1단사다리붐과 제2사다리붐 사이의 구동을 유압실린더로 구동함에 따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붐 연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단사다리붐과 제2단사다리붐을 유압실린더로 연결하여 개폐하기 때문에, 구동와이어 구동을 위한 권취드럼이 생략되게되어 사다리붐의 개폐를 위한 장치를 간편하게 이룰 수 있으며, 구동와이어가 최상단 사다리붐까지 연결될 필요없이 이웃하는 사다리붐 별로 형성되기 때문에 와이어의 마찰 손상 및 단선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붐 연동구조{The structure of aerial ladder extended by a hydraulic cylinder}
본 발명은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붐 연동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가 사다리차량에 탑재되는 사다리붐 중 제1단사다리붐과 제2단사다리붐을 유압실린더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고, 제3단사다리붐 이상의 사다리붐은 상기 유압실린더의 개폐에 따라 상호연결된 구동와이어에 의해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한 쌍의 1선의 구동와이어의 구동에 따른 마찰손상 및 단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고, 사다리붐 및 화물의 하중을 최대로 받는 제1단사다리붐과 제2사다리붐 사이의 구동을 유압실린더로 구동함에 따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붐 연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고가 사다리차량은 차량의 화물 적재부위에 다수의 사다리붐을 장착한 후 길이의 연장을 위해 상호 연동되어 와이어로 구동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도1은 종래 구동와이어가 제1단사다리붐부터 최상단사다리붐까지 1선으로 한 쌍 연속하여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1선의 구동와이어가 사다리붐의 개수에 연동하여 길이가 길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각 사다리붐 개폐시 마찰에 의해 손상 또는 단선될 위험이 항존하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구동와이어의 길이가 전체적으로 길기 때문에 와이어가 각 사다리붐 내부에서 정위치에 있지 않을 경우 각 사다리붐의 개폐시 동일한 장력을 유지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상기 구동와이어와 별도로 익스텐션 와이어 혹은 리트랙션 와이어를 인접한 사다리붐 별로 조를 이루어 연결하여 부가 사용하곤 하였으나, 구동와이어와 별도의 와이어가 이중 혹은 삼중으로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상승하거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고, 구동와이어를 구동하기 위한 권취드럼(8)이 제1단사다리붐 외부면에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치의 규모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950721호 (등록일자: 2010.03.25.) 는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2를 참조하면 제1단사다리붐과 제2단사다리붐의 연장동력을 제3단 이상의 사다리붐의 연장동력과 차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제1단의 외부면 중간 부위에 유압실린더를 구비하고 유압실린더의 로드 끝단에 롤러를 구비하여 제1단사다리붐의 어느 일측에 고정된 와이어가 상기 롤러를 통해 제2단사다리붐의 하단에 고정되어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연장되거나 축소될 때 제2단사다리붐이 와이어를 따라 개폐되도록 하며, 3단이상의 사다리붐은 종전처럼 권취드럼(8)에 귄취된 구동와이어를 통해 개폐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의 경우 제1단사다리붐에 유압실린더를 사용하면서도 제1단사다리붐과 제2단사다리붐사이의 구동은 여전히 별도의 구동와이어를 통해 연장 또는 축소되도록 하고 있어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기술은 여전히 3단이상은 동일한 구동와이어를 통해 구동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개폐에 따른 마찰로 구동와이어의 손상 및 단선의 위험을 피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종래의 권취드럼(8)이 제1단사다리붐의 외부면 일측에 그대로 존재하고 있고 상기 권취드럼(8)과 함께 유압실린더가 상기 제1단사다리붐의 외부면에 더 구비됨으로 인해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KR 10-0950721 B1 2010.03.25.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단사다리붐의 외부면 하단에 유압실린더를 고정 장착하고 제2단사다리붐의 외부면 상단에 로드를 고정장착함으로써 제1단 및 제2단사다리붐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며, 제3단사다리붐부터 최상단사다리붐은 각 사다리붐별로 연결된 구동와이어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의 개폐에 따라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1선의 구동와이어의 구동에 의한 위험을 예방함과 동시에 제1단사다리붐 외부면에 장착되는 권취드럼을 생략하여 구조적으로 간단하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붐 연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 하단에 하부제1풀리가 한쌍 형성되는 제1단사다리붐과; 상기 제1단사다리붐의 내부에서 개폐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내부 하단에 하부제2풀리가 한쌍 형성되며 상단에 상부제2풀리가 한 쌍 형성되는 제2단사다리붐과; 상기 제2단사다리붐의 내부에서 개폐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내부 하단에 하부제3풀리가 두 쌍 형성되며 상단에 상부제3풀리가 한 쌍 형성되는 제3단사다리붐과; 상기 제3단사다리붐의 내부에서 개폐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내부 하단에 하부제4풀리가 두 쌍 형성되며 상단에 상부제4풀리가 한 쌍 형성되는 제4단사다리붐과; 상기 제4단사다리붐의 내부에서 개폐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내부 하단에 하부제5풀리가 한 쌍 형성되며 상단에 상부제5풀리가 한 쌍 형성되는 제5단사다리붐; 및 상기 제5단사다리붐의 내부에서 개폐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내부 하단에 하부제6풀리가 한 쌍 형성되는 제6단사다리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단사다리붐의 외부면 하단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며, 제2단사다리붐의 외부면 상단의 좌우 양측에 로드의 끝단이 결합되는 유압실린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단사다리붐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단사다리붐의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제1풀리에 연결되고, 이후 제2단사다리붐의 상단에 형성된 한 쌍의 상부제2풀리에 연결되며, 이후 제3단사다리붐의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제3풀리에 연결된 후 제3단사다리붐의 상단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구동와이어와; 제2단사다리붐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단사다리붐의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제2풀리에 연결되고, 이후 제3단사다리붐의 상단에 형성된 한 쌍의 상부제3풀리에 연결되며, 이후 제4단사다리붐의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제3풀리에 연결된 후 제4단사다리붐의 상단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2구동와이어와; 제3단사다리붐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3단사다리붐의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제3풀리에 연결되고, 이후 제4단사다리붐의 상단에 형성된 한 쌍의 상부제4풀리에 연결되며, 이후 제5단사다리붐의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제5풀리에 연결된 후 제5단사다리붐의 상단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3구동와이어; 및 제4단사다리붐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4단사다리붐의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제4풀리에 연결되고, 이후 제5단사다리붐의 상단에 형성된 한 쌍의 상부제5풀리에 연결되며, 이후 제6단사다리붐의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제6풀리에 연결된 후 제6단사다리붐의 상단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4구동와이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로부터 로드가 연장되는 경우, 제1와이어 내지 제4와이어에 의해 제3단사다리붐 내지 제6단사다리붐이 연동되어 연장되며, 상기 로드가 유압실린더 내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와이어 내지 제4와이어에 의해 제3단사다리붐 내지 제6단사다리붐이 연동되어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단사다리붐과 제2단사다리붐을 유압실린더로 연결하여 개폐하기 때문에, 구동와이어 구동을 위한 권취드럼이 생략되게되어 사다리붐의 개폐를 위한 장치를 간편하게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와이어가 최상단 사다리붐까지 연결될 필요없이 이웃하는 사다리붐 별로 형성되기 때문에 와이어의 마찰 손상 및 단선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1은 종래 구동와이어가 일체로 형성되어 최상단 사다리붐까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2는 종래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사다리붐의 연결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제1단사다리붐과 제2단사다리붐을 연결하는 유압실린더가 연장된 채 3단이상의 사다리붐이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제1단사다리붐과 제2단사다리붐을 연결하는 유압실린더가 연장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사다리붐이 연장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라 제1단사다리붐과 제2단사다리붐을 연결하는 유압실린더가 축소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라 사다리붐이 축소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8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고가 사다리차량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라 제1단사다리붐과 제2단사다리붐을 연결하는 유압실린더가 연장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평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제1단사다리붐(10)과 제2단사다리붐(20)이 유압실린더(70)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유압실린더(70)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제1단사다리붐(10)과 제2단사다리붐(20)이 상호 연장 또는 축소되며 개폐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구동와이어가 제1단사다리붐(10) ~ 제3단사다리붐(30), 제2단사다리붐(20) ~ 제4단사다리붐(40), 제3단사다리붐(30) ~ 제5단사다리붐(50) 및 제4단사다리붐(40) ~ 제6단사다리붐(60)에 개별 연결됨으로써, 상기 유압실린더(70)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각각의 구동와이어가 연동되어 개폐되면서 제3사다리붐(30) 내지 제6사다리붐(60)을 연장하거나 축소하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편의상 사다리붐이 6개인 것을 예로 들었으나,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7단이상의 사다리붐을 갖는 고가 사다리차에도 권리범위가 그대로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압실린더(70)는 하부 끝단이 제1단사다리붐(10)의 외부면 하단 양측에 고정되게 되며, 상기 유압실린더(70)로부터 연장 또는 축소되는 로드(71)의 상부 끝단은 제2단사다리붐(20)의 외부면 상단 양측에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제1단사다리붐(10)과 제2단사다리붐(20)이 유압실린더(70)에 의해 상호 연장 또는 축소되기 때문에, 상기 유압실린더(70)가 구동와이어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종래와는 달리 상기 유압실린더(70)가 제1단사다리붐(10)과 제2단사다리붐(20) 사이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안정적인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사다리차량에 탑재되는 사다리붐의 개폐시에는 제1단사다리붐(10)과 제2단사다리붐(20)에 인가되는 힘이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것으로서, 제1단사다리붐(10)과 제2단사다리붐(20)이 1차적으로 연장되면서 제3단사다리붐(30) 이상의 사다리붐이 연동하여 연장되게 된다. 따라서, 제1단사다리붐(10)과 제2단사다리붐(20)의 연동작용에 미치는 힘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필요가 있는데, 종래에는 1선의 한 쌍의 구동와이어에 의해 최상단의 사다리붐까지 일괄적으로 연동됨으로 인해 구동와이어에 미치는 힘이 과도하게 작용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구동와이어와 사다리붐과의 계속적인 마찰로 인해 구동와이어의 손상 또는 단선이 초래될 위험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다리붐의 연장 또는 개폐시 1차적으로 힘이 미치게 되는 제1단사다리붐(10)과 제2단사다리붐(20) 사이의 구동을 유압실린더(70)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다리붐의 개폐가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구동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이은 사다리붐별로 구동와이어를 개별 구비함으로써, 상기 유압실린더(70)에 의해 제1단사다리붐(10)과 제2단사다리붐(20)이 연동하여 구동할 때 차례로 연장 또는 축소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3과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단사다리붐(10)의 내부 하단에는 하부제1풀리(11)가 좌우로 대칭되게 한 쌍 형성되게 되며, 제2단사다리붐(20)의 내부 하단에는 좌우로 대칭되게 하부제2풀리(21)가 한 쌍 형성되게 되며 또한 상기 제2단사다리붐(20)의 내부 상단에는 상부제2풀리(22)가 좌우로 대칭되게 한 쌍 형성되게 된다. 제3단 및 제4단사다리붐(30, 40)의 내부 하단에는 좌우로 대칭되게 하부제3풀리 및 하부제4풀리(31, 41))가 각각 두 쌍 형성되게 되며, 상기 제3단 및 제4단사다리붐(30, 40)의 내부 상단에는 상부제3풀리 및 상부제4풀리(32, 42))가 각각 좌우로 대칭되게 형성되게 된다. 제5단사다리붐(50)은 제2단사다리붐과 마찬가지로 내부 하단의 좌우에 대칭되게 하부제5풀리(51)가 한 쌍 형성되며, 내부 상단에는 상부제5풀리(52)가 좌우로 대칭되게 한 쌍 형성되게 되며, 제6단사다리붐(50)은 제1단사다리붐과 마찬가지로 내부 하단에만 하부제6풀리(61)가 좌우로 대칭되게 한 쌍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은 6단으로 이루어지는 사다리차량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7단 이상의 고단으로도 얼마든지 연장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이 7단 이상의 고단으로 형성되게 되면, 제3단 및 제4단사다리붐에 형성된 상하부풀리와 동일한 형태로 중간의 사다리붐이 형성될 수 있으며, 최상단사다리붐 및 상기 최상단사다리붐의 직전 사다리붐의 내부에 형성되는 풀리만 제1단사다리붐 및 제2단사다리붐과 각각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예를 들면 20단의 사다리붐을 갖는 고가 사다리차량에 적용되게 되면, 제3단사다리붐 내지 제18사다리붐의 내부 하단에는 하부풀리가 좌우로 대칭되게 두 쌍 형성되게 되고, 상단에는 상부풀리가 좌우로 대칭되게 한 쌍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제19단사다리붐은 제2단사다리붐과 동일한 형태로 내부 상하단에 각각 좌우 대칭되게 상하부풀리가 형성되게 되며, 제20단사다리붐의 내부 하단에는 제1단사다리붐과 같은 형태로 좌우 대칭되게 한 쌍의 하부풀리가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단의 사다리붐이 하부단의 사다리붐의 내부에 개폐가능한 상태로 결합되게 되며 상호 연결된 구동와이어의 구동에 따라 연동되어 개폐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각 구동와이어가 인접한 3단의 사다리붐에 걸쳐 연결되게 되며, 제1단사다리붐(10) 및 제2단사다리붐(20)에 연결 결합된 유압실린더(70)의 연장 및 축소에 따라 상기 각 구동와이어가 연동되어 구동되면서 3단이상의 사다리붐을 연장하거나 축소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각 구동와이어는 제1단 내지 제4단사다리붐의 상부에 고정되어 연결된 후 중간의 사다리붐을 거쳐 제3단 내지 제6단사다리붐의 상부에 각각 고정되게 된다. 제1구동와이어(81)의 경우, 제1단사다리붐(1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단사다리붐(10)의 내부 하단에 형성된 하부제1풀리(11)에 연결되게 되고, 이후 제2단사다리붐(20)의 내부 상단에 형성된 상부제2풀리(22)에 연결된 다음, 제3단사다리붐(30)의 내부 하단에 형성된 하부제3풀리(31)에 연결되게 되며, 이후 상기 제3단사다리붐(30)의 내부 상단에 고정되게 된다.
제2구동와이어(82)의 경우, 제2단사다리붐(2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단사다리붐(20)의 내부 하단에 형성된 하부제2풀리(21)에 연결되게 되고, 이후 제3단사다리붐(30)의 내부 상단에 형성된 상부제3풀리(32)에 연결된 다음, 제4단사다리붐(40)의 내부 하단에 형성된 하부제4풀리(41)에 연결되게 되며, 이후 상기 제4단사다리붐(40)의 내부 상단에 고정되게 된다.
제3구동와이어(83)는 제3단사다리붐(3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3단사다리붐(30)의 내부 하단에 형성된 하부제3풀리(31)의 어느 한 쌍에 각각 연결되게 되고, 이후 제4단사다리붐(40)의 내부 상단에 형성된 상부제4풀리(42)에 연결된 다음, 제5단사다리붐(50)의 내부 하단에 형성된 하부제5풀리(51)에 연결되게 되며, 이후 상기 제5단사다리붐(50)의 내부 상단에 고정되게 된다.
제4구동와이어(84)는 제4단사다리붐(4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4단사다리붐(40)의 내부 하단에 형성된 하부제4풀리(41)의 어느 한 쌍에 각각 연결되게 되고, 이후 제5단사다리붐(50)의 내부 상단에 형성된 상부제5풀리(52)에 연결된 다음, 제6단사다리붐(60)의 내부 하단에 형성된 하부제6풀리(61)에 연결되게 되며, 이후 상기 제6단사다리붐(60)의 내부 상단에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은 편의상 6단사다리붐의 구성을 예로 들었지만, 동일구성으로 7단이상의 고가 사다리차량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본 발명이 예를 들면 20단의 사다리붐을 갖는 고가 사다리차량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형태로 구동와이어가 형성되게 되며, 제1단사다리붐 및 제2단사다리붐에 연결 결합된 유압실린더(70)의 연장 또는 축소에 따라 구동와이어가 작동되게 되며, 상기 구동와이어에 연동하여 3단이상의 각 사다리붐이 연장되거나 축소되게 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제1단사다리붐(10)과 제2단사다리붐(20)에 결합되어 있는 유압실린더(70)의 로드(71)가 연장되면서 3단이상의 사다리붐이 연동되어 연장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고, 도6은 제1단사다리붐(10)과 제2단사다리붐(20)을 연결하는 유압실린더(70)가 축소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7은 전체 사다리붐이 축소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경우, 각 사다리붐이 축소된 상태에서는 제2단사다리붐(20)의 상부제2풀리(22)와 제3단사다리붐(30)의 하부제3풀리(31) 사이의 제1구동와이어(81), 제3단사다리붐(30)의 상부제3풀리(32)와 제4단사다리붐(40)의 하부제4풀리(41) 사이의 제2구동와이어(82), 제4단사다리붐(40)의 상부제4풀리(42)와 제5단사다리붐(50)의 하부제5풀리(51) 사이의 제3구동와이어(83) 및 제5단사다리붐(50)의 상부제5풀리(52)와 제6단사다리붐(60)의 하부제6풀리(61) 사이의 제4구동와이어(84)가 늘어진 상태에 있게 되는데, 제1단사다리붐(10)과 제2단사다리붐(20)의 양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유압실린더(70)가 연장되게 되면, 제2단사다리붐(20) 내지 제6단사다리붐(60) 사이의 늘어진 상태에 있던 제1 내지 제4구동와이어의 부분이 축소되면서 각 사다리붐이 연동되어 연장되게 된다.
즉, 제1단사다리붐(10)과 제2단사다리붐(20)이 유압실린더(70)에 의해 연장되게 되면, 제1구동와이어(81)의 경우 제1단사다리붐(10)의 내부 하단에 위치한 하부제1풀리(11)와 제2단사다리붐(20)의 내부 상단에 위치한 상부제2풀리(22) 사이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상기 상부제2풀리(22)와 제3단사다리붐(30)의 내부 하단에 위치한 하부제3풀리(31) 사이의 길이는 짧아지면서, 이에 따라 제2단사다리붐(20)과 제3단사다리붐(30)이 상호 연장되게 된다. 제2구동와이어(82)의 경우 제2단사다리붐(20)의 내부 하단에 위치한 하부제2풀리(21)와 제3단사다리붐(30)의 내부 상단에 위치한 상부제3풀리(32) 사이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상기 상부제3풀리(32)와 제4단사다리붐(40)의 내부 하단에 위치한 하부제4풀리(41) 사이의 길이는 짧아지면서, 이에 따라 제3단사다리붐(30)과 제4단사다리붐(40)이 상호 연장되게 된다. 또한, 제3구동와이어(83)의 경우 제3단사다리붐(30)의 내부 하단에 위치한 하부제3풀리(31)와 제4단사다리붐(40)의 내부 상단에 위치한 상부제4풀리(42) 사이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상기 상부제4풀리(42)와 제5단사다리붐(50)의 내부 하단에 위치한 하부제5풀리(51) 사이의 길이는 짧아지면서, 이에 따라 제4단사다리붐(40)과 제5단사다리붐(50)이 상호 연장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4구동와이어(84)의 경우는 제4단사다리붐(40)의 내부 하단에 위치한 하부제4풀리(41)와 제5단사다리붐(50)의 내부 상단에 위치한 상부제5풀리(52) 사이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상기 상부제5풀리(52)와 제6단사다리붐(60)의 내부 하단에 위치한 하부제6풀리(61) 사이의 길이는 짧아지면서, 이에 따라 제5단사다리붐(50)과 제6단사다리붐(60)이 상호 연장되게 된다. 따라서, 제1단사다리붐(10)과 제2단사다리붐(20)의 양측에 형성된 유압실린더(70)가 연장되면서, 제3단사다리붐(30) 내지 제6단사다리붐(60)이 차례로 연동되어 연장되면서 전체 사다리붐이 연장되게 된다.
사다리붐이 축소되는 경우는 연장되는 상황과 반대로 진행되게 된다. 각 사다리붐이 연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단사다리붐(10)과 제2단사다리붐(20)의 양측에 연결되어 결합형성된 유압실린더(70)가 축소되게 되면, 제1구동와이어(81)의 경우 제1단사다리붐(10)의 하부제1풀리(11)와 제2단사다리붐(20)의 상부제2풀리(22)간 간격이 줄어들면서, 상대적으로 제2단사다리붐(20)의 상부제2풀리(22)와 제3단사다리붐(30)의 하부제3풀리(31) 사이의 상기 제1구동와이어(81)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단사다리붐(20)과 제3단사다리붐(30)이 축소되게 된다. 제2구동와이어(82)의 경우에는 제2단사다리붐(20)의 하부제2풀리(21)와 제3단사다리붐(30)이 상부제3풀리(32)간 간격이 줄어들면서, 상대적으로 제3단사다리붐(30)의 상부제3풀리(32)와 제4단사다리붐(40)의 하부제4풀리(41) 사이의 상기 제2구동와이어(82)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제3단사다리붐(30)과 제4단사다리붐(40)이 축소되게 된다. 또한, 제3구동와이어(83)의 경우에는 제3단사다리붐(30)의 하부제3풀리(31)와 제4단사다리붐(40)이 상부제4풀리(42)간 간격이 줄어들면서, 상대적으로 제4단사다리붐(40)의 상부제4풀리(42)와 제5단사다리붐(50)의 하부제5풀리(51) 사이의 상기 제3구동와이어(83)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제4단사다리붐(40)과 제5단사다리붐(50)이 축소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4구동와이어(84)의 경우에는 제4단사다리붐(40)의 하부제4풀리(41)와 제5단사다리붐(50)이 상부제5풀리(52)간 간격이 줄어들면서, 상대적으로 제5단사다리붐(50)의 상부제5풀리(52)와 제6단사다리붐(60)의 하부제6풀리(61) 사이의 상기 제4구동와이어(84)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제5단사다리붐(50)과 제6단사다리붐(60)이 축소되게 된다. 따라서, 제1단사다리붐(10)과 제2단사다리붐(20)의 양측에 형성된 유압실린더(70)가 축소되면서, 제3단사다리붐(30) 내지 제6단사다리붐(60)이 차례로 연동되어 축소되면서 전체 사다리붐의 길이가 축소되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편의상 사다리붐이 6개인 것을 예로 들었지만, 동일한 형태의 풀리 및 구동와이어로 이루어지며 7단이상의 사다리붐을 갖는 고가 사다리차에도 권리범위가 그대로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단사다리붐(10)과 제2단사다리붐(20) 사이에 형성된 유압실린더(70)의 구동력 및 인접한 각 사다리붐에 형성된 구동와이어를 통해 사다리붐의 개폐가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 권취드럼(8)에 의해 1선의 구동와이어를 감거나 풀게 되는 형식으로 이루어지던 사다리붐의 연장 또는 축소 기능을 안전하고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1: 제1사다리붐 2: 제2사다리붐
3: 제3사다리붐 4: 제4사다리붐
5: 제5사다리붐 6: 제6사다리붐
7: 유압실린더 8: 권취드럼
10: 제1사다리붐 11: 하부제1풀리
20: 제2사다리붐 21: 하부제2풀리
22: 상부제2풀리 30: 제3사다리붐
31: 하부제3풀리 32: 상부제3풀리
40: 제4사다리붐 41: 하부제4풀리
42: 상부제4풀리 50: 제5사다리붐
51: 하부제5풀리 52: 상부제5풀리
60: 제6사다리붐 61: 하부제6풀리
70: 유압실린더 71: 로드
81: 제1구동와이어 82: 제2구동와이어
83: 제3구동와이어 84: 제4구동와이어
90: 대차 100: 사다리차

Claims (4)

  1. 고가 사다리차량에 탑재되는 사다리붐 연동구조에 있어서,
    내부 하단에 하부제1풀리(11)가 한쌍 형성되는 제1단사다리붐(10)과;
    상기 제1단사다리붐(10)의 내부에서 개폐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내부 하단에 하부제2풀리(21)가 한쌍 형성되며 상단에 상부제2풀리(22)가 한 쌍 형성되는 제2단사다리붐(20)과;
    상기 제2단사다리붐(20)의 내부에서 개폐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내부 하단에 하부제3풀리(31)가 두 쌍 형성되며 상단에 상부제3풀리(32)가 한 쌍 형성되는 제3단사다리붐(30)과;
    상기 제3단사다리붐(30)의 내부에서 개폐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내부 하단에 하부제4풀리(41)가 두 쌍 형성되며 상단에 상부제4풀리(42)가 한 쌍 형성되는 제4단사다리붐(40)과;
    상기 제4단사다리붐(40)의 내부에서 개폐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내부 하단에 하부제5풀리(51)가 한 쌍 형성되며 상단에 상부제5풀리(52)가 한 쌍 형성되는 제5단사다리붐(50); 및
    상기 제5단사다리붐(50)의 내부에서 개폐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내부 하단에 하부제6풀리(61)가 한 쌍 형성되는 제6단사다리붐(6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붐 연동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사다리붐(10)의 외부면 하단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2단사다리붐(20)의 외부면 상단의 좌우 양측에 로드(71)의 끝단이 결합되는 유압실린더(7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붐 연동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제1단사다리붐(10)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단사다리붐(10)의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제1풀리(11)에 연결되고, 이후 제2단사다리붐(20)의 상단에 형성된 한 쌍의 상부제2풀리(22)에 연결되며, 이후 제3단사다리붐(30)의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제3풀리(31)에 연결된 후 제3단사다리붐(30)의 상단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구동와이어(81)와;
    제2단사다리붐(20)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단사다리붐(20)의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제2풀리(21)에 연결되고, 이후 제3단사다리붐(30)의 상단에 형성된 한 쌍의 상부제3풀리(32)에 연결되며, 이후 제4단사다리붐(40)의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제3풀리(31)에 연결된 후 제4단사다리붐(40)의 상단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2구동와이어(82)와;
    제3단사다리붐(30)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3단사다리붐(30)의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제3풀리(31)에 연결되고, 이후 제4단사다리붐(40)의 상단에 형성된 한 쌍의 상부제4풀리(42)에 연결되며, 이후 제5단사다리붐(50)의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제5풀리(51)에 연결된 후 제5단사다리붐(50)의 상단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3구동와이어(83); 및
    제4단사다리붐(40)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4단사다리붐(40)의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제4풀리(41)에 연결되고, 이후 제5단사다리붐(50)의 상단에 형성된 한 쌍의 상부제5풀리(52)에 연결되며, 이후 제6단사다리붐(60)의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제6풀리(61)에 연결된 후 제6단사다리붐(60)의 상단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4구동와이어(8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붐 연동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70)로부터 로드(71)가 연장되는 경우, 상기 제1와이어 내지 제4와이어에 의해 제3단사다리붐 내지 제6단사다리붐이 연동되어 연장되며,
    상기 로드(71)가 유압실린더(70) 내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와이어 내지 제4와이어에 의해 제3단사다리붐 내지 제6단사다리붐이 연동되어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붐 연동구조.
KR1020120034176A 2012-04-03 2012-04-03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붐 연동구조 KR20130112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176A KR20130112077A (ko) 2012-04-03 2012-04-03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붐 연동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176A KR20130112077A (ko) 2012-04-03 2012-04-03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붐 연동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077A true KR20130112077A (ko) 2013-10-14

Family

ID=49633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176A KR20130112077A (ko) 2012-04-03 2012-04-03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붐 연동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20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544B1 (ko) * 2020-12-30 2021-07-01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적층된 사다리들을 인출하여 각각의 사다리들의 횡봉이 일치되게 정렬시키는 장치
KR20230134764A (ko) * 2022-03-15 2023-09-22 주식회사 에이치알이앤아이 사다리차 붐대 구동용 와이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544B1 (ko) * 2020-12-30 2021-07-01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적층된 사다리들을 인출하여 각각의 사다리들의 횡봉이 일치되게 정렬시키는 장치
KR20230134764A (ko) * 2022-03-15 2023-09-22 주식회사 에이치알이앤아이 사다리차 붐대 구동용 와이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0215B2 (en) Wire grip
US8863964B2 (en) Crane
CN102878165B (zh) 伸缩臂和工程机械
WO2015194268A1 (ja) 伸縮ブームの伸縮装置
ITMO20120170A1 (it) Braccio telescopico per macchine operatrici
KR20130112077A (ko)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붐 연동구조
AU2018209160A1 (en) Telescoping jib comprising a rod guying system for a mobile crane and guying method therefor
CN203920549U (zh) 一种车厢及车厢顶盖的传动机构
EP3071308B1 (en) Nested lift assemblies
US9260279B2 (en) Lift assembly with tapered drums
CN110540129B (zh) 一种具有单双排作业模式的可折叠集装箱组合吊具
KR101438868B1 (ko) 리프팅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수송차량
KR200340446Y1 (ko) 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
JP6620303B2 (ja) 伸縮部材
CN103213527A (zh) 一种伸缩车棚
JP6099079B2 (ja) 拡幅車体
CN203173774U (zh) 高空车新型臂体同步伸缩结构
CN103628770B (zh) 电动伸缩门的牵引结构
KR102635934B1 (ko) 사다리차 붐대 구동용 와이어 장치
CN103303821B (zh) 吊臂
CN205294697U (zh) 用于物料往复提升机构的负重结构
JP6099077B2 (ja) 拡幅車体
CN217996460U (zh) 吊具提升系统
ITMI992065A1 (it) Guida cordature mobili e copertura mobile comprendente tale guida
KR101176186B1 (ko) 캔버스 도어의 승강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