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934B1 - 사다리차 붐대 구동용 와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사다리차 붐대 구동용 와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934B1
KR102635934B1 KR1020220031949A KR20220031949A KR102635934B1 KR 102635934 B1 KR102635934 B1 KR 102635934B1 KR 1020220031949 A KR1020220031949 A KR 1020220031949A KR 20220031949 A KR20220031949 A KR 20220031949A KR 102635934 B1 KR102635934 B1 KR 102635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stage
stage boom
wir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4764A (ko
Inventor
박장현
김동열
김영길
유상철
김범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알이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알이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알이앤아이
Priority to KR1020220031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934B1/ko
Publication of KR20230134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다리차 붐대 구동용 와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를 견인하는 윈치를 1개 사용으로도 2개의 위치 설치 효과를 갖도록 하여 주와이어의 부하를 감소함과 아울러 소형의 유압모터 사용이 가능함과 아울러, 운반카의 중량에 의해 작용되는 붐의 수축량이 줄게 되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붐대를 신축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가장 하부에 위치되는 겉단붐(60)으로 부터 5단붐(50) 4단붐(40) 3단붐(30) 2단붐(20) 및 가장 상부에 위치되는 속단붐(10)이 각각 순차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는 붐어세이(100)와;
상기 겉단붐(60)의 일측에 위치되어 유압 모터에 의해 구동와이어(W)를 감겨지게 하거나 풀려지게 하는 윈치(200)와;
상기 붐어세이(100)의 5단붐(50) 4단붐(40) 3단붐(30) 2단붐(20) 및 속단붐(10)들에 회전 자유롭게 하단부로 설치되는 제1 하단풀리(51)(41)(31)(21)(11)와;
상기 붐어세이(100)의 겉단붐(60) 5단붐(50) 4단붐(40) 3단붐(30) 및 2단붐(20)들에 회전 자유롭게 상단부로 설치되는 제1 상단풀리(62)(52)(42)(32)(22)와;
상기 붐어세이(100)의 5단붐(50) 4단붐(40) 3단붐(30) 2단붐(20) 및 속단붐(10)들에 회전 자유롭게 하단부로 설치되는 제2 하단풀리(53)(43)(33)(23)(13)와;
상기 붐어세이(100)의 5단붐(50) 4단붐(40) 3단붐(30) 및 2단붐(20)들에 회전 자유롭게 상단부로 설치되는 제2 상단풀리(54)(44)(34)(24)와;
상기 붐어세이(100)의 5단붐(50) 4단붐(40) 3단붐(30) 및 2단붐(20)에 회전 자유롭게 상단부로 설치되는 보조풀리(55)(45)(35)(25)들에 감기며, 속단붐(10)이 인출되는 높이에 맞추어 각각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보조와이어(300);가 포함되며,
상기 구동와이어(W)는 제1 상단풀리(62)(52)(42)(32)(22)와 제1 하단풀리(51)(41)(31)(21)(11)에 각각 감겨진 후 그 일측으로 배치되는 제2 하단풀리(53)(43)(33)(23)(13)와 제2 상단풀리(54)(44)(34)(24)에 병렬로 감겨져서 그 끝단부가 겉단붐(60)의 상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다리차 붐대 구동용 와이어 장치{Wire device for driving the boom of ladder car}
본 발명은 사다리차 붐대 구동용 와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를 견인하는 윈치를 1개 사용으로도 2개의 윈치 설치 효과를 갖도록 하여 주와이어의 부하를 감소함과 아울러 소형의 유압모터 사용이 가능함과 아울러, 운반카의 중량에 의해 작용되는 붐의 수축량이 줄게 되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붐대를 신축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가 사다리차라 함은 다단의 붐을 길이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인출하여 신장함에 따라 건물의 고소에 안착시키고, 다단의 붐을 따라 이동되는 운반카를 이용하여 이삿짐이나 화물 등의 중량물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차량을 말한다.
종래의 고가 사다리차는 국내 공개 실용신안 제1998-63344호의 “화물수송용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붐 연동구조가 알려져 있다.
즉, 1개의 붐 내측에 인접하는 다른 붐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방식으로 다수개의 제1단 내지 제6단 붐들이 조립되고, 붐들을 동시에 동일한 길이로 연장시키는 구동와이어가 한쪽은 권취드럼에 권취되고 다른 쪽 선단은 다른 붐들에 차례로 엇갈리게 걸면서 다른 사다리붐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붐들 중 제1단 붐으로부터 시작하여 연속하는 3개의 붐들마다 익스텐션 와이어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권취드럼에 감겨진 구동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줌에 따라 최종단의 붐이 신축하면서 다른 붐들을 다수개의 연동와이어로 동시에 연동시키도록 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구동와이어가 제2단 사다리붐의 안내풀리를 감은 다음 제3단 붐의 선단에 연결 고정된다.
아울러 붐들 중 연속하는 3개의 붐인 제1단 내지 제3단 사다리붐, 제2단 내지 제4단 붐, 제3단 내지 제5단 붐, 제4단 내지 제6단 붐마다 익스텐션 와이어와는 별개로 리트렉션 와이어가 연결 설치된다.
리트렉션 와이어는 익스텐션 와이어와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구조로 설치된다.
따라서, 권취드럼을 회전시켜 구동와이어를 감아들이면 제1단 내지 제6단 붐들이 인출된다.
반대로 상기 권취드럼에 감겨져 있는 구동와이어를 풀어주면 제2단 내지 제6단 붐이 동일한 길이 만큼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면서 줄어들게 됨으로써, 제2단 내지 제6단 붐들이 자중에 의해 인입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사다리붐 연동구조는 붐들의 인입 동작을 위하여 사다리를 지면에서 적어도 60도 이상으로 기립시켜야 하는데, 현장에서는 인출된 사다리를 기립시키는 과정에서 사다리의 전복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인출된 사다리가 직립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제2단 내지 제6단 붐이 인입되는 과정에서, 각각의 붐의 후단에 리트렉션 와이어가 감겨지는 리트렉션 와이어 안내로울러가 구비됨에 따라 리트렉션 와이어들이 처지게 됨으로써, 리트렉션 와이어들이 서로 꼬이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또 각각의 붐들에 다수의 익스텐션 와이어와 다수의 리트렉션 와이어를 연결 설치해야 하므로 와이어의 수가 많아지고 이에 따라 사용되는 와이어들의 합산 길이도 길게 됨으로써, 사다리의 제조에 많은 비용이 들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도 1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사다리차의 붐 신축용 와이어장치를 개략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가장 하부에 위치되는 겉단붐(60)에는 유압 모터에 의해 구동와이어(W)를 감겨지게 하거나 풀려지게 하는 윈치(70)가 설치된다.
윈치(70)에 연결된 구동와이어(W)는 겉단붐(60)의 상부에 위치되는 6단상부풀리(61) 거쳐서 그 상부에서 내부로 출몰되는 5단붐(50)의 하부에 위치되는 5단하부풀리(52)에 감겨지게 된다.
그리고, 다시 5단붐(50) 상부에 위치되는 5단상부풀리(51) 거쳐서 그 내부로 출몰되는 4단붐(40)의 하부에 위치되는 4단하부풀리(42)에 감겨지게 된다.
이러한 동일한 방법으로 4단붐(40)과 3단붐(30)을 거쳐 2단붐(20)의 상부에 위치되는 2단상부풀리(22)에 구동와이어(W)가 감겨진 후 속단붐인 1단붐(10)의 하부풀리(11)에 감겨진 상태에서 구동와이어(W)의 끝단이 2단붐(20)의 선단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1단붐(10) 내지 5단붐(50)에는 그 하단에 연결되는 붐들을 연결하여 속단인 1단붐(10)이 인출되는 높이에 맞추어 각각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와이어(80)들이 설치되어 있다.
또, 각 붐대들을 따라 화물을 적재한 상태로 운반카를 승강시키기 위해 별도의 운반카용 윈치로 구동되는 운반카와이어(W1)도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와이어장치는 윈치(70)를 구동하여 구동와이어(W)가 보빈에 감겨지게 하면 구동와이어(W)에 감겨져 있던 각 풀리들 사이가 당겨지게 하는 외력이 작용되면서 각 붐들은 순차적으로 인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구동와이어(W)가 풀리는 방향으로 윈치(70)가 동작되면 각 풀리들을 당기고 있든 인력이 해제되면서 붐들의 자중에 의해 순차적으로 인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인출되는 각 붐들을 지면과 60도 이상으로 기립시키지 않고도 저각에서 인입이 가능하게 되고, 보조 와이어들을 통해 와이어의 수를 줄임에 따라 사용되는 와이어들의 합산 길이가 짧게 되었다.
그러나, 도 1과 같은 종래 붐대 신축용 와이어 시스템은 겉단인 6단붐(60)으로부터 속단인 1단붐(10) 까지 한줄의 구동와이어(W)를 통해 신축 구동이 이루어지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동와이어(W)에 부하가 크게 작용될 수 밖에 없다.
또, 구동와이어(W)를 구동시키는 윈치의 유압모터를 대용량으로 설치해야 하고, 무거운 화물을 탑재한 운반카가 승강될 때 그 중량에 의해 1줄의 구동와이어로 인출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각 붐대들은 수축이 비교적 크게 발생된다.
그러므로, 붐대 수축으로 유격이 형성되고 운반카가 이동될 때 소음과 진동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국내 등록 특허공보 제10-1446690호 (등록일자 2014년09월25일) 국내 등록 특허공보 제10-0548051호 (등록일자 2006년01월24일)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한줄의 구동와이어를 2열로 배열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2개의 윈치로 붐대들을 신축시키는 것과 같은 구동 효과를 갖도록 한 사다리차 붐대 구동용 와이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와이어에 작용되는 부하를 감소시켜 소용량의 윈치용 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고 전체 중량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 사다리차 붐대 구동용 와이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반카가 이동될 때 중량에 의해 발생되는 붐대의 수축량을 대폭 줄일 수 있어 소음과 진동 발생원인을 제거하고 안정되고 정숙한 운전이 가능하도록 된 사다리차 붐대 구동용 와이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장 하부에 위치되는 겉단붐(60)으로 부터 5단붐(50) 4단붐(40) 3단붐(30) 2단붐(20) 및 가장 상부에 위치되는 속단붐(10)이 각각 순차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는 붐어세이(100)와;
상기 겉단붐(60)의 일측에 위치되어 유압 모터에 의해 구동와이어(W)를 감겨지게 하거나 풀려지게 하는 윈치(200)와;
상기 붐어세이(100)의 5단붐(50) 4단붐(40) 3단붐(30) 2단붐(20) 및 속단붐(10)들에 회전 자유롭게 하단부로 설치되는 제1 하단풀리(51)(41)(31)(21)(11)와;
상기 붐어세이(100)의 겉단붐(60) 5단붐(50) 4단붐(40) 3단붐(30) 및 2단붐(20)들에 회전 자유롭게 상단부로 설치되는 제1 상단풀리(62)(52)(42)(32)(22)와;
상기 붐어세이(100)의 5단붐(50) 4단붐(40) 3단붐(30) 2단붐(20) 및 속단붐(10)들에 회전 자유롭게 하단부로 설치되는 제2 하단풀리(53)(43)(33)(23)(13)와;
상기 붐어세이(100)의 5단붐(50) 4단붐(40) 3단붐(30) 및 2단붐(20)들에 회전 자유롭게 상단부로 설치되는 제2 상단풀리(54)(44)(34)(24)와;
상기 붐어세이(100)의 5단붐(50) 4단붐(40) 3단붐(30) 및 2단붐(20)에 회전 자유롭게 상단부로 설치되는 보조풀리(55)(45)(35)(25)들에 감기며, 속단붐(10)이 인출되는 높이에 맞추어 각각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보조와이어(300);가 포함되며,
상기 구동와이어(W)는 제1 상단풀리(62)(52)(42)(32)(22)와 제1 하단풀리(51)(41)(31)(21)(11)에 각각 감겨진 후 그 일측으로 배치되는 제2 하단풀리(53)(43)(33)(23)(13)와 제2 상단풀리(54)(44)(34)(24)에 병렬로 감겨져서 그 끝단부가 겉단붐(60)의 상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와이어(W)는 2단붐(2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 상부풀리(21)에 구동와이어(W)가 감겨진 후 속단붐인 1단붐(10)의 제1 하부풀리(12)에 감겨진 다음 그 일측에 위치되는 1단붐(10)의 제2 하부풀리(13)를 향해 가로 질러서 감겨지며, 2단붐(20)의 제2 상부풀리(24)에 감겨진 후 수직하게 내려와 제2 하부풀리(23)에 각각 감겨지도록 하여 구동와이어(W)가 2열로 배치된다.
상기 구동와이어(W)의 끝단부는 겉단붐(60)에 고정되며 고리 형상으로 통과구멍(64)이 관통된 고정크램프(65)에 통과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구동와이어가 2줄로 배열되어 풀리들에 감겨진 상태로 붐어세이를 신축시키게 된다.
따라서, 한개의 윈치를 사용하면서도 도루래 원리에 의해 2개의 윈치를 사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구동 효율과 안정성이 우수해진다.
또, 구동와이어의 부하 감소로 소용량의 유압모터로도 윈치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운반카 중량에 따라 작용되는 붐의 수축량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어 운반카 주행시 소음과 진동 발생을 줄이게 된다.
특히, 25m 전후로 사용되는 고가 사다리차에 있어서 붐대의 신축 동작과 운반카의 주행이 안정되고 신뢰성과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사다리차의 붐어세이 끝단에 탑승함이 탑재된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종래 붐어세이를 신축시키기 위한 와이어 구동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붐어세이를 신축시키기 위한 와이어 구동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붐어세이를 신축시키기 위한 와이어 구동 시스템을 도시한 장치도.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
도 6은 도 4의 A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구동와이어의 끝단 고정부 구성을 확대 도시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붐어세이가 인입된 상태의 정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상의 사다리차(1)에는 붐어세이(100)가 다단으로 윈치(200)를 통한 구동와이어(W)의 당김이나 풀림 동작에 의해 안테나식으로 신축 가능하게 탑재되어 있으며, 붐어세이(100)가 신장된 상태에서는 짐을 탑재하는 운반카(2)가 각 붐대들의 가이드트랙 안내로 승강 이동된다.(도 1)
그리고, 붐어세이(100)는 붐대 각도조절 실린더(4)에 의해 원하는 각도로 조절가능하게 된다.
붐어세이(100)는 겉단붐(60)으로 부터 5단붐(50) 4단붐(40) 3단붐(30) 2단붐(20) 및 가장 상부에 위치되는 속단붐(10)이 각각 순차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며, 각 붐들에는 양쪽으로 대칭되게 내부를 향해 가이드트랙이 일체로 성형되고, 하부에는 다수개의 크로스바들이 고정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운반카(2)에 구비되는 수개의 안내로울러(5)들이 가이드트랙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트랙의 양쪽 측면에는 운반카(2)의 상부와 하부 양쪽 끝단에 위치된 사이드롤러(도시없음)들이 접촉되어 주행과정에서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운반카(2)의 상부로는 적재대(3)가 탑재되어 운반카 윈치장치에 의해 와이어가 상부로 당길 때는 붐어세이(100)를 따라 안내로울러(5)들과 사이드롤러들이 가이드트랙의 상하 좌우 양쪽에서 각각 접촉된 상태로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운반카(20가 붐어세이(100)의 최선단에 붐대 구동용 와이어 장치에 의해 도달하게 되고, 하강할 때는 화물과 운반카(2)의 자중에 의해 최하단 위치까지 하강시킨 후 적재대(3)에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겉단붐(60)의 주로 저면에는 윈치(200)가 설치되어 유압 모터의 정역 회전에 의해 구동와이어(W)를 감겨지게 하거나 풀려지게 하여 붐어세이(100)를 신축 동작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붐어세이(100)의 5단붐(50)과 4단붐(40), 3단붐(30), 2단붐(20) 및 가장 상부에 위치되는 1단의 속단붐(10)들에는 제1 하단풀리(51)(41)(31)(21)(11)들이 회전 자유로운 상태로 하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붐어세이(100)의 겉단붐(60)과 5단붐(50), 4단붐(40), 3단붐(30) 및 2단붐(20)들에는 (62)(52)(42)(32)(22)들이 회전 자유로운 상태로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5단붐(50)과 4단붐(40), 3단붐(30), 2단붐(20) 및 속단붐(10)들에는 제1 하단풀리(51)(41)(31)(21)(11)들과 대칭되게 그 일측으로 회전 자유롭게 제2 하단풀리(53)(43)(33)(23)(13)들이 설치되어 있고, 동시에 상기 5단붐(50)과 4단붐(40), 3단붐(30) 및 2단붐(20)들에는 제1 상단풀리(62)(52)(42)(32)(22)들과 대칭되게 그 일측으로 회전 자유롭게 제2 상단풀리(54)(44)(34)(24)들이 각각 설치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윈치(200)의 구동 방향에 따라 감겨지면서 당기거나 풀리게 되는 상기 구동와이어(W)는 제1 상단풀리(62)(52)(42)(32)(22)와 제1 하단풀리(51)(41)(31)(21)(11)에 각각 감겨진 후 그 일측으로 배치되는 제2 하단풀리(53)(43)(33)(23)(13)와 제2 상단풀리(54)(44)(34)(24)에 병렬로 감겨져서 그 끝단부가 겉단붐(60)의 상단에 고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붐어세이(100)를 신축시키기 위한 와이어 구동 시스템을 개략도로 도시하고, 도 4는 붐어세이(100)의 각 붐들이 신축된 상태에서 와이어 구동 시스템이 설치된 상태의 장치도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제1 상단풀리(62)(52)(42)(32)(22)와 제1 하단풀리(51)(41)(31)(21)(11)의 일측으로 제2 하단풀리(53)(43)(33)(23)(13)와 제2 상단풀리(54)(44)(34)(24)들이 나란하게 2열로 각각 배치되고, 이들 풀리들에 각각 감겨지는 구동와이어(W)는 1줄로 이어진 상태에서 병렬로 배치된다.
즉,윈치(200)에 연결된 구동와이어(W)는 겉단붐(6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 상단풀리(62) 거쳐서 그 상부에서 내부로 출몰되는 5단붐(5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1 하단풀리(51)에 감겨지게 된다.
그리고, 다시 5단붐(50) 상부에 위치되는 제1 상단풀리(52) 거쳐서 그 내부로 출몰되는 4단붐(4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1 하부풀리(41)에 감겨지게 된다.
이러한 동일한 방법으로 4단붐(40)과 3단붐(30)을 거쳐 2단붐(2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 상단풀리(22)에 구동와이어(W)가 감겨진 후 속단붐인 1단붐(10)의 제1 하단풀리(11)에 감겨진 다음 그 일측에 위치되는 1단붐(10)의 제2 하단풀리(13)를 향해 가로 질러서 감겨지게 된다.
이어서, 다시 2단붐(20)의 제2 상단풀리(22)에 감겨진 후 수직하게 내려와 제1 하단풀리(23)에 감겨진 다음 3단붐(30)의 제2 상단풀리(34)에 감겨지게 된다.(도 5 및 도 6)
이러한 동일한 방법으로 4단붐(40)과 5단붐(50)을 6단붐(60)의 상단에 구동와이어(W)의 끝단부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구동와이어(W)의 끝단부는 겉단붐(60)에 고리 형상으로 통과구멍(64)이 관통된 상태로 설치된 고정크램프(65)의 통과구멍(64)으로 통과된 후 고정된다.(도 7)
한편, 상기 붐어세이(100)의 5단붐(50) 4단붐(40) 3단붐(30) 및 2단붐(20)에 회전 자유롭게 상단부로 설치되는 보조풀리(55)(45)(35)(25)들에 감기며, 속단붐(10)이 인출되는 높이에 맞추어 각각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보조와이어(30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붐어세이(100)에는 각각의 붐들을 따라 화물을 적재한 상태로 운반카(2)를 승강시키기 위해 운반카용 윈치(도시없음)로 구동되는 운반카와이어(W1)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사다리차 붐대 구동용 와이어 장치는, 구동와이어(W)가 2줄로 배열된 상태로 붐어세이를 신축시키게 되며, 윈치(200)의 구동으로 구동와이어(W)가 감겨지도록 회전되면 각 풀리들 사이가 당겨지게 되는 결과로 붐어세이(100)는 인장된다.(도 4)
그리고, 윈치(200)가 구동와이어(W)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자중에 의해 붐어세이(100)의 각 붐대들이 인입되는 된다.(도 8)
이때 본 발명은, 한개의 윈치(200)를 사용하면서도 도루래 원리에 의해 2개의 윈치를 사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구동 효율과 안정성이 우수해질 수 있고, 구동와이어(W)의 부하 감소로 소용량의 유압모터로도 윈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 와이어가 2줄로 배열되므로 운반카 중량에 따라 작용되는 붐의 수축량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어 운반카 주행시 소음과 진동 발생을 감소시키게 되며, 붐대의 신축 동작과 운반카의 주행이 안정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붐어세이
10 - 속단붐
20 - 2단붐
30 - 3단붐
40 - 4단붐
50 - 5단붐
60 - 겉단붐
51,41,31,21,11 - 제1 하단풀리
62,52,42,32,22 - 제1 상단풀리
53,43,33,23,13 - 제2 하단풀리
54,44,34,24 - 제2 상단풀리
65 - 고정클램프
200 - 윈치
W - 구동와이어

Claims (3)

  1. 가장 하부에 위치되는 겉단붐(60)으로 부터 5단붐(50) 4단붐(40) 3단붐(30) 2단붐(20) 및 가장 상부에 위치되는 속단붐(10)이 각각 순차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는 붐어세이(100)와;
    상기 겉단붐(60)의 일측에 위치되어 유압 모터에 의해 구동와이어(W)를 감겨지게 하거나 풀려지게 하는 윈치(200)와;
    상기 붐어세이(100)의 5단붐(50) 4단붐(40) 3단붐(30) 2단붐(20) 및 속단붐(10)들에 회전 자유롭게 하단부로 설치되는 제1 하단풀리(51)(41)(31)(21)(11)와;
    상기 붐어세이(100)의 겉단붐(60) 5단붐(50) 4단붐(40) 3단붐(30) 및 2단붐(20)들에 회전 자유롭게 상단부로 설치되는 제1 상단풀리(62)(52)(42)(32)(22)와;
    상기 붐어세이(100)의 5단붐(50) 4단붐(40) 3단붐(30) 2단붐(20) 및 속단붐(10)들에 회전 자유롭게 하단부로 설치되는 제2 하단풀리(53)(43)(33)(23)(13)와;
    상기 붐어세이(100)의 5단붐(50) 4단붐(40) 3단붐(30) 및 2단붐(20)들에 회전 자유롭게 상단부로 설치되는 제2 상단풀리(54)(44)(34)(24)와;
    상기 붐어세이(100)의 5단붐(50) 4단붐(40) 3단붐(30) 및 2단붐(20)에 회전 자유롭게 상단부로 설치되는 보조풀리(55)(45)(35)(25)들에 감기며, 속단붐(10)이 인출되는 높이에 맞추어 각각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보조와이어(300);가 포함되며,
    상기 구동와이어(W)는 제1 상단풀리(62)(52)(42)(32)(22)와 제1 하단풀리(51)(41)(31)(21)(11)에 각각 감겨진 후 그 일측으로 배치되는 제2 하단풀리(53)(43)(33)(23)(13)와 제2 상단풀리(54)(44)(34)(24)에 병렬로 감겨져서 그 끝단부가 겉단붐(60)의 상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 붐대 구동용 와이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와이어(W)는 2단붐(2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 상부풀리(21)에 구동와이어(W)가 감겨진 후 속단붐인 1단붐(10)의 제1 하부풀리(12)에 감겨진 다음 그 일측에 위치되는 1단붐(10)의 제2 하부풀리(13)를 향해 가로 질러서 감겨지며, 2단붐(20)의 제2 상부풀리(24)에 감겨진 후 수직하게 내려와 제2 하부풀리(23)에 각각 감겨지도록 하여 구동와이어(W)가 2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 붐대 구동용 와이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와이어(W)의 끝단부는 겉단붐(60)에 고정되며 고리 형상으로 통과구멍(64)이 관통된 고정크램프(65)에 통과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 붐대 구동용 와이어 장치.


KR1020220031949A 2022-03-15 2022-03-15 사다리차 붐대 구동용 와이어 장치 KR102635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949A KR102635934B1 (ko) 2022-03-15 2022-03-15 사다리차 붐대 구동용 와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949A KR102635934B1 (ko) 2022-03-15 2022-03-15 사다리차 붐대 구동용 와이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764A KR20230134764A (ko) 2023-09-22
KR102635934B1 true KR102635934B1 (ko) 2024-02-13

Family

ID=88190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949A KR102635934B1 (ko) 2022-03-15 2022-03-15 사다리차 붐대 구동용 와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9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690B1 (ko) 2013-04-29 2014-10-07 주식회사 호룡 고가 사다리차의 사다리 인출장치
KR101638960B1 (ko) 2015-03-04 2016-07-12 (주)드림티엔에스 고가사다리차 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344U (ko) * 1997-04-16 1998-11-16 송병순 화물수송용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부움 연동구조
KR100548051B1 (ko) 2002-10-30 2006-01-31 주식회사 호룡 고소작업차량의 붐 신축장치
KR20130112077A (ko) * 2012-04-03 2013-10-14 양건이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붐 연동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690B1 (ko) 2013-04-29 2014-10-07 주식회사 호룡 고가 사다리차의 사다리 인출장치
KR101638960B1 (ko) 2015-03-04 2016-07-12 (주)드림티엔에스 고가사다리차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764A (ko) 202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9105B1 (ko) 다단 적층형 마스트를 갖는 타워 크레인
US11130659B2 (en) Telescoping jib comprising a rod guying system for a mobile crane and guying method therefor
JP5739491B2 (ja) フロアクレーン
KR102635934B1 (ko) 사다리차 붐대 구동용 와이어 장치
CN111874474B (zh) 一种篷布收展装置和篷布开顶集装箱
US6129396A (en) Container-piling spreader
KR200345050Y1 (ko) 순환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0245018Y1 (ko) 사다리차 다단붐대의 신축장치
KR101446690B1 (ko) 고가 사다리차의 사다리 인출장치
KR101850144B1 (ko) 독립형 신축 붐대를 갖는 고가 사다리 장치
JPH0457563B2 (ko)
JP2012001894A (ja) 連続揚重装置
JP6684159B2 (ja) 伸縮式ジブクレーン
JPH1059700A (ja) 吊荷が揺動しない昇降装置
KR101407984B1 (ko) 리프터
KR20060079691A (ko) 고소작업차의 신축식 다단붐
CN220264011U (zh) 伸缩溜槽和干曲落料设备
KR19980063344U (ko) 화물수송용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부움 연동구조
CN210065083U (zh) 一种升降装置
CN218438334U (zh) 一种可折叠电动升降卸料平台
CN212246014U (zh) 伸缩式主臂桅杆和起重机
CN111411783B (zh) 多节伸缩复合桁架及具有其的电梯井式直臂施工设备
JP4335415B2 (ja) 伸縮機構、及び同伸縮機構を具備する作業用足場
JPH11268888A (ja) 法面における施工設備
KR20130112077A (ko)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붐 연동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