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344U - 화물수송용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부움 연동구조 - Google Patents

화물수송용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부움 연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344U
KR19980063344U KR2019970007845U KR19970007845U KR19980063344U KR 19980063344 U KR19980063344 U KR 19980063344U KR 2019970007845 U KR2019970007845 U KR 2019970007845U KR 19970007845 U KR19970007845 U KR 19970007845U KR 19980063344 U KR19980063344 U KR 199800633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buoy
buoys
wire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8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현석
송은택
Original Assignee
송병순
광림특장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병순, 광림특장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병순
Priority to KR20199700078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3344U/ko
Publication of KR199800633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344U/ko

Links

Landscapes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부움 연동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구동와이어(3)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안전성을 높이고, 각 사다리부움의 신축작동이 원활해지도록 하기 위하여, 구동와이어(3)가 제2단 사다리부움(12)을 거쳐 제3단 사다리부움(13)까지만 연결설치되고, 이들 각 사다리부움(11,12,13,14,15,16)들은 연속하는 3개의 사다리부움(11,12,13),(12,13,14),(13,14,15),(14,15,16)마다 1조의 익스텐션 와이어(4a,4b,4c,4d)를 연결설치하는 한편, 이 익스텐션 와이어와는 엇갈리게 별도로 리트렉션 와이어(5a,5b,5c,5d)를 연속하는 3개의 사다리부움(11,12,13),(12,13,14),(13,14,15),(14,15,16)마다 연결설치한 구조로 되어, 구동와이어(3)가 사다리부움과 마찰하는 정도가 줄어들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2줄의 구구동와이어(2)가 동시에 병렬로 사다리부움을 신축시키게 되므로 작동이 원활해지며, 또한 리트렉션 와이어(5a,5b,5c,5d)가 사다리부움 수축작동시 화물의 하중이나 사다리부움 자중을 지탱하므로 하강동작도 원활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화물수송용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부움 연동구조
본 고안은 지상의 화물을 고층으로 또는 고층의 화물을 지층으로 수송하는 데 사용되는 고가 사다리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고가 사다리차량의 각 사다리부움들이 일정한 길이로 동시에 연장되게 하는 사다리부움의 연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가 사다리차량은 차체 프레임상에 다수개의 사다리부움들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되게 다수 조의 연동와이어,소위 익스텐션 와이어(extension wire)로 연결되어, 지층의 화물을 대차에 실어 고층으로 수송할 때 서로 동시에 늘어나거나, 역으로 고층의 화물을 대차에 실어 지층으로 내릴 때 서로 동시에 오무러 들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고가 사다리차량은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사다리조립체는 6개의 사다리부움으로 이루어 진 것으로 정하고, 차량의 프레임쪽 사다리부움으로 부터 차례로 제1단 사다리부움(111),제2단 사다리부움(112), 제3단 사다리부움(113), 제4단 사다리부움(114), 제5단 사다리부움(115) 및 제6단 사다리부움(116)이라 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 사다리부움(111)에 고정설치된 로우프 권취드럼(102)에 구동와이어(103)의 한쪽 선단이 감겨져 있고, 이 구동와이어(103)의 다른 쪽 선단은 제1단 사다리부움(111)의 선단에 설치된 안내풀리(111a), 제2단 사다리부움(112)의 아래쪽 선단에 설치된 안내풀리(112a) 및 기타 다른 사다리부움 (113,114,115)들에 구비된 각 안내풀리(113a,114a,115a,116a)들에 차례로 지지된 다음, 맨 끝단 사다리부움(116)의 하단에 고정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연속하는 3개의 사다리부움들, 예컨대 제1단 사다리부움 내지 제3단 사다리부움(111,112,113) ,제2단 사다리부움 내지 제4단 사다리부움(112,113,114),제3단 사다리부움 내지 제5단 사다리부움(113,114,115),제4단 사다리부움 내지 제6단(114,115,116)들은 각 조마다 1개의 익스텐션 와이어(extension wire)(미도시)로 연결되어 상기 각 사다리부움들이 연장될 때 동일한 간격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된 다른 사다리부움들의 하중을 상기 익스텐션 와이어가 지탱하도록 있다.
즉, 제1단 사다리부움의 권취드럼(102)에 한쪽 선단이 감겨져 있는 1개의 구동와이어(103)가 제1단 사다리부움(111)에서 부터 최선단 사다리부움(116)까지 연결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단 사다리부움(111)과 제2단 사다리부움(112) 및 제3단 사다리부움(113)들은 1개의 익스텐션 와이어로 연결설치되며 ,이어서 제2단 사다리부움과 제3단 사다리부움 및 제4단 사다리부움들도 상기 제1단 사다리부움 내지 제3단 사다리부움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2 익스텐션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고, 연속하는 다른 3개의 사다리부움들도 모두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익스텐션 와이어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권취드럼(102)의 구동와이어(103)를 감거나 풀어서 제6단 사다리부움(116)을 직접 당기거나 늦추어 주면 이 제6단 사다리부움(116)이 제1단 사다리부움(111)에 대하여 연장되거나 이 제1단 사다리부움(111)쪽으로 줄어들면서 상기 익스텐션 와이어로 연결된 다른 제2단 사다리부움 내지 제5단 사다리부움을 동시에 동일한 길이만큼 연장시키거나 줄여주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고가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부움 연동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1줄의 구동와이어가 제1단 사다리부움부터 중간 사다리부움인 제2단 사다리부움 내지 제5단 사다리부움을 전부 차례로 거쳐 최종 사다리부움인 제6단 사다리부움에 연결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와이어(103)의 전체길이가 길어질 뿐만아니라,사다리부움을 늘어나게 하거나 줄어들도록 구동와이어(103)가 감기거나 풀어질 때 사다리부움들마다 마찰하여 손상될 위험이 있었다.
둘째, 1줄의 구동와이어(103)가 사다리부움을 움직이게 되어 있으므로 그 1줄의 구동와이어(103)가 사다리부움의 좌우방향 정중앙에서 벗어나 연결된다면 그 사다리부움을 끌어당기는 힘의 좌·우 균형이 맞지않아 사다리부움의 신축운동이 부드럽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연속하는 3개의 사다리부움들을 연결하여 연동시키는 연동와이어는 각 사다리부움들이 동시에 같은 길이로 연장되게 하는 익스텐션 와이어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대차에 화물이 실려 있는 경우 그 하중을 상기 익스텐션 와이어가 전부 지탱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연동와이어가 대차에 실려 수송되는 화물의 하중을 받아서 늘어나면서 인장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종래 사다리부움의 연동구조가 가진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동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릴 때 사다리부움과의 마찰간섭을 줄여서 구동와이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각 사다리부움의 연동운동을 원활하게 하며, 대차에 화물을 실었을 때 익스텐션 와이어에 초기장력을 부가하여 상기 익스텐션 와이어가 그 대차에 실린 화물에 의해 길이가 늘어나지 않도록 된 사다리 부움의 연동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1개의 사다리부움내측에 인접하는 다른 사다리부움이 슬라이드삽입되는 방식으로 다수개의 사다리부움이 조립되고, 상기 사다리부움부재들을 동시에 동일한 길이로 연장시키는 구동와이어가 한쪽은 권취드럼에 권취되고 다른 쪽 선단은 다른 사다리부움을 차례로 엇갈리게 걸면서 어느 한개의 사다리부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사다리부움중 제1단 사다리부움으로부터 시작하여 연속하는 3개의 사다리부움들마다 연동와이어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권취드럼에 감겨진 상기 구동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줌에 따라 최종단의 사다리부움이 신축하면서 다른 사다리부움을 다수개의 연동와이어로 동시에 연동시키도록 된 고가사다리차의 사다리부움 연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구동와이어는 평행한 2개의 구동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이들 2개의 구동와이어는 제2단 사다리부움의 안내풀리를 감은 다음 제3단 사다리부움의 선단에 고정설치되는 한편, 상기 사다리부움들 중 연속하는 3개의 사다리부움들마다 동일한 길이의 리트렉션 와이어가 연결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권취드럼으로 부터 연장되어 나온 2개의 구동와이어가 병렬로 평행하게 제2단 사다리부움을 감으면서 제3단 사다리부움의 선단에 연결고정되어, 제4단 사다리부움 내지 제6단 사다리부움과는 마찰간섭을 하지 않으므로 사다리부움과의 마찰에 의한 손상을 줄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구동와이어가 병렬로 평행하게 연결되어 이들 2개의 구동와이어가 동시에 감기거나 풀어지면서 각 사다리부움들을 동시에 연장시키거나 수축시켜 주므로, 사다리부움들의 신축동작이 원활해지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익스텐션 와이어와는 별도로 리트렉션 와이어(retraction wire)가 연속하는 3개의 사다리부움들마다 연결설치되어 상기 익스텐션 와이어에 초기장력을 가해주게 되므로 화물적재시 익스텐션 와이어가 적재된 화물에 의해 부분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막아줌으로써 각 사다리부움들이 균일하게 연장되거나 수축하게 해준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조립체 분해사시도로서, 사다리 조립체의 각 부움들이 구동와이어와 익스텐션 와이어로 상호 연결된 구조 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조립체 분해사시도로서, 사다리 조립체의 각 부움들에 익스텐션 와이어가 연결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 은 종래 고가 사다리차량의 구동와이어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량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량2,102: 구동와이어 권취드럼
3,103: 구동와이어4a,4b,4c,4d,: 익스텐션 와이어
5a,5b,5c,5d: 리트렉션 와이어6: 대차
10: 사다리부움 조립체11,111: 제1단 사다리부움
12,112: 제2단 사다리부움13,113: 제3단 사다리부움
14,114: 제4단 사다리부움15,115: 제5단 사다리부움
16,116: 제6단 사다리부움11a,12a: 안내풀리
12b,13b,14b,15b: 익스텐션 와이어 안내로울러
12d,13d,14d,15d: 리트렉션와이어 안내로울러
111a,112a,113a,114a,115a,116a: 안내로울러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구동와이어와 익스텐션 와이어가 사다리부움들에 연결설치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리트렉션 와이어가 상기 연장용 와이어와는 별도로 사다리부움들에 연결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그리고 도 3 은 사다리부움들이 조립된 상태로 고가사다리차량에 설치된 상태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량(1)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 사다리부움(11)내측에 제2단 사다리부움(12)이 슬라이드 삽입되고 이 제2단 사다리부움(12)내측에는 제3단 사다리부움(13)이 슬라이드삽입되는 방식으로 반복하여 다수개의 사다리부움이 안테나절첩식으로 조립되어 있다.(이하,본 고안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부움은 총 6개의 사다리부움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가정하고 기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단 사다리부움(11)의 저면에는,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권취드럼(2)이 설치되고,이 권취드럼(2)에는 상기 각 사다리부움을 연장시키거나 수축시키는 구동와이어(3)가 권취되어 있다.
상기 권취드럼에 감겨진 구동와이어(3)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2줄의 평행한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이 2줄의 구동와이어(3)는 다른 쪽 선단이 제1단 사다리부움(11)의 상단에 구비된 안내풀리(11a),제2단 사다리부움(12) 하단에 구비된 안내풀리(12a),제2단 사다리부움(12) 상단에 구비된 안내풀리(12a)에 안내지지되도록 이들 안내풀리(12a)에 차례로 걸려진 다음,제3단 사다리부움(13) 하단에 병렬로 고정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속하는 3개의 사다리부움(11,12,13),(12,13,14),(13,14,15)
,(14,15,16)들 마다 1조의 익스텐션 와이어(4a,4b,4c,4d)가 연결설치되어, 상기 구동와이어(3)로 제2단 사다리부움(12) 및 제3단 사다리부움(13)들을 연장시키면 ,제1단 사다리부움(11),제2단 사다리부움(12) 및 제3단 사다리부움(13)들은 일정한 길이의 익스텐션 와이어(4a,4b,4c,4d)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단 사다리부움(12) 및 제3단 사다리부움(13)들을 서로 동일한 길이만큼 동시에 연장되게 되는 것이다.
즉, 제1 익스텐션 와이어(4a)는 제1단 사다리부움(11)의 하단에 한쪽선단이 고정연결되고,다른쪽선단은 제2단 사다리부움(12) 상단에 구비된 안내로울러(12b)를 거친 다음 제3단 사다리부움(13) 하단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2 익스텐션 와이어(4b)는 제2단 사다리부움(12)의 하단에 한쪽선단이 고정연결되고 다른쪽선단은 제3단 사다리부움(13) 상단에 구비된 안내로울러(13b)를 거치면서 제4단 사다리부움(14)의 하단에 고정연결되며, 동일한 방식으로 제3 익스텐션 와이어(4c) 및 제4 익스텐션 와이어(4d)도 연결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와이어(3)를 일정길이만큼 감으면 이 구동와이어(3)는 권취드럼(2)에서 인출된 길이가 줄어들면서 상기 제2단 사다리부움(12) 하단을 제1단 사다리부움(11) 상단쪽으로 밀어내게 된다. 그런데 이 제2단 사다리부움(12)은 구동와이어(3)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단지 구동와이어(3)에 걸쳐져 그 구동와이어(3)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단 사다리부움(12)이 제1단 사다리부움(11)의 상단쪽으로 밀려나면서 동시에 제3 사다리부움(13)의 하단을 제2단 사다리부움(12) 상단쪽으로 밀어서 제2단 및 제3단 사다리부움(12,13)들이 동시에 제1단 사다리부움(11) 외측으로 서로 동일한 길이만큼 밀려나게 된다. 따라서 사다리 전체길이가 연장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사다리부움들은,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익스텐션 와이어(4a,4b,4c,4d)와는 별도로 리트렉션 와이어(5a,5b,5c,5d)가 연속하는 3개의 사다리부움(11,12,13),(12,13,14),(13,14,15),(14,15,16)들마다 연결되어 있다.그러나 이들 각 리트렉션 와이어(5a,5b,5c,5d)는 상기 익스텐션 와이어(4a,4b,4c,4d)와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각 리트렉션 와이어(5a,5b,5c,5d)들은 각 사다리부움(12,13,14,
15,16)들이 연장된 상태로 지탱해주는 익스텐션 와이어(4a,4b,4c,4d)에게 초기장력을 부여하면서 화물의 하중을 각 리트렉션 와이어(5a,5b,5c,5d)마다 분산시킴으로써 화물의 하중에 의해 익스텐션 와이어(4a,4b,4c,4d)가 부분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방지해 주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사다리부움 연동구조의 작동을 설명한다.
사다리부움 연장작동(extraction)
각 사다리부움들이 인접하는 다른 사다리부움 내측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사다리부움 전체가 수축된 상태에서 권취드럼(2)을 회전시켜 구동와이어(3)를 그 권취드럼(2)에 감아들이면 그 구동와이어(3)의 인출길이가 줄어드는 데, 이 구동와이어(3)는 선단이 제3단 사다리부움(13)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길이가 줄어들면서 제2단 사다리부움(12) 하단을 제1단 사다리부움(11) 내측 하부로부터 상단 외측으로 밀어올린다.
그리고 상기 제2단 사다리부움(12)이 제1단 사다리부움(11)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제1 익스텐션 와이어(4a)로써 제1단 사다리부움(11)과 서로 연결된 제3단 사다리부움(13)을 제2단 사다리부움(12) 외측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3단 사다리부움(13)이 제2단 사다리부움(12) 외측으로 연장되게 되면 제2단 사다리부움(12), 제3단 사다리부움(13) 및 제4단 사다리부움(14)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제2 익스텐션 와이어(4b)에 의해 제4단 사다리부움(14)도 동시에 제3단 사다리부움(13) 외측으로 밀려나면서 연장되게 된다.
나머지 제5단 사다리부움(15) 및 제6단 사다리부움(16)도 상기 제2 내지 제4단 사다리부움이 연장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와이어(3)를 감으면 제2단 사다리부움(12), 제3단 사다리부움(13) 및 전체 사다리부움들이 각각 삽입된 각 사다리부움에서 동시에 같은 길이만큼 돌출하면서 연장되게 되므로 사다리 전체가 연장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단 사다리부움(12)은 위쪽 선단 안내풀리에 감겨지면서 양쪽 선단은 인접하는 양쪽 사다리부움,즉 제1단 및 제3단 사다리부움(13)의 각 하단에 연결된 제1 익스텐션 와이어(4a)의 중간부분을 팽팽하게 지지함으로써 제3단 사다리부움(13)을 제2단 사다리부움(12)에서 연장된 상태로 유지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나머지 각 사다리부움(12,143,14)들도 각각에 감겨진 익스텐션 와이어(4b,4c,4d)를 눌러서 팽팽하게 지지함으로써 다른 사다리부움을 연장된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따라서 전체 사다리부움이 모두 연장된 상태로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사다리부움 수축작동(extraction)
상기와 같이 연장된 각 사다리부움들은 권취드럼(2)에 감져져 있는 구동와이어(3)를 풀어주면 모두 동시에 동일한 길이만큼 아래쪽에 인접해 있는 다른 사다리부움 안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줄어들게 된다.
즉 일정한 장력으로써 제2단 및 제3단 사다리부움(12,13)을 지탱하고 있던 구동와이어(3)를 권취드럼(2)에서 풀어서 사다리부움을 지지하고 있던 장력을 해소시키면, 먼저 제3단 사다리부움(13)과 제2단 사다리부움(12)이 자중에 의해 각각 제2단 사다리부움(12) 및 제1단 사다리부움(11) 내측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면서 연장길이가 줄어든다.
이때 상기 제2단 사다리부움(12)은 제1단 사다리부움(11) 내측으로 하향이동하면서 상기 제2단 사다리부움(12)의 하단 안내로울러(12d)에 감겨져 양단이 제1단 사다리부움(11) 및 제3단 사다리부움(13)의 각 위쪽선단에 고정연결된 제1리트렉션 와이어(5a)를 팽팽하게 유지한 상태로 눌러서 제3단 사다리부움(13)의 하단을 아래쪽으로 당겨주게 되므로 제3단 사다리부움(13)은 제2단 사다리부움(12)과 연동하면서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3단 사다리부움(13)은 제2 리트렉션 와이어(5b)로써 제4단 사다리부움(14)을,제4단 사다리부움(14)은 제3 리트렉션 와이어(5c)로써 제5단 사다리부움(15)을,그리고 제5단 사다리부움(15)은 제4 리트렉션 와이어(5d)로써 제6단 사다리부움(16)을 각각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사다리부움위를 이동하는 대차(6)에 화물이 실려져 각 사다리부움이나 익스텐션 와이어에 하중을 가하더라도 각 사다리부움들이 리트렉션 와이어의 장력을 받아서 위쪽 방향으로 지지되므로 자중이나 하중에 의해 낙하하지 않고 리트렉션 와이어의 장력에 지지된 상태로 구동와이어(3)가 풀어지는 양에 비례하여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부움 연동구조는 첫째, 구동와이어(3)가 제3단 사다리부움(13)까지만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다리부움이 연장되거나 줄어들 때 제3단 이상의 사다리부움과는 마찰하지 않게 되어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와이어(3)는 2줄로 각 사다리부움에 병렬로 연결되어 사다리부움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아니라 사다리부움의 양쪽에 힘을 균일하게 가하게 되어 신축작동이 부드러워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연동구조는 익스텐션 와이어(4a,4b,4c,4d)와는 별도로 다수조의 리트렉션 와이어(5a,5b,5c,5d)가 각 사다리부움을 연결하고 있어 사다리부움의 하강 수축시 대차(6)에 적재된 화물의 하중을 각 리트렉션 와이어(5a,5b,5c,5d)가 균등하게 분산하여 지지하고 아울러 각 사다리부움들이 화물의 하중이나 자중에 의해 임의 순서로 낙하하지 않고 리트렉션 와이어(5a,5b,5c,5d)의 장력에 지지된 상태로 전체가 동시에 동일한 길이로 하강축소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개의 사다리부움내측에 인접하는 다른 사다리부움이 슬라이드삽입되는 방식으로 다수개의 사다리부움(11,12,13,14,15,16)이 조립되고, 상기 사다리부움들을 동시에 동일한 길이로 연장시키는 구동와이어(3)가 한쪽은 권취드럼(2)에 권취되고 다른 쪽 선단은 다른 사다리부움을 차례로 엇갈리게 걸면서 다른 사다리부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사다리부움중 제1단 부움으로부터 시작하여 연속하는 3개의 사다리부움들마다 익스텐션 와이어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권취드럼(2)에 감겨진 상기 구동와이어(3)를 감거나 풀어줌에 따라 최종단의 사다리부움이 신축하면서 다른 사다리부움을 다수개의 연동와이어로 동시에 연동시키도록 된 고가사다리차의 사다리부움 연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구동와이어(3)는 제2단 사다리부움(12)의 안내풀리를 감은 다음 제3단 사다리부움(13)의 선단에 연결고정되는 한편, 상기 사다리부움들 중 연속하는 3개의 사다리부움(11,12,13),(12,13,14),(13,14,15),(14,15,16)마다 상기 익스텐션 와이어(4a,4b,4c,4d)와는 별개의 리트렉션 와이어(5a,5b,5c,5d)가 연결설치되되 ,상기 익스텐션 와이어(4a,4b,4c,4d)와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부움 연동구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와이어(3),익스텐션 와이어(4a,4b,4c,4d) 및 리트렉션 와이어(5a,5b,5c,5d)는 각각 서로 평행한 1쌍의 와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부움 연동구조.
KR2019970007845U 1997-04-16 1997-04-16 화물수송용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부움 연동구조 KR199800633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845U KR19980063344U (ko) 1997-04-16 1997-04-16 화물수송용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부움 연동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845U KR19980063344U (ko) 1997-04-16 1997-04-16 화물수송용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부움 연동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344U true KR19980063344U (ko) 1998-11-16

Family

ID=6967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845U KR19980063344U (ko) 1997-04-16 1997-04-16 화물수송용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부움 연동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3344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721B1 (ko) * 2008-03-19 2010-03-31 주현석 사다리차의 사다리 연장구조
KR101446690B1 (ko) * 2013-04-29 2014-10-07 주식회사 호룡 고가 사다리차의 사다리 인출장치
KR20170125829A (ko) * 2015-03-09 2017-11-15 우베 고산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압출 프레스의 다이 슬라이드 장치
KR20230134764A (ko) * 2022-03-15 2023-09-22 주식회사 에이치알이앤아이 사다리차 붐대 구동용 와이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721B1 (ko) * 2008-03-19 2010-03-31 주현석 사다리차의 사다리 연장구조
KR101446690B1 (ko) * 2013-04-29 2014-10-07 주식회사 호룡 고가 사다리차의 사다리 인출장치
KR20170125829A (ko) * 2015-03-09 2017-11-15 우베 고산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압출 프레스의 다이 슬라이드 장치
KR20230134764A (ko) * 2022-03-15 2023-09-22 주식회사 에이치알이앤아이 사다리차 붐대 구동용 와이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2286A (en) Swimming pool cover
WO2006002879A1 (de) Fördereinrichtung zum fördern von vorzugsweise schwerem fördergut auf paletten oder dergleichen längs einer im wesentlichen horizontalen förderstrecke
US5238278A (en) Textile lifting sling
CN108996139B (zh) 一种大容量垂直储带装置
CN102472080B (zh) 用于覆盖墙壁开口或窗户的卷绕装置
US3319987A (en) Extensible boom
KR19980063344U (ko) 화물수송용 고가 사다리차량의 사다리부움 연동구조
BR102014021818A2 (pt) unidade de armazenagem de corda, método para instalação de elevador e método para fabricação de unidade de armazenagem de corda
US20180170713A1 (en) Elevator system suspension member
US6837366B2 (en) Reinforcing band for conveyor belts, and conveyor belt using the same
JP2009270297A (ja) 駐車装置及び昇降装置
US11358835B2 (en) Method for roping an elevator
JP2010265086A (ja) マンコンベア用手摺
CN110642126B (zh) 一种采用钢丝绳收放装置的电梯系统
CN212452241U (zh) 便携折叠式软桥
AU2007221792B2 (en) Load equalizing rope termination and method
KR102635934B1 (ko) 사다리차 붐대 구동용 와이어 장치
US2589654A (en) Goods elevator for vehicles
KR101446690B1 (ko) 고가 사다리차의 사다리 인출장치
JPH08177260A (ja) 機械式駐車設備の給電ケーブル支持構造
JP3245371U (ja) 高所コンベヤベルト装置
KR200208042Y1 (ko) 권양이 용이한 캐리지
JPS60232314A (ja) 移載装置の荷物保持フツク作動機構
KR100707994B1 (ko) 타워식 컨테이너 적재설비
CZ278945B6 (en) Inclined li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