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0682A -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0682A
KR20130110682A KR1020120032826A KR20120032826A KR20130110682A KR 20130110682 A KR20130110682 A KR 20130110682A KR 1020120032826 A KR1020120032826 A KR 1020120032826A KR 20120032826 A KR20120032826 A KR 20120032826A KR 20130110682 A KR20130110682 A KR 20130110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lock
safety lock
solenoid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2957B1 (ko
Inventor
하치봉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20032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957B1/ko
Publication of KR20130110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연결되어 전기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와 결합 가능토록 구비된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이동 가능토록 설치된 전기커넥터; 상기 전기커넥터가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와 접속되면 상기 전기커넥터의 복귀를 방지토록 제한하며,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전기커넥터의 복귀 제한을 해제하는 제1세이프티 락; 상기 바디의 내부에 이동 가능토록 설치되며, 전기충전여부에 따라 작동되어 전기 충전시 상기 제1세이프티 락의 수동 조작을 제한하며 전기 충전 후 상기 제1세이프티 락에 대한 제한을 해제하는 제2세이프티 락; 및 상기 바디에 결합되며, 전기 충전 중에 상기 제1세이프티 락의 수동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2세이프티 락을 수동 조작에 의해 이동시키는 락 비상 해제부;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를 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Charging plug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연결되어 전기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가솔린이나 디젤 등과 같은 화석 연료를 직접 연소하여 사용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유해가스는 대기오염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지구온난화를 촉진시키는 주범이 되고 있어, 녹색교통 수단의 개발이 신속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더불어, 가솔린이나 디젤을 만드는 원유가 지구상에 얼마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각 산업분야에서 대체 에너지 개발을 서두르고 있으며, 그 해결책의 일환으로 전기자동차의 보급화를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전기자동차는 전기를 동력 공급원으로 하여 운행하는 자동차를 의미하며, 자동차 자체에 전력 공급원으로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를 탑재하고, 탑재된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주행한다.
그런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하는 것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전기자동차의 보급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전기 충전에 있어 쉽고 편리하며 누전, 감전 등의 안전사고에 안전한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프라에 대한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레버 조작에 따라 전기커넥터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를 향해 돌출되어 접속될 수 있도록 한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 충전시 비상 강제 분리가 가능토록 한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플러그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와 결합 가능토록 구비된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이동 가능토록 설치된 전기커넥터; 상기 전기커넥터가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와 접속되면 상기 전기커넥터의 복귀를 방지토록 제한하며,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전기커넥터의 복귀 제한을 해제하는 제1세이프티 락; 상기 바디의 내부에 이동 가능토록 설치되며, 전기충전여부에 따라 작동되어 전기 충전시 상기 제1세이프티 락의 수동 조작을 제한하며 전기 충전 후 상기 제1세이프티 락에 대한 제한을 해제하는 제2세이프티 락; 및 상기 바디에 결합되며, 전기 충전 중에 상기 제1세이프티 락의 수동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2세이프티 락을 수동 조작에 의해 이동시키는 락 비상 해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세이프티 락은 상기 바디의 외부에서 누를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세이프티 락에 의해 눌림 제한되는 버튼; 상기 바디의 내부에 상기 버튼과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기커넥터 측 간섭부와 간섭되면 상기 전기커넥터의 복귀를 막고 상기 버튼의 눌림에 의해 상기 전기커넥터 측 간섭부와 간섭 해제되는 커넥터 락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커넥터에 연결된 와이어를 감싸며 상기 전기커넥터에 연동하여 상기 와이어와 일체로 이동되도록 결속되는 와이어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기커넥터 측 간섭부는 상기 와이어 커버에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세이프티 락은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와 결합시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걸림되며, 상기 버튼에 의해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와의 걸림 해제되는 프런트 락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세이프티 락은 전기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제1세이프티 락의 수동 조작을 제한,제한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신호에 의해 돌출,복귀되는 로드를 구비한 솔레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세이프티 락은 일측이 상기 버튼과 연동될 수 있도록 상기 버튼 또는 커넥터 락 부재에 접촉되는 중간부재와, 상기 버튼 또는 커넥터 락 부재가 상기 중간부재에 걸림되어 상기 버튼의 눌림이 제한될 수 있도록, 상기 신호에 따라 전기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중간부재를 구속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전기커넥터가 돌출 가능토록 설치되는 바디 커버와, 상기 바디 커버에 상대 이동 가능토록 결합되어 상기 전기커넥터와 연동되는 바디 그립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바디 그립과 함께 이동하여 상기 버튼 또는 커넥터 락 부재에 접촉되며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속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 그립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세이프티 락은 상기 중간부재를 상기 버튼을 향해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중간부재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 비상 해제부는 상기 제2세이프티 락이 하락하여 상기 제1세이프티 락의 제한이 해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솔레노이드와 간섭되는 부분이 상기 솔레노이드의 하락이 가능토록 형성되며; 상기 락 비상 해제부는 상기 솔레노이드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된 비상구에 설치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바디 결합부와, 상기 바디 결합부와 상기 솔레노이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솔레노이드를 받치며 상기 바디 결합부의 관통홀을 통해 상기 바디 결합부로부터 분리되는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바디 결합부에 대하여 회전하여 분리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솔레노이드를 받치는 원형 구조의 본체부와,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바디 결합부의 상면에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 결합부의 관통홀은 상기 받침부가 상기 바디 결합부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받침부와 합치되면 상기 받침부가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의 본체부와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결합부의 상면에는 상기 받침부의 돌출부와 간섭되어 상기 받침부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 결합부에는 상기 받침부의 분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는 스토퍼 후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후크는 상기 바디 결합부에 상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 후크 탄성 변형부와, 상기 받침부와 구조적으로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후크 탄성부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후크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의 중앙에는 솔레노이드에 구비된 솔레노이드 레그가 상하방향으로 분리 가능토록 끼워지는 끼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전기 충전 중일 때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조적으로 락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유지시킬 수 있어 전기 충전시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와의 임의 분리로 인한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충전 중인 상태에서 비상사태 발생시 락 비상 해제부에 의해 충전 플러그에 작용되고 있는 락(lock) 상태를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비상 사태에 안전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 비상 해제부가 솔레노이드를 강제적으로 제어하지 않고, 솔레노이드를 무리없이 위치 이동시켜 락 상태를 해제토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솔레노이드를 비롯하여 충전 플러그의 파손 등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 비상 해제부가 바디에 구조적으로 분리 가능토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상 제동 후 락 비상 해제부를 비롯하여 충전 플러그의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에 관한 도면으로,
도 1은 충전 플러그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 미 결합 상태 사시도.
도 2는 충전 플러그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 결합 상태 사시도.
도 3은 전기커넥터 전진 상태의 바디 절개 사시도.
도 4는 전기커넥터의 후진 상태 일방향 측면도.
도 5는 도 4의 확대부분 'E1'과 대응되는 도면으로, 전기커넥터 전진 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4의 확대부분 'E2'와 대응되는 도면으로, 전기커넥터 전진 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3의 도 4와 반대 방향 측면도.
도 8은 도 7과 대응되는 도면으로, 전기커넥터의 전진 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제2세이프티 락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9a는 제2세이프티 락에 의한 잠금 전 상태이고, 도 9b는 제2세이프티 락에 의한 잠금 상태.
도 10은 제2세이프티 락과 락 비상 해제부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0의 (a)는 비상 상태가 아닐 때 제2세이프티 락에 의한 잠금 상태이고, 도 10의 (b)는 비상시 락 비상 해제부의 받침부의 분리 상태이고, 도 10의 (c)는 도 10의 (b) 이후 솔레노이드 하락에 따른 제2세이프티 락의 잠금 해제 상태.
도 11은 락 비상 해제부의 바디 결합부와 받침부의 완전 결합 상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14는 락 비상 해제부의 바디 결합부와 받침부의 분리를 위한 결합 해제 상태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평면도.
도 16은 락 비상 해제부의 바디 결합부와 받침부의 분리 상태 사시도.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에 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플러그(10)는 전기커넥터(100)와, 바디(200)와, 레버(300)와, 제1세이프티 락(safty lock)과, 제2세이프티 락과, 락 비상 해제부(6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기커넥터(100)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20)를 향해 바디(200)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을 전진방향(화살표 A)이라 하고, 그 반대쪽을 후진방향(화살표 B)이라 한다. 또한, 레버(300)의 레버손잡이부(320)가 바디(200)의 하측에 위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기커넥터(100)는 전기 충전을 위해 와이어(110)와 연결되어 있으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20)에 구비된 커넥터와 접속되는 것이다. 전기커넥터(100)는 본 발명의 충전플러그(10)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20)와 결합된 후 바디(200)로부터 돌출되어 전기자동차의 충전부(20) 측 커넥터에 접속될 수 있도록, 바디(200)에 전,후진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토록 설치되며, 레버(300) 조작에 의해 전,후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레버(300)와 기구적으로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와이어(110)는 전기 공급을 비롯하여 신호 전달 등을 위해 복수 가닥으로 이루어지며, 바디(200) 내부에 설치된 와이어 커버(12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와이어 커버(120)는 와이어(110)를 감싸며 전기커넥터(100)의 전,후진에 연동하여 와이어(110)와 일체로 이동될 수 있도록 와이어(110)와 하나로 결속될 수 있다. 와이어 커버(120)는 전기커넥터(100)와도 볼트 체결 등에 의해 일체로 결속될 수 있다.
한편, 와이어 커버(120)의 외측에는 전기커넥터(100)가 전진되면 제1세이프티 락에 의해 전기커넥터(100)의 복귀가 제한될 수 있도록, 제1세이프티 락과 구조적으로 간섭되는 전기커넥터 측 간섭부(130)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전기커넥터 측 간섭부(130)는 와이어 커버(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와이어 커버(120)와 별도로 제조되어 와이어 커버(120)에 볼트 체결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전기커넥터 측 간섭부(130)는 제1세이프티 락과의 간섭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며, 용이하게는 와이어 커버(120)의 상면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132)과, 고정 브라켓(132)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간섭 돌기(1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바디(200)는 내부에 전기커넥터(100), 와이어(110) 등이 설치되는 것으로 충전플러그(10)의 외관을 이루며, 대략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200)는 전/후진 방향을 따라 구조적으로 전방에 위치된 바디 커버(210) 및 바디 커버(210)의 후방에 결합된 바디 그립(220) 등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바디 커버(210)와 바디 그립(220)이 전기커넥터(100)의 전,후진에 대응하여 상호 상대 이동이 가능토록 결합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바디 커버(210)는 전기 충전을 위해 전기자동차의 충전부(20) 측 일부분이 전기자동차의 충전부(2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기준으로 바디 커버(210)는 전,후진방향을 따라 전기자동차의 충전부(20) 측 끝단이 전기자동차의 충전부(20)의 외측에서 걸림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제1커버부(212)와, 제1커버부(212)의 전기자동차의 충전부(20) 측 끝단에 연결, 즉 제1커버부(212)의 전방에 형성된 것으로 전기자동차의 충전부(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커버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버부(214)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부(20)의 삽입공간(22)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디 그립(220)은 전기커넥터(100)의 전,후진에 따라 와이어(110) 및 와이어 커버(120)와 일체로 바디 커버(21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될 수 있도록, 와이어 커버(120)와 압입, 볼트 체결 등에 의해 하나로 결속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레버(300)는 수동 조작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레버(300)는 바디(200), 특히 바디 커버(210)의 내부에 삽입되며 전기커넥터(100) 또는 전기커넥터(100)와 일체로 이동될 수 있도록 결속된 부재, 즉 와이어 커버(120)에 결합되는 레버결합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버(300)는 레버결합부(310)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레버(300)의 수동 조작을 위한 손잡이를 이루도록 바디(2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레버손잡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손잡이부(320)는 바디(200)에 대하여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레버(300)는 지렛대 원리에 의해 용이하게 수동 조작될 수 있도록, 레버결합부(310)와 레버손잡이부(320)의 경계 부분이 바디(200), 특히 바디 커버(210)에 힌지축(330)을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레버(300)의 힌지축(330)은 레버결합부(310)가 전기커넥터(100)의 전,후진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토록, 레버손잡이부(320)가 바디(200)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것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이 축방향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레버(300)의 레버결합부(310)의 전진방향 회동에 의해 전기커넥터(100)가 전진되어 바디(200)로부터 돌출되며, 레버(300)의 레버결합부(310)의 후진방향 회동에 의해 전기커넥터(100)가 후진될 수 있다.
이러한 레버(300)는 전기커넥터(100)의 전진을 위한 레버(300)의 조작 해제 후 복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레버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레버 탄성부재는 전기커넥터(100)의 전진을 위한 레버(300)의 조작에 연동하여 압축되며, 레버(300)의 조작이 해제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전기커넥터(100)가 후진하여 충전 대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레버(300)를 복귀 및 복귀 유지시킬 수 있다. 레버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 등 탄성 변형될 수 있다면 어떠한 것으로든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 도 7, 도 8을 참조하면, 제1세이프티 락은 버튼(410)과, 커넥터 락 부재(4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410)은 수동 조작에 의해 기구적으로 커넥터 락 부재(420)에 의한 전기커넥터(100)의 복귀 제한을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가 바디(200)의 외부에서 수동 조작에 의해 누를 수 있도록 설치되되, 제2세이프티 락과의 구조적 간섭에 의해 눌림 제한될 수 있다. 버튼(410)은 바디(200)의 외부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바디(200)의 상측부에 형성된 버튼 홀(202)에 설치될 수 있다.
커넥터 락 부재(420)는 바디(200)의 내부에 버튼(410)과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전기커넥터(100)가 전진되면 전기커넥터 측 간섭부(130)와 구조적으로 간섭되어 전기커넥터(100)의 복귀, 즉 후진을 막고, 버튼(410)의 눌림에 의해 전기커넥터 측 간섭부(130)와 간섭 해제될 수 있다. 특히, 커넥터 락 부재(420)는 바디(200)의 내부 상측부에 좌우방향을 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토록 설치된 커넥터 락 회전레버(422)를 포함하고, 회전중심(422s)을 기준으로 커넥터 락 회전레버(422)의 전방부(422b)가 전기커넥터 측 간섭부(130)와 구조적으로 간섭되며 커넥터 락 회전레버(422)의 후방부(422a)가 버튼(410)과 연동되도록 연결된다. 커넥터 락 회전레버(422)의 전방부(422b)는 하측면에 전기커넥터 측 간섭부(130)의 간섭돌기(134)가 접촉되며, 전기커넥터(100)가 전진되면 끝단에 전기커넥터 측 간섭부(130)의 간섭돌기(134)가 걸림될 수 있다. 한편, 커넥터 락 회전레버(422)는 후술할 프런트 락(440)이 버튼(410)과 연동하여 조작될 수 있도록 커넥터 락 회전레버(422)의 전방부(422b)와 나란히 구성된 전방 분기부(42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세이프티 락은 버튼(410)의 눌림 후 버튼(410)이 스스로 복귀될 수 있도록, 버튼(410)의 복귀 방향으로 버튼(410) 또는 커넥터 락 부재(420)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버튼 탄성부재(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튼 탄성부재(430)는 커넥터 락 회전레버(422)의 전방부(422b) 상면과 바디(200) 사이에 버튼(410)의 누름 조작 방향에 대응되는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설치된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3, 도 4, 도 6을 참조하면, 제1세이프티 락은 프런트 락(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락(440)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20)와 결합되면 전기자동차의 충전부(20)에 걸림되어 전기자동차의 충전부(2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버튼(410)의 눌림 조작에 의해 전기자동차의 충전부(20)와의 걸림 해제된다. 이러한 프런트 락(440)은 프런트 락 회전레버(442)와, 프런트 락 탄성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락 회전레버(442)는 커넥터 락 회전레버(422)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바디 커버(210)의 내부 상측부에 좌우방향을 회전 축으로 회동 가능토록 설치된다. 프런트 락 회전레버(442)는 프런트 락(440) 회전중심(442s)의 전방부가 바디 커버(210)의 전방 외측으로 돌출되며, 전방 끝단 상측면에 전기자동차의 충전부(20)에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는 간섭턱(442a)이 돌출 형성된다. 프런트 락 회전레버(442)의 후방부는 커넥트 락 회전레버(422)의 전방 분기부(422c)의 상측에 걸쳐진다. 프런트 락 탄성부재는 프런트 락 회전레버(442)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프런트 락 탄성부재의 후방부가 커넥터 락 회전레버(422)의 전방 분기부(422c)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2세이프티 락은 전기충전시 수동 조작에 의해 본 발명의 충전플러그(10)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20)로부터 분리되지 못하도록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5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솔레노이드(510)는 제1세이프티 락의 수동 조작을 제한, 제한 해제할 수 있도록 전기충전여부에 따른 전기적 신호에 의해 돌출, 복귀되는 로드(512)를 포함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510)는 제1세이프티 락과 직접 구조적으로 간섭을 일으킬 수도 있고, 중간부재(520)를 통해 제1세이프티 락을 제한, 제한 해제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솔레노이드(510)는 제1세이프티 락의 버튼(410) 또는 커넥터 락 회전레버(422)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510)의 로드(512)는 좌우방향으로 돌출, 복귀될 수 있다.
중간부재(520)는 솔레노이드(510)와 제1세이프티 락의 버튼(410) 또는 커넥터 락 부재(420) 사이에서 구조적으로 중간 매체를 하는 것으로, 일측이 버튼(410) 또는 커넥터 락 부재(420)의 하측면에 접촉될 수 있으며, 타측에 제2세이프티 락과 간섭되는 간섭부(522a)가 형성된 중간부재레버(522)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부재레버(522)는 상하 길게 설치되며 상측단이 버튼(410) 또는 커넥터 락 부재(420)의 하측면에 접촉되는 제1중간레버부(522b)와, 제1중간레버부(522b)로부터 전진방향을 향해 절곡되며 전방 끝단에 간섭부(522a)가 형성된 제2중간레버부(522c)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부재레버(522)의 간섭부(522a)는 좌우방향으로 솔레노이드(510)의 로드(512)가 삽입, 분리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관통되며, 솔레노이드(510)의 로드(512)가 하향 이탈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개방된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중간부재(520)는 전기커넥터(100)가 전진되면 바디 그립(220)과 함께 이동하여 솔레노이드(510)와 제1세이프티 락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바디 그립(22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중간부재(520)는 전기커넥터(100)의 전진시에만 버튼(410) 또는 커넥터 락 부재(420)에 접촉되며, 솔레노이드(510)의 로드(512)와 구조적으로 간섭될 수 있다.
또한, 중간부재(520)는 중간부재레버(522)가 버튼(410) 또는 커넥터 락 부재(420)의 하측면에 밀착, 밀착 유지될 수 있도록, 중간부재레버(522)를 버튼(410) 또는 커넥터 락 부재(420)를 향해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중간부재 탄성체(5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중간부재 탄성체(524)는 제1중간레버부(522b)와 제2중간레버부(522c)의 연결부분 하측에 상하 탄성 변형 가능토록 바디 그립(220)에 설치된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락 비상 해제부(600)는 전기 충전 중에 솔레노이드(510)를 전기 회로적으로 비상 제어하지 않고, 수동 조작에 의해 구조적으로 솔레노이드(510)와 중간부재(520)가 분리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510) 자체를 이동시켜서 제1세이프티 락에 대한 제한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솔레노이드(510)는 바디(200)의 내부에 하락 가능토록 설치되며, 락 비상 해제부(600)는 솔레노이드(5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바디(200)의 하측부에 형성된 비상구(204)에 설치되며 관통홀(612)이 형성된 바디 결합부(610)와, 바디 결합부(610)와 솔레노이드(510) 사이에 개재되어 솔레노이드(510)를 받치며 바디 결합부(610)의 관통홀(612)을 통해 바디 결합부(610)로부터 분리되는 받침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바디 결합부(610)와 받침부(620)는 바디 결합부(610)에 대하여 받침부(620)가 회전하여 분리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즉, 받침부(620)는 솔레노이드(510)를 받치는 원형 구조의 본체부(622)와, 바디(200)의 내부에서 바디 결합부(610)의 상면에 걸림될 수 있도록 본체부(622)의 측면에 돌출된 돌출부(6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바디 결합부(610)의 관통홀(612)은 받침부(620)가 바디 결합부(610)에 대하여 회전하여 받침부(620)와 합치되면 받침부(620)가 분리될 수 있도록, 받침부(620)의 본체부(622)와 돌출부(624)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바디 결합부(610)의 관통홀(612)은 받침부(620)의 본체부(622)에 대응하는 원형의 중앙부(612a)와, 받침부(620)의 돌출부(624)에 대응하여 중앙부(612a)의 둘레방향을 따라 중앙부(612a)의 일부로부터 중앙부(612a)의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확장부(61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디 결합부(610)의 상면에는 받침부(620)의 돌출부(624)와 간섭되어 받침부(62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돌기(614)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 돌기(614)는 바디 결합부(610)의 둘레방향을 따라 관통홀(612)의 확장부(612b)와 확장부(612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 결합부(610)에는 받침부(620)의 임의 분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후크(61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스토퍼 후크(616)는 받침부(620)가 바디 결합부(610)에 결합되어 받침부(620)의 돌출부(624)가 스토퍼 돌기(614)에 걸림된 상태에서 받침부(620)의 돌출부(624)와 구조적으로 간섭되어 받침부(620)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임의로 회전되지 않게 하며, 비상시 제2세이프티 락에 의한 제1세이프티 락의 제한을 해제하기 위해 작업자가 받침부(620)를 회전시키면 받침부(620)가 스토퍼 후크(616)와의 구조적 간섭을 극복하고 회전될 수 있게 한다.
특히, 스토퍼 후크(616)는 받침부(620)의 돌출부(624)가 스토퍼 후크(616)와의 구조적 간섭을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토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토퍼 후크(616)는 상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바디 결합부(610)의 둘레방향을 따라 양쪽 끝단 중 한쪽 끝단만 바디 결합부(610)에 연결되며 나머지 끝단은 자유단으로서 구속되지 않는 후크 탄성 변형부(616a)와, 받침부(620)와 구조적으로 간섭될 수 있도록 후크 탄성 변형부(616a)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후크 돌기(616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 후크(616)가 구비될 수 있도록, 바디 결합부(610)의 관통홀(612)은 스토퍼 후크(616)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 중앙부(612a)의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어 스토퍼 후크(616)가 위치되는 스토퍼 후크 확장부(61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620)의 돌출부(624)에는 스토퍼 후크(616)와 구조적 간섭되며 스토퍼 후크(616)에 의해 바디 결합부(610)로부터 들뜨지 않도록, 하면에 스토퍼 후크(616)의 후크 돌기(616b)가 삽입되는 후크 홈(624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받침부(620)에 솔레노이드(510)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받침부(620)의 본체부(622)에는 중앙에 끼움부(622a)가 형성되며, 솔레노이드(510)에는 받침부(620)의 끼움부(622a)에 분리 가능토록 끼워지는 로드 구조의 솔레노이드 레그(leg)(515)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부(620)의 끼움부(622a)에 솔레노이드 레그(515)가 끼워짐으로써, 받침부(620)에 의해 솔레노이드(510)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 받침부(620)의 끼움부(622a)는 홈 또는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솔레노이드 레그(515)는 솔레노이드(510)의 유동 방지를 위해 받침부(620)의 끼움부(622a)의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충전플러그(1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 도 4, 도 7은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100)가 후진된 상태로서, 전기자동차의 충전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때, 제1세이프티 락에 의한 전기커넥터(100) 측 제한, 제2세이프티 락에 의한 제1세이프티 락의 제한이 없다.
즉, 전기커넥터 측 간섭부(130)의 간섭 돌기(134)가 제1세이프티 락의 커넥터 락 회전레버(422)의 전방부(422b)의 하측면에 접촉되어 있을 뿐 걸림된 것이 아니므로, 전기커넥터(100)가 제1세이프티 락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자유롭게 전,후진될 수 있다. 또한, 제2세이프티 락의 중간부재(520)가 바디 그립(220)과 함께 제1세이프티 락의 버튼(410)으로부터 후진되어 떨어져 있으므로, 제1세이프티 락의 버튼(410)이 제2세이프티 락의 중간부재(520)에 의해 걸림되지 않고 자유롭게 눌림될 수 있다. 이때, 제2세이프티 락의 솔레노이드(510)는 그 로드(512)가 돌출되지 않은 상태, 즉 복귀된 상태이다.
도 3 및 도 5, 도 6, 도 8, 도 9는 본 발명의 충전플러그(10)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20)와 결합됨과 아울러 레버(300)의 조작에 의해 전기커넥터(100)가 바디 커버(210)로부터 전진되어 전기자동차의 충전부(20)에 전기를 충전하는 상태이다.
이때, 전기커넥터(100)와 함께 와이어(110), 와이어 커버(120)가 전진되므로, 전기커넥터 측 간섭부(130)의 간섭 돌기(134)가 제1세이프티 락의 커넥터 락 회전레버(422)의 전방부(422b) 앞에 위치되어 걸림된다. 따라서, 제1세이프티 락에 의해 전기커넥터(100)의 후진 복귀가 제한된다.
아울러, 전기커넥터(100)와 함께 바디 그립(220)이 전진되므로 제2세이프티 락의 중간부재(520)가 제1세이프티 락의 버튼(410)의 하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전기 충전 시작과 동시에 제2세이프티 락의 솔레노이드(510)의 로드(512)가 돌출되어 제2세이프티 락의 중간부재(520)의 간섭부(522a)에 끼워짐으로써 솔레노이드(510)에 의해 중간부재(520)의 하향 이동이 제한되고, 이에 따라 중간부재(520)가 제1세이프티 락의 버튼(410) 하측에 움직이지 않고 버티고 있기 때문에 제1세이프티 락의 버튼(410)의 눌림이 제한된다. 따라서, 제2세이프티 락에 의해 제1세이프티 락의 조작이 제한된다.
이후, 전기 충전이 완료되면, 도 9a와 같이 솔레노이드(510)의 로드(512)가 중간부재(520)의 간섭부(522a)로부터 이탈되어 복귀됨으로써 제2세이프티 락에 의한 제1세이프티 락의 제한이 해제되기 때문에, 버튼(410)의 눌림에 의해 중간부재(520)의 하향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버튼(410)의 누름 조작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도 5 및 도 6과 같이 버튼(410)을 누르면, 제1세이프티 락의 커넥터 락 회전레버(422)가 회동되어 커넥터 락 회전레버(422)의 전방부(422b)가 전기커넥터 측 간섭부(130)의 상측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커넥터 락 회전레버(422)와 전기커넥터 측 간섭부(130)의 간섭이 해제되어 레버 탄성부재 등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레버(300)가 복귀됨과 아울러 전기커넥터(100)와 함께 와이어(110), 와이어 커버(120) 및 바디 그립(220)이 바디 커버(210)에 대하여 후진하여 복귀된다.
아울러, 버튼(410)을 누르면, 커넥터 락 회전레버(422)가 회동됨에 따라 커넥터 락 회전레버(422)의 전방 분기부(422c)가 프런트 락 회전레버(442)의 후방부(422a)를 들어올려 프런트 락 회전레버(442)가 회동하기 때문에, 프런트 락 회전레버(442)의 전방부(422b)가 하향 회전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부(20)에 대한 걸림이 해제됨으로써, 본 발명의 충전플러그(10)를 전기커넥터(100)의 충전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전기 충전 중인 상태에서 비상사태(예컨대, 화재 사고, 지진과 같은 천재지변 등)가 발생하여 전기 충전을 중단해야될 경우, 다음과 같이 락 비상 해제부(600)에 의해 본 발명의 충전플러그(10)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전기자동차의 충전부(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의 (a),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일상적인 경우에는 락 비상 해제부(600)는 솔레노이드(510)를 바디 커버(210)의 하측으로부터 소정 높이(h)에서 받치도록 바디 커버(210)의 하측부에 결합된다. 즉, 바디 결합부(610)가 바디 커버(210)의 비상구(204)에 결합되어 있으며, 받침부(620)가 바디 결합부(610)에 결합된 상태로 바디(200)의 내부에 소정 높이 돌출된다. 이때, 받침부(620)는 받침부(620)의 돌출부(624)가 바디 결합부(610)의 스토퍼 돌기(614)에 밀착된 상태이며, 아울러 받침부(620)의 돌출부(624)가 스토퍼 후크(616)에 걸림되어 있어, 바디 결합부(610)에 대한 받침부(620)의 상대 회전이 제한된 상태이다. 따라서, 받침부(620)가 임의로 바디 결합부(61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그리고, 받침부(620) 위에 솔레노이드(510)가 거치되며, 아울러 받침부(620)의 끼움부(622a)에 솔레노이드 레그(515)가 끼워진다.
이와 같이 락 비상 해제부(600)에 의해 솔레노이드(510)가 정상 위치에 거치된 상태에서, 도 14 및 도 15와 같이 받침부(620)를 분리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바디(200)의 외부에서 받침부(620)를 회전시키면, 받침부(620)의 돌출부(624)가 스토퍼 후크(616)의 후크 돌기(616b)를 타고 넘어가려고 함에 따라 스토퍼 후크(616)의 후크 탄성 변형부(616a)가 받침부(620)의 돌출부(624)에 의해 눌려 하측으로 탄력적으로 휘어지며, 이에 따라 스토퍼 후크(616)의 후크 돌기(616b)가 받침부(620)의 돌출부(624)로부터 하향 이동하여 받침부(620)가 스토퍼 후크(616)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회전될 수 있다.
받침부(620)가 회전하여 받침부(620)의 돌출부(624)가 바디 결합부(610)의 관통홀(612)의 확장부(612b)에 위치되면, 도 10의 (b) 및 도 16과 가이 바디 결합부(610)로부터 받침부(620)를 하측으로 빼서 분리할 수 있다.
이처럼 받침부(620)가 바디 결합부(610)로부터 분리되면, 솔레노이드(510)를 받치던 받침부(620)가 제거됨에 따라, 도 10의 (c)와 같이 솔레노이드(510)가 바디 결합부(610)를 하락함으로써 솔레노이드(510)의 로드(512)가 중간부재(520)의 간섭부(522a)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중간부재(520)와 솔레노이드(510)의 간섭이 해제됨에 따라, 제1세이프티 락의 버튼(410)을 눌러서 전기커넥터(100)를 전기자동차의 충전부(20)로부터 후진시키고, 본 발명의 충전플러그(10)를 전기자동차의 충전부(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바디 결합부(610)로부터 분리된 받침부(620)는 상기의 분리 과정과 역순으로 바디 결합부(610)에 다시 재결합되어 솔레노이드(510)를 받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충전 플러그 20; 전기자동차의 충전부
100; 전기커넥터 110; 와이어
120; 와이어 커버 130; 전기커넥터 측 간섭부
200; 바디 210; 바디 커버
220; 바디 그립 300; 레버
410; 버튼 420; 커넥터 락 부재
422; 커넥터 락 회전레버 430; 버튼 탄성부재
440; 프런트 락 510; 솔레노이드
520; 중간부재 600; 락 비상 해제부
610; 바디 결합부 620; 받침부

Claims (16)

  1.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와 결합 가능토록 구비된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이동 가능토록 설치된 전기커넥터;
    상기 전기커넥터가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와 접속되면 상기 전기커넥터의 복귀를 방지토록 제한하며,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전기커넥터의 복귀 제한을 해제하는 제1세이프티 락;
    상기 바디의 내부에 이동 가능토록 설치되며, 전기충전여부에 따라 작동되어 전기 충전시 상기 제1세이프티 락의 수동 조작을 제한하며 전기 충전 후 상기 제1세이프티 락에 대한 제한을 해제하는 제2세이프티 락; 및
    상기 바디에 결합되며, 전기 충전 중에 상기 제1세이프티 락의 수동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2세이프티 락을 수동 조작에 의해 이동시키는 락 비상 해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세이프티 락은
    상기 바디의 외부에서 누를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세이프티 락에 의해 눌림 제한되는 버튼;
    상기 바디의 내부에 상기 버튼과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기커넥터 측 간섭부와 간섭되면 상기 전기커넥터의 복귀를 막고 상기 버튼의 눌림에 의해 상기 전기커넥터 측 간섭부와 간섭 해제되는 커넥터 락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커넥터에 연결된 와이어를 감싸며 상기 전기커넥터에 연동하여 상기 와이어와 일체로 이동되도록 결속되는 와이어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기커넥터 측 간섭부는 상기 와이어 커버에 외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세이프티 락은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와 결합시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걸림되며, 상기 버튼에 의해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와의 걸림 해제되는 프런트 락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이프티 락은 전기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제1세이프티 락의 수동 조작을 제한,제한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신호에 의해 돌출,복귀되는 로드를 구비한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세이프티 락은 일측이 상기 버튼과 연동될 수 있도록 상기 버튼 또는 커넥터 락 부재에 접촉되는 중간부재와, 상기 버튼 또는 커넥터 락 부재가 상기 중간부재에 걸림되어 상기 버튼의 눌림이 제한될 수 있도록, 상기 신호에 따라 전기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중간부재를 구속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전기커넥터가 돌출 가능토록 설치되는 바디 커버와, 상기 바디 커버에 상대 이동 가능토록 결합되어 상기 전기커넥터와 연동되는 바디 그립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바디 그립과 함께 이동하여 상기 버튼 또는 커넥터 락 부재에 접촉되며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속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 그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세이프티 락은 상기 중간부재를 상기 버튼을 향해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중간부재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 비상 해제부는 상기 제2세이프티 락이 하락하여 상기 제1세이프티 락의 제한이 해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솔레노이드와 간섭되는 부분이 상기 솔레노이드의 하락이 가능토록 형성되며;
    상기 락 비상 해제부는 상기 솔레노이드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된 비상구에 설치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바디 결합부와, 상기 바디 결합부와 상기 솔레노이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솔레노이드를 받치며 상기 바디 결합부의 관통홀을 통해 상기 바디 결합부로부터 분리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바디 결합부에 대하여 회전하여 분리 가능토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솔레노이드를 받치는 원형 구조의 본체부와,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바디 결합부의 상면에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 결합부의 관통홀은 상기 받침부가 상기 바디 결합부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받침부와 합치되면 상기 받침부가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의 본체부와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바디 결합부의 상면에는 상기 받침부의 돌출부와 간섭되어 상기 받침부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바디 결합부에는 상기 받침부의 분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는 스토퍼 후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후크는 상기 바디 결합부에 상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 후크 탄성 변형부와, 상기 받침부와 구조적으로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후크 탄성부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후크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중앙에는 솔레노이드에 구비된 솔레노이드 레그가 상하방향으로 분리 가능토록 끼워지는 끼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KR1020120032826A 2012-03-30 2012-03-30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KR101672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826A KR101672957B1 (ko) 2012-03-30 2012-03-30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826A KR101672957B1 (ko) 2012-03-30 2012-03-30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682A true KR20130110682A (ko) 2013-10-10
KR101672957B1 KR101672957B1 (ko) 2016-11-04

Family

ID=49632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826A KR101672957B1 (ko) 2012-03-30 2012-03-30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9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9164A (zh) * 2018-02-23 2018-06-22 宁波洛可信汽车零部件有限公司 有安全锁的高压连接器
CN109462089A (zh) * 2018-12-10 2019-03-12 无锡祥生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带有锁紧装置的换能器连接器及超声诊断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1176B1 (en) * 2019-04-19 2020-03-24 Gogoro Inc. Connecting device and vehicle and charger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8095A (ja) * 1994-09-08 1996-03-22 Yazaki Corp 電気コネクタのアース接続方法およびアース接続構造
JP2978348B2 (ja) * 1992-12-18 1999-11-15 矢崎総業株式会社 給電コネクタ
JP2006261011A (ja) * 2005-03-18 2006-09-28 Nissan Motor Co Ltd コネクタ
JP2010123521A (ja) * 2008-11-21 2010-06-03 Yazaki Corp 充電用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8348B2 (ja) * 1992-12-18 1999-11-15 矢崎総業株式会社 給電コネクタ
JPH0878095A (ja) * 1994-09-08 1996-03-22 Yazaki Corp 電気コネクタのアース接続方法およびアース接続構造
JP2006261011A (ja) * 2005-03-18 2006-09-28 Nissan Motor Co Ltd コネクタ
JP2010123521A (ja) * 2008-11-21 2010-06-03 Yazaki Corp 充電用コネク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9164A (zh) * 2018-02-23 2018-06-22 宁波洛可信汽车零部件有限公司 有安全锁的高压连接器
CN108199164B (zh) * 2018-02-23 2024-03-12 宁波洛可信汽车零部件有限公司 有安全锁的高压连接器
CN109462089A (zh) * 2018-12-10 2019-03-12 无锡祥生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带有锁紧装置的换能器连接器及超声诊断系统
CN109462089B (zh) * 2018-12-10 2024-02-09 无锡祥生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带有锁紧装置的换能器连接器及超声诊断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957B1 (ko) 2016-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750B1 (ko) 차량의 충전구 구조
KR102180632B1 (ko) 교통 약자 맞춤형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JP5178965B1 (ja) バッテリの取付構造および電動自転車
US797216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flexible blade-shaped housing with a handle with an opening
KR20130110682A (ko)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JP2015514621A (ja) 対象物を引いて支持するためのフックを有し且つ同対象物を構造物下でロック/ロック解除する、システム
JP2010129181A (ja) 電動車両のバッテリ固定構造およびバッテリ固定方法
JP2010125867A (ja) 電動車両のバッテリ固定構造
CN106696881B (zh) 解锁装置
JP5394980B2 (ja) 給電プラグロック装置のロック手動解除構造
KR101314115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CN104924990A (zh) 车辆的可旋转遮阳板镜子
CN204754549U (zh) 一种电动汽车格栅充电口保护盖开闭结构
KR20110080308A (ko) 배터리 캐리어 착탈형 전기자동차
JP4958852B2 (ja) 車両の燃料供給口蓋構造
KR102591932B1 (ko) 오토 플러그 아웃 충전 플러그
CN211107004U (zh) 带有锁止结构的挂枪座
JP5622169B2 (ja) 充電カプラー
KR101283614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JP5273071B2 (ja) 充電プラグ
JP6249737B2 (ja) 充電コネクター用ホルダー
CN214450412U (zh) 电动车快换装置及电动汽车
CN206349573U (zh) 具有应急解锁结构的充电枪
KR20130124835A (ko)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JP2013255315A (ja) 充電プラグの保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