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9994A - 절첩식 유모차 - Google Patents

절첩식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9994A
KR20130109994A KR1020130000475A KR20130000475A KR20130109994A KR 20130109994 A KR20130109994 A KR 20130109994A KR 1020130000475 A KR1020130000475 A KR 1020130000475A KR 20130000475 A KR20130000475 A KR 20130000475A KR 20130109994 A KR20130109994 A KR 20130109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olding
baby carriage
state
b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요시 오쿠야마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9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9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3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the wheel axes being moved from each other during f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의 절첩 도중 상태에서도 압봉의 빠져나감을 방지할 수 있는 압봉의 빠져나감 방지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절첩식 유모차는, 제 1 프레임(22)과, 유모차가 절첩되면 제 1 프레임과의 상대 위치 관계가 변화하는 제 2 프레임(20)과, 배면 미는 위치 및 대면 미는 위치로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한 압봉(34)과, 소정 부분(34p)의 이동 경로(B)상의 제 1 위치와, 이동 경로(B)로부터 이격한 제 2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차단 부재(41)와, 제 1, 제 2 프레임(20, 22)의 상대 위치 관계에 응동하여, 유모차의 전개 상태에서 차단 부재(41)를 제 2 위치에 유지하고, 유모차의 절첩 도중 상태 및 절첩 상태에서 차단 부재를 제 1 위치에 유지하는 위치 조절 수단(42)을 구비하고, 제 1 위치가 된 차단 부재에 의해 압봉(34)은 전환 불능이 된다.

Description

절첩식 유모차{FOLDABLE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압봉(押棒)을 구비하고, 사용할 때에는 전개(展開) 상태로 펴지고, 불사용할 때에 절첩(折疊)할 수 있는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면(背面) 미는 위치 및 대면(對面) 미는 위치로 전환 가능한 압봉의 당해 전환을 규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각(前脚), 후각(後脚), 좌석 프레임, 암 레스트 등을 포함하고 유모차의 본체를 구성하는 차체 프레임과, 이 차체 프레임에 부착된 압봉(押棒)을 구비하고, 사용할 때에는 전개 상태로 펴지고, 불사용할 때에는 컴팩트하게 절첩할 수 있는 절첩식 유모차 중에는, 전개 상태에서 압봉을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배면 미는 위치 및 대면 미는 위치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유모차는, 압봉을 배면 미는 위치 및 대면 미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유지하는 압봉 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상투적이다.
그러나 유모차가 절첩 상태가 될 때, 유모차의 조작자가 잘못하여 압봉 로크 기구를 해제하여 버리는 일이 있다. 그러면 압봉이 차체 프레임에 대해 회동 자유롭게 되어 버려서, 압봉이 차체 프레임을 빠져나가서 회동한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면, 조작자가 압봉 및 차체 프레임의 어느 한쪽을 쥐고 있어도, 나머지 다른쪽이 넘어져 버린다.
이러한 압봉의 빠져나감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종래,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11-148449호 공보(특허 문헌 1) 및 일본 특허 제4812948호 공보(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된 유모차는, 암 레스트에 돌기부재를 형성하여 두고, 유모차의 전개 상태에서는 돌기부재가 압봉 로크 기구로부터 이격(離隔)하여, 압봉 로크 기구의 조작을 허용한다. 이에 대해 유모차를 절첩하면 암 레스트가 회동하고, 절첩 상태에서는 돌기부재가 압봉 로크 기구와 간섭하여, 압봉 로크 기구의 조작을 불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일본 특개2011-148449호 공보 일본 특허 제4812948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와 같은 유모차에서는, 여전히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문제가 생긴다. 즉, 완전한 절첩 상태에서 압봉 로크 기구의 조작을 불가능하게 하여, 상술한 압봉의 빠져나감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여도, 유모차가 전개 상태로부터 절첩 상태가 되는 도중(途中)의 상태에서는, 압봉의 회동이 규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압봉의 빠져나감이라는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다. 압봉의 빠져나감은, 특히 절첩 조작의 한창 중에 생기기 쉽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정을 감안하여, 유모차의 절첩 도중 상태에서도 압봉의 빠져나감을 방지할 수 있는 압봉의 빠져나감 방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유모차는, 제 1 프레임과, 유모차의 전개 상태, 절첩 도중 상태, 및 절첩 상태의 각 상태에서 제 1 프레임과의 상대 위치 관계가 변화하는 제 2 프레임과, 유모차의 전개 상태에서 배면 미는 위치 및 대면 미는 위치로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한 압봉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 1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압봉의 소정 부분이 배면 미는 위치 및 대면 미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이동 경로상의 제 1 위치와, 이동 경로로부터 이격한 제 2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차단 부재와, 제 1 및 제 2 프레임의 상대 위치 관계에 응동(應動)하여, 유모차의 전개 상태에서 차단 부재를 제 2 위치에 유지하고, 유모차의 절첩 도중 상태 및 절첩 상태에서 차단 부재를 제 1 위치에 유지하는 위치 조절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제 1 위치가 된 차단 부재에 의해 압봉은 전환 불능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모차의 절첩 조작을 시작하면, 차단 부재가 압봉의 이동 경로상의 제 1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절첩 도중 상태 및 절첩 상태에서 압봉의 회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조작자가 잘못하여 압봉 로크 기구를 해제하여도, 압봉은 회동하지 않아, 압봉의 빠져나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개 상태란 사용을 위해 유모차가 완전히 펴진 형상가 되는 것을 말하고, 절첩 상태란 불사용을 위해 유모차가 완전히 축소한 정적(靜的)인 형상가 되는 것을 말하고, 모두 하나의 정해진 형상이다. 이에 대해 절첩 도중 상태란, 유모차가 전개 상태로부터 절첩 상태로, 또는 그 역으로 변화하는 동적인 형상을 말하고, 하나로 정해지지 않은 폭이 있는 형태라고 이해하길 바란다.
차단 부재의 제 1 위치는 압봉의 이동 경로 내에 있으면 좋고, 차단 부재의 제 2 위치는 압봉의 이동 경로 밖에 있으면 좋고, 그 배치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차단 부재는, 이동 경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좋고, 그 방향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차단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는, 차단 부재는 유모차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라도 좋다.
차단 부재는 유모차의 제 1 프레임에 마련되면 좋고, 제 1 프레임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프레임은, 차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 부재라면 좋다. 또한 차체 프레임이란, 전각, 후각, 전후방향 부재, 브래킷, 폭방향 부재라는 유모차의 차체 골격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말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로서, 제 1 프레임은, 배면 미는 위치가 된 압봉과 개략 평행한 위치 관계이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배면 미는 위치가 된 압봉을 회동 불능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 2 프레임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프레임은, 차체 프레임을 구성한 어느 하나의 부재라면 좋다. 한 실시 형태로서, 제 2 프레임은, 제 1 프레임과 연결축을 통하여 연결하는 암 레스트이고, 암 레스트와 제 1 프레임과의 각도가, 전개 상태에서 제 1 각도가 되고, 절첩 도중 상태 및 절첩 상태에서 제 1 각도와 다른 각도가 되어도 좋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제 2 프레임은, 하단에 차륜을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후각이다. 후각은 전개 상태에서 제 1 프레임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가 되고, 절첩 도중 상태 및 절첩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먼 위치가 된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제 2 프레임은, 제 1 프레임과 연결축을 통하여 연결하는 회동 브래킷이고, 회동 브래킷과 제 1 프레임과의 각도가, 전개 상태에서 제 1 각도가 되고, 절첩 도중 상태 및 절첩 상태에서 제 1 각도와 다른 각도가 된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제 2 프레임은, 제 1 프레임과 연결축을 통하여 연결하는 전후방향 부재이고, 전후방향 부재와 제 1 프레임과의 각도가, 전개 상태에서 제 1 각도가 되고, 절첩 도중 상태 및 절첩 상태에서 제 1 각도와 다른 각도가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위치 조정 수단은, 차단 부재를 제 1 위치에 가세하는 탄성 부재와, 전개 상태에서 제 1 프레임에 맞닿아서 차단 부재를 제 2 위치로 밀어넣고(押入), 절첩 도중 상태 및 절첩 상태에서 제 1 프레임으로부터 이격하는 당접부재(當接部材)를 포함한다. 당접부재는, 차단 부재와 별도 부재라도 좋고, 차단 부재에 마련된 차단 부재의 일부라도 좋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제 1 위치는, 배면 미는 위치가 된 압봉의 소정 부분과 이웃하는 위치이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배면 미는 위치가 된 압봉이, 배면 미는 위치로부터 회동하는 일이 없고, 배면 미는 위치로 한 채로 유모차를 절첩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차단 부재의 제 1 위치는, 대면 미는 위치가 된 압봉의 소정 부분과 이웃하는 위치라도 좋다.
본 발명은 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압봉의 소정 부분 및 차단 부재의 어느 한쪽은 돌기이고, 나머지 다른쪽은 한쌍의 측벽부이고, 제 1 위치에서 돌기를 한쌍의 측벽부의 사이에 받아들여도 좋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 1 위치에서 압봉을 회동 불능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모차의 전개 상태에서 차단 부재가 압봉의 회동을 규제하지 않는다. 유모차의 절첩 조작을 시작하면, 차단 부재가 압봉의 이동 경로상의 제 1 위치로 이동하여, 압봉의 회동을 규제한다. 따라서 완전한 절첩 상태에서는 물론이고, 불완전한 절첩 도중 상태에서도, 조작자가 잘못하여 압봉 로크 기구를 해제하여도, 압봉은 회동하지 않아, 압봉의 빠져나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가 되는 절첩식 유모차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절첩식 유모차를 도시하는 측면도로서, 압봉이 배면 미는 위치가 된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절첩식 유모차를 도시하는 측면도로서, 압봉이 대면 미는 위치가 된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절첩식 유모차의 절첩 도중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절첩식 유모차의 절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전개 상태에서 암 레스트, 암 레스트 지지 부재, 및 압봉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암 레스트 및 암 레스트 지지 부재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도 6의 암 레스트 지지 부재, 압봉, 및 압봉의 빠져나감 방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전개 상태에서의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절 기구를 폭방향 외측에서 본 도면.
도 10은 도 9에 대응하는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절 기구를 폭방향 내측에서 본 도면.
도 11은 차단 부재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2는 절첩 도중 상태 및 절첩 상태에서의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절 기구를 폭방향 외측에서 본 도면.
도 13은 도 12에 대응하는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절 기구를 폭방향 내측에서 본 도면.
도 14는 절첩 도중 상태에서 암 레스트, 암 레스트 지지 부재, 및 압봉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가 되는 절첩식 유모차를 도시하는 선도로서, 압봉이 배면 미는 위치가 된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도 15의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정 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선도.
도 17은 도 15의 절첩식 유모차를 도시하는 선도로서, 압봉이 대면 미는 위치가 된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도 17의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정 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선도.
도 19는 도 15의 절첩식 유모차의 절첩 도중 상태를 도시하는 선도.
도 20은 도 15의 절첩식 유모차의 절첩 상태를 도시하는 선도.
도 21은 도 18 및 도 19의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정 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 22는 압봉의 빠져나감을 방지하는 구조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선도로서, 압봉이 대면 미는 위치가 된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도 22의 구조에서 압봉이 배면 미는 위치가 된 양상을 도시하는 선도.
도 24는 도 22의 구조에서 차단 부재가 제 1 위치가 된 양상을 도시하는 선도.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가 되는 절첩식 유모차를 도시하는 선도로서, 압봉이 배면 미는 위치가 된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도 25의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정 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선도.
도 27은 도 25의 절첩식 유모차를 도시하는 선도로서, 압봉이 대면 미는 위치가 된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도 27의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정 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선도.
도 29는 도 25의 절첩식 유모차의 절첩 도중 상태를 도시하는 선도.
도 30은 도 29의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정 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선도.
도 31은 도 25의 절첩식 유모차의 절첩 상태를 도시하는 선도.
도 32는 도 31의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정 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선도.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가 되는 절첩식 유모차를 도시하는 선도로서, 압봉이 배면 미는 위치가 된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34는 도 33의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정 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선도.
도 35는 도 33의 절첩식 유모차를 도시하는 선도로서, 압봉이 대면 미는 위치가 된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36은 도 35의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정 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선도.
도 37은 도 33의 절첩식 유모차의 절첩 도중 상태를 도시하는 선도.
도 38은 도 37의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정 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선도.
도 39는 도 33의 절첩식 유모차의 절첩 상태를 도시하는 선도.
도 40은 도 39의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정 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선도.
도 41은 본 발명의 차단 부재의 움직임 및 압봉의 이동 경로를 도시하는 선도.
도 42는 본 발명의 변형례가 되는 차단 부재의 움직임 및 압봉의 이동 경로를 도시하는 선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가 되는 절첩식 유모차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압봉이 배면 미는 위치가 된 양상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절첩식 유모차를 폭방향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3은, 동 실시 형태의 절첩식 유모차를 폭방향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고, 압봉이 대면 미는 위치가 된 양상을 나타낸다. 이들 도 1 내지 도 3은 모두 사용을 위해 펴진 전개 상태이다. 이에 대해 도 4는, 절첩식 유모차의 절첩 도중 상태를 폭방향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또한 도 5는, 절첩식 유모차를 완전히 절첩한 상태(이하, 절첩 상태라고 한다)를 폭방향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고, 본 실시 형태의 절첩식 유모차는 불사용할 때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소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절첩식 유모차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전개 상태와, 도 5에 도시하는 절첩 상태의 어느 하나가 된다.
우선 절첩식 유모차의 전체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절첩식 유모차는, 하단에 전륜(12)을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좌우 한쌍의 전각(14)과, 하단에 후륜(13)을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좌우 한쌍의 후각(15)과, 전각(14) 및 후각(15)에 가설되어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는 좌우 한쌍의 전후방향 부재(18)와, 전후방향 부재(18)보다도 상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는 좌우 한쌍의 암 레스트(20)와, 암 레스트(20)의 후단을 지지하고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좌우 한쌍의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과, 이들 좌우 대칭 한쌍의 프레임 사이에 가설된 복수의 폭방향 부재와, 하나의 프레임과 다른 프레임을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절(連節)하는 복수의 브래킷(26, 28)을 구비한다.
전각(14)의 상단과, 후각(15)의 상단과, 암 레스트(20)의 전단은, 공통되는 연결축(25)으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암 레스트(20)의 후단은, 연결축(23)을 통하여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은, 상단 및 하단을 가지며, 직선형상으로 늘어나는 파이프이다.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의 하단은 연결축(29)을 통하여 반전 브래킷(28)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반전 브래킷(28)은 연결축(30)을 통하여 후각(15)의 중앙부에 연결된다. 좌우 한쌍의 반전 브래킷(28) 사이에는, U자형상의 등받이 부재(24)가 가설된다.
또한 반전 브래킷(28)에는,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는 좌우 한쌍의 프레임인 전후방향 부재(18)의 후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후방향 부재(18)의 전단 영역은 회동 브래킷(26)의 통부(筒部)(26t)에 삽통되어 있고, 이에 의해 전후방향 부재(18)는 회동 브래킷(26)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동 브래킷(26)은 연결축(27)을 통하여, 전각(14)의 중앙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후방향 부재(18)는, 도시하지 않은 유소아용 좌석의 좌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또한 암 레스트는 유소아용 좌석의 난간을 구성한다. 등받이 부재(24)는 반전 브래킷(28)에 경동(傾動) 가능하게 부착되어, 도시하지 않은 유소아용 좌석의 등받이부를 지지한다.
상술한 전각(14), 후각(15), 전후방향 부재(18), 암 레스트(20),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 브래킷(26, 28) 및 폭방향 부재는, 절첩식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을 구성한다. 차체 프레임을 구성한 각 프레임이 연결축(23, 25, 27, 29, 30)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함에 의해, 차체 프레임은 사용을 위해 펴진 전개 상태(도 2)와, 불사용을 위해 축소된 절첩 상태(도 5)로 변형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전개 상태와, 도 5에 도시하는 절첩 상태의 도중의 한 상태를 도시한다. 반전 브래킷(28)은, 전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축(29)을 상측으로 하고 연결축(30)을 하측으로 하는 자세가 되는, 그리고 도 4에 도시하는 절첩 도중 상태를 경유하여, 절첩 상태에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축(29)을 하측으로 하고 연결축(30)을 상측으로 하는 자세로 반전된다. 이에 의해, 차체 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크게 축소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절첩 도중 상태란, 도 2에 도시하는 전개 상태로부터 절첩 조작을 시작하여, 도 5에 도시하는 완전한 절첩 상태에 이르기 직전까지의 폭넓은 형태를 말한다.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의 하단에는, 더욱 하방으로 늘어나는 플레이트(22p)가 부착 고정된다. 플레이트(22p)의 하단에는 추축(33)이 마련되고, 이 추축(33)을 통하여 플레이트(22p)는 압봉(34)의 하단에 연결된다. 압봉(34)은 직선형상으로 늘어나는 파이프이고, 추축(33)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고, 전개 상태에서 후방의 배면 미는 위치(도 2)와, 전방의 대면 미는 위치(도 3)로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하다. 압봉(34)의 상단은, 연결축(35)을 통하여 핸들부(36)에 연결된다. 핸들부(36)는 좌우 방향으로 늘어나고, 좌우 한쌍의 압봉(34)에 가설된다.
다음에 압봉 로크 기구 및 압봉의 빠져나감을 방지하는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전개 상태에서의 암 레스트, 암 레스트 지지 부재, 및 압봉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암 레스트 및 암 레스트 지지 부재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암 레스트 지지 부재, 압봉, 및 압봉의 빠져나감 방지 구조를, 길이 방향과 직각의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전각(14)의 상단부에는,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피계합부(37f)가 부착 고정되어 있다. 또한 후각(15)의 상단부에는,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피계합부(37r)가 부착 고정되어 있다. 이에 대해 압봉(34)에는 계합 부재(38)가 활주 가능하게 마련된다. 계합 부재(38)는 측면으로 본 때에 능형(菱形)이고, 압봉(34)의 길이 방향에 활주 가능하다. 계합 부재(38)의 폭방향 내측에는, 압봉(34)의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 피계합부(37r, 37f)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는 계합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피계합부(37r, 37f) 및 계합 부재(38)는, 압봉(34)을 대면 미는 위치 또는 배면 미는 위치의 어느 한쪽으로 유지하는 압봉 로크 기구를 구성한다.
압봉(34)이 도 6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 미는 위치가 되면, 계합 부재(38)는 피계합부(37r)와 계합하고, 압봉(34)은 배면 미는 위치로 유지된다. 절첩식 유모차의 조작자가 계합 부재(38)를 상방으로 끌어올려서 피계합부(37r)와의 계합을 해제하면, 압봉(34)은 추축(33)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해진다. 다음에, 조작자가 도 6에 파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봉(34)을 대면 미는 위치로 쓰러뜨림에 의해, 능형의 계합 부재(38)가 피계합부(37f)와 자동적으로 계합한다. 이에 의해 압봉(34)은 대면 미는 위치로 유지된다. 이와는 반대로 대면 미는 위치로부터 배면 미는 위치로 전환하는 경우에서도, 조작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계합 부재(38)를 끌어올려서 압봉(34)을 배면 미는 위치로 쓰러뜨리면 좋다.
폭방향 외측에서 보아,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 미는 위치가 된 압봉(34)에 은폐되어 있다. 배면 미는 위치가 된 압봉(34)과 평행하게 늘어나는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에는, 스토퍼(39r)가 부착 고정되어 있다. 스토퍼(39r)는 압봉(34)에 마련되어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한 돌기부(34p)와 맞닿아서, 압봉(34)이 배면 미는 위치를 넘어서 후방에 쓰러지는 것을 규제한다. 마찬가지로, 전각(14)에는, 압봉(34)이 대면 미는 위치를 넘어서 전방으로 쓰러지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39f)가 부착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부언하면, 스토퍼(39r)의 선단부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하는 갈고리(39n)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돌기부(34p)의 선단부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으로 돌출하는 갈고리(34n)가 형성되어 있다. 압봉(34)이 배면 미는 위치가 되어 있는 동안, 갈고리(34n, 39n)는, 유모차의 폭방향으로 벌어진 간극을 통하여 서로 대면한다. 이에 의해, 과대한 횡력이 압봉(34)에 작용하는 등 하여, 압봉(34)이 폭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려고 하여도, 갈고리(34n, 39n)가 서로 계합하여, 압봉(34)의 폭방향 바깥쪽 이동이 방지된다.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의 폭방향 외측에는 차단 부재(41)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 수단의 커버(42)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42)에는,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의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는 긴 구멍(42n)이 형성되어 있다. 차단 부재(41)는,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가늘고 길다란 부재로서, 커버(42)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그리고, 차단 부재(41)의 하단부에는 셔터(41s)가 형성된다. 셔터(41s)는 긴 구멍(42n)을 관통하고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그리고 셔터(41s)는, 긴 구멍(42n)의 상단측(제 1 위치)과 긴 구멍(42n)의 하단측(제 2 위치)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제 2 위치가 된 차단 부재(41)의 셔터(41s)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봉(34)의 회동에 수반하고, 압봉(34)의 돌기부(34p)는 추축(33)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상의 이동 경로(B)에 따라 이동한다. 차단 부재(41)는 셔터와 같이 이동 경로(B)를 개폐하고, 돌기부(34p)의 통과를 허용 내지 규제한다.
도 9는 전개 상태에서의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절 수단을 폭방향 외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대응하는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절 수단을 폭방향 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의 좌측은 차단 부재의 정면도이고, 절첩식 유모차의 전방에서 본 양상을 나타낸다. 도 11의 우측은 차단 부재의 측면도이고, 절첩식 유모차의 폭방향 외측에서 본 양상을 나타낸다. 도 12는 절첩 도중 상태 및 절첩 상태에서의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절 수단을 폭방향 외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대응하는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절 수단을 폭방향 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압봉(34)이 차체 프레임을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커버(42)의 외측면(42m)은, 폭방향 외측을 지향한다. 외측면(42m)으로부터, 피계합부(37r) 및 스토퍼(39r)가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커버(42)의 내측면(42i)은, 파이프인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의 외주면에 부착 고정된다.
차단 부재(41)는 커버(42)에 수용되어,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의 중심선(22x)의 연재 방향으로 안내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단 부재(41)는 L자형상이고, 상하 방향으로 늘어남과 함께 셔터(41s)가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커버(42)의 내부에는, 도 10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단 부재(41)를 상방으로 가세하는 V자형상의 탄성 부재(43)가 마련되어 있다. 탄성 부재(43)의 일방단은 커버(42)의 내측면에 계합하고, 탄성 부재(43)의 타방단은 차단 부재(41)로부터 돌출한 돌기부분(41t)에 계합한다. 차단 부재(41)의 상단부(41p)는 커버(42)의 상단에 형성된 노치(42h)에 삽입되어 노치(42h)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다. 그리고 상단부(41p)는 당접부재로서 암 레스트(20)의 하면과 맞닿는다. 이 때문에 차단 부재(41)는 탄성 부재(43)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하방으로 압하되어, 전개 상태에서는 제 2 위치가 된다.
이에 대해 절첩식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이 절첩을 시작하여, 연결축(23) 주위의 암 레스트(20)와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의 각도가 넓어지면, 암 레스트(20)는 상단부(41p)로부터 떨어지고, 탄성 부재(43)가 차단 부재(41)를 상방으로 변위시킨다. 이에 의해 셔터(41s)는 이동 경로(B)상의 제 1 위치가 된다(도 11, 도 12). 제 1 위치가 된 셔터(41s)는 압봉(34)의 돌기부(34p)와 이웃한다. 이 때문에, 도 14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첩 도중 상태에서 압봉(34)이 회동하려고 하여도 돌기부(34p)가 셔터(41s)에 맞닿아서, 압봉(34)은 회동이 규제된다.
계속해서 차체 프레임이 절첩되어, 연결축(23) 주위의 암 레스트(20)와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의 각도가 더욱 넓어지면, 차체 프레임은 완전한 절첩 상태가 된다. 절첩 상태에서는, 절첩 도중 상태와 마찬가지로, 차단 부재(41)의 셔터(41s)는 이동 경로(B)상의 제 1 위치가 된다(도 11, 도 12). 그리고 도 14의 사시도와 마찬가지로, 절첩 상태에서 셔터(41s)는 압봉(34)의 돌기부(34p)와 맞닿아서, 압봉(34)은 회동이 규제된다. 탄성 부재(43) 및 상단부(41p)는, 차단 부재(41)의 위치를 조정한 위치 조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부언하면 셔터(41s)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위치 및 제 1 위치의 쌍방에서, 돌기부(34p)의 전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 1 위치가 된 셔터(41s)가 돌기부(34p)의 전면과 대향하여 압봉(34)의 전방으로의 회동이 규제됨과 함께, 스토퍼(39r)가 돌기부(34p)의 후면과 대향하여 압봉(34)의 후방으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이 결과, 조작자가 압봉 로크 기구의 계합 부재(38)를 상방으로 밀어올려서, 계합 부재(38)와 피계합부(37r)와의 계합을 해제하여도, 압봉(34)이 회동하는 일은 없다.
본 실시 형태의 절첩식 유모차에 의하면, 차단 부재(41)가, 제 2 프레임인 암 레스트(20)와, 제 1 프레임인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과의 상대 위치 관계에 응동한다. 즉 차단 부재(41)는,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절첩식 유모차의 절첩 상태 및 절첩 도중 상태에서, 압봉(34)의 돌기부(34p)의 이동 경로(B)상의 제 1 위치가 된다. 또한 차단 부재(41)는, 절첩식 유모차의 전개 상태에서, 이동 경로(B)로부터 이격한 제 2 위치가 된다.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의 사이에서의 차단 부재(41)의 위치 조절은, 커버(42)에 내설되어 차단 부재(41)를 제 1 위치로 가세하는 탄성 부재(43)와, 암 레스트(20)가 차단 부재(41)의 상단부(41p)에 맞닿아서 차단 부재(41)를 제 2 위치로 밀어내림에 의해 행한다.
이에 의해 상단부(41p)가 암 레스트(20)에 맞닿는 전개 상태에서, 차단 부재(41)는 제 2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상단부(41p)가 암 레스트(20)로부터 이격하는 절첩 도중 상태 및 절첩 상태에서, 탄성 부재(43)는 유모차의 차단 부재(41)를 제 1 위치에 유지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절첩 상태에서는 물론이고, 절첩 도중 상태에서도, 조작자가 계합 부재(38)와 피계합부(37r)와의 계합을 해제하여도, 압봉(34)은 차단 부재(41)에 의해 회동이 규제되여, 전환 불능이 된다. 따라서 압봉(34)이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이나 전각(14) 등의 차체 프레임을 넘어서 전방으로 회동하는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가 되는 절첩식 유모차를 도시하는 선도(線圖)로서, 도 15는 전개 상태가 된 절첩식 유모차를 좌측면에서 보아, 압봉이 배면 미는 위치가 된 양상을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정 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선도이다.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해, 상술한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에 관해 이하에 설명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후각(15)이,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과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는 제 2 프레임이 된다. 또한 차단 부재(41)의 상단에는, 도면 중에서 해칭(hatching)을 한 셔터(41s)가 형성되고, 차단 부재(41)의 하단이 커버(42)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가능하게 된다. 후각(15)에는 후방으로 돌출한 당접부(15p)당접부(15p)가 고착되어 있다.
전개 상태에서, 차단 부재(41)의 하단은 당접부(15p)와 맞닿아서 상방으로 압상되어, 셔터(41s)는, 돌기부(34p)의 이동 경로로부터 상방에 격리한 제 2 위치가 된다.
도 17은, 도 15의 절첩식 유모차를 도시하는 선도로서, 압봉이 대면 미는 위치가 된 양상을 나타낸다. 도 18은, 도 17의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정 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선도이다. 전개 상태에서 셔터(41s)는 제 2 위치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부(34p)는 셔터(41s)와 간섭하지 않고, 압봉(34)은 배면 누르고 상태에서 대면 누르고 상태로, 또는 그 역으로 전환 가능하다.
도 19는, 도 15의 절첩식 유모차의 절첩 도중 상태를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 20은, 도 15의 절첩식 유모차의 절첩 상태를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 21은, 도 18 및 도 19의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정 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낸다.
압봉(34)이 배면 미는 위치가 된 상태에서, 조작자가 절첩식 유모차의 절첩을 시작하여, 절첩식 유모차가 도 19에 도시하는 절첩 도중 상태가 되면, 제 1 프레임인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과 제 2 프레임인 후각(15)과의 상대 위치 관계가 변화한다. 그리고 차단 부재(41)가 후각(15)의 당접부(15p)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의해 차단 부재(41)는 하방에 복귀하여, 셔터(41s)가 제 1 위치가 된다. 압봉(34)이 회동하려고 하면, 압봉의 돌기부(34p)가 제 1 위치가 된 셔터(41s)와 맞닿기 때문에 압봉(34)의 회동이 규제된다.
계속해서 조작자가 절첩식 유모차를 절첩하여, 절첩식 유모차가 도 20에 도시하는 최종적인 절첩 상태에 되어도, 차단 부재(41)는 후각(15)으로부터 이격한 채이다. 따라서 절첩 도중 상태 및 절첩 상태에서, 셔터(41s)는 제 1 위치에 유지되고, 압봉(34)의 변경이 방지된다.
다음에 압봉의 빠져나감 방지 구조의 변형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22는, 변형례를 좌측방에서 본 선도로서, 압봉이 대면 미는 위치가 된 양상을 나타낸다. 도 23은, 도 22의 구조에서 압봉이 배면 미는 위치가 된 양상을 도시하는 선도이다. 이 변형례에서는, 도면 중에서 해칭을 한 돌기부(34p)가, 한쌍의 측벽부(34w, 34w)와, 저벽부(34b)를 갖는다. 측벽부(34w, 34w)는 서로 마주 보고 압봉(34)의 길이 방향으로 늘어난다. 저벽부(34b)는 하단측에서 한쌍의 측벽부(34w, 34w)와 접속한다.
도 22 및 도 23의 변형례도 전술한 도 16 및 도 18과 마찬가지로, 유모차의 전개 상태에서 차단 부재(41)의 하단부(41)가 후각과 맞닿아서 상방으로 압상되어, 셔터(41s)는 상방의 제 2 위치에 유지된다. 이에 의해 압봉(34)은, 도 22에 도시하는 대면 미는 위치와, 도 23에 도시하는 배면 미는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도 24는, 도 22의 구조에서 차단 부재가 제 1 위치가 된 양상을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첩식 유모차를 절첩하기 시작하면,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과 후각(15)의 상대 위치 관계가 변화하여, 후각(15)이 차단 부재(41)로부터 떨어진다. 그러면 셔터(41s)가 하방의 제 1 위치가 되어, 한쌍의 측벽부(34w, 34w)의 사이에 셔터(41s)를 받아들인다. 이에 의해 압봉은, 절첩 도중 상태 및 절첩 상태에서 회동 불능으로 유지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도 25 내지 도 32의 선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가 되는 절첩식 유모차를 도시하는 선도로서, 압봉이 배면 미는 위치가 된 양상을 나타낸다. 도 26은, 도 25의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정 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 27은, 도 25의 절첩식 유모차를 도시하는 선도로서, 압봉이 대면 미는 위치가 된 양상을 나타낸다. 도 28은, 도 27의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정 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 29는, 도 25의 절첩식 유모차의 절첩 도중 상태를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정 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 31은, 도 25의 절첩식 유모차의 절첩 상태를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정 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선도이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해, 상술한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에 관해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프레임을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으로 하고, 제 2 프레임을 회동 브래킷(28)으로 한다. 회동 브래킷(28)과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은 연결축(29)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동 브래킷(28)과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과의 각도는 절첩 조작에 의해 변화한다. 또한, 회동 브래킷(28)과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과의 연결축(29)은,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과 압봉(34)과의 추축(34)과, 동축으로 배치된다.
도 25 내지 도 28에 도시하는 전개 상태에서,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과 회동 브래킷(28)과의 각도는 제 1 각도가 된다. 또한, 연결축(29)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회동 브래킷(28)의 상단(28t)은 차단 부재(41)의 하단과 맞닿고, 이에 의해 차단 부재(41)는 상측의 제 1 위치가 된다. 이 전개 상태에서, 압봉(34)에 부착 고정된 돌기부(34p)는, 차단 부재(41)의 셔터(41s)와 계합하지 않는다.
도 29 및 도 30에 도시하는 절첩 도중 상태에서, 회동 브래킷(28)은 연결축(29) 주위로 회동하여 상단(28t)이 후방 이동한다. 그러면 상단(28t)은 차단 부재(41)로부터 떨어지고, 차단 부재(41)는 탄성 부재(43)에 의해 하측의 제 2 위치가 된다. 차단 부재(41)의 셔터(41s)는 제 2 위치에서, 배면 미는 위치가 된 압봉(34)의 돌기부(34p)와 계합한다. 이에 의해 압봉(34)은 전환 불능이 된다.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하는 절첩 상태에서도 절첩 도중 상태와 마찬가지이다. 즉 회동 브래킷(28)은 계속해서 회동하고, 상단(28t)은 회동축(29)보다도 하방에 되어 차단 부재(41)로부터 멀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 33 내지 도 40의 선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가 되는 절첩식 유모차를 도시하는 선도로서, 압봉이 배면 미는 위치가 된 양상을 나타낸다. 도 34는, 도 33의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정 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 35는, 도 33의 절첩식 유모차를 도시하는 선도로서, 압봉이 대면 미는 위치가 된 양상을 나타낸다. 도 36은, 도 35의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정 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 37은, 도 33의 절첩식 유모차의 절첩 도중 상태를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 38은, 도 37의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정 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 39는, 도 33의 절첩식 유모차의 절첩 상태를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 40은, 도 39의 차단 부재 및 위치 조정 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선도이다.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해, 상술한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에 관해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프레임을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으로 하고, 제 2 프레임을 전후방향 부재(18)로 한다. 회동 브래킷(28)과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은 연결축(29)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연결축(29)을 통하여, 전후방향 부재(18)의 후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에 의해 전후방향 부재(18)와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과의 각도는 절첩 조작에 의해 변화한다. 또한 연결축(29)은,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과 압봉(34)의 추축(34)과, 동축으로 배치된다.
도 33 내지 도 36에 도시하는 전개 상태에서,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22)과 전후방향 부재(18)와의 각도는 제 1 각도가 된다. 또한, 연결축(29)보다도 후방에 위치한 전후방향 부재(18)의 후단(18t)은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여 차단 부재(41)의 하단과 맞닿고, 이에 의해 차단 부재(41)는 상측의 제 1 위치가 된다. 이 전개 상태에서, 압봉(34)에 부착 고정된 돌기부(34p)는, 차단 부재(41)의 셔터(41s)와 계합하지 않는다.
도 37 및 도 38에 도시하는 절첩 도중 상태에서, 전후방향 부재(18)는 연결축(29) 주위로 회동하여 후단(18t)이 하방 이동한다. 그러면 후단(18t)은 차단 부재(41)로부터 떨어지고, 차단 부재(41)는 탄성 부재(43)에 의해 하측의 제 2 위치가 된다. 차단 부재(41)의 셔터(41s)는 제 2 위치에서, 배면 미는 위치가 된 압봉(34)의 돌기부(34p)와 계합한다. 이에 의해 압봉(34)은 전환 불능이 된다.
도 39 및 도 40에 도시하는 절첩 상태에서도 절첩 도중 상태와 마찬가지이다. 즉 전후방향 부재(18)는 계속해서 회동하고, 후단(18t)은 차단 부재(41)로부터 멀어진다.
도 41은 본 발명의 차단 부재의 움직임 및 압봉의 이동 경로를 도시하는 선도로서, 좌측이 유모차의 차폭 방향으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우측이 유모차의 전후 방향으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지금까지 설명하여 온 바와 같이, 압봉(34)의 소정 부분이 되는 돌기부(34p)는, 도 41의 좌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봉(34)의 전환시에 추축(33)을 중심으로 한 원주 궤도를 그린다. 차단 부재(41)는, 원주 궤도의 압봉 이동 경로(B) 내의 제 1 위치(실선)와, 이동 경로(B) 밖의 제 2 위치(2점 쇄선)와의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차단 부재(41)는 제 1 위치에서 압봉의 소정 부분이 된 돌기부(34p)와 계합한다. 또한 차단 부재(41)의 제 2 위치는, 도 41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제 1 위치의 상방이라도 좋은 외에, 도시되지 않는 제 1 위치의 하방이라도 좋다.
도 42는 본 발명의 변형례가 되는 차단 부재의 움직임 및 압봉의 이동 경로를 도시하는 선도로서, 좌측이 유모차의 차폭 방향으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우측이 유모차의 전후 방향으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상술한 실시 형태 외에, 압봉(34)은, 도 42의 좌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봉(34)의 전환시에 추축(33)을 정점(頂点)으로 하는 부채꼴의 이동 경로(B)를 그린다. 차단 부재(41)는, 도 42의 우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봉 이동 경로(B) 내의 제 1 위치(2점 쇄선)와, 이동 경로(B) 밖의 제 2 위치(실선)와의 사이를 폭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차단 부재(41)는, 도 42의 우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모차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라도 좋다. 도 42에 도시하는 이동 경로(B)는, 도 41에 도시하는 이동 경로(B)보다도 넓기 때문에, 차단 부재(41)의 배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증대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의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되는 절첩식 유모차는, 육아 기구에서 유리하게 이용된다.
12 : 전륜
13 : 후륜
14 : 전각
15 : 후각
18 : 전후방향 부재
20 : 암 레스트
22 :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
22x : 암 레스트 지지 프레임 중심선
23 : 연결축
24 : 등받이 부재
26 : 회동 브래킷
28 : 반전 브래킷
33 : 추축
34 : 압봉
34p : 돌기부
34w, 34w : 측벽부
34b : 저벽부
37f, 37r : 피계합부
38 : 계합 부재
39f, 39r : 스토퍼
41 : 차단 부재
41s : 셔터
42 : 커버
43 : 탄성 부재

Claims (9)

  1. 제 1 프레임과,
    유모차의 전개 상태, 절첩 도중 상태, 및 절첩 상태의 각 상태에서, 상기 제 1 프레임과의 상대 위치 관계가 변화하는 제 2 프레임과,
    유모차의 전개 상태에서 배면 미는 위치 및 대면 미는 위치로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한 압봉과,
    상기 제 1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압봉의 소정 부분이 배면 미는 위치 및 대면 미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이동 경로상의 제 1 위치와, 상기 이동 경로로부터 이격한 제 2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차단 부재와,
    상기 상대 위치 관계에 응동하여, 유모차의 전개 상태에서 상기 차단 부재를 제 2 위치에 유지하고, 유모차의 절첩 도중 상태 및 절첩 상태에서 상기 차단 부재를 제 1 위치에 유지하는 위치 조절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위치가 된 차단 부재에 의해 상기 압봉은 전환 불능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배면 미는 위치가 된 상기 압봉과 거의 평행한 위치 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1 프레임과 연결축을 통하여 연결하는 암 레스트이고, 상기 암 레스트와 상기 제 1 프레임과의 각도가, 상기 전개 상태에서 제 1 각도가 되고, 상기 절첩 도중 상태 및 상기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제 1 각도와 다른 각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은, 하단에 차륜을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후각이고, 상기 후각은 상기 전개 상태에서 상기 제 1 프레임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가 되고, 상기 절첩 도중 상태 및 절첩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먼 위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1 프레임과 연결축을 통하여 연결하는 회동 브래킷이고, 상기 회동 브래킷과 상기 제 1 프레임과의 각도가, 상기 전개 상태에서 제 1 각도가 되고, 상기 절첩 도중 상태 및 상기 절첩 상태로 상기 제 1 각도와 다른 각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1 프레임과 연결축을 통하여 연결하는 전후방향 부재이고, 상기 전후방향 부재와 상기 제 1 프레임과의 각도가, 상기 전개 상태에서 제 1 각도가 되고, 상기 절첩 도중 상태 및 상기 절첩 상태로 상기 제 1 각도와 다른 각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 수단은, 상기 차단 부재를 상기 제 1 위치에 가세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전개 상태에서 상기 제 1 프레임에 맞닿아서 상기 차단 부재를 상기 제 2 위치로 밀어넣도, 상기 절첩 도중 상태 및 상기 절첩 상태에서 상기 제 1 프레임으로부터 이격하는 당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는, 배면 미는 위치가 된 압봉의 소정 부분과 이웃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부분 및 상기 차단 부재의 어느 한쪽은 돌기이고, 나머지 다른쪽은 한쌍의 측벽부이고,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돌기를 한쌍의 측벽부의 사이에 받아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KR1020130000475A 2012-03-27 2013-01-03 절첩식 유모차 KR201301099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71834A JP5992190B2 (ja) 2012-03-27 2012-03-27 折り畳み式乳母車
JPJP-P-2012-071834 2012-03-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994A true KR20130109994A (ko) 2013-10-08

Family

ID=4936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475A KR20130109994A (ko) 2012-03-27 2013-01-03 절첩식 유모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92190B2 (ko)
KR (1) KR20130109994A (ko)
CN (1) CN103359144B (ko)
TW (1) TWI5556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9100B2 (ja) * 2014-02-17 2017-10-04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折畳式乳母車
CN111634320B (zh) * 2017-01-06 2022-10-14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婴儿载具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1003459A (en) * 1910-02-12 1910-08-18 Alexander Plant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Go-cars.
US4681331A (en) * 1984-10-09 1987-07-21 Peg Perego Pines S.P.A. Perambulator
JP2794123B2 (ja) * 1989-09-06 1998-09-03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
JP3377139B2 (ja) * 1994-12-16 2003-02-17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全開ロック機構および押棒ロック機構
JP2002002497A (ja) * 2000-06-21 2002-01-09 Combi Corp 手押し車
JP3618657B2 (ja) * 2000-09-13 2005-02-09 株式会社東芝 受信装置
JP3939537B2 (ja) * 2001-02-15 2007-07-04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4163999B2 (ja) * 2003-06-11 2008-10-08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樹脂補強用ポリエステル繊維
JP4583742B2 (ja) * 2003-09-24 2010-11-17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DE602005014954D1 (de) * 2004-04-13 2009-07-30 Graco Childrens Prod Inc Kinder-sportwagen mit becherhalter
JP4757594B2 (ja) * 2005-09-30 2011-08-24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4994926B2 (ja) * 2007-04-09 2012-08-08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5410313B2 (ja) * 2010-01-22 2014-02-05 コンビ株式会社 折り畳み可能なベビーカー
CN201646828U (zh) * 2010-03-16 2010-11-24 苏州威凯儿童用品有限公司 推把可换向的婴儿推车
CN102211602B (zh) * 2010-04-07 2015-09-30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承载装置及其操作方法
CN102211604B (zh) * 2010-04-09 2014-03-05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可收合式的婴儿承载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59144A (zh) 2013-10-23
CN103359144B (zh) 2016-08-10
JP5992190B2 (ja) 2016-09-14
JP2013203139A (ja) 2013-10-07
TW201339033A (zh) 2013-10-01
TWI555660B (zh) 201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9377B2 (en) Child stroller apparatus
US8186705B2 (en) Stroller
US8328208B2 (en) Stroller connectable with a car seat
US6561536B2 (en) Stroller
US20120326418A1 (en) Stroller
JP5963394B2 (ja) 折畳式乳母車
JP5410312B2 (ja) 折り畳み可能なベビーカー
JP6209100B2 (ja) 折畳式乳母車
JP5755344B2 (ja) 折り畳み式乳母車
JP2005329844A (ja) 物品収納かごおよびそれを備えた折畳式乳母車
KR20180050207A (ko) 유모차
JP2007098995A (ja) ベビーカー
KR20130109994A (ko) 절첩식 유모차
JP2008195265A (ja) ベビーカー
CN111356624A (zh) 用于运送儿童的装置和儿童座椅
KR102319303B1 (ko) 유모차
CA2657144A1 (en)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US11970200B2 (en) Stroller handle lock auxiliary structure
JP2013203139A5 (ko)
JP5963630B2 (ja) 手押し車のロック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