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303B1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303B1
KR102319303B1 KR1020210016612A KR20210016612A KR102319303B1 KR 102319303 B1 KR102319303 B1 KR 102319303B1 KR 1020210016612 A KR1020210016612 A KR 1020210016612A KR 20210016612 A KR20210016612 A KR 20210016612A KR 102319303 B1 KR102319303 B1 KR 102319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rame
link
state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6352A (ko
Inventor
겐지로 사와야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06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3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the wheel axes being moved from each other during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62B9/203Handle bars; Handles movable from front end to rear en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모차(10)는, 전개 상태로부터 접은 상태로 접을 수 있는 유모차로서, 전개 상태로부터 접은 상태로 변형 가능한 본체 프레임(12)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와의 사이를 요동(搖動) 가능하게 본체 프레임(12)에 접속된 핸들(40)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프레임(12)은, 유모차(10)의 접음 동작이 규제되게 되는 규제 위치와, 유모차(10)의 접음 동작이 가능해지는 해제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상태 유지 부재(50)를 갖고 있다. 또, 핸들(40)은, 본체 프레임(12)에 접속한 핸들 본체(41)와,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태 유지 부재(50)와 걸어맞춤하여 상태 유지 부재(50)의 규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65)를 갖는다.

Description

유모차{STROLLER}
본 발명은, 핸들을 요동(搖動) 가능한 접이식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JP2015-209182A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유아를 데리고 나갈 때에 이용하는 유모차가 이용에 제공되고 있다. 많은 유모차가, 보관 시나 휴대 시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접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핸들을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한 유모차도 널리 보급되어 있다.
JP2015-209182A에 개시된 유모차에서는, 핸들이 배면(背面) 밀기 위치와 대면(對面) 밀기 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배면 밀기 위치에 있어서, 핸들은 유유아(乳幼兒)의 배면측에 위치하고, 보호자는, 유유아의 배면측으로부터 유모차를 밀어 나아간다. 한편, 대면 밀기 위치에 있어서, 핸들은 유유아에 대면하여 위치하고, 보호자는, 유유아에 대면하는 측으로부터 유모차를 밀어 나아간다.
그런데, 핸들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한 접이식 유모차에서는, 핸들이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 중 어느 한 쪽에 배치된 경우, 유모차가 의도치 않게 접은 상태로 변형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핸들을 대면 밀기 위치에 배치하고, 유모차의 후각(後脚)측이 진행 방향의 전방이 되도록 하여 유모차를 주행시킨 경우, 후륜(後輪)이 단차에 부딪히는 등 하여, 후각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후각에 가해진 충격에 의해 유모차를 전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유모차의 구성요소 간의 걸어맞춤이 의도치 않게 해제되어, 유모차가 의도치 않게 접은 상태가 될 우려가 있다. 또는, 접은 상태가 되지는 않더라도,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의 강도가 저하되거나, 핸들을 이용한 유모차의 조작성이 저하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본 건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가 의도치 않게 접은 상태가 되거나, 핸들의 본체 프레임에 대한 위치가 어긋나거나 할 우려가 저감된 유모차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는, 전개 상태로부터 접은 상태로 접을 수 있는 유모차로서,
상기 전개 상태로부터 상기 접은 상태로 변형 가능한 본체 프레임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와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 프레임에 접속된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유모차의 접음 동작이 규제되게 되는 규제 위치와, 상기 유모차의 접음 동작이 가능해지는 해제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상태 유지 부재를 가지며,
상기 핸들은, 상기 본체 프레임에 접속한 핸들 본체와,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상태 유지 부재의 상기 규제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핸들이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상태 유지 부재와 걸어맞춤하여 상기 상태 유지 부재의 상기 규제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핸들 본체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상태 유지 부재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를 갖고,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핸들이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규제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에 대면하는 핸들측 걸어맞춤 돌출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핸들측 걸어맞춤 돌출부는, 상기 핸들이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에 대면하는 부분을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전각(前脚) 및 후각과,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과 회동(回動) 가능하게 접속된 제 1 링크와,
상기 제 1 링크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후각에 지지되는 제 2 링크를 가지며,
상기 상태 유지 부재는, 상기 제 2 링크에 지지되고,
상기 핸들은, 상기 제 2 링크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핸들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를 갖고,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본체 프레임 중 상기 제 2 링크 이외의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는 프레임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는, 상기 핸들이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핸들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에 하방으로부터 대면해도 된다.
또는,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는, 전개 상태로부터 접은 상태로 접을 수 있는 유모차로서,
상기 전개 상태로부터 상기 접은 상태로 변형 가능한 본체 프레임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와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 프레임에 접속된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본체 프레임에 접속한 핸들 본체와, 상기 핸들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핸들측 걸어맞춤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핸들이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핸들측 걸어맞춤 돌출부에 하방으로부터 대면하는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를 갖는다.
또는,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는, 전개 상태로부터 접은 상태로 접을 수 있는 유모차로서,
상기 전개 상태로부터 상기 접은 상태로 변형 가능한 본체 프레임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와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 프레임에 접속된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핸들이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핸들의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한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가 의도치 않게 접은 상태가 되거나, 핸들의 본체 프레임에 대한 위치가 어긋나거나 할 우려가 저감된 유모차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유모차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핸들이 제 1 위치(배면 밀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 1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핸들이 제 2 위치(대면 밀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 1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접힌 상태에서 도 1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유모차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유모차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비조작 위치에 있는 조작 부재와 규제 위치에 있는 상태 유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조작 위치에 있는 조작 부재와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 유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2 링크와 핸들의 부착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1 위치 홀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 2 위치 홀딩부 및 프레임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홀딩체 및 핸들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 1 위치에 있는 핸들의 일부를 유모차의 본체 프레임과 함께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와의 사이에 있는 핸들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제 2 위치에 있는 핸들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유모차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에 나타내어진 일 구체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 도 1∼도 4에는, 유모차의 구체예의 전체 구성이 나타내어져 있다. 또, 도 5에는, 유모차의 일부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는, 전각(14) 및 후각(16)을 갖는 본체 프레임(12)과,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도록 본체 프레임(12)에 접속된 핸들(40)과, 전각(14)에 부착된 전륜(前輪)(18)과, 후각(16)에 부착된 후륜(19)을 갖고 있다. 이 중, 본체 프레임(12) 및 핸들(40)이 유모차 본체(11)를 구성하고 있다. 또, 도 2에만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1)에는, 쿠션성을 갖는 좌석재(座席材, 13)가 떼어냄 가능하게 장착된다. 유유아는, 이 좌석재(13) 상에 착좌(着座) 또는 가로눕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핸들(40)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와의 사이를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핸들(40)의 제 1 위치는 배면 밀기 위치이며(도 1 및 도 2 참조), 핸들(40)의 제 2 위치는 대면 밀기 위치이다(도 3 참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40)은, 배면 밀기 위치인 제 1 위치에 있어서, 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후방으로 뻗어나가 있다. 배면 밀기 위치인 제 1 위치에 핸들(40)을 배치한 경우, 조작자(보호자)는 유유아의 배면측으로부터 핸들(40)을 파지(把持)하여 유모차(10)를 조종한다. 이때, 유유아는, 유모차(10)의 주행 중,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여 경치를 즐길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40)은, 대면 밀기 위치인 제 2 위치에 있어서, 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전방으로 뻗어나가 있다. 대면 밀기 위치인 제 2 위치에 핸들(40)을 배치한 경우, 조작자는 유유아에게 대면하는 전각(14)측의 위치로부터 핸들(40)을 파지하여 유모차(10)를 조종한다. 이때, 유모차(10)의 후각(16)측이 진행 방향의 전방이 되도록 하여 유모차(10)를 주행시킬 수 있다.
도시된 유모차(10)(본체 프레임(12))는, 널리 보급되어 있는 것과 같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어진 전개 상태로부터 도 4에 나타내어진 접은 상태로 접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유모차(10)(본체 프레임(12))는, 접은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전개할 수도 있다. 유모차(10)가 전개 상태에 있는 경우, 핸들(40)을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요동시킬 수 있다.
그런데,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유모차 및 그 구성요소에 대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상하 방향」 및 「폭 방향」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는 경우,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 및 그 구성요소에 승차하는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상하 방향」 및 「폭 방향」을 의미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후 방향」이란, 도 1에 있어서의 지면(紙面)의 왼쪽 아래와 오른쪽 위를 잇는 방향으로서, 도 2 및 도 3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우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전」이란, 승차한 유유아가 향하는 측이고,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왼쪽 아래측 그리고 도 2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측이 전측이 된다. 한편, 「상하 방향」이란 유모차의 주행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주행면이 수평면인 경우, 「상하 방향」이란 연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 「폭 방향」이란 횡 방향으로서,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어느 것에도 직교하는 방향이다. 또한, 「폭 방향 내측」이란,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유모차의 중앙에 접근하는 측을 의미하고, 전형적인 유모차(10)에서는, 승차하는 유유아의 중심과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짧아지는 측을 의미한다. 한편, 「폭 방향 외측」이란,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유모차의 중앙으로부터 이격하는 측을 의미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된 유모차(10)는, 전체적으로, 폭 방향 중심에 위치하고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른 면을 중심으로 하여 대체로 대칭인 구성을 갖고 있다.
우선, 유모차의 전체 구성으로서, 유모차 본체(11)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1)는, 본체 프레임(12) 및 핸들(40)을 갖고 있다. 이 중 본체 프레임(12)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전각(14)과,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후각(16)을 갖고 있다. 본체 프레임(12)은, 각각 좌우에 배치된 제 1 링크(L1), 제 2 링크(L2), 제 3 링크(L3) 및 제 4 링크(L4)를 추가로 갖고 있다. 전각(14), 후각(16) 및 제 1∼제 4 링크(L1∼L4)는, 본체 프레임(12)을 접기 가능 및 전개 가능하게 구성하는 링크로서 기능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 1 링크(L1)는, 아암레스트(21)로서도 기능한다. 즉, 아암레스트(21)에 의해 제 1 링크(L1)가 구성되어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각(14)의 상단 부분은,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제 1 링크(L1)의 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후각(16)의 상단 부분은,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제 1 링크(L1)의 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 제 2 링크(L2)의 상방 부분이,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제 1 링크(L1)의 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 2 링크(L2)는, 주(主)링크재(22)와, 주링크재(22)의 상단에 고정된 상(上)접속재(23)를 갖고 있다. 주링크재(22)는, 예를 들면 금속제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상접속재(23)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진다. 제 2 링크(L2)는, 상접속재(23)에 있어서, 아암레스트(21)의 후단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 2 링크(L2)는, 유모차(10)가 전개 상태에 있는 경우, 후각(16)에 고정된 제 2 링크 지지 부재(16a)에 의해, 전하방(前下方)으로부터 지지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링크(L3)는, 전각(14)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 4 링크(L4)는, 후각(16)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 3 링크(L3)는, 제 2 링크(L2) 및 제 4 링크(L4)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 4 링크(L4)는, 제 2 링크(L2) 및 제 3 링크(L3)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 2 링크(L2)는, 제 3 링크(L3) 및 제 4 링크(L4)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 3 링크(L3)를 이루는 부재로서, 프레임재(24)와, 프레임재(24)에 고정된 전(前)접속재(25) 및 후(後)접속재(26)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재(24)는, 예를 들면, 굽힘 가공한 금속제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전접속재(25) 및 후접속재(26)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재(24)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부(24a)와, 한 쌍의 측부(24a)를 전방에서 연결하는 연결부(24b)를 갖고 U자상을 이루고 있다. 전접속재(25)는, 일단 부분이 전각(14)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타 단 부분이 측부(24a)의 전방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후접속재(26)는, 측부(24a)의 후단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우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재(24)의 측부(24a)와, 이 우측의 측부(24a)에 고정된 우측의 전접속재(25) 및 후접속재(26)에 의해, 우측의 제 3 링크(L3)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재(24)의 측부(24a)와, 이 좌측의 측부(24a)에 고정된 좌측의 전접속재(25) 및 후접속재(26)에 의해, 좌측의 제 3 링크(L3)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 4 링크(L4)는, 후각(16)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주축재(28)와, 주축재(28)의 상단 부분에 고정된 단부재(29)를 갖고 있다. 주축재(28)는, 예를 들면 금속제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단부재(29)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진다. 주축재(28)는, 하단 부분에 있어서 후각(16)의 중간 부분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단부재(29)는, 제 2 링크(L2) 및 제 3 링크(L3)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 2 링크(L2), 제 3 링크(L3) 및 제 4 링크(L4)는, 동일한 축부재(30)를 이용하여, 서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축부재(30)는, 제 2 링크(L2)의 주링크재(22), 제 4 링크(L4)의 단부재(29), 및 제 3 링크(L3)를 이루는 후접속재(26)를 관통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 2 링크(L2), 제 3 링크(L3) 및 제 4 링크(L4)는, 축부재(30)의 중심축선과 일치하는 축선(30x)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도시된 유모차(10)의 본체 프레임(12)은,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31) 및 상방 프레임(32)과, 베이스 프레임(31)과 상방 프레임(32)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33)을 추가로 갖고 있다. 베이스 프레임(31) 및 상방 프레임(32)은, 함께 U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된 유모차(10)에 있어서, 프레임재(24) 및 베이스 프레임(31)에는, 베이스 포재(布材)(34)(도 2에만 도시)가 팽팽하게 당겨 설치된다. 베이스 포재(34)는, 프레임재(24), 베이스 프레임(31), 상방 프레임(32) 및 연결 프레임(33)과 함께, 쿠션성의 좌석재(13)(도 2에만 이점쇄선으로 도시)를 지지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31), 상방 프레임(32) 및 연결 프레임(3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프레임재(24), 베이스 프레임(31), 상방 프레임(32), 연결 프레임(33) 및 베이스 포재(34)가, 좌석 지지체를 구성하고, 좌석재(13)를 지지한다. 이 중, 베이스 포재(34)의 일부분 및 프레임재(24)가, 유유아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부(座部) 지지체를 구성한다. 또, 베이스 포재(34)의 일부분 및 베이스 프레임(31)이, 유유아의 등부(背部)를 지지하는 등부 지지체를 구성한다.
베이스 프레임(31)은, 그 양단부에 있어서, 축부재(30)에 관통되어 있다(도 5 참조).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31)은, 프레임재(24)나 그 외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31)이 프레임재(24)에 대하여 요동함으로써, 좌석재(13)의 리클라이닝이 가능해진다. 상방 프레임(32)은, 그 양단부에 있어서, 제 1 링크(L1)의 후단 부분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상방 프레임(32)의 제 1 링크(L1)에 대한 회동 축선은, 제 2 링크(L2)의 제 1 링크(L1)에 대한 회동 축선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베이스 프레임(31) 및 상방 프레임(32)의 사이에는, 폭 방향으로 이격하여 한 쌍의 연결 프레임(33)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33)은, 그 양단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31) 및 상방 프레임(32)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2)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요소로서, 한 쌍의 전각(14)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 연결재(15)와, 한 쌍의 후각(16)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 연결재(17)를 갖고 있다. 단,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전방 연결재(15)는, 한 쌍의 전륜(18)의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후방 연결재(17)는, 한 쌍의 후륜(19)의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전방 연결재(15)는, 풋레스트로서 기능한다. 또, 한 쌍의 후접속재(26) 사이에는, 중앙 연결재(27)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 연결재(15), 후방 연결재(17) 및 중앙 연결재(27)에 의해, 유모차(10)의 폭 방향으로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 1 링크(L1) 사이에 가요성(可撓性)을 가진 가드 부재(38)가 떼어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프레임(1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성요소를 동작시킴으로써, 접을 수 있다. 그러한 한편, 본체 프레임(12)에는, 구성요소 간의 상대 동작을 규제하기 위한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의도치 않은 접음 동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 상태로부터 접은 상태로의 유모차(10)의 접음 동작을 규제하는 상태 유지 부재(50)가, 본체 프레임(12)에 설치되어 있다. 상태 유지 부재(50)는, 유모차(10)의 접음 동작이 규제되게 되는 규제 위치(도 6 참조)와, 유모차(10)의 접음 동작이 가능해지는 해제 위치(도 7 참조)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상태 유지 부재(50)는, 제 2 링크(L2)의 주링크재(22)에 지지되어 있다. 규제 위치와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의 상태 유지 부재(50)의 이동은, 주링크재(22)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이동으로 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태 유지 부재(50)는, 주링크재(22)에 장착된 본체부(51)와, 본체부(51)로부터 돌출된 규제 걸어맞춤 돌기(52) 및 받이판(53)을 갖고 있다. 규제 걸어맞춤 돌기(52)는, 본체부(51)로부터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제 4 링크(L4)의 단부재(29)에는, 규제 걸어맞춤 돌기(52)와 걸어맞춤 가능한 규제 걸어맞춤 오목부(29a)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태 유지 부재(50)가, 제 2 링크(L2)에 대하여 하방으로 슬라이딩한 경우, 상태 유지 부재(50)의 규제 걸어맞춤 돌기(52)가, 제 4 링크(L4)의 규제 걸어맞춤 오목부(29a) 내에 수용된다. 도 6에 나타내어진 상태에 있어서는, 상태 유지 부재(50)를 지지하는 제 2 링크(L2)와, 상태 유지 부재(50)와 걸어맞춤된 제 4 링크(L4)는, 상대 회동할 수 없다. 따라서, 상태 유지 부재(50)의 규제 걸어맞춤 돌기(52)와, 제 4 링크(L4)의 규제 걸어맞춤 오목부(29a)가 걸어맞춤되어 있는 경우, 유모차(10)는 전개된 상태로 유지되며, 유모차(10)를 접을 수는 없다. 즉, 도 6에 나타내어진 상태 유지 부재(50)의 위치가, 상태 유지 부재(50)의 규제 위치이다.
한편,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태 유지 부재(50)가, 제 2 링크(L2)에 대하여 상방으로 슬라이딩하면, 규제 걸어맞춤 돌기(52)는, 제 4 링크(L4)의 규제 걸어맞춤 오목부(29a)로부터 빠져나간다. 그리고, 규제 걸어맞춤 돌기(52)와 규제 걸어맞춤 오목부(29a)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면, 제 2 링크(L2) 및 제 4 링크(L4)는 상대 회동 가능해져, 유모차(10)를 접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도 7에 나타내어진 상태 유지 부재(50)의 위치가, 상태 유지 부재(50)의 해제 위치이다.
또한, 상태 유지 부재(50)의 본체부(51)는, 도시하지 않는 가세(付勢) 부재(예를 들면, 스프링)에 의해, 해제 위치(도 7 참조)로부터 규제 위치(도 6 참조)를 향하여 가세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세 부재로부터의 가세력을 이용함으로써, 적극적으로 외력을 가하고 있지 않는 한, 유모차(10)의 접음 동작이 보다 확실히 규제되게 된다. 즉, 가세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오동작에 의해 의도치 않게 유모차(10)의 접음 동작이 개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서는, 제 2 링크(L2)의 주링크재(22)의 내강(內腔)에, 후각 걸어맞춤 부재(54)가 배치되어 있다. 후각 걸어맞춤 부재(54)는, 상태 유지 부재(50)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각 걸어맞춤 부재(54)는, 상태 유지 부재(50)의 규제 위치(도 6 참조)와 해제 위치(도 7 참조)와의 사이의 이동에 수반하여, 주링크재(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후각 걸어맞춤 부재(54)의 하단부(54a)는, 상태 유지 부재(50)가 규제 위치에 있을 때, 주링크재(22)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된다. 그리고, 유모차(10)가 전개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하단부(54a)는, 후각(16)에 고정된 제 2 링크 지지 부재(16a)의 상면에 설치된 오목부에 수용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링크(L2)와 후각(16)과의 상대 회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태 유지 부재(50)가 규제 위치에 있는 경우, 후각 걸어맞춤 부재(54) 및 제 2 링크 지지 부재(16a)에 의해서도, 유모차(10)는 전개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후각 걸어맞춤 부재(54)는, 상태 유지 부재(50)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그 전부가 주링크재(22) 내에 수용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링크(L2)와 후각(16)과의 상대 회동이 가능해져, 유모차(10)를 접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 설명한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핸들(40)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핸들(40)은, 본체 프레임(12)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핸들 본체(41)와, 핸들 본체(41)에 설치된 홀딩체(42), 원격 조작 장치(43) 및 조작 부재(60)를 갖고 있다. 도시된 유모차 본체(11)에 있어서, 핸들(40)은, 측면시(側面視)에 있어서 수직축보다도 후방으로 경사지는 제 1 위치(배면 밀기 위치)와, 수직축보다도 전방으로 경사지는 제 2 위치(대면 밀기 위치)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본체(41)는, 서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축부(41a)와, 한 쌍의 축부(41a)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부(41b)를 포함하고 있다. 핸들 본체(41)는, 전체로서 대략 U자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핸들(40)은, U자의 양단부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12)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핸들 본체(41)는, 축부재(30)를 이용하여, 본체 프레임(12)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링크(L2), 제 3 링크(L3), 제 4 링크(L4), 베이스 프레임(31) 및 핸들(40)은, 축부재(30)에 의해 획성(劃成)되는 동일한 축선(30x)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홀딩체(42)는, 핸들 본체(41)의 축부(41a) 상에 설치되어 있다. 홀딩체(42)는, 축부(4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축부(41a) 상을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핸들(40)은 도시하지 않는 가세 부재(예를 들면, 스프링)를 갖고 있고, 가세 부재는 홀딩체(42)를 하방을 향하여 누르고 있다. 홀딩체(42)는, 본체 프레임(12)에 설치된 제 1 위치 홀딩부(36) 및 제 2 위치 홀딩부(37)와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위치 홀딩부(36)는, 제 2 링크(L2)에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위치 홀딩부(37)는, 제 1 링크(L1)에 설치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도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위치 홀딩부(36, 37)는, 선단에 확경(擴徑) 부분을 가진 돌기로서,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한 쌍의 홀딩체(42)가, 핸들 본체(41)의 각 축부(41a)에 지지되어 있다. 홀딩체(42)는, 핸들 본체(41) 중의 당해 홀딩체(42)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핸들 본체(41)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본체(41)의 각 축부(41a)에는, 스토퍼(41c)가 고정되어 있다. 스토퍼(41c)는, 축부(41a)보다도 확경된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41c)는, 홀딩체(42)가 이동 가능한 범위를 규정하고 있다. 홀딩체(42)는, 스토퍼(41c)보다도 상방이 되는 영역을, 축부(4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딩체(42)는, 축부(41a)가 통과하는 통상(筒狀) 본체부(45)와, 통상 본체부(45)에 지지된 걸어맞춤부(46) 및 유도부(47)를 갖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46)는, 하방으로 개구한 받이부(46a)를 갖고 있다. 도 12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46)가 위치 홀딩부(36, 37)에 상방으로부터 덮어씌워짐으로써, 축부(41a)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홀딩체(42)와 위치 홀딩부(36, 37)와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어, 핸들(40)이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에 홀딩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홀딩체(42)는, 걸어맞춤부(46)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유도부(47)를 갖고 있다. 도 12∼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 본체부(45)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한 한 쌍의 유도부(47)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핸들(40)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와의 사이를 요동할 때,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46)보다도 먼저, 당해 걸어맞춤부(46)에 인접하여 설치된 유도부(47)가, 위치 홀딩부(36, 37)에 접촉한다. 유도부(47)는, 위치 홀딩부(36, 37)와 접촉하는 유도면(47a)을 갖고 있다. 유도면(47a)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유도면(47a)이 위치 홀딩부(36, 37)에 접촉함으로써, 홀딩체(42)는, 축부(4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스토퍼(41c)로부터 이격하여 상측으로 이동한다. 그 후, 가세 부재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이동한 홀딩체(42)가, 제 1 위치 홀딩부(36) 또는 제 2 위치 홀딩부(37)를 덮도록 하여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홀딩체(42)를 제 1 위치 홀딩부(36) 또는 제 2 위치 홀딩부(37)와 걸어맞춤시킬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딩체(42)가 제 1 위치 홀딩부(36)와 걸어맞춤됨으로써, 핸들(40)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요동이 규제되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40)을 제 1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딩체(42)가 제 2 위치 홀딩부(37)와 걸어맞춤됨으로써, 핸들(40)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요동이 규제되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40)을 제 2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가진 유모차 본체(11)는, 홀딩체(42)를 조작하여 핸들(40)을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요동시킴으로써, 핸들(40)을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핸들(40)을 제 1 위치(배면 밀기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대면 밀기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핸들 본체(41)의 축부(4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홀딩체(42)를 상방으로 끌어올린다. 홀딩체(42)가 핸들 본체(41)에 대하여 이동하면, 홀딩체(42)의 받이부(46a)에 수용되어 있던 제 1 위치 홀딩부(36)가 받이부(46a)로부터 빠져나온다. 이것에 의해, 핸들(40)과 본체 프레임(12)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핸들(40)이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요동 가능해진다.
핸들(40)이 제 2 위치의 근방까지 도달하면, 제 2 위치 홀딩부(37)가 홀딩체(42)의 유도면(47a)에 접촉을 개시한다. 제 2 위치 홀딩부(37)는, 유도면(47a)에 맞닿음으로써, 축부(4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홀딩체(42)를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핸들(40)이 제 2 위치까지 도달하면, 제 2 위치 홀딩부(37)는, 유도면(47a)과의 접촉이 해제된다. 그리고, 홀딩체(42)는, 가세 부재로부터의 가세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축부(4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방로 이동하여, 홀딩체(42)의 받이부(46a)가 제 2 위치 홀딩부(37)에 덮어씌워진다. 이것에 의해, 핸들(40)과 본체 프레임(12)과의 상대 요동이 규제되어, 핸들(40)이 제 2 위치에 홀딩되게 된다.
핸들(40)을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요동시키는 경우에는, 상술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핸들(40)을 요동시키는 경우와 거의 마찬가지의 조작을 실시하게 된다. 즉, 우선, 핸들(40)의 홀딩체(42)를 상방으로 끌어올리고, 다음으로, 핸들(40)을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된다.
다음으로, 조작 부재(6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60)는, 핸들 본체(41)에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60)는, 동작함으로써, 상태 유지 부재(50)를 동작시킨다. 즉, 조작 부재(60)는, 상태 유지 부재(50)의 설치에 수반하여, 설치되어 있다.
조작 부재(60)는, 도 6에 나타내어진 비조작 위치와 도 7에 나타내어진 조작 위치와의 사이를, 핸들 본체(41)의 축부(41a) 중의 조작 부재(60)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 부재(60)는, 핸들(40)의 축부(41a)에 수용된 도시하지 않는 가세 부재(예를 들면, 스프링)에 의해, 조작 위치의 측으로부터 비조작 위치의 측으로 가세되어 있다. 즉, 조작 부재(60)는, 외력이 가해져 있지 않은 경우, 가세 부재로부터의 가세력에 의해, 조작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비조작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또, 도시된 예에서는, 조작 부재(60)는, 도시하지 않는 조작 전달구에 의해, 핸들(40)의 중간부(41b)에 설치된 원격 조작 장치(43)(도 1 참조)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원격 조작 장치(43)를 조작함으로써, 조작 부재(60)를 조작 위치로부터 비조작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60)는, 조작 기부(基部)(61)와, 조작 기부(61)로부터 돌출된 조작 돌출부(62)를 갖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기부(61)는, 핸들 본체(41)의 축부(41a)에 장착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의 비교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작 기부(61)는, 핸들 본체(41)의 축부(4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당해 축부(41a)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조작 돌출부(62)는, 조작 기부(61)로부터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태 유지 부재(50)의 받이판(53)은, 본체부(51)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있다.
핸들(40)이 제 1 위치에 위치할 때,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60)가 주링크재(22)의 길이 방향을 따른 하측으로부터 상태 유지 부재(50)의 받이판(53)에 대면한다. 그리고, 조작 부재(60)가 비조작 위치로부터 조작 위치로 이동하면, 조작 돌출부(62)는, 받이판(53)에 하방으로부터 맞닿아, 상태 유지 부재(50)를 규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를 향하여 밀어올린다. 즉, 핸들(40)이 제 1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조작 부재(60)를 비조작 위치로부터 조작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태 유지 부재(50)를 규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링크(L2)의 제 4 링크(L4)에 대한 상대 회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핸들(40)이 제 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주링크재(22)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조작 부재(60)와 받이판(53)은 대면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조작 부재(60)가 도 6에 나타내어진 비조작 위치로부터 도 7에 나타내어진 조작 위치로 이동해도, 상태 유지 부재(50)는 도 6의 규제 위치에 머무른다.
이상의 구성을 가진 유모차 본체(11)는, 각 구성 부재를 상대 회동시킴으로써, 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유모차(10)의 접음 동작에 앞서, 핸들(40)을 제 1 위치에 배치하고, 추가로 원격 조작 장치(43)를 조작하여 조작 부재(60)를 비조작 위치로부터 조작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태 유지 부재(50)가 규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하여, 상태 유지 부재(50)와 제 4 링크(L4)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핸들(40)을 이용하여 제 2 링크(L2)를 일단 후상방(後上方)으로 끌어올리고, 그 후, 내림으로써, 제 4 링크(L4)를 후각(16)에 대하여 도 2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조작에 수반하여, 제 1 링크(L1) 및 제 3 링크(L3)는 제 2 링크(L2)에 대하여 도 2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측면시에서 제 2 링크(L2)와 전각(14)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핸들(40)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요동 축선(30x)의 위치가 내려간다. 이상과 같이 하여, 유모차(10)를 접을 수 있다. 도 4의 접힌 상태에서는, 유모차(10)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른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유모차(10)를 접은 상태로부터 전개하려면, 상술한 접음 조작과 반대의 순서를 밟으면 된다.
그런데,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에 있어서 핸들(40)이 제 2 위치(대면 밀기 위치)에 배치되고, 유모차(10)의 후각(16)측이 진행 방향의 전방이 되도록 하여 유모차(10)를 주행시키는 경우, 후륜(19)이 단차에 부딪히는 등 하여, 후각(16)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후각(16)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면, 상태 유지 부재(50)가 상방으로 이동하거나, 후각(16)과 함께 제 4 링크(L4)가 회전하는 등 하여, 규제 걸어맞춤 돌기(52)가 규제 걸어맞춤 오목부(29a)로부터 빠져나와 버릴 우려가 있다. 그리고, 유모차(10)가 의도치 않게 접혀 버릴 우려가 있다. 또는, 유모차(10)가 접히지는 않더라도, 규제 걸어맞춤 돌기(52)가 규제 걸어맞춤 오목부(29a)로부터 빠져나와 버림으로써, 전개 상태에 있는 본체 프레임(12)의 강도가 저하되거나, 핸들(40)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위치가 어긋나(특히 핸들(40)이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하여), 핸들(40)을 이용한 유모차(10)의 조작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형태의 유모차(10)는, 핸들(40)이 제 2 위치(대면 밀기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0)가 의도치 않게 접은 상태가 되거나, 접은 상태가 되지는 않더라도, 본체 프레임(12)의 강도가 저하되거나 핸들(40)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위치가 어긋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고안이 행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고안이 행해지고 있다.
즉,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태 유지 부재(50)는, 본체부(51)로부터 돌출된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55)를 갖고 있다.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55)는, 본체부(51)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55)는, 축부재(30)에 의해 획성되는 축선(30x)에 대면하는 내측면(55a)과, 내측면(55a)에 대향하는 외측면(55b)을 갖는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40)은, 핸들 본체(41)에 설치된 규제 부재(65)를 갖는다. 규제 부재(65)는, 핸들(40)의 U자의 양단부에 있어서, 핸들 본체(41)에 고정되어 있다. 규제 부재(65)는,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핸들 본체(41)의 요동에 수반하여,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요동한다.
규제 부재(65)는, 핸들 본체(41)에 장착된 본체부(66)와, 본체부(66)로부터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핸들측 걸어맞춤 돌출부(67)를 갖는다. 본체부(66)는, 조작 부재(60)가 비조작 위치에 위치할 때에 조작 돌출부(62)를 수용하는 오목부(66a)를 갖는다. 핸들측 걸어맞춤 돌출부(67)는, 축선(30x)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면(68a)을 갖는 제 1 부분(68)과, 제 1 부분(68)에 접속한 제 2 부분(69)을 갖는다.
도 12∼도 1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68)은, 제 1 면(68a)과 축선(30x)과의 거리가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55)의 외측면(55b)과 축선(30x)과의 거리보다도 커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부분(68)은,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55)보다도, 축선(30x)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지름 방향 외측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68)은, 핸들(40)이 제 2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55)로부터 축선(30x)을 향하는 방향으로 보아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55)와 겹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부분(68)은, 핸들(40)이 제 2 위치에 있는 경우, 상태 유지 부재(50)의 규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으로부터,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55)에 대면한다. 이것에 의해, 핸들(40)이 제 2 위치에 있는 경우, 상태 유지 부재(50)의 규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이동은, 규제 부재(65)에 의해 규제된다. 그러한 한편,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68)은, 핸들(40)이 제 1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55)로부터 축선(30x)을 향하는 방향으로 보아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55)와 겹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핸들(40)이 제 1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규제 부재(65)는, 상태 유지 부재(50)가 규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핸들(40)이 제 1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규제 부재(65)는, 상태 유지 부재(50)가 규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부분(69)은, 핸들(40)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요동할 때의 규제 부재(65)의 회전 방향(Dr)에 있어서 제 1 부분(68)의 후방 단부가 되는 위치에, 접속하고 있다. 제 2 부분(69)은, 제 1 부분(68)의 상기 후방 단부로부터 축선(30x)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름 방향면(69a)을 갖는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름 방향면(69a)은, 핸들(40)이 제 2 위치에 있는 경우에,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55)에, 상기 회전 방향(Dr)에 있어서의 후방으로부터 대면한다.
이와 같은 규제 부재(65)의 제 1 부분(68)과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55)에 의해, 핸들(40)이 제 2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의, 상태 유지 부재(50)의 해제 위치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구체적으로는, 후륜(19)에 후방으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등 하여, 후각(16)으로부터 상태 유지 부재(50)에 상태 유지 부재(50)를 밀어올리는 힘이 가해져도, 상태 유지 부재(50)로부터 돌출되는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55)가 핸들측 걸어맞춤 돌출부(67)의 제 1 부분(68)에 맞닿음으로써, 상태 유지 부재(50)의 해제 위치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상태 유지 부재(50)와 제 4 링크(L4)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규제 부재(65)의 제 2 부분(69)과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55)에 의해, 후각(16)에 대한 제 2 링크(L2)의 후방으로의 경도(傾倒)가 규제된다. 구체적으로는, 후륜(19)에 후방으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등 하여, 후각(16)으로부터 제 2 링크(L2)에 제 2 링크(L2)를 후방으로 경도시키는 힘이 가해져도, 상태 유지 부재(50)로부터 돌출되는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55)가, 핸들측 걸어맞춤 돌출부(67)의 제 2 부분(69)에 맞닿음으로써, 제 2 링크(L2)의 후방으로의 경도가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규제 걸어맞춤 돌기(52)가 규제 걸어맞춤 오목부(29a)로부터 빠져나와 상태 유지 부재(50)와 제 4 링크(L4)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고 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규제 부재(65)가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40)을 제 2 위치에 배치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상태 유지 부재(50)와 규제 부재(65)가 걸어맞춤된다.
또, 도 1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서는,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55) 및 제 1 부분(68)은, 핸들(40)의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이동 시, 핸들(40)이 제 2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55)로부터 축선(30x)을 향하는 방향으로 보아 서로 겹쳐지기 시작한다.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55) 및 제 1 부분(68)이 이와 같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핸들(40)을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도중에(또는,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시키는 도중에) 원격 조작 장치(43)가 조작되어도, 상태 유지 부재(50)와 제 4 링크(L4)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될 우려가 저감된다. 이것에 의해, 유모차(10)가 의도치 않게 접힐 우려가,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유모차(10)는, 핸들(40)이 제 2 위치(대면 밀기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0)가 의도치 않게 접은 상태가 되거나, 접은 상태가 되지는 않더라도, 본체 프레임(12)의 강도가 저하되거나 핸들(40)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위치가 어긋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한층 더의 고안이 행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고안이 행해지고 있다.
우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본체(41)의 축부(41a)로부터, 핸들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0)가, 폭 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나오고 있다. 핸들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0)는, 축부(41a)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핸들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0)는, 스토퍼(41c)로부터 연장되어 나오고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2)에는, 제 2 위치에 있는 핸들(40)과 대면하는 위치에,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프레임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1)가 설치되어 있다. 도 1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1)는, 핸들(40)이 제 2 위치에 있는 경우에 핸들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0)에 하방으로부터 대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프레임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1)는, 제 1 링크(L1)의 제 2 위치 홀딩부(37)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핸들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0)와 프레임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1)에 의해, 핸들(40)이 제 2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의, 핸들(40)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이동(특히,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하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즉, 후륜(19)에 후방으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등 한 결과, 상태 유지 부재(50)와 제 4 링크(L4)와의 걸어맞춤이 의도치 않게 해제되어도, 핸들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0)가 프레임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1)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핸들(40)이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핸들(40)을 이용한 유모차(10)의 조작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핸들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0)가 프레임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1)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됨으로써, 핸들(40)에 피봇식으로 부착(樞着)된 제 2 링크(L2)의 후각(16)에 대한 회전이 방지되어, 유모차(10)의 의도치 않은 접힘이나, 전개 상태에 있는 본체 프레임(12)의 강도의 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핸들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0) 및 프레임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1)는, 핸들(40)의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이동 시에, 핸들(40)이 제 2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프레임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1)가 핸들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0)에 하방으로부터 대면하기 시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핸들(40)을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도중에(또는,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시키는 도중에) 원격 조작 장치(43)가 조작되는 등 하여 상태 유지 부재(50)와 제 4 링크(L4)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도, 핸들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0)가 프레임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핸들(40)이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할 우려가 저감된다. 또, 핸들(40)에 피봇식으로 부착된 제 2 링크(L2)가 후각(16)에 대하여 회전할 우려가 저감되어, 유모차(10)의 의도치 않은 접힘의 우려나, 전개 상태에 있는 본체 프레임(12)의 강도 저하의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상술한 유모차(10)는, 일례에 불과하며,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예에서는, 핸들(40)이 제 2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의 상태 유지 부재(50)의 규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이동은,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55)가 핸들측 걸어맞춤 돌출부(67)에 맞닿음으로써 규제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태 유지 부재(50)의 상기 이동은, 예를 들면, 규제 부재(65)와 상태 유지 부재(50)가 자력(磁力)에 의해 흡착함으로써 규제되어도 된다. 이 경우,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태 유지 부재(50) 및 규제 부재(65)에, 각각 자석(155, 168)이, 핸들(40)이 제 2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폭 방향(축선(30x)을 따른 방향)으로부터 보아 서로 겹치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 핸들(40)이 제 2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의 핸들(40)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하방으로의 이동은, 핸들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0)가 프레임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1)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됨으로써 규제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핸들(40)의 상기 이동은, 예를 들면, 핸들(40)과 본체 프레임(12)이 자력에 의해 흡착함으로써 규제되어도 된다. 이 경우,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40)(도시된 예에서는 스토퍼(41c)) 및 본체 프레임(12)(도시된 예에서는 아암레스트(21))에, 각각 자석(170, 171)이, 핸들(40)이 제 2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폭 방향(축선(30x)을 따른 방향)으로부터 보아 서로 겹치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도 1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자석(170, 171)이 핸들(40)의 상기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이룬다.
이상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모차(10)는, 전개 상태로부터 접은 상태로 접을 수 있는 유모차로서, 전개 상태로부터 접은 상태로 변형 가능한 본체 프레임(12)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와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본체 프레임(12)에 접속된 핸들(40)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프레임(12)은, 유모차(10)의 접음 동작이 규제되게 되는 규제 위치와, 유모차(10)의 접음 동작이 가능해지는 해제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상태 유지 부재(50)를 갖고 있다. 또, 핸들(40)은, 본체 프레임(12)에 접속한 핸들 본체(41)와,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태 유지 부재(50)의 규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65)를 갖는다.
이와 같은 유모차(10)에 의하면, 핸들(40)이 제 2 위치에 있는 경우, 상태 유지 부재(50)가 규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문에, 핸들(40)이 제 2 위치에 있는 경우, 본체 프레임(12)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등 하여 상태 유지 부재(50)에 규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향하는 힘이 부여되어도, 상태 유지 부재(50)가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문에, 유모차(10)가 의도치 않게 접힐 우려가 저감된다.
또, 이상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규제 부재(65)는, 핸들 본체(41)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핸들(40)을 제 2 위치에 배치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상태 유지 부재(50)의 규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 이상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태 유지 부재(50)는, 본체부(51)와, 본체부(51)로부터 돌출되는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55)를 갖고 있다. 또, 규제 부재(65)는, 핸들(40)이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에 규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으로부터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55)에 대면하는 핸들측 걸어맞춤 돌출부(67)를 갖는다. 이와 같은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55)와 핸들측 걸어맞춤 돌출부(67)에 의해, 핸들(40)이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의 상태 유지 부재(50)의 상기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 이상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핸들측 걸어맞춤 돌출부(67)는, 핸들(40)이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에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향하는 방향(Dr)에 있어서의 후방으로부터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55)에 대면하는 부분(69)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본체 프레임(12)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등 한 경우에, 본체 프레임(12)을 상기 방향(Dr)에 있어서의 후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체 프레임(12)이 의도치 않게 접힐 우려가 저감된다.
또, 이상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12)은, 전각(14) 및 후각(16)과, 전각(14) 및 후각(16)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 1 링크(L1)와, 제 1 링크(L1)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전개 상태에 있어서 후각(16)에 지지되는 제 2 링크(L2)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태 유지 부재(50)는, 제 2 링크(L2)에 지지되고, 핸들(40)은, 제 2 링크(L2)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모차(10)의 경우, 후각(16)측이 진행 방향의 전방이 되도록 하여 유모차(10)를 주행시키면, 후각(16)에 강한 충격이 가해져, 제 2 링크(L2)의 상태 유지 부재(50)에 해제 위치로 향하는 힘이 부여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유모차(10)에 의하면, 핸들(40)을 제 2 위치로 하면, 규제 부재(65)가 상태 유지 부재(50)의 규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때문에, 상태 유지 부재(50)에 해제 위치로 향하는 힘이 부여되어도, 상태 유지 부재(50)가 해제 위치로 이동할 우려가 저감된다.
또, 이상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핸들(40)은, 핸들 본체(41)로부터 돌출되는 핸들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0)를 갖고 있다. 또, 본체 프레임(12)은, 본체 프레임(12) 중 제 2 링크(L2) 이외의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는 프레임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1)를 갖고 있다. 그리고, 프레임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1)는, 핸들(40)이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 핸들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0)에 하방으로부터 대면한다. 이와 같은 핸들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0)와 프레임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1)에 의해, 핸들(40)이 제 2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의, 핸들(40)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이동(특히,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하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즉, 의도치 않게 상태 유지 부재(50)와 제 4 링크(L4)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도, 핸들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0)가 프레임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1)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됨으로써, 핸들(40)이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핸들(40)이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킴으로써 핸들(40)을 이용한 유모차(10)의 조작성이 저하된다는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핸들(40)이 프레임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7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핸들(40)에 피봇식으로 부착된 제 2 링크(L2)의 후각(16)에 대한 회전이 방지되어, 유모차(10)의 의도치 않은 접힘의 우려나, 전개 상태에 있는 본체 프레임(12)의 강도 저하의 우려가 저감된다.
또, 이상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모차(10)는, 전개 상태로부터 접은 상태로 접을 수 있는 유모차로서, 전개 상태로부터 접은 상태로 변형 가능한 본체 프레임(12)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와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본체 프레임(12)에 접속된 핸들(40)을 구비하고 있다. 핸들(40)은, 본체 프레임(12)에 접속한 핸들 본체(41)와, 핸들 본체(41)로부터 돌출되는 핸들측 걸어맞춤 돌출부(70)를 갖고 있다. 또, 본체 프레임(12)은, 핸들(40)이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 핸들측 걸어맞춤 돌출부(70)에 하방으로부터 대면하는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71)를 갖는다.
이와 같은 유모차(10) 에 의하면, 핸들측 걸어맞춤 돌출부(70)와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71)에 의해, 핸들(40)이 제 2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의, 핸들(40)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이동(특히,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하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즉, 본체 프레임(12)을 전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본체 프레임(12)의 구성요소 간의 걸어맞춤이 의도치 않게 해제되어도, 핸들(40)이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핸들(40)이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킴으로써 핸들(40)을 이용한 유모차(10)의 조작성이 저하된다는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핸들(40)이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7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구성요소 간의 걸어맞춤이 의도치 않게 해제되어도, 전개 상태에 있는 본체 프레임(12)이 의도치 않게 접은 상태로 변형될 우려나, 전개 상태에 있는 본체 프레임(12)의 강도의 저하의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핸들(40)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이동은, 핸들(40)을 제 2 위치에 배치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규제된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형태에 대한 몇가지의 변형예를 설명해 왔지만, 당연히, 복수의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7)

  1. 전개 상태로부터 접은 상태로 접을 수 있는 유모차로서,
    상기 전개 상태로부터 상기 접은 상태로 변형 가능한 본체 프레임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와의 사이를 요동(搖動) 가능하게 상기 본체 프레임에 접속된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유모차의 접음 동작이 규제되게 되는 규제 위치와, 상기 유모차의 접음 동작이 가능해지는 해제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상태 유지 부재를 가지며,
    상기 핸들은, 상기 본체 프레임에 접속한 핸들 본체와,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상태 유지 부재의 상기 규제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갖는, 유모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핸들 본체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유모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유지 부재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를 갖고,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핸들이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규제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에 대면하는 핸들측 걸어맞춤 돌출부를 갖는, 유모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측 걸어맞춤 돌출부는, 상기 핸들이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측 걸어맞춤 돌출부에 대면하는 부분을 갖는, 유모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전각(前脚) 및 후각(後脚)과,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과 회동(回動) 가능하게 접속된 제 1 링크와,
    상기 제 1 링크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후각에 지지되는 제 2 링크를 가지며,
    상기 상태 유지 부재는, 상기 제 2 링크에 지지되고,
    상기 핸들은, 상기 제 2 링크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는, 유모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핸들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를 갖고,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본체 프레임 중 상기 제 2 링크 이외의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는 프레임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는, 상기 핸들이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핸들측 제 2 걸어맞춤 돌출부에 하방으로부터 대면하는, 유모차.
  7. 삭제
KR1020210016612A 2020-02-20 2021-02-05 유모차 KR102319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27442A JP6957051B2 (ja) 2020-02-20 2020-02-20 乳母車
JPJP-P-2020-027442 2020-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352A KR20210106352A (ko) 2021-08-30
KR102319303B1 true KR102319303B1 (ko) 2021-10-29

Family

ID=77275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612A KR102319303B1 (ko) 2020-02-20 2021-02-05 유모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57051B2 (ko)
KR (1) KR102319303B1 (ko)
CN (1) CN113276926B (ko)
TW (1) TWI7610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765A (ko) 2020-09-04 2023-03-24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적층체 및 이것을 사용한 광학 장치, 도전성 적층체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6590A (ja) 2003-09-24 2005-04-14 Combi Corp ベビーカー
JP2015013570A (ja) 2013-07-04 2015-01-22 コンビ株式会社 車輪保持ユニットおよび乳母車
JP2018070123A (ja) 2016-11-04 2018-05-10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7139B2 (ja) * 1994-12-16 2003-02-17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全開ロック機構および押棒ロック機構
JP4812948B2 (ja) * 2001-03-05 2011-11-09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TWM270976U (en) * 2004-08-27 2005-07-21 Link Treasure Ltd Single-hand foldable stroller
JP5410312B2 (ja) * 2010-01-22 2014-02-05 コンビ株式会社 折り畳み可能なベビーカー
US8419025B2 (en) * 2010-04-07 2013-04-16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Infant carrier apparatus
JP6400409B2 (ja) * 2014-09-22 2018-10-03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6590A (ja) 2003-09-24 2005-04-14 Combi Corp ベビーカー
JP2015013570A (ja) 2013-07-04 2015-01-22 コンビ株式会社 車輪保持ユニットおよび乳母車
JP2018070123A (ja) 2016-11-04 2018-05-10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32148A (zh) 2021-09-01
KR20210106352A (ko) 2021-08-30
TWI761080B (zh) 2022-04-11
JP2021130412A (ja) 2021-09-09
CN113276926B (zh) 2022-09-09
JP6957051B2 (ja) 2021-11-02
CN113276926A (zh) 202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9551B2 (ja) 乳母車
JP5199113B2 (ja) ベビーカー
TWI649226B (zh) Baby carriage
KR102319303B1 (ko) 유모차
JP5755344B2 (ja) 折り畳み式乳母車
JP5020655B2 (ja) ベビーカー
CN110775134B (zh) 婴儿车
CN111356624A (zh) 用于运送儿童的装置和儿童座椅
KR102331278B1 (ko) 유모차
CN113501044B (zh) 婴儿车
JP6910665B1 (ja) 育児器具およびガード装置
KR20130109994A (ko) 절첩식 유모차
JP6957028B2 (ja) 乳母車
KR102488862B1 (ko) 유모차
KR20230128148A (ko) 유모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