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9174A - 지하 구조체 - Google Patents

지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9174A
KR20130109174A KR1020137014073A KR20137014073A KR20130109174A KR 20130109174 A KR20130109174 A KR 20130109174A KR 1020137014073 A KR1020137014073 A KR 1020137014073A KR 20137014073 A KR20137014073 A KR 20137014073A KR 20130109174 A KR20130109174 A KR 20130109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members
underground structure
vertical
protrusio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4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키 도리고에
Original Assignee
에바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바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바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9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1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2011/005Tanks with two or more separate compartments divided by, e.g. a flexible membr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수평방향의 토압의 지지를 배려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팔레트를 이용하지 않고 반송 가능하여 반송·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설치비용을 낮게 억제한 지하 구조체를 제공한다.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연직부재(2)(2A∼2D)와, 복수의 연직부재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3A,3B)를 구비한 지하 구조체(1)로서, 지하 구조체의 수평방향의 단부에 위치하는 연직부재(2A)와, 연직부재에 인접하는 연직부재(2B)의 각각에 서로 대향하는 돌출부(2b)를 형성하고, 돌출부가 서로 접촉하는 지하 구조체 등이다. 복수의 연직부재는 각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판 형상 연직부재의 각각은, 돌출부가 세워져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에, 그 돌출부와 같은 형태의 돌출부를 삽입 가능한 구멍부(2c)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연직부재를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연직부재의 각각에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빗물 유통용의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빗물저류 침투시설용 구조체를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하 구조체{UNDERGROUND STRUCTURE}
본 발명은, 빗물저류 침투시설에 이용되는 구조체 등, 지하에 매설되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빗물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하여, 빗물이 하천이나 지하 빗물 관로망(管路網)에 급격하게 유입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도시형 침수 재해를 방지하고, 또는, 지하수를 함양하여 지반침하를 억제하기 위한 등의 목적으로, 빗물저류 침투시설이 지하에 매설되어 있다.
상기 빗물저류 침투시설을 구성하는 구조체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저류 침투 능력이 높고, 기계적 강도와 경량성을 겸비한 구조체로서, 편평 형상의 칸막이부재와, 편평 형상의 측판부재와, 인접하는 면판부재의 사이에서 2개의 돌기 사이에 오목 볼록하게 끼워 맞춰지는 면판부재를 조합하여 구성한 빗물저류 침투시설용 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지하에 매설되는 빗물저류 침투시설용 구조체와, 절반으로 나뉜 통 형상이며, 상기 내부 공간을 길이방향을 따라서 관통하는 통수(通水) 홈부재로 빗물저류 침투시설용 조립체를 구성하여, 투수층(透水層)과 조합하여 빗물저류 침투시설을 구성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0374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024453호
상기 빗물저류 침투시설용 구조체 등은, 지하에 매설되면, 수평방향의 토압(土壓)을 지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종래, 예를 들면, 조립체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경판(鏡板) 등에 의해서 수평방향의 토압을 지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지지 구성이 복잡하기 때문에, 그 조립체 등의 설치작업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여, 설치비용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빗물저류 침투시설용 조립체는, 특히 대형의 상업시설 등에 이용하는 등 대규모의 것이 되지만, 설치작업 뿐만 아니라, 조립체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반송하는 경우에도 수고를 필요로 하여,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상기 빗물저류 침투시설용 조립체 뿐만 아니라, 소정의 목적으로 지하에 매설되는 다른 구조체에 대해서도, 수평방향의 토압 지지, 구성 부재의 반송성에 관해서 동일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빗물저류 침투시설용 조립체 등의 지하 구조체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수평방향의 토압의 지지를 배려하면서, 간단한 구성으로, 반송 작업 및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설치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는 지하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연직부재와, 그 복수의 연직부재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한 지하 구조체로서, 그 지하 구조체의 수평방향의 단부(端部)에 위치하는 연직부재와, 상기 연직부재에 인접하는 연직부재의 각각에 서로 대향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그 돌출부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 구조체의 수평방향의 단부에 위치하는 연직부재와, 이 연직부재에 인접하는 연직부재의 각각의 돌출부가 서로 접촉함으로써, 수평방향의 토압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복잡한 지지 구성이 불필요하게 되어, 지하 구조체를 단시간에 설치할 수 있고, 설치비용을 큰 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연직부재와, 그 복수의 연직부재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한 지하 구조체로서, 그 지하 구조체의 수평방향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연직부재와, 그 양단부에 위치하는 연직부재의 각각에 인접하는 연직부재의 각각에 서로 대향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그 돌출부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 구조체의 수평방향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연직부재와, 이들 연직부재에 인접하는 연직부재의 각각의 돌출부가 서로 접촉함으로써, 수평방향의 토압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복잡한 지지 구성이 불필요해져, 지하 구조체를 단시간에 설치할 수 있고, 설치비용을 큰 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지하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직부재를 각각 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판 형상 연직부재의 각각을, 상기 돌출부가 세워져 형성된 면의 반대쪽의 면에, 상기 돌출부와 같은 형태의 돌출부를 삽입 가능한 구멍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매의 연직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빈틈없이 적층하고, 가장 아래의 연직부재의 돌출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지면 등에 둔 경우, 지면 등과 가장 아래에 둔 연직부재와의 사이에 빈틈이 생기므로, 이 빈틈을 이용하여, 팔레트(pallet)를 이용하지 않고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꽂아 넣고 전체를 들어 올려 반송할 수 있어, 반송성이 향상된다.
상기 지하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직부재를, 전체적으로 동일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연직부재를 성형하는데 있어서 복수의 금형 등이 불필요해져서 제조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지하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직부재의 각각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빗물 유통용의 관통구멍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어, 수평방향의 토압의 지지를 고려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반송 작업 및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설치비용을 낮게 억제하는 것 등이 가능한 빗물저류 침투시설용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방향의 토압의 지지를 배려함과 함께, 간단한 구성으로, 반송 작업 및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설치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는 지하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지하 구조체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일부 파단(破斷) 사시도, (b)는 일부 파단 정면도, (c)는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지하 구조체의 연직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돌출부를 가지는 면측에서 본 사시도, (b)는 구멍부를 가지는 면측에서 본 사시도, (c)는 복수의 연직부재를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지하 구조체를 복수 조합한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상면도이다.
도 4는 연직부재의 위에 복수의 연결부재를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지하 구조체의 일실시예로서의 빗물저류 침투시설용 구조체를 구성하는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조립체의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조립체의 경판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경판 전체, (b)는 기체(基體), (c)는 돌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조립체의 측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조립체의 외측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의 조립체의 상하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5의 조립체의 중간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지하 구조체의 제 1 실시형태를 구성하기 위한 조립체를 나타내고, 이 조립체(1)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연직부재(2)(2A∼2D)와, 이들 연직부재(2)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3A,3B)로 구성된다. 한편, 도 1(a)에서는, 연결부재(3A)를 가상선으로 그리고, 도 1(b)에서는, 연결부재(3A)를 삭제한 상태를 그리고 있다.
연직부재(2)(2A∼2D)는, 재생 플라스틱 등의 수지로 모두 동일 형상으로 성형되어, 도 2(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방형 형상이고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기판(2a)과, 기판(2a)의 한쪽의 면에 돌출 형성된 원뿔대 형상의 4개의 돌출부(2b)와, 기판(2a)의 또 한쪽의 면에 뚫어져 형성된 구멍부(2c)로 구성된다.
연직부재(2)의 구멍부(2c)는, 상기 돌출부(2b)와 같은 형태의 돌출부를 삽입 가능하게 뚫어져 형성되어, 이것에 의해서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매의 연직부재(2)를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연직부재(2)의 사이에 빈틈없이 적층할 수 있다.
연결부재(3)(3A,3B)도, 재생 플라스틱 등의 수지로 동일 형상의 판 형상으로 성형되고, 연직부재(2A∼2D)의 양측면에 일체적으로 장착된다. 연결부재(3)를 연직부재(2)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연직부재(2)와 연결부재(3)에 형성한 끼워맞춤 구조(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일체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직부재(2) 및 연결부재(3)는, 각각 수지 성형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지만, 연직부재(2)(2A∼2D) 및 연결부재(3)(3A,3B)는, 각각 동일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성형에 있어서 각각 한 종류의 금형으로 제조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또한,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매의 연직부재(2)를 상하 방향으로 빈틈없이 적층하고, 가장 아래의 연직부재(2)의 돌출부(2b)가 하방을 향하도록 지면이나 마루면에 둔 경우, 지면이나 마루면과 가장 아래에 둔 연직부재(2)의 기판(2a)과의 사이에 빈틈이 생길 수 있으므로, 이 빈틈을 이용하여, 팔레트를 이용하지 않고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꽂아 넣고 전체를 들어 올려 반송할 수 있어, 반송성도 향상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직부재(2A,2B)는, 양 부재(2A,2B)의 돌출부(2b)가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양 부재(2A,2B)의 돌출부(2b)는 서로 접촉되어 있다. 한편, 연직부재(2B∼2D)는, 수평방향으로 동일한 방향으로(각각의 돌출부(2b)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3은, 상기 구성을 가지는 조립체(1)(1A∼1F)와, 조립체(1)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 조립체(11)(11A∼11C)(단부에 서로 대향하는 돌출부를 가지지 않는 점에서 다르다)를 조합하여 구성한 지하 구조체(10)를 나타낸다. 한편, 지하 구조체(10)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조립체(1)(1D∼1F)의 개방단부는, 연직부재(2A∼2D)와 동일 형상의 연직부재(2E)로 막혀져, 연직부재(2E)에 인접하는 연직부재(2D)의 돌출부(2b)는 서로 접촉하고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지하 구조체(10)를 지하에 매설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방향의 토압(P)을 받지만, 토압(P)은, 지하 구조체(10)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조립체(1)(1A∼1F)의 단부에 위치하는 연직부재(2A,2B)(도 1 참조), 및 연직부재(2D,2E)가 서로 대향하여 서로 접촉하는 4조(組)의 돌출부(2b)(도 1 및 도 2 참조)에 의해서 상기 토압을 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지하 구조체(10)에 의하면, 지하 구조체(10)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조립체(1)(1A∼1F)의 단부에 위치하는 연직부재(2A,2B), 및 연직부재(2D,2E)에 의해서 수평방향의 토압(P)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복잡한 지지 구성이 불필요해져, 단시간에 설치할 수 있고, 설치비용을 큰 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연직부재(2) 및 연결부재(3)를 각각 동일 형상으로 했기 때문에, 각각 한 종류의 금형으로 제조할 수 있고, 이들 부재의 제조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2b)와 같은 형태의 돌출부를 삽입 가능한 구멍부(2c)를 연직부재(2)에 뚫어 형성했기 때문에, 복수매의 연직부재(2)를 상하 방향으로 빈틈없이 적층하고, 지면이나 마루면과 가장 아래에 둔 연직부재(2)의 기판(2a)과의 사이에 빈틈을 형성할 수 있어, 팔레트를 이용하지 않고 반송할 수 있고, 반송 비용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직부재(2)의 위에 복수의 연결부재(3)를 적층하여, 연결부재(3)도 팔레트를 이용하지 않고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지하 구조체를 빗물저류 침투시설용 구조체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도 5는, 상기 빗물저류 침투시설용 구조체를 구성하기 위한 조립체를 나타내고, 이 조립체(21)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4매의 본체(22)(22A∼22D)와, 우단부에 배치된 경판(23)과, 이들 본체(22) 및 경판(23)을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측판(24), 상하판(26) 및 중간판(27)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도 5에서는, 앞쪽에 위치하는 측판(또는 외측판)을 삭제한 상태를 그리고 있다. 또한, 상기 각 구성 부재는, 플라스틱 재료, 특히 재생 플라스틱 재료 등의 수지, 또는 플라스틱 재료와 무기 분말체를 혼합한 복합재료를 이용한 성형품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체(22)(22A∼22D)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틀체와 보강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편평 형상의 기체(22a)와, 기체(22a)의 네 모서리 근방에 돌출 형성된 원뿔대 형상의 4개의 돌출부(22)와, 기체(22a)를 관통하는 관통구멍(22c)으로 구성된다. 관통구멍(22c)은, 사람이 빠져나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또한, 4개의 돌출부(22b)의 내부는 공동(空洞)이 되고 있어, 복수매의 본체(22)를 상하로 포갠 경우, 인접하는 본체(22)의 한쪽의 돌출부(22b)가, 다른쪽 본체(22)의 돌출부(22b)의 공동내에 들어가, 빈틈을 비우지 않고 복수매의 본체(22)를 적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경판(23)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틀체와 보강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편평 형상의 기체(23a)와, 돌기부재(23b)로 구성된다. 기체(23a)의 네 모서리 근방에는, 돌기부재(23b)를 장착하기 위한 돌기부재 장착부(123a)가 형성되고, 돌기부재(23b)는, 플랜지부(223b)와 사각뿔대 형상의 돌출부(123b)로 구성되고, 돌기부재 장착부(123a)와 플랜지부(223b)에 형성된 요철구조 등(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돌기부재(23b)가 기체(23a)에 장착된다.
측판(24)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틀체와 보강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편평 형상의 기체(24a)와, 기체(24a)의 중심부 근방 상부에 위치하는 2개의 개구부(24b)로 구성된다. 개구부(24b)는, 흡인·세정용의 호스 등을 삽입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이 측판(24)은, 조립체(21)를 복수 조합하여 빗물저류 침투시설용 구조체를 구성했을 때에, 인접하는 조립체(21)의 사이에 배치된다.
외측판(25)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틀체와 보강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편평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판(24)과 같은 개구부(24b)가 존재하지 않는 점에서 측판(24)과 다르다. 이 외측판(25)은, 조립체(21)를 복수 조합하여 빗물저류 침투시설용 구조체를 구성했을 때에,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조립체(21)에 설치된다.
상하판(26)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형상의 기체(26a)에, 상방 또는 하방에 배치되는 본체(22) 또는 경판(23)과의 접합부(26b)가 형성되고, 조립체(21)를 복수 조합하여 빗물저류 침투시설용 구조체를 구성했을 때에, 최상부의 조립체(21)의 상면, 또는 최하부의 조립체(21)의 하면에 배치된다.
중간판(27)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0에 나타낸 상하판(26)에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 판 형상 부재(27a,27b) 2매를 서로 등을 맞대어 포개 맞추어 구성되고, 조립체(21)를 복수 조합하여 빗물저류 침투시설용 구조체를 구성했을 때에,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조립체(21)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각 부재(22∼27)를 조합하여 조립체(21)를 구성하고, 조립체(21)를 다시 복수 조합하여 빗물저류 침투시설용 구조체(도시하지 않음)를 구성하고, 지하에 매설한다. 매설한 빗물저류 침투시설용 구조체의 상방은, 흙, 자갈,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등의 층에 의해서 덮여짐과 함께, 빗물저류 침투시설용 구조체의 주위를 부직포 등의 보호층에 의해서 덮음으로써, 빗물저류 침투시설용 구조체의 내부에의 토사의 유입이 저지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빗물저류 침투시설용 구조체를 지하에 매설하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상기 도면에는 1개의 조립체(21)만 나타낸다), 수평방향의 토압(P)을 받지만, 토압(P)은, 조립체(21)의 단부에 위치하는 경판(23)과, 경판(23)에 인접하는 본체(22A)의 서로 대향하여 서로 접촉하는 돌출부(22b) 및 돌출부(23b)(4조 존재한다)에 의해서 상기 토압을 지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복잡한 지지 구성이 불필요해져, 단시간에 설치할 수 있어, 설치비용을 큰 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체(22)(22A∼22D)를 동일 형상으로 했기 때문에, 각각 한 종류의 금형으로 제조할 수 있어, 조립체(21)의 제조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22b)와 같은 형태의 돌출부를 삽입 가능한 구멍부를 각 본체(22)에 뚫어 형성했기 때문에, 복수매의 본체(22)를 상하 방향으로 빈틈없이 적층하고, 지면이나 마루면과 가장 아래에 둔 본체(22)의 기체(22a)와의 사이에 빈틈을 형성할 수 있어, 팔레트를 이용하지 않고 반송할 수 있고, 반송 비용도 억제할 수 있다.
1(1A∼1F) : 조립체
2(2A∼2E) : 연직부재
2a : 기판(基板)
2b : 돌출부
2c : 구멍부
3(3A, 3B) : 연결부재
10 : 지하 구조체
11(11A∼11C) : 조립체
21 : 조립체
22(22A∼22D) : 본체
22a : 기체(基體)
22b : 돌출부
22c : 관통구멍
23 : 경판
23a : 기체
123a : 돌기부재 장착부
23b : 돌기부재
123b : 돌출부
223b : 플랜지부
24 : 측판
24a : 기체
24b : 개구부
25 : 외측판
26 : 상하판
26a : 기체
26b 접합부
27 : 중간판
27a, 27b : 판 형상 부재

Claims (5)

  1.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연직부재와, 그 복수의 연직부재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한 지하 구조체로서,
    상기 지하 구조체의 수평방향의 단부(端部)에 위치하는 연직부재와, 상기 연직부재에 인접하는 연직부재의 각각에 서로 대향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구조체.
  2.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연직부재와, 상기 복수의 연직부재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한 지하 구조체로서,
    상기 지하 구조체의 수평방향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연직부재와, 상기 양단부에 위치하는 연직부재의 각각에 인접하는 연직부재의 각각에 서로 대향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구조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직부재는 각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판 형상 연직부재의 각각은, 상기 돌출부가 세워져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에, 상기 돌출부와 같은 형태의 돌출부를 삽입 가능한 구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구조체.
  4. 제 1 항,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직부재는, 전체적으로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구조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직부재의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빗물 유통용의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구조체.
KR1020137014073A 2010-11-04 2010-11-04 지하 구조체 KR201301091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69580 WO2012059993A1 (ja) 2010-11-04 2010-11-04 地下構造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174A true KR20130109174A (ko) 2013-10-07

Family

ID=46024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073A KR20130109174A (ko) 2010-11-04 2010-11-04 지하 구조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697270B2 (ko)
KR (1) KR20130109174A (ko)
WO (1) WO20120599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21156B2 (ja) * 2017-03-08 2021-01-27 秩父ケミカル株式会社 浸透箱
JP7161382B2 (ja) * 2018-11-21 2022-10-26 エバタ株式会社 雨水等貯留浸透施設用仕切板及び側板、雨水等貯留浸透施設用構造体並びに雨水等貯留浸透施設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1789A (ja) * 1997-08-29 1999-03-16 Takiron Co Ltd 雨水貯溜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貯水用構造材
JPH11222886A (ja) * 1998-02-09 1999-08-17 Shinichiro Hayashi ユニット部材
JP4625987B2 (ja) * 2000-08-31 2011-02-02 株式会社 林物産発明研究所 貯水装置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2339383A (ja) * 2001-05-17 2002-11-27 Shinichiro Hayashi 継手部材および構造体
JP2004360298A (ja) * 2003-06-04 2004-12-24 Ebata Kk 雨水等貯留設備
JP4264309B2 (ja) * 2003-08-01 2009-05-13 エバタ株式会社 雨水等貯留浸透施設用面板部材、雨水等貯留浸透施設用構造体、及び、雨水等貯留浸透施設
JP2006104739A (ja) * 2004-10-04 2006-04-20 Toyo Tire & Rubber Co Ltd 雨水貯留構造用部材とこれを用いた雨水貯留構造物
JP5025364B2 (ja) * 2007-07-23 2012-09-12 エバタ株式会社 雨水貯留浸透施設用組立体、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貯留浸透施設
JP2009074285A (ja) * 2007-09-20 2009-04-09 Sekisui Chem Co Ltd 雨水貯留浸透施設への雨水供給配管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97270B2 (ja) 2015-04-08
WO2012059993A1 (ja) 2012-05-10
JPWO2012059993A1 (ja)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3048471A1 (en) Embedment-type mould for manufacturing building slab structures
JP4855883B2 (ja) 雨水貯留浸透施設用構造体、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貯留浸透施設
JP4877545B2 (ja) 雨水等貯留浸透施設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体、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等貯留浸透施設
KR20130109174A (ko) 지하 구조체
JP2013170404A (ja) 擁壁ブロック、擁壁および擁壁の構築方法
KR101935100B1 (ko) 지하수의 저류조 유입을 위한 저수 시스템 및 그 설치 방법
KR102059055B1 (ko) 들뜸 현상을 방지하는 층간 소음 방지 패널
US20160362897A1 (en) Raised access floor panel with enhanced rigidity
KR20070074551A (ko) 빗물 저류 구조용 부재와 이것을 사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
KR101005352B1 (ko)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
KR101072286B1 (ko) 조립식 옹벽
KR101086885B1 (ko) 다수의 대형 콘크리트 블록 제조 방법
KR20190002389U (ko) 건식 난방용 조립식 패널
KR200183206Y1 (ko) 옹벽용 블럭
JP6196088B2 (ja) 一体式基礎型枠および基礎型枠連結構造
KR100709120B1 (ko) 금속제흙막이판및 이를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
JP2008057282A (ja) 雨水等貯留浸透施設用構造部材、雨水等貯留浸透施設用構造体、及び、これらを用いた雨水等貯留浸透施設
JP2010133111A (ja) 貯水槽用蓋部材および貯水槽
KR101178810B1 (ko) 강재틀 옹벽 시공방법
KR101647089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
CN213975297U (zh) 一种预制板间的隔离架
JP4528176B2 (ja) 浮力対策構造を備えた軽量盛土構造体
CN213975298U (zh) 一种预制板间的隔离架
JP3727320B2 (ja) 地盤補強体、基礎構造体および基礎構造体構築工法
KR200450476Y1 (ko) 저수블록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저류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