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810B1 - 강재틀 옹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강재틀 옹벽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810B1
KR101178810B1 KR1020110124407A KR20110124407A KR101178810B1 KR 101178810 B1 KR101178810 B1 KR 101178810B1 KR 1020110124407 A KR1020110124407 A KR 1020110124407A KR 20110124407 A KR20110124407 A KR 20110124407A KR 101178810 B1 KR101178810 B1 KR 101178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frame
pair
frames
fram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태
김현선
Original Assignee
(주)대흥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흥이엔지 filed Critical (주)대흥이엔지
Priority to KR1020110124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16Cribb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강재틀 옹벽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한쌍의 제1세로프레임사이에 복수개의 외측스크린재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제1세로프레임의 상,하단과 각 일단이 결합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는 한쌍의 상,하부 제1가로프레임을 구비하는 제1하부강재틀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한쌍의 상부제1가로프레임의 양단과 하단이 제3결합부재를 매개로 연결되고, 복수개의 중간스크린재를 갖는 한쌍의 내,외측 제3세로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내,외측제3세로프레임의 상단과 다른 제3결합부재를 매개로 양단이 연결되는 한쌍의 상부제3가로프레임을 구비하는 중간강재틀을 상기 제1하부강재틀의 상부제1가로프레임을 매개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한쌍의 상부제3가로프레임의 양단과 하단이 제4결합부재를 매개로 연결되고, 복수개의 상부스크린재를 갖는 한쌍의 내,외측 제4세로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내,외측제4세로프레임의 상단과 다른 제4결합부재를 매개로 양단이 연결되는 한쌍의 상부제4가로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상부제4가로프레임사이에 복수개의 상부천정스크린재를 구비하는 상부강재틀을 상기 중간강재틀의 상부제3가로프레임을 매개로 적층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강재틀 옹벽 시공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the Steel Frame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강재틀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옹벽높이대비 옹벽이 설치되는 기저면의 면적을 줄일 수 있고, 강재틀간의 조립시 가로프레임을 공통부재로 사용하여 강재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고, 프레임간의 결합력을 높여 토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으며, 옹벽높이에 관계없이 기저면에 강재틀의 설치갯수를 줄여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는 강재틀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이란 토압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않게 세워지는 벽체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지표지반의 안정된 경사보다 가파른 경사로 흙을 쌓거나 또는 산을 깎을 때에 발생하는 지반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이다.
종래의 옹벽에는 중력식 콘크리트 옹벽과, 특수 철근 콘크리트 옹벽으로 대별되는바, 중력식 콘크리트 옹벽은 콘크리트 자체의 중량으로 지반의 붕괴를 막아내는 구조인데, 비교적 높이가 낮은 경우에 채택되고, 특수 철근 콘크리트 옹벽은 옹벽의 높이가 커져서 중력식 콘크리트 옹벽으로는 경제적이지 않거나 벽면을 수직으로 하여 용지의 이용을 유리하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이용된다.
그 외에도 역T형식, 부벽식 등의 여러가지 형식의 옹벽이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를 이용한 옹벽은 풍수해에 의해 붕괴하기도 한다. 이는 옹벽 뒷면의 지반에 빗물이 침투하여 그 지반이 연약하게 됨으로써, 옹벽에 가해지는 토압이 커져 옹벽이 붕괴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옹벽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경우에는 시공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장소를 확보해야 하고, 거푸집 등의 부대설비를 확보해야 하는 제약이 따른다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강재틀 옹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의 강재틀 옹벽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재틀 옹벽(1)을 설치할 기저면을 평평하게 형성하고, 기저면 상에 옹벽설치선을 따라 2열 이상의 강재틀(2)을 설치한다. 강재틀(2)간은 볼트체결되고, 강재틀(2)의 내부 및 인접한 강재틀(2') 사이의 공간에는 석재와 같은 채움재가 채워진다.
그리고, 채움재로 채워진 강재틀(2, 2') 위에는 다른 강재틀을 적층시키고, 강재틀의 사이는 볼트부재로서 체결하여 연결한 다음, 설치된 다른 강재틀의 내부 및 인접한 강재틀 사이의 공간에 채움재를 채우는 방식으로 강재틀 구조물을 쌓아 올려 일정높이의 옹벽을 시공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강재틀 옹벽을 구성하는 강재틀(2,2')을 적층하여 조립하는 작업은 하측 강재틀의 상부프레임과 상측 강재틀의 하부프레임을 서로 접한 상태에서 볼트부재를 매개로 서로 연결하여 조립할 때 서로 불일치되면 시공 후 토압에 의해 좌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현장 시공자가 각 부재의 길이에 따라 그 체결 위치를 설정하는 조립과정을 완전히 숙지해야만 하고, 시공현장에서 실제경험을 통해서만 강재틀의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도로의 절토부에 시공되는 경우 도로면의 흙 다짐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서 결합부위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강재틀이 다층으로 적층되는 종래의 강재틀 옹벽에서 전체높이가 높아지는 경우, 최하층의 강재틀이 설치되는 기저면이 넓어지게 되면서 이에 설치되는 강재틀의 설치갯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강재사용량과 더불어 시공기간이 길어지고, 전체적으로 공사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옹벽높이대비 옹벽이 설치되는 기저면의 면적을 줄일 수 있고, 강재틀간의 조립시 가로프레임을 공통부재로 사용하여 강재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고, 프레임간의 결합력을 높여 토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으며, 옹벽높이에 관계없이 기저면에 강재틀의 설치갯수를 줄여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는 강재틀 옹벽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개의 강재틀을 이용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한쌍의 제1세로프레임 사이에 복수개의 외측스크린재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제1세로프레임의 상,하단과 각 일단이 결합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는 한쌍의 상,하부 제1가로프레임을 구비하는 제1하부강재틀을 제공하는 단계;
한쌍의 제2세로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제2세로프레임 사이에 복수개의 내측스크린재를 구비하며, 상기 한쌍의 제2세로프레임의 상,하단과 각 일단이 결합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는 한쌍의 상,하부 제2가로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서로 나란한 한쌍의 제2상부가로프레임 사이에는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하부천정스크린재를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장착한 적어도 하나의 제2하부강재틀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하부강재틀의 상,하부 제1가로프레임과 상기 제2하부강재틀의 상,하부 제2가로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한쌍의 제5세로프레임을 매개로 상기 제1하부강재틀과 제2하부강재틀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한쌍의 상부제1가로프레임의 양단과 하단이 제3결합부재를 매개로 연결되고, 복수개의 중간스크린재를 갖는 한쌍의 내,외측 제3세로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내,외측제3세로프레임의 상단과 다른 제3결합부재를 매개로 양단이 연결되는 한쌍의 상부제3가로프레임을 구비하는 중간강재틀을 상기 제1하부강재틀의 상부제1가로프레임을 매개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한쌍의 상부제3가로프레임의 양단과 하단이 제4결합부재를 매개로 연결되고, 복수개의 상부스크린재를 갖는 한쌍의 내,외측 제4세로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내,외측제4세로프레임의 상단과 다른 제4결합부재를 매개로 양단이 연결되는 한쌍의 상부제4가로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상부제4가로프레임 사이에 복수개의 상부천정스크린재를 구비하는 상부강재틀을 상기 중간강재틀의 상부제3가로프레임을 매개로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부강재틀, 제2하부강재틀, 중간강재틀 및 상부강재틀은 대각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결합부재 사이에 연결지지판에 형성된 체결공에 결합되는 체결부재에 의해서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대각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2하부강재틀, 중간강재틀 및 상부강재틀의 내부공간에는 채움재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틀 옹벽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부재는 가로프레임의 웹에 면접하고 상기 웹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공과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배치되는 복수개의 결합공을 구비하는 제1결합판과, 세로프레임의 플랜지에 면접하고,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공과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배치되는 복수개의 결합공을 구비하는 제2결합판사이를 연결하면서 지지하는 연결지지판을 포함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중간강재틀을 상기 제1하부강재틀의 상부제1가로프레임을 매개로 적층하는 단계는 상기 중간강재틀의 상부에 상기 상부제3가로프레임을 매개로 적층되는 다른 중간강재틀을 추가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제1하부강재틀 또는 제2하부강재틀과 제5세로프레임을 매개로 연결되는 제1하부강재틀의 직상부에 가로프레임을 매개로 중간강재틀과 더불어 상부강재틀을 적층하여 강재틀 옹벽을 시공함으로써 옹벽높이대비 옹벽이 설치되는 기저면의 점유면적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기저면에 설치되는 강재틀의 설치갯수를 줄여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다.
(2) 하부강재틀, 중간강재틀 및 상부강재틀간의 조립시 가로프레임을 공통부재로 사용하여 적층됨으로써 강재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한편, 프레임간의 결합력을 높여 좌굴과 같은 변형을 방지하고 토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강재틀 옹벽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강재틀 옹벽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강재틀 옹벽에 채용되는 제1,2하부강재틀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강재틀 옹벽에 채용되는 중간강재틀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조립도이고
(b)는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강재틀 옹벽에 채용되는 상부강재틀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조립도이고
(b)는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강재틀 옹벽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강재틀 옹벽 시공방법을 적용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강재틀 옹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강재틀 옹벽(100)을 시공하는 방법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하부강재틀(110), 제2하부강재틀(110')과, 적어도 하나의 중간강재틀(120) 및 상부강재틀(130)을 토압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엘자형의 벽체구조물로 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하부강재틀(11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나란한 한쌍의 제1세로프레임(111,111)사이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외측스크린재(111a)를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구비한다.
상기 한쌍의 제1세로프레임(111,111)의 각 상단과 일단이 결합부재(115)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는 한쌍의 상부제1가로프레임(113,113)을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제1세로프레임(111,111)의 각 하단과 일단이 다른 결합부재(115)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는 한쌍의 하부제1가로프레임(114,114)을 구비한다.
상기 제2하부강재틀(110')은 제1하부강재틀(110)과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나란한 한쌍의 제2세로프레임(116,116)사이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내측스크린재(116a)를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내측스크린재(116a)의 외측에는 최하단에 위치한 제2하부 강재틀에서 최대로 걸리는 토압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보강용 세로프레임(116b)을 제2세로프레임(116,116)과 나란하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쌍의 제2세로프레임(116,116)의 각 상단과 일단이 결합부재(115)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는 한쌍의 상부제2가로프레임(117,117)을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제2세로프레임(116,116)의 각 하단과 일단이 다른 결합부재(115)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는 한쌍의 하부제2가로프레임(118,118)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강재틀 옹벽(100)을 엘자형으로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 한쌍의 제5세로프레임(119,119)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1하부강재틀(110)과 제2하부강재틀(110')을 서로 일체로 연결한다.
즉, 상기 제1하부강재틀(110)의 상,하부 제1가로프레임(113,114)과 상기 제2하부강재틀(110')의 상,하부 제2가로프레임(117,118)사이에 한쌍의 제5세로프레임(119,119)을 배치하고, 상기 상,하부 제1가로프레임(113,114)의 각 단부는 상기 한쌍의 제5세로프레임(119,119)의 상,하단 일측면과 결합부재(115)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고, 상기 상,하부제2가로프레임(117,118)의 각 단부는 상기 한쌍의 제5세로프레임(119,119)의 상,하단 타측면과 다른 결합부재(115)를 매개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2세로프레임(111,116), 상,하부제1가로프레임(113,114), 상,하부제2가로프레임(117,118) 및 제5세로프레임(119)은 웹의 양단에 플랜지가 연결되는 대략 H단면상의 형강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하부제1,2가로프레임(114,118)은 기저면에 밀착되도록 'ㄷ'단면상의 형강재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세로프레임(111,116), 상,하부제1가로프레임(113,114), 상,하부제2가로프레임(117,118) 및 제5세로프레임(119,119)들을 서로 연결하는 결합부재(115)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제1,2가로프레임(113,114,117,118)과 같은 가로프레임의 웹에 면접하고 상기 웹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공과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배치되는 복수개의 결합공을 구비하는 제1결합판(115a)과, 상기 제1,2세로프레임(111,116), 제5세로프레임(119,119)과 같은 세로프레임의 플랜지에 면접하고,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공과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배치되는 복수개의 결합공을 구비하는 제2결합판(115b)사이를 연결하면서 지지하는 연결지지판(115c)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하부강재틀(110)과 제2하부강재틀(110')에서 대각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결합부재(115,115)사이에는 상기 연결지지판(115c)에 형성된 체결공에 결합되는 체결부재에 의해서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대각부재(112,11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대각부재가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사이를 연결하는 모서리에 구비되는 연결구를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강재틀의 구조적 안전성 및 압축하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대각부재(112)는 제1,2하부강재틀과 더불어 상기 중간강재틀 및 상부강재틀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연속하여 상기 제1,2하부강재틀(110,110')이 서로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부강재틀(110)의 상부제1가로프레임(113)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1하부강재틀(110)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중간강재틀(120)을 적층한다.
이러한 중간강재틀(120)은 도 4(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부강재틀(110)에 구비되는 한쌍의 상부제1가로프레임(113,113)의 양단과 각 하단이 결합부재(115)를 매개로 연결되는 좌우 한쌍의 내,외측 제3세로프레임(121,121,122,122)을 구비한다.
서로 나란한 한쌍의 내,외측 제3세로프레임(121,121,122,122)사이에는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중간스크린재(123,124)의 양단을 각각 구비한다.
그리고, 한쌍의 외측제3세로프레임(121,121)의 상단과 한쌍의 내측제3세로프레임(122,122)상단사이에는 다른 결합부재(115)를 매개로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상부제3가로프레임(125,125)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좌우한쌍의 내,외측 제3세로프레임(121,121,122,122), 한쌍의 상부제3가로프레임(125,125)은 상기 제1,2강재틀의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웹의 양단에 플랜지가 각각 구비되는 대략 H단면상의 형강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2하부강재틀(110,110')과 동일하게 중간강재틀(120)에서도 대각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결합부재(115,115)사이에는 상기 연결지지판(115c)에 형성된 체결공에 결합되는 체결부재에 의해서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대각부재(112,11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중간강재틀(120)은 기저면에서 제5세로프레임(119,119)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는 제1하부강재틀(110)과 제2하부강재틀(110') 중 외측에 해당되는 제1하부강재틀(110)의 직상부에 상부제1가로프레임(113)을 매개로 하여 높이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이다.
또한, 토양에 묻혀지는 제2하부강재틀(110')의 서로 나란한 한쌍의 제2상부가로프레임(117,117)사이에는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하부천정스크린재(117a)를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부천정스크린재(117a)는 상기 제2상부가로프레임(117,117)에 적층되는 형강부재에 양단이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중간강재틀(120)의 상부에는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제3가로프레임(125,125)을 매개로 적층되는 다른 중간강재틀(120')을 적층함으로써 강재틀옹벽(100)의 전체높이를 높일 수 있다.
연속하여, 상기 제1하부강재틀(110)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중간강재틀(120)이 적층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간강재틀(120)의 상부 제3가로프레임(125)을 매개로 하여 상기 중간강재틀(120)의 상부에 상부강재틀(130)을 적층한다.
이러한 상부강재틀(130)은 도 5(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간강재틀(120)에 구비되는 한쌍의 상부제3가로프레임(125,125)의 양단과 각 하단이 결합부재(115)를 매개로 연결되는 좌우 한쌍의 내,외측 제4세로프레임(131,131,132,132)을 구비한다.
서로 나란한 한쌍의 내,외측 제4세로프레임(131,131,132,132)사이에는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상부스크린재(133,134)의 양단을 각각 구비한다.
그리고, 한쌍의 외측제4세로프레임(131,131)의 상단과 한쌍의 내측제4세로프레임(132,132)상단사이에는 다른 결합부재(115)를 매개로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상부제4가로프레임(135,135)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좌우한쌍의 내,외측 제4세로프레임(131,131,132,132), 한쌍의 상부제4가로프레임(135,135)은 상기 제1,2하부강재틀의 프레임 및 중간강재틀과 마찬가지로 웹의 양단에 플랜지가 각각 구비되는 대략 H단면상의 형강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2하부강재틀(110,110') 및 중간강재틀(120)과 동일하게 상부강재틀(130)에서도 대각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결합부재(115,115)사이에는 상기 연결지지판(115c)에 형성된 체결공에 결합되는 체결부재에 의해서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대각부재(112,11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강재틀(130)은 상기 제1하부강재틀(110)의 상부에 적층된 중간강재틀(120)의 직상부에 상부제3가로프레임(125)을 매개로 하여 높이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이다.
그리고, 서로 나란한 한쌍의 상부제4가로프레임(135,135)사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으로 상부천정스크린재(136)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제1,2하부강재틀(110,110'), 중간강재틀(120,120') 및 상부강재틀(130)로 이루어지는 강재틀 옹벽(100)의 내부공간에는 석재와 같은 채움재가 채워지게 되는바, 상기 제1,2하부강재틀(110,110')의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채움재는 상기 중간강재틀(120)을 적층하기 전이나 상기 내측스크린재(116a) 하부천정스크린재(117a)를 설치하기 전에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간강재틀(120)의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채움재는 상기 중간스크린재(123,124)를 설치한 다음 상기 상부강재틀(130)을 적층하기 전에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강재틀(130)의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채움재도 마찬가지로 상부스크린재(133,134)를 설치한 다음 상기 상부천정스크린재(136)를 설치하기에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하부강재틀(110)의 하부제1가로프레임(114)은 상부제1가로프레임(113,113)의 형성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제1가로프레임(113,113)은 상기 중간강재틀(120)의 상부제3가로프레임(125,125)의 형성길이보다 길게 구비되고, 상기 하부제3가로프레임(125,125)은 상기 상부강재틀(130)의 제4상부가로프레임(135,135)보다 길게 구비되어 옹벽의 높이방향으로 갈수록 가로프레임의 길이가 줄어들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하부강재틀(110), 중간강재틀(120) 및 상부강재틀(130)은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직육면체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제1하부강재틀(110), 중간강재틀(120) 및 상부강재틀(130)을 평평한 기저면으로부터 상부로 다층으로 적층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단면상 강재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하부강재틀(110')의 제2세로프레임(116,116)에는 토양이 제2하부강재틀의 측면을 통해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차단할 수 있도록 대략 사각판상의 토양차단판(미도시)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강부재를 각각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토양차단판은 상기 제2상부가로프레임(117,117)에 적층되는 형강부재에도 삽입되어 토양이 상기 제2하부강재틀의 상부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10 : 제1하부강재틀 110' : 제2하부강재틀
111 : 제1세로프레임 112 : 대각부재
113 : 상부제1가로프레임 114 : 하부제1가로프레임
115 : 결합부재 116 : 제2세로프레임
116a : 내측 스크린재 117a : 하부천정스크린재
117 : 상부제2가로프레임 118 : 하부제2가로프레임
119 : 제5세로프레임 120,120' : 중간강재틀
121 : 외측제3세로프레임 122 : 내측제3세로프레임
123,124 : 중간스크린재 125 : 상부제3가로프레임
130 : 상부강재틀 131 : 외측제4세로프레임
132 : 내측제4세로프레임 135 : 상부제4가로프레임

Claims (7)

  1. 복수개의 강재틀을 이용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한쌍의 제1세로프레임(111,111)사이에 복수개의 외측스크린재(111a)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제1세로프레임(111,111)의 상,하단과 각 일단이 결합부재(115)를 매개로 연결되는 한쌍의 상,하부 제1가로프레임(113,114)을 구비하는 제1하부강재틀(110)을 제공하는 단계;
    한쌍의 제2세로프레임(116,116)을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제2세로프레임(116,116)사이에 복수개의 내측스크린재(116a)를 구비하며, 상기 한쌍의 제2세로프레임(116,116)의 상,하단과 각 일단이 결합부재(115)를 매개로 연결되는 한쌍의 상,하부 제2가로프레임(117,118)을 구비하며, 상기 서로 나란한 한쌍의 제2상부가로프레임(117,117)사이에는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하부천정스크린재(117a)를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장착한 적어도 하나의 제2하부강재틀(110')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하부강재틀(110)의 상,하부 제1가로프레임(113,114)과 상기 제2하부강재틀(110')의 상,하부 제2가로프레임(117,118)사이에 배치되는 한쌍의 제5세로프레임(119)을 매개로 상기 제1하부강재틀(110)과 제2하부강재틀(110')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한쌍의 상부제1가로프레임(113,113)의 양단과 하단이 제3결합부재(115)를 매개로 연결되고, 복수개의 중간스크린재(123,124)를 갖는 한쌍의 내,외측 제3세로프레임(121,121,122,122)을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내,외측제3세로프레임(121,121)의 상단과 다른 제3결합부재(115)를 매개로 양단이 연결되는 한쌍의 상부제3가로프레임(125,125)을 구비하는 중간강재틀(120)을 상기 제1하부강재틀(110)의 상부제1가로프레임(113,113)을 매개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한쌍의 상부제3가로프레임(125,125)의 양단과 하단이 제4결합부재(115)를 매개로 연결되고, 복수개의 상부스크린재(133,134)를 갖는 한쌍의 내,외측 제4세로프레임(131,131,132,132)을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내,외측제4세로프레임(131,131)의 상단과 다른 제4결합부재(115)를 매개로 양단이 연결되는 한쌍의 상부제4가로프레임(135,135)을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상부제4가로프레임(135,135)사이에 복수개의 상부천정스크린재(136)를 구비하는 상부강재틀(130)을 상기 중간강재틀(120)의 상부제3가로프레임(125,125)을 매개로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부강재틀(110), 제2하부강재틀(110'), 중간강재틀(120) 및 상부강재틀(130)은 대각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결합부재(115) 사이에 연결지지판(115c)에 형성된 체결공에 결합되는 체결부재에 의해서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대각부재(112,112)를 구비하고, 상기 제1,2하부강재틀(110,110'), 중간강재틀(120) 및 상부강재틀(130)의 내부공간에는 채움재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틀 옹벽 시공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115)는 가로프레임의 웹에 면접하고 상기 웹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공과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배치되는 복수개의 결합공을 구비하는 제1결합판(115a)과, 세로프레임(116b)의 플랜지에 면접하고,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공과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배치되는 복수개의 결합공을 구비하는 제2결합판(115b) 사이를 연결하면서 지지하는 연결지지판(115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틀 옹벽 시공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강재틀(120)을 상기 제1하부강재틀(110)의 상부제1가로프레임(113,113)을 매개로 적층하는 단계는 상기 중간강재틀(120)의 상부에 상기 상부제3가로프레임(125,125)을 매개로 적층되는 다른 중간강재틀(120')을 추가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틀 옹벽 시공방법.
  7. 삭제
KR1020110124407A 2011-11-25 2011-11-25 강재틀 옹벽 시공방법 KR101178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407A KR101178810B1 (ko) 2011-11-25 2011-11-25 강재틀 옹벽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407A KR101178810B1 (ko) 2011-11-25 2011-11-25 강재틀 옹벽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8810B1 true KR101178810B1 (ko) 2012-08-31

Family

ID=4688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407A KR101178810B1 (ko) 2011-11-25 2011-11-25 강재틀 옹벽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1619A (ko) 2019-08-19 2021-03-02 주식회사 비씨에이치푸드 유효성분이 증대된 식품재료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438B1 (ko) 2002-07-03 2004-09-13 주식회사 포스코 옹벽용 강재틀 및 이를 형성하는 형강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438B1 (ko) 2002-07-03 2004-09-13 주식회사 포스코 옹벽용 강재틀 및 이를 형성하는 형강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1619A (ko) 2019-08-19 2021-03-02 주식회사 비씨에이치푸드 유효성분이 증대된 식품재료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0240B2 (en) Compressive force transmitting connection element
US20110011018A1 (en) Modular construction mol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s and structures
CN104652671A (zh) 预制装配式混凝土外挂墙板固定装置及安装方法
KR20140128424A (ko) 높이 조절 가능한 선적 컨테이너 건축 구조물을 위한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를 성형하기 위한 예비성형 거푸집
US20130104492A1 (en) Structure of building that is free of formwork removal
US20130008125A1 (en) Construction method for new underground structure
CN105256837A (zh) 管廊预制件及装配式综合管廊
CN108240053B (zh) 装配整体式耗能框架墙板体系及施工方法
KR101774952B1 (ko) 친환경 우수저류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JP5373848B2 (ja) 地下構造物の補強方法、柱構造体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体
CN204645343U (zh) 预制装配式混凝土外挂墙板固定装置
KR101178810B1 (ko) 강재틀 옹벽 시공방법
JP5392940B1 (ja) 雨水貯留積層構造体に用いる構造部材
JP3209447U (ja) 免震構造基礎
KR101677431B1 (ko) 대용량 콘크리트 옹벽
KR101094097B1 (ko) 콘크리트 매설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스페이서 모듈
KR102249058B1 (ko) 조립식 벽체
US20120017520A1 (en) Earthquake Proof Wall Panels
JP2018109281A (ja) トンネル内構造およびトンネル内構造の築造方法
JP5545768B2 (ja) 地下構造物の補強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体
KR101736009B1 (ko) 층고절감이 가능한 시공단계 단순접합식 역타 시공방법
JP4902377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塀の基礎構造及びその塀の施工方法
CN221298313U (zh) 可拆装波纹板隔墙系统
KR102247573B1 (ko) 건축물의 벽체구조
JP6374762B2 (ja) せん断力伝達構造群、せん断力伝達構造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