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8115A - 횡편기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횡편기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8115A
KR20130108115A KR1020130019622A KR20130019622A KR20130108115A KR 20130108115 A KR20130108115 A KR 20130108115A KR 1020130019622 A KR1020130019622 A KR 1020130019622A KR 20130019622 A KR20130019622 A KR 20130019622A KR 20130108115 A KR20130108115 A KR 20130108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knitted fabric
knitted
fabric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4194B1 (ko
Inventor
마사오 오쿠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30108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니트웨어 등의 소매의 길이가 몸통보다 짧은 경우에도 이음뜨기부를 적게 하여 안정한 편성이 가능한, 횡편기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니트웨어(10)를, 몸통(11)의 양측에 소매(12)를 각각 분리한 통 모양 편성포로서 편성하고, 겨드랑이 하부(10a)에 도달하면 접합하여 하나의 통 모양체를 형성한 후에, 통 모양체의 지름을 축소하도록 편성폭을 좁히는 스티치 이동을 한다. 스티치 이동을 시작할 때에는, 도1(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음뜨기부(13)의 외측 단부측에 형성되는 띠 모양의 협폭부분(13a)의 하단을 테이크 다운 롤러(6)에 의하여 끌어내릴 수 있다. 이음뜨기부(13)는, 하단이 동일한 것이 아니라 외측 단부측의 협폭부분(13a)이 길게 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확실하게 테이크 다운 롤러(6)에 걸쳐질 수 있다.

Description

횡편기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BY FLA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에 의하여 복수의 편성포를 접합한 후에, 일체화한 편성폭을 감소시키는 스티치 이동(stitch move)과 스티치 형성을 반복하는, 횡편기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횡편기를 사용하여 스웨터(sweater) 등의 니트웨어(knitwear)는, 몸통과 양쪽 소매를 겨드랑이 하부까지 각각 통(筒) 모양 편성포로서 편성한 후에 몸통과 양쪽 소매를 접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접합 후의 통 모양체는, 지름이 커지게 되기 때문에 소매측을 몸통측으로 이동시켜서 스티치를 포개고, 포갠 스티치에 계속하여 니트(knit)에 의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함으로써 편성폭을 감소시키면서 편성을 계속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도4는, (a)에서 편성포의 접합편성에 사용하는 횡편기(1)의 기본적인 구성(예를 들면 특허문헌2 참조)을 간략화하여 나타내고, (b)에서 니트웨어(5)의 접합편성을 하기 직전의 상태를 간략화하여 나타내고, (c)에서 접합편성 시에 발생하는 문제를 나타낸다. 횡편기(1)는,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2)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needle bed)(3, 4)를 구비하고, 각 니들베드(3, 4)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편침(編針)에 의하여 니트웨어(5) 등의 편성포를 편성한다. 편성된 편성포는, 니들베드갭(2)의 하방에 설치되는 테이크 다운 롤러(take down roller)(6) 등을 포함하는 테이크 다운 장치(take down device)에 의하여 끌어내려진다. 편성포의 편성을 안정하게 계속하기 위해서는, 편성포를 적정한 힘으로 하방으로 끌어내릴 필요가 있다. 니트웨어(5)에서는, 몸통(7)의 양측에 소매(8)를 각각 분리한 통 모양 편성포로서 편성하고, 겨드랑이 하부(10a)에 도달하면 접합하여 하나의 통 모양체를 형성한 후에, 통 모양체의 지름을 축소하도록 편성폭을 좁히는 스티치 이동을 한다. 이러한 스티치 이동을 할 때에는 트랜스퍼(transfer)나 니트편성(knit編成)을 반복하기 때문에, 클리어(clear)나 녹 오버(knock over)를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편성포의 끌어내리기를 적절하게 하는 상태로 하여 둘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1의 도1에 나타나 있는 스웨터에서는, 양측의 소매(8)에 상당하는 부분의 길이가 길어서 몸통(7)에 상당하는 부분의 길이와 동등하기 때문에, 특허문헌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횡편기(1)에 의하여 편성할 때에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소매(8)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소매(8)의 편성을 시작할 때까지 몸통(7)과 병행하여 이음뜨기부(waste course部)(9)를 편성하고, 테이크 다운 롤러(6)에 의한 끌어내리는 힘이 몸통(7)과 동등하게 소매(8)에도 걸리도록 하여 둘 필요가 있다.
국제공개 제01/088243호 일본국 특허공보 특공평3-077298호 공보
도4(b)의 이음뜨기부(9)를 이음뜨기부(9a)로서 나타나도록 짧게 하여 몸통(7)의 편성 도중으로부터 편성을 시작하도록 하는 경우에 편성시작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 이 경우에 도4(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이음뜨기부(9a)의 하단이 테이크 다운 롤러(6)에 걸쳐지지 않은 상태에서 스티치 이동을 하면, 소매(8)의 편성폭의 내측은 접합된 몸통(7)측의 끌어내리기와 함께 끌어내릴 수 있어도, 편성폭의 외측은 끌어내릴 수 없다. 이음뜨기부(9a)가 편성폭의 내측의 몸통(7)측으로 기울어져서 편성폭의 외측에는 끌어내리는 힘이 걸리지 않게 되어 버리면, 편성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안정한 편성을 하기 위해서는, 도4(b)의 이음뜨기부(9b)와 같이 스티치 이동을 할 때에는 테이크 다운 롤러(6)에 걸쳐지는 것과 같은 여유있는 길이로 하여 둘 필요가 있다. 이음뜨기부(9b)의 길이에 여유가 있으면, 외측도 테이크 다운 롤러(6)에 걸쳐지도록 할 수 있다.
스티치 이동을 할 때까지 편성폭의 외측에도 끌어내리는 힘이 걸리도록 하기 위하여 이음뜨기부(9b)를 길게 하면 안정한 편성을 할 수 있지만, 긴 이음뜨기부(9, 9b)는 사용하는 편사의 사용량이 많아지게 되어 생산비용을 상승시켜 버린다. 짧은 이음뜨기부(9a)를 몸통(7)의 편성 도중으로부터 편성을 시작하는 경우에, 횡편기에 의하여 다시 편성시작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테이크 다운 롤러(6)가 대피하는 것과 같은 기술도 제안되어 있지만, 장치가 복잡하게 되어 장치비용을 상승시켜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니트웨어 등의 소매의 길이가 몸통보다 짧은 것과 같은 경우에도 이음뜨기부를 적게 하여 안정한 편성이 가능한, 횡편기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와, 니들베드갭 하방에 배치되고, 편성되어 하측으로 내려가는 편성포를 끌어내리는 테이크 다운 장치(take down device)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에서, 편성을 먼저 시작하는 기본 편성포의 편성의 도중으로부터, 기본 편성포를 편성하고 있는 니들베드의 구간과는 다른 구간을 사용하여 웨일방향의 길이가 기본 편성포보다 짧은 부가 편성포의 편성도 시작하고, 부가 편성포의 하단이 테이크 다운 장치에 도달하기 전에 부가 편성포를 기본 편성포에 접합하고, 또한 접합 후의 편성포에서, 부가 편성포측을 기본 편성포측이 되는 편성폭의 내측으로 이동시켜서 스티치(stitch)를 포개고, 포갠 스티치에 계속되는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하는 것을 반복하여 편성폭을 감소시키는, 횡편기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부가 편성포의 하단에 이음뜨기부(waste course部)를, 부가 편성포를 편성하는 구간의 단부(端部) 중에서 이동하는 방향과는 반대가 되는 편성폭의 외측 단부측이 길어지는 형상이 되도록 형성하여 두고,
스티치 이동을 시작할 때에는, 이음뜨기부의 외측 단부측의 하단을 테이크 다운 장치에 의하여 끌어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횡편기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이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이음뜨기부의 형상은,
상기 부가 편성포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편성폭을 구비하는 광폭부분(廣幅部分)과,
광폭부분의 하단의 상기 외측 단부측에 형성되고, 광폭부분보다 편성폭이 좁은 협폭부분(狹幅部分)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이음뜨기부의 형상은,
상기 광폭부분과 상기 협폭부분이 띠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기본 편성포는, 니트웨어의 몸통이며,
상기 부가 편성포는, 몸통보다 길이가 짧은 소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몸통은, 옷단이 넓어지는 스커트 부분(skirt 部分)과 일체로 계속되는 형상을 구비하여, 상기 스커트 부분의 적어도 하단측을, 상기 짧은 소매의 편성에 사용하는 구간을 포함하는 넓은 범위의 니들베드의 구간을 사용하여 편성하고,
상기 이음뜨기부는, 상기 몸통의 편성에 사용하는 니들베드의 구간의 범위가 감소하여, 상기 이음뜨기부를 편성하기 위한 구간을 포함하지 않게 되고 나서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본 편성포보다 웨일방향의 길이가 짧은 부가 편성포를 기본 편성포에 접합하고, 부가 편성포측을 기본 편성포측으로 이동시켜서 포개면서 스티치를 형성하여 편성폭을 감소시킬 때에, 부가 편성포의 하단에 형성되는 이음뜨기부는, 이동하는 방향과는 반대가 되는 외측 단부측이 길어지는 형상으로 하여 둔다. 이음뜨기부는, 하단이 테이크 다운 장치에 도달하면 하단이 동일하지 않아 외측 단부측을 먼저 테이크 다운 장치에 의하여 끌어내릴 수 있다. 이음뜨기부는 스티치 이동을 할 때까지 외측 단부측의 부분만이 테이크 다운 장치에 걸쳐지도록 하면 좋기 때문에, 이음뜨기부 전체로서는 길이에 여유를 갖게 할 필요는 없게 되어, 외측 단부측만 편성폭을 좁게 하여 필요한 길이로 하여 편사의 사용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음뜨기부는, 편사의 사용량이 적어지더라도 스티치 이동을 할 때에는 편성폭의 외측에 대하여 끌어내리는 힘을 확실하게 작용시킬 수 있어 안정한 편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이음뜨기부는, 부가 편성포의 하단부분의 편성폭에 대응하는 편성폭을 구비하는 광폭부분과, 편성폭이 광폭부분보다 좁은 협폭부분으로 형성된다. 협폭부분은, 광폭부분보다 편사의 사용량을 적게 하고 또한 이동할 때에 부가 편성포를 이동하는 방향과는 반대가 되는 편성폭의 외측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테이크 다운 장치에 걸쳐지도록 함으로써 안정한 편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협폭부분의 끌어내림이 진행되면, 광폭부분이 테이크 다운 장치에 걸쳐지게 되어, 부가 편성포의 하단부분의 전체에 대하여 동일한 끌어내리는 힘을 작용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광폭부분과 협폭부분을 띠 모양으로 형성하면 좋기 때문에, 각각 편성폭을 일정하게 하여 편사의 사용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편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몸통에 대하여 길이가 짧은 반소매 등의 니트웨어의 편성은, 이음뜨기부를 적게 하여 안정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옷단이 넓은 스커트 부분이 일체화된 몸통을 구비하는 니트웨어를, 니들베드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편성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로서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적용하는 니트웨어(10)를 간략화한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횡편기(1)를 간략화한 측면도 및 소매(12)에 형성하는 이음뜨기부(13)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2는, 도1에 나타내는 니트웨어(10)에 형성하는 이음뜨기부(13, 14, 15, 16, 17)의 예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2로서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적용하는 니트웨어(20)를 간략화한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4는, 종래로부터의 횡편기(1)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적용하는 니트웨어(5)를 간략화한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소매(8)에 형성하는 이음뜨기부(9)가 짧은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정면도이다.
이하, 도1∼도3에서 본 발명의 2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각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도4에 관한 것도 포함시켜서 먼저 설명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또한 공통의 사항에 대해서도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 각 도면의 설명에서는, 당해 도면에는 존재하지 않고 먼저 설명하는 도면에는 존재하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1]
도1에 있어서, (a)는 본 발명의 실시예1로서 니트웨어(knitwear)(10)에 본 발명에 의한 편성포의 접합편성방법을 적용하는 상태를 간략화하여 나타내고, (b)는 편성에 사용하는 횡편기(橫編機)(1)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내고, (c)는 이음뜨기부(waste course部)(13)에 의한 접합편성 시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1에서도 니트웨어(10)를, 몸통(11)의 양측에 소매(12)를 각각 분리한 통(筒) 모양 편성포로서 편성하고, 겨드랑이 하부(10a)에 도달하면 접합하여 하나의 통 모양체를 형성한 후에, 통 모양체의 지름을 축소하도록 편성폭을 좁히는 스티치 이동(stitch move)을 한다. 이러한 편성에 의하여 형성되는 니트웨어(10) 자체의 편성은, 도4(b)의 니트웨어(5)와 동일하게 한다.
즉 도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2)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3, 4)와, 니들베드갭(2)의 하방에 배치되며 편성되어 하측으로 내려가는 니트웨어(10)를 끌어내리는 테이크 다운 롤러(take down roller)(6)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1)에 의하여, 먼저 편성을 시작하는 몸통(11)의 편성의 도중으로부터 소매(12)의 편성을 시작한다. 니트웨어(10)의 편성포는, 몸통(11)을 기본 편성포로서 편성하고, 몸통(11)을 편성하고 있는 니들베드(3, 4)의 구간과는 다른 구간을 사용하여 웨일방향(wale方向)의 길이가 몸통(11)보다 짧은 소매(12)를 부가 편성포로서 편성한다. 부가 편성포인 소매(12)의 하단이 테이크 다운 장치(take down device)인 테이크 다운 롤러(6)에 도달하기 전에 부가 편성포인 소매(12)를 기본 편성포인 몸통(11)에 접합하고 또한 접합 후의 편성포인 니트웨어(10)의 편성폭을 감소시키는 스티치 이동을 한다.
실시예1에서는, 소매(12)의 하단에 형성되는 이음뜨기부(13)가 도4(b)의 이음뜨기부(9, 9a, 9b)와는 다르다. 이음뜨기부(13)는, 소매(12)의 하단에, 소매(12)를 편성하는 구간의 단부(端部) 중에서 몸통(11)을 편성하고 있는 구간에 인접하는 내측 단부보다, 이동하는 방향과는 반대가 되는 외측 단부측으로 치우치게 하여 외측 단부측이 길어지게 되는 형상이 되도록 형성하여 둔다. 이음뜨기부(13)의 형상은, 소매(12)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편성폭을 구비하는 광폭부분(廣幅部分)(13b)과, 광폭부분(13b)의 하단의 외측 단부측에 형성되고 광폭부분(13b)보다 편성폭이 좁은 협폭부분(狹幅部分)(13a)을 구비한다. 반소매 등에 있어서 짧은 소매(12)에서는, 소매(12)의 하단으로부터 겨드랑이 하부(10a)까지의 길이가 도1(b)에 나타나 있는 테이크 다운 롤러(6)로부터 니들베드갭(2)까지의 높이(H)에 부족하게 되지만 이음뜨기부(13)를 소매(12)의 하단에 형성하면, 소매(12)에 협폭부분(13a)의 하단까지를 더하면 충분하게 된다.
따라서 스티치 이동을 시작할 때에는, 도1(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음뜨기부(13)의 외측 단부측의 하단을 테이크 다운 롤러(6)에 의하여 끌어내릴 수 있다. 이음뜨기부(13)는, 협폭부분(13a)의 하단이 테이크 다운 롤러(6)에 도달하면 하단이 동일한 것이 아니라 외측 단부측이 길게 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확실하게 테이크 다운 롤러(6)에 걸쳐질 수 있다. 이음뜨기부(13)는, 협폭부분(13a)이 스티치 이동을 할 때까지 테이크 다운 롤러(6)에 걸쳐지도록 하면 좋기 때문에, 웨일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여 예를 들면 도4(b)의 이음뜨기부(9b)와 동일한 정도로 할 수 있다. 협폭부분(13a)에서는 편성폭이 작아지기 때문에, 이음뜨기부(13)에서의 편사의 사용량은 이음뜨기부(9b)보다 적게 할 수 있다. 협폭부분(13a)의 끌어내리기가 진행되면, 광폭부분(13b)이 테이크 다운 롤러(6)에 걸쳐지게 되어 소매(12)의 하단부분의 전체에 대하여 동일한 끌어내리는 힘을 작용시킬 수 있다.
도2는, 도1에 나타내는 니트웨어(10)에 형성되는 이음뜨기부(13)의 형상과는 다른 형상의 이음뜨기부(14, 15, 16, 17)의 예를 나타낸다. 도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협폭부분(13a) 및 광폭부분(13b)은 띠 모양이고, 협폭부분(13a)은 광폭부분(13b)의 하단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다. 광폭부분(13b)의 웨일방향의 길이는, 소매(12)의 편성시작이 안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해진다. 예를 들면 도1(b)에서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지만, 횡편기(1)에는 니들베드갭(2)의 바로 아래에 서브롤러(serve roller)가 구비되어 보조적인 편성포의 끌어내림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에 광폭부분(13b)의 길이는, 광폭부분(13b)의 하단이 서브롤러에 걸쳐지는 상태에서 소매(12)를 편성시작하도록 하면 좋다. 협폭부분(13a)의 길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소매(12)를 겨드랑이 하부(10a)까지 편성하고, 몸통(11)과 접합한 후에 스티치 이동을 할 때까지 테이크 다운 롤러(6)에 걸쳐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부족하게 되는 광폭부분(13b)의 길이를 보충하도록 하면 좋다. 협폭부분(13a)의 코스방향의 스티치의 수는, 여러 개의 스티치 예를 들면 4스티치가 필요하게 된다.
도2(b)에 이음뜨기부(14)로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음뜨기부(13)의 협폭부분(13a)과 마찬가지의 협폭부분(14a)을, 광폭부분(13b)과 마찬가지의 광폭부분(14b)의 하단에서, 외측 단부가 아니라 조금 내측으로 이동시켜서 형성하여도 좋다. 이동시키는 정도는, 예를 들면 협폭부분의 편성폭 정도까지로 한다. 이음뜨기부(13, 14)의 광폭부분(13b, 14b)과 협폭부분(13a, 14a)은, 각각 폭이 서로 다른 띠 모양의 영역으로 되어 나누어진다. 이음뜨기부(13, 14)에서는, 광폭부분(13b, 14b)과 협폭부분(13a, 14a)을 띠 모양으로 형성하면 좋기 때문에, 각각 편성폭을 일정하게 하여 편사의 사용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편성할 수 있다.
또한 도2(c), 도2(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음뜨기부(15, 16)를, 광폭부분(13b)과 마찬가지의 광폭부분(15b, 16b)과, 편성폭이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협폭부분(15a, 16a)을 합한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도2(e)에 나타나 있는 이음뜨기부(17)에서는, 띠 모양의 협폭부분(17a)과, 광폭부분(13b)과 마찬가지의 광폭부분(17b)과의 사이에 편성폭이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중간부분(17c)을 형성하고, 협폭부분(17a)과 중간부분(17c)의 길이를 협폭부분(13a)에 대응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이음뜨기부(14, 15, 16, 17)는, 이음뜨기부(13)와 마찬가지로 편사의 사용량이 적어지더라도 스티치 이동을 할 때에는, 편성폭의 외측에 대하여 끌어내리는 힘을 확실하게 작용시킬 수 있어 안정한 편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1의 니트웨어(10)에서는, 소매(12)가 몸통(11)에 대하여 길이가 짧은 반소매 등이지만, 몸통(11)의 하부에 스커트(skirt)나 팬츠(pants)를 일체화하는 경우에 긴 소매이더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 몸통(11)은, 스웨터 등과 같은 코스방향으로 주회(周回)하도록 편성하는 통 모양 편성포가 아니라, 카디건(cardigan)과 같은 코스방향의 일부가 절단되어 있고 절단부의 양단 사이를 왕복하는 C자 모양의 편성포이더라도 좋다. 또한 기본 편성포나 부가 편성포는, 전후의 니들베드(3, 4)에 의하여 2층으로 형성되는 통 모양 편성포에 한정되지 않고 단층(單層)의 편성포이더라도 좋다. 또한 기본 편성포인 몸통(11)의 양측에 부가 편성포인 소매(12)를 형성하여 접합하고 있지만, 기본 편성포의 한쪽에만 부가 편성포를 형성하고 접합하여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2]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2로서의 편성포의 접합편성방법을 적용하는 니트웨어(20)를 간략화한 구성을 나타낸다. 편성포인 니트웨어(20)의 기본 편성포가 되는 몸통(21)은, 옷단이 넓어지는 스커트 부분(skirt 部分)(21a)과 일체로 계속되는 형상을 구비한다. 스커트 부분(21a)의 적어도 하단측은, 몸통(21)에 비하면 짧은 소매(22)의 편성에 사용하는 구간을 포함하는, 넓은 범위의 니들베드(3, 4)의 구간이 되는 범위(W)를 사용하여 편성한다. 이음뜨기부(13)는, 몸통(21)의 편성 도중으로부터, 스커트 부분의 편성에 사용하는 니들베드 구간의 범위(W)의 내측에서 편성을 시작한다. 부가 편성포가 되는 소매(22)는, 이음뜨기부(13)에 계속되는 커프스(cuffs)(22a)로부터 편성을 시작하여, 몸통(21)을 겨드랑이 하부(2lb)까지 편성할 때까지 병행하여 편성한 후에 몸통(21)에 접합한다. 접합 후에는 편성폭을 감소시키는 스티치 이동을 하면서, 어깨(22b)를 포함하여 일체화된 몸통을 형성한다. 이음뜨기부(13)는, 스티치 이동을 할 때에 테이크 다운 롤러(6)에 협폭부분(13a)의 하단이 걸쳐지도록 형성하여 둔다.
소매(22)나 이음뜨기부(13)의 편성에 사용하는 니들베드(3, 4)의 구간은, 범위(W)에 포함되지만 협폭부분(13a)의 편성을 시작할 때에는 몸통(21)의 편성폭이 감소되고 있어, 몸통(21)의 편성에 사용하는 구간과는 다른 구간을 사용하여 편성할 수 있다. 도4(b)에 나타나 있는 이음뜨기부(9)를 사용하는 경우에 소매(8)나 이음뜨기부(9)는, 도3의 범위(W)보다 편성폭의 외측 구간에서 편성할 필요가 있다. 범위(W)가 니들베드(3, 4)의 길이 내이더라도 비율이 커서 범위(W)의 양측에 이음뜨기부(9)를 편성하는 구간을 형성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음뜨기부(9)를 편성할 수 없다.
실시예2에서는, 몸통(21)의 편성에 사용하는 니들베드(3, 4)의 구간 범위가 감소하여 이음뜨기부(13)를 편성하기 위한 구간을 포함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이음뜨기부(13) 및 소매(22)를 편성한다. 이에 따라 니들베드(3, 4)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넓은 옷단의 스커트 부분(21a)을 포함하는 니트웨어(20)를 편성할 수 있다.
또 이음뜨기부(13)는, 스커트 부분(21a)의 하단에 형성되는 이음뜨기부(23)에 편성하여 둔 편사(24)를 사용하여, 편사(24)가 이음뜨기부(23)에 연결되는 상태에서 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음뜨기부(23)가 테이크 다운 롤러(6)에 의하여 끌어내려지면, 편사(24)가 끌어내려져서 편사(24)가 연결되는 이음뜨기부(13)의 협폭부분(13a)도 확실하게 테이크 다운 롤러(6)에 걸쳐지도록 안내된다.
또한 이음뜨기부(13)로서는, 도2에 나타내는 것 이외의 형상의 이음뜨기부(14, 15, 16, 17)이더라도 마찬가지로 니트웨어(20)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옷단이 넓어진 스커트 부분(21a)이 일체화된 몸통(21)을 구비하는 니트웨어(20)의 편성은, 소매(22)의 편성을 스커트 부분(21a)의 편성에 사용하는 니들베드(3, 4)의 구간의 내측에서 뒤에서부터 시작하도록 하더라도 길이에 여유를 갖게 한 이음뜨기부와 비교하여, 이음뜨기부(13, 14, 15, 16, 17)에서의 편사의 사용량을 적게 하여 안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기본 편성포의 하단에 형성되는 이음뜨기부에 편성된 편사에 의하여 부가 편성포에 형성되는 이음뜨기부를 편성하고, 기본 편성포의 하단과 부가 편성포의 하단의 이음뜨기부를 편사에 의하여 연결하여 두는 것은, 실시예1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 횡편기
2 : 니들베드갭
3, 4 : 니들베드
6 : 테이크 다운 롤러
10, 20 : 니트웨어
11, 21 : 몸통
12, 22 : 소매
13, 14, 15, 16, 17, 23 : 이음뜨기부
13a, 14a, 15a, 16a, 17a : 협폭부분
13b, 14b, 15b, 16b, 17b : 광폭부분
17c : 중간부분
21a : 스커트 부분
24 : 편사

Claims (5)

  1.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와, 니들베드갭 하방에 배치되고, 편성되어 하측으로 내려가는 편성포를 끌어내리는 테이크 다운 장치(take down device)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에서, 편성을 먼저 시작하는 기본 편성포의 편성의 도중으로부터, 기본 편성포를 편성하고 있는 니들베드의 구간과는 다른 구간을 사용하여 웨일방향의 길이가 기본 편성포보다 짧은 부가 편성포의 편성도 시작하고, 부가 편성포의 하단이 테이크 다운 장치에 도달하기 전에 부가 편성포를 기본 편성포에 접합하고, 또한 접합 후의 편성포에서, 부가 편성포측을 기본 편성포측이 되는 편성폭의 내측으로 이동시켜서 스티치(stitch)를 포개고, 포갠 스티치에 계속되는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하는 것을 반복하여 편성폭을 감소시키는, 횡편기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부가 편성포의 하단에 이음뜨기부(waste course部)를, 부가 편성포를 편성하는 구간의 단부(端部) 중에서 이동하는 방향과는 반대가 되는 편성폭의 외측 단부측이 길어지는 형상이 되도록 형성하여 두고,
    스티치 이동을 시작할 때에는, 이음뜨기부의 외측 단부측의 하단을 테이크 다운 장치에 의하여 끌어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뜨기부의 형상은,
    상기 부가 편성포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편성폭을 구비하는 광폭부분(廣幅部分)과,
    광폭부분의 하단의 상기 외측 단부측에 형성되고, 광폭부분보다 편성폭이 좁은 협폭부분(狹幅部分)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뜨기부의 형상은,
    상기 광폭부분과 상기 협폭부분이 띠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편성포는, 니트웨어의 몸통이며,
    상기 부가 편성포는, 몸통보다 길이가 짧은 소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은, 옷단이 넓어지는 스커트 부분(skirt 部分)과 일체로 계속되는 형상을 구비하여, 상기 스커트 부분의 적어도 하단측을, 상기 짧은 소매의 편성에 사용하는 구간을 포함하는 넓은 범위의 니들베드의 구간을 사용하여 편성하고,
    상기 이음뜨기부는, 상기 몸통의 편성에 사용하는 니들베드의 구간의 범위가 감소하여, 상기 이음뜨기부를 편성하기 위한 구간을 포함하지 않게 되고 나서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20130019622A 2012-03-23 2013-02-25 횡편기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384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68224 2012-03-23
JP2012068224A JP5865748B2 (ja) 2012-03-23 2012-03-23 横編機による編地の編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115A true KR20130108115A (ko) 2013-10-02
KR101384194B1 KR101384194B1 (ko) 2014-04-10

Family

ID=48044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622A KR101384194B1 (ko) 2012-03-23 2013-02-25 횡편기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642005B1 (ko)
JP (1) JP5865748B2 (ko)
KR (1) KR101384194B1 (ko)
CN (1) CN1033209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63658A (ja) * 2015-03-06 2016-09-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ウェア
CN106192173A (zh) * 2015-04-15 2016-12-07 刘正福 辅料组织结构的编织方法
CN110042546B (zh) * 2019-05-06 2020-10-09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全成型前后变化收针的编织方法及其成型织物
CN111621913B (zh) * 2020-06-06 2021-08-10 针知运纺织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夹底的平拷方法
CN113818131B (zh) * 2021-10-23 2023-01-31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改善全成型灯笼袖袖口不平的编织方法及针织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4646B4 (de) * 1997-02-07 2005-02-03 H. Stoll Gmbh &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it Ärmeln versehenen Kleidungsstückes auf einer Zweibett-Flachstrickmaschine
JP3968079B2 (ja) * 2001-10-05 2007-08-2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マチの形成方法およびマチが形成されてなるニットウエア
JP4344210B2 (ja) * 2003-10-08 2009-10-1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ラグラン袖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およびラグラン袖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
GB0519837D0 (en) 2005-09-29 2005-11-09 Smartlife Technology Ltd Knitting techniques
EP1801275B1 (de) * 2005-12-20 2015-10-21 H. Stoll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it Ärmeln versehenen Kleidungsstücks
EP1918438B1 (de) * 2006-10-26 2010-04-14 H. Stoll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lauch-Rund-Fertiggestricks in Plattiertechnik
JP5032872B2 (ja) * 2007-03-29 2012-09-2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横編された編地
DE102010012310B4 (de) * 2010-03-23 2013-08-01 H. Stoll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lauch-Rund-Fertiggestric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4194B1 (ko) 2014-04-10
JP5865748B2 (ja) 2016-02-17
CN103320952A (zh) 2013-09-25
EP2642005A1 (en) 2013-09-25
EP2642005B1 (en) 2015-06-17
JP2013199716A (ja) 2013-10-03
CN103320952B (zh)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194B1 (ko) 횡편기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
EP1842948B1 (en) Method for knitting double tubular fabric
KR101201238B1 (ko) 횡편기로 편성되는 니트웨어 및 그 편성방법
EP1990452B1 (en)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US6766666B2 (en) Method of knitting neck portion of knit wear by flat knitting machine and the knit wear
JP4852092B2 (ja) 増し目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編地の編幅方向端部よりも内側に増し目が形成されている編地
JP5567565B2 (ja) 袖と身頃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EP1482080B1 (en)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EP1367162A1 (en) Method of linking tubular knitted fabrics together and knitted fabric therefor
EP2385160A2 (en) Knitting method of tubular knitted fabric, and tubular knitted fabric
JP2010053490A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と編地
JP2015010284A (ja) ポケット付編地の編成方法
KR100937018B1 (ko) 앞깃(前衿)을 가진 니트웨어의 편성방법 및 앞깃을 가진 니트웨어
KR101356985B1 (ko) 편성포의 편성시작 방법, 및 편성포
US20070017256A1 (en) Knitting method of forming drape around collar and knitwear having drape around collar
KR20200102368A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JP4814078B2 (ja) 編地の端部を伏せ目処理する方法および伏せ目処理された編地
JP7233205B2 (ja) 編地の編成方法、及び編地
JP2010037701A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EP2281933B1 (en)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with overlapped stitches, and knitted fabric
JP7357506B2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