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7675A -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 - Google Patents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7675A
KR20130107675A KR1020120029635A KR20120029635A KR20130107675A KR 20130107675 A KR20130107675 A KR 20130107675A KR 1020120029635 A KR1020120029635 A KR 1020120029635A KR 20120029635 A KR20120029635 A KR 20120029635A KR 20130107675 A KR20130107675 A KR 20130107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door trim
inside door
parts
mood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8671B1 (ko
Inventor
송준수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9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671B1/ko
Publication of KR20130107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33Seats; Arm rests; Head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은, 차량의 주변환경이 어두울 때 인사이드 도어 트림 내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 중 일부를 자체 발광시켜 식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식별력을 높이고자 하는 일부의 부품에 이엘 시트(EL(Electro Luminiscence) shee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주변환경이 어두울 때에도 식별될 필요성이 있는 인사이드 도어 트림 내에 장착되는 부품을 사용자가 더욱 쉽게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은은하게 발광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미관 감성품질에도 부합할 수 있는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 {INSIDE DOOR TRIM INSTALLED MOOD ILLUMINATION PARTS USING EL SHEET}
본 발명은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변환경이 어두울 때에도 식별될 필요성이 있는 인사이드 도어 트림 내에 장착되는 부품을 사용자가 더욱 쉽게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은은하게 발광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미관 감성품질에도 부합할 수 있는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 차량은 빠른 운송수단의 일종으로만 여겨졌으며 차량을 생산하는 업체도 한정적이었기에, 차량의 내관에 대한 미려감은 크게 고려되지 않았다. 그러나 오늘날 차량은 운송수단으로서의 역할을 넘어서 사용자의 지위, 개성을 표현하는 물품의 일종으로도 여겨지고 있으며 차량을 생산하는 업체도 계속하여 증가하여 경쟁적인 시장이 형성되고 있어, 차량의 내관에 대한 미려감에 많은 관심이 생겨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차량의 내관은 점차 사용자가 원하는 미관 감성품질을 만족할 정도의 미려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개량되는데, 특히 사용자가 차량에 승차하거나 하차할 때 바라보게 되는 인사이드 도어 트림은 내관에 대한 미려감을 결정하는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더욱 많은 관심이 생겨나고 있는 부분이라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더욱 많은 관심이 생겨나고 있는 인사이드 도어 트림은 미려감이 부여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다양한 형상이 개발되고 있는데, 인사이드 도어 트림에 대한 형상은 야간이거나 날씨가 매우 흐릴 때와 같이 차량의 주변환경이 어두울 경우에는 식별력이 떨어지는바, 미려감은 커녕 사용자에게 오히려 불편함을 가져다 주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아래 제시한 특허문헌과 같은 종래기술은 인사이드 도어 트림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 중 일부에 인접하여 별도의 조명을 구비하여 식별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미려감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야간이거나 날씨가 매우 흐릴 때와 같이 차량의 주변환경이 어두울 경우에 사용자가 핸들 유닛(10)을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동시에 핸들 유닛(10)이 갖는 미려감을 인식할 수 있게 핸들 유닛(10) 상측에 조명(12)을 구비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조명(1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눈부심 현상을 가져다 준다는 점에서 야간 시인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조명(12)으로 인한 번잡함 때문에 예상한 것보다 핸들 유닛(10)의 미려감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다른 구조의 인사이드 도어 트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39687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주변환경이 어두울 때에도 식별될 필요성이 있는 인사이드 도어 트림 내에 장착되는 부품을 사용자가 더욱 쉽게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은은하게 발광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미관 감성품질에도 부합할 수 있는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주변환경이 어두울 때 인사이드 도어 트림 내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 중 일부를 자체 발광시켜 식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식별력을 높이고자 하는 일부의 부품에 이엘 시트(EL(Electro Luminiscence) shee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식별력을 높이고자 하는 일부의 부품은, 외형을 구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표면에 부착되는 이엘 시트; 및 상기 이엘 시트의 표면에 코팅되는 반투명 코팅층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엘 시트는, 상기 바디의 표면과 상기 이엘 시트 사이에 유격간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표면이 갖는 굴곡에 대응하여 곡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엘 시트는, 상기 바디의 표면과 접하는 일면이 절연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엘 시트는, 운행 중에 도어를 개폐하는 핸들 유닛이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자동으로 록킹시키는 오토 록킹 시스템(auto locking system)이 해제되어 핸들 유닛이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될 때 발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엘 시트는, 상기 식별력을 높이고자 하는 일부의 부품과 무관하게 별도로 마련된 스위치가 온(ON)이 될 때 발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엘 시트는, 상기 식별력을 높이고자 하는 일부의 부품에 인접하여 마련된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발광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반투명 코팅층은, 상기 이엘 시트의 표면에 알루미늄으로 진공 증착됨으로써 상기 이엘 시트의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별력을 높이고자 하는 일부의 부품은, 도어를 개폐하는 핸들 유닛 주위에 장착되어 인사이드 도어 트림 내에 상기 핸들유닛의 경계를 결정하는 가니쉬(garnish)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력을 높이고자 하는 일부의 부품은, 차량 내부를 향하는 상기 인사이드 도어 트림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인사이드 도어 트림의 일면과 평행하게 고리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도어를 한 손으로 당겨 폐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사이드 그립(side grip)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주변환경이 어두울 때에도 식별될 필요성이 있는 인사이드 도어 트림 내에 장착되는 부품을 사용자가 더욱 쉽게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은은하게 발광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미관 감성품질에도 부합할 수 있는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인사이드 도어 트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Ⅰ-Ⅰ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Ⅱ-Ⅱ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Ⅰ-Ⅰ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Ⅱ-Ⅱ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의 일 실시예는, 차량의 주변환경이 어두울 때 인사이드 도어 트림(1) 내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 중 일부를 자체 발광시켜 식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식별력을 높이고자 하는 일부의 부품에 이엘 시트(EL(Electro Luminiscence) sheet; 도 3 및 도 4에서 B)를 포함한다.
이때, 이엘 시트(B)는 평면 발광 램프체의 일종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분산형 교류 구동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음극층(b)과 양극층(d)을 통해 형광층(c)에 교류전압을 인가하면 고전계에 의해 전자가 여기(excitation)되어 터널링(tunnelling)되면서 형광층(c)을 발광하며, 이로 인해 차량의 주변환경이 어두울 때 식별력을 높이고자 하는 일부의 부품은 발광하게 된다.
이러한 이엘 시트(B)는 색의 선명도가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다른 광원들에 비하여 주파수가 높은 단파장의 광원이므로, 눈의 피로감이 없는 온화한(mild) 빛을 방출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엘 시트(B)는 무게도 매우 가볍고 제조물 자체의 부피가 크지 않아 이동이 쉬울 뿐만 아니라, 특히 두께가 얇으면서도 조명 평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서 설치부피 및 설치공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이엘 시트(B)가 갖는 고유의 이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큰 역할을 하는데, 이에 대하여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할 때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차량의 주변환경이 어두울 때 식별력을 높이고자 하는 일부의 부품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니쉬(garnish, 100)와 사이드 그립(side grip, 200)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가니쉬(100)는 도어를 개폐하는 핸들 유닛(10) 주위에 장착되어 인사이드 도어 트림(1) 내에 핸들 유닛(10)의 경계를 결정하는 부품을 말한다. 또한, 사이드 그립(200)은 차량 내부를 향하는 인사이드 도어 트림(1)의 일면으로부터 인사이드 도어 트림(1)의 일면과 평행하게 고리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탑승자가 도어를 한 손으로 당겨 폐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부품을 말한다.
이러한 가니쉬(100) 또는 사이드 그립(200)은, 야간이거나 날씨가 매우 흐릴 때와 같이 차량의 주변환경이 어두울 경우 식별력을 높일 수 있게 자체 발광시키도록 다음과 같이 이엘 시트(B)를 포함한다.
즉, 가니쉬(100) 또는 사이드 그립(200) 각각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body, A)와, 이엘 시트(B) 및 반투명 코팅층(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바디(A)는 가니쉬(100) 또는 사이드 그립(200)의 외형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바디(A)는 이엘 시트(B) 및 반투명 코팅층(C)이 차지하는 두께를 고려하여 종래의 가니쉬 또는 사이드 그립과 두께만 달리하여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다. 만약, 기존에 제작되었던 가니쉬 또는 사이드 그립을 이용한다면, 가니쉬 또는 사이드 그립의 외형이 변화되지 않은 한도 내에서 적절히 표면을 깍아 바디(A)를 구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이엘 시트(B)는 바디(A)의 표면에 부착되어 발광을 하는 구성요소로 앞서 간략하게 설명한바 있다. 그러나 이엘 시트(B)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단순하게 이용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청구된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은 다양한 구체적인 기술적 특징들을 반영될 수 있다.
먼저, 이엘 시트(B)는, 바디(A)의 표면과 이엘 시트(B) 사이에 유격간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바디(A)의 표면이 갖는 굴곡에 대응하여 곡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대부분의 이엘 시트(B)의 경우 전기적인 흐름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평면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이를 단순히 이용한다면 가니쉬(100) 또는 사이드 그립(200)이 갖는 3차원 자유곡면의 바디(A)의 표면에 부착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유격간격을 없게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이엘 시트(B)는 바디(A)의 표면이 갖는 굴곡에 대응하여 곡면의 형태로 별도로 제작하거나, 바디(A)의 표면에 음극층(b), 형광층(c), 양극층(d), 기판(e)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바디(A)의 표면이 갖는 굴곡에 대응하여 곡면의 형태가 자연스레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바디(A)의 표면과 이엘 시트(B) 사이에 유격간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엘 시트(B)는 바디(A)의 표면과 접하는 일면이 절연층(a)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바디(A)의 표면이 갖는 굴곡에 대응하는 곡면의 형태로 형성된 이엘 시트(B)가 바디(A)에 부착된다고 하더라도 부착제 또는 부착방법의 한계로 인해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유격간격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미세한 유격간격으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 이엘 시트(B)에 하자가 발생될 수 있는바, 물의 유입으로 인한 이엘 시트(B)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 역할을 하기 위함이다.
즉, 이엘 시트(B)를 형광층(c)에 반대되는 음극층(b)의 일면이 방수와 무관하게 기판(e)과 유사한 재질로 구성하여도 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고려하여 보면 비가 올 때 도어를 열게 될 경우 유입될 수 있는 물을 방수할 필요성도 있으므로 형광층(c)에 반대되는 음극층(b)의 일면에 절연층(a)이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와 같은 절연층(a)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A)의 표면에 음극층(b), 형광층(c), 양극층(d)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이엘 시트(B)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음극층(b), 형광층(c), 양극층(d), 기판(e)을 먼저 적층하여 하나의 모듈을 만들어 두고, 상기 모듈에 있어서의 음극층(b)을 절연 도장 또는 절연 코팅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연층(a)은 형성된 상기 모듈이 바디(A)의 표면에 부착되면,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절연층(a), 음극층(b), 형광층(c), 양극층(d), 기판(e)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로 이엘 시트(B)가 바디(A) 표면에 부착되는 것이 완성된다.
한편, 이엘 시트(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고려하여 항상 발광하거나 무작위로 발광하도록 구성되지는 않는다. 이는 후술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서도 다시 설명하겠지만, 차량의 수명과 이엘 시트(B)의 수명을 어느 정도 일치시켜 사용자가 차량을 이용하는 중에 인사이드 도어 트림(1)을 교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엘 시트(B)는 이하 설명하는 경우와 같이 정해진 사항에 따라 일시적으로 발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먼저, 이엘 시트(B)는, 운행 중에 핸들 유닛(10)이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자동으로 록킹시키는 오토 록킹 시스템(auto locking system, 미도시)이 해제되어 핸들 유닛(10)이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될 때 발광될 수 있다.
일례로, 차량 운전자가 야간에 차량을 정차 또는 주차한 이후 하차하기 위해 오토 록킹 시스템을 해제하는 버튼을 누르게 되면, 음극층(b)과 양극층(d)에 교류전류가 공급되면서 이엘 시트(B)는 발광하게 되어, 차량 운전자가 하차할 때 (가니쉬(100)를 통해) 핸들 유닛(10)이나 사이드 그립(200)이 어디에 있음을 식별하기 좋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엘 시트(B)는, 식별력을 높이고자 하는 일부의 부품인 가니쉬(100) 또는 사이드 그립(200)과 무관하게 별도로 마련된 스위치가 온(ON)이 될 때 발광될 수 있다.
일례로, 차량 운전자가 야간에 차량을 정차 또는 주차하여 탑승자를 승차 또는 하차시키고자 하는 경우, 스티어링 휠(미도시)에 마련된 스위치를 온(ON)시키면, 음극층(b)과 양극층(d)에 교류전류가 공급되면서 이엘 시트(B)는 발광하게 되어, 탑승자가 승차 또는 하차할 때 (가니쉬(100)를 통해) 핸들 유닛(10)이나 사이드 그립(200)이 어디에 있음을 식별하기 좋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엘 시트(B)는, 식별력을 높이고자 하는 일부의 부품인 가니쉬(100) 또는 사이드 그립(200)에 인접하여 마련된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발광될 수 있다.
일례로, 차량 운전자가 야간에 차량을 정차 또는 주차한 이후 하차하기 위해 인사이드 도어 트림(1)으로 손을 가져가면, 가니쉬(100) 또는 사이드 그립(200)에 인접하여 마련된 이동 감지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음극층(b)과 양극층(d)에 교류전류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이엘 시트(B)가 발광하게 되어, 차량 운전자가 하차할 때 (가니쉬(100)를 통해) 핸들 유닛(10)이나 사이드 그립(200)이 어디에 있음을 식별하기 좋도록 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차량의 내부 밝기를 자동으로 판별하고 차량 내부 조도가 미리 결정된 범위 이하인 경우에 이엘 시트(B)가 발광하는 것과 같이 차량 운전자나 탑승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조건에 따라 이엘 시트(B)는 적절하게 발광될 수 있다.
한편, 반투명 코팅층(C)은 이엘 시트(B)의 표면에 알루미늄으로 진공 증착됨으로써 이엘 시트(B) 표면에 코팅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반투명 코팅층(C)을 포함하는 이유는 식별력을 높이고자 하는 일부의 부품인 가니쉬(100) 또는 사이드 그립(200)을 알루미늄 하프미러 증착된 무드조명부품으로 만들기 위함이다. 즉, 이엘 시트(B)에서 발광되는 빛을 더욱 은은하고 온화하게 함으로써, 가니쉬(100) 또는 사이드 그립(200)에 대해 사용자가 원하는 미관 감성품질에 부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반투명 코팅층(C)은 바디(A)에 이엘 시트(B)를 부착한 이후에 기판(e) 위에 코팅할 수도 있으나, 제작과정을 고려할 때 바디(A)에 이엘 시트(B)가 부착되기 이전에 기판(e) 위에 먼저 코팅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의 일 실시예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의 일 실시예는, 식별력을 높이고자 하는 일부의 부품인 가니쉬(100) 또는 사이드 그립(200)에 포함된 이엘 시트(B)를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조건에 맞추어 발광시킴으로써 작동된다.
이때,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조건이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토 록킹 시스템이 해제되는 경우, 별도로 마련된 스위치가 온(ON)되는 경우, 가니쉬(100) 또는 사이드 그립(200)에 인접하여 마련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손이 가까이 할 것임을 감지하는 경우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조건에 맞추어 이엘 시트(B)를 발광시키는 이유는 차량의 수명과 인사이드 도어 트림(1)의 수명을 대략적으로 일치시키기 위함이다.
일례로, 보통의 승용차의 수명이 50,000시간임을 감안할 때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조건이 발생될 시간은 시뮬레이션하여 보면 대략적으로 10,000시간 정도되는데, 이엘 시트(B)의 수명 역시 대략적으로 10,000시간 정도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다면, 사용자는 차량을 이용하는 중에 인사이드 도어 트림(1)을 교체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한편, 다양한 조건에 맞추어 이엘 시트(B)가 발광되는데 있어서, 부품(A)과 이엘 시트(B) 사이에 물이 유입되면, 이엘 시트(B)의 전기적 특성상 더 이상 발광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부품(A)과 이엘 시트(B) 사이에는 유격간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이엘 시트(B)를 곡면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이엘 시트(B)에 절연층(a)이 추가됨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다양한 조건에 맞추어 이엘 시트(B)가 발광될 때, 사용자가 원하는 미관 감성품질에 부합시키기 위해서, 이엘 시트(B)의 기판(e)에 알루미늄으로 진공 증착함으로써 이엘 시트(B) 표면에 반투명 코팅층(C)이 코팅되도록 함으로써, 이엘 시트(B)에서 발광되는 빛을 더욱 은은하고 온화하게 할 수 있는 것 역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의 주변환경이 어두울 때에도 식별될 필요성이 있는 인사이드 도어 트림(1) 내에 장착되는 부품(가니쉬(100) 또는 사이드 그립(200))을 사용자가 더욱 쉽게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은은하게 발광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미관 감성품질에도 부합시킬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도어 트림 10 : 핸들 유닛
12 : 조명 20 : 그루브 그립
100 : 가니쉬 200 : 사이드 그립
A : 부품 B : 이엘 시트
a : 절연층 b : 음극층
c : 형광층 d : 양극층
e : 기판 C : 코팅층

Claims (10)

  1. 차량의 주변환경이 어두울 때 인사이드 도어 트림 내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 중 일부를 자체 발광시켜 식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식별력을 높이고자 하는 일부의 부품에 이엘 시트(EL(Electro Luminiscence) shee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력을 높이고자 하는 일부의 부품은,
    외형을 구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표면에 부착되는 이엘 시트; 및
    상기 이엘 시트의 표면에 코팅되는 반투명 코팅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엘 시트는,
    상기 바디의 표면과 상기 이엘 시트 사이에 유격간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표면이 갖는 굴곡에 대응하여 곡면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엘 시트는,
    상기 바디의 표면과 접하는 일면이 절연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엘 시트는,
    운행 중에 도어를 개폐하는 핸들 유닛이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자동으로 록킹시키는 오토 록킹 시스템(auto locking system)이 해제되어 핸들 유닛이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될 때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엘 시트는,
    상기 식별력을 높이고자 하는 일부의 부품과 무관하게 별도로 마련된 스위치가 온(ON)이 될 때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엘 시트는,
    상기 식별력을 높이고자 하는 일부의 부품에 인접하여 마련된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명 코팅층은,
    상기 이엘 시트의 표면에 알루미늄으로 진공 증착됨으로써 상기 이엘 시트의 표면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력을 높이고자 하는 일부의 부품은,
    도어를 개폐하는 핸들 유닛 주위에 장착되어 인사이드 도어 트림 내에 상기 핸들유닛의 경계를 결정하는 가니쉬(garnis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력을 높이고자 하는 일부의 부품은,
    차량 내부를 향하는 상기 인사이드 도어 트림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인사이드 도어 트림의 일면과 평행하게 고리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도어를 한 손으로 당겨 폐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사이드 그립(side gri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
KR1020120029635A 2012-03-23 2012-03-23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 KR101348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635A KR101348671B1 (ko) 2012-03-23 2012-03-23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635A KR101348671B1 (ko) 2012-03-23 2012-03-23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675A true KR20130107675A (ko) 2013-10-02
KR101348671B1 KR101348671B1 (ko) 2014-01-10

Family

ID=49630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635A KR101348671B1 (ko) 2012-03-23 2012-03-23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6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987B1 (ko) * 2020-09-24 2021-12-2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내부에 적용되는 인테리어용 발광필름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8906A (ko) 2021-10-25 2023-05-03 주식회사 서연이화 도어트림 무드조명 측정용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872A (ja) * 1996-06-26 1998-01-13 Nissha Printing Co Ltd 照明機能を具備した装飾具
JP4994539B2 (ja) * 2001-06-29 2012-08-08 株式会社槌屋 積層構造体
KR100773325B1 (ko) * 2006-10-13 2007-11-05 주식회사 에이앤피 테크 자동차용 도어 스커프의 제조방법
KR20100048945A (ko) * 2008-10-31 2010-05-11 이정철 금속 박막이 증착된 발광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987B1 (ko) * 2020-09-24 2021-12-2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내부에 적용되는 인테리어용 발광필름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671B1 (ko) 201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1708B2 (en) Illuminated exterior strip
US9573517B2 (en) Door illumination and warning system
CN204750069U (zh) 隐藏式汽车发光水箱罩
US9810401B2 (en) Luminescent trim light assembly
KR102134708B1 (ko) 조명가능한 복합 판유리
JP2008070697A (ja) 表示装置
CN104937328A (zh) 车辆用灯结构
US20150298603A1 (en) Printed led storage compartment
JP6755246B2 (ja) 自動車室内用照明装置
KR101348671B1 (ko)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
CN109204121A (zh) 照明装饰件
JP2014129098A (ja) 車両室内照明装置
JP2005134789A (ja) 装飾部材
RU2721445C2 (ru) Встречающее/провожающее освещение на основе напечатанного светодиода на основе красителя на основе рилена
RU2682327C2 (ru) Фотолюминесцентная лампа для футляра
JP5521789B2 (ja) 車両室内照明装置
JP6623721B2 (ja) 車両用照明構造
KR101070975B1 (ko) 차량용 엘이디 조명장치
JP6072263B2 (ja) 車両の加飾構造
CN201580341U (zh) 发光的车辆用侧裙
CN108349433A (zh) 车辆的照明模块
CN203727291U (zh) 自发光式汽车内饰件
CN211139205U (zh) 一种汽车发光车标
KR200282487Y1 (ko) 와이퍼
CN107923589A (zh) 用于车辆大灯的光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