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987B1 - 차량의 내부에 적용되는 인테리어용 발광필름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의 내부에 적용되는 인테리어용 발광필름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987B1
KR102340987B1 KR1020200123953A KR20200123953A KR102340987B1 KR 102340987 B1 KR102340987 B1 KR 102340987B1 KR 1020200123953 A KR1020200123953 A KR 1020200123953A KR 20200123953 A KR20200123953 A KR 20200123953A KR 102340987 B1 KR102340987 B1 KR 102340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film
fabric
ligh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00123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9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a change in orientation, a movement or an accel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e.g. a tilt swi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차량의 내부에 적용되는 인테리어용 발광필름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내장재에 감싸지는 원단에 부착되는 발광필름 유닛에 있어서, 빛을 발산하며, 상기 원단에 부착되는 발광필름;과 상기 발광필름의 밝기 및 색상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발광필름과 상기 원단의 사이에 배치되어 각각을 부착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필름은, 탄성 재질의 하부필름;과 상기 하부필름의 상단에 배치되어 원하는 색상 및 밝기의 빛을 발산하는 발광층;과 상기 발광층에서 발산된 빛을 고르게 분산되게 하는 분산층; 및 상기 분산층의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접촉하는 상부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원단과 상기 하부필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원단의 표면 요철을 커버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프라이머; 및 상기 프라이머와 상기 하부필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필름을 상기 원단에 접착시키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발광필름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내부에 적용되는 인테리어용 발광필름 유닛{INTERIOR LUMINOUS FILM UNIT A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에 적용되는 인테리어용 발광필름 유닛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의 발전 및 고급화에 따라 자동차 내부공간의 안락함과 고급화를 위한 다양한 소재 및 부품에 대한 연구개발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렇듯 차량 내부 공간의 고급화를 위한 종래의 방식으로는, 가죽을 이용하여 좌석 시트, 대시보드, 도어트림 및 콘솔박스 등의 표면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감싸는 방식이 있다. 또한, 근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조명장치를 차량의 내외부에 일부 배치하여 차량 내부 공간의 고급화 및 무드 연출을 구현하고 있다.
종래의 차량에 적용된 조명장치를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의 (a)는 도어트림에 전장품 형태로 적용된 조명을 도시하고, 도 1의 (b)는 종래의 발광시트가 적용된 도어포켓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a)의 경우, 특정 차종의 한 부품에만 적용이 가능한 단점이 있다. 도 1의 (b)의 경우, 소자 및 전극이 발광 시트 전체에 배치되어 굴곡이 과다한 부분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전장품에 적용하는 방식 및 일반적인 시트 방식의 차량용 조명의 경우, 기술적인 제한 및 비용이 부가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의 내부에 적용되는 인테리어용 발광필름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내장재에 감싸지는 원단에 부착되는 발광필름 유닛에 있어서, 빛을 발산하며, 상기 원단에 부착되는 발광필름;과 상기 발광필름의 밝기 및 색상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발광필름과 상기 원단의 사이에 배치되어 각각을 부착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필름은, 탄성 재질의 하부필름;과 상기 하부필름의 상단에 배치되어 원하는 색상 및 밝기의 빛을 발산하는 발광층;과 상기 발광층에서 발산된 빛을 고르게 분산되게 하는 분산층; 및 상기 분산층의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접촉하는 상부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원단과 상기 하부필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원단의 표면 요철을 커버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프라이머; 및 상기 프라이머와 상기 하부필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필름을 상기 원단에 접착시키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발광필름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필름 유닛은 굴곡이 큰 내장재에도 유연하게 부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또한, 발광필름 유닛은 발광 색상 및 밝기의 조정이 가능하여 차량의 감성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입력단자를 휴대폰 및 차량의 컨트롤패널에 무선 연결하여 세부적인 발광 내용의 조정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센서부에 의해 차량의 조도 및 속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세부적인 발광 내용의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부필름은 특정 형상의 패턴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접촉하였을 때, 미끄럼 방지 및 감성적인 촉감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에 적용된 조명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필름 유닛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부 필름 및 발광층의 변형예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발광필름 유닛의 발광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발광필름 유닛이 차량의 도어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발광필름 유닛을 내장재에 부착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필름 유닛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발광필름 유닛(100)은 차량의 내장재(10)를 감싸는 원단(11)에 부착될 수 있다. 발광필름 유닛(100)은 발광필름(110), 제어부(120) 및 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필름 유닛(100)은 제어부(120)에 의해 밝기 및 색상이 조절될 수 있다. 고정부(130)에 의해 발광필름 유닛(100)이 원단(11)에 부착되며, 발광필름 유닛(100)이 부착된 원단(11)이 내장재(10)에 감싸기 공법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발광필름 유닛(100)은 발광필름(110)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필름(110)은 하부필름(111), 발광층(112), 분산층(113) 및 상부필름(114)이 적층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필름(110)은 차량의 내장재(10)에 부착되어 차량의 내부에 조명 효과를 주어 감성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발광필름(110)은 원단(11)과 동일 또는 유사한 탄성율 및 연신율을 갖도록 제작하여, 원단(11)에 발광필름(110)을 부착 후 내장재(10)에 감싸기 공법 등을 적용하여 용이하게 발광필름(110)을 내장재(10)에 적용시킬 수 있다.
발광필름(110)은 하부필름(111)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필름(111)은 탄성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부필름(111)은 하부필름(111)이 부착될 원단(11)과 동일 또는 유사한 탄성율 및 연신율을 갖는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발광필름(110)을 원단(11)에 부착 후 내장재(10)에 발광필름(110)이 부착된 원단(11)을 감싸기 공법으로 부착하기 때문에, 원단(11)과 발광필름(110)의 탄성율 및 연신율을 동일하게 형성하여야 감싸기 공법 적용 시 파단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하부필름(111)의 상단에는 후술할 발광층(112)이 배치될 수 있다.
발광필름(110)은 발광층(112)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112)은 직접적으로 발광되는 층을 의미한다. 발광층(112)은 탄성율 및 연신율이 상대적으로 하부필름(111)보다 낮기 때문에 발광층(112)이 배치되는 위치의 하부필름(111)은 발광층(112)과 동일 또는 유사한 탄성율 및 연신율을 가질 수 있다. 즉, 발광층(112)이 배치되는 하부필름(111)에는 낮은 탄성율 및 연신율을 가지며, 발광층(112)이 배치되지 않는 하부필름(111)에는 원단(11)과 동일한 높은 탄성율 및 연신율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하부필름(111)은 원단(11)에 부착될 시, 발광층(112)이 배치된 부분은 신축량이 적고, 발광층(112)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은 신축되어 내장재(10)에 맞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부 필름 및 발광층의 변형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광층(112)은 발광모듈(112a) 및 전극(112b)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모듈(112a)은 직접적으로 발광되는 모듈을 의미한다. 예컨대, 발광모듈(112a)은 LED가 적용될 수 있다. 발광모듈(112a)의 일측에는 전극(112b)이 연결될 수 있다. 전극(112b)은 일측이 발광모듈(112a)과 연결되고, 타측은 후술할 입력단자(121)와 연장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단자(121)의 신호를 발광모듈(112a)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의 (a), (b), (c)는 발광모듈(112a)과 전극(112b)이 특유한 패턴으로 배치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발광모듈(112a)은 하부필름(111)의 상면에 각각 소정 정도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의 (a)에서의 발광모듈(112a)은 하부필름(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전극(112b)은 발광모듈(112a)로부터 가장 가까운 하부필름(111)의 모서리까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패턴으로 발광모듈(112a) 및 전극(112b)이 배치되는 경우, 발광모듈(112a) 및 전극(112b)이 하부필름(111)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대적으로 하부필름(111)의 중심부는 여분의 공간이 남아 탄성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패턴의 발광모듈(112a)과 전극(112b)의 배열은 중심부가 집중적으로 탄성변형이 필요한 형상의 내장재(10)에 부착되기 위해서 적용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내측의 발광모듈(112a)과 외측의 발광모듈(112a)이 서로 전극(112b)으로 연결되고, 외측의 발광모듈(112a)은 타측으로 하부필름(111)의 모서리까지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패턴의 발광모듈(112a)과 전극(112b)의 배열은 좌우방향으로 집중적으로 탄성변형이 필요한 형상의 내장재(10)에 부착되기 위해서 적용될 수 있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외측의 발광모듈(112a)에 다수 개의 내측 발광모듈(112a)이 전극(112b)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수 개의 내측 발광모듈(112a)이 연결된 외측의 발광모듈(112a)은 타측으로 하부필름(111)의 모서리까지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패턴의 발광모듈(112a)과 전극(112b)의 배열은 가장자리가 집중적으로 탄성변형이 필요한 형상의 내장재(10)에 부착되기 위해서 적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하부필름(111)의 모서리까지 연장된 전극(112b)들은 후술할 입력단자(121)까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112b)은 입력단자(121)에서 보낸 신호를 발광모듈(112a)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발광필름(110)은 분산층(113)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산층(113)은 발광층(112)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분산층(113)은 원단(11)과 동일 또는 유사한 탄성율 및 연신율을 갖는 탄성 재질일 수 있다. 분산층(113)은 발광층(112)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발광필름(110) 전체 영역으로 골고루 퍼져 보이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분산층(113)은 반투명 소재일 수 있다.
발광필름(110)은 상부필름(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필름(114)은 분산층(113)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발광필름(110)의 최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필름(114)은 원단(11)과 동일 또는 유사한 탄성율 및 연신율을 갖는 탄성 재질일 수 있다. 상부필름(114)은 사용자가 직접 접촉하게 되는 부분으로, 촉감이 좋은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부필름(114)은 투명 또는 유색의 소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부필름(114)은 방수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열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발광필름 유닛의 발광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필름(114)은 패턴(114-1) 및 발광영역(114-2)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114-1)은 상부필름(114)의 표면에 돌출 또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필름(114)은 발광필름(110)의 최상단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접촉하게 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표면에 패턴(114-1)을 포함하여 미끄럼 방지 및 좋은 촉감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패턴(114-1)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가죽 패턴 또는 빗살 무늬, 도트 무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부필름(114)은 발광영역(114-2)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영역(114-2)은 상부필름(114)의 전체 부분이 발광되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영역에 발광될 수 있도록 불투명한 소재로 구획되는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캐릭터 문양, 별 문양, 글자 및 숫자 문양 등으로 구획될 수 있다. 발광되는 부분은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이며, 발광되지 않는 부분은 어두운 색상으로 구획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발광필름 유닛(100)은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발광필름(110)의 발광 밝기 및 색상 등에 대한 조정을 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입력단자(121) 및 센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입력단자(121)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단자(121)는 발광층(112)과 연결되어 발광 여부, 밝기 및 색상을 조정할 수 있는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입력단자(121)는 무선 연결 기능을 포함하여 휴대폰 또는 차량의 컨트롤 박스와 연동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블루투스 연결 등을 통해 휴대폰 및 차량의 컨트롤 박스에서 발광층(112)이 발산하는 빛의 전원, 밝기 및 색상의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어부(120)는 발광층(112)의 전극(112b)과 연결되어 발광모듈(112a)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패턴으로 발광층(112)의 빛의 색상 및 밝기를 지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센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22)는 차량 내부의 환경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발광층(112)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로 조작하지 않아도 센서부(122)에 의해 발광층(112)의 작동이 조정될 수 있다.
센서부(122)는 속도감지센서(122-1) 및 조도감지센서(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속도감지센서(122-1)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발광층(112)의 빛의 동작, 밝기 및 색상의 조정이 가능하다. 속도감지센서(122-1)는 입력단자(121)에 배치되어, 속도감지센서(122-1)가 입력단자(121)로 신호를 보내 발광층(112)의 작동을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광층(112)이 발광하는 빛의 색상을 무지개 색 순서로 변경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차량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광층(112)이 발광하는 빛의 밝기를 낮은 상태에서 점점 높은 상태로 변경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밝기 및 색상으로 지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속도계를 통해 속도를 감지하는 것보다 발광필름(110)의 밝기를 조정하는 것을 통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속도를 체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조도감지센서(122-2)는 상부필름(114)에 배치되어 차량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다. 조도감지센서(122-2)는 차량 내부의 조도가 설정 값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연결된 입력단자(121)로 신호를 보내 발광층(112)이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시동의 꺼짐 및 켜짐을 감지하는 센서를 부착하여, 시동이 꺼지거나 켜질 때 발광층(112)의 발광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인체감지센서를 부착하여, 사용자가 착석하는 자리에 발광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발광필름 유닛(100)은 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30)는 발광필름(110)을 원단(11)에 부착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고정부(130)는 프라이머(131) 및 접착제(13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라이머(131)는 원단(11)의 표면 요철을 커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프라이머(131)는 후술할 접착제(132)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접착제(132)는 프라이머(131)의 상단에 배치되며, 접착제(132)의 상단에는 발광필름(110)이 부착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발광필름 유닛을 내장재에 부착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발광필름 유닛(100)의 장착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발광필름(110)을 부착하고자 하는 원단(11)의 표면에 프라이머(131)를 도포한다(S-1). 프라이머(131)가 경화되고 나면, 프라이머(131)의 표면에 접착제(132)를 도포한다(S-2). 접착제(132)가 도포된 원단(11)의 표면에 발광필름(110)을 부착한다(S-3). 발광필름(110)이 부착된 원단(11)으로 내장재(10)를 감싸기 공법을 이용하여 부착한다(S-4). 발광필름(110)이 부착된 원단(11)으로 감싸기 된 내장재(10)를 차체에 부착한다(S-5). 위와 같은 과정으로 발광필름 유닛(100)을 내장재(10)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발광필름 유닛(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원단(11)에 고정부(130)인 프라이머(131) 및 접착제(132)가 도포되고, 발광필름(110)이 부착된다. 발광필름(110)이 부착된 원단(11)은 내장재(10)에 감싸기 공법으로 적용된다. 발광필름(110)은 원단(11)과 동일한 탄성율 및 연신율을 갖도록 제작되어 내장재(10)에 원단(11)과 같이 탄성변형되어 부착될 수 있다. 발광필름(110)에는 제어부(120)가 연결되어 입력단자(121) 및 센서부(122)가 부착된다.
입력단자(121)는 버튼이 포함되어, 입력단자(121)의 버튼을 누르는 방식으로 발광층(112)의 작동, 밝기 및 색상의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입력단자(121)에 무선 연결 기능을 포함하여 입력단자(121)를 휴대폰 및 차량의 컨트롤박스와 연결하여, 휴대폰 및 차량의 컨트롤 박스에서 발광층(112)의 작동, 밝기 및 색상의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속도감지센서(122-1) 및 조도감지센서(122-2)가 적용되어, 속도의 변화에 따라 발광층(112)의 세부적인 작동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조도감지센서(122-2)에 의해 차량의 내부 조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자동으로 발광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발광필름 유닛(100)은, 차량에 감성적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필름 유닛은 굴곡이 큰 내장재에도 유연하게 부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발광필름 유닛은 탄성 재질의 하부필름 상단에 발광층이 배치되어, 굴곡이 큰 내장재에도 유연하게 부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때, 발광층의 발광모듈 및 전극은 하부필름의 전체를 감싸는 구조가 아닌, 하부필름이 신축되기 위한 부분을 남겨두고 배치되어 발광필름 유닛이 유연하게 내장재에 부착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발광필름 유닛이 차량의 도어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발광필름(110)은 탄성력을 포함하고 있어, 여러 내장재에 범용으로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즉, 도 5의 (a), (b), (c)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내장재에 적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필름 유닛은 발광 색상 및 밝기의 조정이 가능하여 차량의 감성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입력단자를 휴대폰 및 차량의 컨트롤패널에 무선 연결하여 세부적인 발광 내용의 조정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센서부에 의해 차량의 조도 및 속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세부적인 발광 내용의 조정이 가능하다. 차량 내부의 밝기가 설정 밝기보다 낮아지는 경우, 조도감지센서에 의해 발광필름이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속도에 따라 발광 필름의 색상 및 밝기를 조정하여 운전자가 계기판을 읽는 것보다 더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속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부필름은 특정 형상의 패턴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접촉하였을 때, 미끄럼 방지 및 감성적인 촉감을 유도할 수 있다. 상부필름에는 가죽, 빗살 및 도트문양과 같은 반복적인 패턴을 돌출 또는 오목 형성할 수 있다. 상부필름은 원단을 모두 커버하며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느끼기에 부드러우면서도 미끄럽지 않은 촉감을 가져야 한다. 또한, 반복적인 마찰로 상부필름이 손상 시 상부 필름만 떼어 교체하는 방식으로 교체가 간편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내장재 11: 원단
100: 발광필름 유닛 110: 발광필름
111: 하부필름 112: 발광층
112a: 발광모듈 112b: 전극
113: 분산층 114: 상부필름
114-1: 패턴 114-2: 발광영역
120: 제어부 121: 입력단자
122: 센서부 122-1: 속도감지센서
122-2: 조도감지센서 130: 고정부
131: 프라이머 132: 접착제

Claims (7)

  1. 차량의 내장재(10)에 감싸지는 원단(11)에 부착되는 발광필름 유닛(100)에 있어서,
    빛을 발산하며, 상기 원단(11)에 부착되는 발광필름(110);
    상기 발광필름(110)의 밝기 및 색상을 제어하는 제어부(120); 및
    상기 발광필름(110)과 상기 원단(11)의 사이에 배치되어 각각을 부착시키는 고정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필름(110)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원단(11)과 동일 또는 유사한 탄성율 및 연신율을 가져, 상기 원단(11)에 부착된 후 상기 내장재(10)에 상기 원단(11)을 감싸기 공법으로 제작가능한 하부필름(111);
    상기 하부필름(111)의 상단에 배치되어 원하는 색상 및 밝기의 빛을 발산하는 발광층(112);
    상기 발광층(112)에서 발산된 빛을 고르게 분산되게 하는 분산층(113); 및
    상기 분산층(113)의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접촉하는 상부필름(114);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130)는,
    상기 원단(11)과 상기 하부필름(111)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원단(11)의 표면 요철을 커버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프라이머(131); 및
    상기 프라이머(131)와 상기 하부필름(111)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필름(111)을 상기 원단(11)에 접착시키는 접착제(132);를 포함하는, 발광필름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필름(114)은,
    돌기, 돌출부 또는 오목 홈이 반복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패턴(114-1); 및
    특정 형상으로 구획되어 소정 문양의 형태로 발광하는 발광영역(114-2);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형상은, 캐릭터 문양, 별 문양, 글자 문양, 또는 숫자 문양을 포함하는, 발광필름 유닛.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발광층(112)과 연결되어 상기 발광층(112)이 발광하는 빛의 동작, 색상 및 밝기를 조정할 수 있는 입력단자(121); 및
    상기 발광필름(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차량의 내부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층(112)의 발광 밝기 및 색상을 조절하는 센서부(122);를 포함하는, 발광필름 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112)은,
    빛을 발산하는 발광모듈(112a); 및
    상기 발광모듈(112a)과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입력단자(121)와 연결되어 상기 입력단자(121)로부터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발광모듈(112a)로 전달되는 전극(112b);을 포함하는, 발광필름 유닛.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121)는,
    무선연결 기능을 포함하여, 차량의 컨트롤패널 또는 휴대폰과 연동하여 무선으로 상기 발광필름(110)의 동작, 밝기 및 색상의 조정이 가능한, 발광필름 유닛.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22)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속도에 따라 상기 발광층(112)의 발광 색상 또는 밝기가 달라지는 속도감지센서(122-1); 및
    일측이 상기 상부필름(114)에 부착되고 타측은 상기 입력단자(121)와 연결되어, 차량 내부의 조도를 감지하여 상기 차량 내부가 일정 조도 이하에서는 상기 발광층(112)이 발광하는 조도감지센서(122-2);를 포함하는, 발광필름 유닛.
KR1020200123953A 2020-09-24 2020-09-24 차량의 내부에 적용되는 인테리어용 발광필름 유닛 KR102340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953A KR102340987B1 (ko) 2020-09-24 2020-09-24 차량의 내부에 적용되는 인테리어용 발광필름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953A KR102340987B1 (ko) 2020-09-24 2020-09-24 차량의 내부에 적용되는 인테리어용 발광필름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987B1 true KR102340987B1 (ko) 2021-12-21

Family

ID=7916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953A KR102340987B1 (ko) 2020-09-24 2020-09-24 차량의 내부에 적용되는 인테리어용 발광필름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9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7675A (ko) * 2012-03-23 2013-10-02 덕양산업 주식회사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
KR20180053328A (ko) * 2015-09-11 2018-05-21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차량용 발광 글레이징 유닛 및 그의 제조
KR20180094265A (ko) * 2017-02-15 2018-08-23 주종현 천공부를 가지는 광확산 가요성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7675A (ko) * 2012-03-23 2013-10-02 덕양산업 주식회사 이엘 시트를 이용한 무드조명부품이 장착된 인사이드 도어 트림
KR20180053328A (ko) * 2015-09-11 2018-05-21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차량용 발광 글레이징 유닛 및 그의 제조
KR20180094265A (ko) * 2017-02-15 2018-08-23 주종현 천공부를 가지는 광확산 가요성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73488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及びダッシュボード用のスマート機能性皮革
JP6878625B2 (ja) スマート機能性皮革の製造方法
JP6878692B2 (ja) ポータブル電子デバイスを充電するためのスマート機能性皮革
KR100386743B1 (ko) 조광식스위치
JP4218660B2 (ja) 車両用スイッチ装置
US20150298607A1 (en) Vehicle lighting apparatus with multizone proximity control
US10043440B2 (en) Interior design element with integrated screen
KR101305808B1 (ko) 자동차용 유기 el 라이트 장치
KR101519757B1 (ko) 차량 무드등 및 이를 이용한 조명 방법
US9193301B2 (en) Vehicle reading lamp with low intensity light setting
US10098198B2 (en) Interior ambient and task light bars
US9263208B2 (en) Tactile-surface control module,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CN105398375A (zh) 具有多区域接近控制的车辆照明装置
US10134309B2 (en) Decorative device
JP2019040802A (ja) 車両用スイッチ装置
RU2017104836A (ru) Отображающий экран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отображающая панель отделк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тображающей панели, способ калибровки отображающего экрана и способ подсветки отображающего экрана
CN111516617A (zh) 用于车辆内饰的触控模块及包括该触控模块的内饰和车辆
KR102340987B1 (ko) 차량의 내부에 적용되는 인테리어용 발광필름 유닛
JP2008071630A (ja) 操作装置
CN108506886A (zh) 照明装置以及移动体
US20090173605A1 (en) Keycap for guiding light laterally and keypad panel having the same
WO2017177463A1 (zh) 一种发光装置
KR102124731B1 (ko) 대시보드용 발광커버
JP2013016437A (ja) 車両用操作装置
JP2018052224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