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5044A -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5044A
KR20130105044A KR1020120027141A KR20120027141A KR20130105044A KR 20130105044 A KR20130105044 A KR 20130105044A KR 1020120027141 A KR1020120027141 A KR 1020120027141A KR 20120027141 A KR20120027141 A KR 20120027141A KR 20130105044 A KR20130105044 A KR 20130105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virtual
touch pad
entir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옥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7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5044A/ko
Priority to US13/838,384 priority patent/US20130241829A1/en
Publication of KR20130105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0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1Cursor retrieval aid, i.e. visual aspect modification, blinking, colour changes, enlargement or other visual cues, for helping user do find the cursor in graphical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전체 화면에 오버레이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터치 패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터치 패드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전체 화면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METHOD FOR USER INTERFACE IN TOUCH SCREEN TERMINAL AND THEREOF APPARATUS}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화면상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이동 통신 단말기(셀룰러폰), 전자수첩, 개인 복합 단말기 등.의 휴대용 단말기는 현대 사회의 필수품이 되어가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 전달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 GUI) 기반 하에 터치 스크린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편의성을 추구하고 있다. 게다가, 터치 스크린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더 큰 터치스크린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그러나, 터치 스크린이 점점 커지는 가운데 사용자는 큰 화면상의 여러 위치를 손가락으로 터치하는데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예컨대, 터치 스크린 단말기를 한 손으로 들고 이 손의 엄지를 이용하여 터치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엄지가 닿을 수 없는 위치를 터치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 상의 위치를 용이하게 지정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 스크린의 전체 화면에 오버레이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터치 패드를 제공하고, 상기 가상 터치 패드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전체 화면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 스크린에서 자유롭게 움직여서 버튼을 누르거나 범위를 지정하기 위한 포인터(pointer)를 제어하는 것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터치 패드를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오버레이 방식으로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견지로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전체 화면에 오버레이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터치 패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터치 패드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전체 화면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 견지로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터치에 따른 입력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출력 신호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부와,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과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제어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터치 스크린부로부터 해당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부의 전체 화면에 오버레이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터치 패드를 제공하고, 상기 가상 터치 패드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터치 이벤트에 따른 정보를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부의 전체 화면을 통하여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는 터치 스크린상의 위치를 용이하게 지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절차의 순서도 및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화면상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터치 스크린의 전체 화면에 오버레이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터치 패드를 제공하고, 상기 가상 터치 패드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전체 화면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터치 스크린에서 자유롭게 움직여서 버튼을 누르거나 범위를 지정하기 위한 포인터(pointer)를 제어하는 것을 허용하는 가상 터치 패드를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오버레이 방식으로 제공한다. 상기 가상 터치 패드는 상기 터치 스크린보다 사이즈가 작아 터치 스크린상의 위치를 지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는 제어부(11)와, 터치 스크린부와(12) 및 저장부(13)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부(12)는 사용자 터치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11)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11)의 제어하에 출력 신호를 영상으로 출력한다.
상기 저장부(13)는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과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제어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부(12)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상기 저장부(13)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수행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터치 스크린부(12)의 화면에서 자유롭게 움직여서 버튼을 누르거나 범위를 지정하기 위한 포인터(pointer)를 제어하는 것을 허용하는 가상 터치 패드를 오버레이 방식으로 제공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상기 가상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포인터를 이동시키고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가상 터치 패드의 위치 또는 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허용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자신에게 유리하게 상기 터치 패드의 크기 및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어부(11)의 제어하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원활하게 수행하게끔 하는 통신부, 소리를 처리하는 오디오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1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절차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01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전체 화면에 오버레이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터치 패드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가상 터치 패드의 투명 정도를 설정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허용한다. 게다가,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가상 터치 패드의 개수 또는 위치 또는 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허용한다. 도 3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묘사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기정의된 버튼을 누르거나 더블 탭과 같은 터치 이벤트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가상 터치 패드의 범위를 변경할 수 있는데, 예컨대, 상기 가상 터치 패드의 꼭지점을 터치 드래그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가상 터치 패드의 범위는 조절된다. 게다가,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가상 터치 패드의 모양을 선택할 수 있는데, 예컨대, 메뉴에서 해당 모양의 가상 터치 패드를 선택할 수 있다. 게다가, 도 4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가상 터치 패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d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여러 개의 상기 가상 터치 패드들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음, 203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가상 터치 패드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전체 화면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묘사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가상 터치 패드(51, 61)에서 발생하는 터치점에 상응하는 상기 전체 화면상의 위치를 지정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1)는 전체 화면상의 위치를 지정하는 포인터(pointer)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가상 터치 패드(51, 61)에서 발생한 터치 드래그에 상응하게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상 터치 패드(51)는 상기 전체 화면(52)을 소정 배율로 축소한 크기를 가진다.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가상 터치 패드(51)에서 발생하는 터치점 또는 터치 드래그에 상응하는 상기 전체 화면(52)상의 위치를 상기 축소 배율을 참조하여 지정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패드(61)에서 터치 드래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터치 드래그의 경로를 그대로 따라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킨다.
도 7을 참조하면, 아이콘 위에 상기 포인터가 위치하고 사용자가 상기 가상 터치 패드에서 롱 터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아이콘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대상으로 결정한다. 상기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방법은 상기 도 5 또는 도 6의 실시 예를 따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아이콘 위에 상기 포인터가 위치하고 사용자가 상기 터치 패드에서 더블 탭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아이콘에 대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게다가, 이동시키거나 선택하고자 하는 아이콘이 상기 가상 터치 패드를 통해 내비치는 경우이더라도, 사용자는 상기 도 5 또는 도 6의 실시 예를 따라 상기 포인터를 해당 아이콘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도 7 또는 도 8의 실시 예를 따라 해당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여러 개의 가상 터치 패드들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도 5 또는 도 6의 실시 예를 따라 상기 포인터를 해당 아이콘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도 7 또는 도 8의 실시 예에 따라 해당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화면의 왼쪽에 놓인 가상 터치 패드를 왼손으로 조작하고 화면의 오른쪽에 놓인 가상 터치 패드를 오른손으로 조작하여,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터치 패드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전체 화면을 통한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는 다양하다. 예컨대, 상기 터치 패드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전체 화면의 내용을 이전 또는 다음 내용을 전환하거나, 상기 전체 화면의 내용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실시가 있다.
게다가,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터치 패드 밖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무시할 수도 있는데, 이는 터치 패드 밖의 영역에서 원치않는 터치 이벤트로 인하여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전체 화면에서 허용하는 모든 터치 이벤트를 상기 터치 패드에 적용할 수 있는데, 상기 터치 이벤트는 터치 드래그(touch drag), 터치 플리킹(touch flicking), 싱글 탭(single tab), 더블 탭(double tab) 및 멀티 터치(multi touch)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및/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발명의 청구항 및/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에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전자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휴대용 전자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6)

  1.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전체 화면에 오버레이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터치 패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터치 패드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전체 화면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화면에 오버레이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의 터치 패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터치 패드를 불투명하게 또는 반투명하게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전체 화면에 오버레이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터치 패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터치 패드의 개수 또는 위치 또는 범위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터치 패드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전체 화면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터치 패드에서 발생하는 터치점에 상응하는 상기 전체 화면상의 위치를 지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터치 패드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전체 화면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화면상의 위치를 지정하는 포인터(pointer)를 제공하고,
    상기 가상 터치 패드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동작, 상기 포인터에 놓인 상기 전체 화면상의 객체를 이동시키는 동작 및 상기 포인터에 놓인 아이콘 또는 버튼에 대한 기능을 제공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전체 화면을 통하여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터치 패드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전체 화면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화면의 내용을 이전 또는 다음 내용으로 전환하는 동작 및 상기 전체 화면의 내용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터치 패드 밖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는,
    터치 드래그(touch drag), 터치 플리킹(touch flicking), 싱글 탭(single tab), 더블 탭(double tab) 및 멀티 터치(multi touch)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9.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터치에 따른 입력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출력 신호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부;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과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제어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터치 스크린부로부터 해당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부의 전체 화면에 오버레이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터치 패드를 제공하고, 상기 가상 터치 패드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터치 이벤트에 따른 정보를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부의 전체 화면을 통하여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드를 불투명하게 또는 반투명하게 표시하는 것을 허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드의 개수 또는 위치 또는 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허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터치 패드에서 발생하는 터치점에 상응하는 상기 전체 화면상의 위치를 지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체 화면상의 위치를 지정하는 포인터(pointer)를 제공하고,
    상기 가상 터치 패드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동작, 상기 포인터에 놓인 상기 전체 화면상의 객체를 이동시키는 동작 및 상기 포인터에 놓인 아이콘 또는 버튼에 대한 기능을 제공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전체 화면을 통하여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터치 패드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전체 화면의 내용을 이전 또는 다음 내용으로 전환하는 동작 및 상기 전체 화면의 내용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터치 패드 밖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무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는,
    터치 드래그(touch drag), 터치 플리킹(touch flicking), 싱글 탭(single tab), 더블 탭(double tab) 및 멀티 터치(multi touch)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120027141A 2012-03-16 2012-03-16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KR2013010504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141A KR20130105044A (ko) 2012-03-16 2012-03-16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US13/838,384 US20130241829A1 (en) 2012-03-16 2013-03-15 User interface method of touch screen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141A KR20130105044A (ko) 2012-03-16 2012-03-16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044A true KR20130105044A (ko) 2013-09-25

Family

ID=49157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141A KR20130105044A (ko) 2012-03-16 2012-03-16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241829A1 (ko)
KR (1) KR201301050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272A (ko) * 2014-05-27 2015-12-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 및 방법
US11119601B2 (en) 2017-03-29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reen output method using extern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81378A (zh) * 2013-07-05 2015-01-1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移动装置单手掌控处理方法及系统
KR102009279B1 (ko) * 2013-09-13 2019-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6031080B2 (ja) * 2013-11-29 2016-11-24 株式会社 ハイディープHiDeep Inc. 仮想タッチパッド操作方法及びこれを行う端末機
KR102160105B1 (ko) * 2014-10-15 2020-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6060501A1 (en) 2014-10-15 2016-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CN104898953B (zh) * 2015-06-16 2016-10-26 深圳市腾讯计算机系统有限公司 基于触控屏的操控方法和装置
US10168895B2 (en) * 2015-08-04 2019-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put control on a touch-sensitive surface
US20170060398A1 (en) * 2015-09-02 2017-03-02 Sap Se Dynamic display of user interface elements in hand-held devices
CN108355348B (zh) 2015-10-10 2021-01-26 腾讯科技(成都)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CN106354418B (zh) * 2016-11-16 2019-07-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基于触摸屏的操控方法和装置
CN106598228B (zh) * 2016-11-23 2019-01-18 南昌世弘高科技有限公司 Vr环境下的物体视觉定位操控方法
CN107837529B (zh) 2017-11-15 2019-08-27 腾讯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对象选择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USD947219S1 (en) * 2019-09-12 2022-03-29 Lenovo (Beijing)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1530075B (zh) 2020-04-20 2022-04-0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环境的画面显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1589136B (zh) * 2020-04-29 2021-10-2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对象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1722781A (zh) * 2020-06-22 2020-09-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智能交互方法及设备、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945B1 (ko) * 2004-12-03 2007-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패드 입력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US8754855B2 (en) * 2008-06-27 2014-06-17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touchpad
US9213477B2 (en) * 2009-04-07 2015-12-15 Tara Chand Singhal Apparatus and method for touch screen user interface for handheld electric devices part II
JP4846857B2 (ja) * 2010-03-03 2011-12-28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及び入力制御方法
US9465457B2 (en) * 2010-08-30 2016-10-11 Vmware, Inc. Multi-touch interface gestures for keyboard and/or mouse inputs
US8115749B1 (en) * 2010-12-05 2012-02-14 Dilluvah Corp. Dual touch pad interface
US9250738B2 (en) * 2011-02-22 2016-0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ssigning the position of a touchpad device
JP2013015890A (ja) * 2011-06-30 2013-01-24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20130106704A1 (en) * 2011-10-26 2013-05-02 Yael Vidal Laptop comput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272A (ko) * 2014-05-27 2015-12-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 및 방법
US11119601B2 (en) 2017-03-29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reen output method using extern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US11669190B2 (en) 2017-03-29 2023-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reen output method using extern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US11747933B2 (en) 2017-03-29 2023-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reen output method using extern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41829A1 (en) 201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5044A (ko)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EP3557399B1 (en) Input and output method in touch screen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US9639238B2 (en) Modification of a characteristic of a user interface object
AU2014287956B2 (en) Method for display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201566B2 (en) Presentation of image on display screen with combination crop and rotation and with auto-resizing of crop field
KR102132390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70076357A (ko) 사용자 단말 장치, 이의 스피커 장치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모드 전환 방법 및 음향 시스템
KR20150040246A (ko) 멀티 윈도우 동작을 위한 제스처
KR20140136500A (ko) 터치 스크린 호버 입력 핸들링
US20120017171A1 (en) Interface display adjustment method and touch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10430071B2 (en) Operation of a computing device functionality based on a determination of input means
KR20170008878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타일의 의미 스케일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KR20130095478A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20140019678A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140082434A (ko) 전자장치에서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JP5906344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表示方法
JP6175375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019127B2 (en) Remote display area including input lenses each depicting a region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JP697771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321035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84459B2 (ja) 端末装置
KR102097696B1 (ko) 터치 기능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619438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表示方法
JP6434339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