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272A -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6272A
KR20150136272A KR1020140063504A KR20140063504A KR20150136272A KR 20150136272 A KR20150136272 A KR 20150136272A KR 1020140063504 A KR1020140063504 A KR 1020140063504A KR 20140063504 A KR20140063504 A KR 20140063504A KR 20150136272 A KR20150136272 A KR 20150136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ouch screen
screen
pad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9599B1 (ko
Inventor
장석원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3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599B1/ko
Publication of KR20150136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또는 현금 입출금기 등의 다양한 키오스크 장치에 터치스크린,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받는 터치패드 및 상기 터치패드로 입력되는 상기 터치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를 위치시키며,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메뉴 위에 위치한 경우 상기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를 상기 터치패드로 입력받아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 및 방법{ADDITIONAL INPUT APPARATUS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키오스크(kiosk) 장치에 채용되어, 터치스크린에서의 포인터 이동이나 메뉴 선택을 제어할 수 있는 부가적인 입력장치 또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오스크 장치란 정보서비스와 업무의 무인자동화를 위하여 대중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 장소에 설치된 무인단말기를 가리키며, 멀티미디어 스테이션(multimedia station) 또는 셀프서비스 스테이션(self service station)이라고 지칭되기도 한다.
이러한 키오스크 장치에는 예를 들면, 이미지를 편집하고 인화할 수 있는 무인 사진인화 장치, 놀이동산이나 영화관 등에서의 티켓발매용 무인 단말장치, 쇼핑몰에서 고객들에게 객장을 안내하기 위한 객장 안내용 무인 단말장치, 박람회나 학술회의장소에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용 무인 단말장치 또는 현금을 입출금하기 위한 현금자동 입출금용 무인 단말장치 등이 있다. 또한, 지하철역 등에 설치되어 광고 기능 및 인터넷 정보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이하 디지털 사이니지로 지칭함) 등도 이러한 키오스크 장치의 예로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키오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 편의성과 표시된 정보의 인식성 향상을 위하여 대화면 터치스크린을 채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대화면 터치스크린은 정상 체형의 사용자만을 고려한 높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키가 작은 사람이나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 등은, 대화면 터치스크린을 채용하고 있는 현금 자동 입출금기 등의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할 경우, 이러한 대화면 터치스크린의 높은 부분까지 직접적으로 터치하여 조작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10-2012-0003798호(공개일자 2012년 01월 11일)
본 발명에서는 대화면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는 키오스크 장치에서 키가 작은 사람이나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 등도 용이하게 포인터를 이동시키거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로서, 터치스크린,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받는 터치패드 및 상기 터치패드로 입력되는 상기 터치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를 위치시키며,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메뉴 위에 위치한 경우 상기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를 상기 터치패드로 입력받아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는, 상기 터치패드로 입력되는 상기 터치에 대한, 상기 터치패드 상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상기 포인터에 대한 위치정보를 입력받는 위치 터치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메뉴를 선택하는 터치를 입력받는 선택 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 내부 또는 외부의 하측부 일정영역에 상기 터치스크린 보다 작은 크기의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 외부의 하측부 일정영역에 상기 터치스크린보다 작은 크기의 하드타입 터치 패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 내부 또는 외부에 터치키 또는 하드키로 구현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패드를 활성화시키는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특정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키에는 상기 터치스크린이 상기 터치패드로 제어 가능함을 알리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키에는 장애인 마크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써,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 내부 또는 외부의 일정 영역에 구현된 특정키를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을 터치패드로 제어하기 위한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터치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드로 입력되는 터치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메뉴 위에 위치한 경우 상기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를 상기 터치패드로 입력받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인터를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터치패드로 입력되는 터치에 대한, 상기 터치패드 상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터치스크린상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상기 터치스크린상의 위치에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키를 통해 상기 활성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 내부 또는 외부의 하측부 일정영역에 상기 터치패드를 터치스크린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는, 상기 터치스크린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키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 내부 또는 외부의 일정 영역에 터치키 또는 하드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키에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상기 터치패드를 이용해서 제어 가능하다는 정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화면 터치스크린을 채용한 키오스크 장치에서, 대화면 터치스크린의 하부 영역에 위치된 터치패드를 조작함으로써 터치스크린에서의 포인터 이동이나 메뉴 선택 등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키가 작은 사람이나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 등도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다양한 기능을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가 적용된 현금 자동 입출금기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금융거래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제어용 터치패드가 구현된 금융거래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가 적용된 현금 자동 입출금기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제어의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로서 터치패드가 적용된 현금 자동 입출금기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이하에서는 편의상 터치패드가 적용된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다. 다만, 터치패드가 적용된 다른 키오스크 장치에 이하의 내용 적용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이러한 현금 자동 인출기(1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카드 리더부(102)는 현금 자동 입출금기(100)의 전면 패널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있으며, 카드에 부착된 마그네틱선을 통하여 카드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입력부(104)는 카드 소지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이나 입력된 데이터를 입력받는 수단으로서,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key pad)(108) 또는 터치를 통해 다양한 기능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10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터치스크린(106)은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입력 정보로 수신한 뒤 그에 따른 각종 정보와 메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106)은 터치스크린(106)상에서의 직접 터치나 터치패드(touch pad)(116)를 통한 터치에 의해 메뉴가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110)는 제어부(120)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120)로부터 인가되는 각종 데이터를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경로(예컨대, 관리 및 운용 서버 또는 금융거래 시스템 등)로 전달하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통신부(110)는 현금 입출금기(100)와 관리 서버(도시하지 않음)간의 데이터 교환이나 또는 현금 입출금기(100)와 금융거래 시스템(도시하지 않음)간의 데이터 교환에서의 인터페이싱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인쇄부(112)는 각종 내역 등이 명세표로써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부(112)는 현금 입출금기(100)를 통해 거래된 내역이 현금입출금 명세표 등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현금 입출금부(114)는 입력된 현금이 계수되도록 할 수 있고, 계수된 현금이 현금 보관함에 보관되도록 할 수 있으며, 현금 계수와 관련된 계수 데이터가 제어부(120)로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로부터 인가된 출금 데이터에 해당하는 현금이 현금 보관함으로부터 인출되어 외부로 반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터치스크린(106)으로 구현된 금융거래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터치스크린(106)상의 메뉴는 사용자의 금융거래 기능과 관련된 메인 메뉴(210)와 금융거래 이외의 기능과 관련된 서브 메뉴(220)로 구분될 수 있다.
메인 메뉴(210)는 금융거래 기능과 관련된 메뉴로써, 예를 들면 현금 인출 기능을 제공하는 메뉴(Get Cash), 잔고 확인 기능을 제공하는 메뉴(Check Balance), 자금 이체 기능을 제공하는 메뉴(Transfer Money), 자금 입금 기능을 제공하는 메뉴(Make a Deposit), 대금 지불 기능을 제공하는 메뉴(Make a Payment) 또는 거랙 내역 출력 기능을 제공하는 메뉴(Print Stateme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메뉴(220)는 금융거래 이외의 기능과 관련된 메뉴로써, 예를 들면 기능 취소(Cancel), 메인메뉴로 가기(Main) 또는 뒤로 가기(Back) 등과 같은 메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메인 메뉴에서 선택된 금융거래의 진행에 대한 취소, 뒤로 가기 등과 같은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터치스크린(106)상의 메뉴 화면이 정상 체형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높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키가 작은 사람이나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에게는 터치스크린(106)을 터치하여 직접적으로 조작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 입출금기(100)는 터치패드(116)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터치패드(116)를 조작함으로써, 터치스크린(106)상의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터치스크린(106)상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패드(116)는 키가 작은 사람이나 장애인 등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106) 하측부의 일정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터치패드(106)는 터치스크린(106) 보다 작은 크기의 터치스크린 또는 하드타입(hard typ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116)가 표시된 금융거래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터치패드(1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06)의 일정 영역에 구현된 특정키(350)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예를 들면, 터치에 의한 입력)되어 활성화될 경우(이를 터치패드(116)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활성화 입력이라 지칭하자), 터치스크린(106)상 화면 내부의 하측부 또는 터치스크린(106)상 화면 외부에서 키패드(108)가 위치한 입력부(104)상의 일정 영역에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터치패드(116)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터치 입력을 제어부(120)로 전달할 수있다.
다만, 이러한 터치패드(116)가 입력부(104)상에 구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특정키(350)에 의해 활성화되기 전에는 터치 입력을 인식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드(116)는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에 따라 터치스크린(106)상의 포인터(pointer)(3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 터치부(352) 및 터치스크린(106)상의 포인터(320)가 가리키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터치부(3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터치부(350) 및 선택 터치부(354)를 활용하여,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06)상의 포인터(32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이에 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제어부(120)에 대한 설명과 함께 하기로 한다.
제어부(120)는 메모리부(118)에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현금 입출금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카드 리더부(102) 및 입력부(104)에 연결되어, 카드 리더부(102) 및 입력부(104)로부터 인가되는 키신호를 수신한 뒤 현금 입출금기(100)와 관련된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106)의 화면 내부 또는 외부의 일정 영역에 구현되는 특정키(350)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경우 위치 터치부(352)와 선택 터치부(354)를 포함하는 터치패드(116)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터치패드(116)와 관련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터치패드(116)가 활성화된 상태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120)에 의해 터치패드(116)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패드(116)의 위치 터치부(352)를 터치한 경우(이 때, 사용자가 터치한 지점을 제1 터치점이라고 하자), 제어부(120)는 이러한 제1 터치점을 포인터(320)의 위치 입력 정보로 입력받은 뒤, 제1 터치점에 대응되는 터치스크린(106)상의 위치(이하 제1 위치점)에 포인터(320)를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패드(116)의 위치 터치부(352)상에서 터치 지점을 제1 터치점으로부터 다른 지점(제2 터치점)으로 이동시킬 경우, 제어부(120)는 제1 위치점에 위치해있는 포인터(320)가 제2 터치점에 대응되는 (터치스크린(106) 상의) 제2 위치점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포인터(320)가 위치한 터치스크린(106) 상의 지점에 메뉴가 있고 사용자가 선택 터치부(354)를 터치할 경우, 제어부(120)는 이러한 터치를 해당 메뉴를 선택하는 메뉴 선택 정보로 입력받은 뒤 해당 메뉴가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패드(116)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06)상의 포인터(32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메뉴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키가 작은 사람이나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 등도 터치스크린(106)을 직접 터치하지 않고 터치스크린(106)상의 메뉴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가 적용된 현금 자동 입출금기(100)에서 터치패드(116)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의 제어 동작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현금 자동 입출금기(100) 등의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구현된 터치스크린(106)을 직접적으로 터치하기 어려운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06)의 하측부에 터치키 또는 하드키로 구현되어 있으며 터치패드(116)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특정키(350)를 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특정키(350)에는 터치스크린(106)에 대한 원격 제어가 가능한 키임을 알리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장애인 마크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특정키(350)가 터치되는 경우(S400), 제어부(120)는 터치스크린(106)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된 터치패드(116)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S402). 이 때, 이러한 터치패드(116)는 키가 작은 사람이나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 등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106)의 하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터치패드(116)는 터치스크린(106) 보다 작은 크기의 터치스크린 또는 하드타입의 터치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특정키(350)가 터치되었을 때, 터치스크린(106) 화면 내부의 하측부 또는 화면 외부의 하측부 일정 구역에 터치패드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S404).
제어부(120)는 터치패드(116)를 활성화시킨 이후, 사용자로부터 터치패드(116)으로 터치 입력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사(S406)하여 터치 입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부(120)에 의해 터치패드(116)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패드(116)의 위치 터치부(352)상에서 터치한 지점을 제1 터치점이라고 하면, 제어부(120)는 제1 터치점을 인식한 뒤(S408), 제1 터치점에 대응되는 터치스크린(106)상의 위치(이하 제1 위치점)에 포인터(320)를 위치시킬 수 있다(S410).
또한, 사용자가 터치패드(116)의 위치 터치부(352)상에서 터치 지점을 제1 터치점으로부터 다른 지점(제2 터치점)으로 이동시킬 경우, 제어부(120)는 포인터가 제1 위치점으로부터 (제2 터치점에 대응되는 터치스크린(106) 상의) 제2 위치점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포인터(320)가 위치한 지점에 메뉴가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 터치부(354)가 터치된 경우(S412), 제어부(120)는 이러한 터치를 포인터(320)가 위치하고 있는 터치스크린(106)상의 해당 메뉴의 선택으로 처리하고(S414), 해당 메뉴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S416).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패드(116)상 터치를 통해 터치스크린(106)상에 표시된 포인터(32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터치스크린(106)을 직접 터치하지 않고도 터치스크린(106)상의 메뉴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또는 현금 입출금기 등의 다양한 키오스크 장치에 대화면 터치스크린의 하부 영역에 위치되어 터치스크린에서의 이동, 메뉴 선택 등을 제어할 수 있는 터치패드를 구현함으로써, 키가 작은 사람이나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 등도 대화면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다양한 기능을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2 : 카드리더부 104 : 입력부
106 : 터치스크린 108 : 키패드
110 : 데이터 통신부 112 : 인쇄부
114 : 현금 입출금부 116 : 터치패드
118 : 메모리부 120 : 제어부

Claims (14)

  1. 터치스크린;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받는 터치패드; 및
    상기 터치패드로 입력되는 상기 터치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를 위치시키며,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메뉴 위에 위치한 경우 상기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를 상기 터치패드로 입력받아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는,
    상기 터치패드로 입력되는 상기 터치에 대한, 상기 터치패드 상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상기 포인터에 대한 위치정보를 입력받는 위치 터치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메뉴를 선택하는 터치를 입력받는 선택 터치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 내부 또는 외부의 하측부 일정영역에 상기 터치스크린 보다 작은 크기의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는,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 외부의 하측부 일정영역에 상기 터치스크린보다 작은 크기의 하드타입 터치 패드로 형성되는,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 내부 또는 외부에 터치키 또는 하드키로 구현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패드를 활성화시키는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특정키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키에는 상기 터치스크린이 상기 터치패드로 제어 가능함을 알리는 정보가 표시되는,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키에는 장애인 마크가 표시되는,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
  9.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 내부 또는 외부의 일정 영역에 구현된 특정키를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을 터치패드로 제어하기 위한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터치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드로 입력되는 터치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메뉴 위에 위치한 경우 상기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를 상기 터치패드로 입력받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를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터치패드로 입력되는 터치에 대한, 상기 터치패드 상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터치스크린상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상기 터치스크린상의 위치에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키를 통해 상기 활성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 내부 또는 외부의 하측부 일정영역에 상기 터치패드를 터치스크린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는,
    상기 터치스크린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키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 내부 또는 외부의 일정 영역에 터치키 또는 하드키로 구현되는,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키에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상기 터치패드를 이용해서 제어 가능하다는 정보 표시된,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방법.
KR1020140063504A 2014-05-27 2014-05-27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 및 방법 KR102379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504A KR102379599B1 (ko) 2014-05-27 2014-05-27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504A KR102379599B1 (ko) 2014-05-27 2014-05-27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272A true KR20150136272A (ko) 2015-12-07
KR102379599B1 KR102379599B1 (ko) 2022-03-28

Family

ID=54872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504A KR102379599B1 (ko) 2014-05-27 2014-05-27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5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768B1 (ko) 2022-08-25 2023-01-09 주식회사 엔에스로보텍 터칭 로봇
KR102557082B1 (ko) 2022-12-12 2023-07-20 주식회사 엔에스로보텍 다관절 터칭로봇을 이용한 무인환경측정소 대기측정 및 분석장비의 원격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8316A (ko) * 2005-03-31 2007-08-2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운전 조작 시스템
KR20100020226A (ko) * 2008-08-12 2010-02-2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가상마우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03798A (ko) 2010-07-05 2012-01-11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사이니지 단말기와 그 시스템
JP2013015890A (ja) * 2011-06-30 2013-01-24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KR20130105044A (ko) * 2012-03-16 201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8316A (ko) * 2005-03-31 2007-08-2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운전 조작 시스템
KR20100020226A (ko) * 2008-08-12 2010-02-2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가상마우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03798A (ko) 2010-07-05 2012-01-11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사이니지 단말기와 그 시스템
JP2013015890A (ja) * 2011-06-30 2013-01-24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KR20130105044A (ko) * 2012-03-16 201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599B1 (ko) 202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5313B1 (ko) 결제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1836725B2 (en) User interface for payments
JP5794625B2 (ja) セルフサービス端末装置
US20140331131A1 (en) Accessible Self-Service Kiosk
CN107038565A (zh) 用于电子支付的移动电子装置和方法
JP2014235540A (ja) チェックイン制御装置、チェックインカウンター、チェックインプログラム
KR102379599B1 (ko) 터치스크린 제어용 부가입력장치 및 방법
KR20180043642A (ko) 키오스크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448371B1 (ko) 금융기기
JP2008097567A (ja) 整理券発行装置およ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