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4135A -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 Google Patents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4135A
KR20130104135A KR1020120025354A KR20120025354A KR20130104135A KR 20130104135 A KR20130104135 A KR 20130104135A KR 1020120025354 A KR1020120025354 A KR 1020120025354A KR 20120025354 A KR20120025354 A KR 20120025354A KR 20130104135 A KR20130104135 A KR 20130104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power
transmission
automatic transmission
driven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6506B1 (ko
Inventor
어순기
이동수
박종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5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506B1/ko
Priority to JP2012155791A priority patent/JP6023487B2/ja
Priority to DE102012111243A priority patent/DE102012111243A1/de
Priority to CN201210479046.7A priority patent/CN103307236B/zh
Priority to US13/737,702 priority patent/US9353840B2/en
Publication of KR20130104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9/0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 F16H9/1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 F16H9/1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using two pulleys, both built-up out of adjustable conical parts
    • F16H9/18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using two pulleys, both built-up out of adjustable conical parts only one flange of each pulley being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21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toothed gearing combined with continuous variable friction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4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 driving or driven pulle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변속을 위해 필연적으로 동력을 순간적으로 차단했다가 연결해야만 했던 수동변속기의 메커니즘을 사용하면서도, 변속시에 구동륜에 별도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변속중 발생되는 토크 저하 현상을 배제함으로써, 변속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드럽고 안정된 변속감을 형성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화 수동 변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속중 끌어 당기는 듯한 변속감 저하현상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성에 관한 기술이다.
자동화 수동변속기는 차량의 운전중 액츄에이터에 의해 자동적으로 변속이 이루어져서 자동변속기와 유사한 편리함을 제공하고, 자동변속기보다 우수한 동력 전달 효율로 차량의 연비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동기치합식 변속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경우, 액츄에이터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변속과정 중간에도 동력이 단절되는 순간이 필연적으로 존재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발생되는 토크 저하에 의해 마치 차량을 후방으로 끌어 당기는 듯한 변속감 저하현상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첨단자동차섀시, 골든벨출판사, 김재휘저 87~94쪽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변속을 위해 필연적으로 동력을 순간적으로 차단했다가 연결해야만 했던 수동변속기의 메커니즘을 사용하면서도, 변속시에 구동륜에 별도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변속중 발생되는 토크 저하 현상을 배제함으로써, 변속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드럽고 안정된 변속감을 형성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는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서로 다른 기어비를 구현하는 복수의 변속기구를 구비한 변속부와;
상기 변속부의 입력축으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장치와 상기 출력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제공장치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출력축으로 무단의 변속비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무단전달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변속을 위해 필연적으로 동력을 순간적으로 차단했다가 연결해야만 했던 수동변속기의 메커니즘을 사용하면서도, 변속시에 구동륜에 별도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변속중 발생되는 토크 저하 현상을 배제함으로써, 변속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드럽고 안정된 변속감을 형성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구성도에서 엔진 시동시의 동력 전달 관계를 설명한 도면,
도 3은 도 1의 구성도에서 1단 주행중의 동력 전달 관계를 설명한 도면,
도 4는 도 1의 구성도에서 1단에서 2단으로 변속중의 동력 전달 관계를 설명한 도면,
도 5는 도 1의 구성도에서 2단 주행중의 동력 전달 관계를 설명한 도면,
도 6은 도 1의 구성도에서 R단 주행중의 동력 전달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입력축(1)과 출력축(3) 사이에 서로 다른 기어비를 구현하는 복수의 변속기구를 구비한 변속부(5)와; 상기 변속부(5)의 입력축(1)으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장치와 상기 출력축(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제공장치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출력축(3)으로 무단의 변속비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무단전달기구(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수동 변속기의 변속메커니즘을 가진 변속부(5)에 대하여, 상기 동력제공장치로부터 병렬로 상기 무단전달기구(7)가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변속부(5)의 변속시에 상기 입력축(1)을 우회하여 상기 출력축(3)으로 동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 변속중의 동력 단절에 따른 토크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동력제공장치는 본 실시예와 같이 내연기관인 엔진(9)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엔진(9)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동을 위한 시동모터(11)가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무단전달기구(7)는 상기 동력제공장치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풀리(13)와; 상기 구동풀리(13)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된 벨트(15)와; 상기 벨트(15)를 통해 상기 구동풀리(13)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설치된 피동풀리(17)와; 상기 벨트(15)에 접촉하는 구동풀리(13)의 직경과 상기 피동풀리(17)의 직경을 연속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풀리비가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일정한 길이의 벨트(15)가 감긴 상태에서 상기 구동풀리(13)의 직경과 상기 피동풀리(17)의 직경을 상호 보완적으로 가변시킴에 따라 구동풀리(13)와 벨트(15)가 접촉하는 직경과 상기 피동풀리(17)와 벨트(15)가 접촉하는 직경의 비가 연속적으로 변화되도록 함에 의해, 상기 구동풀리(13)의 회전력을 상기 피동풀리(17)에 무단의 변속비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구동풀리(13)와 피동풀리(17)는 각각 회전축방향 이동이 구속되는 고정풀리(A)와 상기 고정풀리(A)에 대한 회전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동풀리(B)의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풀리비가변수단은 상기 구동풀리(13) 및 상기 피동풀리(17)의 가동풀리(B)들을 회전축방향을 따라 직선이동시켜서 상기 벨트(15)에 접촉하는 구동풀리(13) 및 피동풀리(17)의 직경을 연속적으로 변경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풀리비가변수단은 상기 구동풀리(13)와 피동풀리(17) 사이에 회동축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구동풀리(13)의 가동풀리(B)와 상기 피동풀리(17)의 가동풀리(B)에 회전축방향의 직선변위를 제공하도록 연결된 컨트롤레버(19)와; 회전됨에 의해 상기 컨트롤레버(19)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변위를 형성하도록 연결된 이송나사(21)와; 상기 이송나사(21)를 회전시키는 조절모터(23)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물론, 상기 컨트롤레버(19)와 상기 구동풀리(13) 및 피동풀리(17)의 가동풀리(B)들 사이에는 상기 컨트롤레버(19)의 회동운동이 상기 가동풀리(B)의 회전축방향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을 허용하면서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25)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나사(21)와 상기 컨트롤레버(19) 사이에도 상기 이송나사(21)의 회전운동을 상기 컨트롤레버(19)의 회동운동으로 변환하면서 연결하는 전환부재(27)가 구비되며, 이들 연결부재(25)와 전환부재(27)는 공지의 기술에 따라 가이드와 슬롯 또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풀리비가변수단으로는 상기와는 달리, 상기 구동풀리(13)의 가동풀리(B)와 상기 피동풀리(17)의 가동풀리(B)에 각각 유압을 제공하여 유압의 힘으로 상기 가동풀리(B)들의 회전축방향 직선변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유압공급장치로 구성할 수 있는 바, 종래 벨트와 풀리를 사용하는 무단변속기의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무단전달기구로는 종래의 각종 무단변속장치의 메커니즘이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인 바, 예컨대, 종래의 토로이달 무단변속장치 등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피동풀리(17)와 상기 출력축(3) 사이에는 동력을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동력단속기구(29)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피동풀리(17)의 회전축에는 상기 출력축(3)으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형성된 구동기어(31)가 구비되고, 상기 출력축(3)에는 상기 구동기어(31)에 치합되는 피동기어(33)가 구비되며, 상기 동력단속기구(29)는 상기 피동풀리(17)의 회전축 상에서 상기 피동풀리(17)와 상기 구동기어(31) 사이의 동력을 단속할 수 있도록 설치된 구성을 취하였다.
물론, 이와는 달리 상기 동력단속기구(29)를 상기 출력축(3)에 구비하는 등 다른 구성도 가능할 것이며, 상기 동력단속기구(29)는 마찰클러치나, 도그클러치, 동기치합장치, 마찰밴드, 마그네틱클러치 등과 같은 것들 중 적절한 것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입력축(1)과 상기 동력제공장치 사이에는 상기 동력제공장치로부터의 동력을 단속적으로 상기 입력축(1)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클러치(35)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클러치(35)는 상기 동력제공장치로부터의 동력을 단속하도록 하는 클러치디스크(37)가 상기 구동풀리(13)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가급적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컴팩트한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변속부(5)의 변속기구는 키이와 싱크로나이저링을 사용하여 동기후 치합되는 동기치합식으로 구성되거나, 도그클러치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바,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고 동력 단절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는 동기치합식 변속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며, 이외의 다른 변속기구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인데, 이들 변속기구는 변속시에 입력축으로 입력되는 동력을 차단해야만 하고, 그로 인해 변속중 토크 저하 현상이 수반된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도 1 내지 도 6의 본 실시예에서는 동기치합식 변속기구로 상기 변속부(5)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변속부(5)는 1단 내지 5단의 변속단 및 R단을 구비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도 6은 후진단인 R단 주행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5에서는 생략한 후진아이들러기어(39)가 더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엔진 시동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클러치(35)와 동력단속기구(29)는 모두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엔진(9)을 상기 시동조절모터(23)로 크랭킹하여 시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입력축(1)이나 출력축(3)으로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엔진(9)의 회전력은 상기 구동풀리(13)와 벨트(15)를 거쳐 상기 피동풀리(17)까지만 전달되고 있다.
물론, 상기 시동시에 상기 변속부(5)가 아무런 변속단을 연결시키지 않고 있다면, 상기 클러치(35)는 연결된 상태에서도 시동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35)가 차단되어 있으면, 1-2단동기치합장치(41)로 1단 변속단을 형성할 수 있으며, 1단변속단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35)를 연결시키면, 차량의 발진과 함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 주행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엔진(9)으로부터의 동력은 상기 클러치(35)를 통해 상기 입력축(1)으로 전달된 후, 1단변속단기어쌍을 통해 출력축(3)으로 1단변속이 이루어지면서 전달되어 차동장치(43)를 통해 구동륜으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동력단속기구(29)는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구동풀리(13)와 피동풀리(17)를 통한 동력은 상기 출력축(3)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도 4는, 1단변속단으로부터 2단변속단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는 중간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클러치(35)를 차단하면서 상기 동력단속기구(29)를 연결하여, 상기 엔진(9)으로부터의 동력은 상기 입력축(1)으로는 차단되어도 상기 구동풀리(13)와 벨트(15) 및 피동풀리(17)를 통해 상기 출력축(3)으로 전달되어 토크 저하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구동풀리(13)와 피동풀리(17)가 상기 벨트(15)와 함께 형성하는 풀리비는 상기 피동풀리(17)가 1단변속단 상태에서의 상기 출력축(3) 회전속도를 맞출 수 있는 상태로부터 2단변속단 상태에서의 상기 출력축(3) 회전속도를 맞출 수 있는 상태로 조절되게 되는 바, 상기 조절모터(23)를 구동하여 상기 컨트롤레버(19)로 상기한 바와 같은 풀리비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1단으로부터 2단으로 변속되는 과정에서 클러치(35)에 의해 입력축(1)에 토크가 차단됨에 의해 발생하는 토크의 저하 현상이 방지됨은 물론, 현재변속단과 목표변속단 사이의 부드러운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클러치(35)가 차단되고 동력단속기구(29)가 연결되어 상기 엔진(9)의 동력이 상기 구동풀리(13)와 피동풀리(17)를 통해 상기 출력축(3)으로 우회하여 공급되는 동안 상기 1-2단동기치합장치(41)는 1단을 해제하고 2단으로의 치합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2단변속단의 치합이 이루어진 후에, 상기 클러치(35)를 결합하면서 상기 동력단속기구(29)를 차단하면, 도 5와 같은 2단 주행 상태가 구현된다.
도 5에서, 상기 엔진(9)으로부터의 동력은 상기 클러치(35)를 통해 상기 입력축(1)과 출력축(3) 사이에서 2단의 변속단으로 조절되어 상기 차동장치(43)를 통해 구동륜으로 공급되며, 엔진(9)으로부터 상기 피동풀리(17)까지 전달된 동력은 상기 동력단속기구(29)에 의해 차단된 상태이다.
이상과 같이 1단에서 2단으로 변속되는 동안 상기 구동풀리(13)와 벨트(15) 및 피동풀리(17)에 의한 출력축(3)으로의 지속적인 동력 제공은, 이외의 나머지 변속단들 사이의 변속에서도 마찬가지 원리로 이루어지게 되며, 특히 1단과 2단 사이와 같은 저단 사이의 변속은 물론, 4단과 5단 사이와 같은 고단간의 변속에서도, 심지어는 오버드라이브 변속단에서도, 상기 구동풀리(13)와 피동풀리(17) 사이에서는 현재의 변속단과 목표변속단의 출력축(3) 회전속도를 무단으로 맞추면서 동력을 보상해줄 수 있어서, 당해 변속기의 전 변속범위 내에서 변속중의 토크저하가 방지되고 부드럽고 안정된 변속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후진시의 동력전달 상황을 설명한 것으로서,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축(1)과 출력축(3) 사이의 후진아이들러기어(39)를 연결함으로써, 후진 변속단이 구현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입력축
3; 출력축
5; 변속부
7; 무단전달기구
9; 엔진
11; 시동모터
13; 구동풀리
15; 벨트
17; 피동풀리
A; 고정풀리
B; 가동풀리
19; 컨트롤레버
21; 이송나사
23; 모터
25; 연결부재
27; 전환부재
29; 동력단속기구
31; 구동기어
33; 피동기어
35; 클러치
37; 클러치디스크
39; 후진아이들러기어
41; 1-2단동기치합장치
43; 차동장치

Claims (11)

  1. 입력축(1)과 출력축(3) 사이에 서로 다른 기어비를 구현하는 복수의 변속기구를 구비한 변속부(5)와;
    상기 변속부(5)의 입력축(1)으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장치와 상기 출력축(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제공장치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출력축(3)으로 무단의 변속비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무단전달기구(7);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단전달기구(7)는
    상기 동력제공장치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풀리(13)와;
    상기 구동풀리(13)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된 벨트(15)와;
    상기 벨트(15)를 통해 상기 구동풀리(13)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설치된 피동풀리(17)와;
    상기 벨트(15)에 접촉하는 구동풀리(13)의 직경과 상기 피동풀리(17)의 직경을 연속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풀리비가변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동풀리(17)와 상기 출력축(3) 사이에는 동력을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동력단속기구(29)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피동풀리(17)의 회전축에는 상기 출력축(3)으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형성된 구동기어(31)가 구비되고;
    상기 출력축(3)에는 상기 구동기어(31)에 치합되는 피동기어(33)가 구비되며;
    상기 동력단속기구(29)는 상기 피동풀리(17)의 회전축 상에서 상기 피동풀리(17)와 상기 구동기어(31) 사이의 동력을 단속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1)과 상기 동력제공장치 사이에는 상기 동력제공장치로부터의 동력을 단속적으로 상기 입력축(1)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클러치(35)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35)는 상기 동력제공장치로부터의 동력을 단속하도록 하는 클러치디스크가 상기 구동풀리(13)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풀리(13)와 피동풀리(17)는 각각 회전축방향 이동이 구속되는 고정풀리(A)와 상기 고정풀리(A)에 대한 회전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동풀리(B)의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풀리비가변수단은 상기 구동풀리(13) 및 상기 피동풀리(17)의 가동풀리(B)들을 회전축방향을 따라 직선이동시켜서 상기 벨트(15)에 접촉하는 구동풀리(13) 및 피동풀리(17)의 직경을 연속적으로 변경시키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풀리비가변수단은
    상기 구동풀리(13)와 피동풀리(17) 사이에 회동축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구동풀리(13)의 가동풀리(B)와 상기 피동풀리(17)의 가동풀리(B)에 회전축방향의 직선변위를 제공하도록 연결된 컨트롤레버(19)와;
    회전됨에 의해 상기 컨트롤레버(19)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변위를 형성하도록 연결된 이송나사(21)와;
    상기 이송나사(21)를 회전시키는 조절모터(23);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풀리비가변수단은
    상기 구동풀리(13)의 가동풀리(B)와 상기 피동풀리(17)의 가동풀리(B)에 각각 유압을 제공하여 유압의 힘으로 상기 가동풀리(B)들의 회전축방향 직선변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유압공급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부의 변속기구는 키이와 싱크로나이저링을 사용하여 동기후 치합되는 동기치합식으로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부의 변속기구는 도그클러치에 의해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KR1020120025354A 2012-03-13 2012-03-13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KR101836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354A KR101836506B1 (ko) 2012-03-13 2012-03-13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JP2012155791A JP6023487B2 (ja) 2012-03-13 2012-07-11 車両の自動化手動変速機
DE102012111243A DE102012111243A1 (de) 2012-03-13 2012-11-21 Automatisiertes Handschaltgetriebe eines Fahrzeuges
CN201210479046.7A CN103307236B (zh) 2012-03-13 2012-11-22 用于车辆的自动的手动变速器装置
US13/737,702 US9353840B2 (en) 2012-03-13 2013-01-09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354A KR101836506B1 (ko) 2012-03-13 2012-03-13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135A true KR20130104135A (ko) 2013-09-25
KR101836506B1 KR101836506B1 (ko) 2018-04-19

Family

ID=49043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354A KR101836506B1 (ko) 2012-03-13 2012-03-13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53840B2 (ko)
JP (1) JP6023487B2 (ko)
KR (1) KR101836506B1 (ko)
CN (1) CN103307236B (ko)
DE (1) DE1020121112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969B1 (ko) 2018-10-19 2020-02-07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무단 변속기의 풀리 학습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462B1 (ko) * 2013-05-28 2014-11-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무단 변속기
US10088025B2 (en) * 2013-09-24 2018-10-02 Jatco Ltd Automatic transmission for electric vehicle
CN105518343B (zh) * 2013-09-25 2018-03-09 加特可株式会社 扭矩凸轮装置及带式无级变速装置
CN103640464B (zh) * 2013-11-18 2017-07-11 宁波吉利汽车研究开发有限公司 混合动力汽车的动力驱动系统
CN106641160A (zh) * 2017-02-06 2017-05-10 吕铁兵 一种动力源倍速调节装置
DE102017215786A1 (de) * 2017-09-07 2019-03-07 Zf Friedrichshafen Ag Zugmitteltrieb für ein Kraftfahrzeuggetriebe
CN111907313A (zh) * 2020-07-03 2020-11-10 广州市嘉森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新能源油电混合动力utv变速控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39094C2 (de) * 1975-09-03 1977-09-08 PIV Antrieb Werner Reimers KG, 6380 Bad Homburg Stufenlos einstellbares Kegelscheibengetriebe
FR2414664A1 (fr) * 1978-01-12 1979-08-10 Guirriec Louis Mecanisme de transmission a rapport variable
US4241618A (en) * 1979-03-02 1980-12-30 Borg-Warner Corporation Variable pulley transmission
JP2765081B2 (ja) * 1989-08-10 1998-06-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US7237638B2 (en) * 2003-09-30 2007-07-03 Honda Motor Co., Ltd. V-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N100476253C (zh) * 2007-01-19 2009-04-08 重庆大学 多模式混合动力汽车传动系统
JP2010249303A (ja) * 2009-04-20 2010-11-04 Toyota Motor Corp 常時噛合式の車両用変速機
JP2011122671A (ja) * 2009-12-10 2011-06-23 Toyota Motor Corp 車両用動力伝達装置
KR101148432B1 (ko) 2010-09-07 2012-05-21 김종태 미세 시계 부품의 연마를 보조하는 보조스탠드
CN201858348U (zh) * 2010-11-10 2011-06-08 江苏技术师范学院 一种带式无级变速器的速比控制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969B1 (ko) 2018-10-19 2020-02-07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무단 변속기의 풀리 학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53840B2 (en) 2016-05-31
DE102012111243A1 (de) 2013-09-19
CN103307236B (zh) 2017-08-08
CN103307236A (zh) 2013-09-18
KR101836506B1 (ko) 2018-04-19
US20130244819A1 (en) 2013-09-19
JP2013190100A (ja) 2013-09-26
JP6023487B2 (ja)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4135A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US9909657B2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N103807413B (zh) 机械式变速器
CN105276101B (zh) 自动手动变速器
CN101568749B (zh) 双离合器变速器
KR101836511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KR20130114816A (ko) 자동화 수동 변속기
US8806975B2 (en) Method for running a drive line
KR101836659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변속기
KR101836513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CN101936388A (zh) 采用双轴线链条的dct变速器
KR101836512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CN103470703B (zh) 具有并联行星轮系的变速器
EP2547931B1 (en) Drive train provided with a cvt
KR101272935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CN105202128A (zh) 车用三离合器变速器
KR101382284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KR101284322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CN105546057A (zh) 一种两档纯电动双离合变速器的传动系统
CN104295677B (zh) 双级线控多挡自动变速器
CN216555179U (zh) 旋转动力传递装置及车辆动力总成系统
CN104295674B (zh) 多挡环形布置式线控自动变速器
KR101284332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KR101836529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CN201747880U (zh) 一种新型无极变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