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284B1 -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 Google Patents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284B1
KR101382284B1 KR1020120051493A KR20120051493A KR101382284B1 KR 101382284 B1 KR101382284 B1 KR 101382284B1 KR 1020120051493 A KR1020120051493 A KR 1020120051493A KR 20120051493 A KR20120051493 A KR 20120051493A KR 101382284 B1 KR101382284 B1 KR 101382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r pulley
transmission
power
automatic transmiss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7744A (ko
Inventor
어순기
임채홍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
Priority to KR1020120051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284B1/ko
Publication of KR20130127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6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flexible members, e.g. an endless flexible member
    • F16H2019/0681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flexible members, e.g. an endless flexible member the flexible member forming a closed loop
    • F16H2019/0686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flexible members, e.g. an endless flexible member the flexible member forming a closed loop the flexible member being directly driven by a pulley or chain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5/00Gearings or mechanisms with other special functional features
    • F16H2035/003Gearings comprising pulleys or toothed members of non-circular shape, e.g. elliptical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변속을 위해 필연적으로 동력을 순간적으로 차단했다가 연결해야만 했던 수동변속기의 메커니즘을 사용하면서도, 변속시에 구동륜에 별도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변속중 발생되는 토크 저하 현상을 배제함으로써, 변속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드럽고 안정된 변속감을 형성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속중 끌어 당기는 듯한 변속감 저하현상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성에 관한 기술이다.
자동화 수동변속기는 차량의 운전중 액츄에이터에 의해 자동적으로 변속이 이루어져서 자동변속기와 유사한 편리함을 제공하고, 자동변속기보다 우수한 동력 전달 효율로 차량의 연비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동기치합식 변속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경우, 액츄에이터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변속과정 중간에도 동력이 단절되는 순간이 필연적으로 존재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발생되는 토크 저하에 의해 마치 차량을 후방으로 끌어 당기는 듯한 변속감 저하현상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첨단자동차섀시, 골든벨출판사, 김재휘저 87~94쪽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변속을 위해 필연적으로 동력을 순간적으로 차단했다가 연결해야만 했던 수동변속기의 메커니즘을 사용하면서도, 변속시에 구동륜에 별도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변속중 발생되는 토크 저하 현상을 배제함으로써, 변속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드럽고 안정된 변속감을 형성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는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서로 다른 기어비를 구현하는 복수의 변속기구를 구비한 변속부와;
상기 변속부의 입력축으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장치와 상기 출력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제공장치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출력축으로 무단의 변속비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무단전달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단전달기구는
상기 동력제공장치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테이퍼풀리와;
상기 구동테이퍼풀리의 회전축에 평행한 회전축으로 서로의 경사면이 대응되게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출력축으로 연결되는 피동테이퍼풀리와;
상기 구동테이퍼풀리와 피동테이퍼풀리의 일부분을 동시에 감싸서 연결시키며, 상기 감싸서 연결시키는 부위가 가변되도록 이동됨으로써, 상기 구동테이퍼풀리와 피동테이퍼풀리 사이에서 무단의 변속비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 벨트;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변속을 위해 필연적으로 동력을 순간적으로 차단했다가 연결해야만 했던 수동변속기의 메커니즘을 사용하면서도, 변속시에 구동륜에 별도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변속중 발생되는 토크 저하 현상을 배제함으로써, 변속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드럽고 안정된 변속감을 형성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벨트와 구동테이퍼풀리와 피동테이퍼풀리 및 벨트의 무단 변속 원리를 설명한 도면,
도 3은 도 1의 구성도에서 엔진 시동시의 동력 전달 관계를 설명한 도면,
도 4는 도 1의 구성도에서 1단 주행중의 동력 전달 관계를 설명한 도면,
도 5는 도 1의 구성도에서 1단에서 2단으로 변속중의 동력 전달 관계를 설명한 도면,
도 6은 도 1의 구성도에서 2단 주행중의 동력 전달 관계를 설명한 도면,
도 7은 도 1의 구성도에서 R단 주행중의 동력 전달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입력축(INPUT)과 출력축(OUTPUT) 사이에 서로 다른 기어비를 구현하는 복수의 변속기구를 구비한 변속부(1)와; 상기 변속부(1)의 입력축(INPUT)으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장치(3)와 상기 출력축(OUTPUT)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제공장치(3)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출력축(OUTPUT)으로 무단의 변속비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무단전달기구(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수동 변속기 변속메커니즘을 가진 변속부(1)에 대하여, 상기 동력제공장치(3)로부터 병렬로 상기 무단전달기구(5)가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변속부(1)의 변속시에 상기 입력축(INPUT)을 우회하여 상기 출력축(OUTPUT)으로 동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 변속중의 동력 단절에 따른 토크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단전달기구(5)는 상기 동력제공장치(3)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테이퍼풀리(7)와; 상기 구동테이퍼풀리(7)의 회전축에 평행한 회전축으로 서로의 경사면이 대응되게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출력축(OUTPUT)으로 연결되는 피동테이퍼풀리(9)와; 상기 구동테이퍼풀리(7)와 피동테이퍼풀리(9)의 일부분을 동시에 감싸서 연결시키며, 상기 감싸서 연결시키는 부위가 가변되도록 이동됨으로써, 상기 구동테이퍼풀리(7)와 피동테이퍼풀리(9) 사이에서 무단의 변속비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 벨트(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구동테이퍼풀리(7)와 피동테이퍼풀리(9)를 동시에 감싸서 연결하고 있는 상기 벨트(11)를 이동시켜, 상기 벨트(11) 양쪽에서 상기 구동테이퍼풀리(7)를 감싸는 반경과 상기 피동테이퍼풀리(9)를 감싸는 반경이 연속으로 변화됨에 의해 무단 변속의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벨트(11)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벨트이동장치가 필요한 바, 공지의 다른 메커니즘의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11)를 가이드하는 슬라이더(13-1)와 상기 슬라이더(13-1)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직선가이드(13-2)를 구비하여, 공지의 구동수단으로 상기 슬라이더(13-1)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더(13-1)를 상기 직선가이드(13-2)를 따라 이동시키면, 상기 벨트(11)는 상기 구동테이퍼풀리(7)와 상기 피동테이퍼풀리(9)를 감싸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직선이동하여, 연속적인 변속비의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테이퍼풀리(7)는 상기 입력축(INPUT)과 동심축을 이루어 배치된 구조이다. 그리고 피동테이퍼풀리(9) 역시 상기 출력축(OUTPUT)과 동심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피동테이퍼풀리(9)와 상기 출력축(OUTPUT) 사이에 동력을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동력단속기구(15)가 구비된 경우로써, 이와 같이 피동테이퍼풀리(9)와 동력단속기구(15)를 동심축으로 연결하고 동력단속기구(15)와 출력축(OUTPUT)이 편심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입력축(INPUT)과 상기 동력제공장치(3) 사이에는 상기 동력제공장치(3)로부터의 동력을 단속적으로 상기 입력축(INPUT)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클러치(21)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제공장치(3)는 내연기관인 엔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러치(21)는 상기 엔진의 플라이휠(23)과 접촉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클러치디스크(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테이퍼풀리(7)는 상기 클러치디스크(25) 외측을 감싸면서 내부에 상기 입력축(INPUT)이 관통하는 중공축을 형성하는 클러치커버(27)에 연결된 구조이다.
즉, 상기 클러치디스크(25)와 플라이휠(23)의 설치구조는 종래의 일반적인 클러치메커니즘과 동일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러치커버(27)가 상기 구동테이퍼풀리(7)를 상기 플라이휠(23)에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중공의 회전축 역할을 아울러 수행하는 차이점이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의 일반적인 수동변속기 클러치 메커니즘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컴팩트한 파워트레인의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도 1 내지 도 7에서 상기 변속부(1)의 변속기구는 키이와 싱크로나이저링을 사용하여 동기후 치합되는 동기치합식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외에 상기 변속부(1)의 변속기구는 도그클러치 등과 같은 다른 메커니즘에 의해서도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의 본 실시예에서는 동기치합식 변속기구로 상기 변속부(1)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변속부(1)는 1단 내지 5단의 변속단 및 R단을 구비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도 7은 후진단인 R단 주행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6에서는 생략한 후진아이들러기어(35) 등이 더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엔진 시동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클러치(21)와 동력단속기구(15)는 모두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엔진을 상기 시동모터(29)로 크랭킹하여 시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입력축(INPUT)이나 출력축(OUTPUT)으로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엔진의 회전력은 상기 구동테이퍼풀리(7)와 벨트(11)를 거쳐 상기 피동테이퍼풀리(9)까지만 전달되고 있다.
물론, 상기 시동시에 상기 변속부(1)가 아무런 변속단을 연결시키지 않고 있다면, 상기 클러치(21)는 연결된 상태에서도 시동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21)가 차단되어 있으면, 1-2단동기치합장치(31)로 1단 변속단을 형성할 수 있으며, 1단변속단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21)를 연결시키면, 차량의 발진과 함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 주행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에서,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은 상기 클러치(21)를 통해 상기 입력축(INPUT)으로 전달된 후, 1단변속단기어쌍을 통해 출력축(OUTPUT)으로 1단변속이 이루어지면서 전달되어 차동장치(33)를 통해 구동륜으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동력단속기구(15)는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구동테이퍼풀리(7)와 피동테이퍼풀리(9)을 통한 동력은 상기 출력축(OUTPUT)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도 5는, 1단변속단으로부터 2단변속단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는 중간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클러치(21)를 차단하면서 상기 동력단속기구(15)를 연결하여,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은 상기 입력축(INPUT)으로는 차단되어도 상기 구동테이퍼풀리(7)와 벨트(11) 및 피동테이퍼풀리(9)을 통해 상기 출력축(OUTPUT)으로 전달되어 변속중 토크 저하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구동테이퍼풀리(7)와 피동테이퍼풀리(9)가 상기 벨트(11)와 함께 형성하는 변속비는 상기 피동테이퍼풀리(9)가 1단변속단 상태에서의 상기 출력축(OUTPUT) 회전속도를 맞출 수 있는 상태로부터 2단변속단 상태에서의 상기 출력축(OUTPUT) 회전속도를 맞출 수 있는 상태로 조절되게 되는 바, 상기 벨트이동장치(13)를 구동하여 상기 벨트(11)를 직선 이동시켜서 원하는 변속비를 연속적으로 형성함에 의해, 1단으로부터 2단으로 변속되는 과정에서 클러치(21)에 의해 입력축(INPUT)에 전달되던 토크가 차단됨에 의해 발생하는 토크의 저하 현상이 방지됨은 물론, 현재변속단과 목표변속단 사이의 부드러운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클러치(21)가 차단되고 동력단속기구(15)가 연결되어 상기 엔진의 동력이 상기 구동테이퍼풀리(7)와 피동테이퍼풀리(9)를 통해 상기 출력축(OUTPUT)으로 우회하여 공급되는 동안, 상기 1-2단동기치합장치(31)는 1단을 해제하고 2단으로의 치합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2단변속단의 치합이 이루어진 후에, 상기 클러치(21)를 결합하면서 상기 동력단속기구(15)를 차단하면, 도 6과 같은 2단 주행 상태가 구현된다.
도 6에서,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은 상기 클러치(21)를 통해 상기 입력축(INPUT)과 출력축(OUTPUT) 사이에서 2단의 변속단으로 조절되어 상기 차동장치(33)를 통해 구동륜으로 공급되며, 엔진으로부터 상기 피동테이퍼풀리(9)까지 전달된 동력은 상기 동력단속기구(15)에 의해 차단된 상태이다.
이상과 같이 1단에서 2단으로 변속되는 동안 상기 구동테이퍼풀리(7)와 벨트(11) 및 피동테이퍼풀리(9)에 의한 출력축(OUTPUT)으로의 지속적인 동력 제공은, 이외의 나머지 변속단들 사이의 변속에서도 마찬가지 원리로 이루어지게 되며, 특히 1단과 2단 사이와 같은 저단 사이의 변속은 물론, 4단과 5단 사이와 같은 고단간의 변속에서도, 심지어는 오버드라이브 변속단에서도, 상기 구동테이퍼풀리(7)와 피동테이퍼풀리(9) 사이에서는 현재의 변속단과 목표변속단의 출력축(OUTPUT) 회전속도를 무단으로 맞추면서 동력을 보상해줄 수 있어서, 당해 변속기의 전 변속범위 내에서 변속중의 토크저하가 방지되고 부드럽고 안정된 변속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은 후진시의 동력전달 상황을 설명한 것으로서,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축(INPUT)과 출력축(OUTPUT) 사이의 후진아이들러기어(35)를 연결함으로써, 후진 변속단이 구현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변속부
3; 동력제공장치
5; 무단전달기구
7; 구동테이퍼풀리
9; 피동테이퍼풀리
11; 벨트
13; 벨트이동장치
13-1; 슬라이더
13-2; 직선가이드
15; 동력단속기구
21; 클러치
23; 플라이휠
25; 클러치디스크
27; 클러치커버
29; 시동모터
31; 1-2단동기치합장치
33; 차동장치
35; 후진아이들러기어
INPUT; 입력축
OUTPUT; 출력축

Claims (8)

  1. 입력축(INPUT)과 출력축(OUTPUT) 사이에 서로 다른 기어비를 구현하는 복수의 변속기구를 구비한 변속부(1)와;
    상기 변속부(1)의 입력축(INPUT)으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장치(3)와 상기 출력축(OUTPUT)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제공장치(3)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출력축(OUTPUT)으로 무단의 변속비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무단전달기구(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단전달기구(5)는
    상기 동력제공장치(3)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테이퍼풀리(7)와;
    상기 구동테이퍼풀리(7)의 회전축에 평행한 회전축으로 서로의 경사면이 대응되게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출력축(OUTPUT)으로 연결되는 피동테이퍼풀리(9)와;
    상기 구동테이퍼풀리(7)와 피동테이퍼풀리(9)의 일부분을 동시에 감싸서 연결시키며, 상기 감싸서 연결시키는 부위가 가변되도록 이동됨으로써, 상기 구동테이퍼풀리(7)와 피동테이퍼풀리(9) 사이에서 무단의 변속비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 벨트(11);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동테이퍼풀리(9)와 상기 출력축(OUTPUT) 사이에는 동력을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동력단속기구(15)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테이퍼풀리(7)는 상기 입력축(INPUT)과 동심축을 이루어 배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INPUT)과 상기 동력제공장치(3) 사이에는 상기 동력제공장치(3)로부터의 동력을 단속적으로 상기 입력축(INPUT)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클러치(21)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동력제공장치(3)는 내연기관인 엔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러치(21)는 상기 엔진의 플라이휠(23)과 접촉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클러치디스크(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테이퍼풀리(7)은 상기 클러치디스크(25) 외측을 감싸면서 내부에 상기 입력축(INPUT)이 관통하는 중공축을 형성하는 클러치커버(27)에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테이퍼풀리(7)와 피동테이퍼풀리(9)의 테이퍼진 경사면은 서로 가까운 내측경사면들이 서로 평행함과 아울러 서로 먼 외측경사면들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벨트(11)는 상기 구동테이퍼풀리(7)와 피동테이퍼풀리(9)의 외측경사면들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벨트(11)를 상기 구동테이퍼풀리(7)와 피동테이퍼풀리(9)의 외측경사면들을 따라 직선 이동시키는 벨트이동장치(13);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부(1)의 변속기구는 키이와 싱크로나이저링을 사용하여 동기후 치합되는 동기치합식으로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부(1)의 변속기구는 도그클러치에 의해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KR1020120051493A 2012-05-15 2012-05-15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KR101382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493A KR101382284B1 (ko) 2012-05-15 2012-05-15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493A KR101382284B1 (ko) 2012-05-15 2012-05-15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744A KR20130127744A (ko) 2013-11-25
KR101382284B1 true KR101382284B1 (ko) 2014-04-08

Family

ID=49855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493A KR101382284B1 (ko) 2012-05-15 2012-05-15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2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6447B (zh) * 2017-02-24 2024-04-16 蔡有建 一种无级变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0066A (ja) * 1985-11-07 1987-05-21 Aisin Seiki Co Ltd 変速機
JP2003014061A (ja) * 2001-06-28 2003-01-15 Hitachi Ltd 自動変速機
KR20110105025A (ko) * 2010-03-18 2011-09-26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콘 링 타입 무단변속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0066A (ja) * 1985-11-07 1987-05-21 Aisin Seiki Co Ltd 変速機
JP2003014061A (ja) * 2001-06-28 2003-01-15 Hitachi Ltd 自動変速機
KR20110105025A (ko) * 2010-03-18 2011-09-26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콘 링 타입 무단변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744A (ko) 201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6506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KR101836511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CN103807413B (zh) 机械式变速器
US9366328B2 (en) Power transmission unit for vehicle
KR101371722B1 (ko) 자동화 수동 변속기
KR101836659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변속기
KR101836513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KR101637740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파워트레인
US9587726B2 (en) Power transmission unit for vehicle
KR101836512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KR101382284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CN103470703B (zh) 具有并联行星轮系的变速器
KR101543086B1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KR101684059B1 (ko) 차량용 변속기
KR101272935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CA2789105A1 (en) Drive train provided with a cvt
KR101284322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KR101284332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WO2012135936A1 (en) Drivetrain provided with a cvt
KR20130127617A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KR101284320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KR101611078B1 (ko) 차량의 변속기
KR101836529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JP5658069B2 (ja) 変速装置
KR20160149371A (ko) 차량용 변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