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1078B1 - 차량의 변속기 - Google Patents

차량의 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1078B1
KR101611078B1 KR1020140126600A KR20140126600A KR101611078B1 KR 101611078 B1 KR101611078 B1 KR 101611078B1 KR 1020140126600 A KR1020140126600 A KR 1020140126600A KR 20140126600 A KR20140126600 A KR 20140126600A KR 101611078 B1 KR101611078 B1 KR 101611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tage
transmission
shaf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636A (ko
Inventor
어순기
김동원
임채홍
박기종
김천옥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6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078B1/ko
Publication of KR20160035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 F16H3/091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including a single counter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3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engaging friction means not of the freewheel type, e.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 F16H2200/2035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engaging friction means not of the freewheel type, e.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with two engag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702/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transmissions

Abstract

본 발명은 저단부에서는 종래 수동변속기의 동력 단절 상황을 배제하여 부드러운 변속이 가능하면서도, 우수한 동력 전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고단부에서는 무단의 연속적인 변속비를 제공하여, 엔진의 최적 운전점 운전 시간을 극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차량의 연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변속기{TRANSMISSION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사용되는 변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드러운 변속감을 확보하고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변속기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종래 수동변속기는 동력 전달 효율이 상당히 우수하여 차량의 연비에 유리하지만, 변속시 필연적으로 동력이 차단되는 순간이 발생하여, 변속감이 떨어지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변속기는 변속단 수를 많이 구현할 수 있을수록, 엔진을 최적의 운전점에서 운전할 수 있도록 하여 연비 향상에 유리한 측면이 있지만, 종래 FF(FRONT ENGING FRONT DRIVE)차량에 사용되는 변속기는 그 전체 길이에 제한이 있어서, 변속단 수를 높이는 데에 한계가 있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JP 2010-0144894 A
본 발명은 저단부에서는 종래 수동변속기의 동력 단절 상황을 배제하여 부드러운 변속이 가능하면서도, 우수한 동력 전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고단부에서는 무단의 연속적인 변속비를 제공하여, 엔진의 최적 운전점 운전 시간을 극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차량의 연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변속기는
서로 동심축을 이루어 배치되고 동일한 동력원으로부터 각각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 제1입력축 및 제2입력축과;
상기 제1입력축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피동기어를 구비하여 변속단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카운터축과;
상기 제2입력축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피동기어를 구비하여 변속단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출력축과;
상기 동력원의 회전력을 상기 제1입력축에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1클러치와;
상기 동력원의 회전력을 상기 제2입력축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클러치와;
상기 카운터축의 회전력을 상기 출력축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아이들러기어와;
상기 동력원으로부터의 회전력을 상기 출력축으로 무단으로 변속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된 무단변속기구와;
차량의 전진 방향 주행속도에 따라 상기 동력원으로부터 상기 출력축까지 상기 무단변속기구를 통한 변속비가, 상기 동력원으로부터 상기 출력축까지 상기 제1입력축과 카운터축 사이에 형성된 변속단 또는 상기 제2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형성된 변속단을 통한 변속비 보다 작아지는 경우, 상기 변속단을 통한 동력 전달을 저절로 차단하도록 설치된 원웨이클러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저단부에서는 종래 수동변속기의 동력 단절 상황을 배제하여 부드러운 변속이 가능하면서도, 우수한 동력 전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고단부에서는 무단의 연속적인 변속비를 제공하여, 엔진의 최적 운전점 운전 시간을 극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차량의 연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변속기가 1단을 구현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
도 3은 도 2의 1단상태로부터 2단으로 변속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변속기가 2단을 구현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
도 5는 도 1의 변속기가 2단으로부터 3단으로 변속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6은 도 1의 변속기가 3단으로 주행하고 있는 상태로서 기어열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
도 7은 도 1의 변속기가 3단 이상으로 주행하고 있는 상태로서 무단변속기구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들은 공통적으로, 서로 동심축을 이루어 배치되고 동일한 동력원(E)으로부터 각각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 제1입력축(IN1) 및 제2입력축(IN2)과; 상기 제1입력축(IN1)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피동기어를 구비하여 변속단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카운터축(CS)과; 상기 제2입력축(IN2)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피동기어를 구비하여 변속단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출력축(OUT)과; 상기 동력원(E)의 회전력을 상기 제1입력축(IN1)에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1클러치(CL1)와; 상기 동력원(E)의 회전력을 상기 제2입력축(IN2)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클러치(CL2)와; 상기 카운터축(CS)의 회전력을 상기 출력축(OUT)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아이들러기어(IDG)와; 상기 동력원(E)으로부터의 회전력을 상기 출력축(OUT)으로 무단으로 변속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된 무단변속기구(CVA)와; 차량의 전진 방향 주행속도에 따라 상기 동력원(E)으로부터 상기 출력축(OUT)까지 상기 무단변속기구(CVA)를 통한 변속비가, 상기 동력원(E)으로부터 상기 출력축(OUT)까지 상기 제1입력축(IN1)과 카운터축(CS) 사이에 형성된 변속단 또는 상기 제2입력축(IN2)과 출력축(OUT) 사이에 형성된 변속단을 통한 변속비 보다 작아지는 경우, 상기 변속단을 통한 동력 전달을 저절로 차단하도록 설치된 원웨이클러치(OW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는 동력원(E)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제1클러치(CL1)와 제1입력축(IN1) 및 카운터축(CS)을 통해 출력축(OUT)으로 연결하는 제1경로와, 상기 제2클러치(CL2)와 제2입력축(IN2)을 통해 출력축(OUT)으로 연결하는 제2경로 및 무단변속기구(CVA)를 통해 출력축(OUT)으로 연결하는 제3경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저속주행에 주로 사용되는 상대적으로 높은 변속비는 상기 제1경로 및 제2경로를 통해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고속주행에 주로 사용되는 상대적으로 낮은 변속비 영역은 상기 무단변속기구(CVA)를 통해 연속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참고로, 상기 동력원(E)은 엔진이나 모터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내연기관인 엔진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축(IN1)과 카운터축(CS) 사이 및 상기 제2입력축(IN2)과 출력축(OUT) 사이에 형성되는 변속단들은, 일련의 변속단이 제1입력축(IN1)과 카운터축(CS) 사이 및 상기 제2입력축(IN2)과 출력축(OUT) 사이에 서로 교번하여 배치된다.
즉, 상기 제1입력축(IN1)과 카운터축(CS) 사이에 1단의 변속단이 형성되면, 2단 변속단은 상기 제2입력축(IN2)과 출력축(OUT)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고, 다음 3단 변속단은 상기 제1입력축(IN1)과 카운터축(CS)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실시예는 이와 같은 변속단 배치구조를 가지고 있다.
물론, 상기와 반대로 도 8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입력축(IN1)과 카운터축(CS) 사이에 2단의 변속단이 형성되고, 1단의 변속단을 상기 제2입력축(IN2)과 출력축(OUT)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무단변속기구(CVA)는 벨트를 베리에이터로 사용하는 벨트식 무단변속기구(CVA)나, 토로이달을 베리에이터로 사용하는 토로이달식 무단변속기구(CVA)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 어떤 다른 방식의 무단변속기구(CVA)의 사용도 가능하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설명의 편의상 벨트식 무단변속기구를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무단변속기구(CVA)가 상기 카운터축(CS)과 출력축(OUT) 사이에 설치되는 바, 이하에서는 먼저 제1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입력축(IN1)에는 1단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한 1단구동기어(D1)와 3단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한 3단구동기어(D3)가 구비되고, 상기 카운터축(CS)에는 상기 1단구동기어(D1)에 치합되는 1단피동기어(P1)와 상기 3단구동기어(D3)에 치합되는 3단피동기어(P3)가 구비된다.
상기 제2입력축(IN2)에는 2단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한 2단구동기어(D2)가 구비되고, 상기 출력축(OUT)에는 상기 2단구동기어(D2)에 치합되는 2단피동기어(P2)가 회전이 구속된 상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클러치(CL2)를 체결하면, 동력원(E)으로부터의 동력이 바로 2단 변속비로 변속되어 출력축(OUT)을 통해 인출되게 된다.
상기 출력축(OUT)에는 별도의 출력기어(OG)가 구비되어 디퍼렌셜의 링기어(R) 등에 치합되어 동력을 구동륜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카운터축(CS)에는 상기 아이들러기어(IDG)에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TG)가 구비되고, 상기 아이들러기어(IDG)는 상기 2단피동기어(P2)에 치합되어 상기 카운터축(CS)의 동력을 상기 출력축(OUT)으로 전달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원웨이클러치(OWC)는 상기 전달기어(TG)와 카운터축(CS) 사이에 설치된다.
즉, 상기 카운터축(CS)의 동력은 상기 원웨이클러치(OWC)를 통해 전달기어(TG)를 구동하고, 상기 전달기어(TG)의 동력은 상기 아이들러기어(IDG)를 통해 상기 2단피동기어(P2)를 통해 출력축(OUT)으로 전달되는 구성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작용을 살펴본다.
도 2는 1단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카운터축(CS)에 구비된 1&3단동기장치(1&3S)가 1단피동기어(P1)를 상기 카운터축(CS)에 연결하고 상기 제1클러치(CL1)는 결합 제2클러치(CL2)는 해제된 상태로서, 상기 동력원(E)의 동력은 상기 제1클러치(CL1)를 통해 상기 제1입력축(IN1)의 1단구동기어(D1)를 통해 상기 카운터축(CS)의 2단피동기어(P2)로 전달되고, 그 동력은 상기 1&3단동기장치(1&3S)를 통해 상기 카운터축(CS)으로 전달된 후, 상기 원웨이클러치(OWC)와 전달기어(TG) 및 아이들러기어(IDG)를 통해 상기 출력축(OUT)의 2단피동기어(P2)로 전달되어 1단 변속단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무단변속기구(CVA)는 벨트식의 경우, 상기 벨트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수준으로만 제어된다.
도 3은 1단에서 2단으로 변속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으로서, 도 2의 상태로부터 상기 제1클러치(CL1)는 점차 해제하면서 동시에 상기 제2클러치(CL2)를 점차 체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2클러치(CL2)를 체결하면, 상기 동력원(E)으로부터의 동력은 바로 제2입력축(IN2)의 2단구동기어(D2)를 구동하여, 여기에 치합된 2단피동기어(P2)를 구동함으로써, 2단 변속된 동력이 바로 출력축(OUT)으로 인출되게 된다.
상기 제1클러치(CL1)가 완전히 해제되고 상기 제2클러치(CL2)가 완전히 체결되면, 도 4와 같은 2단 상태가 되는데, 이와 같은 변속과정에서 출력축(OUT)으로 지속적으로 동력이 전달되어 종래의 변속시 동력 단절 현상이 배제됨으로써, 변속감이 향상되게 된다.
도 5는 도 4와 같은 2단 상태로부터 3단으로의 변속과정이 도시된 것으로서,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1&3단동기장치(1&3S)로 3단피동기어(P3)를 상기 카운터축(CS)에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제1클러치(CL1)를 체결하면서, 상기 제2클러치(CL2)를 해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도 6은 도 5와 같은 상황이 더욱 진행되어, 상기 제1클러치(CL1)는 완전히 체결되고 상기 제2클러치(CL2)는 완전히 해제된 상태로서, 상기 제1클러치(CL1)로 유입되는 동력은 상기 3단구동기어(D3)와 3단피동기어(P3) 사이에서 변속되어 상기 원웨이클러치(OWC)와 전달기어(TG) 및 아이들러기어(IDG)를 통해 상기 2단피동기어(P2)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출력축(OUT)으로 3단 구동력을 인출하는 상태이다.
도 2의 1단 상태로부터 도 6의 3단에 이르는 전체 상태에서 상기 벨트식 무단변속기는 벨트의 슬립만을 방지할 수 있는 수준으로 각 상태의 변속비에 맞게 제어된다.
도 7의 상태는 상기 무단변속기구(CVA)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 3단 변속비보다 작은 변속비를 형성할 때에는, 이 무단변속기구(CVA)를 사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도록 한다.
즉, 도 6의 상태로부터 도 7의 상태로 변화하는 것은, 상기 무단변속기구(CVA)의 변속비를 작게 조절함에 따라, 상기 동력원(E)으로부터의 동력이 상기 3단구동기어(D3), 3단피동기어(P3), 전달기어(TG) 및 2단피동기어(P2)를 통해 출력축(OUT)으로 전달될 때의 변속비보다 작아지기 시작하면, 그때부터는 동력이 상기 원웨이클러치(OWC)에서 차단되어, 상기 전달기어(TG)와 아이들러기어(IDG)를 통해서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상기 무단변속기구를 통해서만 동력이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3단 이상의 보다 작은 변속비를 가지는 변속단은 상기 무단변속기구의 연속적인 변속비 변화에 의해 무단으로 형성되어, 엔진이 차량의 고속 영역에서 항상 최적의 운전영역에서 운전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차량의 주행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보다 강한 토크가 요구되는 저속 영역, 즉, 본 실시예의 경우 1단 내지 3단 영역에서는 기어열을 통해 강한 토크의 원활한 전달이 가능하여 종래, 벨트식 무단변속기 등에서 발생하는 벨트 미끄러짐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토크의 크기가 작은 고속 영역에서는 무단변속기에 의한 연속적인 변속비로, 엔진이 최적의 운전상황에서 보다 많은 시간 동안 운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연비를 극대화하면서도 향상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변속기는 상기 무단변속기구(CVA)에 의한 3단 변속비보다 작은 변속비로부터 3단 변속비로 되면, 다른 어떤 조작도 없이 상기 원웨이클러치(OWC)에 의해 3단의 동력이 상기 원웨이클러치(OWC)와 전달기어(TG) 및 아이들러기어(IDG)를 통해 출력축(OUT)으로 전달되기 시작하여, 바로 기어열에 의한 주행모드가 형성되게 되어, 비교적 간단한 조작성을 가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상기 제1입력축(IN1)에는 2단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한 2단구동기어(D2)가 구비되고, 상기 카운터축(CS)에는 상기 2단구동기어(D2)에 치합되는 2단피동기어(P2)가 구비되며, 상기 제2입력축(IN2)에는 1단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한 1단구동기어(D1)가 구비되고, 상기 출력축(OUT)에는 상기 1단구동기어(D1)에 치합되는 1단피동기어(P1)가 회전이 구속된 상태로 구비되고, 3단구동기어(D3) 및 3단피동기어(P3)는 제거된 구성이다.
상기 카운터축(CS)에는 상기 2단피동기어(P2)를 카운터축(CS)에 연결하여 2단을 형성하거나 후진아이들러(RID)에 치합되어 후진단을 형성할 수 있도록 2&R단동기장치(2&RS)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카운터축(CS)에는 상기 아이들러기어(IDG)에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TG)가 구비되고, 상기 아이들러기어(IDG)는 상기 1단피동기어(P1)에 치합되어 상기 카운터축(CS)의 동력을 상기 출력축(OUT)으로 전달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웨이클러치(OWC)는 상기 전달기어(TG)와 카운터축(CS)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서는 제1클러치(CL1)를 해제한 상태에서 제2클러치(CL2)를 결합하면 1단 변속단이 형성되고, 상기 2&R단동기장치(2&RS)로 2단피동기어(P2)를 카운터축(CS)에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제1클러치(CL1)를 결합하면서 상기 제2클러치(CL2)를 해제하면 2단 변속단이 형성되며, 2단 변속비 보다 낮은 변속비는 상기 무단변속기구(CVA)에 의해 구현된다.
물론,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2단 변속비보다 변속비가 작아지면 상기 원웨이클러치(OWC)가 동력을 차단하고, 2단 변속비보다 작은 변속비로부터 2단 변속비가 되면 다시 상기 원웨이클러치(OWC)에 의해 동력 전달이 기어열을 통해 저절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클러치(CL2)를, 외부로부터 작용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동력원(E)의 동력을 상기 제2입력축(IN2)으로 전달하지 않도록 해제되어 있는 노멀 오픈 타입으로 하면, 차량의 주행시 상대적으로 사용 시간이 짧은 1단 변속비를 상기 제2클러치(CL2)의 체결에 의해 구현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제2클러치(CL2)의 작동에 소요되는 에너지의 저감으로 차량의 연비 향상에 도움을 주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3단구동기어(D3) 및 3단피동기어(P3)를 제거하여 변속기의 전체 길이를 더욱 짧게 구성할 수 있어서, 전기차량 등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공통인 구성 이외에, 상기 출력축(OUT)에 외접기어 연결 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된 중간축(IMS)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단변속기구(CVA)는 상기 동력원(E)과 직결된 제3입력축(IN3)과 상기 중간축(IMS)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입력축(IN1)에는 1단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한 1단구동기어(D1)가 구비되고, 상기 카운터축(CS)에는 상기 1단구동기어(D1)에 치합되는 1단피동기어(P1)가 구비되며, 상기 제2입력축(IN2)에는 2단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한 2단구동기어(D2)가 구비되고, 상기 출력축(OUT)에는 상기 2단구동기어(D2)에 치합되는 2단피동기어(P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카운터축(CS)에는 상기 아이들러기어(IDG)에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TG)가 구비되고, 상기 아이들러기어(IDG)는 상기 출력축(OUT)에 구비되어 상기 중간축(IMS)과 외접기어 방식으로 연결되는 중간기어(MG)에 치합되어 상기 카운터축(CS)의 동력을 상기 출력축(OUT)으로 전달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원웨이클러치(OWC)는 상기 2단피동기어(P2)와 출력축(OUT) 사이에 설치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카운터축(CS)에는 상기 1단피동기어(P1)를 상기 카운터축(CS)에 연결하여 1단 변속단을 형성하고, 후진아이들러(RID)에 치합되어 후진단을 형성할 수 있도록 1&R단동기장치(1&RS)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제3실시예는 상기 1&R단동기장치(1&RS)로 1단피동기어(P1)를 카운터축(CS)에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제1클러치(CL1)를 결합하면 1단 변속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1클러치(CL1)를 해제하면서 상기 제2클러치(CL2)를 결합하면 2단 변속단이 형성되고, 2단 변속비 보다 작은 변속비는 상기 무단변속기구(CVA)에 의해 구현하도록 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무단변속기구(CVA)에 의한 변속비로 동력이 전달되는 영역에서는 상기 원웨이클러치(OWC)에 의해 상기 출력축(OUT)과 2단피동기어(P2) 사이에는 동력이 차단되고, 2단 변속비 및 그 보다 높은 변속비인 1단 변속비 영역에서는 상기 원웨이클러치(OWC) 및 기어열을 통하여 동력이 출력축(OUT)으로 전달되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E; 동력원
IN1; 제1입력축
IN2; 제2입력축
CS; 카운터축
OUT; 출력축
CL1; 제1클러치
CL2; 제2클러치
IDG; 아이들러기어
CVA; 무단변속기구
OWC; 원웨이클러치
D1; 1단구동기어
D3; 3단구동기어
P1; 1단피동기어
P3; 3단피동기어
D2; 2단구동기어
P2; 2단피동기어
R; 링기어
TG; 전달기어
OG; 출력기어
1&3S; 1&3단동기장치
RID; 후진아이들러
2&RS; 2&R단동기장치
IMS; 중간축
IN3; 제3입력축
MG; 중간기어
1&RS; 1&R단동기장치

Claims (16)

  1. 서로 동심축을 이루어 배치되고 동일한 동력원(E)으로부터 각각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 제1입력축(IN1) 및 제2입력축(IN2)과;
    상기 제1입력축(IN1)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피동기어를 구비하여 변속단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카운터축(CS)과;
    상기 제2입력축(IN2)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피동기어를 구비하여 변속단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출력축(OUT)과;
    상기 동력원(E)의 회전력을 상기 제1입력축(IN1)에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1클러치(CL1)와;
    상기 동력원(E)의 회전력을 상기 제2입력축(IN2)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클러치(CL2)와;
    상기 카운터축(CS)의 회전력을 상기 출력축(OUT)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아이들러기어(IDG)와;
    상기 동력원(E)으로부터의 회전력을 상기 출력축(OUT)으로 무단으로 변속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된 무단변속기구(CVA)와;
    차량의 전진 방향 주행속도에 따라 상기 동력원(E)으로부터 상기 출력축(OUT)까지 상기 무단변속기구(CVA)를 통한 변속비가, 상기 동력원(E)으로부터 상기 출력축(OUT)까지 상기 제1입력축(IN1)과 카운터축(CS) 사이에 형성된 변속단 또는 상기 제2입력축(IN2)과 출력축(OUT) 사이에 형성된 변속단을 통한 변속비 보다 작아지는 경우, 상기 변속단을 통한 동력 전달을 저절로 차단하도록 설치된 원웨이클러치(OWC);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축(IN1)과 카운터축(CS) 사이 및 상기 제2입력축(IN2)과 출력축(OUT) 사이에 형성되는 변속단들은, 일련의 변속단이 제1입력축(IN1)과 카운터축(CS) 사이 및 상기 제2입력축(IN2)과 출력축(OUT) 사이에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단변속기구(CVA)는 상기 카운터축(CS)과 출력축(OUT) 사이에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축(IN1)에는 1단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한 1단구동기어(D1)와 3단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한 3단구동기어(D3)가 구비되고;
    상기 카운터축(CS)에는 상기 1단구동기어(D1)에 치합되는 1단피동기어(P1)와 상기 3단구동기어(D3)에 치합되는 3단피동기어(P3)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축(IN2)에는 2단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한 2단구동기어(D2)가 구비되고;
    상기 출력축(OUT)에는 상기 2단구동기어(D2)에 치합되는 2단피동기어(P2)가 회전이 구속된 상태로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축(CS)에는 상기 아이들러기어(IDG)에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TG)가 구비되고;
    상기 아이들러기어(IDG)는 상기 2단피동기어(P2)에 치합되어 상기 카운터축(CS)의 동력을 상기 출력축(OUT)으로 전달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클러치(OWC)는 상기 전달기어(TG)와 카운터축(CS) 사이에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축(IN1)에는 2단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한 2단구동기어(D2)가 구비되고;
    상기 카운터축(CS)에는 상기 2단구동기어(D2)에 치합되는 2단피동기어(P2)가 구비되며;
    상기 제2입력축(IN2)에는 1단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한 1단구동기어(D1)가 구비되고;
    상기 출력축(OUT)에는 상기 1단구동기어(D1)에 치합되는 1단피동기어(P1)가 회전이 구속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제2클러치(CL2)는 외부로부터 작용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동력원(E)의 동력을 상기 제2입력축(IN2)으로 전달하지 않도록 해제되어 있는 노멀 오픈 타입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축(CS)에는 상기 아이들러기어(IDG)에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TG)가 구비되고;
    상기 아이들러기어(IDG)는 상기 1단피동기어(P1)에 치합되어 상기 카운터축(CS)의 동력을 상기 출력축(OUT)으로 전달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클러치(OWC)는 상기 전달기어(TG)와 카운터축(CS) 사이에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OUT)에 외접기어 연결 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된 중간축(IMS)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단변속기구(CVA)는 상기 동력원(E)과 직결된 제3입력축(IN3)과 상기 중간축(IMS) 사이에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축(IN1)에는 1단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한 1단구동기어(D1)가 구비되고;
    상기 카운터축(CS)에는 상기 1단구동기어(D1)에 치합되는 1단피동기어(P1)가 구비되며;
    상기 제2입력축(IN2)에는 2단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한 2단구동기어(D2)가 구비되고;
    상기 출력축(OUT)에는 상기 2단구동기어(D2)에 치합되는 2단피동기어(P2)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축(CS)에는 상기 아이들러기어(IDG)에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TG)가 구비되고;
    상기 아이들러기어(IDG)는 상기 출력축(OUT)에 구비되어 상기 중간축(IMS)과 외접기어 방식으로 연결되는 중간기어(MG)에 치합되어 상기 카운터축(CS)의 동력을 상기 출력축(OUT)으로 전달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클러치(OWC)는 상기 2단피동기어(P2)와 출력축(OUT) 사이에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15. 청구항 1 내지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변속기구(CVA)는 벨트를 베리에이터로 사용하는 벨트식 무단변속기구(CVA)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16. 청구항 1 내지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변속기구(CVA)는 토로이달을 베리에이터로 사용하는 토로이달식 무단변속기구(CVA)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기.
KR1020140126600A 2014-09-23 2014-09-23 차량의 변속기 KR101611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600A KR101611078B1 (ko) 2014-09-23 2014-09-23 차량의 변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600A KR101611078B1 (ko) 2014-09-23 2014-09-23 차량의 변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636A KR20160035636A (ko) 2016-04-01
KR101611078B1 true KR101611078B1 (ko) 2016-04-11

Family

ID=55799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6600A KR101611078B1 (ko) 2014-09-23 2014-09-23 차량의 변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0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291B1 (ko) 2016-07-27 201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8041A (ja) * 2004-04-20 2005-11-04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動力伝達装置
JP2010144894A (ja) * 2008-12-22 2010-07-01 Honda Motor Co Ltd 動力伝達装置
WO2013175568A1 (ja) * 2012-05-22 2013-1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無段変速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8041A (ja) * 2004-04-20 2005-11-04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動力伝達装置
JP2010144894A (ja) * 2008-12-22 2010-07-01 Honda Motor Co Ltd 動力伝達装置
WO2013175568A1 (ja) * 2012-05-22 2013-1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無段変速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636A (ko) 2016-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0204B1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CN108071754B (zh) 车辆用变速器结构
KR10187804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변속기
KR101551004B1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변속기
KR10151929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파워트레인
KR10154316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파워트레인
KR101567647B1 (ko) 차량용 변속기
KR20190057981A (ko) 전기차량용 변속기
KR101683489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836659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변속기
WO2013175585A1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
US8806975B2 (en) Method for running a drive line
JP6023487B2 (ja) 車両の自動化手動変速機
KR20130138908A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
KR20210116722A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KR101755880B1 (ko) 전기차용 변속기
KR20160134967A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변속기
KR101339269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693937B1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변속기
KR101543086B1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KR101611078B1 (ko) 차량의 변속기
KR101755879B1 (ko) 전기차용 변속기
KR101684059B1 (ko) 차량용 변속기
KR20210116721A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KR101684060B1 (ko) 차량용 변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