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269B1 - 차량용 변속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269B1
KR101339269B1 KR1020120136464A KR20120136464A KR101339269B1 KR 101339269 B1 KR101339269 B1 KR 101339269B1 KR 1020120136464 A KR1020120136464 A KR 1020120136464A KR 20120136464 A KR20120136464 A KR 20120136464A KR 101339269 B1 KR101339269 B1 KR 101339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gear
shaft
speed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이창욱
박종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6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269B1/ko
Priority to JP2013237335A priority patent/JP6121312B2/ja
Priority to US14/092,009 priority patent/US924368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269B1/ko
Priority to US14/971,582 priority patent/US984108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5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with more than one output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16D23/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power being selectively transmitted by either one of the parallel flow pa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2003/082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t least one reverse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2003/082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wherein at least one gear on the input shaft, or on a countershaft is used for two different forward gear ratio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 F16H3/09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with two or more countershafts
    • F16H2003/0931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with two or more countershafts each countershaft having an output gear meshing with a single common gear on the output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56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seven forward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 F16H3/09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with two or more countershaf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33Plurality of counter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차량용 변속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장치는 제1 클러치와 제2 클러치로 이루어져 동력원의 회전동력을 단속하는 동력단속수단; 상기 제2 클러치를 개재시켜 동력원의 출력측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외주연상에 기어 잇수를 달리하는 제1, 제2, 제6 입력기어가 고정 배치되는 제1 입력축과, 상기 제1 클러치를 개재시켜 동력원의 출력측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외주연상에 기어 잇수를 달리하는 제3, 제4, 제5 입력기어가 고정 배치되는 제2 입력축을 포함하는 입력수단; 상기 제1, 제2 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출력축과, 상기 제1 출력축상에 배치되는 제1, 제2 싱크로나이저 기구를 포함하는 제1 변속출력기구와, 상기 제1, 제2 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출력축과, 상기 제2 출력축상에 배치되는 제3, 제4 싱크로나이저 기구를 포함하는 제2 변속출력기구를 포함하는 변속출력수단; 후진축상에 아이들 기어와 후진 입력기어를 보유하면서 상기 제1 출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아이들 기어가 상기 제1, 제2 입력축 상의 어느 한 입력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후진 입력기어가 상기 제1 출력축상에 배치되는 싱크로나이저 기구 중 어느 하나의 싱크로나이저 기구에 구성된 후진기어와 치합되는 후진변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싱크로나이저 기구에 형성되는 제2속 기어와 상기 제3 싱크로나이저 기구에 형성되는 제4속 기어가 상기 제1 입력축에 형성되는 제2 입력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제1 싱크로나이저 기구에 형성되는 제3속 기어와 상기 제4 싱크로나이저 기구에 형성되는 제7속 기어가 상기 제2 입력축에 형성되는 제3 입력기어와 치합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변속장치{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더블 클러치 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장을 최소화하여 탑재성을 향상시키고, 단간비의 왜곡을 방지하여 운전성 및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있어서의 친환경 기술은 미래 자동차 산업의 생존이 달린 핵심 기술로서, 자동차 메이커들은 환경 및 연비 규제를 달성하기 위한 친환경 자동차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상기 미래형 자동차 기술은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 자동차(EV : 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 Hybrid Electric Vehicle), 효율과 편의성을 향상시킨 더블 클러치 변속기(DCT : Double Clutch Transmission)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DCT는 자동 변속기내에 2개의 클러치 기구(clutch device)와, 기본적인 수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엔진으로부터 입력되는 회전력을 2개의 클러치를 이용하여 2개의 입력축에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상기한 기어 트레인을 이용하여 변속한 후 출력한다.
이러한 DCT는 5단 이상의 고단 변속기를 컴팩트(compact)하게 구현하기 위해 시도되고 있으며, 2개의 클러치와 동기치합기구(synchronizing device)들을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수동적인 변속을 불필요하게 하는 AMT(Auto Manual Transmission)로 구현되고 있다.
이에 따라 DCT는 유성기어 타입의 자동 변속기와 비교하여 동력전달 효율이 우수하고, 다단화에 따른 부품의 변경 및 추가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연비 규제와 다단화 효율의 중요성에 부응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각광을 받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장을 최소화하여 탑재성을 향상시키고, 단간비의 왜곡을 방지하여 운전성 및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변속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제1 클러치와 제2 클러치로 이루어져 동력원의 회전동력을 단속하는 동력단속수단; 상기 제2 클러치를 개재시켜 동력원의 출력측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외주연상에 기어 잇수를 달리하는 제1, 제2, 제6 입력기어가 고정 배치되는 제1 입력축과, 상기 제1 클러치를 개재시켜 동력원의 출력측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외주연상에 기어 잇수를 달리하는 제3, 제4, 제5 입력기어가 고정 배치되는 제2 입력축을 포함하는 입력수단; 상기 제1, 제2 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출력축과, 상기 제1 출력축상에 배치되는 제1, 제2 싱크로나이저 기구를 포함하는 제1 변속출력기구와, 상기 제1, 제2 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출력축과, 상기 제2 출력축상에 배치되는 제3, 제4 싱크로나이저 기구를 포함하는 제2 변속출력기구를 포함하는 변속출력수단; 후진축상에 아이들 기어와 후진 입력기어를 보유하면서 상기 제1 출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아이들 기어가 상기 제1, 제2 입력축 상의 어느 한 입력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후진 입력기어가 상기 제1 출력축상에 배치되는 싱크로나이저 기구 중 어느 하나의 싱크로나이저 기구에 구성된 후진기어와 치합되는 후진변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싱크로나이저 기구에 형성되는 제2속 기어와 상기 제3 싱크로나이저 기구에 형성되는 제4속 기어가 상기 제1 입력축에 형성되는 제2 입력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제1 싱크로나이저 기구에 형성되는 제3속 기어와 상기 제4 싱크로나이저 기구에 형성되는 제7속 기어가 상기 제2 입력축에 형성되는 제3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차량용 변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입력축은 중공축으로 이루어지며 외주상에 제6, 제1, 제2 입력기어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입력축은 실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입력축의 중공부를 회전 간섭 없이 관통하여 후측에 제3, 제5, 제4 입력기어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싱크로나이저 기구는 제3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제3속 기어와, 제5 입력기어와 치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싱크로나이저 기구는 제6 입력기어와 치합된 아이들 기어와 동력 연결되는 후진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후진기어와, 상기 제2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제2속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싱크로나이저 기구는 제1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제6속 기어와, 제2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제4속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싱크로나이저 기구는 제3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제7속 기어와, 제4 입력기어와 치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입력축은 실축으로 형성되어 후측부에 제6, 제1, 제2 입력기어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입력축은 중공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입력축의 전측부 외주측에 회전 간섭 없이 배치되어 제3, 제5, 제4 입력기어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제2속 및 제4속 기어가 제2 입력기어를 공유하고, 제3속 및 제7속 기어가 제3 입력기어를 공유한다.
이에 따라 전진 7속으로 다단화를 구현하면서도 입력축상의 입력기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입력축의 전장을 연장시킬 필요가 없게 되는 바, 변속기 전장의 증대로 인한 엔진룸의 레이아웃 변경 등 제반 설계 변경에 따른 비용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적 기어비가 차이가 큰 제2속 기어와 제4속 기어가 제2 입력기어를 공유하고, 제3속 기어와 제7속 기어가 제3 입력기어를 공유함으로써, 고속 영역에서의 단간비 왜곡을 방지하여 운전성 및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장치의 변속 작동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장치의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장치는 동력단속수단, 입력수단, 변속출력수단, 후진변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단속수단은 제1, 제2 클러치(first and second clutches)(CL1)(CL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클러치(CL1)와 제2 클러치(CL2)는 동력원인 엔진(ENG)의 회전력을 상기 제1, 제2 입력축(IS1)(IS2)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1 클러치(CL1)는 상기 제2 입력축(IS2)과 엔진(ENG)의 출력측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며, 제2 클러치(CL2)는 상기 제1 입력축(IS1)과 엔진(ENG)의 출력측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면서 동력 전달을 단속한다.
상기 동력단속수단을 형성하는 제1, 제2 클러치(CL1)(CL2)는 통상의 유체 다판 클러치로 이루어지며, 도시하지 않은 유압제어시스템에 의하여 작동 및 비작동 제어된다.
상기 입력수단은 제1, 제2 입력축(first and second input shafts)(IS1)(IS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입력축(IS1)은 중공축으로 이루어지며, 그 전단부가 상기 제2 클러치(CL2)를 개재시켜 엔진(ENG)의 출력측과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입력축(IS1)에는 전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6, 제1, 제2 입력기어(G6)(G1)(G2)가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제2 입력축(IS2)은 상기 제1 입력축(IS1)의 중공부를 회전 간섭 없이 관통하여 전단부가 상기 제1 클러치(CL1)를 개재시켜 엔진(ENG)의 출력측과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입력축(IS2)에는 제3, 제5, 제4 입력기어(G3)(G5)(G4)가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데, 이들 입력기어는 상기 제1 입력축(IS1)을 관통한 후측 부분에 위치하며, 전측에서 후측으로 제3, 제5, 제4 입력기어(G3)(G5)(G4)가 순차 배치된다.
상기에서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입력기어(G1)(G2)(G3)(G4)(G5)(G6)는 각 변속단별 입력기어로서, 제1 입력기어(G1)는 제6속의 입력기어로, 제2 입력기어(G2)는 제2속 및 제4속의 입력기어로, 제3 입력기어(G3)는 제3속 및 제7속의 입력기어로, 제4 입력기어(G4)는 제5속의 입력기어로, 제5 입력기어(G5)는 제1속의 입력기어로, 제6 입력기어(G6)는 후진속의 입력기어로 작용할 수 있도록 기어 잇수가 설정된다.
즉, 상기 제1 입력축(IS1)에는 짝수 변속단을 위한 입력기어가 형성되고, 제2 입력축(IS2)에는 홀수 변속단을 위한 입력기어가 형성된다.
상기 입력수단의 각 입력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변속을 행한 후 출력하는 상기 변속출력수단은 상기 제1, 제2 입력축(IS1)(IS2)과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제2 변속출력기구(OUT1)(OUT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변속출력기구(OUT1)는 상기 제1, 제2 입력축(IS1)(IS2)과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출력축(OS1)과, 제1속, 제3속 기어(D1)(D3)를 포함하는 제1 싱크로나이저 기구(SL1)와, 제2속 및 후진기어(D2)(RG)를 포함하는 제2 싱크로나이저 기구(SL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제1 싱크로나이저 기구(SL1)는 제1 출력축(OS1)의 후측에 배치되고, 제2 싱크로나이저 기구(SL2)는 제1 출력축(OS1)의 전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싱크로나이저 기구(SL1)를 형성하는 제1속 기어(D1)는 입력수단의 제5 입력기어(G5)와 치합되고, 제3속 기어(D3)는 제3 입력기어(G3)와 치합된다.
상기 제2 싱크로나이저 기구(SL2)를 형성하는 제2속 기어(D2)는 제2 입력기어(G2)와 치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변속출력기구(OUT1)를 통해 변속된 회전동력은 제1 출력축(OS1)의 전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출력기어(OG1)를 통해 공지의 디프렌셜 기구로 전달된다.
상기 제2 변속출력기구(OUT2)는 상기 제1, 제2 입력축(IS1)(IS2)과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출력축(OS2)과, 제6속 및 제4속 기어(D6)(D4)를 포함하는 제3 싱크로나이저 기구(SL3)와, 제7속 및 제5속 기어(D7)(D5)를 포함하는 제4 싱크로나이저 기구(SL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제3 싱크로나이저 기구(SL3)는 제2 출력축(OS2)의 전측에 배치되고, 제4 싱크로나이저 기구(SL4)는 제2 출력축(OS2)의 후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3 싱크로나이저 기구(SL3)를 형성하는 제6속 기어(D6)는 제1 입력기어(G1)와 치합되며, 제4속 기어(D4)는 제2 입력기어(G2)와 치합된다.
상기 제4 싱크로나이저 기구(SL4)를 형성하는 제7속 기어(D7)는 제3 입력기어(G3)와 치합되고, 제5속 기어(D5)는 제4 입력기어(G4)와 치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변속출력기구(OUT2)를 통해 변속된 회전동력은 제2 출력축(OS2)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제2 출력기어(OG2)를 통해 공지의 디프렌셜 기구로 전달된다.
상기 후진변속수단은 후진축(RS)과 일체로 형성되는 아이들 기어(ID)와 후진 입력기어(RIG)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아이들 기어(ID)는 제6 입력기어(G6)와 치합되고, 상기 후진 입력기어(RIG)는 후진기어(RG)와 치합되어 제1 입력축(IS1)의 회전시, 제6 입력기어(G6)의 회전력을 상기 후진기어(RG)에 역회전 전달하며, 역회전 변속된 회전동력은 제1 출력축(OS1)을 통해 공지의 디프렌셜 기구로 전달된다.
상기에서 제1, 제2, 제3, 제4 싱크로나이저 기구(SL1∼SL4)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제1, 제2, 제3, 제4 싱크로나이저 기구(SL1∼SL4)에 적용되는 각각의 슬리이브(SLE1)(SLE2)(SLE3)(SLE4)는 공지에서와 같이 미도시된 별도의 엑추에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엑추에이터는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변속을 실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변속장치의 변속 작동표이다.
[후진]
후진 변속단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제2 싱크로나이저 기구(SL2)의 슬리이브(SEL2)를 통해 제1 출력축(OS1)과 후진기어(RG)를 동기시킨 다음 제2 클러치(CL2)를 작동시키면 후진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진 1속]
전진 1속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싱크로나이저 기구(SL1)의 슬리이브(SEL1)를 통해 제1속 기어(D1)와 제1 출력축(OS1)을 동기시킨 다음, 제1 클러치(CL1)를 작동시키면 제1속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진 2속]
상기 제1속의 상태에서 차속의 증가하여 제2속으로 변속을 하고자 할 때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2 싱크로나이저 기구(SL2)의 슬리이브(SEL2)를 통해 제2속 기어(D2)와 제1 출력축(OS1)을 동기시킨 다음, 제1 클러치(CL1)의 작동을 해제하면서 제2 클러치(CL2)를 작동시키면 제2속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전진 2속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제1 싱크로나이저 기구(SL1)의 슬리이브(SEL1)를 중립의 상태로 이동시킨다.
[전진 3속]
상기 제2속의 상태에서 차속의 증가하여 제3속으로 변속을 하고자 할 때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싱크로나이저 기구(SL1)의 슬리이브(SEL1)를 통해 제3속 기어(D3)와 제1 출력축(OS1)을 동기시킨 다음, 제2 클러치(CL2)의 작동을 해제하면서 제1 클러치(CL1)를 작동시키면 제3속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전진 3속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제2 싱크로나이저 기구(SL2)의 슬리이브(SEL2)를 중립의 상태로 이동시킨다.
[전진 4속]
상기 제3속의 상태에서 차속의 증가하여 제4속으로 변속을 하고자 할 때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3 싱크로나이저 기구(SL3)의 슬리이브(SEL3)를 통해 제4속 기어(D4)와 제2 출력축(OS2)을 동기시킨 다음, 제1 클러치(CL1)의 작동을 해제하면서 제2 클러치(CL2)를 작동시키면 제4속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전진 4속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제1 싱크로나이저 기구(SL1)의 슬리이브(SEL1)를 중립의 상태로 이동시킨다.
[전진 5속]
상기 제4속의 상태에서 차속의 증가하여 제5속으로 변속을 하고자 할 때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4 싱크로나이저 기구(SL4)의 슬리이브(SEL4)를 통해 제5속 기어(D5)와 제2 출력축(OS2)을 동기시킨 다음, 제2 클러치(CL2)의 작동을 해제하면서 제1 클러치(CL1)를 작동시키면 제5속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전진 5속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제3 싱크로나이저 기구(SL3)의 슬리이브(SEL3)를 중립의 상태로 이동시킨다.
[전진 6속]
상기 제5속의 상태에서 차속의 증가하여 제6속으로 변속을 하고자 할 때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3 싱크로나이저 기구(SL3)의 슬리이브(SEL3)를 통해 제6속 기어(D6)와 제2 출력축(OS2)을 동기시킨 다음, 제1 클러치(CL1)의 작동을 해제하면서 제2 클러치(CL2)를 작동시키면 제6속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전진 6속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제4 싱크로나이저 기구(SL4)의 슬리이브(SEL4)를 중립의 상태로 이동시킨다.
[전진 7속]
상기 제6속의 상태에서 차속의 증가하여 제7속으로 변속을 하고자 할 때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4 싱크로나이저 기구(SL4)의 슬리이브(SEL4)를 통해 제7속 기어(D7)와 제2 출력축(OS2)을 동기시킨 다음, 제2 클러치(CL2)의 작동을 해제하면서 제1 클러치(CL1)를 작동시키면 제7속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전진 7속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제3 싱크로나이저 기구(SL3)의 슬리이브(SEL3)를 중립의 상태로 이동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변속장치에 의하면, 제2속 및 제4속 기어(D2)(D4)가 제2 입력기어(G2)를 공유하고, 제3속 및 제7속 기어(D3)(D7)가 제3 입력기어(G3)를 공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진 7속으로 다단화를 구현하면서도 입력축상의 입력기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입력축의 전장을 연장시킬 필요가 없게 되는 바, 변속기 전장의 증대로 인한 엔진룸의 레이아웃 변경 등, 제반 설계 변경에 따른 비용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변속단별 단간비는 높은 출력이 요구되는 저속영역에서 큰 폭으로 설정되고, 빠른 변속 및 운전 효율성이 요구되는 고속영역에서는 작은 폭으로 설정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기어비가 차이가 큰 제2속 기어(D2)와 제4속 기어(D4), 그리고 제3속 기어(D3)와 제7속 기어(D7)를 각각 제2 입력기어(G2)와 제3 입력기어(G3)에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고속 영역에서의 단간비 왜곡을 방지하여 운전성 및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짝수 변속단을 위한 제2, 제3 싱크로나이저 기구(SL2)(SL3)를 전측에 배치하고, 제2 실시예에서는 후측에 배치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실시예에서는 제2 입력축(IS2)이 중공축으로 형성되어 전측으로부터 제3, 제5, 제4 입력기어(G3)(G5)(G4)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제1 입력축(IS1)이 실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입력축(IS2)의 중공부 내측으로 관통되며, 후측에 제6, 제1, 제2 입력기어(G6)(G1)(G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출력축(OS1)에는 전측부에 제1 싱크로나이더 기구(SL1)가 배치되어 제3속 기어(D3)가 제3 입력기어(G3)와 입력되고, 제1속 기어(D1)가 제5 입력기어(G5)와 치합되며, 후측부에 제2 싱크로나이저 기구(SL2)가 배치되어 후진기어(RG)가 후진변속수단을 통해 제6 입력기어(G6)와 연결되고, 제2속 기어(D2)가 제2 입력기어(G2)와 치합된다.
또한, 제2 출력축(OS2)에는 전측부에 제4 싱크로나이더 기구(SL4)가 배치되어 제7속 기어(D7)가 제3 입력기어(G3)와 입력되고, 제5속 기어(D5)가 제4 입력기어(G4)와 치합되며, 후측부에 제3 싱크로나이저 기구(SL3)가 배치되어 제6속 기어(D6)가 제1 입력기어(G1)와 연결되고, 제4속 기어(D4)가 제2 입력기어(G2)와 치합된다.
상기와 같은 제 2실시예의 경우에는 구조적으로 많은 변경이 있으나, 제1 입력축(IS1)이 짝수 변속단에 관계하고, 제2 입력축(IS2)이 홀수 변속단에 관계한다는 것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제2속 및 제4속 기어(D2)(D4)가 제2 입력기어(G2)를 공유하고, 제3속 및 제7속 기어(D3)(D7)가 제3 입력기어(G3)를 공유하는 것도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변속 과정 또한 도 2와 동일하므로 그 구성 및 변속과정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하여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IS1... 제1 입력축
IS2... 제2 입력축
OS1... 제1 출력축
OS2... 제2 출력축
OG1... 제1 출력기어
OG2... 제2 출력기어
RS... 후진축
RG... 후진기어
RIG... 후진 입력기어
ID... 아이들 기어
CL1, CL2... 제1, 제2 클러치
D1,D2,D3,D4,D5,D6,D7... 제1,2,3,4,5,6,7속 기어
G1,G2,G3,G4,G5,G6... 제1,2,3,4,5,6 입력기어
SL1,SL2,SL3,SL4... 제1,2,3,4 싱크로나이저 기구

Claims (9)

  1. 제1 클러치와 제2 클러치로 이루어져 동력원의 회전동력을 단속하는 동력단속수단;
    상기 제2 클러치를 개재시켜 동력원의 출력측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외주연상에 기어 잇수를 달리하는 제1, 제2, 제6 입력기어가 고정 배치되는 제1 입력축과, 상기 제1 클러치를 개재시켜 동력원의 출력측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외주연상에 기어 잇수를 달리하는 제3, 제4, 제5 입력기어가 고정 배치되는 제2 입력축을 포함하는 입력수단;
    상기 제1, 제2 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출력축과, 상기 제1 출력축상에 배치되는 제1, 제2 싱크로나이저 기구를 포함하는 제1 변속출력기구와, 상기 제1, 제2 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출력축과, 상기 제2 출력축상에 배치되는 제3, 제4 싱크로나이저 기구를 포함하는 제2 변속출력기구를 포함하는 변속출력수단;
    후진축상에 아이들 기어와 후진 입력기어를 보유하면서 상기 제1 출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아이들 기어가 상기 제1, 제2 입력축 상의 어느 한 입력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후진 입력기어가 상기 제1 출력축상에 배치되는 싱크로나이저 기구 중 어느 하나의 싱크로나이저 기구에 구성된 후진기어와 치합되는 후진변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싱크로나이저 기구에 형성되는 제2속 기어와 상기 제3 싱크로나이저 기구에 형성되는 제4속 기어가 상기 제1 입력축에 형성되는 제2 입력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제1 싱크로나이저 기구에 형성되는 제3속 기어와 상기 제4 싱크로나이저 기구에 형성되는 제7속 기어가 상기 제2 입력축에 형성되는 제3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차량용 변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축은 중공축으로 이루어지며 외주상에 제6, 제1, 제2 입력기어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입력축은 실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입력축의 중공부를 회전 간섭 없이 관통하여 후측에 제3, 제5, 제4 입력기어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변속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싱크로나이저 기구는 제3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제3속 기어와, 제5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제1속 기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싱크로나이저 기구는 제6 입력기어와 치합된 아이들 기어와 동력 연결되는 후진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후진기어와, 상기 제2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제2속 기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싱크로나이저 기구는 제1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제6속 기어와, 제2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제4속 기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싱크로나이저 기구는 제3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제7속 기어와, 제4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제5속 기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축은 실축으로 형성되어 후측부에 제6, 제1, 제2 입력기어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입력축은 중공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입력축의 전측부 외주측에 회전 간섭 없이 배치되어 제3, 제5, 제4 입력기어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변속장치.
  8. 동력원의 출력측에 배치되어 동력 단속을 이루는 제1 클러치;
    동력원의 출력측에 배치되어 동력 단속을 이루는 제2 클러치;
    중공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 클러치를 개재시켜 동력원의 출력측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외주연상에 기어 잇수를 달리하는 제6, 제1, 제2 입력기어가 형성되는 제1 입력축;
    상기 제1 입력축의 중공부를 회전 간섭 없이 관통하여 전단부가 상기 제1 클러치를 개재시켜 동력원의 출력측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후측부 외주연상에 기어 잇수를 달리하는 제3, 제5, 제4 입력기어가 형성되는 제2 입력축;
    상기 제1, 제2 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제2 출력축;
    상기 제1 출력축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제3속 기어와, 상기 제5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제1속 기어를 포함하는 제1 싱크로나이저 기구;
    상기 제1 출력축상에 배치되어 제6 입력기어와 치합된 아이들 기어와 후진축으로 연결된 후진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후진기어와, 상기 제2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제2속 기어를 포함하는 제2 싱크로나이저 기구;
    상기 제1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제6속 기어와, 제2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제4속 기어를 포함하는 제3 싱크로나이저 기구;
    상기 제3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제7속 기어와, 제4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제5속 기어를 포함하는 제4 싱크로나이저 기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장치.
  9. 동력원의 출력측에 배치되어 동력 단속을 이루는 제1 클러치;
    동력원의 출력측에 배치되어 동력 단속을 이루는 제2 클러치;
    실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클러치를 개재시켜 동력원의 출력측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후측부에 기어 잇수를 달리하는 제6, 제1, 제2 입력기어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제1 입력축;
    중공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입력축의 전측부 외주측에 회전 간섭 없이 배치되며, 외주측에 기어 잇수를 달리하는 제3, 제5, 제4 입력기어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제2 입력축;
    상기 제1, 제2 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제2 출력축;
    상기 제1 출력축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제3속 기어와, 상기 제5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제1속 기어를 포함하는 제1 싱크로나이저 기구;
    상기 제1 출력축상에 배치되어 제6 입력기어에 치합된 아이들 기어와 후진축으로 연결된 후진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후진기어와, 상기 제2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제2속 기어를 포함하는 제2 싱크로나이저 기구;
    상기 제1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제6속 기어와, 제2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제4속 기어를 포함하는 제3 싱크로나이저 기구;
    상기 제3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제7속 기어와, 제4 입력기어와 치합되는 제5속 기어를 포함하는 제4 싱크로나이저 기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장치.
KR1020120136464A 2012-11-28 2012-11-28 차량용 변속장치 KR101339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464A KR101339269B1 (ko) 2012-11-28 2012-11-28 차량용 변속장치
JP2013237335A JP6121312B2 (ja) 2012-11-28 2013-11-15 車両用変速装置
US14/092,009 US9243687B2 (en) 2012-11-28 2013-11-27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for vehicle
US14/971,582 US9841080B2 (en) 2012-11-28 2015-12-16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464A KR101339269B1 (ko) 2012-11-28 2012-11-28 차량용 변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9269B1 true KR101339269B1 (ko) 2013-12-09

Family

ID=4998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464A KR101339269B1 (ko) 2012-11-28 2012-11-28 차량용 변속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243687B2 (ko)
JP (1) JP6121312B2 (ko)
KR (1) KR10133926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52787C1 (ru) * 2014-03-03 2015-06-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аши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МАМИ)" Преселективная коробка передач
KR101582604B1 (ko) * 2015-12-08 2016-01-05 주식회사 세일정밀 차량용 하이브리드 변속장치
KR20160000954A (ko) * 2014-06-25 2016-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
KR20160096771A (ko) * 2015-02-05 2016-08-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
US9810317B2 (en) 2015-10-26 2017-11-07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of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5696B2 (en) * 2004-03-05 2007-06-05 Daimlerchrysler Ag Double clutch transmission
US20110023638A1 (en) * 2008-03-31 2011-02-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Gear arrangements for 7-speed dual clutch transmission
KR101034890B1 (ko) * 2010-05-13 2011-05-17 주식회사 로보멕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시프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53014A1 (de) 2001-10-26 2003-05-08 Volkswagen Ag Lagerung der Eingangswellen eines Doppelkupplungsgetriebes
DE10305241A1 (de) 2003-02-08 2004-09-23 Zf Friedrichshafen Ag Sechs- oder siebengängiges Doppelkupplungsgetriebe
KR100569140B1 (ko) * 2003-12-10 200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중 클러치 변속기
KR100569141B1 (ko) * 2003-12-10 200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중 클러치 변속기
DE102004001278B4 (de) 2004-01-07 2015-08-13 Volkswagen Ag Doppelkupplungsgetrieb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4056936B4 (de) * 2004-11-23 2011-02-03 Getrag Getriebe- Und Zahnradfabrik Hermann Hagenmeyer Gmbh & Cie Kg Stufenwechselgetriebe für ein Kraftfahrzeug
JP4809629B2 (ja) * 2005-05-25 2011-11-09 アイシン・エーアイ株式会社 変速操作装置
JP2007332991A (ja) * 2006-06-12 2007-12-27 Aisin Ai Co Ltd 歯車変速装置
JP2007331654A (ja) * 2006-06-16 2007-12-27 Aisin Ai Co Ltd パーキングロック機能を備えた歯車変速装置
EP2060827B1 (de) * 2007-11-14 2011-09-07 Getrag Ford Transmissions GmbH Verwendung eines Doppelkupplungsgetriebes in zwei Getriebevarianten
KR100957146B1 (ko) * 2007-12-03 2010-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더블 클러치 변속기
JP5128408B2 (ja) * 2008-07-31 2013-01-23 アイシン・エーアイ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方法
JP2011089624A (ja) * 2009-10-26 2011-05-06 Honda Motor Co Ltd 変速機におけるライン圧制御装置
KR101181746B1 (ko) 2011-01-25 2012-09-11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더블 클러치 변속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5696B2 (en) * 2004-03-05 2007-06-05 Daimlerchrysler Ag Double clutch transmission
US20110023638A1 (en) * 2008-03-31 2011-02-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Gear arrangements for 7-speed dual clutch transmission
KR101034890B1 (ko) * 2010-05-13 2011-05-17 주식회사 로보멕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시프트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52787C1 (ru) * 2014-03-03 2015-06-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аши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МАМИ)" Преселективная коробка передач
KR20160000954A (ko) * 2014-06-25 2016-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
KR101601439B1 (ko) * 2014-06-25 2016-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
KR20160096771A (ko) * 2015-02-05 2016-08-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
KR101664656B1 (ko) 2015-02-05 2016-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
US9670991B2 (en) 2015-02-05 2017-06-06 Hyundai Motor Company Transmission for vehicle
US9810317B2 (en) 2015-10-26 2017-11-07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of vehicle
KR101582604B1 (ko) * 2015-12-08 2016-01-05 주식회사 세일정밀 차량용 하이브리드 변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44265A1 (en) 2014-05-29
JP6121312B2 (ja) 2017-04-26
US9243687B2 (en) 2016-01-26
US20160102733A1 (en) 2016-04-14
JP2014105864A (ja) 2014-06-09
US9841080B2 (en) 201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059B1 (ko) 더블 클러치 변속기
KR101459483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416405B1 (ko) 차량용 변속장치
JP2016070481A (ja) 車両用変速装置
KR101500354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483694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807149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294089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807147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063506B1 (ko) 자동차의 더블 클러치 변속기
KR101916064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20160043592A (ko) 차량의 변속장치
KR101744819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846871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416424B1 (ko) 자동차의 더블 클러치 변속기
KR101339269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416377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836281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484231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338458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294090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655149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2394560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500390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448792B1 (ko) 차량용 변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