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880B1 - 전기차용 변속기 - Google Patents

전기차용 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880B1
KR101755880B1 KR1020150154590A KR20150154590A KR101755880B1 KR 101755880 B1 KR101755880 B1 KR 101755880B1 KR 1020150154590 A KR1020150154590 A KR 1020150154590A KR 20150154590 A KR20150154590 A KR 20150154590A KR 101755880 B1 KR101755880 B1 KR 101755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input shaft
counter shaft
shaft
drive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2804A (ko
Inventor
어순기
손우철
권순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4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880B1/ko
Publication of KR20170052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 F16H3/09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with two or more counter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1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with one or more one-way clutches as an essential fe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with means for synchronisation not incorporated in th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 전기차용 변속기는 모터로부터 직접 동력을 전달받는 제1입력축과; 상기 모터로부터 클러치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설치된 제2입력축과; 상기 제1입력축 및 제2입력축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1카운터축 및 제2카운터축과; 상기 제1입력축 또는 제2입력축에 하나의 기어가 구비되고, 이에 치합되는 다른 기어를 상기 제1카운터축 또는 제2카운터축에 구비하여 각각 하나의 변속단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변속기어쌍과; 상기 제1입력축을 통과하는 동력은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제1카운터축을 향하는 방향과,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제2카운터축을 향한 방향으로만 전달되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일방향클러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전기차용 변속기{TRANSMISSION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차용 변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기치합 방식 메커니즘을 사용한 전기차용 변속기의 구성에 관한 기술이다.
전기차에 변속기를 사용함으로써, 전기차의 구동원인 모터의 용량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차량에서 원하는 동력 성능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의 용량 저감을 통한 비용절감을 도모하면서도 차량에 필요한 동력 성능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변속기의 구성은 가급적 간단하면서도 높은 동력 전달 효율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변속 품질 또한 우수해야 한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3-0074696 A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과 높은 동력 전달 효율을 가지면서도, 변속 품질이 우수하여, 전기차의 모터 용량 저감을 통한 비용 저감을 가능케 하면서도, 차량에서 필요로 하는 동력성능을 충족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전기차용 변속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전기차용 변속기는,
모터로부터 직접 동력을 전달받는 제1입력축과;
상기 모터로부터 클러치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설치된 제2입력축과;
상기 제1입력축 및 제2입력축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1카운터축 및 제2카운터축과;
상기 제1입력축 또는 제2입력축에 하나의 기어가 구비되고, 이에 치합되는 다른 기어를 상기 제1카운터축 또는 제2카운터축에 구비하여 각각 하나의 변속단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변속기어쌍과;
상기 제1입력축을 통과하는 동력은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제1카운터축을 향하는 방향과,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제2카운터축을 향한 방향으로만 전달되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일방향클러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변속기어쌍 중, 상기 제1입력축에 한 기어가 설치된 하나의 변속기어쌍과, 상기 제2입력축에 한 기어가 설치된 하나의 변속기어쌍은 동일한 변속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변속기어쌍은
상기 제1입력축에 구비된 1단구동기어와 제1카운터축에 구비된 1단피동기어로 구성되어 1단변속단을 구현하는 제1변속기어쌍과;
상기 제1입력축에 구비된 주2단구동기어와 제2카운터축에 구비된 주2단피동기어로 구성되어 2단변속단을 구현하는 제2변속기어쌍과;
상기 제2입력축에 구비된 부2단구동기어와 제2카운터축에 구비된 부2단피동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제2변속기어쌍과 동일한 변속비를 구현하는 제3변속기어쌍과;
상기 제2입력축에 구비된 3단구동기어와 제1카운터축에 구비된 3단피동기어로 구성되어 3단변속단을 구현하는 제4변속기어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상기 제1카운터축에 설치되어 상기 1단피동기어를 제1카운터축에 연결하는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1단동기장치와;
상기 제2카운터축에 설치되어 상기 주2단피동기어를 제2카운터축에 연결하는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주2단동기장치와;
상기 제2카운터축에 설치되어 상기 부2단피동기어를 제2카운터축에 연결하는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부2단동기장치와;
상기 제1카운터축에 설치되어 상기 3단피동기어를 제1카운터축에 연결하는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3단동기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방향클러치는
상기 1단동기장치의 허브와 상기 제1카운터축 사이에서 상기 허브로부터 상기 제1카운터축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주2단동기장치의 허브와 상기 제2카운터축 사이에서 상기 허브로부터 상기 제2카운터축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일방향클러치는
상기 제1입력축과 1단구동기어 사이에서 상기 제1입력축으로부터 상기 1단구동기어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1입력축과 주2단구동기어 사이에서 상기 제1입력축으로부터 상기 주2단구동기어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일방향클러치는
상기 모터와 제1입력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로부터 제1입력축을 향한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3단동기장치는 상기 3단피동기어와 1단피동기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1단피동기어를 상기 제1카운터축에 연결하는 상태도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상기 제1입력축에 설치되어 상기 1단구동기어 또는 주2단구동기어를 제1입력축에 연결하는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1&2단동기장치와;
상기 제2카운터축에 설치되어 상기 부2단피동기어를 제2카운터축에 연결하는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부2단동기장치와;
상기 제1카운터축에 설치되어 상기 3단피동기어를 제1카운터축에 연결하는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3단동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방향클러치는
상기 제1입력축과 1&2단동기장치의 허브 사이에서 상기 제1입력축으로부터 허브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축에는 상기 1단구동기어를 제1입력축에 연결시켜 후진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후진동기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방향클러치는 상기 모터와 제1입력축 사이에서 상기 모터로부터 제1입력축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일방향클러치는
상기 1단피동기어와 제1카운터축 사이에서 상기 1단피동기어로부터 제1카운터축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주2단피동기어와 제2카운터축 사이에서 상기 주2단피동기어로부터 제2카운터축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과 높은 동력 전달 효율을 가지면서도, 변속 품질이 우수하여, 전기차의 모터 용량 저감을 통한 비용 저감을 가능케 하면서도, 차량에서 필요로 하는 동력성능을 충족시켜 줄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변속기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10은 도 1의 변속기의 변속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11과 도 12는 도 1의 변속기로 후진 변속단을 구현하는 방법을 각각 예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변속기의 제2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변속기의 제3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변속기의 제4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변속기의 제5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변속기의 제6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전기차용 변속기의 실시예는, 모터(M)로부터 직접 동력을 전달받는 제1입력축(IN1)과; 상기 모터(M)로부터 클러치(C)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설치된 제2입력축(IN2)과; 상기 제1입력축(IN1) 및 제2입력축(IN2)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1카운터축(CN1) 및 제2카운터축(CN2)과; 상기 제1입력축(IN1) 또는 제2입력축(IN2)에 하나의 기어가 구비되고, 이에 치합되는 다른 기어를 상기 제1카운터축(CN1) 또는 제2카운터축(CN2)에 구비하여 각각 하나의 변속단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변속기어쌍과; 상기 제1입력축(IN1)을 통과하는 동력은 상기 모터(M)로부터 상기 제1카운터축(CN1)을 향하는 방향과, 상기 모터(M)로부터 상기 제2카운터축(CN2)을 향한 방향으로만 전달되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일방향클러치(OW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변속기어쌍 중, 상기 제1입력축(IN1)에 한 기어가 설치된 하나의 변속기어쌍과, 상기 제2입력축(IN2)에 한 기어가 설치된 하나의 변속기어쌍은 동일한 변속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의 변속기어쌍은 상기 제1입력축(IN1)에 구비된 1단구동기어(D1)와 제1카운터축(CN1)에 구비된 1단피동기어(P1)로 구성되어 1단변속단을 구현하는 제1변속기어쌍(GP1)과; 상기 제1입력축(IN1)에 구비된 주2단구동기어(MD2)와 제2카운터축(CN2)에 구비된 주2단피동기어(MP2)로 구성되어 2단변속단을 구현하는 제2변속기어쌍(GP2)과; 상기 제2입력축(IN2)에 구비된 부2단구동기어(SD2)와 제2카운터축(CN2)에 구비된 부2단피동기어(SP2)로 구성되어 상기 제2변속기어쌍(GP2)과 동일한 변속비를 구현하는 제3변속기어쌍(GP3)과; 상기 제2입력축(IN2)에 구비된 3단구동기어(D3)와 제1카운터축(CN1)에 구비된 3단피동기어(P3)로 구성되어 3단변속단을 구현하는 제4변속기어쌍(GP4)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입력축(IN1)에 한 기어가 설치된 상기 제2변속기어쌍(GP2)과, 상기 제2입력축(IN2)에 한 기어가 설치된 상기 제3변속기어쌍(GP3)이 동일한 변속비인 2단변속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카운터축(CN1)과 제2카운터축(CN2)에는 각각 제1출력기어(OG1)와 제2출력기어(0G2)가 구비되어, 이들 제1출력기어(OG1)와 제2출력기어(OG2)는 도시되지 않은 디퍼렌셜의 링기어에 함께 치합되어 동력을 차량의 구동륜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입력축(IN1)을 통하는 모터(M)의 동력은 상기 제1카운터축(CN1) 또는 제2카운터축(CN2)을 통해 궁극적으로 상기 구동륜으로 전달되되, 상기 일방향클러치(OWC)에 의해 그 반대방향으로의 동력 전달은 불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입력축(IN2)을 통하는 모터(M)의 동력은 상기 제1카운터축(CN1) 또는 제2카운터축(CN2)을 통해 구동륜으로 전달되되, 상기 클러치(C)에 의해 단속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2입력축(IN2)은 상기 제1입력축(IN1)과 동심축을 이루며, 상기 제1입력축(IN1)의 외측에 삽입된 중공축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1카운터축(CN1)에 설치되어 상기 1단피동기어(P1)를 제1카운터축(CN1)에 연결하는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1단동기장치(S1)와; 상기 제2카운터축(CN2)에 설치되어 상기 주2단피동기어(MP2)를 제2카운터축(CN2)에 연결하는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주2단동기장치(S2)와; 상기 제2카운터축(CN2)에 설치되어 상기 부2단피동기어(SP2)를 제2카운터축(CN2)에 연결하는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부2단동기장치(S2')와; 상기 제1카운터축(CN1)에 설치되어 상기 3단피동기어(P3)를 제1카운터축(P3)에 연결하는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3단동기장치(S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은 도 13의 제2실시예와 도 14의 제3실시예에서도 공통된 구성이다.
도 1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일방향클러치(OWC)는 상기 1단동기장치(S1)의 허브(H)와 상기 제1카운터축(CN1) 사이에서 상기 허브(H)로부터 상기 제1카운터축(CN1)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주2단동기장치(S2)의 허브(H)와 상기 제2카운터축(CN2) 사이에서 상기 허브(H)로부터 상기 제2카운터축(CN2)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된 구성이다.
도 13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일방향클러치(OWC)는 상기 제1입력축(IN1)과 1단구동기어(D1) 사이에서 상기 제1입력축(IN1)으로부터 상기 1단구동기어(D1)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입력축(IN1)과 주2단구동기어(MD2) 사이에서 상기 제1입력축(IN1)으로부터 상기 주2단구동기어(MD2)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된 구성이다.
도 14의 제3실시예에서, 상기 일방향클러치(OWC)는 상기 모터(M)와 제1입력축(IN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M)로부터 제1입력축(IN1)을 향한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된 구성이다.
참고로, 도 11은 도 1의 구성에 추가로, 상기 제1카운터축(CN1)에 후진동기장치(SR)를 구비하여, 상기 1단피동기어(P1)를 제1카운터축(CN1)에 연결한 상태에서 모터(M)의 역전에 의해 후진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도 12는 도 1의 구성에서 상기 1단동기장치(S1)의 위치를 상기 1단피동기어(P1)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3단동기장치(S3)가 상기 3단피동기어(P3)와 1단피동기어(P1) 사이에서, 상기 1단피동기어(P1)를 상기 제1카운터축(CN1)에 연결하는 상태도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3단동기장치(S3)가 상기 1단피동기어(P1)를 제1카운터축(CN1)에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M)를 역전시켜서 후진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5 내지 도 17의 제4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는 동기장치들의 구성이 다소 상이하다.
즉, 제4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는 상기 제1입력축(IN1)에 설치되어 상기 1단구동기어(D1) 또는 주2단구동기어(MD2)를 제1입력축(IN1)에 연결하는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1&2단동기장치(S1&2)와; 상기 제2카운터축(CN2)에 설치되어 상기 부2단피동기어(SP2)를 제2카운터축(CN2)에 연결하는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부2단동기장치(S2')와; 상기 제1카운터축(CN1)에 설치되어 상기 3단피동기어(P3)를 제1카운터축(CN1)에 연결하는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3단동기장치(S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입력축(IN1)에는 상기 1단구동기어(D1)를 제1입력축(IN1)에 연결시켜 후진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후진동기장치(SR)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도 15의 제4실시예에서는, 상기 일방향클러치(OWC)는 상기 제1입력축(IN1)과 1&2단동기장치(S1&2)의 허브(H) 사이에서 상기 제1입력축(IN1)으로부터 허브(H)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이다.
도 16의 제5실시예에서는, 상기 일방향클러치(OWC)는 상기 모터(M)와 제1입력축(IN1) 사이에서 상기 모터(M)로부터 제1입력축(IN1)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된 구성이다.
도 17의 제6실시예에서는, 상기 일방향클러치(OWC)는 상기 1단피동기어(P1)와 제1카운터축(CN1) 사이에서 상기 1단피동기어(P1)로부터 제1카운터축(CN1)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주2단피동기어(MP2)와 제2카운터축(CN2) 사이에서 상기 주2단피동기어(MP2)로부터 제2카운터축(CN2)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된 구성이다.
이상의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술적 사상을 가지고 있으며, 본 발명을 적용하고자 하는 차량의 형식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범위의 변형례이다.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의 구성으로,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속과정을 살펴본다.
도 2는 정차상태에서 주행을 시작하기 위해 1단동기장치(S1)로 1단피동기어(P1)를 제1카운터축(CN1)에 연결시킨 상태이다.
도 3은 도 2의 상태로부터 모터(M)를 구동하면, 상기 모터(M)의 회전력이 상기 제1입력축(IN1)과 1단구동기어(D1), 1단피동기어(P1), 및 1단동기장치(S1)를 통해 상기 제1카운터축(CN1)으로 출력되어 1단 주행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도 3의 상태로부터 2단 변속단으로의 변속을 위해 부2단동기장치(S2')를 작동하여, 부2단피동기어(SP2)를 상기 제2카운터축(CN2)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4의 상태로부터 상기 클러치(C)를 결합한 것으로서, 모터(M)의 동력은 상기 클러치(C)를 통해 제2입력축(IN2)과 부2단구동기어(SD2), 부2단피동기어(SP2) 및 부2단동기장치(S2')를 통해 상기 제2카운터축(CN2)으로 출력되어 2단 주행이 이루어지는 상태이다.
이때 상기 부2단동기장치(S2')를 통한 2단의 동력은 디퍼렌셜로부터 상기 제1카운터축(CN1)을 통해 역으로 상기 1단피동기어(P1)로는 전달되지 않는데, 이는 상기 1단동기장치(S1)에 구비된 상기 일방향클러치(OWC)에 의한 것이다.
즉, 상기 일방향클러치(OWC)는 모터(M)로부터의 동력이 상기 제2입력축(IN2)을 통해서 변속되어 전달되는 동안에는, 그 동력이 상기 제1출력기어(OG1) 및 제2출력기어(OG2)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디퍼렌셜로부터, 역으로 상기 제1입력축(IN1)을 통해 모터(M)에 이르게 되는 인터록 상황을 방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4의 상태로부터 도 5와 같이 상기 클러치(C)를 체결하는 것만으로 1단으로부터 2단으로 부드럽게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로부터, 이제는 동력전달을 하지 않는 1단변속단을 해제한 것으로서, 상기 1단동기장치(S1)를 중립상태로 전환한 것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로부터 3단으로의 변속을 위해 상기 주2단동기장치(S2)로 주2단피동기어(MP2)를 상기 제2카운터축(CN2)에 결합한다.
도 8은 도 7의 상태로부터 상기 클러치(C)를 해제하고 부2단동기장치(S2')를 해제한 것으로, 이 상태에서도 상기 주2단동기장치(S2)와 주2단구동기어(MD2) 및 주2단피동기어(MP2)에 의해 2단의 주행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도 9는 상기 3단동기장치(S3)로 3단피동기어(P3)를 상기 제1카운터축(CN1)에 연결한 것으로서, 이 작동은 상기 클러치(C)가 해제되어 있어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C)를 체결한 것으로서, 상기 클러치(C)를 통한 모터(M)의 동력은 상기 3단구동기어(D3) 및 3단피동기어(P3)를 통해 3단으로 변속되어 상기 제1카운터축(CN1)을 통해 인출되는 상태로서, 차량은 3단 주행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은 1단주행상태로부터 2단주행상태를 거쳐 3단주행상태로 변속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시치합식 변속메커니즘의 고질적인 문제인 토크인터럽션이 발생하지 않아, 구동륜으로 지속적인 구동토크의 전달이 가능해서, 변속 품질 및 차량의 구동성능이 향상된다.
물론, 본 발명은 상시치합식 변속메커니즘을 기본으로 하므로, 종래 토크컨버터를 사용하는 자동변속기에 비해 그 동력 전달 효율이 크게 높아, 차량의 연비 향상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IN1; 제1입력축
IN2; 제2입력축
CN1; 제1카운터축
CN2; 제2카운터축
GP1; 제1기어쌍
GP2; 제2기어쌍
GP3; 제3기어쌍
GP4; 제4기어쌍
C; 클러치
OWC; 원웨이클러치
S1; 1단동기장치
S2; 주2단동기장치
S2'; 부2단동기장치
S3; 3단동기장치

Claims (12)

  1. 모터로부터 직접 동력을 전달받는 제1입력축과;
    상기 모터로부터 클러치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설치된 제2입력축과;
    상기 제1입력축 및 제2입력축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1카운터축 및 제2카운터축과;
    상기 제1입력축 또는 제2입력축에 하나의 기어가 구비되고, 이에 치합되는 다른 기어를 상기 제1카운터축 또는 제2카운터축에 구비하여 각각 하나의 변속단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변속기어쌍과;
    상기 제1입력축을 통과하는 동력은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제1카운터축을 향하는 방향과,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제2카운터축을 향한 방향으로만 전달되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일방향클러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변속기어쌍 중, 상기 제1입력축에 한 기어가 설치된 하나의 변속기어쌍과, 상기 제2입력축에 한 기어가 설치된 하나의 변속기어쌍은 동일한 변속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변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변속기어쌍은
    상기 제1입력축에 구비된 1단구동기어와 제1카운터축에 구비된 1단피동기어로 구성되어 1단변속단을 구현하는 제1변속기어쌍과;
    상기 제1입력축에 구비된 주2단구동기어와 제2카운터축에 구비된 주2단피동기어로 구성되어 2단변속단을 구현하는 제2변속기어쌍과;
    상기 제2입력축에 구비된 부2단구동기어와 제2카운터축에 구비된 부2단피동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제2변속기어쌍과 동일한 변속비를 구현하는 제3변속기어쌍과;
    상기 제2입력축에 구비된 3단구동기어와 제1카운터축에 구비된 3단피동기어로 구성되어 3단변속단을 구현하는 제4변속기어쌍;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변속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카운터축에 설치되어 상기 1단피동기어를 제1카운터축에 연결하는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1단동기장치와;
    상기 제2카운터축에 설치되어 상기 주2단피동기어를 제2카운터축에 연결하는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주2단동기장치와;
    상기 제2카운터축에 설치되어 상기 부2단피동기어를 제2카운터축에 연결하는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부2단동기장치와;
    상기 제1카운터축에 설치되어 상기 3단피동기어를 제1카운터축에 연결하는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3단동기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변속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클러치는
    상기 1단동기장치의 허브와 상기 제1카운터축 사이에서 상기 허브로부터 상기 제1카운터축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주2단동기장치의 허브와 상기 제2카운터축 사이에서 상기 허브로부터 상기 제2카운터축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변속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클러치는
    상기 제1입력축과 1단구동기어 사이에서 상기 제1입력축으로부터 상기 1단구동기어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입력축과 주2단구동기어 사이에서 상기 제1입력축으로부터 상기 주2단구동기어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변속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클러치는
    상기 모터와 제1입력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로부터 제1입력축을 향한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변속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3단동기장치는 상기 3단피동기어와 1단피동기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1단피동기어를 상기 제1카운터축에 연결하는 상태도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변속기.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축에 설치되어 상기 1단구동기어 또는 주2단구동기어를 제1입력축에 연결하는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1&2단동기장치와;
    상기 제2카운터축에 설치되어 상기 부2단피동기어를 제2카운터축에 연결하는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부2단동기장치와;
    상기 제1카운터축에 설치되어 상기 3단피동기어를 제1카운터축에 연결하는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3단동기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변속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클러치는
    상기 제1입력축과 1&2단동기장치의 허브 사이에서 상기 제1입력축으로부터 허브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변속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축에는 상기 1단구동기어를 제1입력축에 연결시켜 후진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후진동기장치가 더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변속기.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클러치는 상기 모터와 제1입력축 사이에서 상기 모터로부터 제1입력축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변속기.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클러치는
    상기 1단피동기어와 제1카운터축 사이에서 상기 1단피동기어로부터 제1카운터축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주2단피동기어와 제2카운터축 사이에서 상기 주2단피동기어로부터 제2카운터축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변속기.

KR1020150154590A 2015-11-04 2015-11-04 전기차용 변속기 KR101755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590A KR101755880B1 (ko) 2015-11-04 2015-11-04 전기차용 변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590A KR101755880B1 (ko) 2015-11-04 2015-11-04 전기차용 변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804A KR20170052804A (ko) 2017-05-15
KR101755880B1 true KR101755880B1 (ko) 2017-07-10

Family

ID=58739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590A KR101755880B1 (ko) 2015-11-04 2015-11-04 전기차용 변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8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6976A (zh) * 2018-11-07 2019-02-19 柳州惠林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有倒档第四齿轮单向传动两档自动变速器
CN109281997A (zh) * 2018-11-07 2019-01-29 柳州惠林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无倒挡第二齿轮单向传动两挡自动变速器
CN109356977A (zh) * 2018-11-07 2019-02-19 柳州惠林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无倒档第四齿轮单向传动两档自动变速器
CN109236956A (zh) * 2018-11-07 2019-01-18 柳州惠林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有倒挡第二齿轮单向传动两挡自动变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0418B2 (en) 2003-06-25 2005-04-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controlling speed ratio changes in a layshaft automatic transmission having power-on shifting
JP2006275115A (ja) 2005-03-28 2006-10-12 Daihatsu Motor Co Ltd 歯車式変速装置
JP2013119882A (ja) 2011-12-06 2013-06-17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変速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0418B2 (en) 2003-06-25 2005-04-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controlling speed ratio changes in a layshaft automatic transmission having power-on shifting
JP2006275115A (ja) 2005-03-28 2006-10-12 Daihatsu Motor Co Ltd 歯車式変速装置
JP2013119882A (ja) 2011-12-06 2013-06-17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変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804A (ko) 201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929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파워트레인
KR101567647B1 (ko) 차량용 변속기
KR101551004B1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변속기
KR101500204B1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KR10154316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파워트레인
KR101755880B1 (ko) 전기차용 변속기
KR10187804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변속기
KR101611056B1 (ko) 자동화 수동 변속기
KR101550984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KR101509982B1 (ko) 차량용 dct 구조
WO2014192753A1 (ja) 無段変速機
KR101637687B1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변속기
KR20160096771A (ko) 차량용 변속기
KR101558688B1 (ko) 차량의 변속기
KR101693937B1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변속기
KR101755879B1 (ko) 전기차용 변속기
KR20160134967A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변속기
KR101339269B1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543086B1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KR20210031579A (ko)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KR101550983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KR101293297B1 (ko) 자동화 수동변속기
KR101371721B1 (ko) 자동화 수동 변속기
KR101611078B1 (ko) 차량의 변속기
KR20200016046A (ko) 차량용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