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2305A -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 Google Patents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2305A
KR20130102305A KR1020120023450A KR20120023450A KR20130102305A KR 20130102305 A KR20130102305 A KR 20130102305A KR 1020120023450 A KR1020120023450 A KR 1020120023450A KR 20120023450 A KR20120023450 A KR 20120023450A KR 20130102305 A KR20130102305 A KR 20130102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r
composition
liver function
milk thistle
impr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어사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어사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어사이드
Priority to KR1020120023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2305A/ko
Publication of KR20130102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30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04Alan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06Argin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1Aspart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16Cyste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18Glutam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22Glyc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4Prol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42Ser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52Tyros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12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Immu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밀크씨슬 추출물, S-아데노실 메티오닌, 및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글리신, 프롤린, 아르기닌, 시스테인, 티로신 및 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태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비필수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Composition for liver protection and improving liver function and Functional food comprising thererof}
본 발명은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간세포의 재생을 촉진하고 간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간 손상을 예방하는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에 대한 것이다.
간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장기로서 각종 대사작용, 해독, 분해, 합성 및 분비를 담당하는 매우 중요한 장기이다. 간은 전신을 방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고 영양소 이외에도 많은 독성물질에 노출될 위험이 다른 장기보다 많아 그만큼 손상될 확률도 매우 높다. 간은 재생능력이 우수한 장기로 약간의 손상이 있을 경우에는 충분히 정상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손상이 지속될 경우에는 간 조직의 일부가 완전히 파괴되고 간 기능도 저하되는 등 회복이 어려운 상태가 된다. 이러한 간 손상이 만성화되면 그 원인에 상관없이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 간암으로 진행된다. 간 섬유화, 간경화, 간암 등은 현재 뚜렷한 치료제 및 치료법이 없는 질환으로 그 사망률 또한 높은 질환이다. 그러므로 간 손상이 만성화되기 전에 이러한 간 손상을 예방 및 치료하는 것이 간 섬유화, 간경화 또는 간암으로의 진행을 억제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간은 질환 초기에는 자각증상이 없고 간 손상 정도가 심한 정도에 이르러서야 자각증상이 나타남으로써 간 질환의 조기 발견은 그만큼 어렵다.
현재 간염, 간경화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약제로는 우르소데옥시콜린산, 면역자극제, 항바이러스제, 실리마린, 운지다당체, 비타민 B군, 메티오닌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약제들 중 아직까지 임상적으로 만족스러운 효과를 제공하는 것은 없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평상시 용이하게 섭취하여 간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간 손상을 치료할 뿐 아니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간세포의 재생을 촉진하고 간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간 손상을 예방하고 인체에 안전한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간세포의 재생을 촉진하고 간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간 손상을 예방하고 인체에 안전한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밀크 씨슬 추출물, S-아데노실 메티오닌, 및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글리신, 프롤린, 아르기닌, 시스테인, 티로신 및 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비필수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밀크 씨슬에서 추출된 실리마린, S-아데노실 메티오닌,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글리신, 프롤린, 아르기닌, 시스테인, 티로신 및 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비필수 아미노산, 비타민 E, 및 황산 아연을 포함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기능성 식품은 밀크 씨슬 추출물, S-아데노실 메티오닌, 및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글리신, 프롤린, 아르기닌, 시스테인, 티로신 및 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태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비필수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따른 조성물은 유해 물질의 세포내 침투 시 간 세포내 물질의 유출을 방지하여 간세포를 보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따른 조성물은 손상된 간 세포의 재생을 촉진함으로서 간 기능 개선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따른 조성물은 염증매개물질은 프로스타글란딘 (prostaglandin)과 루코트리엔(leukotriene)의 합성을 저하시켜 손상된 간 세포의 염증을 완화시켜 간 세포의 재생을 촉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따른 조성물은 항산화 작용을 하여 간세포의 괴사를 막아 간을 보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따른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을 저해하여 간 섬유화를 예방함으로써 간 손상을 예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따른 조성물은 인체에 안전하면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적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제형화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제형의 식품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다양한 식품에 첨가물처럼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따른 조성물은 인간뿐 아니라, 개, 고양이 등의 애완 동물에게도 효과가 있어 애완동물용 간식 및 식품으로 제조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세포 보호 및 간 손상 예방용 조성물은 밀크 씨슬 추출물(milk thistle extract)(A), S-아데노실 메티오닌(S-Adenosyl Methionine)(B), 및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글리신, 프롤린, 아르기닌, 시스테인, 티로신 및 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비필수 아미노산(C)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손상된 간 세포의 재생을 촉진하고 간 기능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간세포의 손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추출물(extract)"은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활성 성분을 의미하며, "밀크 씨슬 추출물"은 밀크 씨슬(Silybum Marianum)로부터 분리된 물질을 말한다.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는 추출과정으로 획득한 추출물과 그 추출물에서 물 또는 유기용매 등으로 분획된 추출물을 포함하고, 추출액, 이의 건조 분말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형화된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추출 방법을 불문하므로, 추출대상이 강낭콩 또는 녹차잎을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추출되는 한,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등이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밀크 씨슬 추출물(A)은 항산화 작용, 세포막 수준에서의 독소 차단, 항염 효과와 면역기능 증진 효과 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후라보노이드 화합물인 실리마린(silymarin)을 포함하여, 간 에서 알코올성 물질과 독성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며, 간의 세포재생 및 상처 회복을 도울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섬유물질까지 제거한다. 따라서, 간 재생을 촉진하고 간을 보호하면 간 기능을 회복시켜줄 수 있다.
밀크 씨슬 추출물(A)은 밀크 씨슬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 즉, 잎 줄기, 뿌리, 가지, 껍질 및 씨앗 등을 추출하여 얻을 수 있으며, 다양한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침,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밀크 씨슬 추출물(A)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액은 바로 사용하거나 또는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액을 다시 일부 또는 전부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 또는 상기의 농축물을 다시 건조시켜 제조한 엑기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크 씨슬 추출물(A)을 제조하기 위해서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노말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밀크 씨슬 추출물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밀크 씨슬의 유효 성분의 추출 정도와 손실 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에탄올 또는 물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추출할 수 있다. 에탄올 또는 물로 추출하는 경우 활성 성분이 효율적으로 추출되면서도 인체에 안전하고 정제 공정이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크 씨슬 추출물(A)은 밀크 씨슬(Silybum Marianum)의 열매(fruit)를 롤링 밀(rolling mill)을 사용하여 압연(rolling)/압착(pressing)/분쇄(grinding) 공정을 거쳐 이물질 및 지용성 성분이 제거된 밀크 씨슬 분쇄물을 제조한다. 이어서 밀크 씨슬 분쇄물을 밀크 씨슬 분쇄물의 중량에 대해 3배 내지 50배, 바람직하게는 5배 내지 25 배의 90% 에탄올에 침지하여, 20 내지 7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의 추출온도에서 1 시간 내지 10일, 바람직하게는 3일 내지 8일간 추출할 수 있다. 추출 후 여과, 농축 또는 건조 등의 공정을 더 거칠 수 있다. 여과는 추출액으로부터 부유하는 고체입자를 제거하는 과정으로, 면, 나일론 등을 이용하여 입자를 걸러내거나 한외여과, 냉동여과, 원심분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출액의 농축에는 감압농축, 역삼투압 농축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농축 후 건조 단계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감압건조, 포말건조, 고주파건조, 적외선 건조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최종 건조된 추출물을 분쇄하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크 씨슬 추출물(A)은 밀크 씨슬의 열매을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뒤, 상기 추출물을 다시 물 또는 유기용매로 분획한 분획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크 씨슬의 잎 등을 분쇄하고 이를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뒤, 이를 증류수에 현탁시켜 비극성 유기용매, 예를 들어, 헥산, 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크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비극성용매 가용층을 추출, 분리하여 분획물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90% 에탄올로 추출한 뒤, 헥산으로 분획한 분획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획물은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할 수 있다. 이 때, 칼럼의 종류와 전개용매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용매 추출물에 대하여 추가의 분획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밀크 씨슬은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파쇄하여 분말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은 조각으로 파쇄하는 경우 표면적이 커져 추출용매로 추출시 추출속도 및 추출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된 밀크 씨슬을 사용하는 경우 수분이 제거된 상태이므로 유효 성분이 고농도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밀크 씨슬의 건조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밀크 씨슬을 깨끗이 세척하고 손질한 후에 열풍 건조, 고온 건조, 자연건조등으로 건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햇빛 하에서 자연 건조할 수 있다.
밀크 씨슬 추출물(A)은 조성물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밀크 씨슬 추출물(A)이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간세포의 재생 및 간 보호 효과가 우수하나,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간 기능 개선 및 간 보호 효과가 미미하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장기 복용시 위장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다.
S-아데노실 메티오닌(B)은 메티오닌과 아데노신삼인산(ATP)이 반응하여 메티오닌의 유황원자에 아데노신잔기가 결합한 고에너지 화합물이다. S-아데노실 메티오닌(B)은 체내에서 일부가 글루타티온으로 변화되고, S-아데노실 메티오닌 유래 글루타티온은 활성산소를 배제하는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한다. 따라서, 활성산소로 인한 간세포 손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폴리아민의 합성을 촉진하여 손상된 간세포의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S-아데노실 메티오닌(B)은 효모형을 사용할 수 있다. 효모형 S-아데노실 메티오닌은 S-아데노실 메티오닌이 효모 내에 축적된 상태로, 효모를 배양하여 거기서 S-아데노실 메티오닌을 추출하는 경우보다 안정성 및 인체 흡수율이 우수하다.
S-아데노실 메티오닌(B)은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간세포의 보호 및 간 기능의 개선 효과를 상승시키는 반면,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며,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장기간 복용시 소화 불량 등의 위장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비필수 아미노산(C)은 항산화 작용을 하여 활성 산소로 인한 간세포의 손상을 막아 간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밀크 씨슬 체출물(A) 및 S-아데노실 메티오닌(B)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간 호보 및 간 기능 개선 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비필수 아미노산(C)은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글리신, 프롤린, 아르기닌, 시스테인, 티로신 및 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르기닌 및 시스테인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들은 조성물 내에서 각각 L-형으로 조재하나, D-형이 역효과나 독성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한 D-형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L-아르기닌은 성장에 필수적인 아미노산으로 요소 회로(urea cycle)를 활성화시켜 암모니아를 요소로 배출시켜주므로 간의 해독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아르기닌은 유리 염기 또는 염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아르기닌은 발효 또는 단백질로부터 추출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발효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발효에 의한 아르기닌의 제조방법은 예를 들면 아르기닌 유사체에 대한 내성을 갖는 균주를 사용하는 방법, 탄소원, 질소원으로부터 직접 아르기닌을 생산하는 방법으로서 글루탐산 생산균주인 브레비박테리움 또는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로부터 유도된 변이주를 이용하는 방법, 세포융합으로 생육 개선된 아미노산 생산균주를 이용하는 방법 및 아르기닌 생합성 경로에 속하는 유전자및 벡터를 함유하는 재조합 DNA를 보유하는 균주를 사용하는 제조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L-아르기닌은 조성물에 대해 5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반면,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간세포 보호의 기능성이 감소하고, 2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감미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L-시스테인은 항산화 작용을 한다. L-시스테인은 인간의 대사작용에 있어서 황의 주요한 근원이 되고, 인체나 다른 기관에서의 글루타티온의 중요한 전구체 중 하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글루타티온은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하므로 활성 산소에 의한 간세포의 손상을 막을 수 있으며 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L-시스테인은 N-아세틸-L-시스테인을 사용할 수 있으며, 조성물에 대해 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비타민 E(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E(D)는 항산화 작용을 하여 활성 산소로부터 간세포가 손상되는 것을 막아주며 간 세포의 재생을 촉진한다. 비타민 E(D)는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아연(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연(E)은 인체 내에서 상기 비타민 E의 농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간 세포의 재생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아연(E)은 굴, 갑각류, 생선, 붉은 고기와 같은 동물성 식품 및 알곡과 콩류, 견과류, 씨앗류와 같은 다양한 식물성 식품에 충분한 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는 아연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피콜리네이트(picolinate)와 아세테이트, 구연산염, 글리세린산염 또는 모노메티오닌과 아연과의 결합 형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황산 아연(Zinc sulfate, ZnSO4) 등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황산 아연은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간 보호 및 간 기능을 개선 효과를 더욱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따른 조성물은 비타민 B1, B2, B6, C, 니아신, 베타인, 엽산 판토텐산, 비오틴, 철, 칼슘, 크롬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질 들은 신체의 활성을 증진하는데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가지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체,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에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등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한 희석제인 무르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및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틴지, 글리소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따른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다양한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츄잉껌, 캐러멜 제품, 캔디류, 빙과류, 과자류 등의 각종 식품류, 청량음료, 미네랄워터, 알코올 음료 등의 음료류, 비타민이나 미네랄 등 건강기능성 식품류일 수 있다. 또한, 애완 동물용 경구용 제제, 구체적으로 애완 동물용 정제, 캡슐, 액체, 겔, 페이스트, 경구용 스프레이, 구강정, 산제 및 씹어먹는 트리트(chewable treat) 또는 동물 사료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따른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그대로 식품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른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사용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소르비톨, 에리스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100중량부당 0.01~0.04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 중량부 범위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100 중량부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따른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은 인간뿐 아니라 소,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등의 가축 또는 애완동물에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 제조예 1> 밀크 씨슬 추출물 1의 제조
건조된 밀크 씨슬의 잎을 정제수로 세척한 다음 분쇄하고, 분쇄된 밀크 씨슬에 대해 추출 용매로서 90% 에탄올을 중량비로 약 10 내지 15배의 양으로 가하고 실온에서 1-15일간 침적시켜 유효 성분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용액을 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밀크 씨슬 추출물을 얻었다.
< 제조예 2> 밀크 씨슬 추출물 2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추출된 밀크 씨슬 추출물 1을 증류수로 현탁한 뒤, 헥산을 가하고 실온에서 1 내지 7일간 침적시켜 헥산 분획물을 얻었다.
< 실시예 1 내지 9>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혼합하여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의 밀크 씨슬 추출물은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것이다. 하기 표 1의 단위는 g이다.
구성성분 실 시 예
1 2 3 4 5 6 7 8 9
밀크 씨슬 추출물 1 0.1 5 10 13 - 5 5 5 10
밀크 씨슬 추출물 2 - - - - 10 - - - -
S-아데노실-메티오닌 15 15 15 15 15 15 15 15 20
L-아르기닌 15 15 15 15 15 15 15 25 -
L-시스테인 10 10 10 10 10 10 10 - 15
비타민 E - - - - - 5 3 3 3
황산 아연 - - - - - - 3 3 3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 비교예 1 내지 3>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혼합하여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의 단위는 g이다.
구성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밀크 씨슬 추출물 1 10 10 -
S-아데노실-메티오닌 30 - 25
L-아르기닌 - 25 15
L-시스테인 - 15 10
비타민 E 3 5 3
황산 아연 3 5 3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 제형예 1> 드링크의 제조
하기 표 3의 조성을 혼합하고 병에 충진하여 드링크제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3의 단위는 mg이다.
구성성분 함 량
밀크 씨슬 추출물 1 100
S-아데노실-메티오닌 25
L-아르기닌 100
L-시스테인 100
비타민 E 1
황산 아연 0.5
구연산 2.0
정제수 To 1000
< 제형예 2> 정제의 제조
하기 표 4의 조성을 혼합하여 30% 에탄올 40 mg을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 ℃에서 건조하고 타정기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타정하였다. 하기 표 4의 단위는 mg이다.
구성성분 함 량
밀크 씨슬 추출물 1 10
S-아데노실-메티오닌 5
L-아르기닌 2.5
L-시스테인 10
비타민 E 1
황산 아연 0.5
전분 30.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4.0
< 실험예 1>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 효과 확인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의 간 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5주령된 건강한 쥐를 각 조성물당 3마리씩 선별하여 간 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사염화탄소(CCl4)는 간에 독성을 주는 표본 물질로서, 간에서 복합적인 기능을 하는 시토크롬(cytochrome) P450 과 같은 대사효소에 의해 대사되어 매우 반응성이 강한 자유 라디칼인 CCl3 와 Cl을 형성하고, 자유 라디칼인 CCl3 은 축적된 간 중성지방이나 막 인지질에 있는 지방산의 산화를 유발시키고 지질 과산화 작용을 통하여 유기 과산화물을 형성한다. 지질 과산화작용을 통하여 간장에 지방이 축적되고, 단백질 합성능력은 감소하게 되어 글리코겐이 분해되고 혈관내의 세포질 효소들이 파괴되어 간조직의 괴사가 일어나게 된다. 쥐에 간손상을 주기 위해 사염화탄소를 생체 중량대비 1.2 ml/kg 경구투여한 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약 500mg씩 20일 동안 1일 1회 경구투여하였다. 20일 후에 AST 와 ALT를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ALT(UI/L) AST(UI/L)
구 분 초기 20일 경과 초기 20일 경과
실시예 1 2431 602 1295 786
실시예 2 2368 615 1362 721
실시예 3 2412 596 1325 715
실시예 4 2456 812 1392 896
실시예 5 2398 591 1265 711
실시예 6 2512 546 1285 623
실시예 7 2379 532 1351 597
실시예 8 2503 712 1279 812
실시예 9 2456 726 1268 801
비교예 1 2475 1302 1321 1123
비교예 2 2395 1298 1302 1098
비교예 3 2413 1312 1298 1156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 ALT와 AST의 활성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비교예의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도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실시예의 조성물보다 감소의 폭이 현저히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의 조성물 중에서도 S-아데노실 메티오닌 및 L-아르기닌을 모두 포함한 경우가 하나만 포함한 경우보다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비타민 E 또는 황산 아연을 포함한 경우 그 효과를 상승시킴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2> 간 보호 효과 확인
약물이 유입되면 간에서 대사 작용이 일어남과 동시에 산화작용이 증가하여 지질과산화물이 생성되는데 이러한 지질과산화물은 간 손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된다. 상기 실험예 1에서 사염화탄소로 간손상을 유발한 쥐의 지질과산화물을 측정하기 위하여 간 조직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간 조직을 생리식염수에 넣고 분쇄시킨 다음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ssay kit) 실험 방법에 따라 지질과산화물인 말로닐 디알데하이드 (MDA)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다.
구 분 초기(nmol/ml) 20일 경과후
실시예 1 21.6 8.1
실시예 2 22.3 8.5
실시예 3 21.9 8.2
실시예 4 22.1 8.9
실시예 5 21.9 8.3
실시예 6 21.8 8.1
실시예 7 21.5 7.9
실시예 8 22.3 8.4
실시예 9 22.2 8.6
비교예 1 21.9 13.6
비교예 2 21.5 13.8
비교예 3 22.3 15.2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 비교예의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에 비해 사염화탄소 유발 지질과산화물 억제에 효과적이었다.
< 실험예 3> 간 보호 효과 확인
상기 실험예 1에서 사염화탄소로 간손상을 유발한 쥐의 간조직에 대해 SOD(superoxide dismutase) 활성을 측정하였다. SOD는 활성산소를 과산화수소와 산소로 전환시켜 활성 산소에 의해 생기는 산화적 손상의 일차적 방어에 관여하며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활성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그 활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OD 활성 측정은 오야나기(Oyanagui) 방법(Oyanagui Y., Reevaluation of assay methods and establishment of kit for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al. Biochem., 142, p.290-296, 1984)으로 측정하였으며, 시토크롬 c(Cytochrome c)의 환원을 50% 억제하는 양을 SOD의 1 유니트(unit)로 정의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과 같다.
구 분 SOD(U/mg protein)
실시예 1 1.25
실시예 2 1.21
실시예 3 1.22
실시예 4 1.41
실시예 5 1.21
실시예 6 1.18
실시예 7 1.15
실시예 8 1.23
실시예 9 1.24
비교예 1 1.85
비교예 2 1.79
비교예 3 1.65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조성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비교예의 조성물을 투여한 군보다 SOD 활성이 작게 나타났으며, 이에 의해 실시예의 조성물을 활성 산소에 의한 산화적 손상 억제에 더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7)

  1. 밀크씨슬 추출물;
    S-아데노실 메티오닌; 및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글리신, 프롤린, 아르기닌, 시스테인, 티로신 및 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비필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크 씨슬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인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크 씨슬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비극성 유기용매로 분획한 분획물인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 유기용매가 헥산인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크 씨슬 추출물은 조성물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필수 아미노산이 상기 조성물 내에 L-형으로 존재하는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필수 아미노산이 L-아르기닌 및 N-아세틸-L-시스테인인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L-아르기닌이 조성물에 대해 5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N-아세틸-L-시스테인이 조성물에 대해 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비타민 E를 더 포함하는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아연을 더 포함하는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이 황산 아연의 형태인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황산 아연이 조성물에 대해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14. 밀크씨슬에서 추출된 실리마린;
    S-아데노실 메티오닌;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글리신, 프롤린, 아르기닌, 시스테인, 티로신 및 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태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비필수 아미노산;
    비타민 E; 및
    황산 아연을 포함하는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15. 밀크씨슬 추출물;
    S-아데노실 메티오닌; 및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글리신, 프롤린, 아르기닌, 시스테인, 티로신 및 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비필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기능성 식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밀크 씨슬 추출물은 밀크 씨슬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수득된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기능성 식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기능성 음료인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기능성 식품.
KR1020120023450A 2012-03-07 2012-03-07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KR201301023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450A KR20130102305A (ko) 2012-03-07 2012-03-07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450A KR20130102305A (ko) 2012-03-07 2012-03-07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305A true KR20130102305A (ko) 2013-09-17

Family

ID=49452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450A KR20130102305A (ko) 2012-03-07 2012-03-07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23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4303A (ko) 2021-10-14 2023-04-24 주식회사 케어사이드 폐성 고혈압, 폐성 고혈압에 의한 간 질환 예방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WO2023157990A1 (ko) * 2022-02-17 2023-08-24 에스더포뮬러 주식회사 사람과 반려동물의 구강점막에서의 흡수율, 항산화, 항염증, 간 기능 개선을 위한 구강 필름 및 스틱젤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4303A (ko) 2021-10-14 2023-04-24 주식회사 케어사이드 폐성 고혈압, 폐성 고혈압에 의한 간 질환 예방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WO2023157990A1 (ko) * 2022-02-17 2023-08-24 에스더포뮬러 주식회사 사람과 반려동물의 구강점막에서의 흡수율, 항산화, 항염증, 간 기능 개선을 위한 구강 필름 및 스틱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8542B1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20120002131A (ko)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407150B1 (ko)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운동성 육체적 스트레스 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JPWO2005112665A1 (ja) 甘藷茎葉加工物含有組成物
KR100976241B1 (ko) 알코올분해 및 숙취해소용 돌나물 분획물
KR20130102305A (ko)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KR101408101B1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표고버섯 균사체 흑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JP5775922B2 (ja) 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及び尿酸生成阻害剤
KR101508053B1 (ko) 우슬, 마가목 및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 통증 완화용 식품 조성물
KR101899555B1 (ko) 노각나무 추출물 및 옻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33586B1 (ko) 숙취 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235563B1 (ko) 고함량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피로회복 및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50072660A (ko) 잔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0633851B1 (ko) 가열건조처리된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50222B1 (ko)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886299B1 (ko) 도화 및 하엽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32520B1 (ko) 매생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101001159B1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50085215A (ko) 흑마늘 및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26737A (ko) 발효울금 분말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102329070B1 (ko) 노각나무 잎 추출물 및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72659A (ko) 청미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2379574B1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43968B1 (ko) 산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중성지방에 의한 대식세포 사멸 억제용 조성물
KR20180006612A (ko)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당조절,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