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2182A - 연질 반짝이시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질 반짝이시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2182A
KR20130102182A KR1020120023195A KR20120023195A KR20130102182A KR 20130102182 A KR20130102182 A KR 20130102182A KR 1020120023195 A KR1020120023195 A KR 1020120023195A KR 20120023195 A KR20120023195 A KR 20120023195A KR 20130102182 A KR20130102182 A KR 20130102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thin film
polyurethane
layer
pol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4611B1 (ko
Inventor
장순동
Original Assignee
장순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순동 filed Critical 장순동
Priority to KR1020120023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611B1/ko
Publication of KR20130102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8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characterised by colour effect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연질이면서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박막필름을 기재층으로 사용하여 우수한 신축성, 굴곡성 및 내구성을 갖도록 한 연질 반짝이시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반짝이시트는 폴리우레탄 박막시트와 폴리에틸렌 박막시트를 합지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에틸렌 박막시트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종이를 부착하는 지지층 형성단계와; 상기 폴리우레탄 박막시트 상면에 바인더를 도포한 다음 반짝이가루를 분사하여 반짝이층을 형성하고 나서 상기 반짝이층 위로 투명코팅층을 형성하는 장식층 형성단계와; 상기 합지된 폴리우레탄 박막시트와 폴리에틸렌 박막시트에서 폴리에틸렌 박막시트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에틸렌 박막시트가 분리된 폴리우레탄 박막시트의 저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면에 실리콘 재질의 이형수지와 아크릴 재질의 점착성 수지가 순차적으로 도포된 이형필름을 상기 폴리우레탄 박막시트과 합지한 후 2일 내지 3일간 자연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질 반짝이시트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OFT GLITTER SHEET}
본 발명은 연질 반짝이시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연질이면서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박막필름을 기재층으로 사용하여 우수한 신축성, 굴곡성 및 내구성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표면에 폴리우레탄 박막필름을 형성하여 시트표면의 손상이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연질 반짝이시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짝이시트란 기재층 위에 반짝이가루로 이루어진 반짝이층을 형성한 시트로서, 일정한 도형, 글자, 숫자 등으로 절단한 후 가방이나 신발, 의류등에 부착하여 반짝거리는 특성에 의해 시각적 효과를 높이고 외적 미려함을 향상시키는 장식 부재이다.
상기와 같은 반짝이시트는 피부착물에 부착된 상태에서 피부착물과 분리된 느낌이나 뻣뻣한 느낌을 주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즉, 반짝이시트가 피부착물에 부착된 상태에서 피부착물이 굴곡하거나 신축될 때 이에 추종하여 그대로 굴국되거나 신축되어 피부착물과의 일체감을 주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반짝이시트가 우수한 굴곡성과 신축성을 구비하도록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일례로 국내특허 제10-0589735호에서는 "보조 필름 상에 핫멜트를 도포 및 건조시켜 핫멜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핫멜트층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층 상에 반짝이를 도포 및 건조시겨 반짝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짝이층 상에 투명 수지 도료를 도포하여 투명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 코팅층 상에 투명 필름을 합지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보조 필름을 핫멜트층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시트지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장식용 시트지는 기재층이 없이 핫멜트층에 직접 반짝이층이 형성되므로 우수한 굴곡성과 신축성을 갖아 피부착물과의 일체감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하지만, 핫멜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피부착물에 부착할 때는 반드시 열이 필요하므로 사용이 제한적이며, 기재층이 없기 때문에 강도가 저하되어 쉽게 찢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연질이면서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박막필름을 기재층으로 사용하여 우수한 신축성, 굴곡성 및 내구성을 갖도록 동시에 표면에 폴리우레탄 박막필름을 형성하여 시트표면의 손상이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연질 반짝이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우레탄 박막시트와 폴리에틸렌 박막시트를 합지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에틸렌 박막시트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종이를 부착하는 지지층 형성단계와; 상기 폴리우레탄 박막시트 상면에 바인더를 도포한 다음 반짝이가루를 분사하여 반짝이층을 형성하고 나서 상기 반짝이층 위로 투명코팅층을 형성하는 장식층 형성단계와; 상기 합지된 폴리우레탄 박막시트와 폴리에틸렌 박막시트에서 폴리에틸렌 박막시트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에틸렌 박막시트가 분리된 폴리우레탄 박막시트의 저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면에 실리콘 재질의 이형수지와 아크릴 재질의 점착성 수지가 순차적으로 도포된 이형필름을 상기 폴리우레탄 박막시트과 합지한 후 2일 내지 3일간 자연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장식층 상면에 접착제를 통해 폴리우레탄 필름을 형성하는 표면보호층 형성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반짝이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질 반짝이시트 제조방법에 의하면, 연질이면서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박막필름을 기재층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우수한 신축성, 굴곡성 및 내구성을 갖는 연질 반짝이시트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연질 반짝이시트를 피부착물에 부착하면 피부착물이 굴곡하거나 신축될 때 이에 추종하여 그대로 굴국되거나 신축되기 때문에 피부착물과 일체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연질 반짝이시트는 표면에 형성된 폴리우레탄 박막필름으로 인해 시트표면이 이물질로부터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도1(a) 내지 도1(g)는 본 발명에 따른 연질 반짝이시트의 제조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라 폴리우레탄 박막시트와 폴리에틸렌 박막시트를 합지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연질 반짝이시트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질 반짝이시트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a) 내지 도1(g)는 본 발명에 따른 연질 반짝이시트의 제조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질 반짝이시트 제조방법는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폴리우레탄 박막시트(110)와 폴리에틸렌 박막시트(120)를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우레탄 박막시트(110)는 본 발명에 따른 반짝이시트의 기재층으로, 그 상면에 장식층(140)을 형성하고 그 하면에 지지층(130)을 형성한 다음 지지층(130)을 제거함으로써 추후 장식층(140)을 기초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기재층으로 사용되는 박막시트(110)는 폴리우레탄 재질이다. 폴리우레탄은 공지된 바와 같이 연질성, 신축성 및 탄성회복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내구성이 우수하여 쉽게 노화되지 않으며 무게가 가볍다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반짝이시트가 우수한 신축성, 굴곡성 및 내구성을 갖도록 상기와 같은 폴리우레탄 박막시트를 기재층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폴리우레탄 박막시트(110)의 두께는 40㎛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한 데, 그 두께가 40㎛ 이하이면 두께가 너무 얇아 제조가 쉽지 않으며, 폴리에틸렌 박막시트와의 합지과정과 분리과정에서 취급이 어려워 곤란하며, 그 두께가 60㎛ 이상이면 두께가 너무 두꺼워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신축성과 굴곡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어 곤란한다.
상기 폴리우레탄 박막시트(110)와 폴리에틸렌 박막시트(1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가압롤러(R1, R2) 사이를 통과하면서 자체 택기로 서로 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폴리우레탄 박막시트(110) 상부에 장식층을 형성한 다음에는 폴리우레탄 박막시트(110)는 폴리에틸렌 박막시트(120)와 다시 분리되는 데, 접착제를 사용하여 폴리우레탄 박막시트(110)와 폴리에틸렌 박막시트(120)를 서로 합지하면 나중에 분리가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폴리우레탄 박막시트(110)와 폴리에틸렌 박막시트(120)를 중첩하여 한 쌍의 가압롤러(R1, R2) 사이를 통과시키면 시트 자체에서 발생하는 택기(끈적거림)로 인해 폴리우레탄 박막시트(110)와 폴리에틸렌 박막시트(120)가 서로 합지되며,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추후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폴리에틸렌 시트(120)는 폴리우레탄 시트(110)보다는 경질이기 때문에 합지된 상태에서 폴리우레탄 시트(110)가 변형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폴리우레탄 박막시트(110)와 폴리에틸렌 박막시트(120)를 합지한 다음에는,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박막시트(120) 저면에 접착제(131)를 도포한 다음 종이(132)를 부착하는 지지층(130)을 형성하게 된다.
기재층인 폴리우레탄 시트(110)는 박막이기 때문에 지지력이 약해 장식층(140)을 형성하기 어렵고 특히 반짝이가루를 고정하기 위해 열챔버에 유입될 때 폴리우레탄 시트가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폴리우레탄 시트를 지지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 시트의 저면에 지지층(130)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층은 바람직하게 종이(132)이며 접착제(131)를 통해 폴리에틸렌 박막시트(120)에 접착된다. 상기 종이는 지지력과 열변형을 견딜수 있는 두께를 갖는 것이 좋으며 평활성을 갖는 골판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폴리우레탄 시트(110)의 저면에 지지층(130)을 형성한 다음에는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 시트(110)의 상면에 장식층(14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장식층(140)은 폴리우레탄 박막시트(110) 상면에 도포된 바인더층(141)과; 상기 바인더층(141) 위로 반짝이가루를 분사하여 이루어진 반짝이층(142)과; 반짝이층(142) 상면에 도포되는 투명코팅층(143)으로 구성된다.
당해분야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따라 바인더를 도포한 다음 예를 들어, 반짝이를 뿌려주는 반짝이 분사통등을 이용하여 바인더층(141)에 반짝이가루를 도포하여 반짝이층(142)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반짝이층(142)에 투명코팅층(143)을 형성하는 데, 상기 투명코팅층은 우레탄 엘라스토머가 함유된 투명수지도료를 100∼130℃의 온도에서 10초 내지 15초 동안 롤링으로 도포 및 건조시켜 형성한다. 여기서, 투명 수지 도료의 조성은 1.0∼2.0의 산가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적어도 2 이상의 유리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생성물인 우레탄 엘라스토머 60∼80중량%, 분산제 0.1∼1중량%, 레벨링제 0.1∼1중량% 및 나머지는 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우레탄 엘라스토머는 연질 우레탄 고무와 같은 성질을 갖는 물질로서, 내굴곡성이 우수하고 2차 가공성을 용이하게 하며, 수지도료 내에 반짝이 등의 안료 투입시 소재면에 부착성을 부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동시에 반복되는 세탁에도 내부의 반짝이층을 보호할 수 있도록 적절한 유연성 및 강도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1.0∼2.0의 산가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적어도 2 이상의 유리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생성물인 우레탄 엘라스토머를 사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특정 요구물성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상기 투명 수지 중 우레탄 엘라스토머의 사용량은 60∼80중량%이다. 상기 우레탄 엘라스토머의 사용량이 60중량% 미만이면 반짝이 원단의 상단 코팅층으로서 목적하는 요구물성을 얻을 수 없고, 80중량%를 초과하면 가공성 및 취급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분산제는 안료 등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는 첨가제이고, 레벨링제는 도료 표면 조정제로서 그 함량은 각각 0.1∼1.0중량%인 것이 요구 특성 발현 면에서 가장 적합하다. 상기 용매로는 중비점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및 알코올 등의 저비점, 저취의 용매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안료 및 실리카 등의 소광제를 더욱 첨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폴리우레탄 박막시트(110) 위에 장식층(140)이 형성되면, 도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합지된 폴리우레탄 박막시트(110)와 폴리에틸렌 박막시트(120)에서 폴리에틸렌 박막시트(120)를 분리하여, 폴리에틸렌 박막시트(120) 및 그 하부에 형성된 지지층(130)을 제거한다. 이 때, 폴리우레탄 박막시트(110)와 폴리에틸렌 박막시트(120)는 접착제가 아닌 자체 택기로 합지된 상태이므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후에는 도1(e)와 같이 상기 폴리에틸렌 박막시트(120)가 분리된 폴리우레탄 박막시트(110)의 저면에 프라이머층(150)을 형성하고, 상면에 실리콘 재질의 이형수지(160)와 아크릴 재질의 점착성수지(170)가 순차적으로 도포된 이형필름(180)을 도1(f)와 같이 상기 폴리우레탄 박막시트(110)과 합지한 다음 2일 내지 3일간 자연건조한다.
여기서, 상기 이형필름(180)은 강도가 우수한 PET필름 또는 폴리에스터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아크릴 재질의 점착성 수지(170)는 폴리우레탄 박막시트(110)의 저면에 형성된 프라이머층(150)에 고정되며 실리콘 재질의 이형수지(160)는 이형필름(180)에 고정된 상태가 되어, 실제 사용시 이형필름(180)은 이형수지(160)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시트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노출된 점착성 수지(170)에 의해 피부착물에 탈착가능하게 점착된다.
여기서, 상기 실리콘 재질의 이형수지(160)는 100g/m2 내지 120g/m2 의 고밀도로 이형필름(150)에 도포되는 것이 2가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첫째, 플로터 커팅시 커팅이 용이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반짝이시트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부터 이형필름 이전까지 플로터 커팅기를 통해 소정의 도형, 글자, 숫자등으로 절단(하프커팅, C)되어 판매된다. 따라서, 소비자는 절단된 부분에서 도형, 글자, 숫자등을 띄어 내어 피부착물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데, 플로터 커팅시 기재층인 폴리우레탄 박막시트(110)가 연질이기 때문에 커팅되지 않고 밀려 접혀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실리콘 재질의 이형수지의 밀도를 100g/m2 내지 120g/m2 와 같이 고밀도로 하게 되면, 이형수지와 점착성 수지와의 결합력이 강해져 폴리우레탄 박막시트가 밀리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승화염색이 가능하다. 승화인쇄는 대략 섭씨 200도 이상의 고온에서 20초간 수행되는 데 고온의 염색환경에서 이형수지의 밀도가 낮은 경우에는 이형수지와 점착성 수지가 분리되고 그 결과 연질의 폴리우레탄 시트가 쭈글쭈글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실리콘 재질의 이형수지의 밀도를 100g/m2 내지 120g/m2 와 같이 고밀도로 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이형수지와 점착성 수지간의 고온의 승화인쇄시에도 폴리우레탄 박막시트가 쭈글쭈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에는 도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층(140) 표면에 투명 폴리우레탄 박막필름(190)을 접착제를 통해 부착한다. 상기 투명 폴리우레탄 박막필름(190)는 장식층의 표면을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데, 좀 더 구체적으로 장식층 표면의 반짝이층(142)는 반짝이가루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표면이 불규칙하고 반짝이가루와 반짝이가루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시트 표면을 헝겁으로 닦을 때 헝겁의 실이 돌출된 반짝이가루에 걸려 장식층 표면에 남게 되거나 미세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반짝이가루와 반짝이가루 사이에 공간에 침투하여 시트표면을 오염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폴리우레탄 박막필름(190)을 시트표면에 형성하여 장식층(140)표면을 보호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투명 폴리우레탄 박막필름(190) 역시 박막필름으로 그 두께는 40㎛ 내지 50㎛인 것이 본 발명에 따른 연질시트의 특성에 적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연질 반짝이시트 제조방법은 연질이면서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박막필름을 기재층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우수한 신축성, 굴곡성 및 내구성을 갖는 연질 반짝이시트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연질 반짝이시트를 피부착물에 부착하면 피부착물이 굴곡하거나 신축될 때 이에 추종하여 그대로 굴국되거나 신축되기 때문에 피부착물과 일체감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연질 반짝이시트는 표면에 형성된 폴리우레탄 박막필름으로 인해 시트표면이 이물질로부터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110: 폴리우레탄 시트 120: 폴리에틸렌 시트
130: 지지층 140: 장식층
150: 프라이머층 160: 이형수지
170: 점착성수지 180: 이형필름
190: 표면보호필름

Claims (4)

  1. 폴리우레탄 박막시트와 폴리에틸렌 박막시트를 합지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에틸렌 박막시트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종이를 부착하는 지지층 형성단계와;
    상기 폴리우레탄 박막시트 상면에 바인더를 도포한 다음 반짝이가루를 분사하여 반짝이층을 형성하고 나서 상기 반짝이층 위로 투명코팅층을 형성하는 장식층 형성단계와;
    상기 합지된 폴리우레탄 박막시트와 폴리에틸렌 박막시트에서 폴리에틸렌 박막시트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에틸렌 박막시트가 분리된 폴리우레탄 박막시트의 저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면에 실리콘 재질의 이형수지와 아크릴 재질의 점착성 수지가 순차적으로 도포된 이형필름을 상기 폴리우레탄 박막시트과 합지한 후 2일 내지 3일간 자연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장식층 상면에 접착제를 통해 투명 폴리우레탄 박막필름을 형성하는 표면보호층 형성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반짝이시트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박막시트의 두께는 4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반짝이시트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박막시트와 폴리에틸렌 박막시트는 한 쌍의 가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자체 택기로 서로 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반짝이시트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실리콘 재질의 이형수지는 100g/m2 내지 120g/m2 의 고밀도로 이형필름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반짝이시트 제조방법.
KR1020120023195A 2012-03-07 2012-03-07 연질 반짝이시트 제조방법 KR101434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195A KR101434611B1 (ko) 2012-03-07 2012-03-07 연질 반짝이시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195A KR101434611B1 (ko) 2012-03-07 2012-03-07 연질 반짝이시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182A true KR20130102182A (ko) 2013-09-17
KR101434611B1 KR101434611B1 (ko) 2014-08-26

Family

ID=49451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195A KR101434611B1 (ko) 2012-03-07 2012-03-07 연질 반짝이시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6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523B1 (ko) * 2015-11-25 2016-02-18 박창수 가압 롤러 조정 방식의 동시 합지 장치 및 방법
KR102462519B1 (ko) * 2021-10-26 2022-11-03 장우진 반짝이시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028A (ko) 2019-09-20 2021-04-06 주식회사 유니트레이드 글리터층을 갖는 전사시트지와 그 제조방법
KR102230765B1 (ko) * 2020-11-04 2021-03-19 이정훈 약품층을 이용한 반짝이시트지 제조방법
KR20230120929A (ko) 2022-02-10 2023-08-17 주식회사 삼성필름 글리터층을 갖는 전사시트지와 그 제조방법
KR20230123635A (ko)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삼성필름 글리터를 활용한 실내 인테리어시트와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4167A (ja) * 1991-10-31 1993-05-21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材の製造方法
KR100589735B1 (ko) * 2005-04-18 2006-06-19 주식회사 신한양행 장식용 시트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31615A (ko) * 2009-09-21 2011-03-29 세바플러스 주식회사 폴리우레탄 스킨층이 도포된 인테리어 시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523B1 (ko) * 2015-11-25 2016-02-18 박창수 가압 롤러 조정 방식의 동시 합지 장치 및 방법
KR102462519B1 (ko) * 2021-10-26 2022-11-03 장우진 반짝이시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4611B1 (ko) 2014-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611B1 (ko) 연질 반짝이시트 제조방법
CN107936860B (zh) 一种柔性全包软膜及其制备方法
US20180237671A1 (en) Oily chemical resistant moisture curable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KR100589735B1 (ko) 장식용 시트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530591B1 (ko) 전사 인쇄를 위한 무 기재 점착 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
TWI698339B (zh) 具有耐洗滌珠粒接合層的反光物品
KR20160129771A (ko) 다층 폴리우레탄 보호 필름
KR101337224B1 (ko) 건식 네일 스티커
TW201623500A (zh) 兩個基材透過潛伏反應性膠膜之黏結
CN106029363B (zh) 双重固化耐污微球体制品
CN103140624A (zh) 透气性热转印标签
CN105891924A (zh) 具有高温稳定性的柔性微球制品
KR101395815B1 (ko) 물리적 응력에 의한 변색성 라미네이트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5631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인쇄용 전사 필름
WO2013102836A1 (en) Adhesive multilayer film and use thereof for coating surfaces
CN107406733A (zh) 真空热成型用粘结剂组合物及使用其的真空热成型用装饰薄片
KR100681388B1 (ko) 실리콘 코팅 이형원단의 제조 방법
US5312673A (en) Adhesive system for athletic lettering and the like
KR101331228B1 (ko) 연질 반짝이시트 제조방법
KR20190054062A (ko) 박리 시트
KR100985148B1 (ko) 표면보호지 및 그 제조방법
JP7358741B2 (ja) 回折光沢合成皮革
JP2018159052A (ja) 積層体
KR101626932B1 (ko) 인테리어 바닥재용 섬유원단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바닥재
KR101078087B1 (ko) 표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