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1615A - 폴리우레탄 스킨층이 도포된 인테리어 시트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 스킨층이 도포된 인테리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1615A
KR20110031615A KR1020090088943A KR20090088943A KR20110031615A KR 20110031615 A KR20110031615 A KR 20110031615A KR 1020090088943 A KR1020090088943 A KR 1020090088943A KR 20090088943 A KR20090088943 A KR 20090088943A KR 20110031615 A KR20110031615 A KR 20110031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kin layer
polyurethane
interior sheet
polyurethane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병건
임진규
김영종
Original Assignee
세바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바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바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8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1615A/ko
Publication of KR20110031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6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 B32B2607/02Wall papers, wall covering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스킨층이 도포된 인테리어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부에 도포되는 폴리우레탄 스킨층; 및 상기 기재층과 폴리우레탄 스킨층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P(Polypropylene), TPO(Thermoplastic polyolefin), PVC(polyvinyl chloride)등으로 이루어진 기재층에 폴리우레탄 스킨층을 도포하여 종래의 인테리어 시트에 비해 내마모성, 내용재성 및 내성형이 우수한 인테리어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인테리어 시트, PET, 폴리우레탄

Description

폴리우레탄 스킨층이 도포된 인테리어 시트{INTERIOR SHEET COATED WITH POLYURETHANE SKIN LAYER}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스킨층이 도포된 인테리어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부에 도포되는 폴리우레탄 스킨층; 및 상기 기재층과 폴리우레탄 스킨층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인테리어 시트로서 종이 시트에 아크릴 수지나 요소 수지 등에 종이를 침지한 함침지에 인쇄층을 형성한 종이 시트가 사용되었으나, 이와 같은 함침지로 구성되는 종이 시트는 인장력이 없기 때문에, 2차 가공을 위하여 프로파일 랩핑(profile wrapping)이나 오버레이(overlay) 가공을 할 경우에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하여 2차 가공 생산 속도가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순한 종이 시트가 아니라 폴리올레핀 필름을 부착한 "폴리올레핀 인테리어 시트"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187892호에는 프라이머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인테리어 시트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폴리올레핀 인테리어 시트는 2차 가공을 위하여 접착제를 이용하기 때문에 MDF나 나무 등에 프로파일 랩핑이나 오버레이 가공을 하게 되면 접착제가 인쇄면으로 스며나와 인쇄면을 훼손할 뿐 아니라, 피접착물의 거친 표면을 은폐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두꺼운 종이(약 60 g 이상)를 사용할 수밖에 없어 이 때 종이의 특성상 습기에 오랜 시간 노출되면 종이가 가구 등의 표면과 박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인테리어 시트로는 종래 가공성이 우수한 염화비닐시트가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염화비닐제품의 인체 유해성으로 인해, 각 국가별로 염화비닐제품에 대한 규제가 가해지고 있어, 염화비닐제품이 설 자리는 점점 더 좁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일본에서는 2003년 7월부터 포름알데히드(HCHO) 방출기준에 적합한 건자재 사용을 의무화 하였으며 판매 및 수입 시에도 같은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국내의 경우 환경부에서 신축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질 권고기준 설정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 공기질 관리법' 시행규칙 일부 개정령을 확정 및 공포하고 2006년 1월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가는 등 친환경 제품에 대한 요구와 규제가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맞추어, 특히 건자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염화비닐시트를 대체할 상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왔다.
염화비닐시트의 대체품으로 최근에는 TPO(Thermoplastic Olefin), TPE (Thermoplastic Elastomer), TPV(Thermoplastic Vulcanization)로 된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일예로서, 대한민국특허 제 0429660호는 폴리에틸렌수지에 환상올레핀코폴리머를 소정량 혼합하여 종래의 염화비닐시트의 물성, 100 내지 1000% 신장율, 4,000 내지 8,000g/in의 인장강도, 100 내지 400g/in 인열강도와 30 내지 44dyne/㎠의 표면장력을 구현함으로써 염화비닐시트만큼의 내구성, 내약품성, 내스크래치성, 가공성, 유연성 그리고 경제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나아가 염화비닐시트가 가진 유해성 문제를 해결함으로서 환경호르몬의 배출이 없고 인체에 무해한 폴리올레핀시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시트는 염화비닐시트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유연성이 떨어지며 대전방지제를 사용하여도 정전기가 발생되며, 내오염성, 내스크래치성 및 표면코팅시 접착성 등에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염화비닐시트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상품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 코팅은 섬유(직물) 등에서 제조되어 의류 및 쇼파 등에 사용되어 오던 코팅법인데, 폴리우레탄 코팅을 통해 폴리우레탄 수지의 내마모성, 내용재성 및 내성형성을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배경하에서, 인테리어 시트에 폴리우레탄 수지층을 도입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인테리어 시트용 기재층에 폴리우레탄 스킨층을 코팅한 인테리어 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인테리어 시트에 폴리우레탄 스킨층을 도입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부에 도포되는 폴리우레탄 스킨층; 및 상기 기재층과 폴리우레탄 스킨층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시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재층은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P(Polypropylene), TPO(Thermoplastic polyolefin) 및 PVC(polyvinyl chlor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PET(Polyethyleneterephtalate) 또는 PP(Polypropylen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은 릴리즈 페이퍼에 폴리우레탄 캐스트 코팅을 실시하고 이를 상기 기재층과 합지한 후 상기 릴리즈 페이퍼를 제거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은 자체에 문양이 형성이 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은 각각 다른 색상 또는 문양을 가지는 2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시트는 상기 기재층 상부 및 접착제층 사이에 도포되는 인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인테리어 시트용 기재층을 준비하는 단계; 릴리즈 페이퍼(Release paper)에 폴리우레탄 캐스트 코팅을 실시하여 폴리우레탄 스킨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폴리우레탄 스킨층 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의 접착제가 도포된 면을 상기 기재층에 접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의 릴리즈 페이퍼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시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은 릴리즈 페이퍼(Release paper)위에 폴리우레탄 수지액을 코팅시켜 스킨층을 형성한 다음, 릴리즈 페이퍼와 만나지 않는 뒷면을 접착면으로 하여 스킨층 뒷면에 폴리우레탄 고형분 및 용제를 배합하여 제조한 접착제를 적층하고, 접착제가 적층된 면을 상기 기재층에 접착시키고,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의 반대 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릴리즈 페이퍼를 제거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릴리즈 페이퍼에는 음각이 형성되어 폴리우레탄 스킨층에 문양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의 형성단계에서는 각각 독립적인 색상을 가지는 2 이상의 폴리우레탄 수지액을 별개의 층으로 도포하여 캐스트 코팅을 실시함으로써 색상 또는 문양을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P(Polypropylene), TPO(Thermoplastic polyolefin), PVC(polyvinyl chloride)등으로 이루어진 기재층에 폴리우레탄 스킨층을 도포하여 종래의 인테리어 시트에 비해 내마모성, 내용재성 및 내성형이 우수한 인테리어시트를 제공할 수 있고, 친환경성이 우수한 인테리어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 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시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명세서 내의 '인테리어 시트'라는 용어는 내부 장식을 위한 시트를 의미하며, '데코 시트' 또는 '가구용 시트' 등을 포함하는 상위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시트는, 기재층; 폴리우레탄 스킨층; 및 접착제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인테리어 시트에 사용되는 기재층으로는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P(Polypropylene), TPO(Thermoplastic polyolefin), PVC(polyvinyl chloride)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PVC는 그 동안 환경적인 문제로 인해 친환경 재료를 사용하는 추세이므로, 기재층으로는 친환경성 및 내열성을 고려하였을 때 PET 또는 PP를 사용하여 인테리어 시트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스킨층으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은 적어도 두 개의 하이드록시기(-OH)를 가지는 화합물과 다(多)관능성의 이소시아네이트(-NCO)의 고분자 첨가반응에 의해 생긴 고분자(Plastic)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은 크게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 그리고 기타 첨가제의 세 그룹으로 나누어 지고, 이 성분들의 종류와 배합비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폴리우레탄이 만들어 지게 된다.
폴리우레탄을 구성하는 첫번째 그룹으로, 이소시아네이트에는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s)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polymeric isocyanates)가 있고, 두번째 그룹으로 폴리올 혼합물에는 디올과 트리올(Diols & Triol)등의 폴리올과 쇄연장제(Chain extenders) 그리고 가교제(Crosslinker) 및 물(Water)이 있으며, 세번째 그룹으로 상기와 반응하지 않는 촉매(Catalysts), 계면활성제(Surfactants), 충전제(Fillers), 발포제(Blowing agents), 기타 첨가제(Miscellaneous additives)와 같은 비반응성 첨가제(Non-reactive Components)가 있다.
위와 같은 폴리우레탄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우레탄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폴리올로 이루어진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폴리올과 쇄연장제, 가소제, 반응촉매, 소포제, 안정제 등으로 이루어진 경화제로 사용되는 폴리올 혼합물을 배합비에 따라 혼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와 같은 폴리우레탄을 제조할 때 인체 유해성이 있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금속계 촉매, 착색안료, 4,4' 메칠렌비스(2-클로로아닐린) 등을 포함하지 않도록 조정하여 인체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시트와의 밀착성 및 인테리어 시트의 성형성을 고려하였을 때 10 내지 50 마이크로미터가 적합하다.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은 기재층 표면의 장식을 위하여 폴리우레탄 스킨층 자체에 각종 원목무늬 등 다양한 색상, 모양, 형상 등이 구현되도록 제조할 수 있 다.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에 문양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스킨층의 제조과정에서 음각으로 문양이 형성되어 있는 릴리즈 페이퍼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은 각각 다른 색상 또는 문양을 가지는 2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도록 제조하여 보다 미려한 문양 또는 색상이 표현된 인테리어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의 인테리어 시트의 두께는 50 내지 350 마이크로미터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마이크로미터인 것이 좋다. 두께가 50 마이크로미터 미만인 경우에는 잘 찢어지거나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고, 350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인테리어 시공 시 굴곡 및 홈 부위의 시공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은 인테리어 시트로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무광처리를 할 수 있다. 무광처리 방법으로 표면의 엠보싱 처리 또는 아크릴 수지로 표면을 코팅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인테리어 시트에서는 기재층 표면에 표면 장식을 위하여 상기 기재층과 접착층 사이에 문양과 색상이 구현된 인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에도 또한 각종 원목무늬 등 다양한 색상, 모양, 형상 등을 표현할 수 있다. 인쇄층이 기재층과 접착제 사이에 형성되는 경우 외부에서 볼 때 인쇄층의 디자인이 보다 명확하게 표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인쇄층은 롤링 또는 프레스 엠보싱 성형, 그라비아 인쇄 등의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쇄층의 접착성 확보를 위하여 프라이머층을 기재층에 도포한 후 프라이머층 상에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프라이머층 대신 코로나(Corona) 처리를 할 수 있다.
전술한 인테리어 시트는 피착물에 접착되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피착물의 예로는 콘크리트, 목재, 시멘트, 아크릴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시트의 제조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기재층, 접착제층 및 폴리우레탄 스킨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인테리어 시트의 기본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폴리우레탄 스킨층 하부에 접착제 층 및 인쇄층이 도입되어 있는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시트의 구조로서 폴리우레탄 스킨층을 각각 별개의 색상 또는 문양을 가지는 3개의 층으로 구성하여 색상이나 문양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기재층으로서 PET, PP, TPO 또는 PVC 시트를 준비하고, 그 위에 폴리우레탄 스킨층을 도포한 후, 릴리즈 페이퍼를 제거하여 인테리어 시트를 제조한다.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은 릴리즈 페이퍼(Release paper)에 폴리우레탄 캐스트 코팅을 실시하고 이를 상기 기재층과 합지한 후 상기 릴리즈 페이퍼를 제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스킨층을 제조하기 위해 릴리즈 페이퍼(Release paper)위에 폴리우레탄 수지액을 코팅시켜 스킨층을 형성한 다음, 릴리즈 페이퍼와 만나지 않는 뒷면을 접착면으로 하여 스킨층 뒷면에 폴리우레탄 고형분 및 용제를 배합하여 제조한 접착제를 적층하고, 접착제가 적층된 면을 상기 기재층에 접착시키고,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의 반대 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릴리즈 페이퍼를 제거한다.
상기 과정에서 폴리우레탄 수지액을 코팅시키는 릴리즈 페이퍼로서 음각이 형성되어 있는 릴리즈 페이퍼를 사용하면, 스킨층 상부에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의 형성단계에서 각각 독립적인 색상을 가지는 2 이상의 폴리우레탄 수지액을 별개의 층으로 도포하여 캐스트 코팅을 실시함으로써 색상 또는 문양을 표현하면 보다 미려한 색상 또는 문양이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액 및 접착제 제조에 사용하기 위해 고형분의 폴리우레탄을 용해시키는 유기용제로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DMF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조과정을 설명하면, 폴리우레탄 스킨층을 제조하기 위한 릴리즈 페이퍼를 가이드롤에 인도한 후 원하는 패턴으로 조성된 폴리우레탄 코팅액을 25g-250g/㎡ 으로 코팅하여 콘베아를 통하여 이송한다. 이후, 건조로에서 50-150℃ 의 온도에서 건조하여 코팅층 배합물에 포함된 유기용제를 휘발시킨다. 릴리즈 페이퍼 위에 형성된 코팅층은 가이드롤로 인도되고, 이어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으로서 25g-250g/㎡ 2차 코팅되어 120-170℃의 건조로로 이송된다.
이 건조로에서 점착제에 포함되어 있던 유기용제를 휘발시킨 후 하층부로 인 쇄층이 도포된 기재층용 시트를 합지시키고 합지롤을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 합지된 인테리어 릴리즈 페이퍼와 같이 숙성실로 이동하여 35-100℃의 온도에서 24-48시간 동안 숙성한 후 릴리즈 페이퍼를 박리하여 폴리우레탄 스킨층이 도포된 인테리어 시트를 제조한다.
상기 인테리어 시트의 제조과정에서 기재층 위에 인쇄층을 도포하는 경우, 먼저 기재층으로서 PET, PP, TPO 또는 PVC 시트를 준비하고, 상기 기재층 상부에 색상 또는 무늬를 인쇄한다. 그 인쇄를 실시하는 방법으로서 롤링 또는 프레스 엠보싱 성형, 그라비아 인쇄 등의 인쇄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그라비아 인쇄법을 이용한 인테리어 시트 제조 방법은 아래와 같다.
즉, 3개의 인쇄롤러와 그 인쇄롤러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3개의 가압롤러 및 인쇄용 잉크를 저장하는 인쇄 저장장치가 구비된 장치를 준비하고, 상기 제조장치에 의하여 기재층용 시트를 제 1인쇄롤러와 제 1가압롤러를 지나가게 하여 인쇄하고, 제2, 3인쇄롤러와 제2, 3가압롤러 사이를 지나가게 하여 중복 인쇄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기재층 상부에 인쇄층을 도포하고, 그 위에 폴리우레탄 스킨층을 도포한 후, 릴리즈 페이퍼를 제거하여 인테리어 시트를 제조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할 것이다.
실시예 : PET 를 이용한 인테리어 시트의 제조
1. 폴리우레탄 스킨층 형성
음각으로 문양이 형성된 릴리즈 페이퍼 상에 폴리우레탄 수지액(폴리우레탄 고형분 40% + DMF 60%)을 도포하고, 스킨층을 형성한 다음, 무늬와 색상이 형성된 면을 표면으로 하고, 뒷면을 접착면으로 하여 스킨층 뒷면(무늬가 없는 면)에 폴리우레탄 고형분 및 용제를 배합하여 접착제(폴리우레탄 고형분 30% + DMF 70%)를 제조한 후, 폴리우레탄 스킨층 뒷면에 적층하여 폴리우레탄 스킨층을 형성하였다.
2. 합지 및 숙성
기재층용으로 준비한 PET 시트에 1.에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스킨층의 접착제가 적층된 면을 접착시켜 합지시킨 후에, 숙성실로 이동하여 70℃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숙성한 후 릴리즈페이퍼를 박리하여 인테리어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기재층, 접착제층 및 폴리우레탄 스킨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인테리어 시트의 기본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폴리우레탄 스킨층 하부에 접착제 층 및 인쇄층이 도입되어 있는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시트의 구조로서 폴리우레탄 스킨층을 각각 별개의 색을 가지는 3개의 층으로 구성하여 색상이나 문양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11)

  1.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부에 도포되는 폴리우레탄 스킨층; 및
    상기 기재층과 폴리우레탄 스킨층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층
    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P(Polypropylene), TPO(Thermoplastic polyolefin) 및 PVC(polyvinyl chlor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PET(Polyethyleneterephtalate) 또는 PP(Polypropyle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은 릴리즈 페이퍼에 폴리우레탄 캐스트 코팅을 실시하고 이를 상기 기재층과 합지한 후 상기 릴리즈 페이퍼를 제거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은 자체에 문양이 형성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은 각각 다른 색상 또는 문양을 가지는 2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상부 및 접착제층 사이에 도포되는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시트.
  8. 인테리어 시트용 기재층을 준비하는 단계;
    릴리즈 페이퍼(Release paper)에 폴리우레탄 캐스트 코팅을 실시하여 폴리우레탄 스킨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폴리우레탄 스킨층 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의 접착제가 도포된 면을 상기 기재층에 접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의 릴리즈 페이퍼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시트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은 릴리즈 페이퍼(Release paper)위에 폴리우레탄 수지액을 코팅시켜 스킨층을 형성한 다음, 릴리즈 페이퍼와 만나지 않는 뒷면을 접착면으로 하여 스킨층 뒷면에 폴리우레탄 고형분 및 용제를 배합하여 제조한 접착제를 적층하고, 접착제가 적층된 면을 상기 기재층에 접착시키고,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의 반대 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릴리즈 페이퍼를 제거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시트의 제조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 페이퍼에는 음각이 형성되어 폴리우레탄 스킨층에 문양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시트의 제조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의 형성단계는 각각 독립적인 색상을 가지는 2이상의 폴리우레탄 수지액을 별개의 층으로 도포하여 캐스트 코팅을 실시함으로써 색상 또는 문양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시트의 제조방법.
KR1020090088943A 2009-09-21 2009-09-21 폴리우레탄 스킨층이 도포된 인테리어 시트 KR201100316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943A KR20110031615A (ko) 2009-09-21 2009-09-21 폴리우레탄 스킨층이 도포된 인테리어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943A KR20110031615A (ko) 2009-09-21 2009-09-21 폴리우레탄 스킨층이 도포된 인테리어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615A true KR20110031615A (ko) 2011-03-29

Family

ID=43936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943A KR20110031615A (ko) 2009-09-21 2009-09-21 폴리우레탄 스킨층이 도포된 인테리어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161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483B1 (ko) * 2013-03-22 2013-09-06 주식회사 신한양행 반짝이시트 제조방법
KR101395815B1 (ko) * 2014-01-08 2014-05-19 주식회사 백산 물리적 응력에 의한 변색성 라미네이트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4611B1 (ko) * 2012-03-07 2014-08-26 장순동 연질 반짝이시트 제조방법
KR102251680B1 (ko) * 2021-01-15 2021-05-17 주식회사 앨리스마샤 친환경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611B1 (ko) * 2012-03-07 2014-08-26 장순동 연질 반짝이시트 제조방법
KR101305483B1 (ko) * 2013-03-22 2013-09-06 주식회사 신한양행 반짝이시트 제조방법
KR101395815B1 (ko) * 2014-01-08 2014-05-19 주식회사 백산 물리적 응력에 의한 변색성 라미네이트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TWI513579B (zh) * 2014-01-08 2015-12-21 Baiksan Co Ltd Color - based multi - layer products based on physical stress and their preparation method
KR102251680B1 (ko) * 2021-01-15 2021-05-17 주식회사 앨리스마샤 친환경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WO2022154151A1 (ko) * 2021-01-15 2022-07-21 주식회사 앨리스마샤 친환경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8205B2 (ja) 皮革様シート
US7431794B2 (en) Process for producing leather-like sheet
KR20130098895A (ko) 우레탄 수지 조성물, 코팅제, 피혁 유사 시트의 표피층 형성용 우레탄 수지 조성물, 그리고 적층체 및 피혁 유사 시트
JPH02251443A (ja) 多層複合材料
US11155960B2 (en) Artificial leather having water-based polyurethane foam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1517025A (zh) 标记用粘合片材
CN109863276A (zh) 弹性地板产品及其制造方法
CN103434232B (zh) 一种高弹性皮革转移膜及其制备方法
CN102056737A (zh) 包含水蒸气可透塑料箔的多层复合材料,其制备方法及用途
CN106132705A (zh) 镜面装饰片材以及使用了该镜面装饰片材的镜面装饰板
CN102099184A (zh) 连续生产多层复合体的方法
WO2008002042A1 (en) Transferring films, multilayered shee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KR20110031615A (ko) 폴리우레탄 스킨층이 도포된 인테리어 시트
WO2000055273A1 (fr) Ruban auto-adhesif ou feuille auto-adhesive et procede de fabrication correspondant
US20180371558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breathable hybrid-leather
CN113039322A (zh) 合成皮革制品及其制备方法
JP6133088B2 (ja) 銀付調人工皮革及びその製造方法
US3728298A (en) Polyurethane printing ink and method of using same
WO2020111226A1 (ja) 接着剤、包装材、及び包装容器、並びに、リサイクル基材製造方法
KR101118109B1 (ko) 디지털 프린팅이 된 인쇄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자재
KR20170011693A (ko) 황토분말을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시트의 제조.
JP7358741B2 (ja) 回折光沢合成皮革
EP4127305A1 (en) Biodegradable synthetic leather produced from recycled material
TWI435805B (zh) Method for manufacturing functional film
JP5340647B2 (ja) スプリットレザ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