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1313A - 충돌 완충 장치 - Google Patents

충돌 완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1313A
KR20130101313A KR1020120022354A KR20120022354A KR20130101313A KR 20130101313 A KR20130101313 A KR 20130101313A KR 1020120022354 A KR1020120022354 A KR 1020120022354A KR 20120022354 A KR20120022354 A KR 20120022354A KR 20130101313 A KR20130101313 A KR 20130101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ision
plate
rail
buff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1445B1 (ko
Inventor
권태수
최원목
정현승
김진성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22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445B1/ko
Publication of KR20130101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돌 완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 충돌시에 충돌 완충 장치의 정면이 아닌 일정 각도로 비스듬한 방향으로 충돌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는 충돌 완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쌍의 레일 후단에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레일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충돌판과, 상기 충돌판과 고정판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 튜브로 이루어지되, 상기 충돌판의 하부 후단에는 지지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레일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이탈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돌 완충 장치{a buffer for collision}
본 발명은 충돌 완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 충돌시에 충돌 완충 장치의 정면이 아닌 일정 각도로 비스듬한 방향으로 충돌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는 충돌 완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의 중앙선에는 중앙분리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반국도 또는 도심지 도로 등에도 가드레일(Guardrail)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앙분리대 및 가드레일 등은 차량의 주행도로를 구분해주면서 차량이 중앙선을 침범하거나 도로를 이탈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교통상의 안전시설이다.
또한, 도로의 연결로, 출구분기점, 교각 및 교대, 터널 및 지하차도 입구, 요금소 전면 등 차량의 충돌사고가 우려되는 지점에는 차량 충돌시 충격을 완충하여 차체파손 및 인명피해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방호 안전시설로 일종의 충격흡수장치인 방호벽 등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방호벽은 블럭타입의 콘크리트 벽체를 나열하거나 모래주머니를 높이 쌓거나 또는 폐타이어들을 나열시키는 형태로 시공되고 있으므로 비교적 약한 차량 충돌에도 쉽게 파손될 뿐만 아니라, 차량충돌시 그 충격의 완충 내지 충격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개특허 제10-2009-0102263호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도로의 설치부지면에 시공된 레일을 포함하는 도로설치용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스프링(12)과,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구(22)가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스프링(12)의 양단에 조립되는 한 쌍의 베이스판(10)으로 구성된 충격흡수용 단일유니트(100)를 구비하고, 상기 각 충격흡수용 단일유니트(100)의 베이스판(10)의 외표면을 서로 밀착 결합시켜서 상기 충격흡수용 단일유니트를 소정의 갯수로 연속 배열하여 조립시키되, 상기 충격흡수용 단일유니트(100)의 복수개의 스프링(12)은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부 중앙에 결합되며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점차 작아지는 직경의 제1스프링(12a)과 상기 베이스판(10)의 하부 양쪽에 결합되며 바깥쪽에서 안쪽방향으로 점차 커지는 직경의 제2,3스프링(12b,12c)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2,3스프링(12a,12b,12c)은 삼각형상 또는 4각형상의 배열로 이루어져 차량충돌시 스프링이 선재 두께에 관계없이 완전히 일자형태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공개특허 제10-2009-0102263호에 기재된 기술은 레일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판(10)의 후면에 3개의 스프링(12)을 구비함으로써, 충돌시에 베이스판(10)이 후부로 이동할 때, 스프링(12)의 탄성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켜 주어 차량의 파손 및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베이스판(10)의 하단을 결합구(22) 만으로 레일에 설치함으로써, 차량이 정면에서 충돌하더라도 충격력이 상부로 집중되게 되면 베이스판(10)이 넘어질 수 있고, 차량이 정면이 아닌 베이스판(10)에 비스듬하게 충돌하게 되면 베이스판(10)이 레일에서 이탈되어 안정적으로 완충작용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일의 상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충돌판의 하단 후면에 지지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정면에서 충돌시에 충격력이 상부로 집중되더라도 충돌판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충격을 완충시켜줄 수 있는 충돌 완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돌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부재의 하단에는 레일에 슬라이드되도록 고정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되고, 레일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이탈방지부가 하부로 돌출형성되어, 차량이 충돌판에 충돌시 정면이 아닌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충돌하더라도, 충돌판이 레일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는 충돌 완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쌍의 레일과,
상기 레일의 후단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레일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충돌판과, 상기 충돌판과 고정판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 튜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충돌판 후면의 하부 양측에는 지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레일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이탈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돌판의 하부에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레일의 상부가 삽입되는 레일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충돌판의 후부에는 제1튜브고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의 전부에는 제2튜브고정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튜브고정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튜브의 전단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의 내경은 완충튜브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삽입부의 전단에는 일정간격으로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판은 전부 상부에 완충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제2튜브고정부가 설치되는 상부멈춤부재가 구비되고, 전부 후부에 상기 지지부재가 접촉지지되는 하부멈춤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충돌 완충 장치에 있어서, 한쌍의 레일과, 고정판과, 충돌판과, 완충 튜브로 이루어지는 상기 충돌 완충 장치는 한쌍의 레일에 연속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일의 상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충돌판의 하단 후면에 지지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정면에서 충돌시에 충격력이 상부로 집중되더라도 충돌판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충격을 완충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충돌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부재의 하단에는 레일에 슬라이드되도록 고정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되고, 레일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이탈방지부가 하부로 돌출형성되어, 차량이 충돌판에 충돌시 정면이 아닌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충돌하더라도, 충돌판이 레일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충돌 완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충돌 완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 완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 완충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 완충 장치의 충돌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 완충 장치의 완충튜브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충돌 완충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돌 완충 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 완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 완충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 완충 장치의 충돌판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 완충 장치의 완충튜브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충돌 완충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돌 완충 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로의 연결로, 출구분기점, 교각 및 교대, 터널 및 지하차도 입구, 요금소 전면 등 차량의 충돌사고가 우려되는 지점에 설치하여 차량 충돌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충돌 완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한쌍의 레일(500)과 상기 레일(500)의 후단에 설치되는 고정판(200)과 상기 레일(500)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충돌판(400)과 상기 충돌판(400)과 고정판(200)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튜브(3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200)의 상부 양측에는 상부멈춤부재(210)가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멈춤부재(210)의 전단에는 상기 완충튜브(300)의 후단이 삽입 설치되는 제2튜브고정부재(21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튜브고정부(212)의 전면에는 완충튜브(300)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제2돌출부(214)가 형성되어 상기 완충튜브(300)의 후단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완충튜브(300)의 후단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충돌판(400)의 상부 양측에는 제1튜브고정부(41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1튜브고정부(410)에는 제1돌출부(412)가 형성되어 상기 완충튜브(300)의 전단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완충튜브(300)의 전단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튜브(300)의 전단에는 상기 제1돌출부(412)가 삽입되는 삽입부(310)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돌출부(412)는 상기 완충튜브(300)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310)의 내경은 제1돌출부(412)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412)의 후단부는 제2테이퍼부(418)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충돌판(400)에 차량이 충돌하여 충돌판(400)이 후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돌출부(412)는 완충튜브(300)의 내부에서 후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돌출부(412)의 외경이 완충튜브(30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돌출부(412)가 후부로 이동할 때, 완충튜브(300)가 억지로 직경을 확장하여야 하므로 저항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저항이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켜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완충튜브(300)의 전단에 형성된 삽입부(310)의 전단에는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절개홈(320)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튜브고정부(410)에 형성된 제1돌출부(412)의 전단에 제1테이퍼부(416)가 형성됨으로써, 충돌판(400)에 차량이 충돌하게 되어, 충돌판(400)이 레일(500)을 따라 후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완충튜브(300)의 전단에 형성되는 절개홈(320)이 제1테이퍼부(416)에 의해 벌어지게 되고, 제1테이퍼부(416)의 전부에 형성되는 플랜지(414)에 의해 완충튜브(300)가 더욱 벌어져 찢어지게 된다.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돌출부(412)의 전단에 형성된 테이퍼부에 의해 완충튜브(300)가 확장될 때 발생하는 저항력과 함께, 상기 완충튜브(300)가 찢어질 때 발생하는 저항력이 차량이 충돌판(400)에 충돌할 때 발생한 충격을 완충시켜줌으로써,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승객에게 작용하는 충격을 큰 폭으로 줄여주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인명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충돌판(400)의 하부 양측에는 지지부재(420)가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부재(420)는 충돌판(400)의 후부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차량이 충돌판(400)의 전면에서 충돌할 때, 충돌판(400)이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되어 충격을 안정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충돌판(400)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부재(420)의 하단과 연결되도록 하판(440)이 형성되어, 보다 견고하게 지지부재(420)를 고정하게 되어, 충돌판(400)에 보다 강한 함이 작용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충돌판(40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충돌판(400)의 하단에는 상기 레일(500)의 상부에서 이탈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450)가 설치되는데, 상기 가이드부재(450)는 지지부재(420)의 하부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되, 각각의 지지부재(450)는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지지부재(450)의 하부 내측에는 레일(500)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레일 가이드홈(452)이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450)의 상부에는 제1관통공(454)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420)에도 가이드부재(450)의 제1관통공(454)에 대응되는 제2관통공(424)이 형성되어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가이드부재(450)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판(440)에는 상기 가이드부재(450)가 삽입되는 절개부(442)가 형성되어, 가이드부재(450)가 지지부재(420)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충돌판(400)에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충돌판(400)은 레일(500)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레일(500)의 전단에는 레일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유지부(510)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500)의 후단은 상기 고정판(200)의 하단 전부에 형성되는 레일고정부(230)에 고정되게 되어, 레일(500)이 일정간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충돌판(400)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부재(420)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탈방지부(430)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이탈방지부(430)는 레일(50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충돌판(400)의 정면이 아니라 비스듬한 방향에서 차량이 충돌하여, 충돌에 의한 충격력이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작용하게 되더라도, 상기 이탈방지부(430)와 레일(500)이 접하는 부분에서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작용하는 작용력을 해소시키게 되어, 충돌판(400)이 레일(5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래서, 차량이 충돌판(400)에 정면뿐만 아니라 일정 각도로 비스듬한 방향에서 충돌하더라도, 충돌에 의한 충격을 해소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승객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200)의 하부 양측에는 하부멈춤부재(220)가 형성되는데, 상기 하부멈춤부재(220)는 충돌판(40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부재(420)에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충돌판(400)이 차량의 충돌에 의해 후부로 이동하게 되어(도 7의 STEP1, STEP2 참조), 고정판(200)과 충돌하게 될 때, 지지부재(420)의 후단은 상기 하부멈춤부재(220)의 전단과 접하게 되고, 제1튜브고정부(410)의 후단은 상부멈춤부재(210)의 전단에 설치된 제2튜브고정부(212)와 접하게 된다(도 7의 STEP3 참조).
그래서, 상부 양측과 하부 양측이 동시에 접하게 됨으로써, 충돌판(400)과 고정판(200)이 충돌할때, 발생하는 충격을 분산시켜줌으로써, 충돌판(400)과 고정판(2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도 완충시켜주어 승객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200)의 후부에는 보강대(240)가 더 형성되어, 상기 충돌판(400)이 차량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다 해소하지 못하여 고정판(200)과 충돌하게 되더라도, 고정판(2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충돌판(400) 및 고정판(200)의 파손을 방지하여, 완충튜브(300)만을 교체함으로써, 재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충돌 완충 장치를 1세트만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를 연속하여 설치할 수 있는데, 그 일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 완충 장치 2세트를 연속하여 설치하였다.
여기서, 상기 레일(500)의 중심부에는 보조 고정판(200')이 설치되는데, 상기 보조 고정판(200')는 레일(500)의 상부를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가이드부재(450)를 사용하여 보조 고정판(200')을 레일(500)에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고정판(200')의 후면에는 다른 충돌판(400)을 용접이나 다른 고정 방법에 의해 연속하여 결합되게 한것으로, 차량이 큰 충격력으로 충돌할 때, 상기 보조 고정판(200')의 전부에 형성된 충돌판(400)이 차량의 충돌에 의해 후부로 이동하게 되어, 충돌판(400)이 후부로 이동하여 보조 고정판(200')과 접하게 되더라도 충격력이 해소되지 않을 경우, 상기 보조 고정판(200')의 후부에 결합된 충돌판(400)과 함께 후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보조 고정판(200')의 후부에 설치된 완충튜브(300')에 의해 잔여 충격력을 완충시켜주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 고정판(200')의 전부에 설치된 완충튜브(300)의 강도가 보조 고정판(200')의 후부에 설치된 완충튜브(300')의 강도보다 약하게 형성함으로써, 차량이 레일(500)의 전단에 위치한 충돌판(400)에 충돌할 때, 보조 고정판(200')의 전부에 설치된 완충튜브(300)가 먼저 찢어지도록 하고, 그 다음 완충튜브(300')가 순차적으로 찢어지도록 하여, 충격력이 작은 경우에는 전부에 설치된 완충츄브(300)만이 찢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충격을 완충시키게 되고, 완충튜브(300)의 소모를 최소한으로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충돌 완충 장치는 완충튜브(300)의 강도를 다양하게 설계하여 필요에 따라 3세트 이상 연속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충돌 완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 충돌시에 충돌 완충 장치의 정면이 아닌 일정 각도로 비스듬한 방향으로 충돌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는 충돌 완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200 : 고정판 210 : 상부멈춤부재
212 : 제2튜브고정부 214 : 제2돌출부
220 : 하부멈춤부재 230 : 레일 고정부
240 : 보강대 300 : 완충튜브
310 : 삽입부 320 : 절개홈
400 : 충돌판 410 : 제1튜브고정부
412 : 제1돌출부
416 : 제1테이퍼부 418 : 제2테이퍼부
420 : 지지부재 424 : 제2관통공
430 : 이탈방지부 440 : 하판
442 : 절개부 450 : 가이드부재
452 : 레일 가이드홈 454 : 제1관통공
500 : 레일 510 : 간격유지부

Claims (10)

  1. 한쌍의 레일과,
    상기 레일의 후단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레일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충돌판과,
    상기 충돌판과 고정판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 튜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완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판 후면의 하부 양측에는 지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완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레일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이탈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완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판의 하부에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레일의 상부가 삽입되는 레일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완충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판의 후부에는 제1튜브고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의 전부에는 제2튜브고정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완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고정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튜브의 전단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완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내경은 완충튜브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완충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전단에는 일정간격으로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완충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전부 상부에 완충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제2튜브고정부가 설치되는 상부멈춤부재가 구비되고,
    전부 후부에 상기 지지부재가 접촉지지되는 하부멈춤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완충 장치.
  10. 충돌 완충 장치에 있어서,
    한쌍의 레일과, 고정판과, 충돌판과, 완충 튜브로 이루어지는 상기 충돌 완충 장치는 한쌍의 레일에 연속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완충 장치.
KR1020120022354A 2012-03-05 2012-03-05 충돌 완충 장치 KR101351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354A KR101351445B1 (ko) 2012-03-05 2012-03-05 충돌 완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354A KR101351445B1 (ko) 2012-03-05 2012-03-05 충돌 완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313A true KR20130101313A (ko) 2013-09-13
KR101351445B1 KR101351445B1 (ko) 2014-01-16

Family

ID=49451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354A KR101351445B1 (ko) 2012-03-05 2012-03-05 충돌 완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4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89963A (zh) * 2022-01-15 2022-04-08 马鞍山市安工大智能装备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焊接机器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7565A (ja) 2005-05-22 2006-12-07 Ikunori Niihara 電車や汽車等の脱線防止方法
KR20090093691A (ko) * 2008-02-29 2009-09-02 이은섭 도로설치용 충격흡수장치
KR101022863B1 (ko) * 2009-02-11 2011-03-16 강진구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
KR101022533B1 (ko) * 2010-09-13 2011-03-16 신도산업 주식회사 확산형 충격흡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89963A (zh) * 2022-01-15 2022-04-08 马鞍山市安工大智能装备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焊接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1445B1 (ko)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396B1 (ko) 방호울타리 단부 충격흡수장치
KR101445347B1 (ko) 파단력을 이용한 충격흡수시설
KR20080109207A (ko)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가드레일장치
KR20170085800A (ko) 차량 충돌 충격 흡수장치
KR100912464B1 (ko) 단부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가드레일장치
KR100577930B1 (ko) 도로 안전 방호대의 반발 방지장치
KR100649365B1 (ko) 커브길 도로에 설치되는 차량 충격 흡수용 가드레일
KR100584083B1 (ko) 도로의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100603511B1 (ko) 도로 터널입구 충격흡수시설
KR100847736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101381407B1 (ko) 차량 충격 흡수 장치
KR100538994B1 (ko) 다단의 충격흡수형 도로용 가드레일
KR101351445B1 (ko) 충돌 완충 장치
KR200453404Y1 (ko) 충격흡수 및 가드레일판이 상승되는 가드레일
KR20110043005A (ko) 슬라이딩 빔을 이용한 충격완화 고성능 가드레일
KR101644909B1 (ko) 방호울타리 단부처리용 차량충돌완충장치
KR101267446B1 (ko) 가드레일 전방부의 차량 충돌시 충격흡수장치
KR101273410B1 (ko) 차량용 충격흡수완화장치
KR20110068698A (ko) 가드레일
KR101328677B1 (ko) 충격완화형 가드레일
KR100889943B1 (ko) 절삭에너지를 이용한 충격흡수시설
KR100655457B1 (ko) 탄성고무를 이용한 차량의 충격흡수 가드레일
KR100561708B1 (ko) 충격흡수가 가능한 교량 난간 구조
KR100556234B1 (ko)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차량 충격흡수 완화장치
KR100540983B1 (ko) 중앙분리대 및 가드레일의 충격 와해 흡수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