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1127A - 심볼 진동의 전자적인 프로세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심볼 진동의 전자적인 프로세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1127A
KR20130101127A KR1020137017936A KR20137017936A KR20130101127A KR 20130101127 A KR20130101127 A KR 20130101127A KR 1020137017936 A KR1020137017936 A KR 1020137017936A KR 20137017936 A KR20137017936 A KR 20137017936A KR 20130101127 A KR20130101127 A KR 20130101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electrical signal
controller
electronic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7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브이. 로데릭
줄리아 디. 트루치세스
크리스토퍼 씨. 라이언
데이비드 에이. 맥도날드
조나단 에이. 막스
Original Assignee
아비디스 질디히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비디스 질디히안 캄파니 filed Critical 아비디스 질디히안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30101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1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43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iezoelectric or magneto-strictive transduc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03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pick-up means for reading recorded waves, e.g. on rotating discs drums, tapes or wi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10H3/186Means for processing the signal picked up from the 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45Special instrument [spint], i.e. mimicking the ergonomy, shape, sound or other characteristic of a specific acoustic musical instrument category
    • G10H2230/251Spint percussion, i.e. mimicking percussion instruments;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with percussion instrument features; Electrophonic aspects of acoustic percussion instruments, MIDI-like control therefor
    • G10H2230/321Spint cymbal, i.e. mimicking thin center-held gong-like instruments made of copper-based alloys, e.g. ride cymbal, china cymbal, sizzle cymbal, swish cymbal, zill, i.e. finger cymb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서, 전자 심볼 시스템은 제1 심볼 (cymbal) 내 진동들을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픽업 그리고 상기 제1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전기적 신호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기술로 처리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기술은 동적 영역 압축, 확장, 주파수 등화, 조화 여진, 콤 필터링, 그리고 피치 시프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심볼즈는 하이-햇, 크래시 및 라이드 심볼즈와 같이 알려진 다양한 심볼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그리고 실내 사용을 위해서 소음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천공이 뚫린 유형일 수 있다. 기능적인 또는 심미적인 목적들을 위해서 심볼에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조명 제어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심볼 진동의 전자적인 프로세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processing of cymbal vibration}
본 발명의 개시는 일반적으로는 악기들에 관련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악기들로부터의 사운드들을 전자적으로 프로세싱하는 것에 관련된다.
심볼즈 (cymbols)는 전통적으로 청각-만의 악기였다. 큰 공간들에서 또는 레코딩 세션들에서의 라이브 공연들을 위해서, 다음에 증폭하고 그리고/또는 레코딩하기 위해 그 심볼즈의 사운드를 채집하기 위해서 마이크로폰들이 보통 사용되지만, 그 의도는 심볼즈의 자연적인 사운드의 "충실한" 재생인 것이 보통이다. 그 심볼즈의 사운드를 필요한대로 또는 원하는대로 재단하기 위해서 반향 (reverb) 또는 균등화 (equalization)와 같은 후-처리 효과가 종종 적용된다.
전자 드럼 키트들의 출현은 "전자 심볼즈"를 자연스럽게 생기게 했다. 그것들의 드럼 대응물처럼, 이 기기들은 전자적인 "트리거들"로서 사용되며, - 즉, 타건되는 "심볼 (cymbal)" 그 자체의 사운드는 청취용으로 또는 들리게 할 의도로 전혀 증폭되지 않는다. "심볼" (또는 더 정확하게는,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으로 덮인 복제 심볼)은 몇몇 유형의 센서로 조립되며, 타건될 때에 어쿠스틱 심볼들의 미리-녹음된 "샘플들"의 재생을 개시하는 트리거 신호들을 생성한다. 전자 심볼의 "사운드"는 타건되는 센서에 의해서 트리거되는 샘플(들)을 변경하면 변경된다. 이런 접근 방식이 실질적인 묵음 동작 그리고 "정격의 (authentic)" 미리-녹음된 심볼 사운드들의 유리함들을 제공하지만, 그것은 커다란 "느낌 (feel)" 그리고 "감정 (expression)"을 겪는다. 드러머들은 어쿠스틱 심볼이 제공하는 "금속-상-부착 (stick-on-metal)"의 느낌 그리고 타건, 타건의 힘 및 타건하는 물체들 (스틱들, 타구봉 (mallets), 브러시 등)의 바뀌는 유형들로 상이한 위치들에서 어쿠스틱 심볼을 타건하여 얻을 수 있는 아주 큰 범위의 사운드 변주에 익숙하다. 드러머들이 어쿠스틱 심볼즈를 이용하여 익숙한 느낌 및 감정의 범위를 제공하기에는 실제적인, 비용-효율적인 감지 방식들은 이용 가능하지 않다.
본 발명은 심볼 진동의 전자적인 프로세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려고 한다.
여기에서 설명된 심볼 시스템은 진짜 금속 심볼즈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드러머들에게 그 드러머들이 높이 평가하는 금속-상-부착 느낌을 제공한다. 사운드 레벨은 필요하다면 심볼 금속 내 천공들 (perforations)에 의해서, 견딜 수 있는 홈 레벨들로 축소될 수 있다. 샘플링된 사운드들에 대한 "트리거들"로서 심볼즈를 사용하기보다는, 심볼즈 그 자체의 자연적인 진동들은 근접-범위 (close-range) 마이크로폰들, 접촉 마이크로폰들, 또는 다른 유형 (광학적, 자기 (magnetic) 등)의 픽업 기기에 의해서 전기적인 신호들로 변환되며, 각 심볼의 사운드를 드럼 키트 내 다른 심볼즈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 진동들의 진폭, 주파수 및 다른 특성들을 나타낼 수 있는 이런 픽업들의 출력들은 그러면, 심볼즈의 자연스러운 사운드에 대한 수정이 수행될 수 있는 제어기/신호 프로세싱 유닛으로 송신된다. 이는 기타리스트들은 오랫동안 익숙해져 있었지만 드러머들은 겪어보지 못한 어떤 것을 드러머들과 같은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 자신들의 악기의 본래의 어쿠스틱한 진동들의 자연스러운 표현들을 전부 유지하면서 전자 신호 프로세싱 수단을 경유한 음성 변이들의 넓은 범위로의 액세스.
여기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이, 전자 심볼 시스템은 제1 심볼 (cymbal) 내 진동들을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픽업 그리고 상기 제1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전기적 신호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이, 제어기는 제1 입력, 제1 심볼 내 진동들을 나타내는 제1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1 입력을 통해서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기술로 처리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및 상기 처리된 제1 전기적 신호의 한 버전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1 출력을 포함한다.
심볼 사운드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이 또한 여기에서 설명된다. 상기 방법은, 제1 심볼 내 진동을 탐지하는 단계, 상기 탐지된 진동들을 나타내는 제1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기술로 처리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제1 전기적 신호의 한 버전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본 명세서의 해당되는 부분들에 개별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통합되고 그리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된 도면들은 실시예들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예들을 도시하며, 그리고 예시의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과 함께, 상기 실시예들의 원칙들 및 구현들을 설명하기 위해서 봉사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심볼 시스템 (100)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이 형성된 심볼 조명 배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일부들을 보여주는 블록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심볼 사운드 프로세싱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예시의 실시예들은 여기에서는 전자 심볼 시스템의 환경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다음의 설명이 예시적일 뿐이며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건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닌 것임을 인식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이점을 가지는 당업자들에게 그 자신들을 쉽게 제시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도시된 예시의 실시예들의 구현들을 이제 상세하게 참조할 것이다. 도면들 및 다음의 설명을 통해서 가능한 범위에서 동일한 또는 유사한 항목들을 언급하기 위해서 동일한 참조 표시들이 사용될 것이다.
간명함을 위해서, 여기에서 설명된 구현들 중의 일상적인 특징들 모두가 여기에서 보여지고 설명되는 것은 아니다. 물론, 그런 실제의 구현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애플리케이션-및 비즈니스-관련된 제한들을 준수하는 것과 같은 개발자의 특정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수많은 구현-특정된 결정들을 해야만 하며, 그리고 이런 특정 목표들이 하나의 구현으로부터 다른 구현마다 그리고 하나의 개발자로부터 다른 개발자마다 변할 것이라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더욱이, 그런 개발 노력은 복잡하고 그리고 시간-소비적일 것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로부터 이점을 가지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설계하는데 있어서 떠맡는 일상적인 것이다.
본 발명의 개시에 따라, 여기에서 설명된 컴포넌트들, 프로세스 단계들 및/또는 데이터 구조들 중 몇몇은 다양한 유형의 운영 시스템들, 컴퓨팅 플랫폼들, 컴퓨터 프로그램들 및/또는 범용 기계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하드와이어 기기들,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들 (FPGAs), 애플리케이션 특징 집적 회로들 (ASICs) 등과 같은 덜 범용 속성의 기기들이 여기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들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또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일련의 프로세스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이 컴퓨터 또는 기계에 의해서 구현되며 그리고 그 프로세스 단계들이 상기 기계에 의해서 읽을 수 있는 일련의 명령어들로서 저장되는 경우에, 그것들은 컴퓨터 메모리 디바이스 (예를 들면, ROM (Read 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e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FLASH Memory), 점프 드라이브 (Jump Drive) 등), 자기 저장 매체 (예를 들면, 테이프,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등), 광학 저장 매체 (예를 들면, CD-ROM. DVD-ROM, 종이 카드, 종이 테이프 등) 그리고 다른 유형의 프로그램 메모리와 같은 유형의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의 용어는 여기에서는 "예시, 사례 또는 예증으로서 서빙"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배타적으로 사용된다. 여기에서 "예시적"으로서 설명된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들보다 더 바람직하거나 또는 더 유리한 것으로서 해석될 필요는 없다.
도 1은 전자 심볼 시스템 (100)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제어기 (102)는 복수의 픽업들 (104)에 연결되며, 그 픽업들 각각은 연관된 심볼 (106)에서 발생된 진동들을 나타내는 전기적인 신호를 제공하도록 서빙한다. 진동들의 진폭 및 주파수 그리고 다른 심볼 진동 특성들과 같은 특징들을 탐지하도록 구성된 상기 픽업들 (104)은 근접-범위 마이크로폰들, 접촉 마이크로폰들, 또는 다른 유형의 마이크로폰들, 또는 광학적 또는 자기 센서들 등과 같은 다양한 알려진 마이크로폰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심볼즈 (106)는 하이-햇 (hi-hat), 라이드 (ride) 또는 크래시 (crash) 심볼즈 형상의, 어떤 알려진 금속의 (또는 다른 충격에 의한 물질) 악기일 수 있으며, 이는 드럼스틱, 타구봉 등과 같은 물체에 의해서 타건되었을 때에 진동들을 겪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심볼즈 (106)는 자신들의 사운드 출력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변경하기 위해서 복수의 구멍들로 천공된다.
상기 픽업들 (104)과 상기 제어기 (102) 사이의 접속들은 무선일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접속들은 케이블들 (108)을 통한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그런 케이블들은 상기 심볼즈에 예를 들면 LED들을 사용하여 기능적인 또는 심미적인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서 조명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추가적인 목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 배치는 도 1a에서 보이며, 도 1a에서 픽업 (104) 상에 배치된 LED들 (110)은 심볼 (106)에 아래로부터 조명을 비추기 위해서 광 (112)을 심볼 (106)의 바닥으로 향하도록 한다. 심볼 (106) 내 천공들 (114)은 LED들 (112)로부터의 광을 상기 심볼을 통해서 위쪽으로 통과시키며, 광 (112a)이 그 천공을 통해서 나타나도록 한다. 상기 LED들 (112)은 어떤 원하는 색상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LED들이 아닌 광 소스들, 예를 들면, 백열광 전구들 등을 포함하는 광 소스들이 예측된다.
도 2는 제어기 (102)의 부분들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어기 (102)의 동작은 픽업들 (104)에 의해서 탐지되는 심볼 진동의 실-시간 파형을 예를 들면 전압의 모습으로 시간의 함수로서 디지털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주파수는 이 정보 내에 내재한다. 일단 사운드 파형이 그렇게 디지털화되면, 필터링, 동적 영역 프로세싱 (dynamic range processing), 조화 여진 (harmonic excitation) 등과 같은 원하는 다양한 프로세싱 요소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시간-도메인 또는 주파수-도메인의 어느 하나의 (또는 어떤 다른) DSP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로 돌아가면, 픽업들 (104) (도 1)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들이 상기 제어기의 입력 단들 (202)에 도착하고 그리고 디지털 도메인으로의 변환을 위해서 A-D 컨버터 (204)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디지털 신호들은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과 같은 프로세싱을 위해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206)로 제공된다. 상기 프로세싱 이후에, 상기 신호들은 옵션으로 D-A 컨버터 (208)를 경유하여 아날로그 도메인으로 거꾸로 변환되며 그리고 그 후에 출력 버퍼(들) (212)에 의해 상기 제어기의 오디오 출력들 (210)로 전달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제어기 (102)는 아날로그 도메인으로의 변환 없이 DSP (206)로부터 디지털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기 (102)는 DSP (206)에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UI) 마이크로제어기 (216) 등을 또한 포함한다. 마이크로제어기 (216)는 필요한 데이터 및 코드의 저장부로 사용되는 메모리 (218)에 연결된다. 마이크로제어기 (216)는 또한 UI (220)에 또한 연결되며, 그 UI를 통해서 사용자는 상기 마이크로제어기 (216) 및 제어기 (102)에 입력 및 명령어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리고 그것들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상기 시스템 정보는 광들의 형상 (깜빡이는 LED들 등), 알파뉴메릭 디스플레이들, 디스플레이 스크린들, 음조 또는 미리-레코딩된 또는 합성된 목소리들의 형상인 사운드들, 기타 등등의 모습으로 운반될 수 있다.
예시의 목적들로만 독립적으로 보여진 제어기 (102)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상이한 방법들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DSP (206)는 A-D 컨버터 (204) 및 D-A 컨버터 (206)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보이며 그리고 마이크로제어기 (216)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보인다. 비용 제한들, 제품 특징 세팅 목표들, 제품 개발 전략, 컴포넌트 가용성 등에 종속하여, 그러나, 이 요소들의 몇몇 또는 모두가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충분히 강력한 DSP (206)는 UI 마이크로제어기 (216)의 기능성을 통합할 수 있을 것이며, 분리된 컴포넌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UI 마이크로제어기 (216)는 메모리 (218)를 통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다양한 컴포넌트들 각각의 몇몇의 상세한 내용들은 명료함을 위해서 생략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예를 들면, 상기 DSP 기기는 자신의 기능들을 수행하기에 필요하다면 자신의 전용 메모리 (RAM, ROM 등) (221)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메모리는 분리된 (또는 추가적인 ) 컴포넌트 (221a)일 수 있으며, 그리고 필요하다면 확장될 수 있다.
도 1에서 상세하게 보여진 사용자 인터페이스 (220)는, 여기에서는 프리셋 (preset)들로서 언급되는, DSP 파라미터들의 복수의 세트들 중에서 선택하기 위한, 노드들 (222 및 224)과 같은 수단을 포함한다. 각 프리셋은 특별한 심볼 사운드를 제공하는 DSP 파라미터들의 결합을 나타낸다. 상이한 프리셋들은 각 유형의 심볼 - 하이-햇, 라이드, 크래시 등에 대해서 맞추어질 수 있을 것이다. 프리셋들이 메모리 공간을 거의 소비하지 않으며, 프리셋들 각각은 수십 개의 파라미터 값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수십 또는 수백 개의 프리셋들이 쉽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사운드 및/또는 효과에 따라서 버튼들, 노브들, 또는 다른 제어들을 경유하여 "크리스프 하이-햇 (crisp hi-hat)", "브라이트 라이드 (bright ride)", "공 크래시 (gong crash)" 등과 같은 프리셋들 중에서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현재-선택된 프리셋들 및 다양한 다른 시스템 파라미터들에 관한 정보가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LED, LCD 등과 같은 공통적인 디스플레이 기술들에 의해서 표시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것과 같은 그런 정보는 광 (깜빡이는 LED들 등), 알파뉴메릭 디스플레이들, 디스플레이 스크린들, 음조 또는 미리-레코딩된 또는 합성된 목소리들 등등의 형상을 할 수 있다.
신호 프로세싱 동작들의 넓은 범위가 DSP 기술들에 의해서 가능하다. 이 기술들 중에서 동적 영역 압축 (dynamic range compression) 및 확장 (expansion), 주파수 등화 (frequency equalization), 조화 "여진기들" (harmonic exciters), 콤 필터들 (comb filters), 그리고 피치 시프터들 (pitch shifters) 등이 존재한다. 이 기술들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알려져 있으며 그래서 추가의 설명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 기술들을 위한 블록들을 구축하는 것은, 비록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하드웨어 구현들이 또한 예상되지만, DSP의 프로그래밍 내 재구성 가능한 소프트웨어 요소들 및 모듈들로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양한 프로세싱 블록들의 파라미터들 그리고 신호 체인 내 블록들의 순서는 프리셋들 메모리 (도시되지 않음) 내 저장된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을 경유하여 그리고/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실시간으로 원하는 대로 구성될 수 있다.
비록 다른 프로세싱 체인들이 예상되지만, 특히 심볼즈와 양호하게 동작하는 것으로 경험적으로 발견된 예시의 신호 프로세싱 체인은 다음과 같다:
리미터 (Limiter) -> 피치 시프터 (Pitch Shifter) -> 여진기 (Exciter) -> 파라미터 등화기 (Parametric Equalizer) -> 콤 필터 (Comb Filter) -> 리미터 (Limiter)
DSP의 프로세싱 속도 및 전력에 의존하여 많은 다른 프로세싱 블록들 및 프로세싱 블록들의 구성들이 가능하다.
프리셋들이 참조번호 218, 221 및/또는 221a의 메모리들과 같은 재기록가능한 메모리 (RAM, 플래시 ROM, EEPROM 등)에 저장되면, 그러면 프리셋 파라미터들의 사용자-편집을 위한 준비가, 온-보드 인터페이스 제어들 (예를 들면, 참조번호 222의 노브들 및 참조번호 224의 버튼들)을 경유하여 또는 USB, MIDI, 이더넷 등과 같은 표준의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데스크탑 PC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원격으로 될 수 있다.
제어기 (102)는 광 제어기 또는 구동기 (225)에 의해 LED들 (110) (도 1a)의 동작을 관리하도록 동작한다. 이 동작은 예를 들면 DSP (206)에 의해 프로세싱된 다양한 리듬들이나 비트들에 동기화될 수 있다. 조명 제어는 LED들 (100) 또는 유사한 광 소스들에 연결된 출력을 구비한 UI 마이크로제어기 (216)에 의해서 제공된다.
제어기 (102)는 전자 드럼들 및 다른 보조의 기기들로부터 입력들을 수신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상기 드럼들에 의해서 생성된 사운드들은 예를 들면 상기 DSP (206)에 의해서 상기 심볼즈들의 사운드와 함께 믹싱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다음의 장비에 의한 증폭 및/또는 레코딩 용의, 오디오 출력들 (212)을 경유한, 전반적인 "키트 믹스 (kit mix)" 출력이다. 상기 심볼즈 및 드럼들로부터의 신호들은 통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단일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보이는 시스템의 요소들이 전자 드럼 세트들의 전형적인 기능들, 트리거 감지, 샘플 재생 등에 의해서 강화되어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보조 입력들 ("Aux Inputs")은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재생 기기로부터의 전형적인 심볼 (그리고 드럼) 사운드들과 함께 믹싱될 수 있는 추가적인 오디오 소스들을 위한 입력이며, 그래서 미리 레코딩된 음악과 함께 재생함으로써 사용자가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심볼 사운드 프로세싱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300)의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은, 참조번호 302에서, 제1 심볼에서의 진동을 탐지하고, 참조번호 304에서, 상기 탐지된 진동들을 나타내는 제1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고, 참조번호 306에서, 상기 제1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기술로 처리하고, 그리고, 참조번호 308에서, 그 처리된 제1 전기적 신호의 한 버전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들 및 응용들이 보여지고 설명되었지만, 이 개시의 이점을 가지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여기에서 개시된 특허적인 개념들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상기에서 언급된 것보다 아주 더 많은 수정들이 가능하다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사상에서가 아니라면,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Claims (50)

  1. 제1 심볼 (cymbal) 내 진동들을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픽업; 및
    상기 제1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전기적 신호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자 심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전기적 신호의 한 버전을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기술로 처리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를 포함하는, 전자 심볼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기술은 동적 영역 압축 (dynamic range compression), 확장 (expansion), 주파수 등화 (frequency equalization), 조화 여진 (harmonic excitation), 콤 필터링 (comb filtering), 그리고 피치 시프팅 (pitch shiftin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 심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들을 상기 제어기로 그리고 제어기 시스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운반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전자 심볼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명령들은 상기 제1 전기적 신호 상에서 상기 DSP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는 프리셋 (preset) 프로세싱 기술들을 선택하는 것에 관련된 것인, 전자 심볼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제2 심볼 내 진동들을 나타내는 제2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제2 전기적 신호의 한 버전을 동적 영역 압축, 확장, 주파수 등화, 조화 여진, 콤 필터링, 그리고 피치 시프팅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하도록 구성된,
    전자 심볼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전자 악기에 연관된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전자 심볼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악기는 전자 심볼 (cymbal)인, 전자 심볼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악기는 전자 드럼인, 전자 심볼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보조 (auxiliary)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전자 심볼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아날로그인, 전자 심볼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디지털인, 전자 심볼 시스템.
  13.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은 하이-햇 (hi-hat) 심볼인, 전자 심볼 시스템.
  14.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은 라이드 심볼 (ride cymbal)인, 전자 심볼 시스템.
  15.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은 크래시 심볼 (crash cymbal)인, 전자 심볼 시스템.
  16.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은 천공이 뚫린 (perforated), 전자 심볼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심볼에 조명을 비추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광 소스를 더 포함하는, 전자 심볼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 소스는 상기 제1 픽업 위에 설치된, 전자 심볼 시스템.
  19. 제1 입력;
    제1 심볼 내 진동들을 나타내는 제1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1 입력을 통해서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기술로 처리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및
    상기 처리된 제1 전기적 신호의 한 버전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1 출력을 포함하는 제어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기술은 동적 영역 압축, 확장, 주파수 등화, 조화 여진, 콤 필터링, 그리고 피치 시프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어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들을 상기 제어기로 그리고 제어기 시스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운반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제어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명령들은 상기 제1 전기적 신호 상에서 상기 DSP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는 프리셋 (preset) 프로세싱 기술들을 선택하는 것에 관련된 것인, 제어기.
  23. 제19항에 있어서,
    제2 입력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제2 심볼 내 진동들을 나타내는 제2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2 입력을 통해서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전기적 신호의 한 버전을 동적 영역 압축, 확장, 주파수 등화, 조화 여진, 콤 필터링, 그리고 피치 시프팅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하도록 더 구성된, 제어기.
  24. 제19항에 있어서,
    제2 입력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전자 악기에 연관된 트리거 신호를 상기 제2 입력을 통해서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악기는 전자 심볼인, 제어기.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악기는 전자 드럼인, 제어기.
  27. 제19항에 있어서,
    제2 입력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보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2 입력을 통해서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은 아날로그 출력인, 제어기.
  2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은 디지털 출력인, 제어기.
  30. 상기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은 하이-햇 (hi-hat) 심볼인, 제어기.
  31. 상기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은 라이드 심볼 (ride cymbal)인, 제어기.
  32. 상기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은 크래시 심볼 (crash cymbal)인, 제어기.
  33. 상기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은 천공이 뚫린, 제어기.
  34. 제19항에 있어서,
    광 소스에 조명 제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조명 제어 출력을 더 포함하는, 제어기.
  35. 심볼 사운드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 심볼 내 진동을 탐지하는 단계;
    상기 탐지된 진동들을 나타내는 제1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기술로 처리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제1 전기적 신호의 한 버전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기술은 동적 영역 압축, 확장, 주파수 등화, 조화 여진, 콤 필터링, 그리고 피치 시프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적 신호 상에서 구현될 수 있는 프리셋 프로세싱 기술 선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8. 제35항에 있어서,
    제2 심볼 내 진동들을 탐지하는 단계;
    상기 제2 심볼 내에서 탐지된 진동들을 나타내는 제2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기술로 처리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제2 전기적 신호의 한 버전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기적 신호가 처리되도록 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기술은 동적 영역 압축, 확장, 주파수 등화, 조화 여진, 콤 필터링, 그리고 피치 시프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40. 제35항에 있어서,
    전기 악기와 연관된 트리거 신호를 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악기는 전자 심볼인, 방법.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악기는 전자 드럼인, 방법.
  43. 제35항에 있어서,
    보조 오디오 신호를 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4.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제1 전기적 신호의 상기 출력된 버전은 아날로그인, 방법.
  45.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제1 전기적 신호의 상기 출력된 버전은 디지털인, 방법.
  4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은 하이-햇 심볼인, 방법.
  4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은 라이드 심볼인, 방법.
  4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은 크래시 심볼인, 방법.
  4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은 천공이 뚫린, 방법.
  50. 제19항에 있어서,
    조명 제어 신호를 광 소스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37017936A 2010-12-13 2011-12-01 심볼 진동의 전자적인 프로세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011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66,965 2010-12-13
US12/966,965 US8497418B2 (en) 2010-12-13 2010-12-13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processing of cymbal vibration
PCT/US2011/062964 WO2012082392A1 (en) 2010-12-13 2011-12-01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processing of cymbal vib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127A true KR20130101127A (ko) 2013-09-12

Family

ID=46198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936A KR20130101127A (ko) 2010-12-13 2011-12-01 심볼 진동의 전자적인 프로세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497418B2 (ko)
JP (1) JP2013546026A (ko)
KR (1) KR20130101127A (ko)
CN (1) CN103380454A (ko)
TW (1) TWI479476B (ko)
WO (1) WO20120823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9378B2 (en) * 2010-09-15 2014-05-20 Avedis Zildjian Co. Non-contact cymbal pickup using multiple microphones
US8657129B2 (en) 2010-12-07 2014-02-25 Avedis Zildjian Co. Drum rack
US8497418B2 (en) 2010-12-13 2013-07-30 Avedis Zildjian Co.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processing of cymbal vibration
US20130312590A1 (en) * 2012-05-24 2013-11-28 Avedis Zildjian Co. Electromagnetic Cymbal Pickup
US8872015B2 (en) 2012-08-27 2014-10-28 Avedis Zildjian Co. Cymbal transducer using electret accelerometer
US9330649B2 (en) 2013-07-12 2016-05-03 Apple Inc. Selecting audio samples of varying velocity level
US9360206B2 (en) * 2013-10-24 2016-06-07 Grover Musical Products, Inc. Illumination system for percussion instruments
CN103632659A (zh) * 2013-12-18 2014-03-12 陈兴国 一种双触发金属电子镲
CN103632658A (zh) * 2013-12-18 2014-03-12 陈兴国 一种金属电子镲
US9053693B1 (en) * 2014-01-07 2015-06-09 Ai-Musics Technology Inc. Digital cymbal displacement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cymbal
US9536506B1 (en) * 2014-02-12 2017-01-03 Jim Melhart Piano and Organ Company Lighted drum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9245510B2 (en) * 2014-03-12 2016-01-26 Avedis Zildjian Co. Electronic cymbal trigger
US9263012B2 (en) * 2014-03-18 2016-02-16 Avedis Zildjian Co. Cymbal striking surface
US11308928B2 (en) * 2014-09-25 2022-04-19 Sunhouse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preting audio
TWI601061B (zh) * 2015-10-16 2017-10-01 創蘊股份有限公司 智慧型效果器
US9767774B2 (en) * 2015-10-23 2017-09-19 Tufts University Synthesizer with cymbal actuator
US9761215B2 (en) * 2015-11-03 2017-09-12 Avedis Zildjian Co. Techniques for magnetically mounting a transducer to a cymbal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DE102017202226A1 (de) 2017-02-13 2018-08-16 Sebastian Laudy Steuergerät und Verfahren zur Wiedergabe von digitalen Audiodateien auf einem handhaltbaren Audiowiedergabegerät
US10262636B2 (en) 2017-06-02 2019-04-16 Avedis Zildjian Co. Techniques for magnetically mounting a percussion instrument to a cymbal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9990909B1 (en) * 2017-07-12 2018-06-05 Rtom Corporation Cymbal
US10643589B1 (en) * 2017-11-29 2020-05-05 McKee Michael Neal Hi-hat percussion instrument
US10460708B2 (en) * 2018-01-19 2019-10-29 Sabian Ltd. Frequency control cymbal
JP6375077B1 (ja) * 2018-03-16 2018-08-15 Atv株式会社 電子シンバル
EP4070050A4 (en) * 2019-12-05 2024-01-17 Sunhouse Tech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DIO CAPTURE AND INTERPRETATION
CN112261229B (zh) * 2020-09-11 2022-01-18 歌尔科技有限公司 骨传导通话设备测试方法、装置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8129A (en) 1979-01-31 1981-02-03 Avedis Zildjian Company Hi Hat cymbal
US4353008A (en) 1980-07-07 1982-10-05 Alfred T. Moffatt Display apparatus for a drum
US4579229A (en) 1981-02-17 1986-04-01 Jeffrey Porcaro, Inc. Drum accessory rail
US5125134A (en) 1985-12-27 1992-06-30 Tamao Morita Magnetic fastener
US5056399A (en) 1990-11-21 1991-10-15 Mark Watts Audio reactive light display
JPH0695673A (ja) * 1992-09-17 1994-04-08 Korugu:Kk 電子打楽器
US5459283A (en) 1994-01-06 1995-10-17 Birdwell, Jr.; Stanley J. Power system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US5520292A (en) 1994-05-16 1996-05-28 Lombardi; Donald G. Percussion instrument mounting apparatus
JPH07311577A (ja) * 1994-05-17 1995-11-28 Korugu:Kk 電子打楽器
US6369313B2 (en) 2000-01-13 2002-04-09 John R. Devecka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a jam session and instructing a user in how to play the drums
JP3639103B2 (ja) 1997-12-24 2005-04-20 株式会社コルグ 消音シンバル、電気シンバル及び消音ハイハットシンバル
US8023665B2 (en) 1998-05-04 2011-09-20 Schwartz Stephen R Microphone-tailored equalizing system
US6610917B2 (en) 1998-05-15 2003-08-26 Lester F. Ludwig Activity indication, external source, and processing loop provisions for driven vibrating-element environments
US6252967B1 (en) 1999-01-21 2001-06-26 Acoustic Technologies, Inc. Reducing acoustic feedback with digital modulation
JP3420715B2 (ja) 1999-01-25 2003-06-30 星野楽器株式会社 楽器用クランプ装置
AU2001284427A1 (en) 2000-09-07 2002-03-22 Shingo Tomoda Analog electronic drum set, parts for drum stick, analog electronic drum set andfoot-pedal unit
US6610916B1 (en) 2001-12-24 2003-08-26 Michael Torrez Drummer's snake
JP4236611B2 (ja) 2003-12-26 2009-03-11 ローランド株式会社 電子打楽器
JP4333592B2 (ja) * 2004-05-24 2009-09-16 ヤマハ株式会社 電子ハイハットシンバル
JP4678317B2 (ja) * 2005-03-31 2011-04-27 ヤマハ株式会社 打撃検出装置
JP4422672B2 (ja) 2005-12-19 2010-02-24 株式会社コルグ 打楽器用ピックアップ、電気打楽器
US7718878B2 (en) 2006-06-09 2010-05-18 Randall L May Musical instrument stand with assisted extension
CA2558857A1 (en) 2006-09-06 2008-03-06 Paul Seney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trolled hitting of a percussion instrument
JP2008170644A (ja) 2007-01-10 2008-07-24 Roland Corp 電子楽器システムおよび電子楽器用スタンド
KR20100092867A (ko) * 2007-10-26 2010-08-23 알. 코펠랜드 브라이언 미디 기술을 사용하는 타악 화성 음악 합성 장치
US8358050B2 (en) 2008-01-16 2013-01-22 Cappello Joseph J Apparatus for use with an acoustic drum to produce electrical signals while muting the sound of the acoustic drum
KR101473366B1 (ko) 2008-03-05 2014-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원구동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광원 장치 및 이 광원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5347552B2 (ja) * 2008-03-31 2013-11-20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打楽器
JP5245024B2 (ja) 2008-04-10 2013-07-24 株式会社コルグ 電子ドラム
US7851687B2 (en) 2009-01-14 2010-12-14 Henry Chang Illuminated cymbal
US7838753B2 (en) 2009-01-20 2010-11-23 Mark D. Steele Electric high-hat circuitry system
US8729378B2 (en) 2010-09-15 2014-05-20 Avedis Zildjian Co. Non-contact cymbal pickup using multiple microphones
US8497418B2 (en) 2010-12-13 2013-07-30 Avedis Zildjian Co.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processing of cymbal vib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97418B2 (en) 2013-07-30
WO2012082392A1 (en) 2012-06-21
US20120186419A1 (en) 2012-07-26
US20120144980A1 (en) 2012-06-14
TWI479476B (zh) 2015-04-01
TW201241821A (en) 2012-10-16
JP2013546026A (ja) 2013-12-26
CN103380454A (zh)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74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processing of cymbal vibration
US909906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effects based on audio signal analysis
WO2017057530A1 (ja) 音響処理装置及び音響処理方法
US20200202828A1 (en) Effects loop sequencer for routing musical instrument output
EP4115630A1 (en) Method, device and software for controlling timing of audio data
JP3176273B2 (ja) 音声信号処理装置
EP3373289A1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musical sound generat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0574808B1 (ko) 악음 신호 생성 장치
US10056061B1 (en) Guitar feedback emulation
JP2015087436A (ja) 音声処理装置、音声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5165884A1 (en) Electronic drum interface
JP5458494B2 (ja) 電子楽器
JP4094441B2 (ja) 電子楽器
JP7149218B2 (ja) カラオケ装置
JP6357772B2 (ja) 電子楽器、プログラム及び発音音高選択方法
WO2010119541A1 (ja) 音発生装置、音発生方法、音発生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935380B2 (ja) 電子楽器、共鳴音付与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51603B2 (ja) 電子楽器
JP5151523B2 (ja) 電子楽器
WO20211132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preting audio
JP4463231B2 (ja) ボコーダ装置
Yun et al. Guitar Application Programming for Smartphone
JP2010271428A (ja) 電子ドラム
Hurlburt An expressive vocal MIDI controller
JP2007017818A (ja) 楽音制御装置および楽音制御処理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