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0777A - 태양 전지용 봉지재 및 합판 유리용 중간막 - Google Patents

태양 전지용 봉지재 및 합판 유리용 중간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0777A
KR20130100777A KR1020137007219A KR20137007219A KR20130100777A KR 20130100777 A KR20130100777 A KR 20130100777A KR 1020137007219 A KR1020137007219 A KR 1020137007219A KR 20137007219 A KR20137007219 A KR 20137007219A KR 20130100777 A KR20130100777 A KR 20130100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laminated glass
solar cell
sealing material
l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7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8404B1 (ko
Inventor
신이치 무구루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Publication of KR20130100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7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UV absorbers or stabilizers, e.g. antioxid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9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silico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1Encapsulation of modul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encapsulation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8Double glass encapsulation, e.g. photovoltaic cells arranged between front and rea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2Photovoltaic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627Next to aldehyde or ketone condensation product
    • Y10T428/3163Next to acetal of polymerized unsaturated alcohol [e.g., formal butyral,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하중 특성을 개선하여, 프레임리스에 의한 시공, 저렴한 유리의 사용, 태양 전지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유리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합판 유리의 내하중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JIS K 7244-4에 의해 주파수 0.3Hz 및 25℃에서 측정된 저장 탄성률이 1000~4000MPa이며, 유리를 양면에 접착시킨 적층체에 대하여 25℃에서 측정한 압축 전단 강도가 5~80MPa인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 전지용 봉지재 및 합판 유리용 중간막{SOLAR-CELL SEALANT AND LAMINATED-GLASS INTERLAYER}
본 발명은, 태양 전지를 제조할 때, 태양 전지 소자와 보호재를 접합하는데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태양 전지용 봉지(封止)재 및 이것을 사용한 태양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또, 유리와의 접착성 및 내(耐)하중 특성이 우수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이것을 사용한 합판 유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원의 유효 이용이나 환경 오염의 방지 등의 면에서,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직접 변환하는 태양 전지가 널리 사용되며, 새로운 개발이 진척되고 있다.
결정계 실리콘 태양 전지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기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11)와 이면측 보호 부재(백 커버)(12) 사이에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중합체(EVA) 필름 등의 표면 봉지재(13A) 및 이면 봉지재(13B)를 개재하여, 실리콘 발전 소자 등의 태양 전지 셀(14)을 복수, 봉지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프레임(15)으로 보강되어 시공된다.
박막계 실리콘, 카드뮴·텔루르 태양 전지는 일반적으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기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11)에 제조된 태양 전지 셀(16)과 이면측 보호 부재(백 커버)(12) 사이에 가소(可燒)화 폴리비닐부티랄 및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중합체(EVA) 필름 등의 봉지재(13)를 개재하여, 봉지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프레임(15)으로 보강되어 시공된다.
CIGS, CIS 태양 전지는 일반적으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기판등으로 이루어지는 이면측 보호 부재(12)에 제조된 태양 전지 셀(16)과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11) 사이에 가소화 폴리비닐부티랄 및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중합체(EVA) 필름 등의 봉지재(13)를 개재하고, 봉지한 구성으로 하고 있고, 프레임(15)으로 보강되어 시공된다.
종래의 태양 전지에서는, 이처럼 프레임으로 보강되어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태양 전지는 더욱 내구성의 향상 및 비용 절감이 요망되고 있다. 프레임의 가격은 일반적으로는 봉지재의 2~4배 정도이며, 프레임리스로의 시공은 태양 전지의 비용 절감에 매우 유용하다.
그래서, 프레임리스 태양 전지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더 솔라 스탠다드(THE SOLAR STANDARD) 제1호]. 그러나 내하중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이면에 보강 구조가 필요한 경우가 많고, 이면에 보강 구조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는 고가인 열강화 유리가 사용되고 있어, 더욱 비용 절감이 요망되고 있다. 이때 봉지재로서는 가소화 폴리비닐부티랄이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고온(50℃) 부근에서 물성의 저하가 보이고, 내구성의 관점에서도 개선이 요망되고 있다. 태양 전지는 발전 시에 발열하기 위하여 사용 환경이 20℃라도 실제로는 50℃ 이상으로 승온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고온에서의 내하중 특성은 매우 중요하다.
또, 태양 전지 모듈의 안전성 적합 인정(IEC61730-2)의 MST32 충격 파괴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내충격성도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중에, 태양 전지용 봉지재로서, 높은 체적 저항률을 가지는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국제 공개 제2009/151952호). 그러나,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소제사용량이 많아 50℃ 부근에서의 물성이 불충분하며, 또한 라미네이션 온도에서의 유동성이 불충분하여 기포, 밀착 불량 등의 외관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그런데, 종래부터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는, 시트상(狀)으로 성형되어, 건축물의 창유리 등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리를 맞붙인 후, 열에 의해 유리판이 어긋나거나, 기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유리가 깨지기 쉬운 등, 내하중 특성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중에, 내하중 특성이 우수한 내위험 창문 설비용 유리 적층체로서, 아이오노머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표 제2002-514533호 공보). 그러나, 아이오노머 수지의 시트는 내열성이 낮고, 50℃ 부근에서의 물성이 불충분하다.
국제 공개 제2009/151952호 일본 특허 공표 제2002-514533호 공보
「더 솔라 스탠다드(THE SOLAR STANDARD) 제1호」, [Online], 2008년 5월, 어플라이드 매터리얼즈(APPLIED MATERIALS), [2010년 6월 검색], 인터넷 <URL: http://www.appliedmaterials.com/products/assets/newsletters/solar_newsletter_may2008_japan.pdf>
태양 전지에는, 더욱 내구성의 향상 및 비용 절감이 소망되고 있어, 프레임리스 모듈이 검토되고 있지만, 이면에 보강 구조가 필요하거나, 고가인 열강화 유리가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하중 특성을 개선하여, 프레임리스에 의한 시공, 저렴한 유리의 사용, 태양 전지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저렴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태양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유리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합판 유리의 내하중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저렴한 유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해지기 때문에, 더욱 저비용으로 합판 유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태양 전지의 내하중 특성은,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11)의 종류와 두께, 이면측 보호 부재(12)의 종류와 두께, 또한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11)와 이면측 보호 부재(12)를 접착하는 봉지재(13)의 물성이 중요해진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다양한 검토를 행한 결과, 높은 저장탄성률 및 높은 유리에 대한 접착성이, 태양 전지 모듈의 내하중 특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합판 유리의 내구성이나 내하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온도가 50℃ 부근까지 상승한 경우에 있어서의 내하중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JIS K 7244-4에 의해 주파수 0.3Hz 및 25℃에서 측정된 저장 탄성률이 1000~4000MPa이며, 유리를 양면에 접착시킨 적층체에 대하여 25℃에서 측정한 압축 전단 강도가 5~80MPa인,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는, JIS K 7244-4에 의해 주파수 0.3Hz 및 50℃에서 측정된 저장탄성률이, 50~4000MPa이며, 유리를 양면에 접착시킨 적층체에 대하여 50℃에서 측정한 압축 전단 강도가 5~80MPa인,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의해서도 해결된다.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에 의하면, 내하중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프레임리스로 시공하거나, 저렴한 유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태양 전지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의하면, 유리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유리가 깨지기 어려운 내하중 특성이 우수한 합판 유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바람직한 태양을, 이하에 열기(列記)한다.
태양 전지용 봉지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두께 2.8mm의 유리를 양면에 접착시킨 적층체에 대하여 JIS R 3212의 내관통성 시험에 준하여, 강구(鋼球)를 높이 2m로부터 낙하시킨 경우에 관통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40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0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40질량% 이상 포함하고,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0질량부 이하인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600~1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추가로 고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고무의 함유량은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100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의 유리 전이 온도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고무와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굴절률의 차이는 0.0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태양 전지용 봉지재를 사용한 태양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합판 유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에 의하면, 내하중 특성이 좋은 태양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프레임리스에 의한 시공, 저렴한 유리의 사용, 태양 전지의 경량화, 내구성의 향상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의하면, 유리와의 접착성이 우수하고, 합판 유리의 온도가 비교적 고온까지 상승한 경우에도 내하중 특성이 우수한 합판 유리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결정계 실리콘 태양 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박막계 실리콘, 카드뮴·텔루르 태양 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CIGS, CIS 태양 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유리에 대한 접착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압축 전단 강도 측정 지그이다.
도 5는 유리에 대한 접착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압축 전단 강도 측정 지그이다.
도 6은 안전성 적합 인정(IEC61730-2)의 MST32충격 파괴 시험용의 시공물의 정면 및 좌측으로부터 본 개요도이다.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일 태양은, JIS K 7244-4에 의해 주파수 0.3Hz 및 25℃에서 측정된 저장 탄성률이 1000~4000MPa이다. 저장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1100~3000MPa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2500MPa다. 1000MPa 미만의 경우에는 내하중 특성이 불충분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4000MPa를 넘는 경우에는, 제조가 매우 곤란하다. 상기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유리를 양면에 접착시킨 적층체에 대하여 25℃에서 측정한 압축 전단 강도가 5~80MPa이다. 바람직하게는 10~80MPa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0~60MPa이다. 또한, 상기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고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유리를 양면에 접착시킨 적층체에 대하여 25℃에서 측정한 압축 전단 강도는, 7~80MPa인 것이 바람직하고, 9~60MPa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5~40MPa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5MPa 미만의 경우에는 접착력이 너무 낮아 유리로부터 박리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80MPa를 넘는 경우에는, 제조가 매우 곤란하다. 이러한, 저장 탄성률 및 유리의 접착성을 가지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특히,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를 사용하고, 아세탈화도를 최적화하여, 가소제를 소량 사용하거나, 또는, 전혀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 무기 미립자를 첨가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다음으로, 유리에 대한 접착성을 측정하기 위한 압축 전단 강도 시험에 대하여 설명한다. 압축 전단 강도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압축 전단 강도 측정 지그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우선, 유리(23) 및 유리(22)에 봉지재(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21)가 끼워진 합판 유리 샘플(24)(25mm×25mm)을 제조한다.
합판 유리 샘플(24)은, 지그(하부)(31)의 오목부(31a)에 놓인다(도 5 참조). 지그(하부)(31)는, 지면과 평행한 평면에 설치되어 있고, 오목부(31a)를 가지는 사면은, 지면에 대하여 각도 45°의 경사를 가지는 것이다. 오목부(31a)는 이 사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패여있다. 오목부(31a)의 패임의 형상과 합판 유리 샘플(24)의 바닥면의 형상은, 동일한 25mm×25mm의 정방형이며, 합판 유리 샘플(24)은, 오목부(31a)에 걸림 없이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합판 유리 샘플(24)을 구성하는 유리(23)는, 오목부(31a)에서, 지그(하부)(31)와 접한다.
오목부(31a)의 깊이는, 합판 유리 샘플(24)의 두께보다는 얇고, 합판 유리 샘플(24)의 상부, 즉 유리(22)로 이루어지는 부분은, 지그(하부)(31)의 사면(31b)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지그(하부)(31)와 마찬가지로, 지그(상부)(32)의 오목부(32a)의 패임의 형상은, 합판 유리 샘플(24)의 바닥면의 형상과 동일한 25mm×25mm의 정방형이며, 사면(31b)으로부터 돌출된 유리(22)는, 지그(상부)(32)의 오목부(32a)와 접하고, 걸어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지그(상부)(32)는, 압축 전단 시험기의 크로스 헤드에 고정되어 있지만, 오목부(32a)를 가지는 사면이, 지그(하부)(31)의 사면과 마찬가지로, 지면에 대하여 각도 45°의 경사를 갖도록, 압축 전단 시험기의 크로스 헤드에 고정되어 있다. 오목부(32a)는 이 사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패여있다.
압축 전단 시험기의 크로스 헤드에 고정된 지그(상부)(32)는, 오목부(32a)가 합판 유리 샘플(24)의 유리(22)에 접촉될 때까지,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2.5mm/min의 속도로 하강된다(도 5 참조). 지그(상부)(32)의 오목부(32a)가, 합판 유리 샘플(24)의 상부와 걸어 맞춰진 후에도, 크로스 헤드는 2.5mm/min의 속도로 하강된다. 그 결과, 합판 유리 샘플(24)에는, 전단 응력이 가해져, 어느 시점에서 봉지재(21)와, 유리(22) 또는 유리(23)는, 접착 파손이 일어난다. 여기서 측정의 대상이 되는 압축 전단 강도는, 접착 파손을 일으킨 시점에서의 전단 응력을 말한다. 합판 유리 샘플(24)을 6개 준비하여, 6회 동일한 시험을 행하고, 그 평균값을, 그 봉지재의 접착 강도로 할 수 있다. 6회 동일한 시험을 행하여 평균값을 취한 경우, 통상, 그 오차는, 몇 % 정도에 들어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압축 전단 강도 시험을 행하기 위한 합판 유리 샘플(24)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시판하는 플로트 유리(두께 3mm, 크기 25mm×25mm) 2매에 봉지재(21)를 개재한 다음, 진공백법(조건: 30℃에서부터 160℃로 60분간 승온하고, 그 후 160℃에서 30분간 유지)을 채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다른 일 태양은, JIS K 7244-4에 의해 주파수 0.3Hz 및 50℃에서 측정된 저장 탄성률이 50~4000MPa이며, 200~3000MPa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500~2500MPa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주파수 0.3Hz 및 50℃에서 측정된 저장 탄성률이 50MPa 미만인 경우에는, 특히, 50℃ 부근까지 온도가 상승한 경우에 있어서의 내하중 특성이 불충분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4000MPa를 넘는 경우에는, 제조가 매우 곤란하다. 주파수 0.3Hz 및 50℃에서 측정된 저장 탄성률이 200MPa 이상인 경우에는, 특히 내하중 특성이 높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유리를 양면에 접착시킨 적층체에 대하여 50℃에서 측정한 압축 전단 강도가 5~80MPa이며, 10~80MPa인 것이 바람직하고, 10~60MPa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10~30MPa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고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유리를 양면에 접착시킨 적층체에 대하여 50℃에서 측정한 압축 전단 강도는, 7~50MPa인 것이 바람직하고, 10~30MPa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유리를 양면에 접착시킨 적층체에 대하여 50℃에서 측정한 압축 전단 강도가 5MPa 미만인 경우에는, 특히, 50℃ 부근까지 온도가 상승한 경우에 접착력이 너무 낮아 유리로부터 박리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80MPa를 넘는 경우에는, 제조가 매우 곤란하다.
또, 상기 두 태양의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두께 2.8mm의 유리를 양면에 접착시킨 적층체에 대하여 JIS R 3212의 내관통성 시험에 준하여, 무게 2260kg의 강구를 높이 2m로부터 낙하시킨 경우에 관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양 전지의 내충격성은, 상기한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11)의 종류와 두께, 이면측 보호 부재(12)의 종류와 두께, 또한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11)와 이면측 보호 부재(12)를 접착하는 봉지재(13)의 물성이 중요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봉지재(13)의 물성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상기의 내하중 특성의 관점에서는, 봉지재는 단단한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고, 내충격성의 관점에서는, 봉지재는 무른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내하중 특성과 내충격성을 양립시키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이에 대하여, 강구를 높이 2m로부터 낙하시킨 경우에 관통되지 않는 상기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의하면, 태양 전지 모듈에 있어서, 내하중 특성 및 내충격성을 양립시킬 수 있고, 또한, 합판 유리에 있어서, 내구성, 내하중 특성 및 내충격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다. 강구를 높이 2m로부터 낙하시킨 경우에 관통하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를 사용하면, 얻어지는 태양 전지 모듈의 내충격성이 충분하지 않아, 태양 전지 모듈이 안전성 적합 인정(IEC61730-2)의 MST32 충격 파괴 시험에 불합격될 우려가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에 소정량의 고무를 혼합함으로써, 저장 탄성률 및 압축 전단 강도를 유지한 채, JIS R 3212의 내관통성 시험에 준하여, 강구를 높이 2m로부터 낙하시킨 경우에 관통되지 않는, 충분한 내충격성을 가지는 상기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얻는 것이 가능해 진다. 여기서, 강구로서는, 질량 2260±20g, 직경 약 82mm의 표면이 매끄러운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40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50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80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함유율이 40질량%보다 적어지면, 원하는 저장 탄성률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거나, 유리에 대한 접착성이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로서는 평균 아세탈화도 40~90몰%의 것이 바람직하다. 40몰% 미만이면 흡수율이 높아 바람직하지 않다. 90몰%를 넘으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얻기 위한 반응 시간에 장시간을 요하고, 프로세스상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60~85몰%이며, 내수성의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65~80몰%이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중의 비닐 아세테이트 성분이 30몰%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다. 30몰%를 넘으면, 수지의 제조 시에 블로킹을 일으키기 쉬워지기 때문에, 제조하기 어려워진다.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는, 통상, 비닐 아세탈 성분, 비닐 알코올 성분 및 비닐 아세테이트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각 성분량은, 예를 들면, JIS K 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이나 핵자기공명법(NMR)에 기초하여 측정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가, 비닐 아세탈 성분 이외의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비닐 알코올의 성분량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성분량을 측정하여, 이들 양 성분량을 뺌으로써, 나머지의 비닐 아세탈 성분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는, 종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대표적으로는, 폴리비닐 알코올을 알데히드류를 사용하여 아세탈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 알코올을 온수에 용해하여, 얻어진 수용액을 소정의 온도, 예를 들면, 0~96℃도, 바람직하게는 10~20℃로 유지해 두고, 소요(所要)의 산촉매 및 알데히드류를 가하여, 교반하면서 아세탈화 반응을 진행시키고, 이어서, 반응 온도를 70℃로 높여 숙성하여, 반응을 완결시키고, 그 후, 중화, 수세 및 건조를 행하여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분말을 얻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원료가 되는 폴리비닐 알코올 평균 중합도는,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60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70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750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폴리비닐 알코올의 평균 중합도가 너무 낮으면, 얻어지는 태양 전지 모듈의 내관통성, 내크리프 물성, 특히 85℃, 85%RH와 같은 고온 고습 조건 하에서의 내크리프 물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 폴리비닐 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5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25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230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2000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폴리비닐 알코올의 평균 중합도가 5000을 넘으면 수지막의 성형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얻어지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라미네이트 적성(適性)을 향상시키고, 외관에 한층 우수한 태양 전지 모듈 또는 합판 유리를 얻기 위해서는, 폴리비닐 알코올의 평균 중합도가 1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10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원료가 되는 폴리비닐 알코올의 평균 중합도와 일치하기 때문에, 상기한 폴리비닐 알코올의 바람직한 평균 중합도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바람직한 평균 중합도와 일치한다.
얻어지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비닐 아세테이트 성분을 30몰%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비누화도가 70몰% 이상인 폴리비닐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 알코올의 비누화도가 70몰% 미만이 되면, 수지의 투명성이나 내열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반응성도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95몰% 이상의 것이다.
폴리비닐 알코올의 평균 중합도 및 비누화도는, 예를 들면, JIS K 6726 「폴리비닐 알코올 시험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코올의 아세탈화에 사용하는 알데히드류로서는, 탄소수 1~12의 알데히드가 바람직하다. 알데히드의 탄소수가 12를 넘으면 아세탈화의 반응성이 저하되고, 또한 반응 중에 수지의 블록이 발생하기 쉬워져, 수지의 합성에 곤란함을 수반하기 쉬워진다.
알데히드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발레르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헵틸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벤즈알데히드, 신남알데히드 등의 지방족, 방향족, 지환식 알데히드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탄소수 2~6의 지방족 알데히드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부틸알데히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알데히드류는 단일의 것이 사용되어 있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다관능 알데히드류나 그 밖의 관능기를 가지는 알데히드류 등을 전 알데히드류의 20질량% 이하의 범위에서 소량 병용해도 된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상기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에 고무를 혼합하는 것이,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에 고무를 혼합함으로써,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와 함께, 추가로 고무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무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실리콘·아크릴 복합 고무, 아크릴계 고무, 실리콘 고무, 부타디엔계 고무(MBS, NBR, ABS, SBR등), 우레탄 고무, 천연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부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불소 고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E),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열경화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한층 더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위해서는, 실리콘·아크릴 복합 고무, 아크릴계 고무, 부타디엔계 고무가 바람직하고, 실리콘·아크릴 복합 고무 및 아크릴계 고무가 더 바람직하다. 또, 내충격성 향상의 관점에서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에 대하여 비상용성의 고무도 바람직하고, 이러한 고무로서, 열경화성 엘라스토머가 더 바람직하다. 또한, 고무는 1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내충격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상기 고무의 유리 전이 온도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의 유리 전이 온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무의 유리 전이 온도는, -2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 온도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JIS K 7244-4: 1999년에 기초하여 측정하고, tanδ의 피크값을 채용하였다.
또, 상기 고무는 내충격성 향상의 관점에서, 평균 입자경은 50~400nm이 바람직하다. 고무의 평균 입자경은, 예를 들면 탁도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 상기 고무의 함유량은 내충격성 향상의 관점에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1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3~80질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5~60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고무의 함유량이 1질량부보다 적으면 내충격성의 개선 효과가 작다. 한편, 고무의 함유량이 100질량부를 넘으면, 실온(25℃ 정도) 및 5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나 유리와의 접착력이 저하됨으로써, 파단 강도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는 것에 더하여, 얻어지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유동성도 저하되어 라미네이트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고무의 첨가량에 대해서는, 사용하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조성, 평균 중합도 등에 의해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또,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건축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중간막의 투명성도 중요하다. 투명성을 유지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고무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굴절률의 차이가 0.0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0.01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리고, 한층 더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아크릴계 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유리 등에 대한 접착성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착성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통상, 합판 유리의 접착성 조정제로서 사용되는 첨가제를 첨가하는 방법, 접착성을 조정하기 위한 각종 첨가제를 첨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접착성 조정제 및/또는 접착성을 조정하기 위한 각종 첨가제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얻어진다.
접착성 조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국제공개 제03/033583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토류 금속염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예를 들면,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등의 염을 들 수 있다. 상기 염으로서는 옥탄산, 헥산산, 부티르산, 아세트산, 포름산 등의 카르본산 등의 유기산; 염산, 질산 등의 무기산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성 조정제의 최적의 첨가량은, 사용하는 첨가제에 의해 다르지만, 얻어지는 필름(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유리에 대한 접착력이, 퍼멜 시험(Pummel test; 국제공개 제03/033583호 등에 기재)에 있어서, 일반적으로는 3~10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높은 내관통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3~6, 높은 유리 비산 방지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7~10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은 유리 비산 방지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접착성 조정제를 첨가하지 않는 것도 유용한 방법이다.
상기 접착성을 조정하기 위한 각종 첨가제로서는 실란 커플링제를 들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실란 커플링제는, 조성물(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전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약 5질량%의 양으로 가하여진다.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추가로 가소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블로킹 방지제, 안료, 염료, 기능성 무기화합물 등이, 필요에 따라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또, 필요에 따라, 추출이나 세정에 의해 가소제나 각종 첨가제의 함유량을 일단 저감시키고나서, 새로이 첨가해도 된다.
또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상기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취지에 반하지 않는 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와, 그 이외의 수지를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와 그 이외의 수지의 적층체를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무기물(산화티탄, 탈크 등)을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성분을 첨가·혼합 등 하여 사용함으로써, 이들 성분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얻을 수 있다.
가소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디-(2-부톡시에틸)-아디핀산 에스테르(DBEA), 디-(2-부톡시에틸)-세바신산 에스테르(DBES), 디-(2-부톡시에틸)-아젤라인산 에스테르, 디-(2-부톡시에틸)-글루타르산 에스테르, 디-(2-부톡시에톡시에틸)-아디핀산 에스테르(DBEEA), 디-(2-부톡시에톡시에틸)-세바신산 에스테르(DBEES), 디-(2-부톡시에톡시에틸)-아젤라인산 에스테르, 디-(2-부톡시에톡시에틸)-글루타르산 에스테르, 디-(2-헥속시에틸)-아디핀산 에스테르, 디-(2-헥속시에틸)-세바신산 에스테르, 디-(2-헥속시에틸)-아젤라인산 에스테르, 디-(2-헥속시에틸)-글루타르산 에스테르, 디-(2-헥속시에톡시에틸)-아디핀산 에스테르, 디-(2-헥속시에톡시에틸)-세바신산 에스테르, 디-(2-헥속시에톡시에틸)-아젤라인산 에스테르, 디-(2-헥속시에톡시에틸)-글루타르산 에스테르, 디-(2-부톡시에틸)-프탈산 에스테르 및/또는 디-(2-부톡시에톡시에틸)-프탈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분자를 구성하는 탄소수 및 산소수의 합이 28보다 높은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2-부톡시에톡시에틸)-아디핀산 에스테르, 디-(2-부톡시에톡시에틸)-세바신산 에스테르, 1,2-시클로헥산디카르본산-디이소노닐에스테르(DINCH)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압축 전단 강도나 유리에 대한 접착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소량으로, 원하는 가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점에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1,2-시클로헥산디카르본산-디이소노닐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가소제의 함유량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0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5질량부 이하가 더 바람직하고, 2질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0질량부(즉,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음)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2종 이상의 가소제를 병용해도 된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상기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 가소제의 함유량은 매우 중요하며, 폴리비닐 아세탈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0질량부를 넘게 함유하면, 실온 및 5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첨가량에 대해서는 사용하는 폴리비닐 아세탈수지의 조성, 분자량 등에 의해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또한, 가소제의 함유량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0질량부 이하(바람직하게는 5질량부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질량부)인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의하면, 얻어지는 태양 전지 모듈의 내하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얻어지는 합판 유리의 내구성이나 내하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가소제의 함유량이 당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0질량부 이하(바람직하게는 5질량부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질량부)인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포함한다. 여기서, 당해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40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80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페놀계 산화 방지제, 인계 산화 방지제, 유황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페놀계 산화 방지제가 바람직하고, 알킬 치환 페놀계 산화 방지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페놀계 산화 방지제의 예로서는, 2-t-부틸-6-(3-t-부틸-2-히드록시-5-메틸 벤질)-4-메틸페닐아크릴레이트, 2,4-디-t-아밀-6-(1-(3,5-디-t-아밀-2-히드록시페닐)에틸)페닐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2,6-디-t-부틸-4-메틸페놀, 2,6-디-t-부틸-4-에틸페놀,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4-메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6-t-부틸-m-크레졸), 4,4’-티오비스(3-메틸-6-t-부틸페놀), 비스(3-시클로헥실-2-히드록시-5-메틸페닐)메탄, 3,9-비스(2-(3-(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알킬 치환 페놀계 화합물, 6-(4-히드록시-3,5-디-t-부틸아닐리노)-2,4-비스-옥틸티오-1,3,5-트리아진, 6-(4-히드록시-3,5-디메틸아닐리노)-2,4-비스-옥틸티오-1,3,5-트리아진, 6-(4-히드록시-3-메틸-5-t-부틸아닐리노)-2,4-비스-옥틸티오-1,3,5-트리아진, 또는 2-옥틸티오-4,6-비스-(3,5-디-t-부틸-4-옥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등의 트리아진기 함유 페놀계 화합물 등이 있다.
인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페닐포스파이트, 디페닐이소데실포스파이트, 페닐디이소데실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디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t-부틸-4-메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시클로헥실페닐)포스파이트,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옥틸포스파이트, 9,10-디히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사이드, 10-(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9,10-디히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사이드, 또는 10-데실옥시-9,10-디 히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 등의 모노포스파이트계 화합물,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닐-디-트리데실포스파이트), 4,4’-이소프로필리덴-비스(페닐-디-알킬(C12~C15)포스파이트), 4,4’-이소프로필리덴-비스(디페닐모노알킬(C12~C15)포스파이트), 1,1,3-트리스(2-메틸-4-디-트리데실포스파이트-5-t-부틸페닐)부탄, 또는 테트라키스(2,4-디-t-부틸페닐)-4,4’-비페닐렌포스파이트 등의 디포스파이트계 화합물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도 모노포스파이트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유황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디라우릴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라우릴스테아릴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β-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3,9-비스(2-도데실티오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등이 있다.
이러한 산화 방지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의 배합량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5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01~1질량부의 범위이다. 산화 방지제의 양이 0.001질량부보다 적으면 충분한 효과가 발현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또한 5질량부보다 많게 하여도 특별한 효과는 바랄 수 없다.
또,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2-(5-메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2-(3,5-디-t-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t-부틸-5-메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5-디-t-부틸-5-메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 (3,5-디-t-아밀-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또는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의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벤조에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2-(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2-n-부틸말로네이트, 또는 4-(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1-(2-(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등의 힌더드아민계 자외선 흡수제, 2,4-디-t-부틸페닐-3,5-디-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또는 헥사데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등의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은, 폴리비닐아세탈 조성물에 대하여 질량 기준으로 10~50,000pp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10,000ppm의 범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첨가량이 10ppm보다 적으면 충분한 효과가 발현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또 50,000ppm보다 많게 하여도 특별한 효과는 바랄 수 없다. 이들 자외선 흡수제는 2종 이상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광안정제로서는 힌더드 아민계의 것, 예를 들면 주식 회사 ADEKA제 「아데카스타브 LA-57(상품명)」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의 수지에 소정량의 가소제 및 필요에 따라 다른 첨가제를 배합하고, 이것을 균일하게 혼련한 후, 압출법, 캘린더법, 프레스법, 캐스팅법, 인플레이션법 등, 공지된 제막 방법에 의해 필름(시트)을 제조하고, 이것을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으로 할 수 있다.
공지된 제막 방법 중에서도 특히 압출기를 사용하여 필름(시트)을 제조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압출 시의 수지 온도는 150~250℃가 바람직하고, 170~230℃가 더 바람직하다. 수지 온도가 너무 높아지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가 분해를 일으켜, 휘발성 물질의 함유량이 많아진다. 반대로 온도가 너무 낮으면, 역시 휘발성 물질의 함유량은 많아진다. 휘발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압출기의 벤트구(口)로부터 감압에 의해,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표면에 멜트프랙쳐(melt fracture), 엠보스 등, 종래 공지된 방법으로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멜트 프랙쳐, 엠보스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 태양 전지용 봉지재의 전체의 막 두께는, 20~10,000㎛가 바람직하고, 100~3,000㎛가 더 바람직하고, 200~1,000㎛가 더욱 바람직하다.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막 두께는, 20~10,000㎛가 바람직하고, 100~3,000㎛가 더 바람직하다. 너무 얇으면 태양 전지 모듈 또는 합판 유리를 제조할 때 바람직하게 디라미네이트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너무 두꺼우면 비용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는, 태양 전지와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 및 이면측 보호 부재 사이를 봉지하여 태양 전지 모듈을 형성하기 위한 봉지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태양 전지 모듈로서는, 다양한 타입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표면 봉지재/태양 전지 셀/이면 봉지재/이면측 보호 부재와 같이 태양 전지 셀의 양측으로부터 봉지재로 끼우는 구성의 것,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태양 전지 셀/봉지재/이면측 보호 부재와 같은 구성의 것,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봉지재/태양 전지 셀/이면측 보호 부재와 같은 구성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태양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태양 전지 셀로서는, 단결정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아몰퍼스 실리콘 등의 실리콘계, 갈륨·비소, CIGS, 카드뮴·텔루르 등의 III-V족이나 II-VI족 화합물 반도체계, 색소 증감, 유기 박막 등의 유기계 등의 각종 태양 전지 셀을 들 수 있다.
태양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로서는, 유리,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불소 함유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 이면 보호 부재로서는, 금속이나 각종 열가소성 수지 필름 등의 단체 또는 다층의 시트를 예시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주석,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 유리 등의 무기 재료, 폴리에스테르, 무기물 증착 폴리에스테르, 불소함유 수지, 폴리올레핀 등의 1층 또는 다층의 시트를 예시할 수 있다.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시에는, 본 발명의 봉지재의 필름(시트)을 미리 만들어 두고, 봉지재가 용융하는 온도로 압착한다는 종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이미 서술한 것과 같은 구성의 모듈을 제조할 수 있다.
진공 라미네이터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에 사용되는 공지된 장치를 사용하여, 1~30,000Pa의 감압 하, 100~200℃, 특히 130~170℃의 온도에서 라미네이트 된다. 진공백 또는 진공링을 사용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EP1235683B1에 기재되어 있고, 예를 들면, 약 20,000Pa의 압력 하, 130~170℃에서 라미네이트 된다.
닙 롤을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유동 개시 온도 이하의 온도로 1회째의 가압착을 한 후, 추가로 유동 개시 온도에 가까운 조건으로 가압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적외선 히터 등으로 30~100℃로 가열한 후, 롤로 탈기하고, 추가로 50~150℃로 가열한 후 롤로 압착하여 접착 또는 가접착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가압착 후에 부가적으로 행하여지는 오토 클레이브 공정은, 모듈의 두께나 구성에도 의존하지만, 예를 들면, 약 1~1.5MPa의 압력 하, 130~155℃의 온도에서 약 2시간 실시된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의해 합판 유리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유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플로트 판유리, 연마 판유리, 형판 유리, 망입 판유리, 열선 흡수 판유리 등의 무기 유리 이외에,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종래 공지된 유기 유리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은 무색, 유색, 또는 투명, 비투명한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 유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사용된 폴리비닐부티랄 수지(PVB)로서는, 목적으로 하는 평균 중합도와 동일한 평균 중합도(JIS K 6726 「폴리비닐 알코올 시험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한 평균 중합도)를 가지는 폴리비닐 알코올을 염산 촉매 하에서 n-부틸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평균 중합도 약 900, 아세탈화도 약 69몰%의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합성하고, 압력 100Kgf/㎠, 열판 온도 150℃로 10분 프레스 하여, 두께 0.76mm의 폴리비닐부티랄 시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아세탈화도는 JIS K 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1. 물성 평가(저장 탄성률)
JIS K 7244-4(1999년 제정)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은 주파수 0.3Hz이다. 0℃~100℃까지 1℃/min의 정속 승온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폴리비닐부티랄 시트는,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920MPa이며, 5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530MPa이었다.
2. 물성 평가(유리에 대한 접착성)
위에 서술한 방법으로, 압축 전단 강도 측정을 25℃ 및 50℃에서 실시하였다. 또한, 합판 유리 샘플(24)로서는, 시판하는 플로트 유리(두께 3mm, 크기 25mm×25mm) 2매에 상기 폴리비닐부티랄 시트를 사이에 둔 다음, 진공백법(조건: 30℃에서부터 160℃로 60분간 승온하고, 그 후 160℃에서 30분간 유지)에 의해 제조된 것(12 샘플)을 사용하였다. 시험은 각 샘플을 사용하여, 25℃ 및 50℃의 각각에 있어서 6회씩 행하였다. 측정 결과의 평균값은, 25℃에서는 52MPa이며, 50℃에서는 28MPa이었다.
3. 물성 평가(파단 강도)
시판하는 플로트 유리(두께 2.8mm, 크기 26mm×76mm) 2매에 상기 폴리비닐부티랄 시트를 사이에 둔 다음, 진공백법(조건: 30℃에서부터 160℃로 60분간 승온하고, 그 후 160℃에서 30분간 유지)에 의해, 합판 유리를 제조하였다. 그 후, 오토 그래프 AG-5000B를 사용하여 합판 유리의 3점 굽힘 시험을 실시하고, 파단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험 속도는 0.25mm/min으로 행하였다. 25℃에서는 0.80kN이며, 50℃에서는 0.70kN이었다.
4. 물성 평가(라미네이트 적성)
시판하는 플로트 유리(두께 3.2mm, 크기 1100mm×1300mm) 2매에 상기 폴리비닐부티랄 시트를 사이에 둔 다음, 진공 라미네이터(닛신보메카트로닉스주식회사제1522N)를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합판 유리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합판 유리의 라미네이트 적성을 이하의 기준에 의해 판정한바, 「◎」이었다.
<조건>
열판 온도: 165℃
진공화 시간: 12분
프레스 압력: 50kPa
프레스 시간: 17분
<판단 기준>
◎: 기포, 밀착 불량 등의 외관 결점은 없고, 밀착 양호
×: 기포, 밀착 불량 등의 외관 결점 있음
5. 물성 평가(내크리프 물성)
상기 폴리비닐부티랄로부터 크기 1cm×8cm이며 표선간 거리 4cm인 샘플을 잘라내어, 크리프 시험기(주식회사야스다정밀기계제작소제 No.145 크리프 테스터)를 사용하여, 85℃, 85%RH, 하중 없음의 조건 하에서 5시간 인장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 후의 표선간 거리는 4.2cm이고, 신장률은 105%이며, 이하의 기준으로부터 「◎」으로 판정되었다.
<판정 기준>
◎: 신장률 120% 이하
○: 신장률 120%를 넘고, 200% 이하
×: 200%를 넘음
6. 물성 평가(내관통성 시험)
시판하는 플로트 유리(두께 2.8mm, 크기 300mm×300mm) 2매에 상기 폴리비닐부티랄 시트를 사이에 둔 다음, 진공 라미네이터(닛신보메카트로닉스주식회사제; 1522N)를 사용하여 합판 유리를 제조하였다. 그 후, JIS R 3212의 내관통성 시험에 준하여 높이 2m로부터 2260g의 강구를 낙하시켰다. 그 결과, 강구가 관통되었음(불합격)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의 합판 유리는, 높이 2m로부터의 내관통성 시험에 불합격이었기 때문에, 높이 3m로부터 2260g의 강구를 낙하시키는 내관통성 시험은 행하지 않았다. 또한, 높이 3m로부터의 내관통성 시험은 실시예 12~21에 대해서만 행하였다.
7. 물성 평가[태양 전지 모듈의 안전성 적합 인정(IEC61730-2)의 MST32 충격파괴 시험]
시판하는 플로트 유리[두께 3.2mm, 크기 864mm(폭 방향)×1300mm(길이 방향)] 2매에 상기 폴리비닐부티랄 시트를 사이에 둔 다음, 진공 라미네이터(닛신보메카트로닉스주식회사제; 1522N)를 사용하여 합판 유리를 제조하고, 이것을 태양 전지 모듈로 간주하였다. 이 합판 유리를 사용하여 태양 전지 모듈의 안전성 적합 인정(IEC61730-2)의 MST32 충격 파괴 시험을, 도 6과 같은 프레임리스 시공에서 실시한바, 높이 1220mm로 불합격이었다. 다음으로, 플로트 유리의 두께를 4mm로 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에 의해 충격 파괴 시험을 행한바, 합격이었다. 또한, 플로트 유리의 두께 4mm에 있어서의 충격 파괴 시험은 실시예 1~11에 대해서만 행하였다. 이하, 도 6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지용 기초 토대(41)는 대략 직선 형상으로 성형된 것으로, 합판 유리(43)를 지지하기 위한 토대가 되는 것이다. 2개의 지지용 기초 토대(41)는, 합판 유리(43)의 길이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325mm의 위치에 있어서, 합판 유리(43)와 접하지 않고 폭 방향[합판 유리(43)에 평행하며 또한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클램프(42)[길이 200mm×폭 10mm(폭 방향으로 유리와 접촉하고 있는 거리)]는, 본 지지용 기초 토대(41)에 약 864mm의 간격으로, 1개의 지지용 기초 토대(41)에 대하여, 2개씩 설치되어 있고, 합계 4개의 클램프(42)가, 합판 유리(43)의 폭 방향의 양단에서, 또한, 클램프(42)의 중앙이 합판 유리(4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로부터 325mm의 위치가 되도록, 합판 유리(43)를 고정하고 있다.
(실시예 2~7)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의 재료(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폴리비닐부티랄 시트를 제조하고, 저장 탄성률, 유리에 대한 접착성, 파단 강도, 라미네이트 적성, 내크리프 물성, 내관통성 시험 및 충격 파괴 시험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8)
평균 중합도 약 900, 아세탈화도 약 69몰%의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합성하고,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가소제로서 3GO[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를 2질량부 가하고, 압력 100Kgf/㎠, 열판 온도 150℃로 10분 프레스하여, 두께 0.76mm의 폴리비닐부티랄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폴리비닐부티랄 시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저장 탄성률, 유리에 대한 접착성, 파단 강도, 라미네이트 적성, 내크리프 물성, 내관통성 시험 및 충격 파괴 시험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9~11)
표 2에 나타내는 평균 중합도와 아세탈화도를 가지는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가소제로서 3GO를 표 2에 나타내는 양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비닐부티랄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폴리비닐부티랄 시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저장 탄성률, 유리에 대한 접착성, 파단 강도, 라미네이트 적성, 내크리프 물성, 내관통성 시험 및 충격 파괴 시험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12)
평균 중합도 약 1000, 아세탈화도 약 69몰%의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실리콘·아크릴 복합 고무(미쓰비시레이온주식회사제; 메타브렌S2006, 유리 전이 온도 -39℃, 평균 입자경 200nm)를 5질량부 혼합하여 얻어진 펠릿을, 압력 100Kgf/㎠, 열판 온도 150℃로 10분 프레스하여, 두께 0.76mm의 폴리비닐부티랄 시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아세탈화도는 JIS K 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또, 실리콘·아크릴 복합 고무의 유리 전이 온도는, JIS K 7244-4: 1999년에 기초하여 측정하여 tanδ의 피크값으로 하였다. 측정 조건은 주파수 0.3Hz이다. -150℃~100℃까지 1℃/min의 정속 승온으로 실시하였다.
제조한 폴리비닐부티랄 시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저장 탄성률, 유리에 대한 접착성, 파단 강도, 라미네이트 적성, 내크리프 물성, 내관통성 시험 및 충격 파괴 시험을 평가하였다. 또, 사용한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및 고무의 굴절률과 상기 폴리비닐부티랄 시트를 사용한 합판 유리의 헤이즈를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8. 물성 평가(굴절률)
JIS K 7142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9. 물성 평가(헤이즈)
JIS K 7136에 기초하여 유리에 대한 접착성(압축 전단 강도)을 측정할 때 사용한 합판 유리 샘플과 동일한 합판 유리 샘플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3~21)
표 3 및 표 4에 나타내는 조성의 재료(폴리비닐부티랄 수지 및 고무)를 사용하여,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폴리비닐부티랄 시트를 제조하고, 저장 탄성률, 유리에 대한 접착성, 파단 강도, 헤이즈, 라미네이트 적성, 내크리프 물성, 내관통성 시험 및 충격 파괴 시험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 및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3~16 및 실시예 18~21에 있어서는, 고무로서, 실시예 12에서 사용한 실리콘·아크릴 복합 고무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7에 있어서는, 고무로서, 시판하는 아크릴계 고무(미쓰비시레이온주식회사제; 메타브렌 W377, 유리 전이 온도 -18℃, 평균 입자경 200nm)를 사용하였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비교예 1)
평균 중합도 약 1700, 아세탈화도 약 69몰%의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합성하여,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가소제로서 3GO를 20질량부 가하고, 압력 100Kgf/㎠, 열판 온도 140℃로 10분 프레스하여, 두께 0.76mm의 폴리비닐부티랄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폴리비닐부티랄 시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저장 탄성률, 유리에 대한 접착성, 파단 강도, 라미네이트 적성, 내크리프 물성, 내관통성 시험 및 충격 파괴 시험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비교예 2)
평균 중합도 약 1700, 아세탈화도 약 69몰%의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합성하고,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가소제로서 3GO를 35질량부 가하고, 압력 100Kgf/㎠, 열판 온도 140℃로 10분 프레스하여, 두께 0.76mm의 폴리비닐부티랄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폴리비닐부티랄 시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저장 탄성률, 유리에 대한 접착성, 파단 강도, 라미네이트 적성, 내크리프 물성, 내관통성 시험 및 충격 파괴 시험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비교예 3)
평균 중합도 약 1000, 아세탈화도 약 69몰%의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실리콘·아크릴 복합 고무(미쓰비시레이온주식회사제; 메타브렌S2006, 유리 전이 온도 -39℃, 평균 입자경 200nm)를 300질량부 혼합하여 얻어진 펠릿을, 압력 100Kgf/㎠, 열판 온도 180℃로 10분 프레스하여, 두께 0.76mm의 폴리비닐부티랄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폴리비닐부티랄 시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저장 탄성률, 유리에 대한 접착성, 파단 강도 및 라미네이트 적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내관통성 시험을 행하기 위하여, 내관통성 시험용의 합판 유리 샘플의 제조를 시험해 보았지만, 상기 폴리비닐부티랄 시트의 유동성이 불충분했기 때문에 합판 유리 샘플을 제조할 수 없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아이오노머 수지 시트[Dupont사제; SentryGlas(등록 상표) Plus(SGP)]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저장 탄성률, 유리에 대한 접착성, 파단 강도, 라미네이트 적성, 내관통성 시험 및 충격 파괴 시험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비교예 5)
태양 전지용 EVA 시트(주식회사브리지스톤제; EVASAFE)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저장 탄성률, 유리에 대한 접착성, 파단 강도, 라미네이트 적성, 내크리프 물성, 내관통성 시험 및 충격 파괴 시험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비교예 6)
PMMA 수지(주식회사구라레제; 구라레파라펫 HR-L)를 압력 100Kgf/㎠, 열판 온도 200℃로 10분 프레스하여, 두께 0.76mm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저장 탄성률, 유리에 대한 접착성, 파단 강도, 라미네이트 적성 및 내크리프 물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파단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저장 탄성률과 유리에 대한 접착성(압축 전단 강도)이 특정 범위에 있는 것이 중요한 것을 알 수 있다. 시판하는 플로트 유리(두께 5.7mm, 크기 26mm×76mm)의 파단 강도는 0.82kN 정도이며,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합판 유리는, 대략 동일한 두께의 플로트 유리에 필적하는 내하중 특성을 실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더 얇은 유리를 사용한 경우에도 태양 전지 모듈의 안전성 적합 인정(IEC61730-2)의 MST32 충격 파괴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두께 2.8mm의 유리 양면에 접착시킨 적층체에 대하여 JIS R 3212의 내관통성 시험에 준하여 높이 2m로부터 2260g의 강구를 낙하시킨 경우에 관통되지 않는 것이 중요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평균 중합도를,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으로 나타내면, 평균 중합도 900의 경우에는 중량 평균 분자량(Mw)가 57,000, 평균 중합도 1000의 경우에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63,000, 평균 중합도 1100의 경우에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68,000, 평균 중합도 1200의 경우에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80,000, 평균 중합도 1700의 경우에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10,000이 된다.
11: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 12: 이면측 보호 부재
13: 봉지재 13A: 표면 봉지재
13B: 이면 봉지재 14: 태양 전지 셀
15: 프레임 16: 태양 전지 셀
21: 봉지재 22: 유리
23: 유리 24: 합판 유리 샘플
31: 압축 전단 강도 측정 지그(하부) 31a: 오목부
31b: 사면
32: 압축 전단 강도 측정 지그(상부) 32a: 오목부
41: 지지용 기초 토대 42: 클램프
43: 합판 유리

Claims (13)

  1. JIS K 7244-4에 의해 주파수 0.3Hz 및 25℃에서 측정된 저장 탄성률이 1000~4000MPa이며, 유리를 양면에 접착시킨 적층체에 대하여 25℃에서 측정한 압축 전단 강도가 5~80MPa인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2. JIS K 7244-4에 의해 주파수 0.3Hz 및 50℃에서 측정된 저장 탄성률이, 50~4000MPa이며, 유리를 양면에 접착시킨 적층체에 대하여 50℃에서 측정한 압축 전단 강도가 5~80MPa인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두께 2.8mm의 유리를 양면에 접착시킨 적층체에 대하여 JIS R 3212의 내(耐)관통성 시험에 준하여, 강구(鋼球)를 높이 2m로부터 낙하시킨 경우에 관통되지 않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40질량% 이상 포함하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5. 제4항에 있어서,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0질량부 이하인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6.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40질량% 이상 포함하고,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0질량부 이하인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평균 중합도가 600~1100인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고무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의 함유량이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100질량부인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의 유리 전이 온도가 -10℃ 이하인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와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굴절률의 차가 0.04 이하인 태양 전지용 봉지재 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태양 전지용 봉지재를 사용한 태양 전지 모듈.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합판 유리.
KR1020137007219A 2010-08-23 2011-08-18 태양 전지용 봉지재 및 합판 유리용 중간막 KR1020884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85976 2010-08-23
JPJP-P-2010-185976 2010-08-23
JP2011068923 2011-03-25
JPJP-P-2011-068923 2011-03-25
JPJP-P-2011-079666 2011-03-31
JP2011079666 2011-03-31
PCT/JP2011/068687 WO2012026393A1 (ja) 2010-08-23 2011-08-18 太陽電池用封止材および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777A true KR20130100777A (ko) 2013-09-11
KR102088404B1 KR102088404B1 (ko) 2020-03-12

Family

ID=45723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7219A KR102088404B1 (ko) 2010-08-23 2011-08-18 태양 전지용 봉지재 및 합판 유리용 중간막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75262B2 (ko)
EP (1) EP2610225B1 (ko)
JP (1) JP5793498B2 (ko)
KR (1) KR102088404B1 (ko)
CN (1) CN103080035A (ko)
TW (1) TWI638715B (ko)
WO (1) WO20120263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2150B2 (ja) * 2012-03-29 2016-08-31 株式会社クラレ 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
TWI549816B (zh) * 2012-06-08 2016-09-21 長春石油化學股份有限公司 夾層玻璃用之中間膜及含其之夾層玻璃
JP5967593B2 (ja) * 2012-06-27 2016-08-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14090895A1 (de) * 2012-12-15 2014-06-19 Kuraray Europe Gmbh Formkörper aus polyvinyl(iso)acetalen
JP6096220B2 (ja) * 2012-12-17 2017-03-15 株式会社クラレ ゴム含有グラフト重合体粉体、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太陽電池用封止材及び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6253240B2 (ja) * 2013-03-28 2017-12-27 株式会社クラレ 太陽電池用封止材および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6324813B2 (ja) * 2013-05-31 2018-05-16 株式会社クラレ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646641C2 (ru) * 2013-09-30 2018-03-06 Секисуй Кемикал Ко., Лтд. Промежуточная пленка для многослойного стекла и многослойное стекло
KR102470383B1 (ko) 2014-01-15 2022-11-25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CN106103377B (zh) * 2014-03-10 2018-10-30 Agc株式会社 窗用层叠基板具备窗用层叠基板的汽车以及窗用层叠基板用中间层结构体
EP3127386A1 (en) * 2014-04-01 2017-02-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and using device-to-device frequency-related capability and configuration preferences
EP3159372A4 (en) * 2014-06-17 2017-12-27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Rubber-containing graft polymer powder, solar cell sealing material containing same, an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US20170266927A1 (en) * 2014-09-30 2017-09-21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US10427384B2 (en) 2014-11-10 2019-10-01 Kuraray Co., Ltd.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CN107207817B (zh) * 2014-12-08 2021-01-05 首诺公司 具有增强的光学特性的聚(乙烯醇缩醛)树脂组合物、层和夹层
JP6558022B2 (ja) * 2015-03-27 2019-08-14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薄膜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6908365B2 (ja) * 2015-10-07 2021-07-2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CN108290786B (zh) * 2015-11-30 2021-03-09 Agc株式会社 夹层玻璃
US10538063B2 (en) 2016-05-09 2020-01-21 Kuraray America, Inc. Multilayer interlayer and glass laminate
JP6792614B2 (ja) * 2016-05-18 2020-11-25 株式会社クラレ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US10926516B2 (en) 2016-06-21 2021-02-23 Solutia Inc. Polymeric interlayers and multiple layer panels made therefrom exhibiting enhanced properties and performance
US10611906B2 (en) 2016-06-21 2020-04-07 Solutia Inc. Polymeric interlayers and multiple layer panels made therefrom exhibiting enhanced properties and performance
US10589495B2 (en) 2016-06-21 2020-03-17 Solutia Inc. Polymeric interlayers and multiple layer panels made therefrom exhibiting enhanced properties and performance
US10668691B2 (en) 2016-06-21 2020-06-02 Solutia Inc. Polymeric interlayers and multiple layer panels made therefrom exhibiting enhanced properties and performance
US10737470B2 (en) 2016-06-21 2020-08-11 Solutia Inc. Polymeric interlayers and multiple layer panels made therefrom exhibiting enhanced properties and performance
JP7010241B2 (ja) * 2016-12-22 2022-02-1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CN106677438A (zh) * 2017-02-06 2017-05-17 江苏友科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高增益构件式光伏瓦
CN106877796A (zh) * 2017-02-06 2017-06-20 江苏友科太阳能科技有限公司 新型高增益构件式光伏瓦
WO2018198678A1 (ja) * 2017-04-28 2018-11-0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CN107722875A (zh) * 2017-09-27 2018-02-23 东莞市联洲知识产权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耐高低温的太阳能电池封装材料的制备方法
JP6903569B2 (ja) * 2017-12-28 2021-07-14 株式会社クラレ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及び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
US20210394491A1 (en) * 2018-11-30 2021-12-23 Showa Denko Materials Co., Ltd. Laminated glass for vehicle
US20220009205A1 (en) * 2018-12-21 2022-01-13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CN113871380B (zh) * 2021-10-30 2022-09-23 广州市祺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光电光伏玻璃
CN114744068B (zh) * 2022-03-30 2024-03-19 天津南玻节能玻璃有限公司 一种光伏建筑一体化组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4533A (ja) 1998-05-14 2002-05-21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耐危険窓設備用ガラス積層体
KR20060120599A (ko) * 2003-08-22 2006-11-27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합판 유리 및 합판 유리용 중간막
KR20070110045A (ko) * 2005-03-09 2007-11-15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WO2009151952A2 (en) 2008-05-27 2009-12-17 Solutia Incorporated Thin film photovoltaic module
JP2010501035A (ja) * 2006-08-17 2010-01-14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アミンで中和されたエチレン酸コポリマー、成形物品及びそれから製造されたラミネート
WO2010055731A1 (ja) * 2008-11-13 2010-05-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1444A1 (de) 1999-10-25 2001-04-26 Huels Troisdorf Verfahren und Folie zur Herstellung von Verbundsicherheitsscheiben
DE10003511A1 (de) * 2000-01-27 2001-08-02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schlagzäher Kunststoffe
DE10150091A1 (de) 2001-10-11 2003-04-17 Huels Troisdorf PVB-Folie für Verbundsicherheitsglas und Verbundsicherheitsglas
JP2004067414A (ja) * 2002-08-02 2004-03-04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JP2005041747A (ja) 2003-07-24 2005-02-17 Japan U-Pica Co Ltd 合わせガラス注入用硬化性樹脂組成物
JP4644440B2 (ja) * 2004-01-09 2011-03-0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ガラス
US8197928B2 (en) * 2006-12-29 2012-06-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trusion resistant safety glazings and solar cell modules
CN101795990B (zh) * 2007-09-27 2013-03-27 日本电气硝子株式会社 夹层玻璃及夹层玻璃部件
JP5089497B2 (ja) * 2008-06-13 2012-12-05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多層シー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4533A (ja) 1998-05-14 2002-05-21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耐危険窓設備用ガラス積層体
KR20060120599A (ko) * 2003-08-22 2006-11-27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합판 유리 및 합판 유리용 중간막
KR20070110045A (ko) * 2005-03-09 2007-11-15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JP2010501035A (ja) * 2006-08-17 2010-01-14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アミンで中和されたエチレン酸コポリマー、成形物品及びそれから製造されたラミネート
WO2009151952A2 (en) 2008-05-27 2009-12-17 Solutia Incorporated Thin film photovoltaic module
WO2010055731A1 (ja) * 2008-11-13 2010-05-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더 솔라 스탠다드(THE SOLAR STANDARD) 제1호」, [Online], 2008년 5월, 어플라이드 매터리얼즈(APPLIED MATERIALS), [2010년 6월 검색], 인터넷 <URL: http://www.appliedmaterials.com/products/assets/newsletters/solar_newsletter_may2008_japan.pd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26393A1 (ja) 2012-03-01
JP5793498B2 (ja) 2015-10-14
KR102088404B1 (ko) 2020-03-12
EP2610225B1 (en) 2018-10-17
EP2610225A4 (en) 2016-11-16
US20140014178A1 (en) 2014-01-16
CN103080035A (zh) 2013-05-01
EP2610225A1 (en) 2013-07-03
TW201213115A (en) 2012-04-01
TWI638715B (zh) 2018-10-21
US9475262B2 (en) 2016-10-25
JPWO2012026393A1 (ja) 2013-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404B1 (ko) 태양 전지용 봉지재 및 합판 유리용 중간막
CN101410990B (zh) 太阳能电池用密封膜和使用该密封膜的太阳能电池
KR101491707B1 (ko) 태양 전지용 밀봉재 및 접합유리용 중간막
JP5089497B2 (ja) 多層シート
CN101341598B (zh) 太阳能电池用密封膜和使用该密封膜的太阳能电池
US20050284516A1 (en) Solar laminates as laminated safety glass
JP6096220B2 (ja) ゴム含有グラフト重合体粉体、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太陽電池用封止材及び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2008258255A (ja) 太陽電池用封止膜及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
JP5182432B2 (ja) 封止材シート
KR20190046907A (ko) 수지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1239533B1 (ko) 태양전지의 봉지재용 시트
JP5431997B2 (ja) 太陽電池封止材、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5008285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21874B2 (ja) ガラス中間膜用樹脂及び太陽電池封止材用樹脂
JP6253240B2 (ja) 太陽電池用封止材および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5766776B2 (ja) 樹脂組成物からなるフィルム
EP3469021B1 (en) Multilayer assembly comprising silane-grafted polyolefin
KR101343884B1 (ko) 태양전지 모듈
JP2013093392A (ja) 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