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0002A - 거품 토출기 - Google Patents

거품 토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0002A
KR20130100002A KR1020137016738A KR20137016738A KR20130100002A KR 20130100002 A KR20130100002 A KR 20130100002A KR 1020137016738 A KR1020137016738 A KR 1020137016738A KR 20137016738 A KR20137016738 A KR 20137016738A KR 20130100002 A KR20130100002 A KR 20130100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outside air
side wall
liquid
introdu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1659B1 (ko
Inventor
시게오 이이즈카
히로시 미즈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19154A external-priority patent/JP59037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39493A external-priority patent/JP596329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130100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8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14Foam or lather ma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4Piston pumps comprising a movable cylinder and a stationary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B05B11/1069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the valve being made of a resiliently deformable material or being urged in a closed position by a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7Combination of liquid and ai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8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 B05B7/0025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ith a compressed gas supply
    • B05B7/003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ith a compressed gas supply with disturbing means promoting mixing, e.g. balls, crowns
    • B05B7/0037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ith a compressed gas supply with disturbing means promoting mixing, e.g. balls, crowns including sieves, porous memb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공기용 실린더 내로의 물 등의 침입을 방지 가능한 거품 토출기를 제공한다. 거품 토출기(100)에서는, 액용 피스톤(41)은 액용 실린더부(30a) 내에 끼워 맞춰지고, 공기용 피스톤(73)은 공기용 실린더부(30b) 내에 끼워 맞춰지며, 작동 부재(A)의 상하 이동에 의해 액용 실린더부(30a) 내의 액체와 공기용 실린더부(30b) 내의 공기가 혼합되어 거품을 일게 하여, 노즐(83)로부터 분출하도록 구성되고, 격벽(72)에 외기 도입 구멍(76)이 개구되며, 외기 도입 구멍(76)의 구멍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외기 도입 구멍(76) 내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저지하는 침수 방지용 측벽부(77)가 기립되어 있다.

Description

거품 토출기{FOAM DISCHARGE DEVICE}
본 발명은 공기와 액체를 혼합해서 결이 고운 거품으로서 토출하는 거품 토출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체의 구경부에 끼워 맞춘 장착 통부의 플랜지 형상 정벽부(頂壁部) 내주로부터 기립 통부를 기립시킴과 함께, 플랜지 형상 정벽부로부터 수하(垂下)하는 공기용 실린더 내에 끼워 맞춘 통 형상의 공기용 피스톤의 격벽에 외기 도입 구멍을 설치하고, 또한 공기용 피스톤의 격벽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관통해서 액용 실린더 내로부터 기립하는 스템에 노즐 헤드를 장착시킨 거품 분출기가 종래 기술로서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7-253113호 공보 참조).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기립 통부 내로 침입한 물 등이 기립 통부 하단으로부터 공기용 피스톤의 격벽 상에 적하(滴下)해서 외기 도입 구멍으로부터 공기용 실린더 내로 침입한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공기용 실린더 내로의 물 등의 침입을 방지 가능한 거품 토출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거품 토출기는, 용기체(10)의 구경부(12)의 외면에 끼워 맞춰진 장착 통부(21)와, 상기 장착 통부(21)의 상부에 부설(付設)된 내향 플랜지 형상 정벽부(22)를 갖는 장착 부재(20)와, 하반부(下半部)를 형성하는 소직경의 액용(液用) 실린더부(30a)와, 상반부(上半部)를 형성하며 상기 액용 실린더부(30a)보다 대직경인 공기용 실린더부(30b)를 갖고, 상기 내향 플랜지 형상 정벽부(22)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용기체(10) 내로 수하(垂下)되는 실린더(30)와, 상기 액용 실린더부(30a) 내를 슬라이딩하는 액용 피스톤(41)과, 상기 실린더(30) 내로부터 기립하는 스템(60)과, 상기 스템(60)의 상하 방향 중간부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격벽(72)과, 상기 격벽(72)의 외주부에 설치된 공기용 피스톤(73)과, 상기 스템(60)의 상부에 장착되며 노즐(83)을 설치한 누름 헤드(80)를 갖는 작동 부재(A)를 구비하는 거품 토출기로서, 상기 액용 피스톤(41)은 상기 액용 실린더부(30a) 내에 끼워 맞춰지고, 상기 공기용 피스톤(73)은 상기 공기용 실린더부(30b) 내에 끼워 맞춰지며, 상기 작동 부재(A)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액용 실린더부(30a) 내의 액체와 상기 공기용 실린더부(30b) 내의 공기가 혼합되어 거품을 일게 하여, 상기 노즐(83)로부터 분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격벽(72)에 외기 도입 구멍(76)이 개구되며, 상기 외기 도입 구멍(76)의 구멍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외기 도입 구멍(76) 내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저지하는 침수 방지용 측벽부(77)가 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거품 토출기에서는, 상기 침수 방지용 측벽부(77)는, 상기 격벽(72)의 반경 방향 안쪽에 통기구(76a)를 남기고 동(同) 반경 방향 바깥쪽 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거품 토출기에서는, 상기 침수 방지용 측벽부(77)의 상단부에, 링 형상의 상기 격벽(72)의 둘레 방향의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침수 방지용 측벽부(77)로부터 차양 형상으로 상기 격벽(72)의 반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침수 방지용 정벽부(78)가 부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거품 토출기에서는, 상기 침수 방지용 측벽부(77)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기구(76a)는, 상기 침수 방지용 측벽부(77) 중, 상기 격벽(72)의 반경 방향 안쪽의 반통(半筒) 부분의 상측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거품 토출기에서는, 상기 외기 도입 구멍(76)은, 상기 내향 플랜지 형상 정벽부(22)의 플랜지 구멍(26)으로부터 내려뜨려 설치하는 수하 통부(24)보다도, 상기 격벽(72)의 반경 방향 바깥쪽에 배치되고, 상기 통기구(76a)는, 상기 수하 통부(24)의 하단보다도 위쪽에 위치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거품 토출기에서는, 상기 외기 도입 구멍(76)은, 상기 내향 플랜지 형상 정벽부(22)의 플랜지 구멍(26)으로부터 내려뜨려 설치하는 수하 통부(24)보다도, 상기 격벽(72)의 반경 방향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거품 토출기에서는, 상기 침수 방지용 측벽부(77)는, 상기 외기 도입 구멍(76)의 주연부(周緣部)로서, 상기 격벽(72)의 반경 방향 외측의 구멍 가장자리를 제외한 구멍 가장자리에 C자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거품 토출기에서는, 상기 침수 방지용 측벽부(77)는, 상기 외기 도입 구멍(76)의 구멍 가장자리부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거품 토출기에서는, 상기 외기 도입 구멍(76)의 내측의 구멍 가장자리로부터 기립하는 침수 방지용 측벽 부분(77c)은, 그 중앙부가 상기 수하 통부(24)의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거품 토출기에서는, 상기 외기 도입 구멍(76)은, 상기 격벽(72)을 구성하는 천면벽(天面壁)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거품 토출기에서는, 상기 침수 방지용 측벽부(77)의 상단은, 상기 스템(60)의 상승단(上昇端) 위치에서 상기 수하 통부(24)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외기 도입 구멍(76)의 구멍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침수 방지용 측벽부(77)를 기립함으로써, 외기 도입 구멍(76) 내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침수 방지용 측벽부(77)를, 격벽(72)의 반경 방향 안쪽에 통기구(76a)를 남기고 동 반경 방향 바깥쪽 측에 형성함으로써, 거품 토출기를 기울였다고 해도, 외기 도입 구멍(76) 내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핸디식의 거품 토출기로서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거품 토출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거품 토출기의 일부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거품 토출기를 경사시켜서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상태의 거품 토출기의 일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거품 토출기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거품 토출기의 일부 종단면도.
도 7은 도 5의 거품 토출기를 경사시켜서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의 상태의 거품 토출기의 일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거품 토출기의 반(半) 종단면도.
도 10의 (a)는 도 9의 공기용 피스톤의 평면도이며, (b)는 도 9의 공기용 피스톤의 반 단면 정면도.
도 11의 (a)는 그 외의 공기용 피스톤의 평면도이며, (b)는 그 외의 공기용 피스톤의 반 단면 정면도.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거품 토출기(100)를 나타낸다. 첫째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거품 토출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거품 토출기(100)는, 용기체(10)에 접속되는 부재로서, 장착 부재(20)와, 실린더(30)와, 작동 부재(A)(제1 피스톤 부재(40)와, 포핏 밸브체(50)와, 스템(60)과, 제2 피스톤 부재(70)와, 누름 헤드(80)와, 거품 발생 통(90)을 갖고 있음)를 구비하고 있다. 즉, 거품 토출기(100)는, 용기체(10)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또한, 거품 토출기(100)에는 스페이서(S)가 부착되어 있다. 또, 전술한 각 부재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합성 수지재로 형성할 수 있다.
용기체(10)는, 파지 가능한 몸통부(11)와, 이 몸통부(11)로부터 기립하는 넓은 개구인 구경부(12)를 갖고 있다.
장착 부재(20)는, 장착 통부(21)와, 내향 플랜지 형상 정벽부(22)와, 기립 통부(23)와, 수하 통부(24)와, 끼워 맞춤 통부(25)를 갖고 있다.
장착 통부(21)는, 구경부(12)의 외면에 끼워 맞춰져(도시한 예에서는 나사 결합되어) 있다.
내향 플랜지 형상 정벽부(22)는, 장착 통부(21)의 상단에 부설되어 있다.
기립 통부(23)는, 내향 플랜지 형상 정벽부(22)의 플랜지 구멍(26)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며, 후술하는 누름 헤드(80) 내부로 돌입되어 있다. 기립 통부(23)는, 작동 부재(A)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제2 실시형태와 같이, 기립 통부(23)는 생략할 수도 있다.
수하 통부(24)는, 내향 플랜지 형상 정벽부(22)의 플랜지 구멍(26)으로부터 수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기립 통부(23)를 아래쪽으로 각통(脚筒) 형상으로 연장하고, 이 연장 부분을 수하 통부(24)로 하고 있다. 수하 통부(24)는, 기립 통부(23)의 내측에 물이 들어가버렸을 경우에, 이 물을 수하 통부(24)의 내면을 거쳐서 후술하는 격벽(72)측으로 유도하여, 내향 플랜지 형상 정벽부(22)의 하면(이면)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수하 통부(24)에 의해, 내향 플랜지 형상 정벽부(22)의 하면으로부터 후술하는 외기 도입 구멍(76) 내로 물방울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끼워 맞춤 통부(25)는, 내향 플랜지 형상 정벽부(22)의 하면 외주측으로부터 수하되어 있다.
실린더(30)는, 끼워 맞춤 통부(25)에 상부를 연결시켜서, 내향 플랜지 형상 정벽부(22)의 하면으로부터 용기체(10) 내로 수하되어 있다. 바람직한 도시한 예에서는, 실린더(30)의 상단부(31)로부터 외향의 플랜지(32)를 통해서 짧은 통(33)이 기립되어 있다. 플랜지(32)는 패킹(F)을 개재하여 구경부(12)의 상단에 재치(載置)되어 있다. 상단부(31)와 짧은 통(33) 사이에는, 끼워 맞춤 통부(25)가 삽입되어 있다.
실린더(30)의 하반부는 소직경의 액용 실린더부(30a)로 형성되고, 실린더(30)의 상반부는, 액용 실린더부(30a)보다 대직경인 공기용 실린더부(30b)로 형성되어 있다. 액용 실린더부(30a)의 하부는 아래쪽이 소직경인 테이퍼 형상의 축경부(縮徑部)(34)로 형성되어 있다. 이 축경부(34)로부터 부착 통부(35)가 수하되어 있다. 이 부착 통부(35)에는 빨아올림관(B)이 끼워붙여져 있다. 액용 실린더부(30a)는, 축경부(34)로부터 근방의 통벽 부분에 걸쳐서, 둘레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제1 세로 리브(R1)를 세로로 설치하고, 이들 제1 세로 리브(R1)의 상면을 코일스프링 받침부로 하고 있다.
제1 피스톤 부재(40)는, 그 하부가 실린더(30) 내에 끼워져 삽입되어 있다. 제1 피스톤 부재(40)는, 액용 실린더부(30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는 액용 피스톤(41)과, 이 액용 피스톤(41)으로부터 기립되어 있는 스템 끼워 맞춤 통부(42)를 갖고 있다. 제1 피스톤 부재(40)의 하부와 액용 실린더부(30a)의 제1 세로 리브(R1) 사이에는 코일스프링(C)이 장착되어 있다.
포핏 밸브체(50)는, 수직인 밸브봉(51)의 상단부를 위쪽이 대직경인 테이퍼 형상으로 확개(擴開)하는 확개 단부로 하고 있다. 이 확개 단부는 스템 끼워 맞춤 통부(42)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며, 이들 확개 단부와 스템 끼워 맞춤 통부(42)의 상단부로 역류 방지 밸브(V5)를 형성하고 있다.
포핏 밸브체(50)의 하부 외주에는, 제1 세로 리브(R1)의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2 세로 리브(R2)가 세로로 설치되어 있다. 도 1의 상태에 있어서, 제2 세로 리브(R2)의 상단은 코일스프링(C)의 하단에 걸릴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포핏 밸브체(50)는, 제2 세로 리브(R2)가 코일스프링(C)의 하단에 닿는 위치와, 제2 세로 리브(R2)가 축경부(34)의 하단부 내면(밸브 시트(seat)면)에 닿는 위치 사이에서 승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포핏 밸브체(50)의 하단부와 실린더(30)의 축경부(34)에 의해, 액용 흡입 밸브(V1)가 형성되어 있다.
스템(60)은, 실린더(30) 내로부터 기립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템(60)은, 스템 끼워 맞춤 통부(42) 외면에 하단부를 끼워 맞춰서 기립 통부(23) 내부로 기립되어 있다. 스템(60)의 상하 방향 중간부 외면에는 플랜지 형상의 제1 밸브 시트부(61)가 둘레에 설치되어 있다. 스템(60)의 상부 내면에는, 내향 플랜지 형상의 제2 밸브 시트부(62)가 둘레에 설치되고, 이 제2 밸브 시트부(62) 상에 볼 밸브(63)가 탑재되어 있다. 제2 밸브 시트부(62) 및 볼 밸브(63)에 의해, 액용 토출 밸브(V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피스톤 부재(70)는, 스템(60)의 외면에 끼워 맞춰진 링 형상의 슬라이딩 통부(71)와, 슬라이딩 통부(71)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링 형상의 격벽(72)과, 격벽(72)의 외주부에 설치되며, 공기용 실린더부(30b)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는 공기용 피스톤(73)을 구비하고 있다. 격벽(72)은, 스템(60)의 상하 방향 중간부를 둘러싸며, 슬라이딩 통부(71)의 상하 방향 중간부로부터, 공기용 피스톤(73)의 상하 방향 중간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격벽(72)의 외주부는, 공기용 피스톤(73)의 상하 방향 중간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 설치된 외주벽(74)을 구성하고 있다. 격벽(72)의 반경 방향 중간부보다 내측의 위치로부터 내주벽(75)이 수하되어 있다. 내주벽(75) 및 수하 통부(24)의 양쪽보다도 반경 방향 외측의 격벽(72) 부분에, 외기 도입 구멍(76)이 개구되어 있다.
외기 도입 구멍(76)의 구멍 가장자리로부터 침수 방지용 측벽부(77)가 기립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침수 방지용 측벽부(77)는, 외기 도입 구멍(76)의 구멍 가장자리 둘레 전체로부터 기립되어 있기 때문에,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격벽(72)의 반경 방향 안쪽(화살표(R)와는 반대의 방향)에 치우친 반통 부분 상부에 통기구(76a)가 개구되어 있다.
침수 방지용 측벽부(77)에 침수 방지용 정벽부(78)가 부설되어 있다. 이 침수 방지용 정벽부(78)는, 침수 방지용 측벽부(77)의 상단에 연결되며, 링 형상의 격벽(72)의 둘레 방향의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침수 방지용 측벽부(77)의 반경 방향 바깥쪽에 치우친 반통 부분으로부터 차양 형상으로 반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내주벽(75)과 외주벽(74) 사이에는, 밸브통(V3a)과 탄성 밸브판(V3b)을 갖는 공기용 흡입 밸브(V3)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통(V3a)은 내주벽(75)에 끼워 맞춰져 있다. 탄성 밸브판(V3b)은, 밸브통(V3a)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격벽(72)의 침수 방지용 측벽부(77)와 외주벽(74) 사이의 수평 부분은, 격벽(72)의 외기 도입 구멍(76)보다 직경 방향 내측의 수평 부분보다도 낮은 단차부(79)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 밸브판(V3b)이 단차부(79)의 하면에 맞닿음으로써, 공기용 흡입 밸브(V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템(60)에 대하여 승강 가능한 슬라이딩 통부(71)의 하단부가, 스템(60)의 제1 밸브 시트부(61)의 상면에 맞닿음으로써, 공기용 토출 밸브(V4)가 형성되어 있다.
누름 헤드(80)는, 정벽(81)과, 연결 통부(82)와, 노즐(83)과, 헤드 주벽(周壁)(84)을 갖고 있다. 연결 통부(82)는 정벽(81)의 하면 중앙부로부터 내려뜨려 설치되며, 스템(60)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 통부(82)의 하단부는, 슬라이딩 통부(71)의 상부 외면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또한 액밀(液密)로 맞닿아 있다. 노즐(83)은, 연결 통부(82)의 내부와 연통(連通)하여, 측면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헤드 주벽(84)은, 누름 헤드(80)의 정벽(81) 외주부로부터 수하되며, 헤드 주벽(84)의 일측부에 노즐(83)이 관통되어 있다.
슬라이딩 통부(71)의 내면과 이것에 대향하는 스템(60)의 외면 부분 사이, 및 연결 통부(82)의 내면과 이것에 대향하는 스템(60)의 외면 부분 사이에는, 그들의 외면 부분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리브를 세로로 설치하는 등 하여, 공기 유로(P)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 유로(P)는, 공기용 실린더부(30b)의 내부를 후술하는 기액(氣液) 혼합실에 연통 가능하게 한다.
거품 발생 통(90)은, 스템(60)의 상단부 및 연결 통부(82)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이 거품 발생 통(90)과 볼 밸브(63) 사이의 스템(60)의 내부는, 기액 혼합실이다. 거품 발생 통(90)은 거품 발생용 메시(91) 및 제트 링(jet ring)(92)을 포함한다. 거품 발생용 메시(91)는, 기액 혼합액을 결이 고운 거품으로 하기 위해서, 적정 수가 가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트 링(92)은, 하부가 기액 혼합실 내에서 스템(60)에 끼워 맞춰지고, 상부가 누름 헤드(80)의 연결 통부(82) 내면에 끼워붙여져 있다.
스페이서(S)는, 누름 헤드(80)와 내향 플랜지 형상 정벽부(22)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해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거품 토출기(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의 초기 상태로부터 스페이서(S)를 떼어내고, 누름 헤드(80)를 내리누르면, 제1 피스톤 부재(40), 포핏 밸브체(50), 스템(60)이 하강한다. 그때, 슬라이딩 통부(71)는 연결 통부(82)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기 때문에, 누름 헤드(80)의 초기의 압입(押入)에서는 제2 피스톤 부재(70)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거나, 혹은 스템(60)보다 작게 하강한다(스템(6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승한다). 그러면, 슬라이딩 통부(71)의 하단부는 제1 밸브 시트부(61)로부터 이간하고, 공기용 토출 밸브(V4)가 개방된다.
누름 헤드(80)를 더 내리누르면, 연결 통부(82) 하단이 격벽(72)에 맞닿아, 제2 피스톤 부재(70)가 하강하므로, 공기용 실린더부(30b) 내의 공기는 가압된다. 이 가압 공기는, 공기용 토출 밸브(V4)로부터, 슬라이딩 통부(71)의 내면과 스템(60)의 외면의 간극 및 연결 통부(82)의 내면과 스템(60)의 외면의 간극(전술한 공기 유로(P))을 거쳐서, 또한 스템(60)의 상단면 및 스템 상단부 내면과 제트 링(92)의 대응면의 간극을 통과해서, 스템(60) 내의 기액 혼합실 내로 유입된다.
또한, 누름 헤드(80)를 내리눌렀을 때, 제1 피스톤 부재(40)가 하강하고, 이것에 연동해서 코일스프링(C)을 통해 포핏 밸브체(50)가 액용 실린더부(30a)의 밸브 시트면에 맞닿을 때까지 하강한다. 포핏 밸브체(50)의 하강이 정지한 후에 제1 피스톤 부재(40)가 하강하면, 스템 끼워 맞춤 통부(42)의 상단이 포핏 밸브체(50)의 아래쪽이 소직경인 테이퍼 통으로부터 이간하여, 역류 방지 밸브(V5)가 개방된다. 이때, 제1 피스톤 부재(40)의 하강에 의해 액용 실린더부(30a) 내의 액체가 가압된다. 이 가압 액체는, 역류 방지 밸브(V5) 및 액용 토출 밸브(V2)를 통해서 기액 혼합실로 유입된다. 기액 혼합실 내에서 공기와 액체가 혼합된다. 그리고 공기를 포함한 액체가 거품 발생 통(90) 내를 통과함으로써 발포하고, 노즐(83)로부터 거품이 토출된다.
이렇게,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거품 토출기(100)에서는, 작동 부재(A)의 상하 이동에 의해 액용 실린더부(30a) 내의 액체와 공기용 실린더부(30b) 내의 공기가 혼합되어 거품을 일게 하여, 노즐(83)로부터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누름 헤드(80)의 내리누름을 해제하면, 최초에, 코일스프링(C)의 가압력에 의해 제1 피스톤 부재(40), 포핏 밸브체(50), 스템(60)이 상승한다. 그때, 제2 피스톤 부재(70)는 스템(6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강하고, 제1 밸브 시트부(61)가 슬라이딩 통부(71)의 하단부에 맞닿아, 공기용 토출 밸브(V4)가 폐쇄된다. 제2 피스톤 부재(70)가 상승하기 때문에, 공기용 실린더부(30b) 내의 부압화에 의해 공기용 흡입 밸브(V3)가 개방되어, 외기가 공기용 실린더부(30b) 내로 도입된다.
스템(60)의 상승에 의해 포핏 밸브체(50)는, 스템(60)과의 마찰력으로 상승하고, 액용 흡입 밸브(V1)가 개방된다. 그러면, 부압화된 액용 실린더부(30a) 내에 용기체(10) 내의 액체가 도입된다. 이때, 액용 토출 밸브(V2)는 폐쇄되어 있다. 포핏 밸브체(50)는, 제2 세로 리브(R2)가 코일스프링(C)의 하면에 맞닿을 때까지는 상승하지만, 그 후에는 포핏 밸브체(50)의 확개 단부가 스템 끼워 맞춤 통부(42)의 상단부에 맞닿을 때까지, 스템(6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강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외기 도입 구멍(76)의 구멍 가장자리 둘레 전체로부터 침수 방지용 측벽부(77)를 기립하고 있지만, 외기 도입 구멍(76)의 구멍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침수 방지용 측벽부(77)를 기립함으로써, 외기 도입 구멍(76) 내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침수 방지용 측벽부(77)는, 격벽(72)의 반경 방향 안쪽에 통기구(76a)를 남기고 동 반경 방향 바깥쪽 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 침수 방지용 측벽부(77)는, 외기 도입 구멍(76)의 세 방향, 즉, 격벽(72)의 반경 방향 바깥쪽(도 2에 화살표(R)로 나타내는 방향) 및 이것과 직교하는 둘레 방향(도 2의 앞쪽과 안쪽)을 둘러싸는 것이다. 이들 세 방향을 둘러쌈으로써,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품 토출기(100)를 기울였을 때에, 격벽(72) 및 내향 플랜지 형상 정벽부(22)의 간극 중에서 낮아진 부분에 모인 물(W)이, 이 침수 방지용 측벽부(77)에 저지되어 외기 도입 구멍(76)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거품 토출기(100)를 핸디식의 거품 토출기로 해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침수 방지용 정벽부(78)을 설치함으로써, 거품 토출기(100)를 도 4보다도 더 크게 기울였을 때에도 침수 방지용 측벽부(77)의 상단측으로부터 물이 침입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제1 실시형태와 달리, 침수 방지용 정벽부(78)를 생략해도 침수 방지용 측벽부(77)의 기립 길이를 크게 함으로써 같은 침수 방지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그러나, 그에 따라 제2 피스톤 부재(70)의 상하 폭이 커져, 이것을 수납하기 위하여 큰 스페이스가 필요해진다. 침수 방지용 정벽부(78)를 설치함으로써, 그러한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외기 도입 구멍(76)의 구멍 가장자리 둘레 전체를 침수 방지용 측벽부(77)로 둘러싸 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그 침수 방지용 측벽부(77) 중 반경 방향 안쪽(도 2의 화살표(R)와 반대의 방향)의 반통 부분의 상측에 통기구(76a)를 개구함으로써, 가령 물이 침수 방지용 측벽부(77)의 반통 부분의 하측까지 도달해도, 외기 도입 구멍(76)으로의 침수를 저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수하 통부(24)보다도 반경 방향 바깥쪽에 외기 도입 구멍(76)을 배치함과 함께, 수하 통부(24)의 하단보다도 위쪽에 통기구(76a)를 위치시킴으로써, 수하 통부(24)의 내면에 부착된 물방울이 통기구(76a)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거품 토출기(200)를 나타낸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장착 통부(21)의 하반부(21a)를 구경부(12)에 끼워 맞춤과 함께, 장착 통부(21)의 상반부(21b)를 구경부(12)보다 위쪽으로 길게 연장하여, 이 상반부(21b)의 상하 길이에 대응해서 침수 방지용 측벽부(77)의 기립 부분을 길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끼워 맞춤 통부(25)도 상반부(21b)에 대응해서 길게 설치하고 있다. 장착 통부(21)의 상반부(21b)는 하반부(21a)에 비해서 작은 외경으로 형성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누름 헤드(80)의 헤드 주벽(84) 및 스페이서(S)를 생략하고 있다. 그 대신에, 누름 헤드(80)를 덮는 오버 캡(D)을 설치하고, 오버 캡(D)의 하단부를 상반부(21b)에 끼워붙이고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장착 부재(20)의 기립 통부(23)를 생략하고, 내향 플랜지 형상 정벽부(22)의 플랜지 구멍(26)을 연결 통부(82)의 외면에 맞닿게 하고 있다. 이 연결 통부(82)의 외면과 플랜지 구멍(26)의 내연 및 수하 통부(24)의 내면에는, 도 6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걸어 맞추는 위치 결정용 볼록 돌기(85) 및 오목홈(27)을 세로로 설치해도 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품 토출기(200)를 기울였을 때에, 격벽(72) 및 내향 플랜지 형상 정벽부(22)의 간극 중에서 낮아진 부분에 모인 물(W)이, 침수 방지용 측벽부(77)에 저지되어 외기 도입 구멍(76)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거품 토출기(300)를 나타낸다.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격벽(72)은, 슬라이딩 통부(71)의 하단으로부터, 공기용 피스톤(73)의 상하 방향 중간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외기 도입 구멍(76)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통부(71)보다 반경 방향 외측의 격벽(72)의 수평 부분(천면벽)의 외주부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격벽(72)의 둘레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갖는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기립 통부(23)와 연결 통부(82)의 간극 내에 들어간 물은, 내향 플랜지 형상 정벽부(22)의 하면을 따라서 이동하지 않고, 수하 통부(24) 하단으로부터 격벽(72) 상으로 적하한다. 여기에서, 외기 도입 구멍(76)의 구멍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침수 방지용 측벽부(77)를 기립함으로써, 수하 통부(24)로부터 적하하는 물 등은 침수 방지용 측벽부(77)에 의해 흐름을 바꿔 외기 도입 구멍(76)을 우회하기 때문에, 외기 도입 구멍(76)으로부터 공기용 실린더부(30b)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기립 통부(23)의 하단을 연장 설치해서 수하 통부(24)로 형성함과 함께, 수하 통부(24)보다도 반경 방향 바깥쪽에 외기 도입 구멍(76)을 배치함으로써, 수하 통부(24)의 내면에 부착된 물방울이 통기구(76a)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침수 방지용 측벽부(77)는 외기 도입 구멍(76)의 주연부(격벽(72)의 반경 방향 외측의 구멍 가장자리를 제외한 구멍 가장자리)에, 대략 C자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침수 방지용 측벽부(77)는, 침수 방지용 측벽 부분(77a, 77b, 77c)으로 이루어지며, 외기 도입 구멍(76)의 세 방향을 둘러싸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외기 도입 구멍(76)으로의 물 등의 침입 방지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외기 도입 구멍(76)의 내측(격벽(72)의 반경 방향 내측)의 구멍 가장자리로부터 기립하는 침수 방지용 측벽 부분(77c)은, 그 중앙부(격벽(72)의 둘레 방향의 중앙부)가 수하 통부(24)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물 등의 흐름을 외기 도입 구멍(7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바꿀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침수 방지용 측벽 부분(77c)의 양측에 각각 대향해서 위치하는 침수 방지용 측벽 부분(77a, 77b)의 단부는, 외기 도입 구멍(76)의 폭을 초과해서 격벽(72)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외기 도입 구멍(76)으로의 물 등의 침입 방지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외기 도입 구멍(76)을, 상기 격벽(72)을 구성하는 천면벽의 외주부에 형성함으로써, 외기 도입 구멍(76)과 수하 통부(24)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어, 침수 방지용 측벽부(77)의 높이가 다소 낮아도 튀어 오르는 물 등이 외기 도입 구멍(76)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침수 방지용 측벽부(77)의 높이를, 수하 통부(24) 하단보다 높게 함으로써, 외기 도입 구멍(76)으로의 물 등의 침입 방지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수 방지용 측벽부(77)를, 외기 도입 구멍(76)의 구멍 가장자리부 전체로부터 기립시킴으로써, 외기 도입 구멍(76)으로의 물 등의 침입 방지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더 바람직하다.
10 : 용기체
11 : 몸통부
12 : 구경부
20 : 장착 부재
21 : 장착 통부
21a : 하반부
21b : 상반부
22 : 내향 플랜지 형상 정벽부
23 : 기립 통부
24 : 수하 통부
25 : 끼워 맞춤 통부
26 : 플랜지 구멍
27 : 오목 홈
30 : 실린더
30a : 액용 실린더부
30b : 공기용 실린더부
31 : 상단부
32 : 플랜지
33 : 짧은 통
34 : 축경부
35 : 부착 통부
40 : 제1 피스톤 부재
41 : 액용 피스톤
42 : 스템 끼워 맞춤 통부
50 : 포핏 밸브체
60 : 스템
61 : 제1 밸브 시트부
62 : 제2 밸브 시트부
63 : 볼 밸브
70 : 제2 피스톤 부재
71 : 슬라이딩 통부
72 : 격벽
73 : 공기용 피스톤
74 : 외주벽
75 : 내주벽
76 : 외기 도입 구멍
76a : 통기구
77 : 침수 방지용 측벽부
78 : 침수 방지용 정벽부
79 : 단차부
80 : 누름 헤드
81 : 정벽
82 : 연결 통부
83 : 노즐
84 : 헤드 주벽
85 : 볼록 돌기
90 : 거품 발생 통
91 : 거품 발생용 메시
92 : 제트 링
100 : 거품 토출기
200 : 거품 토출기
300 : 거품 토출기
A : 작동 부재
B : 빨아올림관
C : 코일스프링
D : 오버 캡
F : 패킹
S : 스페이서
P : 공기 유로
R1 : 제1 세로 리브
R2 : 제2 세로 리브
V1 : 액용 흡입 밸브
V2 : 액용 토출 밸브
V3 : 공기용 흡입 밸브
V4 : 공기용 토출 밸브
V5 : 역류 방지 밸브
W : 물

Claims (11)

  1. 용기체의 구경부의 외면에 끼워 맞춰진 장착 통부와, 상기 장착 통부의 상부에 부설(付設)된 내향 플랜지 형상 정벽부(頂壁部)를 갖는 장착 부재와,
    하반부(下半部)를 형성하는 소직경의 액용(液用) 실린더부와, 상반부(上半部)를 형성하며 상기 액용 실린더부보다 대직경인 공기용 실린더부를 갖고, 상기 내향 플랜지 형상 정벽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용기체 내로 수하(垂下)되는 실린더와,
    상기 액용 실린더부 내를 슬라이딩하는 액용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내로부터 기립하는 스템과, 상기 스템의 상하 방향 중간부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격벽과, 상기 격벽의 외주부에 설치된 공기용 피스톤과, 상기 스템의 상부에 장착되며 노즐을 설치한 누름 헤드를 갖는 작동 부재
    를 구비하는 거품 토출기로서,
    상기 액용 피스톤은 상기 액용 실린더부 내에 끼워 맞춰지고, 상기 공기용 피스톤은 상기 공기용 실린더부 내에 끼워 맞춰지며, 상기 작동 부재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액용 실린더부 내의 액체와 상기 공기용 실린더부 내의 공기가 혼합되어 거품을 일게 하여, 상기 노즐로부터 분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격벽에 외기 도입 구멍이 개구되며, 상기 외기 도입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외기 도입 구멍 내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저지하는 침수 방지용 측벽부가 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토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 방지용 측벽부는, 상기 격벽의 반경 방향 안쪽에 통기구을 남기고 동(同) 반경 방향 바깥쪽 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토출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 방지용 측벽부의 상단부에, 링 형상의 상기 격벽의 둘레 방향의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침수 방지용 측벽부로부터 차양 형상으로 상기 격벽의 반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침수 방지용 정벽부가 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토출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 방지용 측벽부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기구는, 상기 침수 방지용 측벽부 중, 상기 격벽의 반경 방향 안쪽의 반통(半筒) 부분의 상측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토출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 구멍은, 상기 내향 플랜지 형상 정벽부의 플랜지 구멍으로부터 내려뜨려 설치하는 수하 통부보다도, 상기 격벽의 반경 방향 바깥쪽에 배치되고,
    상기 통기구는, 상기 수하 통부의 하단보다도 위쪽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토출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 구멍은, 상기 내향 플랜지 형상 정벽부의 플랜지 구멍으로부터 내려뜨려 설치하는 수하 통부보다도, 상기 격벽의 반경 방향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토출기.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 방지용 측벽부는, 상기 외기 도입 구멍의 주연부(周緣部)로서, 상기 격벽의 반경 방향 외측의 구멍 가장자리를 제외한 구멍 가장자리에 C자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토출기.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 방지용 측벽부는, 상기 외기 도입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부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토출기.
  9. 제1항,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 구멍의 내측의 구멍 가장자리로부터 기립하는 침수 방지용 측벽 부분은, 그 중앙부가 상기 수하 통부의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토출기.
  10. 제1항,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 구멍은, 상기 격벽을 구성하는 천면벽(天面壁)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토출기.
  11. 제1항,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 방지용 측벽부의 상단은, 상기 스템의 상승단(上昇端) 위치에서 상기 수하 통부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토출기.
KR1020137016738A 2011-01-31 2012-01-27 거품 토출기 KR101511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19154A JP5903743B2 (ja) 2011-01-31 2011-01-31 泡吐出器
JPJP-P-2011-019154 2011-01-31
JP2011239493A JP5963293B2 (ja) 2011-10-31 2011-10-31 泡吐出器
JPJP-P-2011-239493 2011-10-31
PCT/JP2012/000538 WO2012105206A1 (ja) 2011-01-31 2012-01-27 泡吐出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002A true KR20130100002A (ko) 2013-09-06
KR101511659B1 KR101511659B1 (ko) 2015-04-13

Family

ID=46602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738A KR101511659B1 (ko) 2011-01-31 2012-01-27 거품 토출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50633B2 (ko)
EP (1) EP2671646B1 (ko)
KR (1) KR101511659B1 (ko)
CN (2) CN103370141B (ko)
CA (1) CA2823581C (ko)
WO (1) WO20121052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43309C (en) 2011-08-01 2019-11-05 Bobrick Washroom Equipment, Inc. Foam 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US9724714B2 (en) * 2013-01-31 2017-08-08 Yoshino Kogyosho Co., Ltd. Foam discharge device
WO2015008494A1 (ja) * 2013-07-17 2015-01-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および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付き容器
CN105339280B (zh) * 2013-07-17 2017-04-26 株式会社吉野工业所 起泡器
JP6792534B2 (ja) * 2017-10-11 2020-11-25 株式会社ニフコ 流体吐出機構、及び車両用カメラ又はセンサーに対する流体の吹き付け装置
US10624504B1 (en) 2018-11-14 2020-04-21 Bobrick Washroom Equipment, Inc. Foam dispenser with selector for controlling liquid pump and air pump outpu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799075B2 (en) 2018-11-14 2020-10-13 Bobrick Washroom Equipment, Inc. Foam 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CN114504259B (zh) * 2020-11-16 2023-07-04 广东一芙化妆品有限公司 防回流泡沫吐出容器
US20240017278A1 (en) * 2022-07-12 2024-01-18 Gojo Industries, Inc. Foam-at-a-distance dispensers having small volume pump chambers and valve arrangements for sam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5187B2 (ja) * 1995-10-23 2002-05-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噴出ポンプ付き容器
CA2073256C (en) * 1990-11-07 1999-01-26 Shoji Uehira Foam dispensing pump container
US5570819A (en) * 1992-07-07 1996-11-05 Daiwa Can Company Foam dispensing pump container
US5462208A (en) * 1994-08-01 1995-10-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wo-phase dispensing systems utilizing bellows pumps
DE69534444T2 (de) * 1994-11-17 2006-07-06 Yoshino Kogyosho Co., Ltd. Behälter mit einer blaseneinspritzpumpe
JP3209404B2 (ja) * 1996-12-26 2001-09-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噴出容器
JP3215641B2 (ja) * 1996-12-26 2001-10-0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噴出ポンプ容器
CA2268472C (en) * 1997-08-13 2002-11-12 Yoshino Kogyosho Co., Ltd. Manually operated spray device for liquid
NL1012419C2 (nl) * 1999-06-23 2000-12-28 Airspray Nv Spuitbus voor het afgeven van een vloeistof.
DE19957739A1 (de) * 1999-12-01 2001-06-28 Henkel Ecolab Gmbh & Co Ohg Handwaschlotion für wiederbefüllbare Schaumerzeugungsvorrichtung
JP2005262202A (ja) * 2004-02-20 2005-09-29 Yoshino Kogyosho Co Ltd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
ITVI20050053A1 (it) * 2005-02-25 2006-08-26 Taplast Spa Dispositivo per l'erogazione di miscele gas-liquido
CA2616469C (en) * 2005-07-29 2017-06-06 Hiroshi Mizushima Discharge container
JP4781749B2 (ja) * 2005-08-16 2011-09-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噴出器
NL1031092C2 (nl) * 2006-02-07 2007-08-08 Airspray Nv Zelfreinigende schuimafgifteinrichting.
JP4749189B2 (ja) * 2006-03-24 2011-08-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噴出器
US7850048B2 (en) * 2006-10-23 2010-12-14 Arminak & Associates, Inc. Foamer pump
JP4911505B2 (ja) * 2007-01-31 2012-04-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噴出容器
US20090008412A1 (en) * 2007-04-10 2009-01-08 Choi Hee Jin Foam pump dispenser having leakage prevention function against reverse flow
JP5317060B2 (ja) * 2009-05-15 2013-10-16 株式会社三谷バルブ 泡放出用ポンプ機構および、泡放出用ポンプ機構を備えたポンプ式製品
KR20100137407A (ko) 2010-12-10 2010-12-30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액체용기용 포밍펌프 어셈블리
JP5873247B2 (ja) * 2011-03-22 2016-03-01 大和製罐株式会社 ポンプ式泡吐出容器
US8360283B1 (en) * 2011-08-17 2013-01-29 Zhejiang JM Industry Co., Ltd Liquid foaming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70141A (zh) 2013-10-23
CA2823581C (en) 2016-09-06
CN106391349B (zh) 2019-02-19
EP2671646A4 (en) 2017-02-08
US20130313285A1 (en) 2013-11-28
CN103370141B (zh) 2016-11-09
KR101511659B1 (ko) 2015-04-13
US8950633B2 (en) 2015-02-10
EP2671646B1 (en) 2020-04-01
CN106391349A (zh) 2017-02-15
EP2671646A1 (en) 2013-12-11
WO2012105206A1 (ja) 2012-08-09
CA2823581A1 (en) 201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0002A (ko) 거품 토출기
KR20130100001A (ko) 거품 토출기
EP3088322A1 (en) Foam jetting tube container
JP5903743B2 (ja) 泡吐出器
JP6315556B2 (ja) 泡吐出器
JP2012202207A (ja) 泡ポンプの空気弁構造
JP4911505B2 (ja) 泡噴出容器
US8761426B2 (en) Housing structure for sound generator
JP6482386B2 (ja) 泡吐出器
JP5924734B2 (ja) 泡吐出器
JP5283159B2 (ja) ポンプの押下ヘッド
JP2018083636A (ja) 噴出器
JP5963293B2 (ja) 泡吐出器
JP5903752B2 (ja) 泡吐出器
JP6076190B2 (ja) ポンプ
JP6267998B2 (ja) 泡吐出器
JP5472918B2 (ja) 正倒立噴出可能な液体噴出器
JP5943374B2 (ja) 泡吐出器
JP7032992B2 (ja) 泡吐出容器
JP5366151B2 (ja) ポンプ
JP5574370B2 (ja) 正倒立噴出可能な液体噴出器
JP6892362B2 (ja) 泡吐出器及び泡吐出容器
JP5979671B2 (ja) 泡吐出器
JP5704670B2 (ja) 液体噴出器
JP2019112129A (ja) 泡吐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