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207A - 치료 목적을 위한 히스톤의 용도 - Google Patents

치료 목적을 위한 히스톤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207A
KR20130099207A KR1020137019312A KR20137019312A KR20130099207A KR 20130099207 A KR20130099207 A KR 20130099207A KR 1020137019312 A KR1020137019312 A KR 1020137019312A KR 20137019312 A KR20137019312 A KR 20137019312A KR 20130099207 A KR20130099207 A KR 20130099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stone
thrombocytopenia
treatment
therapeutically effecti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9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제퍼자우어
레이널 클라스
Original Assignee
심바이오텍 게엠베하 게젤샤프트 퓌어 포르슝 운도 엔트비클룽 아우프 뎀 게비엣 더 바이오테크놀로지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바이오텍 게엠베하 게젤샤프트 퓌어 포르슝 운도 엔트비클룽 아우프 뎀 게비엣 더 바이오테크놀로지 엠베하 filed Critical 심바이오텍 게엠베하 게젤샤프트 퓌어 포르슝 운도 엔트비클룽 아우프 뎀 게비엣 더 바이오테크놀로지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099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2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4Antihaemorrhagics; Procoagulants; Haemostatic agents; Antifibrinoly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Diabet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Onc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인간 재조합 히스톤, 특히 적어도 하나의 히스톤 H1 서브타입, 및/또는 치료적인 히스톤 단편의 혈소판 감소증의 치료에 대한 기초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료 목적을 위한 히스톤의 용도{USE OF HISTONES FOR THERAPEUTIC PURPOSES}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인간 재조합 히스톤 H1 서브타입 및/또는 그것의 치료학적으로 효과적인 단편, 특히 히스톤 H1.3의 치료 목적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암, 예를 들어 백혈병의 치료를 위한 인간 재조합 히스톤 H1 서브타입을 기초로 한 치료학적 활성물질의 용도는 Reiner Class et al. in Am. J. Clin. Oncol. (CCT) Vol. 19 No. 5, 1996의 기사 및 유럽특허출원 98919254.7호에 개시되어 있다.
정상 및 방사선 조사된 쥐(rat)에서의 송아지 흉선으로부터 유래한 히스톤 H1 및 H2A/H2B 단편의 혈액학적 줄기세포(CTU-S)에 대한 효과는 Semina O.V. et al. in Radiatsionnaia Biologiia, Radioccologiia 34(4-5), 1994. 7-10.의 러시아 기사에 개시되어 있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과 같은 복잡한 병리학적 상태에서는, 혈소판 감소증이 종종 관찰되는데, 그것은 백혈병의 화학요법치료에 의해 더욱 심해질 수 있다. 혈소판 감소증은 그러나, 또한 다른 질병에서도 관찰된다. 혈소판 감소증이 생명을 위협하는 내출혈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혈소판 감소증의 원인일 수 있는 여러 가지 병적 증상에 대한 치료는 종종 훨씬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혈소판 감소증에 치료적으로 쓰일 수 있는 활성물질을 찾아내서, 그럼으로써 혈소판 감소증의 유발요인으로서의 기초 증상의 치료에 대한 성공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H1.3으로 치료한 날짜에 따른 혈소판 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혈소판 감소증, 특히 불완전한 줄기세포 분화의 결과로서 또는 거핵세포(megakaryocyte)의 약해진 증식의 결과로서 유발된 혈소판 감소증의 치료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인간 재조합 히스톤(특히 적어도 하나의 H1 서브타입의 히스톤) 및/또는 그것의 치료학적으로 효과적인 단편에 기초한 활성물질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특히 혈액학적 질병의 합병증(concomitant manifestation)으로서의 혈소판 감소증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을 혈액학적 질병, 특히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의 치료를 위한 화학요법 중에 또는 후에 혈소판 감소증의 치료를 위해서 적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활성 물질이 한편으로는 백혈병과 같은 혈액학적 질병의 치료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 혈액학적 질병과 관련된 혈소판 감소증의 치료에도 긍정적인 결과를 보이는 것이 가능했다.
따라서, 하나의 동일한 활성 물질로 백혈병의 후퇴 및 혈소판의 증가를 보는 것이 가능했다.
또한, 인간 재조합 히스톤 H1.3으로 환자들에게 한 임상시험에서, AML환자에서 병든 암 세포의 수를 눈에 띄게 줄이는 것이 가능했으며 동시에, 혈소판의 생산을 상당히 증가시켜서, 환자 치료의 예후를 상당히 향상시키는 결과가 가능했다.
실시예
시험 결과는 이하에서 좀 더 상세히 재현될 것으로, 여기서 사용된 활성 물질은 인간 재조합 H1.3이며, 체표면적의 37.5mg/qm2 의 농도로 약 4시간의 기간 동안 1주에 3번 0.9% NaCl 용액에서 정맥주사 하였다.
환자의 혈소판 감소증에 대한 0.9% NaCl 용액 내의 체표면적의 37.5mg/qm2 의 농도의 본 발명의 활성물질의 효과는 첨부된 도 1에 나타냈다.
말초 혈액에서의 혈소판은 정상적으로 0 내지 40 x 109이다. 본 발명의 활성 물질로 3주간 치료한 것은 횡좌표 상에 나타냈고, 첫 치료 전에 측정된 환자의 혈소판 수는, 약 8 x 109로 크게 감소되었다. 그 다음 각 경우에, 주당 3번 각 경우마다 4시간씩 점적주입 하였으며, 1회부터 3회까지의 주입은 첫 주의 1, 3, 5번째 날에 4회 내지 6회까지의 주입은 둘째 주인 8, 10, 12번째 날에, 마지막 7회 내지 9회까지의 주입은 셋째 주인 15, 17 및 19번째 날에 투여되었다. 첫 투여 후 29일째에 본 발명의 활성물질을 더 투여하지 않고 혈소판 수의 대조 측정을 하였다. 차후의 FU1 때 본 발명의 활성물질을 한 번도 투여받지 않은 환자는 정상 혈소판 수인 약 34 x 109를 보였다. 이 수치는 저장된 혈액을 보충할 필요가 없게 한다. 혈소판 수가 원래의 것보다 향상되지 않았거나 또는 오히려 나빠졌다면, 환자는 치료의 재개 가능성에 대해서 후속 검사를 받도록 하였다. 후속 검사의 결과는 여기에 나타내지 않았다.
첨부된 도 1은 두 번째 주의 시작부터 세 번째 주의 치료의 끝까지, 치료 5일째 날 이후에 혈소판 수의 급등이 있었고, 그 다음 치료 8일째 날부터 19일째 날까지 혈소판 수가 연속적으로 증가하였고, 29일째 날의 제1 대조 검사에서는 추가로 혈소판 수의 더딘 증가가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활성물질을 추가 투여하지 않은 환자의 이후의 채혈일 FU1에는 최종적으로 측정된 혈소판 수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약 32.5 x 109였다.
본 발명은 인간 재조합 H1.3의 용도에 한정되지 않는다. H1 서브타입 간의 가까운 견련성 때문에, 본 발명의 활성물질에 근거하여 다른 인간 재조합 H1 서브타입을 활성물질로서 채용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혈소판 감소증, 여기서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합병증으로서의 혈소판 감소증 환자의 성공적인 치료를 따라, 다른 재조합 H1 서브타입을 본 발명에 따라 대안적인 활성물질로서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특히 자명하다.
본 발명의 활성물질은 바람직하게는 히스톤 단백질의 완전한 단축되지 않은 서브타입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당업자가 직접 그의 전문지식과 경험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에서 필요한 확실한 새로운 기여없이 치료학적으로 활성인 부분을 연구하는 것은 자명하다. 이러한 치료학적으로 활성인 히스톤 단편은 따라서 여기에 개시된 본 발명의 가르침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경험에 비춰볼 때, 혈소판 감소증을 일으킬 수 있는 중증인 또는 초기의 1차적인 질병이 있을 때, 백혈병과 달리 본 발명의 활성물질이 1차적인 질병 자체에는 효과가 없더라도 본 발명의 활성물질을 위협적인 혈소판 감소증에 대해 예방적으로 적용하는 것의 치료학적인 가르침을 준다.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인간 재조합 히스톤의 용도로서, 특히 H1 서브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히스톤 및/또는 치료학적으로 효과적인 히스톤 단편의 혈소판 감소증의 치료적 처치의 기초로서의 용도.
  2. 혈액학적 질병의 합병증(concomitant manifestation)으로서의 혈소판 감소증에 대한 치료학적 처치를 위한 제1항에 따른 히스톤 및/또는 치료학적으로 효과적인 히스톤 단편.
  3. 혈액학적 질병에 대한 치료를 위한 처치 중 또는 후에, 특히 화학요법 후의 혈소판 감소증의 치료학적 처치를 위한 제1항에 따른 히스톤 및/또는 치료학적으로 효과적인 히스톤 단편.
  4. 백혈병, 특히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치료적 처치 및 동시에 혈소판 감소증에 대한 치료적 처치를 위한 제1항에 따른 히스톤 및/또는 치료학적으로 효과적인 히스톤 단편.
  5. 임의의 병인에 의한 질병에 기인한 혈소판 감소증의 경우에 처치를 위한 제1항에 따른 히스톤 및/또는 치료학적으로 효과적인 히스톤 단편.
  6. 임의의 병인에 의한 질병으로 인한 위협적인 혈소판 감소증의 경우에 예방적 처치를 위한 제5항에 따른 히스톤 및/또는 치료학적으로 효과적인 히스톤 단편.
  7. 제1항에 따른 히스톤 및/또는 치료학적으로 효과적인 히스톤 단편으로서, 인간 재조합 히스톤 H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톤 및/또는 치료학적으로 효과적인 히스톤 단편.
KR1020137019312A 2005-05-10 2006-05-04 치료 목적을 위한 히스톤의 용도 KR201300992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22319A DE102005022319A1 (de) 2005-05-10 2005-05-10 Verwendung von Histonen zu therapeutischen Zwecken
DE102005022319.2 2005-05-10
PCT/EP2006/004167 WO2006119912A2 (de) 2005-05-10 2006-05-04 Verwendung von histonen zu therapeutischen zwecke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5805A Division KR20080007351A (ko) 2005-05-10 2006-05-04 치료 목적을 위한 히스톤의 용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1207A Division KR20140137462A (ko) 2005-05-10 2006-05-04 치료 목적을 위한 히스톤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207A true KR20130099207A (ko) 2013-09-05

Family

ID=3731092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5805A KR20080007351A (ko) 2005-05-10 2006-05-04 치료 목적을 위한 히스톤의 용도
KR1020147031207A KR20140137462A (ko) 2005-05-10 2006-05-04 치료 목적을 위한 히스톤의 용도
KR1020137019312A KR20130099207A (ko) 2005-05-10 2006-05-04 치료 목적을 위한 히스톤의 용도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5805A KR20080007351A (ko) 2005-05-10 2006-05-04 치료 목적을 위한 히스톤의 용도
KR1020147031207A KR20140137462A (ko) 2005-05-10 2006-05-04 치료 목적을 위한 히스톤의 용도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3) US20090305966A1 (ko)
EP (1) EP1879609B1 (ko)
JP (2) JP2008540473A (ko)
KR (3) KR20080007351A (ko)
CN (1) CN101171027A (ko)
CA (2) CA2811995A1 (ko)
DE (1) DE102005022319A1 (ko)
ES (1) ES2461564T3 (ko)
HU (1) HUE027070T2 (ko)
PL (1) PL1879609T3 (ko)
PT (1) PT1879609E (ko)
WO (1) WO200611991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22319A1 (de) * 2005-05-10 2006-11-23 Symbiotec Gesellschaft Zur Forschung Und Entwicklung Auf Dem Gebiet Der Biotechnologie Mbh Verwendung von Histonen zu therapeutischen Zwecke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8763A (en) * 1984-01-12 1989-04-04 Volker Rusch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 with hormonal properties, production process thereof and utilization of histones for medical purposes
AU3834589A (en) 1988-05-31 1990-01-05 Schering Biotech Corporation Method of treating myeloid leukemias
DE4000154A1 (de) * 1990-01-04 1991-07-11 Symbiotec Gmbh Chemotherapeutisches mittel, insbesondere zur behandlung von krebserkrankungen
US5571686A (en) * 1994-04-14 1996-11-0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of using megapoietin for prolonging the survival & viability of platlets
US20030017987A1 (en) * 1997-04-11 2003-01-23 Michael Zeppezauer Therapeutic, prophylactic, and diagnostic agent for cancer, useful for characterizing cancer cells with individual properties
DE19715149A1 (de) * 1997-04-11 1998-10-15 Symbiotec Gmbh Krebstherapeutikum und Diagnose zur Charakterisierung von Krebszellen mit individueller Eigenschaft
US6884423B1 (en) * 1998-08-13 2005-04-26 Symbiotec Gmbh Antimicrobial histone H1 compositions, ki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00064466A1 (en) * 1999-04-28 2000-11-02 Northwestern University Localization of major peptide autoepitopes for nucleosome specific t cells of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DE10001113A1 (de) * 2000-01-13 2001-07-26 Strathmann Ag & Co Rekombinante Herstellung von humanen Histon 1-Subtypen sowie deren Verwendung für therapeutische Zwecke
US7931897B2 (en) 2001-02-07 2011-04-26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Therapeutic agent for hematopoietic tumors
JP2004519476A (ja) 2001-02-22 2004-07-02 シンビオテック・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ター・ハフツンク 血小板凝集防止用組成物及び方法
JP2002355048A (ja) * 2001-05-31 2002-12-10 Communication Research Laboratory リボヌクレオチド還元酵素r1とその阻害ペプチド
DE10230223A1 (de) * 2002-07-04 2004-01-22 Tegenero Ag Mikropartikel mit CD28-spezifischen monoklonalen Antikörpern
US20040146585A1 (en) * 2002-10-31 2004-07-29 Oregon Health & Science University Use of thiol-based compositions in treating chemotherapeutic agent-induced thrombocytopenia
DE102005022319A1 (de) * 2005-05-10 2006-11-23 Symbiotec Gesellschaft Zur Forschung Und Entwicklung Auf Dem Gebiet Der Biotechnologie Mbh Verwendung von Histonen zu therapeutischen Zweck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461564T3 (es) 2014-05-20
KR20140137462A (ko) 2014-12-02
US20090305966A1 (en) 2009-12-10
JP2013151573A (ja) 2013-08-08
JP5667238B2 (ja) 2015-02-12
US20150119331A1 (en) 2015-04-30
JP2008540473A (ja) 2008-11-20
US8962562B2 (en) 2015-02-24
DE102005022319A1 (de) 2006-11-23
CA2608019A1 (en) 2006-11-16
CA2608019C (en) 2013-07-02
PT1879609E (pt) 2014-06-09
WO2006119912A2 (de) 2006-11-16
CA2811995A1 (en) 2006-11-16
HUE027070T2 (en) 2016-08-29
EP1879609A2 (de) 2008-01-23
US20140148391A1 (en) 2014-05-29
KR20080007351A (ko) 2008-01-18
EP1879609B1 (de) 2014-03-12
PL1879609T3 (pl) 2014-08-29
WO2006119912A3 (de) 2007-04-12
CN101171027A (zh) 200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405010A1 (en) New Combination of active agents for the treatment of Progressive Fibrosing Interstitial Lung Diseases (PF-ILD)
JP2022159479A (ja) 補体活性のモジュレーター
Wang et al. Astragaloside alleviates hepatic fibrosis function via PAR2 signaling pathway in diabetic rats
EP2844291A1 (en) Methods for treating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L194500A (en) A peptide substance capable of increasing capillary resistance and pharmacological preparation containing the above
Heiduschka et al. Different effects of various anti‐angiogenic treatments in an experimental mouse model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KR20050104383A (ko) 폐 고혈압의 치료를 위한 에스트라디올 대사물
WO1999003493A1 (fr) Medicaments contenant midkine en tant principe actif ou inhibiteurs desdits medicaments
US6716835B1 (en) Use of diltiazem for treating retinal pathologies
WO2022008971A3 (en) Treatment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related coronavirus infection with klotho
KR20130099207A (ko) 치료 목적을 위한 히스톤의 용도
WO2007049468A1 (ja) 脳梗塞抑制剤
KR102606504B1 (ko) 니클로사마이드를 포함하는 폐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otwani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two doses of magnesium sulphate in attenuating haemodynamic responses to laryngoscopy and intubation
EP1057489B1 (en) Use of midkine family proteins in the treatment of ischemic diseases
JP2018520131A (ja) 新規ペプチド及びその用途
Kotwani et al. A prospective randomised study comparing intravenous magnesium sulphate and sublingual nitroglycerine spray in attenuating haemodynamic responses to laryngoscopy and intubation
KR20200051579A (ko) 자가면역 미세혈관 장애의 치료 방법
WO2019089147A1 (en) Methods of treating d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EP2726078B1 (en) Methods for treating immune-mediated diseases of the nervous system administering a compound comprising agents that inhibit prokineticin receptors activity
WO2022103352A1 (en) The use of intravenous immunoglobulin in the preparation of a drug for the treatment of cutis verticis gyrata disease
KR20230086674A (ko) 파킨슨 질환의 치료
AU2020229926A1 (en) Use of recombinant protein for treating metabolic disorders
US20020128199A1 (en) Anti-depressant effects of corticotropin release inhibiting factor
JPWO2021115272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10100692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106

Effective date: 2016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