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066A -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 및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 및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066A
KR20130099066A KR1020137007004A KR20137007004A KR20130099066A KR 20130099066 A KR20130099066 A KR 20130099066A KR 1020137007004 A KR1020137007004 A KR 1020137007004A KR 20137007004 A KR20137007004 A KR 20137007004A KR 20130099066 A KR20130099066 A KR 20130099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agent
metal powder
electromagnetic wave
conductive sheet
magnetic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7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7591B1 (ko
Inventor
다츠오 구무라
유스케 구보
Original Assignee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9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2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0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08K5/5419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containing at least one Si—C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53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 H01F1/15358Making agglomerates therefrom, e.g. by pressing
    • H01F1/15366Making agglomerates therefrom, e.g. by pressing using a binder
    • H01F1/15375Making agglomerates therefrom, e.g. by pressing using a binder us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2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 H01F1/2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 H01F1/2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the particles being insulated
    • H01F1/2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the particles being insulated by 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05K7/20472Sheet interfaces
    • H05K7/20481Sheet interfac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composition exhibiting specific thermal propert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3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electro-conductive non-fibrous particles embedded in an electrically insulating supporting structure, e.g. powder, flakes,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2003/023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08K2003/0856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Magnetic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시트의 유연성이 양호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공한다. 실리콘 고무와, 커플링제와,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자성 금속 분말을 함유하고, 자성 금속 분말의 체적률이 50 ∼ 80 vol% 이고, 커플링제는, 탄소수가 10 ∼ 18 인 장사슬 알킬기를 유기 관능기로서 갖고, 또한, 자성 금속 분말의 표면에 커플링제의 단분자층을 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양의 0.5 ∼ 5 배의 중량이 함유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 및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의 제조 방법 {EM-ABSORBING/HEAT-CONDUCTING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M-ABSORBING/HEAT-CONDUCTING SHEET}
본 발명은, 열전도성이나 전자파 억제 특성이 양호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 및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국에 있어서 2010년 8월 2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10-185890호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고, 이 출원을 참조함으로써, 본 출원에 원용된다.
최근, 전자 기기는, 소형화의 경향을 따라 가는 한편, 어플리케이션의 다양성을 위해서 전력 소비량을 그만큼 변화시킬 수 없기 때문에, 기기 내에 있어서의 방열 대책이 더욱 더 중요시되고 있다.
상기 서술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방열 대책으로서, 구리나 알루미늄 등과 같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료로 제작된 방열판이나 히트 파이프, 혹은 히트 싱크 등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들 열전도성이 우수한 방열 부품은, 방열 효과 또는 기기 내의 온도 완화를 도모하기 위해, 전자 기기 내에 있어서의 발열부인 반도체 패키지 등의 전자 부품에 근접하도록 하여 배치된다. 또, 이들 열전도성이 우수한 방열 부품은, 발열부인 전자 부품으로부터 저온 장소에 걸쳐 배치된다.
전자 기기 내에 있어서의 발열부는, 전류 밀도가 높은 반도체 소자 등의 전자 부품이다. 전류 밀도가 높다는 것은, 불필요 복사의 성분이 될 수 있는 전계 강도 또는 자계 강도가 크다. 이 때문에, 금속으로 제작된 방열 부품을 전자 부품 부근에 배치하면, 열과 함께 전자 부품 내를 흐르는 전기 신호의 고조파 성분도 취하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방열 부품은, 금속 재료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그 자체가 고조파 성분의 안테나로서 작용하거나, 고조파 노이즈 성분의 전달 경로로서 작용한다.
이와 같은 배경에 의해, 열전도성 시트는, 방열 부품이 안테나로서 작용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즉, 자계의 커플링을 끊기 위해서, 자성 재료를 함유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는, 예를 들어, 페라이트 등의 고투자율을 갖는 자성 재료를, 실리콘계나 아크릴계 등의 고분자재에 함유시킴으로써, 열전도 특성과 전자파 억제 특성의 양자의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그런데,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의 열전도성 및 전자파 억제 특성 (자계의 디커플링 효과) 은, 각각의 목적 분말의 재료 물성값도 인자 중 하나인데, 모재가 되는 고분자재에 포함되는 목적 분말의 충전량을 크게 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여기서, 목적 분말과 고분자재의 젖음성이 나쁘면 목적 분말을 고충전할 수 없고, 성형품의 유연성도 악화된다. 그래서, 모재와 분말의 젖음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커플링제라고 칭하는 분말의 표면 처리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 특허문헌 4).
특허문헌 1 에는, 실리콘 고무에 대해, 소프트 페라이트의 충전성을 개선하여 유연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 무관능기의 실란 화합물로 표면 처리를 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실리콘 고무와, 자성 금속 분말의 조합에는, 티타네이트계 또는 알루미늄계의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 에는, 실리콘 고무와 산화물 분말의 조합으로, 특정 구성의 실란 커플링제가 효과적인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 에는, 산화물 필러에 대해, 실리콘 원소에 직접 결합하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4 개의 실란 커플링제를 0.2 ∼ 10 중량% 로 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분말의 표면 개질을 목적으로 한 커플링제는, 필요 이상으로 첨가하면, 시간 경과에 수반하여 미반응 부분에서 반응이 서서히 진행되고, 장시간 경과 후에 실리콘 성형품인 시트의 유연성이 악화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86190호 일본 특허 제3719382호 일본 특허 제3290127호 일본 특허 제3535805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고, 시트의 유연성이 양호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 및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는, 실리콘 고무와, 커플링제와,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자성 금속 분말을 함유하고, 자성 금속 분말의 체적률이 50 ∼ 80 vol% 이고, 커플링제는, 탄소수가 10 ∼ 18 인 장사슬 알킬기를 유기 관능기로서 갖고, 또한, 자성 금속 분말의 표면에 커플링제의 단분자층을 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양의 0.5 ∼ 5 배의 중량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는, 실리콘 고무와, 커플링제와,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을 함유하고,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의 체적률이 50 ∼ 80 vol% 이고, 커플링제는, 메타크릴옥시기를 유기 관능기로서 갖고, 또한,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의 표면에 커플링제의 단분자층을 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양의 0.5 ∼ 5 배의 중량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의 제조 방법은, 실리콘 고무와, 탄소수가 10 ∼ 18 인 장사슬 알킬기를 유기 관능기로서 갖는 커플링제와, 자성 금속 분말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교반 공정과, 교반 공정에서 교반된 혼합물을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여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을 갖고, 교반 공정에서는, 자성 금속 분말의 체적률이 50 ∼ 80 vol% 가 되도록 자성 금속 분말을 함유시킴과 함께, 자성 금속 분말의 표면에 커플링제의 단분자층을 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양의 0.5 ∼ 5 배 중량의 커플링제를 함유시킨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의 제조 방법은, 실리콘 고무와, 메타크릴옥시기를 유기 관능기로서 갖는 커플링제와,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을 혼합하고, 혼합한 혼합물을 교반하는 교반 공정과, 교반 공정에서 교반된 혼합물을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여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을 갖고, 교반 공정에서는,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의 체적률이 50 ∼ 80 vol% 가 되도록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을 함유시킴과 함께,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의 표면에 커플링제의 단분자층을 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양의 0.5 ∼ 5 배 중량의 커플링제를 함유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성 금속 분말을 고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의 유연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에 사용되는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의 SEM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에 사용되는 결정질 금속 분말의 SEM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 및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의 제조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해, 이하의 순서로 설명한다.
1.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
1-1. 자성 금속 분말
1-2. 커플링제
1-3. 열전도성 충전제
1-4. 실리콘 고무
2.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의 제조 방법
3. 다른 실시형태
4. 실시예
(1.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는, 자성 금속 분말과, 커플링제와, 열전도성 충전제와, 실리콘 고무를 함유한다.
(1-1. 자성 금속 분말)
자성 금속 분말로는, 전자 부품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를 흡수하기 위한 전자파 흡수 재료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자성 금속 분말로는,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이나, 결정질의 금속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로는, 예를 들어, Fe-Si-B-Cr 계, Fe-Si-B 계, Co-Si-B 계, Co-Zr 계, Co-Nb 계, Co-Ta 계인 것 등을 들 수 있다. 결정질의 금속 분말로는, 예를 들어, 순철, Fe 계, Co 계, Ni 계, Fe-Ni 계, Fe-Co 계, Fe-Al 계, Fe-Si 계, Fe-Si-Al 계, Fe-Ni-Si-Al 계인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 결정질의 금속 분말로는, 결정질의 금속 분말에, N (질소), C (탄소), O (산소), B (붕소) 등을 미량 첨가하여 미세화시킨 미결정질 금속 분말을 사용해도 된다. 또, 자성 금속 분말로는, 재료가 상이한 것이나, 평균 입경이 상이한 것을 2 종 이상 혼합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자성 금속 분말로는, 충전성을 높게 하는 관점에서, 입경이 수 ㎛ ∼ 수십 ㎛ 이며, 구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자성 금속 분말은, 예를 들어 아토마이즈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아토마이즈법이란, 구상의 분말을 만들기 쉬운 이점을 갖고, 용융 금속을 노즐로부터 유출시키고, 유출시킨 용융 금속에 공기, 물, 불활성 가스 등의 제트류를 분사하여 액적으로서 응고시켜 분말을 만드는 방법이다. 아토마이즈법에 의해 자성 금속 분말을 제조할 때에는, 용융 금속이 결정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냉각 속도를 10-6 (K/s)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아토마이즈법에 의해,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을 제조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의 표면을 매끄러운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면 요철이 적고, 비표면적이 작은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을 자성 금속 분말로서 사용함과 함께, 후에 상세히 서술하는 바와 같이 최적인 커플링제를 사용함으로써, 매우 소량의 커플링제로도 실리콘 고무와의 친화성을 개선하고, 실리콘 성형품, 즉, 시트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을 사용함으로써, 과도하게 커플링제를 사용하지 않고, 시트를 장기 보존한 경우에 있어서, 시트의 유연성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아토마이즈법에 의해, 결정질 금속의 일례인 Fe-Si 합금 분말을 제조한 경우에는, Fe-Si 합금 분말은,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상을 나타내면서도 표면에 미소한 요철을 발생시켜 비표면적이 커진다. 이와 같은 Fe-Si 합금 분말을 자성 금속 분말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Fe-Si 합금 분말의 충전량을 줄여, 비표면적의 증가에 대응하도록 커플링제의 양을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을 자성 금속 분말로서 사용했을 때와 동일하게, 시트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성 금속 분말은, 실리콘 고무와 커플링제와 자성 금속 분말과 열전도성 충전제를 함유하는 실리콘 고무 조성물 전체량 (이하, 간단히 「조성물 전체량」이라고 한다) 에 대해, 체적률이 50 ∼ 80 vol% 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성 금속 분말의 체적률을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50 vol% 이상으로 함으로써, 열전도 특성과 전자파 억제 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자성 금속 분말의 체적률을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80 vol% 이하로 함으로써, 시트의 유연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1-2. 커플링제)
커플링제는, 자성 금속 분말과 실리콘 고무의 젖음성을 양호하게 하여 자성 금속 분말의 충전성을 양호하게 하고, 시트의 유연성을 양호하게 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커플링제로는, 예를 들어, 일반식 X-Si-MEn(OR)3-n (n=0, 1) 로 나타내는 실란 커플링제나, 일반식 X-R-Si-(OR)3-n (n=0, 1) 로 나타내는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일반식에 있어서, 「X」는 유기 관능기를 나타내고, 「ME」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OR」은 가수분해기를 나타내고, 「R」은 알킬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일반식 X-Si-MEn(OR)3-n 에 있어서, n=1 일 때의 가수분해기로는, 예를 들어 트리메톡시기나 트리에톡시기를 들 수 있고, n=2 일 때의 가수분해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디메톡시기나 메틸디에톡시기를 들 수 있다.
일반식 X-Si-MEn(OR)3-n (n=0, 1) 로 나타내는 실란 커플링제로는, 탄소수 10 ∼ 18 의 장사슬 알킬기를 유기 관능기로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일반식 X-R-Si-(OR)3-n (n=0, 1) 로 나타내는 실란 커플링제로는, 메타크릴옥시기를 유기 관능기로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함으로써, 자성 금속 분말과 실리콘 고무의 젖음성을 양호하게 하여 자성 금속 분말의 충전성을 양호하게 하고, 시트의 유연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탄소수 10 ∼ 18 의 장사슬 알킬기를 유기 관능기로서 갖는 실란 커플링제에 있어서, 장사슬 알킬기의 탄소수를 10 이상으로 함으로써, 자성 금속 분말과 실리콘 고무의 젖음성을 양호하게 하여 시트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장사슬 알킬기의 탄소수를 18 이하로 함으로써, 장사슬 알킬기의 비점이 지나치게 높아져 실란 커플링제의 구조가 불안정해지고, 자성 금속 분말과 실리콘 고무의 젖음성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소수 10 ∼ 18 의 장사슬 알킬기를 유기 관능기로서 갖는 실란 커플링제로는, 예를 들어, 탄소수 10 ∼ 18 의 장사슬 알킬기를 유기 관능기로서 가짐과 함께, 메톡시기나 에톡시기를 가수분해기로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n-데실트리메톡시실란 (n-C10H21Si(OCH3)3), n-데실메틸디메톡시실란 (n-C10H21SiCH3(OCH3)2), 옥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CH3(CH2)17Si(OCH2CH3)3), 옥타데실메틸디메톡시실란 (CH3(CH2)17SiCH3(OCH3)2) 등을 들 수 있다.
또, 메타크릴옥시기를 유기 관능기로서 갖는 실란 커플링제로는, 예를 들어,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의 사용량은, 자성 금속 분말의 비표면적과, 실란 커플링제의 분자량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자성 금속 분말의 표면에 실란 커플링제의 단분자층을 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첨가량 (이하, 「단분자층 형성 필요량」이라고 한다) 의 0.5 ∼ 5 배의 중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의 양을 단분자층 형성 필요량의 0.5 배 이상으로 함으로써, 실란 커플링제에 의한 표면 처리 효과, 즉, 자성 금속 분말과 실리콘 고무의 젖음성의 효과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실란 커플링제의 양을 단분자층 형성 필요량의 5 배 이하로 함으로써, 시트를 장기 보존한 경우에, 실란 커플링제의 미반응부에서의 반응이 진행되어, 시트의 경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시트의 유연성을 장기에 걸쳐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시트의 경도란, 예를 들어, JISK6301A 에 준거하여 측정한 값을 말한다.
실란 커플링제의 단분자층 형성 필요량은, 예를 들어, 하기 (1) 식에 의해 구해진다.
단분자층 형성 필요량 (g)=대상 필러의 중량 (g)×대상 필러의 비표면적 (㎡/g)/실란 커플링제의 최소 피복 면적 (㎡/g) (1)
상기 (1) 식에 있어서, 대상 필러란, 상기 서술한 자성 금속 분말 또는 열전도성 충전제를 나타낸다. 또, (1) 식에 있어서, 실란 커플링제의 최소 피복 면적은, 다음 (2)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최소 피복 면적 (㎡/g)=6.02×1023×13×10-20/실란 커플링제의 분자량 (2)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요철이 적고, 비표면적이 작은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을 자성 금속 분말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최적인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함으로써, 매우 소량의 실란 커플링제로도 실리콘 고무와의 친화성을 개선하고, 실리콘 성형품인 시트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표면적이 작은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을 자성 금속 분말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메타크릴옥시기를 유기 관능기로서 갖는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e-Si 합금 분말을 자성 금속 분말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Fe-Si 합금 분말의 충전량을 줄이고, 비표면적의 증가에 대응하도록 실란 커플링제의 양을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을 자성 금속 분말로서 사용했을 때와 동일하게, 시트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3. 열전도성 충전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는, 시트의 열전도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 열전도성 충전제를 함유해도 된다. 열전도성 충전제로는, 자성 금속 입자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열전도성 입자, 예를 들어, 고열전도성 세라믹스나, 구리나 알루미늄 등에 절연체를 코팅한 분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고열전도성 세라믹스로는, 알루미나, 질화붕소, 질화규소, 질화알루미늄, 탄화규소 등을 들 수 있다.
열전도성 충전제는, 자성 금속 분말과 입경이 동일한 정도의 것을 사용해도 되는데, 시트 중에 있어서의 자성 금속 분말의 충전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자성 금속 분말보다 입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열전도성 충전제는, 평균 입경이, 자성 금속 분말에 대해 1/3 ∼ 1/30 정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열전도성 충전제는, 체적률이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30 vo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시트의 유연성을 저해하지 않고 , 시트의 열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열전도성 충전제는, 상기 서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자성 금속 분말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이면 되고, 특히, 평균 입경이 자성 금속 분말에 비해 작은 것이면, 고충전화를 실현할 수 있다.
(1-4. 실리콘 고무)
실리콘 고무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2 액형이나 1 액형의 액상 타입의 실리콘 겔이나 실리콘 고무, 열가황형의 실리콘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2.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의 제조 방법)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는,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와, 실란 커플링제와, 자성 금속 분말과, 열전도성 충전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교반시키고, 실란 커플링제로 자성 금속 분말을 표면 처리하는 교반 공정과, 교반된 혼합물을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여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을 갖는다.
교반 공정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자성 금속 분말의 체적률이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50 ∼ 80 vol% 가 되도록 자성 금속 분말을 함유시킴과 함께, 자성 금속 분말의 표면에 실란 커플링제의 단분자층을 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양의 0.5 ∼ 5 배 중량의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교반 공정에 있어서, 실리콘 고무와, 실란 커플링제와, 자성 금속 분말과, 열전도성 충전물의 혼합물의 교반은, 예를 들어, 진공 건조기를 사용하여 진공 상태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 공정에 있어서, 자성 금속 분말이나 열전도성 충전물에 대한 커플링 처리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직접 처리법이나 인테그랄 블렌드법이 사용된다. 직접 처리법으로는, 예를 들어, 건식 처리법이나 습식 처리법을 들 수 있다. 건식 처리법이란, 실란 커플링제를 물 또는 알코올 수용액으로 희석한 상태로, 대상 분말에 적하나 스프레이 분무하여 교반하는 방법이다. 습식 처리법이란, 대상 분말을 물 또는 알코올 수용액을 첨가하여 슬러리상으로 한 것에, 실란 커플링제 원액을 첨가하여 교반하는 방법이다. 인테그랄 블렌드법이란, 실란 커플링제와, 실리콘 고무와, 대상 분말을 첨가하여 한 번에 처리하는 방법이다.
교반 공정에 있어서, 특히, 실란 커플링제와 자성 금속 분말이나 열전도성 충전물의 친화성이 좋은 경우에는, 실란 커플링제의 원액을 대상 분말에 직접 적하하는 방법이나, 자성 금속 분말에 실란 커플링제 처리를 미리 실시하여, 순차적으로 다른 재료를 첨가해 가는 방법이나, 인테그랄 블렌드법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교반 공정에 있어서, 자성 금속 분말이나 열전도성 충전물의 종류 및 입경에 따라, 최적인 실란 커플링제나 커플링 처리의 방법이 상이하기 때문에, 실란 커플링제나 커플링 처리 방법을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 공정에서는, 교반 공정에서 교반된 혼합물을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여 경화시킨다. 예를 들어, 경화 공정에서는, 교반 공정에서 교반된 혼합물을 소정 크기의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여, 100 ℃, 30 분의 환경하에서 경화시킴으로써,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3. 다른 실시형태)
상기 서술한 설명에서는, 1 종류의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는데, 2 종류 이상의 실란 커플링제를 혼합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실란 커플링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실란 커플링제에 있어서, 평균 탄소수가 10 ∼ 18 인 장사슬 알킬기를 유기 관능기로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설명에서는, 열전도성 충전물에 대해 커플링 처리를 실시하는 것으로서 설명했는데,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열전도성 충전물에 대한 커플링 처리를 생략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설명에서는, 자성 금속 분말 및 열전도성 충전물에 대해 동일한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열전도성 충전물에 자성 금속 분말에 대해 사용하는 실란 커플링제와는 상이한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설명에서는, 자성 금속 분말과, 열전도성 충전물과, 실란 커플링제와, 실리콘 고무를 사용하여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조하는 것으로 했는데, 특성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에서, 연소를 억제하기 위한 난연재, 착색재 등을 추가로 함유시켜도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하기 실시예에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시예 1 에서는, 분자 사슬 양 말단에만 알케닐기를 함유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측사슬에만 규소 원자에 직접 결합한 수소 원자를 갖는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및 백금족계 부가 반응 촉매를 1 % 미만 포함한 실리콘 혼합물과, 자성 금속 분말과, 실란 커플링제를 혼합하여, 진공 건조기로 교반하였다.
구상의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은,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체적률이 70 vol% 가 되도록 배합하였다. 자성 금속 분말로는, 평균 입경 25 ㎛ 인 Fe-Si-B 계의 구상의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을 사용하였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구상의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의 중량에 대해 0.06 wt% 의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사용하였다.
계속해서, 교반한 혼합물을, 2 ㎜ 의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고, 100 ℃, 30 분의 환경하에서 경화시킴으로써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2 에서는, 실란 커플링제로서,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을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3 에서는, 실란 커플링제로서, n-데실트리메톡시실란을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4 에서는, 실란 커플링제로서, n-데실트리메톡시실란과, 디메톡시메틸옥타데실실란을 당량 배합한 것을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5 에서는, 자성 금속 분말로서 평균 입경 35 ㎛ 인 Fe-Si 합금 분말을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체적률이 60 vol% 가 되도록 배합한 점, Fe-Si 합금 분말의 중량에 대해 0.08 wt% 의 n-데실트리메톡시실란을 실란 커플링제로서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6 에서는, 자성 금속 분말로서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을 체적률이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60 vol% 가 되도록 배합한 점, 실란 커플링제로서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의 중량에 대해 0.09 wt% 의 n-데실트리메톡시실란을 사용한 점, 열전도성 충전제로서 평균 입경 5 ㎛ 인 알루미나 가루를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6 vol% 배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7 에서는, 자성 금속 분말로서, 평균 입경 25 ㎛ 인 구상의 아모르퍼스 자성 분말을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8 에서는, 자성 금속 분말로서, 평균 입경 25 ㎛ 인 구상의 아모르퍼스 자성 분말을 사용한 점, 실란 커플링제로서, n-데실메틸디메톡시실란을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9 에서는, 자성 금속 분말로서, 평균 입경 25 ㎛ 인 구상의 아모르퍼스 자성 분말을 사용한 점, 실란 커플링제로서, n-옥타데실메틸디메톡시실란을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0 에서는, 실시예 5 와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1 에서는, 실란 커플링제로서, n-데실메틸디메톡시실란을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2 에서는, 실란 커플링제로서, n-옥타데실메틸디메톡시실란을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 에서는, 실란 커플링제로서, n-옥틸트리에톡시실란을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2 에서는, 실란 커플링제로서, 비닐트리에톡시실란을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3 에서는, 실란 커플링제로서, 비닐트리메톡시실란을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4 에서는, 실란 커플링제로서, 알킬알콕시실록산을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5)
비교예 5 에서는, 실란 커플링제로서, n-옥틸트리에톡시실란을 사용한 점, 자성 금속 분말로서 평균 입경 35 ㎛ 인 Fe-Si 합금 분말을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체적률이 60 vol% 가 되도록 배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6)
비교예 6 에서는,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지 않은 점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7)
비교예 7 에서는,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지 않은 점, 자성 금속 분말로서 평균 입경 35 ㎛ 인 Fe-Si 합금 분말을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체적률이 60 vol% 가 되도록 배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8)
비교예 8 에서는, 열전도성 충전제로서 평균 입경 3 ㎛ 인 알루미나 가루를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체적률이 6 vol% 가 되도록 배합한 점, 구상의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의 중량에 대해 0.1 wt% 의 n-옥틸트리에톡시실란을 실란 커플링제로서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9)
비교예 9 에서는, 실란 커플링제로서, 구상의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의 중량에 대해 0.27 wt% 의 n-옥틸트리에톡시실란을 사용한 점 이외에는, 비교예 8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0)
비교예 10 에서는, 실란 커플링제로서, 구상의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의 중량에 대해 0.5 wt% 의 n-옥틸트리에톡시실란을 사용한 점 이외에는, 비교예 8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1)
비교예 11 에서는, 실란 커플링제로서, 구상의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의 중량에 대해 0.9 wt% 의 n-옥틸트리에톡시실란을 사용한 점 이외에는, 비교예 8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2)
비교예 12 에서는,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지 않은 점 이외에는, 비교예 8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3)
비교예 13 에서는, 자성 금속 분말 대신에, 평균 입경 5 ㎛ 인 구상의 알루미나 분말을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체적률이 65 vol% 가 되도록 배합한 점, 구상의 알루미나 분말의 중량에 대해 0.09 wt% 의 비닐트리에톡시실란을 실란 커플링제로서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4)
비교예 14 에서는, 구상의 알루미나 분말의 중량에 대해 0.09 wt% 의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실란 커플링제로서 사용한 점 이외에는, 비교예 13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5)
비교예 15 에서는, 구상의 알루미나 분말의 중량에 대해 0.09 wt% 의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을 실란 커플링제로서 사용한 점 이외에는, 비교예 13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6)
비교예 16 에서는, 구상의 알루미나 분말의 중량에 대해 0.09 wt% 의 알킬알콕시실록산을 실란 커플링제로서 사용한 점 이외에는, 비교예 13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7)
비교예 17 에서는, 구상의 알루미나 분말의 중량에 대해 0.09 wt% 의 n-데실트리메톡시실란을 실란 커플링제로서 사용한 점 이외에는, 비교예 13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8)
비교예 18 에서는,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지 않은 점 이외에는, 비교예 13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9)
비교예 19 에서는, 자성 금속 분말로서, 평균 입경 25 ㎛ 인 구상의 아모르퍼스 자성 분말을 사용한 점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0)
비교예 20 에서는, 비교예 6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1)
비교예 21 에서는, 비교예 5 와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2)
비교예 22 에서는, 비교예 7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3)
비교예 23 에서는, 비교예 18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4)
비교예 24 에서는, 구상의 알루미나 분말의 중량에 대해 0.09 wt% 의 n-옥틸트리에톡시실란을 실란 커플링제로서 사용한 점 이외에는, 비교예 13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5)
비교예 25 에서는, 비교예 17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6)
비교예 26 에서는, 구상의 알루미나 분말의 중량에 대해 0.09 wt% 의 n-데실메틸디메톡시실란을 실란 커플링제로서 사용한 점 이외에는, 비교예 13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7)
비교예 27 에서는, 구상의 알루미나 분말의 중량에 대해 0.09 wt% 의 n-옥타데실메틸디메톡시실란을 실란 커플링제로서 사용한 점 이외에는, 비교예 13 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를 제작하였다.
이상의 실시예 1 ∼ 실시예 12 및 비교예 1 ∼ 비교예 27 의 결과를, 표 1 ∼ 표 5 에 정리한다. 실시예 6, 비교예 8 ∼ 비교예 12 의 에이징 시험에서는, 125 ℃ 의 조건으로 300 시간, 각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의 샘플에 대해 에이징 처리를 실시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시트의 경도는 ASKER 사의 아스카 고무 경도계 C 형과 정압 하중기를 사용하여 구하고 있고, 시트를 겹쳐 30×50×10 ㎜ 의 형상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1 ∼ 실시예 6 에서 얻어진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에 있어서, 자성 금속 분말은, 체적률이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50 ∼ 80 vol% 를 만족하고 있다. 또, 실란 커플링제는, 탄소수 또는 평균 탄소수가 10 ∼ 18 인 장사슬 알킬기, 또는 메타크릴옥시기를 유기 관능기로서 갖는다. 또한, 실란 커플링제는, 자성 금속 분말의 표면에 실란 커플링제의 단분자층을 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양의 0.5 ∼ 5 배의 중량이 함유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실시예 1 ∼ 실시예 6 에서 얻어진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는, 비교예 6, 7 에서 얻어진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보다 유연성이 양호하였다.
또, 실시예 4 에서 얻어진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의 결과로부터, 2 종류의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고, 평균 탄소수가 14 인 장사슬 알킬기를 유기 관능기로서 사용한 경우에도, 시트의 유연성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6 에서 얻어진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는, 에이징 시험 전에 있어서 시트의 유연성이 양호하고, 에이징 시험 후에 있어서도 시트의 경도 증가가 억제되어, 유연성이 양호하였다.
비교예 1 ∼ 5 에서 얻어진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는, 실란 커플링제가, 탄소수가 10 ∼ 18 인 장사슬 알킬기를 유기 관능기로서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시트의 유연성이 양호하지 않았다. 또, 비교예 6 및 비교예 7 에서 얻어진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는,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시키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시트의 유연성이 양호하지 않았다.
Figure pct00002
비교예 8 ∼ 비교예 12 의 샘플에 대해 에이징 전후의 시트 경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커플링제가 0.1 wt% 로 적을 때에는 경도가 커플링제 없음인 것과 거의 동일하고, 커플링제의 첨가에 의한 경화 개선이 확인되지 않았다. 커플링제의 양을 늘린 경우에는, 경도가 낮아지지만, 고온 유지 시험 후에 단단해지고 있다. 이들 샘플에 사용한 구상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의 비표면적과, 커플링제의 분자량으로부터 계산한,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의 표면에 그 단분자층을 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커플링제의 최저량은 0.035 wt% 이므로, 이론 최저 첨가량에 비해 1 자리수 큰 양의 커플링제를 첨가하지 않으면 유연성을 개선할 수 없고, 또, 그 경우, 커플링제가 과잉으로 함유되기 때문에 미반응 부분이 시간 경과에 대해 서서히 반응해감으로써, 고온 에이징 후에 시트의 경도가 증가되었다.
비교예 8 ∼ 11 에서는, 구상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에 대해 탄소수가 10 ∼ 18 인 장사슬 알킬기를 유기 관능기로서 갖는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시트의 유연성 개선과, 장기 보존에서의 유연성 유지를 양립할 수 없고, 커플링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2 와 비교하여 특성의 개선이 확인되지 않는다.
Figure pct00003
비교예 13 ∼ 비교예 17 에서 얻어진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는, 단분자층 형성 필요량의 0.5 ∼ 5 배 중량의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는 것인데, 자성 금속 분말을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시트의 유연성이 양호하지 않았다.
Figure pct00004
실시예 7 ∼ 실시예 12 에서 얻어진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에 있어서, 자성 금속 분말인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 또는 Fe-Si 합금 분말은, 체적률이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50 ∼ 80 vol% 를 만족하고 있다. 또, 실란 커플링제는, 탄소수 또는 평균 탄소수가 10 ∼ 18 인 장사슬 알킬기를 유기 관능기로서 갖는다. 또한, 실란 커플링제는, 자성 금속 분말의 표면에 실란 커플링제의 단분자층을 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양의 0.5 ∼ 5 배의 중량이 함유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실시예 7 ∼ 실시예 12 에서 얻어진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는, 비교예 20 또는 비교예 22 에서 얻어진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보다 유연성이 양호하였다.
비교예 19, 비교예 21 에서 얻어진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는, 탄소수가 10 ∼ 18 인 장사슬 알킬기를 유기 관능기로서 갖는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비교예 20 또는 비교예 22 에서 얻어진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와 비교하여, 경도의 개선이 확인되지 않았다.
Figure pct00005
비교예 24 ∼ 비교예 27 에서 얻어진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는, 단분자층 형성 필요량의 0.5 ∼ 5 배 중량의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는 것인데, 자성 금속 분말을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시트의 유연성이 양호하지 않았다.

Claims (12)

  1. 실리콘 고무와, 커플링제와, 상기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자성 금속 분말을 함유하고,
    상기 자성 금속 분말의 체적률이 50 ∼ 80 vol% 이고,
    상기 커플링제는, 탄소수가 10 ∼ 18 인 장사슬 알킬기를 유기 관능기로서 갖고, 또한, 상기 자성 금속 분말의 표면에 상기 커플링제의 단분자층을 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양의 0.5 ∼ 5 배의 중량이 함유되어 있는,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금속 분말은,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인,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제는, 복수의 커플링제를 혼합한 것이고, 유기 관능기의 평균 탄소수가 10 ∼ 18 인,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제는, 메톡시기 또는 에톡시기를 가수분해기로서 갖는,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제는, 디메톡시기 또는 디에톡시기를 가수분해기로서 갖는,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금속 분말은, 결정질의 금속 분말인,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전도성 충전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
  8. 실리콘 고무와, 커플링제와, 상기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을 함유하고,
    상기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의 체적률이 50 ∼ 80 vol% 이고,
    상기 커플링제는, 메타크릴옥시기를 유기 관능기로서 갖고, 또한, 상기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의 표면에 상기 커플링제의 단분자층을 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양의 0.5 ∼ 5 배의 중량이 함유되어 있는,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제는, 메톡시기 또는 에톡시기를 가수분해기로서 갖는,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열전도성 충전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
  11. 실리콘 고무와, 탄소수가 10 ∼ 18 인 장사슬 알킬기를 유기 관능기로서 갖는 커플링제와, 자성 금속 분말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교반 공정과,
    상기 교반 공정에서 교반된 혼합물을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여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을 갖고,
    상기 교반 공정에서는, 상기 자성 금속 분말의 체적률이 50 ∼ 80 vol% 가 되도록 상기 자성 금속 분말을 함유시킴과 함께, 상기 자성 금속 분말의 표면에 상기 커플링제의 단분자층을 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양의 0.5 ∼ 5 배 중량의 상기 커플링제를 함유시키는,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의 제조 방법.
  12. 실리콘 고무와, 메타크릴옥시기를 유기 관능기로서 갖는 커플링제와,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을 혼합하고, 혼합한 혼합물을 교반하는 교반 공정과,
    상기 교반 공정에서 교반된 혼합물을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여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을 갖고,
    상기 교반 공정에서는, 상기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의 체적률이 50 ∼ 80 vol% 가 되도록 상기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을 함유시킴과 함께, 상기 아모르퍼스 금속 분말의 표면에 상기 커플링제의 단분자층을 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양의 0.5 ∼ 5 배 중량의 상기 커플링제를 함유시키는,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137007004A 2010-08-23 2011-08-23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 및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의 제조 방법 KR101827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85890 2010-08-23
JP2010185890A JP2012044084A (ja) 2010-08-23 2010-08-23 電磁波吸収性熱伝導シート及び電磁波吸収性熱伝導シートの製造方法
PCT/JP2011/068976 WO2012026466A1 (ja) 2010-08-23 2011-08-23 電磁波吸収性熱伝導シート及び電磁波吸収性熱伝導シートの製造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115A Division KR101914424B1 (ko) 2010-08-23 2011-08-23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 및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066A true KR20130099066A (ko) 2013-09-05
KR101827591B1 KR101827591B1 (ko) 2018-03-22

Family

ID=457234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115A KR101914424B1 (ko) 2010-08-23 2011-08-23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 및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137007004A KR101827591B1 (ko) 2010-08-23 2011-08-23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 및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115A KR101914424B1 (ko) 2010-08-23 2011-08-23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 및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2044084A (ko)
KR (2) KR101914424B1 (ko)
CN (1) CN103053230B (ko)
TW (1) TW201223431A (ko)
WO (1) WO20120264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8313A (ja) * 2011-12-05 2013-06-13 Dexerials Corp 電磁波吸収性熱伝導シート及び電磁波吸収性熱伝導シートの製造方法
CN104494241B (zh) * 2014-12-08 2016-09-21 国家电网公司 一种电磁屏蔽复合橡胶材料及其制备方法
US11229147B2 (en) 2015-02-06 2022-01-18 Laird Technologies, Inc. Thermally-conductiv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absorbers with silicon carbide
JP6872313B2 (ja) * 2015-10-13 2021-05-1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複合シート
JP6113351B1 (ja) * 2016-03-25 2017-04-12 富士高分子工業株式会社 磁気粘弾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組み込んだ振動吸収装置
JP6366627B2 (ja) * 2016-03-25 2018-08-01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電磁波吸収熱伝導シート、電磁波吸収熱伝導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US11411263B2 (en) 2019-03-06 2022-08-09 Laird Technologies, Inc. Thermal management and/or EMI mitigation materials including coated fillers
US11373921B2 (en) * 2019-04-23 2022-06-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Gel-type thermal interface material with low pre-curing viscosity and elastic properties post-curing
CN111961439A (zh) * 2020-08-17 2020-11-20 苏州超弦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性能吸波粉体表面处理工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1796B2 (ja) * 1999-10-18 2005-04-27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電磁干渉抑制体
JP4790892B2 (ja) * 2000-04-27 2011-10-12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電波吸収体
JP3719382B2 (ja) * 2000-10-25 2005-11-2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電磁波吸収性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
JP2002363411A (ja) * 2001-06-08 2002-12-18 Ge Toshiba Silicones Co Ltd 金属粉含有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
JP4365067B2 (ja) * 2002-05-14 2009-11-18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複合軟磁性体形成用硬化性シリコーン組成物および複合軟磁性体
CN1292632C (zh) * 2002-08-19 2006-12-27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电磁波吸收剂
JP2005310952A (ja) * 2004-04-20 2005-11-04 Nec Tokin Corp 電磁干渉抑制体
WO2008087688A1 (ja) * 2007-01-18 2008-07-24 Toda Kogyo Corporation 導電・磁性フィラー、それを含む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電磁波干渉抑制用シート及び用途及び電磁波干渉抑制シート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53230A (zh) 2013-04-17
KR101827591B1 (ko) 2018-03-22
KR20180014876A (ko) 2018-02-09
TWI561155B (ko) 2016-12-01
CN103053230B (zh) 2016-07-06
WO2012026466A1 (ja) 2012-03-01
KR101914424B1 (ko) 2018-11-01
TW201223431A (en) 2012-06-01
JP2012044084A (ja) 201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9066A (ko)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 및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 시트의 제조 방법
TWI553673B (zh) Electromagnetic wave absorptive heat conducting sheet and electromagnetic wave absorptive heat conducting sheet
EP3460813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vehicle
KR100570248B1 (ko) 전자파 흡수성 실리콘 고무 조성물
EP1146085B1 (en) Electromagnetic wave absorbing, heat conductive silicone rubber compositions
CN109155184B (zh) 线圈部件
EP2483338B1 (en) Adhesiv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use and preparation
TW200539795A (en) Electromagnetic waves absorber
JP2002374092A (ja) 放熱性電波吸収体
ES2592383T3 (es) Composición ferromagnética en polvo y método para su producción
JP2012522884A (ja) コアシェルタイプのフィラー粒子を含む複合シート用組成物、これを含む複合シート、および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CN109207123A (zh) 一种双壳层结构羰基铁粉复合吸波材料及制备方法
JP6536535B2 (ja) 複合磁性封止材料
CN105828982A (zh) 软磁复合粉末和组件
CN101800104A (zh) 电磁波抑制和散热用合成物及其制造方法
TW202102606A (zh) 多成分型固化性有機聚矽氧烷組成物、導熱性構件及散熱結構體
JP2005286190A (ja) 電磁波吸収体
JP4803353B2 (ja) 軟磁性材料及びその製造法、該軟磁性材料を含む圧粉磁心
JP7348847B2 (ja) 半導体封止用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CN116200120A (zh) 一种复合型吸波胶料及其制备方法
JP4311655B2 (ja) 広帯域周波数特性の電磁波吸収体
TW202335000A (zh) 電磁干擾抑制材料
TWI774393B (zh) 樹脂組合物及電子零件
JP5343012B2 (ja) シリコーンゴム表面への金属固定方法
KR20150049976A (ko) 착빙설 방지 코팅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