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500A -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500A
KR20130097500A KR1020120019208A KR20120019208A KR20130097500A KR 20130097500 A KR20130097500 A KR 20130097500A KR 1020120019208 A KR1020120019208 A KR 1020120019208A KR 20120019208 A KR20120019208 A KR 20120019208A KR 20130097500 A KR20130097500 A KR 20130097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ooking
frame
unit
cook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1154B1 (ko
Inventor
김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Priority to KR1020120019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154B1/ko
Publication of KR20130097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볶음요리를 할 때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하고, 음식물에서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물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기발생을 위하여 조리장치의 폐열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과열증기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의 가열을 위한 버너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버너에 의해 가열되도록 프레임에 설치되는 조리부와, 프레임과 조리부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로 물이 공급되며 버너의 열기를 통해 가열되어 내부의 물이 가열되어 증기를 발생하는 증기 발생부; 및 증기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조리부의 내부로 공급하는 증기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과열증기 조리장치{SUPERHEATED STEAM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과열증기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볶음요리를 할 때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하고, 음식물에서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물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기발생을 위하여 조리장치의 폐열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과열증기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방법은 가스오븐 등의 열기를 이용하여 굽거나, 찜통의 수증기를 이용하여 찌거나, 물과 함께 조리용기 내에 넣고 삶는 방법이 있다. 또 전자렌지나 원적외선을 이용하는 방법과 과열증기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학교 급식이 일반화되고, 도시락의 인기가 점점 높아지면서 포장음식 및 인스턴트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대용량 조리기의 사용이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대용량 조리기로는 찜요리나 밥을 지을 때 사용하는 찜기, 국이나 볶음요리를 할 때 사용하는 볶음기 등이 있다.
한편, 과열증기를 이용하는 조리는 조리용기 내부로 과열증기를 공급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과열증기를 이용한 조리는 음식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어 국부적으로 음식물이 타지 않고, 과열증기의 온도 및 공급량 조절을 통해 조리온도를 손쉽게 조 절할 수 있으며, 산화현상이 방지되어 음식물의 맛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증기를 이용한 조리장치로는 국내등록특허 제10-0727017호의 "증기가열식 조리장치"와 국내등록특허 제10-1019413호의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증기를 이용한 조리장치는 완전하게 밀폐되어 있는 조리공간으로 증기를 공급하여 조리를 수행하므로, 찜요리는 가능하나 조리장치를 직화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볶음요리 기능을 전혀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볶음요리를 할 때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하고, 음식물에서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물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과열증기 조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열을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킴으로써, 에너지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과열증기 조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식물의 가열을 위한 버너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버너에 의해 가열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조리부; 상기 프레임과 상기 조리부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로 물이 공급되며, 상기 버너의 열기를 통해 가열되어 내부의 물이 가열되어 증기를 발생하는 증기 발생부; 및 상기 증기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상기 조리부의 내부로 공급하는 증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과열증기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에 설치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리부 및 상기 증기 발생부를 수용하는 과열증기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절곡되어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는 관 부재를 구비하는 발생부를 포함하는 과열증기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증기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증기와 상기 버너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프레임 내부 공기를 상기 조리부의 내부로 함께 공급하는 증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과열증기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증기 발생부에서 배출하는 증기를 공기 흡입을 통해 흡입하여 상기 조리부의 내부에서 배출하는 증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과열증기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며,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관 부재; 및 상기 관 부재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 펌프로 이루어진 증기 발생부를 포함하는 과열증기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증기 발생부의 증기 배출부위와 연통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증기유입 덕트부재; 상기 덕트부재와 연결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부재를 통해 증기 및 상기 프레임의 가열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공기 송풍 부재; 및 상기 공기 송풍 부재에 의해 흡입되는 증기 및 공기가 상기 조리부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일단이 상기 공기 흡입 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조리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증기 공급관 부재로 이루어진 증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과열증기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볶음요리를 할 때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하고, 음식물에서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물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열을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킴으로써, 에너지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과열증기 조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기 발생부 및 증기 공급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과열증기 조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과열증기 조리장치(100)는 볶음요리시 조리하는 음식물의 수분이 충분하게 보존되어 음식물의 맛을 향상됨은 물론 음식물이 타거나 눌어붙는 것을 방지하도록 프레임(110), 조리부(120), 증기 발생부(130) 및 증기 공급부(140)를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조리부(120), 증기 발생부(130) 및 증기 공급부(140)가 설치되며, 조리부(120)로 음식물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고 음식물 조리 중 조리부(120)에서 음식물이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조리부(1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110)은 지면에 양립하는 하부지지 부재(111), 이 하부지지 부재(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 부재(113), 조리부(12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롤러부재(115) 및 상부 하우징 부재(113)를 회전시키는 각도 조절부(117)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레임(110)은 상부 하우징 부재(113)의 내부에 조리부(1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 하우징 부재(113)와 조리부(120)가 함께 회전한다. 즉, 상부 하우징 부재(113)의 회전을 통해 조리부(120)가 회전하게 된다.
상부 하우징 부재(113)는 내부에 설치공간부(110b)가 형성되고, 이 설치공간부(110b)에 조리부(12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상부 하우징 부재(113)는 설치공간부(110b)의 내부 바닥에 조리부(120)를 가열하기 위한 버너(110a)가 구비된다.
더하여, 상부 하우징 부재(113)는 하부지지 부재(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양측면에 고정축 부재(113a)가 각각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고정축 부재(113a)가 각도 조절부(117)와 연결된다.
이러한, 상부 하우징 부재(113)는 작업자가 조리부(120)에 접촉하여 발생하는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조리부(120)를 가열하는 버너(110a)의 폐열을 통해 설치공간부(110b)가 가열되어 증기 발생부(130)를 가열하게 된다. 즉, 설치공간부(110b)에 설치되는 증기 발생부(130)가 버너(110a)의 폐열에 의해 가열되어 증기를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상부 하우징 부재(113)의 설치공간부(110b)에 버너(110a)이 폐열이 축열되므로, 조리부(120)를 보다 빠르게 가열함은 물론 조리부(120)를 단열시켜 조리부(120)의 열 효율을 향상된다.
롤러부재(115)는 상부 하우징 부재(113)의 전면 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조리부(120)의 회전을 지지하며, 베어링을 통해 상부 하우징 부재(1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각도 조절부(117)는 상부 하우징 부재(113)와 연결되도록 하부지지 부재(111)에 설치되어 상부 하우징 부재(113)를 하부지지 부재(111)에서 회전시킨다.
이를 위하여, 각도 조절부(117)는 고정축 부재(113a)와 연결되도록 하부지지 부재(111)에 결합되는 기어박스(117a), 이 기어박스(117a)와 연결되어 상부 하우징 부재(113)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1 구동모터(117b)를 포함한다.
기어박스(117a)는 제1 구동모터(117b)의 회전을 감속하고, 제1 구동모터(117b)의 운동방향을 전환하여 고정축 부재(113a)로 전달한다.
이러한, 각도 조절부(117)는 조리부(120)로 음식물을 투입할 때에는 상부 하우징 부재(113)를 하측으로 회전시키고, 음식물을 조리할 때에는 상부 하우징 부재(113)를 상측으로 회전시킨다. 이로 인하여, 조리를 위한 음식물의 투입 및 조리 중 음식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조리부(130)는 내부로 조리를 위한 음식물이 투입되고, 버너(110a)에 의해 가열되도록 상부 하우징 부재(113)에 설치된다. 이때, 조리부(130)는 조리 효과를 향상시키고, 음식물이 눌어붙거나 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 하우징 부재(11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조리부(130)는 설치공간부(110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리드럼(121), 이 조리드럼(12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부 하우징 부재(113)에 설치되는 드럼 회전부(123)를 포함한다.
조리드럼(121)은 전면에 음식물 투입구가 형성되며, 일단부가 드럼 회전부(123)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롤러부재(115)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조리드럼(121)은 후면 중앙부에 드럼 회전부(123)가 결합되고, 전방부 외면에 지지리브(121)가 접합되어 롤러부재(115)와 접촉한다. 이로 인하여, 조리드럼(121)은 상부 하우징 부재(113)에서 안정되게 회전한다.
드럼 회전부(123)는 조리드럼(121)에 접합되는 회전축(123a), 상부 하우징 부재(113)에 결합되는 제2 구동모터(123b) 및 제2 구동모터(123b)의 구동력을 회전축(123a)으로 전달하기 위한 벨트부재(123c)를 포함한다.
회전축(123a)은 볼트를 통해 일단이 조리드럼(121)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베어링을 통해 상부 하우징 부재(1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벨트부재(123c)는 회전축(123a)과 제2 구동모터(123b)를 연결하도록 회전축(123a) 및 모터축에 각각 결합되는 벨트풀리, 벨트풀리에 체결되는 벨트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는 회전축(123a)과 제2 구동모터(123b)를 연결하기 위하여 벨트부재(123c)를 사용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회전축(123a)과 제2 구동모터(123b)를 체인방식 또는 타이밍 벨트방식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증기 발생부(130)는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며, 버너(110a)의 폐열에 의해 가열되는 설치공간부(110b)의 열기로 내부의 물이 가열되어 증기를 발생한다.
이를 위하여, 증기 발생부(130)는 일단이 상부 하우징 부재(113)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이 설치공간부(110b)에 위치하는 관 부재(131), 이 관 부재(131)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 펌프(133)를 포함한다.
관 부재(131)는 물 공급 펌프(133)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내부를 이동하는 동한 가열되어 증기로 기화되도록 여러 번 절곡되어 설치공간부(110b) 내부를 경유한다. 이러한, 관 부재(131)는 내부에서 기화하는 증기가 물 공급 펌프(133)의 압력으로 인하여 설치공간부(110b)로 배출된다. 이로 인하여, 설치공간부(110b)가 과열증기로 채워져 설치공간부(110b)의 습도가 매우 높게 유지된다.
물 공급 펌프(133)는 관 부재(131)의 일단과 연결되어 관 부재(131)로 물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증기 발생부(130)에서 발생하는 증기는 증기 공급부(140)에 의해 조리드럼(121)의 내부로 공급되어 음식물의 수분을 유지시키고, 음식물이 눌어붙거나 타는 것이 방지된다.
증기 공급부(140)는 증기 발생부(130)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응축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조리드럼(121)의 내부로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증기 공급부(140)는 관 부재(131)에서 배출되는 증기를 설치공간부(110b)의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조리드럼(121)의 내부에서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증기 공급부(140)는 관 부재(131)의 타단에 위치하도록 상부 하우징 부재(121)에 설치되는 증기유입 덕트부재(141), 이 덕트부재(141)를 통해 증기와 설치공간부(110b)의 가열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공기 송풍 부재(143), 및 공기 송풍 부재(143)에서 송풍되는 공기를 조리드럼(121)의 내부로 유도하는 증기 공급관 부재(145)를 포함한다.
덕트부재(141)는 상부 하우징 부재(113)의 상면에 결합되며, 관 부재(131)의 증기 배출구인 타단과 연통하도록 설치공간부(110b)와 연통된다. 이로 인하여, 공기 송풍 부재(143)의 공기 흡입에 따라 증기가 가열공기가 함께 유입되므로, 증기가 증기 공급부(140)에 의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응축되는 것이 방지된다.
공기 송풍 부재(143)는 덕트부재(141)와 연결되도록 상부 하우징 부재(113)의 상면에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송풍 부재(143)로는 송풍팬을 사용할 수 있다.
증기 공급관 부재(145)는 공기 송풍 부재(143)를 통해 송풍되는 증기 및 가열공기가 조리드럼(121)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일단이 공기 흡입 부재(143)와 연결되고 타단이 조리드럼(121)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과열증기 조리장치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요리할 음식물을 조리드럼(121)에 투입하고 버너(110a)를 점화시켜 조리드럼(121)을 가열한다. 그러면, 조리드럼(121)이 가열됨과 동시에 버너(110a)의 폐열로 인하여 설치공간부(110b)의 내부도 함께 가열된다. 이로 인하여, 조리드럼(121)이 버너(110a)와 폐열에 의해 동시에 가열되므로, 조리드럼(121)이 보다 빠르게 가열됨은 물론 설치공간부(110b)의 단열로 인하여 조리장치(100)의 열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그리고 설치공간부(110b)가 충분히 가열되면 물 공급 펌프(133)를 통해 관 부재(131)로 물을 공급한다. 그러면, 관 부재(131)에서 이동하는 물이 설치공간부(110b)의 열기에 의해 기화되어 증기로 배출된다.
그리고 관 부재(131)에서 배출하는 증기는 공기 송풍 부재(143)의 송풍을 통해 설치공긴부(110b)의 열기와 함께 조리드럼(121)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로 인하여,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조리드럼(121)에 눌어붙거나 타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음식물의 수분 증발이 최소화 되어 요리의 맛이 더욱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증기를 조리드럼(121)으로 공급할 때 가열공기와 함께 이송하므로, 증기가 응축하는 것이 방지되어 증기의 공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더하여, 조리드럼(121)이 회전하므로, 음식물이 조리드럼(121)에 눌어붙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과열증기 조리장치 110 : 프레임
111 : 하부지지 부재 113 : 상부 하우징 부재
115 : 롤러부재 117 : 각도 조절부
120 : 조리부 121 : 조리드럼
123 : 드럼 회전부 130 : 증기 발생부
131 : 관 부재 133 : 물 공급 펌프
140 : 증기 공급부 141 : 덕트부재
143 : 공기 송풍 부재 145 : 증기 공급관 부재

Claims (7)

  1. 음식물의 가열을 위한 버너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버너에 의해 가열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조리부;
    상기 프레임과 상기 조리부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로 물이 공급되며, 상기 버너의 열기를 통해 가열되어 내부의 물이 가열되어 증기를 발생하는 증기 발생부; 및
    상기 증기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상기 조리부의 내부로 공급하는 증기 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 조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조리부 및 상기 증기 발생부를 수용하도록 설치공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 조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발생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절곡되어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는 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 조리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공급부는 상기 증기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증기와 상기 버너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프레임 내부 공기를 상기 조리부의 내부로 함께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 조리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공급부는 상기 증기 발생부에서 배출하는 증기를 공기 흡입을 통해 흡입하여 상기 조리부의 내부에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 조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발생부는,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며,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관 부재; 및
    상기 관 부재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 펌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 조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공급부는,
    상기 증기 발생부의 증기 배출부위와 연통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증기유입 덕트부재;
    상기 덕트부재와 연결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부재를 통해 증기 및 상기 프레임의 가열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공기 송풍 부재; 및
    상기 공기 송풍 부재에 의해 흡입되는 증기 및 공기가 상기 조리부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일단이 상기 공기 흡입 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조리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증기 공급관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증기 조리장치.
KR1020120019208A 2012-02-24 2012-02-24 조리장치 KR101361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208A KR101361154B1 (ko) 2012-02-24 2012-02-24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208A KR101361154B1 (ko) 2012-02-24 2012-02-24 조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500A true KR20130097500A (ko) 2013-09-03
KR101361154B1 KR101361154B1 (ko) 2014-02-13

Family

ID=49449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208A KR101361154B1 (ko) 2012-02-24 2012-02-24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1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919B1 (ko) * 2018-03-28 2018-08-06 (주)케이투시스템이엔지 회전식 구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865B1 (ko) * 2017-12-04 2018-07-20 최은성 자동으로 회전하며 요리되는 통돌이 오븐 방식의 가스오븐 조리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1301B2 (ja) * 1993-03-05 1995-07-05 株式会社サン食材 高温乾燥蒸気調理器
JP2000135061A (ja) * 1998-10-30 2000-05-16 Ajinomoto Co Inc 食品の炒め方法及び装置
KR100622781B1 (ko) * 2004-04-27 2006-09-14 김홍배 스팀을 이용한 음식물 제조기구
JP4427090B1 (ja) 2009-07-16 2010-03-03 友田セーリング株式会社 過熱蒸気を用いた加熱調理機および加熱調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919B1 (ko) * 2018-03-28 2018-08-06 (주)케이투시스템이엔지 회전식 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1154B1 (ko)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91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food
CN107550250B (zh) 蒸烤一体式装置
JP5050676B2 (ja) 加熱調理器
CN107595153B (zh) 一种可提高加热效率的加热锅
US6516709B1 (en) Apparatus for steaming food
JP4334201B2 (ja) 加熱調理器
JP4512524B2 (ja) 加熱調理器
KR101361154B1 (ko) 조리장치
JP2007143550A (ja) 焙煎装置および焙煎方法、並びに消煙装置および消煙方法
JPH0731539A (ja) 煮炊釜の加熱装置
KR100710218B1 (ko) 스팀 오븐
KR101541178B1 (ko) 스팀기능이 구비된 구이기
JP2010266106A (ja) 加熱調理器
KR101548084B1 (ko) 오븐
JP5732427B2 (ja) 加熱調理器
JP2011080666A (ja) 蒸気調理器
KR100735697B1 (ko)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JP2005077019A (ja) 加熱調理器
JP5595174B2 (ja) 加熱調理器
KR100634789B1 (ko) 가열조리장치
JP3757951B2 (ja) 炊飯器
JP2006226537A (ja) 加熱調理器
CN214414687U (zh) 改进的空气炸锅
CN219270714U (zh) 蒸汽空气炸锅
JP2007010163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