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6179A - 콤바인 및 레버 조작부의 시일 구조 - Google Patents

콤바인 및 레버 조작부의 시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6179A
KR20130096179A KR1020130012908A KR20130012908A KR20130096179A KR 20130096179 A KR20130096179 A KR 20130096179A KR 1020130012908 A KR1020130012908 A KR 1020130012908A KR 20130012908 A KR20130012908 A KR 20130012908A KR 20130096179 A KR20130096179 A KR 20130096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ombine
shaft
clutch
feed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389B1 (ko
Inventor
요우헤이 시모다
미츠루 다케나카
도모야 마츠바야시
신 히라타
요시히로 스즈키
마사루 구와지마
요시히로 다카야마
마사유키 다카기
? 이와모토
데츠하루 나가타
다케시 가와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35142A external-priority patent/JP574967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35141A external-priority patent/JP574967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06006A external-priority patent/JP590141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04663A external-priority patent/JP582280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30096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02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driven by power take-o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8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예취부의 상승에 연동해서 예취 클러치를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연동 조작계를 적은 부품 개수로 구성한다.
또한, 밀폐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레버 조작부의 시일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피드 체인이 느슨해졌을 경우의 구동 스프로킷에 대한 피드 체인의 휘감김 상태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작업자 혹은 운전자에게 있어서, 피드 체인의 회전 속도를 작업 상태에 적합한 회전 속도로 용이하게 감속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작 와이어(W)의 이너 와이어(97)의 한쪽 단부를 기체 프레임(AF)에 연결 고정하고, 다른 쪽의 단부를 예취 클러치(G)의 제1 단속 아암(94A)에 연결한다. 또한, 조작 와이어(W)의 아우터 와이어(98)의 한쪽 단부를 예취 클러치 레버(33)에 연계하고, 다른 쪽의 단부를 제1 중간 아암(105A)에 지지한다. 예취 클러치 레버(33)를 오프 위치 "오프"에서 온 위치 "온"으로 조작했을 경우에 이너 와이어(97)를 긴장시키는 방향으로 아우터 와이어(98)를 변위시키고, 예취부를 상승시켰을 경우에는, 이너 와이어(97)를 이완시키는 방향으로 아우터 와이어(98)의 단부를 변위시키는 구성을 구비했다.
또한, 조작 패널에 형성된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1060)을 따라 복수의 조작 위치에 걸쳐 이동 조작 가능하게 조작 레버(1017)가 구비되고, 조작 레버(1017)의 이동 조작을 허용하는 상태에서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1060)을 폐쇄하는 시일 부재(1065)가 구비되고, 시일 부재(1065)가, 조작 레버(1017)의 이동 조작을 허용하는 슬릿(1066)이 형성된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의 시일 단위체(1065A, 1065B)를,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일 단위체에서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개소에 트인 구멍(1067)을 형성하는 상태로 구비해서 구성되며, 또한, 트인 구멍(1067)이 위치하는 개소에 그 트인 구멍(1067)이 형성된 시일 단위체와는 다른 시일 단위체의 슬릿(1066)이 위치하는 상태로 복수의 시일 단위체(1065A, 1065B)를 겹쳐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곡물대를 반송하는 피드 체인(2004)과, 피드 체인(2004)이 감겨진 구동 스프로킷(2045)을 구비하고, 구동 스프로킷(2045)은, 피드 체인(2004)의 하측 반송 경로에 대하여, 피드 체인(2004)의 하측으로부터 피드 체인(2004)의 외주부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곡물대를 반송하는 피드 체인(2004)과, 피드 체인(2004)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유닛(2039)을 구비하고, 구동 유닛(2039)은,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축(2040)과,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축(2044)과, 출력축(2044)에 설치되고, 피드 체인(2004)이 감겨진 구동 스프로킷(2045)과, 입력축(2040)과 출력축(2044)의 사이에서 동력을 변속하는 변속 기구와, 입력축(2040) 및 출력축(204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변속 기구를 수용하는 구동 케이스(208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콤바인 및 레버 조작부의 시일 구조{COMBINE AND SEAL STRUCTURE OF LEVER CONTROLLER}
본 발명은, 예취부에 전달되는 동력의 단속을 행하는 예취 클러치와, 이 예취 클러치를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예취 클러치 레버와, 상기 예취부의 상승에 연동해서, 온 상태에 있는 상기 예취 클러치의 오프 조작을 행하는 연동 조작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 패널에 형성된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을 따라 복수의 조작 위치에 걸쳐 이동 조작 가능하게 조작 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 레버의 이동 조작을 허용하는 상태로 상기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을 폐쇄하는 시일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레버 조작부의 시일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물대를 반송하는 피드 체인을 구비하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콤바인으로서 특허 문헌 1에는, 예취 클러치 레버(문헌에서는 수동 조작 레버)에 의해 예취 클러치를 조작하는 제1 릴리스 와이어를 구비하고, 이 제1 릴리스 와이어의 아우터부의 예취 클러치측의 단부를 지지하는 중계 요동 아암을 구비하고, 이 중계 요동 아암에 클러치 온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작용시키는 가압 기구를 구비하고, 예취부의 상승 작동시에 요동하는 구동 아암과, 이 구동 아암의 요동력을 중계 요동 아암에 전달하는 제2 릴리스 와이어를 구비한 오토 클러치가 나타나 있다.
이 특허 문헌 1에서는, 예취부의 지지 프레임에 캠 기구를 구비하고, 이 캠 기구의 캠면(원호면)에 접촉하는 롤러부를 구동 아암의 선단에 구비하고 있어, 예취부의 상승시에 캠 기구의 캠면으로부터 롤러부에 작용하는 힘으로 구동 아암을 요동시키고, 이 요동력을 제2 릴리스 와이어로부터 중계 요동 아암에 전달해서 요동을 행하게 하여, 이 요동에 의해 예취 클러치의 오프 작동을 실현하도록 연동 조작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레버 조작부의 시일 구조의 종래 예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 것이 있었다. 즉, 탄성 변형 가능한 좌우 한 쌍의 발포체를 밀접시킨 상태로 배열해서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을 막는 상태로 구비하고, 좌우의 발포체의 맞춤면의 사이를 따라 조작 레버의 외주면이 밀착하면서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을 따라 이동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발포체의 좌우 양측의 외측면에 접촉 작용해서 발포체의 좌우 양측 외측으로의 확대 개방 변형을 규제하는 규제 구가 설치된 것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예를 들어,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카운터 케이스의 피드 체인 축에 구동 스프로킷이 고정 설치되고, 이 구동 스프로킷에 탈곡부의 피드 체인이 휘감긴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카운터 케이스의 피드 체인 축에 구동 스프로킷이 고정 설치되고, 이 구동 스프로킷에 탈곡부의 피드 체인이 감겨진다. 이렇게 해서, 엔진의 동력이 카운터 케이스를 경유하여 피드 체인에 전달 가능하게 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 10-56855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 2006-224840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1-41505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는 오토 클러치는, 캠 기구와 구동 아암과 와이어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증대하기 쉽고, 또한, 캠 기구와 구동 아암의 롤러부의 위치 관계를 설정하여, 구동 아암의 요동량에 대한 와이어의 조작량의 관계를 설정하는 등, 중계 요동 아암을 요동시키기 위해서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것이었다.
이렇게 부품 개수가 많은 것에서는 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조립에 수고와 시간이 걸리게 된다. 또한, 복수의 부품의 조립에 정밀도가 요구되는 것에서는 조립 후에 조정하는 수고를 필요로 하는 등, 생산성이 좋지 않아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예취부의 상승에 연동해서 예취 클러치를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연동 조작계를 적은 부품 개수로 합리적으로 구성하는 점에 있다.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조작 레버의 이동 조작이 반복해서 행해져도, 발포체의 탄력이 저하하여 조작 레버와 발포체의 사이에서의 간극이 커지는 것은 회피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아직 다음과 같은 불리한 점이 있다.
즉, 상기 구성에서는, 좌우의 발포체의 맞춤면끼리의 사이를 조작 레버가 이동하는 것이며, 좌우 양측의 발포체의 맞춤면은, 예를 들어,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017)의 존재 위치에서는, 조작 레버(1017)의 외주면에 의해 밀려 넓혀지는 상태로 되어, 레버 이동 방향의 전후 양측에서 대략 삼각 형상의 간극(S100)이 형성되게 된다.
조작 레버를 이동시키고 있는 이동 조작 도중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간극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어도 그다지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지만,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조작 레버가 이동 조작 범위에서의 어느 위치에 있어도, 상술한 바와 같은 간극이 항상 형성되게 되므로, 조작 레버를 복수의 조작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조작 위치로 조작시켜서 그 위치에서 유지되어 있을 경우에는, 간극이 형성되는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게 되어, 양호한 시일 성능을 발휘할 수 없다는 불리한 점이 있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운전부에 캐빈을 구비하는 것에서는, 캐빈의 외부에 존재하는 진애가 간극을 통해 캐빈 내부에 침입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조작 패널의 하방측 개소에 원동부 등과 같이 큰 소음을 발생하는 것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간극을 통해 운전부에 큰 소음이 전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레버 조작부의 시일 구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구동 스프로킷이 피드 체인의 하측 반송 경로에 대하여, 피드 체인의 상측으로부터 내주부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피드 체인이 느슨해졌을 경우, 피드 체인이 구동 스프로킷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구동 스프로킷에 대한 피드 체인의 감긴 상태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상황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피드 체인이 느슨해졌을 경우의 구동 스프로킷에 대한 피드 체인의 감긴 상태가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예취부에 의해 예취된 곡물대 등을 피드 체인에 공급해서 탈곡 처리하는 작업을 행할 경우, 작업자 혹은 운전자는, 피드 체인의 회전 속도를 작업 상태에 적합한 회전 속도로 감속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엔진의 동력이 카운터 케이스를 경유하여, 피드 체인 이외에, 예취부, 선별부 및 배출 볏짚 처리부 등에도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피드 체인의 회전 속도만을 변속할 수 없다. 따라서, 작업자 혹은 운전자에게 있어서는, 피드 체인의 회전 속도를 작업 상태에 적합한 회전 속도로 감속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상황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작업자 혹은 운전자에게 있어서, 피드 체인의 회전 속도를 작업 상태에 적합한 회전 속도로 용이하게 감속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예취부에 전달되는 동력의 단속을 행하는 예취 클러치와, 이 예취 클러치를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예취 클러치 레버와, 상기 예취부의 상승에 연동하여, 온 상태에 있는 상기 예취 클러치의 오프 조작을 행하는 연동 조작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의 조작력을 상기 예취 클러치에 전달하는 조작 와이어가, 이너 와이어와, 아우터 와이어를 구비해서 구성되고, 상기 이너 와이어의 일단부를 기체 프레임에 연결 고정하고, 이 이너 와이어의 타단부를 상기 예취 클러치의 단속 조작 부재에 연결하고, 상기 아우터 와이어의 일단부를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에 대하여 연계 기구에 의해 연계하고, 이 아우터 와이어의 타단부를 상기 연동 조작 기구에 연계하는 동시에, 상기 연계 기구가,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가 온 위치로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이너 와이어를 긴장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아우터 와이어의 일단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연동 조작 기구가, 상기 예취부가 상승했을 때에 상기 이너 와이어를 이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아우터 와이어의 타단부를 이동시키는 점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예취부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예취 클러치 레버를 온 위치로 조작했을 경우에는, 연계 기구가 아우터 와이어의 일단부를, 이너 와이어가 긴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에 의해 이너 와이어가 단속 조작 부재를 조작해서 예취 클러치가 온 상태에 달한다. 또한, 예취 클러치가 온 상태에서 예취부가 상승했을 경우에는, 연동 조작 기구가 아우터 와이어의 타단부를, 이너 와이어가 이완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이너 와이어의 장력이 저하해서 예취 클러치가 오프 상태에 달한다.
이와 같이, 조작 와이어를 사용해서 예취 클러치를 조작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이 조작에 링크나 로드를 사용하는 구성에 비해 구성이 단순화한다.
따라서, 예취부의 상승에 연동해서 예취 클러치를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연동 조작계가 적은 부품 개수로 합리적으로 구성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연동 조작 기구가, 상기 기체 프레임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아우터 와이어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중간 부재와, 이 중간 부재에 기단부측이 지지되는 막대 형상의 작동 부재와, 상기 예취부에 지지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해서 구성되고,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예취부가 설정 높이 미만에 있을 경우에 상기 작동 부재의 선단부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있고, 상기 예취부가 상기 설정 높이를 초과해서 상승했을 경우에 상기 작동 부재의 선단부에 접촉해서 상기 작동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압박력을 작용시키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작동 부재로부터 작용하는 압박력에 의해 요동하여, 상기 이너 와이어를 이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아우터 와이어의 다른 쪽의 단부를 이동시켜도 좋다.
이에 따르면, 예취 클러치가 온 상태에 있을 때에, 예취부가 설정 높이 미만일 경우에는, 예취부의 규제 부재에 작동 부재의 선단이 접촉하지 않고, 예취 클러치는 온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설정 높이를 초과해서 상승했을 경우에는, 예취부의 규제 부재에 막대 형상의 작동 부재의 선단이 접촉하고, 이 작동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박력에 의해 중간 부재를 요동시켜, 이너 와이어를 이완시키는 방향으로 아우터 와이어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예취부의 상승에 연동해서 예취 클러치의 오프 조작이 실현된다.
본 발명은, 상기 연계 기구가,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의 조작에 연계하여, 상기 이너 와이어의 일단부의 연결 고정 위치에 대해 변위하는 작동 링크로 구성되고, 이 작동 링크에 대하여 상기 아우터 와이어의 타단부가 연결되어도 좋다.
이에 따르면, 예취 클러치 레버를 조작했을 경우에는, 연계 기구를 구성하는 작동 링크가, 예취 클러치 레버의 조작에 연계해서 작동 링크하고, 이 변위에 의해 아우터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이너 와이어를 긴장시키는 상태와, 이완시키는 상태로 전환해서 예취 클러치의 단속이 실현된다.
본 발명은, 상기 작동 부재의 선단부가 접촉하는 평탄한 가이드부와, 이 가이드부의 양측부에서 상승되는 자세로 형성되는 한 쌍의 안내벽과,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돌출하는 자세가 되는 상기 규제 부재로 가이드 부재가 구성되며, 이 가이드 부재가 상기 예취부의 연결 프레임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에 따르면, 예취부가 상승할 때에는 가이드 부재의 평탄한 가이드부에 작동 부재의 선단부가 접촉해서 규제 부재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고, 이 상대 이동시에는 가이드 부재의 선단부를 한 쌍의 안내벽이 안내함으로써, 선단부를 규제 부재의 방향으로 안내한다. 그리고, 작동 부재의 선단부가 규제 부재에 접촉해서 예취 클러치의 오프 조작이 실현된다.
본 발명은, 상기 작동 부재가, 상기 중간 부재에 대하여 기단부가 요동 지지부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로드 재와, 이 로드 재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롤러를 구비해서 구성되어도 좋다.
이에 따르면, 예취부가 승강할 때에는, 로드 재가 요동 지지부에서 요동하고, 또한, 롤러가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면에 접촉해서 회전함으로써, 작동 부재의 원활한 작동을 실현한다.
본 발명은, 상기 요동 지지부를 중심으로 한 요동에 의해 상기 로드 재의 선단측을 상기 규제 부재에 접촉하지 않는 대피 자세로 조작했을 때에, 상기 로드 재를 끼움 지지함으로써 상기 대피 자세를 유지하는 홀더를 구비해도 좋다.
이에 따르면, 로드 재를 홀더에 끼움 지지함으로써, 로드 부재의 선단이 규제 부재에 접촉하지 않는 대피 자세로 유지되게 되어, 예취부가 상승했을 경우라도, 예취 클러치를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로드 재의 선단측을 들어올려서 상기 대피 자세로 인위 조작하기 위한 그립이 상기 로드 재의 선단측에 구비되어도 좋다.
이에 따르면, 작업자가 그립을 파지함으로써, 로드 재를 대피 자세로 유지하는 것이나, 이 유지를 해제해서 로드 재를 기능 자세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레버 조작부의 시일 구조는, 조작 패널에 형성된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을 따라 복수의 조작 위치에 걸쳐 이동 조작 가능하게 조작 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 레버의 이동 조작을 허용하는 상태로 상기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을 폐쇄하는 시일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며, 그 제1 특징 구성은,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조작 레버의 이동 조작을 허용하는 슬릿이 형성된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의 시일 단위체를,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일 단위체에서의 상기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개소에 트인 구멍을 형성하는 상태로 구비해서 구성되며, 또한, 상기 트인 구멍이 위치하는 개소에 그 트인 구멍이 형성된 시일 단위체와는 다른 시일 단위체의 상기 슬릿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시일 단위체를 겹쳐서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1 특징 구성에 따르면, 시일 부재를 구성하는 복수의 시일 단위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일 단위체는, 조작 레버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개소에 트인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트인 구멍이 형성된 시일 단위체와는 다른 시일 단위체는, 조작 레버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개소에 슬릿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겹쳐지게 된다.
조작 레버가 어느 하나의 조작 위치에서 다른 조작 위치로까지 이동하는 동안에는, 종래 구성과 마찬가지로, 시일 부재에서의 슬릿 형성 개소에서 레버 이동 방향의 양측부에 간극이 형성되지만, 조작 레버가 복수의 조작 위치 중 어느 하나로 조작된 후에는, 그 조작 레버가 존재하는 위치에서는, 어느 하나의 시일 단위체에 트인 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레버는 트인 구멍으로 들어가게 되어, 그 시일 단위체를 좌우 방향으로 크게 밀어 넓히지 않아, 조작 레버가 존재하는 위치의 레버 이동 방향의 양측부에서는 슬릿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기 쉬운 것이 된다.
따라서, 조작 레버가 조작 위치로 조작되어 이동 조작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조작 레버와 시일 단위체의 사이에서의 간극을 막는 것이 가능해져서, 밀폐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레버 조작부의 시일 구조를 제공할 수 있음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제2 특징 구성은, 상기 복수의 시일 단위체를 겹친 상태에서 위치 고정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2 특징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시일 단위체는 지지 수단에 의해 겹쳐진 상태에서 위치 고정 상태로 지지되기 때문에, 조작 레버가 조작 위치로 조작되었을 때에, 적절하게 간극을 막는 상태로 할 수 있으며, 게다가, 그 상태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 구성은, 상기 지지 수단이, 상기 복수의 시일 단위체에서의 상기 슬릿 및 상기 트인 구멍이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한 외주 부분끼리를 접착하는 접착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3 특징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시일 단위체에서의 슬릿 및 트인 구멍이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한 외주 부분끼리를 접착 수단에 의해 접착시킴으로써, 복수의 시일 단위체를 겹친 상태에서 위치 고정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시일 단위체끼리를 접착 수단으로 접착시킨다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복수의 시일 단위체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특징 구성은,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트인 구멍이 형성된 동일한 구성의 2개의 시일 단위체를, 한쪽의 시일 단위체의 상기 트인 구멍이 위치하는 개소에 다른 쪽의 시일 단위체의 상기 슬릿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겹쳐서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4 특징 구성에 따르면, 트인 구멍이 형성된 동일한 구성의 2개의 시일 단위체를, 한쪽의 시일 단위체의 트인 구멍이 위치하는 개소에 다른 쪽의 시일 단위체의 슬릿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겹쳐서 시일 부재가 구성된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의 2개의 시일 단위체를 사용함으로써, 부품의 공통화에 의해 제작 공정수의 수고를 적게 하여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5 특징 구성은, 상기 트인 구멍이, 상기 조작 레버의 횡단면 형상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5 특징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시일 단위체에서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개소에 형성되는 트인 구멍이, 조작 레버의 횡단면 형상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조작 레버의 외주면은 트인 구멍의 내주면과 거의 동일한 형상이 된다.
그 결과, 조작 레버의 외주면은 거의 동일한 형상의 트인 구멍으로 들어가게 되어, 조작 레버의 외주면에 의해 시일 단위체를 좌우 방향으로 밀어 넓히는 상태로 되지 않아, 조작 레버가 존재하는 위치의 레버 이동 방향의 양측부에서는 슬릿이 폐쇄된 상태를 적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특징 구성은, 상기 조작 레버의 횡단면 형상이 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6 특징 구성에 따르면, 조작 레버의 횡단면 형상이 대략 원형 형상이기 때문에, 시일 부재의 슬릿을 따라 이동 조작시킬 때에, 매끄럽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게다가, 조작 레버의 외주면이 트인 구멍으로 들어갈 때에, 조작 레버의 원형 형상의 외주면과 트인 구멍이 간극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 접촉하게 되어, 시일 부재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쉬운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특징 구성은, 곡물대를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이 감겨지는 구동 스프로킷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스프로킷은, 상기 피드 체인의 하측 반송 경로에 대하여, 상기 피드 체인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피드 체인의 외주부에 접촉하고 있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피드 체인이 구동 스프로킷에 휘감기는 방향으로 느슨해지기 때문에, 피드 체인이 느슨해졌을 경우의 구동 스프로킷에 대한 피드 체인의 감긴 상태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피드 체인에 긴장력을 부여하는 텐션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텐션 회전체는, 상기 구동 스프로킷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피드 체인의 하측 반송 경로에 대하여, 상기 피드 체인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피드 체인의 내주부에 접촉하고 있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구동 스프로킷이 피드 체인의 하측으로부터 피드 체인의 외주부에 접촉하는 것에 반해, 텐션 회전체가 피드 체인의 상측으로부터 피드 체인의 내주부에 접촉한다. 따라서, 피드 체인에 대하여 구동 스프로킷에 대해 휘감긴 측으로 긴장력이 부여되기 때문에, 텐션 회전체에 의해 피드 체인에 긴장력을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피드 체인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축과,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에 설치되는 상기 구동 스프로킷을 구비하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피드 체인 전용의 구동 유닛에 의해, 피드 체인에 동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피드 체인의 동력 전달 경로에 대해서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일단부에 텐션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아암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아암 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출력축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아암 부재가 출력축에 지지됨으로써, 아암 부재를 지지하는 전용의 부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구동 유닛에는, 엔진의 동력이 카운터 축을 통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엔진과 구동 유닛이 이격되어, 엔진의 동력을 구동 유닛에 직접적으로는 전달할 수 없는 경우에도, 엔진의 동력을 카운터 축을 통해 구동 유닛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측면시에서,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과, 상기 카운터 축을 연결하는 선이, 삼각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카운터 축은, 상기 출력축 및 상기 입력축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입력축, 출력축 및 카운터 축에 대해 적정한 축간 거리를 유지하면서, 이들 축을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카운터 축의 동력을 상기 입력축에 전달하는 전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달 기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카운터 축과 입력축이 이격되어 있을 경우에도, 카운터 축의 동력을 전달 기구에 의해 입력축에 전달하면서, 전달 기구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출력축은, 상기 카운터 축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출력축이 후방으로 대피되기 때문에, 출력축이 전방에 배치되는 부위의 방해가 되기 어렵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출력축은, 상기 입력축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출력축이 후방으로 대피되기 때문에, 출력축이 전방에 배치되는 부위의 방해가 되기 어렵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특징 구성은, 곡물대를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축과,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에 설치되고, 상기 피드 체인이 감겨진 구동 스프로킷과,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의 사이에서 동력을 변속하는 변속 기구와, 상기 입력축 및 상기 출력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변속 기구를 수용하는 구동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피드 체인 전용의 구동 유닛에 의해, 피드 체인의 회전 속도만이 변속된다. 따라서, 급동이나 선별부를 적절한 작동 속도로 유지하여, 탈곡 성능 및 선별 성능을 유지하면서, 피드 체인의 회전 속도를 작업 상태에 적합한 회전 속도로 용이하게 감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측에 구동 유닛이 위치한다. 따라서, 운전자 혹은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측 부근에 서서 작업하고 있는 작업자의 근방에 구동 유닛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유닛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의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는 클러치를 구비하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입력축으로부터 출력축에 대한 동력이, 클러치에 의해 필요에 따라서 전달 또는 차단되기 때문에, 구동 유닛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중계축을 구비하고, 상기 변속 기구는, 상기 입력축의 동력을 상기 중계축으로 저속으로 전달하는 저속 기어열과, 상기 입력축의 동력을 상기 중계축으로 고속으로 전달하는 고속 기어열과, 상기 중계축의 동력을 상기 출력축에 전달하는 최종 기어열을 구비하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입력축과 출력축의 사이에 중계축이 설치됨으로써, 구동 유닛에서의 축간 거리(입력축과 중간축의 축간 거리, 중간축과 출력축의 축간 거리)가 짧아진다. 따라서, 각 기어열을 구성하는 기어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구동 유닛을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최종 기어열은, 상기 중계축에 설치되는 최종 구동 기어와, 상기 출력축에 설치되고, 상기 최종 구동 기어와 맞물리는 최종 종동 기어를 구비하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최종 구동 기어와 최종 종동 기어가 직접적으로 맞물리기 때문에, 중계축의 동력을 출력축에 로스없이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최종 구동 기어는, 상기 중계축에서의 상기 저속 기어열과 상기 고속 기어열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최종 기어열이 저속 기어열과 고속 기어열의 사이에 들어가기 때문에, 구동 유닛을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최종 종동 기어는, 상기 출력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출력축에는, 일체 회전 가능하면서 또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전달 부재가 설치되고, 클러치는, 상기 최종 종동 기어와 상기 전달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가 동력 전달 상태로 됨으로써, 상기 최종 종동 기어에 전달된 상기 최종 구동 기어의 동력이, 상기 전달 부재를 통해서 상기 출력축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전달 부재에 의한 간이한 구성으로 클러치가 구성되기 때문에, 클러치에 대해서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변속 기구를 변속 조작하는 변속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변속 조작부에 의한 변속 조작에 따라서, 동력이 변속 기구로 변속되기 때문에, 피드 체인의 회전 속도를 작업 상태에 적합한 회전 속도로 용이하게 감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변속 조작부는, 상기 구동 케이스에서의 상기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측에 변속 조작부가 위치한다. 따라서, 운전자 혹은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측 부근에 서서 작업하고 있는 작업자의 근방에 구동 유닛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변속 조작부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변속 기구에는, 중립 위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변속 기구를 중립 위치로 하는 것만으로, 출력축에 대한 동력이 차단되기 때문에, 구동 유닛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속 기구를 중립 위치로 함으로써, 피드 체인을 공전시켜서 용이하게 메인터넌스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구동 케이스는, 상기 피드 체인보다 기체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구동 유닛이 피드 체인으로부터 기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구동 유닛을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입력축에는, 동력 전달용의 무단체가 감겨지는 입력 회전체가 설치되고, 상기 입력 회전체는, 상기 구동 스프로킷보다 기체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입력 회전체가 구동 스프로킷보다 기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구동 유닛을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의 좌측면도다.
도 2는 콤바인의 전체의 우측면도다.
도 3은 콤바인의 전체의 평면도다.
도 4는 운전부의 평면도다.
도 5는 사이드 패널의 후방의 레버 배치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6은 조종 탑의 일부 절결 측면도다.
도 7은 암레스트를 도시하는 정면도다.
도 8은 버저의 배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다.
도 9는 풋레스트의 평면도다.
도 10은 풋레스트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다.
도 11은 배출 클러치 레버가 온 상태에 있을 경우의 연계를 도시하는 측면도다.
도 12는 배출 클러치 레버가 오프 상태에 있을 경우의 연계를 도시하는 측면도다.
도 13은 배출 클러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다.
도 14는 예취 클러치 레버가 오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조작 와이어와 예취 클러치의 관계를 도시하는 측면도다.
도 15는 예취 클러치 레버가 온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조작 와이어와 예취 클러치의 관계를 도시하는 측면도다.
도 16은 연동 조작 기구에서 예취 클러치가 오프 조작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다.
도 17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다.
도 18는 운전부의 평면도다.
도 19은 캐빈의 측면도다.
도 20는 도어와 캐빈 본체측 프레임의 접촉 상태를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다.
도 21는 도어와 캐빈 본체측 프레임의 접촉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다.
도 22은 사이드 패널의 사시도다.
도 23은 주변속 레버의 시일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다.
도 24은 주변속 레버의 시일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정면도다.
도 25는 주변속 레버의 시일 구조를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다.
도 26은 주변속 레버의 시일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다.
도 27은 부변속 레버의 시일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다.
도 28는 부변속 레버의 시일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정면도다.
도 29은 부변속 레버의 시일 구조를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다.
도 30는 탈곡 클러치 레버의 시일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다.
도 31는 탈곡 클러치 레버의 시일 구조를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다.
도 32은 탈곡 클러치 레버의 시일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다.
도 33은 다른 실시 형태의 시일 부재의 분해 사시도다.
도 34은 다른 실시 형태의 시일 부재의 분해 사시도다.
도 35는 주변속 레버의 다른 구성의 시일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다.
도 36은 주변속 레버의 다른 구성의 시일 구조를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다.
도 37은 부변속 레버의 다른 구성의 시일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다.
도 38는 부변속 레버의 다른 구성의 시일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다.
도 39은 부변속 레버의 다른 구성의 시일 구조를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다.
도 40는 부변속 레버의 다른 구성의 시일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정면도다.
도 41은 콤바인을 도시하는 측면도다.
도 42는 탈곡부 및 선별부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다.
도 43은 콤바인에서의 동력 전달 경로를 도시하는 선도다.
도 44는 피드 체인 및 구동 유닛을 도시하는 측면도다.
도 45는 구동 유닛을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의해 주행하는 주행 기체(A)의 전단부에 승강 실린더(2)의 작동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예취부(B)를 구비하는 동시에, 주행 기체(A)의 전방부에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부(C)를 구비하고, 주행 기체(A)에 대하여 예취부(B)로부터 예취 곡물대가 공급되는 탈곡 장치(D)와, 이 탈곡 장치(D)에서 선별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E)를 구비해서 자탈형의 콤바인이 구성되어 있다.
이 콤바인은, 수확 작업시에 예취부(B)와 탈곡 장치(D)를 구동한 상태에서 주행 기체(A)를 전진시킴으로써 예취부(B)에서 곡물대의 밑동을 절단해서 곡물대의 예취를 행하고, 예취한 곡물대를 탈곡 장치(D)에 반송해서 탈곡 처리를 행하고, 이 탈곡 장치(D)의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곡립 탱크(E)에 저류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이 콤바인은, 주행 기체(A)에 구비한 엔진(3)의 구동력을, 무단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전동 케이스(4)에 전달하고, 이 전동 케이스(4)로부터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전달하는 주행 전동계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콤바인에서는 전동 케이스(4)로부터의 구동력을 예취부(B)에 전달하는 예취 전동계와,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을 탈곡 장치(D)에 전달하는 전동계를 구비하고 있다.
예취부(B)는, 식립(植立) 곡물대의 분초을 행하는 복수의 분초구(5)와, 식립 곡물대를 일으키는 복수의 걷어올림 장치(6)와, 식립 곡물대의 밑동을 절단하는 클리퍼형의 예취 장치(7)와, 이 예취 장치(7)에서 밑동이 절단된 곡물대를 반송해서 탈곡 장치(D)의 피드 체인(FC)에 공급하는 반송 장치(8)를 구비하고 있다.
탈곡 장치(D)에서는, 예취부(B)로부터 공급되는 예취 곡물대를 피드 체인(FC)의 반송에 의해 급실에 공급함으로써 급실 내에서 회전하는 급동(9)에 의해 탈곡 처리가 행해진다. 이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처리물은, 급실 하부의 수망을 누하(漏下)해서 요동 선별판(10)의 상면에 공급되고, 이 요동 선별판(10)의 요동과, 풍구(11)로부터 공급되는 선별풍에 의해 선별되어 곡립을 얻는다. 이렇게 얻어진 곡립은, 반송 장치에 의해 곡립 탱크(E)에 반송되어 저류된다.
탈곡 장치(D)의 후방부 위치에는, 피드 체인(FC)의 반송 종단부 위치로부터 배출되는 배출 볏짚을 세단해서 지면에 방출하는 배출 볏짚 커터(12)가 구비되어 있다. 이 배출 볏짚 커터(12)는, 배출 볏짚이 배출되는 경로보다 낮은 레벨에 배치되어, 이 배출 볏짚 커터에 배출 볏짚을 공급하는 세단 자세와, 이 세단 커터에 배출 볏짚을 공급하지 않고 직접 지면에 배출하는 배출 자세로 전환 가능한 경로 전환판(13)이, 배출 볏짚 커터(12)의 상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배출 볏짚 커터(12)는, 주행 기체(A)의 횡방향을 따른 자세의 한 쌍의 구동축에 원반 형상이 되는 복수의 회전 커터를 구비하고, 각각의 구동축을 역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복수의 회전 커터의 사이에 배출 볏짚을 끌어들이는 형태로, 이 회전 커터의 사이에서 배출 볏짚을 세단하여 하방으로 방출하는 작동을 행한다. 또한, 경로 전환판(13)은, 후단부측에 구비한 횡방향 자세의 전환 축심(P)를 중심으로 해서 전단부측을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세단 자세와, 전단부측을 내림으로써, 그 상면에 배출 볏짚을 통과시키는 배출 자세로 전환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곡립 탱크(E)에 저류된 곡립을 배출하기 위해서, 이 곡립 탱크(E)의 저부에 바닥 스크류(1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곡립 탱크(E)의 후방부 위치에는, 바닥 스크류(15)로부터 배출된 곡립을 세로 스크류(16S)에 의해 상방으로 반송하는 세로 반송 케이스(16)와, 이 세로 반송 케이스(16)로 반송되는 곡립을, 가로 스크류(17S)에 의해 대략 수평 방향으로 반송하는 가로 반송 케이스(17)로 구성되는 언로더가 구비되어 있다.
이 언로더는, 세로 스크류(16S)의 축심과 일치하는 종축 코어(Y)를 중심으로 해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이 선회를 행하게 하는 선회 모터(1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세로 반송 케이스(16)의 상단부의 횡축 코어(Z)를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가능하게 가로 반송 케이스(17)가 지지되고, 이 상하 방향으로 요동을 행하게 하도록 신축 작동하는 전동형의 리프트 실린더(19)가 구비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부터, 선회 모터(18)의 구동에 의해 언로더에서의 곡립의 배출 방향을 변경하고, 리프트 실린더(19)의 구동에 의해 곡립의 배출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운전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C)에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데크(21)와, 운전자가 착석하는 운전 좌석(22)이 구비되는 동시에, 운전 좌석(22)의 전방 위치에 조종 탑(23)이 배치되어 있다. 조종 탑(23)의 상면에는 미터류가 구비되는 동시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조종 레버(24)를 구비하고 있다. 데크(21)의 상면측에서 조종 탑(23)의 후방 위치에는 브레이크 페달(25)과, 레이크 페달(26)과, 풋레스트(27)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엔진(3)은 운전 좌석(22)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25)은 스텝핑 조작에 의해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제동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주행 기체(A)의 정차를 행한다. 레이크 페달(26)은, 스텝핑 조작에 의해 예취부(B)나 탈곡 장치(D)의 가동 상태를 유지한 채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전달되는 동력만을 차단함으로써 주행 기체(A)를 정차시킨 상태에서 예취부(B)의 예취 곡물대의 탈곡 장치(D)에 대한 반송을 가능하게 한다.
운전 좌석(22)의 측방 위치의 사이드 패널(30)에는, 주변속 레버(31)와, 부변속 레버(32)와, 예취 클러치 레버(33)와, 탈곡 클러치 레버(34)가 구비되어 있다. 이것들은, 사이드 패널(30)의 상면의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에 삽입 관통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패널(30)보다 후방 위치에는, 배출 클러치 레버(35)와, 풍구 풍량 조절 레버(36)와, 배출 볏짚 경로 전환 레버(37)가 배치되는 동시에, 이 근방 위치에 선회 스위치(SW1)와, 승강 스위치(SW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풍구 풍량 조절 레버(36)와 배출 볏짚 경로 전환 레버(37)를 안내하는 리어 패널(38)이 사이드 패널(30)보다 높은 레벨로 형성되어 있다. 배출 클러치 레버(35)를 안내하는 서브 패널(39)의 상면 레벨이 리어 패널(38)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선회 스위치(SW1)를 조작했을 경우에는, 선회 모터(18)의 구동에 의해 종축 코어(Y)를 중심으로 해서 세로 반송 케이스(16)를 선회시켜 곡립의 배출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승강 스위치(SW2)를 조작했을 경우에는, 리프트 실린더(19)의 구동에 의해 횡축 코어(Z)를 중심으로 해서 가로 반송 케이스(17)를 승강시켜 곡립의 배출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운전부: 조종 탑 관계〕
도 4,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종 레버(24)는, 비조작 상태에서 중립 자세를 유지하는 동시에, 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로 조작했을 경우에는, 좌우의 조향 클러치 기구(도시하지 않음) 중 조작에 대응한 것(예를 들어, 우측으로 조작했을 경우에는 우측의 조향 클러치 기구)을 차단해서 주행 기체(A)의 조향을 실현한다. 또한, 이 조종 레버(24)를 전후 방향으로 조작했을 경우에는 승강 제어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해서 승강 실린더(2)에 대한 작동유의 급배를 행하여 예취부(B)의 승강을 실현한다.
조종 탑(23)에는, 그 양단부 부분이 조종 탑의 양측부에 연결되고, 중간 부분이 수평 자세가 되는 보조 프레임(40)이 구비되고, 이 보조 프레임(40) 중, 조종 레버(24)의 후방 위치에는, 운전자가 조종 레버(24)를 파지한 상태에서, 그 손을 지지하도록 수지나 고무와 같이 가요성의 소재로 구성되는 암레스트(41)가 구비되어 있다. 이 암레스트(41)는, 전후 방향으로 폭이 넓고, 작업자의 손을 지지하는 지지면(41A)이, 약간 앞쪽이 내려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종 탑(23)은 전체면에 프론트 플레이트(42)를 구비하고, 이 프론트 플레이트(42)의 좌우의 양측을 후방으로 절곡하는 동시에, 이 절곡부에 이어지는 위치에 플랜지부(42A)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플랜지부(42A)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리어 플레이트(44)를 구비하고 있다. 리어 플레이트(44)는, 프론트 플레이트(42)의 플랜지부(42A)에 연결하는 연결부(44A)가 좌우로 형성되고, 이 좌우의 연결부(44A)를 플랜지부(42A)에 겹쳐서, 복수의 비스(43)로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부터 조종 탑(23)에는 제어 기기(도시하지 않음)와, 알람음을 발생시키는 버저(45)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좌측의 플랜지부(42A)에 비스(43)에 의해 중간 브래킷(46)을 지지하고, 이 중간 브래킷(46)에 대하여 버저(45)가 지지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부터 내부 공간에 있어서 리어 플레이트(44)보다 약간 전방 위치에 버저(45)가 배치된다. 또한, 리어 플레이트(44)에는 버저(45)의 음성 발생면(45A)과 대응하는 위치에 버저(45)와 동일한 사이즈의 개구(44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버저(45)의 음성 발생면(45A)으로부터의 알람음을 리어 플레이트(44)의 개구(44B)를 통해 운전 좌석(22)의 방향으로 직접적으로 송출하여, 운전자에게 인식시키기 쉽게 하고 있다. 또한, 버저(45)는, 곡물대의 반송계에 막힘이 발생한 경우나, 엔진(3)이 과열되었을 경우 등의 이상시에 작동한다.
데크(21)는 주행 기체(A)의 전방부의 프레임의 상면에 실리는 형태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플레이트 형상 부재로 구성되며, 도 6, 도 9,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크(21)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 한 쌍의 브래킷(50)에 대하여, 사용 자세와 수납 자세의 2 자세로 전환 가능하게 풋레스트(27)가 지지되어 있다. 이 풋레스트(27)는, 횡방향에서의 중앙 위치에 레이크 페달(26)이 배치되는 절결부를 형성한 형상으로 성형되고, 양측부를 하방으로 절곡한 측벽부(27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브래킷(50)에는, 대향하는 방향을 향해 평행 자세로 제1 지지핀(51)과 제2 지지핀(52)을 구비하는 동시에, 규제 플레이트(53)를 구비하고 있다. 풋레스트(27)의 양측의 측벽부(27A)에는, 제1 지지핀(51)이 삽입 관통하는 긴 구멍(27C)이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27A)에 대하여 긴 구멍(27C)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풋레스트(27)가 브래킷(5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사용 자세에서는, 제1 지지핀(51)이 운전 좌석(22)의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위치에서, 측벽부(27A)의 하단부 테두리가 제2 지지핀(52)에 접촉함으로써 풋레스트(27)의 돌출 단부측(후단부측)일수록 낮아지는 완만한 경사 자세로 유지된다.
또한, 풋레스트(27)의 돌출 단부측을 들어올렸을 경우에는, 풋레스트(27)의 자중에 의해, 긴 구멍(27C)에 가이드되는 상태로 풋레스트(27)가 하방으로 변위하여, 기단부측이 규제 플레이트(53)에 접촉함으로써 도 6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수납 자세로 유지된다.
〔운전부: 사이드 플레이트의 레버 관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속 레버(31)는 무단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변속 조작함으로써, 주행을 정지시키는 중립 위치(N)와, 전진 속도의 증속을 행하는 전진 변속 영역(F)과, 후진 속도의 증속을 행하는 후진 변속 영역(R)으로 무단계의 변속을 가능하게 한다. 부변속 레버(32)는 전동 케이스(4)의 내부의 부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변속 조작함으로써, 주행 속도를 복수 단으로 변속한다.
예취 클러치 레버(33)는, 도 14에 도시하는 예취 클러치(G)를 조작하는 예취부(B)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온 위치 "온"과, 예취부(B)에 대한 구동력을 차단하는 오프 위치 "오프"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탈곡 클러치 레버(34)는, 엔진(3)으로부터 탈곡 장치(D)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온 위치 "온"과, 탈곡 장치(D)에 대한 구동력을 차단하는 오프 위치 "오프"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엔진(3)의 구동력을 탈곡 장치(D)에 전달하는 전동계에는 탈곡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고, 탈곡 클러치 레버(34)는 탈곡 클러치의 단속 조작을 행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클러치 레버(35)는, 곡립 탱크(E)에 저류된 곡립을 언로더에 의해 배출하는 온 위치 "온"과, 언로더를 정지시키는 오프 위치 "오프"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풍구 풍량 조절 레버(36)는, 복수의 조절 위치로 설정 가능하다. 즉, 엔진(3)으로부터 풍구(1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계에는, 풍구(11)의 구동축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변속하는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고, 풍구 풍량 조절 레버(36)를, 복수의 조절 위치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함으로써 변속 장치를 변속 조작하고, 조절 위치에 대응한 풍량의 선별풍을 얻는다. 배출 볏짚 경로 전환 레버(37)는, 배출 볏짚을 절단하지 않고 배출하는 "배출" 위치와, 배출 볏짚을 배출 볏짚 커터(12)에 공급해서 세단하는 "세단" 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며, 이 배출 볏짚 경로 전환 레버(37)의 전환 조작에 의해 경로 전환판(13)이 대응하는 위치로 설정된다.
배출 클러치 레버(35)는, 도 11,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측의 중간 프레임(56)에 대하여 레버 축(57)의 요동 축심(Q)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중간 프레임(56)에는 레버 축(57)과 평행 자세가 되는 아암 축(58)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천칭형 아암(59)과, 이 천칭형 아암(59)과 일체적으로 요동하는 조작 아암(60)이 지지되고, 이 천칭형 아암(59)의 한쪽 단부와, 배출 클러치 레버(35)에 형성한 아암부(35A)가 연계 로드(61)에 의해 연계되어 있다. 또한, 천칭형 아암(59)과 조작 아암(60)은, 아암 축(58)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외부에서 끼우는 슬리브(58A)에 대하여 용접 고정됨으로써 일체적으로 요동한다.
또한, 천칭형 아암(59)의 다른 쪽의 단부와 중간 프레임(56)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형의 복귀 스프링(62)을 구비하고, 배출 클러치 레버(35)가 오프 위치 "오프"에 있는 상태에서, 배출 클러치 레버(35)에 형성된 접촉 부재(35B)에 접촉해서 ON 조작되는 레버 센서(63)가 중간 프레임(56)에 구비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배출 클러치 레버(35)가 오프 위치 "오프"에 있을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귀 스프링(62)의 가압력이, 천칭형 아암(59)과 연계 로드(61)로부터 배출 클러치 레버(35)에 작용함으로써, 이 배출 클러치 레버(35)는 오프 위치 "오프"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조작 아암(60)의 요동 단부는 하방으로 변위한 위치로 유지되고, 접촉 부재(35B)의 접촉에 의해, 레버 센서(63)가 ON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배출 클러치 레버(35)를 온 위치 "온"으로 조작했을 경우에는, 배출 클러치 레버(35)의 요동에 수반하여 연계 로드(61)가 당김 조작되어, 조작 아암(60)을 요동시키고, 이것에 연계해서 조작 아암(60)의 요동 단부를 상방으로 변위시킨다.
또한, 배출 클러치 레버(35)가 온 위치 "오프"에 있는 상태에서는, 연계 로드(61)는, 레버 축(57)의 요동 축심(Q)의 상방에 위치하고, 가압력은 도 11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에 의해, 배출 클러치 레버(35)에는 "오프" 방향으로 압박력이 작용하여, 배출 클러치 레버(35)의 접촉 부재(35B)가 레버 센서(63)에 접촉하는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배출 클러치 레버(35)가, 오프 위치 "온"에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연계 로드(61)가 레버 축(57)의 요동 축심(Q)의 하방까지 변위한다. 이에 의해, 연계 로드(61)에는 복귀 스프링(62)의 가압력이 계속해서 작용하는데, 이 가압력은, 도 12에서 시계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어, 배출 클러치 레버(35)는 오프 위치 "오프"로 유지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탱크(E)의 바닥 스크류(15)에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상태와, 구동력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배출 클러치(H)가, 곡립 탱크(E)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배출 클러치(H)는, 바닥 스크류(15)의 스크류 축(15A)에 연결하는 종동측 풀리(65)와, 엔진(3)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동측 풀리(66)와, 이 종동측 풀리(65)와 구동측 풀리(66)에 감기는 전동 벨트(67)를 구비할 수 있는 동시에, 전동 벨트(67)에 장력을 작용시키도록, 요동 아암(68)의 요동 단부에 지지된 전동 풀리(69)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요동 아암(68)은, 요동축(68A)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요동 아암(68)에는 세로 방향 자세의 텐션 로드(70)가 연결되고, 이 텐션 로드(70)의 상단부에 완충 스프링(71)이 연결되고, 이 완충 스프링(71)의 상단부가 조작 아암(60)의 요동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구동측 풀리(66)는, 기어 케이스(72)에 지지되며, 구동측 풀리(66)에 대하여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을, 기어 케이스(72)를 통해 전달하는 수동 풀리(73)가, 기어 케이스(72)에 구비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배출 클러치 레버(35)가 오프 위치 "오프"에 있을 경우에는 조작 아암(60)의 요동 단부가 하방으로 변위하고 있기 때문에, 요동 아암(68)은 자중에 의해 하방의 위치에 있고, 배출 클러치(H)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이렇게 배출 클러치 레버(35)가 오프 위치 "오프"에 있을 경우에는, 복귀 스프링(62)의 가압력에 의해, 배출 클러치 레버(35)가 오프 위치 "오프"로 유지되기 때문에, 레버 센서(63)가 검출 상태를 유지하며, 오검출을 초래하지도 않는다.
다음으로, 배출 클러치 레버(35)를 온 위치 "온"으로 조작했을 경우에는, 이 조작에 연계해서 조작 아암(60)의 요동 단부가 상방으로 변위하고, 텐션 로드(70)를 끌어올려서 요동 아암(68)을 요동시킴으로써 전동 풀리(69)가 전동 벨트(67)에 장력을 작용시킨다. 그 결과, 배출 클러치(H)가 "온" 상태에 도달하여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을, 곡립 탱크(E)의 바닥 스크류(15)로부터 언로더에 전달하여, 곡립 탱크(E)의 곡립의 배출을 실현한다.
또한, 배출 클러치 레버(35)가 온 위치 "온"으로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복귀 스프링(62)의 가압력에 의해, 배출 클러치 레버(35)가 온 위치 "온"으로 유지된다.
〔예취부·예취 클러치〕
도 1,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부(B)는, 기체 프레임(AF)의 전단부의 예취부 지지대(80)에 대하여 횡방향 자세의 주축 코어(X)를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둥근 파이프 형상의 지지 프레임(81)과, 이 지지 프레임(81)으로부터 전방 경사인 하강으로 돌출되는 파이프 형상의 주 프레임(82)과, 이 주 프레임(82)의 하단부 위치에 연결되는 횡방향 자세로 파이프 형상인 전방부 프레임(83)과, 이 전방부 프레임(83)의 한쪽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되는 자세로걷어올림 장치(6)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프레임(84)을 구비하는 동시에, 주 프레임(82)의 상단부와 걷어올림 장치(6)의 상단부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85)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 프레임(81)에는 전동축(81A)이 내장되고, 이 전동축(81A) 중 엔진측의 단부에 입력 풀리(87)가 구비되어 있다. 예취부(B)는, 전동축(81A)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주 프레임(82)의 내부의 전동축(도시하지 않음)과, 전방부 프레임(83)의 내부의 전동축(도시하지 않음)과, 전동 프레임(84)의 내부의 전동축(도시하지 않음)에 순차 전달하는 전동계가 구성되며, 이 전동계로부터의 구동력이 걷어올림 장치(6)와 예취 장치(7)와 반송 장치(8)에 전달된다.
전동 케이스(4)의 상부 측면에 주행 속도에 동기한 회전력을 취출하는 출력 풀리(88)가 구비되고, 이 출력 풀리(88)와, 상술한 입력 풀리(87)에 걸쳐서 무단 벨트(89)가 감겨 있다. 이 무단 벨트(89)에 장력을 작용시키는 전동 위치와, 장력을 해제하는 동력 차단 위치로 전환 가능한 텐션 풀리(90)가 텐션 아암(91)의 요동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AF)에 대하여 횡방향 자세의 아암 지지축(92)이 지지되고, 이 아암 지지축(92)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텐션 아암(91)이 지지되어 있다. 이 텐션 아암(91)의 요동 단부에 텐션 풀리(90)이 지지되고, 이 텐션 아암(91)에는 조작부(9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체 프레임(AF)에 대하여 횡방향 자세의 하부 지지축(93)이 지지되고, 이 하부 지지축(93)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일체적으로 요동하는 제1 단속 아암(94A)과 제2 단속 아암(94B)이 지지되어 있다. 제1 단속 아암(94A)으로 예취 클러치(G)의 단속 조작 부재가 구성되고, 제2 단속 아암(94B)과 텐션 아암(91)의 조작부(91A)가 하부 로드(95)에 의해 연계되어 있다.
입력 풀리(87)와 출력 풀리(88)와, 무단 벨트(89)와, 텐션 아암(91)에 지지된 텐션 풀리(90)로 벨트 텐션식의 예취 클러치(G)가 구성되어 있다. 이 콤바인에서는, 예취 클러치 레버(33)의 조작력을 제1 단속 아암(94A)에 전달하는 조작 와이어(W)를 구비하고 있고, 예취 클러치 레버(33)의 조작에 의해 예취 클러치(G)의 단속을 행한다. 예취 클러치(G)가 온 상태에 있는 상황에서, 예취부(B)를 상승시켰을 경우에는, 이 상승에 연계한 예취 클러치(G)의 오프 조작을 행하고, 그 후에, 예취부(B)를 하강시켰을 경우에는, 예취 클러치(G)의 온 조작을 행하는 연동 조작 기구(K)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연동 조작 기구(K)는 오토 클러치라고도 불리는 것이며, 이 연동 조작 기구(K)의 상세를 이하에 설명한다.
〔연동 조작 기구〕
예취부(B)가 수확 작업을 행하는 높이 미만까지 하강한 상태에서 예취 클러치 레버(33)를 온 위치 "온"으로 조작했을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취 클러치(G)가 온 조작된다. 이 온 상태에서, 예취부(B)를 설정 높이까지 상승시켰을 경우에, 연동 조작 기구(K)가 예취 클러치 레버(33)를 온 위치 "온"으로 유지한 채 예취 클러치(G)가 오프 조작된다. 그 후, 예취부(B)를 설정 높이 미만까지 하강시켰을 경우에 연동 조작 기구(K)가 예취 클러치(G)를 온 상태로 복귀시킨다.
조작 와이어(W)는, 변형 가능한 이너 와이어(97)와, 이 이너 와이어(97)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하는 튜브 형상이며 변형 가능한 아우터 와이어(98)로 구성되어 있다. 이 조작 와이어(W)는 한쪽의 단부측을 전방측에, 다른 쪽의 단부측을 후방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중간 부분이 상방으로 만곡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횡방향 자세의 작동 축(100)에 예취 클러치 레버(33)의 기단부가 연결되고, 이 작동 축(100)과 일체적으로 요동하는 작동 아암(101)의 요동 단부에 연계 기구로서의 작동 링크(102)의 상단부가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예취 클러치 레버(33)는, 유지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온 위치 "온"과 오프 위치 "오프"로 유지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취 클러치 레버(33)가 오프 위치 "오프"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작동 링크(102)의 요동 단부가 작동 축(100)과 거의 동등한 높이에 있으며, 이것에 지지되는 작동 링크(102)는 낮은 레벨에 있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취 클러치 레버(33)가 온 위치 "온"으로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작동 링크(102)의 요동 단부가 작동 축(100)보다 높은 위치에 달하여, 이것에 지지되어 있는 작동 링크(102)도 높은 위치로 끌어올릴 수 있다.
기체 프레임(AF)에 연결되는 측부 프레임(103)이 운전부(C)의 측부에 배치되고, 이 측부 프레임(103)에 연결되는 측부 플레이트(103A)에 대하여 횡방향 자세의 중간축(104)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 중간축(104)을 중심으로 해서 일체적으로 요동하는 중간 부재로서의 제1 중간 아암(105A)과 제2 중간 아암(105B)이 구비되고, 제1 중간 아암(105A)의 요동 단부를 상방으로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압박력을 작용시키는 코일 스프링(106)이 구비되어 있다.
이너 와이어(97)의 한쪽 단부가 측부 프레임(103)에 연결되고, 이 이너 와이어(97)의 다른 쪽의 단부가, 제1 단속 아암(94A)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아우터 와이어(98)의 한쪽 단부가 작동 링크(102)의 하단부에 지지되고, 이 아우터 와이어(98)의 다른 쪽 단부가, 제1 중간 아암(105A)에 지지되어 있다.
예취부(B)의 연결 프레임(85)은, 중간부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는 역 U자 형상으로 성형되는 동시에, 전단부가 걷어올림 장치(6)의 후방면에 연결되고, 후단부가 지지 프레임(81)에 연결되어 있어, 예취부(B)의 승강에 수반하여 상하로 요동한다. 이 연결 프레임(85)의 후방부의 후방면측에 가이드 부재(110)가 구비되고, 이 가이드 부재(110)와 제2 중간 아암(105B)의 사이에 작동 부재(T)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이 작동 부재(T)와 가이드 부재(110)로 본 발명의 연동 조작 기구(K)의 주요 부분이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10)는, 연결 프레임(85)의 후면을 따른 자세(전방측일수록 상방을 향하는 경사 자세)로 평탄한 가이드부(110A)와, 이 가이드부(110A)의 양측부에서 상승되는 자세로 이 양측부에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안내벽(110B)과, 가이드부(110A)의 상단부에서 가이드부(110A)로부터 돌출되는 자세가 되는 규제 부재(110C)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이 가이드 부재(110)는 예취부(B)의 연결 프레임(85)의 상면에 대하여 용접 등의 기술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작동 부재(T)는, 로드 재(111)와, 이 선단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는 베어링 블록(112)과, 이 베어링 블록(112)을 고정하기 위해서 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는 고정 너트(113)와, 베어링 블록(112)에 대하여 횡방향 자세인 지지축(1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롤러(115)를 구비하는 동시에, 로드 재(111)의 기단부에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116)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플레이트(116)가 횡방향 자세인 연결 핀(118)(요동 지지부의 일례)에 의해 제2 중간 아암(105B)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연결에 의해 로드 재(111) 등의 자중에 의해 롤러(115)가 가이드 부재(110)의 가이드부(110A)에 접촉해서 기능 자세에 달하도록 작동 부재(T)가 구성되어 있다. 베어링 블록(112)의 상면측에서 로드 재(111)의 선단측이 되는 위치에는 작업자가 파지해서 조작 가능한 그립(119)이 형성되고, 측부 플레이트(103A)에는, 로드 재(111)를 끼움 지지 가능한 스프링판제의 홀더(120)가 구비되어 있다.
홀더(120)는, 로드 재(111)를 껴안듯이 두 갈래 형상으로 성형된 스프링 판재로 구성되며, 작업자가 그립(119)을 파지해서 로드 재(111)를 끼움 지지 위치에 보냄으로써 끼움 지지 상태에 도달하여, 도 15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115)는 가이드 부재(110)로부터 이격하는 대피 자세로 유지된다. 또한, 이 반대의 조작에 의해 로드 재(111)를 홀더(120)로부터 분리시켜, 도 14, 도 15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115)를 가이드 부재(110)의 가이드부(110A) 상면에 접촉시키는 기능 자세로 복귀시키는 상태에 달한다.
이 구성으로부터, 예취부(B)가 설정 높이 미만에 있는 상태에서, 예취 클러치 레버(33)가 오프 위치 "오프"에 있을 경우에는, 이너 와이어(97)가 이완하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텐션 아암(91)에 이너 와이어(97)로부터의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텐션 풀리(90)가 동력 차단 위치에 있기 때문에, 무단 벨트(89)에는 장력이 작용하지 않고 예취 클러치(G)는 오프 상태가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예취부(B)가 설정 높이 미만에 있을 경우에는, 작동 부재(T)의 롤러(115)는 가이드 부재(110)의 규제 부재(110C)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 클러치 레버(33)를 온 위치 "온"으로 조작했을 경우에는, 작동 링크(102)가 전체적으로 상방으로 변위하고, 이 변위에 수반하여 아우터 와이어(98)의 한쪽 단부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에 대해, 이너 와이어(97)의 한쪽 단부가 측부 프레임(103)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아우터 와이어(98)의 상방으로의 변위에 수반하여 이너 와이어(97)의 한쪽 단부가 아우터 와이어(98)의 한쪽 단부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또한, 아우터 와이어(98)의 다른 쪽 단부가 제2 중간 아암(105B)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 아우터 와이어(98)의 중간 부분(만곡되어 있는 부분)이 상방으로 변위되게 되어, 이 아우터 와이어(98)의 내부에 삽입 관통하는 이너 와이어(97)도 아우터 와이어(98)와 함께 상방으로 변위하여, 결과적으로 이너 와이어(97)를 긴장시킨다.
이렇게 이너 와이어(97)에 장력이 작용할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아우터 와이어(98)의 한쪽 단부로부터 인출된 이너 와이어(97)의 인출 길이에 알맞는 길이의 이너 와이어(97)가, 아우터 와이어(98)의 다른 쪽의 단부에 끌어 들여진다. 이에 의해, 이너 와이어(97)의 장력을 제1 단속 아암(94A)에 작용시켜, 텐션 아암(91)의 요동에 의해 텐션 풀리(90)를 전동 위치로 변위시킨다. 이 변위의 결과, 무단 벨트(89)에 압접시켜서 무단 벨트(89)에 장력을 작용시키기 때문에, 예취 클러치(G)는 온 상태에 달하여, 예취부(B)는 엔진(3)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작동을 개시한다.
또한, 로드 재(111)가 기능 자세로 설정되고, 예취 클러치(G)가 온 상태에 있는 상황에서 예취부(B)를 상승시켰을 경우에는, 이 상승에 수반하여 작동 부재(T)의 롤러(115)가 회전하는 상태로, 이 롤러(115)가 가이드 부재(110)의 가이드부(110A)를 따라 규제 부재(110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태에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부(B)가 설정 높이에 도달하기 직전에 가이드 부재(110)의 규제 부재(110C)에 작동 부재(T)의 롤러(115)이 접촉하고, 이 접촉에 의한 압박력이 작동 부재(T)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함으로써, 코일 스프링(106)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제1 중간 아암(105A)과 제2 중간 아암(105B)을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킨다.
그 후에 예취부(B)가 설정 높이까지 상승하면, 제1 중간 아암(105A)의 요동에 의해, 아우터 와이어(98)의 다른 쪽 단부를 하방으로 변위시켜 이너 와이어(97)를 이완시킨다. 이렇게 이너 와이어(97)가 이완함으로써, 제1 단속 아암(94A)과 제2 단속 아암(94B)이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텐션 아암(91)을 클러치 오프 방향으로 요동시켜, 텐션 풀리(90)가 동력 차단 위치까지 변위한다. 이 변위의 결과, 무단 벨트(89)에 장력이 작용하지 않아, 예취 클러치(G)는 오프 상태에 달하여, 예취부(B)는 정지한다.
연동 조작 기구(K)에 의해 예취 클러치(G)가 오프 상태에 달한 후에, 예취부(B)를 설정 높이 미만까지 하강시켰을 경우에는, 로드 재(111)가 자신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술한 것과는 역방향으로 변위한다. 이 경우, 작동 부재(T)의 롤러(115)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이 롤러(115)가 가이드 부재(110)의 가이드부(110A)를 따라 규제 부재(110C)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106)의 가압력에 의해 제1 중간 아암(105A)과 제2 중간 아암(105B)이 시계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 요동의 결과, 이너 와이어(97)에 장력이 작용해서 예취 클러치(G)가 온 상태로 복귀하는 것이다.
또한, 예취부(B)를 작업 레벨까지 하강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그립(119)을 파지하여 작동 부재(T)의 로드 재(111)를 상방으로 끌어올렸을 경우에는, 이 로드 재(111)가 연결 핀(118)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하여서 대피 자세에 달한다. 이 대피 자세에서 로드 재(111)를 홀더(120)에 끼움 지지하여 로드 재(111)를 대피 자세로 유지했을 경우에는, 예취부(B)가 상승했을 경우라도, 가이드 부재(110)의 규제 부재(110C)에 대하여 로드 재(111)의 선단의 롤러(115)가 접촉하지 않아, 예취 클러치(G)를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 후에, 예취부(B)가 작업 레벨에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그립(119)을 파지하여 하방으로 조작함으로써 로드 재(111)는 홀더(120)로부터 분리되고, 대피 자세에서 기능 자세로 복귀한다. 또한, 로드 재(111)를 기능 자세로 복귀시킬 경우에는, 로드 재(111)의 선단의 롤러(115)를 가이드 부재(110)의 한 쌍의 안내벽(110B) 사이에서, 가이드부(110A)에 접촉시키는 위치에 도입하게 된다. 이렇게 로드 재(111)를 기능 자세로 복귀시킨 후에 예취부(B)를 상승시켰을 경우에는, 로드 재(111)의 선단의 롤러(115)가 규제 부재(110C)에 접촉해서 예취 클러치(G)의 오프 조작을 실현한다.
또한, 이 연동 조작 기구(K)에서는, 로드 재(111)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는 베어링 블록(112)을 회전시킴으로써, 이 로드 재(111)에 대한 롤러(115)의 돌출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롤러(115)의 돌출량을 조절해서 고정 너트(113)로 고정함으로써, 예취 클러치(G)를 오프 조작하는 예취부(B)의 설정 높이를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의 작용·효과〕
이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예취 클러치 레버(33)의 조작에 연계해서 조작 와이어(W)의 아우터 와이어(98)의 한쪽 단부를 변위시켜 이너 와이어(97)를 긴장시키는 상태와, 이완시키는 상태로 전환하여 예취 클러치(G)의 단속을 행하기 때문에, 링크나 로드를 사용해서 예취 클러치(G)를 조작하는 것에 비해 구성이 단순화된다.
예취부(B)의 승강에 연계해서 연동 조작 기구(K)가 조작 와이어(W)의 아우터 와이어(98)의 다른 쪽 단부를 변위 시킴으로써 예취 클러치(G)의 단속을 행하기 때문에, 전용의 조작 부재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예취 클러치(G)의 단속이 가능해진다. 연동 조작 기구(K)로서 로드 재(111)와 롤러(115)를 갖는 작동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예취 클러치(G)를 조작하는 구성이 단순해져, 원활한 작동을 실현하고 구성도 간소화된다.
또한, 연동 조작 기구(K)의 로드 재(111)를 홀더(120)에 끼움 지지했을 경우에는, 연동 조작 기구(K)에 의한 예취 클러치(G)의 단속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예취부(B)를 상승시킨 상태에서도 예취부(B)의 반송 장치(8)를 계속적으로 작동시켜, 예취 곡물대를 탈곡 장치(D)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운전 좌석(22)의 좌측 후방쪽 위치에 배출 클러치 레버(35)와, 풍구 풍량 조절 레버(36)와, 배출 볏짚 경로 전환 레버(37)를 병렬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레버의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풋레스트(27)의 자세의 변경에 의해, 필요할 경우에는 사용 자세로 설정함으로써 풋레스트(27)에 발을 얹어 작업을 행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납 자세로 설정함으로써 데크(21)를 넓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기체 프레임(AF)에서 데크(21)를 제거함으로써, 데크(21)와 함께 풋레스트(27)를 제거하게 되어,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조종 레버(24)를 조작할 경우에는, 암레스트(41)에 손을 얹음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버저(45)의 음성 발생면(45A)을 조종 탑(23)의 리어 플레이트(44)의 개구(44B)를 통해 후방에 노출시키고 있으므로, 운전자가 알람음을 양호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레버 조작부의 시일 구조의 실시 형태를 콤바인에 적용했을 경우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의 주행 장치(1001)의 구동에 의해 주행 기체(1002)가 주행 가능하게 구성되고, 그 주행 기체(1002)의 전방부에, 포장의 식립(植立) 곡물대를 예취하고, 예취한 곡물대를 후방으로 반송하는 예취부(1003)가 요동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주행 기체(1002)는, 예취부(1003)에서 예취된 예취 곡물대를 수취해서 탈곡 및 선별 처리하는 탈곡 장치(1004), 탈곡 장치(1004)에서 탈곡 및 선별 처리함으로써 얻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1005), 운전부(1006), 및 그 운전부(1006)의 상방을 덮는 캐빈(1007) 등을 기체 프레임(1008)에 지지되는 상태로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1006)는, 운전 좌석(1009)의 전방측에 프론트 패널(1010)이 구비되고, 이 프론트 패널(1010)에는 조종 레버(1011)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1012) 등이 장비되어 있다. 운전 좌석(1009)의 좌측에는, 조작 패널의 일례로서의 사이드 패널(1013)이 구비되고, 이 사이드 패널(1013)에는, 주변속 레버(1014), 부변속 레버(1015), 예취 클러치 레버(1016), 탈곡 클러치 레버(1017) 등이 장비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운전부(1006)의 하방에는 구동용의 엔진(1018)을 구비한 원동부(1019)가 설치되어 있다(도 17 참조).
운전부(1006)는 상방이 캐빈(1007)에 의해 덮이고, 이 캐빈(1007)의 내부에는 외부 공간과 구획되는 상태로 폐쇄된 공간인 운전실(R1100)이 형성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1007)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만곡 형상의 전방부 유리부(1020)가 구비되고, 우측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폭이 넓은 도어(1021)가 후방부측의 상하 축심(Y100) 주위에서 요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021)는, 직사각 형상의 상측의 프레임부(1023)와 하측의 프레임부(1024)를 각각 구비한 도어 프레임(1022)에 의해 전체가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측의 프레임부(1023)에는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2장의 유리(1025)가 지지되고, 하측의 프레임부(1024)에는 위치 고정 상태에서 하측의 유리(1026)가 지지되어 있다. 상측의 유리(1025)는,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운전 좌석(1009)에 착석하는 운전자의 횡측방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 프레임(1022)이 힌지(1027)를 통해 캐빈 본체측 프레임(1028)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어(1021)는, 요동 단부측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로크 구(1029)가 구비되고, 이 로크 구(1029)가 캐빈 본체측 프레임(1028)에 구비된 걸림부(1030)에 걸려서 위치 유지하는 위치 유지 상태와 위치 유지를 해제하는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1021)의 외주부에는, 캐빈 본체측 프레임(1028)에 있어서 도어(1021)로 개폐되는 개구의 주연부에 구비된 둘레 프레임부(1032)에 탄성적으로 변형하면서 접촉하는 시일재(1033)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하 방향으로 폭이 넓은 도어(1021)가 상하 방향 중간부에 설치된 로크 구(1029)로 위치 유지되는 것에서는, 그 위치 유지 상태에 있어서, 도어(1021)의 상하 방향의 양쪽 측단부에서, 시일재(1033)와 캐빈 본체측 프레임(1028)의 둘레 프레임부(1032)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021)의 시일(1033)로서, 고무제의 웨더스트립으로 구성되는 표준적인 중공 형상의 제1 시일재(1034)와, 상하 방향 중간부가 두꺼우면서 또한 상하 방향의 양쪽 측단부에 근접할수록 얇아지도록 가운데가 부풀어오른 형상으로 형성된 고무제의 제2 시일재(1035)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1022)도 제2 시일재(1035)의 형상을 따르도록, 상하 중앙부가 캐빈 본체측 프레임(1028)의 둘레 프레임부(1032)로부터 이격되는 측에 완만한 산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다. 즉, 도어 프레임(1022)은, 상하 방향의 양쪽 측단부가 캐빈 본체측 프레임(1028)의 둘레 프레임부(1032)에 근접한 상태이고, 상하 방향 중간부가 캐빈 본체측 프레임(1028)의 둘레 프레임부(1032)로부터 약간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완만하게 산 형상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로크 구(1029)로 위치 유지시키는 상태에서, 도어(1021)의 상하 방향의 양쪽 측단부에서 도어(1021)와 캐빈 본체측 프레임(1028)의 둘레 프레임부(1032)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다음으로, 운전부(1006)의 사이드 패널(1013)에서의 레버 조작부의 시일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1013)은, 상부 패널(1036)과 측부 패널(1037)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고,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속 레버(1014)는, 상부 패널(1036)의 하방측에서, 횡축 코어(X1100) 주위로 전후 요동 가능하면서 또한 전후 축심(Z1100) 주위로 좌우 요동 가능하게 기체측 고정부(1038)에 지지되며, 상부 패널(1036)에 형성된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1039)을 상하로 삽입 관통해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주변속 레버(1014)는, 차속을 변경 조작 가능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기체 주행용의 정유압식의 무단 변속 장치와 도시하지 않은 링크 기구를 통해 연동 연계되어 있고, 전진 변속용의 전후 조작 영역(a1100), 후진 변속용의 전후 조작 영역(a2100), 그들 사이에 위치하는 중립 조작용의 좌우 조작 영역(a3100)을 구비하도록, 평면에서 볼 때 차이가 큰 형상의 이동 조작 경로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부 패널(1036)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이동 조작 경로를 따르도록 평면에서 볼 때 차이가 큰 형상의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1039)이 형성되어 있다. 이 주변속 레버(1014)는, 횡단면 형상이 대략 원형 형상이 되도록 둥근 막대 형상의 부재를 사용해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주변속 레버(1014)의 시일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3 내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속 레버(1014)의 이동 조작을 허용하는 상태로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1039)을 폐쇄하는 시일 부재(104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시일 부재(1040)는, 스펀지(발포재) 등과 같이, 탄성 변형이 가능하면서 또한 공기의 통과를 저지하는 것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주변속 레버용의 시일 부재(1040)는, 평면에서 볼 때 상부 패널(1036)에 형성된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1039)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설치되고,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1039)의 상방을 덮는 상태이면서 또한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유지 부재(1041)에 의해 유지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유지 부재(1041)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1039)과 거의 동일한, 주변속 레버(1014)의 이동 조작을 허용하기 위한 삽입 관통 구멍(10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일 부재(1040)의 외형 형상은 유지 부재(1041)의 삽입 관통 구멍(1042)의 형상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시일 부재(1040)가, 유지 부재(1041)의 삽입 관통 구멍(1042)에 끼워지는 상태로 구비되고, 횡측면이 유지 부재(1041)의 삽입 관통 구멍(1042)의 내면에 접착제로 접착해서 유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시일 부재(1040)는,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1039)으로부터 상방 외측으로 돌출되는 주변속 레버(1014)의 주위를 전후 요동 범위의 전체 범위에 걸쳐 시일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주변속 레버(1014)의 요동 조작 범위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고, 주변속 레버(1014)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 관통하는 동시에 전후 방향의 요동 이동 조작을 허용하는 슬릿(1043)이 이동 조작 경로를 따른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일 부재(1040)의 상부면(1040a) 및 유지 부재(1041)의 상부면(1041a)은, 측면에서 보아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원호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변속 레버(1014)에는, 이 시일 부재(1040) 및 유지 부재(1041)의 원호 형상의 상부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조작판(1044)이, 주변속 레버(1014)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없는 상태이면서 또한 판면이 축심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자세로 주변속 레버(1014)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조작판(1044)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속 레버(1014)가 어느 조작 위치에 있어도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1039)을 좌우 방향에 걸쳐 덮도록, 평면에서 볼 때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1039)의 좌우 폭보다 큰 직경의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 부재(1040)의 상부면(1040a)을 따르도록 측면시에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주변속 레버(1014)의 이동 조작에 수반해서 슬라이드 조작판(1044)이 시일 부재(1040)의 상부면(1040a)을 따라 슬라이드하면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지 부재(1041)의 상측에는, 슬라이드 조작판(1044)이 시일 부재(1040)의 상부면(1040a)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상방측으로부터 안내하는 안내 부재(1045)가 구비되어 있다. 이 안내 부재(1045)는, 평면에서 볼 때 유지 부재(1041)와 동일한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면(1045a)은, 시일 부재(1040)의 상부면(1040a) 및 유지 부재(1041)의 상부면(1041a)에 대향하도록 측면에서 보아 가운데가 오목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부재(1045)에는, 유지 부재(1041)의 삽입 관통 구멍(1042)과 거의 동일한 주변속 레버(1014)의 이동 조작을 허용하기 위한 삽입 관통 구멍(104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 부재(1045)와 유지 부재(1041)의 사이에, 주변속 레버(1014)의 요동 조작에 수반해서 슬라이드 조작판(1044)이 통과하는 간극을 형성하기 위한 고무제의 간극 형성 부재(1047)가, 안내 부재(1045)와 유지 부재(1041)의 각각에 접착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이 간극 형성 부재(1047)는, 삽입 관통 구멍(1046)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상태이면서 또한 전후 방향의 대략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주변속 레버(1014)의 요동 조작에 수반하여, 시일 부재(1040)의 슬릿(1043)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속 레버(1014)의 레버 이동 방향의 전후에 있어서 대략 삼각 형상의 간극(S100)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어도, 슬라이드 조작판(1044)이 이 슬릿(1043)에 형성된 대략 삼각 형상의 간극(S100)의 상부측을 덮는 상태가 되어, 간극(S100)을 폐쇄할 수 있다. 게다가, 슬라이드 조작판(1044)은, 간극 형성 부재(1047)에 의해 형성된 안내 부재(1045)와 유지 부재(1041)의 사이에서 간극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어, 시일 부재(1040)에 의한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변속 레버(1015)는, 상부 패널(1036)의 하방측에서, 도시하지 않은 횡축 코어 주위에서 전후 요동 가능하게 기체측 고정부에 지지되고, 상부 패널(1036)에 형성된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1050)을 상하로 삽입 관통해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부변속 레버(1015)는, 주행 구동계에 구비된 부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도시하지 않은 연동 기구를 통해 연동 연계되어 있고, 이 부 변속 장치를, 통상의 예취 작업용의 표준 상태, 도복 곡물대 등을 예취하기 위한 저속 상태, 노상 주행용의 고속 상태의 3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속 상태를 지령하는 "고속" 위치, 표준 상태를 지령하는 "표준" 위치, 저속 상태를 지령하는 "저속" 위치의 각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의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105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변속 레버(1015)는, 횡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도록 띠판 형상의 부재를 사용해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부변속 레버(1015)의 시일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부변속 레버(1015)의 이동 조작을 허용하는 상태로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1050)을 폐쇄하는 시일 부재(1051)가 구비되고 있다. 이 시일 부재(1051)는, 주변속 레버용의 시일 부재(1040)와 마찬가지로, 스펀지(발포재) 등과 같이, 탄성 변형이 가능하면서 또한 공기의 통과를 저지하는 것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 부재(1051)는, 상부 패널(1036)에 형성된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1050)의 상방을 덮는 상태이면서 또한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유지 부재(1052)에 의해 유지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시일 부재(1051)의 상부면(1051a)은, 측면에서 보아 거의 원호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좌우 폭 방향의 중앙부에는, 부변속 레버(1015)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 관통하는 동시에 전후 방향의 요동 이동 조작을 허용하는 슬릿(1053)이 이동 조작 경로를 따른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유지 부재(1052)는, 평면에서 볼 때 전후 방향으로 폭이 넓고 좌우 방향으로 폭이 좁은 직사각 형상으로 설치되고, 그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부변속 레버(1015)가 상하로 삽입 관통하는 안내용 개구부가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용 개구부 중 상방측 개소에는, 부변속 레버(1015)가 간극의 적은 상태로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이 좁은 레버 통과부(105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용 개구부(1054) 중 하방측 개소에는, 부변속 레버(1015)가 삽입 관통하는 동시에 레버 통과부(1055)보다 폭이 넓은 수납 공간(1056)이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납 공간(1056)에 시일 부재(1051)가 수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변속 레버(1015)에는, 시일 부재(1051)의 원호 형상의 상부면(1051a)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조작판(1057)이, 부변속 레버(1015)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없는 상태이면서 또한 판면이 축심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자세로 부변속 레버(1015)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조작판(1057)은,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변속 레버(1015)가 어느 조작 위치에 있어도 시일 부재(1051)의 상부면(1051a)을 좌우 방향에 걸쳐 덮도록, 평면에서 볼 때 시일 부재(1051)의 좌우 폭보다 큰 횡폭의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부재(1052)에서의 레버 통과부(1055)가 형성되는 상부측 부분과 수납 공간(1056)이 형성되는 하부측 부분의 상하 중간부에, 슬라이드 조작판(1057)이 이동하기 위한 안내 홈(1058)이 형성되어 있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변속 레버(1015)의 이동 조작에 수반해서 슬라이드 조작판(1057)이 시일 부재(1051)의 상부면(1051a)을 따라 슬라이드하면서 이동하도록, 안내 홈(1058)은 측면에서 보아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부변속 레버(1015)의 이동 조작에 수반해서 슬라이드 조작판(1057)이 시일 부재(1051)의 상부면(1051a)을 따라 슬라이드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변속 레버(1015)가 어느 조작 위치로 조작되어도, 슬라이드 조작판(1057)은 안내 홈(1058)에 끼워진 상태로 안내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부변속 레버(1015)의 요동 조작에 수반하여, 시일 부재(1051)의 슬릿(1053)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삼각 형상의 간극(S100)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어도, 슬라이드 조작판(1057)으로 덮음으로써 간극(S100)을 폐쇄할 수 있다. 게다가, 슬라이드 조작판(1057)은, 유지 부재(1052)에 형성된 안내 홈(1058)에 의해 끼워져 간극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어, 시일 부재(1051)에 의한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조작 레버로서의 예취 클러치 레버(1016) 및 탈곡 클러치 레버(1017)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지만, 예취 클러치 및 탈곡 클러치는, 모두 벨트 텐션식 클러치로 구성되어 있고, 텐션 롤러의 긴장력을 느슨하게 함으로써 클러치 오프 상태가 되고, 텐션 롤러에 의해 긴장력을 부여함으로써 클러치 온 상태가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 클러치를 온 오프 조작하는 예취 클러치 레버(1016), 및 탈곡 클러치를 온 오프 조작하는 탈곡 클러치 레버(1017)는, 사이드 패널(1013)에 좌우 방향으로 배열해서 구비되어 있고, 이들 각 클러치 레버(1016, 1017)는, 모두 클러치 온을 지령하는 클러치 온 위치와, 클러치 오프를 지령하는 클러치 오프 위치의 2 위치에 걸쳐 이동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2 위치에서만 위치 유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취 클러치 레버(1016) 및 탈곡 클러치 레버(1017)는 클러치 조작용의 연계 구조는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탈곡 클러치 레버(1017)의 조작용의 연계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고, 예취 클러치 레버(1016)의 조작용의 연계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단, 도시하지 않지만, 탈곡 클러치 레버(1017)가 클러치 오프 상태일 때에, 예취 클러치 레버(1016)를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 클러치 온 상태로 조작하면, 탈곡 클러치 레버(1017)도 클러치 온 상태로 연동해서 전환되도록, 도시하지 않은 연계 기구를 통해 연동 연계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예취 클러치 레버(1016) 및 탈곡 클러치 레버(1017)는, 클러치 온 위치와 클러치 오프 위치의 2개의 조작 위치로 이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클러치 레버(1017)는, 횡단면 형상이 대략 원형 형상인 환봉재를 거의 "ㄴ"자 형상으로 구부린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부 패널(1036)의 하방측에서, 횡축 코어(X3100) 주위로 전후 요동 가능하게 기체측 고정부에 지지되고, 상부 패널(1036)에 형성된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1060)을 상하로 삽입 관통해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탈곡 클러치 레버(1017)의 시일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클러치 레버(1017)의 이동 조작을 허용하는 상태로 상부 패널(1036)에 형성된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1060)을 폐쇄하는 시일 부재(1065)가 구비되어 있다. 이 시일 부재(1065)는, 주변속 레버용의 시일 부재(1040)나 부변속 레버용의 시일 부재(1051)와 마찬가지로, 스펀지(발포재) 등과 같이, 탄성 변형이 가능하면서 또한 공기의 통과를 저지하는 것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클러치 레버용의 시일 부재(1065)는, 탈곡 클러치 레버(1017)의 이동 조작을 허용하는 슬릿(1066)이 형성된 탄성 변형 가능한 상하 2개의 시일 단위체(1065A, 1065B)를, 적어도 어느 한쪽의 시일 단위체에서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개소에 트인 구멍(1067)을 형성하는 상태로 구비해서 구성되고, 또한, 트인 구멍(1067)이 위치하는 개소에 그 트인 구멍(1067)이 형성된 시일 단위체와는 다른 시일 단위체의 슬릿(1066)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2개의 시일 단위체(1065A, 1065B)를 겹쳐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2장의 시일 단위체(1065A, 1065B)에는, 각각, 탈곡 클러치 레버(1017)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 관통하는 동시에 전후 방향의 요동 이동 조작을 허용하는 슬릿(1066)이 이동 조작 경로를 따른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시일 단위체(1065A)에는, 클러치 온 위치에 대응하는 개소에, 탈곡 클러치 레버(1017)의 횡단면 형상과 거의 동일한 원형 형상의 트인 구멍(1067)이 형성되고,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시일 단위체(1065B)에는, 클러치 오프 위치에 대응하는 개소에, 탈곡 클러치 레버(1017)의 횡단면 형상과 거의 동일한 원형 형상의 트인 구멍(106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시일 단위체(1065A, 1065B)에서의 슬릿(1066) 및 트인 구멍(1067)이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한 외주 부분끼리를 접착 수단으로서의 양면 테이프(T100)(지지 수단의 일례)로 접착함으로써, 2개의 시일 단위체(1065A, 1065B)를 겹쳐서 위치 고정 상태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부 패널(1036)에서의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1060)이 형성된 개소에, 하측의 시일 단위체(1065B)에서의 슬릿(1066) 및 트인 구멍(1067)이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한 외주 부분(1068)과, 상부 패널(1036)에서의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1060)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외한 외주 부분(1069)을 양면 테이프(T100)로 접착시켜, 하측의 시일 단위체(1065B)와 상측의 시일 단위체(1065A)를, 슬릿(1066) 및 트인 구멍(1067)이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한 외주 부분(1068)끼리를 양면 테이프(T100)로 접착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양면 테이프(T100)로 접착시킴으로써, 각 시일 단위체(1065A, 1065B)의 슬릿(1066) 및 트인 구멍(1067)이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한 외주 부분(1068)을 보강할 수 있어, 탈곡 클러치 레버(1017)의 이동 조작이 반복해서 행해짐으로써 슬릿(1066)이 넓어져버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시일 부재(1065)에서는, 클러치 온 위치와 클러치 오프 위치의 2개의 조작 위치 중, 탈곡 클러치 레버(1017)가 존재하지 않은 조작 위치에서는, 한쪽의 시일 단위체(1065A 또는 1065B)에는 트인 구멍(1067)이 형성되지만, 다른 쪽의 시일 단위체(1065A 또는 1065B)에 형성되는 슬릿(1066)은 폐쇄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다.
탈곡 클러치 레버(1017)가 존재하고 있는 조작 위치에서는, 한쪽의 시일 단위체(1065A 또는 1065B)에는 슬릿(1066)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삼각 형상의 간극(S100)이 형성되지만, 클러치 온 위치와 클러치 오프 위치의 2개의 조작 위치에서는, 어느 하나의 시일 단위체(1065A 또는 1065B)에 형성된 트인 구멍(1067)에 탈곡 클러치 레버(1017)가 들어가, 슬릿(1066)을 좌우 방향으로 밀어 넓혀서 간극이 발생하지 않아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취 클러치 레버(1016)의 시일 구조에 대해서는, 탈곡 클러치 레버(1017)의 시일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실시 형태〕
이하, 다른 실시 형태를 열기한다.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탈곡 클러치 레버 등의 복수의 조작 위치에 걸쳐 이동 조작 가능하게 조작 레버에 대한 시일 부재(1065)로서, 다음의 (1-1) 내지 (1-4)에 기재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어도 좋다.
(1-1)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 구성의 시일 단위체(1065C)를 서로 전후 방향을 반전시킨 상태로 겹친 구성으로 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렇게 구성하면 제작 공정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2)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의 각 조작 위치의 각각에 트인 구멍(1067)을 형성한 시일 단위체(1065D)와, 슬릿(1066)만을 형성한 시일 단위체(1065D)를 겹친 구성으로 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각 시일 단위체(1065D, 1065E)를 상하 반대로 해서 겹치는 구성이어도 좋다.
(1-3) 조작 레버의 복수의 조작 위치로서 3군데 이상의 조작 위치로 이동 조작하는 구성으로 해서, 3군데 이상의 각 조작 위치에 각각 트인 구멍(1067)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1-4) 3개 이상의 시일 단위체를 겹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2) 주변속 레버(1014)의 시일 구조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좋다.
도 35 및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한 유지 부재(1041)와, 안내 부재(1045)와, 그것들의 간극을 형성하기 위한 간극 형성 부재(1047)를 구비하는 점은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하지만,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일 부재(1040)가 구비되어 있지 않고, 그 대신에, 주변속 레버(1014)가 어느 조작 위치로 조작되어도, 상부 패널(1036)에 형성된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1039)을 폐쇄할 수 있도록, 레버 이동 조작 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된 제1 슬라이드 조작판(1070)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 제1 슬라이드 조작판(1070)은, 고무나 연질의 수지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주변속 레버(1014)의 이동 조작에 수반하여, 상부 패널(1036)의 표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슬라이드 조작판(1070)에는, 주변속 레버(1014)의 좌우 방향의 이동 조작을 허용하는 긴 구멍(1071)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주변속 레버(1014)에는,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원형 형상의 제2 슬라이드 조작판(1072)이 구비되고, 이 제2 슬라이드 조작판(1072)에 의해 긴 구멍(1071)에 의한 개구 부분을 폐쇄하도록 하고 있다.
(3) 부변속 레버(1015)의 시일 구조로서, 다음의 (3-1), (3-2)에 기재한 바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3-1)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한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일 부재(1051)가 구비되어 있지 않고, 부변속 레버(1015)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조작판(1073)이, 부변속 레버(1015)가 어느 조작 위치로 조작되어도, 상부 패널(1036)에 형성된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1050)을 폐쇄할 수 있도록, 레버 이동 조작 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슬라이드 조작판(1073)은, 고무나 연질의 수지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부변속 레버(1015)의 이동 조작에 수반하여, 상부 패널(1036)의 표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3-2) 상기 슬라이드 조작판(1073)을 원호 형상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아니라, 도 38 내지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조작판(1073)이, 부변속 레버(1015)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동시에, 좌우 양측을 지지 부재(1074)에 의해 떠오르는 것을 저지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어도 좋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시일 단위체를 겹친 상태에서 위치 고정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수단으로서, 접착 수단으로서의 양면 테이프(T100)를 사용하도록 했지만, 접착 수단으로서 접착제를 사용하도록 해도 좋고, 또한, 접착 수단 대신에, 시일 단위체의 주연부끼리를 끼워 넣어 지지해서 위치 고정 상태로 지지하는 구성 등, 다양한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콤바인에서의 레버 조작부의 시일 구조에 대해서 기재했지만, 본 발명은, 콤바인에 한하지 않고, 트랙터나 무논 작업기 등의 각종 작업기의 레버 조작부의 시일 구조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콤바인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도 41에 의해 설명한다.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에 있어서, 기체의 하부에는, 기체를 주행시키는 크롤러식의 주행부(200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기체의 전방부에는, 곡물대를 예취해서 반송하는 예취부(2002)가 구비되어 있다. 예취부(2002)는, 기체 좌우 방향의 요동축(P200)을 지지점으로 해서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체의 좌측부에는, 곡물대를 탈곡하는 탈곡부(2003)가 구비되어 있다. 탈곡부(2003)의 좌측부에는, 곡물대를 반송하는 피드 체인(2004)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탈곡부(2003)의 하측에는, 탈곡 처리물을 선별하는 선별부(2005)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탈곡부(2003)의 후방측에는, 배출 볏짚 등의 탈곡 처리물을 기체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 볏짚 처리부(2006)가 구비되어 있다. 배출 볏짚 처리부(2006)에는, 배출 볏짚을 반송하는 배출 볏짚 체인(2007) 및 이삭 끝 체인(2008)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 볏짚 처리부(2006)에는, 배출 볏짚을 절단하는 커터(2009) 및 커터(201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 볏짚 처리부(2006)에는, 배출 볏짚을 확산시키는 확산 장치(201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기체의 우측부에는, 선별 후의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2012)가 구비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2012)의 전방에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운전부(2013)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부(2013)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석(2014)이 구비되어 있다. 운전부(2013)의 하방에는, 동력원이 되는 엔진(2015)이 구비되어 있다.
다음으로, 탈곡부(2003) 및 선별부(2005)에 대해서 도 42에 의해 설명한다.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부(2003)는, 곡물대를 반송하는 피드 체인(2004)과, 곡물대를 탈곡하는 급동(2016)과, 탈곡 처리물을 누하(漏下) 선별하는 수망(2017)과, 탈곡 처리물로부터 곡립을 분리시키는 분리 드럼(2018)과, 진애를 기체 외부로 배출하는 배진 팬(2019)을 구비하고 있다.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별부(2005)는, 요동 선별 장치(2020)와, 주 풍구(2021)와, 부 풍구(2022)와, 2번 풍구(2023)와, 1번 회수부(2024)와, 2번 회수부(2025)를 구비하고 있다.
요동 선별 장치(2020)는, 수망(2017)으로부터 누하된 탈곡 처리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선별한다. 요동 선별 장치(2020)는, 시브 케이스(2026)와, 그레인 팬(2027)과, 채프 시브(2028)와, 스트로우 랙(2029)과, 그레인 시브(2030)를 구비하고 있다.
시브 케이스(2026)는, 편심 캠식의 요동 기구(2031)에 의해 전후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시브 케이스(2026)의 상부측에는, 전방에서부터 순서대로 그레인 팬(2027), 채프 시브(2028) 및 스트로우 랙(2029)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시브 케이스(2026)의 하부측에는, 그레인 시브(2030)가 설치되어 있다.
그레인 팬(2027)은, 시브 케이스(2026)와 함께 전후 요동함으로써, 수망(2017)으로부터의 탈곡 처리물을 비중차 선별하여, 비중이 작은 볏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와 비중이 큰 곡립으로 상하로 층 분리하면서, 후방의 채프 시브(2028)로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채프 시브(2028)는, 기체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정렬된 복수의 채프 립판(2028a)을 구비하고 있다. 채프 시브(2028)는, 시브 케이스(2026)와 함께 전후 요동함으로써, 수망(2017) 및 그레인 팬(2027)으로부터의 탈곡 처리물을 체로 쳐서 선별하여, 곡립 등을 채프 립판(2028a)의 사이로 누하시키면서, 채프 립판(2028a)의 사이로 누하되지 않은 탈곡 처리물을 후방의 스트로우 랙(2029)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트로우 랙(2029)은, 기체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정렬된 복수의 랙판(2029a)을 구비하고 있다. 스트로우 랙(2029)은, 시브 케이스(2026)와 함께 전후 요동함으로써, 곡립 등을 랙판(2029a)의 사이로 누하시키면서, 랙판(2029a)의 사이로 누하되지 않은 볏짚 부스러기 등을 후단부로부터 낙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레인 시브(2030)는, 시브 케이스(2026)와 함께 전후 요동함으로써, 채프 시브(2028)로부터의 곡립 등을 체로 쳐서 선별하여, 단립화 곡립을 첫번째로 누하시키면서, 누하되지 않은 이삭가지가 붙은 곡립 등을 두번째로서 볏짚 부스러기 등과 함께 후단부로부터 낙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 풍구(2021)는, 탈곡 처리물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풍을 요동 선별 장치(2020)의 하부에 공급한다. 부 풍구(2021)는, 탈곡 처리물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풍을 요동 선별 장치(2020)의 상부에 공급한다. 2번 풍구(2023)는, 탈곡 처리물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풍을 요동 선별 장치(2020)의 후방부에 공급한다.
1번 회수부(2024)는, 요동 선별 장치(2020)의 전방부측에서 누하되어 선별풍을 받으면서 낙하하는 단립화 곡립을 첫번째의 것으로서 회수한다. 1번 회수부(2024)는, 첫번째의 곡립을 횡방향(우측 방향)으로 반송하는 1번 스크류(2032)와, 첫번째의 곡립을 1번 스크류(2032)로부터 계승해서 종방향(상방향)으로 반송하는 1번 세로 스크류(2033)를 구비하고 있다. 1번 회수부(2024)는, 첫번째의 곡립을 1번 스크류(2032)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반송하고, 1번 스크류(2032)로부터 계승한 첫번째의 곡립을 1번 세로 스크류(2033)에 의해 상방향으로 반송해서 그레인 탱크(2012)에 저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2번 회수부(2025)는, 요동 선별 장치(2020)의 후방부측에서 누하되어 선별풍을 받으면서 낙하하는 이삭가지가 붙은 곡립 등을 2번물로서 회수한다. 2번 회수부(2025)는, 2번물의 곡립을 횡방향(우측 방향)으로 반송하는 2번 스크류(2034)와, 2번물의 곡립을 2번 스크류(2034)로부터 계승해서 종방향(상방향)으로 반송하는 2번 세로 스크류(2035)를 구비하고 있다. 2번 회수부(2025)는, 2번물의 곡립을 2번 스크류(2034)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반송하고, 2번 스크류(2034)로부터 계승한 2번물의 곡립을 2번 세로 스크류(2035)에 의해 상방향으로 반송해서 요동 선별 장치(2020)에 환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콤바인에서의 동력 전달 경로에 대해, 도 43에 의해 설명한다.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2015)의 출력축(2015a)의 동력은, 벨트 전달 기구(2036)에 의해 카운터 축(2037)에 전달된다. 카운터 축(2037)의 동력은, "전달 기구"로서의 벨트 전달 기구(2038)에 의해, 구동 유닛(2039)의 입력축(2040)에 전달된다.
벨트 전달 기구(2038)는, 카운터 축(2037)의 동력을 입력축(2040)에 전달한다. 벨트 전달 기구(2038)는, 입력축(2040)에 설치된 "입력 회전체"로서의 입력 풀리(2041)와, 카운터 축(2037)에 설치된 카운터 풀리(2042)와, 입력 풀리(2041) 및 카운터 풀리(2042)에 감겨진 동력 전달용의 "무단체"로서의 벨트(204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구동 유닛(2039)의 출력축(2044)의 동력은, 구동 스프로킷(2045)에 의해 피드 체인(2004)에 전달된다.
또한, 카운터 축(2037)의 동력은, 베벨 기어 전달 기구(2046)에 의해 전달축(2047)에 전달된다. 전달축(2047)의 동력은, 벨트 전달 기구(2048)에 의해, 급동(2016)의 회전축(2016a) 및 전달축(2049)에 전달된다. 전달축(2049)의 동력은, 벨트 전달 기구(2050)에 의해 전달축(2051)에 전달된다. 전달축(2051)의 동력은, 베벨 기어 전달 기구(2052)에 의해 전달축(2053)에 전달된다. 전달축(2053)의 동력은, 체인 전달 기구(2054)에 의해, 배출 볏짚 체인(2007) 및 이삭 끝 체인(2008)의 회전축(2055)에 전달된다.
또한, 카운터 축(2037)의 동력은, 기어 전달 기구(2056)에 의해 전달축(2057)에 전달된다. 전달축(2057)의 동력은, 벨트 전달 기구(2058)에 의해, 주 풍구(2021)의 회전축(2021a) 및 부 풍구(2022)의 회전축(2022a)에 전달된다. 또한, 전달축(2057)의 동력은, 벨트 전달 기구(2059)에 의해 1번 스크류(2032)의 회전축(2032a)에 전달된다. 1번 스크류(2032)의 회전축(2032a)의 동력은, 베벨 기어 전달 기구(2060)에 의해, 1번 세로 스크류(2033)의 회전축(2033a)에 전달된다. 또한, 1번 스크류(2032)의 회전축(2032a)의 동력은, 벨트 전달 기구(2061)에 의해, 분리 드럼(2018)의 회전축(2018a), 2번 스크류(2034)의 회전축(2034a), 2번 풍구(2023)의 회전축(2023a), 전달축(2062) 및 전달축(2063)에 전달된다.
또한, 2번 스크류(2034)의 회전축(2034a)의 동력은, 체인 전달 기구(2064)에 의해 전달축(2065)에 전달된다. 전달축(2065)의 동력은, 베벨 기어 전달 기구(2066)에 의해 2번 세로 스크류(2035)의 회전축(2035a)에 전달된다.
또한, 전달축(2062)의 동력은, 벨트 전달 기구(2067)에 의해 요동 기구(2031)의 요동축(2031a)에 전달된다.
또한, 전달축(2063)의 동력은, 기어 전달 기구(2068)에 의해 배진 팬(2019)의 회전축(2019a)에 전달된다. 또한, 전달축(2063)의 동력은, 벨트 전달 기구(2069)에 의해 커터(2009)의 회전축(2009a)에 전달된다. 커터(2009)의 회전축(2009a)의 동력은, 체인 전달 기구(2070)에 의해 전달축(2071)에 전달된다. 전달축(2071)의 동력은, 기어 전달 기구(2072)에 의해 커터(2010)의 회전축(2010a)에 전달된다. 또한, 커터(2009)의 회전축(2009a)의 동력은, 벨트 전달 기구(2073)에 의해 확산 장치(2011)의 회전축(2011a)에 전달된다.
다음으로, 피드 체인(2004) 및 구동 유닛(2039)에 대해서, 도 44 및 도 45에 의해 설명한다.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드 체인(2004)은, 구동 스프로킷(2045), 반송 시단부측(전단부측)에 배치된 전방 종동 스프로킷(2074), 반송 종단부측(후단부측)에 배치된 후방 종동 스프로킷(2075)(도 42 참조) 및 "텐션 회전체"로서의 텐션 롤러(2076)에 감겨져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드 체인(2004)의 반송 경로 중, 전방 종동 스프로킷(2074)과 후방 종동 스프로킷(2075)을 연결하는 직선(L1200)보다 하측이 되는 반송 경로를, "하측 반송 경로"로서 설명한다.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드 체인(2004)의 하측 반송 경로에는, 피드 체인(2004)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2077)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2077)은, 피드 체인(2004)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반송 시단부측(전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2077)은, 피드 체인(2004)의 하측으로부터 피드 체인(2004)의 외주부에 접촉하고 있다.
텐션 롤러(2076)는, 피드 체인(2004)에 긴장력을 부여한다. 텐션 롤러(2076)는, 구동 스프로킷(2045)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텐션 롤러(2076)는, 피드 체인(2004)의 하측 반송 경로에 대하여, 피드 체인(2004)의 상측으로부터 피드 체인(2004)의 내주부에 접촉하고 있다. 텐션 롤러(2076)는, "아암 부재"로서의 텐션 아암(2078)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텐션 아암(2078)은, 일단부에 텐션 롤러(207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텐션 아암(2078)의 타단부는, 출력축(2044)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텐션 아암(2078)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도 44 및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유닛(2039)은, 피드 체인(2004)에 동력을 전달한다. 구동 유닛(2039)에는, 엔진(2015)의 동력이 카운터 축(2037)을 통해 전달된다. 구동 유닛(2039)은, 피드 체인(2004)의 반송 시단부측(전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 유닛(2039)은, 입력축(2040)과, 출력축(2044)과, 구동 스프로킷(2045)과, 변속 기구(2079)와, 구동 케이스(2080)와, 클러치(2081)와, 중계축(2082)과, 변속 조작부(2083)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측면시에서, 입력축(2040)과, 출력축(2044)과, 카운터 축(2037)을 연결하는 선(L2200)은, 삼각형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카운터 축(2037)은, 출력축(2044) 및 입력축(204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카운터 축(2037)의 동력을 입력축(2040)에 전달하는 벨트 전달 기구(2038)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출력축(2044)은, 카운터 축(2037)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입력축(2040)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축(2040)은, 엔진(2015)으로부터 카운터 축(2037)을 경유해 온 동력이 입력된다. 입력축(2040)은, 구동 케이스(2080)에 좌측 베어링(2084) 및 우측 베어링(2085)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입력축(2040)의 좌측 단부측은, 구동 케이스(2080)의 좌측면에서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입력축(2040)의 좌측 단부측에는, 입력 풀리(2041)가 설치되어 있다. 입력 풀리(2041)에는, 벨트(2043)가 감겨져 있다. 입력 풀리(2041)는, 구동 스프로킷(2045)보다 기체 내측(구동 스프로킷(2045)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출력축(2044)은, 입력축(2040)으로부터 입력된 동력을 피드 체인(2004)에 출력한다. 출력축(2044)은, 구동 케이스(2080)에 좌측 베어링(2086) 및 우측 베어링(2087)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출력축(2044)의 좌측 단부측은, 구동 케이스(2080)의 좌측면에서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출력축(2044)의 좌측 단부측에는, 구동 스프로킷(204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출력축(2044)에는, 일체 회전 가능하면서 또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전달 부재"로서의 전달축(2088)이 설치되어 있다. 전달축(2088)은, 출력축(2044)의 외측에 스플라인 끼움되는 중공 형상의 부재다.
구동 스프로킷(2045)은, 출력축(2044)의 좌측 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 스프로킷(2045)에는 피드 체인(2004)이 감겨져 있다. 구동 스프로킷(2045)은, 피드 체인(2004)의 하측 반송 경로에 대하여, 피드 체인(2004)의 하측으로부터 피드 체인(2004)의 외주부에 접촉되어 있다.(도 44 참조)
구동 케이스(2080)는, 입력축(2040), 출력축(2044) 및 중계축(208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변속 기구(2079)를 수용한다. 구동 케이스(2080)는, 피드 체인(2004)보다 기체 내측(피드 체인(2004)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 케이스(2080)는, 기체 좌우 방향으로 2 분할된 반쪽 케이스가 합쳐져서 구성되어 있다. 구동 케이스(2080)의 좌측면에는, 출력축(2044)의 좌측 베어링(2086)을 수용하는 베어링 케이스(2089)가, 볼트(2090)로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 케이스(2089)와 전달축(2088)의 사이에는, 브레이크 장치(2091)가 설치되어 있다.
중계축(2082)은, 입력축(2040)과 출력축(2044)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중계축(2082)은, 구동 케이스(2080)에 좌측 베어링(2092) 및 우측 베어링(2093)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변속 기구(2079)는, 입력축(2040)과 출력축(2044)의 사이에서 동력을 변속한다. 변속 기구(2079)에는, 저속 위치(L200), 고속 위치(H200) 및 중립 위치(N200)가 구비되어 있다. 변속 기구(2079)는, 입력축(2040)의 동력을 중계축(2082)에 저속으로 전달하는 저속 기어열(2094)과, 입력축(2040)의 동력을 중계축(2082)에 고속으로 전달하는 고속 기어열(2095)과, 중계축(2082)의 동력을 출력축(2044)에 전달하는 최종 기어열(2096)을 구비하고 있다. 저속 기어열(2094)과 고속 기어열(2095)은, 최종 기어열(2096)을 사이에 두고 기체 좌우 방향에 배분해서 배치되어 있다. 즉, 최종 기어열(2096)을 사이에 두고, 좌측에 고속 기어열(2095)이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우측에 저속 기어열(2094)이 배치되어 있다.
저속 기어열(2094)은, 입력축(2040)에 설치되는 저속 구동 기어(2097)와, 중계축(2082)에 설치되고, 저속 구동 기어(2097)와 맞물리는 저속 종동 기어(2098)를 구비하고 있다. 저속 구동 기어(2097)는, 입력축(204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저속 종동 기어(2098)는, 중계축(2082)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고속 기어열(2095)은, 입력축(2040)에 설치되는 고속 구동 기어(2099)와, 중계축(2082)에 설치되고, 고속 구동 기어(2099)와 맞물리는 고속 종동 기어(2100)를 구비하고 있다. 고속 구동 기어(2099)는, 입력축(204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고속 종동 기어(2100)는, 중계축(2082)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최종 기어열(2096)은, 중계축(2082)의 동력을 감속해서 출력축(2044)에 전달한다. 최종 기어열(2096)은, 중계축(2082)에 설치되는 최종 구동 기어(2101)와, 출력축(2044)에 설치되고, 최종 구동 기어(2101)와 맞물리는 최종 종동 기어(2102)를 구비하고 있다. 최종 구동 기어(2101)는, 중계축(2082)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최종 구동 기어(2101)는, 중계축(2082)에서의 저속 기어열(2094)(저속 종동 기어(2098))과 고속 기어열(2095)(고속 종동 기어(21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최종 종동 기어(2102)는, 출력축(2044)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변속 조작부(2083)는, 변속 기구(2079)를 변속 조작한다. 즉, 변속 조작부(2083)는, 변속 기구(2079)를 저속 위치(L200), 고속 위치(H200) 및 중립 위치(N200)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도록 변속 조작한다. 변속 조작부(2083)는, 구동 케이스(2080)에서의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측(구동 케이스(2080)의 전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변속 조작부(2083)는, 입력축(2040)에 일체 회전 가능하면서 또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저속 구동 기어(2097) 및 고속 구동 기어(2099)와 끼워 맞춤 가능한 시프터(2103)와, 구동 케이스(2080)에 지지되는 포크 축(2104)과, 포크 축(2104)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프터(2103)에 연결되는 시프터 포크(2105)와, 시프터 포크(2105)를 미끄럼 이동 조작하는 조작구(2106)와, 포크 축(2104)의 축 방향에서의 소정의 위치(저속 위치(L200), 고속 위치(H200) 및 중립 위치(N200))로 시프터 포크(2105)를 위치 결정 가능한 위치 결정 기구(2107)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구(2106)는, 평면에서 보아 구동 케이스(2080)로부터 기체 내측(우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조작구(2106)는, 기체 전후 방향의 요동축(2106a)을 통해, 구동 케이스(2080)의 전방벽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요동축(2106a)에서의 구동 케이스(2080) 내의 단부에는, 시프터 포크(2105)에 연결되는 연결부(2106b)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기구(2107)는, 포크 축(2104)에 형성된 결합 홈열(2108)과, 결합 홈열(2108)과 결합 가능한 결합 볼(2109)과, 결합 볼(2109)을 결합 홈열(2108)에 결합시키도록 가압하는 스프링(2110)을 구비하고 있다. 결합 홈열(2108)은, 저속 결합 홈(2108a)과, 중립 결합 홈(2108b)과, 고속 결합 홈(2108c)을 구비하고 있다.
클러치(2081)는, 입력축(2040)과 출력축(2044)의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한다. 클러치(2081)는, 최종 종동 기어(2102)와 전달축(2088)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클러치(2081)가 동력 전달 상태로 됨으로써, 최종 종동 기어(2102)에 전달된 최종 구동 기어(2101)의 동력이, 전달축(2088)을 통해서 출력축(2044)에 전달된다. 클러치(2081)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맞물림 클러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2081)는, 최종 종동 기어(2102)의 좌측면에 형성된 갈고리부(2102a)와, 전달축(2088)의 우측 단부면에 형성되고, 최종 종동 기어(2102)의 갈고리부(2102a)와 맞물림 가능한 갈고리부(2088a)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달축(2088)이 최종 종동 기어(2102)측(우측)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전달축(2088)의 갈고리부(2088a)와 최종 종동 기어(2102)의 갈고리부(2102a)가 맞물리면, 클러치(2081)가 동력 전달 상태로 된다. 그리고, 클러치(2081)가 동력 전달 상태로 됨으로써, 최종 종동 기어(2102)에 전달된 최종 구동 기어(2101)의 동력이, 전달축(2088)을 통해서 출력축(2044)에 전달된다.
한편, 전달축(2088)이 최종 종동 기어(2102)와는 반대측(좌측)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전달축(2088)의 갈고리부(2088a)와 최종 종동 기어(2102)의 갈고리부(2102a)의 맞물림이 해제되면, 클러치(2081)가 동력 차단 상태로 된다. 그리고, 클러치(2081)가 동력 차단 상태로 됨으로써, 최종 종동 기어(2102)에 전달된 최종 구동 기어(2101)의 동력이, 전달축(2088)을 통해서 출력축(2044)에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예취부(2002)가 상승하면(예취부(2002)가 요동축(P200)을 지지점으로 해서 상방향으로 요동하면), 즉, 예취부(2002)에 대한 동력이 차단되어서 예취부(2002)가 정지하면, 클러치(2081)가 동력 차단 상태로 되어 브레이크 장치(2091)가 작동한다.
다음으로, 구동 유닛(2039)에서의 동력 전달 경로에 대해, 도 45에 의해 설명한다.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기구(2079)에 대해서, 조작구(2106)로 시프터 포크(2105)가 포크 축(2104)의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조작되어, 결합 볼(2109)과 저속 결합 홈(2108a)이 결합하면, 변속 기구(2079)는, 저속 위치(L200)로 바뀐다. 그리고, 결합 볼(2109)과 고속 결합 홈(2108c)이 결합하면, 변속 기구(2079)는, 고속 위치(H200)로 바뀐다. 그리고, 결합 볼(2109)과 중립 결합 홈(2108b)이 결합하면, 변속 기구(2079)는, 중립 위치(N200)로 바뀐다.
우선, 변속 기구(2079)가 저속 위치(L200)로 전환된 경우에는, 시프터(2103)가 저속 구동 기어(2097)측(우측)으로 미끄럼 이동해서 저속 구동 기어(2097)와 끼워 맞추어진다. 이에 의해, 저속 구동 기어(2097)가 입력축(2040)과 일체 회전 가능해진다. 이렇게 해서, 저속 기어열(2094)이 동력 전달 상태로 된다. 또한, 변속 기구(2079)가 저속 위치(L200)로 전환된 경우에는, 시프터(2103)가 고속 구동 기어(2099)와 끼워 맞추어지지 않는다. 이로 인해, 고속 구동 기어(2099)가 공전(입력축(204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그 결과, 고속 기어열(2095)이 동력 차단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입력축(2040)의 동력이, 저속 구동 기어(2097), 저속 종동 기어(2098), 중계축(2082), 최종 구동 기어(2101)를 경유하여, 최종 종동 기어(2102)에 전달된다. 그리고, 클러치(2081)가 동력 전달 상태로 되어 있으면, 최종 종동 기어(2102)에 전달된 최종 구동 기어(2101)의 동력이, 전달축(2088)을 통해서 출력축(2044)에 전달된다. 이렇게 해서, 입력축(2040)의 동력이 저속 기어열(2094)에 의해 출력축(2044)에 저속으로 전달됨으로써, 피드 체인(2004)이 저속으로 회전한다.
계속해서, 변속 기구(2079)가 고속 위치(H200)로 전환된 경우에는, 시프터(2103)가 고속 구동 기어(2099)측(좌측)으로 미끄럼 이동해서 고속 구동 기어(2099)와 끼워 맞추어진다. 이에 의해, 고속 구동 기어(2099)가 입력축(2040)과 일체 회전 가능해진다. 이렇게 해서, 고속 기어열(2095)이 동력 전달 상태로 된다. 또한, 변속 기구(2079)가 고속 위치(H200)로 전환된 경우에는, 시프터(2103)가 저속 구동 기어(2097)와 끼워 맞추어지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저속 구동 기어(2097)가 공전(입력축(204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그 결과, 저속 기어열(2094)이 동력 차단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입력축(2040)의 동력이, 고속 구동 기어(2099), 고속 종동 기어(2100), 중계축(2082), 최종 구동 기어(2101)를 경유하여, 최종 종동 기어(2102)에 전달된다. 그리고, 클러치(2081)가 동력 전달 상태로 되어 있으면, 최종 종동 기어(2102)에 전달된 최종 구동 기어(2101)의 동력이, 전달축(2088)을 통해서 출력축(2044)에 전달된다. 이렇게 해서, 입력축(2040)의 동력이 고속 기어열(2095)에 의해 출력축(2044)에 저속으로 전달됨으로써, 피드 체인(2004)이 고속으로 회전한다.
마지막으로, 변속 기구(2079)가 중립 위치(N200)로 전환된 경우에는, 시프터(2103)가 저속 구동 기어(2097) 및 고속 구동 기어(2099) 중 어느 것과도 끼워 맞추어지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저속 구동 기어(2097) 및 고속 구동 기어(2099)가 공전(입력축(204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그 결과, 저속 기어열(2094) 및 고속 기어열(2095)이 동력 차단 상태로 된다. 따라서, 입력축(2040)의 동력이 전달축(2088) 및 출력축(2044)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피드 체인(2004)이 회전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피드 체인(2004)은, 피드 체인(2004) 전용의 구동 유닛(2039)에 의해, 피드 체인(2004)의 회전 속도만이 변속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콤바인에서는, 급동(2016)이나 선별부(2005)를 적절한 작동 속도로 유지하여, 탈곡 성능 및 선별 성능을 유지하면서, 피드 체인(2004)의 회전 속도를 작업 상태에 적합한 회전 속도로 용이하게 감속할 수 있다. 특히, 수동 예취한 곡물대 등을 작업자가 피드 체인에 공급해서 개자리베기를 행할 경우에는, 급동(2016)이나 선별부(2005)를 적절한 작동 속도로 유지하여, 탈곡 성능 및 선별 성능을 유지하면서, 피드 체인(2004)의 회전 속도를 개자리베기 상태에 적합한 회전 속도로 용이하게 감속할 수 있기 때문에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의 콤바인에서는, 피드 체인(2004)이 구동 스프로킷(2045)에 휘감기는 방향으로 느슨해지기 때문에, 피드 체인(2004)이 느슨해졌을 경우의 구동 스프로킷(2045)에 대한 피드 체인(2004)의 휘감김 상태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레일(2077)은, 피드 체인(2004)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반송 시단부측(전단부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가이드 레일(2077)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2077)은, 피드 체인(2004)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반송 종단부측(후단부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2077)은, 피드 체인(2004)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반송 중도부(전후 중도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2077)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좋다.
본 발명은, 주행 기체에 승강 가능하게 예취부를 구비하고, 이 예취부의 구동과 정지를 행하는 예취 클러치를 구비한 콤바인으로서 보통형의 콤바인에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작 패널에 형성된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을 따라 복수의 조작 위치에 걸쳐 이동 조작 가능하게 조작 레버가 구비된 작업기 등에서의 레버 조작부의 시일 구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곡물대를 반송하는 피드 체인을 구비하는 콤바인에 이용 가능하다.
33 : 예취 클러치 레버
85 : 연결 프레임
94A : 단속 조작 부재(제1 단속 아암)
97 : 이너 와이어
98 : 아우터 와이어
102 : 연계 기구·작동 링크
105A : 중간 부재(제1 중간 아암)
105B : 중간 부재(제2 중간 아암)
110 : 가이드 부재
110A : 가이드부
110B : 안내벽
110C : 규제 부재
111 : 로드 재
115 : 롤러
118 : 요동 지지부(연결 핀)
119 : 그립
120 : 홀더
AF : 기체 프레임
B : 예취부
G : 예취 클러치
K : 연동 조작 기구
T : 작동 부재
W : 조작 와이어
1013 : 조작 패널
1016, 1017 : 조작 레버
1060 :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
1065 : 시일 부재
1065A 내지 1065E : 시일 단위체
1066 : 슬릿
1067 : 트인 구
T100 : 지지 수단(접착 수단)
2004 : 피드 체인
2015 : 엔진
2037 : 카운터 축
2038 : 벨트 전달 기구(전달 기구)
2039 : 구동 유닛
2040 : 입력축
2041 : 입력 풀리(입력 회전체)
2043 : 벨트(무단체)
2044 : 출력축
2045 : 구동 스프로킷
2076 : 텐션 롤러(텐션 회전체)
2078 : 텐션 아암(아암 부재)
2079 : 변속 기구
2080 : 구동 케이스
2081 : 클러치
2082 : 중계축
2083 : 변속 조작부
2088 : 전달 축(전달 부재)
2094 : 저속 기어열
2095 : 고속 기어열
2096 : 최종 기어열
2101 : 최종 구동 기어
2102 : 최종 종동 기어
N200 : 중립 위치

Claims (34)

  1. 예취부에 전달되는 동력의 단속을 행하는 예취 클러치와, 이 예취 클러치를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예취 클러치 레버와, 상기 예취부의 상승에 연동하여, 온 상태에 있는 상기 예취 클러치의 오프 조작을 행하는 연동 조작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의 조작력을 상기 예취 클러치에 전달하는 조작 와이어가, 이너 와이어와, 아우터 와이어를 구비해서 구성되고,
    상기 이너 와이어의 일단부를 기체 프레임에 연결 고정하고, 이 이너 와이어의 타단부를 상기 예취 클러치의 단속 조작 부재에 연결하고, 상기 아우터 와이어의 일단부를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에 대하여 연계 기구에 의해 연계하고, 이 아우터 와이어의 타단부를 상기 연동 조작 기구에 연계하는 동시에,
    상기 연계 기구가,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가 온 위치로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이너 와이어를 긴장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아우터 와이어의 일단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연동 조작 기구가, 상기 예취부가 상승했을 때에 상기 이너 와이어를 이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아우터 와이어의 타단부를 이동시키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조작 기구가, 상기 기체 프레임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아우터 와이어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중간 부재와, 이 중간 부재에 기단부측이 지지되는 막대 형상의 작동 부재와, 상기 예취부에 지지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해서 구성되고,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예취부가 설정 높이 미만에 있을 경우에 상기 작동 부재의 선단부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있고, 상기 예취부가 상기 설정 높이를 초과해서 상승했을 경우에 상기 작동 부재의 선단부에 접촉해서 상기 작동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압박력을 작용시키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작동 부재로부터 작용하는 압박력에 의해 요동하여, 상기 이너 와이어를 이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아우터 와이어의 다른 쪽의 단부를 이동시키는, 콤바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기구가, 상기 예취 클러치 레버의 조작에 연계하여, 상기 이너 와이어의 일단부의 연결 고정 위치에 대해 변위하는 작동 링크로 구성되고, 이 작동 링크에 대하여 상기 아우터 와이어의 타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콤바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의 선단부가 접촉하는 평탄한 가이드부와, 이 가이드부의 양측부에서 상승되는 자세로 형성되는 한 쌍의 안내벽과,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돌출하는 자세가 되는 상기 규제 부재로 가이드 부재가 구성되며, 이 가이드 부재가 상기 예취부의 연결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가, 상기 중간 부재에 대하여 기단부가 요동 지지부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로드 재와, 이 로드 재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롤러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지지부를 중심으로 한 요동에 의해 상기 로드 재의 선단측을 상기 규제 부재에 접촉하지 않는 대피 자세로 조작했을 때에, 상기 로드 재를 끼움 지지함으로써 상기 대피 자세를 유지하는 홀더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재의 선단측을 들어올려서 상기 대피 자세로 인위 조작하기 위한 그립이 상기 로드 재의 선단측에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8. 조작 패널에 형성된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을 따라 복수의 조작 위치에 걸쳐 이동 조작 가능하게 조작 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 레버의 이동 조작을 허용하는 상태로 상기 안내용 삽입 관통 구멍을 폐쇄하는 시일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레버 조작부의 시일 구조이며,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조작 레버의 이동 조작을 허용하는 슬릿이 형성된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의 시일 단위체를,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일 단위체에서의 상기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개소에 트인 구멍을 형성하는 상태로 구비해서 구성되고,
    또한, 상기 트인 구멍이 위치하는 개소에 그 트인 구멍이 형성된 시일 단위체와는 다른 시일 단위체의 상기 슬릿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시일 단위체를 겹쳐서 구성되어 있는, 레버 조작부의 시일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일 단위체를 겹친 상태에서 위치 고정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레버 조작부의 시일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이, 상기 복수의 시일 단위체에서의 상기 슬릿 및 상기 트인 구멍이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한 외주 부분끼리를 접착하는 접착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레버 조작부의 시일 구조.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트인 구멍이 형성된 동일한 구성의 2개의 시일 단위체를, 한쪽의 시일 단위체의 상기 트인 구멍이 위치하는 개소에 다른 쪽의 시일 단위체의 상기 슬릿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겹쳐서 구성되어 있는, 레버 조작부의 시일 구조.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인 구멍이, 상기 조작 레버의 횡단면 형상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레버 조작부의 시일 구조.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의 횡단면 형상이 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레버 조작부의 시일 구조.
  14. 곡물대를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이 감겨지는 구동 스프로킷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스프로킷은, 상기 피드 체인의 하측 반송 경로에 대하여, 상기 피드 체인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피드 체인의 외주부에 접촉하고 있는, 콤바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 체인에 긴장력을 부여하는 텐션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텐션 회전체는, 상기 구동 스프로킷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피드 체인의 하측 반송 경로에 대하여, 상기 피드 체인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피드 체인의 내주부에 접촉하고 있는, 콤바인.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 체인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축과,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에 설치되는 상기 구동 스프로킷을 구비하는, 콤바인.
  17. 제16항에 있어서,
    일단부에 텐션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아암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아암 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출력축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에는, 엔진의 동력이 카운터 축을 통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19. 제18항에 있어서,
    측면시에서,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과, 상기 카운터 축을 연결하는 선이, 삼각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카운터 축은, 상기 출력축 및 상기 입력축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축의 동력을 상기 입력축에 전달하는 전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달 기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은, 상기 카운터 축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은, 상기 입력축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23. 곡물대를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축과,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에 설치되고, 상기 피드 체인이 감겨진 구동 스프로킷과,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의 사이에서 동력을 변속하는 변속 기구와,
    상기 입력축 및 상기 출력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변속 기구를 수용하는 구동 케이스를 구비하는, 콤바인.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의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는 클러치를 구비하는, 콤바인.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중계축을 구비하고,
    상기 변속 기구는,
    상기 입력축의 동력을 상기 중계축으로 저속으로 전달하는 저속 기어열과,
    상기 입력축의 동력을 상기 중계축으로 고속으로 전달하는 고속 기어열과,
    상기 중계축의 동력을 상기 출력축에 전달하는 최종 기어열을 구비하는, 콤바인.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기어열은,
    상기 중계축에 설치되는 최종 구동 기어와,
    상기 출력축에 설치되고, 상기 최종 구동 기어와 맞물리는 최종 종동 기어를 구비하는, 콤바인.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구동 기어는, 상기 중계축에서의 상기 저속 기어열과 상기 고속 기어열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종동 기어는, 상기 출력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출력축에는, 일체 회전 가능하면서 또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전달 부재가 설치되고,
    클러치는, 상기 최종 종동 기어와 상기 전달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가 동력 전달 상태로 됨으로써, 상기 최종 종동 기어에 전달된 상기 최종 구동 기어의 동력이, 상기 전달 부재를 통해서 상기 출력축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30. 제23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변속 기구를 변속 조작하는 변속 조작부를 구비하는, 콤바인.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조작부는, 상기 구동 케이스에서의 상기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32. 제23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기구에는, 중립 위치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33. 제23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케이스는, 상기 피드 체인보다 기체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34. 제23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에는, 동력 전달용의 무단체가 감겨지는 입력 회전체가 설치되고,
    상기 입력 회전체는, 상기 구동 스프로킷보다 기체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KR1020130012908A 2012-02-21 2013-02-05 콤바인 KR1020183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35141 2012-02-21
JPJP-P-2012-035142 2012-02-21
JP2012035142A JP5749672B2 (ja) 2012-02-21 2012-02-21 コンバイン
JP2012035141A JP5749671B2 (ja) 2012-02-21 2012-02-21 コンバイン
JP2012106006A JP5901414B2 (ja) 2012-05-07 2012-05-07 レバー操作部のシール構造
JPJP-P-2012-106006 2012-05-07
JP2012204663A JP5822807B2 (ja) 2012-09-18 2012-09-18 コンバイン
JPJP-P-2012-204663 2012-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179A true KR20130096179A (ko) 2013-08-29
KR102018389B1 KR102018389B1 (ko) 2019-09-04

Family

ID=49219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908A KR102018389B1 (ko) 2012-02-21 2013-02-05 콤바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3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907A1 (ko) * 2015-06-23 2016-12-2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보통형 콤바인용 예취장치 및 보통형 콤바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257B1 (ko) * 2013-09-12 2021-08-3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6855A (ja) 1997-06-05 1998-03-03 Kubota Corp 農作業機のクラッチ操作構造
JP2001037317A (ja) * 1999-07-29 2001-02-13 Kubota Corp 刈取収穫機の刈取部支持構造
JP2002218829A (ja) * 2001-01-26 2002-08-06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JP2003274735A (ja) * 2002-03-20 2003-09-30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JP2006224840A (ja) 2005-02-18 2006-08-31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操作具案内溝のシール構造
JP2011041505A (ja) 2009-08-20 2011-03-03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KR20110132477A (ko) * 2007-01-11 2011-12-07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및 이것에 탑재 가능한 탈곡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6855A (ja) 1997-06-05 1998-03-03 Kubota Corp 農作業機のクラッチ操作構造
JP2001037317A (ja) * 1999-07-29 2001-02-13 Kubota Corp 刈取収穫機の刈取部支持構造
JP2002218829A (ja) * 2001-01-26 2002-08-06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JP2003274735A (ja) * 2002-03-20 2003-09-30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JP2006224840A (ja) 2005-02-18 2006-08-31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操作具案内溝のシール構造
KR20110132477A (ko) * 2007-01-11 2011-12-07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및 이것에 탑재 가능한 탈곡 장치
JP2011041505A (ja) 2009-08-20 2011-03-03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907A1 (ko) * 2015-06-23 2016-12-2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보통형 콤바인용 예취장치 및 보통형 콤바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389B1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2042B2 (ja) コンバイン
JP5936137B2 (ja) コンバイン
JP6108945B2 (ja) コンバイン
JP2008263866A (ja) コンバイン
KR102018389B1 (ko) 콤바인
JP2010051287A (ja) コンバイン
JP5822807B2 (ja) コンバイン
JP3851858B2 (ja) コンバインの操作構造
JP5081055B2 (ja) コンバイン
JP5081054B2 (ja) コンバインのクラッチ操作装置
JP2022125171A (ja) コンバイン
KR101794347B1 (ko) 콤바인
JP4724133B2 (ja) コンバインのクラッチ操作装置
JP5858342B2 (ja) コンバイン
JP2012231697A (ja) 根菜類収穫機
JP6979834B2 (ja) コンバイン
JP4816235B2 (ja) コンバイン
JP2009000036A (ja) コンバインの作業クラッチレバー
JP2019122407A (ja) コンバイン
JP2014212745A5 (ko)
JP6020969B2 (ja) コンバイン
JP2017221220A (ja) コンバイン
JP6783137B2 (ja) コンバイン
JP2007300894A5 (ko)
JP6183485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