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6044A - 옻나무톱밥 함유 버섯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옻나무톱밥 함유 버섯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6044A
KR20130096044A KR1020120017548A KR20120017548A KR20130096044A KR 20130096044 A KR20130096044 A KR 20130096044A KR 1020120017548 A KR1020120017548 A KR 1020120017548A KR 20120017548 A KR20120017548 A KR 20120017548A KR 20130096044 A KR20130096044 A KR 20130096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edium
shiitake
sawdus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7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화열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유화열
김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화열, 김인수 filed Critical 유화열
Priority to KR1020120017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6044A/ko
Publication of KR20130096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04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3Wood, e.g. wood chips or sawdu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5/00Fungi; Liche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표고버섯의 재배에 있어 톱밥 배지로 독성을 제거한 참옻나무 톱밥 배지를 일 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표고버섯 재배시 발생하는 푸른곰팡이의 발생율을 저하시켜 표고버섯의 수득율을 향상시키고, 칼슘공급원으로 흔히 사용하는 굴껍질 대신에 수용화 한 갑오징어뼈 수용화물 및 심층수 칼슘을 사용함으로써 표고버섯의 항암성분인 레티난류가 증가 된 기능성 표고버섯을 수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섯의 물러짐 현상이나 병 발생율이 낮은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고버섯 인공 재배 시설을 구비함에 있어 표고버섯 재배설비의 상단 또는 하단에 수경재배용 채소를 동시에 생육시킴으로써 버섯 재배시 필요로 하는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고 이산화탄소와의 균형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양질의 버섯을 수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옻나무톱밥 함유 버섯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의 재배방법{Media composition containing sawdust from Rhus verniciflua and Method for cultivating a mushroom using them}
본 발명은 옻나무 톱밥 함유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섯 재배용 배지에 옻나무 톱밥을 이용함으로써 일반 배지에 비해 수확 후 푸른곰팡이 발생률이 낮아 버섯 수확량이 증가하고, 갑오징어 뼈 수용화 칼슘을 사용함으로써 표고버섯의 레티난류 함량이 증가하고 버섯이 물러지거나 병 발생율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생육단계에서 버섯재배지 상단 또는 하단에 수경채소재배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재배지내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균형유지로 질 좋은 버섯을 수득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옻나무는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무환자나무목 옻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 중국이 원산이며 과거에 재배하던 것이 번져서 야생화 한 것이 있다. 옻나무껍질에 상처를 냈을 때 나오는 진을 옻이라 하며 주로 공업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옻나무는 정식한 후 4 내지 10년째까지 수액인 옻을 채취한다.
과거에는 옻나무에서 추출한 옻은 우리나라 전통적인 옻칠 제품에 주로 사용되어 왔는데, 옻칠은 세균과 습기에 매우 강하여 그릇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최근에는 이들의 우수한 물성을 활용하여 병원용 의복이나 가습기, 자동차의 도장 도료로 사용되는 등 그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옻은 전통 천연도료로서의 특성만 갖는 것이 아니라 옻나무의 우수한 약리효과로 인해 옻의 효능을 다양한 방면에 이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옻의 주성분인 우루시울은 기존 암치료약 효능의 약 10배의 강한 항암작용을 나타내는데, 위암을 포함한 난소나 자궁의 종양과 같은 복강내의 종양성 질환, 골수염은 물론 위장병, 어혈제거, 혈액순환, 골다공증 예방 등 그 효능이 매우 우수하다. 한국식품연구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옻은 대장암, 간암, 유방암 등에서 암세포 성장을 30 내지 80% 가량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 통합 암센터는 옻나무 껍질 추출물을 이용하여 폐암, 간암 등 말기암 환자를 치료한 결과 22.4%, 특히 혈액암 환자의 73.1%가 완치 내지 5년 이상 생존한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옻나무의 수피 및 목부에서 추출되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혈관형성 억제작용을 나타내어 암세포의 증식 및 전이를 억제하고 암세포를 정상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는 항암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옻의 효능이 우수하여 이를 적용한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의도가 많지만 옻의 주성분인 우루시울은 항암효과라는 우수한 효능을 갖는 반면에 그 독성으로 인하여 인체에 적용하는데 어려움 또한 있는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10-963826호에 따르면, 옻나무의 우수한 특성을 이용하고자 독성을 제거한 옻나무에서 자생하는 새로운 버섯 "칠황버섯"(미생물 국제 기탁번호 KCTC 11549BP, Fomes formentarius)이라는 새로운 버섯을 발견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서는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전통적으로 옻의 독성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한 칠해목과 함께 삶은 후 건조하여 독을 제거하였다.
상기 특허에 의한 버섯재배방법은 독성을 제거한 옻나무 배지를 사용하고 있으나 신규한 칠황버섯에만 적용하여야 하는 제한이 있다.
표고버섯은 담자균류에 속하는 식용버섯으로 봄과 가을에 걸쳐 참나무류, 밤나무, 서어나무 등 활엽수의 마른나무에서 발생한다. 버섯갓의 지름은 4 내지 10cm 이고 처음에는 반구모양이지만 점차 퍼져 편평해진다. 갓 표면은 다갈색이고 흑갈색의 가는 솜털처럼 생긴 비늘조각으로 덮여 있다. 요즘에는 원목에 의한 인공재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한국, 일본 중국에서는 생표고 또는 건표고를 버섯 중 으뜸가는 상품의 식품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표고버섯의 효능에 대해서는 중국에서 예로부터 많이 연구되었는데 표고버섯의 '에리다데민'이라는 물질이 콜레스테롤을 제거하여 피를 잘 흐르게 하고 비타민 D가 풍부하고 식물체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던 비타민 B12가 풍부하다고 밝혀져 있다.
버섯의 생육에 있어 인공재배 설비내에는 버섯의 생육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발생으로 인해 별도의 필터를 설치하여 버섯재배동내 이산화탄소를 인위적으로 배출하고, 버섯이 필요로 하는 산소의 경우에는 산소발생기를 이용하여 산소공급을 하고 있으나 밀폐형 사육장 분위를 고려할 때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불균형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표고버섯 재배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표고버섯의 재배에 있어 톱밥 배지로 독성을 제거한 옻나무 톱밥 배지를 일 성분으로 사용하여 표고버섯 재배시 발생하는 푸른곰팡이의 발생율을 저하시켜 버섯의 수득율을 향상시키고, 칼슘공급원으로 흔히 사용하는 굴껍질 대신에 수용화 한 갑오징어뼈 수용화물 및 심층수 칼슘을 사용함으로써 표고버섯의 항암성분인 레티난류가 증가 된 기능성 표고버섯을 수득할 수 있는 표고버섯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고버섯 인공 재배 시설을 구비함에 있어 표고버섯 재배설비의 상단 또는 하단에 수경재배용 채소를 동시에 생육시킴으로써 버섯 재배시 필요로 하는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고 버섯으로부터 배출된 이산화탄소와의 균형을 조절할 수 있는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고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에 있어서,
참옻나무톱밥 100중량부에 대하여, 참나무 톱밥 30 내지 40중량부 한약 찌꺼기 분말 5 내지 1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톱밥 배지 혼합물 60 내지 80중량%; 미강 10 내지 15중량%; 심층수 칼슘 100중량부에 대하여, 천매암 분말, 제오라이트 분말 , 게르마늄석 분말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분말 40 내지 50중량부로 구성되는 첨가제 10 내지 16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나무 톱밥 배지를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참옻나무톱밥 100중량부에 대하여, 참나무 톱밥 30 내지 40중량부, 한약찌꺼기 분말 5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 60 내지 80중량%;미강 10 내지 15중량%;심층수 칼슘 100중량부에 대하여 천매암 분말,제오라이트 분말, 게르마늄석 분말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분말 40 내지 50중량부로 구성되는 첨가제 10 내지 16중량%;를 혼합하여 톱밥 배지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배지 조성물에 수분을 첨가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배지 조성물을 배지병에 충진 한 후 살균하는 단계;
상기 충진 된 배지병에 표고버섯 종균을 접종하는 단계;
상기 접종된 표고버섯 종균을 10 내지 15℃에서 10 내지 15일간 약한 통풍하에서 암배양 하는 초기단계;
20 내지 25℃에서 3 내지 5일간 강한 통풍하에서 암배양 하는 중기단계;
15 내지 25℃에 4 내지 10일간 강한 통풍하에서 암,명 중간 배양하는 말기단계;
20 내지 25℃에서 90 내지 120일간 강한 통풍하에서 명배양 하는 숙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옻나무 톱밥 배지를 이용한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재배방법은 표고버섯 재배설비 상단 또는 하단에 수경재배용 채소재배설비를 추가로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 재배용 배지를 사용함으로써 표고버섯 재배시 발생하는 푸른곰팡이의 발생율을 저하시켜 수확량을 향상시키고, 칼슘공급원으로 흔히 사용하는 굴껍질 대신에 수용화 한 갑오징어뼈 수용화물 및 심층수 칼슘을 사용함으로써 버섯의 물러짐 현상이나 발병율이 낮고 표고버섯의 항암성분인 레티난류가 증가 된 기능성 표고버섯을 수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고버섯 인공 재배 시설을 구비함에 있어 표고버섯 재배설비의 상단 또는 하단에 수경재배용 채소를 동시에 생육시킴으로써 버섯 재배시 필요로 하는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고 이산화탄소와의 균형을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표고버섯을 수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을 구성함에 있어 일 성분으로 혼합되는 참옻나무 톱밥은 독성이 제거된 것으로, 종래 참나무 톱밥만 사용하던 배지와는 달리 참나무 톱밥의 사용량을 줄이고 이를 주요 성분으로 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참옻나무 톱밥으로 사용하기 위한 참옻나무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독성성분인 "우루시울"이 제거된 것으로 독성제거는 아래의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특허등록된 특허 제10-0832056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실시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옻나무 톱밥 100중량부와 황기 분말 0.5 내지 1중량부, 세이지 분말 0.5 내지 1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의 형태로 제조된다.
상기의 방법과 같이 독성이 제거된 참옻나무 톱밥을 참나무 톱밥과 혼합하여 주성분으로 사용한 결과 옻나무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의 성분으로 인해 버섯 배지를 생육한 후 버섯을 수확하였을 때 종래에는 1회 수확 후 푸른곰팡이가 발생하여 버섯 수확량이 점차 감소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배지 조성물을 사용한 배지병의 경우에는 푸른곰팡이가 발생하지 않아 버섯의 수확량의 감소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한약찌꺼기 분말은 표고버섯의 생장을 돕는데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급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5 내지 10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한약찌꺼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장 흔히 구할 수 있는 십전대보탕 한약 슬러지를 건조하여 20매쉬 정도의 크기로 분쇄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옻나무 톱밥 배지를 함유하는 배지 혼합물과 영양제로 사용되는 미강 이외에 첨가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첨가제는 300 매쉬 크기의 천매암 분말, 심층수 칼슘, 제오라이트 분말, 게르마늄석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첨가제는 심층수 칼슘 100중량부에 대하여, 천매암, 제오라이트,게르마늄석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분말 40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첨가제 성분 중 천매암 분말, 제오라이트 분말 및 게르마늄석은 표고버섯을 재배함에 있어 보습력을 제공하고 버섯에 생길 수 있는 병의 발생율을 낮추기 위해 사용하고, 심층수 칼슘은 추가로 첨가되는 수분 성분 중 갑오징어뼈 수용화물과 더불어 표고버섯의 항암성분인 레티난류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첨가제는 10 내지 16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0중량% 미만에서는 버섯에 보습력 제공 및 병 발생율을 낮추는데 효과적이지 못하고, 16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비례하는 효과가 없어 경제적인 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방법에 있어, 수분첨가 70 내지 80중량%의 범위로 첨가되는데 종래의 버섯 재배용 배지를 조성함에 있어 사용되는 수분첨가방법이면 가능하고 특별히 본 발명을 위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 본 발명에 따른 수분은 게르마늄수 80 내지 90중량%, 참옻물 5 내지 10중량%, 갑오징어 뼈 수용화물 1 내지 3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분을 제공함에 있어 게르마늄수를 사용하고 있는데, 음이온 수치가 높은 게르마늄수를 버섯 재배시에 사용함으로써 고기능성 버섯의 재배가 가능하게 된다. 게르마늄의 효능을 살펴보면 체내혈행을 정화하고,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고, 탁월한 항산화 작용을 하며 중금속 및 노폐물제거, 피로회복 및 숙취해소, 노화지연의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게르마늄수를 주로 사용하고 여기에 참옻물을 부가함으로써 버섯 재배시에 발생하는 병 발생율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분성분 중에는 갑오징어 뼈 수용화물 1 내지 3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갑오징어뼈는 해표초, 오적골이라 불리고 오징어를 잡아서 뼈를 꺼낸 후 세척한 후 햇볕에 말려 분말형태로 사용한다. 갑오징어뼈의 성분을 살펴보면 탄산칼슘 80 내지 85%, 각질(conchiolin) 6~7%, 점액질 10~15%가 함유되어 있고 소량의 염화나트륨, 인산칼슘, 마그네슘 염 등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갑오징어 수용화물의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다.
먼저, 갑오징어뼈를 청결하게 건조하여 120매쉬 크기의 분말로 만들어 약 5 내지 10배의 식용식초에 희석한다. 희석초기에는 갑오징어 뼈 분말과 현미식초의 수용화 과정의 중화현상으로 많이 거품이 생성된다. 거품의 상층부에는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이 부유물의 형태로 암회색으로 형성되는데 이를 걷어내고 나머지 수용액을 12시간 이상 상온에 방치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성되었던 거품이 점차 사라지고 깨끗한 물로 수용화되며 식초 냄새가 사라지게 된다.
이러한 갑오징어 뼈 수용화물은 1 내지 3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의 양을 첨가한 배지에서 표고버섯을 재배한 후 자실체를 채취하여 성분을 분석한 결과 표고버섯의 항암성분인 레티난류가 일반 참나무 또는 활엽수 나무등을 사용한 배지에서 재배한 표고버섯에 비해 월등히 많은 기능성 버섯을 수득할 수 있게 된다.
수분이 첨가된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은 버섯을 생육하기 위한 배지병에 충진 및 살균 되고 충진 된 배지에 표고버섯 종균를 접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배지병, 충진방법 및 살균방법은 종래의 방법에 따라 행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표고버섯의 종균은 산림버섯 연구소 또는 일반 배양소에서 분양하는 종균을 구입하여 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주입된 표고버섯 종균를 배양하는 단계는 4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4단계 배양은 접종된 표고버섯 종균를 10 내지 15℃에서 10 내지 15일간 약한 통풍하에서 암배양 하는 초기단계; 20 내지 25℃에서 3 내지 5일간 강한 통풍하에서 암배양 하는 중기단계; 15 내지 25℃에 4 내지 10일간 강한 통풍하에서 암, 명배양의 중간 배양 하는 말기단계; 20 내지 25℃에서 90 내지 120일간 강한 통풍하에서 명배양 하는 숙성단계로 구성된다.
표고버섯 종균의 배양단계에서 온도의 범위가 중요한데 본 발명에 따른 각 단계의 온도 범위를 벗어나 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에는 종균의 생육이 잘 일어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너무 높은 경우에는 생육이 너무 빨리 진행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와 같은 4단계의 배양을 거쳐 균사가 활착 된 배지병은 일반 버섯 재배 단계에서와 같이 생육실로 옮겨져 수분, 산소 및 이산화 탄소를 조절하면서 재배된다. 본 발명에서는 표고버섯을 재배함에 있어서 종래와 다른 설비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는 바, 버섯을 재배하는 재배시설 상단 또는 하단에 채소 수경재배 장치를 추가로 더 설치함으로써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공급 균형을 자연스럽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종래 버섯 재배시에 99m2 기준 2.5kg 배지 1300 개에서 생육되는 버섯이 발생시키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1분당 180리터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헤파필터와 같은 필터를 통하여 강압 배기시키고 버섯이 필요로 하는 동일량의 산소는 산소발생기를 이용하여 공급하였다. 그러나 밀폐형 재배동 분위기를 고려할 때 버섯재배시 필요로 하는 산소의 공급과 이산화탄소의 배기의 균형을 이루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버섯배지를 생육하는 재배동내에 산소 및 이산화탄소 흡, 배기를 바이패스 시설을 통하여 강제 환기시키면서 버섯재배 시설 상단 또는 하단에 전체 버섯 재배 구조물 중 1/3 정도로 채소의 수경재배를 동시에 실시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경재배용 채소는 인삼, 다양한 쌈채류, 새싹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채소의 종류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수경재배가 가능한 채소는 제한 없이 선택될 수 있다.
수경재배되는 채소는 생장시에 이산화탄소를 소비하고 산소를 생산하므로 버섯생육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채소류 생장에 사용되고, 채소류 생장시 발생하는 산소는 버섯의 생육에 사용되므로 자연스럽게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균형을 이룰 수 있게 되어 버섯의 기형율이 낮고 양질의 버섯을 수득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표고버섯 재배용 배지의 제조
우루시울이 제거된 참옻나무 톱밥 1400g, 참나무 톱밥 500g, 건조하여 300매쉬 크기로 분쇄한 십전대보탕찌꺼기 분말 100g을 혼합한 혼합물 2000g에 신선한 미강 350g을 톱밥 : 미강의 비율이 약 6:1 이 되도록 추가로 투입하였다. 다음으로 충북 옥천지역에서 생산되는 천매암, 제오라이트, 게르마늄석을 20매쉬 크기로 분쇄한 후 각각 25g,37.5g,37.5g 씩 추가하고 여기에 강원 심층수로부터 분리된 심층수 칼슘 50g을 혼합하여 총 2.5kg의 배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톱밥 배지 혼합물에 게르마늄이 51ppb로 검출된 게르마늄 수, FDA승인 인증번호 340144956 참옻물, 건조한 갑오징어뼈를 120 매쉬 크기로 분쇄한 분말 300g을 현미식초 18L에 희석한 후 상층부 거품을 걷어내고 12시간 방치하여 수득 된 갑오징어 뼈 수용화물을 87:10:3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 수를 가하여 수분 함량이 75%가 되도록 조절한 후 배합기에서 배합하여 표고버섯 재배용 배지를 제조하였다.
2. 표고버섯의 재배
상기에서 제조된 배지 조성물 1000cc를 표고버섯 재배용 PP용기에 주입하고 표고버섯 종균를 접종한 후 통풍을 약하게 하여 15℃에서 10일간 초기 암배양하고, 통풍을 강하게 하여 22℃에서 4일간 중기 암배양 하고, 다시 통풍을 강하게 하여 20℃에서 7일간 중간 밝기의 배양을 실시하고, 다시 강한 통풍하에서 22℃에서 100일간 명배양 하는 숙성기를 거쳐 배양하였다.
배지통에서 균사 성장이 충분히 완료된 배지는 재배동으로 옮기고 재배동의 습도를 90%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인삼, 쌈채, 새싹 채소 수경재배 장치와 함께 재배하여 약 버섯대가 10cm 정도로 자란 표고버섯을 수확하였다.
이때, 수경재배 채소는 표고버섯 배지 라인 3개당 1개의 라인으로 설치하였다.
실시예 2~4
하기 표 1과 같이 참옻나무 톱밥, 참나무톱밥, 십전대보탕 찌꺼기 분말 함량을 달리하고, 수분 성분의 함량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고버섯을 재배한 후 수확하였다.
비교예 1
참나무톱밥 배지를 사용하고 순수물을 75% 첨가하여 배지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배지병에 충진하여 살균한 후 표고버섯 종균를 주입하였다. 이를 약 20℃에서 20일간 배양하여 균사를 성장시켰다. 균사성장이 충분히 완료된 배지를 재배동으로 이동하고 재배동에서 90%이상의 습도를 유지하면서 발이시킨 후 버섯대가 약 10cm 정도로 충분히 자란 표고버섯을 수득한 후 그 수확량 및 자실체의 경도를 측정하여 표 2 및 3에 나타내었다.
톱밥 혼합물(g)
첨가제(g) 수분성분(비율)
참옻나무톱밥



십전대보탕 찌꺼기분말 천매암분말 심층수칼슘 제오라이트분말 게르마늄석분말 게르마늄수 참옻물 갑오징어뼈 수용화물
수 물
실시예 2 1400 500 100 25 37.5 37.5 50 86 11 3 -
실시예 3 1300 600 100 25 37.5 37.5 50 85 10 5 -
실시예 4 1500 400 100 25 37.5 37.5 50 88 9 3 -
비교예 1 - 2500 - - - - - - - - 100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과 같이 재배한 표고버섯을 동일 배지에서 1회~ 5회까지 수확한 후 푸른곰팡이의 발생율(%)을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푸른곰팡이 발생율(%)
1회 2회 3회 4회 5회
실시예 1 0 3% 5% 10% 10%
실시예 2 0 3% 5% 9% 10%
실시예 3 0 2% 5% 10% 10%
실시예 4 0 3% 4% 10% 10%
비교예 1 10% 40% 80% 100% 100%
수확된 표고버섯의 자실체를 추출하여 경도, 물러짐 정도 및 병 발생율을 측정한 후 표 3에 나타내었다.
경도 물러짐 병 발생율
실시예 1 거의 없음
실시예 2 거의 없음
실시예 3 거의 없음
실시예 4 거의 없음
비교예 1 × 관찰됨
상기 표 2 및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재배한 표고버섯의 경우 5회를 수확하더라도 푸른 곰팡이의 발생이 10%에 불과하였으나 비교예의 경우 1회 수확 후 푸른곰팡이가 발생기 시작하여 4회 수확 후에는 100%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확량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한 표고버섯의 수확량이 일반배지에 비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수확된 표고버섯의 경도를 측정한 결과 버섯이 훨씬 단단하여 식감이 좋고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물러짐 현상이 낮아 폐기되는 분량이 감소하게 된다.
병 발생에 있어서도 갑오징어 뼈 분말을 수용화 한 물을 사용한 본원발명의 배지가 발생율이 낮아 재배가 용이하고 수확량도 증가됨을 알 수 있다.
경도 측정방법
버섯의 경도측정은 관능 테스트로 이루어졌으며 씹힘성의 정도에 따라 우수(○), 보통(△), 나쁨(×)의 정도로 나타내었다.
버섯의 물러짐 측정방법
다 자란 버섯 50g을 손으로 쥔 후 힘을 가해 즙을 짜냈을 때 나오는 즙의 양으로 측정한 후 즙이 나오지 않는 경우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내었다.
발생율 측정방법
육안으로 관찰하여 병 발생 정도를 측정하였다.

Claims (9)

  1. 표고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에 있어서,
    참옻나무톱밥 100중량부에 대하여, 참나무 톱밥 30 내지 40중량부 한약 찌꺼기 분말 5 내지 1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톱밥 배지 혼합물 60 내지 80중량%; 미강 10 내지 15중량%; 심층수 칼슘 100중량부에 대하여 천매암 분말,제오라이트 분말, 게르마늄석 분말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분말 40 내지 50중량부로 구성되는 첨가제 10 내지 16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나무 톱밥 배지를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고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은 함수율이 70 내지 8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나무 톱밥 배지를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율을 구성하는 수분은 게르마늄수 80 내지 90중량%, 참옻물 5 내지 10중량%, 갑오징어 뼈 수용화물 1 내지 3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나무 톱밥 배지를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갑오징어 뼈 수용화물은 120 매쉬의 건조된 갑오징어뼈 분말을 5 내지 10배의 식초에 희석하여 방치한 후 수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옻나무 톱밥 배지를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5. 참옻나무톱밥 100중량부에 대하여, 참나무 톱밥 30 내지 40중량부, 한약찌꺼기 분말 5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 60 내지 80중량%;미강 10 내지 15중량%;심층수 칼슘 100중량부, 천매암 분말 40 내지 50중량부, 제오라이트 분말 40 내지 50중량부, 게르마늄석 분말 40 내지 50중량부로 구성되는 첨가제 10 내지 16중량%;를 혼합하여 톱밥 배지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배지 조성물에 수분을 첨가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배지 조성물을 배지병에 충진 한 후 살균하는 단계;
    상기 충진된 배지병에 표고버섯 종균를 접종하는 단계;
    상기 접종된 표고버섯 종균를 10 내지 15℃에서 10 내지 15일간 약한 통풍하에서 암배양 하는 초기단계;
    20 내지 25℃에서 3 내지 5일간 강한 통풍하에서 암배양하는 중기단계;
    15 내지 25℃에 4 내지 10일간 강한 통풍하에서 암, 명 중간 배양하는 말기단계;
    20 내지 25℃에서 90 내지 120일간 강한 통풍하에서 명배양하는 숙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옻나무 톱밥 배지를 이용한 표고버섯의 재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고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은 함수율이 70 내지 8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나무 톱밥 배지를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율을 구성하는 수분은 게르마늄수 80 내지 90중량%, 참옻물 5 내지 10중량%, 갑오징어 뼈 수용화물 1 내지 3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나무 톱밥 배지를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갑오징어 뼈 수용화물은 120 매쉬의 건조된 갑오징어뼈 분말을 5 내지 10배의 식초에 희석하여 방치한 후 수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옻나무 톱밥 배지를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
  9. 제5항의 옻나무 톱밥 배지를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은 버섯 재배설비의 상단 또는 하단에 채소의 수경재배 장치가 추가로 더 설치되어 동시에 재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나무 톱밥 배지를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
KR1020120017548A 2012-02-21 2012-02-21 옻나무톱밥 함유 버섯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의 재배방법 KR201300960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548A KR20130096044A (ko) 2012-02-21 2012-02-21 옻나무톱밥 함유 버섯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548A KR20130096044A (ko) 2012-02-21 2012-02-21 옻나무톱밥 함유 버섯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의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044A true KR20130096044A (ko) 2013-08-29

Family

ID=49219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548A KR20130096044A (ko) 2012-02-21 2012-02-21 옻나무톱밥 함유 버섯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604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5671A (zh) * 2014-07-18 2014-10-29 国家林业局泡桐研究开发中心 一种培育山茱萸香菇的生产方法
CN104774110A (zh) * 2015-04-13 2015-07-15 十堰市农业科学院 一种含有虎杖渣的香菇代料及制备方法
CN107805095A (zh) * 2017-10-20 2018-03-16 贵州省印江县印兰生态菌业有限公司 一种以枣叶为原料的香菇培养基及其制备方法
CN109362486A (zh) * 2018-12-06 2019-02-22 安徽铜草花现代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食用菌培养基及其制备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5671A (zh) * 2014-07-18 2014-10-29 国家林业局泡桐研究开发中心 一种培育山茱萸香菇的生产方法
CN104774110A (zh) * 2015-04-13 2015-07-15 十堰市农业科学院 一种含有虎杖渣的香菇代料及制备方法
CN107805095A (zh) * 2017-10-20 2018-03-16 贵州省印江县印兰生态菌业有限公司 一种以枣叶为原料的香菇培养基及其制备方法
CN109362486A (zh) * 2018-12-06 2019-02-22 安徽铜草花现代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食用菌培养基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4781B2 (ja) キクラゲの栽培方法
CN102668878A (zh) 以莞香木屑食用菌培养基栽培金针菇的方法
CN105850510A (zh) 一种木耳的栽培方法
CN105993600A (zh) 一种人工栽培松树菌的方法
CN104311256B (zh) 一种用工业大麻制作的香菇栽培基质
CN104557244A (zh) 一种猴头菇的栽培基及其栽培方法
CN104303814A (zh) 一种苦瓜的种植方法
CN104012303A (zh) 秀珍菇食用菌的培育方法
KR20130096044A (ko) 옻나무톱밥 함유 버섯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의 재배방법
KR101781784B1 (ko) 산삼 재배 방법
KR101932981B1 (ko) 고로쇠 수액과 매실엑기스를 이용한 새싹삼 재배방법
CN103299822A (zh) 一株裂褶菌高产子实体菌株及返生态立体栽培方法
KR101634587B1 (ko) 흰개미버섯 재배 방법
KR20100061386A (ko) 땅찌만가닥버섯의 균상 재배방법
KR101629207B1 (ko) 흰개미 버섯 재배용 배지 제조방법
CN103549294B (zh) 富硒小麦全芽苗海鲜饺子馅料及其制备方法
KR102511232B1 (ko) 인삼 재배용 상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삼 재배 방법
KR101314102B1 (ko) 잣나무 구과의 부산물을 사용한 배양토 제조 방법과 그로부터 제조한 배양토
KR100737399B1 (ko) 칼슘이 강화된 기능성 표고버섯 생산방법
CN107231947A (zh) 一种能规模化栽培鸡油菌的培养基及方法
CN106187417A (zh) 一种香菇栽培料及其制备方法
KR100886088B1 (ko) Msm이 함유된 버섯 균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msm이 함유된 버섯의 재배방법
KR101057500B1 (ko) 유황 함유량이 높은 느타리버섯 재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재배된 느타리버섯
CN108605647A (zh) 黑皮鸡枞菌培养方法
CN103503691A (zh) 木蹄层孔菌覆土栽培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