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5269A -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 - Google Patents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5269A
KR20130095269A KR1020137005240A KR20137005240A KR20130095269A KR 20130095269 A KR20130095269 A KR 20130095269A KR 1020137005240 A KR1020137005240 A KR 1020137005240A KR 20137005240 A KR20137005240 A KR 20137005240A KR 20130095269 A KR20130095269 A KR 20130095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
hook
knitted fabric
yarn
ya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5105B1 (ko
Inventor
켄이치로 모리시타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30095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23Woven or knitted fasteners
    • A44B18/0034Female or loop elem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1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 D10B2403/0112One smooth surface, e.g. laminated or coat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6Details of garments
    • D10B2501/063Fasteners
    • D10B2501/0632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로서, 기재; 및 경사, 위사 및 루프사로 구성된 편포를 포함하는 암형부이며, 여기서 경사, 위사 및 루프사는 교직되어 인터레이싱 지점들을 형성하며, 인터레이싱 지점을 형성하는 경사는 인터레이싱 지점을 형성하는 루프사 및 인터레이싱 지점을 형성하는 위사의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진행한다.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는 수형부와의 우수한 결합력을 보이며, 여기서 좌-우 결합력 차이는 작다.

Description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FEMALE PART OF HOOK AND LOOP FASTENER}
본 발명은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female part), 이 암형부를 갖는 후크 및 루프 패스너(hook and loop fastener), 및 이 후크 및 루프 패스너를 갖는 흡수 용품에 관한 것이다.
후크 및 루프 패스너는 바닥재의 체결에, 의류의 개폐 응용 등에, 그리고 또한 부착/탈착 작업의 간단함 때문에 기저귀와 같은 흡수 용품의 결합에 널리 사용된다. 후크 및 루프 패스너는 수형부(male part) 및 이와 결합되는 암형부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암형부를 구성하는 루프가 수형부를 구성하는 후크와 결합됨으로써 적소에 유지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수형부와 충분한 결합력을 갖는 암형부를 개발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미국 특허 제6,096,667호는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 천(fabric)으로서 사용되는 위사 삽입형 경편포(weft inserted warp knit fabric)를 기술하는데, 이는 정면 및 배면 - 상기 편포의 상기 배면은 복수의 이격된 스티치(stitch)들의 웨일(wale)들을 갖고, 상기 스티치들 각각의 랩(lap) 부분이 스티치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어 그 기부에서만 그의 각자의 웨일에 연결되는 자유 루프를 형성하며, 이때 각각의 웨일 내의 인접 루프들은 옆으로 교대로 반대 방향들로 경사짐 - ; 및 편포의 정면과 배면 사이에서 편포의 코스(course) 내로 삽입되고 편포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위사를 구비하는 위사 삽입형 경편포를 포함한다.
일본 공개 특허 출원 공보 제2004-236960A호는 후크 및 루프 패스너용 암형 재료편을 기술하는데, 이는 후크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루프를 구비하는 경편포를 통해 기재(substrate) 표면에 접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여기서 경편포는 편성(knitting) 방향으로 인접 루프 파일들의 방향이 우측과 좌측 사이에서 교번하도록 중간 안내 바아를 통해 꿰어지는 얀(yarn)에 의해 랙 스티칭(racked stitching)과 그리고 후방 안내 바아를 통해 꿰어지는 얀에 의해 랙 스티칭과 결합되는 루프 파일 스티칭, 및 전방 안내 바아를 통해 꿰어지는 얀에 의해 각각 랙 스티칭 또는 루프 파일 스티칭과 결합되는 기부 스티칭으로 구성된다.
국제특허 공개 WO 2010-030548호는 기재와, 경사, 위사 및 루프사(loop yarn)로 구성된 편포를 포함하는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를 기술하는데, 여기서 경사의 구조는 개방 및 폐쇄 노드들이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체인 스티치(chain stitch)이고, 루프사는 루프사의 개방 노드로 경사의 폐쇄 노드에만 고정되며, 루프사는 편포의 일 표면으로부터만 경사의 방향으로 교대로 우측 및 좌측 방향들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 이 암형부를 갖는 후크 및 루프 패스너, 및 이 후크 및 루프 패스너를 갖는 흡수 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로서, 기재; 및 경사, 위사 및 루프사로 구성된 편포를 포함하는 암형부이며, 여기서 경사, 위사 및 루프사는 교직(interweaving)되어 인터레이싱(interlacing) 지점들을 형성하며, 인터레이싱 지점을 형성하는 경사는 인터레이싱 지점을 형성하는 루프사 및 인터레이싱 지점을 형성하는 위사의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진행한다.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는 수형부와의 우수한 결합력을 보이며, 여기서 좌-우 결합력 차이는 작다.
본 발명의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는 루프사가 편포의 일면으로부터 경사에 대해 우측 및 좌측으로 교대로 돌출되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또한,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편포)의 제조 동안에 또는 심지어 특정 시간량이 경과한 후에,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로부터 돌출되는 루프사에서 "후방 누출(rear leakage)"(즉,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를 구성하는 편포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루프사의 파일(pile)이 편포의 반대면 상에 형성됨)이 발생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는 수형부와의 결합을 위한 우수한 결합력을 갖고, 좌-우 결합력 차이가 작다. 또한, 본 발명의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에 편성 패턴을 적용함으로써,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의 인열 강도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는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고, 종이 기저귀와 같은 흡수 용품 내의 후크 및 루프 패스너를 위한 암형부로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 이 암형부를 갖는 후크 및 루프 패스너, 및 이 후크 및 루프 패스너를 갖는 흡수 용품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의 단면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실시예 1 및 실시예 3)의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 내의 편포의 편성 패턴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2b는 편포가 (경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도 2a의 선 A-A를 따라 절단되었을 때 관찰되는, 편포 상에 형성된 루프사(좌측 및 우측에 대해 각각 하나의 루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3a는 도 2a에 도시된 편포의 편성 패턴의 일 태양을 예시한 패턴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3b는 (a) 루프사, (b) 경사 및 (c) 위사를 도시하는, 경사, 위사 및 루프사로 분해된 바와 같은, 도 3a에 도시된 편포의 편성 텍스처의 패턴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단면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실시예 2)에 따른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 내의 편포의 편성 패턴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5b는 편포가 (경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도 5a의 선 B-B를 따라 절단되었을 때 관찰되는, 편포 상에 형성된 루프사(좌측 및 우측에 대해 각각 하나의 루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6은 도 5a에 도시된 편포의 편성 패턴의 일 태양을 예시한 패턴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실시예 4)에 따른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 내의 편포의 편성 패턴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7b는 편포가 (경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도 7a의 선 C-C를 따라 절단되었을 때 관찰되는, 편포 상에 형성된 루프사(좌측 및 우측에 대해 각각 하나의 루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8은 도 7a에 도시된 편포의 편성 패턴의 일 태양을 예시한 패턴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9는 비교예 1의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의 편포의 표면 상에 형성된 루프사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0은 인열 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시험 샘플의 개략도.
도 11a는 인열 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시험 샘플을 텐실론(tensilon) 인장 시험기에 고정시키는 방법 및 시험 샘플이 견인되는 방향의 정면도.
도 11b는 인열 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시험 샘플을 텐실론 인장 시험기에 고정시키는 방법 및 시험 샘플이 견인되는 방향의 측면도.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는 다음의 실시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10)는 경사(21)(도시되지 않음), 위사(22)(도시되지 않음), 및 루프사(23)로 구성되는 편포(20)뿐만 아니라 기재(30)를 구비한다. 편포(20)에서, 루프사(23)는 편포(20) 내에서 파일을 형성하고, 경사(21) 및 위사(22)는 편포(20)의 기부 스티칭(25)을 형성하며, 이때 루프사(23)는 경사(21)에 대해 좌측 및 우측 방향들로 교대로 편포(20)의 하나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도 2a는 도 1에 예시된 구조를 갖는 편포(20)의 편성 패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3a는 도 2a의 편성 패턴의 일 태양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3b는 경사(21)(도 3b에서의 (b)), 위사(22)(도 3b에서의 (c)) 및 루프사(23)(도 3b에서의 (a))로 분해된 도 3a의 편성 텍스처의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포(20)의 경사(21), 위사(22) 및 루프사(23)는 교직되어 인터레이싱 지점(24)(24a, 24b, 24c)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인터레이싱 지점(24)을 형성하는 경사(21)는 인터레이싱 지점(24)을 형성하는 루프사(23) 및 인터레이싱 지점(24)을 형성하는 위사(22)의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진행한다. 그러한 편성 패턴을 가짐으로써, 루프사(23)가 경사(21)에 대해 좌측 및 우측으로 교대로 편포(20)의 하나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가 얻어진다(도 2b 참조).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루프사의 "후방 누출"을 방지하는 구조가 가능하다.
이하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편포(20)의 편성 패턴이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편포(20)의 편성 패턴은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우선, 경사(21)는 반복되는 체인 스티칭에 의해 0-1/1-0/1-0/0-1 패턴으로 형성되고, 경사(21)는 편포(20)의 기부 스티칭(25)(중간 안내 바아)을 형성한다.
다음에, 루프사(23)는 경사(21)에 대해 좌측 및 우측으로 안내되어, 편포(20) 내에 파일(전방 바아)을 형성한다. 루프사(23)는 폐쇄 노드 또는 개방 노드에 의해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편포(20)의 사전 결정된 바늘 위치에서 먼저 랩핑(wrapping)되고 좌측으로 안내된다. 이어서, 좌측으로 이송된 루프사(23)는 역-권취되어 경사(21)의 개방 노드(21a)와 결합되어서(즉, 루프사가 폐쇄 노드가 됨), 인터레이싱 지점(24a)을 형성한다. 따라서, 인터레이싱 지점(24a)을 형성하는 경사(21)는 인터레이싱 지점(24a)을 형성하는 루프사(23)의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진행한다. 루프사(23)는 이어서 편포(20)의 좌측으로 추가로 안내된다. 이어서, 루프사(23)는 폐쇄 노드 또는 개방 노드에 의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편포(20)의 사전 결정된 바늘 위치에서 랩핑된다. 이어서, 우측으로 이송된 루프사(23)는 역-권취되어 경사(21)의 개방 노드(21b)와 결합되어서(즉, 루프사가 폐쇄 노드가 됨), 인터레이싱 지점(24b)을 형성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인터레이싱 지점(24b)을 형성하는 경사(21)는 또한 인터레이싱 지점(24b)을 형성하는 루프사(23)의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는 루프사(23)가 경사(21)에 대해 좌측 및 우측으로 교대로 편포(20)의 하나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파일을 형성하도록 반복된다.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여기에서 "루프사가 경사에 대해 좌측 및 우측으로 교대로 편포의 하나의 표면으로부터만 돌출된다"라는 표현은, 편포(20)에서, 경사(21)의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볼 때, 루프사(23)가 경사와의 결합점을 기점으로 하여 기부 스티칭(25)의 표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좌측 및 우측으로 교대로 형성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루프사가 경사에 대해 좌측 및 우측으로 형성된다 할지라도, 기부 스티칭의 표면에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는 루프사(즉, 표면 상에 놓인 루프사)는 포함되지 않는다.
도 3a 및 도 3b에서, 루프사(23)의 패턴은 6-5/11-10/5-6/0-1(좌측 및 우측 단부들 상의 개방 노드)의 반복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다른 패턴 예는 6-5/10-11/5-6/1-0(좌측 및 우측 단부들이 도 3a의 태양에서 폐쇄 노드를 형성할 때), 5-4/9-8/4-5/0-1(도 6의 태양, 좌측 및 우측 단부가 개방 노드임), 및 5-4/8-9/4-5/1-0(도 6의 태양의 좌측 및 우측 단부가 폐쇄 노드를 형성할 때)을 포함한다.
다음에, 경사(21)와 결합된 위사(22)는 편포(20)의 기부 스티칭(25)(후방 바아)을 형성한다. 도 3a 및 도 3b에서, 위사(22)는 패턴 4-3/7-7/3-4/0-0으로 스티치로서 경사(21)의 체인 스티칭 내로 삽입된다. 도 3a에 도시된 태양 외에도, 스티치는 예를 들어 패턴 7-6/13-13/6-7/0-0(도 6의 태양) 또는 3-2/5-5/2-3/0-0으로 삽입될 수 있다. 위사(22)는 역-권취되어 인터레이싱 지점(24a)에서 경사(21)의 개방 노드와 결합되고(즉, 위사는 폐쇄 노드를 형성함), 루프사와 같이, 인터레이싱 지점(24a)을 형성하는 경사(21)는 인터레이싱 지점(24a)을 형성하는 위사(22)의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진행한다. 도 2, 도 3a 및 도 3b의 태양에서, 위사(22)는 경사(21)의 개방 노드에서 직조되고, 위사(22)는 경사(21)에 인접한 경사(21')의 폐쇄 노드에서 좌측 및 우측으로 방향을 바꾼다.
이 방식으로,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10)의 경사(21), 위사(22) 및 루프사(23)가 함께 직조되어 인터레이싱 지점(24)을 형성하고, 인터레이싱 지점(24)을 형성하는 경사(21)는 인터레이싱 지점(24)을 형성하는 루프사(23) 및 인터레이싱 지점(24)을 형성하는 위사(22)의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진행한다.
도 3a 및 도 3b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편포(20)는 경사(21)가 교번하는 인터레이싱 지점(24)들 및 경사와 위사 사이의 교차점들을 갖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루프사(23)는 경사(21)에 대해 좌측 및 우측으로 교대로 편포(20)의 하나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결합력을 고려할 때, 편포(20)에 대한 루프사(23)의 돌출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편포의 표면에 대해 30° 이상이고, 소정의 태양에서는 45°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돌출 각도의 상한은 특별한 제한을 갖지 않고, 편포(20)의 표면에 대한 루프사(23)의 돌출 각도는 80°일 수 있거나 심지어 90°일 수 있다.
여기에서, 3개의 연속하는 인터레이싱 지점(24)들에서의 경사(21), 위사(22) 및 루프사(23)의 노드의 특정 형태(즉, 개방 노드 또는 폐쇄 노드)를 설계함으로써, 편성 패턴이 한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경사 방향으로 3개의 연속하는 인터레이싱 지점(24)들에서 경사(21), 위사(22) 및 루프사(23)의 노드의 형태는 편포(20)의 편성 패턴을 한정하기 위한 최소 단위(26)를 구성한다. 또한,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레이싱 지점(24)(24a, 24b, 24c)과 경사의 노드(폐쇄 노드; 인터레이싱 지점이 아님)가 경사를 따라 교번한다. 따라서, 도 2a 및 도 3a에 예시된 편포는 편성 패턴을 한정하는 최소 단위로서 경사 방향으로의 3개의 인터레이싱 지점들 및 2개의 경사 노드(폐쇄 노드)들을 포함한다.
루프 파일을 효과적으로 형성하고 "후방 누출"의 감소된 위험을 갖는 구조를 얻기 위해서, 3개의 연속하는 인터레이싱 지점(24)들에서의 경사(21), 위사(22) 및 루프사(23)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표 1에 예시된 편성 패턴을 갖는다. 표 1에서, O는 개방 노드를 나타내고, C는 폐쇄 노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C-C-C"는 3개의 연속하는 인터레이싱 지점들에서 노드의 형태가 폐쇄 노드/폐쇄 노드/폐쇄 노드임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전술된 패턴 중에서, 일 태양에서는 패턴 1 내지 패턴 18 중 하나가 편성 패턴으로서 유리하게 채용된다. "후방 누출"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관점에서, 편성 패턴은 더 바람직하게는 패턴 1 내지 패턴 9 중 하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패턴 1 내지 패턴 3 중 하나이다.
편포(20)를 편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편성기(knitting machine)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3개의 바아 또는 4개의 바아를 갖는 임의의 편성기가 변경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는 저비용으로 쉽게 제작될 수 있다.
편포(20)를 구성하는 경사(21), 위사(22) 및 루프사(23)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레이온,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 및 천연 섬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수형부와의 결합으로 인한 암형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고려할 때, 고강도 폴리아미드가 사용될 수 있다. 재료 비용 및 환경적 안정성을 고려할 때, 폴리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루프사로서, 수형부와 결합하는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모노-필라멘트사보다 멀티-필라멘트사가 선호된다. 이러한 경우에, 얇은 필라멘트의 루프사가 때때로 수형부와의 결합 중에 파단될 수 있으므로, 적합한 직경의 루프사가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형상 등에 기초하여 선택되어야 한다. 경사 및 위사에 관하여, 모노-필라멘트사 및 멀티-필라멘트사 둘 모두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얀의 필라멘트 밀도는 20 내지 220 T,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T이다.
일 태양에서, 편포(20)는 10 내지 100 g/㎡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평량이 5 g/㎡ 이하이면, 편포의 형상은 편성시 유지되기 어려울 수 있고, 평량이 100 g/㎡ 이상이면, 강성이 증가되어, 흡수 용품에 부착될 때, 가요성이 그러한 부분에서 손상될 수 있다. 또한, 편포가 너무 조밀해질 수 있고, 기재가 미적으로 설계될 때, 가시성(visibility)이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10)가 수형부와의 결합을 위한 우수한 결합력을 가지며, 좌-우 결합력 차이가 작으므로, 평량은 종래의 제품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우수한 가시성을 갖는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는 저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다.
융기(raising), 엠보싱, 인쇄, 염색, 착색 등과 같은 추가의 처리가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10) 상에 수행될 수 있다. 편포(20)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염색될 수 있다. 특히 기저귀와 같은 흡수 용품의 부재로서 사용될 때, 윤기(luster), 빛남(shining) 등과 같은 광택(gloss)이 감소될 수 있고, 미적으로 우수한 외관이 얻어질 수 있다.
기재(30)를 위한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수지 필름, 부직포, 종이, 또는 이들의 라미네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수지 필름의 예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다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의 합성 수지 필름, 또는 이들 합성 수지 필름의 라미네이트를 포함한다. 일 태양에서, 수형부가 결합되는 표면을 위한 위치 표지(indicator), 또는 다양한 심볼 또는 디자인이 기재의 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기재(30)는 루프사(23)가 좌측 및 우측으로 교대로 돌출되는 표면의 반대 표면 상에서 편포(20)에 접합된다. 기재(30)를 편포(20)에 접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건식 라미네이션, 압출 라미네이션, 습식 라미네이션, 열 라미네이션, 초음파 방법과 같은 임의의 통상적으로 공지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재 층 상에 제공되는 위치 표지의 생산성, 가요성, 가시성 등을 고려할 때 건식 라미네이션 방법이 바람직하다. 건식 라미네이션을 위한 접착제로서, 우레탄계 접착제, EVA계 접착제, 아크릴 접착제, 비닐 아세테이트계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습식 라미네이션을 위한 접착제로서, 전분, 카세인, 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 에스테르 등을 기재로 하는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압출 라미네이션의 경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개질된 폴리올레핀과 같은 수지가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접착제 또는 수지는 위에서 언급된 것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건식 라미네이션의 경우에, 접착제 층이 기재의 하나의 표면 상에 전체 표면 전부에 걸쳐 제공될 수 있거나, 부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접착제 층이 부분적으로 제공될 때, 도포 방법에 대해 특별한 제한은 없다. 대체로, 접착제는 패턴으로 도포되며, 도포의 패턴, 형상, 크기 등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임의의 패턴, 형상 또는 크기, 예를 들어 원, 타원, 직사각형, 다각형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접착제가 기재의 표면 상에 부분적으로 도포될 때, 편포를 통한 접착제의 침투로 인해 눕혀지도록 초래되는 루프사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어, 수형부를 구성하는 후크와의 결합시 결합력의 감소가 회피될 수 있다. 도포 패턴의 형상 및 접착제의 양을 적합하게 선택함으로써, 결합력이 변경될 수 있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10)는 수형부(40)와 결합됨으로써 후크 및 루프 패스너(50)를 형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10)를 구성하는 편포(20) 상에 제공되는 루프사(23)(파일)는 수형부(40)를 구성하는 후크(41)를 포착하여, 암형부(10)가 수형부(40)와 결합되게 하고, 암형부 및 수형부는 서로 부착되게 한다. 본 발명의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10)를 갖는 후크 및 루프 패스너(50)에서, 루프사(23)가 경사(21)에 대해 좌측 및 우측으로 교대로 편포(20)의 하나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암형부가 구성되고 루프사의 "후방 누출"의 위험이 거의 없기 때문에, 수형부와의 결합시 좌-우 결합력 차이가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여기에서, 좌-우 결합력 차이는,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를 수형부와 결합시키고, 이들 둘이 폭 방향(즉, CD 방향, 경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 대해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박리될 때의 결합력(우측 결합력) 및 이들 둘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박리될 때의 결합력(좌측 결합력)을 복수의 지점에 대해 측정하며, {(측정된 우측 결합력의 평균) - (측정된 좌측 결합력의 평균)} /(우측 결합력 및 좌측 결합력의 모든 측정된 값들의 평균)에 의해 계산된 결과의 절대값을 얻음으로써 평가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값이 0에 가까울수록, 좌-우 결합력 차이가 작게 된다.
수형부는 만족스러운 결합력이 얻어질 수 있는 한 임의의 유형의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섯형 후크, 열쇠형 후크, 또는 J자형 후크를 갖는 수형부가 사용될 수 있다. 수형부의 핀 밀도는 특별히 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제곱인치당 500 내지 5000개 핀의 범위 내이고, 일 태양에서 제곱인치당 1600개 핀의 핀 밀도를 갖는 수형부가 사용될 수 있다. 수형부의 재료는 암형부를 구성하는 얀의 경우에서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수형부의 기재 부분의 두께는 적합하게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미토모 쓰리엠(Sumitomo 3M)으로부터 구매가능한 후크 테이프(CS-600)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후크 및 루프 패스너는 바닥재 또는 벽재의 패스너, 의류의 패스너, 청소 부재용 패스너, 또는 자동차 내장재용 패스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종이 기저귀, 생리대, 수유 패드 등과 같은 흡수 용품의 패스너로서 사용될 수 있다. 후크 및 루프 패스너가 흡수 용품, 특히 종이 기저귀에 사용될 때, 암형부와 수형부의 결합 특성, 특히 암형부의 성능이 고려되어야 한다. 보통의 종이 기저귀에서, 한 쌍의 수형부는 착용자의 등쪽의 양측에 제공되고, 한 쌍의 암형부는 복부에 대해 전방 몸통의 좌측 및 우측에 제공된다. 따라서, 종이 기저귀는 각각 좌측 및 우측의 2개의 위치에서 결합될 수형부 및 암형부를 구비한다. 좌-우 결합력 차이, 즉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박리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들 사이의 차이가 크면, 착용자는 후크 및 루프 패스너에 의해 제공되는 종이 기저귀의 체결 기능의 신뢰성에 관해 걱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암형부는 수형부와의 좌-우 결합력 차이의 감소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가 흡수 용품을 위한 후크 및 루프 패스너에 사용될 때, 그러한 흡수 용품에 체결하기 위한 수단이 예를 들어 접착,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접합에 의한 부착; 일체 성형; 봉제 및 스테이플링과 같은 기계적 체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에 의해 체결하기 위해, SIS 및 SBS와 같은 고무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EVA계 접착제 등과 같은 공지된 접착제가 요구되는 대로 적합하게 선택될 수 있지만, 접착제는 이들 수지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하에서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 1
루프사(6-5/11-10/5-6/0-1), 경사(0-1/1-0/1-0/0-1) 및 위사(4-3/7-7/3-4/0-0)의 편성 패턴을 갖는 트리코(tricot) 파일 편포를 3-바아 편성기(칼 마이어(KARL MAYER)에 의해 제조됨)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루프사, 경사 및 위사에 사용된 재료는, 루프사: 폴리에스테르(84T, 36개 실(thread)), 경사: 폴리에스테르(22T, 1개 실), 위사: 폴리에스테르(56T, 24개 실)였다. 편성 조건은 1-인-2-아웃, 코스(course): 8/㎝, 웨일: 3.7/㎝였고, 이때 편포의 평량은 23g/m2이었다.
이렇게 얻어진 편포를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하여 12 ㎛ 두께의 이축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건식 라미네이팅하여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를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의 편포의 편성 패턴(텍스처)이 도 2a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그 패턴이 도 3a에 개략적으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2b는 편포가 도 2a의 선 A-A (경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를 따라 절단되었을 때 관찰되는, 편포 내에 형성된 루프사(좌측 및 우측에 대해 각각 하나의 루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폴리우레탄 주 성분(상표명: 다켈락(TAKELAC) A969v, 미쓰이 케미칼 폴리우레탄 컴퍼니(Mitsui Chemical Polyurethane Co.)에 의해 제조됨)과 아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상표명: 다케네이트(TAKENATE) A5, 미쓰이 케미칼 폴리우레탄 컴퍼니에 의해 제조됨)를 혼합한 다음에 이 혼합물을 실리카(상표명: 토쿠실(TOKUSIL) U, 토쿠야마 컴퍼니(Tokuyama Co.)에 의해 제조됨)에 첨가함으로써 접착제를 제형하였으며, 이때 고형의 실리카의 양은 접착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7 중량%였다. 구체적으로, 교반된 실리카를 함유하는 용매에 폴리우레탄 주 성분 및 아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첨가하였고, 추가 교반 후에, 이 혼합물을 후지 세이키 컴퍼니(FUJI SEIKI Co.)에 의해 제조된 건식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150 m/min으로 라미네이팅하였다. 도포된 접착제의 양은 약 5 g/m2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루프사(5-4/9-8/4-5/0-1), 경사(0-1/1-0/1-0/0-1) 및 위사(7-6/13-13/6-7/0-0)의 편성 패턴을 갖는 트리코 파일 편포를 3-바아 편성기(칼 마이어에 의해 제조됨)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루프사, 경사 및 위사에 사용된 재료는, 루프사: 폴리에스테르(56T, 24개 실), 경사: 폴리에스테르(22T, 1개 실), 위사: 폴리에스테르(22T, 1개 실)였다. 편성 조건은 1-인-2-아웃, 코스: 8/㎝, 웨일: 3.7/㎝였고, 이때 편포의 평량은 14g/m2이었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얻어진 편포를 사용하여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를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의 편포의 편성 패턴(텍스처)이 도 5a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그 패턴이 도 6에 개략적으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5b는 편포가 도 5a의 선 B-B (경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를 따라 절단되었을 때 관찰되는, 편포 내에 형성된 루프사(좌측 및 우측에 대해 각각 하나의 루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실시예 3
루프사(6-5/11-10/5-6/0-1), 경사(0-1/1-0/1-0/0-1) 및 위사(4-3/7-7/3-4/0-0)의 편성 패턴을 갖는 트리코 파일 편포를 3-바아 편성기(칼 마이어에 의해 제조됨)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루프사, 경사 및 위사에 사용된 재료는, 루프사: 폴리에스테르(56T, 24개 실), 경사: 폴리에스테르(22T, 1개 실), 위사: 폴리에스테르(22T, 1개 실)였다. 편성 조건은 1-인-2-아웃, 코스: 8/㎝, 웨일: 3.7/㎝였고, 이때 편포의 평량은 12g/m2이었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얻어진 편포를 사용하여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를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의 편포의 편성 패턴 및 편포 내에 형성된 루프사의 상태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였다.
실시예 4
루프사(6-5/11-10/5-6/0-1), 경사(0-1/1-0/1-0/0-1) 및 위사(3-2/5-5/2-3/0-0)의 편성 패턴을 갖는 트리코 파일 편포를 3-바아 편성기(칼 마이어에 의해 제조됨)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루프사, 경사 및 위사에 사용된 재료는, 루프사: 폴리에스테르(56T, 24개 실), 경사: 폴리에스테르(22T, 1개 실), 위사: 폴리에스테르(22T, 1개 실)였다. 편성 조건은 1-인-1-아웃, 코스: 8/㎝, 웨일: 5.5/㎝였고, 이때 편포의 평량은 25g/m2이었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얻어진 편포를 사용하여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를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의 편포의 편성 패턴(텍스처)이 도 7a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그 패턴이 도 8에 개략적으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7b는 편포가 도 7a의 선 C-C (경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를 따라 절단되었을 때 관찰되는, 편포 내에 형성된 루프사(좌측 및 우측에 대해 각각 하나의 루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비교예
루프사(3-2/5-4), 경사(1-0/0-1) 및 위사(0-0/5-5)의 편성 패턴을 갖는 트리코 파일 편포를 3-바아 편성기(칼 마이어에 의해 제조됨)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루프사, 경사 및 위사에 사용된 재료는, 루프사: 폴리아미드(44T, 11개 실), 경사: 폴리아미드(22T, 1개 실), 위사: 폴리아미드(22, 1개 실)였다. 편성 조건은 1-인-1-아웃, 코스: 10.4/㎝, 웨일: 5.5/㎝였고, 이때 편포의 평량은 21g/m2이었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얻어진 편포를 사용하여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를 얻었다. 도 9는 편포가 편포의 경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되었을 때 관찰되는, 편포 내에 형성된 루프사(좌측 및 우측에 대해 각각 하나의 루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의 평가
결합력
전술된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얻어진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 상에, 25 ㎜ 폭의 수형부(CS-600, 스미토모 쓰리엠 엘티디.(Sumitomo 3M Ltd.)에 의해 제조됨)를 배치하였고, 2 ㎏ 롤러로 압착 접합시켰다. 이어서, 암형부 및 수형부를 1 ㎏의 힘으로 수평 방향으로 당겨 둘 모두가 서로 결합하게 하였다.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결합된 수형부 및 암형부를 300 ㎜/min의 연신 속도로 수직 방향으로 연신시켰고, 박리 시점에서의 박리력을 측정하여 결합력(N/25 ㎜)을 얻었다. 결합력은 폭 방향(즉, 경사 방향에 대해 수직인 CD 방향)에 대해 우측으로부터 좌측(우측 결합력)으로 또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좌측 결합력)으로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결합된 암형부를 수형부로부터 각각 6회씩 박리시킴으로써 측정하였다. 이 결합력은 12개의 측정값들을 평균함으로써 얻었다. 그 결과가 표 2에 나타나 있다.
결합력의 방향
전술된 바와 같이 측정된 우측 결합력 및 좌측 결합력 각각의 6개의 측정된 값들로부터, 방정식: {(6개의 측정된 우측 결합력의 평균) - (6개의 측정된 좌측 결합력의 평균)} / (모든 (12개의) 측정된 우측 결합력 및 좌측 결합력의 평균)을 사용하여 그리고 결과를 절대값으로 표현하여 결합력의 방향을 얻었다. 값이 0에 근접할수록, 좌-우 결합력 차이가 작아진다. 그 결과가 표 2에 나타나 있다.
탈층(delamination) 강도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의 편포와 기재를 접착제로 서로 접합시켰고, 이어서 척(chuck) 사이 25 ㎜에 설치하였으며, 300 ㎜/min의 연신 속도로 수직 방향으로 연신시켰고, 편포와 기재의 분리 시기에서의 힘을 텐실론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여서 탈층 힘(N/25 ㎜)을 얻었다. 그 결과가 표 2에 나타나 있다.
인열 강도(길이방향)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얻어진 암형부를 대략 100 ㎜(MD) × 50 ㎜(CD)로 절단하였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 ㎜ 깊이의 노치(70)를 블레이드에 의해 실질적으로 CD 방향의 중심에서 절삭하여 시험 샘플(60)(시험 샘플 A)을 제작하였다. 다른 시험 샘플(시험 샘플 B)을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70)를 갖는 시험 샘플 A 측의 단부(61a, 61b)를 척(80)들 사이 20 ㎜에 설치된 텐실론 인장 시험기에 체결시켰고, 시험 샘플 A를 300 ㎜/min의 속도로 100 ㎜ 연신시켰으며, 시험 샘플 A의 강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최고 강도 값을 시험 샘플 A의 인열 강도로 지정하였다. 시험 샘플 B를 시험 샘플 A의 인열 방향과 반대인 인열 방향으로 설치하였고(단부(61b)가 상부 척(80)에 고정되고, 단부(61a)가 하부 척(80)에 고정됨), 시험 샘플 B의 인열 강도를 위와 동일한 조건 하에서 측정하였다. 시험 샘플 A 및 시험 샘플 B의 인열 강도를 평균하여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의 인열 강도를 얻었다. 그 결과가 표 2에 나타나 있다.
루프사의 돌출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 상의 루프사의 돌출 상태를 시각적으로 관찰하였다. 루프사가 좌측 및 우측으로 돌출되고 좌측 및 우측의 루프가 동일한 크기를 갖는 상태를 "양호"로 판정하였고, 루프사가 좌측 및 우측으로 돌출되지만 좌측 및 우측의 루프가 동일한 크기를 갖지 않는 상태를 "허용가능"으로 판정하였으며, 루프사가 좌측 및 우측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를 "허용불가"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가 표 2에 나타나 있다.
루프사의 "후방 누출"
후크 및 루프 패스너 샘플의 100 ㎜ × 100 ㎜ 암형부를 준비하였고, 루프사의 "후방 누출"의 정도를 시각적으로 관찰하였다. 5% 이하의 "후방 누출"을 "우수"로 판정하였고, 5 내지 10%를 "양호"로 판정하였으며, 10 내지 30%를 "허용가능"으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가 표 2에 나타나 있다.
Figure pct00002
10 : 암형부
20 : 편포
23 : 루프사
25 : 기부 스티칭
30 : 기재

Claims (3)

  1. 후크 및 루프 패스너(hook and loop fastener)의 암형부(female part)로서,
    기재(substrate); 및
    경사(warp yarn), 위사(weft yarn) 및 루프사(loop yarn)로 구성된 편포(knitted fabric)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상기 위사 및 상기 루프사는 교직(interweaving)되어 인터레이싱(interlacing) 지점들을 형성하며,
    상기 인터레이싱 지점을 형성하는 경사는 상기 인터레이싱 지점을 형성하는 루프사 및 상기 인터레이싱 지점을 형성하는 위사의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진행하는 암형부.
  2. 제1항에 따른 암형부 및 수형부(male part)를 포함하는 후크 및 루프 패스너.
  3. 제2항에 따른 후크 및 루프 패스너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KR1020137005240A 2010-08-06 2011-08-04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 KR1018451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76858A JP5841318B2 (ja) 2010-08-06 2010-08-06 面ファスナ
JPJP-P-2010-176858 2010-08-06
PCT/US2011/046531 WO2012018971A2 (en) 2010-08-06 2011-08-04 Female part of hook and loop faste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269A true KR20130095269A (ko) 2013-08-27
KR101845105B1 KR101845105B1 (ko) 2018-04-03

Family

ID=45560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240A KR101845105B1 (ko) 2010-08-06 2011-08-04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600746A4 (ko)
JP (1) JP5841318B2 (ko)
KR (1) KR101845105B1 (ko)
CN (1) CN103052332B (ko)
TW (1) TWI612192B (ko)
WO (1) WO201201897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50152B (zh) * 2014-08-05 2016-09-21 蔡晉暉 防火針織黏扣布及其製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1503B1 (ja) * 2010-08-06 2012-01-25 丸紅インテックス株式会社 面ファスナ用編地
CN103343421B (zh) * 2013-06-14 2015-10-28 3M材料技术(广州)有限公司 织物和包括织物的制品
JP6563636B2 (ja) 2014-11-04 2019-08-2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面ファスナー雌材、面ファスナー、及び吸収性物品
JP6774738B2 (ja) * 2015-04-15 2020-10-2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面ファスナ雌材、面ファスナ、及び吸収性物品
BR112019002567A2 (pt) 2016-08-08 2019-05-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âmina de material com laços, método e aparelho para a formação da mesma
JP6980395B2 (ja) * 2017-03-07 2021-12-15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7126394B2 (ja) * 2018-07-11 2022-08-2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面ファスナ雌材用編地の製造方法、面ファスナ雌材用編地、及び面ファスナ雌材
CN112011881B (zh) * 2019-05-31 2022-02-11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可附接的织物组件
TWI812500B (zh) * 2022-10-07 2023-08-11 台灣百和工業股份有限公司 環扣編織布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4942A (en) * 1991-06-06 1993-06-01 Guilford Mills, Inc. Loop-type textile fastener fabric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DE69627976T2 (de) * 1995-07-26 2004-05-19 KURARAY CO., LTD, Kurashiki Material für das weibliche element eines flächenreissverschlusses
JP3425501B2 (ja) * 1995-12-22 2003-07-14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面ファスナー
EP0848938A1 (en) * 1996-12-19 1998-06-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mproved female fastening portion for an absorbent article
JPH1150363A (ja) * 1997-07-31 1999-02-23 Akio Kobayashi パイル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TW337087U (en) * 1997-09-04 1998-07-21 Yasco Entpr Corp Improvement on adhesive belt
JP3505089B2 (ja) 1998-08-31 2004-03-08 Ykk株式会社 繊維製面ファスナー
US6216496B1 (en) * 1998-09-04 2001-04-17 Gehring Textiles, Inc. High performance hook and loop closure system
FR2791707B1 (fr) * 1999-03-30 2001-05-25 Aplix Sa Tissu tricote a boucles de faible grammage
FR2811341B1 (fr) * 2000-07-04 2002-08-23 Aplix Sa Tissu a double reseaux de boucles et procede de fabrication
US6845639B1 (en) * 2002-04-02 2005-01-25 Gfd Fabrics, Inc. Stretchable loop-type warp knitted textile fastener fabric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3895272B2 (ja) * 2002-12-24 2007-03-22 Ykk株式会社 繊維製面ファスナー
JP4480333B2 (ja) * 2003-02-07 2010-06-1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面ファスナ雌材
JP5384888B2 (ja) * 2008-09-10 2014-01-0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面ファスナ雌材
TW201023784A (en) * 2008-12-31 2010-07-01 Chao-Mu Zhou A hook-and-loop fastener
JP4861503B1 (ja) * 2010-08-06 2012-01-25 丸紅インテックス株式会社 面ファスナ用編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50152B (zh) * 2014-08-05 2016-09-21 蔡晉暉 防火針織黏扣布及其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00746A4 (en) 2014-07-16
KR101845105B1 (ko) 2018-04-03
JP2012034802A (ja) 2012-02-23
TW201211338A (en) 2012-03-16
CN103052332B (zh) 2018-01-12
TWI612192B (zh) 2018-01-21
WO2012018971A2 (en) 2012-02-09
CN103052332A (zh) 2013-04-17
JP5841318B2 (ja) 2016-01-13
WO2012018971A3 (en) 2012-06-21
EP2600746A2 (en)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105B1 (ko)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
KR20110059868A (ko)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암형부
EP0829563B1 (en) Loop-type textile fastener fabric, method of producing same and process of treating same
US5214942A (en) Loop-type textile fastener fabric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KR102117131B1 (ko) 면 파스너 및 면 파스너용 걸어맞춤 소자의 조합
JP6033540B2 (ja) 面ファスナーの為の複合材要素
US10709620B2 (en) Touch fastener female material, touch fastener, and absorbent article
JP2008088602A (ja) 面ファスナ用係合雌材
TWI741981B (zh) 表面緊固件母料、表面緊固件、及吸收性物品
JP2005253667A (ja) 面ファスナ雌材
JP4480333B2 (ja) 面ファスナ雌材
JP2005118360A (ja) 面ファスナーの雌部材
JP2020103820A (ja) フロアマットの裏張り材、及びフロアマットの裏張り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