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791A - 서지 업소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서지 업소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791A
KR20130094791A KR1020137003263A KR20137003263A KR20130094791A KR 20130094791 A KR20130094791 A KR 20130094791A KR 1020137003263 A KR1020137003263 A KR 1020137003263A KR 20137003263 A KR20137003263 A KR 20137003263A KR 20130094791 A KR20130094791 A KR 20130094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tube
insulator
plate
surge absorb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3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유키 다나카
신지 사카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4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1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having a single gap or a plurality of gaps in parallel
    • H01T4/12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having a single gap or a plurality of gaps in parallel hermetically sea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spark gaps or sparking plu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rmistors And Varistors (AREA)

Abstract

유리관 (2) 과, 그 유리관 (2) 의 양 단 개구부를 폐색하여 내부에 방전 가스를 봉지하는 1 쌍의 봉지 전극 (3) 과, 양 단에 1 쌍의 봉지 전극 (3) 을 배치하여 유리관 (2) 내에 수납된 판상 애자 (4) 를 구비하고, 판상 애자 (4) 의 양 단부 (4a) 중 적어도 일방이, 유리관 (2)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폭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적어도 중간부 (4b) 의 폭이 유리관 (2) 단부의 내경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서지 업소버 및 그 제조 방법{SURGE ABSOR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낙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서지로부터 여러 가지 기기를 보호하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에 사용하는 서지 업소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화기, 팩시밀리, 모뎀 등의 통신 기기용의 전자 기기가 통신선과 접속하는 부분, 전원선, 안테나 혹은 CRT 구동 회로 등, 천둥 서지나 정전기 등의 이상 전압 (서지 전압) 에 의한 전격을 받기 쉬운 부분에는, 이상 전압에 의해 전자 기기나 이 기기를 탑재하는 프린트 기판의 열적 손상 또는 발화 등에 의한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서지 업소버가 접속되어 있다.
종래, 응답성이 양호한 서지 업소버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 갭을 갖는 서지 흡수 소자를 사용한 서지 업소버가 제안되어 있다. 이 서지 업소버는, 도전성 피막으로 피포 (被包) 한 원주상의 절연성 부재인 세라믹스 부재의 둘레면에, 이른바 마이크로 갭이 형성되고, 세라믹스 부재의 양 단에 1 쌍의 캡 전극을 갖는 서지 흡수 소자가 방전 가스와 함께 유리관 내에 수용되며, 원통상 유리관의 양 단에 리드선을 갖는 봉지 전극이 고온 가열에 의해 봉착된 방전형 서지 업소버이다.
또, 상기 유리관에 서지 흡수 소자를 수용하는 서지 업소버의 제조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지 흡수 소자를 가열 처리함과 함께 서지 흡수 소자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를 형성함으로써 서지 흡수 소자의 유리관을 팽창시켜, 서지 흡수 소자의 마이크로 갭 주변부의 공간을 확보하는 제조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8221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121285호
상기 종래의 기술에는 이하의 과제가 남아 있다. 종래, 서지 흡수 소자를 유리관에 봉입하는 방식의 경우, 내부 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서지 내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유리관 내의 소자를 유리관에 접촉시키지 않고 봉입하며, 특허문헌 2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봉입시에 유리관을 충분히 부풀릴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서지 흡수 소자의 유리관으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서지 흡수 소자가 자립하도록 굵게 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내부 공간이 좁아져 방전 가스의 용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서지 내량을 감소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되었다. 또, 자립형 서지 흡수 소자의 경우, 서지 내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서지 흡수 소자의 단면적을 작게 할 필요가 있지만, 자립 구조로 하기 위해서 표면을 복잡한 형상으로 할 필요가 있었다. 이 경우, 서지 흡수 소자의 표면에 탄소봉에 의해 카본 트리거를 형성하려고 하면, 탄소봉이 표면으로부터 빠지기 쉬워져 카본 트리거의 형성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가는 서지 흡수 소자를 자립시키기 위해서 양 단부 (端部) 에 캡 전극 부재나 금구 등을 장착하는 방법도 있지만, 부재 점수가 증대되어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충분한 내부 공간을 확보 가능함과 함께 간단한 구성이고 조립도 용이한 서지 업소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상기 종래의 기술에는 이하의 과제가 남아 있다. 종래, 서지 흡수 소자를 유리관에 봉입하는 방식의 경우, 내부 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서지 내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특허문헌 2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봉입시에 유리관을 충분히 부풀릴 필요가 있다. 그러나, 유리관을 부풀릴 때나 서지 흡수 소자를 봉입한 후에 있어서, 열 팽창률의 차이에 의해 접촉되어 있던 서지 흡수 소자 또는 캡 전극과 유리관이 떨어지도록 변형되면,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유리관의 내면에 미소한 크랙이 생겨, 서지 내량이 저하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유리관 내면의 크랙 발생을 서지 내량을 저하시키지 않을 정도로 제어하여 양호한 서지 내량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서지 업소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구성을 채용하였다. 즉, 본 발명의 서지 업소버는, 유리관과, 그 유리관의 양 단의 개구부를 폐색하여 내부에 방전 가스를 봉지하는 1 쌍의 봉지 전극과, 양 단에 상기 1 쌍의 봉지 전극을 배치하여 상기 유리관 내에 수납된 판상 애자를 구비하고, 상기 판상 애자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방이, 상기 유리관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폭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적어도 중간부의 폭이 상기 유리관 단부의 내경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서지 업소버에서는, 판상 애자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방이, 유리관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폭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시에 유리관 내에 판상 애자를 삽입하는 경우에도 유리관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폭의 단부가 유리관 단부에 위치 결정됨으로써, 단면적이 작은 얇은 판상 애자라도 캡 전극 부재나 금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높은 위치 정밀도로 자립시킬 수 있음과 함께, 원주상의 애자보다 넓은 내부 공간을 얻을 수 있다. 또, 유리관의 내경과 동일한 일정한 폭의 장방 형상의 판상 애자이면, 유리관의 내부 공간을 완전히 2 개로 구획하여 버리는 반면, 본 발명의 서지 업소버에서는, 판상 애자의 적어도 중간부의 폭이 유리관 단부의 내경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판상 애자의 표면측과 이면측의 공간이 중간부의 주변에서 연통됨으로써, 유리관 내를 완전히 구획하지 않고 보다 넓은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더욱 서지 내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서지 업소버는, 상기 판상 애자의 양 단부가 상기 유리관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폭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서지 업소버에서는, 판상 애자의 양 단부가 유리관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폭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시에 유리관 내에 판상 애자를 삽입하는 경우에도 판상 애자의 상하를 일정하게 하지 않고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작업이 용이해짐과 함께, 자립시의 기울어짐도 억제하여 더욱 높은 위치 정밀도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지 업소버는, 상기 판상 애자의 표리면의 적어도 일방의 중간부에,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트리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서지 업소버에서는, 판상 애자의 표리면의 적어도 일방의 중간부에,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트리거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카본 트리거 등의 트리거부를 개재하여 트리거 방전 (코로나 방전) 이 발생함으로써, 높은 응답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판상 애자의 표리면이 평탄면이기 때문에, 트리거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지 업소버의 제조 방법은, 유리관 내에 판상 애자를 수납함과 함께 상기 유리관의 양 단의 개구부를 1 쌍의 봉지 전극으로 폐색하고, 방전 가스를 내부에 봉지하여 조립 상태로 하는 공정과, 상기 조립 상태인 채로 가열하여 상기 유리관을 연화 상태로 함과 함께 상기 유리관의 내압보다 외압을 낮게 하여 연화된 상기 유리관의 중간부를 외측으로 팽출시키는 공정을 갖고, 상기 판상 애자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방을, 상기 유리관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폭으로 함과 함께 적어도 중간부의 폭을 상기 유리관 단부의 내경보다 좁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서지 업소버의 제조 방법에서는, 판상 애자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방을, 유리관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폭으로 하기 때문에, 판상 애자를 유리관 내에 삽입할 때에 유리관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폭의 단부가 유리관의 단부에 위치 결정됨으로써, 단면적이 작은 얇은 판상 애자라도 캡 전극 부재나 금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높은 위치 정밀도로 자립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직방체 형상의 판상 애자를 수용시킨 유리관을 가열하여 팽출시킬 때, 판상 애자의 측부 전체가 유리관의 내면에 접촉하여 젖어 버려, 유리관이 외측으로 부풀지 않지만, 본 발명의 서지 업소버의 제조 방법에서는, 판상 애자의 적어도 중간부의 폭을 유리관 단부의 내경보다 좁게 설정하기 때문에, 상기 중간부가 유리관의 내면으로부터 이간되어 있음으로써 유리관의 내면에 접촉하지 않아, 유리관의 양호한 팽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구성을 채용하였다. 즉, 본 발명의 서지 업소버는, 유리관과, 그 유리관의 양 단의 개구부를 폐색하여 내부에 방전 가스를 봉지하는 1 쌍의 봉지 전극과, 양 단에 직접 또는 캡 전극을 개재하여 상기 1 쌍의 봉지 전극을 배치하여 상기 유리관 내에 수납된 애자를 구비하고, 상기 애자 또는 상기 캡 전극에, 상기 유리관의 내면에 맞닿음과 함께 상기 유리관의 축 방향의 단면 형상이 볼록상으로 된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서지 업소버의 제조 방법은, 유리관 내에 애자 또는 그 애자의 양 단에 캡 전극을 배치한 것을 수납함과 함께 상기 유리관의 양 단의 개구부를 1 쌍의 봉지 전극으로 폐색하고, 방전 가스를 내부에 봉지하여 조립 상태로 하는 공정과, 상기 조립 상태인 채로 가열하여 상기 유리관을 연화 상태로 함과 함께 상기 유리관의 내압보다 외압을 낮게 하여 연화된 상기 유리관의 중간부를 외측으로 팽출시키는 공정을 갖고, 상기 애자 또는 상기 캡 전극에, 상기 유리관의 내면에 맞닿음과 함께 상기 유리관의 축 방향의 단면 형상이 볼록상으로 된 접촉부를 형성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서지 업소버 및 그 제조 방법에서는, 애자 또는 캡 전극에, 유리관의 내면에 맞닿음과 함께 유리관의 축 방향의 단면 형상이 볼록상으로 된 접촉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접촉부가 유리관의 내면과 점 접촉 또는 선 접촉함과 함께 유리관 내면과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접촉각이 90°미만이 된다. 이로써, 접촉 면적이 작아짐과 함께 열 팽창률 차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의 방향을 크랙이 유리관의 외면에 도달하지 않는 방향으로 제어하여, 서지 내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접촉 면적을 작게 하여 열 팽창률 차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을 저감시켜 크랙의 발생 및 진행을 억제함과 함께, 만일 크랙이 발생해도, 크랙이 유리관의 외면까지 도달하지 않고, 접촉부 부근에서 수속하여 유리관 내면의 일부만이 치핑된 정도로 억제할 수 있어, 유리관의 균열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서지 업소버는, 상기 접촉부가 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서지 업소버에서는, 접촉부가 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부와 유리관의 내면이 점 접촉이 되어, 접촉 면적이 더욱 작아져 열 팽창률 차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을 저하시킬 수 있어, 크랙의 발생 및 진행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서지 업소버는, 상기 애자가 판상 애자로 되어 있음과 함께 양 단부가 상기 유리관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폭으로 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애자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서지 업소버에서는, 애자가 판상 애자로 되어 있음과 함께 양 단부가 유리관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폭으로 되고, 접촉부가 애자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상으로 형성된 접촉부와 유리관 내면의 접촉 면적이 더욱 작아짐과 함께, 가장 팽출되어 높은 응력이 발생하는 유리관의 중간부를 피하여 양 단부에 접촉부가 맞닿음으로써, 크랙의 발생 및 진행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 조립시에 유리관 내에 판상 애자를 삽입하는 경우에도 유리관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폭의 양 단부가 유리관의 양 단부에 위치 결정됨으로써, 단면적이 작은 얇은 판상 애자라도 캡 전극 부재나 금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높은 위치 정밀도로 자립시킬 수 있음과 함께, 원주상의 애자보다 넓은 내부 공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에 관련된 서지 업소버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판상 애자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방이, 유리관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폭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적어도 중간부의 폭이 유리관 단부의 내경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캡 전극 부재나 금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높은 위치 정밀도로 판상 애자가 자립할 수 있음과 함께, 넓은 내부 공간을 얻을 수 있어, 서지 내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판상 애자를 수용시킨 유리관을 가열하여 팽출시킬 때, 판상 애자의 중간부의 폭이 좁아, 유리관의 내면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유리관의 양호한 팽출이 가능해짐과 함께 판상 애자의 표면측의 공간과 이면측의 공간이 연통되어, 넓은 내부 공간이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에 관련된 서지 업소버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애자 또는 캡 전극에, 유리관의 내면에 맞닿는 볼록 곡면 형상의 접촉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접촉 면적을 작게 함과 함께 열 팽창률 차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의 방향을 크랙이 유리관의 외면에 도달하지 않는 방향으로 제어하여 서지 내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서지 업소버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판상 애자를 삽입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가열 팽출 후의 서지 업소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서지 업소버의 비교예 1 에 있어서, 직방체 형상의 판상 애자를 삽입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가열 팽출 후의 서지 업소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서지 업소버의 비교예 2 에 있어서, 원주상 애자를 삽입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가열 팽출 후의 서지 업소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서지 업소버 및 그 제조 방법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열 팽출 전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가열 팽출 후의 서지 업소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유리관의 내면에 있어서의 크랙의 발생을, 종래예의 경우에 대해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 은 유리관의 내면에 있어서의 크랙의 발생을, 제 2 실시형태의 경우에 대해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서지 업소버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열 팽출 전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서지 업소버의 비교예에 있어서, 가열 팽출 전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가열 팽출 후의 서지 업소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서지 업소버의 1 실시형태를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사용하는 각 도면에서는, 각 부재를 인식 가능하거나 또는 인식 용이한 크기로 하기 위해서 축척을 적절히 변경하였다.
본 실시형태의 서지 업소버 (1)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관 (2) 과, 그 유리관 (2) 의 양 단 개구부를 폐색하여 내부에 방전 가스를 봉지하는 1 쌍의 봉지 전극 (3) 과, 양 단에 1 쌍의 봉지 전극 (3) 을 배치하여 유리관 (2) 내에 수납된 판상 애자 (4) 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유리관 (2) 은, 납 유리 등에 의해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봉지 전극 (3) 은, 원주상의 전극부 (5) 와, 그 전극부 (5) 에 일단 (一端) 이 매립된 리드선 (6) 으로 구성된 슬래그 리드이다. 이 봉지 전극 (3) 은, 유리관 (2) 에 전극부 (5) 가 끼워 넣어지고 가열 처리에 의해 융착되어 밀착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유리관 (2) 내에 봉입되는 방전 가스는 불활성 가스 등으로서, 예를 들어 He, Ar, Ne, Xe, Kr, SF6, CO2, C3F8, C2F6, CF4, H2, 대기 등 및 이것들의 혼합 가스가 채용된다.
상기 판상 애자 (4) 는, 알루미나, 멀라이트, 커런덤 멀라이트 등의 세라믹스 재료에 의해 박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판상 애자 (4) 는 알루미나로 형성되어 있다. 이 판상 애자 (4) 의 양 단부 (4a) 는, 유리관 (2)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폭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중간부 (4b) 의 폭이 유리관 (2) 단부의 내경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다. 즉, 판상 애자 (4) 의 중간부 (4b) 가 좁혀져 있다.
또한, 판상 애자 (4) 의 양 단부 (4a) 의 폭은, 유리관 (2) 의 내경과 공차 0.1 ㎜ 의 범위 내에서 동일하게 하여 설정되어 있다. 또, 판상 애자 (4) 의 표리면의 중간부에는, 카본 등의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트리거부 (7) 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서지 업소버 (1) 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1 의 (a) 내지 (c)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전 가스 분위기 중에 있어서, 유리관 (2) 의 하단 개구부에 일방의 봉지 전극 (3) 을 끼워 넣어 폐색한 상태에서, 유리관 (2) 의 상단 개구부로부터 유리관 (2) 내에 판상 애자 (4) 를 삽입하여 수납한다. 이 때, 판상 애자 (4) 의 양 단부 (4a) 가 유리관 (2) 의 내경과 동일한 폭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양 단부 (4a) 가 유리관 (2) 의 내면에 맞닿아 위치 결정되어, 유리관 (2) 내의 중앙에 자립 상태로 수납된다. 또한, 도 1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관 (2) 의 상단 개구부를 타방의 봉지 전극 (3) 으로 폐색하고, 유리관 (2) 의 양 단 개구부를 각각 봉지 전극 (3) 으로 폐색하여 방전 가스를 내부에 봉지하여 조립 상태로 한다.
다음으로, 도 1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조립 상태인 채로 유리관 (2) 의 연화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유리관 (2) 을 연화 상태로 함과 함께, 유리관 (2) 의 내압보다 외압을 낮게 하여 연화된 유리관 (2) 의 중간부 (4b) 를 외측으로 팽출시킨다. 즉, 유리관 (2) 의 외부를 감압함으로써 부압 상태를 만들어 내고, 이 유리관 (2) 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연화 상태의 유리관 (2) 을 반경 방향 외측으로 부푼 상태로 한다. 이 때, 판상 애자 (4) 의 중간부 (4b) 가 좁혀져 있기 때문에, 유리관 (2) 의 내면에 접촉하고 있지 않아, 유리관 (2) 의 팽출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 후, 냉각시킴으로써, 중간부 (4b) 가 팽출된 상태로 경화됨과 함께 봉지 전극 (3) 이 유리관 (2) 의 양 단부에 융착되어 서지 업소버 (1) 가 제작된다.
이 서지 업소버 (1) 에서는,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침입하면, 먼저 판상 애자 (4) 의 트리거부 (7) 와 봉지 전극 (3) 사이에서 트리거 방전이 실시되며, 이 트리거 방전을 계기로, 추가로 방전이 진전되어 1 쌍의 봉지 전극 (3) 사이에서 방전이 실시됨으로써 서지가 흡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서지 업소버 (1) 는, 판상 애자 (4) 의 양 단부 (4a) 가 유리관 (2)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폭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시에 유리관 (2) 내에 판상 애자 (4) 를 삽입하는 경우에도 유리관 (2)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폭의 양 단부 (4a) 가 유리관 (2) 단부에 위치 결정됨으로써, 단면적이 작은 얇은 판상 애자 (4) 라도 캡 전극 부재나 금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높은 위치 정밀도로 자립시킬 수 있음과 함께, 원주상의 애자보다 넓은 내부 공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판상 애자 (4) 의 양 단부 (4a) 가 모두 유리관 (2)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폭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시에 유리관 (2) 내에 판상 애자를 삽입하는 경우에도 판상 애자 (4) 의 상하를 일정하게 하지 않고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작업이 용이해짐과 함께, 자립시의 기울어짐도 억제하여 더욱 높은 위치 정밀도로 조립할 수 있다.
또, 판상 애자 (4) 의 중간부 (4b) 의 폭이 유리관 (2) 단부의 내경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판상 애자 (4) 의 표면측과 이면측의 공간이 중간부 (4b) 의 주변에서 연통됨으로써, 유리관 (2) 내를 완전히 구획하지 않고 보다 넓은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더욱 서지 내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판상 애자 (4) 의 중간부 (4b) 의 폭을 유리관 (2) 단부의 내경보다 좁게 설정하기 때문에, 상기 중간부 (4b) 가 유리관 (2) 의 내면으로부터 이간되어 있음으로써 유리관 (2) 의 내면에 접촉하지 않아, 유리관 (2) 의 양호한 팽출이 가능해진다.
또, 판상 애자 (4) 의 표리면의 중간부에,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트리거부 (7)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트리거부 (7) 를 개재하여 트리거 방전 (코로나 방전) 이 발생함으로써, 높은 응답성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서지 업소버를, 상기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실제로 제작한 실시예에 의해 평가한 결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의 서지 업소버 (1) 로서, 판상 애자 (4) 를 최대폭 2.5 ㎜ (양 단부의 폭), 최소폭 1 ㎜ (중간부의 폭), 두께 0.5 ㎜, 길이 3 ㎜ 로 한 치수로 알루미나에 의해 제작하고, 내경 2.5 ㎜ 의 유리관 (2) 에 봉입한 것을 실시예 1 로서 제작하여, 서지 내량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또, 비교예 1 의 서지 업소버 (21) 로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방체 형상의 판상 애자 (24) 를 폭 2.5 ㎜, 두께 0.5 ㎜, 길이 3 ㎜ 로 한 치수로 알루미나에 의해 제작하고, 동일하게 내경 2.5 ㎜ 의 유리관 (2) 에 봉입한 것을 제작하여, 서지 내량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비교예 1 의 서지 업소버 (21) 에서는, 도 2 의 (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 애자 (24) 를 유리관 (2) 내에 삽입하여 수용했을 때, 판상 애자 (24) 의 측부 전체가 유리관 (2) 의 내면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도 2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 처리에 의해 팽출시켰을 때에 판상 애자 (24) 와 유리관 (2) 이 접착되어 유리관 (2) 의 일부가 부풀지 않은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비교예 2 의 서지 업소버 (31) 로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주상 애자 (34) 를 직경 1.6 ㎜, 길이 3 ㎜ 로 한 치수로 알루미나에 의해 제작하고, 동일하게 내경 2.5 ㎜ 의 유리관 (2) 에 봉입한 것을 제작하여, 서지 내량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비교예 2 의 서지 업소버 (31) 에서는, 도 3 의 (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된 원주상 애자 (34) 의 위치가 어긋나게 봉입되어, 원주상 애자 (34) 의 측부 전체가 유리관 (2) 의 내면에 접촉하고 있었기 때문에, 도 3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 처리에 의해 팽출시켰을 때에 원주상 애자 (34) 와 유리관 (2) 이 접착되어 유리관 (2) 의 일부가 부풀지 않은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서지 내량의 측정 조건은, 8/20 ㎲ 파형의 임펄스 전류를 3 회 인가하여, 파괴되지 않은 최대의 전류치를 서지 내량으로 하였다. 이들 측정한 결과를 이하의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이들 평가의 결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 에서는, 서지 내량이 2200 A 인 것에 대해, 실시예 1 의 서지 내량은 3400 A 로서, 보다 높은 서지 내량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1 에서는, 유리관 (2) 이 양호하게 팽출되어 있음과 함께 중간부 (4b) 가 좁혀진 판상 애자 (4) 에 의해 충분한 내부 공간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넓은 방전 공간과 방전 가스의 용량에 의해 높은 서지 내량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판상 애자의 양 단부를 유리관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폭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판상 애자의 양 단부의 일방만을, 유리관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폭으로 해도 상관없다.
(제 2 및 제 3 실시형태) 또한, 이하에, 본 발명에 관련된 서지 업소버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4 내지 도 6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사용하는 각 도면에서는, 각 부재를 인식 가능하거나 또는 인식 용이한 크기로 하기 위해서 축척을 적절히 변경하였다.
본 실시형태의 서지 업소버 (101)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관 (102) 과, 그 유리관 (102) 의 양 단 개구부를 폐색하여 내부에 방전 가스를 봉지하는 1 쌍의 봉지 전극 (103) 과, 양 단에 1 쌍의 봉지 전극 (103) 을 배치하여 유리관 (102) 내에 수납된 판상 애자 (104) 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유리관 (102) 은, 납 유리 등에 의해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봉지 전극 (103) 은, 원주상의 전극부 (105) 와, 그 전극부 (105) 에 일단이 매립된 리드선 (106) 으로 구성된 슬래그 리드이다. 이 봉지 전극 (103) 은, 유리관 (102) 에 전극부 (105) 가 끼워 넣어지고 가열 처리에 의해 융착되어 밀착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유리관 (102) 내에 봉입되는 방전 가스는 불활성 가스 등으로서, 예를 들어 He, Ar, Ne, Xe, Kr, SF6, CO2, C3F8, C2F6, CF4, H2, 대기 등 및 이것들의 혼합 가스가 채용된다.
상기 판상 애자 (104) 는, 알루미나, 멀라이트, 커런덤 멀라이트 등의 세라믹스 재료에 의해 박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판상 애자 (104) 는 알루미나로 형성되어 있다. 이 판상 애자 (104) 의 양 단부 (104a) 는, 유리관 (102)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폭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중간부 (104b) 의 폭이 유리관 (102) 단부의 내경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다. 즉, 판상 애자 (104) 의 중간부 (104b) 가 좁혀져 있다. 또한, 판상 애자 (104) 의 양 단부 (104a) 의 폭은, 유리관 (102) 의 내경과 공차 0.1 ㎜ 의 범위 내에서 동일하게 하여 설정되어 있다.
또, 판상 애자 (104) 의 양 단부 (104a) 에는, 유리관 (102) 의 내면에 맞닿음과 함께 유리관 (102) 의 축 방향의 단면 형상이 볼록상으로 된 접촉부 (104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부 (104c) 는, 접촉면이 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판상 애자 (104) 의 표리면의 중간부에는, 카본 등의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트리거부 (107)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트리거부 (107) 는 필요에 따라 형성된다.
다음으로, 이 서지 업소버 (101) 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4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방전 가스 분위기 중에 있어서, 유리관 (102) 의 하단 개구부에 일방의 봉지 전극 (103) 을 끼워 넣어 폐색한 상태로, 유리관 (102) 의 상단 개구부로부터 유리관 (102) 내에 판상 애자 (104) 를 삽입하여 수납한다. 이 때, 판상 애자 (104) 의 양 단부 (104a) 가 유리관 (102) 의 내경과 동일한 폭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양 단부 (104a) 가 유리관 (102) 의 내면에 맞닿아 위치 결정되어, 유리관 (102) 내의 중앙에 자립 상태로 수납된다. 또한, 도 4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관 (102) 의 상단 개구부를 타방의 봉지 전극 (103) 으로 폐색하고, 유리관 (102) 의 양 단 개구부를 각각 봉지 전극 (103) 으로 폐색하여 방전 가스를 내부에 봉지하여 조립 상태로 한다.
다음으로, 도 4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조립 상태인 채로 유리관 (102) 의 연화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유리관 (102) 을 연화 상태로 함과 함께 유리관 (102) 의 내압보다 외압을 낮게 하여 연화된 유리관 (102) 의 중간부 (104b) 를 외측으로 팽출시킨다. 즉, 유리관 (102) 의 외부를 감압함으로써 부압 상태를 만들어 내고, 이 유리관 (102) 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연화 상태의 유리관 (102) 을 반경 외측으로 부푼 상태로 한다.
이 때, 예를 들어, 도 5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관 (102) 의 내면에 맞닿는 애자의 접촉부 (114c) 가 유리관 (102) 의 내면에 면 접촉하는 대략 평탄면으로서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접촉각 θ 가 90 도 이상으로 큰 경우, 도 5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화 상태의 유리관 (102) 의 내면에 접촉부 (114c) 가 접착되면, 열 팽창률 차에 의한 응력에 의해 유리관 (102) 의 내면에 크랙 (C) 이 발생한다. 이 때 발생한 크랙 (C) 은, 유리관 (102) 의 반경 외방을 향하여 크게 기울어져 형성된다. 또한, 도 5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관 (102) 을 부풀리면 크랙 (C) 이 유리관 (102) 의 외면까지 도달하여 유리관 (102) 이 깨져 버린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관 (102) 의 내면에 맞닿는 판상 애자 (104) 의 접촉부 (104c) 가 유리관 (102) 의 내면에 점 접촉하는 볼록상면으로서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접촉각 θ 가 90 도 미만의 작은 경우, 도 6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화 상태의 유리관 (102) 의 내면에 접촉부 (104c) 가 접착되면, 열 팽창률 차에 의한 응력에 의해 유리관 (102) 의 내면에 크랙 (C) 이 발생한다. 이 때 발생한 크랙 (C) 은, 유리관 (102) 의 축 방향을 향하여 크게 기울어져 형성된다. 또한, 도 6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관 (102) 을 부풀리면 크랙 (C) 이 유리관 (102) 의 내면측에서 수속되고, 내면의 일부가 접촉부 (104c) 에 접착되어 박리될 뿐 크랙 (C) 이 외면까지 도달하지 않아, 유리관 (102) 은 깨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팽출 공정시, 판상 애자 (104) 의 중간부 (104b) 가 좁혀져 있기 때문에, 중간부 (104b) 가 유리관 (102) 의 내면에 접촉되어 있지 않아, 유리관 (102) 의 팽출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 후, 냉각시킴으로써, 중간부 (104b) 가 팽출된 상태로 경화됨과 함께 봉지 전극 (103) 이 유리관 (102) 의 양 단부에 융착되어 서지 업소버 (101) 가 제작된다.
이 서지 업소버 (101) 에서는,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침입하면, 먼저 판상 애자 (104) 의 트리거부 (107) 와 봉지 전극 (103) 사이에서 트리거 방전이 실시되며, 이 트리거 방전을 계기로, 더욱 방전이 진전되어 1 쌍의 봉지 전극 (103) 사이에서 방전이 실시됨으로써 서지가 흡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서지 업소버 (101) 및 그 제조 방법에서는, 판상 애자 (104) 에, 유리관 (102) 의 내면에 맞닿음과 함께 유리관 (102) 의 축 방향의 단면 형상이 볼록상으로 된 접촉부 (104c) 가 형성되기 때문에, 접촉부 (104c) 가 유리관 (102) 의 내면과 점 접촉 또는 선 접촉함과 함께 유리관 (102) 내면과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접촉각 θ 가 90°미만이 된다. 이로써, 접촉 면적이 작아짐과 함께 열 팽창률 차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의 방향을 크랙 (C) 이 유리관 (102) 의 외면에 도달하지 않는 방향으로 제어하여, 서지 내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접촉 면적을 작게 하여 열 팽창률 차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을 저감시켜 크랙 (C) 의 발생 및 진행을 억제함과 함께, 만일 크랙 (C) 이 발생해도, 크랙 (C) 이 유리관 (102) 의 외면까지 도달하지 않고, 접촉부 (104c) 부근에서 수속되어 유리관 (102) 내면의 일부만이 치핑된 정도로 억제할 수 있어, 유리관 (102) 의 균열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접촉부 (104c) 가 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부 (104c) 와 유리관 (102) 의 내면이 점 접촉으로 되어, 접촉 면적이 더욱 작아져 열 팽창률 차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을 저하시킬 수 있어, 크랙 (C) 의 발생 및 진행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 판상 애자 (104) 로 되어 있음과 함께 양 단부 (104a) 가 유리관 (102)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폭으로 되고, 접촉부 (104c) 가 판상 애자 (104) 의 양 단부 (104a) 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상으로 형성된 접촉부 (104c) 와 유리관 (102) 내면의 접촉 면적이 더욱 작아짐과 함께, 가장 팽출되어 높은 응력이 발생하는 유리관 (102) 의 중간부를 피하여 양 단부에 접촉부 (104c) 가 맞닿음으로써, 크랙 (C) 의 발생 및 진행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 조립시에 유리관 (102) 내에 판상 애자 (104) 를 삽입하는 경우에도 유리관 (102)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폭의 양 단부 (104a) 가 유리관 (102) 의 양 단부에 위치 결정됨으로써, 단면적이 작은 얇은 판상 애자 (104) 라도 캡 전극 부재나 금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높은 위치 정밀도로 자립시킬 수 있음과 함께, 원주상의 애자보다 넓은 내부 공간을 얻을 수 있다.
또, 판상 애자 (104) 의 중간부 (104b) 의 폭이 유리관 (102) 단부의 내경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판상 애자 (104) 의 표면측과 이면측의 공간이 중간부 (104b) 의 주변에서 연통됨으로써, 유리관 (102) 내를 완전히 구획하지 않고 보다 넓은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더욱 서지 내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판상 애자 (104) 의 중간부 (104b) 의 폭을 유리관 (102) 단부의 내경보다 좁게 설정하기 때문에, 상기 중간부 (104b) 가 유리관 (102) 의 내면으로부터 이간되어 있음으로써 유리관 (102) 의 내면에 접촉하지 않아, 유리관 (102) 의 양호한 팽출이 가능해진다.
또, 판상 애자 (104) 의 표리면의 중간부에,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트리거부 (107)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트리거부 (107) 를 개재하여 트리거 방전 (코로나 방전) 이 발생함으로써, 높은 응답성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서지 업소버 및 그 제조 방법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도 7 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실시형태와 제 2 실시형태의 상이한 점은,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애자로서 판상 애자 (104) 를 유리관 (102) 내에 수용하고 있는 것에 대해, 제 3 실시형태의 서지 업소버 (121) 에서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단에 1 쌍의 캡 전극 (129) 을 배치한 원주상 애자 (124) 를 1 쌍의 봉지 전극 (103) 사이에 배치하여 봉지한 마이크로 갭식의 서지 업소버이고, 캡 전극 (129) 의 외주면에 접촉부 (104c) 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즉,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캡 전극 (129) 이, 외주면이 팽출된 대략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캡 전극 (129) 의 외주면에 유리관 (102) 의 내면에 맞닿음과 함께 유리관 (102) 의 축 방향의 단면 형상이 원호상의 볼록상으로 된 접촉부 (129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원주상 애자 (124) 의 외주면에는, TiN 등의 도전성 피막 (124a) 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방전 갭으로서 마이크로 갭 (124b) 이 복수 개 형성되어 도전성 피막 (124a) 이 분할되어 있다.
이 제 3 실시형태의 서지 업소버 (121) 에서도, 캡 전극 (129) 에, 유리관 (102) 의 내면에 맞닿음과 함께 유리관 (102) 의 축 방향의 단면 형상이 볼록상으로 된 접촉부 (129a) 가 형성되기 때문에, 접촉부 (129a) 가 유리관 (102) 의 내면과 선 접촉함과 함께 유리관 (102) 내면과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접촉각 θ 가 90°미만이 됨으로써, 접촉 면적을 작게 함과 함께 열 팽창률 차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의 방향을 크랙이 유리관 (102) 의 외면에 도달하지 않는 방향으로 제어하여 서지 내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서지 업소버를, 상기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실제로 제작한 실시예에 의해 평가한 결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서지 업소버 (101) 로서, 판상 애자 (104) 로서 최대폭 2.5 ㎜ (양 단부의 폭), 최소폭 1 ㎜ (중간부의 폭), 두께 0.5 ㎜, 길이 3 ㎜ 로 한 치수로 하고, 또한 접촉부 (104c) 가 구면 형상으로 된 것을 알루미나에 의해 제작하고, 내경 2.5 ㎜ 의 유리관 (102) 에 봉입한 것을 실시예로서 제작하여, 서지 내량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또, 비교예의 서지 업소버 (131) 로서,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 애자 (134) 로서 폭 2.5 ㎜, 두께 0.5 ㎜, 길이 3 ㎜ 로 한 치수로 하고, 또한 접촉부 (134c) 가 각형 (角型) 이고 대략 평탄면 형상으로 된 것을 알루미나에 의해 제작하고, 동일하게 내경 2.5 ㎜ 의 유리관 (102) 에 봉입한 것을 제작하여, 서지 내량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서지 내량의 측정 조건은, 8/20 ㎲ 파형의 임펄스 전류를 3 회 인가 하여, 파괴되지 않은 최대의 전류치를 서지 내량으로 하였다. 이들 측정한 결과를 이하의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이들 평가의 결과, 비교예에서는, 서지 내량이 2800 A 인 것에 대해, 실시예의 서지 내량은 3400 A 로서, 보다 높은 서지 내량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접촉부 (134c) 가 볼록 형상으로서 유리관 (102) 의 내면에 점 접촉함과 함께 유리관 (102) 내면과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접촉각 θ 가 90°미만이 됨으로써, 접촉 면적이 작아짐과 함께 크랙의 진행 방향을 제어할 수 있어, 서지 내량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1, 21, 31, 101, 121, 131 : 서지 업소버
2, 102 : 유리관
3, 103 : 봉지 전극
4, 24, 104, 134 : 판상 애자
4a, 104a : 판상 애자의 양 단부
4b, 104b : 판상 애자의 중간부
104c, 114c, 129a, 134c : 접촉부
7, 107 : 트리거부
124 : 원주상 애자
129 : 캡 전극

Claims (9)

  1. 유리관과, 그 유리관의 양 단의 개구부를 폐색하여 내부에 방전 가스를 봉지하는 1 쌍의 봉지 전극과, 양 단에 상기 1 쌍의 봉지 전극을 배치하여 상기 유리관 내에 수납된 판상 애자를 구비하고, 상기 판상 애자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방이, 상기 유리관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폭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적어도 중간부의 폭이 상기 유리관 단부의 내경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업소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애자의 양 단부가 상기 유리관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폭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업소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애자의 표리면의 적어도 일방의 중간부에,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트리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업소버.
  4. 유리관 내에 판상 애자를 수납함과 함께 상기 유리관의 양 단의 개구부를 1 쌍의 봉지 전극으로 폐색하고, 방전 가스를 내부에 봉지하여 조립 상태로 하는 공정과, 상기 조립 상태인 채 가열하여 상기 유리관을 연화 상태로 함과 함께 상기 유리관의 내압보다 외압을 낮게 하여 연화된 상기 유리관의 중간부를 외측으로 팽출시키는 공정을 갖고, 상기 판상 애자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방을, 상기 유리관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폭으로 함과 함께 적어도 중간부의 폭을 상기 유리관 단부의 내경보다 좁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업소버의 제조 방법.
  5. 유리관과, 그 유리관의 양 단의 개구부를 폐색하여 내부에 방전 가스를 봉지하는 1 쌍의 봉지 전극과, 양 단에 직접 또는 캡 전극을 개재하여 상기 1 쌍의 봉지 전극을 배치하여 상기 유리관 내에 수납된 애자를 구비하고, 상기 애자 또는 상기 캡 전극에, 상기 유리관의 내면에 맞닿음과 함께 상기 유리관의 축 방향의 단면 형상이 볼록상으로 된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업소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가 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업소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애자가 판상 애자로 되어 있음과 함께 양 단부가 상기 유리관 단부의 내경과 동일한 폭으로 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애자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업소버.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애자가 판상 애자로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판상 애자의 표리면의 적어도 일방의 중간부에,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트리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업소버.
  9. 유리관 내에 애자 또는 그 애자의 양 단에 캡 전극을 배치한 것을 수납함과 함께 상기 유리관의 양 단의 개구부를 1 쌍의 봉지 전극으로 폐색하고, 방전 가스를 내부에 봉지하여 조립 상태로 하는 공정과, 상기 조립 상태인 채로 가열하여 상기 유리관을 연화 상태로 함과 함께 상기 유리관의 내압보다 외압을 낮게 하여 연화된 상기 유리관의 중간부를 외측으로 팽출시키는 공정을 갖고, 상기 애자 또는 상기 캡 전극에, 상기 유리관의 내면에 맞닿음과 함께 상기 유리관의 축 방향의 단면 형상이 볼록상으로 된 접촉부를 형성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업소버의 제조 방법.
KR1020137003263A 2010-08-10 2010-08-10 서지 업소버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947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05018 WO2012020448A1 (ja) 2010-08-10 2010-08-10 サージアブソーバ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791A true KR20130094791A (ko) 2013-08-26

Family

ID=45567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263A KR20130094791A (ko) 2010-08-10 2010-08-10 서지 업소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194711A1 (ko)
EP (1) EP2605347A1 (ko)
KR (1) KR20130094791A (ko)
CN (1) CN103069671A (ko)
WO (1) WO201202044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8106A (ja) * 1986-05-16 1987-11-2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円筒型サ−ジ吸収素子
JPS63121285A (ja) * 1986-11-08 1988-05-25 三菱鉱業セメント株式会社 サ−ジ吸収素子の製法
DE4390682T1 (de) * 1992-02-27 1994-04-28 Mitsubishi Materials Corp Verschlußelektrode und deren Verwendung in einem Überspannungsschutz
JPH076853A (ja) * 1993-04-03 1995-01-10 Patent Puromooto Center:Kk ギャップ放電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606885Y2 (ja) * 1993-08-02 2001-01-29 株式会社コンド電機 サージ吸収素子
JPH09171881A (ja) * 1995-12-21 1997-06-30 Kondo Denki:Kk ガラス管内封入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339924A (ja) * 1998-05-22 1999-12-10 Kondo Denki:Kk サージ吸収素子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るサージ吸収素子
JP2001135455A (ja) * 1999-11-09 2001-05-18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サージアブソーバ
US6606230B2 (en) * 2000-06-30 2003-08-12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Chip-type surge absorb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3439746B2 (ja) * 2001-03-12 2003-08-25 株式会社コンド電機 面実装型サージ吸収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82216A (ja) 2002-03-26 2003-10-03 Mitsubishi Materials Corp サージアブソーバ
JP2006032090A (ja) * 2004-07-15 2006-02-02 Mitsubishi Materials Corp サージアブソーバ
JP5003889B2 (ja) * 2007-08-31 2012-08-1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サージアブソーバ
JP5003888B2 (ja) * 2007-08-31 2012-08-1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サージアブソ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69671A (zh) 2013-04-24
US20130194711A1 (en) 2013-08-01
WO2012020448A1 (ja) 2012-02-16
EP2605347A1 (en)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5011B2 (ja) サージアブソーバ及びその製造方法
JP5003888B2 (ja) サージアブソーバ
KR20130094791A (ko) 서지 업소버 및 그 제조 방법
TW498584B (en) Surge absor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316020B2 (ja) サージアブソーバ
JP6044379B2 (ja) サージアブソーバ
JP2010192322A (ja) サージアブソーバ及びその製造方法
JP6094882B2 (ja) サージアブソーバ
JP7459767B2 (ja) サージ防護素子
KR200405295Y1 (ko) 칩형 써지 어레스터
JP5003889B2 (ja) サージアブソーバ
JP3102776U (ja) サージ吸収素子
TW201210160A (en) Surge absorb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20181719A (ja) サージ防護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6668720B2 (ja) サージ防護素子
JP2023119198A (ja) サージ防護素子
JP2006228634A (ja) サージアブソーバおよび電源コード
JP4238470B2 (ja) サージアブソー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181720A (ja) サージ防護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242358A (zh) 一种可分离式避雷器及其制造方法
JP4200651B2 (ja) サージアブソーバ及びその製造方法
JP6562269B2 (ja) サージ防護素子
JP2020087715A (ja) サージ防護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6167681B2 (ja) サージアブソーバ
JP2010231909A (ja) 過電圧保護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