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375A -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375A
KR20130094375A KR1020120014861A KR20120014861A KR20130094375A KR 20130094375 A KR20130094375 A KR 20130094375A KR 1020120014861 A KR1020120014861 A KR 1020120014861A KR 20120014861 A KR20120014861 A KR 20120014861A KR 20130094375 A KR20130094375 A KR 20130094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bed
transfer
unit
conveyor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8614B1 (ko
Inventor
민영봉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14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614B1/ko
Publication of KR20130094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에 발아실로부터 배출된 육묘베드를 탑재하여 상기 육묘베드를 운반하는 탑재부; 상기 탑재부의 하부에서 상기 탑재부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일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아실로부터 반출된 상기 육묘베드를 상기 탑재부 상으로 끌어당겨 반입시키는 반입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타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탑재부의 육묘베드를 녹화실로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컨베이어부를 하부에서 고정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는, 발아실과 녹화실이 서로 병렬로 배치되더라도 육묘베드를 직각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협소한 육묘공장 내에서도 발아실과 녹화실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여 비용이 절감되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더욱이, 육묘상자가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송되어 생산량 증대 및 인원 감축에 따른 유지비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Transfer and discharging apparatus for seedling bed}
본 발명은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아실에서 발아되어 반출된 육묘베드를 원활하게 이송하여 녹화실로 배출하는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묘공장이란 각종 재배작물의 육묘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시설로서 비닐온실 또는 유리온실 등이 있다.
위와 같이 육묘공장에는, 내부가 대부분 육묘상자를 올려놓을 수 있는 육묘베드가 정열 되어 있는 육묘실, 파종실, 발아실 및 녹화실 등이 단계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육묘공장 내부의 크기가 협소한 경우, 상기 육묘실, 파종실, 발아실 및 녹화실 등을 직렬로 배치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정들을 병렬로 배치하고, 각 공정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육묘베드가 각 공정을 따라 단계적으로 이송되도록 이송장치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육묘베드가 각 공정에 설치된 이송레일을 타고 이송되며, 다음공정으로 이송시, 이송레일의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이송된다.
특히, 종래 기술의 문헌 "제20-2148045호"에는 횡 방향으로 위치한 농작물이송장치를 회전시키고, 손잡이를 온실내부의 종 방향으로 설치된 궤도레일과 연결 지지봉에 의해 연결시킨 후 하부면에 설치된 롤러를 이용하여 농작물이송장치에 이동시켜 안착시킨 후 상기 손잡이를 잡고 다시 회전시켜 횡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농작물 이송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농작물 이송장치"는, 사용자가 매번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킨 후 들어 올려야 하므로, 사용자는 피로도가 증대되어 작업효율이 저하되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육묘베드를 원활하게 이송하며, 특히 녹화실로 배출시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배출이 가능하여 공간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부에 발아실로부터 배출된 육묘베드를 탑재하여 상기 육묘베드를 운반하는 탑재부; 상기 탑재부의 하부에서 상기 탑재부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일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아실로부터 반출된 상기 육묘베드를 상기 탑재부 상으로 끌어당겨 반입시키는 반입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타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탑재부의 육묘베드를 녹화실로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컨베이어부를 하부에서 고정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탑재부는, 상기 육묘베드 하부에 구비된 한 쌍의 육묘베드 로울러에 대응하여 각각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이송레일과, 상기 제1이송레일을 고정 지지하고, 상기 컨베이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1이송레일의 각 단부에 서로 고정 결합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부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이송프레임을 이송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이송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일단이 상기 이송프레임에 고정 결합하여 상기 이송프레임을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재부는 상기 이송프레임의 하부 양 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이송레일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 로울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입부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와, 상기 동력제공부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체인과, 상기 이송체인에 결합되어 상기 발아실에서 배출된 상기 육묘베드를 걸림 동작에 의해 상기 탑재부의 상부로 이송되도록 상기 이송체인과 함께 회전하는 이송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일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육묘베드를 녹화실로 배출되도록 밀어주는 푸셔와, 상기 푸셔를 이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재부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반입부에 의해 상기 탑재부에 반입되는 육묘베드의 이송을 제어하는 제1리밋스위치; 및
상기 프레임부의 양 측에 설치되며, 상기 탑재부의 이송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2리밋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는, 발아실과 녹화실이 서로 병렬로 배치되더라도 육묘베드를 직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협소한 육묘공장 내에서도 발아실과 녹화실 등의 연결이 가능하여 공간이용 효율이 향상되고 비용이 절감되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더욱이, 육묘상자가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송되어 생산량 증대 및 인원 감축에 따른 유지비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10)는, 탑재부(100)와, 컨베이어부(200)와, 반입부(300)와, 배출부(400)와, 프레임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탑재부(100)는, 한 쌍의 제1이송레일(110)과, 이송프레임(120)과, 한 쌍의 지지프레임(130)을 포함한다. 이러한 탑재부(100)는, 발아실로부터 반출된 육묘베드(1)를 상부로 탑재하여 녹화실로 배출되도록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한 쌍의 제1이송레일(110)은, 상기 육묘베드(1)의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육묘베드 로울러(1a)에 대응하여 후술(後術)할 이송프레임(120)의 양측에 각각 이격 배치된다. 특히, 상기 한 쌍의 제1이송레일(110)은, 그 단면이 상기 육묘베드 로울러(1a)의 단면과 대응하도록 "??"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육묘베드(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이송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일 뿐, 상기 육묘베드 로울러(1a)가 상기 육묘베드(1)를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면 그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육묘베드(1)는, 상부로 육묘상자(미도시)를 상부로 안착하여 이송하는 운송수단으로서, 직육면체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의 전, 후방에 한 쌍의 로울러(1a)가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각 로울러(1a)의 단면은 상기 한 쌍의 제1이송레일(110)에 대응하여 가운데의 직경이 양 측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육묘베드(1)는, 상기 제1이송레일(110)상에 이송시 안정적으로 이송된다.
상기 이송프레임(120)은, 상기 제1이송레일(110)을 하부를 각각 지지하며, 후술할 컨베이어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가능하게 설치된다. 부연하면, 상기 이송프레임(12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양 측이 상기 제1이송레일(110)의 하단 가운데 부분을 각각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프레임(120)의 하부 가운데에는, 결합부(12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21)는, 후술할 컨베이어부(200)의 삽입부(221)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21)는, 이러한 삽입부(221)에 삽입되어 상기 이송프레임(120)을 이송시킨다.
한편, 상기 탑재부(100)의 일 측에는 걸림브라켓(111)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브라켓(111)은, 후술할 프레임부(500)의 양 측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제2리밋스위치(700)에 걸림 되어, 상기 탑재부(100)의 이송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부연하면, 상기 걸림브라켓(111)은, 상기 탑재부(100)의 제1이송레일(110)의 내측에서 상기 탑재부(100)와 연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탑재부(100)가 후술할 컨베이어부(200)상에 이송시 후술할 프레임부(500)의 양 측에 각각 설치된 제2리밋스위치(700)에 걸림 되도록 대응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탑재부(100)는 후술할 반입부(300)와 배출부(400) 사이에서 이동시 복수의 제2리밋스위치(700)에 걸림 되어 이송이 제한된다.
또한, 상기 탑재부(100)의 일 측에는 제1리밋스위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리밋스위치(600)는, 상기 발아실에서 반출된 상기 육묘베드(1)의 이송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부연하면, 상기 제1리밋스위치(600)는 상기 탑재부(100)의 제1이송레일(110)의 외측에 설치된다. 특히, 상기 발아실에서 이송된 육묘베드(1)의 전방 일 단에 대응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발아실에서 이송된 상기 육묘베드(1)의 전방 일단이 상기 제1리밋스위치(600)에 접촉될 경우 후술할 반입부(300)의 구동은 제한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30)은, 상기 한 쌍의 제1이송레일(110)의 각 단부를 서로 고정 결합하며, 상기 제1이송레일(110)과 함께 연동된다. 부연하면, 상기 지지프레임(130)은, 상기 제1이송레일(110)과 직각방향으로 상기 제1이송레일(110)을 이송 가능하게 지지한다. 특히, 상기 지지프레임(130)의 각 양단에는 처짐방지로울러(131)가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처짐방지로울러(131)는, 상기 발아실로부터 이송된 상기 육묘베드(1)가 상기 탑재부(100)의 상부로 이송되면, 상기 육묘베드(1)의의 전방 양측 및 후방 양측을 각각 상방으로 지지한다. 이러한 처짐방지로울러(131)는, 상기 육묘베드(1)의 각 모서리가 하중에 의해 하부로 처짐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130)의 일 측에는 이송제한 브라켓(132)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제한 브라켓(132)은, 상기 지지프레임(130)의 일 측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발아실로부터 반출된 상기 육묘베드(1)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탑재부(100)는, 이송 로울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로울러(140)는, 상기 탑재부(100)의 하부 양 측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후술할 컨베이어부(200)의 제2이송레일(230)에 대응하여 각각 이격 설치된다. 특히, 상기 이송 로울러(140)의 형상은 상기 육묘베드 로울러(1a)와 동일 형성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이송 로울러(140)는, 상기 탑재부(100)가 후술할 컨베이어부(200)의 제2이송레일(230)상에 이송될 때, 안정적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컨베이어부(200)는, 구동부(210)와, 컨베이어 벨트(220)와, 제2이송레일(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210)는, 후술할 프레임부(500)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를 이송가능하게 연결한다. 이러한 구동부(21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에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는, 상기 구동부(2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프레임(120)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 가능하도록 고정 결합한다. 부연하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의 일단에는 상기 이송프레임(120)의 하부에 결합된 상기 결합부(121)에 대응하여 삽입부(221)가 이송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221)는, 상기 결합부(121)를 삽입 고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프레임(120)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상에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와 함께 연동된다.
상기 제2이송레일(230)은, 상기 탑재부(100)의 이송 로울러(140)에 대응하여 후술할 프레임부(500)의 상부에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제2이송레일(230)은, 상기 탑재부(110)를 안정적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부연하면, 상기 제2이송레일(230)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며, 후술할 프레임부(500)의 상부에 고정 결합된다. 특히, 상기 제2이송레일(230)의 단면은, 상기 제1이송레일(110)과 동일한 단면을 가지며, 상기 이송 로울러(140)를 이송가능하게 가이드 한다.
상기 반입부(300)는, 동력제공부(310)와, 이송체인(320)과, 이송브라켓(3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제공부(310)는, 후술할 프레임부(500)의 일 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후술할 이송체인(320)을 이송 가능하게 연결 하며,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동력제공부(310)는 이송체인(320)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정속 구동모터(310)일 수 있다. 이러한 정속 구동모터(310)는, 동력에 의해 이송체인(320)을 회전시킨다.
상기 이송체인(320)은 상기 동력제공부(310)에 이송가능하게 연결된다. 게다가 후술할 이송브라켓(330)을 이송가능하게 고정결합 한다.
상기 이송브라켓(330)은, 상기 이송체인(32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체인(320)을 따라 회전하며, 상기 발아실에서 반출된 상기 육묘베드(1)를 걸림 시켜 상기 탑재부(100)의 상부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배출부(400)는, 푸셔(410)와, 플레이트(4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출부(400)는, 상기 컨베이어부(200)의 일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탑재부(100)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컨베이어부(200)에 의해 이송된 상기 육묘베드(1)를 녹화실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부연하면, 상기 푸셔(410)는, 후술할 플레이트(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플레이트(420)의 일 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육묘베드(1)를 유압에 의해 밀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푸셔(410)는, 상기 육묘베드(1)의 단부 측면을 밀어줌으로서, 상기 육묘베드(1)를 상기 녹화실로 배출시킨다.
상기 플레이트(420)는, 상기 푸셔(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푸셔(410)를 이동 가능하게 고정한다. 특히 상기 플레이트(420)는, ㄴ"자 절곡되어 상부 내측이 상기 푸셔(410)를 이동가능하게 고정 결합하고, 하부가 상기 프레임부(500)의 일단에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부(500)는, 상기 컨베이어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부(200)와, 반입부(300)와, 배출부(400)를 각각 지지한다. 이러한 프레임부(500)는, 상기 컨베이어부(200)와, 반입부(300)와, 배출부(400)를 지면에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부(500)의 양측에는 복수의 제2리밋스위치(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제2리밋스위치(700)는, 상기 탑재부(100)의 이송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부연하면, 상기 복수의 제2리밋스위치(700)는, 상기 반입부(300)에 인접한 상기 프레임(500)의 일 측 및 상기 배출부(400)에 인접한 상기 프레임(500)의 타 측에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2리밋스위치(700)는, 상기 탑재부(100)의 하부에 설치된 걸림브라켓(111)에 대응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탑재부(100)가 상기 반입부(300) 또는 상기 배출부(400)부 상으로 이송되도록 이송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발아실로부터 발아된 육묘상자를 안착한 상기 육묘베드(1)가 반출된다. 그러면, 상기 육묘베드(1)는, 상기 탑재부(100)에 설치된 상기 제1이송레일(110) 상에 이송된다. 그러면, 상기 프레임부(500)의 일 측에 설치된 반입부(300)의 구동부(310)가 동작된다. 그러면 상기 구동부(310)에 연결된 상기 이송체인(320)이 회전되고, 상기 이송체인(320)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된 이송브라켓(330)이 상기 육묘베드(1)를 잡아당긴다. 그러면 상기 육묘베드(1)는 상기 탑재부(100)상으로 반입된다. 이때, 상기 육묘베드(1)는, 전방 일 측이 상기 제1리밋스위치(600)에 접촉되어, 상기 제1리밋스위치(600)가 상기 육묘베드(1)의 이송을 정지시킨다.
이후, 상기 컨베이어부(200)의 구동부(210)가 구동된다. 그러면 상기 구동부(210)에 연결 설치된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는 회전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 상에 이송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탑재부(100)가 상기 컨베이어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육묘베드(1)를 탑재한 상기 탑재부(100)는 상기 배출부(400)로 이송된다.
이후, 상기 배출부(400)로 이송된 상기 탑재부(100)는, 상기 탑재부(100)의 일 측에 구비된 걸림브라켓(111)에 의해 상기 배출부(400)에 인접한 상기 제2리밋스위치(700)에 걸림 되어 이송이 정지된다. 그러면, 상기 배출부(400)의 푸셔(410)는, 상기 탑재부(10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육묘베드(1)의 후방 일 측면을 상기 녹화실의 내측으로 밀어 준다. 그러면 상기 육묘베드(1)는 상기 배출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되어 상기 녹화실로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10)는, 발아실과 녹화실이 서로 병렬로 배치되더라도 육묘베드를 직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협소한 육묘공장 내에서도 발아실과 녹화실 등의 연결이 가능하여 공간이용 효율이 향상되고 비용이 절감되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더욱이, 육묘상자가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송되어 생산량 증대 및 인원 감축에 따른 유지비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탑재부 110: 제1이송레일
111: 걸림브라켓 120: 이송프레임
121: 결합부 130: 지지프레임
131: 처짐방지로울러 132: 이송제한 브라켓
140: 이송로울러 200: 컨베이어부
210: 구동부 220: 컨베이어 벨트
221: 삽입부 230: 제2이송레일
300: 반입부 310: 동력제공부
320: 이송체인 330: 이송브라켓
400: 배출부 410: 푸셔
420: 플레이트 500: 프레임부
600: 제1리밋스위치 700: 제2리밋스위치
10: 육묘베드 이송 및 배출장치 1: 육묘베드
1a: 육묘베드 로울러

Claims (8)

  1. 상부에 발아실로부터 배출된 육묘베드를 탑재하여 상기 육묘베드를 운반하는 탑재부;
    상기 탑재부의 하부에서 상기 탑재부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일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아실로부터 반출된 상기 육묘베드를 상기 탑재부 상으로 끌어당겨 반입시키는 반입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타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탑재부의 육묘베드를 녹화실로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컨베이어부를 하부에서 고정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는,
    상기 육묘베드의 하부에 구비된 한 쌍의 육묘베드 로울러에 대응하여 각각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이송레일과,
    상기 제1이송레일을 고정 지지하고, 상기 컨베이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1이송레일의 각 단부에 서로 고정 결합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이송프레임을 이송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이송레일을 포함하는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일단이 상기 이송프레임에 고정 결합하여 상기 이송프레임을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는,
    상기 이송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이송레일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 로울러를 더 포함하는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입부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와,
    상기 동력제공부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체인과,
    상기 이송체인에 결합 되어 상기 발아실에서 배출된 상기 육묘베드를 걸림 동작에 의해 상기 탑재부의 상부로 이송되도록 상기 이송체인과 함께 회전하는 이송브라켓을 포함하는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일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육묘베드를 녹화실로 배출되도록 밀어주는 푸셔와,
    상기 푸셔를 이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반입부에 의해 상기 탑재부에 반입되는 육묘베드의 이송을 제어하는 제1리밋스위치; 및
    상기 프레임부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탑재부의 이송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2리밋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
KR1020120014861A 2012-02-14 2012-02-14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 KR101338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861A KR101338614B1 (ko) 2012-02-14 2012-02-14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861A KR101338614B1 (ko) 2012-02-14 2012-02-14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375A true KR20130094375A (ko) 2013-08-26
KR101338614B1 KR101338614B1 (ko) 2013-12-06

Family

ID=49218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861A KR101338614B1 (ko) 2012-02-14 2012-02-14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6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634B1 (ko) * 2018-11-22 2019-09-03 임용일 모판 이송장치
KR20210140871A (ko) * 2020-05-14 2021-11-23 한보일렉트(주) 롤러 이동 방식의 양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1657B2 (ja) * 1996-10-31 2004-04-19 井関農機株式会社 育苗施設
JP3564931B2 (ja) * 1997-03-17 2004-09-15 井関農機株式会社 育苗施設
JP2003246451A (ja) * 2002-02-26 2003-09-02 Kubota Corp 育苗箱積重ね装置
KR101039193B1 (ko) * 2009-12-09 2011-06-0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육묘 상자 이송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634B1 (ko) * 2018-11-22 2019-09-03 임용일 모판 이송장치
KR20210140871A (ko) * 2020-05-14 2021-11-23 한보일렉트(주) 롤러 이동 방식의 양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614B1 (ko) 201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433B1 (ko) 육묘공정 자동화 설비 시스템
JPS61173722A (ja) 育苗施設
KR101424090B1 (ko)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
KR101338614B1 (ko)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
KR101985249B1 (ko)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
KR101264016B1 (ko) 육묘베드 자동운반 시스템
KR102132839B1 (ko) 육묘상자 적재장치
JP2019062825A (ja) 植物搬送システム
KR20180118900A (ko) 다단식 묘삼 재배함 자동 운송 시스템
CN112674037A (zh) 堆垛蚕盘添桑准备机构
JP2006248748A (ja) 搬送装置の搬送物分配構造
JP2009045029A (ja) 室装置
KR101251757B1 (ko) 육묘상자 운반용 이송베드
EP1752398B1 (en) Apparatus for loading/unloading ceramic products to/from roller storage boxes
CN220457865U (zh) 一种自动型催芽室
KR102523199B1 (ko) 적층된 육묘상자의 공급장치
KR101537404B1 (ko) 운반물의 이송 피치 조절이 가능한 간헐 이송 컨베이어 시스템
JP2831913B2 (ja) 育苗箱移し換え施設
JPH08322330A (ja) 育苗箱移し換え施設
JPH05306019A (ja) 育苗箱棚入れ装置
JP2537926Y2 (ja) 育苗箱差替え式の緑化装置
JPH0424921Y2 (ko)
JP2511545B2 (ja) 播種プラント
JPS6374819A (ja) 育苗箱積込み装置
JPH04547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