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373A - 기체투과성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 기체투과성 필름을 이용한 포장봉투 - Google Patents

기체투과성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 기체투과성 필름을 이용한 포장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373A
KR20130087373A KR1020127029744A KR20127029744A KR20130087373A KR 20130087373 A KR20130087373 A KR 20130087373A KR 1020127029744 A KR1020127029744 A KR 1020127029744A KR 20127029744 A KR20127029744 A KR 20127029744A KR 20130087373 A KR20130087373 A KR 20130087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gas
bag
cut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9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2679B1 (ko
Inventor
마사카즈 야마모토
가츠요시 후쿠야마
Original Assignee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68696A external-priority patent/JP55278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58996A external-priority patent/JP5751612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7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3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ventilat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61Flexible containers, e.g. bags, pouches, envel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8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by squeezing between surfaces,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12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with two or mor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2Local reinforcements or stiffening inserts, e.g. wires, strings, strip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39Surface deformation only of sandwich or lamina [e.g., embossed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34Nonself-supporting tubular film or bag [e.g., pouch, envelope, packe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21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with component conforming to contour of nonplanar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7Parallel ribs and/or groo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7Parallel ribs and/or grooves
    • Y10T428/24587Oblique to longitudinal axis of web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95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and varying den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과제] 기체투과성능이 향상하고, 넓은 범위의 용도, 특히 다종다양의 물품 등을 포장하는데 바람직한 포장필름으로서 사용이 가능한 기체투과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소정 두께의 플라스틱 필름기재에 기체를 투과시키는 기체투과부를 마련한 기체투과성 필름(1)으로서, 이 기체투과부(3L)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기재(2)의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향해서 소정 깊이로 오목하게 해서 부풀리게 하여 저부를 타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팽출시킨 오목부(3)로 이루어지고, 이 오목부(3)는 위쪽의 개구부로부터 저부를 향하여 두께가 서서히 박육으로 하여 저부가 가장 얇게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기체투과성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 기체투과성 필름을 이용한 포장봉투 {GAS-PERMEABLE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E, AND PACKAGING BAG USING SAID GAS-PERMEABLE FILM}
본 발명은 산소, 이산화탄소, 수증기 등의 기체가 투과하는 기체투과성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 기체투과성 필름을 이용한 포장봉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청과물, 발효식품 등의 포장재 및 전자렌지 가열용 등의 용기(봉투)에 사용하는데 바람직한 기체투과성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 기체투과성 필름을 이용하여 제작된, 개봉 후에는 봉투 내의 부식(副食), 햄버거 등을 다른 용기로 옮겨 담지 않고, 그대로 받침접시로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액즙을 많이 포함한 식품 등을 밀봉포장하여 유통시켜, 이 유통 및 보관시 등에 충격 등을 받아도 내부의 액즙이 외부로 누출하기 어려우며, 또한, 전자렌지 가열시에 봉투가 찢어지거나 파열하지 않도록 하여, 안심하고 안전하게 사용을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봉투마다 전자렌지에 넣어 간단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한 포장봉투에 관한 것이다.
필름기재(基材)에 기체투과부를 마련하여, 이 기체투과부로부터 산소, 이산화탄소, 수증기 등의 기체를 투과시키는 기체투과성 필름은 식품이나 의료 등이 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상품의 포장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 기체투과성 필름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채소, 과일 등을 포장하면, 그들을 비교적 긴 기간 선도(鮮度)를 유지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런 종류의 기체투과성 필름은, 대체로, 필름기재에 고분자 필름이 이용되며, 이 필름기재를 관통하는 미세구멍을 마련한 것과, 기재를 관통하지 않는 미(未)관통구멍을 마련한 것으로 대별(大別)된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소정 두께의 고분자 필름에 소정의 개공(開孔)면적의 미세구멍을 마련한 저장용 봉투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저장용 봉투는 감귤류의 저장용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비관통구멍을 마련한 전자렌지 가열용 봉투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가열용 봉투는 내층과 외층이 중간층(접착제층)에 의해서 일체로 접합시킨 적층필름으로 구성되어, 내층에 비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전자렌지 가열용 봉투는 냉동식품 등이 수용되어 전자렌지에 의해 가열되면, 냉동식품으로부터 수증기가 발생하지만, 이 수증기가 비관통구멍의 저부(底部)의 얇은 부분을 투과하여 중간층으로 침투하며, 이 중간층이 벗겨짐으로써 외부로 방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동일한 비관통구멍을 마련한 기체투과성 필름도 하기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다. 이 투과성 필름은 단층 혹은 다층 기본필름의 편면(片面)에 평균구멍 면적이 10-6 ~ 10-2㎠이고 또한 깊이가 기체 필름의 두께에 대해서 1 ~ 99.0% 비율로 한 비관통구멍을 마련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최근, 교자(餃子), 햄버거 등의 조리가 끝난 식재를 냉동한 냉동식품이 많이 보급되어 있다. 이들 냉동식품은 그 대부분이 소정 형상의 포장봉투에 채워 포장되어 판매되며, 소비자는 전자렌지로 해동 및 가열함으로써, 간단하게 먹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들에 사용되는 포장봉투는 다종다양한 것이 개발되고 있지만,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하여 제작한 것이 주류로 되어 있다. 이 포장봉투는, 대체로, 배면 측 씰부 등에 당겨 찢기용의 노치(notch)를 형성하여, 이 노치 부분 등을 당겨 찢어 개봉하여, 봉투 내의 식품 등을 간단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대표적인 포장봉투가,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4에 소개되어 있다. 도 33, 도 34를 참조하여, 이 특허문헌에 기재된 포장봉투를 설명한다. 또한, 도 33은 이 특허문헌 4에 기재된 포장봉투를 나타내고, 도 33의 (A)는 포장봉투의 배면도, 도 33의 (B)는 도 33의 (A)의 XXXIIIB-XXXIIIB선의 단면도, 도 33의 (C)는 도 33의 (A)의 포장봉투를 개봉한 상태의 배면도, 도 34의 (A)는 다른 포장봉투의 배면도, 도 34의 (B)는 도 34의 (A)의 포장봉투를 개봉한 상태의 배면도이다.
이들 포장봉투(520, 520A)는 전자렌지 가열용인 것으로 되어 있다. 이들 포장봉투는, 도 33의 (B)에 보이는 바와 같이, 기재층(521)과, 중간층(522)과, 실란트(sealant)층(523)이 적층된 직사각형 모양의 필름시트를 이용하고, 이 필름시트를, 실란트층(523)을 내면으로 하여 합장(合掌) 접합한 배면 측 씰부(524)와, 합장 접합에 의해 형성된 통모양체(筒狀體)의 개구 단부를 봉지한 단부 씰부(525)를 형성하여 제작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포장봉투는 배면 측 씰부(524)가 단부 씰부(525)에 비해 낮은 씰 강도로 열접착되어 있으며, 중간층(522)이 일축연신(一軸延伸)필름으로 이루어져, 그 연신방향이 배면 측 씰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배면 측 씰부(524)가 단부 씰부(525)에 비해 낮은 씰 강도로 열접착되어 있으므로, 단부 씰부에 비해 박리가 용이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전자렌지로 봉투체와 함께 식품을 가열하면, 봉투 내에서 발생한 증기의 압력이 일정 이상이 되면, 배면 측 씰부가 박리하여 증기가 방출되어 봉투체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들 포장봉투는, 도 33의 (A), 도 34의 (A)에 보이는 바와 같이, 배면 측 씰부(524)의 상하 양단부 부근에 배면 측 씰부(524)의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의 절개눈(5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이 절개눈을 계기로 하여 봉투를 좌우로 당겨 찢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봉투체를 좌우로 크게 개방하며, 개방한 후의 봉투체를 받침접시로서 식사 등의 때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포장봉투(520A)는, 도 34의 (B)에 보이는 바와 같이, 봉투 배면의 좌우 양단부 부근에 배면 측 씰부(524)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하프-컷-라인(half-cut line)(5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하프-컷-라인(527)은 시트의 두께방향의 일부분만의 컷, 즉, 기재층(521)만 혹은 기재층(521) 및 중간층(522)을 관통시킨 것으로 되어 있다. 이 포장봉투(520A)에 의하면, 포장봉투의 상단부 부근에서, 절개눈(526)을 계기로 하여 봉투를 좌우로 당겨 찢은 후, 하프-컷-라인(527)을 따라서 세로방향으로 당겨 찢을 수 있다.
또, 최근, 전자렌지는 조리가 끝난 가공식품 등의 여러 가지 식재, 식품(이하, 이들을 합쳐서 「식품」이라고 한다.)을 간단하게, 게다가, 단시간에 재빠르게 가열조리할 수 있는 간편성이 있기 때문에, 널리 보급되어 오고 있다. 이 보급에 수반하여, 전자렌지로 가열조리되는 식품도 다종, 다양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들 식품은 대체로 플라스틱제의 포장봉투로 밀봉포장한 상태로 유통하며, 매장 진열되어, 일반소비자에게 구매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구매된 식품은 전자렌지로 가열조리되지만, 밀봉된 채로 가열하면 내부의 식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해 봉투 내의 내압이 상승하여 봉투체가 부풀어 오른다. 그 때, 내압이 소정 레벨을 넘으면, 포장봉투가 찢어지거나 파열하여, 내부의 식품이 전자렌지 저장고 내로 비산하여 저장고 내를 오염시킴과 아울러, 조리식품의 원형(原型)을 무너뜨려 버리기 때문에 식욕을 상실시키는 것으로 되어 버린다.
지금까지는, 이와 같은 포장봉투의 찢어짐이나 파열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자렌지로 가열하기 전에 미리 포장봉투의 일부를 가위 등으로 잘라내어 통기구를 형성하는 방법 혹은 포장봉투의 일부에 침공(針孔) 등을 천공(穿孔)하는 방법 등이 채용되고 있었다. 그렇지만, 이들 방법은 모두 번거로우며, 게다가 가끔 잊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포장봉투 내의 증기압이 일정 레벨을 넘으면, 자동적으로 봉투 입구 등이 개봉되어, 찢어짐이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구된 포장봉투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5에는 가스빼기기능 필름재를 이용하여 제작한 봉투가 기재되어 있다. 이하, 도 35를 참조하여, 이 특허문헌 5에 기재된 봉투를 설명한다. 또한, 도 35는 하기 특허문헌 5에 기재된 봉투를 나타내며, 도 35의 (A)는 주요부의 절개 정면도, 도 35의 (B)는 도 35의 (A)의 주요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이 봉투(630)는 가로 일련(一連)으로 단속적으로 열용착한 액체멈춤부(632)를,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하의 액체멈춤부의 배치를 어긋나게 하여 2단 마련한 가스통과띠(631)와, 이 가스통과띠의 위에 일부를 비용착으로 하여 배기구멍부(634)에 연통시키는 용착부(633)와, 이 용착부의 위에 양면의 필름을 서로 밀착시켜 내압을 개방하는 폐색부(閉塞部)(637)를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봉투는 전자렌지에서 내부의 수용물이 가열되면, 수용물로부터 가스가 발생하여 봉투 내가 승압(昇壓)하면, 발생한 가스가 가스통과띠(631)에 침투하며, 내측으로 길게 임하여 마련한 부직포(635)의 내단(內端) 가장자리부(636)로부터 배기구멍부(634)를 통과하여 폐색부(637) 내로 빠지고, 필름(638)을 밀어 열어 배기 개구부(639)로부터 외기(外氣)로 방출된다. 또, 수용물이 액분(液分)을 많이 포함한 것이면, 이 액분이 가스통과띠(631)로 침투하는 경우가 있지만, 침투한 액분은 하단(下段)의 액체멈춤부(632)의 하면에 맞닿아 아래쪽으로 낙하하며, 또, 강한 내압으로 더욱 액체가 올라가도 상단의 액체멈춤부에 맞닿아 아래쪽으로 낙하하므로, 밖으로의 누출이 저지된다. 특히, 액체멈춤부(632)의 양측단이 아래쪽을 향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에, 액체멈춤부(632)에 맞닿은 액분은 아래쪽으로 편향되고, 또 하단의 액체멈춤부 사이의 통과부에서 차단하도록 상단(上段)의 액체멈춤부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대로 위로 향하지 않는다. 따라서, 하기 특허문헌 5에 기재되어 있는 봉투에 의하면, 전자렌지에서의 가열시에, 가스만이 외부로 방출되며, 액분이 외부로 누출하지 않으므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또, 하기 특허문헌 6에도 동일한 포장봉투가 기재되어 있다. 이 하기 특허문헌 6에 기재되어 있는 포장봉투는 배면 측 씰부를 합장 씰 형식으로 히트-씰하여 통모양체를 형성하고, 이 통모양체의 양단의 개구부를 히트-씰하여 필로우 파우치(pillow pouch) 형식으로 형성하고, 게다가, 이 봉투의 배면 측 씰부 또는 상하 좌우 어느 하나의 끝단 가장자리부에 내부에 수납된 식품을 봉투마다 가열했을 때에, 상승하는 봉투 내의 내압을 일정 범위로 조절하기 위한 절곡구조의 배기로를 마련한 것이다.
또한, 이하의 특허문헌 7 및 8에도 동일한 포장봉투가 기재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7에 기재되어 있는 포장봉투는 히트-씰부를 가지고, 내용물이 충전된 이(易)박리성 포장체에서, 히트-씰부의 외연(外緣)에 오목부를 마련하고, 이 씰부의 내연을 직선 모양으로 하여, 게다가 이박리성 포장체를 층간 박리성 필름으로 형성한 것이다. 또, 하기 특허문헌 8에 기재되어 있는 포장봉투는, 탑(top)-씰부에서, 'V'자 형상 부위의 최심부(最深部)를 히트-씰부의 내연부보다도 내용물 측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한 것이다.
이들 특허문헌 5 ~ 8에 기재되어 있는 포장봉투는 모두 조미액(료)과 속재료 등이 함께, 즉 조미액(료)으로 맛내기한 속재료가 봉투 내에 넣어져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이 조미액(료)으로 맛내기한 속재료를 포장하면, 속재료에 조미액(료)이 과잉으로 지나치게 침입하여, 속재료 자신의 맛이 없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봉투 내를 2실로 나누어, 한쪽의 실에 조미액(료), 다른 쪽의 실에 속재료 등을 넣고, 가열조리 중에 혼합시키는 포장봉투가 하기 특허문헌 9에 기재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9에 기재되어 있는 포장봉투(640)는,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 가장자리를 씰한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내부가 둘레 가장자리의 어느 한쪽의 측면 가장자리와 대략 평행하게, 이박리성 필름인 구분 씰부(641)를 마련하며, 내부를 2개의 실로 구획하고, 포장봉투의 일부에 주변으로 통기구(642)를 형성한 것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2006-158254호 공보(단락[0013] ~ [0015])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2006-27627호 공보(단락[0014],[0015], 도 3) 특허문헌 3 : 일본국 특개평8-52816호 공보(단락[0014] ~ [0019]) 특허문헌 4 : 일본국 특개2008-81191호 공보(단락[0016] ~ [0021], 도 1, 도 4) 특허문헌 5 : 일본국 특개평11-240579호 공보(단락[0005] ~ [0008], 도 1) 특허문헌 6 : 일본국 특개2000-327047호 공보(단락[0034] ~ [0036], 도 1) 특허문헌 7 : 일본국 특개평 10-147371호 공보(단락[0036], 도 1) 특허문헌 8 : 일본국 특개평8-276966호 공보(단락[0028] ~ [0030], 도 1) 특허문헌 9 : 일본국 특개2009-214892호 공보(단락[0005], 도 1)
상기 특허문헌 1의 저장용 봉투는, 고분자 필름에 이 필름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마련한 것이므로, 사용환경에 따라서는, 봉투 내부에 불요물(예를 들면, 먼지, 티끌, 세균등)이 침입해 버릴 우려가 있다. 또, 이 저장용 봉투는 내부에 수분을 함유하는 것을 넣으면, 관통구멍을 통하여 수분이 외부로 스며나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수분을 포함하는 것의 포장에는 부적합하며, 이 때문에 용도가 한정되어 버리는 등의 과제가 잠재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 상기 특허문헌 2, 3의 필름은 비관통구멍(구멍)으로 되어 있으므로, 불요물의 침입이 저지됨과 아울러 수분을 함유하는 것이라도 수분이 자연스럽게 외부로 스며나가는 경우가 없다. 또, 상기 특허문헌 2의 전자렌지 가열용 봉투는, 전자렌지로 가열되면, 봉투 내의 냉동식품으로부터 수증기가 발생하고, 이 수증기가 비관통구멍의 저부의 얇은 부분을 투과하여 중간층으로 침투하여 외부로 방출되지만, 이 때 수증기는 봉투 내의 내압 상승에 의해, 비관통구멍의 저부의 얇은 부분으로부터 투과되어 방출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특허문헌 2의 적층필름을 구성하고 있는 내층을 참고로 하여, 동일한 비관통구멍을 마련한 필름을 작성하여 기체의 투과작용을 실험으로 확인했다. 또한, 도 32의 (A)는 필름기재에 비관통구멍을 마련한 필름의 비관통구멍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32의 (B)는 내압 상승에 의해 기체가 투과할 때의 투과작용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비관통구멍(421)은 필름기재(420)의 편면을 다른 면을 향하여 오목하게 한 오목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이 오목구멍은 저부(421a)의 두께를 대략 균일하게 하여, 다른 면이 바깥쪽으로 돌출하지 않은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 도면의 오목구멍(421)은 내압이 걸리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 A로부터 오목구멍에 압력이 가해지면, 도 3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구멍(421)의 저부가 연신, 팽창하여 부풀어 오르고, 이 부풀어 오름에 의해 저부의 두께가 얇게 되며, 이 얇은 부분(421a)으로부터 기체가 투과된다. 즉, 기체는 저부가 연신, 팽창한 얇은 부분(421a')으로부터 투과되어, 연신, 팽창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대부분 투과되지 않는다.
이 기체의 투과는 저부의 두께에 의해서 좌우되며, 얇게 하면 할수록 그 투과량이 많아지지만, 한편으로 너무 얇게 하면 박육 부분에 이 부분을 관통하는 미세구멍, 즉 핀홀이 발생하고, 이 미세구멍에 의해, 상기 특허문헌 1의 필름이 안고 있는 과제와 동일한 과제가 표면화하게 된다. 따라서, 박육화를 시도해도 그 박육 두께가 제한되어, 현재의 가공기술에서는 8㎛ 이하로 하는 것이 지극히 곤란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오목구멍(421)을 마련한 기체투과필름은 그 기체투과량을 조절하여, 소망의 투과량으로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며, 그것을 필요로 하는 용도에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3의 기체투과성 필름은 비관통구멍의 구조가 명기되어 있지 않지만, 도 32의 (A)의 오목구멍과 대략 동일한 구조인 것으로 추정되며, 동일한 과제가 잠재하고 있다.
최근, 이런 종류의 기체투과성 필름은 그 용도가 더욱 확대함과 아울러 기체의 투과성능의 향상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기체투과성 필름은 감귤류의 포장 혹은 전자렌지용 가열봉투 등에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 포장이라도 감귤류 및 식품은 그 종류가 많고 게다가 보존방법 등도 다양화해 오고 있으므로, 이들에 적용하려고 하면, 보다 성능이 높은 포장재(필름)가 필요하게 된다. 또, 용도가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라도, 그들 용도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보다 폭넓은 기체투과성능을 가진 포장재(필름)가 필요하다.
채소 등의 식품은 그 종류에 따라서 필요로 하는 산소투과량이 큰 폭으로 차이가 난다. 예를 들면, 양상추, 잎파, 부추, 세송이버섯, 컷 채소(믹스), 숙주나물, 아스파라거스, 시금치 등에서는 그들의 산소투과량이 큰 폭으로 다르다. 또, 김치, 배추절임, 염교(rakkyo), 절임 등에서 발생하는 가스량도 각각 다르며, 이들 가스발생량은 채소보다 많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채소를 포함하는 청과물은 수확한 후에도 호흡을 하고 있다. 즉, 수확된 청과물은 청과물 자체를 수복하기 위해서 포장(圃場)에 있을 때보다도 보다 많은 호흡, 즉 보다 활발한 호흡을 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호흡이 활발하게 되면, 청과물의 영양분이 소모되어, 성숙·노화가 보다 급속히 진전하게 된다. 그런데 , 이 청과물의 포장은, 통상, 포장봉투에 채워, 봉투 입구를 밀봉하는 밀봉포장으로 되어 있다. 이 밀봉포장에서는, 포장시에 봉투 내에 존재하고 있던 산소가 시간과 함께 소비되어서 없어지게 되고, 이 때문에 봉투 내는 산소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혐기(嫌氣)상태가 되어, 호흡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청과물을 부패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 청과물의 호흡에 관해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비율은 대체로 포장 전(개봉포장)의 상태에서 산소 20.9%, 이산화탄소 0%로 되어 있지만, 혐기상태(호흡할 수 없음)에서는 대체로 산소 0%, 이산화탄소 20% 이상으로 되며, 또 후술의 동면(冬眠)상태에서는, 산소 5 ~ 10%, 이산화탄소 15 ~ 20%가 최적이다라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청과물의 포장은 그 청과물의 호흡량의 차이에 따라 봉투의 가스투과성을 그 청과물 및 유통조건(특히 온도)에 맞추어 조정할 필요가 있다.
MA(Modified Atmosphere) 포장은 봉투 내의 공기를 청과물 스스로가 행하는 호흡과의 밸런스에 의해, 고농도의 이산화탄소로 또한 저농도의 산소의 분위기로 하여 청과물이 동면상태가 되도록 하여, 청과물의 성장이나 열화를 늦추어 품질을 오래 가지게 하는 방법이다. 즉, 이 호흡량을 가능한 한 낮게 억제하는 것에 의해서, 품질 저하의 스피드를 늦추어 품질을 유지시키는 방법이다. 이 MA포장에는 일방향성의 포장재가 바람직하지만, 지금까지의 포장재, 즉 기체투과성 필름에서는 이와 같은 성질을 구비하고 있는 일은 없다.
또, 식품에 따라서는 이중 포장이 행해지고 있다. 이 이중 포장은, 예를 들어 소형의 내측 봉투 내에 물품(A)을 채워 밀봉하여, 이 물품(A)을 채운 내측 봉투를 대형의 외측 봉투에 넣어 밀봉하는 이중 포장으로 되어 있다. 이 이중 포장에서는, 대형의 외측 봉투에 내측 봉투의 물품(A)과 다른 물품(B)을 채우는 경우가 있다. 이들 물품(A, B)은, 통상, 이하의 것이 넣어져 포장되어 있다.
(i) 내측 봉투의 물품(A)에 과자 등의 식품, 외측 봉투의 물품(B)에 알코올, 불활성 가스, 향미료 등의 보존·향료제
(ii) 내측 봉투의 물품(A)에 알코올, 향미료 등의 보존·향료제, 외측 봉투의 물품(B)에 과자 등의 식품
상기 (i)의 이중 포장은 외측 봉투의 물품(B)이 내측 봉투 내에 투과하여 침투하며, 물품(A)의 보존 또는 향 첨가를 하고, 또, 상기 (ii)의 이중 포장은 내측 봉투의 물품(A)이 내측 봉투를 투과하여 외측 봉투 내로 침투하며, 물품(B)의 보존 또는 향을 첨가하게 된다. 이들 이중 포장에서, 상기 (i)의 포장에서 내측 봉투 내의 기체가 투과하여 외측 봉투로 방출되면, 물품(A)의 품질 저하를 초래하고, 또, 상기 (ii)의 포장에서 외측 봉투 내의 기체가 투과하여 내측 봉투로 방출되면, 물품(B)의 품질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이중 포장에서 물품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체투과성 필름에 일방향의 기체투과성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지금까지의 기체투과성 필름은 이 관점에서 개발된 것은 없고, 물론, 상기 특허문헌 2, 3의 필름도 이와 같은 일방향성을 구비하지 않고 있다.
또, 상기 특허문헌 4의 포장봉투에 의하면, 배면 측 씰부의 절개눈으로부터 봉투체를 좌우로 당겨 찢는 것에 의해서, 좌우로 크게 개봉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이 포장봉투는 개봉시에 강한 당겨 찢는 힘이 필요하게 되며, 큰 힘으로 개봉하면, 개봉한 순간에 기세가 지나쳐서 피포장물이 밖으로 튀어나가 버릴 우려가 있다. 또, 배면 측 씰부의 절개눈에서 좌우로 당겨 찢어도 상정한 개봉라인을 따라서 개봉시키는 것이 지극히 어렵고, 랜덤한 개봉구 형상이 되기 쉬워져, 이 때문에 받침접시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개봉구 가장자리가 곧고 기려(綺麗)하게 당겨 찢어지지 않는 볼품 없는 형상이 되어, 모양새가 나쁘고 디자인성이 부족해 버리는 등의 과제가 잠재하고 있다.
이들 포장봉투 가운데, 도 33에 나타낸 포장봉투(520)는 좌우로의 당겨 찢을 때에, 이 당겨 찢음이 포장봉투(520)의 양 단변 가장자리에 도달할 우려가 있다. 포장봉투(520)의 양 단변 가장자리까지 당겨 찢어지면, 피포장물이 액체를 포함하고 있으면, 액체가 밖으로 흘러 나가 주변을 더럽히고, 또, 전자렌지로 가열한 것이라면, 열탕에 의해서 화상을 입는 등의 위험성이 있다. 이것에 대해서, 도 34에 나타낸 포장봉투(520A)는 봉투의 양단 부근에 하프-컷-라인(527)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포장봉투(520)와 같이 양 단변 가장자리까지 당겨 찢어지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그렇지만, 실험의 결과, 하프-컷-라인(527)을 따라서 개구시키는 것이 지극히 어렵고, 좌우로 당겨 찢으면, 하프-컷-라인(527)을 넘어 포장봉투(520A)의 양 단변 가장자리까지 당겨 찢어져 버려, 상기 포장봉투(520)와 같은 과제가 현재화(顯在化)한다. 특히, 단층 필름으로 제작한 것은 하프-컷-라인(527)을 따라서 개구시킬 수 없어, 하프-컷-라인(527)을 넘어 포장봉투(520A)의 양 단변 가장자리까지 당겨 찢어져 버리는 것이 판명되었다.
상기 특허문헌 4의 포장봉투는 전자렌지용이지만, 냉동식품에 한정하지 않고, 다종 여러 가지 식품, 예를 들면, 과자, 채소, 과일, 생선회, 고기, 부식 등, 혹은 김치, 절임 등의 발효식품 등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봉투는, 이들 식품을 보존 등 하는데 적합한 사양인 것이어야 한다. 예를 들면, 신선한 채소 등은 선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소비자에게 보내져야 하기 때문에, 포장봉투에는 소정의 가스 베어리어성 및 통기성 등이 필요하게 되며, 또, 김치 등의 발효식품의 포장봉투도 이와 같이 가스 베어리어성 및 통기성이 필요하게 된다.
또, 상기 특허문헌 5 ~ 8에 기재되어 있는 전자렌지용 포장봉투는 가열조리시에 봉투 내의 증기압이 일정 레벨을 넘으면 자동적으로 봉투체의 일부가 개봉되므로, 봉투체의 파괴나 파열을 방지할 수 있지만, 이들 포장봉투에는 그러한 구성으로 하여 어느 것이라도 몇 개의 과제가 잠재하고 있다. 즉, 상기 특허문헌 5에 기재되어 있는 포장봉투는, 내부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2단의 액체멈춤부를 가지는 가스통과띠, 배기구멍부을 가지는 용착부 및 배기 개구부를 가지는 폐색부가 각각 마련되어 있지만, 배기 개구부의 개구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어떠한 원인으로 내부의 가스 및 액즙이 가스통과띠 및 용착부를 통과해 버리면, 액즙이 이 배기 개구부의 개구로부터 밖으로 누출해 버릴 우려가 있는데다가, 이 배기 개구부의 개구로부터 잡균등이 내부로 침입할 우려도 있다. 또, 상기 특허문헌 5에 기재되어 있는 포장봉투에서는, 액즙의 분출을 없게 하기 위해서, 가스통과띠에 2단의 액체멈춤부가 마련되어 있지만, 이 액체멈춤부의 배치에 의해서도 액누설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게다가, 가스통과띠, 용착부 및 폐색부에 2단의 액체멈춤부, 부직포, 배기구멍부 및 배기 개구부를 마련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구조가 지극히 복잡하고 제작이 번거로우며, 비용이 높아지게 된다.
또, 상기 특허문헌 6에 기재되어 있는 포장봉투는, 배기로를 절곡구조로 한 것이지만, 이 포장봉투도 상기 특허문헌 5와 동일한 과제를 안고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7, 8에 기재되어 있는 포장봉투는, 개봉 개소가 오목부나 'V'자 형상부가 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게 되지만, 특수한 층간 박리성 필름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의 상승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 상기 특허문헌 9에 기재되어 있는 포장봉투는 그 구분 씰부가 이박리성 필름으로 구성되고, 그 소재가 봉투체와 다르므로, 2종류의 소재가 필요하여, 제작도 번거롭게 되고, 또, 이 구분 씰부의 이박리성 필름은 봉투체와 소재가 다르므로, 봉투체와의 사이가 약한 씰부가 되어 버려, 봉투 내의 내압이 높아지는 곳의 부분으로부터 기체 누설과 아울러 액즙 등이 분출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9에 기재되어 있는 포장봉투는 구분 씰부의 중앙부의 일부가 미씰부로 되어 있으므로, 위쪽 실에 조미료 등의 액체를 넣는 곳의 액체가 아래쪽 실로 낙하하여 아래쪽 실의 속재료 등에 혼입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더욱이 또, 상기 특허문헌 9에 기재되어 있는 포장봉투에서는 가열조리 중에 봉투 내의 내압이 높아지면, 미씰부가 열려 개구가 확대되지만, 그 개구가 좁기 때문에, 위쪽 실의 조미료가 이 좁은 개구를 통과하여 아래쪽 실로 침투하는 형식이 되므로, 조미료가 하부 실 내의 속재료에 넓게 분산되기 어렵기 때문에 양호하게 섞이지 않아, 맛이 치우치게 된다. 예를 들면, 위쪽 실에 소금, 아래쪽 실에 풋콩 등을 넣어 포장했을 경우, 개구가 좁으므로 소금이 두루 고르게 분산되기 어려워, 풋콩의 표면에 균등하게 부착되기 어렵다. 또한 조리 후에는, 식재를 포장봉투로부터 접시 등으로 옮겨 담을 필요가 있지만, 식재가 고온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옮겨 담는 작업에 위험성이 있으며, 또 수고도 걸리고, 또한, 식후에는 접시닦이 등이 필수가 된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의 종래기술이 포함하는 과제를 해결함과 아울러 상기의 필요성에 근거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체투과성능이 향상하여, 넓은 범위의 용도, 특히 다종다양의 물품 등을 포장하는데 바람직한 포장필름으로서 사용이 가능한 기체투과성 필름,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기체투과성 필름을 이용하여 제작된, 미리 정한 대로의 개봉라인을 따라서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고, 이 라인을 넘어 당겨 찢어지지 않으며, 개봉 후에는 모양새가 좋은 개봉구 형상을 가지는 받침접시로서 사용할 수 있는 포장봉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기체투과성 필름을 이용하여 제작된, MA포장, 김치, 절임류 등의 가스빼기포장 등, 또한, 안전성, 위생성 및 생산성이 뛰어나며, 가열조리시에 봉투체를 자립시킨 상태에서 파괴나 파열을 일으키지 않고 자동적으로 내압을 저하시킬 수 있고, 게다가, 식재 등과 조미액(료)을 나누어 포장을 할 수 있으며, 가열조리시에 조미액(료)이 식재 등에 넓게 분산하여 혼합되도록 함과 아울러, 봉투마다 전자렌지에 넣어 간단하게 채소찜 등을 조리할 수 있어, 가열조리 후에는 봉투체를 그대로 간이접시로서 이용할 수 있는 전자렌지용 포장에 바람직한 포장봉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은, 소정 두께의 플라스틱 필름기재에 기체를 투과시키는 기체투과부를 마련한 기체투과성 필름에 있어서,
상기 기체투과부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기재의 일면(一面)에서 타면(他面)을 향하여 저부를 타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팽출(膨出)시킨 미(未)관통의 오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목부는 위쪽의 개구부로부터 저부를 향하여 두께를 서서히 박육(薄肉)으로 하여 저부가 가장 박육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은, 제1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단면 형상이 'U'자 또는 'V'자 모양을 이룬 슬릿 또는 오목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3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은, 제2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오목구멍으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4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은, 제2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슬릿으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한 비연속 슬릿군 또는 한 개의 연속 슬릿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5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은, 제3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에 있어서, 상기 비연속 슬릿군의 복수 개의 슬릿은 각각 평면에서 보아 직선, 만곡, 절곡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6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은, 제4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에 있어서, 상기 비연속 슬릿군의 복수 개의 슬릿은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직선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7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은, 제5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에 있어서, 상기 비연속 슬릿군의 복수 개의 슬릿은 각각의 연장방향이 상기 직선의 연장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8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은, 제1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기재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세탈 중 적어도 1층의 필름으로서, 그 두께가 15 ~ 100㎛, 상기 오목부의 저부의 두께가 2 ~ 7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9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은, 제8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기재는 1층의 필름으로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기재의 표면 또는 이면에 다른 플라스틱 필름이 라미네이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10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은, 제1 ~ 9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에 있어서, 용기의 개구부 밀폐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11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의 제조방법은, 소정 두께의 플라스틱 필름에 기체를 투과시키는 기체투과부를 형성하는 기체투과성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체투과부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기재를 그 필름의 유리전이점(轉移点) 온도를 넘어 융점 미만의 온도로 하여, 이 필름의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향해서 가압하여 연신시켜 소정 깊이로 오목하게 하여, 위쪽의 개구부로부터 저부를 향하여 두께가 서서히 박육으로 하여 저부가 가장 얇게 하여 상기 저부를 타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팽출시킨 오목부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12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의 제조방법은, 제11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기재에 상기 오목부를 형성한 후에, 상기 플라스틱 필름기재의 표리 어느 한쪽의 면에 다른 플라스틱 필름을 라미네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13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의 제조방법은, 제12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소정 형상의 돌기를 마련한 한쪽의 회전롤과 상기 소정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다른 회전롤과의 사이에 상기 플라스틱 필름을 주행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14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의 제조방법은, 제13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정 형상의 돌기를 마련한 한쪽의 회전롤의 경도(硬度)는 상기 다른 회전롤보다 경도가 낮은 것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15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의 제조방법은, 제11 ~ 14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기재로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세탈 중 적어도 한층의 필름을 이용하여 그 두께를 15 ~ 100㎛, 상기 오목부의 저부의 두께를 2 ~ 70㎛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16 형태의 포장봉투는, 제1 ~ 9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기체투과성 필름을 이용하여 형성된 일단 개구의 봉투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17 형태의 포장봉투는, 제16 형태의 포장봉투에 있어서,
상기 일단 개구의 봉투체는,
양 단변부가 합장 접합된 배면 측 씰부 및 이 배면 측 씰부와 직교하는 단변부의 한쪽의 개구가 씰된 끝단 씰부를 가지고,
상기 배면 측 씰부에는 상기 배면 측 씰부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배면 측 씰부의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찢어진 당겨 찢음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면 측 씰부가 위치하는 면에 상기 배면 측 씰부로부터 이간하여 상기 배면 측 씰부와는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형성된 개봉 컷-라인과, 상기 개봉 컷-라인으로부터 상기 배면 측 씰부의 상기 당겨 찢음부를 향하여 형성된 유도 컷-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개봉 컷-라인 및 상기 유도 컷-라인은 상기 기체투과성 필름의 상기 오목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18 형태의 포장봉투는, 제17 형태의 포장봉투에 있어서,
상기 당겨 찢음부는 복수 개소로 서로 이간하여 형성되고, 상기 개봉 컷-라인은 상기 배면 측 씰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유도 컷-라인은 각각의 상기 개봉 컷-라인으로부터 상기 복수 개소의 상기 당겨 찢음부를 향하여 각각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19 형태의 포장봉투는, 제18 형태의 포장봉투에 있어서,
상기 유도 컷-라인은 상기 개봉 컷-라인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연장한 복수 개의 길고 짧은 제1 유도 컷-라인과, 상기 제1 유도 컷-라인과 소정 거리 떨어져 상기 제1 유도 컷-라인과는 다른 간격으로 상기 배면 측 씰부 측으로 연장한 상기 제1 유도 컷-라인보다도 긴 제2 유도 컷-라인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0 형태의 포장봉투는, 제16 형태의 포장봉투에 있어서,
상기 일단 개구의 봉투체는,
일면상에 중간층을 통하여, 양단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외측 시트재를 적층한 포장필름재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필름재를 상기 외측 필름 부분으로부터 절곡시켜 양단 가장자리부를 합장 접합한 배면 측 씰부 및 이 배면 측 씰부와 직교하는 단변부에 형성되는 개구를 끝단 씰부에서 씰하고,
상기 배면 측 씰부가 봉투체의 중앙부 또는 이 중앙부에서 양단 어느 하나의 단부 근처에 위치하며, 이 배면 측 씰부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 부근에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당겨 찢음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간층에는 상기 외측 필름 끝단 가장자리 변으로부터 상기 배면 측 씰부의 상기 당겨 찢음부를 향하여 개봉시키는 유도 컷-라인이 연장하여 마련되며,
상기 유도 컷-라인은 상기 기체투과성 필름의 상기 오목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1 형태의 포장봉투는, 제20 형태의 포장봉투에 있어서,
상기 봉투체는 상기 외측 필름 끝단 가장자리 변에 개봉 컷-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개봉 컷-라인은 상기 기체투과성 필름의 상기 오목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2 형태의 포장봉투는, 제20 또는 21의 형태의 포장봉투에 있어서,
상기 당겨 찢음부는 복수 개소로 서로 이간하여 형성되고, 상기 외측 필름 끝단 가장자리 변 또는 상기 개봉 컷-라인으로부터 상기 배면 측 씰부의 상기 복수의 당겨 찢음부를 향하여 상기 유도 컷-라인의 복수 개가 상기 당겨 찢음부의 간격과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3 형태의 포장봉투는, 제22 형태의 포장봉투에 있어서,
상기 유도 컷-라인은 상기 개봉 컷-라인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연장한 복수 개의 길고 짧은 제1 유도 컷-라인과, 상기 제1 유도 컷-라인과 소정 거리 떨어져 상기 간격과 다른 간격으로 상기 배면 측 씰부 측으로 연장한 긴 제2 유도 컷-라인으로 분할되어, 상기 양 컷-라인은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방향의 일부분만을 커팅한 미관통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4 형태의 포장봉투는, 제16 형태의 포장봉투에 있어서,
상기 일단 개구의 봉투체는,
겹쳐진 적어도 한쪽이 기체투과성 필름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1, 제2 플라스틱 필름이 서로 저부 및 이 저부에 연접(連接)한 양 측변 가장자리가 봉지(封止)되고, 나머지의 상기 저부와 대향하는 일단이 개구된 봉투 입구로 되며, 상기 봉투 입구에는 피포장물이 채워 넣은 후에 봉지되는 봉투 입구 씰부가 형성되고,
상기 봉투 입구의 근방으로서, 이 봉투 입구로부터 상기 저부를 향하여, 순서대로, 이 봉투체의 내압이 소정값 이상으로 상승했을 때에 상기 봉투 입구를 봉지한 상태에서 이 상승한 내압을 밖으로 방출하는 기체방출부와, 피포장물로부터의 액체를 상기 기체방출부로 누출하는 것을 블록하는 액체누설 블록부가 마련되며,
상기 기체방출부는 상기 기체투과성 필름의 상기 오목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5 형태의 포장봉투는, 제24 형태의 포장봉투에 있어서,
상기 기체방출부는 상기 봉투 입구를 봉지하는 개소와 상기 액체누설 블록부와의 사이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6 형태의 포장봉투는, 제24 형태의 포장봉투에 있어서,
상기 봉투 입구 씰부와 상기 액체누설 블록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가 마련되고, 상기 틈새에 상기 기체방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7 형태의 포장봉투는, 제24 형태의 포장봉투에 있어서,
상기 액체누설 블록부는 상기 한 쌍의 기체투과필름을 상기 양 측변 가장자리 사이에 걸쳐 소정의 폭으로 약한 씰 강도로 열용착된 약열용착 씰띠로 이루어지고, 상기 약열용착 씰띠의 씰 강도는 상기 양 측변 가장자리 및 봉투 입구의 열용착 씰 강도보다 약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8 형태의 포장봉투는, 제27 형태의 포장봉투에 있어서,
상기 약열용착 씰띠는 상기 폭을 횡단하는 또는 이 폭을 좁히는 비용착 또는 이 비용착에 가까운 약용착 개소가 적어도 한 개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9 형태의 포장봉투는, 제27 형태의 포장봉투에 있어서,
상기 약열용착 씰띠는 씰 강도가 상기 봉투체의 저부 측이 낮고, 상기 기체방출부 측이 높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30 형태의 포장봉투는, 제24 형태의 포장봉투에 있어서,
상기 기체방출부는 연속 또는 불연속의 슬릿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릿은 상기 필름의 내벽면으로부터 외측 표면을 향하여 오목 꼭대기부가 바깥쪽으로 얇게 돌출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31 형태의 포장봉투는, 제24 형태의 포장봉투에 있어서,
상기 일단 개구의 봉투체는 상기 액체누설 블록부와 상기 저부와의 사이에, 피포장물을 나누어 수납하는 구분부가 마련되고, 상기 구분부는 상기 한 쌍의 기체투과필름을 상기 양 측변 가장자리 사이에 걸쳐 소정의 폭으로 열용착된 약열용착 씰띠로 이루어지며, 상기 약열용착 씰띠의 씰 강도는 상기 양 측변 가장자리 및 봉투 입구의 열용착 씰 강도보다 약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32 형태의 포장봉투는, 제31 형태의 포장봉투에 있어서,
상기 약열용착 씰띠는 상기 폭을 횡단하는 또는 이 폭을 좁히는 비용착 또는 이 비용착에 가까운 약용착 개소가 적어도 한 개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33 형태의 포장봉투는, 제31 형태의 포장봉투에 있어서,
상기 약열용착 씰띠는 상기 봉투체의 저부 측의 씰 강도가 낮고, 상기 기체방출부 측이 높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34 형태의 포장봉투는, 제31 형태의 포장봉투에 있어서,
상기 일단 개구의 봉투체는 상기 구분부의 상기 저부 측에 상기 양 측변 중 적어도 한 변에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35 형태의 포장봉투는, 제24 형태의 포장봉투에 있어서,
상기 저부는 피포장물의 비수용시에 접어 겹쳐져 있고, 피포장물이 수용되었을 때에 자립할 수 있는 크기로 면적이 확대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36 형태의 포장봉투는, 제24 형태의 포장봉투에 있어서,
상기 봉투 입구 씰부는 상기 기체방출부를 넘도록 파상(波狀)으로 봉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37 형태의 포장봉투는, 제24 형태의 포장봉투에 있어서,
상기 봉투 입구 씰부는 상기 양 측변 가장자리의 열용착 씰되는 부분보다 큰 폭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38 형태의 포장봉투는, 제24 ~ 37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포장봉투에 있어서,
상기 봉투 입구 씰부에는 개공(開孔)이 적어도 1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제1 ~ 제16 형태의 발명에 의하면, 오목부의 저부는 필름기재의 두께로부터 대략 극한(極限)(예를 들면 2.0㎛ 정도)까지 박육화가 가능하게 되고, 이 박육화에 의해 기체투과도의 범위가 확대되어, 넓은 분야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포장재로서 유용한 것이 된다. 즉, 채소, 발효식품 등의 포장재 및 발효식품용 및 전자렌지 가열용 등의 포장봉투나 용기의 봉지용으로 사용하는데 유용한 것이 된다. 또, 기체투과를 일방향으로부터 양호하게 되고, 역방향으로부터 어려워지므로, MA포장, 이중 포장 등에도 효과적인 것이 된다.
또, 이 발명의 제17 형태의 포장봉투에 의하면, 미리 정한 대로 개봉 컷-라인을 따라서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어, 이 개봉 컷-라인을 넘어 당겨 찢어지지 않으며, 개봉 후에는, 모양새가 좋은 개봉구 형상을 가지는 받침접시로서 사용 가능한 포장봉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봉 컷-라인과 유도 컷-라인 및 양 컷-라인을 연결한 부분에 프레임 등을 인쇄해 두면, 이 프레임을 개봉구로서 개봉시킬 수 있으므로, 개봉 후에는 모양새가 좋은 개봉구를 가진 받침접시로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18 형태의 포장봉투에 의하면, 임의의 당겨 찢음부로부터 봉투체를 소망의 크기의 개봉구로 하여 개봉할 수 있다.
또한, 제19 형태의 포장봉투에 의하면, 임의의 당겨 찢음부로부터 봉투체를 소망의 크기의 개구로 확실히 개봉할 수 있다. 즉, 제1 유도 컷-라인의 길이를 소정의 길이, 예를 들면, 인접하는 제1 유도 컷-라인의 간격과 같거나, 이 간격보다 약간 길게 함으로써, 제2 유도 컷-라인으로부터 직접 개봉라인으로 당겨 찢어지지 않고,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제1 유도 컷-라인으로 유도되는 것으로 개구가 확실하게 된다. 또, 유도 컷-라인 및 개봉 컷-라인은 봉투 제조 전의 필름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봉투체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유도 컷-라인이 개봉 컷-라인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하여 마련하여, 양 컷-라인이 직접 접속되어, 컷-라인의 접속부가 대략 'T'자 접속이 되므로, 개봉시에, 당겨 찢음이 유도 컷-라인으로부터 개봉 컷-라인으로 부드럽게 가이드 되어, 종래기술과 같이, 개봉 컷-라인을 넘어 당겨 찢어지지 않게 된다. 또, 양 컷-라인은 복수 개의 길고 짧은 슬릿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한 비연속 슬릿군, 또는 연속 슬릿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슬릿은 플라스틱 필름의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향해서 소정 깊이로 오목하게 해서 부풀리게 하여 저부를 타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팽출시킨 미관통의 오목부를 가지고, 이 오목부는 위쪽의 개구부로부터 저부를 향하여 두께를 서서히 박육으로 하여 저부가 가장 박육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오목부의 저부는 필름기재의 두께로부터 대략 극한(예를 들면 2.0㎛ 정도)까지 박육화가 가능하게 되며, 이 박육화에 의해 기체투과도의 범위가 확대되어, 넓은 분야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채소, 발효식품 등의 포장재 및 발효식품용 및 전자렌지 가열용 등의 용기에 사용하여 유용한 것이 된다. 또, 일방향으로부터의 기체의 투과성이 좋고 역방향으로부터의 기체투과가 하기 어려워지므로, MA포장, 이중 포장 등에도 효과적인 것이 된다.
더욱이 또, 제20 및 제21 형태의 포장봉투에 의하면, 컷-라인 및 외측 필름 끝단 가장자리 변을 따라서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어, 이 외측 필름 끝단 가장자리 변을 넘어 당겨 찢어지지 않으며, 개봉 후에는, 모양새가 좋은 개봉구 형상을 가지는 받침접시로서 사용 가능한 포장봉투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또, 제22 형태의 포장봉투에 의하면, 임의의 당겨 찢음부로부터 봉투체를 소망의 크기의 개봉구로 하여 개봉할 수 있다.
더욱이 또, 제23 형태의 포장봉투에 의하면, 임의의 당겨 찢음부로부터 봉투체를 소망의 크기의 개구로 확실히 개봉할 수 있다. 즉, 제1 유도 컷-라인의 길이를 소정의 길이, 예를 들면, 인접하는 제1 유도 컷-라인의 간격과 같거나, 이 간격보다 약간 길게 함으로써, 제2 유도 컷-라인으로부터 직접 개봉라인으로 당겨 찢어지지 않고,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제1 유도 컷-라인으로 유도되는 것으로 개구가 확실히 된다. 또, 유도 컷-라인 및 개봉 컷-라인은 봉투 제조 전의 필름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봉투체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유도 컷-라인이 외측 필름 끝단 가장자리 변 또는 개봉 컷-라인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하여 마련하여, 유도 컷-라인이 외측 필름 끝단 가장자리 변 또는 개봉 컷-라인과 직접 접속되어, 그 접속부가 대략 'T'자 접속이 되므로, 개봉 시에, 당겨 찢음이 유도 컷-라인으로부터 개봉 컷-라인으로 부드럽게 가이드되어, 종래기술과 같이, 외측 필름 끝단 가장자리 변 또는 개봉 컷-라인을 넘어 당겨 찢어지지 않게 된다. 또, 양 컷-라인은 길고 짧은 슬릿 복수 개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한 비연속 슬릿군, 또는 연속 슬릿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슬릿은 플라스틱 필름의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향해서 소정 깊이로 오목하게 해서 부풀리게 하여 저부를 타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팽출시킨 미관통의 오목부를 가지고, 이 오목부는 위쪽의 개구부로부터 저부를 향하여 두께를 서서히 박육으로 하여 저부가 가장 박육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오목부의 저부는 필름기재의 두께로부터 대략 극한(예를 들면 2.0㎛ 정도)까지 박육화가 가능하게 되며, 이 박육화에 의해 기체투과도의 범위가 확대되어, 넓은 분야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채소, 발효식품 등의 포장재 및 발효식품용 및 전자렌지 가열용 등의 용기에 사용하여 유용한 것이 된다. 또, 일방향으로부터의 기체의 투과성이 좋고 역방향으로부터의 기체투과가 하기 어려워지므로, MA포장, 이중 포장 등에도 효과적인 것이 된다.
또, 본 발명의 제24 ~ 30의 형태의 포장봉투에 의하면, 운반이나 가열시에 봉투체의 파괴나 파열이 없어서 안전성이 뛰어나고, 유통, 보관시 등에도 외부로부터 봉투 내로 세균류의 침입이 없어서 위생적으로 뛰어나며, 게다가, 간단하고 또한 염가로 제작을 할 수 있어 생산성에도 뛰어나고, 또한 액즙 등의 누출이 없어 안심하고 사용을 할 수 있는 것이 된다. 특히, 봉투 입구의 근방에 기체방출부와 액체누설 블록부가 나누어 마련되어 있으므로, 각부에서 각각의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즉, 액체누설 블록부에서는 봉투체의 액체가 외부로 새는 것을 블록할 수 있고, 게다가 기체방출부에서는 봉투체 내의 압력이 소정값 이상으로 상승했을 때에 이 상승한 내압을 밖으로 방출할 수 있다. 또, 이들 기체방출부 및 액체누설 블록부는 전자가 봉투 입구에 가까운 개소, 후자가 기체방출부의 뒤에서 봉투체 내 측에 액체누설 블록부에 마련하고 있으므로, 기체방출부 및 액체누설 블록부를 각각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기체방출부의 형성이 용이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제31 ~ 35의 형태의 포장봉투에 의하면, 가열조리시에 봉투체를 자립시킨 상태에서 파괴나 파열을 일으키지 않고 자동적으로 내압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게다가, 식재 등과 조미액(료)을 나누어 포장할 수 있어, 가열조리시에 조미액(료)이 식재 등에 넓게 분산하여 혼합되도록 함과 아울러, 가열조리 후에는 봉투체를 그대로 간이접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36 형태의 전자렌지용 포장봉투에 의하면, 봉투 입구의 열용착되는 씰 부분과 기체방출부가 교차하는 비율이 많게 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봉투체 내에 발생한 내압을 방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37 형태의 전자렌지용 포장봉투에 의하면, 봉투 입구 부분에 전자렌지로 가열된 포장봉투를 사용자가 맨손으로 잡는 것이 가능한 부분을 마련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안전하게 전자렌지로부터 취출하고, 또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제38 형태의 전자렌지용 포장봉투에 의하면, 개공에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통과시켜 파지하거나, 또, 젓가락 등을 삽입 통과시키거나 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하게 가열된 포장봉투의 취출이나 운반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기체투과성 필름을 나타내고, 도 1의 (A)는 평면도, 도 1의 (B)는 도 1의 (A)의 I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기체투과성 필름을 제조하는 제조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4는 슬릿의 기체의 투과작용을 설명하는 것으로, 도 4의 (A)는 슬릿의 단면도, 도 4의 (B)는 기체투과시의 슬릿 형상의 단면도, 도 4의 (C)는 역방향에서 기체투과시의 슬릿 형상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기체투과성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기체투과성 필름의 슬릿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기체투과성 필름을 제조하는 제조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8은 기체투과성 필름을 이용하여 작성한 포장봉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기체투과성 필름을 이용하여 작성한 다른 포장봉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기체투과성 필름을 이용하여 작성한 또 다른 포장봉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기체투과성 필름을 이용하여 작성한 또 다른 포장봉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기체투과성 필름으로 개구를 덮은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포장봉투의 배면도이다.
도 14의 (A), 도 14의 (B)는 도 13의 XIVA-XIV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포장봉투의 개봉시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포장봉투의 일부분을 나타내고, 도 16의 (A)는 도 13의 XVIA 부분의 확대도, 도 16의 (B)는 도 15의 XVI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7의 (A)는 포장봉투를 개봉한 상태의 배면도, 도 17의 (B)는 포장봉투를 개봉하여 제거된 포장봉투의 일부의 배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포장봉투의 배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포장봉투의 배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포장봉투의 일부를 나타내고, 도 20의 (A)는 확대 배면도, 도 20의 (B)는 도 20의 (A)의 XXB의 확대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포장봉투를 나타내고, 도 21의 (A)는 배면도, 도 21의 (B)는 도 21의 (A)의 XXIB-XXIB선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의 포장봉투에 사용하는 필름기재를 나타내고, 도 22의 (A)는 평면도, 도 22의 (B)는 도 22의 XXII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3은 실시형태 6의 포장봉투에 사용하는 필름시트를 나타내고, 도 23의 (A)는 필름시트의 일부 단면, 도 23의 (B)는 포장봉투의 변형예에 관한 필름시트의 일부 단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전자렌지용 포장봉투를 나타내고, 도 24의 (A)는 정면도, 도 24의 (B)는 도 24의 (A)의 XXIVB-XXIVB선의 단면도, 도 24의 (C)는 도 24의 (A)의 XXIVC-XXIVC선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포장봉투에서의 액체누설 블록 부분을 나타내고, 도 25의 (A)는 액체누설 블록부의 정면도, 도 25의 (B)는 액체누설 블록부의 접합도의 그래프, 도 25의 (C) ~ 도 25의 (G)는 도 25의 (A)의 액체누설 블록부의 변형예의 정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포장봉투의 액체누설 블록부의 작용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4의 (A)의 XXVII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8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전자렌지용 포장봉투의 변형예의 정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전자렌지용 포장봉투를 나타내고, 도 29의 (A)는 정면도, 도 29의 (B)는 도 29의 (A)의 XXIXB-XXIXB선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변형예 1에 관한 전자렌지용 포장봉투의 정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변형예 2에 관한 전자렌지용 포장봉투의 정면도이다.
도 32는 종래기술의 기체투과성 필름에 마련된 오목구멍의 단면도이다.
도 33은 종래기술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포장봉투를 나타내고, 도 33의 (A)는 포장봉투의 배면도, 도 33의 (B)는 도 33의 (A)의 XXXIIIB-XXXIIIB선의 단면도, 도 33의 (C)는 도 33의 (A)의 포장봉투를 개봉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34는 같은 특허문헌에 기재된 다른 포장봉투를 나타내고, 도 34의 (A)는 포장봉투의 배면도, 도 34의 (B)는 도 34의 (A)의 포장봉투를 개봉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35는 종래기술의 봉투를 나타내고, 도 35의 (A)는 봉투 주요부의 절개 정면도, 도 35의 (B)는 주요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6은 다른 종래기술의 봉투체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기체투과성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 기체투과성 필름을 이용한 용기를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이들에 특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그 외의 실시형태의 것에도 동일하게 적응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형태 1]
본 발명의 기체투과성 필름은 소정 두께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필름기재에 기체를 투과시키는 기체투과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기체투과부는 필름기재의 길이방향으로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향해서 소정 깊이로 오목하게 해서 부풀리게 하여 저부가 타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팽출한 오목부로 이루어지고, 이 오목부는 위쪽의 개구부로부터 저부를 향하여 두께가 서서히 박육으로 하여 저부가 가장 얇게 형성한 것으로 되어 있다. 오목부는 소정 형상의 슬릿 또는 오목구멍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 1,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기체투과성 필름을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기체투과성 필름을 나타내고, 도 1의 (A)는 평면도, 도 1의 (B)는 도 1의 IB부분의 확대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기체투과부의 오목부는 복수 개의 길고 짧은 슬릿(3)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한 슬릿군(3L)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슬릿(3)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위쪽의 개구부로부터 저부를 향하여 두께가 서서히 박육으로 하여 저부가 가장 얇게 형성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오목부는 소정 길이의 슬릿(3)으로 이루어지는 슬릿군, 즉, 불연속인 슬릿군으로 형성했지만 비교적 긴 연속한 슬릿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필름기재(2)는 소정 폭길이, 두께 및 길이가 긴 필름기재를 이용하여, 이 필름기재에 복수 개의 길고 짧은 슬릿(3)이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 개의 길고 짧은 슬릿(3)으로 슬릿군(3L)을 구성하고 있다. 슬릿군(3L)의 인접하는 슬릿(3)의 간격은 기체투과성 필름의 용도에 따라서 임의의 간격으로 하지만, 포장용으로서는 등간격이 바람직하다. 슬릿군(3L)은 일렬로 한정되지 않고, 2열 이상으로 하여도 된다.
필름기재(2)는 폴리프로필렌(PP), 이축연신(二軸延伸) 폴리프로필렌 필름(O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PA) 등의 단층 혹은 다층 구조의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한다. 또한, 이 기재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플라스틱 필름이라도 된다. 슬릿(3)은 다층 구조 필름 중의 한층에 마련해도 되고, 전층에 마련해도 된다. 즉, 한층의 필름에 슬릿을 형성한 후에, 라미네이트 가공을 행하여 다층 구조로 해도 되고, 또, 다층 구조 필름에 슬릿을 형성해도 된다. 이들 가공방법은 그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 혹은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된다. 다층 구조의 예로서 예를 들면, 가스 베어리어성이 높은 PA, PET에 양호한 씰 기능을 가지는 PE를 적층함으로써, 높은 가스 베어리어성과 씰성을 겸비하는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우선, 단층 또는 다층 구조의 필름을 이용하여 이들 필름에 슬릿을 형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필름기재는 단층 또는 다층 구조의 필름재로 이루어지고, 그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5 ~ 1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그 두께가 15㎛보다 얇으면 슬릿의 형성이 어렵고, 예를 들면 포장필름과 사용하는 경우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없는 것이 있다. 또, 100㎛ 이상을 넘으면 가공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필름기재의 두께는 이들 범위 내에서 필름 수지의 종류, 용도 등에 의해 적절히 선택된다.
복수 개의 슬릿(3)(109, 212)은 동일한 형상의 가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미관통홈으로 되어 있다. 이들 슬릿(3)(109, 212)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의 개구홈(3a)(109a, 212a)으로부터 저부를 향하여 두께가 서서히 박육으로 산 모양으로 부풀어져, 저부를 타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팽출시키고, 게다가, 이 저부(3c)(109c, 212c)가 가장 얇게 되도록 하여, 단면 형상이 대략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의 (B),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기재(2)(108, 210f)의 길이방향으로 폭길이(W), 이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L') 및 소정의 깊이를 가지고 있다. 폭길이, 길이 및 깊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폭길이(W)는 100 ~ 500㎛, 길이(L')는 1.2 ~ 2.6㎜가 바람직하다. 또, 깊이는 필름 표면으로부터 계측하여 1.2 ~ 2.2배 정도, 이들 배율에서도 두께의 1.2 ~ 2.2의 깊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부(3c)(109c, 212c)의 가장 얇은 두께는 2㎛ ~ 7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두께는 단층, 다층 구조의 필름의 모두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슬릿군(3L)(109L, 212L)의 인접하는 슬릿 사이의 간격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5 ~ 3.0㎜ 정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슬릿은 필름 수지의 종류, 용도 등에 의해 적절히 선택된다.
슬릿(3)은 단면 형상을 대략 'U'자 모양으로 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형상, 예를 들면 단면 형상 'V'자 모양 혹은 그 외의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또, 슬릿군(3L)(109L, 212L)은 소정 길이의 슬릿 복수 개를 비연속으로 배열했지만, 연속시켜도 된다. 연속 슬릿의 경우는, 연속 슬릿의 배열을 직선 모양, 꺾은선 모양 및 곡선 모양 등으로 할 수 있다. 슬릿 및 슬릿군은 그들 형상 및 저부의 두께를 변경함으로써, 기체투과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슬릿에 대신하여, 오목구멍으로 하여도 된다. 이 오목구멍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개구 및 깊이를 가지는 구멍으로 한다. 둥근 구멍인 경우, 그 직경은 예를 들면 30 ~ 1500㎛, 저부의 가장 얇은 부분의 두께는 2 ~ 70㎛로 한다. 타원형의 개구도 대략 원형구멍과 대략 동일하게 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기체투과성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도 3의 (A)는 도 1의 기체투과성 필름을 제조하는 제조장치의 개략도, 도 3의 (B)는 도 3의 (A)의 IIIB의 확대도, 도 3의 (C)는 도 3의 (A)의 IIIC의 확대도이다.
제조장치(4)는,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기재(2)(108, 210f)를 전처리하는 전처리장치(5)와, 필름기재(2)(108, 210f)에 슬릿(3)(109, 212)을 형성하는 슬릿형성장치(6)를 구비하고 있다. 전처리장치(5)는, 필름기재(2)(108, 210f)를 이 기재의 유리전이점을 넘고 또한 융점 미만의 온도가 되도록 처리하는 온도조절장치로 되어 있다.
이 전처리장치(5)에서의 온도조절은 필름기재에 슬릿을 형성하는데 중요하게 되어 있다. 필름기재(2)(108, 210f)는 플라스틱 필름재, 즉,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지고, 이 고분자 재료는 저온하에서 결정 부분과 비결정 부분이 공존한 상태에 있으며, 분자운동이 작은 유리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가열되어 온도가 오르면 분자운동이 커져 고무상태가 되고, 더욱 가열되면 녹은 용융상태가 된다. 유리상태로부터 고무상태로 이행하는 경계선이 유리전이점, 고무상태로부터 용융상태가 되는 경계선이 융점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필름기재를 유리전이점이 넘는 온도로 가열하여 부드럽게 함으로써, 슬릿을 산모양으로 게다가 저부를 가장 얇게 압연(壓延)할 수 있다. 또, 이 온도에서는 가스 베어리어성을 유지한 채로 압연할 수 있으므로, 필름의 특성을 해치지 않고 박육으로 한 슬릿을 형성할 수 있다. 또, 핀홀 등이 없는 슬릿을 형성할 수 있다.
유리전이점 및 융점은 필름기재의 소재에 따라서 차이가 난다. 필름기재에 PP를 사용하는 경우, 이 PP의 유리전이점이 마이너스 18℃이고 융점은 163℃로 되어 있으므로, 상온보다 높은 온도의 40 ~ 120℃의 사이로 조절한다. 이하, 동일하게 하여, PET는 유리전이점이 81℃이고 융점은 264℃로 되어 있으므로, 온도를 약 85 ~ 200℃의 사이, LDPE는 유리전이점이 -125℃이고 융점이 115℃로 되어 있으므로, 상온보다 높은 온도 20 ~ 100℃로 조절한다. 또, 후술하는 PET와 LDPE를 라미네이트한 다층 구조 필름에서는 온도 85 ~ 100℃의 범위로 조절한다.
PP, PE는, 상온에서는 이미 유리전이점을 넘고 있지만, 융점은 120℃ ~ 190℃이므로, 그 범위에서 가공의 정도를 조정하게 된다. 동일한 기재에서도, 유리전이점을 넘고, 융점 미만의 범위에서 온도에 따라서 필름의 부드러움이 다르기 때문에, 다음의 슬릿형성장치에 있어서, 가벼운 가압에서도 온도를 올리는 것에 의해서 용이하게 슬릿을 형성할 수 있다.
슬릿형성장치(6)는 외주에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슬릿 형성 톱니(7)가 배치된 원판 모양의 가압롤(6A)과, 이 가압롤과의 사이에 필름기재(2)(108, 210f)를 끼워 넣는 받침롤(6B)을 가지고 있다. 가압롤(6A)은 소정의 직경, 두께 및 경도를 가지는 금속성의 원판 모양의 톱니바퀴로 형성되어 있고, 축(6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슬릿(3)(109, 212)을 형성하면서 필름기재(2)(108, 210f)를 X방향으로 송출한다. 복수 개의 슬릿 형성 톱니(7)는,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 피치(p) 및 높이(h)를 가지는 대략 톱니 모양의 톱니로 되어 있다. 이 슬릿 형성 톱니(7)는 꼭대기부 선단(7b)에 소정의 R2 및 저부(7a)에 R1의 R이 형성되어 있다. 피치(p)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124㎜ ~ 2.094㎜, 높이(h)는 2.0㎜로 되어 있다. R2는 0.05 ~ 1.0㎜의 범위이며, 이 범위에서도 0. 1 ~ 0.2㎜가 바람직하다. 0. 1㎜이하로 하면, 기계적 마모가 격렬하면 필름기재에 상처가 나 핀홀이 생기기 쉬워진다. 1.0㎜이상으로 하면 가압하는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또, R1는 0.5㎜로 한다. 또한, 피치를 영으로 하여 연속한 톱니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는, 충분한 가압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폭길이를 더욱 좁게 한다. 즉, 연속시키면 톱니수가 많아지고, 그 결과, 단위면적이 커지기 때무넹 전체의 가압력이 작아져 버리므로, 폭길이를 좁고, 면적을 작게 함으로써 소망의 가압력을 확보한다.
가압롤(6A)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판 모양의 톱니바퀴로 했으나, 롤모양, 즉 원통체, 원기둥체로 하여도 된다. 롤모양으로 함으로써, 긴 슬릿 및 연속한 슬릿을 형성할 수 있다. 슬릿 형성 톱니를 마련한 톱니바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평톱니를 마련한 톱니바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평톱니는 평면에서 보아 장방형(長方形)을 이루며, 길이가 1.5 ~ 2.6㎜, 폭길이는 30 ~ 500㎛ 및 입면(立面)에서 보아 필름의 두께에 대해서 1.2 ~ 2.4배인 것을 사용한다. 이 평톱니를 사용하면, 필름기재의 총두께 50㎛로 하면, 이 필름기재의 바닥으로부터 계측하여, 산의 정점까지는 60 ~ 120㎛가 된다. 이 정도는 투과시키고자 하는 가스량에 따라서 결정한다. 또, 슬릿의 형상에 따라서는, 다른 형상의 톱니바퀴, 예를 들면, 톱니를 마련한 톱니바퀴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톱니바퀴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도 5의 (B)에 나타내는 슬릿을 형성한다.
받침롤(6B)은, 가압롤(6A)과 마찬가지로, 축(6b)에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가압롤(6A)에 의해서 필름기재(2)(108, 210f)에 슬릿(3)(109, 212)이 형성될 때의 가압을 받아, 필름기재(2)를 X방향으로 송출한다. 가압롤(6A)은 그 경도를 60 ~ 63으로 하고, 받침롤(6B)보다 낮은 경도의 금속재료로 형성한다. 받침롤(6B)은 소정의 직경 및 경도를 가지는 금속성의 원통체, 원기둥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경도는 63 ~ 67로 한다. 가압롤(6A)은 그 경도를 받침롤(6B)의 경도보다 낮게 함으로써, 받침롤(6B)이 가압롤(6A)에 의해서 가압을 받을 때에 예를 들면 100만m 가공하여도 깎이지 않는다.
이 제조장치(4)는 필름기재(2)(108, 210f)를 전처리장치(5)에서 유리전이점을 넘는 온도로 처리하여, 슬릿형성장치(6)로 보내고, 이 슬릿형성장치(6)에서 소정 온도가 된 필름기재(2)(108, 210f)를 가압롤(6A)과 받침롤(6B)과의 사이에 끼워 넣고, 가압롤(6A)에 소정의 가압력을 걸어 필름기재(2)(108, 210f)를 압연하여 슬릿을 형성한다(도 3의 (C)참조). 이 슬릿은 필름기재의 종류, 그 두께에 따라서, 그 기재의 전처리온도 및 가압롤의 가압력을 조절하여 형성한다. 이 슬릿은 저부를 얇게 하면, 얇아진 만큼만 기체투과도가 높아지지만, 한편으로, 강도가 저하한다. 그 정도는 전처리온도 혹은 가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조절하여 결정한다. 예를 들면, 필름기재의 유리전이점이 50℃이고 융점이 215℃이라고 하면, 전처리온도를 60℃ 혹은 120℃로 하면, 전자보다 후자가 부드러워지고, 한편으로 가압력은 전자보다 후자가 가벼운 가압력으로 형성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가압도는, 예를 들면 0 ~ 0.5㎫의 사이에서 조정되며, 특히 0.2㎫ 전후가 바람직하다. 또한, 0.5㎫는 5㎏/평방 센티미터이다.
이 제조장치(4)에서는 용도에 따라 필름기재(2)(108, 210f)의 전처리온도 및 가압롤의 가압력을 조절하여, 각각의 용도에 적합하는 슬릿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채소 포장에서는, 두께 25㎛의 OPP 성에방지 필름의 단체 필름을 이용하고, 이 필름에 오목부를 봉투 내측으로부터 형성한다. 오목부의 최저 두께를 약 2㎛로 한다. 채소에 따라서는 이 가압 정도를 다르게 하여, 예를 들면, 소송채(小松菜)에서는 0.2㎫로 가압하고, 피치 2㎜의 평톱니로 가압하는 부분의 형상을 장방형으로 길이 2㎜ × 폭 200㎛로 한다. 봉투체의 크기 200㎜ × 320㎜에 대해서는 슬릿군은 가로 일렬만큼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슬릿의 기체투과작용을 설명한다. 또한, 도 4는 슬릿의 기체투과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4의 (A)는 슬릿의 단면도, 도 4의 (B)는 기체투과시의 슬릿 형상의 단면도, 도 4의 (C)는 역방향으로부터의 기체투과시의 슬릿 형상의 단면도이다.
기체투과성 필름(1)을 이용하여 소정 크기의 포장봉투를 작성하고, 이 포장봉투에 물품을 수납할 때에 이 물품으로부터 기체(증기 등)가 방출되어 포장봉투 내에 압력이 가해지는 예로 이 투과작용을 설명한다. 도 4의 (A)의 슬릿(3)은 내압이 걸리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도 4의 (A)는 도 2와 같은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슬릿(3)(109, 212)에 화살표 A방향으로부터 내압이 걸리면,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압력에 의해 슬릿의 저부가 연신, 팽창하여 풍선모양으로 부풀어 올라 그 두께가 더욱 얇게 되어, 이 얇은 부분(3c1)(109c1, 212c1)으로부터 기체가 투과한다. 이 슬릿(3)(109, 212)은 그 기체투과가 종래기술의 슬릿에 비해, 투과량의 조절이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다른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종래기술의 오목구멍(21)(도 32 참조)은 저부의 두께가 대략 균일하게 되어 있으므로, 극한까지 박육으로 하지 못하고, 현재의 가공기술에서는 8㎛ 정도가 한도이지만, 이 슬릿(3)(109, 212)은 대략 극한(2.0㎛ 정도)까지 박육으로 할 수 있으므로, 투과량의 조절이 용이하게 된다.
또,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방향으로부터 압력이 걸리면, 슬릿의 저부(3c2)(109c2, 212c2)가 역방향으로 가압되지만, 기체투과량이 도 4의 (B)의 방향에 비해 현격히 적게 된다. 이 현상은 실험에 의해 확인되고 있으며, 개구 측으로부터의 투과량을 10으로 하면 역방향으로부터의 투과량은 대략 1 ~ 2 정도가 되었다. 그 결과, 기체투과성 필름(1)(108, 210f)은 일방향으로부터의 기체의 투과성이 좋고 역방향으로부터의 기체투과성이 하기 어려워지므로, 예를 들면, MA포장 혹은 이중 포장 등에 사용하면 현저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즉, MA포장에는 기체투과성 필름(1)(108, 210f)의 개구가 내측, 저부가 외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포장봉투를 작성하여 사용한다. 또, 이중 포장은 채우는 물품에 따라서, 기체투과성 필름(1)(108, 210f)의 개구가 내측 또는 외측, 저부가 외측 또는 내측이 되도록 하여 포장봉투를 작성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면, 알코올 가스투과의 과자 포장은 외측 봉투와 수많은 내측 봉투가 있어 외측 봉투 내에 안티 몰드(알코올 가스를 발생시키는 것)를 넣어 내측 봉투에 외측으로부터 가압산모양으로 가공한다. 그렇게 하면 알코올 가스가 많은 내측 봉투 내에 들어간다. 외측 봉투는 가스 베어리어성이 있는 봉투로 되어 있고, 내측 봉투는 OPP 단체 20㎛의 필름을 이용하여, 그 봉투의 크기는 50㎜ × 70㎜로 한다.
[실시형태 2]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기체투과성 필름(1)은 복수 개의 슬릿(3)을 대략 평행하게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한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배치 및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도 5는 다른 실시형태 2에 관한 기체투과성 필름의 평면도이다.
기체투과성 필름(1A)은 필름기재(2)의 길이방향으로 가상선(L)을 그리고, 이 직선을 따라서 복수 개의 슬릿(3A)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슬릿군(3AL)을 형성한 것이다. 또, 기체투과성 필름(1B)은 필름기재(2)의 길이방향으로 가상선(L)을 그리고, 이 직선과 교차시켜 복수 개의 슬릿(3B)을 배치하여 슬릿군(3BL)으로 한 것이다. 또한, 기체투과성 필름(1C)은 복수 개의 산형 슬릿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가상선(L)상에 배치하여 슬릿군(3CL)으로 한 것이다. 더욱이 또, 기체투과성 필름(1D)은 복수 개의 만곡 슬릿(3D)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가상선(L)상에 배치하여 슬릿군(3DL)으로 한 것이다. 이들 가상선(L)은 직선, 꺾은선 및 곡선 등으로 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6,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 3에 관한 기체투과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도 6은 슬릿을 마련한 필름 표리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다른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슬릿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6의 기체투과성 필름을 제조하는 제조장치의 개략도이다.
기체투과성 필름(10)은 슬릿(S)을 마련한 필름(11)의 슬릿의 팽출 측에 다른 필름을 접착제로 접합한 것이다. 슬릿(S)은 슬릿(3)과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위쪽의 개구홈(11a)으로부터 저부를 향하여 두께가 서서히 박육으로 산 모양으로 부풀게 하여, 저부를 타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팽출시켜, 게다가, 이 저부(11c)가 가장 얇게 되도록 하며, 단면 형상이 대략 'U'자 모양 혹은 'V'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착하는 필름의 조합의 예로서, 필름(11)에는 PE, 필름(13)에는 PA, PET를 이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가스 베어리어성이 높은 PA, PET에 양호한 씰 기능을 가지는 PE를 접착함으로써, 높은 가스 베어리어성과 씰성을 겸비하는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기체투과성 필름(10)의 바닥 두께는 필름(11)의 슬릿(S)의 바닥 두께(2 ~ 70㎛)에 필름(13)의 두께(15 ~ 100㎛) 및 접착층의 두께를 더한 두께로 되어 있다. 기체투과성 필름(10)은 슬릿(S)을 마련한 필름(11)의 슬릿의 팽출 측에 다른 필름(13)을 접착제(12)로 접합하여 형성된다. 이 기체투과성 필름(10)의 제조장치(9A)는 제조장치(4)에 필름접합장치(8)를 부가한 것으로 되어 있다(도 7의 (A) 참조).
이 기체투과성 필름(10)은 전자렌지 가열용 용기에 바람직한 것이 된다. 기체투과성 필름(10)을 이용한 전자렌지 가열용 용기를 전자렌지로 가열하면, 내용물로부터 수증기가 발생하여 용기 내압이 상승하고, 필름(11)의 슬릿(S)으로부터 수증기가 투과한다. 이 때, 슬릿(S)은 다른 필름(13)으로 라미네이트되어 있기 때문에, 슬릿(S)으로부터 투과한 수증기가 필름(11)과 필름(13)의 사이의 접착제(12)를 벗겨 이 틈새에 모인다. 이 수증기는 필름(13)이 찢어지던가, 혹은 더욱 필름(11과 13)의 틈새를 통과하여 용기의 단부에 마련된 씰부로부터 투과함으로써 외부로 방출된다. 이것에 의해, 전자렌지 가열용 용기가 파열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기체투과성 필름(10A)은 슬릿(S)을 마련한 필름(14)의 슬릿의 오목 측에 다른 필름을 접착제로 접합한 것이다. 이 슬릿(S)은 슬릿(3)과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슬릿(S)을 마련한 필름(14)의 슬릿의 오목 측에 다른 필름(16)을 접착제(15)로 접합한다. 이 기체투과성 필름(10A)의 바닥 두께는, 기체투과성 필름(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필름(14)의 슬릿(S)의 바닥 두께(2 ~ 70㎛)에 필름(16)의 두께(15 ~ 100㎛) 및 접착제(15)의 두께를 더한 두께로 되어 있다. 또, 기체투과성 필름(10A)의 제조장치(9B)는 제조장치(4)에 필름접합장치(8)를 부가한 것으로 되어 있다(도 7의 (B) 참조).
이 기체투과성 필름(10A)도 이와 같이 전자렌지 가열용 용기에 바람직한 것이 된다. 이 기체투과성 필름(10A)을 이용한 전자렌지 가열용 용기를 전자렌지로 가열하면, 내용물로부터 수증기가 발생하여 용기가 팽창하고, 내압에 의해 필름(14)으로부터 수증기가 투과, 혹은 필름(14)이 찢어져 수증기가 방출된다. 이 때, 필름(14)은 다른 필름(16)으로 라미네이트되어 있지만, 필름(16)에는 슬릿(S)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수증기는 슬릿(S)의 공간(14a)에 모이고, 또한 내압이 높아지면 슬릿(S)이 브레이크함으로써 수증기가 방출된다. 이것에 의해, 전자렌지 가열용 용기가 파열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들 기체투과성 필름(1, 1A ~ 1D, 10, 10A)은 포장 용기(포장봉투)나 용기의 개구를 덮는 커버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8 ~ 도 12를 참조하여, 몇 개의 포장봉투, 커버의 예를 설명한다.
도 8, 도 9의 포장봉투(17)는 기체투과성 필름(1)을 이용한 것이다. 이 포장봉투(17)는, 우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투과성 필름(1)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고, 절곡하여, 일단이 봉투 입구가 되도록 하여 3방향을 열씰한다. 그 다음으로, 이 포장봉투(17) 내에 식품 등을 채워 봉투 입구를 열씰에 의해 봉쇄한다. 도 9의 (A)는 봉투 내에 식품 등을 채워 봉투 입구를 봉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포장봉투(17)는 슬릿군(3L)의 양단에 위치하는 슬릿(3)이 씰부(18)로 씰됨과 아울러, 이 씰부(18)의 근방에 슬릿(3)이 위치한 것이 된다.
이 포장봉투(17)는 청과물, 과자 등 여러 가지 물품을 채우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냉동식품 등을 채워 전자렌지 가열용 봉투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전자렌지용 봉투로서 이용하면, 이 포장봉투(17)가 전자렌지로 가열되면, 식품 등에서 수증기가 발생하고, 봉투 내의 내압이 상승하여, 슬릿군(3L)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되지만, 증기량이 많아지면, 슬릿군(3L)을 투과하는 투과량을 넘어 내압이 상승하고, 씰부(18) 근방의 슬릿(3)이 씰부와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으로부터 브레이크하여, 이 부분으로부터 대량의 증기를 방출시킨다(도 9의 (B) 참조). 예를 들면, 슬릿(3) 사이의 간격(L1)을 2.2㎜로 하면, 씰부(18) 근방의 슬릿(3)의 간격(L2)은 0 ~ 2.2㎜의 범위로 좁아진다. 이 간격(L2)에 의해, 이 부분의 강도가 약해져 브레이크하기 쉬워져, 포장봉투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의 포장봉투(17A)는 기체투과성 필름(1B)(도 5 참조)을 이용한 것이다.
이와 같은 형상의 슬릿(3B)을 마련함으로써, 슬릿(3B)은 반드시 포장봉투의 씰부(18)와의 경계선에 걸쳐 형성되게 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전자렌지로 사용할 경우에, 발생한 수증기에 의해 브레이크를 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이 슬릿이 형성된 부분을 확실히 브레이크시킬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를 고려하여 식품을 포장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같이 이 부분을 씰부(18) 근방의 슬릿(3B)이 씰부와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이 부분으로부터 브레이크하여, 이 부분으로부터 대량의 증기를 방출시킨다(도 10의 (B) 참조). 또한, 도 10의 (B)는 도 10의 (A)의 XB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 11의 포장봉투(17B)는 기체투과성 필름(1B)(도 5 참조)을 이용한 것이다.
씰부(18) 근방의 슬릿(3C)이 씰부(18)와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이 부분으로부터 브레이크하여, 이 부분으로부터 대량의 증기를 방출시킨다(도 11의 (B) 참조). 또한, 도 11의 (B)는 도 10의 (A)의 XIB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또, 이중 포장용의 용기(봉투)는 채우는 물품에 따라서, 기체투과성 필름의 개구가 내측 또는 외측, 저부가 외측 또는 내측이 되도록 하여 포장봉투를 작성하여 사용한다.
도 12는 용기의 개구를 기체투과성 필름으로 덮어 밀봉한 것이다. 용기(19)는 위쪽에 개구(19b)를 가지는 바닥이 있는 용기 본체(19a)의 개구(19b)를 기체투과성 필름(1)의 씰부(18)로 씰한 것이다. 이 용기는 김치 등 발효식품에 바람직한 것이 된다. 이 김치 포장에 이용하는 기체투과성 필름(1)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두께 12㎛의 PET 용기에 대해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PE를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적층하고, 이 필름에 슬릿군(3L)을 용기 내측이 되는 면으로부터 가압함으로써 형성하고 있다. 슬릿군(3L)의 저부의 최저 두께는 2㎛ 정도로 되어 있다. 이 기체투과성 필름(1)을 PET로 이루어지는 용기 본체(19a)의 개구(19b)를 열용착으로 씰함으로써, 발효식품인 김치로부터 발생하는 탄산 가스를, 슬릿군(3L)을 통해서 적절하게 투과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체투과성 필름에 의하면, 오목부의 저부를 필름기재의 두께로부터 대략 극한(예를 들면 2.0㎛ 정도)까지 박육화가 가능하게 되고, 이 박육화에 의해 기체투과도의 범위가 확대되어, 넓은 분야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포장재로서 유용한 것이 된다. 즉, 채소, 발효식품 등의 포장재 및 발효식품용 및 전자렌지 가열용 등의 용기에 사용하여 유용한 것이 된다. 또, 기체투과는 일방향으로부터 양호하게 되고, 역방향으로부터 어려워지므로, MA포장, 이중 포장 등에도 효과적인 것이 된다.
[실시형태 4]
도 13 ~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포장봉투를 설명한다. 또한,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포장봉투의 배면도, 도 14의 (A), 도 14의 (B)는 도 13의 XIVA-XIV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15는 포장봉투의 개봉을 설명하는 배면도, 도 16은 도 13의 포장봉투의 부분을 나타내고, 도 16의 (A)는 도 13의 XVIA 부분의 확대도, 도 16의 (B)는 도 15의 XVIB 부분의 확대도, 도 17의 (A)는 포장봉투를 개봉한 상태의 배면도, 도 17의 (B)는 포장봉투를 개봉하여 제거된 상태의 포장봉투의 일부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포장봉투(101)는, 도 13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길이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장변 및 이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단변을 가지는 띠모양 필름시트를 이용하고, 이 띠모양 필름시트를 길이방향의 도중에 서로 양 단변이 접근하도록 절곡하며, 양 단변부를 합장시켜 배면 측 씰하여 통모양체를 형성하고, 이 통모양체의 아래쪽 단변부의 개구를 끝단 씰하고, 위쪽 단변부를 개구시킨 봉투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3의 포장봉투는 봉투체 내에 피포장물이 채워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되어 있다. 이하, 띠모양 필름시트 및 이 필름시트로 제작한 포장봉투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필름시트는 폴리프로필렌(PP),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1축/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OPP), 폴리에틸렌(PE)(저밀도/중/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PA) 등의 단층, 혹은 다층 구조의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한다. 그 두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15 ~ 1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형태 4의 포장봉투는 단층 필름으로 봉투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봉투(101)는, 도 13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띠모양(직사각형 모양)의 저부(101a)와, 이 저부의 양 단변으로부터 내측으로 서로 접어 겹친 한 쌍의 접어겸침편(101b, 101c)과, 각각의 접어겸침편(101b, 101c)의 양 단변부(101b', 101c')를 서로 합장시켜 접함시킨 배면 측 씰부(102)와, 이 배면 측 씰로 형성된 통모양체의 아래쪽 단변부의 개구를 접합한 끝단 씰부(103a)를 가지고, 통모양체의 위쪽 단변부가 개구(104a)를 가지고 내부에 소정 크기의 공간(S)이 형성된 봉투체로 되어 있다. 위쪽의 개구(104a)는 내부로 피포장물이 채워진 후에 씰되어 끝단 씰부(103b)가 형성된다(도 15 참조). 또, 피포장물이 채워진 봉투체는 저부(101a)의 외표면이 표면이 되고, 이 저부의 외표면에 피포장물의 설명 등이 인쇄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포장봉투와 봉투체는 동일한 것으로 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봉투체의 접어겸칩부(101ab, 101ac)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곡 또는 거싯(gusset)으로 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접어겸칩부(101ab, 101ac)를 평탄하게 하여 접합해도 된다. 또, 한 쌍의 접어겸침편(101b, 101c)은 저부와 별체의 시트재로 하여, 주위를 접합해도 된다. 이 접합은 필름재에 따라서 다르지만, 히트 실(열용착)한다. 이 히트 실은 고주파 혹은 초음파 씰장치 등을 이용하여 행한다.
배면 측 씰부(102)는 접어겸침편(101b, 101c)의 양 단변부(101b', 101c')를 직선 모양으로 합장 접합하여, 봉투체의 중앙 또는 이 중앙부에서 양 접어겸칩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또, 이 배면 측 씰부(102)는 상하단 부근에 당겨 찢음부(10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당겨 찢음부는 절개홈, 하프-컷 등으로 형성하고, 봉투체의 개봉은 이 당겨 찢음부로부터의 당겨 찢음으로 개봉한다. 하프-컷으로 하면, 후술하는 하프-컷-라인과 동일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형성이 용이하게 된다.
배면 측 씰부(102)를 단부 씰부(103)에 비해 낮은 씰 강도로 열접착하면, 전자렌지용 식품의 포장에 바람직한 것이 된다. 즉, 배면 측 씰부가 단부 씰부에 비해 박리가 용이하게 되므로, 전자렌지로 식품을 가열했을 때에, 봉투 내에서 발생한 증기의 압력이 일정 이상이 되면, 배면 측 씰부가 박리하여 증기가 방출되어 봉투체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접어겸침편(101b, 101c)은 그들의 양단 부근, 즉, 접어겸칩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면 측 씰부(102)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여 봉투체면을 당겨 찢어 개봉하는 하프-컷-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개봉 컷-라인(105a, 105b)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 이들 접어겸침편(101b, 101c)에는 개봉 컷-라인(105a, 105b)으로부터 배면 측 씰부(102)의 당겨 찢음부(1021)를 향하여 동일한 하프-컷-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유도 컷-라인(106a, 106b)이 각각 연장하여 마련되어 있다. 유도 컷-라인(106a, 106b)은 배면 측 씰부(102)에 접근 또는 배면 측 씰부까지 연장하여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봉 컷-라인(105a, 105b) 및 유도 컷-라인(106a, 106b)과, 양 컷-라인을 연결한 부분에 프레임 등을 인쇄해 두면, 이 프레임을 개봉구로서 개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정한 프레임 라인을 따라서 개봉할 수 있어, 개봉 후에는 모양새가 좋은 개봉구 형상이 된 받침접시로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개봉 컷-라인(105a, 105b)과 유도 컷-라인(106a, 106b)은, 도 1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도 컷-라인(106a)이 개봉 컷-라인(105a)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하여 마련되어, 양 컷-라인이 직접 접속되어 그 접속부(J)는 대략 'T'자 모양으로 접속되어 있다. 양 컷-라인이 'T'자 접속되는 것에 의해서, 봉투체의 개봉 시에, 당겨 찢음이 유도 컷-라인으로부터 개봉 컷-라인으로 부드럽게 가이드되어, 종래기술과 같이 개봉 컷-라인을 넘어 당겨 찢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봉투체를 일축연신필름으로 형성하면, 유도 컷-라인에 따른 당겨 찢음이 용이하게 된다. 개봉 컷-라인 및 유도 컷-라인은 시트의 두께방향의 일부분만을 커팅한 미관통홈(하프-컷)으로 형성한다. 또한, 다층 구조 필름에서는 기재층만을 관통 혹은 기재층 및 중간층을 관통하여 형성한다.
이 포장봉투(101)의 개봉은, 우선, 봉투체를 배면 측 씰부(102)의 당겨 찢음부(1021)의 절개눈으로부터 당겨 찢으면, 당겨 찢음은 유도 컷-라인(106a, 106b)에 따라서 진행하여, 개봉 컷-라인(105a, 105b)에 도달한다.(도 15 참조). 이 당겨 찢음이 개봉 컷-라인(105a, 105b)에 도달하면, 유도 컷-라인(106a, 106b)과 개봉 컷-라인(105a, 105b)이 접속점(J)(도 16의 (A)참조)에서 접속되어 있으므로, 당겨 찢음이 접속점(J)을 거쳐 개봉 컷-라인(105a, 105b)에 전해지고, 일부분(101bc)이 봉투체로부터 벗겨져, 개봉구(104b)가 형성된다(도 16의 (B), 도 17 참조). 따라서, 이 포장봉투에 의하면, 미리 정한 대로, 유도 컷-라인 및 개봉 컷-라인을 따라서 개봉할 수 있으므로, 개봉시에 피포장물을 외부로 비산시키는 것이 없고, 개봉 후에는, 모양새가 좋은 개봉구 형상을 가지는 받침접시로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 개봉구의 개구 프레임을 인쇄해 두는 것에 의해, 그 프레임에 따라서, 유도 컷-라인 및 개봉 컷-라인을 따라서 개봉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5]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관한 포장봉투를 설명한다. 또한,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관한 포장봉투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관한 포장봉투(101A)는 포장봉투(101)의 배면 측 씰부(102)에 복수 개의 당겨 찢음부(1021 ~ 102n)를 마련함과 아울러, 이들 당겨 찢음부에 대응시켜 복수 개의 유도 컷-라인(106a1 ~ 106an, 106b1 ~ 106bn)을 좌우에 형성한 것이다. 복수 개의 유도 컷-라인은 대략 등간격으로 하여 대략 평행하게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 포장봉투(101A)에 의하면, 임의의 당겨 찢음부로부터 봉투체를 소망의 크기의 개구로 하여 개봉할 수 있다.
[실시형태 6]
도 19,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관한 포장봉투를 설명한다. 또한,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관한 포장봉투의 배면도, 도 20은 도 19의 포장봉투의 일부를 나타내고, 도 20의 (A)는 확대 배면도, 도 20의 (B)는 도 20의 (A)의 XXB 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관한 포장봉투(101B)는, 도 19, 도 2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봉투(101A)의 좌우의 유도 컷-라인을 길고 짧은 제1 유도 컷-라인(105a1, 105b1)과, 긴 제2 유도 컷-라인(106a1' ~ 106an', 106b1' ~ 106bn')에 소정 거리(d2) 떨어져 분단함과 아울러, 양 컷-라인의 간격(d1, d3)을 다르게 하여 형성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들 거리 및 간격은, 예를 들면, 거리 d2는 0 ~ 10㎜, d1는 2 ~ 4㎜, d3는 3 ~ 10㎜이다. 제1 유도 컷-라인(105a1, 105b1)은 좌우의 개봉 컷-라인(105a, 105b)이 배면 측 씰부(102)를 향하여 대략 직각으로 소정 길이 연장하여 마련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들 제1 유도 컷-라인(105a1, 105b1)은 그 길이를 길고 짧게 하여, 각 개봉 컷-라인(105a, 105b)과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된다.
제2 유도 컷-라인(106a1' ~ 106an', 106b1' ~ 106bn')은 제1 유도 컷-라인(105a1, 105b1)과 같거나, 다른 얕은 홈의 컷-라인으로 형성해도 된다. 즉, 봉투체를 일축연신필름으로 형성하면, 제2 유도 컷-라인에 따른 당겨 찢음이 용이하게 되므로, 얕은 홈의 하프-컷이라도 괜찮게 된다. 제1 유도 컷-라인(105a1, 105b1) 및 제2 유도 컷-라인(106a1' ~ 106an', 106b1' ~ 106bn')은 봉투 제조 전의 필름에 형성된다.
이 포장봉투(101B)는 포장봉투(101A)와 마찬가지로 배면 측 씰부(102)의 임의의 당겨 찢음부로부터 당겨 찢어진다. 임의의 제2 유도 컷-라인,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인접하는 제1 유도 컷-라인(105a1)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유도 컷-라인(106a3')에 유도되어 당겨 찢어지면, 이 당겨 찢음이 제1 유도 컷-라인(105a1) 측에 도달한다. 이 당겨 찢음에 의해, 제2 유도 컷-라인(106a3')은 그 선단부(a)로부터 도 20의 (B)에 나타내는 상하 어느 한쪽의 제1 유도 컷-라인(105a1)을 향하여 당겨 찢어진다. 즉, 선단부(a)로부터 b, c방향으로 당겨 찢어진다. 이들 당겨 찢음 방향(b, c)은 당겨 찢음부로부터 제2 유도 컷-라인에 가해지는 당겨 찢음 방향 및 힘에 의해서 정해지며, 어느 방향으로 당겨 찢어져도, 제1 유도 컷-라인(105a1)으로 유도된 후에 개봉 컷-라인(105a)을 따라서 당겨 찢어져 개봉된다.
이 당겨 찢을 때에, d방향으로의 당겨 찢음, 즉 개봉 컷-라인(105a)에 직접 당겨 찢어지지 않고, 제2 유도 컷-라인(106a3')으로부터의 당겨 찢음은 제1 유도 컷-라인(105a1)으로 유도되게 된다. 이 때문에, 제1 유도 컷-라인(105a1)의 길이(L)를 인접하는 제1 유도 컷-라인(105a1) 사이의 간격(d1)과 같거나, 이 간격(d1)보다 약간 길게 되어 있다.
이 포장봉투(101B)에 의하면, 포장봉투(101A)와 마찬가지로 임의의 당겨 찢음부로부터 봉투체를 소망의 크기의 개구로 확실히 개봉할 수 있고, 또, 유도 컷-라인 및 개봉 컷-라인은 봉투 제조 전의 필름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그들 형성이 용이하게 된다.
[실시형태 7]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포장봉투를 설명한다. 또한,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포장봉투를 나타내고, 도 21의 (A)는 배면도, 도 21의 (B)는 도 21의 (A)의 XXIB-XXIB선의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7에 관한 포장봉투(101C)는 복수 매의 필름을 적층한 복합 필름시트를 이용하여 제작한 것이다. 이 포장봉투(101C)는 소정 길이의 띠모양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107a)의 일면상에 중간층(107b)을 통하여, 이 기재층의 양단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외측 시트(107c)를 적층한 복합 필름을 이용하여, 이 복합 필름을 외측 시트 부분으로부터 절곡시켜 기재층(107a)의 양단 가장자리부(107a')를 합장 접합한 배면 측 씰부(102) 및 이 배면 측 씰부와 직교하는 단변부에 형성되는 개구를 끝단 씰부(103a, 103b)에서 씰한 봉투체로 되어 있다. 이 봉투체는 배면 측 씰부(102)가 봉투체의 중앙부 또는 이 중앙부에서 양단 어느 하나의 단부 근처에 위치하고, 이 배면 측 씰부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 부근에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당겨 찢음부(1021)가 형성되어, 이들 당겨 찢음부로부터 유도 컷-라인(106a, 106b)이 외측 시트 단변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기재층은, 레이온(rayon), PET, 나일론, OP, 중간층은 PP, PE, 외측 시트(107c)는 종이, 발포재 등을 사용한다. 외측 시트 단변에는 개봉 컷-라인(105a, 105b)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 시트(107c)에 이용되는 종이, 발포재가 두꺼운 경우는, 개봉 컷-라인은 생략해도 된다. 이 경우는, 외측 시트의 단 변이 개봉 컷-라인(105a, 105b)과 마찬가지로 당겨 찢음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포장봉투도 상기의 포장봉투(101)와 동일한 방법으로 개봉할 수 있어,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실시형태 8]
도 2 ~ 도 4, 도 14 ~ 도 16 및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관한 포장봉투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8에 관한 포장봉투(101D)는 실시형태 4 ~ 7의 포장봉투(101 ~ 101C)와 개봉 컷-라인 및 유도 컷-라인이 다를 뿐으로, 다른 구성은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이 포장봉투(101D)의 전체 구성의 도시를 생략하고, 그 설명은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4 ~ 7의 포장봉투(101, 101A, 101B, 101C)의 설명을 원용하며, 다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2, 도 22를 참조하여, 필름시트에 형성하는 개봉 컷-라인 및 유도 컷-라인을 설명한다. 또한, 도 22는 필름기재를 나타내고, 도 22의 (A)는 평면도, 도 22의 (B)는 도 22의 (A)의 XXIIB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 포장봉투는 개봉 컷-라인 및 유도 컷-라인이, 포장봉투(101, 101A, 101B)와 마찬가지로, 개봉을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개봉하는 당겨 찢음 개봉 작용과 함께, 기체를 투과시키는 기체투과작용을 겸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들 개봉 컷-라인 및 유도 컷-라인은 복수 개의 길고 짧은 슬릿(109)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한 슬릿군(109L)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개의 슬릿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띠모양의 필름시트(108)(이하, 필름기재(108)라고도 함)의 길이방향으로,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향해서 소정 깊이로 오목하게 해서 부풀리게 하여 저부가 타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팽출한 오목부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오목부는 위쪽의 개구부로부터 저부를 향하여 두께가 서서히 박육으로 하여 저부가 가장 얇게 형성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필름기재(108)는 전술의 필름시트이거나, 혹은 PP/PE를 함께 압출한 필름시트 등을 사용한다. 그 두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15 ~ 1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그 두께가 15㎛보다 얇으면 슬릿의 형성이 어렵고, 또한,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없는 것이 있다. 또, 100㎛ 이상을 넘으면 가공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필름기재의 두께는 이들 범위 내에서 필름 수지의 종류, 용도 등에 의해 적절히 선택된다.
또한, 슬릿의 형상, 필름기재의 제조방법 및 슬릿의 기체투과작용은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것과 공통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 8의 포장봉투에 의하면, 오목부의 저부를 필름기재의 두께로부터 대략 극한(예를 들면 2.0㎛ 정도)까지 박육화가 가능하게 되고, 이 박육화에 의해 기체투과도의 범위가 확대되어, 넓은 분야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채소, 발효식품 등의 포장재 및 발효식품용 및 전자렌지 가열용 등의 용기에 사용하여 유용한 것이 된다. 또, 일방향으로부터의 기체의 투과성이 좋고 역방향으로부터의 기체투과가 하기 어려워지므로, MA포장, 이중 포장 등에도 효과적인 것이 된다.
[실시형태 9]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관한 포장봉투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9에 관한 포장봉투는 실시형태 8의 포장봉투의 필름시트를 적층한 구성이 다를 뿐으로, 다른 구성은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이 포장봉투의 전체 구성의 도시를 생략하고, 그 설명은 상기 실시형태 8의 포장봉투의 설명을 원용하여 다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 23은 실시형태 9의 포장봉투(101E)에 사용하는 필름시트를 나타내고, 도 23의 (A)는 포장봉투(101E)용 필름시트의 일부 단면, 도 23의 (B)는 포장봉투(101E)의 변형예에 관한 필름시트의 일부 단면이다. 실시형태 6의 포장봉투(101D)는 필름시트가 2층 구조의 것으로 제작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포장봉투(101E)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필름시트(114)는 슬릿(109)을 마련한 필름기재(108)의 슬릿의 팽출 측에 다른 필름(116)을 접착제(115)로 접합한 것이다. 슬릿은 위쪽의 개구홈(109a)으로부터 저부를 향하여 두께가 서서히 박육으로 산 모양으로 부풀리게 하여, 저부를 타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팽출시켜, 게다가, 이 저부(109c)가 가장 얇게 되도록 하고, 단면 형상이 대략 'U'자 모양 혹은 'V'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슬릿은 슬릿(109)과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슬릿(109)을 마련한 필름기재(108)의 슬릿의 팽출 측에 다른 필름(116)을 접착제(115)로 접합한다. 접착하는 필름의 조합예로서, 필름기재(108)에 PE, 필름(116)에 PA, PAT를 사용한다. 가스 베어리어성이 높은 PA, PET에 양호한 씰 기능을 가지는 PE를 접착함으로써, 높은 가스 베어리어성과 씰성을 겸비한 포장봉투가 된다. 제조장치는 제조장치(110)에 필름접합장치를 부가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포장봉투는 전자렌지 가열용으로 바람직한 것이 된다. 즉, 이 포장봉투에 식품을 채워 개구를 씰하고, 전자렌지로 가열하면, 식품으로부터 증기가 발생하여 봉투 내의 내압이 상승하여, 슬릿으로부터 수증기가 투과한다. 이 때, 슬릿으로부터 투과한 수증기가 필름(108)과 필름(116)의 사이의 접착제(115)를 벗겨 이 틈새에 모여, 필름(116)이 찢어지거나, 양 필름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이것에 의해, 포장봉투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다.
필름시트(114A)는 슬릿(109)을 마련한 필름(108)의 슬릿의 오목 측에 다른 필름을 접착제로 접합한 것이다. 슬릿(109)을 마련한 필름기재(108)의 슬릿의 오목 측에 다른 필름(119)을 접착제(118)로 접합한다. 이 포장봉투도 전자렌지 가열용으로 바람직한 것이 된다. 이것들 실시형태의 포장봉투는 하프-컷-라인에 기체투과성의 슬릿을 마련했지만, 다른 개소, 예를 들면 봉투체의 표리면의 한쪽 또는 쌍방에 이와 같은 슬릿을 마련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기체투과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종다양한 것을 포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형태 10]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에 관한 전자렌지용 포장봉투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에 관한 전자렌지용 포장봉투를 나타내고, 도 24의 (A)는 정면도, 도 24의 (B)는 도 24의 (A)의 XXIVB-XXIVB선의 단면도, 도 24의 (C)는 도 24의 (A)의 XXIVC-XXIVC선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에 관한 전자렌지용 포장봉투(이하, "포장봉투"라고 함)(210)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가늘고 긴 직사각형 모양의 한 장의 플라스틱 필름을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 되접어 겹쳐 맞추어 폭방향의 양 단변을 가지런히 하고, 그들 양 측변부를 각각 접합(열용착 씰)하여, 나머지의 변을 개구시켜 봉투 입구로 한 바닥 있는 봉투체로 이루어지고, 이 봉투체는 개구부 근방에 봉투 입구로부터 저부를 향하여, 순서대로, 봉투 입구 씰부(211c), 기체방출부(212L) 및 액체누설 블록부(214)를 각각 마련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이 포장봉투(210)는 소정 폭길이 및 길이를 가지고 비교적 큰 면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저부(210a)와, 이 저부의 길이방향의 양바닥 측 가장자리로부터 위쪽으로 소정 길이 연장하여 마련한 한 쌍의 대향하는 필름과, 각각을 표리로 한 표리필름(210b, 210c)과, 이들 표리필름(210b, 210c)의 양 측변 가장자리부를 소정의 폭길이(W1)로 열용착 씰한 측변 히트-씰부(211a, 211b)와, 상단을 개구시켜 봉투 입구로 하여 피포장물을 수납한 후에 폭길이(W2)로 열용착 씰하는 봉투 입구 씰부(211c)와, 이 봉투 입구 씰부(211c)에 인접하여 내압이 소정 레벨 이상으로 상승했을 때에 상승한 내압을 밖으로 방출하는 기체방출부(212L)와, 또한 기체방출부에 인접하여 피포장물에 포함된 액분의 누출을 저지하는 액체누설 블록부(214)를 가지고, 내부에 피포장물이 수납되는 크기의 공간(S)이 형성되는 봉투체로 이루어지며, 플라스틱 필름으로 제작되어 있다.
이 포장봉투(210)는 폭길이(W) 및 길이(L)의 직사각형 모양의 봉투체로 되어 있다. 그리고, 기체방출부(212L)는 복수 개의 슬릿(212)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슬릿(212)이 봉투 입구 씰부(211c)와 액체누설 블록부(214)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액체누설 블록부(214)는 봉투 입구 씰부(211c)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하고 있다. 이 위치에 액체누설 블록부(214)가 있으면, 봉투체를 자립시킨 상태에서 액체누설 블록부(214)가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봉투체의 내부 용적을 감소시키지 않고, 또한, 액즙에 적시어지기 어려워져, 봉투체 내의 내압 상승에 의해, 신속히 박리된다. 물론, 봉투체를 가로로 넘어뜨려도 액체누설하는 일이 없다. 또한, 봉투체는 한 장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봉투를 제작하고 있지만, 다른 복수 매의 필름을 이용하여 제작해도 된다. 또, 측변 히트-씰부(211a, 211b) 중 적어도 한쪽의 측변에 절개부(노치)(213)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플라스틱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아미드(PA), 표면 측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이면 측을 폴리에틸렌(PE)으로 한 적층필름, 표면 측을 폴리아미드(PA) 이면 측을 폴리에틸렌(PE)으로 한 적층필름 및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과의 적층필름 등을 사용한다. 이 폴리프로필렌은 연신한 것(OPP), 무연신인 것(CPP)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두께는 총두께로 15 ~ 100㎛이다.
저부(210a)는 내측을 접어 겹쳐 내부 공간(S) 내에 피포장물이 수납되어 있을 때, 이 접어 겸침 부분이 확대되는 형상, 예를 들면 가싯봉투(접어 겸침 저부(210a')로 하고, 이 봉투 저부에서 자립할 수 있는, 이른바 스탠딩 파우치로 되어 있다.
표리필름(210b, 210c)은 또 플라스틱 필름의 표리면(210b1, 210c1과 210b2, 210c2)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필름(210b, 210c)을 표리필름으로 했지만, 포장봉투의 사용 시에는, 어느 것을 표리로 해도 된다. 또, 표리필름(210b, 210c)은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는 어느 하나가 제1 또는 제2 플라스틱 필름이라고 표현되어 있다.
포장봉투(210)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 측 가장자리 및 봉투 입구를 소정의 폭길이(W1)로 열용착에 의해 접합하여 측변 히트-씰부(211a, 211b) 및 봉투 입구 씰부(211c)로 하지만, 이들 측변 히트-씰부(211a, 211b) 및 봉투 입구 씰부(211c)의 접합 강도, 이른바 씰 강도는 액체누설 블록부(214)보다도 높은 씰 강도로 열용착 씰한다. 이 열용착 씰 조건은 그 용착온도를 비교적 높은, 예를 들면 120℃, 그 시간을 예를 들면 몇 초간 및 소정의 가압력을 걸어 행한다. 이들 조건으로 측변 히트-씰부(211a, 211b) 및 봉투 입구 씰부(211c)를 열용착 씰하면, 접합이 견고하게 되어, 피포장물이 무거운 것이라도, 혹은 운반 등의 충격을 받아도, 이들 씰부로부터 박리하지 않는다. 그 결과, 측변 히트-씰부(211a, 211b) 및 봉투 입구 씰부(211c)가 박리하여 내용물이 튀어나가지 않는다.
도 24 ~ 도 26을 참조하여, 액체누설 블록부(214)를 설명한다. 또한, 도 25는 도 24의 포장봉투에서의 액체누설 블록 부분을 나타내고, 도 25의 (A)는 액체누설 블록부의 정면도, 도 25의 (B)는 액체누설 블록부의 접합도의 그래프, 도 25의 (C) ~ 도 25의 (G)는 도 25의 (A)의 액체누설 블록부의 변형예의 정면도, 도 26은 도 24의 포장봉투의 액체누설 블록부의 작용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액체누설 블록부(214)는, 도 24의 (A), 도 2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폭길이, 예를 들면 수 밀리미터로부터 수십 밀리미터 정도의 띠모양으로 하여 양 측변 히트-씰부(211a, 211b) 사이를 연결한 열용착 씰띠로 형성한다. 이 열용착 씰띠의 씰 강도는 상기 한 바와 같이 측변 히트-씰부(211a, 211b) 및 봉투 입구 씰부(211c)보다 약한 열용착 씰로 한다. 이 약열용착 씰띠는 그 용착온도를 측변 히트-씰부(211a, 211b) 및 봉투 입구 씰부(211c)의 용착온도 120℃보다 낮고, 예를 들면 100 ~ 110℃, 시간을 예를 들면 0.3 ~ 0.5초로 소정의 압력을 가해 행한다. 이 열용착조건은 측변 히트-씰부(211a, 211b) 및 봉투 입구 씰부(211c)의 용착온도보다 낮고 또한 시간도 짧게 되어 있다. 이 씰 방법에 의하면, 필름 소재에 특별한 것, 예를 들면 역박리층을 마련한 적층필름 등을 사용하지 않고, 용착온도 혹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가압력을 조절함으로써, 간단하게 소정의 기능을 가지는 씰이 가능하게 된다.
이 액체누설 블록부(214)의 씰 강도를 측변 히트-씰부(211a, 211b) 및 봉투 입구 씰부(211c)에 비해 약하게 씰하면, 피포장물의 봉투 채움 상태에서는 액체누설이 저지되는 한편으로, 내압이 소정 레벨을 넘으면, 간단하게 박리하여, 소정 레벨을 넘은 기체가 기체방출부로부터 방출되므로, 파괴나 파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액체누설 블록부(214)를 구성하는 약열용착 씰띠는 전체의 씰 강도를 대략 균일하게 했지만, 부분적으로 씰 강도를 바꾸어도 된다. 예를 들면, 기체방출부(212L)에 가까운 쪽을 강하게 하고, 이 기체방출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약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씰 강도를 기체방출부(212L)에 가까운 측(b)이 강하고, 이 기체방출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약하고, 기체방출부로부터 가장 멀어진 측(a)이 가장 약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씰 강도를 바꾸면, 봉투체 내의 압력이 상승했을 때에, 이 상승에 수반하여 봉투체의 내부 측(a)으로부터 먼저 박리하기 시작하고, 그 박리 현상이 기체방출부(212L) 측(b)으로 부드럽게 파급 이행하여 박리된다. 그 결과, 운반, 보관시 등에서는 액체누설을 저지하며, 또한, 가열조리시에는 피포장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압이 소정 레벨을 넘으면, 보다 간단하게 박리하여, 이 내압이 기체방출부로부터 방출되므로, 파괴나 파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씰 강도의 조절은 상기의 열용착 씰 조건에서 걸리는 압력의 조절, 예를 들면, 기체방출부(212L) 측에 강한 가압력, 이 기체방출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이 가압력이 약해지는 형상의 열용착 씰 바를 이용하여 행한다. 이 열용착 씰 바는 그 가압면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시킨 것 혹은 계단 모양으로 한 것 등을 이용한다. 또한, 이 접합은 열용착 씰이 아니고, 다른 접합수단, 예를 들면 풀접착 등으로 하여도 된다.
도 26을 참조하여, 이 액체누설 블록부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 포장봉투(210)는, 비가열조리 전에는 도시하지 않은 피포장물로부터의 수증기의 발생이 거의 없고, 있어도 근소하므로, 액체누설 블록부(214)는 접합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도 26의 (A) 참조). 가열조리가 시작되어 피포장물로부터 수증기가 발생하면, 봉투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봉투체가 부풀어 오른다(도 26의 (B) 참조). 이 상태에서는, 봉투 내의 압력이 낮고, 액체누설 블록부(214)를 박리시키기에 이르지 않는다. 가열되어 봉투 내 압력이 소정 레벨을 넘으면 액체누설 블록부(214)의 열용착 개소가 박리하기 시작한다. 이 때, 액체누설 블록부(214)의 씰 강도를 도 25의 (B)와 같이, 기체방출부(212L)에 가까운 측(b)을 강하게 하고, 이 기체방출부(212L)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약하게 하여, 기체방출부로부터 가장 멀어진 측(a)을 가장 약하게 되어 있으면, 도 2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투체 내측, 즉, 기체방출부(212L)로부터 가장 멀어진 측(a)이 봉투 내 압력의 상승에 추종하여 재빠르게 박리하기 시작하여, 또한 봉투 내 압력의 상승에 수반하여, 이 박리 스피드가 가속되어 박리된다(도 26의 (D) 참조). 더욱이 또, 봉투 내 압력이 상승하면, 액체누설 블록부(214)의 열용착 개소가 완전하게 박리한다. 그 결과, 내부의 상승한 수증기(기체)는 기체방출부에서 밖으로 방출된다(도 26의 (E) 참조). 이 기체방출시에는, 봉투 입구 씰부가 견고하게 씰되어 있으므로, 이 씰부가 개구하지 않고, 압력 상승한 수증기만이 기체방출부로부터 분출된다.
액체누설 블록부(214)를 구성하는 약열용착 씰띠는 그 열용착패턴을 도 2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폭길이 전면(全面)을 열용착 씰한 열용착패턴으로 형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열용착패턴을 여러 가지 변경해도 좋다. 도 25의 (C) ~ 도 25의 (G)는 액체누설 블록부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5의 (C), 도 25의 (D) 및 도 25의 (F)의 액체누설 블록부(214A, 214B 및 214D)는 도 25의 (A)의 열용착패턴의 소정 개소에 소정 형상의 비용착 개소, 즉 슬릿 모양, 삼각형 모양 및 대략 'S'자 모양의 비용착 개소를 마련한 것이다. 이들 액체누설 블록부(214A, 214B 및 214D)에 의하면, 슬릿 모양, 삼각형 모양 및 대략 'S'자 모양의 비용착 개소가 통로가 되어 기체가 통과하기 쉬워진다. 즉, 이들 약열용착패턴을 가진 액체누설 블록부는 가열조리시에 봉투 내의 내압이 상승하면, 상승한 기체는, 우선, 최초로 상기 형상이 통로를 통과하여 기체방출부에 도달하고, 또한 내압이 상승하면, 이어서 통로 근방의 열용착부분이 박리되어, 승압된 기체가 기체방출부에 도달한다.
또한, 슬릿 모양, 삼각형 모양 및 대략 'S'자 모양의 착개소를 비용착에 대신하여, 비용착에 가까운 약한 씰로 하여도 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액체누설 블록부(214, 214A ~ 214E)를 약열용착패턴부(214, 214A ~ 214E)라는 하는 것이 있다. 또, 도 25의 (E), 도 25의 (F)의 약열용착패턴부(214C, 214E)는 반원형 절개 모양의 비열용착 개소 및 열용착부를 파상으로 한 것이다. 이들 액체누설 블록부(214A ~ 214E)의 열용착패턴에 도 2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씰 강도가 강약이 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들 약열용착패턴을 가진 액체누설 블록부에 의하면, 도 26의 작용을 보다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2 ~ 도 4, 도 24 및 도 27을 참조하여, 기체방출부(212L)를 설명한다. 또한, 도 27은 기체투과부를 나타내고, 도 24의 XXVIIA 부분의 확대도이다.
기체방출부(212L)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면에 일방향으로부터의 가스투과도가 높고 역방향으로부터의 가스투과도가 낮은 복수 개의 슬릿(212)으로 이루어지는 슬릿군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기체방출부(212L)를 슬릿군(212L)이라고도 한다. 이 슬릿군(212L)은 표리필름(210b, 210c)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필름에 형성하면 되므로, 이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측 필름(210b) 부분에 마련한 것으로 설명한다. 필름은 상기의 것을 사용하지만, 그 두께는, 슬릿 형성을 고려하여, 소정의 두께, 예를 들면 15 ~ 1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그 두께가 15㎛보다 얇으면 슬릿의 형성이 어렵고, 또한,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없는 것이 있다. 또, 100㎛ 이상을 넘으면 가공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필름 소재의 두께는 이들 범위 내에서 필름 수지의 종류, 용도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한다.
슬릿군(212L)은 필름 부분(210b)에 소정 길이의 슬릿(212)을 복수 개 대략 등간격 또는 비등간격으로 배치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슬릿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슬릿(212)은,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210b)의 폭방향으로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향해서 소정 깊이로 오목하게 해서 부풀리게 하여 저부가 타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팽출한 오목부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오목부는 위쪽의 개구부로부터 저부를 향하여 두께가 서서히 박육으로 하여 저부가 가장 얇게 형성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슬릿의 형상, 필름기재의 제조방법 및 슬릿의 기체투과작용은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것과 공통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포장봉투(210)는 봉투 입구의 근방에 기체방출부와 액체누설 블록부를 나누어 마련함으로써, 각 부에서 각각의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즉, 액체누설 블록부에서는 봉투체의 액체가 외부에 액체누설하는 것을 블록할 수 있고, 또한, 기체방출부에서는 봉투체 내의 압력이 낮을 때에 액체에 적시어지는 일 없고, 또 소정값 이상으로 상승했을 때에 이 상승한 내압을 밖으로 방출할 수 있다. 또, 이들 기체방출부 및 액체누설 블록부는 전자가 봉투 입구에 가까운 개소, 후자가 기체방출부의 뒤에서 봉투체 내측에 액체누설 블록부에 마련하고 있으므로, 기체방출부 및 액체누설 블록부를 각각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기체방출부의 형성이 용이하게 된다. 그 결과, 이 포장봉투는 운반이나 가열시에 봉투체의 파괴나 파열이 없어서 안전성이 뛰어나고, 유통, 보관시 등에도 외부에서 봉투 내로 세균류의 침입이 없어서 위생적으로 뛰어나며, 게다가 간단하고 또한 염가로 제작을 할 수 있어 생산성에도 뛰어나고, 또한 액즙 등의 누출이 없이 안심하고 사용을 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상기의 포장봉투(210)는 기체방출부와 액체누설 블록부를 인접시켜, 즉, 기체방출부(212L)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슬릿이 봉투 입구 씰부(211c)와 액체누설 블록부(214)에 걸쳐 형성했지만, 포장봉투(210A)와 같이, 봉투 입구를 봉지하는 개소와 액체누설 블록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L0)를 마련하여, 이 틈새에 상기 기체방출부가 마련되어도 된다(도 28 참조). 이 포장봉투(210A)에 의하면, 틈새(L0) 사이로 기체를 방출시킬 수 있다. 특히, 액체누설 블록부에 도 25에 나타낸 약용착패턴(214A, 214B, 214D)을 이용하면, 틈새(L0) 사이에서 부풀려서 기체가 방출되어, 그 방출이 용이하게 된다.
[실시형태 11]
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11에 관한 전자렌지용 포장봉투를 설명한다. 또한,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1에 관한 전자렌지용 포장봉투를 나타내고, 도 29의 (A)는 정면도, 도 29의 (B)는 도 29의 (A)의 XXIXB-XXIXB선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1에 관한 전자렌지용 포장봉투(210B)는 실시형태 10의 포장봉투(210, 210A)의 봉투체의 내부를 상하로 각각 소정 크기의 실이 형성되도록 구분 씰부로 나눈 것이다. 그래서, 양자에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포장봉투(210B)는 포장봉투(210, 210A)의 봉투체의 내부, 즉, 봉투체의 저부(210a)와 액체누설 블록부(214)와의 사이를 구분 씰부(219)로 나누어, 이 구분 씰부를 경계로 하여 위쪽에 위쪽 실(S1), 아래쪽에 아래쪽 실(S2)을 형성한 것이다. 상하실(S1, S2)의 크기(용적)는 각각의 실에 수납하는 피포장물의 종류, 크기 등에 의해서 결정한다. 예를 들면, 아래쪽 실(S2)에 식재를 넣고, 위쪽 실(S1)에 이 식재를 맛내기하는 조미료를 넣는 경우는, 식재의 종류 및 양과 이 식재에 필요한 조미료의 양을 감안하여 결정한다. 또, 구분 씰부(219)는 포장봉투(210, 210A)에서 이용한 액체누설 블록부(214)의 열용착패턴으로 접합한다. 이들 열용착패턴 선택은 위쪽 실(S1)에 액체인 것을 넣는 경우는, 통로가 없는 열용착패턴(214, 214C, 214E)(도 25의 (A), 도 25의 (E), 도 25의 (G)참조)을 선택하고, 또, 고체물을 넣는 경우는, 통로를 가지는 열용착패턴(214A, 214B, 214D)(도 25의 (C), 도 25의 (D), 도 25의 (F)참조)를 선택한다.
또, 이들 열용착패턴에서도 씰 강도를 바꾼 것으로 구분 씰하면, 아래쪽 실의 내압이 높아져, 소정의 레벨, 예를 들면, 아래쪽 실의 식재가 조리된 타이밍으로 씰이 단번에 박리되므로, 위쪽 실의 조미료 등이 아래쪽 실의 식재에 치우치는 일 없이 대략 표면 전체로 분산 낙하하여 혼입된다. 아래쪽 실(S2)에, 예를 들면 아스파라거스, 감자, 풋콩 등을 수납할 때는, 위쪽 실(S1)에 이들 식재를 맛내기하는 조미료, 예를 들면 소금 등 넣고, 전자렌지로 가열하면, 간편하게, 단시간 게다가 소금이 전체에 걸쳐 맛있는 조리를 할 수 있다. 즉, 포장봉투마다 전자렌지에 넣어 간단하게 채소찜 등을 할 수 있다. 특히, 구분 씰부(219)의 용착력을 액체누설 블록부(214)의 용착력보다 낮게 함으로써, 전자렌지에 넣은 후, 내압이 높아지는 것으로, 최초로 구분 씰부(219)를 박리시켜, 식재와 조미료를 혼입하도록 하고, 그 혼입한 상태에서 더욱 가열하는 것으로, 더욱 내압이 높아짐으로써, 다음에 액체누설 블록부(214)가 박리하는 것에 의해, 기체방출부(212L)로부터 내압을 방출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 좋게 조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때의 구분 씰부(219)의 용착력은 전자렌지에서의 가열에 의한 내압으로 박리하지만, 수송 등에 의해 가해지는 부하에서는 박리하지 않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봉투체 저부(210a)의 면적이 넓게 되어 있어, 세울 수 있으므로, 노치(213')로부터 당겨 찢는 것에 의해서, 봉투체를 간이접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열용착 씰띠는 상기 봉투체의 저부 측의 씰 강도가 낮고, 상기 기체방출부 측이 높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변형예 1]
도 3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형예 1에 관한 전자렌지용 포장봉투를 설명한다. 또한, 도 30은 본 발명의 변형예 1에 관한 전자렌지용 포장봉투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변형예 1에 관한 전자렌지용 포장봉투(210C)는 실시형태 10 및 11의 포장봉투(210, 210A 및 210B)의 봉투체의 봉투 입구의 열용착 씰되는 부분이 기체방출부를 넘도록 파상으로 봉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래서,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봉투(210C)의 봉투 입구 씰부(210c')의 열용착 씰되는 부분은 파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봉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봉투 입구 씰부(210c')의 열용착되는 씰 부분과 기체방출부(212L)가 교차하는 비율이 많아져, 보다 효율적으로 봉투체 내에 발생한 내압을 방출할 수 있게 된다.
[변형예 2]
도 3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형예 2에 관한 전자렌지용 포장봉투를 설명한다. 또한, 도 31은 본 발명의 변형예 2에 관한 전자렌지용 포장봉투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변형예 2에 관한 전자렌지용 포장봉투(210D)는 실시형태 10, 11 및 변형예 1의 포장봉투(210, 210A ~ 210C)의 봉투체의 봉투 입구의 열용착 씰되는 부분이 양 측변 가장자리의 열용착 씰되는 부분보다 큰 폭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그래서,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봉투(210D)의 봉투 입구 씰부(210c'')의 열용착 씰되는 부분의 폭길이(W2')는 양 측변 히트-씰부(211a, 211b)의 열용착 씰되는 부분의 폭길이(W1)보다 큰 폭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봉투 입구 씰부(210c'')에 전자렌지로 가열된 포장봉투(210D)를 사용자가 맨손으로 잡는 것이 가능한 부분을 마련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안전하게 전자렌지로부터 취출하고, 또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큰 폭으로 형성된 봉투 입구 씰부(210c'')에 개공(220)을 형성함으로써, 이 개공(220)에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통해 파지하거나 또, 젓가락 등을 삽입 통과시키거나 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하게 가열된 포장봉투의 취출이나 운반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1에서는 실시형태 10에 관한 포장봉투(210)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실시형태 10에 관한 포장봉투(210A), 실시형태 11에 관한 포장봉투(210B) 및 변형예 1에 관한 포장봉투(210C)에 대해서도 이와 같이 할 수 있다.
1 ~ 1B, 10, 10A 기체투과성 필름 2 플라스틱 필름기재
3, 3A ~ 3D, S 슬릿 3L, 3AL, 3BL, 3CL, 3DL 슬릿군
4 제조장치 5 전처리장치
6 슬릿형성장치 6A 가압롤
6B 받침롤 7 슬릿 형성 톱니
8 접합장치 9A, 9B 제조장치
11, 14 플라스틱 필름 101, 101A ~ 101E 포장봉투
102 배면 측 씰부 1021 당겨 찢음부
103a, 103b 끝단 씰부 104 개구
104b 개봉구 105a, 105b 개봉 컷-라인
105a1, 105b1 제1 유도 컷-라인
106a, 106b, 106a1 ~ 106an, 106b, 106b1 ~ 106bn 유도 컷-라인
106a1' ~ 106an', 106b1' ~ 106bn' 제2 유도 컷-라인
107a 필름기재 107b 중간 접착층
107c 외측 시트재 108 필름기재
109 슬릿 109a 개구홈
109L 슬릿군 110 제조장치
111 전처리장치 112 슬릿형성장치
112A 가압롤 112B 받침롤
113 슬릿 형성 톱니 114, 114A 필름시트
116, 119 필름 115, 118 접착제
210, 210A ~ 210D 전자렌지용 포장봉투(포장봉투)
210a 저부
210b, 210c 표리필름(제1, 제2 플라스틱 필름)
211a, 211b 측변 히트-씰부 211c ~ 211c'' 봉투 입구 씰부
212L 기체방출부 212 슬릿
213, 213' 노치
214, 214A ~ 214E 액체누설 블록부(약열용착 씰띠)
215 가공장치 216 전처리장치
217 슬릿형성장치 218 슬릿톱니
219 구분 씰부 220 개공
S 공간 S1 위쪽 실
S2 아래쪽 실

Claims (38)

  1. 소정 두께의 플라스틱 필름기재에 기체를 투과시키는 기체투과부를 마련한 기체투과성 필름에 있어서,
    상기 기체투과부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기재의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향해서 저부를 타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팽출(膨出)시킨 미(未)관통의 오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목부는 위쪽의 개구부로부터 저부를 향하여 두께를 서서히 박육(薄肉)으로 하여 저부가 가장 박육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투과성 필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단면 형상이 'U'자 또는 'V'자 모양을 이룬 슬릿 또는 오목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투과성 필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오목구멍으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투과성 필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슬릿으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한 비연속 슬릿군 또는 한 개의 연속 슬릿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투과성 필름.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비연속 슬릿군의 복수 개의 슬릿은 각각 평면에서 보아 직선, 만곡, 절곡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투과성 필름.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비연속 슬릿군의 복수 개의 슬릿은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직선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투과성 필름.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비연속 슬릿군의 복수 개의 슬릿은 각각의 연장방향이 상기 직선의 연장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투과성 필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기재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세탈 중 적어도 1층의 필름으로서, 그 두께가 15 ~ 100㎛, 상기 오목부의 저부의 두께가 2 ~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투과성 필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기재는 1층의 필름으로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기재의 표면 또는 이면에 다른 플라스틱 필름이 라미네이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투과성 필름.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의 개구부 밀폐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투과성 필름.
  11. 소정 두께의 플라스틱 필름에 기체를 투과시키는 기체투과부를 형성하는 기체투과성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체투과부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기재를 그 필름의 유리전이점 온도를 넘어 융점 미만의 온도로 하여, 이 필름의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향해서 가압하여 연신시켜 소정 깊이로 오목하게 하여, 위쪽의 개구부로부터 저부를 향하여 두께가 서서히 박육으로 하여 저부가 가장 얇게 하여 상기 저부를 타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팽출시킨 오목부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투과성 필름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기재에 상기 오목부를 형성한 후에, 상기 플라스틱 필름기재의 표리 어느 한쪽의 면에 다른 플라스틱 필름을 라미네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투과성 필름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소정 형상의 돌기를 마련한 한쪽의 회전롤과 상기 소정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다른 회전롤과의 사이에 상기 플라스틱 필름을 주행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투과성 필름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소정 형상의 돌기를 마련한 한쪽의 회전롤의 경도는 상기 다른 회전롤보다 경도가 낮은 것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투과성 필름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기재로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세탈 중 적어도 한층의 필름을 이용하여 그 두께를 15 ~ 100㎛, 상기 오목부의 저부의 두께를 2 ~ 70㎛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투과성 필름의 제조방법.
  16.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기체투과성 필름을 이용하여 형성된 일단 개구의 봉투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일단 개구의 봉투체는,
    양 단변부가 합장(合掌) 접합된 배면 측 씰부 및 이 배면 측 씰부와 직교하는 단변부의 한쪽의 개구가 씰된 끝단 씰부를 가지고,
    상기 배면 측 씰부에는 상기 배면 측 씰부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배면 측 씰부의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찢어진 당겨 찢음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면 측 씰부가 위치하는 면에 상기 배면 측 씰부로부터 이간하여 상기 배면 측 씰부와는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형성된 개봉 컷-라인과, 상기 개봉 컷-라인으로부터 상기 배면 측 씰부의 상기 당겨 찢음부를 향하여 형성된 유도 컷-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개봉 컷-라인 및 상기 유도 컷-라인은 상기 기체투과성 필름의 상기 오목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당겨 찢음부는 복수 개소로 서로 이간하여 형성되고, 상기 개봉 컷-라인은 상기 배면 측 씰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유도 컷-라인은 각각의 상기 개봉 컷-라인으로부터 상기 복수 개소의 상기 당겨 찢음부를 향하여 각각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유도 컷-라인은 상기 개봉 컷-라인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연장한 복수 개의 길고 짧은 제1 유도 컷-라인과, 상기 제1 유도 컷-라인과 소정 거리 떨어져 상기 제1 유도 컷-라인과는 다른 간격으로 상기 배면 측 씰부 측으로 연장한 상기 제1 유도 컷-라인보다도 긴 제2 유도 컷-라인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일단 개구의 봉투체는,
    일면상에 중간층을 통하여, 양단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외측 시트재를 적층한 포장필름재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필름재를 상기 외측 필름 부분으로부터 절곡시켜 양단 가장자리부를 합장 접합한 배면 측 씰부 및 이 배면 측 씰부와 직교하는 단변부에 형성되는 개구를 끝단 씰부에서 씰하고,
    상기 배면 측 씰부가 봉투체의 중앙부 또는 이 중앙부에서 양단 어느 하나의 단부 근처에 위치하며, 이 배면 측 씰부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 부근에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당겨 찢음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층에는 상기 외측 필름 끝단 가장자리 변으로부터 상기 배면 측 씰부의 상기 당겨 찢음부를 향하여 개봉시키는 유도 컷-라인이 연장하여 마련되며,
    상기 유도 컷-라인은 상기 기체투과성 필름의 상기 오목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봉투체는 상기 외측 필름 끝단 가장자리 변에 개봉 컷-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개봉 컷-라인은 상기 기체투과성 필름의 상기 오목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
  22. 청구항 20 또는 21에 있어서,
    상기 당겨 찢음부는 복수 개소로 서로 이간하여 형성되고, 상기 외측 필름 끝단 가장자리 변 또는 상기 개봉 컷-라인으로부터 상기 배면 측 씰부의 상기 복수의 당겨 찢음부를 향하여 상기 유도 컷-라인의 복수 개가 상기 당겨 찢음부의 간격과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유도 컷-라인은 상기 개봉 컷-라인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연장한 복수 개의 길고 짧은 제1 유도 컷-라인과, 상기 제1 유도 컷-라인과 소정 거리 떨어져 상기 간격과 다른 간격으로 상기 배면 측 씰부 측으로 연장한 긴 제2 유도 컷-라인으로 분할되고, 상기 양 컷-라인은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방향의 일부분만을 커팅한 미관통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
  24.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일단 개구의 봉투체는,
    겹쳐진 적어도 한쪽이 기체투과성 필름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1, 제2 플라스틱 필름이 서로 저부 및 이 저부에 연접한 양 측변 가장자리가 봉지되고, 나머지의 상기 저부와 대향하는 일단이 개구된 봉투 입구로 되며, 상기 봉투 입구에는 피포장물이 채워 넣은 후에 봉지되는 봉투 입구 씰부가 형성되고,
    상기 봉투 입구의 근방에서, 이 봉투 입구로부터 상기 저부로 향하여, 순서대로, 이 봉투체의 내압이 소정값 이상으로 상승했을 때에 상기 봉투 입구를 봉지한 상태에서 이 상승한 내압을 밖으로 방출하는 기체방출부와, 피포장물로부터의 액체를 상기 기체방출부로 누출하는 것을 블록하는 액체누설 블록부가 마련되며,
    상기 기체방출부는 상기 기체투과성 필름의 상기 오목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기체방출부는 상기 봉투 입구를 봉지하는 개소와 상기 액체누설 블록부와의 사이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
  26.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봉투 입구 씰부와 상기 액체누설 블록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가 마련되고, 상기 틈새에 상기 기체방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
  27.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액체누설 블록부는 상기 한 쌍의 기체투과필름을 상기 양 측변 가장자리 사이에 걸쳐 소정의 폭으로 약한 씰 강도로 열용착된 약열용착 씰띠로 이루어지고, 상기 약열용착 씰띠의 씰 강도는 상기 양 측변 가장자리 및 봉투 입구의 열용착 씰 강도보다 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약열용착 씰띠는 상기 폭을 횡단하는 또는 이 폭을 좁히는 비용착 또는 이 비용착에 가까운 약용착 개소가 적어도 한 개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
  29.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약열용착 씰띠는 씰 강도가 상기 봉투체의 저부 측이 낮고, 상기 기체방출부 측이 높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
  30.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기체방출부는 연속 또는 불연속의 슬릿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릿은 상기 필름의 내벽면에서 외측 표면으로 향해서 오목 꼭대기부가 바깥쪽으로 얇게 돌출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
  31.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일단 개구의 봉투체는 상기 액체누설 블록부와 상기 저부와의 사이에 피포장물을 나누어 수납하는 구분부가 마련되고, 상기 구분부는 상기 한 쌍의 기체투과필름을 상기 양 측변 가장자리 사이에 걸쳐 소정의 폭으로 열용착된 약열용착 씰띠로 이루어지며, 상기 약열용착 씰띠의 씰 강도는 상기 양 측변 가장자리 및 봉투 입구의 열용착 씰 강도보다 약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약열용착 씰띠는 상기 폭을 횡단하는 또는 이 폭을 좁히는 비용착 또는 이 비용착에 가까운 약용착 개소가 적어도 한 개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
  33.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약열용착 씰띠는 상기 봉투체의 저부 측의 씰 강도가 낮고, 상기 기체방출부 측이 높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
  34.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일단 개구의 봉투체는 상기 구분부의 상기 저부 측에 상기 양 측변 중 적어도 한 변에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
  3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저부는 피포장물의 비수용시에 접어 겹쳐져 있고, 피포장물이 수용되었을 때에 자립할 수 있는 크기로 면적이 확대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
  36.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봉투 입구 씰부는 상기 기체방출부를 넘도록 파상으로 봉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
  37.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봉투 입구 씰부는 상기 양 측변 가장자리의 열용착 씰되는 부분보다 큰 폭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
  38. 청구항 24 내지 3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입구 씰부에는 개공(開孔)이 적어도 1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
KR1020127029744A 2010-05-13 2011-04-23 포장봉투 KR101822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11470 2010-05-13
JP2010111470 2010-05-13
JP2010168696A JP5527891B2 (ja) 2010-07-27 2010-07-27 包装袋
JPJP-P-2010-168696 2010-07-27
JP2010258996A JP5751612B2 (ja) 2010-11-19 2010-11-19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JP-P-2010-258996 2010-11-19
PCT/JP2011/059990 WO2011142237A1 (ja) 2010-05-13 2011-04-23 気体透過性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該気体透過性フィルムを用いた包装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373A true KR20130087373A (ko) 2013-08-06
KR101822679B1 KR101822679B1 (ko) 2018-01-26

Family

ID=4491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9744A KR101822679B1 (ko) 2010-05-13 2011-04-23 포장봉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064481A1 (ko)
EP (1) EP2570365B1 (ko)
KR (1) KR101822679B1 (ko)
CN (1) CN102883970B (ko)
TW (1) TWI616380B (ko)
WO (1) WO20111422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36029A1 (en) * 2013-05-07 2014-11-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laser puncturing holes into water-soluble films
WO2014197728A1 (en) 2013-06-05 2014-12-11 Ameriglobe, Llc Method of production of fabric bags or containers using heat fused seams
JP5952369B2 (ja) * 2013-10-23 2016-07-13 福岡丸本株式会社 粘着テープ及び粘着テープ巻回体並びにテープディスペンサー
US9650178B2 (en) 2014-01-16 2017-05-16 The Fresh Group, Ltd. Watermelon pouch
CN104309860A (zh) * 2014-09-23 2015-01-28 何巧玲 一种制作自立袋的工艺方法
CN104523227B (zh) 2014-12-22 2018-03-09 浙江智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生物兼容薄膜的柔性可延展电子器件及制备方法
KR20170039864A (ko) * 2015-10-02 2017-04-12 씨제이제일제당 (주) 발효식품 보관 용기
US10745192B2 (en) 2015-11-06 2020-08-18 Ameriglobe, Llc Industrial bag discharge spout
US10479599B2 (en) 2015-12-17 2019-11-19 Ameriglobe, Llc Industrial bag lift loop assembly
MX2019005341A (es) 2016-11-08 2019-11-12 Ameriglobe Llc Bolsa a granel sin puntadas con costuras fusionadas por calor y método de producción.
JP6955866B2 (ja) * 2016-12-28 2021-10-27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自動車用ガラス板
JP6159494B1 (ja) * 2017-01-27 2017-07-05 加川 清二 易裂性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装置
JP2018135114A (ja) * 2017-02-21 2018-08-30 福岡丸本株式会社 包装用フィルム
US11319144B1 (en) 2019-08-29 2022-05-03 Ameriglobe, Llc Bulk bag bottom and discharge assembly including a reinforcer
US11591156B1 (en) 2019-08-29 2023-02-28 Ameriglobe, Llc Lift loop assembly test process and apparatus
CN111267444A (zh) * 2020-01-22 2020-06-12 中天科盛(上海)企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ffs重载膜及其制备工艺
US11225368B1 (en) * 2020-07-15 2022-01-18 Nouri E. Hakim Vented sealable bag
CN112660595A (zh) * 2021-01-06 2021-04-16 贵州品品久红食品有限公司 一种高效泡椒袋内发酵方法
CN113103726B (zh) * 2021-05-14 2022-12-13 佛山市拓威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透气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230100176A1 (en) * 2021-09-17 2023-03-30 Proampac Holdings Inc. Recyclable packaging film and article with mechanically pre-slit controlled tear lin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2599A (en) * 1959-11-27 1964-07-28 Sealed Air Corp Method for making laminated cushioning material
JPS61120838A (ja) * 1984-11-16 1986-06-07 Kuraray Co Ltd 透気性の良好なフイルムおよびその製造法
US4777073A (en) * 1987-03-11 1988-10-11 Exxon Chemical Patents Inc. Breathable films prepared from melt embossed polyolefin/filler precursor films
US5352108A (en) * 1991-10-18 1994-10-04 Norito Sudo Porous film and porous film manufacturing apparatus
JPH06329162A (ja) * 1993-05-24 1994-11-29 Shinano Pori:Kk きのこ包装袋
US5405671A (en) * 1993-11-12 1995-04-11 Kamin; Sam Hot or cold bubble insulation sheeting
JPH0737974U (ja) * 1993-12-27 1995-07-14 株式会社石井 包装フィルム或いは包装紙における通気部
CN2190627Y (zh) * 1994-05-12 1995-03-01 陈石天 罐装食品简易加热结构
JPH0852816A (ja) 1994-08-15 1996-02-27 Idemitsu Petrochem Co Ltd 気体透過性フィルム
CA2149701A1 (en) * 1994-10-12 1996-04-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erilization wrap material
JPH08276966A (ja) 1995-04-07 1996-10-22 Dainippon Ink & Chem Inc 電子レンジ調理用包装物品
US6054698A (en) * 1996-11-01 2000-04-25 Mast; Roy Lee Microwave retaining package for microwave cooking
JP3198260B2 (ja) * 1996-11-13 2001-08-13 尾本 等 圧力調節弁機能を有する包装材料及び飲食品パッケー
JPH10147371A (ja) 1996-11-18 1998-06-02 Dainippon Ink & Chem Inc 電子レンジ調理用包装物品
JPH11240579A (ja) 1998-02-25 1999-09-07 Nidaiki Kk 袋又は容器に備えるガス抜き機能フイルム材
JP2000327047A (ja) 1999-05-19 2000-11-28 Dainippon Printing Co Ltd 食品用袋
US6926947B1 (en) * 2000-06-29 2005-08-09 Peter H. Seckel Domed packing material
JP2003054646A (ja) * 2001-08-20 2003-02-26 Hosokawa Yoko Co Ltd 通気性袋体、その製造方法、並びに滅菌方法
US6919547B2 (en) * 2001-11-07 2005-07-19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Microwave packaging with indentation patterns
EP1448143B1 (en) * 2001-11-29 2008-09-03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Highly breathable water resistant composite
US20040137202A1 (en) * 2002-10-25 2004-07-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functional adhesive food wraps
JP2005320023A (ja) * 2004-05-07 2005-11-17 Toyo Seikan Kaisha Ltd 平置き型の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4785356B2 (ja) 2004-07-13 2011-10-05 スタープラスチック工業株式会社 電子レンジ加熱用袋
JP2006158254A (ja) 2004-12-06 2006-06-22 Sumitomo Bakelite Co Ltd 柑橘類の貯蔵用袋および貯蔵方法
JP2008081191A (ja) 2006-09-28 2008-04-10 Meiwa Pax Co Ltd 加熱調理用食品包装袋
JP2008105719A (ja) * 2006-10-26 2008-05-08 Okada Shigyo Kk 包装袋
JP5097582B2 (ja) 2008-03-07 2012-12-12 藤森工業株式会社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袋
JP2011098772A (ja) * 2009-11-04 2011-05-19 Katsuyoshi Fukuyama 選択的なガス透過性を調節した包装フィルム及び食品包装袋内での食味調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42237A1 (ja) 2011-11-17
KR101822679B1 (ko) 2018-01-26
CN102883970B (zh) 2015-04-22
EP2570365A1 (en) 2013-03-20
US20130064481A1 (en) 2013-03-14
EP2570365B1 (en) 2019-08-07
TW201206778A (en) 2012-02-16
EP2570365A4 (en) 2014-09-10
CN102883970A (zh) 2013-01-16
TWI616380B (zh)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7373A (ko) 기체투과성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 기체투과성 필름을 이용한 포장봉투
US10136757B2 (en) Packaging material for cooking food
US20180273277A1 (en) Packaged food with moisture release
US20060127549A1 (en) Heatable package with frangible seal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090045189A1 (en) Microwaveable package
US20220183119A1 (en) Packaging for food product
US11161672B1 (en) Resealable packaging device and method for packaging food product
US20220242648A1 (en) Packaged food with moisture release
JP5527891B2 (ja) 包装袋
US20220153502A1 (en) Disposable container with breachable sauce packet
US20240043191A1 (en) Packaging for cooking food
US20140339105A1 (en) Packaging for food product
US20220022685A1 (en) Packaging material for cooking food
US20060003146A1 (en) Valve-equipped laminated film which can be used for microwave cooking, in the form of a tray or a closed bag
JP6075589B2 (ja) 包装用積層フィルムおよび包装用袋
JP2004306984A (ja) 加熱可能な食品収容袋
JP5751612B2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1146276A (ja) 電子レンジ用密封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