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4244A - 산화 염모제용 제1 제 - Google Patents

산화 염모제용 제1 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4244A
KR20130084244A KR1020130001933A KR20130001933A KR20130084244A KR 20130084244 A KR20130084244 A KR 20130084244A KR 1020130001933 A KR1020130001933 A KR 1020130001933A KR 20130001933 A KR20130001933 A KR 20130001933A KR 20130084244 A KR20130084244 A KR 20130084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mass
hair dye
dye
m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르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0573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100254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르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르본
Publication of KR20130084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24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2Direct dyes
    • A61K2800/4324Direct dyes in 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과제] 점도가 높여진 산화 염모제용 제1 제의 제공.
[해결 수단] 산화 염료, 하기 식 (I)로 나타내는 고급 지방산과 고급 알코올의 에스테르, 및 알칼리제가 배합된 크림상의 산화 염모제용 제1 제.
R1-COO-R2 (I)
[상기 식 (I)에 있어서, R1은 불포화도가 1인 탄소수 12 이상 22 이하의 직쇄형 알켄을 나타내고, R2는 불포화도가 1인 탄소수 12 이상 22 이하의 직쇄형 알켄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산화 염모제용 제1 제{FIRST AGENT FOR OXIDATION HAIR DYE}
본 발명은 산화 염료를 함유하는 산화 염모제용 제1 제에 관한 것이다.
모발을 착색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산화 염모제는, 모발 내에 침투시킨 산화 염료를 산화 중합에 의해 염착시키는 염모 원리의 것이며, 산성 염모료 등의 다른 헤어 컬러링제에 비해서 모발의 색 지속성의 장기간 지속을 실현한다. 산화 염료가 배합된 제1 제(제1 제의 예로서는, 특허문헌 1에 있어서, 산화 염료, 에스테르, 및 알칼리제가 배합된 것이 개시되어 있음)와 산화제가 배합된 제2 제를 혼합한 산화 염모제에 의한 모발의 염모 처리는 일반적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61492호 공보
산화 염모제를 얻기 위한 제1 제는, 미용실에서는 크림상의 것이 범용적이며, 크림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물에 고급 알코올 및 논이온 계면활성제 등이 배합된다. 이러한 크림상의 제1 제는, 취급이 용이한 점도인 것이 요구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제1 제의 점도를 높일 필요성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산화 염료의 배합이 그 배합이 없는 것보다도 점도를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고(산화 염료의 배합에 의해 점도가 저하함),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보아도 점도를 높이는 배합 성분의 조합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점도가 높여진 산화 염모제용 제1 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산화 염모제용의 제1 제의 배합 검토에 있어서, 지방산과 알코올의 에스테르 중에서도 소정의 에스테르를 배합하면 점도가 높아지고, 알칼리제를 더욱 배합하면 점도가 한층 더 높아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산화 염모제용 제1 제는, 산화 염료, 하기 식 (I)로 나타내는 고급 지방산과 고급 알코올의 에스테르, 및 알칼리제가 배합된 크림상의 것이다.
R1-COO-R2 (I)
[상기 식 (I)에 있어서, R1은 불포화도가 1인 탄소수 12 이상 22 이하의 직쇄형 알켄을 나타내고, R2는 불포화도가 1인 탄소수 12 이상 22 이하의 직쇄형 알켄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 염모제용 제1 제의 pH는, 예컨대 8.0 이상 12.0 이하이다. 또한, 상기 식 (I)로 나타내는 에스테르로서 적합한 것은, 예컨대 올레인산올레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 염모제는, 본 발명에 따른 산화 염모제용 제1 제와, 산화제가 배합된 산화 염모제용 제2 제가 혼합된 것이다. 이 산화 염모제로 염모 처리된 모발은, 유성감(모발 표면에 유막이 있는 감촉. 이하, 동일.)이 우수한 것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 염모제에 있어서, 상기 식 (I)로 나타내는 에스테르의 배합량은, 0.5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이면 좋다. 이 배합량 범위이면, 염모 처리 후의 유성감이 특히 우수하다.
본 발명의 산화 염모제용 제1 제는, 소정의 에스테르와 알칼리제가 배합된 것이기 때문에, 점도가 높아진 것이 되고, 또한, 경시적인 점도 안정성이 우수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산화 염모제용 제1 제, 산화 염모제용 제2 제, 및 산화 염모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이하에 설명한다.
(산화 염모제용 제1 제)
본 실시형태의 산화 염모제용 제1 제(이하, 간단히 「제1 제」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는, 산화 염료, 소정의 에스테르, 및 알칼리제가 배합된 것이다(본 실시형태의 제1 제로서 전형적인 것은, 물의 배합량이 70 질량% 이상인 것임). 또한, 공지의 제1 제 원료를 임의 원료로 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제에 배합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제에 배합하는 산화 염료는, 산화 반응에 의해 단독으로 발색되는 공지의 염료 중간체, 및 염료 중간체와의 중합에 의해 색조를 나타내는 공지의 커플러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다.
염료 중간체로서는, 황산톨루엔 2,5-디아민, 염산니트로파라페닐렌디아민, 파라페닐렌디아민, 아세트산 N-페닐파라페닐렌디아민, 톨루엔-3,4-디아민, 파라니트로오르토페닐렌디아민, 황산파라니트로오르토페닐렌디아민, 황산오르토클로르파라페닐렌디아민, 황산 4,4'-디아미노페닐아민 등의 페닐렌디아민 유도체; 황산 2,4-디아미노페놀, 오르토아미노페놀, 파라아미노페놀, 황산파라메틸아미노페놀, 3,3'-이미노디페놀 등의 페놀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커플러로서는, 염산 2,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 메타페닐렌디아민, 황산파라니트로메타페닐렌디아민 등의 페닐렌디아민 유도체; 황산 5-아미노오르토크레졸, 5-(2-히드록시에틸아미노)-2-메틸페놀, 메타아미노페놀 등의 아미노페놀 유도체; 레조르신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제에 있어서의 산화 염료의 배합 농도는, 예컨대 0.05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제에 배합되는 소정의 에스테르는, 하기 식 (I)로 나타내는 고급 지방산과 고급 알코올의 에스테르이다. 또한, 상기 에스테르의 탄소간 이중 결합은, 산화 염모제용 제2 제에 배합한 경우에는, 산화제에 의해 개열하기 쉽다.
R1-COO-R2 (I)
[상기 식 (I)에 있어서, R1은 불포화도가 1인 탄소수 12 이상 22 이하의 직쇄형 알켄을 나타내고, R2는 불포화도가 1인 탄소수 12 이상 22 이하의 직쇄형 알켄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에스테르예로서는, R1의 탄소수 16 이상 20 이하 그리고 R2의 탄소수 16 이상 20 이하의 것이다.]
상기 에스테르를 구성하기 위한 불포화도가 1인 탄소수 12∼22의 직쇄형 고급 지방산으로서는, 예컨대, 5-라우롤레산(lauroleic acid), 츠주산(tsuzuic acid), 5-미리스톨레산, 9-미리스톨레산, 7-팔미톨레산, 페트로셀린산(petroselinic acid), 올레인산, 엘라이드산, 코데인산, 에루크산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를 구성하기 위한 불포화도가 1인 탄소수 12∼22의 직쇄형 고급 알코올로서는, 예컨대, 11-도데센-1-올, 올레일알코올, 엘라이딘알코올, 리놀레일알코올, 리놀레닐알코올, 리시노일알코올을 들 수 있다.
식 (I)로 나타내는 에스테르로서 적합한 것의 예로서는, 올레인산올레일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제에 있어서의 상기 (I)로 나타내는 에스테르의 배합량은, 예컨대 1.0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제에 배합하는 알칼리제는, 공지의 알칼리제이며, 산화 염모제에 포함되는 산화제의 작용을 촉진시킴과 더불어, 모발을 팽윤시켜 모발에의 염료의 침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염색성을 향상시킨다.
알칼리제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금속 수산화물;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등의 금속 탄산염; 인산나트륨 등의 금속 인산염; 암모니아; 탄산암모늄, 황산암모늄 등의 암모늄염; 모노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의 알칸올아민; 아르기닌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 등을 들 수 있다.
알칼리제를 배합하는 경우에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칼리제를 배합하면 좋고, 본 실시형태의 제1 제에 있어서의 알칼리제의 배합량은, 예컨대 25℃에서의 pH가 8.0 이상 12.0 이하가 되는 양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제에 임의 배합하는 원료는, 공지의 제1 제 원료와 동일하다. 이 임의 배합하는 원료로서는, 예컨대, 고급 알코올, 논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다가 알코올, 탄화수소, 유지, 산화 방지제, 킬레이트제, 직접 염료이다. 고급 알코올 및 논이온 계면활성제는, 물과 함께 배합하여 크림상의 제형으로 하기 위해 이용하면 좋다.
상기 제1 제용 원료로서의 고급 알코올은, 예컨대, 세탄올, 이소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옥틸도데칸올, 미리스틸알코올을 들 수 있다.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고급 알코올을 제1 제에 배합하면 좋고, 고급 알코올의 배합 농도는, 적절하게 설정되는 것이지만, 예컨대 2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이다.
상기 제1 제용 원료로서의 논이온 계면활성제는,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테트라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1종 또는 2종 이상의 논이온 계면활성제를 제1 제에 배합하면 좋고, 논이온 계면활성제의 배합 농도는, 예컨대 0.1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이다.
상기 제1 제용 원료로서의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예컨대, 장쇄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디장쇄 알킬디메틸암모늄염, 트리장쇄 알킬모노메틸암모늄염, 벤잘코늄형 4급 암모늄염, 모노알킬에테르형 4급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1종 또는 2종 이상의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제1 제에 배합하면 좋고,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배합 농도는, 예컨대 0.1 질량% 이상 3 질량% 이하이다.
상기 제1 제용 원료로서의 다가 알코올은,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을 들 수 있다.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다가 알코올을 제1 제에 배합하면 좋고, 다가 알코올의 배합 농도는, 예컨대 0.1 질량% 이상 3 질량% 이하이다.
상기 제1 제 원료로서의 탄화수소는, 예컨대, 유동 파라핀, 스쿠알렌, 프리스탄, 오조케라이트, 파라핀, 세레신, 바셀린, 미세결정질 왁스를 들 수 있다. 1종 또는 2종 이상의 탄화수소를 제1 제에 배합하면 좋고, 탄화수소의 배합 농도는, 예컨대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이다.
상기 제1 제 원료로서의 유지는, 예컨대, 경화유, 아몬드유, 아보카도유, 올리브유, 시어 지유(脂油), 달맞이꽃유, 동백유, 피넛유, 로즈힙유를 들 수 있다.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유지를 제1 제에 배합하면 좋고, 유지의 배합 농도는, 예컨대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이다.
상기 제1 제용 원료로서의 산화 방지제는, 예컨대, 아스코르빈산, 아황산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용 원료로서의 킬레이트제는, 예컨대,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 및 그 염, 디에틸렌트리아민5아세트산 및 그 염, 히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 및 그 염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제의 제형은 크림상이다. 상기 크림상의 제형의 점도는, B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25℃, 12 rpm으로 계측한 60초 후의 값이 예컨대 4000 m㎩·s 이상 50000 m㎩·s 이하이며, 20000 m㎩·s 이상 40000 m㎩·s 이하가 좋다.
(산화 염모제용 제2 제)
본 실시형태의 산화 염모제용 제2 제(이하, 간단히 「제2 제」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는, 산화제가 배합된 것이다(본 실시형태의 제2 제로서 전형적인 것은, 물의 배합량이 70 질량% 이상인 것임). 또한, 공지의 제2 제 원료를 임의 원료로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2 제에 배합하여도 좋다.
제2 제에 배합되는 상기 산화제로서는, 예컨대, 과산화수소, 브롬산염, 과탄산염, 과붕산염을 들 수 있다. 제2 제에 있어서의 산화제의 배합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0.3 질량% 이상 7 질량%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2 제에 임의 배합하는 공지의 제2 제 원료로서는, 고급 알코올(배합 농도는, 예컨대 2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 논이온 계면활성제(배합 농도는, 예컨대 0.5 질량% 이상 6 질량% 이하), 양이온 계면활성제(배합 농도는, 예컨대 0.1 질량% 이상 3 질량% 이하),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 산화 방지제, 킬레이트제 등이다.
제2 제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액상, 크림상, 겔상을 들 수 있다.
(산화 염모제)
본 실시형태의 산화 염모제는, 본 실시형태의 제1 제와 제2 제를 혼합한 것이다. 상기 제1 제와 제2 제의 혼합비는, 예컨대, 제1 제:제2 제=1:0.4∼2이다.
산화 염모제에 있어서의 상기 식 (I)로 나타내는 에스테르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5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가 좋고, 1.0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0.5 질량% 이상이면, 염모 처리 후의 유성감을 특히 충분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3.0 질량% 이하이면, 유성감이 과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스테르의 배합량에 의한 유성감이 충분한 경우, 모발의 정돈도 양호해진다.
상기 식 (I)로 나타내는 에스테르로서 올레인산올레일을 배합하는 경우, 산화 염모제에 있어서의 올레인산올레일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5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가 좋고, 1.0 질량% 이상 2.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산화 염모제의 사용시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액상, 크림상, 왁스상, 겔상, 폼상(거품상)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산화 염모제의 점도는, 사용시의 모발에의 도포, 흘러내림 등의 취급성을 고려하면, 크림상이 좋다.
본 실시형태의 산화 염모제의 pH는, 25℃에서, 예컨대 8.0∼12.0이며, 양호한 염색성과 두피에의 자극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9.0∼11.0이고, 9.5∼10.5가 좋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는 일이 없는 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2, 비교예 1a∼1c 및 2a∼2c)
하기 표 1 또는 2에 나타내는 배합 조성의 실시예 1∼2, 비교예 1a∼1c 및 2a∼2c의 제1 제를, 유상(油相), 수상(水相) 1, 및 수상 2를 이용하여 조제하였다. 자세하게는, 80℃ 정도의 온도 조건에서 원료를 혼합하여 얻은 유상과, 80℃ 이상의 온도 조건에서 원료를 혼합하여 얻은 수상 1을 혼합하고, 이 유상과 수상 1의 혼합액이 45℃ 이하가 되고 나서, 수상 2를 혼합하며, 나머지 물과 향료를 더 혼합하였다.
조제한 상기 각 제1 제의 초기 점도를, 토키멕사 제조 B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25℃, 로터 No.4, 로터 회전수 6 rpm 또는 12 rpm, 계측 개시로부터 60초 후의 값으로서 기록하였다. 기록한 초기 점도를, 하기 표 1∼2에 나타낸다(비교예 1a 및 비교예 2a에 대해서는, 점도가 지나치게 낮기 때문에, 측정할 수 없었다.).
또한, 실시예 1, 비교예 1b, 비교예 1c, 실시예 2, 비교예 2b, 및 비교예 2c에 대해서는, 50℃에서 1개월간 보관한 후의 점도를, 토키멕사 제조 B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25℃, 로터 No.4, 로터 회전수 12 rpm, 계측 개시로부터 60초 후의 값으로서 기록하였다. 그리고, 점도 변화율을, (50℃ 1개월 후의 점도-초기 점도)/초기 점도×100에 기초하여 산출하였다(이 산출에서의 초기 점도는, 로터 회전수 12 rpm인 것.). 이상의 점도와 점도 변화율에 대해서도, 하기 표 1∼2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표 1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 비교예 1a∼1b의 초기 점도 비교에 있어서, 상기 식 (I)로 나타내는 소정의 에스테르인 올레인산올레일의 배합에 의해, 높은 점도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또한, 액상유를 배합한 경우와 고형유를 배합한 경우에서는, 고형유를 배합한 경우 쪽이, 초기 점도는 일반적으로 높아진다. 그러나, 실시예 1과 비교예 1b의 초기 점도 비교에 있어서는, 액상유인 올레인산올레일을 배합한 실시예 1 쪽이, 고형유인 스테아린산스테아릴을 배합한 비교예 1b보다 높은 점도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비교예 1c의 초기 점도 비교에 있어서, 알칼리제를 배합하면 점도가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 1과 비교예 1a∼1c의 초기 점도 관계는, 실시예 2와 비교예 2a∼2c에서도 동일하였던 것을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 1에서는, 상기 식 (I)로 나타내는 소정의 에스테르인 올레인산올레일 및 알칼리제를 배합한 실시예 1은, 비교예 1b 및 1c와의 비교에서 점도의 변화율의 절대값이 작아져 있었기 때문에, 단시(斷時)적인 점도 안정성이 우수하였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식 (I)로 나타내는 소정의 에스테르인 올레인산올레일 및 알칼리제의 배합에 의한 단시적인 점도 안정성은, 표 2의 실시예 2와 비교예 2b 및 2c의 대비에서도 마찬가지로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a∼3d, 실시예 4a∼4c)
표 3에 기재된 배합량이 되도록 원료를 물에 배합하여, 실시예 3a∼3d의 제1 제를 조제하였다. 또한, 표 4에 기재된 배합량의 원료를 물에 배합하여, 실시예 4a∼4c의 제1 제를 조제하였다.
(제2 제)
이하의 배합량이 되도록 원료를 물에 배합하여, 제2 제를 조제하였다. 세토스테아릴알코올이 4 질량%,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가 1 질량%,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가 1 질량%, 유동 파라핀이 0.5 질량%, 염화세틸암모늄이 0.5 질량%, 페녹시에탄올이 0.1 질량%, 35 질량% 과산화수소가 5.7 질량%.
(산화 염모제)
상기 조제한 실시예 3a∼3d 및 4a∼4c 중 어느 하나의 제1 제와 제2 제를 질량비 1:1로 혼합하여, 산화 염모제를 얻었다.
(염모 처리)
일반 여성의 염모 처리 이력이 있는 두발에서의 우측과 좌측에 상이한 산화 염모제를 도포하고,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하였다. 계속해서, 온수로 두발로부터 산화 염모제를 씻어내고, 샴푸(미르본사 제조 「DEESSE'S NEU WillowLuxe」)에 의한 처리 및 트리트먼트(미르본사 제조 「DEESSE'S NEU WillowLuxe」)에 의한 처리를 행한 후, 두발을 빗으로 빗으면서 온풍으로 건조시켰다.
(유성감의 평가)
실시예 3a∼3d 중 어느 하나의 제1 제를 혼합한 산화 염모제를 사용한 염모 처리:
실시예 3d의 제1 제를 혼합한 산화 염모제를 사용하여 염모 처리한 두발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기준과 비교한 두발을 만졌을 때의 유성감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이 하였다.
○: 「기준」과 같은 과대한 유성감이 없고, 털끝까지의 균일성이 높은 유성감.
―: 「기준」과 동등.
×: 「기준」보다 유성감이 과대.
실시예 4a∼4c 중 어느 하나의 제1 제를 혼합한 산화 염모제를 사용한 염모 처리:
실시예 4b의 제1 제를 혼합한 산화 염모제를 사용하여 염모 처리한 두발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기준과 비교한 두발을 만졌을 때의 유성감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이 하였다.
○: 「기준」보다 털끝까지의 균일성이 높은 유성감.
―: 「기준」과 동등.
×: 「기준」보다 털끝까지의 유성감이 뒤떨어짐.
유성감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3∼4에, 배합한 원료와 함께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표 3의 유성감의 평가에 있어서는, 실시예 3a∼3c의 평가 결과가 「○(과대한 유성감이 없고, 털끝까지의 균일성이 높은 유성감.)」이기 때문에, 산화 염모제 에 있어서의 상기 식 (I)로 나타내는 에스테르(올레인산올레일)의 배합 농도가 3.0 질량% 이하이면 양호한 유성감이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4의 유성감의 평가에 있어서는, 실시예 4a만이 평가 결과가 「○(털끝까지의 균일성이 높은 유성감.)」였다. 이 것과, 실시예 4a에서의 상기 식 (I)로 나타내는 에스테르(올레인산올레일)의 일부를 올레인산데실 또는 테트라 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트로 치환한 것이 실시예 4b∼4c인 것으로부터, 상기 (I)로 나타내는 에스테르가 모발의 유성감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Claims (5)

  1. 산화 염료, 하기 식 (I)로 나타내는 고급 지방산과 고급 알코올의 에스테르, 및 알칼리제가 배합된 크림상의 산화 염모제용 제1 제.
    R1-COO-R2 (I)
    [상기 식 (I)에 있어서, R1은 불포화도가 1인 탄소수 12 이상 22 이하의 직쇄형 알켄을 나타내고, R2는 불포화도가 1인 탄소수 12 이상 22 이하의 직쇄형 알켄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pH가 8.0 이상 12.0 이하인 산화 염모제용 제1 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로서, 올레인산올레일이 배합된 산화 염모제용 제1 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산화 염모제용 제1 제와, 산화제가 배합된 산화 염모제용 제2 제가 혼합된 산화 염모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의 배합량이, 0.5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인 산화 염모제.
KR1020130001933A 2012-01-16 2013-01-08 산화 염모제용 제1 제 KR201300842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05738 2012-01-16
JP2012005738A JP2013100254A (ja) 2011-10-14 2012-01-16 酸化染毛剤用第1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244A true KR20130084244A (ko) 2013-07-24

Family

ID=4899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933A KR20130084244A (ko) 2012-01-16 2013-01-08 산화 염모제용 제1 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42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0370A1 (ko) * 2013-08-26 2015-03-05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0370A1 (ko) * 2013-08-26 2015-03-05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KR20150024000A (ko) * 2013-08-26 2015-03-06 (주)아모레퍼시픽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CN105392467A (zh) * 2013-08-26 2016-03-09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氧化性染发剂组合物
TWI635872B (zh) * 2013-08-26 2018-09-21 愛茉莉太平洋股份有限公司 氧化型染髮劑組成物
AU2014312620B2 (en) * 2013-08-26 2019-10-31 Amorepacific Corporation Oxidative hair dye compos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4398B2 (ja) アルカリ剤及び酸化組成物を含むエマルションを使用する、ケラチン物質の明色化方法
JP6429410B2 (ja) 毛髪染色組成物、キット、方法、及びこれらの使用
JP6652552B2 (ja) クリーム状担体ならびにトリス(ヒドロキシメチル)アミノメタン、少なくとも1種のアミノ酸および酸化染料の組み合わせに基づいた永久毛髪着色剤
BRPI0908690B1 (pt) processo para clarear as matérias queratínicas e dispositivo com compartimentos múltiplos
JP2020158483A (ja) 液状染毛剤組成物
CN107205898B (zh) 用于角蛋白纤维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造方法
JP4080443B2 (ja) 染毛剤組成物
JP5872265B2 (ja) 酸化染毛料第1剤
JP2009161491A (ja) 染毛用第2剤組成物および酸化型染毛剤
KR20130106295A (ko) 산화 염모제
KR20130084244A (ko) 산화 염모제용 제1 제
JP6081078B2 (ja) 酸化染毛剤
JP2016056110A (ja) ケラチン繊維用の化粧用組成物
JP6507105B2 (ja) 毛髪化粧料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JP2013100254A (ja) 酸化染毛剤用第1剤
KR20130057597A (ko) 모발의 부드러움을 개선하고 흘러내리지 않는 거품형 염모제 조성물
JP5935718B2 (ja) 毛髪変色剤
JP6110058B2 (ja) 酸化染毛剤用第1剤及び酸化染毛剤
JP6940942B2 (ja) 酸化染毛剤用第1剤、及び酸化染毛剤を用いた染毛方法
ES2828708T3 (es) Composición para teñir fibras de queratina, que comprende una base de oxidación y un acoplador de heteroarilo particular
TWI805640B (zh) 泡沫型氧化染髮劑組合物
JP7108154B1 (ja) 染毛剤組成物
US10272026B2 (en) Water-in-oil emulsion compositions suitable for altering the color of hair
JP6081077B2 (ja) 酸化染毛剤
JP2021172619A (ja) 酸化染毛剤、酸化染毛剤用第1剤、酸化染毛剤用第2剤、及び染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