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3685A - 소형 안테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소형 안테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3685A
KR20130083685A KR1020120004448A KR20120004448A KR20130083685A KR 20130083685 A KR20130083685 A KR 20130083685A KR 1020120004448 A KR1020120004448 A KR 1020120004448A KR 20120004448 A KR20120004448 A KR 20120004448A KR 20130083685 A KR20130083685 A KR 20130083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antenna pattern
circuit
antenna device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4892B1 (ko
Inventor
박정식
천소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4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892B1/ko
Priority to US13/727,205 priority patent/US9306288B2/en
Priority to EP19190591.8A priority patent/EP3582322A1/en
Priority to EP12199709.2A priority patent/EP2615684A3/en
Priority to CA2860620A priority patent/CA2860620A1/en
Priority to PCT/KR2013/000208 priority patent/WO2013105798A1/en
Priority to CN201811187470.8A priority patent/CN109346824A/zh
Priority to BR112014017363-0A priority patent/BR112014017363B1/pt
Priority to CN201380005387.3A priority patent/CN104040791A/zh
Priority to JP2014552127A priority patent/JP6452445B2/ja
Priority to AU2013208393A priority patent/AU2013208393B2/en
Priority to RU2014128616A priority patent/RU2615594C2/ru
Publication of KR20130083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685A/ko
Priority to US15/082,280 priority patent/US1012888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892B1/ko
Priority to US16/155,248 priority patent/US10680671B2/en
Priority to US16/884,487 priority patent/US11031965B2/en
Priority to US17/337,713 priority patent/US1150934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8Input circuits, e.g. for coupling to an antenna or a transmission l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6Details
    • H01Q9/14Length of element or elements adjustable
    • H01Q9/145Length of element or elements adjustable by varying the electrical 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58Arrangements for matching and coupling between power amplifier and antenna or between amplifying s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Transceiver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안테나 장치가, 안테나 패턴과, 안테나 패턴의 양단과 시스템 그라운드 사이에 각각 접속되는 제1전기회로 및 제2전기회로와, 안테나 패턴과 급전선 사이에 위치되는 제3전기회로로 구성되며, 제1전기회로 - 제2전기회로에 의해 안테나 패턴의 전기적인 파장을 확장하고 입력 임피던스 매칭을 향상시키며, 제3전기회로에 의해 입력임피던스를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소형 안테나 장치 및 그 제어방법{SMALL ANTENNA APPAR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A RESONANCE FREQUENCY OF SMALL ANTENNA}
본 발명은 다양한 부가기능(GPS, BT, WIFI 등)을 지원하는 무선 단말기에 있어 공간상의 제약과 원가 절감 및 개발 기간 단축을 위해 PCB에 프린트되거나 carrier와 같은 기구물 위에 형성된 일정 패턴(프린트되거나 철 구조물로 만들어지거나)과 이와 연결된 전기회로를 이용함으로써 wave resonance 대신 circuit resonance를 이용하는 소형화 안테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무선통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대응되는 안테나를 통해 외부와 무선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현재 휴대단말기는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예를들면 LTE, WCDMA 등), 인터넷 망 등과 연결하기 위한 통신부(예를들면 WiFi, Wibro, Wimax 등),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부(예를들면 Bluetooth, NFC 등), GPS 수신부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통신부들이 외부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안테나들을 구비하여야 한다. 즉, 현재의 휴대단말기는 외부와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에 복수의 안테나들을 장착하기 위하여, 안테나를 소형화하여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평면 역 F 안테나(Planner Inverted F Antenna, 이하 PIFA라 칭함)는 소형 안테나의 하나이다. 상기 휴대단말기에 사용되는 PIFA타입의 경우, 사용 주파수의 1/4 파장
Figure pat00001
이 필요하다. 예를들면 GPS(1.575GHz 대역) 안테나의 경우 공기 중에서 4.7cm의 물리적인 길이가 필요하며, LTE(700 MHz 대역) 안테나의 경우 10.7cm의 물리적인 길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복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하여 다양한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해야 하는 현재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안테나들이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인해 휴대단말기의 크기를 작게 제조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 안테나의 공진은 안테나의 물리적 길이가 결정을 하므로 금형 수정 등 개발 진행 시 튜닝을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에 전기회로를 연결하여 wave resonance 대신 circuit resonance를 이용하는 소형 안테나 장치를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소형 안테나는 PCB에 프린트되거나 carrier와 같은 기구물 위에 형성된 일정 패턴의 금속 구조물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안테나 장치는 PCB 상에 구현된 비 대칭형 안테나 패턴 또는 기구물에 부착되어진 비대칭형 안테나 패턴의 양단 및 feeding line에 PCB에 전기회로(lumped element 혹은 interdigital 회로등)를 사용하여 electrical wavelength와 input impedance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가, 안테나 패턴과, 상기 안테나 패턴의 양단과 시스템 그라운드 사이에 각각 접속되는 제1전기회로 및 제2전기회로와, 상기 안테나 패턴과 급전선 사이에 위치되는 제3전기회로로 구성되며, 상기 제1전기회로 - 제2전기회로 및 제3전기회로에 의해 상기 안테나 패턴의 전기적인 파장을 확장하고 입력 임피던스 매칭을 향상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평판 역 F 안테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장치는 상기 안테나 패턴이 금속 재질이며, 상기 안테나 패턴의 일단은 회로기판의 제1패드를 통해 상기 제1전기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의 타단은 회로기판의 제2패드를 통해 상기 제2전기회로 및 제3전기회로에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패턴과, 상기 안테나 패턴의 양단과 시스템 그라운드 사이에 각각 접속되는 제1전기회로 및 제2전기회로와, 상기 안테나 패턴과 급전선 사이에 위치되는 제3전기회로로 구성되는 안테나장치와, 기지국으로부터 RF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기준 RF 파라미터 및 소자 변경값을 저장하는 변경 테이블을 구비하는 메모리와, 상기 수신된 RF 파라미터와 상기 기준파라미터를 비교하며, 기준 RF 파라미터를 벗어나면 기준 RF 파라미터를 만족할 때까지 전기회로 소자값을 변경하거나 미리 저장되어진 변경 테이블에 상응하는 소자 변경값을 상기 변경테이블에 억세스하여 전기회로 소자값을 변경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패턴과, 상기 안테나 패턴의 양단과 시스템 그라운드 사이에 각각 접속되는 제1전기회로 및 제2전기회로와, 상기 안테나 패턴과 급전선 사이에 위치되는 제3전기회로로 구성되는 안테나장치와, 기준 RF 파라미터 및 소자 변경값을 저장하는 변경 테이블을 구비하는 메모리와, 상기 안테나 장치에서 출력되는 RF 파라미터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RF 파라미터와 상기 기준파라미터를 비교하며, 기준 스펙을 벗어나면 상기 두 RF 파라미터의 차이값에 대응되는 소자 변경값을 상기 변경테이블에 억세스하여 상기 안테나장치의 대응되는 전기회로 소자값을 변경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안테나의 공진주파수 제어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RF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RF 파라미터와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는 기준파라미터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두 파라미터의 비교 값이 기준 스펙을 벗어나면 상기 두 RF 파라미터의 차이값에 대응되는 소자 변경값을 설정하며, 안테나장치의 대응되는 전기회로 소자값을 변경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테나장치는 안테나 패턴과, 상기 안테나 패턴의 양단과 시스템 그라운드 사이에 각각 접속되는 제1전기회로 및 제2전기회로와, 상기 안테나 패턴과 급전선 사이에 위치되는 제3전기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안테나의 공진주파수 제어 방법은, 안테나 패턴과, 상기 안테나 패턴의 양단과 시스템 그라운드 사이에 각각 접속되는 제1전기회로 및 제2전기회로와, 상기 안테나 패턴과 급전선 사이에 위치되는 제3전기회로로 구성된 안테나장치의 출력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RF 파라미터와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는 기준파라미터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두 파라미터의 비교 값이 기준 스펙을 벗어나면 상기 두 RF 파라미터의 차이값에 대응되는 소자 변경값을 설정하며, 안테나장치의 대응되는 전기회로 소자값을 변경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mall antenna 장치는 PCB나 기구물에 안테나 pattern을 구비하고 PCB상의 전기회로(active 혹은 passive 소자의 조합)를 안테나의 feeding line과 안테나 양끝에 접속함으로써, 안테나의 크기를 줄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공진점 변경시 접속된 전기회로를 튜닝하는 circuit resonance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안테나 공진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실장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인해 다기능화되어 다양한 무선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휴대단말기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공진점 변경시 금형을 통한 안테나 physical length 변경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접속된 전기회로를 튜닝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안테나 개발 시간 및 개발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PCB 상에 프린트 되어진 소형 안테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상기 도 1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소형 안테나의 등가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안테나 장치에서 공진 발생시 안테나의 전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PCB 상에 프린트 되어진 소형 안테나의 다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안테나가 휴대단말기의 특정 기구물에 부착되는 경우의 안테나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의 양 끝단 및 급전단에 전기회로를 접속하여 안테나의 길이 및 입력 임피던스를 매칭하는 소형 안테나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상기 도 6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안테나 장치에서 안테나 양단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변경에 따른 공진점의 변화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상기 도 6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안테나 장치에 급전점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변경에 따른 반향손실의 변화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서 전기회로를 변경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9와 같은 구성으로 안테나장치의 전기회로를 변경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안테나장치를 장착한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안테나장치의 공진주파수를 변경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안테나의 길이, 크기 및 주파수 등과 같은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무선통신 기능(LTE, GPS, BT, WIFI 등)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소형 안테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안테나장치는 PCB에 프린트되거나 carrier와 같은 기구물 위에 형성된 일정 패턴(프린트되거나 철구조물로 만들어지거나)의 양단 및/또는 급전점에 전기회로를 접속하는 구조를 가지며, wave resonance 대신 circuit resonance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안테나장치는 휴대단말기의 PCB에 위치되는 전기회로(lumped element 혹은 interdigital 회로등)를 안테나 패턴의 양단 및/또는 feeding line에 사용함으로써, electrical wavelength와 input impedance를 동시에 향상 시켜 기존 소형화 안테나에 비해 약 50%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패턴에 접속되는 전기회로를 통해 안테나 공진점의 튜닝을 수행하므로써, 기존 개발시 발생한 금형수정 시간이 필요하지 않아 개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안테나 장치는 피딩 라인을 불필요한 공진을 발생시키는 lumped element 대신 interdigital 회로를 통해 안테나 패턴에 접속하므로써 input impedance 향상을 시킬 수 있고 기존 lumped element가 가지는 tolerance를 줄일 수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소형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 패턴은 PCB 상에 구현된 비 대칭형 안테나 패턴이거나 기구물에 부착되어진 비대칭형 안테나 패턴이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안테나장치는 안테나 패턴의 양 끝단 및/또는 신호가 공급되는 급전선에 전기회로가 접속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안테나 패턴은 PCB 상에 구현된 안테나 패턴 또는 기구물에 부착되어진 금속물의 안테나 패턴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테나 패턴은 실장의 자유도를 위해 급전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회로는 전기적인 공진을 발생시키는 passive 소자 인 저항(R), 인덕터(L), 캐패시터(C) 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회로가 될 수 있으며, active 소자 인 FET, BJT, Diode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회로가 될 수 있고, 또한 상기 passive와 active 소자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소자는 chip형이거나 package형이거나 PCB에 구현된 interdigital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PCB 상에 프린트 되어진 small 안테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은 그라운드(ground plane)가 도시되지 않은 안테나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안테나110의 양 끝단에는 각각 전기회로120 및 130이 접속되고, 상기 전기회로 120 및 130은 각각 회로기판(PCB) 150에 접속된다. 그리고 급전점(FP, feeding point)에 연결되는 급전선(feedling line)은 전기회로140을 통해 안테나 110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전기회로120은 단락점(shorting point)에 접속되는 구조를 가지며, 전기회로230은 방사점(radiation point)에 접속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소형 안테나는 PIFA 타입의 안테나가 될 수 있다.
상기 PIFA(Planar Inverted-F Antenna)는 소형화가 가능하고, 휴대 단말기 등의 내부에 내장이 가능한 형태의 안테나로, 최근 크게 각광받고 있는 안테나이다. 상기 PIFA의 구성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 회로 기판(PCB) 150, 회로기판 150에 프린트되며 도체인 안테나 110, 전기회로140을 통해 안테나110에 접속되는 급전선, 상기 안테나110의 양 끝단에서 회로기판150의 도시하지 않은 시스템 그라운드(system ground)에 접속되는 전기회로120 및 130으로 구성되며, 전체 형상이 F자 형태를 가진다. 상기 PIFA는 커버할 수 있는 대역폭을 이동통신 대역(3G, 4G) 대역 및 부가 통신 대역(GPS, WiFi, Bluetooth 등)으로 맞출 수 있다.
상기와 같은 PIFA는 회로 기판15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급전점 Fp에 인가되면, 상기 전류는 급전선을 통해 안테나110에 전달되고, 상기 안테나110을 통해 및 전기회로를 통해 방사된다. 이때 상기 안테나 장치는 급전점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안테나110, 전기회로130 및 회로기판150의 시스템 그라운드, 전기회로120으로 이루어지는 전송 라인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순환되는 상기 전송 라인으로 인해 상기 안테나110, 전기회로 120 및 130은 공기 중의 전파를 수신하거나, 또는 공기 중으로 전파를 방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수행하는 PIFA 의 주요 요소는 대역폭(band width), 공진 주파수에서의 반사 손실(Return Loss), 임피던스 매칭 효율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안테나 장치의 공진 주파수는 안테나110의 물리적인 길이 큰 영향을 받으며, 이런 안테나110의 길이는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테나110의 공진은 안테나110의 물리적인 길이에 의해 결정되므로, 공진 주파수를 변경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안테나110의 길이를 튜닝하여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안테나 길이를 튜닝하는 방법은 안테나110의 금형을 튜닝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기회로120 및/또는 130을 가변시켜 동일한 물리적인 안테나110의 길이에서 eletrical length를 증가시켜 공진 주파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안테나장치는 전기회로120, 130 및/또는 140을 이용하여 안테나110의 길이를 줄이면서 eletrical length를 증가시키므로, 안테나 장치를 더 소형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전기회로120, 130 및/또는 140을 제어하여 안테나장치의 공진주파수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IFA는 PCB에 프린트 되어진 비대칭형 안테나 패턴110의 양단에 전기회로120 및 130을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전기회로120 및 130은 안테나장치의 electrical wavelength를 증가시키고 input impedance를 향상 시켜 안테나110의 물리적인 길이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전기회로120 및 130은 PCB 150상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테나110과 급전선(feeding line) 사이에 input impedance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기회로14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전기회로120-140은 interdigital 회로, lumped element, chip element 등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회로120-140은 인덕터(L)나 캐패시터(C) 혹은 인덕터(L)와 캐패시터(C)의 조합으로 구성된 회로이거나, active 소자인 Diode, FET, BJT로 구성된 회로 혹은 RF passive 와 active 소자의 조합 혹은 interdigital 회로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 1의 PIFA는 단락점과 안테나110 사이에 연결되는 전기회로120은 캐패시터를 사용하며, 가장 큰 에너지를 가지며 안테나110 사이에 연결되는 전기회로130은 인덕터를 사용하고, 급전점과 안테나110 사이에는 인터디지털회로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상기 도 1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소형 안테나의 등가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의 공진은 안테나110의 물리적인 길이에 가장 큰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상기 안테나100의 길이 변화는 LA,CA,RA의 변화
Figure pat00002
를 가져와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이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인 PIFA의 물리적인 공진 길이는 1/4 파장
Figure pat00003
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안테나110의 급전선에 input matching을 가변할 수 있는 전기회로140을 접속하고, 또한 상기 안테나 패턴( LA,CA,RA) 110의 양끝 단에 각각 전기회로120 및 130을 추가하여 안테나11-의 물리적인 길이 변화를 보상하여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2의 등가회로(equivalent circuit model)은 상기 전기회로 140을 캐패시터 Cp로 구성하고, 상기 전기회로120 및 130을 각각 캐패시터 Cs 및 인덕터 Ls로 구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소형 안테나 장치에서 전기회로140(여기서는 캐패시터 Cp)은 급전선의 입력 임피던스를 매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안테나110의 양측에 위치되는 전기회로120 및 130(여기서는 캐패시터 Cs 및 인덕터 Ls)은 안테나110의 길이 및 그라운드 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며, 전기회로120은 안테나110의 입력 임피던스를 매칭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소형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110의 양단 및 feeding line에 전기회로120-140을 접속하여 안테나110의 electrical wavelength와 input impedance를 동시에 향상 시킬 수 있다. 상기 도 2에서는 상기 전기회로120 및 130을 가변 전기회로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전기회로120 및 130에 하나만을 가변 전기회로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안테나 장치에서 공진 발생시 안테나의 전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급전점 Fp에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전류는 급전선 및 전기회로140을 통해 안테나110에 유입되며, 상기 안테나110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전기회로130에 가장 큰 에너지를 가지며 방사된다. 그리고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급전점에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안테나110, 전기회로130, 회로기판150의 시스템 그라운드, 전기회로120을 순환하는 전송라인을 형성하며, 이로인해 상기 전기회로120 및 130 및 안테나110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는 공진주파수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장치의 안테나110의 끝 부분에서 최대 에너지가 방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도 3은 안테나100의 길이를 고정시키고 상기 전기회로120 및/또는 130의 튜닝이 완료 되었을 경우 전기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기 전기회로를 통한 공진점 튜닝이 가능함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110의 물리적인 길이 외에 전기회로(lumped element등)를 이용하여 공진주파수를 변경시킬 수 있으며, 이로인해 안테나110의 패턴 수정에 따른 금형 수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PCB 상에 프린트 되어진 small 안테나의 다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4는 PIFA의 다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기 안테나110의 양 끝단에는 각각 전기회로120 및 130이 접속되고, 상기 전기회로 120 및 130은 각각 회로기판(PCB) 450에 접속된다. 그리고 급전점(FP, feeding point)에 연결되는 급전선(feedling line)은 전기회로140을 통해 안테나 410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전기회로 120이 인터디지털 회로로 구성되는 것 이외에 나머지 구성은 상기 도 1의 PIFA 구조와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인터디지털(interdigital) 회로의 장점은 기생파라미터가 칩 인덕터 및 캐패시턴보다 작으며, 이로인해 톨로런스(tolerance)를 낮게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터디지털 회로를 사용하면, 칩 회로를 사용할 때 보다 동일환경에서 정확한 주파수 튜닝이 가능하고, 기생 파라미터가 적어어 대역폭을 넓게 할 수 있고, 가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안테나110의 단락점(shorting point)은 미소한 값의 변화에도 주파수가 크게 변화되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100의 단락점에 접속되는 전기회로120은 인터디지털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안테나가 휴대단말기의 특정 기구물에 부착되는 경우의 안테나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110은 좌우 대칭인 형태로 도시하고 있지만, 장치의 기구물 공간 배치 특성에 따라 적절한 형태의 비대칭 안테나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금속 도체인 안테나110이 장치(예를들면 휴대단말기)의 특정 기구물에 부착되고, 상기 안테나110의 양 끝단이 각각 패드550 및 555를 통해 PCB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패드550에 전기회로120이 접속되고, 패드555에 전기회로140 및 전기회로130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전기회로120 및 130의 타단은 각각 시스템 그라운드에 접속되며, 상기 전기회로140의 타단은 급전점에 접속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도 5와 같은 안테나장치는 안테나110이 특정 기구물에 부착되고 안테나110의 양 끝단이 패드550 및 555를 통해 PCB 상에 위치되는 전기회로120-140에 접속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도 5에서 상기 안테나110은 금속 재질의 도체가 될 수 있으며, 기구물의 공간 특성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안테나100은 금속재질로써 대칭 또는 비대칭 형태로 패턴을 구성하여 장치의 기구물의 공간 특성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테나110의 양 끝단은 패드550 및 555를 통해 PCB에 접속되며, 상기 PCB는 상기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의 electrical length를 확장하며, 안테나110의 입력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수 있는 전기회로120-140을 구비하고, 이들 전기회로120-140은 상기 패드550 및 555를 통해 안테나110에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110이 특정 기구물에 부착되고, 안테나110의 양측과 feeding line이 전기 회로(lumped element나 interdigital회로)120-140으로 shorting된 회로가 PCB에 접속되어 있는 안테나 구조를 가진다.
상기 도 5와 같은 안테나장치의 동작은 상기 도 1의 안테나 장치와 동일하게 동작될 수 있다. 상기 도 4 및 도 5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안테나 장치의 등가회로는 상기 도 2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공진시의 전류 흐름도 도 3과 같은 흐름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장치는 상기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패턴의 형상이나 구현 위치(PCB 위 혹은 캐리어 혹은 휴대폰 외곽 기구물 등등)에 따른 제한은 없으며, 위치에 따른 유전율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공진점의 이동 등의 특성 변화는 전기회로(lumped element등) 튜닝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도 1, 도 4 및 도 5에서 전기회로120은 제1전기회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전기회로130은 제2전기회로가 될 수 있고, 상기 전기회로140은 제3전기회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5에서 패드550 및 555는 안테나110과 PCB가 접속되는 패드로써, 상기 패드550은 제1패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패드555는 제2패드가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의 양 끝단 및 급전단에 전기회로를 접속하여 안테나의 길이 및 입력 임피던스를 매칭하는 소형 안테나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6은 PIFA 구조로 예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은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가 4.4이고, 두께가 0.8mm이며, 크기가 70mm*40mm인 PCB에서, PIFA 타입의 안테나를 크기가 8mm*4.5mm의 크기로 구현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PIFA 타입의 안테나는 양 끝단에 전기회로(lumped element alc interdigital structure)가 접속된다. 이때 상기 도 6의 안테나장치는 전기회로를 접속할 때, 안테나110의 단락점에 캐패시터를 접속하고, 안테나110의 최대 에너지를 가지는 다른 쪽 끝단에 인덕터를 연결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런 경우, 인더턴스와 캐패시턴스를 증가시키면, wave resonance 대신에 circuit resonance를 사용하게 되어 공진주파수는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가 안테나110의 동작주파수를 가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안테나110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는 상기 도 6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안테나 장치에서 안테나 양단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변경에 따른 공진점의 변화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7a는 인덕터의 변화에 따른 안테나의 반향 손실(return loss)의 변화 특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7b는 캐패시터의 변화에 따른 안테나의 반향 손실(return loss)의 변화 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2.0nH의 인덕턴스 및 0.6pF의 캐패시턴스에서 최적의 반향손실(optimum return loss)을 획득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상기 도 6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안테나 장치에 급전점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변경에 따른 반향손실의 변화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급전점의 전기회로는 interdigital 구조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interdigital 구조는 안테나의 동작주파수 및 입력 임피던스에 영향을 미친다. 이때 meander line length(L)이 증가되면 interdigital 구조에 의해 임피던스도 커진다. 상기 도 8은 meander line length(L)이 0.8mm일 때 입력포트의 임피던스 매칭이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a -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10의 패턴을 고정하고, 상기 안테나110의 양단에 단락(shorting)된 전기회로120 및 130들을 접속하고, 상기 전기회로120 및 130들의 소자 값을 변화시키면 안테나110의 공진점이 변화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전선에 접속되는 전기회로140의 소자값을 변화시키면, 안테나110의 양단에 접속된 전기회로120 및 140에 의해 조정된 공진 주파수의 반향 손실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서 전기회로를 변경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와 같은 구성으로 안테나장치의 전기회로를 변경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측정장치900은 안테나 장치의 각부 동작을 측정하는 장치이며,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도 1, 도 4 또는 도 5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도 4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측정장치는 공정의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이나 최적의 주파수 채널을 탐색하기 위해 안테나장치의 각 전기회로120-140의 근접 위치의 신호들 중에서 적어도 한 신호를 궤환 입력한다. 이때 상기 측정장치900이 신호를 궤환 입력하는 위치는 단락점(shorting point)과 안테나110 사이에 접속되는 전기회로120에 근접되는 안테나110의 위치911, 안테나110의 다른 끝단에 위치되는 전기회로130에 근접되는 안테나 위치915 및/또는 급전점과 전기회로140의 사이의 급전선 위치913이 될 수 있다. 상기 위치911-915들 중에서 최소 한 곳의 신호를 궤환 입력하는 측정장치900은 상기 궤환신호를 이용하여 TIS/TRP, BER, 이득(gain), 효율 등의 RF 파라미터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측정장치900은 미리 설정된 RF 파라미터의 기준값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계산된 RF 파라미터와 기준값을 비교하여 설정된 주파수가 아니면(spec out), 상기 전기회로120-140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회로의 소자 값을 변경하여 공진주파수를 변경시킨다.
즉, 상기 측정장치900은 1011단계에서 상기 위치911-915들 중에서 적어도 한 위치의 신호를 궤환입력한 후, 상기 궤환신호의 RF 파라미터를 측정한다. 이후 상기 측정장치는 1013단계에서 상기 측정된 RF 파라미터와 미리 설정된 기준 RF 파라미터를 비교한다. 이때 상기 안테나장치가 설정된 spec을 벗어나는 공진 주파수를 발생하면(spec out), 상기 측정장치900은 10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1015단계에서 상기 전기회로120-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회로의 소자 값을 변경하며, 이외 같은 동작은 상기 안테나장치가 설정된 spec 내의 공진 주파수를 발생할 때 까지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1013단계에서 상기 안테나장치가 설정된 spec 내의 공진 주파수를 발생하면, 상기 측정장치900은 상기 전기회로120-140의 조정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1011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 도 1, 도 4 또는 도 5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소형 안테나장치는 휴대단말기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안테나장치를 장착한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안테나장치1110은 상기 도 1, 도 4 또는 도 5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안테나장치1110은 안테나110의 패턴 양 끝단 및/또는 신호가 공급되는 급전선에 각각 전기회로120-140이 접속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안테나110은 PCB 150상에 구현된 안테나 패턴 또는 기구물에 부착되어진 금속물의 안테나 패턴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테나110은 실장의 자유도를 위해 급전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기회로120-140은 전기적인 공진을 발생시키는 passive 소자, active 소자가 될 수 있고, 상기 전기회로120-140의 전기소자는 chip형, package형 또는 PCB에 구현된 interdigital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장치1100은 설정된 대역폭의 주파수를 수신 및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 장치1100은 기지국과 통신하는 안테나인 경우 LTE, WCDMA 또는 GSM 등의 안테나가 될 수 있으며, 인터넷 망과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인 경우에는 WIFI 또는 WIBRO 등의 안테나가 될 수 있고, 또한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인 경우 NFC 또는 Bluetooth 등의 안테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안테나장치1100이 기지국 통신용 안테나인 경우로 가정하며, 이런 경우 상기 안테나장치1100은 기지국 통신부11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안테나장치1100이 기지국 통신용 안테나가 아닌 경우, 상기 통신부1130은 도시하지 않은 기지국 통신용 안테나와 접속되며, 상기 안테나장치1100은 상기 기지국 통신부1130과 연결되지 않는 구성을 가진다.
통신부1130은 기지국과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130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frequency up converter) 및 전력 증폭하는 송신부와,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주파수를 하강변환(frequency down converter)하는 수신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은 변조부 및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부는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송신부에 전달하며, 복조부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한다. 이런 경우, 상기 변복조부는 LTE, WCDMA, GSM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111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RF 파라미터를 확인하며, 기준 RF 파라미터와 다르면 상기 안테나장치1100의 전기회로의 소자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120은 단말기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테이블들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메모리11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RF 파라미터 및 상기 안테나장치1100의 전기회로 소자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변경 테이블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10이 노이즈나 일정 패턴이 없는 무선채널의 특성상 기준값인 스펙에 만족할 때까지 소자값을 조금씩 변화해 가는 active 형태로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메모리1120은 변경 테이블은 구비하지 않는다. 즉 상기 제어부1110은 상기 안테나장치1100의 전기회로의 소자값을 변경할 때, 상기 메모리1120의 소자값 변경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소자값 변경 테이블을 구비하지 않고 상기 소자값들을 조금씩 변화시켜 스펙만족할 때의 값을 찾아가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표시부1150은 상기 제어부1110의 제어하에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및 이미지 등을 표시하는 LCD 또는 OLED 패널이 될 수 있다. 입력부1140은 터치패널로써,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110에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 1140 및 표시부1150은 일체형의 터치스크린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RF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안테나장치1110의 전기회로120-140 중의 적어도 한 전기회로의 소자값을 변경하여 공진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공정에서 calibration되어 휴대단말기에 실장된 경우, 외부 및 내부 환경에 의해 상기 안테나장치의 주파수 공진 값이 틀어질 수 있다. 이런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안테나장치1100은 내부의 전기회로120-140의 소자값을 변경하여 원하는 공진 주파수를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안테나장치1100의 공진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단말기 자체적으로 안테나장치1100의 출력을 측정하여 안테나장치1100의 공진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의 방법은 휴대단말기가 최적의 주파수 채널을 찾기 위해 안테나의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기지국이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로부터 TIS/TRP, BER, Gain, 효율 등과 같은 RF Parameter를 측정하여 휴대단말기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메모리1120에 저장된 기준 RF parameter와 상기 수신되는 RF 파라미터를 비교하여 필요한 경우 상기 안테나장치1100의 전기회로를 변경하여 안테나장치1100의 공진주파수를 변경한다. 그리고 상기 후자의 방법은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110이 상기 도 9와 같이 상기 안테나장치1100의 각 위치911-915에서 궤환신호를 측정하여 RF 파라미터를 구하고, 상기 RF 파라미터를 저장하고 있는 기준 RF 파라미터와 비교하여 안테나장치1100의 전기회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안테나장치의 공진주파수를 변경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2는 기지국으로부터 RF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안테나장치1100의 공진 특성을 변경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기지국으로부터 RF 파라미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10은 12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1213단계에서 상기 메모리1120에 저장하고 있는 기준 RF 파라미터와 상기 수신된 RF 파라미터를 비교한다. 이때 상기 수신된 RF 파라미터가 설정 기준 파라미터의 범위를 벗어나면, 즉 스펙 범위를 벗어나면(spec out), 상기 제어부1110은 12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1215단계에서 상기 메모리1120의 변경 테이블에서 상기 대응되는 변경 데이터를 억세스한 후, 1217단계에서 상기 안테나장치1100의 전기회로120-140들 중에서 대응되는 전기회로의 소자값을 변경한다. 그려면 상기 안테나장치1100은 소자값이 변경된 전기회로에 의해 설정된 대역의 주파수로 공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테나1100의 전기회로의 소자값 변경은 상기 전기회로120-140, 또는 전기회로 120-140들 중의 2개, 또는 전기회로 120-140들 중의 어느 하나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1120의 변경테이블은 상기 기준 RF 파라미터와 수신된 RF 파라미터의 차이에 따라 각각 대응되는 설정된 전기회로의 소자 변경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10은 상기 1215단계에서 전기회로120-140의 소자값을 변경할 때 상기 기준 파라미터와 수신된 RF 파라미터의 차이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차이값에 대응되는 변경테이블의 전기회로 소자값을 억세스하여 상기 안테나장치1100의 대응되는 전기회로의 소자 값을 변경시키면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1120이 소자값 변경 테이블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110은 상기 두 파라미터의 비교 값이 기준 스펙을 벗어나면, 상기 안테나장치1100의 전기회로 소자값을 변경하며, 이때 기준 RF 파라미터의 스펙을 만족할 때까지 안테나장치의 대응되는 전기회로 소자값을 변경시키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10은 변경값을 미리 정해 두어 passive하게 설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노이즈나 일정 패턴이 없는 무선채널의 특성상 기준값인 스펙에 만족할 때까지 소자값을 조금씩 변화해 가는 active 형태도 가능합니다. 즉 소자값 변경테이블이 있어도 되고 없어도 조금씩 변화시켜 스펙을 만족할때의 값을 찾아가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도 12는 기지국으로부터 RF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경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1110이 상기 도 9와 같은 방법으로 안테나장치110의 출력을 궤한 입력하여 RF 파라미터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110은 상기 도 12의 1211단계에서 상기 안테나장치1100의 출력을 궤환 입력하여 RF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1213단계에서 저장하고 있는 기준 RF 파라미터와 비교한 후 이후의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5)

  1.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안테나 패턴과,
    상기 안테나 패턴의 양단과 시스템 그라운드 사이에 각각 접속되는 제1전기회로 및 제2전기회로와,
    상기 안테나 패턴과 급전선 사이에 위치되는 제3전기회로로 구성되며,
    상기 제1전기회로, 제2전기회로 및 제3전기회로에 의해 상기 안테나 패턴의 전기적인 파장을 확장하고 입력 임피던스 매칭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선을 기준으로 상기 안테나 패턴이 비대칭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기회로 - 제3전기회로는 패시브소자, 액티브소자 또는 패시브소자 및 액티브소자를 혼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는 칩형, 패키지형 또는 인터디지털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기회로는 단락점과 안테나 패턴의 일단 사이에 연결되는 캐패시터이고, 상기 제2전기회로는 안테나 패턴의 타단과 시스템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는 캐패시터이며, 상기 제3전기회로는 인터디지털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장치는 평판 역 F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은 금속 재질이며, 상기 안테나 패턴의 일단은 회로기판의 제1패드를 통해 상기 제1전기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의 타단은 회로기판의 제2패드를 통해 상기 제2전기회로 및 제3전기회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휴대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안테나 패턴과, 상기 안테나 패턴의 양단과 시스템 그라운드 사이에 각각 접속되는 제1전기회로 및 제2전기회로와, 상기 안테나 패턴과 급전선 사이에 위치되는 제3전기회로로 구성되는 안테나장치와,
    기지국으로부터 RF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기준 RF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수신된 RF 파라미터와 상기 기준 RF 파라미터를 비교하며, 기준 스펙을 벗어나면 상기 스펙을 만족할 때 까지 상기 안테나장치의 대응되는 전기회로 소자값을 변경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장치는 평판 역 F 안테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은 금속 재질이며, 상기 안테나 패턴의 일단은 회로기판의 제1패드를 통해 상기 제1전기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의 타단은 회로기판의 제2패드를 통해 상기 제2전기회로 및 제3전기회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휴대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안테나 패턴과, 상기 안테나 패턴의 양단과 시스템 그라운드 사이에 각각 접속되는 제1전기회로 및 제2전기회로와, 상기 안테나 패턴과 급전선 사이에 위치되는 제3전기회로로 구성되는 안테나장치와,
    기준 RF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안테나 장치에서 출력되는 RF 파라미터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RF 파라미터와 상기 기준 RF 파라미터를 비교하며, 스펙을 벗어나면 상기 스펙을 만족할 때 까지 상기 안테나장치의 대응되는 전기회로 소자값을 변경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장치는 평판 역 F 안테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은 금속 재질이며, 상기 안테나 패턴의 일단은 회로기판의 제1패드를 통해 상기 제1전기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의 타단은 회로기판의 제2패드를 통해 상기 제2전기회로 및 제3전기회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휴대단말기의 안테나의 공진주파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RF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RF 파라미터와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는 기준 RF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두 RF 파라미터의 비교 값이 기준 스펙을 벗어나면 상기 스펙을 만족할 때 까지 안테나장치의 대응되는 전기회로 소자값을 변경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테나장치는 안테나 패턴과, 상기 안테나 패턴의 양단과 시스템 그라운드 사이에 각각 접속되는 제1전기회로 및 제2전기회로와, 상기 안테나 패턴과 급전선 사이에 위치되는 제3전기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휴대단말기의 안테나의 공진주파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안테나 패턴과, 상기 안테나 패턴의 양단과 시스템 그라운드 사이에 각각 접속되는 제1전기회로 및 제2전기회로와, 상기 안테나 패턴과 급전선 사이에 위치되는 제3전기회로로 구성된 안테장치의 출력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RF 파라미터와 기준 RF파라미터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두 파라미터의 비교 값이 기준 스펙을 벗어나면 상기 스펙을 만족할 때 까지 안테나장치의 대응되는 전기회로 소자값을 변경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20004448A 2012-01-13 2012-01-13 소형 안테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74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448A KR101874892B1 (ko) 2012-01-13 2012-01-13 소형 안테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3/727,205 US9306288B2 (en) 2012-01-13 2012-12-26 Small antenna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2199709.2A EP2615684A3 (en) 2012-01-13 2012-12-28 Small antenna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9190591.8A EP3582322A1 (en) 2012-01-13 2012-12-28 Small antenna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RU2014128616A RU2615594C2 (ru) 2012-01-13 2013-01-10 Устройство малой антенны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CN201811187470.8A CN109346824A (zh) 2012-01-13 2013-01-10 小型天线设备和用于控制所述小型天线设备的方法
BR112014017363-0A BR112014017363B1 (pt) 2012-01-13 2013-01-10 Aparelho de antena e terminal móvel
CN201380005387.3A CN104040791A (zh) 2012-01-13 2013-01-10 小型天线设备和用于控制所述小型天线设备的方法
CA2860620A CA2860620A1 (en) 2012-01-13 2013-01-10 Small antena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same
AU2013208393A AU2013208393B2 (en) 2012-01-13 2013-01-10 Small antena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same
PCT/KR2013/000208 WO2013105798A1 (en) 2012-01-13 2013-01-10 Small antena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same
JP2014552127A JP6452445B2 (ja) 2012-01-13 2013-01-10 小型アンテナ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5/082,280 US10128883B2 (en) 2012-01-13 2016-03-28 Small antenna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6/155,248 US10680671B2 (en) 2012-01-13 2018-10-09 Small antenna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6/884,487 US11031965B2 (en) 2012-01-13 2020-05-27 Small antenna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7/337,713 US11509340B2 (en) 2012-01-13 2021-06-03 Small antenna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448A KR101874892B1 (ko) 2012-01-13 2012-01-13 소형 안테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685A true KR20130083685A (ko) 2013-07-23
KR101874892B1 KR101874892B1 (ko) 2018-07-05

Family

ID=47458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448A KR101874892B1 (ko) 2012-01-13 2012-01-13 소형 안테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5) US9306288B2 (ko)
EP (2) EP3582322A1 (ko)
JP (1) JP6452445B2 (ko)
KR (1) KR101874892B1 (ko)
CN (2) CN109346824A (ko)
AU (1) AU2013208393B2 (ko)
BR (1) BR112014017363B1 (ko)
CA (1) CA2860620A1 (ko)
RU (1) RU2615594C2 (ko)
WO (1) WO20131057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074A (ko) * 2014-06-30 2016-01-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안테나를 이용한 기판 물성 측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892B1 (ko) * 2012-01-13 2018-07-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소형 안테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5135188A1 (zh) * 2014-03-13 2015-09-17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天线及终端
US10141652B2 (en) 2014-08-28 2018-11-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Antenna apparatus and device
US10312582B2 (en) 2016-05-27 2019-06-04 Futurewei Technologies, Inc. Closed loop aperture tunable antenna
US10998622B2 (en) 2016-07-21 2021-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332117B1 (ko) * 2016-07-21 2021-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027881A (ko) * 2016-09-07 2018-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9861404B (zh) * 2019-02-20 2022-09-27 东北大学 一种无线电能传输系统
JP7216576B2 (ja) 2019-03-05 2023-02-0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アンテナ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7507A (en) 1979-08-15 1981-03-17 Pioneer Electronic Corp Loop antenna unit
JPH0690108A (ja) * 1992-09-07 1994-03-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小型アンテナ及びその製造方法
FR2699740B1 (fr) * 1992-12-23 1995-03-03 Patrice Brachat Antenne large bande à encombrement réduit, et dispositif d'émission et/ou de réception correspondant.
SE507077C2 (sv) * 1996-05-17 1998-03-23 Allgon Ab Antennanordning för en portabel radiokommunikationsanordning
JP3114621B2 (ja) 1996-06-19 2000-12-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信機
JPH11239020A (ja) 1997-04-18 1999-08-31 Murata Mfg Co Ltd 円偏波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装置
KR100285950B1 (ko) * 1997-12-26 2001-04-16 윤종용 인체의영향을최소화시키는휴대용전화기의안테나회로를구현하는방법
JP2000332523A (ja) * 1999-05-24 2000-11-30 Hitachi Ltd 無線タグ、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配置方法
CN1370340A (zh) 2000-06-14 2002-09-18 三菱电机株式会社 阻抗匹配电路及天线装置
US6937195B2 (en) 2001-04-11 2005-08-30 Kyocera Wireless Corp. Inverted-F ferroelectric antenna
CN1254925C (zh) * 2001-09-27 2006-05-03 株式会社东芝 便携式无线电设备
KR20050086733A (ko) * 2002-11-18 2005-08-30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복수 대역용 안테나
JP3931163B2 (ja) 2003-08-14 2007-06-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ンテナ整合装置
KR101007529B1 (ko) 2003-12-25 2011-01-14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안테나 장치 및 통신기기
KR100623079B1 (ko) * 2004-05-11 2006-09-19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적층 구조 다중 대역 안테나
JP2006101486A (ja) 2004-08-30 2006-04-13 Mitsubishi Materials Corp 無線通信モジュール及び無線通信装置
KR100649495B1 (ko) 2004-09-06 2006-11-24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JP2006093990A (ja) 2004-09-22 2006-04-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平面アンテナ装置
US8000737B2 (en) * 2004-10-15 2011-08-16 Sky Cros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daptively controlling antenna parameters to enhance efficiency and maintain antenna size compactness
JP4606843B2 (ja) 2004-11-01 2011-01-05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モジュール、通信端末、およびインピーダンス整合方法
KR100664561B1 (ko) 2004-12-24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특성 튜닝 방법 및 이를이용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JP4238915B2 (ja) * 2005-06-17 2009-03-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通信機
JP2007180757A (ja) 2005-12-27 2007-07-12 Yokowo Co Ltd 複数周波数帯用アンテナ
US8125399B2 (en) * 2006-01-14 2012-02-28 Paratek Microwave, Inc. Adaptively tunable antennas incorporating an external probe to monitor radiated power
JP4775771B2 (ja) 2006-07-28 2011-09-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通信機
JP4714876B2 (ja) * 2006-08-10 2011-06-29 独立行政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アンテナ
US7595759B2 (en) 2007-01-04 2009-09-29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s with isolated antennas
JP2008172672A (ja) * 2007-01-15 2008-07-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ンテナ
US8339321B2 (en) * 2007-08-09 2012-12-25 Panasonic Corporation Antenna device and portable radio apparatus
JP2009077028A (ja) * 2007-09-19 2009-04-09 Ngk Spark Plug Co Ltd アンテナ装置、および、通信装置
JP4835572B2 (ja) * 2007-10-16 2011-12-14 日立電線株式会社 同調型アンテナ
KR101139741B1 (ko) 2007-10-26 2012-04-26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안테나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무선 통신기
KR20090085321A (ko) 2008-02-04 2009-08-07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튜닝 가능한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8614646B2 (en) 2008-03-14 2013-12-24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tunable antennas for wireless devices
KR20090111519A (ko) 2008-04-22 2009-10-2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메타머티리얼 등가전송선로를 이용한 지상파 디엠비용 내장안테나와 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및 휴대용 단말기
KR101480555B1 (ko) 2008-06-19 2015-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JP2010041071A (ja) 2008-07-31 2010-02-18 Toshiba Corp アンテナ装置
GB0817237D0 (en) * 2008-09-22 2008-10-29 Antenova Ltd Tuneable antennas suitable for portable digitial television receivers
US8447255B2 (en) 2008-10-28 2013-05-2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Variable impedance matching network and method for the same
CN201378620Y (zh) 2009-02-05 2010-01-06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天线连接电路及具有所述电路的移动通信终端
TWI451628B (zh) * 2009-03-17 2014-09-01 Hon Hai Prec Ind Co Ltd 具有天線結構之電子設備
JP4856226B2 (ja) 2009-09-24 2012-01-18 株式会社東芝 無線端末
EP2458681B1 (en) * 2009-11-13 2019-07-03 Hitachi Metals, Ltd. Frequency variable antenna circuit, antenna component constituting the sam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ose
JP5531582B2 (ja) 2009-11-27 2014-06-25 富士通株式会社 アンテナ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WO2011086723A1 (ja) 2010-01-18 2013-05-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及び無線通信装置
KR101700744B1 (ko) * 2010-01-29 201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JP2011176653A (ja) * 2010-02-25 2011-09-08 Fujitsu Component Ltd アンテナ装置
JP4998582B2 (ja) 2010-04-16 2012-08-15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無線通信装置
US8644779B2 (en) 2010-05-12 2014-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ntenna matching in mobile device
CN202094292U (zh) 2011-05-31 2011-12-28 深圳光启高等理工研究院 蓝牙模块及应用蓝牙模块的设备
JP3171941U (ja) * 2011-09-13 2011-11-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アンテナ一体型gps受信モジュール
KR101874892B1 (ko) * 2012-01-13 2018-07-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소형 안테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074A (ko) * 2014-06-30 2016-01-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안테나를 이용한 기판 물성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11874A1 (en) 2016-07-21
EP2615684A2 (en) 2013-07-17
AU2013208393B2 (en) 2016-09-22
RU2014128616A (ru) 2016-01-27
CA2860620A1 (en) 2013-07-18
BR112014017363A2 (pt) 2017-06-13
JP2015503880A (ja) 2015-02-02
CN109346824A (zh) 2019-02-15
US11031965B2 (en) 2021-06-08
RU2615594C2 (ru) 2017-04-05
US11509340B2 (en) 2022-11-22
BR112014017363A8 (pt) 2017-07-04
CN104040791A (zh) 2014-09-10
US10680671B2 (en) 2020-06-09
JP6452445B2 (ja) 2019-01-16
WO2013105798A1 (en) 2013-07-18
BR112014017363B1 (pt) 2022-05-17
EP2615684A3 (en) 2014-03-26
US10128883B2 (en) 2018-11-13
US20210288686A1 (en) 2021-09-16
US9306288B2 (en) 2016-04-05
US20190044558A1 (en) 2019-02-07
KR101874892B1 (ko) 2018-07-05
EP3582322A1 (en) 2019-12-18
US20200287581A1 (en) 2020-09-10
AU2013208393A1 (en) 2014-07-03
US20130184038A1 (en)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9340B2 (en) Small antenna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3178327B (zh) 用于控制可调谐天线系统的方法和装置
CN103236583B (zh) 一种增强带宽的新型lte金属框天线
US7345634B2 (en) Planar inverted “F” antenna and method of tuning same
KR20060029688A (ko) 안테나 디바이스와 그 안테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휴대가능한 무선통신 디바이스
KR102036046B1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070051292A (ko) 안테나 장치 및 그러한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무선통신 장치
US20140002315A1 (en) Antenna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48038B1 (ko) 다중대역 안테나
JP3982692B2 (ja) アンテナ装置
US11239561B2 (en) Patch antenna f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s
KR102401957B1 (ko) 광대역 특성을 갖는 이중대역 루프형 그라운드 방사 안테나
Dai et al. Design of an internal multi-band loop antenna for multiple mobile handset operations
KR20110003679A (ko) 접지면 패치를 이용한 모노폴 칩 안테나
KR200361908Y1 (ko) 독립적인 공진주파수 대역 조정이 가능한 다중대역내장형 안테나
KR20210156403A (ko) 다중대역 안테나
Higaki et al. Multiband Automatic Tunable Antenna System Based on the Received Power of a Probe
KR20090020038A (ko) 가변 접지 어레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