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3071A -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3071A
KR20130083071A KR1020110145238A KR20110145238A KR20130083071A KR 20130083071 A KR20130083071 A KR 20130083071A KR 1020110145238 A KR1020110145238 A KR 1020110145238A KR 20110145238 A KR20110145238 A KR 20110145238A KR 20130083071 A KR20130083071 A KR 20130083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user
ranking
list
belo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위즈게임즈 filed Critical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to KR1020110145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3071A/ko
Priority to PCT/KR2012/010092 priority patent/WO2013100389A1/ko
Publication of KR20130083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0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 시,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하는 사용자의 능력 치가 향상된 상태로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도록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모드를 게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은 게임 운영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들끼리 대전할 수 있는 게임 모드인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게임 리스트 중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승리 시 획득 가능한 포인트 순으로 멀티 플레이 모드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정렬한 결과,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 중,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를, 다른 게임 리스트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 및 서버{METHOD AND SERVER FOR DISPLAY GAME LIST IN ONLINE GAME}
본 발명은 사용자들끼리 대전할 수 있는 게임 모드인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승리 시 획득 가능한 포인트 순으로 멀티 플레이 모드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정렬한 결과,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 시,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하는 사용자의 능력 치가 향상된 상태로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도록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모드를 게임 화면에 표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그래픽 기술의 발달과 함께, 온라인 네트워크 서비스의 발달에 따라, 게임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게임 콘텐츠는, 사용자들이 가상 세계에서 자신을 대행하는 캐릭터를 조작하거나, 실제 현실에 존재하는 다양한 객체들을 조작하여 대리 만족을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가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판타지 세계에서 자신을 대신하는 캐릭터를 생성하고, 캐릭터의 레벨을 높여가며 다양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가상 세계에서 현실에서의 스트레스를 풀고, 재미를 느낄 수 있다.
또는, 스포츠 게임 등에서는, 현실에 존재하는 축구 선수들을 구현한 캐릭터를 조작함으로써, 자신이 축구 게임의 감독, 선수 및 구단주가 되어 볼 수 있게 하여, 대리 만족을 느낄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재미를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 시,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하는 사용자의 능력 치가 향상된 상태로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도록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모드를 게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은 게임 운영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들끼리 대전할 수 있는 게임 모드인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게임 리스트 중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승리 시 획득 가능한 포인트 순으로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정렬한 결과,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 중,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를, 다른 게임 리스트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더 높은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를 더 낮은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 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 중 동일한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 중 동일한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먼저 생성된 게임 리스트를 나중에 생성된 게임 리스트 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지시수단을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 중 어느 한 영역에 위치시키면,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시,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하는 사용자의 능력치가 향상된 상태로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에, 순위를 식별할 수 있도록 순위 별로 다르게 순위 식별 정보를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은 게임 운영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들끼리 대전할 수 있는 게임 모드인 멀티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들끼리 대전 게임이 성사된 경우, 상기 사용자들 중,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승리 시 획득 가능한 포인트 순으로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정렬한 결과,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전 게임 플레이 시,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의 상대방 사용자의 능력치를 기설정된 수치만큼 향상하여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상기 능력치가 보정된 사용자 사이의 대전 게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게임 리스트 중,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를, 다른 게임 리스트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더 높은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를 더 낮은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 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 중 동일한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 중 동일한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먼저 생성된 게임 리스트를 나중에 생성된 게임 리스트 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지시수단을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 중 어느 한 영역에 위치시키면,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시,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하는 사용자의 능력치가 향상된 상태로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된 게임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 입력된 게임 리스트에 대응하는 게임에 상기 사용자를 참여시켜, 상기 사용자들끼리의 대전 게임이 성사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서버는 사용자들끼리 대전할 수 있는 게임 모드인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게임 리스트 중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승리 시 획득 가능한 포인트 순으로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정렬한 결과,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를 선택하는 리스트 추출/선택부; 및 상기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 중,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를, 다른 게임 리스트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들끼리 대전할 수 있는 게임 모드인 멀티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들끼리 대전 게임이 성사된 경우, 상기 사용자들 중,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승리 시 획득 가능한 포인트 순으로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정렬한 결과,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전 게임 플레이 시,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의 상대방 사용자의 능력치를 기설정된 수치만큼 향상하여 보정하고,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상기 능력치가 보정된 사용자 사이의 대전 게임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공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추출/선택부는 상기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게임 리스트 중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를, 다른 게임 리스트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더 높은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를 더 낮은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 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 중 동일한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먼저 생성된 게임 리스트를 나중에 생성된 게임 리스트 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지시수단을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 중 어느 한 영역에 위치시키면,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시,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하는 사용자의 능력치가 향상된 상태로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에, 순위를 식별할 수 있도록 순위 별로 다르게 순위 식별 정보를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들끼리 대전할 수 있는 게임 모드인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게임 리스트 중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승리 시 획득 가능한 포인트 순으로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정렬한 결과,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 중,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를, 다른 게임 리스트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게임 운영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들끼리 대전할 수 있는 게임 모드인 멀티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들끼리 대전 게임이 성사된 경우, 상기 사용자들 중,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승리 시 획득 가능한 포인트 순으로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정렬한 결과,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전 게임 플레이 시,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의 상대방 사용자의 능력치를 기설정된 수치만큼 향상하여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상기 능력치가 보정된 사용자 사이의 대전 게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 시,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하는 사용자의 능력 치가 향상된 상태로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도록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모드를 게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게임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게임 접속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2는 도 1 중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임 리스트 우선 순위 표시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3은 도 1 중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게임 리스트 우선 순위 표시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서버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라 적용되는 게임 화면의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 및 서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게임 서버”란,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게임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하게 되는 서버 컴퓨터를 의미한다. 용량이 작거나 이용자 수가 작은 게임의 경우 하나의 게임 서버에 다수의 게임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용량이 매우 크거나 실시간 접속 인원 수가 많은 게임의 경우, 게임의 기능에 따라서 하나의 게임의 운영을 위한 게임 서버가 하나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게임 서버에는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미들웨어나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들이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온라인 게임은, 상기 언급한 게임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게임 콘텐츠를 의미한다. 특히, 게임 상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접속하여 즐길 수 있으며, 게임을 진행하여 캐릭터를 육성하면서 경험치를 획득하는 등의 행위를 통해 레벨을 상승시키는 게임을 의미한다. 또한, 게임 상에서 게임의 진행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게임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구현하는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들끼리 대전할 수 있는 게임 모드인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를 추출 하는 단계(S11)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게임 플레이는 게임 상에서 사용자가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단위 게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스포츠 게임의 경우, 각 스포츠 게임의 경기를 의미한다.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는 게임 생성 번호, 싱글, 더블 등과 같은 게임 모드, 게임 시간 및 게임 상태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 추출이 완료되면, 서버는 추출된 게임 리스트 중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승리 시 획득 가능한 포인트 순으로 멀티 플레이 모드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정렬한 결과,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를 선택하는 단계(S12)를 수행한다.
이후, 서버는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 중,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를, 다른 게임 리스트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13)를 수행한다.
서버는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에, 순위를 식별할 수 있도록 순위 별로 다르게 순위 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순위 식별정보는 컬러, 이미지, 텍스트 일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순위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리스트는 순위에 따라 다른 컬러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위가 1등인 게임 리스트는 금색으로, 순위가 2등이 게임 리스트는 은색으로, 순위가 3등이 게임 리스트는 동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컬러로 표시된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리스트는 추출된 사용자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 보다 상위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리스트에 순위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위가 1등인 게임 리스트에는 1등을 나타내는 손 모양의 이미지(주먹을 쥔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을 치켜올린 이미지)를, 순위가 2등이 게임 리스트에는 2등을 나타내는 손 모양의 이미지(주먹을 쥔 상태에서 검지와 중지를 치켜올린 이미지)를, 순위가 3등이 게임 리스트에는 3등을 나타내는 손 모양의 이미지(주먹을 쥔 상태에서 검지, 중지, 약지를 치켜올린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이미지로 표시된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리스트는 추출된 사용자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 보다 상위에 표시된다.
또한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리스트에 순위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위가 1등인 게임 리스트에는 "현재 순위가 1등 입니다"라는 텍스트를, 순위가 2등이 게임 리스트에는 "현재 순위가 2등 입니다"라는 텍스트를, 순위가 3등이 게임 리스트에는 "현재 순위가 3등 입니다"라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텍스트로 표시된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리스트는 추출된 사용자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 보다 상위에 표시된다.
또한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리스트 영역에 지시수단을 위치시키면, 기설정된 순위 내의 사용자가 있어,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시,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하는 사용자의 능력치가 향상된 상태로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이를 인식하게 할 수 있다.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순위 밖에 있는 사용자가 대전 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승리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순위가 낮은 사용자들은 순위가 높은 사용자와 게임하는 것을 회피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하는 사용자의 능력 치가 향상된 상태로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게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게임 접속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 중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임 리스트 우선 순위 표시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가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리스트를, 다른 게임 리스트 보다 상위에 표시할 때,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21)를 수행한다.
판단 결과,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서버는 더 높은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를 더 낮은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 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는 단계(S22)를 수행한다.
도 3은 도 1 중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임 리스트 우선 순위 표시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가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리스트를, 다른 게임 리스트 보다 상위에 표시할 때, 동일한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31)를 수행한다.
판단 결과,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 중 동일한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서버는 먼저 생성된 게임 리스트를 나중에 생성된 게임 리스트 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는 단계(S32)를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구현하는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들끼리 대전할 수 있는 게임 모드인 멀티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S41)를 수행한다.
서버는 전송된 게임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선택 입력을 수신한 후, 선택 입력된 게임 리스트에 대응하는 게임에 사용자를 참여시켜, 사용자들끼리의 대전 게임이 성사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멀티 플레이 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들끼리 대전 게임이 성사된 경우, 사용자들 중,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승리 시 획득 가능한 포인트 순으로 멀티 플레이 모드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정렬한 결과,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2)를 수행한다.
판단 결과,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서버는 대전 게임 플레이 시,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의 상대방 사용자의 능력치를 기설정된 수치만큼 향상하여 보정하는 단계(S43)를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능력치는 상기 게임 플레이 시 이용될 때, 적용되는 능력치를 기설정된 비율로 변경하여 적용하도록 하는 요소인 컨디션 요소와, 게임 플레이 시 소모되며, 소모됨에 따라 상기 적용되는 능력치를 감소시키는 요소인 체력 요소일 수 있다.
컨디션 요소는, 선수 캐릭터가 갖는 능력치가 게임 플레이에 이용될 때, 적용되는 능력치를 변경할 수 있는 요소를 의미한다. 이때 컨디션에 따라서 적용되는 능력치는 기설정된 비율로 변경될 수 있다. 컨디션 요소는 "상, 상중, 중, 중하, 하" 등과 같이 일정한 개수로 나누어질 수 있다. 컨디션 요소가 상인 경우에는 적용되는 능력치가 선수 캐릭터가 갖는 능력치보다 일정 비율 상승되어 게임 플레이 시 적용될 수 있으며, 컨디션 요소가 상인 경우에는 적용되는 능력치는 선수 캐릭터가 갖는 능력치보다 일정 비율 증가되어 게임 플레이 시 적용될 수 있다.
체력 요소는, 게임 플레이에 따라서 소모되는 요소이며, 체력 요소가 소모되면 적용되는 능력치가 감소된다. 예를 들어 체력이 100일 때보다 70일 때에는 적용되는 능력치가 일정 비율 감소되어 게임 플레이에서 적용될 수 있다. 체력 요소는 게임 플레이 도중 실시간으로 감소될 수 있으며, 게임 플레이 직전의 체력 요소를 기준으로 게임 플레이시 감소된다.
능력치 보정이 완료되면, 서버는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능력치가 보정된 사용자 사이의 대전 게임을 제공하는 단계(S44)를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서버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서버(20)는 리스트 추출/선택부(21), 제공부(22) 및 제어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게임 서버(20)에 접속하여 게임 접속화면에서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의 정보(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보유한 아이템 정보)와 아이템들의 정보 등은 아이템 데이터 베이스(30)에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게임 접속 화면은, 사용자가 온라인 게임의 플레이를 위해 게임 콘텐츠를 실행시킬 수 있는 웹 페이지, 실제 게임 콘텐츠를 실행시킨 뒤의 초기 접속 화면 등, 게임의 플레이 화면 외에 게임의 콘텐츠들을 확인 또는 이용할 수 있는 화면을 의미한다.
리스트 추출/선택부(21)는 사용자들끼리 대전할 수 있는 게임 모드인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게임 리스트 중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승리 시 획득 가능한 포인트 순으로 멀티 플레이 모드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정렬한 결과,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를 선택한다.
제어부(23)는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 중,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를, 다른 게임 리스트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사용자의 단말(10)에 전송한다.
제어부(23)는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더 높은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를 더 낮은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 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사용자의 단말(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는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 중 동일한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먼저 생성된 게임 리스트를 나중에 생성된 게임 리스트 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사용자의 단말(1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지시수단을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 중 어느 한 영역에 위치시키면,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시,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하는 사용자의 능력치가 향상된 상태로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사용자의 단말(1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에, 순위를 식별할 수 있도록 순위 별로 다르게 순위 식별 정보를 정렬하여 사용자의 단말(10)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들끼리 대전할 수 있는 게임 모드인 멀티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제공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공부(22)는 멀티 플레이 모드 제공 시에 전송된 게임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 입력된 게임 리스트에 대응하는 게임에 사용자를 참여시켜, 사용자들끼리의 대전 게임이 성사된 것으로 결정한다.
이때 제어부(23)는 멀티 플레이 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들끼리 대전 게임이 성사된 경우, 사용자들 중,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승리 시 획득 가능한 포인트 순으로 멀티 플레이 모드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정렬한 결과,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대전 게임 플레이 시,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의 상대방 사용자의 능력치를 기설정된 수치만큼 향상하여 보정하고,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능력치가 보정된 사용자 사이의 대전 게임을 제공하도록 제공부(22)를 제어한다.
이때 리스트 추출/선택부(21)는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게임 리스트 중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를, 다른 게임 리스트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사용자 단말(10)에 전송한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라 적용되는 게임 화면의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버가, 사용자 단말 화면(11)에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리스트를, 다른 게임 리스트 보다 상위에 표시할 때,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더 높은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를 더 낮은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 보다 상위에 표시한 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를 순위에 따라 다른 컬러로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버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11)에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를 순위에 따라 다른 이미지로 표시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버가 은 사용자 단말의 화면(11)에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를 순위에 따라 다른 텍스트로 표시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도 9를 참조하면, 서버가 사용자 단말 화면(11)에 서버가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리스트를, 다른 게임 리스트 보다 상위에 표시할 때,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 중 동일한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먼저 생성된 게임 리스트를 나중에 생성된 게임 리스트 보다 상위에 표시한 예를 보여준다.
도 10을 참조하면, 지시수단을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 중 어느 한 영역에 위치시키면,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시,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하는 사용자의 능력치가 향상된 상태로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 화면(11)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게임 운영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들끼리 대전할 수 있는 게임 모드인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게임 리스트 중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승리 시 획득 가능한 포인트 순으로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정렬한 결과,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 중,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를, 다른 게임 리스트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더 높은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를 더 낮은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 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 중 동일한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 중 동일한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먼저 생성된 게임 리스트를 나중에 생성된 게임 리스트 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지시수단을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 중 어느 한 영역에 위치시키면,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시,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하는 사용자의 능력치가 향상된 상태로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에, 순위를 식별할 수 있도록 순위 별로 다르게 순위 식별 정보를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
  6. 게임 운영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들끼리 대전할 수 있는 게임 모드인 멀티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들끼리 대전 게임이 성사된 경우, 상기 사용자들 중,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승리 시 획득 가능한 포인트 순으로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정렬한 결과,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전 게임 플레이 시,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의 상대방 사용자의 능력치를 기설정된 수치만큼 향상하여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상기 능력치가 보정된 사용자 사이의 대전 게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게임 리스트 중,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를, 다른 게임 리스트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더 높은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를 더 낮은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 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 중 동일한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 중 동일한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먼저 생성된 게임 리스트를 나중에 생성된 게임 리스트 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지시수단을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 중 어느 한 영역에 위치시키면,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시,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하는 사용자의 능력치가 향상된 상태로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된 게임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 입력된 게임 리스트에 대응하는 게임에 상기 사용자를 참여시켜, 상기 사용자들끼리의 대전 게임이 성사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
  13. 사용자들끼리 대전할 수 있는 게임 모드인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게임 리스트 중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승리 시 획득 가능한 포인트 순으로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정렬한 결과,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를 선택하는 리스트 추출/선택부; 및
    상기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 중,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를, 다른 게임 리스트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서버.
  14. 제 13항에 있어서,
    사용자들끼리 대전할 수 있는 게임 모드인 멀티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서버.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들끼리 대전 게임이 성사된 경우, 상기 사용자들 중,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승리 시 획득 가능한 포인트 순으로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정렬한 결과,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전 게임 플레이 시,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의 상대방 사용자의 능력치를 기설정된 수치만큼 향상하여 보정하고,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상기 능력치가 보정된 사용자 사이의 대전 게임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공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서버.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추출/선택부는
    상기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게임 리스트 중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를, 다른 게임 리스트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서버.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더 높은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를 더 낮은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 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서버.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 중 동일한 순위를 가진 게임 리스트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먼저 생성된 게임 리스트를 나중에 생성된 게임 리스트 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서버.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지시수단을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 중 어느 한 영역에 위치시키면,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시,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대전하는 사용자의 능력치가 향상된 상태로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서버.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게임 리스트에, 순위를 식별할 수 있도록 순위 별로 다르게 순위 식별 정보를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서버.
  21. 게임 운영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들끼리 대전할 수 있는 게임 모드인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게임 리스트 중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승리 시 획득 가능한 포인트 순으로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정렬한 결과,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게임 리스트 중,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포함된 게임 리스트를, 다른 게임 리스트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22. 게임 운영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들끼리 대전할 수 있는 게임 모드인 멀티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들끼리 대전 게임이 성사된 경우, 상기 사용자들 중,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에서 승리 시 획득 가능한 포인트 순으로 상기 멀티 플레이 모드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정렬한 결과,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전 게임 플레이 시,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의 상대방 사용자의 능력치를 기설정된 수치만큼 향상하여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순위 내에 속한 사용자와 상기 능력치가 보정된 사용자 사이의 대전 게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10145238A 2011-12-28 2011-12-28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3008307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238A KR20130083071A (ko) 2011-12-28 2011-12-28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 및 서버
PCT/KR2012/010092 WO2013100389A1 (ko) 2011-12-28 2012-11-27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238A KR20130083071A (ko) 2011-12-28 2011-12-28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071A true KR20130083071A (ko) 2013-07-22

Family

ID=48697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238A KR20130083071A (ko) 2011-12-28 2011-12-28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83071A (ko)
WO (1) WO2013100389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2401B2 (ja) * 2000-05-15 2008-12-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通信対戦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KR20020007092A (ko) * 2000-07-15 2002-01-26 양호철 인터넷을 이용한 자동 게임매칭 및 승패인식 기능을 갖는네트웍 게임대회 운영 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
JP3880490B2 (ja) * 2002-09-11 2007-02-14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ゲーム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KR20060108147A (ko) * 2005-04-12 2006-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게임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0389A1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6828B2 (en) Computer-executable game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validity periods for game content
KR101273344B1 (ko)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183749B1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예상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서버
KR101205646B1 (ko) 사용자 수에 따른 아이템 조합 방법 및 서버
JPWO2019215926A1 (ja) サーバー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101183731B1 (ko) 아이템 사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30083077A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아이템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서버
KR101581032B1 (ko) 스도쿠 게임 제공 방법 및 단말기
KR101346622B1 (ko) 아이템 수집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171712B1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아이템 추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285743B1 (ko) 게임 시뮬레이션 관리 방법 및 관리 장치
KR101264629B1 (ko) 아이템 사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30083071A (ko) 온라인 게임의 순위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30114314A (ko) 사용자별 대전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189973B1 (ko) 온라인 게임에서 친구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50016660A (ko) 게임 플레이를 위한 스킬 구현 방법 및 서버
KR101309099B1 (ko) 추첨 아이템 사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181088B1 (ko) 승리 포인트용 아이템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547213B1 (ko)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 및 서버
KR101309094B1 (ko) 경영 게임 내의 서브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30083080A (ko) 온라인 게임에서 사용자의 상세 정보를 상세 정보 비교창에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KR101306832B1 (ko) 이벤트 아이템 수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188826B1 (ko) 온라인 스포츠 게임의 캐릭터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313239B1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보상 아이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210009B1 (ko) 플레이 스타일에 대한 캐릭터 능력치 보상 방법 및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