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213B1 -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213B1
KR101547213B1 KR1020110131047A KR20110131047A KR101547213B1 KR 101547213 B1 KR101547213 B1 KR 101547213B1 KR 1020110131047 A KR1020110131047 A KR 1020110131047A KR 20110131047 A KR20110131047 A KR 20110131047A KR 101547213 B1 KR101547213 B1 KR 101547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period
cyber money
user
i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2547A (ko
Inventor
김정훈
최선화
Original Assignee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위즈게임즈 filed Critical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to KR1020110131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213B1/ko
Priority to PCT/KR2012/009999 priority patent/WO2013085188A1/ko
Publication of KR20130082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6Game play aspects of gaming systems
    • G07F17/3269Timing aspects of game play, e.g. blocking/halting the operation of a gaming machi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1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vending, access and use of specific services not covered anywhere else in G07F17/00
    • G07F17/0021Access to services on a time-ba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의 이용 기간의 연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은, 게임 서버가, 사용자의 게임 접속을 감지 시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여, 게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용 기간이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아이템들의 정보를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 중, 이용 기간이 만료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하는 입력이 가능한 메뉴로서 연장 입력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연장 입력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 및 서버{METHOD FOR CONTROLLING ITEM USING PERIOD AND SERVER THEREFOR}
본 발명은, 전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게임에서 사용 가능한 아이템들에 있어서, 이용 기간이 정해져 있는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서비스에 관한 기술로서, 구체적으로는 이용 기간이 만료된 복수의 아이템의 이용 기간 연장을 용이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그래픽 기술의 발달과 함께, 온라인 네트워크 서비스의 발달에 따라, 게임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게임 컨텐츠는, 사용자들이 가상 세계에서 자신을 대행하는 캐릭터를 조작하거나, 실제 현실에 존재하는 다양한 객체들을 조작하여 대리 만족을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가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판타지 세계에서 자신을 대신하는 캐릭터를 생성하고, 캐릭터의 레벨을 높여가며 다양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가상 세계에서 현실에서의 스트레스를 풀고, 재미를 느낄 수 있다.
또는, 스포츠 게임 등에서는, 현실에 존재하는 축구 선수들을 구현한 캐릭터를 조작함으로써, 자신이 축구 게임의 감독, 선수 및 구단주가 되어 볼 수 있게 하여, 대리 만족을 느낄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재미를 느낄 수 있다.
게임 컨텐츠에서는, 사용자들이 게임 이용을 수월하게 하고, 게임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 다른 유저들과의 차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게임 컨텐츠 내에서 사용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아이템을 제공하고 있다.
아이템은 사용자들을 대신하는 게임 캐릭터의 능력치를 향상하거나, 게임 캐릭터가 경험치를 획득하는 것을 돕고, 캐릭터의 외관을 꾸밀 수 있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아이템은 게임 플레이에 따라서 획득할 수 있는 사이버 머니를 이용하여 구매 및 판매할 수 있거나, 실제 현금을 결제하여 구매할 수 있도록 서비스되고 있다.
이러한 아이템들 중에는, 그 이용 기한이 영구적인 것도 있으나, 특정 아이템들의 경우 아이템을 사용하여 게임 상에서 아이템 사용에 따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간이 정해져 있는 아이템이 있다. 이때, 이를 사이버 머니 등을 이용하여 갱신하도록 함으로써, 아이템 제공 서비스에 있어서 새로운 수익 창출 모델로 주목 받는 서비스가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에는, 이용 기간이 정해져 있는 아이템의 이용 기간을 연장하는 데 있어서, 이용 기간이 만료되어 연장이 필요한 아이템 각각을 일일이 확인하고 해당 아이템만의 이용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기능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을 일일이 확인하고 아이템 각각에 대해서 이용 기간을 연장하는 입력을 수행해야 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용 기간이 정해져 있는 아이템에 대한 기간 연장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이용 기간이 만료되어 기간 연장이 필요한 아이템이 복수개인 경우, 사용자가 용이하게 복수의 아이템의 이용 기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은, 게임 서버가, 사용자의 게임 접속을 감지 시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여, 게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용 기간이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아이템들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 중, 상기 이용 기간이 만료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상기 이용 기간을,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하는 입력이 가능한 메뉴로서 연장 입력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연장 입력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상기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필요한 사이버 머니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개수와 등급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사이버 머니를 연산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필요한 사이버 머니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 입력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연장 입력 메뉴 출력 시, 상기 설정된 사이버 머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장 입력 메뉴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하는 단계는, 상기 연장 입력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에서 상기 설정된 사이버 머니를 차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동일한 종류의 아이템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게임 플레이에 적용되어 상기 이용 기간이 소모되는 아이템의 이용 기간이 만료된 경우에만 상기 아이템을 상기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은, 게임 서버가, 사용자의 게임 접속을 감지 시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여, 게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용 기간이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 중, 상기 이용 기간이 만료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필요한 사이버 머니를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 상기 필요한 사이버 머니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상기 이용 기간을,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하는 입력이 가능한 메뉴인, 연장 입력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연장 입력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와 상기 필요한 사이버 머니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상기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하는 것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버 머니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개수와 등급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사이버 머니를 연산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필요한 사이버 머니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하는 것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와 상기 필요한 사이버 머니를 비교한 결과,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가 상기 필요한 사이버 머니 미만인 경우,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기간 연장이 실패했음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하는 것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와 상기 필요한 사이버 머니를 비교한 결과,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가 상기 필요한 사이버 머니 미만인 경우,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 중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일부의 아이템의 이용 기간을 상기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하는 것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 중 일부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로서 아이템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아이템 선택 메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이용 기간을 연장할 아이템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상기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아이템들의 기간 연장에 필요한 사이버 머니를 상기 아이템 선택 메뉴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하는 것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아이템의 이용 기간 연장을 위해 필요한 사이버 머니를,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로부터 차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하는 것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로부터 상기 필요한 사이버 머니를 차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서버는, 사용자의 게임 접속 감지 시 사용자 정보 중, 게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용 기간이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보유 아이템 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 중, 상기 이용 기간이 만료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연장 대상 아이템 선택부; 및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상기 이용 기간을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하는 입력이 가능한 메뉴로서 연장 입력 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연장 입력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상기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하는 이용 기간 연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 대상 아이템 선택부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필요한 사이버 머니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 대상 아이템 선택부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개수와 등급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연산된 사이버 머니를, 상기 필요한 사이버 머니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용 기간 연장 제어부는, 상기 연장 입력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에서 상기 설정된 사이버 머니를 차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 대상 아이템 선택부는, 동일한 종류의 아이템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게임 플레이에 적용되어 상기 이용 기간이 소모되는 아이템의 이용 기간이 만료된 경우에만 상기 아이템을 상기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을 일괄적으로 연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에게 아이템 이용 기간 연장에 있어서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이용 기간이 정해진 아이템에 대한 연장 비용 등을 소비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아이템 제공 서비스의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사이버 머니가 차감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아이템의 기간 연장이 제어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아이템의 기간 연장이 제어되는 다른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을 선택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서버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11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게임 서버”란,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게임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하게 되는 서버 컴퓨터를 의미한다. 용량이 작거나 이용자 수가 작은 게임의 경우 하나의 게임 서버에 다수의 게임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용량이 매우 크거나 실시간 접속 인원 수가 많은 게임의 경우, 게임의 기능에 따라서 하나의 게임의 운영을 위한 게임 서버가 하나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게임 서버에는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미들웨어나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들이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온라인 게임은, 상기 언급한 게임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게임 컨텐츠를 의미한다. 특히, 게임 상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접속하여 즐길 수 있으며, 게임을 진행하여 캐릭터를 육성하면서 경험치를 획득하는 등의 행위를 통해 레벨을 상승시키는 게임을 의미한다. 또한, 게임 상에서 게임의 진행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게임을 의미한다.
여기서 아이템이란, 게임의 진행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일반적으로 게임 상의 아이템이라 했을 때 이해될 수 있는 모든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롤플레잉 게임에 있어서, 사용자를 대신하는 캐릭터가 몬스터를 제압했을 때 얻는 경험치를, 더욱 많이 얻을 수 있게 해 주는 아이템, 캐릭터의 외관을 바꿀 수 있는 아이템 등이 본 발명에서 아이템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스포츠 게임에 있어서 캐릭터를 이용할 수 있는 카드 아이템, 캐릭터의 능력치를 일정 기간 상승시켜 주는 아이템, 캐릭터의 컨디션을 회복시켜주는 아이템, 캐릭터가 장착하여 게임 상의 능력치를 향상시켜 주는 동시에 외관을 변형시켜 주는 아이템 등 게임 상에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게임의 진행에서 캐릭터가 사용하거나, 웹 상에서 사용자가 사용하여 게임 상에 반영할 수 있는 모든 아이템이 본 발명에서의 아이템에 속할 것이다.
또한 아이템은, 사용 효과의 이용 기간이 영구적이거나, 제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같은 아이템이지만 이용 기간이 다른 아이템은 본 발명에서 같은 아이템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캐릭터의 능력치를 일주일 상승시켜 주는 “A”라는 아이템과, 이주일 상승시켜주는 “A1”이라는 아이템은 아이템의 데이터베이스 상에서는 다른 아이템으로 인식될 수 있지만, 같은 아이템으로 인식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 기간은, 사용자가 아이템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의 제약 사항으로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의 경우, 아이템의 이용 기간을 갱신할 수 있거나, 사용하지 않고 제거할 수 있다.
이용 기간은 실제 시간, 게임 상에서의 시간이 될 수도 있으나, 스포츠 게임의 경우 정해진 경기 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 기간이 10경기로 정해진 아이템은, 해당 스포츠 게임에서 사용자가 10경기를 플레이 시 해당 아이템을 사용할 경우, 이용 기간이 만료된다. 또한, 아이템의 이용 기간은 사용 횟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이용 기간을 연장하는 것은, 실제 시간, 게임 상에서의 시간, 경기 수, 이용 횟수 등을 연장하는 것을 의미하며, 연장되는 이용 기간은 관리자의 설정에 의해 적어도 한 종류의 기간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연장하도록 하거나, 연장시 일괄적으로 정해진 기간이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레벨이란, 오프라인에서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를 대신하여 온라인 게임 화면 상에서 일련의 행위를 하는 캐릭터의 레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롤플레잉 게임에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캐릭터의 레벨, 축구 게임의 경우 사용자를 대표하는 감독의 레벨 등이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레벨에 포함된다. 레벨은 “1, 2, 3” 등의 숫자로 표현될 수도 있으나, 슈팅 게임 등에서는 “이등병, 일등병” 등으로 게임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체계를 갖고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자의 레벨”이라는 표현은, 게임 상에서 사용자를 대신하는 캐릭터의 레벨에 대한 간략한 표현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서, 레벨이 1이 높거나 1이 낮다는 표현은, 현 레벨에서 1단계 높은 레벨로 설정된 레벨 또는 1단계 낮은 레벨로 설정된 레벨을 의미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에서는, 서버가 사용자의 게임 접속 감지 시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S10)가 수행된다.
사용자가 게임에 접속하는 것은, 온라인 게임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의 게임 클라이언트를 실행하여, 게임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거나, 오프라인 게임에서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게임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 인증 정보, 사용자가 육성하거나 사용하는 캐릭터 정보, 각 캐릭터 또는 사용자 계정 별로 사용자가 보유한 아이템과 사이버 머니 등 보유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서버는 S10 단계 후 사용자 정보 중, 게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용 기간이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기간 연장의 대상이 되는 아이템들은, 당연히 이용 기간이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은 제외하고, 이용 기간이 설정된 아이템만을 검색함으로써, 시스템의 로드를 줄일 수 있다.
S20 단계 후에는, 서버에서는 추출된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이용 기간이 만료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게 된다(S30).
이용 기간이 설정된 아이템들은, 아이템의 사용에 따라서 일정한 기준에 따라서 이용 기간이 줄어들게 된다. 예를 들어, 이용 기간이 실제 시간 또는 게임 상에서의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실제 시간 또는 게임 상에서의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이용 기간이 줄어들게 된다.
스포츠 게임에서는, 이용 기간이 해당 스포츠 종목의 경기 수, 선수 캐릭터의 경기 수행 관련 플레이 횟수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구 경기 수, 야구 경기 수, 이닝 수, 타자의 타석에서의 플레이 수, 투구 수 등이 이용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용 기간은 경기 진행 시마다, 또는 플레이 시마다 줄어들 수 있다.
아이템의 사용 횟수가 이용 기간으로 설정된 아이템들은, 아이템을 사용할 때마다 이용 기간이 줄어들 수 있다.
아이템이 게임 상에서 적용되거나, 아이템을 사용하게 되면, 상기 언급한 이용 기간이 줄어들게 되며, 이용 기간이 만료되었다는 것은, 이용 기간이 0이 되어 더 이상 아이템을 게임 상에서 적용할 수 없거나, 아이템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한다.
이때, 사용자가 보유한 아이템을 확인할 수 있는 인벤토리 화면에서,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은 다른 아이템과 구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아이템 중, 이용 기간이 만료되어 기간 연장이 필요한 아이템들 확인할 수 있다.
즉, 서버는, S30 단계에 의해 아이템을 선택하게 되면, 사용자의 인벤토리 화면 상에서 선택한 아이템을 선택하지 않은 다른 아이템들과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들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설정된 기간만큼 이용 기간을 연장하는 입력이 가능한 메뉴로서, 연장 입력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S40)를 수행하게 된다.
연장 입력 메뉴는 큰 의미에서, 각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연장하는 메뉴와 이용 기간이 만료된 모든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연장하는 메뉴가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연장 입력 메뉴는, 이용 기간이 만료된 모든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한꺼번에 연장하는 메뉴를 의미한다.
연장 입력 메뉴는, 사용자가 인벤토리 화면에서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을 선택하거나, 화면의 지시 수단을 아이템에 위치시키면, 팝업(Pop-Up) 화면으로 출력되거나, 인벤토리 화면의 일부분에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들은 자신이 사용하는 아이템들 중,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들에 대하여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용 기간이 만료된 모든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한 번에 연장할 수 있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연장 입력 메뉴에 대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서버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하는 단계(S50)를 수행하게 된다.
이용 기간에 대해 연장하는 기설정된 기간은, 관리자의 설정에 의해 입력되어 있는 기간이며, 사용자들은 연장 입력 메뉴를 확인 시, 연장될 기설정된 기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 입력 메뉴에는 '연장을 선택하시면 모든 아이템들의 기간이 10일 연장됩니다.' 등과 같은 정보가 출력되어, 사용자가 기간 연장을 하고자 하면 얼마만큼의 기간이 연장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들을 일일이 확인하고 그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연장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연장 입력 메뉴만을 선택하여 이용 기간이 만료된 모든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사이버 머니가 차감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S30 단계에 의해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이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템의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필요한 사이버 머니의 양을 설정하는 단계(S31)가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선택된 아이템들의 개수와 등급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사이버 머니를 연산하고, 연산된 사이버 머니를 기간 연장에 필요한 사이버 머니로 설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아이템들에는 등급이 정해져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게임에서 아이템들은 '강화' 또는 '제련' 등의 행위를 통해 등급이 향상되며, 등급이 향상된 아이템들은 사용 시 그 사용 효과가 상향되어 사용자들의 플레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는 아이템들에는 각기 다른 버전이 존재하여, 동일한 종류의 아이템일 경우 버전이 고급 버전으로 될수록, 아이템의 사용 효과가 상향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등급이 높거나 버전이 고급인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연장하는 데에는 더욱 많은 사이버 머니가 소비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간 연장에 필요한 사이버 머니를 설정 시 등급을 고려한다는 것은, 상기 언급한 등급뿐 아니라 버전 역시 고려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기간을 연장할 아이템이 3개이며, 등급이 1 상승 시 마다 50%의 사이버 머니가 가산되고, 기간 연장 대상이 되는 아이템들 중 1개의 등급이 2라면, 1등급 아이템 2개와 2등급 아이템 1개의 기간을 연장하는데 드는 비용 C = dc(2 + 1.5)가 될 수 있다. 이때 dc는 최저 등급(예를 들어 1)의 아이템의 이용 기간을 기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10일)만큼 연장하는 데 드는 단위 연장 비용이다.
S31 단계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들의 기간을 한 번에 연장하는 데 필요한 사이버 머니가 설정되면,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연장 입력 메뉴를 출력 시, 설정된 사이버 머니를 함께 출력하는 단계(S41)를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자신이 아이템들의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드는 사이버 머니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연장 입력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서버는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에서, 설정된 사이버 머니를 차감하여 기간 연장에 드는 비용을 소비하도록 한다(S51). 이후 선택된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하는 단계(S52)를 수행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아이템의 기간 연장이 제어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구체적으로, 도 2에서 설명한 흐름 중,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가 기간 연장에 필요한 것으로 설정된 사이버 머니의 양보다 적을 때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 설명할 도 4 역시 이와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도 2에서 설명한 흐름으로 설정된 사이버 머니를 연장 입력 메뉴에 함께 출력하는 단계(S41)가 수행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연장 입력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게 된다(S53).
이후, 서버는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정보로부터 추출하게 된다(S54). 사용자는 게임의 플레이를 통해 사이버 머니를 획득할 수 있거나, 실제 현금 결제를 통해 사이버 머니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이버 머니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게임의 플레이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포인트의 개념뿐 아니라, 사용자가 현금 결제 모듈 등을 통해 결제하여 충전하는 개념을 포함한다.
이후 서버는,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가, 기간 연장에 필요한 것으로 설정된 사이버 머니 미만인지 여부를 비교하게 된다(S55). 상기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서버는 선택된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연장하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
먼저,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가 연산된 사이버 머니보다 많거나 같은 경우에는, 선택된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데, 이때 서버에서는, 추가적으로 연장 입력 확인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S58)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도 1 및 2에서 언급한 연장 입력 메뉴에 대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선택 입력 수신 시에도 수행될 수 있는 단계이다.
사용자들은 연장 입력 메뉴를 선택 시, 선택된 아이템들의 기간을 연장할 것인지에 대해 다시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쓸모 없는 사이버 머니의 소비를 줄일 수 있다.
S58 단계에 의해 출력된 연장 입력 확인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 수신 시에, 서버는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에서, 기간 연장을 위해 연산되어 설정된 사이버 머니를 차감하는 단계(S59)를 수행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선택된 아이템들의 기간을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하는 단계(S52)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S55 단계의 판단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가 연산된 사이버 머니 미만인 경우에는, 서버는 기간 연장이 실패했음을 알리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는 단계(S56)를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들은, 사이버 머니를 획득 또는 충전하여, 다시 기간 연장을 진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아이템의 기간 연장이 제어되는 다른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즉, 도 3에서는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가 기간 연장을 위해 설정된 사이버 머니 미만인 경우에는, S56 단계를 통해 기간 연장이 실패했음을 알리고 그대로 종료되게 된다.
한편, 도 4에서는, 기 설명한 S41, S53, S54, S55 단계에 의해,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가 기간 연장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설정된 사이버 머니 미만인 경우, 이용 기간이 만료된 것으로 선택된 아이템들 중 일부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템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S60)가 수행된다. 일괄적으로 기간 연장이 실패했음을 알리는 도 3과 달리, 도 4에서는 한번 더 사용자에게 기간을 연장할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가 설정된 사이버 머니보다 많거나 같은 경우에는, 도 3에서 언급한 바 있는 S58, S59 및 S52 단계가 수행되어, 정상적으로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이 일괄적으로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될 것이다.
S60 단계의 수행 후, 사용자 단말로부터 아이템 선택 메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한 서버는, 입력을 분석하여 이용 기간을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할 아이템을 선정하게 된다(S61).
이때, 사용자가 기간을 연장할 아이템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소비될 사이버 머니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아이템 선택 메뉴에 선정한 아이템의 기간 연장을 위해 필요한 사이버 머니를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필요한 사이버 머니는,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연산된다.
S61 단계 후, 기간 연장을 할 것으로 선정된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하는 단계(S62)가 수행되며, 선정된 아이템의 이용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필요한 사이버 머니를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에서 차감하는 단계(S63)를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자신이 보유한 사이버 머니가 적을 때, 하나의 화면에서 기간을 연장할 아이템들을 선정하여 기간을 연장할 수 있어, 아이템 사용에 있어서의 편의성을 느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을 선택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구체적으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동일한 종류의 아이템이라도, 그 아이템에 각각 다른 버전 또는 다른 등급이 존재할 때의 이용 기간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보유한 아이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20)가 수행된다.
서버는 추출된 아이템들 중,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을 임시로 선택하는 단계(S21)를 수행하며, 이 아이템과 동일한 종류의 아이템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동일한 종류의 아이템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아이템만이 게임 플레이에 적용되며, 다른 아이템들은 추후 적용되는 아이템이 삭제된 경우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동일한 종류의 아이템이 복수개 존재하고, 그 아이템들 중 이용 기간이 만료된 것으로 임시 선택된 아이템이 현재 게임 플레이에서 적용되는 아이템인 경우에만, 이용 기간이 만료된 것으로 그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S22)를 수행하여, 게임의 플레이에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서버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서버(10)는, 보유 아이템 정보 추출부(11), 연장 대상 아이템 선택부(12) 및 이용 기간 연장 제어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보유 아이템 정보 추출부(11)는, 상기 언급한 서버의 수행 기능들 중, 사용자가 게임에 접속하는 것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동일한 종류의 아이템이 복수개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해서 분석하는 기능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연장 대상 아이템 선택부(12)는, 보유 아이템 정보 추출부(11)에 의해 추출된 아이템 정보를 분석하여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을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동일한 종류의 아이템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게임 플레이 상에서 적용되어 이용 기간이 소모되고 있는 아이템의 이용 기간이 만료된 경우에만, 그 아이템의 이용 기간이 만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연장 대상 아이템 선택부(12)는 선택된 아이템의 개수 및 등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필요한 사이버 머니를 설정하게 된다.
이용 기간 연장 제어부(13)는, 사용자 단말에 선택된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하는 입력이 가능한 메뉴로서 연장 입력 메뉴를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연장 입력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 수신 시, 선택된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이용 기간을 연장하는 데 있어서, 상기 도 1 내지 4에서 설명한 각 단계, 즉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 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와 연장 대상 아이템 선택부(12)에서 설정된 사이버 머니를 비교하여, 선택된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연장하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가 설정된 사이버 머니를 초과하는 경우, 정상적으로 선택된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한다. 물론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연장 입력을 확인하는 메뉴로서 연장 입력 확인 메뉴를 사용자 단말에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가 설정된 사이버 머니 미만인 경우라면, 기간 연장에 실패했음을 알리는 정보를 출력하거나, 아이템을 선정할 수 있는 메뉴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정된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만을 연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 내지 11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21)에는, 사용자가 보유한 아이템을 확인할 수 있는 임의의 게임 화면(100)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게임 화면(100)에서, 인벤토리 화면(110)을 통해 자신이 보유한 아이템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아이템의 정보에는, 아이템의 식별 정보(이름 등)와 등급 또는 버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아이템 이미지(111)와, 아이템의 남은 이용 기간에 대한 정보(112, 113)가 포함된다.
남은 이용 기간이 0이 아닌 아이템과, 남은 이용 기간이 0인 아이템의 이용 기간에 대한 정보(112, 11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아이템 중, 남은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의 지시 수단(300)을 이동시켜,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 'C'에 대한 선택 입력을 하거나, 지시 수단(300)을 해당 아이템의 표시 영역에 위치시킬 경우, 아이템 관련 메뉴(120)가 표시된다.
이때,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에 지시 수단(300)을 위치시키거나 선택 입력을 수행하는 것과, 이용 기간이 남은 아이템에 지시 수단(300)을 위치시키거나 선택 입력을 수행하는 것에는, 아이템 관련 메뉴(120)에 표시되는 사항에 차이가 발생한다.
즉,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의 경우, 아이템 관련 메뉴(120)에는, 아이템 기간 연장의 메뉴와 함께, 이용 기간이 만료된 모든 아이템의 이용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연장 입력 메뉴(121)가 표시된다. 연장 입력 메뉴(121)에는, 기간 연장에 필요한 사이버 머니가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선택하여, 이용 기간이 만료된 모든 아이템의 이용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21)에 표시되는 게임 화면(100)에서, 이용 기간이 만료된 모든 아이템의 이용 기간을 기설정된 기간 동안 연장하기 위해, 사용자가 연장 입력 메뉴를 선택했을 때의 인터페이스(130)가 도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30)에는,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의 개수와, 이용 기간을 연장한다는 확인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연장 버튼(131)과 기간 연장을 취소하는 취소 버튼(132)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연장에 필요한 사이버 머니의 정보 역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연장 버튼(131)을 선택하여 이용 기간이 만료된 모든 아이템의 이용 기간을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21)에 표시되는 게임 화면(100)에서 사용자의 사이버 머니가 부족하여 아이템들의 기간 연장이 불가능할 때, 기간 연장에 실패했음을 알리는 인터페이스(140)가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포인트 충전 메뉴(141)를 선택하여 사이버 머니를 충전하거나, 닫기 메뉴(142)를 선택하여 기간 연장을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에는,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21)에 표시되는 게임 화면(100)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가 부족하여 아이템들의 기간 연장이 불가능할 때, 아이템 선택 인터페이스(150)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이템 선택 인터페이스(150)에는, 포인트가 부족하여 기간을 연장할 아이템을 선택하라는 메시지와 함께, 아이템 선택 메뉴(151)가 출력된다. 아이템 선택 메뉴(151)에서 사용자는 지시 수단(300)을 이용하여, 각 아이템의 정보(152)를 확인한 뒤, 선택 버튼(153)을 클릭하여 기간을 연장할 아이템을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아이템 선택 인터페이스(150)에는,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인 포인트 정보(154)와, 선정된 아이템들의 기간 연장을 위해 필요한 사이버 머니인 포인트 정보(155)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선택한 아이템을 기간 연장하도록 입력할 수 있는 메뉴(156)를 클릭하여, 선정된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하거나, 닫기 메뉴(157)를 선택하여 기간 연장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21) 상의 게임 화면(100)에는, 기간 연장에 성공했음을 알리는 화면(160)이 출력되어 있다. 화면(160)에는, 이용 기간이 연장된 아이템의 개수와, 연장된 이용 기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1)

  1. 게임 서버가,
    사용자의 게임 접속을 감지 시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여, 게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용 기간이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아이템들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 중, 상기 이용 기간이 만료된 모든 아이템들을 선택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선택된 모든 아이템들의 상기 이용 기간을, 일괄적으로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하는 입력이 가능한 메뉴로서 연장 입력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연장 입력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모든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일괄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동일한 종류의 아이템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게임 플레이에 적용되어 상기 이용 기간이 소모되는 아이템의 이용 기간이 만료된 경우에만 상기 아이템을 상기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필요한 사이버 머니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장하는 단계는,
    상기 연장 입력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에서 상기 설정된 사이버 머니를 차감하되,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가 상기 설정된 사이버 머니 미만인 경우, 상기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으로 선택된 아이템들 중 일부의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아이템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아이템 선택 메뉴에 대한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아이템 선택 메뉴에 포함된 아이템에 대한 선택 입력에 따라 이용 기간을 연장할 아이템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한 아이템의 기간 연장을 위하여 필요한 사이버 머니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한 아이템의 기간 연장을 위하여 필요한 사이버 머니를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에서 차감하고, 상기 선정한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개수와 등급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사이버 머니를 연산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필요한 사이버 머니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입력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연장 입력 메뉴 출력 시, 상기 설정된 사이버 머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장 입력 메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하는 단계는,
    상기 연장 입력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에서 상기 설정된 사이버 머니를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사용자의 게임 접속 감지 시 사용자 정보 중, 게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용 기간이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보유 아이템 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 중, 상기 이용 기간이 만료된 모든 아이템들을 선택하는 연장 대상 아이템 선택부; 및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선택된 모든 아이템들의 상기 이용 기간을 일괄적으로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하는 입력이 가능한 메뉴로서 연장 입력 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연장 입력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선택된 모든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일괄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하는 이용 기간 연장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 대상 아이템 선택부는,
    동일한 종류의 아이템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게임 플레이에 적용되어 상기 이용 기간이 소모되는 아이템의 이용 기간이 만료된 경우에만 상기 아이템을 상기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필요한 사이버 머니를 설정하며,
    상기 이용 기간 연장 제어부는,
    상기 연장 입력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에서 상기 설정된 사이버 머니를 차감하되,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가 상기 설정된 사이버 머니 미만인 경우, 상기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으로 선택된 아이템들 중 일부의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아이템 선택 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아이템 선택 메뉴에 대한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아이템 선택 메뉴에 포함된 아이템에 대한 선택 입력에 따라 이용 기간을 연장할 아이템을 선정하며, 상기 선정한 아이템의 기간 연장을 위하여 필요한 사이버 머니를 표시하고, 상기 선정한 아이템의 기간 연장을 위하여 필요한 사이버 머니를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에서 차감하고, 상기 선정한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서버.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대상 아이템 선택부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개수와 등급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연산된 사이버 머니를, 상기 필요한 사이버 머니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서버.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기간 연장 제어부는,
    상기 연장 입력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에서 상기 설정된 사이버 머니를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서버.
  19. 삭제
  20. 게임 서버가,
    사용자의 게임 접속을 감지 시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여, 게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용 기간이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아이템들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 중, 상기 이용 기간이 만료된 모든 아이템들을 선택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선택된 모든 아이템들의 상기 이용 기간을, 일괄적으로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하는 입력이 가능한 메뉴로서 연장 입력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연장 입력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모든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일괄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동일한 종류의 아이템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게임 플레이에 적용되어 상기 이용 기간이 소모되는 아이템의 이용 기간이 만료된 경우에만 상기 아이템을 상기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필요한 사이버 머니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장하는 단계는,
    상기 연장 입력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에서 상기 설정된 사이버 머니를 차감하되,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가 상기 설정된 사이버 머니 미만인 경우, 상기 이용 기간이 만료된 아이템으로 선택된 아이템들 중 일부의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아이템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아이템 선택 메뉴에 대한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아이템 선택 메뉴에 포함된 아이템에 대한 선택 입력에 따라 이용 기간을 연장할 아이템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한 아이템의 기간 연장을 위하여 필요한 사이버 머니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한 아이템의 기간 연장을 위하여 필요한 사이버 머니를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사이버 머니에서 차감하고, 상기 선정한 아이템들의 이용 기간을 기설정된 기간만큼 연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21. 삭제
KR1020110131047A 2011-12-08 2011-12-08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 및 서버 KR101547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047A KR101547213B1 (ko) 2011-12-08 2011-12-08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 및 서버
PCT/KR2012/009999 WO2013085188A1 (ko) 2011-12-08 2012-11-26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047A KR101547213B1 (ko) 2011-12-08 2011-12-08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547A KR20130082547A (ko) 2013-07-22
KR101547213B1 true KR101547213B1 (ko) 2015-08-27

Family

ID=48574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047A KR101547213B1 (ko) 2011-12-08 2011-12-08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47213B1 (ko)
WO (1) WO20130851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026B1 (ko) * 2018-10-15 2019-06-11 넷마블 주식회사 아이템 교환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4323A1 (en) * 2001-10-02 2003-04-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usiness model for downloadable video games
KR100604360B1 (ko) * 2003-06-28 2006-07-24 김치현 온라인 게임과 관련된 물품의 임대차 방법
KR20060006694A (ko) * 2004-07-20 2006-01-19 엔에이치엔(주) 캐릭터 제공 방법
KR20080025102A (ko) * 2008-02-15 2008-03-19 주식회사 신한은행 게임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547A (ko) 2013-07-22
WO2013085188A1 (ko)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8433A (ko) 게임 자동 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240009557A1 (en)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20230311004A1 (en)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1185443B1 (ko) 온라인 게임의 캐릭터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47213B1 (ko) 아이템 이용 기간 제어 방법 및 서버
KR101283526B1 (ko) 아이템 임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205646B1 (ko) 사용자 수에 따른 아이템 조합 방법 및 서버
KR101181115B1 (ko) 아이템 중복에 의한 효과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325962B1 (ko) 온라인 게임의 캐릭터 운용방법 및 장치
KR101190358B1 (ko) 온라인 게임의 캐릭터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346622B1 (ko) 아이템 수집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30083077A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아이템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서버
KR101285743B1 (ko) 게임 시뮬레이션 관리 방법 및 관리 장치
US20140364220A1 (en) Method for providing character of online game and apparatus thereof
KR101275662B1 (ko) 아이템 추첨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서버
KR101191472B1 (ko) 그룹 플레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30082601A (ko) 온라인 게임의 그룹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309094B1 (ko) 경영 게임 내의 서브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309099B1 (ko) 추첨 아이템 사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306832B1 (ko) 이벤트 아이템 수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282969B1 (ko) 아이템 연속 강화 방법 및 서버
KR101396188B1 (ko) 온라인 게임 자동실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서버
KR101369301B1 (ko) 이벤트 아이템 수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181088B1 (ko) 승리 포인트용 아이템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155216B1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랙 감지 방법 및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207

Effective date: 201501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