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1560A -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1560A
KR20130081560A KR1020120002607A KR20120002607A KR20130081560A KR 20130081560 A KR20130081560 A KR 20130081560A KR 1020120002607 A KR1020120002607 A KR 1020120002607A KR 20120002607 A KR20120002607 A KR 20120002607A KR 20130081560 A KR20130081560 A KR 20130081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ttern
stamp
selectively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5412B1 (ko
Inventor
최영우
Original Assignee
최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우 filed Critical 최영우
Priority to KR1020120002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412B1/ko
Priority to CN201380005071.4A priority patent/CN104220977A/zh
Priority to JP2014551201A priority patent/JP2015507270A/ja
Priority to PCT/KR2013/000185 priority patent/WO2013105788A1/ko
Priority to US14/370,813 priority patent/US20140368430A1/en
Priority to SG11201403882XA priority patent/SG11201403882XA/en
Priority to EP13735817.2A priority patent/EP2804078A4/en
Publication of KR20130081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3Accessories for touch pads or touch screens, e.g. mechanical guides added to touch screens for drawing straight lines, hard keys overlaying touch screens or touch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9Textured surface identifying touch areas, e.g. overlay structure for a virtual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터치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 사람이 직접 입력하기 어려운 패턴의 터치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스탬프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평평하고, 하나 이상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일단면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수납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패턴 및 위치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터치패턴에 따라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일단면으로부터 상기 몸체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터치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정밀한 패턴의 터치입력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TOUCH STAMP AND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위한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터치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 사람이 직접 입력하기 어려운 패턴의 터치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스탬프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다양한 휴대 단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들은 휴대성을 높이기 위하여 소형화, 경량화 및 단순화된 디자인을 갖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소형화, 경량화 및 단순화된 디자인의 휴대 단말기에서는 단말기 전면에 드러나는 하드웨어 구성을 최소화하고 디스플레이는 최대화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전면에 터치패널을 입력수단으로서 채용하여, 터치스크린을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에서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버튼 등의 하드웨어적 입력수단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채용한 휴대 단말기가 일반화되었다.
한편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 방식의 휴대 단말기에서,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화상 출력 및 사용자 입력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멀티터치의 인식이 가능한 터치패널을 채용하는 것이 최근의 경향인데, 여기서 멀티터치 기술은 동시에 여러 개의 터치 포인트를 인식하는 기술로, 일반적인 하나의 터치 포인트만 인식을 하는 것보다 더 다양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의 멀티터치 기술을 이용한 응용 기술이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멀티터치 기술은 일반적으로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를 위한 기술로만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멀티터치 기술이 널리 활용되지 못하는 이유는 사람이 손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는 터치 패턴의 정밀성에 제한이 있을 뿐 아니라, 손으로 입력되는 패턴은 매번 동일하기 어렵고 임의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의 멀티터치 기술의 활용성을 확대할 수 있는 터치입력 수단으로서, 터치스탬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바에 따라 정밀한 패턴의 터치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스탬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속적으로 동일한 패턴의 터치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스탬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잡한 패턴에 따른 터치입력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서 다양한 응용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탬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람의 손으로 하기 어려운 정밀한 터치패턴의 터치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이를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각종 인증절차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탬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평평하고, 하나 이상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일단면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수납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패턴 및 위치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터치패턴에 따라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일단면으로부터 상기 몸체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터치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스탬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돌기를 선택적으로 상기 몸체 외부로 돌출되도록 제어하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탬프는 하나의 터치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하나의 터치돌기를 미리 정해진 시간패턴에 따라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터치스탬프는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되는 둘 이상의 터치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둘 이상의 터치돌기를 동시에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터치스탬프는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되는 둘 이상의 터치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둘 이상의 터치돌기를 각각 서로 다른 시간패턴에 따라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평평하고, 하나 이상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일단면을 갖는 몸체와; 미리 설정된 시간패턴 및 위치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터치패턴에 따라 상기 일단면으로부터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몸체 외부로 노출되며, 전기 전도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터치단자; 그리고 상기 몸체 내부에 수납되고, 그 일단이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단자에 연결되어, 전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터치스탬프는,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 외부로 노출되어 사람의 신체와 접촉하면 사람의 신체와 함께 전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터치스탬프는 하나의 터치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가 형성하는 전하 이동경로를 미리 정해진 시간패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단락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탬프는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되는 둘 이상의 터치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둘 이상의 터치단자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전하 이동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가 형성하는 둘 이상의 전하 이동경로를 각각 서로 다른 시간패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단락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의 멀티터치 기술의 활용성을 확대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서의 다양한 응용 기술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정밀한 패턴의 터치입력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에 의하면 지속적으로 동일한 패턴의 터치입력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에 의하면, 복잡한 패턴에 따른 터치입력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서 다양한 응용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에 의하면 사람의 손으로 하기 어려운 정밀한 터치패턴의 터치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이를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각종 인증절차에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의 기능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럭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의 기능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럭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의 터치돌기 및 터치단자의 형태 및 동작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망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를 이용한 인증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탬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의 기능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럭도이며,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의 기능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럭도이다. 또한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의 터치돌기 및 터치단자의 형태 및 동작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스탬프'는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상에 미리 정해진 일정한 패턴의 터치입력을 가하도록 구성된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터치스탬프가 터치스크린에 가하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패턴을 이하에서 '터치패턴'이라고 표현하기로 하며, 터치패턴은 상기 터치스탬프에 의하여 가해지는 터치입력의 시간패턴 및/또는 터치입력의 위치패턴을 포함한다.
터치스탬프는 터치입력은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의 터치입력 감지방식이 압력식인 경우와 접촉식인 경우 그 구성이 상이한데, 압력식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를 이하에서 제1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접촉식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를 이하에서 제2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를 도 1 및 도 2a 내지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100)는 상기 터치스탬프(10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고, 내부 구성을 포함하는 몸체(1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일단면(11)에는 구동버튼(12)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버튼(12)은 상기 일단면(11)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일정구간을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구동버튼(12)이 외력에 의하여 상기 몸체(10)를 향하여 이동하면, 상기 터치스탬프(100)가 미리 정해진 터치패턴으로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도록 하고, 상기 구동버튼(12)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어 상기 몸체(10) 반대방향으로 상기 구동버튼(12)이 복귀하면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이 중단되도록 한다. 즉, 상기 구동버튼(12)은 선택적으로 휴대 단말기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부분이다. 물론 상기 구동버튼(12)의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몸체(10)의 일측이면 어디라도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단면(11)의 타단에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타단면(13)이 형성된다. 상기 타단면(13)은 상기 터치스탬프(100)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터치입력을 가할 때, 사용자에 의하여 터치스크린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타단면(13)에는 하나 이상의 터치돌기(15)가 상기 타단면(13)에 형성되는 통공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터치돌기(15)는 상기 터치스탬프(100)에 대하여 미리 결정되는 터치패턴이 어떤 패턴인지에 따라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더 많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위와 같은 터치스탬프(100)는 둘 이상의 실시예로 다시 구분될 수 있는데, 전원이 구비되는 경우와 구비되지 않는 경우를 나누어 설명한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여, 위와 같은 터치스탬프(100)의 구성을 기능적인 요소에 따라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구동부(110)가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110)는 외력을 받거나 또는 상기 터치스탬프(100) 내에 구성되는 전원부(130)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후술할 터치돌기(15)를 동작시키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도 2a와 같이 상기 터치스탬프(100) 내에 전원이 구성되지 않는 경우, 도 1의 터치버튼(12)과 같이 외력을 받아 이동하는 수단이 상기 구동부(110)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b와 같이 상기 터치스탬프(100) 내에 전원부(13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110)는 전동모터 등 전기적 에너지를 역학적 에너지로 전환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부(130)는 배터리나 외부전원을 수신받는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11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터치돌기(15)에 동력이 전달되는데, 이를 위항 상기 구동부(110)와 상기 터치돌기(15) 사이에는 동력전달부(1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20)는 상기 터치스탬프(100) 내에 별도의 구동원이 없는 경우, 상기 구동부(110)로 가해진 외력에 의해 상기 구동부(110)가 움직이면 그에 따른 힘을 상기 터치돌기(15)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부(120)는 상기 터치스탬프(100)의 몸체(10) 내에서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로드(rod)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터치버튼(12)이 상기 몸체(10)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터치버튼(12)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부(120)의 일단이 상기 터치돌기(15) 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터치돌기(15)를 상기 타단면(13)에 형성되는 통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터치버튼(12)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터치버튼(12)과 로드 형상의 상기 동력전달부(120)가 원래의 자리로 복귀하면서 상기 터치돌기(15)도 상기 몸체(10) 내부로 다시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부(130)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110)가 전원에 의하여 동작하는 전동모터 등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동력전달부(120)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터치돌기(15)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동력전달부(120)는 커넥팅 로드(connecting rod)나, 렉기어와 피니언기어의 조합 등 일반적으로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전환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특히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터치스탬프(100)의 경우,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돌기(15)를 각각 미리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일정한 터치패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나의 터치돌기(15)가 외부로 노출되는 시간과 다시 내부로 수용되는 시간을 조절하여 시간패턴(모스 부호(Morse Code)와 같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동부(110)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5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150)는 인버터(Inverter)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부(110)의 구동속도와 구동방향, 구동여부 등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터치스탬프(100)에서 상기 터치버튼(12)을 통해 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정해진 터치패턴에 따라 상기 터치돌기(15)를 구동시킨 후 터치패턴에 따른 구동이 완료되면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또한 상기 터치돌기(15)가 여러 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각각의 터치돌기(15)를 따로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110)나 동력전달부(120)가 각각 별개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구동부(110)의 구동방향에 따라 구동되는 터치돌기(15)가 서로 달리 대응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를 설명하면, 제2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두 개의 실시예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터치스탬프(200) 내에 전원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터치스탬프(200)는 몸체(2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20)는 상기 터치스탬프(20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고, 내부 구성을 감싸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20)의 일측에는 접촉부(24)가 구비된다. 상기 접촉부(24)는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고 후술할 터치단자(25)와 전하의 이동이 가능한 경로를 형성한다. 즉, 상기 접촉부(24)에 사람의 인체가 선택적으로 닿으면 휴대 단말기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스위칭 수단으로서, 상기 터치단자(25)를 전도성 있고 접지와 연결되는 외부 구성(인체)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부분이고,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부분이다. 물론 상기 접촉부(24)의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몸체(20)의 일측이면 어디라도 될 수 있다. 여기서 전도성 물질은, 금속이나 액체 또는 고체전해질 등을 포함함으로써 전기 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일단면(21)의 타단에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타단면(23)이 형성된다. 상기 타단면(23)은 상기 터치스탬프(200)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터치입력을 가할 때, 사용자에 의하여 터치스크린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타단면(23)에는 하나 이상의 터치단자(25)가 상기 타단면(23)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터치단자(25)는 상기 타단면(23)에 평평하게 또는 외부로 소정높이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단자(25)는 상기 터치스탬프(200)에 대하여 미리 결정되는 터치패턴이 어떤 패턴인지에 따라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더 많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터치단자(25)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 등 접촉식 터치패널에 상기 터치단자(25)가 밀착되고 상기 접촉부(24)에 사람의 손이 닿으면, 전하의 이동 경로가 형성되면서 전하의 이동이 발생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터치패널에 대한 상기 터치단자(25)들의 터치패턴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터치스탬프(200)의 기능적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10)가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210)는 상기 터치단자(25)를 상기 접촉부(24)와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역시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터치스탬프(200) 내에 전원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20)의 일단면(21)에는 구동버튼(22)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버튼(22)은 상기 일단면(21)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일정구간을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구동버튼(22)이 외력에 의하여 상기 몸체(20)를 향하여 이동하면, 상기 터치스탬프(200)가 미리 정해진 터치패턴으로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버튼(22)은 선택적으로 휴대 단말기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스위칭 수단으로서,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부분이다. 물론 상기 구동버튼(22)의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몸체(20)의 일측이면 어디라도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단면(21)의 타단에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타단면(23)이 형성된다. 상기 타단면(23)은 상기 터치스탬프(200)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터치입력을 가할 때, 사용자에 의하여 터치스크린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타단면(23)에는 하나 이상의 터치단자(25)가 상기 타단면(23)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터치단자(25)는 상기 타단면(23)에 평평하게 또는 외부로 소정높이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단자(25)는 상기 터치스탬프(200)에 대하여 미리 결정되는 터치패턴이 어떤 패턴인지에 따라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더 많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터치단자(25)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터치스탬프(200)의 일측에 상기 터치단자(25)를 전도성 있고 접지와 연결되는 외부 구성(예를 들어, 인체)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접촉부(24)가 구비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은 터치스탬프(200)의 구성을 기능적 요소로 나누어 설명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210)에 스위칭소자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소자는 상기 연결부(210)와 상기 접촉부(24)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10)를 제어하는 제어부(250)가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250)는 전원부(2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스위칭소자를 미리 설정된 바에 따라 개방 또는 단락한다. 그에 따라 상기 접촉부(24)와 상기 터치단자(25) 사이의 연결 경로를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한다.
한편 여기서 상기 구동버튼(22)이 구동되면, 상기 제어부(250)로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상기 스위칭소자를 제어하라는 명령이 전달된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210)에 포함되는 스위칭소자를 중심으로 도면 좌측 부분에서, 상기 접촉부(24) 대신에 전기용량을 갖는 소자(예를 들어, 캐패시터)와 접지(미도시)가 연결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100, 200)에 의한 터치패턴을 도 5a 내지 5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터치돌기(15) 또는 상기 터치단자(25)는 하나만 구성되고, 상기 터치돌기(15) 또는 상기 터치단자(25)가 미리 정해진 복수의 단위시간 내에 터치 또는 비터치 동작함으로써 패턴을 이룬다. 즉,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터치스탬프(100)나 도 4b에 도시된 터치스탬프(200)에서 상기 터치돌기(15)와 상기 터치단자(25)를 미리 정해진 시간패턴으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이를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상에 동작시키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이와 같은 시간패턴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돌기(15)나 터치단자(25)가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터치돌기(15)나 터치단자(25)를 따로 동작시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의 터치돌기(15)나 터치단자(25)가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터치입력을 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100)는 복수의 터치돌기(15)나 터치단자(25)를 구비하되, 이와 같은 복수의 터치돌기(15)나 터치단자(25)는 일정한 패턴에 따라 배열되고, 터치스크린에 동시에 터치입력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터치스탬프(100)를 이용하면 휴대 단말기 터치스크린 상에 정해진 패턴에 따른 터치입력을 가함으로써 다양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단순히 휴대 단말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오프라인상에서 발급되는 쿠폰이나 스탬프 카드 등을 휴대 단말기를 통해 온라인으로 구현함에 있어서, 쿠폰 또는 스탬프 카드 발급 주체를 인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터치스탬프(10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스탬프(100)를 이용한 인증방법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를 이용한 인증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망구성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탬프를 이용한 인증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증시스템에는 복수의 휴대 단말기(2000)와, 이들과 네트워크(N)를 통해 통신하는 인증서버(1000)가 포함된다. 상기 휴대 단말기(2000)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증서버(1000)는 각각의 터치스탬프(100, 200)의 터치패턴정보와, 각각의 터치스탬프(100, 200)에 대응하는 제휴사의 가맹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100)를 구비한다. 이때 터치패턴정보는 제휴사 또는 가맹점마다 서로 달리 정해진 고유의 패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인증서버(1000)는 상기 휴대 단말기(2000)에서 상기 터치스탬프(100, 200)에 의한 일정한 터치패턴이 인식되면, 이와 같이 인식된 터치패턴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2000)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터치패턴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100)에 저장된 복수의 터치패턴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터치패턴정보를 검색한다. 그리하여 일치하는 터치패턴정보가 있으면, 그에 대응하는 제휴사의 가맹점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2000)에 대한 터치패턴 입력이 해당 가맹점에서 이루어진 것임을 인증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2000)에 해당 가맹점 정보 및 인증성공신호를 전송한다.
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2000)에서는 상기 인증서버(1000)로부터 수신된 가맹점 정보 및 인증성공신호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인증시스템(1000)에 의한 인증과정의 일실시예로서, 온라인 스탬프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상기 휴대 단말기(2000)에서 스탬프카드 앱이 실행되는 단계(S100)가 수행된다.
상기 스탬프카드 앱은 상기 인증서버(1000)와 연동하는 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가맹점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터치패턴을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입력받으면 상품이나 서비스와 교환 가능한 쿠폰을 지급하는 방식의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탬프카드 앱이 실행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2000)에 상기 인증서버(1000)의 운영주체와 미리 계약된 복수의 가맹점의 리스트가 제공되는 단계가 수행된다. 예를 들면, 커피전문점이나 식당 등의 리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2000)는 상기 리스트에서 하나의 가맹점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다(S110).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2000)는 선택받은 가맹점에 대응하는 스탬프카드 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커피전문점 '커피빈'에 대한 스탬프카드가 터치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고, 이미 받은 스탬프의 갯수와 쿠폰을 받기 위해 앞으로 받아야할 스탬프의 갯수가 함께 터치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탬프(100, 200)를 이용한 터치입력을 받기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2000)의 터치스크린에 스탬프영역이 표시되는 단계(S120)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스탬프영역은 스탬프카드의 구획된 복수의 영역 중 스탬프를 받지 않은 영역이 될 수도 있고, 별개의 영역이 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스탬프영역에는 상기 터치스탬프(100, 200)로부터의 터치입력을 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2000)가 상기 스탬프영역 내에 터치입력을 감지(S130)하면, 감지된 터치입력의 터치패턴을 상기 S110단계에서 선택받은 가맹점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터치패턴과 비교하여 미리 저장된 터치패턴과 동일한 패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2000)에는 각각의 가맹점에 대응하는 터치패턴이 미리 저장되고, 입력받은 터치패턴을 이와 비교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2000)가 입력받은 터치패턴의 정보를 상기 인증서버(1000)로 전송하고, 그에 따라 상기 인증서버(1000)가 전송받은 터치패턴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100)에 저장된 터치패턴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동일한 패턴에 해당하면, 상기 스탬프카드에 하나의 스탬프를 더 추가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한다(S150). 그에 따라 추가된 스탬프의 갯수가 미리 설정된 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60), 미리 정해진 수만큼 누적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인증서버(1000)가 이를 확인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2000)로 전자 쿠폰을 발급하는 단계(S170)가 수행된다.
즉, 가맹점에서는 각각 고유한 터치패턴을 갖는 터치스탬프(100, 200)를 구비하고, 사용자들은 자신의 휴대 단말기(2000)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터치스탬프(100, 200)로부터 터치입력을 받아, 미리 저장된 각 가맹점에 대한 터치패턴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통해 실제 가맹점으로부터 터치입력을 받은 것인지 여부를 인증하게 된다.
이로써, 손으로 입력받기 어려운 터치패턴을 갖는 터치입력을 상기 터치스탬프(100, 200)로부터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일반적인 도장을 이용한 인증방법과 같은 인증방법을 온라인 상에서 구현할 수 있다.
당업자는 여기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을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대체 가능성을 분명히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예시적인 단계들을 주로 그들의 기능의 관점에서 상술하였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될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 조건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그러한 구현의 결정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해석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실시 예는 본원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들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및 그 밖의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첨부한 청구범위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100, 200: 터치스탬프 1000: 인증서버
2000: 휴대 단말기 N: 네트워크

Claims (9)

  1. 평평하고, 하나 이상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일단면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수납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패턴 및 위치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터치패턴에 따라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일단면으로부터 상기 몸체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터치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터치스탬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탬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돌기를 선택적으로 상기 몸체 외부로 돌출되도록 제어하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터치스탬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탬프는 하나의 터치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하나의 터치돌기를 미리 정해진 시간패턴에 따라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제어하는, 터치스탬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탬프는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되는 둘 이상의 터치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둘 이상의 터치돌기를 동시에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제어하는, 터치스탬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탬프는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되는 둘 이상의 터치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둘 이상의 터치돌기를 각각 서로 다른 시간패턴에 따라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제어하는, 터치스탬프.
  6. 평평하고, 하나 이상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일단면을 갖는 몸체와;
    미리 설정된 시간패턴 및 위치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터치패턴에 따라 상기 일단면으로부터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몸체 외부로 노출되며, 전기 전도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터치단자; 그리고
    상기 몸체 내부에 수납되고, 그 일단이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단자에 연결되어, 전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터치스탬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탬프는,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 외부로 노출되어 사람의 신체와 접촉하면 사람의 신체와 함께 전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터치스탬프.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탬프는 하나의 터치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가 형성하는 전하 이동경로를 미리 정해진 시간패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단락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터치스탬프.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탬프는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되는 둘 이상의 터치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둘 이상의 터치단자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전하 이동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가 형성하는 둘 이상의 전하 이동경로를 각각 서로 다른 시간패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단락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터치스탬프.
KR1020120002607A 2012-01-09 2012-01-09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 KR101305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607A KR101305412B1 (ko) 2012-01-09 2012-01-09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
CN201380005071.4A CN104220977A (zh) 2012-01-09 2013-01-09 采用触摸屏的便携式终端设备用触摸戳记及用此的认证系统及方法
JP2014551201A JP2015507270A (ja) 2012-01-09 2013-01-09 タッチスクリーンが採用された携帯端末機用タッチスタンプ及びこれを利用した認証システム並びに方法
PCT/KR2013/000185 WO2013105788A1 (ko) 2012-01-09 2013-01-09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
US14/370,813 US20140368430A1 (en) 2012-01-09 2013-01-09 Touch stamp for portable terminal employing touchscreen, and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SG11201403882XA SG11201403882XA (en) 2012-01-09 2013-01-09 Touch stamp for portable terminal employing touch screen and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same
EP13735817.2A EP2804078A4 (en) 2012-01-09 2013-01-09 TOUCH STAMP FOR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 SCREEN AND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607A KR101305412B1 (ko) 2012-01-09 2012-01-09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152A Division KR101305413B1 (ko) 2013-05-29 2013-05-29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
KR1020130061151A Division KR20130081680A (ko) 2013-05-29 2013-05-29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560A true KR20130081560A (ko) 2013-07-17
KR101305412B1 KR101305412B1 (ko) 2013-09-06

Family

ID=48781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607A KR101305412B1 (ko) 2012-01-09 2012-01-09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368430A1 (ko)
EP (1) EP2804078A4 (ko)
JP (1) JP2015507270A (ko)
KR (1) KR101305412B1 (ko)
CN (1) CN104220977A (ko)
SG (1) SG11201403882XA (ko)
WO (1) WO2013105788A1 (ko)

Cited B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5705A (ko) * 2014-08-01 2014-09-02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10535A (ko) * 2013-07-20 2015-01-28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KR20150016472A (ko) * 2014-07-02 2015-02-12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 인식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93883B1 (ko) * 2014-08-08 2015-02-23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장치를 이용한 가치 제공 방법
KR101493886B1 (ko) * 2014-08-08 2015-02-23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장치를 이용한 가치 제공 방법
KR101493876B1 (ko) * 2014-08-01 2015-02-23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장치를 이용한 다중 터치 인증 방법
KR101495591B1 (ko) * 2013-10-08 2015-02-25 원투씨엠 주식회사 정전식 터치 인증 방법
KR20150019969A (ko) * 2013-08-16 2015-02-25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 인식을 이용한 역방향 가치 사용 방법
KR101495589B1 (ko) * 2012-11-19 2015-02-26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99507B1 (ko) * 2014-08-04 2015-03-09 원투씨엠 주식회사 정전식 터치 인증 방법
KR101499512B1 (ko) * 2014-08-04 2015-03-10 원투씨엠 주식회사 정전식 터치 프레임
KR20150026383A (ko) * 2013-09-02 2015-03-11 원투씨엠 주식회사 근접 무선 통신 터치 장치
KR20150026385A (ko) * 2013-09-02 2015-03-11 원투씨엠 주식회사 전자식 터치 장치
KR20150026384A (ko) * 2013-09-02 2015-03-11 원투씨엠 주식회사 근접 무선 통신 터치 장치
KR20150029242A (ko) * 2013-09-09 2015-03-18 원투씨엠 주식회사 이종의 장치 간 터치 인증을 제공하는 터치 도장
KR20150039149A (ko) * 2015-02-23 2015-04-09 원투씨엠 주식회사 압인식 정전 다중 터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41737A (ko) * 2014-08-04 2015-04-17 원투씨엠 주식회사 정전식 터치 인증 방법
KR20150045859A (ko) * 2013-10-21 2015-04-29 원투씨엠 주식회사 복수의 가이드부를 구비한 터치 도장
KR20150045861A (ko) * 2013-10-21 2015-04-29 원투씨엠 주식회사 자유 터치 인증을 제공하는 터치 도장
KR20150045855A (ko) * 2013-10-21 2015-04-29 원투씨엠 주식회사 정확한 도장 터치를 제공하는 터치 도장
KR20150045853A (ko) * 2013-10-21 2015-04-29 원투씨엠 주식회사 이종의 접촉 면적을 지닌 터치부를 구비한 터치 도장
KR20150045860A (ko) * 2013-10-21 2015-04-29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 인증을 제공하는 터치 도장
KR20150059260A (ko) * 2013-11-22 2015-06-01 원투씨엠 주식회사 도장 터치 인증 처리 방법
KR20150059257A (ko) * 2013-11-22 2015-06-01 원투씨엠 주식회사 도장 터치 인증의 검증 방법
KR20150059913A (ko) * 2013-11-25 2015-06-03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도장
KR20150090760A (ko) * 2014-01-29 2015-08-06 원투씨엠 주식회사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
KR20150090742A (ko) * 2014-01-29 2015-08-06 원투씨엠 주식회사 사운드 신호와 연계된 도장 터치 인증 방법
KR20150090764A (ko) * 2014-01-29 2015-08-06 원투씨엠 주식회사 도장 터치를 이용한 최적 카드 선택 방법
KR20150090763A (ko) * 2014-01-29 2015-08-06 원투씨엠 주식회사 도장 터치를 이용한 월렛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92688A (ko) * 2014-02-05 2015-08-13 모비두 주식회사 전자 스탬프
WO2015119340A1 (ko) * 2014-02-05 2015-08-13 모비두 주식회사 인증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 인증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및 서버의 동작 방법
KR20150110010A (ko) * 2014-03-22 2015-10-02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모듈을 이용한 시급제 아르바이트 관리 방법
KR20150110009A (ko) * 2014-03-22 2015-10-02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모듈을 이용한 시급제 관리 방법
KR20150117566A (ko) * 2014-04-10 2015-10-20 원투씨엠 주식회사 정전식 터치모듈
KR20150125071A (ko) * 2014-04-29 2015-11-09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를 이용한 구매 상품 제공 방법
WO2015174685A1 (ko) * 2014-05-15 2015-11-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스탬퍼, 그리고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11815A (ko) * 2014-07-22 2016-02-02 원투씨엠 주식회사 적층형 터치유닛을 구비한 터치모듈
KR20160011813A (ko) * 2014-07-22 2016-02-02 원투씨엠 주식회사 적층형 터치유닛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11814A (ko) * 2014-07-22 2016-02-02 원투씨엠 주식회사 밀폐형 터치유닛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11816A (ko) * 2014-07-22 2016-02-02 원투씨엠 주식회사 밀폐형 터치유닛을 구비한 터치모듈
KR20160028637A (ko) * 2014-09-03 2016-03-14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모듈을 이용한 통신망 접속 방법
KR20160078796A (ko) * 2014-12-24 2016-07-05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모듈을 이용한 터치 식별 방법
WO2016117792A1 (ko) * 2015-01-23 2016-07-28 주식회사 비디 컴퓨터 실행 가능한 전자 스탬프 결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전자 스탬프 결제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1658488B1 (ko) * 2015-03-24 2016-09-23 주식회사 위즈커뮤니케이션즈 터치스크린 스탬프 및 그것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WO2016208810A1 (ko) * 2015-06-25 2016-12-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스탬프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KR20180088635A (ko) * 2015-09-21 2018-08-06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 솔루션즈 장치 및 카드형 장치
KR20180123488A (ko) * 2016-02-17 2018-11-16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 솔루션즈 장치 및 카드형 장치
CN106663259B (zh) * 2014-08-04 2021-03-23 Sk电信有限公司 印章器、终端及其操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266B1 (ko) * 2011-10-06 2018-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판단 방법 및 그 장치
JP5804398B2 (ja) * 2013-05-22 2015-11-04 株式会社Leonis&Co. 電子チケット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5201211A (ja) * 2013-05-22 2015-11-12 株式会社Leonis&Co. 電子チケット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14872B1 (ko) 2015-01-23 2016-04-22 아이팝콘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
KR20160113336A (ko) 2015-02-17 2016-09-29 주식회사 비디 컴퓨터 실행 가능한 판매자 및 구매자의 상호 협력형 결제 방법, 이를 수행하는 결제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JP6265154B2 (ja) 2015-03-05 2018-01-24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入力装置および入力方法
KR101653683B1 (ko) 2015-04-29 2016-09-02 주식회사 비디 모바일 스탬프 장치
WO2016181539A1 (ja) * 2015-05-13 2016-11-17 株式会社Leonis&Co. 端末装置、電子印章およびプログラム
EP3144837A1 (en) * 2015-09-15 2017-03-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A technique for authentication of a touch input
US10643046B2 (en) * 2015-09-21 2020-05-05 I.P Solutions, Ltd Device, and card type device
CN105160562A (zh) * 2015-10-10 2015-12-16 金大甲 利用移动客户终端的电子章系统及方法
JP5908158B1 (ja) 2015-10-16 2016-04-26 株式会社コト プログラム、及びスタンプシステム
KR101660525B1 (ko) * 2015-12-11 2016-10-11 원투씨엠 주식회사 종이 또는 수지 재질의 정전식 터치모듈
WO2017115437A1 (ja) * 2015-12-28 2017-07-06 泰和 西尾 入力システム
KR101743222B1 (ko) 2016-01-08 2017-06-05 원투씨엠 주식회사 양각된 접촉판을 구비한 정전식 터치모듈과 그 제작 방법
JPWO2017142093A1 (ja) * 2016-02-17 2019-03-22 株式会社I・Pソリューションズ 装置、及びカード型装置
WO2017164262A1 (ja) * 2016-03-22 2017-09-28 株式会社I・Pソリューションズ 薄板状の装置
JP2017182381A (ja) * 2016-03-30 2017-10-05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電子スタンプ認証装置、電子スタンプ認証方法、プログラム、及び電子スタンプ
JP6112641B2 (ja) * 2016-06-24 2017-04-12 株式会社ベネッセコーポレーション 入力デバイスセット及び複合入力デバイスセット
KR20160113556A (ko) 2016-09-19 2016-09-30 주식회사 비디 컴퓨터 실행 가능한 전자 스탬프 결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전자 스탬프 결제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WO2018061985A1 (ja) * 2016-09-30 2018-04-05 パーク二四株式会社 電子スタンプ、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電子スタンプの製造方法
KR20160128979A (ko) 2016-10-31 2016-11-08 주식회사 비디 컴퓨터 실행 가능한 판매자 및 구매자의 상호 협력형 결제 방법, 이를 수행하는 결제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JP6336653B2 (ja) * 2017-04-18 2018-06-06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出力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出力方法、および出力システム
US20200387265A1 (en) * 2017-06-30 2020-12-10 I.P Solutions, Ltd. Code generation device
WO2019025878A1 (zh) * 2017-07-03 2019-02-07 黄丽华 一种多点触控应用裝置
KR101884771B1 (ko) * 2017-07-11 2018-08-03 원투씨엠 주식회사 향상된 인식률을 지닌 정전식 터치모듈과 그 제작 방법
TWI636355B (zh) 2017-08-01 2018-09-21 群光電能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印章
JP6613407B2 (ja) * 2017-12-29 2019-12-04 株式会社I・Pソリューションズ コード発生装置
CN108089780A (zh) * 2018-02-08 2018-05-29 陈清华 一种多触点二次触碰式触屏印章
JP6783404B2 (ja) * 2020-02-05 2020-11-11 playground株式会社 電子印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220A (ja) * 1991-09-30 1993-04-09 Nkk Corp 電子捺印装置
JP2500581B2 (ja) * 1993-02-23 1996-05-29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印鑑および電子印鑑システム
JPH11149454A (ja) * 1997-09-10 1999-06-02 Fujitsu Ltd 認証装置、ユーザ認証方法、ユーザ認証用カード及び記憶媒体
JP4321944B2 (ja) * 2000-04-27 2009-08-26 富士通株式会社 生体情報を用いた個人認証システム
KR100628463B1 (ko) * 2004-12-13 2006-09-26 핑거시스템 주식회사 절대좌표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12118A (ko) * 2008-04-23 2009-10-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323045B1 (ko) * 2008-10-21 2013-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감지장치와 그 출력 증폭방법
KR20100059342A (ko) * 2008-11-26 2010-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587002B1 (ko) * 2009-02-02 2016-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US8773390B1 (en) * 2009-04-24 2014-07-08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Biometric identificatio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having touch surfaces
JP5577202B2 (ja) * 2009-11-30 2014-08-20 高司 山本 情報処理装置用の駆動装置及びマルチタッチ機能を利用した情報処理システム
US8994666B2 (en) * 2009-12-23 2015-03-31 Colin J. Karpfinger Tactile touch-sensing interface system
US20110227871A1 (en) * 2010-03-22 2011-09-22 Mattel, Inc. Electronic Device and the Input and Output of Data
KR20120065687A (ko) * 2010-12-13 2012-06-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Cited B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589B1 (ko) * 2012-11-19 2015-02-26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10535A (ko) * 2013-07-20 2015-01-28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KR20150019969A (ko) * 2013-08-16 2015-02-25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 인식을 이용한 역방향 가치 사용 방법
KR20150026383A (ko) * 2013-09-02 2015-03-11 원투씨엠 주식회사 근접 무선 통신 터치 장치
KR20150026384A (ko) * 2013-09-02 2015-03-11 원투씨엠 주식회사 근접 무선 통신 터치 장치
KR20150026385A (ko) * 2013-09-02 2015-03-11 원투씨엠 주식회사 전자식 터치 장치
KR20150029242A (ko) * 2013-09-09 2015-03-18 원투씨엠 주식회사 이종의 장치 간 터치 인증을 제공하는 터치 도장
KR101495591B1 (ko) * 2013-10-08 2015-02-25 원투씨엠 주식회사 정전식 터치 인증 방법
WO2015053563A1 (en) * 2013-10-08 2015-04-16 12Cm Method for authenticating capacitive touch
KR20150045861A (ko) * 2013-10-21 2015-04-29 원투씨엠 주식회사 자유 터치 인증을 제공하는 터치 도장
KR20150045855A (ko) * 2013-10-21 2015-04-29 원투씨엠 주식회사 정확한 도장 터치를 제공하는 터치 도장
KR20150045853A (ko) * 2013-10-21 2015-04-29 원투씨엠 주식회사 이종의 접촉 면적을 지닌 터치부를 구비한 터치 도장
KR20150045860A (ko) * 2013-10-21 2015-04-29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 인증을 제공하는 터치 도장
KR20150045859A (ko) * 2013-10-21 2015-04-29 원투씨엠 주식회사 복수의 가이드부를 구비한 터치 도장
KR20150059257A (ko) * 2013-11-22 2015-06-01 원투씨엠 주식회사 도장 터치 인증의 검증 방법
KR20150059260A (ko) * 2013-11-22 2015-06-01 원투씨엠 주식회사 도장 터치 인증 처리 방법
KR20150059913A (ko) * 2013-11-25 2015-06-03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도장
KR20150090763A (ko) * 2014-01-29 2015-08-06 원투씨엠 주식회사 도장 터치를 이용한 월렛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90764A (ko) * 2014-01-29 2015-08-06 원투씨엠 주식회사 도장 터치를 이용한 최적 카드 선택 방법
KR20150090742A (ko) * 2014-01-29 2015-08-06 원투씨엠 주식회사 사운드 신호와 연계된 도장 터치 인증 방법
KR20150090760A (ko) * 2014-01-29 2015-08-06 원투씨엠 주식회사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
KR20150092688A (ko) * 2014-02-05 2015-08-13 모비두 주식회사 전자 스탬프
WO2015119340A1 (ko) * 2014-02-05 2015-08-13 모비두 주식회사 인증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 인증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및 서버의 동작 방법
KR20150110009A (ko) * 2014-03-22 2015-10-02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모듈을 이용한 시급제 관리 방법
KR20150110010A (ko) * 2014-03-22 2015-10-02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모듈을 이용한 시급제 아르바이트 관리 방법
KR20150117566A (ko) * 2014-04-10 2015-10-20 원투씨엠 주식회사 정전식 터치모듈
KR20150125071A (ko) * 2014-04-29 2015-11-09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를 이용한 구매 상품 제공 방법
WO2015174685A1 (ko) * 2014-05-15 2015-11-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스탬퍼, 그리고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32677A (ko) * 2014-05-15 2015-11-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스탬퍼, 그리고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US10511595B2 (en) 2014-05-15 2019-12-17 Sk Telecom Co., Ltd. Stamper,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50016472A (ko) * 2014-07-02 2015-02-12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 인식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011816A (ko) * 2014-07-22 2016-02-02 원투씨엠 주식회사 밀폐형 터치유닛을 구비한 터치모듈
KR20160011815A (ko) * 2014-07-22 2016-02-02 원투씨엠 주식회사 적층형 터치유닛을 구비한 터치모듈
KR20160011813A (ko) * 2014-07-22 2016-02-02 원투씨엠 주식회사 적층형 터치유닛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11814A (ko) * 2014-07-22 2016-02-02 원투씨엠 주식회사 밀폐형 터치유닛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05705A (ko) * 2014-08-01 2014-09-02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93876B1 (ko) * 2014-08-01 2015-02-23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장치를 이용한 다중 터치 인증 방법
KR101499507B1 (ko) * 2014-08-04 2015-03-09 원투씨엠 주식회사 정전식 터치 인증 방법
KR101499512B1 (ko) * 2014-08-04 2015-03-10 원투씨엠 주식회사 정전식 터치 프레임
CN106663259B (zh) * 2014-08-04 2021-03-23 Sk电信有限公司 印章器、终端及其操作方法
KR20150041737A (ko) * 2014-08-04 2015-04-17 원투씨엠 주식회사 정전식 터치 인증 방법
KR101493883B1 (ko) * 2014-08-08 2015-02-23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장치를 이용한 가치 제공 방법
KR101493886B1 (ko) * 2014-08-08 2015-02-23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장치를 이용한 가치 제공 방법
KR20160028637A (ko) * 2014-09-03 2016-03-14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모듈을 이용한 통신망 접속 방법
KR20160078796A (ko) * 2014-12-24 2016-07-05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모듈을 이용한 터치 식별 방법
WO2016117792A1 (ko) * 2015-01-23 2016-07-28 주식회사 비디 컴퓨터 실행 가능한 전자 스탬프 결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전자 스탬프 결제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50039149A (ko) * 2015-02-23 2015-04-09 원투씨엠 주식회사 압인식 정전 다중 터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58488B1 (ko) * 2015-03-24 2016-09-23 주식회사 위즈커뮤니케이션즈 터치스크린 스탬프 및 그것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WO2016208810A1 (ko) * 2015-06-25 2016-12-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스탬프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KR20180088635A (ko) * 2015-09-21 2018-08-06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 솔루션즈 장치 및 카드형 장치
KR20180123488A (ko) * 2016-02-17 2018-11-16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 솔루션즈 장치 및 카드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5788A1 (ko) 2013-07-18
EP2804078A1 (en) 2014-11-19
EP2804078A4 (en) 2015-09-02
KR101305412B1 (ko) 2013-09-06
CN104220977A (zh) 2014-12-17
US20140368430A1 (en) 2014-12-18
SG11201403882XA (en) 2014-09-26
JP2015507270A (ja)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412B1 (ko)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
KR101305413B1 (ko)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1680A (ko)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
US10741347B2 (en) Tactile switch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06028965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r interaction with RFID cards
US20140043264A1 (en) Touchscreen authentication unit with dynamic touch locations
CN215987232U (zh) 触觉回馈系统
CN101164074B (zh) 便携式数据载体和运行便携式数据载体的方法
CN106062676B (zh) 电子设备
CN207116287U (zh) 卡托结构及电子设备
CN106843508B (zh) 压电式触觉反馈模块及终端
CN107799931B (zh) 连接器模块及可携式电子装置
CN105519003A (zh) 执行触控通信的触控通信装置
CN216311658U (zh) 多功能按键结构及移动终端
CN109427497A (zh) 卡托结构及电子设备
KR101479587B1 (ko) 매입식 터치 장치
US10970611B2 (en) Double-sided button with a tough function
CN207925363U (zh) 按压式开关及车辆
CN116137211A (zh) 具有收发器的智能键帽
CN105303118A (zh) 用于可穿戴设备的密保方法及其密保装置
KR100980042B1 (ko) 진동발생소자를 가진 전자기기용 입력장치 모듈
KR20160096912A (ko) 스타일러스 펜 장치
CN112005200A (zh) 信号输入装置及包括其的便携式终端设备
CN116994897A (zh) 开关装置和电子设备
KR20140123144A (ko) 조립식 터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