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872B1 -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872B1
KR101614872B1 KR1020150011154A KR20150011154A KR101614872B1 KR 101614872 B1 KR101614872 B1 KR 101614872B1 KR 1020150011154 A KR1020150011154 A KR 1020150011154A KR 20150011154 A KR20150011154 A KR 20150011154A KR 101614872 B1 KR101614872 B1 KR 101614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tamp
guide tube
fr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용익
김형진
함종태
최정호
권지영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아이팝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팝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팝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1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가 개시된다.
터치 모듈을 구성하는 터치 포인트의 주변에 터치 가이드가 형성되고, 터치 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 스탬프의 터치 포인트가 일정거리 이상 이동시 소리를 내는 소리 발생부재가 구비됨으로써, 터치 스탬프를 터치 스크린에 터치했을 때 복수의 터치 포인트들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 패턴이 변하지 않고, 터치 스탬프의 터치 포인트와 터치 스크린과의 터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touch stamp for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유의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터치 포인트가 터치 스크린과 터치시 다른 터치 포인트와의 거리를 포함하는 터치 포인트들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 패턴이 변하지 않고, 터치 스크린과 터치 포인트와의 터치 상태를 소리 등으로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 외부로 노출되는 하드웨어 구성을 최소화하고 디스플레이는 극대화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사용자 인터페이스)을 입력수단으로 채용하고 있다.
터치 스크린 입력방식에는 감압식 터치방식과 정전식 터치방식이 있는데, 정전식 터치방식이 감압식 터치방식에 비해 화질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인체에 축적된 정전기 등을 이용한 손가락 터치 등에 의해 정밀한 입력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터치 스크린 입력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에 멀티 터치인식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패널)을 채용하는 것이 최근 경향인데, 멀티 터치기술이란 동시에 여러 개의 터치 포인트를 인식하는 기술로서, 지정된 복수의 터치 포인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패턴의 터치되면,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프로그램이 구동되거나 휴대용 단말기에서 쿠폰이 발행되는 등 각각의 패턴에 대응되게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멀티 터치기술은 터치 스탬프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이 간편하고 일반적이다. 사람의 손으로 멀티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입력 패턴의 정밀성에 제한이 있고, 매번 동일하게 패턴을 입력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터치 스탬프의 지정된 터치 패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터치 패턴이 입력되면 지정된 프로그램이 구동되거나 쿠폰이 발행되는 등 지정된 서비스가 제공된다. 이때 터치 스탬프를 이용하여 지정된 터치 패턴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터치 입력프로그램이 구동된 상태이거나 터치 스탬프를 이용하여 지정된 터치 패턴을 입력함과 동시에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터치 입력프로그램이 구동되어야 한다.
특허문헌 1의 '매입식 터치장치'는 전도성 재질로 구성되며 일정 면적 이상의 접촉면이 형성된 N개의 터치부와, 접촉면이 노출되도록 터치부를 매입하는 매입 프레임과, 매입 프레임에 매입된 N개의 터치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과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으로 쥐어지게 형성된 쥠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의 '매입식 터치장치'는 N개의 터치부가 터치 패드에 동시에 닿아야 정상적인 터치 패턴으로 인식하게 된다. 하지만, 매입식 터치장치를 터치 패드에 터치할 때 각 터치부가 동시에 닿지 않는 경우, 먼저 터치 패드에 닿은 터치부가 찌그러지거나 밀리면서 정상적인 터치 패턴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터치 패턴의 잘못된 인식은 터치 패턴에 의해 구현하고자 하는 서비스가 다양화됨에 따라 더욱 자주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4-0123148 호(공개일자 2014. 10. 2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 스탬프를 터치 스크린에 터치했을 때 복수의 터치 포인트들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 패턴이 변하지 않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에 터치시 터치 포인트의 위치가 변하는 않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에 터치 모듈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스탬프를 터치 스크린에 터치시 터치 스탬프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과 터치 스탬프의 터치 포인트와 터치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 레버와 작동 축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스탬프의 터치 포인트가 터치 스크린에 터치시 타격 핀이 해머를 타격하여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격 핀이 병목부를 포함하는 작동 공간 내에서 원활하게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외곽에 결합 요홈이 형성되며 저면에 작동 공간이 형성된 커버 케이스; 상기 커버 케이스의 결합 요홈에 탄성 부재가 내재된 상태로 상기 커버 케이스의 관통공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작동 레버; 복수의 결합공을 가지는 판 형상의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판 형상의 상부 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작동 레버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 케이스의 작동 공간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프레임; 및 터치 포인트의 외곽에 터치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결합공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터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터치 모듈은, 상기 터치 포인트의 하단부가 상기 터치 가이드의 하단부보다 낮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결합공에 접하는 결합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저부에 상기 결합공에 대응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의 결합공에 상기 터치 모듈이 결합될 때 상기 터치 모듈의 머리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의 결합 요홈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고정돌기가 상기 터치 모듈의 고정홈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커버 케이스의 저면에 미끄러짐 방지용 패드가 부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 레버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지게 형성된 작동 공간 내에 상하로 이동되게 결합되는 작동 축; 및 상기 작동 축의 상부와 접하도록 상기 작동 레버의 작동공간 내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 레버가 하강하여 상기 터치 모듈이 터치 스크린과 터치시 소리를 내는 소리 발생부재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작동 축과 접하는 상기 작동 레버의 작동 공간 내에는 상기 작동 레버와 상기 작동 축과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부시(bush)가 내입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소리 발생부재는, 병목부를 포함하는 작동 공간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부 외주면과 하부 내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가이드 튜브; 작동 공간과 이와 접하는 이동 공간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부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 튜브 하부의 나선부에 대응되는 나선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튜브의 하부와 결합되는 가이드 캡; 상부 중앙에 일(一)자 또는 십(十)자의 요홈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가이드 튜브 상부의 나선부에 대응하는 나선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튜브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 캡; 상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캡의 이동 공간에 끼워져 나사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 핀; 저면 중앙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캡과의 사이에 탄성부재가 내재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튜브의 작동 공간에 내재되는 해머; 상기 이동 핀의 상면과 접하는 저면이 평면 또는 볼록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캡과 상기 가이드 튜브의 작동 공간 내에 탄성부재에 탄지된 상태로 내입되어 상기 이동 핀이 상승시 상기 해머의 홈을 타격하여 소리를 내는 타격 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타격 핀은, 상부의 직경이 상기 가이드 튜브의 병목부 내경의 2/5∼3/5의 크기를 가지고, 하부의 직경이 상기 가이드 튜브의 병목부 내경의 90/100∼99/100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타격 핀의 외주면 상부와 하부는, 경사면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터치 스탬프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결합되는 터치 모듈의 터치 포인트 외곽에 터치 가이드를 형성함으로써, 터치 스탬프를 터치 스크린에 터치했을 때 복수의 터치 포인트들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 패턴이 변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포인트의 하단부를 터치 가이드의 하단부보다 낮게 형성함으로써, 터치 스크린에 터치시 터치 포인트의 위치가 변하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공에 접하는 결합 요홈을 형성하고, 상부 프레임의 저부에 결합공에 대응하는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하부 프레임의 결합공에 터치 모듈 결합시 터치 모듈의 머리부가 하부 프레임의 결합 요홈에 고정되고 상부 프레임의 고정돌기가 터치 모듈의 고정홈에 결합됨으로써, 터치 모듈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 케이스의 저면에 미끄러짐 방지용 패드를 부착함으로써, 터치 스탬프를 터치 스크린에 터치시 터치 스탬프가 미끄러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 레버 내에 작동 축을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작동 축의 상부와 접하도록 작동 레버 내에 터치 모듈이 터치 스크린과 터치시 소리를 내는 소리 발생부재를 내입함으로써, 터치 스크린과 터치 스탬프의 터치 포인트와 터치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 축과 접하는 작동 레버의 작동 공간 내에 복수의 부시를 내입함으로써, 작동 레버와 작동 축과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격 핀 상부의 직경이 가이드 튜브의 병목부 내경의 2/5∼3/5의 크기를 가지고, 하부의 직경이 가이드 튜브의 병목부 내경의 90/100∼99/100의 크기를 가짐으로써, 터치 스탬프의 터치 포인트가 터치 스크린에 터치시 타격 핀이 해머를 타격하여 소리를 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격 핀의 외주면 상부와 하부가 경사면으로 연결됨으로써, 타격 핀이 병목부를 포함하는 작동 공간 내에서 상하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c에 개시된 소리 발생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도 4에 개시된 소리 발생부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는,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110)이 형성되고 관통공(110)의 둘레에 결합 요홈(120)이 형성되며 저면에 작동 공간(130)이 형성된 커버 케이스(100), 커버 케이스(100)의 결합 요홈(120)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130a)가 내재된 상태로 커버 케이스(100)의 관통공(110)에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과의 터치를 위해 상하로 이동되는 작동 레버(200), 복수의 결합공(311)을 가지는 판 형상의 하부 프레임(310)과 하부 프레임(310)의 상부에 고정되는 판 형상의 상부 프레임(320)을 구비하여, 작동 레버(2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커버 케이스(100)의 작동 공간(130)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프레임(300) 그리고 터치 포인트(410)의 외곽에 터치 가이드(420)가 형성되고 하부 프레임(310)의 결합공(31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터치 모듈(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실리콘 고무가 표면을 감싸고 있는 작동 레버(200)를 포함해서 프레임(300) 및 터치 모듈(400) 등은 전도성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터치 스탬프를 터치 스크린에 터치시 인체의 전류가 터치 스크린에 흘러 터치 스탬프의 각 포인트의 배열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등의 터치 패드나 터치 스크린에 실질적으로 터치되는 터치 모듈(400)은 터치 포인트(410)의 하단부가 터치 가이드(420)의 하단부보다 낮게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터치 모듈(400)이 터치 스크린에 동시에 터치되지 않아도 터치 포인트(410)의 위치가 변하지 않아 터치 포인트(410)의 배열에 따른 조합으로 특정 서비스 등을 인식할 때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특히, 터치 모듈(400)은 전도성 재질의 신축 자재한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터치 포인트(410) 혹은 터치 포인트(410)와 터치 가이드(420)가 휴대용 단말기 등의 터치 스크린에 터치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져, 터치 스탬프가 미세하게 움직이는 경우, 외력이 터치 가이드(420)를 경유하는 동안 소멸되어 터치 포인트(410)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특정 서비스 등에 대응되게 터치 모듈(400)을 프레임(300)에 고정하기 위해, 하부 프레임(310)의 상부에 결합공(311)에 접하는 결합 요홈(312)이 형성되고, 상부 프레임(320)의 저부에 결합공(311)에 대응하는 고정돌기(321)가 형성됨으로써, 하부 프레임(310)의 결합공(311)에 터치 모듈(400)을 결합할 때 터치 모듈(400)의 머리부(430)를 하부 프레임(310)의 결합 요홈(312)에 고정하고 상부 프레임(320)의 고정돌기(321)를 터치 모듈(400)의 고정홈(440)에 결합할 수 있다.
즉, 하부 프레임(310)의 특정 결합공(311)에 하나 이상의 터치 모듈(400)을 결합한 후 그 위에 상부 프레임(320)을 올려놓고 가이드 플레이트(330)와 팩(340)으로 하부 프레임(310)과 상부 프레임(320)을 일체형으로 결합함으로써, 하부 프레임(310)과 상부 프레임(320) 사이에 위치한 터치 모듈(400)이 외력에도 움직이지 않고 견고히 고정된다.
커버 케이스(100)의 저면 양단에 판 형상의 미끄러짐 방지용 패드(140)가 부착됨으로써, 터치 스탬프를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터치하였을 때 미끄러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는, 상부 프레임(3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작동 레버(200)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지게 형성된 작동 공간(210) 내에 상하로 이동되게 결합되는 작동 축(220) 그리고 작동 축(220)의 상부와 접하도록 작동 레버(200)의 작동공간(210) 내에 결합되어 작동 레버(200)가 하강하여 터치 모듈(400)이 터치 스크린과 터치시 소리를 내는 도 4와 같은 소리 발생부재(500)가 더 구비됨으로써, 터치 스탬프의 터치 포인트가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터치되었음을 소리를 듣고 알 수 있다.
여기서, 소리 발생부재(500)는 그의 상단부가 작동 레버(200)의 작동 공간(210) 내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뿐만 아니라, 소리 발생부재(500)의 상부에 해당 제품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로그 플레이트(600)가 부착되어 작동 레버(200)의 작동 공간(210)을 마감 처리함으로써, 작동 레버(200)에 나사 결합된 소리 발생부재(500)가 쉽게 풀리지 않게 된다.
이때 작동 축(220)과 접하는 작동 레버(200)의 작동 공간(210) 내에 부시(221)(222)를 내입함으로써, 작동 레버(200)와 상하로 이동되는 작동 축(220)과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위와 같은 소리 발생부재(500)는 도 4 및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병목부(511a)를 포함하는 작동 공간(511)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부 외주면과 하부 내주면에 나선부(512)(513)가 형성된 가이드 튜브(510), 작동 공간(521)과 이와 접하는 이동 공간(52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부 외주면에 가이드 튜브(510) 하부의 나선부(513)에 대응되는 나선부(522)가 형성되어, 가이드 튜브(510)의 하부와 결합되는 가이드 캡(520), 상부 중앙에 소리 발생부재(500)를 분리 결합하기 위한 일(一)자 또는 십(十)자의 요홈(531)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가이드 튜브(510) 상부의 나선부(512)에 대응하는 나선부(531)가 형성되어 가이드 튜브(510)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 캡(530), 상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캡(520)의 이동 공간(522)에 끼워져 나사(541)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 핀(540), 저면 중앙에 홈(551)이 형성되고 고정 캡(530)과의 사이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552)가 내재된 상태로 가이드 튜브(510)의 작동 공간(511)에 내재되는 해머(550), 이동 핀(540)의 상면과 접하는 저면이 평면 또는 볼록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캡(520)과 가이드 튜브(510)의 작동 공간(511) 내에 탄성부재(561)에 탄지된 상태로 내입되어 이동 핀(540)이 상승시 해머(550)의 홈(551)을 타격하여 소리를 내는 타격 핀(560)으로 구성된다.
타격 핀(560)은 상부(560a)의 직경이 가이드 튜브(510)의 병목부(511a) 내경의 2/5∼3/5의 크기를 가지고, 하부(560b)의 직경이 가이드 튜브(5110)의 병목부(511a) 내경의 90/100∼99/100의 크기를 가짐으로써, 평상시에는 타격 핀(560)이 경사진 상태로 유지하지만,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터치 스탬프를 터치시에는 수직상태를 유지하여 해머(550)를 타격할 수 있다.
특히, 타격 핀(560)의 외주면 상부(560a)와 하부(560b)가 경사면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터치 스탬프의 터치 여부에 따라 타격 핀(560)이 경사진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혹은 수직 상태에서 경사진 상태로 원활하게 돌아가게 된다.
여기서, 탄성부재(552)는 타격핀(560)이 해머(550) 타격시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탄성 에너지를 제공하는 한편 타격핀(560)이 해머(550) 타격시 발생되는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여 충격 에너지가 작동 레버(200)를 잡고 있는 사용자의 손까지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탄성부재(522)는 타격핀(560)이 해머(550) 타격 후 작동 레버에 가해지던 힘이 제거되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는 운동 에너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 등의 터치 스크린(1)에 터치 스탬프를 갔다 대면, 터치 스크린(1)에 미끄러짐 방지용 패드(140)가 가장 먼저 닿게 된다.
위와 같이 터치 스크린(1)에 미끄러짐 방지용 패드(140)가 닿아 있는 상태에서, 작동 레버(200)를 누르면, 작동 레버(200)와 함께 프레임(300) 및 터치 모듈(400)이 하강하면서 그 힘의 일부가 소리 발생부재(500)가 가해지게 된다.
작동 레버(200)와 함께 프레임(300) 및 터치 모듈(400)의 하강이 지속되면, 터치 모듈(400)의 터치 포인트(410)가 터치 스크린(1)에 닿고, 이어서 터치 모듈(400)이 터치 가이드(420)도 터치 스크린(1)에 닿으면서 터치 포인트(410)에 의해 인증 및 서비스 등을 위한 정보가 입력되게 된다.
이때 작동 축(220)을 통해 소리 발생부재(500)에 가해지는 역방향의 힘에 의해 도 5a 내지 도 5d에서와 같이, 소리 발생부재(500)가 작동되어 터치 모듈(400)이 터치 스크린(1)에 닿았음을 알리게 된다.
위와 같은 과정에서 터치 스탬프의 모든 터치 포인트(410)가 동시에 터치 스크린(1)에 닿지 않거나 터치 스탬프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터치 모듈(400)이 충격을 흡수하여 터치 스크린(1)에 닿은 터치 포인트(410)의 위치가 이동하지 않으므로 터치 포인트(410)에 의해 정해진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에 개시된 소리 발생부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먼저, 터치 스탬프의 작동 레버에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도 5a에서와 같이, 이동핀(540) 위에 위치한 타격핀(560)이 그의 상단부가 해머(550)에 닿지 않은 상태에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위와 같은 상태에서의 타격핀(560)은 터치 스탬프의 기울기 등에 연동해서 기울기(경사) 등이 변경되게 된다.
이어서, 작동 레버에 힘이 가해지면 이동핀(540)에 역방향의 힘이 가해지면서, 이동핀(540)과 함께 타격핀(560)이 상승하여 타격핀(560)의 상단부가 해머(550)의 저면에 닿게 된다.
그리고, 작동 레버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이동핀(540)에 역방향의 힘이 계속해서 가해지면, 이동핀(540)과 타격핀(560) 그리고 해머(550)가 함께 상승하는 한편 타격핀(560)의 경사면이 병목부(511a)를 통과하면서 타격핀(560)이 도 5b 내지 도 5d에서와 같이 점진적으로 수직상태로 조절된다.
최종적으로, 타격핀(560)의 하부(560b)가 병목부(511a)에 진입하는 순간 도 5c에서와 같이, 타격핀(560)이 수직상태를 유지하면서 해머(550)의 저면을 받치고 있던 타격핀(560)의 상단부가 도 5d에서와 같이 해머(550)의 홈(551)에 순간적으로 빠지고 해머(550)가 하강하면서 타격핀(560)이 해머(550)를 타격하여 소리가 낸다.
이후, 작동 레버에 가해지던 힘이 제거되면, 소리 발생부재(500)의 각 구성은 위의 순서의 역순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커버 케이스 110 : 관통공
120 : 결합 요홈 130a, 552, 561 : 탄성부재
210, 511, 130 : 작동 공간 140 : 미끄럼 방지용 패드
200 : 작동 레버 220 : 작동 축
221, 222 : 부시 300 : 프레임
310 : 하부 프레임 311 : 결합공
312 : 결합 요홈 320 : 상부 프레임
321 : 고정 돌기 330 : 가이드 플레이트
340 : 팩 400 : 터치 모듈
410 : 터치 포인트 420 : 터치 가이드
430 : 머리부 440 : 고정홈
500 : 소리 발생부재 510 : 가이드 튜브
511a : 병목부 512, 513, 522, 531 : 나선부
520 : 가이드 캡 530 : 고정 캡
532 : 요홈 540 : 이동핀
541 : 나사 550 : 해머
551 : 홈 560 : 타격 핀
560a : 상부 560b : 하부

Claims (9)

  1.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외곽에 결합 요홈이 형성되며 저면에 작동 공간이 형성된 커버 케이스;
    상기 커버 케이스의 결합 요홈에 탄성 부재가 내재된 상태로 상기 커버 케이스의 관통공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작동 레버;
    복수의 결합공을 가지는 판 형상의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판 형상의 상부 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작동 레버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 케이스의 작동 공간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프레임; 및
    터치 포인트의 외곽에 터치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결합공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터치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모듈은,
    상기 터치 포인트의 하단부가 상기 터치 가이드의 하단부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결합공에 접하는 결합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저부에 상기 결합공에 대응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의 결합공에 상기 터치 모듈이 결합될 때 상기 터치 모듈의 머리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의 결합 요홈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고정돌기가 상기 터치 모듈의 고정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케이스의 저면에 미끄러짐 방지용 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 레버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지게 형성된 작동 공간 내에 상하로 이동되게 결합되는 작동 축; 및
    상기 작동 축의 상부와 접하도록 상기 작동 레버의 작동공간 내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 레버가 하강하여 상기 터치 모듈이 터치 스크린과 터치시 소리를 내는 소리 발생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축과 접하는 상기 작동 레버의 작동 공간 내에는 상기 작동 레버와 상기 작동 축과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부시(bush)가 내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발생부재는,
    병목부를 포함하는 작동 공간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부 외주면과 하부 내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가이드 튜브;
    작동 공간과 이와 접하는 이동 공간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부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 튜브 하부의 나선부에 대응되는 나선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튜브의 하부와 결합되는 가이드 캡;
    상부 중앙에 일(一)자 또는 십(十)자의 요홈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가이드 튜브 상부의 나선부에 대응하는 나선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튜브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 캡;
    상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캡의 이동 공간에 끼워져 나사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 핀;
    저면 중앙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캡과의 사이에 탄성부재가 내재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튜브의 작동 공간에 내재되는 해머; 및
    상기 이동 핀의 상면과 접하는 저면이 평면 또는 볼록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캡과 상기 가이드 튜브의 작동 공간 내에 탄성부재에 탄지된 상태로 내입되어 상기 이동 핀이 상승시 상기 해머의 홈을 타격하여 소리를 내는 타격 핀;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 핀은, 상부의 직경이 상기 가이드 튜브의 병목부 내경의 2/5∼3/5의 크기를 가지고, 하부의 직경이 상기 가이드 튜브의 병목부 내경의 90/100∼99/100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 핀의 외주면 상부와 하부는, 경사면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
KR1020150011154A 2015-01-23 2015-01-23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 KR101614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154A KR101614872B1 (ko) 2015-01-23 2015-01-23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154A KR101614872B1 (ko) 2015-01-23 2015-01-23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4872B1 true KR101614872B1 (ko) 2016-04-22

Family

ID=55918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154A KR101614872B1 (ko) 2015-01-23 2015-01-23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8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959B1 (ko) 2013-09-09 2014-12-11 원투씨엠 주식회사 정전식 터치장치
US20140368430A1 (en) 2012-01-09 2014-12-18 Youngwoo Choi Touch stamp for portable terminal employing touchscreen, and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68430A1 (en) 2012-01-09 2014-12-18 Youngwoo Choi Touch stamp for portable terminal employing touchscreen, and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471959B1 (ko) 2013-09-09 2014-12-11 원투씨엠 주식회사 정전식 터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0880B2 (en) Dome switch and switch housing for keyboard assembly
CN205485928U (zh) 电子设备和动态输入表面
US8373661B2 (en) Input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8644018B2 (en) Hinge device and docking station using the same
US8994666B2 (en) Tactile touch-sensing interface system
EP3273384A1 (en) Mobile terminal
KR101104749B1 (ko) 정보입력 기능을 가지는 마우스패드
US20140203953A1 (en) Tablet computer with integrated tactile keyboard
US20160313816A1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nteractive Totems
US20110109594A1 (en) Touch screen overlay for mobile devices to facilitate accuracy and speed of data entry
US20130249802A1 (en) Touch keyboard
KR20120047982A (ko) 입력 장치 및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JP3132194U (ja) 押圧可能なタッチモジュール及びタッチ入力装置
US9075448B2 (en) Symbol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TW201730719A (zh) 具有距離感測功能的按鍵與鍵盤
KR101614872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터치 스탬프
KR101474964B1 (ko) 초 슬림 터치 키보드
US20180190446A1 (en) Illuminated dual pressure sensing key
US20130154941A1 (en) Enhanced Tablet Computer
US10877569B2 (en) Touch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8581130B2 (en) Key structure with scissors-type connecting member
TW200846989A (en) Handheld electric device and operate module thereof
US20140147123A1 (en) Remote control
US10242819B1 (en) Mechanical key structure
JP2011187087A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