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964B1 - 초 슬림 터치 키보드 - Google Patents

초 슬림 터치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964B1
KR101474964B1 KR1020140108364A KR20140108364A KR101474964B1 KR 101474964 B1 KR101474964 B1 KR 101474964B1 KR 1020140108364 A KR1020140108364 A KR 1020140108364A KR 20140108364 A KR20140108364 A KR 20140108364A KR 101474964 B1 KR101474964 B1 KR 101474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touch
piezoelectric sensor
keys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린
Priority to KR1020140108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964B1/ko
Priority to US14/622,030 priority patent/US9423836B2/en
Priority to PCT/KR2015/004748 priority patent/WO201517861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초 슬림 터치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키보드를 초박형 및 초경량으로 구현하여 휴대성이 우수한 태블릿 PC용 초 슬림 터치 키보드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 상에 키 패턴과, 상기 키 패턴과 인접하는 영역에 구비된 터치 휠 패턴이 구비된 터치 회로 기판; 상기 터치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키 패턴에 대응되는 영역에 압전 센서가 인쇄된 압전 센서 필름층; 상기 압전 센서 필름층 상에 형성된 EL(Electro-Luminance) 필름층; 상기 EL 필름층 상에 형성되고, 상기 키 패턴에 대응되는 영역에 다수 개의 키가 구비되는 키 패드층; 및 상기 키 패드층의 테두리 측에 상기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터치 휠 패턴에 대응되는 영역에 터치 휠이 구비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초 슬림 터치 키보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초 슬림 터치 키보드{SUPER SLIM TOUCH KEYBOAR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태블릿 PC용 초 슬림 터치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키보드는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장치로써, 문자, 숫자, 특수문자 및 기능키로 구성된다. 키보드 상의 키들은 사용자의 기능 확장 요구에 따라, 그 갯수가 증가되는 추세이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키보드의 키의 갯수는 100여 개이다.
상기 기능키는 컨트롤(Ctrl), 알트(Alt), 시프트(Shift), 엔터(Enter) 및 탭(Tab) 등이 있으며, 이들 키는 키의 본래 의미를 변경시키거나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할 때 또는 모니터 상의 텍스트 또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키보드의 작동 원리는 전류를 흐르게 하는 방법에 따라 전자식과 기계식으로 분류된다. 전자식은 키를 누르면 키 안의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회로에 흐르는 전하의 양이 줄어들고, 키 밑에 연결된 회로의 전하의 양을 측정하여 키의 눌림 상태를 파악하는 방식이다. 기계식은 키를 누름에 따라 키 밑에 있는 2개의 금속이 붙었다 떨어졌다 하면서 전류가 흐르고, 회로는 전류의 흐름 여부로 키의 눌림 상태를 파악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식과 기계식의 키보드는 최근 슬림화되어 가고 있는 노트북이나 이와 관련된 제품들에 사용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33094호 '디아이와이형 터치 키보드' 등록특허공보 제10-1357797호 '초 슬림 터치 키보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키보드를 초박형 및 초경량으로 구현하여 휴대성이 우수한 태블릿 PC용 초 슬림 터치 키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 슬림 터치 키보드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 상에 키 패턴과, 상기 키 패턴과 인접하는 영역에 구비된 터치 휠 패턴이 구비된 터치 회로 기판; 상기 터치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키 패턴에 대응되는 영역에 압전 센서가 인쇄된 압전 센서 필름층; 상기 압전 센서 필름층 상에 형성된 EL(Electro-Luminance) 필름층; 상기 EL 필름층 상에 형성되고, 상기 키 패턴에 대응되는 영역에 다수 개의 키가 구비되는 키 패드층; 및 상기 키 패드층의 테두리 측에 상기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터치 휠 패턴에 대응되는 영역에 터치 휠이 구비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전 센서 필름층과 EL 필름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키 패턴에 대응되는 영역에 에어갭을 구비하는 액츄에이터 필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 필름층은 우레탄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키 패드층은 UV(Ultraviolet) 필름과 우레탄 필름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회로 기판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상기 키패턴을 구비하여 다수 개의 키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되는 키보드값을 출력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상기 PCB의 일측에 터치 휠 패턴을 구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터치 휠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인식하여 이에 대응되는 휠값을 출력하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ed Board); 상기 배터리부, PCB 및 F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다수 개의 키와 터치 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 및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CB의 키패턴은 에폭시 필름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압전 센서 필름층은 PVDF(PolyVinyliDen Fluori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전 센서는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다수 개의 키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변형 및 복원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다수 개의 키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탄성부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다수 개의 키에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가진되는 가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진부는 웨이브 스프링(wave sp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실리콘 겔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 슬림 터치 키보드는 키보드와 터치휠을 일체로 하여 초박형 및 초경량으로 구현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우수한 휴대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초박형 및 초경량으로 구현가능한 압전 센서 필름층과 EL 필름층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키 입력에 대한 육감적인 인지감과 터치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어두운 곳에서도 타이핑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 슬림 터치 키보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 슬림 터치 키보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 슬림 터치 키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 슬림 터치 키보드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 슬림 터치 키보드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5c는 도 2의 압전 센서 필름층의 압전 센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 슬림 터치 키보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 슬림 터치 키보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 슬림 터치 키보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 슬림 터치 키보드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 슬림 터치 키보드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 내지 5c는 도 2의 압전 센서 필름층의 압전 센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 슬림 터치 키보드는 태블릿 PC에 탈착 가능하게 적용되는 독립형 휴대용 키보드로서, 하부 케이스(10), 터치 회로 기판(20), 압전 센서 필름층(30), 액츄에이터 필름층(40), EL 필름층(50), 키 패드층(60) 및 상부 케이스(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 슬림 터치 키보드가 적용되는 태블릿 PC(Tablet PC)는 키보드나 마우스를 장착하지 않고 주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조작하는 개인용 컴퓨터뿐 만 아니라, 이용 및 작업의 편의성을 위하여 키보드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하는 다양한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상기 태블릿 PC의 일 예로서, 현재 출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고 있는 삼성전자의 갤럭시 탭(Galaxy Tab), 미국 애플사(Apple Inc.)의 아이패드(i Pad), 아이덴티티의 탭(identity tab), 알아이엠(RIM)의 블랙베리 플레이북(BlackBerry Playbook), 휴렛팩커드(Hewlett-Packard)의 슬레이트(Slate), 도시바의 폴리오 100(Folio 100), 아수스의 Eee 패드(Asus Eeepad), 아이스테이션 Z3D, 엘지전자의 옵티머스 패드(Optimus Pad) 등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태블릿 PC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부 케이스(1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초슬림 터치 키보드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부에 배치되는 터치 회로 기판(20), 압전 센서 필름층(30), EL 필름층(50), 액츄에이터 필름층(40), 키 패드층(60) 및 상부 케이스(70)를 측부에 형성된 고정 측벽(미도시)을 통하여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10)의 측부에는 USB 단자부(11)와 전원 단자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케이스(10)는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하드한 재질로 대략 0.3m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하부 케이스(10)의 재질에 대하여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케이스(10)는 상부 케이스(70)와 결합되는 영역의 두께(a1)가 대략 5.0mm 정도로 형성되고, 키 패드층(60)이 배치되는 영역의 두께(a2)가 대략 2.5mm 정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두 영역의 두께 차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양측부에 대략 1.0mm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스토퍼(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터치 회로 기판(20)은 하부 케이스(10) 상에 구비되고, 키 패턴과 이와 인접하는 영역에 구비된 터치 휠 패턴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터치 회로 기판(20)은 배터리부(21), PCB(Printed Circuit Board, 22), FPCB(Flexible Printed Circuited Board, 23), 제어 회로부(24)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25)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부(21)는 본 초슬림 터치 키보드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 등과 같은 이차전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부(21)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PCB(22)는 다수 개의 키 패턴을 포함하여 다수 개의 키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되는 키보드값을 출력한다. 이때, 상기 PCB(22)의 키 패턴은 키 패드층(60)에 형성된 다수 개의 키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FPCB 커넥터(61)를 통하여 FPCB(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PCB(22)는 에폭시 필름 상에 하나의 레이어 또는 두 개의 레이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PCB(22) 상부에 형성되는 압전 센서 필름층(30)에서 랜덤하게 힘이 눌러지는 위치에 따라 압전 센서(300)의 추출값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PCB(22)의 키 패턴을 0.1mm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FPCB(23)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22)의 일측에 원 형상을 가지는 터치 휠 패턴(26)을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터치 휠(71)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인식하여 이에 대응되는 휠값을 출력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하여 FPCB(23)는 터치 휠 패턴(26)과 이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터치 휠 패턴(26)은 전원 슬라이드 스위치(Power Slide Switch), 페어링 푸쉬 스위치(Pairing Push Switch), USB 단자 잭, FPCB 커넥터, 다수 개의 LED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FPCB(23)는 SMT 방식 또는 솔더링 방식을 사용하여 대략 0.3mm 내지 0.8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부(24)는 FPCB(23) 상에 형성된 마이크로 컨트롤러로서, 배터리부(21), PCB(22) 및 FPCB(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다수 개의 키와 터치 휠(71)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 회로부(24)는 16채널의 ADC 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다수 개의 키와 터치 휠(71)의 제어를 위한 10 멀티키를 지원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제어 회로부(24)는 상부 케이스(70)에 형성된 다수 개의 LED(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 회로부(24)는 다수 개의 LED를 이용하여 전원의 온오프 상태, 배터리 충전 상태, USB 저장 상태, 통신 상태, 키 민감도(key sensitive)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회로부는 터치 휠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메뉴 이동, 마우스 또는 커서 이동, 인터넷 또는 문서 작성 등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25)는 FPCB(23) 상에 형성되고, 제어 회로부(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장치, 즉 태블릿 PC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25)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칩(Bluetooth Chip)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압전 센서 필름층(30)은 터치 회로 기판(20) 상에 형성되고, 키 패턴에 대응되는 영역에 다수 개의 압전 센서(300)가 인쇄된 필름이다. 이러한 압전 센서 필름층(30)은 PVDF(PolyVinyliDen Fluoride) 인쇄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전 센서(300)는 일반적으로 짧은 충격 시에 0.02 내지 0.07V의 매우 미약한 전압을 매우 불규칙하게 방출하는 소자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압전 센서(300)의 특성에 따라 압전 센서(300)를 대략 0.01mm두께의 프린팅 방식으로 형성하여 방출되는 전압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압전 센서(30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310), 센서부(330) 및 가진부(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압전 센서(300)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뿐만 아니라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31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을 가지고,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해 다수 개의 키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변형 및 복원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탄성부(310)는 실리콘 겔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310)는 0.7 내지 1mm 정도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330)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층(310)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 개의 키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장치이다. 상기 센서부(330)는 다수 개의 키에 가해지는 압력 신호를 감지하여 제2 도전 라인(331)을 통하여 연결된 제어 회로부(24)에 인가하고, 제어 회로부(24)에 의하여 증폭된 신호가 가진부(320)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센서부(330)는 50ms 이하의 응답시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진부(320)는 탄성부(310)의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어, 다수 개의 키에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가진되는 장치이다. 상기 가진부(320)는 제어 회로부(24)에 의하여 증폭된 신호를 제1 도전 라인(321)을 통하여 인가받아 해당 신호에 따라 가진된다. 이러한 가진부(320)는 사용자에게 향상된 키감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웨이브 스프링(wave sp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진부(320)는 탄성부(310) 테두리 부위의 외각에 웨이브 스프링을 설치하여 약간의 스트로크를 줌과 동시에 진동을 발생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하여 상기 가진부(320)는 가진되기 위한 소정의 공간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가진부(3200를 웨이브 스타일의 스프링으로 형성하여 부분적으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보다 더 효율적인 진동판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EL 필름층(50)은 압전 센서 필름층(30) 또는 액츄에이터 필름층(40) 상에 형성되어 상측에 형성된 키 패드층(60)의 문자, 숫자, 기호 등의 키와 상부 케이스(70)의 휠 등을 발광한다. 본 발명에서는 EL 필름층(50)을 압전 센서 필름층(30) 또는 액츄에이터 필름층(40) 상에 형성하여 사용자가 어두운 장소에서도 본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EL 필름층(50)은 PET 등의 베이스 필름에 ITO 전극과 같은 투명 전극이 장착되어, ITO-PET 필름의 투명 도전 필름을 형성하고, 그 위에 형광층, 유전층 및 배면 전극이 각각 적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EL 필름층(50)의 구조에 대하여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EL 필름층(50)을 대략 2.35mm(모듈 기준 1.7 mm) 내에서 액튜에이터 필름층 상에 위치시켜 키 감도에 큰 영향없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 필름층(40)은 압전 센서 필름층(30)과 EL 필름층(50) 사이에 형성되어, 키를 터치하는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액츄에이터 필름층(40)은 키 패턴에 대응되는 영역에 에어갭(미도시)을 구비하도록 성형된 우레탄 필름으로 대략 0.2mm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필름은 신축성과 내구성을 가진 필름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우레탄 필름을 키 패드층(60) 하부에 위치하며, 소정의 에어 라인 공간(즉, 에어갭)이 구성되어 미세한 스트로크와 에어갭에 의하여 쿠션감을 줌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의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압전 센서(300)의 감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키 패드층(60)은 EL 필름층(50) 상에 형성되고, 키 패턴에 대응되는 영역에 다수 개의 키가 구비된다. 상기 키 패드층(60)은 다수 개의 키가 인쇄된 UV(Ultraviolet) 필름이 우레탄 필름 상에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키 패드층(60)은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를 통하여 EL 필름층(5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키 패드층(60)을 이루는 UV 필름은 0.2mm 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우레탄 필름은 0.5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70)는 키 패드층(60)의 테두리 측에 하부 케이스(10)에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부 케이스(7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키(Milky) 방식으로 형성되어 키 패드층(60)의 후방측에 위치되는 EL 유기층 영역을 덮고, 테두리 부위가 하부 케이스(1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70)는 터치 휠 패턴(26)에 대응되는 영역에 원형의 터치 휠(71)이 구비된다. 상기 터치 휠(71)의 외곽은 터치 회로 기판(20)에 SMT(Surface Mounting Technology) 방식으로 설치된 다수 개의 LED를 통하여 발광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면, 상기 LED는 8개의 채널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터치 휠(71)이 터치되는 경우 불빛이 밝아지면서 손가락을 따라가는 느낌이 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휠(71)의 내경은 41.0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터치 휠(71)의 형상이 원형인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뿐 만 아니라 다각 형상 또는 다양한 기호 형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부 케이스(70)는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하드한 재질로 대략 0.3m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하부 케이스(10)의 재질에 대하여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 슬림 터치 키보드에 따르면, 키보드와 터치 휠을 일체로 하여 두께 및 무게가 대략 2.5mm 및 200g인 초박형 및 초경량으로 구현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우수한 휴대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초 슬림 터치 키보드에 따르면, 초박형 및 초경량으로 구현가능한 압전 센서 필름층(30)과 EL 필름층(50)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키 입력에 대한 육감적인 인지감과 터치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어두운 곳에서도 타이핑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초 슬림 터치 키보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하부 케이스 11: USB 단자부
12: 전원 단자부 20: 터치 회로 기판
21: 배터리부 22: PCB
23: FPCB 24: 제어 회로부
25: 통신 인터페이스부 26: 터치 휠 패턴
30: 압전 센서 필름층 40: 액츄에이터 필름층
50: EL 필름층 60: 키 패드층
61: FPCB 커넥터 70: 상부 케이스
71: 터치 휠 300: 압전 센서
310: 탄성부 320: 가진부
321: 제1 도전라인 330: 센서부
331: 제2 도전라인

Claims (10)

  1.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 상에 키 패턴과, 상기 키 패턴과 인접하는 영역에 구비된 터치 휠 패턴이 구비된 터치 회로 기판;
    상기 터치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키 패턴에 대응되는 영역에 압전 센서가 인쇄된 압전 센서 필름층;
    상기 압전 센서 필름층 상에 형성된 EL(Electro-Luminance) 필름층;
    상기 EL 필름층 상에 형성되고, 상기 키 패턴에 대응되는 영역에 다수 개의 키가 구비되는 키 패드층; 및
    상기 키 패드층의 테두리 측에 상기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터치 휠 패턴에 대응되는 영역에 터치 휠이 구비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압전 센서는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다수 개의 키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변형 및 복원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다수 개의 키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탄성부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다수 개의 키에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가진되는 가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터치 키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센서 필름층과 EL 필름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키 패턴에 대응되는 영역에 에어갭을 구비하는 액츄에이터 필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터치 키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필름층은 우레탄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터치 키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패드층은 UV(Ultraviolet) 필름과 우레탄 필름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터치 키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회로 기판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상기 키패턴을 구비하여 다수 개의 키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되는 키보드값을 출력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상기 PCB의 일측에 터치 휠 패턴을 구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터치 휠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인식하여 이에 대응되는 휠값을 출력하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ed Board);
    상기 배터리부, PCB 및 F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다수 개의 키와 터치 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 및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터치 키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CB의 키패턴은 에폭시 필름 상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터치 키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센서 필름층은 PVDF(PolyVinyliDen Fluori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터치 키보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진부는 웨이브 스프링(wave spr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터치 키보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실리콘 겔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터치 키보드.
KR1020140108364A 2014-05-23 2014-08-20 초 슬림 터치 키보드 KR101474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364A KR101474964B1 (ko) 2014-08-20 2014-08-20 초 슬림 터치 키보드
US14/622,030 US9423836B2 (en) 2014-05-23 2015-02-13 Super-slim touch keyboard and super-slim cover device for smart keyboard having the same
PCT/KR2015/004748 WO2015178614A1 (ko) 2014-05-23 2015-05-12 초 슬림 터치 키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초 슬림 스마트 커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364A KR101474964B1 (ko) 2014-08-20 2014-08-20 초 슬림 터치 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4964B1 true KR101474964B1 (ko) 2014-12-22

Family

ID=52679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364A KR101474964B1 (ko) 2014-05-23 2014-08-20 초 슬림 터치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9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902B1 (ko) * 2014-12-16 2015-08-17 주식회사 우린 압전 센서 장치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
CN105988592A (zh) * 2015-02-13 2016-10-0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外接功能键及应用该外接功能键的电子装置
KR20160128109A (ko) 2015-04-28 2016-11-07 주식회사 우린 다층 구조의 일체형 키 입력 장치
KR20160131159A (ko) * 2015-05-06 2016-11-16 (주)포도팟 열 압착 또는 초음파 기법을 이용한 블루투스 터치 키보드의 제조 방법 및 블루투스 터치 키보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0819A (ko) * 2006-11-04 2008-05-09 정병주 입력하는 문자가 표시되고, 선택된 문자 그룹이 발광하는키보드
KR20130095141A (ko) * 2012-02-17 2013-08-27 서재홍 초 슬림 터치 키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0819A (ko) * 2006-11-04 2008-05-09 정병주 입력하는 문자가 표시되고, 선택된 문자 그룹이 발광하는키보드
KR20130095141A (ko) * 2012-02-17 2013-08-27 서재홍 초 슬림 터치 키보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902B1 (ko) * 2014-12-16 2015-08-17 주식회사 우린 압전 센서 장치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
CN105988592A (zh) * 2015-02-13 2016-10-0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外接功能键及应用该外接功能键的电子装置
KR20160128109A (ko) 2015-04-28 2016-11-07 주식회사 우린 다층 구조의 일체형 키 입력 장치
KR20160131159A (ko) * 2015-05-06 2016-11-16 (주)포도팟 열 압착 또는 초음파 기법을 이용한 블루투스 터치 키보드의 제조 방법 및 블루투스 터치 키보드 장치
KR101680599B1 (ko) 2015-05-06 2016-12-12 (주)포도팟 열 압착 또는 초음파 기법을 이용한 블루투스 터치 키보드의 제조 방법 및 블루투스 터치 키보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2571B2 (en) Laptop computing device with discrete haptic regions
US9423836B2 (en) Super-slim touch keyboard and super-slim cover device for smart keyboard having the same
US9285837B2 (en) Temporary keyboard having some individual keys that provide varying levels of capacitive coupling to a touch-sensitive display
JP4899963B2 (ja) 入力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8666456B2 (e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US8477100B2 (en) Keyboard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US8119938B2 (en) Touch keypad assembly
EP2053490A1 (en) Input panel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A2824594C (en) Temporary keyboard having some individual keys that provide varying levels of capacitive coupling to a touch-sensitive display
US10976834B1 (en) Light integrated sensing membrane
JP2011248439A (ja) 静電容量式入力装置
KR101474964B1 (ko) 초 슬림 터치 키보드
US8847092B2 (en) Hybrid keypad apparatus
WO2015056376A1 (ja) 入力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100764568B1 (ko)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US9360938B2 (en) Input device with tactile feedback
KR200412587Y1 (ko)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KR20110075708A (ko) 스크린 디바이스 및 개인휴대단말기
KR20130095141A (ko) 초 슬림 터치 키보드
JP2013041797A (ja) シートキーと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544902B1 (ko) 압전 센서 장치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
CN110658888B (zh) 具有分立触觉区域的膝上型计算设备
KR102566280B1 (ko) 터치 키보드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입력 방법
KR20150085396A (ko) 터치 기능을 구비한 복합 입력장치
KR100968856B1 (ko) 키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