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9342A -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59342A KR20100059342A KR1020080118084A KR20080118084A KR20100059342A KR 20100059342 A KR20100059342 A KR 20100059342A KR 1020080118084 A KR1020080118084 A KR 1020080118084A KR 20080118084 A KR20080118084 A KR 20080118084A KR 20100059342 A KR20100059342 A KR 201000593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scillator
- contact
- touch screen
- unit
- input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내부에 정전용량 발생부를 포함하여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에 접촉 시 터치된 지점에 형성된 터치스크린의 정전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터치스크린, 정전용량, 캐패시턴스, 터치펜, 스타일러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의 정전용량을 변화시켜 터치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등 휴대가 가능하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가 대중화 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기본적인 통신 기능 외에, 무선 인터넷 기능, 전자수첩 기능, 멀티미디어 촬영/재생 기능 및 게임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보다 다양한 데이터 입력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와 더불어 입력부와 표시부를 하나의 장치로 구현 가능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 휴대 단말기와 같은 소형 단말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의 종류로는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Overlay),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표면 초음파 방식(Surface Acoustic Wave), 트랜스미터(Transmitter) 방식 및 적외선 방식(Infrared Beam) 등이 있다.
한편, 상술한 방식 중 멀티 터치를 이용한 유저 페이스(User Interface)의 개발과 함께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터치를 감지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만을 인식 가능하다. 즉, 일반적인 터치 입력 장치(예컨대 터치펜, 스타일러스 등)로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에 터치 입력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개인마다 인체의 정전용량이 상이하여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개인에 따라 터치 인식 감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기 때문에 접촉 면적이 넓어 정교한 입력 작업을 수행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에서 개인 특성에 따른 터치 인식 감도가 달라지는 문제를 해결하고, 정교한 입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형성된 정전용량을 변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정전용량 발생부; 상기 정전용량 발생부와 연결되며 상기 터치스크린의 표면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구동 방법은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면적이 소정의 크기 이상으로 형성되어 저 전력으로 이용가능한 제1접촉부와 정교한 입력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접촉부보다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면적이 작게 형성된 제2접촉부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부의 이용여부를 확인하는 버튼스위치의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버튼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접촉부에 연결된 제1발진기 또는 상기 제2접촉부에 연결된 제2발진기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은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터치 인식 감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터치 입력 장치를 이용한 정교한 입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이하에서, 터치스크린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 및 휴대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입력 장치(100)는 터치스크린에 형성된 정전용량을 변화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펜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터치 입력 장치(100)는 내부에 정전용량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 기 터치 입력 장치(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300)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단말기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스마트 폰, ATM, PMP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300)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100)가 터치스크린에 접촉되어 발생한 터치스크린의 정전용량 변화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터치된 지점의 좌표를 확인하고,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는 접촉부(130), 정전용량 발생부(120) 및 전원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40)는 상기 정전용량 발생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건전지, 충전지, 태양열 전지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원부(140)는 온/오프 수단(예컨대 스위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전용량 발생부(120)는 상기 전원부(1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터치스크린의 정전 용량을 변화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정전용량 발생부(120)는 기 설정된 주파수를 발생하는 발진기(Oscillator)가 될 수 있다.
상기 발진기는 상기 접촉부(130)를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터치된 지점의 정전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발진기로부터 발생한 주파수가 터치스크린에 형성된 캐패시터(Capacitor)의 유전율을 변화시키게 되고, 유전율의 변화는 상기 캐패시터의 정전 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정전 용량 변화를 통해 터치스크린은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발진기가 발생하는 주파수는 터치 감도 등을 고려하여 설계자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30)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일측이 정전용량 발생부(120)와 연결된다. 상기 접촉부(130)의 타측은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도록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터치스크린은 상기 접촉부(130)의 타측이 터치스크린에 접촉되어 변화된 정전용량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터치로 판단하여 터치된 좌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정전용량 변화를 통한 좌표 확인 방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터치 입력 장치(100)는 손가락 터치만을 인식하는 종래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의 문제를 해결하여 정교한 입력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개인차로 인한 터치 인식 감도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하나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다수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부의 접촉 면적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정전용량은 아래 <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C는 정전용량, ε는 유전율, S는 면적, d는 두 전극의 거리를 의미한다.
상기 <식 1>을 참고하면, 상기 정전용량은 두 전극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하고, 면적과 유전율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즉, 터치 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는 터치 면적에 비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즉, 상기 터치스크린이 터치를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터치 입력 장치에 의해 상기 기준값 이상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터치 입력 장치와 터치스크린의 접촉 면적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접촉 면적이 큰 경우 정교한 입력 작업 수행에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반면에 상기 터치 입력 장치와 터치스크린의 접촉 면적이 작은 경우 상기 기준값 이상의 정전용량 변화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정전용량 발생부는 출력을 높여야 한다. 하지만 이는 과도한 전류를 소모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는 접촉 면적의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를 제안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200)는 펜 형태일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면적이 다른 다수의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터치 입력 장치(200)가 두개의 접촉부 즉, 제1접촉부(231)와 제2접촉부(232)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터치 입력 장치(200)는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터치스크린과의 접촉 면적이 크게 형성된 제1접촉부(231) 및 정교한 입력 작업 수행을 위해 터치스크린과의 접촉 면적이 작게 형성된 제2접촉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터치 입력 장치(200)는 상기 제1접촉부(231) 또는 상기 제2접촉부(23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형태의 버튼스위치(260)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 입력 장치(200)는 상기 도 3과 같이 버튼스위치(260)를 누르면, 상기 제1접촉부(231)의 내부에서 제2접촉부(232)가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터치 입력 장치(200)는 평상 시 접촉 면적이 넓은 제1접촉부(231)를 사용하고, 정교한 입력 작업 수행 시 제2접촉부(232)를 사용함으로서 상기 전원부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정전용량의 변화는 접촉 면적에 비례한다. 즉, 상기 터치 입력 장치(200)는 터치스크린과의 접촉 면적이 큰 상기 제1접촉부(231) 이용 시 정전용량 발생부(미도시)의 출력크기를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어 전원부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터치 입력 장치(200)의 접촉 면적이 크면 정교한 작업 수행에 불편함이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200)는 접촉 면적이 작아 정교한 입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제2접촉부(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3에서는 상기 제1접촉부(231)가 외부에 노출되어 고정된 형태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접촉부(231)는 상기 제2접촉부(232)와 같이 내부에 실장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터치 입력 장치(200)는 다양한 형태로 상기 제1접촉부(231) 및 제2접촉부(232)를 실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외관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내부 및 외부 구성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200)는 제1접촉부(231) 및 제2접촉부(232)를 포함하는 접촉부(230), 제1발진기(221) 및 제2발진기(222)를 포함하는 정전용량 발생부(220), 전원부(240), 제어부(250) 및 버튼스위치(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240)는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배터리, 충전지, 태양열 전지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원부(240)는 버튼스위치(260), 제어부(250) 및 정전용량 발생부(2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버튼스위치(260)는 상기 전원부(240)와 제어부(25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원부(240)와 상기 제어부(250)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즉, 상기 버튼스위치(260)는 평상 시 상기 전원부(240)와 상기 제어부(250)를 전기적으로 차단한 상태(이하 오프(OFF) 상태)일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제2접촉부(232)를 이용하기 위해 버튼스위치(260)를 누르면 상기 버튼스위치(260)는 상기 전원부(240)와 제어부(2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상태(이하 온(ON) 상태)가 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상기 버튼스위치(260)는 평상 시 상기 전원부(240)와 상기 제어부(2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상태이고, 버튼스위치(260)을 누르면 상기 전원부(240)와 제어부(250)를 전기적으로 차단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스위치(260)는 상기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접촉부(232)를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버튼스위치(260)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정전용량 발생부(220)에 포함된 제1발진기(221) 또는 제2발진기(222) 중 하나를 구동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버튼스위치(260)를 통해 상기 전원부(240)와 전기적으로 차단되면 상기 제1발진기(221)를 구동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전원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제2발진기(222)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정전용량 발생부(220)는 터치스크린에 형성된 정전용량을 변화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제1발진기(221)와 제2발진기(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발진기(221)는 저주파를 발생하는 저 전력 발진기 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발진기(221)는 상기 제1접촉부(23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발진기(222)는 고주파를 발생하는 발진기 일 수 있다. 이러한 제2발진기(222)는 정교한 작업을 위해 구비된 상기 제2접촉부(23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발진기(222)는 고주파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제1발진기(221)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 상기 고주파를 발생하는 제2발진기(222)는 상대적으로 제1발진기(221)에 대비하여 정전 용량의 변화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입력 장치(200)는 상기 제2접촉부(232)의 접촉 면적이 작아 터치스크린의 정전용량 변화가 작아져 터치를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상기 정전용량 발생부(232)가 제1발진기(221)와 제2발진기(222)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정전용량 발생부(22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주파수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하나의 발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230)는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장치로서, 상기 제1발진기(221)와 연결되는 제1접촉부(231) 및 상기 제2발진기(222)와 연결되는 제2접촉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231)는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소정의 크기(예컨대 손가락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촉 면적이 클수록 정전용량의 변화가 커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기 제1접촉부(231)의 접촉 면적은 전류 소모와 터치 인식을 고려하여 설계자가 실험을 통해 최적화한 값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232)는 상기 제1접촉부(231)보다 상대적으로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면적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좀더 정교한 입력 작업을 수행하기 위 함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2접촉부(232)는 그림 그리기, 터치 입력 장치를 이용한 필기체 입력 등과 같이 정교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전용량 발생부(220)는 출력 크기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접촉 면적이 작아져 정전용량 변화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200)는 평상 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상대적으로 접촉 면적이 큰 제1접촉부(231)를 이용하고, 정교한 입력 작업 수행 시 접촉 면적이 작은 제2접촉부(232)를 이용함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다.
이하에서 버튼스위치의 온(ON) 상태는 전원부와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상태이고, 오프(OFF) 상태는 전원부와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차단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터치 입력 장치는 S501 단계에서 전원이 온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S503 단계에서 버튼스위치가 온(ON)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는 전원부와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S503 단계에서 버튼스위치가 온 상태 즉, 전기적으로 전원부와 제어부가 연결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1발진기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1발진기는 저주파를 발생하는 저전력 발진기로서 상기 제1접촉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 기 제1접촉부는 접촉 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접촉부의 접촉 면적은 전류 소모와 터치 인식을 고려하여 설계자가 실험을 통해 최적화한 값이 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S503 단계에서 스위치가 오프 상태 즉, 전원부와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차단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2발진기를 구동 할 수 있다. 상기 제2발진기는 고주파를 발생하는 발진기로서 제2접촉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면이 상기 제1접촉부보다 작게 형성되어 정교한 입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발진기는 접촉 면적이 작아 터치스크린에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출력 발진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제어부는 S509 단계에서 전원이 오프되는지 확인하여 전원이 오프되지 않으면 상기 S503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제1발진기 또는 제2발진기를 구동할 수 있다.
반면에 S509 단계에서 전원이 오프되면 상기 제어부는 제1발진기 및 제2발진기의 구동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상기 정전용량 발생부를 발진기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터치스크린에 형성된 정전용량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어떠한 방법도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정전용량 발생부가 제1발진기와 제2발진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 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정전용량 발생부는 제어신호에 따라 주파수 변경이 가능한 발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와 휴대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구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Claims (9)
-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에 있어서,상기 터치스크린에 형성된 정전용량을 변화시키기 위한 정전용량 발생부;상기 정전용량 발생부와 연결되며 상기 터치스크린의 표면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정전용량 발생부는기 설정된 주파수를 발생하는 발진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접촉부는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 면적이 다른 다수개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접촉부는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면적이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제1접촉부 및 정교한 입력 작업을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면적이 상기 제1접촉부보다 작게 형성된 제2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정전용량 발생부는상기 제1접촉부에 연결되며, 저주파를 발생하는 제1발진기;상기 제2접촉부에 연결되며, 고주파를 발생하는 제2발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 제5항에 있어서,전원부와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원부와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는 버튼스위치;상기 버튼스위치가 상기 전원부와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차단하는 경우 상기 제1발진기를 구동하고, 상기 버튼스위치가 상기 전원부와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상기 제2발진기를 구동하도록 상기 정전용량 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면적이 소정의 크기 이상으로 형성되어 저 전력으로 이용가능한 제1접촉부와 정교한 입력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접촉부보다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면적이 작게 형성된 제2접촉부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상기 제2접촉부의 이용여부를 확인하는 버튼스위치의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상기 버튼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접촉부에 연결된 제1발진기 또는 상기 제2접촉부에 연결된 제2발진기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구동 방법.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제1발진기 또는 제2발진기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하는 과정은상기 버튼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제1발진기를 구동하고, 상기 버튼스위치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제2발진기를 구동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구동 방법.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제1발진기는 저주파를 발생하고, 상기 제2발진기는 고주파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구동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8084A KR20100059342A (ko) | 2008-11-26 | 2008-11-26 |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8084A KR20100059342A (ko) | 2008-11-26 | 2008-11-26 |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9342A true KR20100059342A (ko) | 2010-06-04 |
Family
ID=42360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18084A KR20100059342A (ko) | 2008-11-26 | 2008-11-26 |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59342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05788A1 (ko) * | 2012-01-09 | 2013-07-18 | Choi Youngwoo |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 |
-
2008
- 2008-11-26 KR KR1020080118084A patent/KR2010005934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05788A1 (ko) * | 2012-01-09 | 2013-07-18 | Choi Youngwoo |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21440B1 (ko) | 터치입력장치, 이를 이용한 휴대기기 및 그 제어방법 | |
US9213434B2 (en) | Piezoelectric actuator and method | |
CN113268173A (zh) | 触控笔及电子设备组件 | |
US10379649B1 (en) | Touch screen, electronic device,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 |
JP2012034157A (ja) | 通信装置並びに通信システム | |
CN107908313B (zh) | 电子装置的控制方法及电子装置 | |
CN112567320B (zh) | 包括按钮的电子装置以及用于电子装置中的操作的方法 | |
JP2011516985A (ja) | 静電容量感知タッチスクリーン用のポインタデバイス | |
US11262911B2 (en) | Integrated home key and virtual key area for a smart terminal | |
TW201327351A (zh) | 可切換左右手使用模式的操作介面的電子設備及方法 | |
US20180129307A1 (en) | Touch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ilt state of stylus device | |
WO2018133664A1 (zh) | 指纹识别模组及电子设备 | |
CN110837318A (zh) | 移动终端折叠屏的防误触方法、装置及存储介质 | |
CN112995410B (zh) | 接近检测方法及相关设备 | |
US11150770B2 (en) | Input device, electronic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WO2018133665A1 (zh) | 指纹识别模组及电子设备 | |
CN108646948A (zh) | 触控按键灵敏度的调节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 |
JP2018502486A (ja) | 端末の制御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端末の制御方法 | |
CN105100386A (zh) | 一种终端全触控按键的实现方法及装置 | |
CN109085986B (zh) | 设备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 |
JP6488081B2 (ja) | 表示画面を備えた端末装置を用いた周囲雑音による注意散漫の低減 | |
KR20100059342A (ko) |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
US20150370352A1 (en) | Active stylus pen, data input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ctive stylus pen | |
CN111083288B (zh) | 屏幕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 |
CN111273584A (zh) | 一种供电控制的装置及电子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