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760A -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 - Google Patents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760A
KR20150090760A KR1020140011749A KR20140011749A KR20150090760A KR 20150090760 A KR20150090760 A KR 20150090760A KR 1020140011749 A KR1020140011749 A KR 1020140011749A KR 20140011749 A KR20140011749 A KR 20140011749A KR 20150090760 A KR20150090760 A KR 20150090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authentication
paint
unit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4028B1 (ko
Inventor
한정균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원투씨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투씨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투씨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1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028B1/ko
Publication of KR20150090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 G06F21/73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by creating or determining hardware identification, e.g. serial numb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통해 의해 실행되는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에 있어서, 월렛(Wallet)에 구비된 카드정보와 기 설계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복수의 정전식 터치부를 구비한 터치도장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터치도장에 구비된 복수의 정전식 터치부를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여 인식된 복수의 터치 점을 지정된 터치 인증 처리부를 이용하여 인증한 도장 터치의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도장 터치가 인증 성공한 경우, 상기 월렛에 구비된 M(M≥1)개의 카드정보 중 상기 인증된 도장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도장과 매핑된 카드정보를 확인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과 매핑된 카드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과 매핑될 카드정보를 발급 요청하는 발급요청 정보를 표시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Method for Issuing Card by using Stamp Touch}
본 발명은 무선단말의 월렛(Wallet)에 구비된 M(M≥1)개의 카드정보 중 터치 인증된 도장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도장과 매핑된 카드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과 매핑된 카드정보를 발급 요청하는 요청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지정된 카드발급서버로부터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과 매핑된 카드정보를 발급받아 월렛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다.
도장 형태의 물건에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를 구비하고 이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부가 형성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인증하여 월렛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증수단 또는 식별수단으로 이용하는 터치도장 기반 월렛 서비스가 개시된다.
통상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를 입력수단으로 이용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또한 그렇게 하도록 최적화되어 있다. 즉, 최근 활성화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등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을 위한 입력수단으로 이용되도록 설계 및 제작되어 있을 뿐, 이를 인증수단 또는 식별수단으로 이용되기에는 기술적으로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터치도장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인증수단 또는 식별수단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다른 터치도장에 구비되는 복수의 터치부들이 다른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형성되는 고유성과 모든 종류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에서 인식 가능한 인식성을 지녀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 손가락을 이용한 입력수단으로 최적화된 정전식 터치는, 정전식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된 정전식 터치가 지시하는 포인트를 검출하기만 하면 되고, 손가락을 이용한 정전식 터치 자체가 기본적으로 비교적 넓은 접촉 면적을 지니고 있으므로, 넓은 접촉 면적의 대략적인 중점을 계산하여 정전식 터치가 지시하는 포인트로 검출하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같은 손가락을 이용하여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같은 위치를 정전식으로 터치하더라도 매번 터치할 대마다 검출되는 포인트는 각기 다르게 검출된다. 이와 같이 손가락을 이용한 입력수단으로 최적화된 정전식 터치를 식별수단 또는 인증수단으로 이용하기에는 기술적으로 매우 난해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무탄성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정전식 터치부를 구비한 터치도장이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면 상기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이 지정된 터치 인증 처리부를 통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복수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인증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터치도장을 이용한 도장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무선단말(또는 프로그램)의 월렛(Wallet)에 구비된 M(M≥1)개의 카드정보 중 상기 인증된 도장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도장과 매핑된 카드정보를 확인하되, 상기 매핑된 카드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월렛으로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과 매핑된 카드정보를 발급 요청하게 처리하는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통해 의해 실행되는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에 있어서, 월렛(Wallet)에 구비된 카드정보와 기 설계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복수의 정전식 터치부를 구비한 터치도장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터치도장에 구비된 복수의 정전식 터치부를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여 인식된 복수의 터치 점을 지정된 터치 인증 처리부를 이용하여 인증한 도장 터치의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도장 터치가 인증 성공한 경우, 상기 월렛에 구비된 M(M≥1)개의 카드정보 중 상기 인증된 도장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도장과 매핑된 카드정보를 확인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과 매핑된 카드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과 매핑될 카드정보를 발급 요청하는 발급요청 정보를 표시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월렛에 구비된 카드정보와 상기 터치도장의 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도장의 식별정보는 상기 터치도장의 도장 터치를 터치 인증 조건, 상기 터치도장에 할당된 일련코드, 상기 터치도장과 상기 카드정보를 매핑하기 위해 할당된 식별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월렛에 구비된 카드정보와 상기 터치도장의 도장 터치에 대한 인증 결과 값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 결과 값은 상기 터치도장의 도장 터치가 인증 성공한 경우에 상기 터치 인증 처리부에서 제공하는 결과 값, 상기 인증 성공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 인증 처리부에서 제공하는 결과 값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은,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지정된 터치도장에 구비된 복수의 정전식 터치부를 통해 터치된 복수의 터치 점을 인식하는 단계와, 지정된 터치 인증 처리부를 이용하여 상기 인식된 복수의 터치 점이 지정된 터치 인증 조건과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에서 매칭되는지 인증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복수의 터치 점을 상기 터치 인증 조건과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한 도장 터치의 인증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은,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과 매핑된 카드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M개의 카드정보 중 상기 매핑된 제m(1≤m≤M) 카드정보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월렛을 통해 상기 선택된 제m 카드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은,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과 매핑될 카드정보를 발급받아 상기 월렛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정전식 터치부를 구비한 터치도장을 이용하는 도장 이용처에서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월렛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복잡한 정보 입력 없이 도장 이용처의 터치도장을 사용자 무선단말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여 월렛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월렛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월렛 서비스를 위한 카드가 발급되지 않은 경우에 복잡한 정보 입력이나 가입 절차 없이 도장 이용처의 터치도장을 사용자 무선단말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여 월렛 서비스를 위한 카드를 발급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도장을 이용한 터치 인증 기반의 카드 발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도장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과 프로그램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과 프로그램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도장의 터치 인증 조건을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도장의 도장 이용처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에서 터치도장을 이용한 도장 터치를 인식하고 인증 결과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도장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한 도장 터치를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서버 측에 구비된 구성부가 단말 측에 구현되거나, 반대로 단말 측에 구비된 구성부가 서버 측에 구현되는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터치 인증 기반의 카드 발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고무탄성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정전식 터치부(250)를 구비한 터치도장(200)이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이 지정된 터치 인증 처리부(445)를 통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된 복수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인증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무선단말(300)(또는 프로그램(315))의 월렛(Wallet)에 구비된 M(M≥1)개의 카드정보 중 상기 인증된 도장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카드정보를 확인하되, 상기 매핑된 카드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월렛으로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카드정보를 발급 요청하게 처리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250)를 기 설계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배열하여 고정한 터치도장(200)과, 상기 터치도장(200)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250)가 터치될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을 구비한 무선단말(300)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를 관리 및/또는 인증하는 운영서버(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무선단말(300)은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사용자가 소지한다. 상기 터치도장(200)은 상기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도장 이용처(예컨대, 도장 터치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맹점 또는 도장 구매자 등)에게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터치도장(200)은 상기 도장 이용처를 식별 또는 인증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도장 이용처는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단말장치(110)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를 인증하는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지정된 운영서버(10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무선단말(300)은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을 이용하여 복수의 터치 점을 인식하고, 인식된 복수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포함하는 터치 인식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인식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무선단말(300)에서 운영서버(100)로 전송되거나, 또는 지정된 중계서버(105)를 경유하여 운영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운영서버(100)는 상기 터치 인식 정보를 수신하여 복수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확인하고, 미리 등록된 복수의 각 터치도장(200)의 터치부(250)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상기 구성 요소 값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비교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터치 점에 의해 형성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가 미리 등록된 복수의 각 터치도장(200)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 중 어느 하나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하거나 또는 근접한다면, 운영서버(100)는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된 복수의 터치 점을 미리 등록된 복수의 터치도장(200) 중 어느 하나의 특정 터치도장(200)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250)를 터치한 터치 점으로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를 인증하는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무선단말(3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무선단말(300)은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을 이용하여 복수의 터치 점을 인식하고, 인식된 복수의 터치 점의 구성 요소 값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확인하고, 확인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미리 등록된 터치도장(200)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비교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터치 점에 의해 형성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가 미리 등록된 터치도장(200)의 터치부(250)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하거나 또는 근접한다면, 무선단말(300)은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된 복수의 터치 점을 상기 등록된 특정 터치도장(200)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250)를 터치한 터치 점으로 인증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300)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중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가 가능한 단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을 구비한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300)은 고무탄성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정전식 터치부(250)를 구비한 터치도장(200)이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도장(200)에 의한 도장 터치를 인식하는 기능을 구비한 프로그램(315)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실시 방식의 경우 상기 프로그램(315)은 네트워크 상의 터치 인증 시스템(400)으로 상기 터치도장(200)에 의한 도장 터치를 인증 요청하고 인증 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실시 방식의 경우 상기 프로그램(315)은 상기 터치도장(200)에 의한 도장 터치를 인증하는 터치 인증 시스템(400)의 기능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300)은 M개의 카드정보를 관리하는 월렛 프로그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월렛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단말(300)이 지원하는 내부 프로세스 간 통신(예컨대, 프레스 간 메시징 또는 프로세스 간 메모리 공유 등)을 통해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를 인증하는 프로그램(315)과 연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를 인증하는 프로그램(315)은 M개의 카드정보를 관리하는 월렛 기능을 내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프로그램(315)은 월렛 프로그램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편의상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이 상기 월렛 프로그램의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월렛에 구비된 M(M≥1)개의 카드정보 중 인증된 도장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카드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월렛으로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카드정보를 발급 요청하는 요청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지정된 카드발급서버(115)로부터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카드정보를 발급받아 월렛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터치도장(200)은 상기 무선단말(3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정전식으로 터치 가능한 복수의 터치부(250)를 구비하며, 상기 터치도장(20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2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편의상 상기 터치도장(200)에 구비되는 터치부(250)의 개수를 N개라고 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할 것이나, 상기 N은 N≥2, N≥3, N≥4, N≥5, ... 등이 모두 가능하며, 상기 터치부(250)의 개수 N이 특정 개수 이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2a 내지 도면2f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도장(2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면2a는 터치도장(20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상기 터치도장(200)을 바닥에 세워놓은 상태에서 측면의 절단 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면2b는 터치도장(200)의 밑면에 보이는 평판부(245)와 터치부(250)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터치도장(200)의 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터치도장(200)은, 사람의 손으로 쥘 수 있게 형성된 손잡이부(205)와, 고무탄성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N개의 터치부(250)와, 평판 영역 상의 설계된 위치에 N개의 터치부(250)를 고정하는 평판부(245)와, 상기 손잡이부(205)와 평판부(245)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평판부(245)에 고정된 N개의 터치부(250)와 손잡이부(20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아답터부(215)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도장(200)은, 터치부(250)와 평판부(245)를 보호하는 하우징부(22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225)는 상기 터치도장(200)이 도면2a와 같이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아답터부(215) 및/또는 평판부(245)를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20)와, 상기 평판부(245)에 고정된 터치부(250)가 바닥에서 일정 높이 이상 떠 있도록 유지하는 스프링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220)와 스프링부(21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평판부(245)에 고정된 N개의 터치부(250)는 하우징부(225)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05)는 인체의 정전용량을 전달받을 수 있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도성 재질이 도포 또는 도금된다. 상기 손잡이부(205)의 전도성 재질은 N개의 터치부(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손잡이부(205)는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하는 도장 이용처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250)는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상기 터치도장(200)을 터치할 경우에 하나의 터치 점을 형성하는 구성물의 총칭으로서, 고무탄성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부(250)는 전도성 고무 재질 또는 전도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터치부(250)는 지정된 도형(예컨대, 다각형 또는 원형) 형태의 접촉 면(265)을 지니게 설계 제작된다. 상기 터치부(250)의 접촉 면(265)은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유효하게 터치되도록 설계 상 계산된 접촉 면적을 지닌다. 상기 접촉 면적은 상기 손잡이부(205)에 전달된 인체의 정전용량을 기준으로 터치 대상에 포함된 복수의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서 상기 터치부(250)를 이용한 정전식 터치를 하나의 유효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는 터치 감도에 대응하는 면적보다 크거나 같은 면적으로 계산된다. 상기 터치도장(200)의 터치부(250)를 서로 다른 종류의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하도록 설계하는 경우에 각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의 터치 감도가 상이하다면, 상기 터치부(250)의 접촉 면적은 각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서 인식 가능한 각각의 터치 감도에 대응하는 면적 중 더 큰 면적(즉, 더 작은 터치 감도에 대응하는 면적) 보다 크거나 같은 면적으로 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부(250)의 접촉 면적은 25㎟보다 크거나 같은 면적, 28㎟보다 크거나 같은 면적, 36㎟보다 크거나 같은 면적, 38㎟보다 크거나 같은 면적 등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250)의 접촉 면적을 지정된 장치의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대한 터치 감도에 대응하는 면적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것은, 상기 터치부(250)가 하나의 유효한 터치 점으로 인식되게 하면서 동시에 평판 영역의 제한된 면적 내에서 각각의 터치부(250)가 각기 다른 위치에 구비되게 하는 최대의 경우의 수를 산출하기 위함이다.
상기 터치부(250)의 접촉 면(265)은 상기 계산된 접촉 면적에 상응하는 도형 형태로 제작된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부(250)의 접촉 면(265)은 25㎟의 접촉 면적을 형성하는 5㎜*5㎜의 정사각형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부(250)의 접촉 면(265)은 28㎟보다 큰 접촉 면적을 형성하는 직경 6㎜의 원형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부(250)의 접촉 면(265)은 36㎟의 접촉 면적을 형성하는 6㎜*6㎜의 정사각형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부(250)의 접촉 면(265)은 38㎟보다 큰 접촉 면적을 형성하는 직경 7㎜의 원형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250)는 측면 구조는 도면2c와 같이 매입판(255)의 중앙 부분에 터치구현부(260)가 형성된 ‘T’ 형태로 제작되거나, 도면2d와 같이 매입판(255)의 일 측에 치우쳐 터치구현부(260)가 형성된 ‘Г’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평판부(245)는 터치부(250)의 매입판(255)을 지지하며 손잡이부(205)와 터치부(2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판부(230)와, 터치부(250)의 매입판(255)이 매입되는 중판부(235) 및 도면2b와 같이 터치부(250)의 터치구현부(260)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하판부(240)로 구성된다. 터치부(250)의 매입판(255)은 중판부(235)에 매입되어 상판부(230)에 의해 지지되며, 터치부(250)의 터치구현부(260)는 하판부(240)의 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매입판(255)의 두께는 중판부(235)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며, 터치구현부(260)의 높이는 하판부(24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터치부(250)의 접촉 면(265)이 하판부(240) 외부로 노출되게 제작된다.
상기 터치부(250)는 각 터치 점들의 기하학적 터치 위치 관계에 오차가 발생하지 않거나 계산된 범위 내에서 최소 오차가 발생하도록 하기 위해 유연한(예컨대, 연질 또는 반연질 또는 반경질 등) 전도성 재질로 제작되며, 도면2c 또는 도면2d와 같이 상기 접촉 면(265)의 중앙 부분이 지정된 도형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도형 형태의 경계선 위로 일정 곡률에 따라 볼록하게 튀어 나오는 구조로 라운드(round) 처리하여 제작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터치부(250)를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하게 되면 터치부(250)의 접촉 면(265) 중에서 일정 곡률로 볼록하게 튀어 나온 중앙 부분부터 먼저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되게 되며, 이 상태에서 터치부(250)에 일정한 압인력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중앙 부분이 압인력에 의해 오므라들면서 결과적으로 터치부(250)의 접촉 면(265) 전체가 계산된 접촉 면적을 형성하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된다. 이와 같은 터치부(250)에 의해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된 터치 면의 중점(=터치 점)은 상기 터치부(250)에 형성된 접촉 면(265)의 중앙 부분에 대응되거나 적어도 계산된 오차 범위 내에서 상기 접촉 면(265)의 중앙 부분에 대응된다.
상기 터치부(250)는 각 터치 점들의 기하학적 터치 위치 관계에 오차가 발생하지 않거나 계산된 범위 내의 오차를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 도면2c 또는 도면2d와 같이 유연한 전도성 재질의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250) 내부의 빈 공간은 일정 곡률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상기 접촉 면(265)의 중앙 부분이 압인력에 의해 오므라들면서 터치부(250) 내부로 수축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터치도장(200)은 사람의 손에 쥐어진 상태로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되기 때문에, 상기 사람의 손에 의해 상기 터치부(250)에 가해지는 압인력은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의 수직 방향 성분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수평 방향 성분도 존재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터치부(250) 내부의 빈 공간은 상기 압인력에 수평 방향 성분이 존재하더라도 상기 터치부(250)의 접촉 면(265)이 상기 수평 방향 성분에 의해 어느 한 쪽으로 일그러지지 않고 수직 방향 성분에 의해 터치부(250) 내부로 수축하도록 유도한다. 만약 상기 터치부(250)의 접촉 면(265)의 압인력에 의해 수평 방향 성분의 어느 한 쪽으로 일그러지게 되면 결과적으로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된 면의 중점도 그만큼 일그러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오차가 증가하게 된다. 상기 터치부(250) 내부의 빈 공간은 이와 같은 오차 발생을 방지하거나 또는 최소화 한다.
상기 평판부(245)는 N개의 터치부(250)를 고정 가능하게 설계된 도형 형태와 평판 면적을 지니게 제작된다. 동종의 터치도장(200)은 동일한 평판부(245)와 동일한 개수의 터치부(250)가 구비된 도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평판부(245)의 평판 영역에는 미리 설계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에 따라 N개의 터치부(250)가 고정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N개의 터치부(250)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는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를 인증하는 터치 인증 조건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각 도장의 평판부(245)에 고정되는 N개의 터치부(250)는 각 도장마다 다른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형성하는 고유성을 지녀야 한다. 그런데 평판부(245)의 평판 면적은 유한하고, 그 위에 고정되는 N개의 터치부(250)도 설계 상 계산된 접촉 면적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평판 영역에 N개의 터치부(250)를 서로 다른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고정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평판부(245)에 N개의 터치부(250)를 고정하는 위치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유한한 평판 면적 상에 N개의 터치부(250)를 서로 다른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고정할 수 있는 최대의 경우의 수를 도출하기 위해 최소 구별 인식 거리가 설정된다.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둘 이상의 터치부(250)를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할 경우에 해당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서 둘 이상의 터치부(250)에 의한 터치 점을 서로 다른 터치 점으로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는 최소의 이격 거리를 포함한다. 예를들어,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서 다중 터치된 두 개의 터치 점 간 거리가 6㎜ 이내 경우에는 두 개의 터치 점을 하나의 터치 점으로 인식하고 7㎜ 이상인 떨어진 경우에는 두 개의 터치 점을 각기 다른 터치 점으로 구별하여 인식한다면,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터치도장(200)을 터치할 대상에 대응하는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이 둘 이상이라면,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둘 이상의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서 다중 터치된 두 개의 터치 점을 구별하는 인식할 수 있는 최소의 이격 거리 중 더 큰 이격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상기 터치부(250)의 접촉 면적과 상관 관계를 이루는 값이다. 즉,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설정된 값일 수도 있지만, 허용 가능한 오차를 기준으로 실험적으로 얻어지는 값이다. 예를들어, 동일한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이라고 할지라도 터치부(250)의 접촉 면적이 25㎟인 면적(예컨대, 5㎜*5㎜의 정사각형 형태로 제작된 접촉 면(265))인 경우의 최소 구별 인식 거리와 상기 터치부(250)의 접촉 면적이 38㎟보다 큰 면적(예컨대, 직경 7㎜의 원형 형태로 제작된 접촉 면(265))인 경우의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상기 터치부(250)의 접촉 면적을 기준으로 복수의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대한 실험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상기 터치부(250)의 접촉 면(265)의 중앙 부분과 중앙 부분 사이의 거리로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부(250)의 접촉 면(265)을 구현하는 도형의 외곽선과 외곽선 사이의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도장(200)을 상기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산출할 수 있는 최대의 경우의 이상의 개수를 제작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 기하학적 위치 관계만으로는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를 고유성을 유지할 수 없을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N개의 터치부(250)에 대한 기하학적 위치 관계 이외에 터치도장(200)에 구비된 칩(Chip)과 스피커(또는 부저)를 통해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 또는 터치도장(200)에 구비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칩과 안테나를 통해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 등이 상기 터치도장(200)의 고유성을 유지하는 부가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신호는 상기 터치도장(200)이 터치되는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을 구비한 무선단말(300)의 마이크를 통해 인식될 수 있고, 만약 상기 무선단말(300)에 NFC모듈(311)이 구비되어 있다면 상기 터치도장(200)에 구비된 NFC칩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N개의 터치부(250)에 의해 형성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사운드 신호의 조합 또는 상기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NFC칩의 무선 주파수 신호의 조합에 의해 상기 터치도장(200)의 고유성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신호는 상기 칩에 저장된 고유코드 또는 상기 칩에서 지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동적 생성한 일회용코드를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신호 또는 사운드 코드(Sound Code)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FC칩의 무선 주파수 신호는 상기 NFC칩에 저장된 고유코드 또는 상기 NFC칩에서 지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동적 생성한 일회용코드를 NFC 규격에 따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종의 각 터치도장(2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에 대한 서로 다른 기하학적 위치 관계는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하더라도 서로 다른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식별될 수 있는 식별성을 지녀야 한다.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대한 터치는 점 터치가 아니라 면 터치이고,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을 구비한 무선단말(300)의 운영체제는 터치 면의 중점을 터치 점으로 계산하며, 지정된 거리 이상 터치 면이 이동해야 중점이 이동한 것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상기 평판부(245)에 N개의 터치부(250)를 고정하는 위치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N개의 터치부(250)에 대한 서로 다른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정전식 터치스크린(305) 상에 터치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식별되기 위해 최소 식별 거리가 설정된다.
상기 최소 식별 거리는 서로 다른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설계되어 평판부(245)에 고정된 N개의 터치부(250)를 정전식 터치스크린(305) 상에 터치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식별되게 하기 위해 서로 다른 평판부(245)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들이 떨어져 있어야 하는 거리를 포함한다. 예를들어,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이 같은 면적의 터치 면을 3㎜ 이상 이동했을 때 중점을 이동한 것으로 감지한다면, 상기 최소 식별 거리는 3㎜보다 크거나 같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최소 식별 거리는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설정된 값일 수도 있지만, 허용 가능한 오차를 기준으로 실험적으로 얻어지는 값이다. 한편 상기 터치도장(200)을 터치할 대상에 대응하는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이 둘 이상이라면, 상기 최소 식별 거리는 둘 이상의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서 터치 면의 중점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최소의 이격 거리 중 더 큰 이격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도장(2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를 정전식 터치스크린(305) 상의 어느 방향으로 터치하더라도 판독될 수 있는 판독성을 지녀야 한다. 이와 같은 판독성은 정전식 터치스크린(305) 상의 어느 방향으로 N개의 터치부(250)를 터치하더라도 상기 N개의 터치부(250) 중 어느 하나의 터치부(250)를 기준 점으로 정하는 규칙에 의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평판부(245)에 구비되는 N개의 터치부(250)는 n(n<N)개의 계산된 위치에 구비되는 n개의 터치부(250)와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위치에 구비되는 지정 터치부(250)를 포함하며, 상기 N개의 터치부(250)(또는 적어도 n개의 터치부(250))는 평판 영역 상에서 미리 설계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N개의 터치부(250)에 대한 판독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평판부(245)에 N개의 터치부(250)를 고정하는 위치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상기 평판부(245)의 평판 영역을 설계 상 n개의 분할 영역(270)으로 분할한다(단, 분할 영역(270)은 설계 상 존재하는 것으로 평판 영역 표시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n개의 분할 영역(270)에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설계 상 계산된 위치에 각기 1개의 터치부(250)가 고정되고, 상기 n개의 분할 영역(270) 중 어느 한 지정 영역(275)에는 설계 상 지정된 위치에 기준 점에 해당하는 1개의 터치부(250)가 고정된다. 즉, 상기 n개의 분할 영역(270) 중 (n-1)개의 분할 영역(270)에는 각기 1개의 터치부(250)가 고정되고, 1개의 지정 영역(275)에는 2개의 터치부(250)가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정된 위치는 평판 영역의 도형 외곽선에 접하는 위치 또는 상기 도형 외곽선의 모서리 위치에 지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n개의 분할 영역(270)에 N개의 터치부(250)를 고정하여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하는 경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N개의 터치부(250)가 구비된 n개의 분할 영역(270)을 N개의 터치 점에 매칭시켜 상기 n개의 분할 영역(270) 중 2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어느 한 지정 영역(275)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지정 영역(275) 상의 지정된 위치에 구비된 터치 점을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준 점으로 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인된 기준 점을 기준으로 좌표 회전하면, 상기 N개의 터치부(250)를 정전식 터치스크린(305) 상의 어느 방향으로 터치하더라도 미리 등록된 터치 인증 조건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비교할 수 있게 된다.
도면2e는 평판부(245)의 평판 영역을 설계 상 4개의 분할 영역(270)으로 분할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면2e를 참조하면, 각각의 분할 영역(270)과 분할 영역(270) 사이에는 일정한 여백이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여백은 최소 구별 인식 거리만큼의 간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각 분할 영역(270) 상의 어느 위치에 터치부(250)가 구비되더라도 각각의 분할 영역(270)에 고정된 터치부(250)들은 항상 최소 구별 인식 거리 이상 떨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본 도면2e와 같이 분할 영역(270) 사이에 여백이 고정되면 그 만큼 터치부(250)가 고정될 위치를 계산할 평판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면2e에 예시된 여백을 생략하고 분할 영역(270)을 분할한 후, 터치부(250)를 고정할 위치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각 터치부(250)들이 최소 구별 인식 거리 이상 떨어지게 계산할 수 있다.
도면2f를 참조하면, 각 분할 영역(270)에는 각기 1개의 터치부(250)를 고정할 각각의 위치가 계산되며, 그 중 어느 한 분할 영역(270)을 지정하여 1개의 터치부(250)를 더 고정할 위치가 지정된다. 도면2f와 같이 각 분할 영역(270) 상의 계산된 위치에 각기 1개의 터치부(250)를 고정하고, 지정 영역(275) 상의 지정된 위치에 1개의 지정 터치부(250)를 고정함으로써, N개의 터치부(250)를 고정한 평판부(245)가 제작된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300)과 프로그램(315)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터치도장(2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가 무선단말(3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되면 이를 인식한 후 지정된 운영서버(100)를 통해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가 인증되게 처리하며, 상기 도장 터치를 이용한 월렛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프로그램(315)의 기능 구성과 상기 프로그램(315)이 동작하는 무선단말(3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단말(300)과 프로그램(315)의 기능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본 도면3의 무선단말(30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각종 PDA 및 각종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3의 실시 방법은 N개의 터치부(250)를 구비한 터치도장(200)이 무선단말(3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되면 상기 무선단말(300)에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포함하는 터치 인식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되게 처리하고,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터치도장(200)에 대응하여 등록된 터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의해 형성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여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의 인증 결과를 전송하면, 상기 도장 터치의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도장 터치 인증 기반의 월렛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도장 터치 인증 기반의 월렛 서비스는, 월렛에 구비된 M(M≥1)개의 카드정보 중 인증된 도장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카드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월렛으로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200)과 매핑될 카드정보를 발급 요청하는 발급요청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지정된 카드발급서버(115)로부터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200)과 매핑될 카드정보를 발급받아 월렛에 등록하는 서비스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이 운영서버(100)를 통해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를 인증하는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상기 도장 터치는 상기 무선단말(300) 내에서 인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무선단말(300) 내에서 도장 터치를 인증하는 실시예도 그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은, 제어부(301)와 메모리부(314)와 키 입력부(302)와 화면 출력부(303)와 터치 입력부(304)와 사운드 출력부(306)와 사운드 입력부(307)와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309)과 무선망 통신모듈(310)과 NFC모듈(311)과 위치 측위모듈(312)과 USIM 리더부(313)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308)를 구비한다. 상기 USIM 리더부(313)에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USIM이 이탈착된다. 상기 무선단말(300)은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을 구비한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PC 중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1)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이다. 상기 제어부(301)는 하드웨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버스(BUS)를 통해 무선단말(300)의 각 구성부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301)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300)의 메모리부(314)에 구비된 프로그램코드를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버스를 통해 각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단말(300)의 동작을 제어하며, 필요에 따라 각 구성부로부터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314)는 상기 무선단말(300)에 구비된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301)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314)는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된 프로그램(315)을 저장한다. 상기 프로그램(315)은 구동 또는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301)로 로딩되어 연산된다.
상기 키 입력부(302)는 상기 무선단말(300)에 구비된 키버튼, 키패드, 키보드 중 하나 이상의 구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키 입력부(302)는 상기 프로그램(315)을 구동 또는 활성화시키는 키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키 입력부(302)는 도장 터치가 가능하게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을 활성화시키는 키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화면 출력부(303)는 상기 무선단말(3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상기 무선단말(300)의 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화면 출력부(303)는 상기 프로그램(315)의 실행 화면 또는 인증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터치 입력부(304)는 상기 화면 출력부(303)와 좌표 평면을 공유하는 투명 재질의 정전식 터치패널과 상기 무선단말(300)의 내부에서 상기 정전식 터치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은 상기 투명 재질의 정전식 터치패널과 상기 화면 출력부(303)의 디스플레이가 조합되어 구현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306)는 상기 무선단말(300)에 구비된 스피커와 상기 무선단말(300)의 내부에서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사운드 입력부(307)는 상기 무선단말(300)에 구비된 마이크와 상기 무선단말(300)의 내부에서 상기 마이크를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터치도장(200)에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이 구비된 경우, 상기 사운드 입력부(307)는 상기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315)으로 전달한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310)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309)은 상기 무선단말(300)에 구비되는 통신자원으로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310)은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309)은 근거리에 위치한 근거리통신장치 또는 무선AP(Access Point)를 통해 통신망에 접속한다.
상기 NFC모듈(311)은 ISO 18000 시리즈 규격의 무선통신 규격 중 13.56M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NFC 규격에 따라 10cm 내외의 근접 거리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터치도장(200)에 NFC칩이 구비된 경우, 상기 NFC모듈(311)은 상기 터치도장(200)의 NFC칩을 통해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에 부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315)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측위모듈(312)은 상기 무선단말(300)의 이동 위치를 측위하는 GPS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 측위모듈(312)은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N개의 터치부(250)를 구비한 터치도장(200)이 터치되는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를 측위한 위치정보를 상기 프로그램(315)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정된 프로그램제공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315)이 상기 무선단말(300)로 다운로드되어 무선단말(300) 내에 설치될 수 있다(단, 무선단말(300)의 제조사에서 상기 프로그램(315)을 기본 탑재한 경우에는 생략). 상기 프로그램(315)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 또는 활성화되거나, 또는 푸시 통지를 수심함에 의해 구동 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상기 프로그램(315) 상에 프로그램 코드 형태로 구현되고 상기 제어부(301)로 로딩되어 연산됨으로써 기능화되는 상기 프로그램(315)의 기능 구성부를 상기 제어부(301) 내에 도시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복수의 카드정보를 등록 관리하는 월렛 서비스를 제공하는 월렛 서비스부(320)를 구비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월렛 서비스는 상기 프로그램(315)과 연계된 별도의 월렛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월렛 서비스부(320)는 지정된 카드발급서버(115)로부터 카드명칭, 카드발급기관, 카드이미지, 카드번호, 유효기간 등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카드정보를 발급받아 상기 메모리부(314)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관리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저장된 카드정보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월렛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월렛 서비스부(320)가 관리하는 M(M≥1)개의 카드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제m(1≤m≤M) 카드정보와 도장 이용처에서 이용하는 터치도장(200)을 매핑하는 정보 매핑부(325)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정보 매핑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매핑부(325)는 상기 월렛 서비스부(320)가 관리하는 M개의 카드정보 중 도장 이용처에서 이용하는 터치도장(200)과 매핑할 제m 카드정보를 선택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다.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제m 카드정보가 선택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단말(3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도장 이용처의 터치도장(200)이 터치되면, 상기 정보 매핑부(325)는 하기의 터치 인식부(330)와 터치 판독부(335)와 연계하여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를 인식하게 하고, 본 도면3의 도장 터치 인증 실시예에 따라 지정된 운영서버(100)를 통해 상기 도장 터치를 인증되게 처리한다.
만약 상기 도장 터치가 인증 성공하면, 상기 정보 매핑부(325)는 상기 인증 성공한 도장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도장(200)의 식별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도장(200)의 식별정보는 도장 터치를 인증한 운영서버(1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터치도장(200)의 식별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정보 매핑부(325)는 상기 선택된 제m 카드정보와 상기 확인된 터치도장(200)의 식별정보를 매핑하여 메모리부(314)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제m 카드정보와 도장 이용처에서 이용하는 터치도장(200)을 매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도장(200)의 식별정보는 상기 터치도장(200)의 도장 터치를 터치 인증 조건, 상기 터치도장(200)에 할당된 일련코드, 상기 터치도장(200)과 카드정보를 매핑하기 위해 할당된 식별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보 매핑부(325)는 상기 인증 성공한 도장 터치에 대한 인증 결과 값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 결과 값은 도장 터치를 인증한 운영서버(1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인증 성공한 도장 터치에 대한 인증 결과 값이 확인되면, 상기 정보 매핑부(325)는 상기 선택된 제m 카드정보와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 값을 매핑하여 메모리부(314)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제m 카드정보와 도장 이용처에서 이용하는 터치도장(200)을 매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 결과 값은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가 인증 성공한 경우에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으로 확인되는 값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도장(200)의 도장 터치가 인증 성공한 경우에 상기 도장 터치를 인증한 운영서버(100)에서 생성 또는 제공하는 결과 값, 상기 인증 성공에 대응하여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생성 또는 제공하는 결과 값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인증 성공에 대응하여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생성 또는 제공하는 결과 값이 고정된 결과 값인 경우 상기 인증 결과 값은 상기 고정된 결과 값과 비교될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증 성공에 대응하여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생성 또는 제공하는 결과 값이 동적 생성되는 결과 값(예컨대, 일회용코드)인 경우 상기 인증 결과 값은 상기 동적 생성되는 결과 값과 비교될 비교 값을 동적 생성하기 위한 값 생성 알고리즘과 고정 씨드 값 또는 동적 씨드(예컨대, 시간 또는 챌린지) 결정 규칙 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정보 매핑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도장 이용처의 터치도장(200)과 매핑될 카드정보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정보 매핑부(325)는 하기의 터치 인식부(330)와 터치 판독부(335)와 연계하여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를 인식하게 하고, 본 도면3의 도장 터치 인증 실시예에 따라 지정된 운영서버(100)를 통해 상기 도장 터치를 인증되게 처리한다.
상기 도장 터치가 인증 성공하면, 상기 정보 매핑부(325)는 상기 월렛 서비스부(320)가 관리하는 M개의 카드정보 중 상기 인증 성공한 도장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도장(200)과 매핑되도록 지정된 제m 카드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인증 성공한 도장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도장(200)의 식별정보 또는 상기 인증 성공한 도장 터치에 대한 인증 결과 값을 확인한다. 상기 정보 매핑부(325)는 상기 확인된 제m 카드정보와 상기 확인된 터치도장(200)의 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확인된 제m 카드정보와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 값을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제m 카드정보와 도장 이용처에서 이용하는 터치도장(200)을 매핑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도장 터치의 인증 성공을 근거로 상기 월렛 서비스부(320)가 관리하는 M개의 카드정보에 상기 터치도장(200)과 매핑되도록 지정된 카드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정보 매핑부(325)는 상기 터치도장(200)과 매핑되도록 지정된 카드정보를 월렛으로 발급, 등록하는 절차가 수행되게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도장(200)과 매핑되도록 지정된 카드정보가 월렛으로 발급, 등록되면, 상기 정보 매핑부(325)는 상기 월렛에 등록된 제m 카드정보와 상기 확인된 터치도장(200)의 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월렛에 등록된 제m 카드정보와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 값을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제m 카드정보와 도장 이용처에서 이용하는 터치도장(200)을 매핑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고무 탄성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N개의 터치부(250)를 구비한 터치도장(2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한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하는 터치 인식부(330)를 기능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무선단말(300)의 운영체제를 통해 발생한 터치이벤트를 1회 이상 판독하여 터치도장(2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를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한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한다. 통상적으로 운영체제를 통해 발생된 터치이벤트는 사람의 손가락에 의한 다중 터치와 터치도장(200)에 의한 도장 터치를 구별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터치도장(200)은 미리 설계된 도안에 따라 N개의 터치부(250)를 구비하기 때문에 미리 설계된 규칙에 따른 터치 특성을 지니게 되며, 이를 기반으로 사람의 손가락에 의한 다중 터치와 구별하여 터치도장(200)에 의한 터치도장(200)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설계된 규칙에 따른 터치도장(200) 터치를 명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동시 터치 조건, 고정 터치 조건, 정적 터치 조건, 동적 터치 조건, 순차 터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선택적으로 추가 적용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건을 조합하여 추가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동시 터치 조건은 터치도장(2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가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동시에 터치되는지 판단하는 조건이다. 상기 동시 터치 조건은 터치도장(200)의 평판 영역에 구비되는 N개의 터치부(250)를 같은 높이(또는 허용된 범위에서 유사한 높이)로 설계 제작하고, 이와 같이 제작된 터치도장(200)의 터치부(250)를 평판 형태의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동시 터치 조건을 적용하여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상기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을 통해 터치 점이 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둘 이상의 터치 점이 터치된 시점의 터치 점의 개수가 N개인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확인된 터치 점의 개수가 N개라면,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상기 동시 터치 조건을 만족하게 설계 제작된 터치도장(200)을 이용하여 터치된 터치 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동시 터치 조건을 적용하여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상기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을 통해 둘 이상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을 통해 둘 이상의 터치 점이 인식되면,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상기 터치이벤트를 근거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된 둘 이상의 터치 점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반복 인식한다.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상기 둘 이상의 터치 점이 최초 터치 인식 시점부터 지정된 일정 시간(또는 일정 반복 인식 횟수) 내에 터치된 터치 점의 개수가 N개인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일정 시간(또는 일정 반복 인식 횟수) 내에 확인된 터치 점의 개수가 N개라면,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상기 동시 터치 조건을 만족하게 설계 제작된 터치도장(200)을 이용하여 터치된 터치 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터치 조건은 사람이 도장을 찍는 사람의 행동 습관을 기반으로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도장(200)을 터치하는지 판단하는 조건이다. 통상적으로 도장에 인주를 묻혀 종이에 찍는 경우, 이와 같은 행동을 경험했던 사람이라면 도장에 묻은 인주가 종이에 충분히 인자될 때까지 도장을 종이에 접촉한 상태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행동 습관을 지니게 된다. 이와 같은 행동 습관은 인주 없이 터치도장(2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하는 경우에도 관성적으로 발현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터치 조건을 적용하여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상기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을 통해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을 통해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면,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상기 터치이벤트를 근거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반복 인식한다.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일정 시간(또는 일정 반복 인식 횟수) 동안 반복 인식된 터치 점의 개수가 N개인지 확인한다. 만약 일정 시간(또는 일정 반복 인식 횟수) 동안 반복 확인된 터치 점의 개수가 N개라면,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도장 찍는 행동 습관에 따라 터치도장(200)을 터치한 터치 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정 터치 조건을 적용하여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상기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을 통해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을 통해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면,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상기 터치이벤트를 근거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반복 인식한다.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상기 반복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의 위치를 반복 확인하고, 상기 반복 확인된 N개의 터치 점의 위치를 각 터치 점 별로 비교하여 N개의 터치 점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는다면,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도장 찍는 행동 습관에 따라 터치도장(200)을 터치한 터치 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정적 터치 조건은 터치도장(2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가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고 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지 판단하는 조건이다. 상기 정적 터치 조건은 터치도장(200)에 구비되는 N개의 터치부(250)를 움직이지 않게 설계 제작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정적 터치 조건을 적용하여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상기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을 통해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을 통해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면,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상기 터치이벤트를 근거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반복 인식한다.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상기 반복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의 위치 관계를 반복 확인하고, 상기 반복 확인된 N개의 터치 점의 위치 관계를 비교하여 N개의 터치 점의 위치 관계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변경되지 않고 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위치 간계가 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다면,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터치도장(200)에 고정 탑재된 N개의 터치부(250)를 터치한 터치 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동적 터치 조건은 터치도장(2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가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지정된 규칙에 따라 움직이는지 판단하는 조건이다. 상기 동적 터치 조건은 터치도장(200)의 평판 영역에 구비되는 N개의 터치부(250)를 도장 찍는 힘(=압인력)에 의해 움직이게 설계 제작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도장(200)의 설계 제작 구조가 상기 터치도장(2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하면서 상하방향(즉, 터치스크린(305) 면과의 수직방향)의 압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상하방향과 경사를 이루는 슬라이더에 의해 N개의 터치부(250) 중 하나 이상의 터치부(250)가 평판 영역 상에서 지정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제작된 경우에 상기 동적 터치 조건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동적 터치 조건을 적용하여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상기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을 통해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을 통해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면,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상기 터치이벤트를 근거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반복 인식한다.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상기 반복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의 위치를 반복 확인하고, 상기 반복 확인된 N개의 터치 점의 위치를 비교하여 N개의 터치 점의 위치 관계가 지정된 규칙에 따라 변경되는 동적인 상태인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위치 간계가 지정된 규칙에 따라 변경되는 동적인 상태라면,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지정된 규칙에 따라 움직이게 설계 제작된 N개의 터치부(250)를 구비한 터치도장(200)을 이용하여 터치한 터치 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순차 터치 조건은 터치도장(2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가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지정된 규칙에 따라 순차적으로 터치되는지 판단하는 조건이다. 상기 순차 터치 조건은 터치도장(200)의 평판 영역에 구비되는 N개의 터치부(250) 중 하나 이상의 터치부(250)의 높이를 달리하여 도장 찍는 힘에 의해 N개의 터치부(250)가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순차적으로 터치되게 설계 제작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터치도장(200)에 구비된 평판부(245)의 평판 영역에 고무탄성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5개의 터치부(250)가 구비되는데, 만약 상기 평판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5개의 터치부(250) 중 1개의 터치부(250)는 5㎜ 높이, 2개의 터치부(250)는 3.5㎜ 높이, 2개의 터치부(250)는 2㎜ 높이로 설계 제작된다면, 터치 시점의 압인력에 의해 상기 5개의 터치부(250) 중 5㎜ 높이의 터치부(250)가 먼저 터치되고 3.5㎜ 높이의 터치부(250)가 그 다음 터치되고 최종적으로 2㎜ 높이의 터치부(250)가 터치되어 총 5개의 터치부(250)가 터치되게 되는데, 상기 순차 터치 조건은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터치되게 설계 제작된 터치도장(200)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순차 터치 조건을 적용하여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상기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 점이 인식된 시점부터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된 터치 점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반복 인식하고, 상기 터치 점이 반복 인식되는 동안의 터치 점의 개수와 터치 점의 위치를 반복적으로 확인한다.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상기 반복 인식되는 동안의 터치 점의 개수 변화를 확인하고, 터치 점의 개수 변화에 따른 터치 점의 위치를 반복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사람이 터치도장(200)을 누르는 힘에 의해 터치 점의 개수가 증가하므로, 상기 변화되는 터치 점의 개수는 설계된 N까지 증가하되 중간에 줄어들어서는 안된다. 또한 터치 점의 개수가 증가하면서 추가로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고 고정되어야 한다.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상기 반복 확인된 터치 점의 개수 변화와 터치 점의 위치가 상기와 같은 순차 터치 조건의 특성을 지니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규칙에 따라 순차적으로 터치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규칙에 따라 순차적으로 터치된다면, 상기 터치 인식부(330)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지정된 규칙에 따라 순차적으로 터치되게 설계 제작된 N개의 터치부(250)를 구비한 터치도장(200)을 이용하여 터치한 터치 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터치도장(200)을 찍는 사람마다 압인력 또는 압인되는 속도는 제각기 다르므로 순차 터치 조건에서 순차 터치되는 시간 차는 특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N개의 터치부(250)를 구비한 터치도장(200)을 이용하여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는 터치 판독부(335)를 기능적으로 구비한다.
터치도장(200)을 이용하여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면, 상기 터치 판독부(335)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의해 형성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해낸다.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은 지정된 좌표계 상의 좌표 값, 스칼라 값, 벡터 값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하기 위한 좌표계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적용된 직교 좌표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정 좌표계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적용된 좌표계 외에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위치 관계를 해석하기 위해 정의된 다른 좌표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상기 구성 요소 값은 A(31, y1), B(32, y2), C(33, y3), D(34, y4), E(35, y5) 등과 같은 지정된 좌표계 상의 좌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성 요소 값은 상기 좌표계 상의 좌표 값을 기준으로 산출된 선분AB, 선분AC, 선분AD, 선분AE 등과 같은 선분 값과 ∠BAC, ∠BAD, ∠BAE, ∠CAD, ∠CAE, ∠DAE 등과 같은 각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칼라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성 요소 값은 상기 좌표계 상의 기준 점 또는 기준 선을 기준으로 산출된 벡터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벡터 값을 산출하는 기준 점은 좌표계 상의 원점이거나 또는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에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지정된 경로를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100)까지 전달되게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35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340)를 기능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판독부(335)를 통해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이 판독되면, 상기 정보 전송부(355)는 상기 판독된 구성 요소 값을 상기 운영서버(100)까지 전달되게 하기 위한 터치 인식 정보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전송부(355)는 상기 메모리부(314)로부터 상기 무선단말(300)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정보와 상기 판독된 구성 요소 값을 포함하는 터치 인식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315)에 위치 확인 기능이 포함된 경우, 상기 위치 확인부(340)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기 전, 중, 후의 어느 시점에 상기 위치 측위모듈(312)을 통해 측위된 무선단말(300)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이 경우 상기 정보 전송부(355)는 상기 터치 인식 정보에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터치도장(200)의 터치 시점에 사운드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인식하는 사운드 인식부(345)를 기능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정보 전송부(355)는 상기 터치 인식 정보에 상기 사운드 신호로부터 확인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터치도장(200)(또는 터치도장(200)의 거치대, 또는 도장 이용처의 단말장치(110) 등)은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칩과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307)는 상기 터치도장(2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가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되는 시점에 상기 터치도장(2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사운드 인식부(345)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307)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추출한다. 상기 정보 전송부(355)는 상기 사운드 인식부(345)를 통해 상기 사운드 신호로부터 확인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상기 터치 인식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터치도장(200)의 터치 시점에 NFC 통신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NFC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에 부호화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인식하는 NFC 인식부(350)를 기능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정보 전송부(355)는 상기 터치 인식 정보에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확인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터치도장(200)은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된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하는 NFC칩과 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NFC모듈(311)은 상기 터치도장(200)이 지정된 범위 내로 근접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도장(2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가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되는 시점에 상기 터치도장(200)의 NFC칩으로부터 송출된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NFC 인식부(350)는 상기 NFC모듈(311)을 통해 수신된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에 부호화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추출한다. 상기 정보 전송부(355)는 상기 NFC 인식부(350)를 통해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확인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상기 터치 인식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전송부(355)는 상기 통신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구성된 터치 인식 정보를 지정된 중계서버(105)로 전송하고, 상기 중계서버(105)는 상기 운영서버(100)로 상기 터치 인식 정보를 중계 전송한다. 또는 상기 정보 전송부(355)는 상기 통신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구성된 터치 인식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인식 정보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터치 인식 정보에 포함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과 상기 터치도장(200)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함으로써, 상기 터치 도장을 이용한 도장 터치에 대한 인증 결과를 생성한다. 한편 상기 터치 인식 정보에 상기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인증하는 절차를 더 수행하며,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인증한 인증 결과와 상기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에 대한 인증 결과를 조합하여 상기 터치 도장을 이용한 도장 터치에 대한 인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경로(예컨대, 중계서버(105)를 경유하는 중계 경로, 또는 무선단말(300)과 운영서버(100)간 통신 경로 등)를 상기 도장 터치의 인증 결과를 전송한다. 상기 도장 터치의 인증 결과는 인증 성공 결과 또는 인증 오류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의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인증 결과 확인부(360)와, 상기 도장 터치가 인증 성공한 경우 상기 월렛에 구비된 M개의 카드정보 중 상기 인증된 도장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카드정보를 확인하는 카드정보 확인부(365)와,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카드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200)과 매핑될 카드정보를 발급 요청하는 발급요청 정보를 표시하는 카드발급 요청부(370)와,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200)과 매핑될 카드정보를 발급받아 상기 월렛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발급절차 수행부(375)를 구비하며, 상기 월렛 서비스부(320)는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카드정보가 확인된 경우에 상기 M개의 카드정보 중 상기 매핑된 제m 카드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월렛을 통해 표시한다.
상기 인증 결과 확인부(360)는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전송한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의 인증 결과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장 터치의 인증 결과는 인증 성공 결과 또는 인증 오류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정보 확인부(365)는 상기 도장 터치의 인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가 인증 성공하였는지 또는 인증 실패하였는지 판단하며, 만약 상기 도장 터치가 인증 성공한 경우 상기 월렛 서비스부(320)가 관리하는 M개의 카드정보 중 상기 정보 매핑부(325)를 통해 상기 인증된 도장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카드정보를 확인 시도하다.
만약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카드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월렛 서비스부(320)는 상기 M개의 카드정보 중 상기 매핑된 제m 카드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월렛을 통해 표시한다.
한편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카드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카드발급 요청부(370)는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카드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카드정보를 발급 요청하는 발급요청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화면 출력부(303)를 통해 표시한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발급요청 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도장(200)과 매핑될 카드정보의 발급을 신청한 경우, 상기 발급절차 수행부(375)는 상기 발급 신청된 카드정보에 대응하는 카드발급서버(115)와 연계하여 상기 발급 신청된 카드정보를 발급받아 상기 월렛 서비스부(320)가 이용 가능하게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정보 매핑부(325)는 상기 발급된 카드정보를 상기 터치도장(200)과 매핑한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인증 시스템(4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무선단말(3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규칙으로 설계 제작된 터치도장(200)의 N개의 터치부(250)를 터치한 터치 점인지 인증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도면4에 도시된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으로부터 전송된 터치 인식 정보를 지정된 경로를 통해 수신하여 인증하는 운영서버(100) 상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도면5에 도시된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에 구비(또는 연계)되는 프로그램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터치도장(2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포함하는 터치 인증 조건을 저장하는 인증 조건 저장부(405)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에는 N개의 터치부(250)가 구비되며, 상기 N개의 터치부(250)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터치부(250)와 n(n<N)개의 터치부(250)가 구비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도장(200)은 둘 이상의 지정 터치부(25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지정 터치부(250)는 상기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 상의 지정된 위치에 구비되는 터치부(250)로서 상기 평판부(245)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를 무선단말(3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하여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을 판독하기 위한 기준 점에 대응되는 터치부(250)이다. 상기 n개의 터치부(250)는 상기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에 구비되는 터치부(250) 중 상기 지정 터치부(250)를 제외한 나머지 터치부(250)로서 평판부(245) 상의 계산된 위치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 상에 상기 n개의 터치부(250)를 탑재하는 위치는 지정된 설계장치(도시생략)에 의해 계산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계산된 위치는 상기 평판부(245) 상에서 터치부(250)가 탑재될 수 있는 영역의 면적과 각 터치부(250)의 접촉 면적 및 최소 구별 인식 거리(및/또는 최소 식별 거리)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최대의 경우의 수 내에서 각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마다 각기 다른 위치로 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계장치는 N개의 터치부(250)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250)를 평판부(245) 상의 지정된 위치(예컨대, 모서리 부분)에 탑재되게 설계한다. 제작장치(도시생략)는 상기 설계장치에 의해 설계된 계산된 위치에 n개의 터치부(250)를 구비하고 지정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지정 터치부(250)를 구비하도록 평판부(245)를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평판부(245)의 지정된 위치와 계산된 위치에 N개의 터치부(250)를 탑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설계장치는 상기 평판부(245)의 평판 영역을 n개의 분할 영역(270)으로 설계 상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 영역(270)에 각기 1개의 터치부(250)가 구비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n개의 터치부(250)가 구비되는 계산된 위치는 상기 분할 영역(270) 상의 위치로 제한된다. 상기 설계장치는 설계 상 분할된 n개의 분할 영역(270)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지정 터치부(250)를 구비하는 지정 영역(275)으로 설계 상 지정하며, 상기 지정 영역(275) 상의 지정된 위치에 상기 지정 터치부(250)가 구비되도록 설계한다. 만약 n개의 분할 영역(270) 중 어느 한 영역을 지정 영역(275)으로 지정하고 상기 지정 영역(275) 상의 지정된 어느 한 위치에 1개의 지정 터치부(250)가 구비된다면, 상기 설계장치는 상기 n개의 분할 영역(270) 중 (n-1)개의 분할 영역(270)에는 각기 1개의 터치부(250)가 구비되고, 상기 1개의 지정 영역(275)에는 지정 터치부(250)를 포함하여 2개의 터치부(250)가 구비되도록 설계한다.
상기 인증 조건 저장부(405)는 상기와 같이 설계된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가 형성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확인하고,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포함하는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매체(41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 조건 저장부(405)는 상기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를 설계 또는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평판부(245)에 N개의 터치부(250)를 구비하기 위한 설계 상의 계산된 위치와 지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확인하거나, 또는 지정된 단말로부터 입력받거나, 또는 설계장치로부터 제공받은 후,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포함하는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매체(41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각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마다 허용된 경우의 수 내에서 n개의 터치부(250)가 탑재되는 계산된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계산된 위치가 다르게 설계되므로,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는 상기 경우의 수 내에서 각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마다 다른 관계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는 미리 설정된 지정 좌표계를 기준으로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들의 상대적 좌표 값을 포함하는 좌표 관계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지정 좌표계 상의 좌표 값을 기준으로 N개의 터치부(250)들의 거리 관계와 지정 좌표계 상의 어느 한 기준 점(예컨대, N개의 터치부(250) 중 어느 하나의 터치부(250)의 좌표 값에 대응하는 점, 또는 상기 지정 좌표계 상의 원점, 또는 상기 지정 좌표계 상의 임의 기준 점 등)을 기준으로 각 터치부(250)들이 형성하는 각도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관계는 상기 기준 점과 두개의 터치부(250)를 연결한 선분이 형성하는 각도 또는 상기 기준 점을 통과하는 기준 선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 점과 각 터치부(250)가 형성하는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정 좌표계는 N개의 터치부(250)에 의해 형성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해석하는 기준이 되는 좌표계로서, 바람직하게 현실 세계의 도량형 단위(예컨대, ㎛, ㎜, ㎝) 또는 지정된 논리 단위로 이루어진 좌표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시 방법에 따라 무선단말(300)의 터치스크린(305) 좌표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는 각 터치부(250)의 중점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에 구비되는 각 터치부(250)들은 일정한 접촉 면적을 지니고 있고, 무선단말(3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된 터치 점의 중점은 터치된 면을 기준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의 터치 인식 과정에서 발생하는 노이즈(noise) 또는 터치스크린(305) 면의 오염 상태에 따라 상기 N개의 터치부(250)를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하여 인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상기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가 항상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인증하기 위한 설계 상의 허용 오차 범위(예컨대, 가우시안(Gaussian) 확률 분포의 95% 일치 범위 내)에 대응하는 설계 상의 오차 정보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증 조건 저장부(405)는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에 대한 설계 상의 오차 정보를 확인(또는 결정)하고,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설계 상의 오차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매체(410)에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실 계측 위치 관계가 확인되지 않는다면, 상기 터치 인증 조건이 인증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터치도장(200)에 대한 최소 구별 인식 거리 및/또는 최소 식별 거리에 대한 인증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도장(200)(또는 터치도장(200)과 연계된 장치(예컨대, 터치도장(200)의 거치대, 터치도장(200)을 운영하는 가맹점의 단말장치(110) 등))에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 또는 NFC칩이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사운드 신호 또는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에 부호화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코드 인증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드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될 비교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코드 인증 조건은 상기 일회용코드와 비교될 비교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 생성 규칙(예컨대, 코드 생성 알고리즘, 고정 씨드 값, 동적 씨드 값(예: 시간 또는 챌린지 등)을 결정하는 규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가 n개의 분할 영역(270)으로 설계 상 분할되고, 상기 n개의 분할 영역(270) 상의 계산된 위치에 각기 1개의 터치부(250)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n개의 분할 영역(270) 중 어느 한 지정 영역(275)에 1개의 지정 터치부(250)가 구비되도록 설계된 경우, 상기 인증 조건 저장부(405)는 상기 평판부(245)에 설계된 1개의 지정 터치부(250)와 n개의 터치부(250)가 형성하는 거리 관계 및 각도 관계에 대응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상기 n개의 분할 영역(270)에 대한 분할 영역(270)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인증 조건을 구성하여 지정된 저장매체(41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지정 터치부(250)와 n개의 터치부(250)를 구비한 터치도장(200)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는 미리 설정된 지정 좌표계를 기준으로 지정 터치부(250)와 n개의 터치부(250)에 대한 상대적 좌표 값을 포함하는 좌표 관계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지정 좌표계 상의 좌표 값을 기준으로 지정 터치부(250)와 n개의 각 터치부(250) 사이의 거리 관계와 지정 좌표계 상에서 지정 터치부(250)응 기준으로 n개의 터치부(250)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계된 평판부(245)가 제작되면, 상기 인증 조건 저장부(405)는 상기 N개의 터치부(250)를 구비한 평판부(245)에 부여되는 일련코드를 확인하거나, 또는 지정된 단말로부터 입력받거나, 또는 제작장치로부터 제공받은 후, 상기 터치 인증 조건과 일련코드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41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터치도장(200)이 설계 및 제작된 후, 상기 터치도장(200)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상기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를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했을 때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검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증 조건 저장부(405)는 상기 터치도장(200)의 터치부(250)에 대한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등록하도록 지정된 장치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패널에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확인하고, 상기 반복 터치된 구성 요소 값과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매칭한 후 비교하여 지정된 오차 허용 범위 내(예컨대, 가우시안(Gaussian) 확률 분포의 95% 일치 범위 내)에서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는지 판별한다. 만약 상기 반복 터치된 구성 요소 값이 지정된 오차 허용 범위 내에서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일치하거나 또는 근접한다면, 상기 인증 조건 저장부(405)는 상기 반복 터치된 구성 요소 값에 기초한 실 계측 오차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상기 산출된 실 계측 오차 정보를 포함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포함하는 터치 인증 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복 터치된 구성 요소 값과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가 지정된 오차 허용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실 계측 오차는 설계 상의 오차에 포함되는 것이므로, 상기 인증 조건 저장부(405)는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상기 설계 상의 오차 정보를 포함하여 인증용으로 사용될 터치 인증 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 조건 저장부(405)는 등록용으로 지정된 장치로부터 등록 대상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에 부여된 일련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일련코드를 이용하여 오차 정보를 산출할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확인한다. 상기 인증 조건 저장부(405)는 하기의 터치 점 확인부(420)를 통해 상기 등록용 장치의 정전식 터치패널에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 터치된 구성 요소 값을 확인하고, 하기의 터치 점 인증부(430)와 연계하여 상기 확인된 각 터치 점의 상호 위치 관계가 유효한지 확인하고, 하기의 기준 점 식별부(435) 및 위치 관계 산출부(440)와 연계하여 상기 반복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실 계측 위치 관계를 확인하고, 상기 실 계측 위치 관계에 포함된 거리 관계 및 각도 관계와 상기 일련코드를 통해 확인된 터치 인증 조건에 대응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에 포함된 거리 관계 및 각도 관계를 비교하여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기준으로 상기 실 계측 위치 관계가 지정된 오차 허용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실 계측 위치 관계가 지정된 오차 허용 범위를 벗어난다면, 상기 제작된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는 상기 지정된 오차 허용 범위에 속하도록 오차 보정되거나 또는 분해 후 다시 제작되는 절차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인증 조건 저장부(405)는 상기 제작된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의 오차 보정 또는 다시 제작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출력하고 이에 수반되는 업무를 지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등록용 장치의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반복 터치된 구성 요소 값이 지정된 오차 허용 범위 내에 존재한다면, 상기 인증 조건 저장부(405)는 상기 반복 터치된 구성 요소 값에 기초한 오차 정보(예컨대, 실 계측 오차 정보 또는 설계 상의 오차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상기 확인된 오차 정보를 포함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포함하는 터치 인증 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작된 터치도장(200)이 특정 위치(또는 지역)의 도장 이용처(예컨대,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하여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맹점 등)에 공급된 경우, 상기 인증 조건 저장부(405)는 상기 이용처에 구비된 단말장치(110)로부터 상기 터치도장(200)의 일련코드와 상기 이용처의 위치 영역 정보(예컨대, 주소지 정보, 지역 정보 등)를 수신하고, 상기 일련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이용처로 제공된 터치도장(200)에 대응하는 터치 인증 조건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일련코드와 매핑된 터치 인증 조건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인증 조건 저장부(405)는 상기 이용처의 단말장치(110)로 상기 인증코드에 대응하는 터치도장(200)에 대한 미등록 오류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일련코드와 매핑된 터치 인증 조건이 확인되면, 상기 인증 조건 저장부(405)는 상기 확인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이용처의 위치 영역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410)에 저장할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무선단말(3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을 통해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포함하는 터치 인식 정보를 수신화는 정보 수신부(415)와, 상기 터치 인식 정보에 포함된 구성 요소 값을 확인하는 터치 점 확인부(420)와, 상기 터치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정보 확인부(425)를 구비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415)는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으로부터 전송된 터치 인식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터치 인식 정보는 무선단말(3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300)의 고유정보 및/또는 위치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 인식 정보는 상기 터치도장(200)으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신호 또는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에 포함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점 확인부(420)는 상기 터치 인식 정보에 포함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구성 요소 값이 터치스크린(305) 좌표계의 좌표 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터치 점 확인부(420)는 상기 구성 요소 값을 상기 터치 인증 조건에 포함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에 대응하는 좌표계로 좌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표 변환은 하기의 터치 점 인증부(430) 또는 기준 점 식별부(435) 또는 위치 관계 산출부(44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확인부(425)는 상기 터치 인식 정보에 포함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무선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터치 인식 정보에 무선단말(300)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위치 정보 확인부(425)는 상기 무선단말(300)과 무선 구간이 형성된 기지국 또는 무선AP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셀(Cell) 기반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터치 인식 정보에 포함된 구성 요소 값을 이용하여 N개의 각 터치 점 간의 상호 위치 관계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상호 위치 관계가 설계 제작된 터치도장(200)의 터치부(250)를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하여 형성될 수 있는 위치 관계를 포함하는지 인증하는 터치 점 인증부(430)를 구비한다.
상기 터치 점 인증부(430)는 상기 터치 점 확인부(420)를 통해 확인된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한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에 의해 터치된 터치 점인지 인증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점 인증부(430)는 상기 N개의 터치 점 간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터치 점 간 거리가 유효한 터치도장(200)에 대하여 설정된 최소 구별 인식 거리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독함으로써,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본 발명에 따른 설계 방식에 따라 설계 및 제작된 유효한 터치도장(200)의 터치 점인지 인증할 수 있다. 거리 비교는 동일한 좌표계 상의 좌표 거리를 기준으로 비교되며, 이를 위해 좌표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 점 간 거리 중 어느 하나라도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상기 설정된 최소 구별 인식 거리보다 작다면 상기 N개의 터치 점은 유효한 터치도장(200)의 터치 점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가 적어도 하나의 지정 터치부(250)와 n개의 터치부(250)로 구성된 경우, 상기 터치 점 인증부(430)는 상기 n개의 터치부(250) 간 거리를 계산하고, 최소 구별 인식 거리와 비교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본 발명에 따른 설계 방식에 따라 설계 및 제작된 유효한 터치도장(200)의 터치 점인지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점 인증부(430)는 N개의 터치 점을 연결한 선분에 의해 형성되는 N각형 구조 조건을 설정하여 유지하고 있다. 만약 상기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가 적어도 하나의 지정 터치부(250)와 n개의 터치부(250)로 구성된 경우, 상기 N각형 구조 조건은 유효한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의 평판 영역을 분할한 n개의 분할 영역(270) 중 (n-1)개의 분할 영역(270)에는 지정된 접촉 면적을 지닌 1개의 터치부(250)가 구비되고 어느 하나의 지정 영역(275)에는 지정 터치부(250)를 포함하는 2개의 터치부(250)가 구비됨으로 인해 상기 N각형이 지니게 되는 기하학적 특성을 판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조건을 포함한다. 예를들어, 상기 N각형 구조 조건은 상기 터치부(250)의 접촉 면적 크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 최소 식별 거리, 평판 영역을 분할하는 방식 및 평판 영역 상에서 사용되지 않는 여백 영역 등을 기반으로 형성 가능한 N각형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에 대한 조건, 및/또는 형성 불가능한 기하학적 특성에 대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각형 구조 조건이 설정된 경우, 상기 터치 점 인증부(430)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연결하여 N각형을 형성하고, 상기 설정된 N각형 구조 조건을 통해 상기 형성된 N각형의 기하학적 특성을 판독함으로써,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본 발명에 따른 설계 방식에 따라 설계 및 제작된 유효한 터치도장(200)의 터치 점인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구성 요소 값이 상기 지정 좌표계로 좌표 변환된 경우, 상기 터치 점 인증부(430)는 상기 지정 좌표계 상의 정보로 설정된 값을 이용하여 N개의 각 터치 점 간의 상호 위치 관계를 판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구성 요소 값이 상기 지정 좌표계로 좌표 변환되지 않은 상태라면 상기 터치 점 인증부(430)는 상기 구성 요소 값을 상기 지정 좌표계로 좌표 변환한 후 상호 위치 관계를 판독할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판독하기 위한 기준 점을 식별하는 기준 점 식별부(435)와, 상기 기준 점을 기준으로 각 터치 점 간의 인증 대상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산출하는 위치 관계 산출부(440)와, 상기 인증 조건 저장부(405)를 통해 저장된 터치 인증 조건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매칭 비교하여 인증하는 터치 인증 처리부(445)를 구비한다. 만약 상기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가 적어도 하나의 지정 터치부(250)와 n개의 터치부(250)로 구성된 경우, 상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n개의 분할 영역(270)에 대한 분할 영역(270) 정보를 통해 상기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상기 지정 영역(275)의 지정된 위치에 구비된 지정 터치 점을 식별하는 기준 점 식별부(435)와, 상기 식별된 지정 터치 점과 n개의 각 터치 점 사이의 인증 대상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산출하는 위치 관계 산출부(440)와, 상기 인증 조건 저장부(405)를 통해 저장된 터치 인증 조건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상기 산출된 지정 터치 점과 n개의 각 터치 점 사이의 인증 대상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매칭 비교하여 인증하는 터치 인증 처리부(445)를 구비하며,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의 인증 결과를 결정하는 인증 결과 결정부(460)와, 상기 도장 터치의 인증 결과를 전송하는 인증 결과 전송부(465)를 구비한다. 이하 편의상 상기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가 적어도 하나의 지정 터치부(250)와 n개의 터치부(250)로 구성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인증하는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하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준 점을 정하여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인증하는 방식이라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기준 점 식별부(435)는 상기 터치 점 확인부(420)를 통해 확인된 구성 요소 값 또는 상기 터치 점 인증부(430)를 통해 인증된 구성 요소 값을 상기 n개의 분할 영역(270)에 대한 분할 영역(270) 정보와 매칭시킨다. 만약 상기 분할 영역(270) 정보가 상기 지정 좌표계 상의 좌표 영역 정보로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기준 점 식별부(435)는 상기 지정 좌표계로 좌표 변환된 구성 요소 값을 상기 분할 영역(270) 정보와 매칭시키며, 상기 구성 요소 값은 상기 터치 점 확인부(420) 또는 터치 점 인증부(430)를 통해 상기 지정 좌표계로 좌표 변환된 상태이거나, 또는 상기 기준 점 식별부(435)에 의해 상기 지정 좌표계로 좌표 변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기준 점 식별 방식에 따르면, 상기 기준 점 식별부(435)는 상기 분할 영역(270) 정보와 구성 요소 값을 매칭시키기 위해,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어느 한 점을 가상의 지정 터치 점으로 정한 후 상기 가상의 지정 터치 점과 분할 영역(270) 정보를 매칭시킨 후 상기 가상의 지정 터치 점을 기준으로 n개의 터치 점을 좌표 회전하는 과정을 적어도 1회 수행함으로써, 상기 n개의 분할 영역(270) 중 가상의 지정 터치 점이 위치한 지정 영역(275) 상에 2개의 터치 점이 존재하고 나머지 (n-1)개의 분할 영역(270)에 각기 1개의 터치 점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가상의 지정 터치 점이 위치한 지정 영역(275)에 2개의 터치 점이 존재하고 나머지 (n-1)개의 분할 영역(270)에 각기 1개의 터치 점이 존재한다면 가상의 지정 터치 점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지정 위치에 구비된 지정 터치 점으로 식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기준 점 식별부(435)는 상기 분할 영역(270) 정보와 구성 요소 값을 매칭시키는 과정을 단축하기 위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의해 형성되는 N각형의 기하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지정 터치 점일 확률이 높은 터치 점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터치 점부터 우선적으로 가상의 지정 터치 점으로 정하여 매칭시키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기준 점 식별부(435)는 상기 N각형의 각 꼭지점의 내각 중 180°보다 큰 꼭지점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꼭지점의 양 측에 있는 터치 점을 가상의 지정 터치 점으로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기준 점 식별 방식에 따르면, 상기 기준 점 식별부(435)는 설계 상의 가상 원점과 분할 영역(270) 정보를 매칭시키고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어느 한 점을 가상 원점 기준의 지정 터치 점 위치에 매칭시킨 후, 상기 가상 원점을 기준으로 N개의 터치 점을 좌표 회전하는 과정을 적어도 1회 수행함으로써, 상기 n개의 분할 영역(270) 중 지정 영역(275)에 2개의 터치 점이 존재하고 나머지 (n-1)개의 분할 영역(270)에 각기 1개의 터치 점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지정 영역(275)에 2개의 터치 점이 존재하고 나머지 (n-1)개의 분할 영역(270)에 각기 1개의 터치 점이 존재한다면 가상의 지정 터치 점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지정 위치에 구비된 지정 터치 점으로 식별될 수 있다.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지정 터치 점이 식별되면, 상기 위치 관계 산출부(440)는 상기 식별된 지정 터치 점과 n개의 분할 영역(270)에 구비된 n개의 각 터치 점 사이의 거리 관계와 상기 식별된 지정 터치 점을 기준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 관계를 포함하는, 상기 지정 터치 점과 n개의 각 터치 점 사이의 인증 대상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산출한다.
상기 거리 관계는 지정 좌표계 상에서의 좌표 거리를 포함한다. 상기 좌표 거리는 지정 좌표계를 기준으로 좌표 값을 통해 산출되는 상대적 좌표 거리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지정 좌표계 상에서의 특정 방향을 더 포함하는 벡터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각도 관계는 지정 좌표계 상에서의 좌표 각을 포함한다. 상기 좌표 각은 상기 지정 터치 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n개의 터치 점 중 2개의 터치 점이 이루는 좌표계 상의 각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지정 좌표계 상의 특정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지정 터치 점과 n개의 각 터치 점을 연결한 선분이 이루는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관계 산출부(440)는 지정 좌표계 상의 좌표 값을 기준으로 상기 지정 터치 점과 n개의 각 터치 점 사이의 인증 대상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정 터치 점과 n개의 각 터치 점 사이의 인증 대상 기하학적 위치 관계가 산출되면, 상기 터치 인증 처리부(445)는 상기 인증 조건 저장부(405)에 의해 저장된 터치 인증 조건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상기 산출된 지정 터치 점과 n개의 각 터치 점 사이의 인증 대상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각 터치 점 별로 매칭시킨 후 거리 및 각도를 비교하여 일치하거나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 근접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상기 터치 인증 조건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가 상기 매칭된 터치 점 별로 일치하거나 또는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 근접한다면, 상기 터치 점 확인부(420)를 통해 확인된 구성 요소 값은 상기 일치 또는 근접한 터치 인증 조건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부(250)를 구비한 터치도장(200)에 의한 터치로 인증된다.
상기 저장매체(410)에 저장되는 터치 인증 조건과 터치도장(200) 이용처의 위치 영역 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되고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 정보가 확인된 경우, 상기 터치 인증 처리부(445)는 상기 저장매체(410)에 저장된 터치 인증 조건 중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와 매칭되는 위치 영역 정보와 매핑된 비교 대상 터치 인증 조건을 확인하고, 상기 비교 대상 터치 인증 조건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우선적으로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 또는 근접하는지 비교함으로써,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저장매체(410)에 저장된 각 터치도장(200) 별 터치 인증 조건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비교 인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인증 처리부(445)는 상기 구성 요소 값을 이용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위치 관계가 지정된 터치도장(200)의 복수 터치부(250)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한 인증 결과(예컨대, 인증 오류 결과 또는 인증 성공 결과)를 생성한다.
상기 인증 결과 결정부(460)는 상기 터치 인증 처리부(445)를 통해 생성된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인증한 결과를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를 인증한 인증 결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결과 전송부(465)는 지정된 경로(예컨대, 터치 인식 정보가 수신된 경로의 역방향 경로, 또는 운영서버(100)와 무선단말(300) 간 직접 통신 경로 등)를 통해 상기 인증 결과 결정부(460)를 통해 결정된 도장 터치의 인증 결과를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으로 전송되게 처리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터치 인식 정보에 사운드 또는 NFC를 통해 인식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터치 인식 정보에 포함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확인하는 코드 확인부(450)와, 상기 터치 인증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인증하는 코드 인증부(455)를 구비한다.
상기 코드 확인부(450)는 상기 터치 인증 처리부(445)에 의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가 인증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시점에 상기 터치 인식 정보에 포함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확인한다.
상기 코드 인증부(455)는 상기 터치 인증 처리부(445)가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가 인증하기 위해 이용하는 터치 인증 조건에 포함된 코드 인증 조건을 확인하고, 상기 코드 인증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다. 예컨대, 상기 코드 인증부(455)는 상기 코드 인증 조건의 비교코드와 상기 고유코드를 비교하여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코드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일회용코드와 비교될 비교코드를 동적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일회용코드와 비교하여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코드 인증부(455)를 통해 상기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가 수행된 경우, 상기 인증 결과 결정부(460)는 상기 터치 인증 처리부(445)를 통해 생성된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인증한 결과와 상기 코드 인증부(455)를 통해 생성된 상기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조합하여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결과 전송부(465)는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인증 결과 결정부(460)를 통해 결정된 도장 터치의 인증 결과를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으로 전송되게 처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가 인증 성공한 경우, 상기 인증 결과 전송부(465)는 상기 도장 터치의 인증 성공 결과에 지정된 인증 결과 값을 포함하여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인증 성공한 터치도장(200)을 식별하는 터치도장(200) 식별정보(예컨대, 상기 터치도장(200)에 할당된 일련코드, 또는 상기 터치도장(200)과 상기 카드정보를 매핑하기 위해 할당된 식별코드)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300)과 프로그램(315)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터치도장(2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가 무선단말(3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되면 이를 인식하여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를 인증하며, 상기 도장 터치를 이용한 월렛 기능을 구비한 프로그램(315)의 기능 구성과 상기 프로그램(315)이 동작하는 무선단말(3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단말(300)과 프로그램(315)의 기능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본 도면5의 무선단말(30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각종 PDA 및 각종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5의 실시 방법은 N개의 터치부(250)를 구비한 터치도장(200)이 무선단말(3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되면 상기 무선단말(300)에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이 상기 터치도장(200)에 대응하여 등록된 터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의해 형성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고, 상기 도장 터치의 인증 결과를 근거로 도장 터치 인증 기반의 월렛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도장 터치 인증 기반의 월렛 서비스는, 월렛에 구비된 M(M≥1)개의 카드정보 중 인증된 도장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카드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월렛으로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카드정보를 발급 요청하는 요청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지정된 카드발급서버(115)로부터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카드정보를 발급받아 월렛에 등록하는 서비스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이 도면3의 실시 방법과 본 도면5의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도면3의 도면3의 실시 방법과 본 도면5의 실시 방법을 조합하는 형태(예컨대, 무선단말(300)에서 일부 인증 후 운영서버(100)를 통해 최종 인증 등)로 구현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은, 제어부(301)와 메모리부(314)와 키 입력부(302)와 화면 출력부(303)와 터치 입력부(304)와 사운드 출력부(306)와 사운드 입력부(307)와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309)과 무선망 통신모듈(310)과 NFC모듈(311)과 위치 측위모듈(312)과 USIM 리더부(313)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308)를 구비한다. 이하 본 도면5에서 도면3 및 도면4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복수의 카드정보를 등록 관리하는 월렛 서비스를 제공하는 월렛 서비스부(320)를 구비하며, 상기 월렛 서비스부(320)가 관리하는 M(M≥1)개의 카드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제m(1≤m≤M) 카드정보와 도장 이용처에서 이용하는 터치도장(200)을 매핑하는 정보 매핑부(325)를 구비한다.
상기 정보 매핑부(325)는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정보 매핑 방법에 따라 상기 월렛 서비스부(320)가 관리하는 M개의 카드정보 중 도장 이용처의 터치도장(200)과 매핑될 제m 카드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m 카드정보와 터치도장(200) 식별정보를 매핑하여 메모리부(314)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제m 카드정보와 인증 성공한 도장 터치의 인증 결과 값을 매핑하여 메모리부(314)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제m 카드정보와 도장 이용처에서 이용하는 터치도장(200)을 매핑할 수 있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프로그램(315)을 통해 인증할 적어도 하나의 터치도장(200)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포함하는 터치 인증 조건을 저장하는 인증 조건 저장부(405)를 기능적으로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315) 상의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저장되거나, 또는 터치 인증 조건을 저장하는 저장매체(410)를 운영하는 운영서버(100)로부터 데이터 형태로 수신되어 메모리부(314)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인증 조건에 데이터 형태로 메모리부(314)에 저장되는 경우, 상기 인증 조건 저장부(405)는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프로그램(315)을 통해 인증할 터치도장(200)에 대한 터치 인증 조건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그램(315)이 관리하는 메모리부(314) 상의 저장영역에 상기 수신된 터치 인증 조건을 저장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메모리부(314)에 저장되지 않고 터치도장(200)이 터치되는 시점에 상기 저장매체(410)에 저장된 터치 인증 조건을 참조하는 형태로 운영될 수 있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고무 탄성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N개의 터치부(250)를 구비한 터치도장(2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한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하는 터치 인식부(330)와, 상기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는 터치 판독부(335)를 기능적으로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340)를 기능적으로 구비한다. 만약 상기 터치도장(200)의 터치 시점에 사운드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프로그램(315)은 상기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인식하는 사운드 인식부(345)를 기능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도장(200)의 터치 시점에 NFC 통신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프로그램(315)은 상기 NFC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에 부호화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인식하는 NFC 인식부(350)를 기능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인식부(330)를 통해 N개의 터치부(250)를 구비한 터치도장(200)의 도장 터치가 인식되고, 상기 터치 판독부(335)를 통해 상기 도장 터치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인증 조건 저장부(405)를 통해 저장된 터치 인증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도장 터치를 인증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구성 요소 값을 이용하여 N개의 각 터치 점 간의 상호 위치 관계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상호 위치 관계가 지정된 터치도장(200)의 터치부(250)를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하여 형성될 수 있는 위치 관계를 포함하는지 인증하는 터치 점 인증부(430)를 기능적으로 구비한다.
만약 상기 N개의 각 터치 점 간의 상호 위치 관계가 지정된 터치도장(200)의 터치부(250)를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하여 형성될 수 있는 위치 관계가 아니라면, 상기 터치 점 인증부(430)는 상기 화면 출력부(303)를 통해 오류 정보를 출력하고, 지정된 터치도장(2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판독하기 위한 기준 점을 식별하는 기준 점 식별부(435)와, 상기 기준 점을 기준으로 각 터치 점 간의 인증 대상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산출하는 위치 관계 산출부(440)와, 상기 인증 조건 저장부(405)를 통해 저장된 터치 인증 조건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매칭 비교하여 인증하는 터치 인증 처리부(445)를 구비하며, 상기 사운드 인식부(345)를 통해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가 인식되거나 또는 상기 NFC 인식부(350)를 통해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터치 인증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인식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인증하는 코드 인증부(455)를 기능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처리부(445)를 통해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를 인증한 인증 결과가 생성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인증 처리부(445)를 통해 생성된 인증 결과와 상기 코드 인증부(455)를 통해 생성된 상기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의 인증 결과를 조합하여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를 인증한 인증 결과가 생성될 수 있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의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인증 결과 확인부(360)와, 상기 도장 터치가 인증 성공한 경우 상기 월렛에 구비된 M개의 카드정보 중 상기 인증된 도장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카드정보를 확인하는 카드정보 확인부(365)와,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카드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카드정보를 발급 요청하는 요청 정보를 표시하는 카드발급 요청부(370)와,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카드정보를 발급받아 상기 월렛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발급절차 수행부(375)를 구비하며, 상기 월렛 서비스부(320)는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카드정보가 확인된 경우에 상기 M개의 카드정보 중 상기 매핑된 제m 카드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월렛을 통해 표시한다.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도장(200)의 터치 인증 조건을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터치 인증 시스템(400)에서 터치도장(2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오차 정보를 터치 인증 조건에 포함시켜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를 설계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평판부(245)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확인하고(600), 상기 N개의 터치부(250)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저장하며(605), 상기 기하학적 위치 관계는 설계 상의 오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에 대한 실 계측 검증을 수행하지 않는다면,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설계 상의 오차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인증 조건을 생성하고(625), 상기 생성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터치 도장의 일련코드를 매핑하여 저장매체(410)에 저장할 수 있다(630).
한편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에 대한 실 계측 검증을 수행한다면, 상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지정된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상기 터치도장(2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를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 터치한 실 계측 위치 관계를 확인한다(610). 만약 상기 N개의 터치부(250)에 대한 실 계측 위치 관계가 확인되면, 상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실 계측 위치 관계가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의 오차 허용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615). 만약 상기 실 계측 위치 관계가 상기 오차 허용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를 보정하는 절차를 수행하거나(620), 또는 상기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를 다시 제작하는 절차를 수행한다(620).
한편 상기 실 계측 위치 관계가 상기 오차 허용 범위 내에 존재한다면, 상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오차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인증 조건을 생성하고(625), 상기 터치도장(200)의 일련코드와 상기 터치 인증 조건을 매핑하여 저장매체(410)에 저장한다(630). 상기 터치 인증 조건은 분할 영역(270) 정보, 최소 구별 인식 거리 및 최소 식별 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공통적으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이 상기 터치도장(200)의 터치부(250)를 터치한 N개의 터치 점을 인증하는데 이용되도록 연계될 수 있다.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도장(200)의 도장 이용처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터치 인증 시스템(400)에서 터치도장(2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오차 정보를 터치 인증 조건을 저장한 후, 상기 터치도장(200)을 제공받은 도장 이용처의 단말장치(110)로부터 도장 이용처의 위치 영역 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도장 이용처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터치도장(200)을 제공받은 도장 이용처의 단말장치(110)로부터 상기 터치도장(200)의 일련코드와 상기 도장 이용처의 위치 영역 정보를 수신한다(700). 상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저장매체(410)에 등록된 터치 인증 조건 중 상기 수신된 일련코드와 매핑된 터치 인증 조건을 확인한다(705).
만약 상기 일련코드와 매핑된 터치 인증 조건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단말장치(110)로 상기 터치도장(200)에 대한 미등록 오류 정보를 구성하여 전송한다(710). 반면 상기 일련코드와 매핑된 터치 인증 조건이 확인되면, 상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확인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수신된 도장 이용처의 위치 영역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410)에 저장한다(715).
도면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에서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를 인식하고 인증 결과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무선단말(3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N개의 터치부(250)를 구비한 터치도장(200)이 터치되는 경우에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에서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를 인식하여 터치 인증 시스템(400)으로 상기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에 대응하는 터치 인식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도장 터치 인식 및 인증 결과 처리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8을 참조하면, 무선단말(300)은 프로그램(315) 구동 또는 활성화됨에 따라(800),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된 터치 점에 대한 터치이벤트를 확인하고(805), 상기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터치도장(2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를 터치한 도장 터치가 인식되는지 확인한다(810). 상기 도장 터치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N개의 터치 점 터치된 터치이거나, 또는 고정 터치 조건, 정적 터치 조건, 동적 터치 조건, 순차 터치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이 추가 적용된 터치일 수 있다.
만약 상기 도장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터치도장(2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한다(815).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인증에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 정보가 이용되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820).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과 무선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인식 정보를 구성한다(825). 만약 상기 터치도장(200)에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 또는 NFC칩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터치도장(200)이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되는 시점에 상기 사운드 신호 또는 상기 NFC칩으로부터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에 부호화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가 확인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상기 터치 인식 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구성된 터치 인식 정보를 전송하며(830), 상기 터치 인식 정보는 지정된 경로를 통해 운영서버(100)로 수신된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도면9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상기 터치도장(200)을 이용한 도장 터치를 인증한다. 한편 도면5와 같이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에 터치 인증 시스템(400)이 구현된 경우, 상기 도면9에 도시된 도장 터치 인증은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수행된다.
도면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도장(2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를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한 도장 터치를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터치 인증 시스템(400)에서 터치도장(2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250)를 무선단말(3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하여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을 상기 터치도장(200)에 대하여 등록된 터치 인증 조건을 통해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도장 터치 인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9를 참조하면,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도면8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무선단말(300)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된 터치 인식 정보를 수신하고(900), 상기 터치 인식 정보에 포함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확인한다(905).
상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구성 요소 값을 근거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 위치 관계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하게 설계 제작된 터치도장(200)의 터치 점인지 인증한다(910).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한 터치도장(200)의 터치 점이 아니라면, 상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인증 오류 결과를 생성하고(940),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인증 오류 결과를 포함하는 터치 인증 결과를 전송한다(950).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한 터치도장(200)의 터치 점이라면, 상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터치도장(200)의 평판부(245)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설계 상 적용된 n개의 분할 영역(270)에 대한 분할 영역(270) 정보를 통해 상기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n개의 분할 영역(270) 중 지정 영역(275) 상의 지정된 위치에 구비된 터치부(250)에 대응하는 지정 터치 점을 식별한다(915). 만약 상기 지정 터치 점이 식별되지 않는다면, 상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인증 오류 결과를 생성하고(940),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인증 오류 결과를 포함하는 터치 인증 결과를 전송한다(950).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지정 터치 점이 식별되면, 상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식별된 지정 터치 점과 n개의 각 터치 점 사이의 인증 대상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산출한다(920). 한편 상기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터치 인증 조건과 도장 이용처의 위치 영역 정보가 매핑되어 있다면, 상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터치 인식 정보를 근거로 무선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300)의 위치 정보와 상기 터치 인증 조건의 위치 영역 정보를 비교하여 저장매체(410)에 저장된 복수의 터치 인증 조건 중에서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비교될 하나 이상의 비교 대상 터치 인증 조건을 확인하고(925), 상기 비교 대상 터치 인증 조건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매칭 비교한다(930). 만약 상기 터치 인증 조건이 도장 이용처의 위치 영역 정보와 매칭되지 않았다면, 상기 저장매체(410)에 저장된 전체 터치 인증 조건에 대한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비교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인증 대상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일치하거나 또는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 근접한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포함하는 터치 인증 조건을 확인한다(935). 만약 상기 인증 대상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일치하거나 또는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 근접한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포함하는 터치 인증 조건이 확인되면, 상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인증 대상 기하학적 위치 관계에 대응하는 도장 터치가 상기 확인된 터치 인증 조건에 대응하는 터치도장(200)을 터치한 것으로 인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인증 대상 기하학적 위치 관계가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인증 오류 결과를 생성하고(940),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인증 오류 결과를 포함하는 터치 인증 결과를 전송한다(950). 반면 상기 인증 대상 기하학적 위치 관계가 인증되면, 상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인증 성공 결과를 생성하고(945),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인증 성공 결과를 포함하는 터치 인증 결과를 전송한다(950).
만약 상기 터치 인식 정보에 사운드 또는 NFC를 통해 인식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터치 인증 시스템(400)은 터치 인증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인식 정보에 포함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인증 대상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인증한 결과와 상기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인증한 결과를 조합한 터치 인증 결과를 생성한 후,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생성된 터치 인증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950).
도면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도장 이용처의 터치도장(200)의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한 도장 터치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월렛에 구비된 M개의 카드정보 중 인증된 도장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카드정보를 확인하되, 상기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카드정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카드정보를 발급받아 월렛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0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0을 참조하면,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월렛에 구비된 카드정보와 기 설계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복수의 정전식 터치부(250)를 구비한 도장 이용처의 터치도장(200)을 매핑하여 저장하고(1000), 도면8 내지 도면9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도장 이용처의 터치도장(200)을 무선단말(3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에 터치하여 인증된 도장 터치의 인증 결과를 확인한다(1005).
만약 도면9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상기 도장 터치의 인증 결과가 확인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도장 터치의 인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도장 터치가 인증 성공하였는지 확인한다(1010).
만약 상기 도장 터치가 인증 실패하였다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도장 터치의 인증 오류 결과를 표시한다(1015). 한편 도장 터치가 인증 성공하였다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월렛에 구비된 M개의 카드정보 중 상기 인증된 도장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제m 카드정보를 확인한다(1020).
만약 상기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제m 카드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터치도장(200) 과 매핑된 제m 카드정보를 선택하여 월렛을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1025). 한편 상기 터치도장(200)과 매핑된 제m 카드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200)과 매핑될 카드정보를 발급 요청하는 발급요청 정보를 표시한다(1030).
만약 사용자가 상기 발급요청 정보를 근거로 상기 카드정보의 발급을 신청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200)과 매핑될 카드정보를 발급받아 상기 월렛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1035). 만약 상기 카드정보가 발급되어 상기 월렛에 등록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발급, 등록된 제m 카드정보를 확인하여(1020), 월렛을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1025).
100 : 운영서버 105 : 중계서버
110 : 단말장치 200 : 터치도장
300 : 무선단말 305 : 터치스크린
315 : 프로그램 400 : 터치 인증 시스템

Claims (8)

  1.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통해 의해 실행되는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에 있어서,
    월렛(Wallet)에 구비된 카드정보와 기 설계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복수의 정전식 터치부를 구비한 터치도장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제1 단계;
    상기 터치도장에 구비된 복수의 정전식 터치부를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여 인식된 복수의 터치 점을 지정된 터치 인증 처리부를 이용하여 인증한 도장 터치의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제2 단계;
    상기 도장 터치가 인증 성공한 경우, 상기 월렛에 구비된 M(M≥1)개의 카드정보 중 상기 인증된 도장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도장과 매핑된 카드정보를 확인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과 매핑된 카드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과 매핑될 카드정보를 발급 요청하는 발급요청 정보를 표시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월렛에 구비된 카드정보와 상기 터치도장의 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도장의 식별정보는,
    상기 터치도장의 도장 터치를 터치 인증 조건,
    상기 터치도장에 할당된 일련코드,
    상기 터치도장과 상기 카드정보를 매핑하기 위해 할당된 식별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월렛에 구비된 카드정보와 상기 터치도장의 도장 터치에 대한 인증 결과 값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결과 값은,
    상기 터치도장의 도장 터치가 인증 성공한 경우에 상기 터치 인증 처리부에서 제공하는 결과 값, 상기 인증 성공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 인증 처리부에서 제공하는 결과 값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지정된 터치도장에 구비된 복수의 정전식 터치부를 통해 터치된 복수의 터치 점을 인식하는 단계; 및
    지정된 터치 인증 처리부를 이용하여 상기 인식된 복수의 터치 점이 지정된 터치 인증 조건과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에서 매칭되는지 인증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복수의 터치 점을 상기 터치 인증 조건과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한 도장 터치의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과 매핑된 카드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M개의 카드정보 중 상기 매핑된 제m(1≤m≤M) 카드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월렛을 통해 상기 선택된 제m 카드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된 터치도장과 매핑될 카드정보를 발급받아 상기 월렛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
KR1020140011749A 2014-01-29 2014-01-29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 KR102174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749A KR102174028B1 (ko) 2014-01-29 2014-01-29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749A KR102174028B1 (ko) 2014-01-29 2014-01-29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760A true KR20150090760A (ko) 2015-08-06
KR102174028B1 KR102174028B1 (ko) 2020-11-04

Family

ID=53885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749A KR102174028B1 (ko) 2014-01-29 2014-01-29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0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7240A (ko) * 2009-09-10 2011-03-16 비씨카드(주) 구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20111814A (ko) * 2011-04-01 2012-10-11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드로잉 패턴을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장치
KR20130007230A (ko) * 2011-06-30 2013-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081560A (ko) * 2012-01-09 2013-07-17 최영우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7240A (ko) * 2009-09-10 2011-03-16 비씨카드(주) 구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20111814A (ko) * 2011-04-01 2012-10-11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드로잉 패턴을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장치
KR20130007230A (ko) * 2011-06-30 2013-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081560A (ko) * 2012-01-09 2013-07-17 최영우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028B1 (ko)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4269B1 (ko) 블루투스 방송 기능을 내장한 터치도장
KR20150134218A (ko) 터치 유닛의 터치 인증 검증 방법
KR102298352B1 (ko) 도장 터치를 이용한 스탬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44307B1 (ko) 모듈터치 연동 방법
KR102174029B1 (ko) 도장 터치를 이용한 월렛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44308B1 (ko) 터치 특성 인증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구동 또는 활성화 방법
KR102244304B1 (ko) 선택적 모듈터치 제어 방법
KR102174028B1 (ko) 도장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
KR102149560B1 (ko) 도장 터치를 이용한 최적 카드 선택 방법
KR102151276B1 (ko) 도장 터치를 이용한 전시장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50129B1 (ko) 도장 터치를 이용한 웹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134224A (ko) 터치 유닛의 터치를 이용한 웹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90970A (ko) 도장 터치를 이용한 스탬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44305B1 (ko) 도장 터치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구동 또는 활성화 방법
KR102165144B1 (ko) 도장 터치를 이용한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44309B1 (ko) 도장 터치 연동 방법
KR102150126B1 (ko) 도장 터치 인증 처리 방법
KR102150125B1 (ko) 도장 터치 인증의 검증 방법
KR102244306B1 (ko) 선택적 도장 터치 제어 방법
KR20150090742A (ko) 사운드 신호와 연계된 도장 터치 인증 방법
KR20150110010A (ko) 터치모듈을 이용한 시급제 아르바이트 관리 방법
KR20150134233A (ko) 유닛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
KR20150134236A (ko) 유닛 터치를 이용한 최적 카드 선택 방법
KR20150134234A (ko) 유닛 터치를 이용한 월렛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134235A (ko) 유닛 터치를 이용한 스탬프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