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488B1 - 터치스크린 스탬프 및 그것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스탬프 및 그것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488B1
KR101658488B1 KR1020150040450A KR20150040450A KR101658488B1 KR 101658488 B1 KR101658488 B1 KR 101658488B1 KR 1020150040450 A KR1020150040450 A KR 1020150040450A KR 20150040450 A KR20150040450 A KR 20150040450A KR 101658488 B1 KR101658488 B1 KR 101658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touch
input unit
touch scree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범수
황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즈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즈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즈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150040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4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른 통신장비 없이도 터치스크린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원하는 데이터를 마음대로 변경하여 전송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스탬프 및 그것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부품들이 실장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복수 개 돌출되어 구비되는 터치입력부; 상기 터치입력부와 터치스크린의 터치입력을 구동하는 터치구동부; 상기 터치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터치구동부는 상기 터치입력부의 전류흐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스탬프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복잡한 데이터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전송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 전 영역에서 자유롭게 터치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스탬프 및 그것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Touch screen stamp and data transfer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스탬프 및 그것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다른 통신장비 없이도 터치스크린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원하는 데이터를 마음대로 변경하여 전송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스탬프 및 그것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달로 종이로 전달해야 했던 정보나 데이터들이 전자적인 방법으로 전송되고 있다. 예를 들어, 물건을 사고 결제를 할 때 결제내역을 확인하고자 할 때 종이 영수증 대신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결제내역을 개인이 가지고 다니는 스마트폰으로 전송을 해 줄 수 있다. 또한,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결제를 한 경우에도 신용카드 회사에서는 사용내역을 실시간으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각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준다.
이러한 무선통신은 편리하게 사용할 수는 있으나, 무선통신 시스템을 갖추는데 비용이 상당히 들고 소규모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는 경제적으로 부담되고 기술적으로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통신장애가 일어나는 경우 사용이 불가능하다.
각 개인들이 가지고 다니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는 터치스크린이 필수로 자리 잡고 있는데, 상술한 무선통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직접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스탬프가 개발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등록특허 제10-1305413호에 의한 터치스탬프에 대하여 설명한다.
등록특허 제10-1305413호에 의한 터치스탬프는 몸체(20)의 하단에 터치단자(25)가 구비되고 측면에 접촉부(24)가 구비된다. 상기 터치단자(25)는 전도성 물질로 구비되어 접촉부를 사람이 손으로 잡고 터치단자(25)를 터치스크린에 접촉시키면 터치스크린에서 터치가 인식된다.
또한, 터치단자(25)와 접촉부(24) 사이에는 스위칭소자를 두어 시간에 따라 통전 및 차단을 제어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시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일정 패턴을 터치함으로서 터치스크린으로 정보를 전송한다.
하지만, 이러한 터치스탬프는 미리 정해진 일정 패턴만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좀 더 다양한 정보를 전송할 수 없는 한계가 있고 터치스크린 내에 스탬프 영역에만 사용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으며, 패턴을 알면 다른 도구를 사용하여 유사한 패턴을 모방함으로써 보안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 전 영역에서 아무렇게 터치하여도 정확하고 신속하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스탬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부품들이 실장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복수 개 돌출되어 구비되는 터치입력부; 상기 터치입력부와 터치스크린의 터치입력을 구동하는 터치구동부; 상기 터치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터치구동부는 상기 터치입력부의 전류흐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스탬프를 제공한다.
상기 터치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빛이 발광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에서 발광되는 빛에 의하여 저항값이 변하여 상기 터치입력부로부터의 전류를 차단 또는 개통시키는 엘디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입력부는 5개가 구비되며, 제1터치입력부로부터 거리가 제일 먼 위치에 제3터치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터치입력부와 제3터치입력부의 사이에 제5터치입력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5터치입력부와 제2터치입력부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5터치입력부와 제4터치입력부 사이의 거리는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입력부는 각각 하나의 비트를 전송하며, 상기 복수 개의 터치입력부는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전송하도록 조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에서 발광되는 색을 감지하는 색감지센서가 상기 터치스크린 스탬프의 일정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각종 부품들이 실장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복수 개 돌출되어 구비되는 터치입력부; 상기 터치입력부와 터치스크린의 터치입력을 구동하는 터치구동부; 상기 터치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터치구동부는 상기 터치입력부의 전류흐름을 조절하는 터치스크린 스탬프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부는 5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제1터치입력부만 터치되도록 상기 터치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모든 터치입력부가 터치되도록 상기 터치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터치입력부의 각 위치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스탬프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스크린 스템프의 일정 위치에는 터치스크린에서 발광되는 색을 감지하는 색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터치스크린 스탬프는 상기 색감지센서에 의해 터치스크린에서 발광되는 빛을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복잡한 데이터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전송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 전 영역에서 자유롭게 터치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터치스탬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스탬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스탬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터치구동부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스탬프의 하부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6은 색감지센서의 부가를 나타내는 구성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 스탬프는 몸체(100), 터치입력부(200), 터치구동부(500), 제어부(400), 시작스위치(300), 저장부(600), 통신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상기한 각 부품이 실장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몸체(100)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입력부(200)는 전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몸체의 하부에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터치입력부(200)는 터치스크린(특히, 정전용량식)에 접촉하여 터치위치를 전송하여 주는 부분으로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몸체(100)의 하부에 일정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터치입력부(200)는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상태로 터치구동부의 구동에 의하여 터치여부가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100) 내부에는 제어부(400) 및 터치구동부(500)가 구비되며, 상기 터치구동부(500)는 제어부(400)에 의하여 구동이 제어된다.
상기 터치구동부(500)는 광원으로서 엘이디(LED)(510) 및 엘디알(LDR;Light Detecting Resistance)(520)을 포함한다. 즉, 제어부(400)는 상기 엘이디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엘디알(520)은 상기 터치입력부(20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엘이디가 오프상태에 있을 때에는 저항값이 매우 크므로 상기 터치입력부(200)로부터 전류가 흐르지 않아 터치스크린에서는 터치가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가 온상태에 있을 때에는 엘디알(520)의 저항값이 작아지므로 상기 터치입력부(200)로부터 전류가 흐르게 되어 터치스크린에서는 터치가 된 것으로 인식한다.
상기 시작스위치(300)는 상기 터치입력부(200)보다 더 길게 아래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터치입력부(200)가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시작스위치(300)가 눌려져 제어부에 의한 터치구동부의 구동이 시작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입력부(200)는 5개가 구비되며, 몸체(100) 하부의 일정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먼저, 제1터치입력부(210)는 몸체의 모서리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제1터치입력부(210)의 대각선 방향에는 제3터치입력부(2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터치입력부(210) 및 제3터치입려부(230)의 사이 중간에는 제5터치입력부(2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5터치입력부(230)를 중심으로 각각 제2터치입력부(220) 및 제4터치입력부(240)가 대각선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4터치입력부는 상기 제1터치입력부 내지 제3터치입력부보다 더 안쪽으로 들어가 위치하여 상기 제2터치입력부보다 제5터치입력부에 더 가까이 위치하게 된다.
터치스크린에 상기 터치입력부를 접촉시키면 시작스위치(300)에 의하여 제어부는 터치구동부의 구동을 시작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먼저 제1터치입력부(210)를 통전시키고 나머지 터치입력부는 차단시켜 제1터치입력부만 터치스크린에 터치입력한다. 그러면, 터치스크린에서는 처음 터치입력되는 위치를 제1터치입력부의 위치로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에서는 첫번째 터치입력 후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이 지나서 제1터치입력부부터 제5터치입력부까지 모든 터치입력부를 통전시켜 터치스크린에 5개의 멀티터치를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에서는 미리 입력된 제1터치입력부의 위치로부터 각 터치입력부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에서는 계산된 거리에 따라 제1터치입력부로부터 제일 먼 거리에 위치한 터치입력부를 제3터치입력부로 인식하고, 제일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터치입력부를 제5터치입력부로 인식한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기에서는 제5터치입력부를 중심으로 나머지 두 개의 터치입력부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더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터치입력부를 제4터치입력부로 인식하고 더 먼 거리에 위치한 터치입력부를 제2터치입력부로 인식하게 된다.
이렇게 시간상 두 번의 터치입력인 인식바이트를 통해 휴대단말기에서는 상기 몸체가 어떤 형태로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든지 상관없이 제1터치입력부 내지 제5터치입력부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인식바이트 이후,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 스탬프를 이용하여 매우 다양한 데이터를 휴대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로의 데이터 전송방법은 한 번에 4비트의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즉, 제1터치입력부 내지 제4터치입력부의 터치입력으로 4비트를 구성할 수 있으며, 제5터치입력부는 클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010의 4비트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할 때, 제2터치입력부 및 제4터치입력부를 통전시켜 터치입력하고 제1터치입력부 및 제3터치입력부는 차단시켜 터치입력을 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0000부터 1111까지 4비트의 패킷 데이터를 계속해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5터치입력부를 온오프시켜 클럭을 생성한다. 데이터 통신의 기본 단위인 1바이트를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동기 클럭은 총 2회가 된다.
여기서 제1터치입력부 내지 제4터치입력부는 각각 2^0, 2^1, 2^2, 2^3의 데이터 비트를 의미하게 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 스탬프에는 일정 위치에 색감지센서(Color Dectection Sensor)(800)가 구비된다. 상기 색감지센서는 터치스크린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상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색감지센서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구비되므로,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에서는 인식바이트를 전송받으면 상기 색감지센서의 위치도 함께 인식하게 된다.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상기 터치스크린 스탬프로 전송하려고 할 때 상기 색감지센서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일정 색깔의 빛을 방출한다. 그러면, 색감지센서에서는 색을 감지하고 제어부에서는 감지된 색에 대응하는 비트로 변환시켜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예를 들어, 초록색은 1, 빨간색은 0으로 변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색감지센서는 8개가 구비되며 한 번에 1바이트의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통신부(700)는 유무선 통신을 포함하며, 외부에서 각종 데이터가 전송되어질 수 있다. 전송된 데이터는 저장부(600)에 저장된다.
본 터치스크린 스탬프는 상점에 구비될 수 있으며, 물건을 사고 종이 영수증을 발행하는 대신 본 터치스크린 스탬프를 고객의 휴대폰에 접촉시켜 영수증 데이터를 전송시킴으로써 종이 영수증을 대체할 수 있다. 즉, 본 터치스크린 스탬프를 포스(POS)에 연결시키면 날짜, 상품명, 가격 등의 데이터가 포스에서 터치스크린 스탬프로 전송되고, 다시 터치스크린 스탬프를 통하여 고객의 휴대단말기로 전송된다.
이렇게 하여 상점에서는 종이 영수증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고객은 귀찮은 종이 영수증을 일일이 보관하지 않아도 스마트폰에 자동 저장되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몸체 200 : 터치입력부
300 : 시작스위치 400 : 제어부
500 : 터치구동부 600 : 저장부
700 : 통신부 800 : 색감지센서

Claims (7)

  1. 각종 부품들이 실장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복수 개의 터치입력부;
    상기 터치입력부와 터치스크린의 터치입력을 구동하는 터치구동부;
    상기 터치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터치구동부는 상기 터치입력부의 전류흐름을 조절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터치입력부 중 제1터치입력부만 터치입력한 다음 모든 터치입력부를 터치입력하여 상기 터치입력부 사이의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터치입력부의 순서를 결정하고,
    이후 상기 터치입력부는 각각 하나의 비트를 전송하며, 상기 복수 개의 터치입력부는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전송하도록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스탬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빛이 발광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에서 발광되는 빛에 의하여 저항값이 변하여 상기 터치입력부로부터의 전류를 차단 또는 개통시키는 엘디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스탬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부는 5개가 구비되며,
    제1터치입력부로부터 거리가 제일 먼 위치에 제3터치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터치입력부와 제3터치입력부의 사이에 제5터치입력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5터치입력부와 제2터치입력부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5터치입력부와 제4터치입력부 사이의 거리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스탬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에서 발광되는 색을 감지하는 색감지센서가 상기 터치스크린 스탬프의 일정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스탬프.
  6. 삭제
  7. 삭제
KR1020150040450A 2015-03-24 2015-03-24 터치스크린 스탬프 및 그것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KR101658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450A KR101658488B1 (ko) 2015-03-24 2015-03-24 터치스크린 스탬프 및 그것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450A KR101658488B1 (ko) 2015-03-24 2015-03-24 터치스크린 스탬프 및 그것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488B1 true KR101658488B1 (ko) 2016-09-23

Family

ID=57047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450A KR101658488B1 (ko) 2015-03-24 2015-03-24 터치스크린 스탬프 및 그것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4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3043A (zh) * 2017-11-03 2018-03-23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支付控制方法及装置、终端装置与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8992A (ko) * 2011-04-20 2012-10-30 가락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의 스피커 라인 보호회로
KR20130081560A (ko) * 2012-01-09 2013-07-17 최영우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
KR101414998B1 (ko) * 2014-05-12 2014-07-04 주식회사 디벨로퍼스헤븐 스마트 스탬프 및 스마트 스탬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8992A (ko) * 2011-04-20 2012-10-30 가락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의 스피커 라인 보호회로
KR20130081560A (ko) * 2012-01-09 2013-07-17 최영우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
KR101414998B1 (ko) * 2014-05-12 2014-07-04 주식회사 디벨로퍼스헤븐 스마트 스탬프 및 스마트 스탬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3043A (zh) * 2017-11-03 2018-03-23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支付控制方法及装置、终端装置与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074129A (ja) 光パルス及びタッチセンサ式ディスプレイを介して通信するカード及び装置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9965116B1 (en) Tactile overlay for touchscreen device
KR100700143B1 (ko) 터치 키패드의 키선택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US8929739B2 (en) Remote control apparatus
CN104956602B (zh) Nfc位置的指示
KR101281998B1 (ko) 전자식 도장
CN108700956A (zh) 笔现场力感测校准
US11922392B2 (en) Self-service checkout terminal with a security function based on detection of weight of items
US20170372286A1 (en) Pos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19085869A1 (en)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electronic card and touchscreen device
KR2011009708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그리고 그것의 외부 장치 인식 방법
CN107153459B (zh) 手势反馈系统
KR20170016554A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CN203261391U (zh) 左右手识别手机
US20180047059A1 (en) Triggering beacons that are used in point-of-purchase displays and other in-store displays
KR101658488B1 (ko) 터치스크린 스탬프 및 그것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KR20080108632A (ko) 인체감지 센서를 구비한 키오스크 시스템
JP5989224B2 (ja) 教育機能を提供するledブロック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23146427A1 (en) Touch interface device protecting and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showcase
KR20170001680A (ko) 멀티 카드 및 그 제어방법
JP2023505930A (ja) 対話インタフェースでの起動を持つ電子棚ラベル
JP6101222B2 (ja) 自動販売機、自動販売機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51622A (ko) 전자 기기
WO2017193752A1 (zh) 非接触式配置的商品信息电子显示牌系统
KR20190072188A (ko) 원격주문 제어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