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680A - 멀티 카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카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680A
KR20170001680A KR1020160172471A KR20160172471A KR20170001680A KR 20170001680 A KR20170001680 A KR 20170001680A KR 1020160172471 A KR1020160172471 A KR 1020160172471A KR 20160172471 A KR20160172471 A KR 20160172471A KR 20170001680 A KR20170001680 A KR 20170001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rd information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철운
이희석
하남수
오배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60172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680A/ko
Publication of KR20170001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6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7Cards having a plurality of specified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7Cards having a plurality of specified features
    • G06Q20/3574Multiple applications on c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카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카드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통신 단자와; 복수 개의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카드 정보 관리부와; 표시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카드에 대한 카드 정보가 상기 통신 단자를 통해 카드 결제 단말기에 제공되도록 상기 카드 정보 관리부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카드에 대응되는 정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 카드 및 그 제어방법{MULTI-CARD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멀티 카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카드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카드가 이용될 수 있는 멀티 카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많은 현대인들이 물건을 구매하거나 서비스 비용을 지불하기 위해 현금 보다는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등(이하 "신용카드 등")을 이용하고 있다. 이는 항상 현금을 들고 다니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과 함께, 신용카드 등 사용의 편리함 때문이다.
그런데 이처럼 신용카드 등을 사용함에 있어서, 가맹점별로 사용자 혜택이 각기 달라서, 사용자들은 여러 개의 신용카드 등을 소지하고 다니면서, 결제할 때 자신에게 포인트 등 가장 이익이 되는 신용카드 등을 제시하여 결제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여러 장의 신용카드 등을 항상 소지해야 하는 것은 지갑의 두께를 두껍게 하고, 또한 결제시 자신이 원하는 카드를 찾는데 시간이 걸리기도 하는 등 여러 가지 불편함을 야기한다.
등록특허 10-019776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여러 장의 신용카드 등을 소지함에 있어서 사용자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멀티 카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카드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통신 단자와; 카드 결제 단말기를 통해 결제가 가능한 복수 개의 카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카드 정보 관리부와; 표시부와;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카드에 대한 카드 정보가 상기 통신 단자를 통해 카드 결제 단말기에 제공되도록 상기 카드 정보 관리부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카드에 대응되는 정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카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카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카드 결제 단말기를 통해 결제가 가능하도록 선정하고, 그 선정된 카드의 할인 한도액 정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해당 할인 한도액 정보의 표시를 자동 종료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통신 단자와, 표시부가 구비된 멀티 카드의 제어방법은, 카드 결제 단말기를 통해 결제가 가능한 복수 개의 카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복수 개의 카드 정보 중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카드에 대한 카드 정보를 상기 통신 단자를 통해 카드 결제 단말기에 제공되도록 상기 카드 정보 관리부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카드에 대응되는 정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카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카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카드 결제 단말기를 통해 결제가 가능하도록 선정하고, 그 선정된 카드의 할인 한도액 정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해당 할인 한도액 정보의 표시를 자동 종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복수 개의 카드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 카드만을 소지하면 되고, 다른 종류의 여러 카드들을 소지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특히 멀티 카드에 저장된 카드의 종류는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에 의해 쉽게 갱신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특정 카드들을 구비하거나 삭제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카드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카드 및 그 카드에 대한 혜택 정보 등이 멀티 카드 일면에 표시됨으로써 가맹점별로 적절한 카드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드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드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멀티 카드에 LED가 점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멀티 카드에 카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조작하는 사용자 통신 단말기의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드(100)는 종래의 가맹점에 구비되어 있는 IC(Integrated circuit) 카드 결제 단말기에서 결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7810 스펙에 따르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멀티 카드(100)는 ISO 7810 ID-1 스펙에 따를 경우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85.60, 53.98 밀리미터(3.370, 2.125 인치)일 수 있고, ISO 7810 ID-2 스펙에 따를 경우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105, 74 밀리미터(4.134, 2.913 인치)일 수 있으며, ISO 7810 ID-3 스펙에 따를 경우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125, 88 밀리미터(4.921, 3.465 인치)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드(100)의 외형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드(100)의 일 면에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110)와, 카드 결제 단말기의 접촉점(미 도시함)과 맞닿도록 구성된 통신 단자(120),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 단자(120)는 카드 결제 단말기의 접촉점과 물리적으로 접촉되도록 멀티 카드(100)의 일 면에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만일 카드 결제 단말기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카드(100)가 무선으로 통신하는 경우에는 통신 단자(120)는 멀티 카드(100)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통신 단자(120)는 무선 통신 단자와 유선 통신 단자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통신 단자(120)가 유선 통신 단자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직접 접촉형 카드 결제 단말기와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멀티 키드(100)가 카드 결제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해 별도의 무선 모듈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통신 단자(120)는 카드 결제 단말기와 직접 접촉되는 유선 통신 단자인 것을 위주로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 또는 사용자의 누름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일종의 누름 버튼에 해당하는 택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 단자(120)는 예를 들어 IC 결제 단말기의 접촉점과 맞닿아 소정의 데이터가 송수신 되도록 하는 IC 접촉 단자에 해당할 수 있는데, 이러한 IC 접촉 단자(120)는 예를 들어 ISO 7816-2 스펙에 따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멀티 카드(100) 내부에는 복수의 카드에 대한 정보 즉, 카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데, 표시부(140)는 이러한 각 카드들에 대한 카드 정보를 멀티 카드(100) 일면에 나타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40)는 사용자가 특정 카드를 선택하는 경우 그 선택된 카드를 알려주는 카드 선택 정보 또는 각 카드에 대한 소정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가맹점 종류를 나타내는 혜택 가맹점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표시부(140)가 복수 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여 구비된 경우, 상술한 카드 선택 정보는 각 카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LED(142)의 점등에 의해 표시될 수 있고, 카드 이용 정보 역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카드 이용 정보를 나타내는 문양(143)에 LED가 점등되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상술한 외관상의 특징을 갖는(즉, 외형 사이즈는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7810 ID-1 스펙에 따르고, 통신 단자(120)는 ISO 7816-2 스펙에 따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드(100)의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전체 기능 블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드(100)는 사용자 입력부(110), 통신 단자(120), 카드 정보 관리부(130), 표시부(140), 제어부(150), 무선 통신 모듈(160),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제어부(15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압력 센서,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단자(120)와 표시부(140) 역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카드 정보 관리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카드에 각각 대응되는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예를 들어 멀티 카드(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A 은행과 B 카드사로부터 각각 제1 카드와 제2 카드를 발급받는 경우, 이러한 제1 카드에 대한 카드 정보와 제2 카드에 대한 카드 정보가 카드 정보 관리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카드 정보 관리부(130)는 저장된 카드 정보를 암호화 처리하고 암호화 인증 과정을 통해 해당 카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드 정보들에 대한 암호화 처리 및 인증 과정 등은 기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카드 정보에는 카드 번호, 유효기간 등과 같은 결제를 위해 필요한 정보는 물론이고, 카드 이용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가맹점 종류 정보는 물론이고, 각종 포인트, 멤버십 혜택 등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60)은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는데, 무선 통신 모듈(160)과 통신 단말기 간의 통신은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은 외부의 NFC 장치등과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지하철 패스, 교통 카드, 사원증, 출입증 등의 정보가 상술한 카드 정보 관리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정보들은 NFC 통신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특정 카드를 선택하는 경우, 그 선택된 카드에 대응되는 정보가 표시부(14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멀티 카드(100) 일 면에는 각 카드에 대한 문양(141)과 그 문양에 대응되는 LED(142) 가 구비될 수 있는데,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드의 문양(141)에 대응되는 LED(142) 가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표시부(140)가 각 카드(카드 정보 관리부(130)에 저장된 카드 정보에 따라 구별되는 각 카드)에 대응되는 각각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여 구성된 경우, 제어부(150)는 그러한 복수 개의 LED 중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된 카드에 대응되는 LED(142)가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멀티 카드(100)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LED 점등 및 데이터 저장 또는 연산 등을 위해 별도의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고, 태양광 발전을 위한 패널이 멀티 카드(100) 일 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배터리 전력 절감을 위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전원차단을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점등되어 있는 LED를 모두 소등시킬 수도 있는 것이고, 각종 통신 모듈에 인가된 전력 역시 차단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써, 제어부(150)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 통신 모듈(160)을 통해 카드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카드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카드의 정보가 표시부(14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카드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카드는 멤버십 카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예를 들어 휴대폰)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특정 가맹점에 근접하는 경우, 통신 단말기는 GPS에 기반한 자신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그 현재 위치에 근접한 곳에 특정 가맹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그 판단결과 현재의 위치 근처에 특정 가맹점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통신 단말기는 해당 가맹점에 대응되는 멤버십 카드가 선택되도록 하는 카드 선택 신호를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카드(100)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통신 단말기에 각 위치 좌표에 대응되는 가맹점 정보 및 각 가맹점에서 이용 가능한 카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거나, 그러한 정보들을 통신 단말기가 외부의 서버와 통신하여 확인 및 수신할 수 있음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즉, 제어부(150)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한 사용자의 직접 선택 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 모듈(160)을 통해 수신되는 통신 단말기의 신호에 따라서도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카드를 선택하거나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50)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 통신 모듈(160)을 통해 카드 충전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충전 제어 신호에 의해 지정된 카드에 해당 충전 제어 신호에 포함된 충전금이 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카드(100)에 선불 교통 카드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선불 교통 카드의 잔액이 표시부(14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또한 통신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해당 선불 교통 카드에 소정의 충전금이 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의 충전 제어 신호는 단일의 신호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가 카드 정보 관리부(130)에 저장된 각 카드 정보 중 혜택 가맹점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복수 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14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경우,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드의 혜택 가맹점 정보를 추출한 후, 해당 혜택 가맹점 정보에 대응되는 LED(143)가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혜택 가맹점 정보라는 것은 포인트 혜택, 할인 혜택, 멤버십 혜택 등을 누리기 위해 이용 가능한 가맹점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이 도 3에 도시되었다.
도 3(a)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모든 LED 가 소등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버튼(110)을 누르는 경우, 제어부(150)는 도 3(a)와 같이 첫 번째 카드(141)에 대응되는 LED(142)가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첫 번째 카드를 이용할 수 있는 가맹점의 종류 등을 나타내는 LED(143)가 추가적으로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카드에 대응되는 가맹점 종류를 표시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카드 정보에 포함된 정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드의 포인트 정보 또는 할인 한도액 등과 같은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각 카드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들이 LED 방식으로 표시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의 표시부(140)가 반드시 LED 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한 다양한 표시 방식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사용자가 도 3(b)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 버튼(110)을 한 번 더 누르면, 제어부(150)는 도 3(c)와 같이 두 번째 카드(141)에 대응되는 LED(142)가 점등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그 두 번째 카드에 대응되는 가맹점 종류의 LED(143)가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된 카드에 대한 카드 정보가 카드 결제 단말기에 제공되도록 카드 정보 관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카드 정보 관리부(130)로부터 카드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카드 정보를 통신 단자(120)를 통해 카드 결제 단말기에 전달할 수도 있고, 또는 카드 정보 관리부(130)가 카드 정보를 통신 단자(120)를 통해 직접 카드 결제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카드 결제 단말기로부터 통신 단자(120)를 통해 카드 정보의 요청이 있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부(110) 조작에 따른 선택에 따라 상술한 카드 정보가 통신 단자(120)를 통해 카드 결제 단말기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 통신 모듈(160)을 통해 카드 정보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그 카드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카드 정보가 카드 정보 관리부(13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카드 정보 관리부(130)에는 복수 개의 카드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는데, 이러한 카드 정보들은 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되어 등록 및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위해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화면의 일 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4는 통신 단말기(200)의 일 예로써 스마트폰에 카드 정보 등록과 관련된 일종의 앱이 실행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서 '발급된 카드' 항목은 통신 단말기(200) 사용자가 은행, 카드사 등으로부터 발급받은 모든 종류의 카드들이 표시되고 있고, 그 좌측에는 멀티 카드(100)에 등록할 카드 목록이 나타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좌측의 멀티 카드(100) 등록 항목에 있는 카드를 삭제하고, '발급된 카드' 항목의 임의의 카드를 선택하거나, 멀티 카드(100) 등록 항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멀티 카드(100)에 등록할 카드를 선택한 후, 사용자는 동기화 버튼(210)을 누르면 통신 단말기(200)와 멀티 카드(100) 간에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멀티 카드(100)에 사용자가 선택한 카드들에 대한 정보가 등록 및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통신 단말기(200)에서 사용자가 배치한 순서대로 멀티 카드(100)에 카드 정보가 등록 및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사용자가 멀티 카드(100) 등록 항목에서 지정한 1,2,3,4 순서대로 멀티 카드(100)에 해당 카드들의 카드 정보가 등록 및 저장될 수 있다.
이처럼 멀티 카드(100)에 등록된 카드 정보들은 스마트폰(200)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언제든지 변경 가능하다.
더 나아가 제어부(150)는 NFC 모듈(170)을 통해 카드 정보의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요청받은 카드 정보가 제공되도록 카드 정보 관리부(1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NFC 모듈(170)을 통해 교통 카드 등이 결제 되거나 또는 출입증과 같이 신원 확인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드(1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멀티 카드(100)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한다(단계 S1).
이때 통신 단말기로부터 카드 정보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단계 S3), 멀티 카드(100)는 그 카드 정보 등록 요청에 포함된 카드 정보들을 등록 및 저장한다(단계 S5).
예를 들어 멀티 카드(100)는 카드 정보 등록 요청에 제1 카드 정보, 제2 카드 정보, 제3 카드 정보, 제4 카드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제1 카드 정보, 제2 카드 정보, 제3 카드 정보, 제4 카드 정보를 순차적으로 등록 및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카드 선택을 감지하는 경우(단계 S7) 멀티 카드(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드에 대응되는 LED를 점등한다(단계 S9).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드 선택용 버튼(110)을 누를 때마다 제1 카드에 대응되는 LED, 제2 카드에 대응되는 LED, 제3 카드에 대응되는 LED, 제4 카드에 대응되는 LED가 순차적으로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현재 점등되어 있는 카드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드에 해당한다.
다른 예로써 멀티 카드(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드에 대응되는 부가 정보, 예를 들어 포인트 혜택 또는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가맹점 종류 또는 할인율 등에 대한 정보를 LED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IC 카드 결제 단말기로부터 멀티 카드(100) 표면에 구비된 통신 단자(120)를 통해 카드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단계 S11), 멀티 카드(100)는 앞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드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를 통신 단자(120)를 통해 IC 카드 결제 단말기에 전송한다(단계 S13).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 개의 카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결제 또는 금융 거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카드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멀티 카드 110 : 사용자 입력부
120 : 통신 단자 130 : 카드 정보 관리부
140 : 표시부 150 : 제어부
160 : 무선 통신 모듈 170 : NFC 모듈

Claims (17)

  1.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통신 단자와;
    카드 결제 단말기를 통해 결제가 가능한 복수 개의 카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카드 정보 관리부와;
    표시부와;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카드에 대한 카드 정보가 상기 통신 단자를 통해 카드 결제 단말기에 제공되도록 상기 카드 정보 관리부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카드에 대응되는 정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카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카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카드 결제 단말기를 통해 결제가 가능하도록 선정하고, 그 선정된 카드의 할인 한도액 정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해당 할인 한도액 정보의 표시를 자동 종료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자는 카드 결제 단말기의 접촉점과 맞닿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카드.
  3. 제1항에 있어서,
    외형은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7810 ID-1 스펙에 따르고, 상기 통신 단자는 ISO 7816-2 스펙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카드.
  4. 제1항에 있어서,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카드 정보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그 카드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카드 정보가 상기 카드 정보 관리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카드 정보 관리부에 저장된 카드 정보에 따라 구별되는 각 카드에 대응되는 적어도 복수 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LED 중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카드에 대응되는 LED가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카드 정보 관리부에 저장된 각 카드 정보 중 혜택 가맹점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복수 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드의 혜택 가맹점 정보를 추출한 후, 해당 혜택 가맹점 정보에 대응되는 LED가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카드.
  7. 제1항에 있어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모듈을 통해 카드 정보의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요청받은 카드 정보가 제공되도록 상기 카드 정보 관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카드.
  8. 제1항에 있어서,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카드 충전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충전 제어 신호에 의해 지정된 카드에 상기 충전 제어 신호에 포함된 충전금이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카드.
  9.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통신 단자와, 표시부가 구비된 멀티 카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카드 결제 단말기를 통해 결제가 가능한 복수 개의 카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복수 개의 카드 정보 중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카드에 대한 카드 정보를 상기 통신 단자를 통해 카드 결제 단말기에 제공되도록 상기 카드 정보 관리부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카드에 대응되는 정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카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카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카드 결제 단말기를 통해 결제가 가능하도록 선정하고, 그 선정된 카드의 할인 한도액 정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해당 할인 한도액 정보의 표시를 자동 종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카드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자가 상기 카드 결제 단말기의 접촉점과 맞닿은 상태에서 상호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카드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외형은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7810 ID-1 스펙에 따르고, 상기 통신 단자는 ISO 7816-2 스펙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카드의 제어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카드 정보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그 카드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카드의 제어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저장된 카드 정보에 따라 구별되는 각 카드에 대응되는 적어도 복수 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여 구성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LED 중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카드에 대응되는 LED가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카드의 제어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상기 카드 정보 관리부에 저장된 각 카드 정보 중 혜택 가맹점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복수 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여 구성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드의 혜택 가맹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해당 혜택 가맹점 정보에 대응되는 LED가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카드의 제어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카드 충전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충전 제어 신호에 의해 지정된 카드에 상기 충전 제어 신호에 포함된 충전금이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카드의 제어방법.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7.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KR1020160172471A 2016-12-16 2016-12-16 멀티 카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16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471A KR20170001680A (ko) 2016-12-16 2016-12-16 멀티 카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471A KR20170001680A (ko) 2016-12-16 2016-12-16 멀티 카드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674 Division 2015-06-2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495U Division KR20170003134U (ko) 2017-08-24 2017-08-24 멀티 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680A true KR20170001680A (ko) 2017-01-04

Family

ID=57832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471A KR20170001680A (ko) 2016-12-16 2016-12-16 멀티 카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68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8816B2 (en) 2017-10-04 2020-12-29 The Toronto-Dominion Bank Persona-based conversational interface personalization using social network preferences
US10943605B2 (en) 2017-10-04 2021-03-09 The Toronto-Dominion Bank Conversational interface determining lexical personality score for response generation with synonym replacement
US11062312B2 (en) 2017-07-14 2021-07-13 The Toronto-Dominion Bank Smart chip card with fraud alert and biometric rese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7761B1 (ko) 1989-02-01 1999-06-15 니시무로 타이죠 Ic카드와 ic카드 억세스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7761B1 (ko) 1989-02-01 1999-06-15 니시무로 타이죠 Ic카드와 ic카드 억세스 처리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62312B2 (en) 2017-07-14 2021-07-13 The Toronto-Dominion Bank Smart chip card with fraud alert and biometric reset
US11157908B2 (en) 2017-07-14 2021-10-26 The Toronto-Dominion Bank Smart chip card with fraud alert and biometric reset
US10878816B2 (en) 2017-10-04 2020-12-29 The Toronto-Dominion Bank Persona-based conversational interface personalization using social network preferences
US10943605B2 (en) 2017-10-04 2021-03-09 The Toronto-Dominion Bank Conversational interface determining lexical personality score for response generation with synonym replac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21043A1 (en) Transaction facilit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US10964153B2 (en) Sales system, sales terminal, user terminal, and program
US8706628B2 (en) Automated opening of electronic wallet function in mobile device
KR101598371B1 (ko) 스마트멀티카드
US10482440B1 (en) Simulating NFC experience
US20230016238A1 (en) Client-side use of customer preferences
US9619796B2 (en) Enabling card and method and system using the enabling card in a P.O.S
US9779446B1 (en) Collecting customer preferences
US9245269B2 (en) Unattended retail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linking payments, loyalty, and rewards
US10430849B1 (en) Propagation of customer preferences
KR20170001680A (ko) 멀티 카드 및 그 제어방법
KR101597308B1 (ko) 결제 단말 장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모바일 단말 장치, 및 그들의 제어 방법
KR101597303B1 (ko) 결제 단말 장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모바일 단말 장치, 결제 중계 서버 및 그들의 제어 방법
KR20160083830A (ko) 스마트멀티카드의 결제 및 적립 서비스 방법 및 스마트멀티카드용 어플리케이션
US11829977B2 (en) Enabling card and method and system using the enabling card in a POS
JP2014016745A (ja) 電子取引システム、および電子取引方法
WO2014176172A2 (en) Transaction facilit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KR20190033899A (ko) 멀티 카드 및 이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101783558B1 (ko) 멀티 카드 시스템
KR20170003134U (ko) 멀티 카드
KR101597306B1 (ko) 결제 단말 장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모바일 단말 장치, 결제 중계 서버 및 그들의 제어 방법
CN110189120A (zh) 具有管理和路由来自外部电源电力能力的交易设备
JP5672365B2 (ja) 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101802925B1 (ko) 결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40727B1 (ko) 결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